KR100502465B1 -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465B1
KR100502465B1 KR10-2002-0034898A KR20020034898A KR100502465B1 KR 100502465 B1 KR100502465 B1 KR 100502465B1 KR 20020034898 A KR20020034898 A KR 20020034898A KR 100502465 B1 KR100502465 B1 KR 10050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yoke portion
thickness
vertical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503A (ko
Inventor
백재승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4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빔의 BSN발생을 줄이기 위한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펀넬요크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 요크부는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과 네크실(Neck Seal) 사이를 임의로 수직으로 잘랐을 때, 상기 수직 단면상의 수직축선상의 두께를 TV라 하고, 수평축선상의 두께를 TH라 하며, 상기 수직축선과 수평축선에 대한 펀넬요크부 대각축선상의 두께를 TD라 하고, 상기 펀넬요크부의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의 수직 단면상에서 수직축선 상의 두께를 Vt라고 할 때, 하기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V < TH --------식 1
TD < TH --------식 2
Vt < 3㎜ -------식 3

Description

상하주사형 음극선관{CRT}
본 발명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펀넬 요크부의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고 편향하는 음극선관에서 편향요크의 감도 및 전자빔의 전자빔 새도우 네크(Beam Shadow Neck, 이하 'BSN'이라 칭함)의 여유도를 만족하는 최적의 펀넬 콘부 형상을 가지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면(4)이 도포되어 있고, 전면부에는 방폭수단이 고정되어 있는 패널(1)과, 상기 패널의 후단에 융착된 펀넬(2)과, 상기 펀넬 네크부(13)에 삽입되어 전자빔(6)을 방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6)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5)와, 상기 패널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전자빔(6)이 통과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3)와, 상기 새도우마스크(3)가 패널(1) 내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새도우마스크(3)를 고정 지지하는 메인프레임(7) 및 서브프레임(8)과, 상기 프레임과 패널을 연결 지지하는 코너스프링(9)과, 음극선관이 외부 지자기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차폐하는 이너쉴드(10)와, 상기 패널의 측면부 둘레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을 방지하는 보강밴드(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자빔이 소정의 형광체에 정확히 타격되도록 진행궤도를 수정해 주는 마그네트(Magnet)(11)가 있어 색순도 불량을 방지한다.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제작공정은 크게 전공정과 후공정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전공정은 패널의 내면에 형광면을 도포하는 과정이고 후공정은 다시 다음의 여러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형광체(3)가 도포되고 내부에 마스크 어셈블리가 내장된 패널과 실면에 프리트가 도포된 펀넬이 고온에서 접합되는 실링(Sealing)공정을 거치고, 이 후 봉지 공정에서 펀넬(2)의 네크부(13) 내면에 전자총을 삽입한 후 배기 공정을 통해 음극선관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봉입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음극선관이 진공 상태로 되었을 때, 패널(1)과 펀넬(2)은 대기 압력에 의한 진공 응력을 받게 되는데, 패널(1) 또는 펀넬(2)의 전장이 기존보다 현저히 작아질 경우에는 단위 면적 당 받는 힘이 더욱 커지므로 고 응력이 발생한다.
물론 배기공정 이후, 보강밴드(12)를 패널(1) 외주에 감아서 패널(1) 및 펀넬(2)에 발생되는 고 응력을 주변으로 분산시켜 그 값을 저감하는 효과를 가지나, 슬림(Slim) 음극선관에서는 그 효과가 미약하다. 참고로 보강밴드(12)의 코너에는 러크(13)가 용접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캐비넷과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극선관은 펀넬 바디부(2-1)와 편향요크(5)가 위치되는 펀넬 요크부(2-2), 그리고 전자총이 위치되어지는 네크부(2-3)의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일반적으로 펀넬 바디부(2-1)와 펀넬 요크부(2-2)가 만나는 경계선을 탑오브라운드(Top Of Round,이하 TOR이라 칭함. 21)로 정의하고, 펀넬 요크부(2-2)와 네크부(2-3)가 만나는 경계선을 네크실(Neck Seal,이하 NS라 칭함. 23)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편향중심은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 이하 RL이라 칭함. 22)과 관축이 만나는 지점에서 정의되며, 상기 RL(22)은 상기 TOR(21)과 NS(23)의 1/2지점에서 TOR(21)측 또는 NS측(23)으로 TOR과 NS(23) 사이 거리의 ±10% 이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실제 화면이 보이는 영역을 유효화면이라 하고, 유효화면의 네 곳의 대각의 끝단을 유효면 끝단(25)이라 할 때, 도 2에서와 같이 관축(24)과 RL(22)이 교차되는 점에서 상기 유효면 양 끝단(25)을 연결하였을 때의 관축(24)과의 각도를 편향각(26)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편향요크(5)는 전자총에서 발산되는 전자총을 스크린의 소정의 형광체에 도달되도록 제어하고, 편향중심은 전자빔(6)이 편향요크(5)에 의해서 꺽이는 지점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편향요크(5)의 코어중심을 편향중심이라 칭한다.
도 3는 편향 중심이 네크부쪽으로 이동하였을 때 BSN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편향중심이 네크부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자빔(6)과 편향요크(5)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전자빔(6)이 더 큰 힘으로 편향자계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전자빔(6)과 펀넬 요크부(2-2) 내면과의 간격은 더욱 가까워져서 전자빔(6)이 펀넬의 요크부(2-2) 내면에 부딪혀서 스크린에 그림자를 발생시킨다. 이때 BSN은 RL(22)과 NS(23)사이의 영역에서 발생된다.
즉, 편향효율과 BSN이 발생하는 위치와의 관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효율이 감소할수록 BSN 발생부위는 TOR(21)쪽으로 이동하며, 편향효율이 증가할수록 BSN의 발생부위는 NS(23)쪽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편향효율 증가에 따른 RL(22)과 NS(23) 사이에서의 BSN 발생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BSN 발생은 편향효율을 증가시켜야 이룰 수 있는 음극선관의 슬림화 및 소비전력의 감소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이며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도 5는 수직주사 방식에 따른 BSN 발생위치를 사진으로 찍어 현상한 것으로, 장변방향과 대각방향에서 BSN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BSN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펀넬요크(5)의 단면을 크게 하여 전자빔(6)과 편향요크(5)의 거리를 증가 시키거나 편향요크(5)의 중심을 스크린 쪽으로 이동시켜 편향중심을 이동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전자빔(6)이 꺽이는 위치를 스크린 쪽으로 옮기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편향요크의 효율을 떨어뜨려 음극선관의 슬림화 및 소비전력의 감소를 이룰 수 없다.
그러므로 편향요크(5)의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BSN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BSN 발생부위의 외면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펀넬요크부(2-2)의 내면만 두께를 감소시키거나, 펀넬요크부(2-2)의 내면 형상을 최적화시키는 방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존 펀넬 설계 개념으로는 이 부분의 형상 및 두께의 감소는 펀넬의 RL 부근을 기준으로 하여 두께 및 형상을 일정한 비율로 증가 및 감소하여왔다. 이러한 기존 설계 개념으로서는 음극선관의 슬림화 및 소비전력 감소를 위한 충분한 편향효율의 증가를 이룰 수 없으며,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 충분한 BSN 여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최근에는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해 액정 모니터(LCD), 벽걸이형 텔레비전(PDP) 등의 슬림형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고, 이런 추세에 따라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음극선관의 슬림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전자제품의 소비전력규제 강화에 따라서 저전력 음극선관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편향 요크(5)에 인가되는 전류를 작게 하여 음극선관의 소비전력 감소를 하였으나, 코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약해져서 충분한 편향 각도를 확보하지 못해 스크린을 형성할 수 없게 되었고, 편향 요크(5)의 코일 및 모어의 량을 증가시켜 음극선관의 소비전력을 감소하였으나, 이는 재료비를 상승시키며 누설자계의 량을 증가시켜 신뢰성 관련 특성에 문제를 발생하였다.
이상과 같이, 음극선관의 슬림화 및 소비전력 감소는 편향요크(5)의 편향효율과 깊은 연관성이 있으므로 종래에는 편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개발되었다.
첫째, 펀넬 요크부(2-2) 및 편향 코일의 단면 형상을 원형에서 사각형상으로 바꾸는 것이 있다. 이것은 전자빔(6)과 편향요크(5)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적은 편향자계에서도 전자빔(6)을 쉽게 편향시킬 수 있다.
둘째, 편향요크(6)의 코일 및 코어의 위치를 펀넬의 네크 방향으로 후진시키는 방법으로, 펀넬요크부(2-2)를 네크부(2-3)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을 줄여 전자빔(6)과 편향요크(5)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편향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즉, 편향 중심을 네크부(2-3)쪽으로 이동하여, 이에 따라 전자빔(6)이 자계에 의해 빨리 꺽이는 게 한다.
셋째,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전자빔의 주사방식을 수평주사방식에서 수직주사 방법으로 변환시켜 편향효율을 향상시킨다. 종래의 상기 수직방향음극선관은 전자총 내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전자빔이 수직방향 인라인형으로 구성되어, BSN의 발생위치 및 크기가 종래와 다르게 나타난다.
또, 일반적으로는 음극선관은 그 스크린의 수평:수직거리가 4:3이나 16:9의 형상으로 되어있어, 수평주사방식에서는 4,16의 거리를 편향시켜야 하나, 수직주사방식에서는 3,9만큼만 편향시키면 되므로 그 차이만큼 동일 편향을 위한 편향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편향효율 향상을 위해서 위의 3가지 방식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편향효율의 향상은 음극선관의 슬림화 및 소비전력 감소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편향효율의 향상은 전자빔(6) 편향에 따른 BSN 현상을 증가시키고, BSN 현상은 스크린 상에 펀넬요크부(2-2) 내면의 그림자를 발생시키는 현상으로 음극선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수직주사방식의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자총에서 전자빔을 방출하는 캐소드(Cathode)는 수직축선과 평행하게 적색(R), 녹색(G), 청색(B)의 전자빔이 위치하기 때문에, 이 때, 적색(R), 청색(B)의 전자빔(6)은 녹색(G)의 전자빔(6)에 비해 관축(24)과 일정 거리만큼 수직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관축(24)과 떨어진 거리만큼 전자빔(6)은 편향자계와 가까워짐으로, 수직방향으로 더 많이 편향을 하여, 요크부의 장변 내면에 부딪혀 BSN을 발생시킨다.
위에서 언급된 이러한 현상들은 펀넬요크부의 RL(22)과 NS(23) 사이에서 현저히 발생하고, 특히 수직주사방식의 음극선관의 경우에는 펀넬 요크(2-2) 대각부 근처의 장변 내면에서 주요하게 발생하며, 대각부 및 장변부 전체에 걸쳐서도 발생하게 된다.
이 때 펀넬요크부(2-2)를 관축(24)과 수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면 BSN 현상은 감소하게 되나 편향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음극선관의 슬림화 및 소비전력 감소를 이룰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펀넬 요크부(2-2)의 구조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우며 새로운 요크부의 구조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펀넬 요크부 외면의 형상 변경 및 위치 이동 없이 BSN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펀넬요크부(2-2)의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슬림화와 소비 전력을 저감하도록 하는 전자빔 새도우 네크(Beam Shadow Neck)의 여유를 확보하여 최적의 펀넬 요크부 설계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 요크부는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과 네크실(Neck Seal) 사이를 임의로 수직으로 잘랐을 때, 상기 수직 단면상의 수직축선상의 두께를 TV라 하고, 수평축선상의 두께를 TH라 하며, 상기 수직축선과 수평축선에 대한 펀넬요크부 대각축선상의 두께를 TD라 하고, 상기 펀넬요크부의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의 수직 단면상에서 수직축선 상의 두께를 Vt라고 할 때, 하기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V < TH --------식 1
TD < TH --------식 2
Vt < 3㎜ -------식 3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펀넬 요크부 RL(22)과 NS(23)사이 부근에서 발생되는 BSN 현상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BSN 여유도를 바탕으로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슬림화 및 소비전력의 감소를 이룰 수 있는 충분한 편향효율의 증가를 확보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펀넬 요크부(2-2)의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도 6은 펀넬 요크부 RL(22)과 NS(23)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관축(24)과 수직으로 자른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상기 수직 단면상의 수직축선 상 펀넬요크부의 상하길이가 가장 큰 부분의 펀넬요크부 수직축선상의 두께를 TV라 하고, 수평축선 상 펀넬요크부 좌우길이가 가장 큰 부분의 펀넬요크부 수평축선상의 두께를 TH라 하며, 상기 수직축선과 수평축선에 대한 펀넬요크부 대각축선상의 두께를 TD라 하고, 상기 펀넬요크부의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의 수직 단면상에서 수평축선상의 두께를 HT라고 할 때, TV와 TD가 TH보다 작게 하고, Vt는 3㎜보다 작도록 펀넬 요크부(2-2) 내면을 형성한다.
이는 펀넬 요크부의 RL(22)과 NS(23)사이에서 임의로 자른 수직 단면상의 수직축선 방향 두께와 대각방향의 두께가 요크부의 수평축선 방향 두께보다 얇은 부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의 RL(22) 단면상의 수직축선상의 두께가 3㎜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특히 펀넬 요크부가 비원형단면을 가지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NS(23)쪽에서 TOR(21) 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형상이 원형에서 비원형으로 형성되므로, 기존 모든 영역에서 원형이었던 음극선관에 비해, 수평축선 방향의 펀넬 요크부(2-2) 내면과 전자빔(6)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BSN에 더욱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되며 TOR(23) 쪽으로 갈수록 비원형화된 형상에 따른 최대인장응력 값이 높아져서 음극선관의 구조강도를 약화시킨다.
그러나 펀넬 요크부(2-2)가 원형단면을 가지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NS(23) 쪽에서 TOR(21) 쪽으로 가더라도 그 단면형상이 계속 원형이므로, 비원형단면에 비해 최대인장응력값이 높아지지 않으며, BSN에 다소 유리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기존의 수평주사형 음극선관에 비해 상하방향의 BSN여유도는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펀넬 요크부(2-2) 내면형상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그 형상 및 구조를 위의 식과 같이 형성한다면 편향효율의 증가 및 BSN 여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펀넬 요크부(2-2)의 RL(22)에서의 수직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펀넬요크부 수평축선상의 두께를 Ht, 펀넬요크부 수직축선상의 두께를 Vt, 펀넬요크부 대각축선상의 두께를 Dt라고 할 때, Ht/Vt > 1.3(식 4)과 Ht/Dt > 1.3(식 5)를 만족하도록 펀넬의 요크부(2-2) 내면을 형성한다.
이것은 BSN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장변방향과 대각방향의 두께는 줄여주고, 음극선관의 구조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의 두께는 두껍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하주사형의 음극선관는 BSN 발생의 영향이 작으므로, RL(22)에서 TOR(21) 사이의 펀넬요크부(2-2)는 수평방향과 대각방향의 두께를 일정한 값으로 증가시켜 구조강도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식에 의한 펀넬요크부(2-2)의 외면형상은 편향효율이 증가되는 최적의 상태로, 내면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BSN여유도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기 표 1은 종래의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의 펀넬 요크부의 두께를 나타낸 것이고, 표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펀넬요크부(2-2)의 외면은 기존과 동일하게 설정한 후 두께를 변경한 것이다.
[표 1]
Height(mm) NS -30 -25 -20 -15 -10 -5 RL 5 10 15 20 25 30
VA 2.6 2.6 2.9 3.3 3.7 3.9 4.0 3.9 4.1 4.2 4.4 4.6 4.8 4.9
HA 2.6 2.6 3.0 3.4 3.5 3.5 3.6 3.9 4.2 4.4 4.4 4.5 4.5 5.3
DA 2.6 2.7 3.3 3.6 3.5 3.4 3.3 3.4 3.6 3.7 3.8 3.8 3.8 3.8
[표 2]
Height(mm) NS -30 -25 -20 -15 -10 -5 RL 5 10 15 20 25 30
VA 2.6 2.5 2.5 2.5 2.5 2.5 2.5 2.5 2.4 3.0 3.5 4.0 4.5 5.0
HA 2.6 2.9 3.1 3.3 3.5 3.6 3.7 3.8 4.0 4.2 4.3 4.5 5.0
DA 2.6 2.5 2.4 2.4 2.4 2.4 2.4 2.4 2.5 2.7 2.9 3.2 3.5 4.0
상기 표에서 VA는 수직축선, HA는 수평축선, DA는 대각축선을 의미한 것으로, RL(22)을 중심으로 NS(23)쪽의 역방향은 (-)로 표기하였고, TOR(21)쪽의 정방향은 (+)로 편향요크부의 두께변화량을 나타내었다.
도 8과 도 9는 종래기술의 상하주사형 요크부 두께와 본 발명의 상하주사형 요크부의 두께를 표 1과 표 2에 따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에서는 VA, HA, DA의 두께가 비슷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RL(22)에서의 두께가 모두 단면에서 3㎜를 넘고 있으나,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NS(23)과 RL(22)의 사이에서 펀넬요크부의 VA 및 DA부의 두께는 증가하고 있지 않으며, HA부 두께만이 증가하고 있다.
즉,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전자빔이 VA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VA 방향 및 DA 방향으로 BSN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BSN의 발생은 NS(23)에서 RL(22) 사이에 집중되므로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펀넬요크부(2-2) VA와 DA부의 두께를 가진다면 이러한 BSN여유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의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요크부 구조를 가질 경우 기존의 요크부 대비 +1.5mm의 BSN여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BSN 발생에 영향이 적은 HA방향의 두께는 요크부의 구조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음극선관의 슬림화 및 소비전력 감소를 위해서는 편향효율의 증가가 필수적이지만, 수평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편향효율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BSN여유도의 감소를 가져오게 되고, BSN 여유도의 감소는 음극선관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생산 시간의 증가 및 생산성의 감소를 야기시키고, 또한 BSN 여유도를 증가시키려면 편향효율을 증가시킬 수 없고 음극선관의 슬림화 및 소비전력의 감소는 이룰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기존의 음극선관과 다른 형태의 BSN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과 다른 요크부의 구조가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크부의 구조를 가지게 되면 편향효율의 증가 및 BSN 여유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음극선관의 슬림화 및 소비전력의 감소를 이루면서도 음극선관의 품질 및 생산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펀넬 요크부의 최적설계를 통해, 슬림(Slim) 음극선관의 제작 시 발생하는 소비 전력은 줄여주는 동시에, 전자빔 새도우 네크(Beam Shadow Neck)의 여유를 확보하여 스크린 코너부에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음극선관의 개략도.
도 2는 음극선관 펀넬의 TOR, RL, NS 부위 및 편향각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편향중심에 따른 BSN의 여유값을 나타낸 도.
도 4는 종래의편향효율에 따른 BSN 발생위치를 나타낸 도.
도 5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BSN 발생위치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RL과 NS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관축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펀넬요크부의 RL에서의 수직단면도.
도 8은 종래의 펀넬요크부에서 NS에서 RL로 갈수록 두께의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펀넬요크부에서 NS에서 RL로 갈수록 두께의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패널 2:펀넬
2-1:펀넬 바디부 2-2: 펀넬 요크부
2-3:네크부 5:편향요크
6:전자빔 21:TOR
23:NS

Claims (8)

  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 요크부는 레퍼런스라인(ReferenceLine)과 네크실(Neck Seal)사이를 임의로 수직으로 잘랐을 때, 상기 수직 단면상의 수직축선상의 두께를 Tv라하고, 수평축선상의 두께를 Th,라 하며, 상기 수직축선과 수평축선에 대한 펀넬요크부 대각축선상의 두께를 Td라하고, 상기 펀넬요크부의 레퍼런스라인의 수직 단면상에서 수직축선 상의 두께를 Vt라고 할 때, 하기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Tv < Th-------식 1
    Td < Th-------식 2
    Tv < Td--------식 3
    Vt < 3mm------식 4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 요크부의 레퍼런스라인의 수직단면 상에서 대각축선상의 두께를 Dt라고 할 때,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Dt < 3㎜ -------식 5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 요크부는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과 네크실(Neck Seal) 사이를 임의로 수직으로 잘랐을 때, 상기 Tv와 TH 및 Vt와 Dt는 각각 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요크부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 단면상에서 펀넬요크부 수평축선상의 두께를 Ht, 펀넬요크부 수직축선상의 두께를 Vt라고 할 때,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Ht/Vt > 1.3 --------식 6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요크부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 단면상에서 펀넬요크부 수평축선상의 두께를 Ht, 펀넬요크부 대각축선상의 두께를 Dt라고 할 때,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Ht/Dt > 1.3 --------식 7
  6. 제 1항과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요크부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과 펀넬요크부와 네크부가 만나는 네크실(Neck Seal) 사이의 수직 단면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7. 제 1항과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요크부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의 수직단면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8. 삭제
KR10-2002-0034898A 2002-06-21 2002-06-21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502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898A KR100502465B1 (ko) 2002-06-21 2002-06-21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898A KR100502465B1 (ko) 2002-06-21 2002-06-21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503A KR20030097503A (ko) 2003-12-31
KR100502465B1 true KR100502465B1 (ko) 2005-07-20

Family

ID=3238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898A KR100502465B1 (ko) 2002-06-21 2002-06-21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4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940A (ja) * 1997-10-14 1999-04-3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JPH11120939A (ja) * 1997-10-14 1999-04-3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KR20000031831A (ko) * 1998-11-10 2000-06-05 김순택 음극선관
KR100315534B1 (ko) * 1996-08-13 2001-11-29 크리트먼 어윈 엠 개선된 펀넬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KR100309763B1 (ko) * 1998-11-10 2001-12-17 김순택 음극선관_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534B1 (ko) * 1996-08-13 2001-11-29 크리트먼 어윈 엠 개선된 펀넬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JPH11120940A (ja) * 1997-10-14 1999-04-3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JPH11120939A (ja) * 1997-10-14 1999-04-3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KR20000031831A (ko) * 1998-11-10 2000-06-05 김순택 음극선관
KR100309763B1 (ko) * 1998-11-10 2001-12-17 김순택 음극선관_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503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6297B1 (en) Cathode ray tube
KR100443611B1 (ko) 음극선관용 패널
KR10050246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426571B1 (ko) 음극선관용 펀넬구조
KR100489604B1 (ko) 평면 칼라 음극선관
JP3704116B2 (ja) 陰極線管のガラス構造
KR100439270B1 (ko) 음극선관의 펀넬 구조
KR100447662B1 (ko) 음극선관
KR100605761B1 (ko) 음극선관
KR100396624B1 (ko) 음극선관용 펀넬 구조
KR100605759B1 (ko) 음극선관
KR100494748B1 (ko) 음극선관의 글라스 구조
KR100493513B1 (ko) 평면 음극선관
EP1564781B1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US7501748B2 (en) CRT funnel section
KR100692043B1 (ko) 음극선관
KR100811686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489606B1 (ko) 음극선관
KR100468421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40006520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20050889A (ko) 컬러 음극선관
KR20020061950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50091399A (ko) 칼라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