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830A -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830A
KR20020076830A KR1020010016974A KR20010016974A KR20020076830A KR 20020076830 A KR20020076830 A KR 20020076830A KR 1020010016974 A KR1020010016974 A KR 1020010016974A KR 20010016974 A KR20010016974 A KR 20010016974A KR 20020076830 A KR20020076830 A KR 20020076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lane passing
extension plane
tube axis
f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한
도기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6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6830A/ko
Publication of KR2002007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8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66Details of skirt or border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의 경량화 설계를 위한 패널 및 펀넬의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및 편향요크를 장착하는 요크부를 갖고 상기 패널의 스커트 에지부와 결합하는 펀넬을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상기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는 50.8㎝ 보다 크며;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4 < LP-OAH/LF-TOR≤0.65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서 경량화 설계를 위해 패널의 스커부 길이를 단축시킴에 따라 편향요크, 새도우마스크, 전자총 등 타 부품들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A Color Cathode Ray Tube For Reducing weight}
본 발명은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경량화, 비용절감, 열파손 방지를 위해 패널을 전장을 줄이고, 이에 따른 타부품들의 변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컬러음극선관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로서, 패널(1)이라는 전면 유리와 펀넬(2)이라는 후면유리가 결합되고, 패널(1)의 내면은 소정의 발광역할을 하는 형광면(4)과 이 형광면을 발광시키는 전자빔(6)의 근원인 전자총과 소정의 형광체를 발광시키도록 색을 선별해 주는 섀도우마스크(3), 이 섀도우마스크(3)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7)으로 구성된다.
상기 섀도우마스크(3)가 장착된 메인프레임(7)을 패널에 결합되도록 해주는 스프링(8)과 음극선관이 동작 중 외부 지자기에 영향을 적게 받도록 차폐 역할을 해주는 인너쉴드(9)가 메인프레임(7)에 고정된 상태로 고진공으로 밀폐되어 있다.
도 1에 개시한 컬러음극선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펀넬(2)의 네크에 내장된 전자총에서 전자빔(6)이 음극선관에 인가된 양극전압에 의해서 패널(1)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면(4)을 타격하게 되는데, 이 때 이 전자빔은 형광면에 도달하기 전 편향요크(5)에 의해서 상하, 좌우로 편향되어 화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전자빔(6)이 정확히 소정의 형광체를 타격하도록 그 진행궤도를 수정해 주는 2, 4, 6극의 마그네트(10)가 있어 색순도 불량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이러한 음극선관은 고진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쉽게 폭죽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패널(1)이 대기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 강도를 갖도록 설계한다. 또한, 패널(1)의 스커트(Skirt) 외면에 보강밴드(11)를 장착하여 고진공 상태의 음극선관이 받는 응력을 분산, 내충격 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은 크게 패널(1)과 펀넬(2)로 구성되어지고, 펀넬(2)의 네크 부분에 전자총을 삽입, 배기공정을 통해 진공상태를 만들고 봉입된다. 여기에서 벌브가 진공상태로 되었을 때, 패널(1)과 펀넬(2)은 상당한 인장, 압축력을 받게 된다. 이 현상으로 인해 패널(1)의 스크린의 특정한 위치에 과도한 인장응력값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패널(1) 특정 부위에 과도한 응력값이 걸릴 경우 그 부분은 충격에 민감하게 되어 폭축 발생을 일으키는 확률이 높게 되고 안전상에 큰 문제가 된다.
오늘날 음극선관은 영상표시 소자로서 일반가정, 사무실, 산업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술의 향상과 고객의 기호변화에 따라 화면의 평면화, 대형화, 멀티미디어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의 매체가 등장함에 따라 음극선관은 화면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평면형 구조의 음극선관의 개발이 시급하게 되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패널의 형상은 내면과 외면 모두 일정곡률을 갖는 구조로 설계되어, 외면의 곡률 때문에 화상 표현 시 화상이 왜곡되어, 눈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외광의 반사가 심해 눈의 피로도를 높이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이 평면을 이루는 패널의 구조가 사용되고, 이는 사용자의 이미지 부상효과를 고려하여 적정 시거리에서 화면의 왜곡을 없애고 눈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평면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이후 FCD라 칭함)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컬러 음극선관의 설계 시에 제조공정에서의 공용화를 중심으로 패널의 전장 길이(LP-OAH: 외면 센터에서 스커트 실에지부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도 2a에 나타낸 일반적인 곡면 음극선관 패널 전장 길이와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편향여유도가 과도하게 설계되고 패널의 스커트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현재의 평면 음극선관은 내면은 곡률을 가짐으로써 코너부의 두께가 급격히 두꺼워져 패널의 무게가 기존에 비해 10 ∼ 15%정도 무거워졌으며 패널 생산시에 열파손 증가 등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어 자재 단가가 2배 이상으로 비싸졌다. 이로 인해 기존제품보다 ??지율이 큰 평면 제품
에서는 로내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열응력에 의해 로 내(內) 파손 및 벌브(Bulb)를 재생하는 샐비지(Salvage) 공정에서 재생 양품율의 저하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관종 사이즈 대비 평면 패널의 무게를 감소시켜 동일 관종 대비 경량화 , 비용절감, 로 내 열파손 방지 효과를 확보함과 동시에 타 부품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패널과 펀넬 구조를 개선한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컬러음극선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a 및 2b는 곡면형 패널과 평면형 패널의 형상을 나타낸 도,
도 3은 도 2a 및 2b의 곡면형 패널과 평면형 패널의 차이를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과 펀넬의 설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 및
도 5는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에 따른 패널과 펀넬의 비율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패널2 : 펀넬
3 : 새도우마스크4 : 프레임
5 : 스프링 6 : 스터드 핀
7 : 인너쉴드8 : 전자총
9: 편향요크10: 네크부
11: 전자빔12: 밴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및 편향요크를 장착하는 요크부를 갖고 상기 패널의 스커트부와 결합하는 펀넬을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상기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는 50.8㎝ 보다 크며;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4 < LP-OAH/LF-TOR≤0.65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9 < LP-OAH/LF-TOR≤0.62를 만족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상기 외면 센터 높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식, 0.35 < LP-OAH/LF-RL≤ 0.53을 만족하면 바람직하고, 다음 식, 0.40 < LP-OAH/LF-RL≤ 0.50을 만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94 < USD/2 * LF-TOR≤2.21을 만족하면 바람직하고, 다음식, 2.02 < USD/2 * LF-TOR≤2.17을 만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식, 1.57 < USD/2 * LF-RL≤1.79를 만족하면 좋고, 다음 식, 1.62 < USD/2 * LF-RL≤1.76을 만족하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스커트부와 결합하는 펀넬을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식, 0.35 < LP-OAH/LF-TOR≤0.57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2< LP-OAH/LF-TOR≤0.54를 만족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상기 외면 센터 높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32 < LP-OAH/LF-RL≤0.48을 만족하면 바람직하고, 다음 식 0.38 < LP-OAH/LF-RL≤0.46을 만족하면 더욱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49 < USD/2 * LF-RL≤1.68 을 만족하면 좋고,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56 < USD/2 * LF-RL≤1.66 을 만족하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및 편향요크를 장착하는 요크부를 갖고 상기 패널의 스커트 실에지부와 결합하는 펀넬을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상기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는 50.8㎝ 이하이며;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식, 0.40 < LP-OAH/LF-TOR≤0.60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6 < LP-OAH/LF-TOR≤0.56을 만족하면 좋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식, 0.27 < LP-OAH/LF-RL≤ 0.39를 만족하면 좋고, 다음 식, 0.31 < LP-OAH/LF-RL≤ 0.37을 만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72 < USD/2 * LF-TOR≤ 1.91을 만족하면 좋고, 다음 식, 1.79 < USD/2 * LF-TOR≤ 1.86을 만족하면 더욱 좋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16 <USD/2 * LF-RL≤1.25를 만족하면 바람직하고, 다음 식, 1.19 < USD/2 * LF-RL≤1.23을 만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부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편향요크를 장착하는 요크부를 갖고 상기 패널의 스커트부와 결합하는 펀넬, 및 상기 펀넬의 후방에 결합하여 전자총이 삽입되는 네크를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관축에 수직인 펜넬-네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NSL, 상기 패널의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의 1/2을 x(단위: mm)라 할 때, 상기 LP-OAH/LF-NSL의 값이 0.0009x + 0.0413 이상이고 0.0014x + 0.00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 실시예에서, 상기 LP-OAH/LF-NSL의 값이 0.0012x + 0.007 이상이고 0.0013x + 0.0075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부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상기 패널의 스커트부와 결합하는 펀넬, 및 상기 펀넬의 후방에 결합하여 전자총이삽입되는 네크를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관축에 수직인 펜넬-네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NSL, 상기 패널의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의 1/2을 x(단위: mm)라 할 때, 다음 식, 0.27 < LP-OAH/LF-NSL≤0.4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실시예에서, 0.32 < LP-OAH/LF-NSL< 0.41을 만족하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아래의 표1에서 보듯이 종래의 평면관의 설계 시에 곡면 음극선관과의 공용화 설계를 바탕으로 진행하다 보니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P-OAH)를 동일하게 설계를 하였다. 이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음극선관의 특성상 외면이 거의 평면이기 때문에 패널 외면 몰드매치라인에서 패널-펀넬 결합부까지의 거리(LP-OMH)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내면이 일정곡률을 가짐으로써 코너부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졌다. 이로 인하여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의 무게가 1.26 ∼ 1.48배 이상 증가, 예를 들면 대형관 기준으로 약 7Kg이상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설계값구분 LP-OAH/(USD/2) LP-OMH/(USD/2) LP-OSH/(USD/2)
종래 곡면음극선관 0.30∼0.35 0.15∼0.21 0.06∼0.11
종래 평면음극선관 0.30∼0.36 0.22∼0.30 0.14∼0.20
인치 형명 무게(kg)
25" HS1A 11.3
S-HS 11.6
FCD 14.2
28"W 1.7R 14.2
2.0R 14.6
FCD 18.7
29" PA 16.2
S-HS 18.5
FCD 23.9
32"W 1.6R 20.5
2.0R 23.1
FCD 27.1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패널의 높이(LP-OAH)를 짧게 가져감으로써 이전의 FCD가 가지고 있던 패널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패널생산 업체의 생산성 향상 및 유리의 무게가 줄어들어 패널의 단가를 인하할 수 있으며 종래 평면 음극선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아져서 음극선관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패널 스커트부의 길이가 짧아져서 밴드 , 프레임의 절감효과도 더불어 얻을 수 가 있다. 종래 평면관의 주요 문제점으로 지목되고 있는 로내 열파손에 대해서도 많은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이는 LP-OAH를 짧게 하여 패널의 열전도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봄으로써 로내 파손에 많은 장점을 가지는 구조로 설계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패널의 높이(LP-OAH)를 짧게 가져감으로써 이전의 FCD가 가지고 있던 패널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펀넬의 편향 중심에서 패널 내면의 스크린 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편향장치를 종래 평면형 음극선관에서 적용하던 편향요크, 전자총, 새도우마스크 등을 그대로 사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이들 부품들을 다시 설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편향요크의 편향거리가 줄어드는 것은 편향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해야 하는데, 이것은 제조상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이고 그 제조비용도 증가하고 광각화에 따른 소비전력의 증가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평면 패널의 무게를 감소시켜 동일 관종 대비 경량화, 비용절감, 로내 열파손 방지 효과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편향요크, 전자총, 새도우마스크 등의 재설계가 필요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하는 음극선관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의 스커트부 에 프릿 글라스에 의해 융착되는 누두상 펀넬, 상기 펀넬 후방에 연결되어 전자총이 장착되는 네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펀넬은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요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펀넬은 패널 측으로부터 후방 네크 측으로 장방향 단면형상의 누두형으로 진행하다가 요크부를 만나면서 그 단면이 원형으로 변화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패널의 줄어드는 길이 만큼 펀넬의 길이를 보상하는 것은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TOR),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거리(LF-RL),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NSL) 중 어느 하나를 줄이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의 표 3에는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는, 즉 4:3 화면비를 갖는 25인치∼29인치 음극선관에 대해, 종전 평면 음극선관과 본 발명의 평면 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설계값, 즉
(1)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TOR)와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P-OAH) 사이의 관계(LP-OAH/LF-TOR),
(2)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RL)와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P-OAH) 사이의 관계(LF-RL/LF-TOR),
(3)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TOR)와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의 관계(USD/2 * LF-TOR)
(4)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RL)와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의 관계(USD/2 * LF-RL)가 나타나 있다.
LP-OAH/LF-TOR LP-OAH/LF-RL USD/2 * LF-TOR USD/2*LF-RL
종래 본발명 바람직 종래 본발명 바람직 종래 본발명 바람직 종래 본발명 바람직
최소값 0.70 0.44 0.49 0.55 0.35 0.40 2.31 1.94 2.02 1.80 1.57 1.62
최대값 0.80 0.65 0.62 0.63 0.53 0.50 2.40 2.21 2.17 1.91 1.79 1.76
상기 표 3에서, 종래에는 0.70 < LP-OAH/LF-TOR≤ 0.80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본 발명은 0.44 < LP-OAH/LF-TOR≤ 0.65를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0.65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12mm이하의 미비한 수준이며, 0.44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0.44이하 일 경우 기존 패널 전고 대비 약 30mm의 축소가 이루어지므로 펀넬에서 그 값을 보상하여 벌브의 전고 길이를 맞추더라도 안전 규격상의 패널의 두께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고 마스크와 패널사이의 거리, 내장기구물의 크기 또한 한계값에 다다르게 된다. 따라서 패널의 경량화에 따른 장점을 살리면서 최소한의 설계변경 대응이 가능한 범위를 택하기 위해서는 0.49 < LP-OAH/LF-TOR≤ 0.62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에는 0.55 < LP-OAH/LF-RL≤ 0.63을 만족하였지만, 본 발명은 0.35 < LP-OAH/LF-RL≤ 0.53을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0.53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12mm이하의 미비한 수준이며 0.35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 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될 뿐 아니라 편향각의 변화로 인하여 음극선관의 주요 부품인 전자총과 편향요크의 재 설계 뿐아니라 편향전력의 소모가 23%가량 늘어나게 됨으로 인하여 세계적인 추세인 환경 친화적 제품에 역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0.40 < LP-OAH/LF-RL≤ 0.50 의 비율이 좋으며 ,이러한 비율은 기존의 편향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향각 증대에 따른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내장 기구물의 높이 조절로 패널 경량화 및 파손량 절감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즉 패널의 전고 높이를 10∼20mm가량 단축하면서도 편향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이다.
또한, 종래에는 2.31 < USD/2 * LF-TOR≤ 2.40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은 1.94 < USD/2 * LF-TOR≤ 2.21을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2.21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12mm이하의 미비한 수준이며, 1.94 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 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1.94 이하 일 경우 기존 패널 전고 대비 약 30mm의 축소가 이루어지므로 펀넬에서 그 값을 보상하여 벌브의 전고길이를 맞추더라도 안전 규격상의 패널의 두께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고 마스크와 패널사이의 거리, 내장기구물의 크기 또한 한계값에 다다르게 된다. 따라서, 패널의 경량화에 따른 장점을 살리면서 최소한의 설계변경 대응이 가능한 범위를 택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2.02 < USD/2 * /LF-TOR≤ 2.17이 더 좋다.
또한, 종래에는 1.80 < USD/2*LF-RL≤ 1.91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1.57 < USD/2 * LF-RL≤ 1.79를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1.79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12mm이하의 미비한 수준이며, 1.57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 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될 뿐 아니라 편향각의 변화로 인하여 음극선관의 주요 부품인 총과 편향요크의 재 설계 뿐아니라 편향전력의 소모가 23%가량 늘어나게 됨으로 인하여 세계적인 추세인 환경친화적 제품에 역행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 < USD/2 * LF-RL≤ 1.76의 비율이 좋으며 이러한 비율은 기존의 편향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향각 증대에 따른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내장기구물의 높이 조절로 패널 경량화 및 파손량 절감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즉 패널의 전고 높이를 10∼20mm가량 단축하면서도 편향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이다.
아래의 표 4에는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는, 즉 16:9 화면비를 갖는 와이드 28인치∼32인치 음극선관에 대해, (1)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TOR)와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P-OAH) 사이의 관계(LP-OAH/LF-TOR),
(2)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RL)와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P-OAH) 사이의 관계(LF-RL/LF-TOR),
(3)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TOR)와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의 관계(USD/2 * LF-TOR)
(4)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RL)와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의 관계(USD/2 * LF-RL)가 나타나 있다.
LP-OAH/LF-TOR LP-OAH/LF-RL USD/2 * LF-TOR USD/2*LF-RL
종래 본발명 바람직 종래 본발명 바람직 종래 본발명 바람직 종래 본발명 바람직
최소값 0.58 0.35 0.42 0.52 0.32 0.38 2.00 1.65 1.73 1.71 1.49 1.56
최대값 0.66 0.57 0.54 0.56 0.48 0.46 2.10 1.98 1.95 1.76 1.68 1.66
표 4에서, 종래에는 0.58 < LP-OAH/LF-TOR≤ 0.66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본 발명은 0.35 < LP-OAH/LF-TOR≤0.57를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0.57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미비한 수준이며, 0.35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된다. 특히 패널의 경량화에 따른 장점을 살리면서 최소한의 설계변경 대응이 가능한 범위를 택하기 위해서는 0.42 < LP-OAH/LF-TOR≤0.54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에는 0.52 < LP-OAH/LF-RL≤0.56을 만족하였지만, 본 발명은 0.32 < LP-OAH/LF-RL≤ 0.48을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0.48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미비한 수준이며, 0.32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 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될 뿐 아니라 편향각의 변화로 인하여 음극선관의 주요 부품인 전자총과 편향요크의 재 설계 뿐아니라 편향전력의 소모가 23%가량 늘어나게 됨으로 인하여 세계적인 추세인 환경 친화적 제품에 역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0.38 < LP-OAH/LF-RL≤ 0.46 의 비율이 좋으며 ,이러한 비율은 기존의 편향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향각 증대에 따른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내장 기구물의 높이 조절로 패널 경량화 및 파손량 절감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2.0 < USD/2 * LF-TOR≤ 2.40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은 1.65 < USD/2 * LF-TOR≤ 1.98를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1.98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미비한 수준이며 1.65 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 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된다. 특히, 패널의 경량화에 따른 장점을 살리면서 최소한의 설계변경 대응이 가능한 범위를 택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73 < USD/2 * /LF-TOR≤1.95 가 더 좋다.
또한, 종래에는 1.71 < USD/2 * LF-RL≤ 1.76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1.49 < USD/2 * LF-RL≤1.68을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1.68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미비한 수준이며, 1.49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 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될 뿐 아니라 편향각의 변화로 인하여 음극선관의 주요 부품인 총과 편향요크의 재 설계 뿐아니라 편향전력의 소모가 23%가량 늘어나게 됨으로 인하여 세계적인 추세인 환경친화적 제품에 역행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6 < USD/2 * LF-RL≤1.66의 비율이 좋으며 이러한 비율은 기존의 편향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향각 증대에 따른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내장기구물의 높이 조절로 패널 경량화 및 파손량 절감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아래 표 5에는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는, 즉 4:3 화면비를 갖는 17인치∼19인치 음극선관에 대해, 종전 평면 음극선관과 본 발명의 평면 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설계값, 즉 (1)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TOR)와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P-OAH) 사이의 관계(LP-OAH/LF-TOR),
(2)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RL)와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P-OAH) 사이의 관계(LF-RL/LF-TOR),
(3)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TOR)와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의 관계(USD/2 * LF-TOR)
(4)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RL)와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의 관계(USD/2 * LF-RL)가 나타나 있다.
LP-OAH/LF-TOR LP-OAH/LF-RL USD/2 * LF-TOR USD/2*LF-RL
종래 본발명 바람직 종래 본발명 바람직 종래 본발명 바람직 종래 본발명 바람직
최소값 0.62 0.40 0.46 0.40 0.27 0.31 1.98 1.72 1.79 1.27 1.16 1.19
최대값 0.69 0.60 0.56 0.44 0.39 0.37 2.00 1.91 1.86 1.28 1.25 1.23
상기 표 5에서, 종래에는 0.62 < LP-OAH/LF-TOR≤ 0.69를 만족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본 발명은 0.40 < LP-OAH/LF-TOR≤ 0.60을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0.65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미비한 수준이며 0.40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 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0.60 보다 클 경우 기존 패널 전고 대비 축소되는 패널 길이 만큼 펀넬에서 그 값을 보상하여 벌브의 전고 길이를 맞추더라도 안전 규격상의 패널의 두께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고 마스크와 패널사이의 거리, 내장기구물의 크기 또한 한계값에 다다르게 된다. 따라서 패널의 경량화에 따른 장점을 살리면서 최소한의 설계변경 대응이 가능한 범위를 택하기 위해서는 0.46 < LP-OAH/LF-TOR≤ 0.56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에는 0.40 < LP-OAH/LF-RL≤0.44를 만족하였지만, 본 발명은 0.27 < LP-OAH/LF-RL≤0.39를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0.39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미비한 수준이며, 0.27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 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될 뿐 아니라 편향각의 변화로 인하여 음극선관의 주요 부품인 전자총과 편향요크의 재 설계 뿐아니라 편향전력의 소모가 23%가량 늘어나게 됨으로 인하여 세계적인 추세인 환경 친화적 제품에 역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0.31 < LP-OAH/LF-RL≤ 0.37의 비율이 좋으며 ,이러한 비율은 기존의 편향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향각 증대에 따른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내장 기구물의 높이 조절로 패널 경량화 및 파손량 절감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1.98 < USD/2 * LF-TOR≤ 2.00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은 1.72 < USD/2 * LF-TOR≤ 1.91을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1.91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미비한 수준이며 , 1.72 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 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된다. 특히, 패널의 경량화에 따른 장점을 살리면서 최소한의 설계변경 대응이 가능한 범위를 택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79 < USD/2 * /LF-TOR≤ 1.86이 더 좋다.
또한, 종래에는 1.27 < USD/2 * LF-RL≤ 1.28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1.16 < USD/2 * LF-RL≤1.25를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1.25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미비한 수준이며, 1.16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 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될 뿐 아니라 편향각의 변화로 인하여 음극선관의 주요 부품인 총과 편향요크의 재 설계 뿐아니라 편향전력의 소모가 23%가량 늘어나게 됨으로 인하여 세계적인 추세인 환경친화적 제품에 역행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19 < USD/2 * LF-RL≤1.23의 비율이 좋으며 이러한 비율은 기존의 편향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향각 증대에 따른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내장기구물의 높이 조절로 패널 경량화 및 파손량 절감의 장점을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는 평면 음극선관에 있어서, 대각유효화면에 따른, 관축에 수직인 펜넬-네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NSL)와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P-OAH)의 관계 값들이 아래 표6에 나타나 있으며, 이들에 대해 그래프로 표시하면 도5와 같다.
USD/2LP-OAH/LF-NSL 17"(205㎜) 19"(230㎜) 21"(251㎜) 25"(295㎜) 29"(333㎜)
종래 0.315 0.353 0.367 0.451 0.527
본발명 최소값 0.224 0.247 0.265 0.301 0.344
바람직 최소값 0.247 0.273 0.304 0.350 0.402
바람직 최대값 0.283 0.312 0.345 0.402 0.458
본발명 최대값 0.289 0.323 0.351 0.409 0.471
도 5에서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 것은 실제 측정값을 나타낸 것이고, 굵은 실선으로 이들을 선형화하면 종래의 평면 음극선관은 y=0.0016x - 0.0222의 값을 나타내고,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평면 음극선관은 0.0009x + 0.0413보다 크고 0.0014x + 0.0075 이하로 설계된다. 만일, 0.0014x + 0.0075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12mm이하의 미비한 수준이며, 0.0009x + 0.0413 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된다. 특히, 따라서 패널의 경량화에 따른 장점을 살리면서 최소한의 설계변경 대응이 가능한 범위를 택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0.0012x + 0.0007 < LP-OAH/LF-NSL≤ 0.0013x + 0.0075이
더 좋다.
표 7에는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는, 즉 16:9 화면비를 갖는 와이드 28인치∼32인치 음극선관에 대해, 관축에 수직인 펜넬-네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NSL)와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P-OAH)의 관계(LP-OAH/LF-NSL)값들이 아래 표7에 나타나 있다.
USD/2LP-OAH/LF-NSL 28"(330㎜) 19"(378㎜)
종래 0.467 0.438
본발명 최소값 0.298 0.276
바람직 최소값 0.352 0.326
바람직 최대값 0.410 0.380
본발명 최대값 0.423 0.390
상기 표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0.44 < LP-OAH/LF-NSL≤0.47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본 발명은 0.27 < LP-OAH/LF-NSL≤ 0.43을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만일, 0.43 보다 클 때는 상기 발명이 추구하는 패널의 경량화가 패널의
스커트길이 단축이 12mm이하의 미비한 수준이며, 0.27이하 일 때는 패널의
전고가 내장기구물 즉 프레임, 마스크의 축소설계에 한계점에 이르게 될 뿐 아니라 편향각의 변화로 인하여 음극선관의 주요 부품인 총과 디와이의 재 설계 뿐아니라 편향전력의 소모가 23%가량 늘어나게 됨으로 인하여 세계적인 추세인 환경친화적제품에 역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0.32 < LP-OAH/LF-NSL≤0.41 의 비율이 좋으며 이러한 비율은 기존의 편향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향각 증대에 따른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내장기구물의 높이 조절로 패널 경량화 및 파손량 절감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즉 패널의 전고 높이를 10∼20mm가량 단축하면서도 편향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의 곡률반경이 30,000㎜ 이상인 외면, 일정 곡률을 갖는 내면, 및 상기 내·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스커트부에 결합하는 펀넬을 포함하는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외면 센터에서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P-OAH)를 축소시켜 동일 사이즈 관종 대비 유효면 사이즈는 동일하면서 패널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하여 내장부품의 무게 감소 효과로 전체적으로 음극선관의 무게를 경량화함과 동시에,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TOR),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RL),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NSL) 중 어느 하나를 증가시켜 보상하면 편향요크, 전자총, 새도우마스크 등을 크게 변경하지 않아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펀넬 측을 늘려 보상함에 따라 펀넬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기는 하나, 예를 들면 29"FCD의 경우 펀넬이 약 7.6Kg, 패널이 약 23.9Kg인 점을 감안할 때 그 양은 매우 적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크게 경량화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패널의 CFT 및 스커트 길이 축소로 기존 평면관에 비해 10 ∼ 15%정도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고, 둘째, 유리 제조 업체의 생산성 향상 (20만 이상/年)을 유도하고 무게감소로 인한 원재료의 사용 감소로 단가가 15 ∼ 20%정도의 인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셋째 패널 두께 및 길이 감소로 인하여 로 내에서 열전도도가 향상이 되어 파손에 대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8)

  1.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및 편향요크를 장착하는 요크부를 갖고 상기 패널의 스커트와 결합하는 펀넬을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상기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는 50.8㎝ 보다 크며;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4 < LP-OAH/LF-TOR≤0.65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9 < LP-OAH/LF-TOR≤0.6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상기 외면 센터 높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식, 0.35 < LP-OAH/LF-RL≤0.5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상기 외면 센터 높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0 < LP-OAH/LF-RL≤0.5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5. 제1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94 < USD/2 * LF-TOR≤2.2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6. 제1항에 있어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2.02 < USD/2 * LF-TOR≤2.17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7. 제1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57 < USD/2 * LF-RL≤1.79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8. 제1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62 < USD/2 * LF-RL≤1.76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9.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스커트 실에지부와 결합하는 펀넬을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35 < LP-OAH/LF-TOR≤0.57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10. 제9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2< LP-OAH/LF-TOR≤0.5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11. 제9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상기 외면 센터 높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32 < LP-OAH/LF-RL≤0.48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12. 제9항에 있어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상기 외면 센터 높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38 < LP-OAH/LF-RL≤0.46 을 만족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13. 제9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65 < USD/2 * LF-TOR≤1.98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14. 제9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73 < USD/2 * LF-TOR≤1.95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15. 제9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49 < USD/2*LF-RL≤1.68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16. 제9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56 < USD/2*LF-RL≤1.66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17.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및 편향요크를 장착하는 요크부를 갖고 상기 패널의 스커트 실에지부와 결합하는 펀넬을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상기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는 50.8㎝ 이하이며;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0 < LP-OAH/LF-TOR≤0.6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18. 제17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46 < LP-OAH/LF-TOR≤0.56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19. 제17항에 있어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상기 외면 센터 높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27 < LP-OAH/LF-RL≤ 0.39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20. 제17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상기 외면 센터 높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라 할 때, 다음 식, 0.31 < LP-OAH/LF-RL≤ 0.37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21. 제17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72 < USD/2*LF-TOR≤ 1.9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22. 제17항에 있어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패널측 끝단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TOR,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79 < USD/2*LF-TOR≤ 1.86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23. 제17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식, 1.16 < USD/2*LF-RL≤1.25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24. 제17항에 있어서 ,
    관축에 수직인 상기 요크부의 편향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 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F-RL,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를 USD라 할 때, 다음 식, 1.19 < USD/2 * LF-RL≤1.2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25.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부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및 편향요크를 장착하는 요크부를 갖고 상기 패널의 스커트부와 결합하는 펀넬을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관축에 수직인 펜넬-네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NSL), 상기 외면 센터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의 1/2을 x(단위: mm)라 할 때, 상기 LP-OAH/ LF-NSL의 값이 0.0009x + 0.0413 이상이고 0.0014x + 0.00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LP-OAH/ LF-NSL의 값이 0.0012x + 0.007 이상이고 0.0013x + 0.00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27.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고 , 및 상기 내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를 구비한 장방형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스커트 실에지부와 결합하는 펀넬을 포함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유효화면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직선의 길이를 M, N이라 할 때,을 만족하고,
    관축에 수직인 펜넬-네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평면에서 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LF-NSL), 상기 외면 센터에서관축에 수직인 상기 패널-펀넬 결합부를 지나는 연장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LP-OAH, 패널의 대각유효화면 사이즈(USD)의 1/2을 x(단위: mm)라 할 때, 다음 식, 0.27 < LP-OAH/ LF-NSL≤0.4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28. 제27항에 있어서 , 0.32 < LP-OAH/LF-NSL< 0.4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20010016974A 2001-03-30 2001-03-30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KR20020076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974A KR20020076830A (ko) 2001-03-30 2001-03-30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974A KR20020076830A (ko) 2001-03-30 2001-03-30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830A true KR20020076830A (ko) 2002-10-11

Family

ID=2769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974A KR20020076830A (ko) 2001-03-30 2001-03-30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683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571B1 (ko) * 2002-03-07 2004-04-14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펀넬구조
KR100447649B1 (ko) * 2002-07-15 2004-09-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 음극선관
US6885143B2 (en) * 2002-09-13 2005-04-26 Lg. 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Cathode ray tube with offset deflection center
US7005792B2 (en) * 2003-02-19 2006-02-28 Lg 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Color cathode ray tube
US7109647B2 (en) * 2003-09-25 2006-09-19 Lg.Philips Display Korea Co., Ltd. Lightweight flat screen color cathode ray tub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571B1 (ko) * 2002-03-07 2004-04-14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펀넬구조
KR100447649B1 (ko) * 2002-07-15 2004-09-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 음극선관
US6885143B2 (en) * 2002-09-13 2005-04-26 Lg. 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Cathode ray tube with offset deflection center
KR100489604B1 (ko) * 2002-09-13 2005-05-17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면 칼라 음극선관
US7005792B2 (en) * 2003-02-19 2006-02-28 Lg 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Color cathode ray tube
US7109647B2 (en) * 2003-09-25 2006-09-19 Lg.Philips Display Korea Co., Ltd. Lightweight flat screen color cathode ray tub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574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20020076830A (ko)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KR100389542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39261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용 경량화 패널
KR100426575B1 (ko) 음극선관용 패널 구조
US7154215B2 (en) Color cathode ray tube capable of reducing stress
KR100308043B1 (ko) 칼라 브라운관용 패널의 내면곡률 산출방법
KR100404575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US20050073237A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489613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869793B1 (ko) 평면 음극선관
KR10040457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20030089030A (ko) 음극선관의 펀넬 구조
KR100692045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389541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60779B1 (ko) 평면형 음극선관
KR100489612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712905B1 (ko) 음극선관
KR100585533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588863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89606B1 (ko) 음극선관
KR100404576B1 (ko) 개선된 마스크 지지체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
KR100588862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US7355331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US20020109453A1 (en) Flat-type C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