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339B1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339B1
KR100470339B1 KR10-2002-0041031A KR20020041031A KR100470339B1 KR 100470339 B1 KR100470339 B1 KR 100470339B1 KR 20020041031 A KR20020041031 A KR 20020041031A KR 100470339 B1 KR100470339 B1 KR 10047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ray
ray tube
panel
reinforcing band
color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6689A (ko
Inventor
백재승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33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7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limiting effects of implosion of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7Means for avoiding vessel implosion
    • H01J2229/875Means substantially covering the output face, e.g. resin layers, protective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9Optical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924Optical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vessel having particular properties for protecting the vessel, e.g. against abrasion, water or shock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극선관의 경량화 및 슬림화에 따라 취약해진 구조강도를 효과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보강밴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보강밴드를 음극선관 스커트부에 체결함에 있어서, 패널 표면(Face 면)과 IBR 사이의 거리(H)와 패널 표면(Face 면)과 보강밴드 앞단까지의 거리(h)를; 0.38 < h/H < 0.62, 또는 회복률(=회복량/꺼짐량 ×100 %)이 0% 내지 60%의 범위, 또는 12mm < h < 20mm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최적화함으로써, 슬림화된 고 편향각의 음극선관 구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의 보강밴드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평면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극선관의 경량화 및 슬림화에 따라 취약해진 구조강도를 효과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보강밴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구조를 보여준다. 칼라 음극선관은 콘 형상의 진공관 전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구비되고 이 것과 대향하는 목 부분에 전자총과편향장치를 구비하여, 전자총에서 출력된 전자빔을 편향시켜서 전자빔이 형광체 스크린을 타격함으로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패널(Panel)(1)과 펀넬(Funnel)(2)이 밀봉 결합되어 그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며 하나의 진공관(tube)을 이룬다.
상기 패널의 내면에는 적(R), 녹(G), 청(B) 3가지 색의 형광면(3)이 형성되고 이 형광면(3)에 대향하는 펀넬의 목 부분에 적, 녹, 청 3개의 전자빔을 방사시키기 위한 전자총(4)이 설치된다. 상기 형광면(3)과 전자총(4) 사이에는 형광면에 근접하여 색 선별 작용을 하는 섀도우 마스크(5)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자계에 의한 전자빔의 이동을 줄여주기 위해 자성체로 만들어진 인너쉴드가 구비되어 브라운관 후방에서의 지자계의 영향을 줄이고 있다. 한편, 상기 펀넬의 목 부분에는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6)의 편향을 위한 편향요크(7)가 설치된다. 또한, 내부의 고진공 상태(10-7Torr ~ 10-8Torr)에 따른 전면 글라스의 강화를 위하여 보강밴드(8)가 설치된다.
즉, 평면 칼라 음극선관의 경우 그 내부가 고진공 상태로 되어 있고 패널이 평면상이므로 패널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이 받는 압력차가 외면이 곡률을 갖는 음극선관에 비하여 매우 크기 때문에 그 압력차를 견디고 외부 충격에 의한 음극선관의 폭발 위험성 등을 제거하는 등, 방폭 안전 특성 향상을 위하여 보강밴드를 체결한다.
도1에서 부호 2a는 펀넬 바디부(Funnel Body), 2b는 펀넬 요크부(Funnel Yoke), 8a는 보강밴드 러그(Lug), 9는 네크 실부(Neck Seal), 10은 패널과 펀넬의 실부(Seal), Z는 관축, α는 편향각(= ×2α), 11은 유효면 끝단을 각각 표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칼라 음극선관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전자총(4)에서 출력된 전자빔(6)은 편향요크(7)에 의해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적당하게 편향되고, 편향된 전자빔(6)은 섀도우 마스크(5)의 빔 통과공을 통과하여 전면의 형광면(3)을 타격함으로써 소정의 칼라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칼라 음극선관의 제작 공정은 전공정과 후공정으로 나뉘며, 전공정은 패널(1)의 내면에 형광물질을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시키는 도포 공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후공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고 섀도우 마스크 어셈블리가 내장된 패널(1)과 실면에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가 도포된 펀넬(2)을 고온의 로에서 접합한다(프리트 실링 공정). 이후 봉지공정에서 펀넬(5)의 네크 내면에 전자총(4)을 삽입하고 배기공정을 통해서 튜브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봉입한다. 배기공정 이후 음극선관 전체에 걸리는 고응력을 분산시키고 캐비닛에 글라스 본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보강밴드(8)를 패널(1)의 측면 스커트부에 장착시킨다.
이와 같이 음극선관은 유리로 만들어진 고진공 튜브의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제작 완료된 상태의 음극선관은 대기압에 의해서 음극선관의 내부를 향하는 압축력을 강하게 받게된다. 따라서, 음극선관의 주변 가장자리 부분은 각종 진공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특히 음극선관 코너 부분이 구조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진공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음극선관이 파괴되어 유리 파편이 비산되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폭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보강해야 하고, 그 보강수단으로 앞서 설명한 보강밴드(8)를 체결하는 것이다.
한편, 평면 디스플레이 소자의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설치 공간의 확보 및 경량화를 위한 디스플레이 소자의 슬림화가 필수적인데, 음극선관의 경우는 기존의 LCD나 PDP등과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소자에 비하여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커서 설치시 여유 공간의 확보가 부족하므로 음극선관을 슬림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음극선관의 슬림화는 내부가 진공으로 되어 있고 그 외곽 용기가 글라스로 되어 있는 현재의 구조에서는 원천적으로 구조적 취약점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슬림화된 음극선관의 구조강도 보완을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재의 밴드를 이용해서 취약부분에 대한 보강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2는 진공 배기시의 음극선관이 받는 압력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과 펀넬(2)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의 내부가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그 외부의 대기압이 패널(1) 외주면 전부에 걸쳐서 가해지게 되고, 특히 구조적으로 볼 때 패널(1)의 중앙부분에 대기압이 강하게 집중되는 분포를 이루기 때문에 이 부분이 점선으로 표현한 것처럼 압축을 받아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이에 따라 음극선관의 코너 부분(패널 스커트 부분)은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르게 된다. 즉, 음극선관은 표면적이 넓은 패널 표면(Face 면)은 내부로 "A"만큼 꺼지게 되고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패널 스커트부는 외부로 부풀어 오르면서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량이 클수록 음극선관 재료인 글라스는 재료 내부의 인장응력이 증가하게 되어 구조적으로 강도가 약화되고 폭발, 파괴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위량은 음극선관이 슬림화 될수록 더욱 커지게 된다. 예를 들어 17" 음극선관의 경우 기존의 90도 편향각일 때의 변위량이 94.3㎛인데 비해서 120도 편향의 슬림화된 음극선관의 경우는 상기 변위량이 232.9㎛로 약 2.5배 정도 더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음극선관의 변위량(A)이 커지게 되면 글라스 내부의 인장응력을 증가시켜서 작은 온도변화 및 충격에도 음극선관의 파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밴드를 체결하여 취약 부위를 보강해 주게 된다. 도3은 보강밴드(8)를 체결한 경우의 음극선관을 보여주고 있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밴드(8)를 음극선관의 스커트부분에 체결하게 되면 패널 스커트부의 변형량은 금속재인 보강밴드(8)에 의해서 줄어들게 되고, 이러한 밴드 압력은 패널 표면(Face 면)을 외부로 "B"만큼 부풀어 올려서 기존이 진공 배기 전의 위치로 회복시켜 주게 된다. 즉, 진공배기된 음극선관에 보강밴드(8)를 체결함으로써 음극선관 스커트부에 압력을 가하여 패널 표면이 다시 부풀어 오르게 한 것이며, 이러한 현상을 '회복'이라고 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경우는 꺼짐량(A)과 회복량(B)이 동일한 경우가 될 것이며, 이 것은 음극선관이 구조적인 평형 상태에 놓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음극선관의 구조강도의 평형성은 "회복률"로 표현할 수 있다.
즉, 회복률 = (B/A) ×100%. 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 회복률은 결국 진공배기에 의한 꺼짐량으로 밴딩에 의한 회복량을 나눈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회복률 100%는 진공배기에 의해서 꺼진 패널 표면(Face)를 밴딩에 의해서 진공배기 전의 원 위치로 돌려놓은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음극선관의 구조강도 보완을 위하여 밴드를 체결할 때 패널 표면쪽으로 밴드가 가깝게 체결될수록 효과적인 구조강도의 보완이 이루어질 수는 있었으나, 슬림화된 음극선관의 경우에는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보강밴드를 체결할 경우 오히려 구조강도를 더욱 취약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90도 편향각의 17" 음극선관에서 보강밴드를 체결하게 되면 패널 표면의 꺼짐량(A)이 91.9㎛가 되고, 120도 편향각의 17" 음극선관에서 보강밴드의 체결위치를 90도 편향각일 경우와 동일하게 하면 패널 표면의 꺼짐량(A)이 284.1㎛가 된다.
즉, 90도 편향의 17" 음극선관에 있어서의 회복률은 3%이나, 120도 편향의 17" 음극선관에 있어서의 회복률은 -22%가 된다. 이와 같이 회복률이 마이너스(-)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보강밴드를 음극선관에 체결하면 오히려 패널의 표면을 더욱 꺼지게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곧 90도 편향 음극선관의 보강밴드 체결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120도 편향 음극선관의 보강밴드를 체결할 경우 오히려 그 구조적 강도를 약화시키는 악영향으로 나타남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4는 120도 편향의 슬림화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보강밴드(8)의 체결 위치를 기존의 90도 편향의 음극선관과 동일하게 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4에서 패널표면(Face 면)의 내면의 곡면부와 패널 스커트 내면은 일정한 원에 접하여 연결되는데 이러한 원의 반경을 IBR(In Brend Radius)로 표현하며, "H"는 패널 표면에서 IBR의 원점까지의 거리를 표현하고, "h"는 패널 표면에서 보강밴드(8)의 앞단까지의 거리를 표현한다. 도4와 같이 90도 편향 음극선관의 보강밴드와 같은 위치에 120도 편향의 슬림화된 음극선관의 보강밴드를 체결하면 회복률이 오히려 마이너스(-)값으로 나타나서 구조강도를 더욱 취약하게 만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림화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방폭특성 향상을 위한 보강밴드 체결시에 보강밴드의 체결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음극선관의 구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의 보강밴드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보강밴드를 음극선관 스커트부에 체결함에 있어서, 패널 표면(Face 면)과 IBR(패널 표면과 패널 스커트가 만나는 지점에 접하는 원의 반경) 중심 사이의 거리와 패널 표면(Face 면)과 보강밴드 앞단 까지의 거리를 최적화함으로써, 슬림화된 고 편향각의 음극선관 구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의 보강밴드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평면 칼라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진공 배기 시의 음극선관이 받는 압력과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보강밴드 체결 시 음극선관이 받는 압력과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종래의 보강밴드 체결 시 음극선관이 받는 압력과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보강밴드 체결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서 보강밴드 체결위치에 따른 패널 표면의 변위량, 회복률, 글라스의 인장응력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보강밴드 체결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밴드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의 보강밴드 체결 위치는, 패널(1)의 표면과 IBR(패널 표면과 패널 스커트가 만나는 지점에 접하는 원의 반경) 중심 사이의 거리(H), 패널(1)의 표면과 보강밴드(8) 앞단까지의 거리(h)에 대하여, 0.38 < h/H < 0.6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보강밴드 장착에 따른 회복률이 0% 내지 6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서 패널(1)의 표면과 보강밴드(8) 앞단까지의 거리(h)는 12mm < h < 20mm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내면이 일정한 곡률을 가진 패널과, R,G,B 3색의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음극이 수직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면에 충돌하여 색을 재현하는 스크린 및 색선별 역할을 하는 섀도우 마스크를 포함하고 전자빔의 편향각이 110도 이상인 상하 주사형 음극선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0도 편향각의 슬림화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보강밴드의 체결위치를 나타내는 "h"값을 도4의 경우처럼 작게 하는 것 보다 크게 할 때 패널 표면의 꺼짐량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것은 곧 "h"값이 클수록 회복량 "B"가 커지게 되고 또한 회복률도 커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의 표1은 슬림화된 120도 편향의 17" 음극선관에 있어서 보강밴드(8)의 체결위치를 가변시킨 결과에 따른, 패널 표면의 변위량과 회복률 및 글라스의 인장응력을 나타낸 것이며, 도6은 표1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H 31.48 31.48 31.48 31.48 31.48
h 7 12 17 22 27
h/H 0.22 0.38 0.54 0.70 0.86
진공변위량 232.9 232.9 232.9 232.9 232.9
밴드변위량 284.1 237 134.9 56.3 26.8
응력(kg/cm2) 59.2 51.5 62.8 98.5 111.9
회복률 -22% -2% 42% 76% 88%
상기 표1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h/H"의 값이 커질수록 패널 표면의 변위량은 줄어들고 회복률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H"값은 패널이 표면 중심의 두께와 패널의 내면 곡률에 따라서 결정되며, 이러한 "H"값과 밴드의 체결 위치인 "h"값은 음극선관에 가하는 밴드의 압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h/H"의 값에 따라 음극선관의 회복률은 달라지게 되고, 음극선관의 구조적 평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표1 및 도6에서, 회복률이 마이너스(-)값을 가지는 경우는 보강밴드(8)의 체결에 의해서 회복량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보강밴드(8)를 체결하면 오히려 패널의 변위량이 더욱 커져서 음극선관이 구조적으로 더욱 취약해 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h/H"의 값을 선택함에 있어 그 회복량이 마이너스(-)의 값을 가지는 하한선에 해당하는 0.38 보다 작은 값을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h/H"값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보강밴드(8)의 체결위치가 패널(1)의 표면과 너무 멀어지게 되므로 오히려 보강밴드(8)와 패널(1)의 표면 사이의 영역에서 인장응력이 증가하게 되고 패널(1)이 펀넬(2)과 접하는 실 에지(Seal Edge) 부분의 인장응력이 증가하게 되어 구조강도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h/H"의 값이 0.68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밴드 체결구조에서는 "h/H"값이 다음의 범위를만족하는 경우가 바람직할 것이다.
0.38 < h/H < 0.62.
특히 이러한 효과는 패널 표면의 중심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스크린 대각 유효면 길이가 21" 이하의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밴드 체결위치를 "h/H" 값으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실질적인 설계의 개념을 도입할 때 "h"값을 12mm < h < 20mm로 제한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h"값이 20mm를 넘어서면 패널 표면과 보강밴드(8)의 앞단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어져서 오히려 구조적인 강도 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h"를 20mm를 넘지 않도록 하고, "h"값이 12mm 보다 작아지게 되면 구조강도 보강의 효과가 떨어지므로 "h"값이 12mm보다 작은 값이 되지 않도록 선택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밴드 체결위치를 "h/H"값의 범위에서 선택할 때에,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회복률이 마이너스(-)값이 되는 경우는 회복량이 없는 것이므로, 회복량을 고려해서 0% 내지 60%의 범위 안에서 "h/H"값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복률이 0%인 경우는 더 이상 구조강도를 악화시키지 않는 하한선을 의미하며, 60%를 넘어서는 경우는 "h"값이 20mm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으므로 회복률이 60%를 넘어서지 않는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상하 주사방식의 음극선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하 주사방식의 음극선관은 전자총과 편향 요크, 섀도우 마스크가 90도 회전된 주사 방식의 음극선관으로서, 그 원리와 개념은 앞서 설명한도1의 음극선관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상하주사 방식의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는 전자총이 90도 회전되어 있기 때문에 편향 요크도 90도 회전된 형태를 취한다. 즉, 기존의 수평 편향 코일이 펀넬 콘부의 상,하측에 위치하고, 기존의 수직 편향 코일이 펀넬 콘부의 좌,우측에 위치해서 장착된다. 따라서,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상하주사 방식에서는 기존의 편향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즉, 기존의 수직 편향 코일)을 프레임 코일(상하주사 방식에서 수평 편향 코일)로 지칭하고, 기존의 편향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즉, 기존의 수평 편향 코일)을 라인 코일(상하주사 방식에서 수직 편향 코일)로 각각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주사 방식의 음극선관에서 보강밴드의 체결구조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1)의 표면과 IBR 사이의 거리(H), 패널(1)의 표면과 보강밴드(8) 앞단까지의 거리(h)에 대하여, 0.38 < h/H < 0.6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보강밴드 장착에 따른 회복률이 0% 내지 6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서 패널(1)의 표면과 보강밴드(8) 앞단까지의 거리(h)는 12mm < h < 20mm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은 120도 편향각을 갖는 음극선관에 대해서 표1 및 도6과 같이 보강밴드의 체결위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보강밴드 체결구조를 적용하는 음극선관은 110도 이상의 편향각을 갖는 칼라 음극선관에서 특히 유용하며, 110도 이상의 편향각을 갖는 슬림화된 칼라 음극선관에있어서 상기한 보강밴드 체결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 보강밴드 체결구조에 따르면, 슬림화된 고 편향각의 음극선관에 있어서 기존의 90도 편향 음극선관 보강밴드 체결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보강밴드를 체결할 때 발생하는 글라스의 구조강도 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고, 고 편향각의 슬림화된 음극선관에서 진공 압력차에 따른 음극선관 폭발이나 파괴의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방폭특성의 향상을 통하여 음극선관에 대한 안전성, 신뢰도 향상을 기할 수 있다.

Claims (6)

  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판넬 및, 상기 판넬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펀넬과, 상기 스크린 후방에 전자빔의 색선별을 위해서 설치되는 섀도우 마스크와, 상기 펀넬 후방에서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상기 스크린 상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편향 요크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패널의 표면과 IBR(패널 표면과 패널 스커트가 만나는 지점에 접하는 원의 반경) 중심 사이의 거리 H, 패널의 표면과 보강밴드 앞단까지의 거리 h에 대하여; 0.38 < h/H < 0.62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위치에 보강밴드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밴드 장착에 따른 회복률은, 0%<회복률<60%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밴드 체결시의 거리 h가 12mm < h < 20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판넬 및, 상기 판넬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펀넬과, 상기 스크린 후방에 전자빔의 색선별을 위해서 설치되는 섀도우 마스크와, 상기 펀넬 후방에서 전자빔을 방출하는 3개의 캐소드가 상기 스크린 장변과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상기 스크린 상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을 갖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상하주사 방식의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패널의 표면과 IBR(패널 표면과 패널 스커트가 만나는 지점에 접하는 원의 반경) 중심 사이의 거리 H, 패널의 표면과 보강밴드 앞단까지의 거리 h에 대하여; 0.38 < h/H < 0.62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위치에 보강밴드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밴드 장착에 따른 회복률은, 0%<회복률<60%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밴드 체결시의 거리 h가 12mm < h < 20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2002-0041031A 2002-07-13 2002-07-13 칼라 음극선관 KR10047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031A KR100470339B1 (ko) 2002-07-13 2002-07-13 칼라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031A KR100470339B1 (ko) 2002-07-13 2002-07-13 칼라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689A KR20040006689A (ko) 2004-01-24
KR100470339B1 true KR100470339B1 (ko) 2005-02-05

Family

ID=3731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031A KR100470339B1 (ko) 2002-07-13 2002-07-13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3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348A (ja) * 1984-02-21 1985-09-09 Sony Corp 陰極線管
JPH07153395A (ja) * 1993-11-29 1995-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ンド補強型ブラウン管及び環状金属帯枠
JP2000306528A (ja) * 1999-02-15 2000-11-02 Toshiba Corp 陰極線管
KR20000066330A (ko) * 1999-04-15 2000-11-15 구자홍 음극선관용 보강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348A (ja) * 1984-02-21 1985-09-09 Sony Corp 陰極線管
JPH07153395A (ja) * 1993-11-29 1995-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ンド補強型ブラウン管及び環状金属帯枠
JP2000306528A (ja) * 1999-02-15 2000-11-02 Toshiba Corp 陰極線管
KR20000066330A (ko) * 1999-04-15 2000-11-15 구자홍 음극선관용 보강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689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0668B1 (en) Cathode ray tube
KR100470339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26571B1 (ko) 음극선관용 펀넬구조
KR100605761B1 (ko) 음극선관
KR100382855B1 (ko) 음극선관
US6794808B2 (en) Funnel for cathode ray tube
KR100510622B1 (ko) 음극선관의 글라스 구조
US7291964B2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295793B1 (ko) 음극선관용 보강밴드
KR100494748B1 (ko) 음극선관의 글라스 구조
KR100498279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04575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692043B1 (ko) 음극선관
US20030011295A1 (en) Tension band with tension adjusting features
US20020109453A1 (en) Flat-type CRT
KR100301665B1 (ko) 평면브라운관용밴드
US7501748B2 (en) CRT funnel section
KR100493513B1 (ko) 평면 음극선관
KR20030023821A (ko) 음극선관용 펀넬 구조
KR100460779B1 (ko) 평면형 음극선관
KR10050246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20030087849A (ko) 음극선관
JPH0945264A (ja) 陰極線管
JP2002324498A (ja) 陰極線管装置
KR20020031761A (ko) 평면브라운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