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907B1 - 컬러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907B1
KR100392907B1 KR10-2001-0022325A KR20010022325A KR100392907B1 KR 100392907 B1 KR100392907 B1 KR 100392907B1 KR 20010022325 A KR20010022325 A KR 20010022325A KR 100392907 B1 KR100392907 B1 KR 100392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mask frame
electron
magnetic field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870A (ko
Inventor
시마다고지
와카소노히로미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4Traps for removing or diverting unwanted particles, e.g. negative ions, fringing electrons; Arrangements for velocity or mass se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프레임(31)에 섀도우 마스크(1)와 내부 자기 실드(2)가 유지되고, 마스크 프레임(31)에 일렉트론 실드부(33)가 설치된 컬러 음극선관에 있어서,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적어도 일부의 비이력 투자율을 섀도우 마스크(1), 마스크 프레임(31) 및 내부 자기 실드(2)의 각 비이력 투자율보다 작게 하는 것이다.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자기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렉트론 실드부(33)의 관축측 단부로부터의 누설 자계를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지자기에 의한 미스랜딩이 감소하여 색 얼룩이 없는 컬러 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컬러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질, 특히 색균일성을 향상하기 위해 마스크 프레임의 구조에 특징을 갖는 컬러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컬러 음극선관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14)이 형성된 전면 패널과 펀넬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벌브(13)의 네크부 내에 전자총(81)이 설치되고, 형광체 스크린(14)에는 마스크 프레임(31)에 장력을 부여한 섀도우 마스크(1)가 대치되어 있다. 마스크 프레임(31)은 단면이 대략 L자형이고, 섀도우 마스크(1)에 장력을 부여하며, 글래스 벌브(13)에 고정되는 부분과, 섀도우 마스크(1)와 거의 평행하게 글래스 벌브(13)의 관축(중심축)측으로 빠져 나오는 내측 장출부(32)로 이루어진다. 내측 장출부(32)에는 내부 자기 실드(2)가 고정된다.
전자총(81)으로부터의 R(적), G(녹) 및 B(청)의 삼색에 대응하는 전자 빔(5)이 전면 패널 직전의 섀도우 마스크(1)를 통과하여, 그 때의 입사각에 의해서 전면 패널에 반사 충돌하는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패널 내면을 각각의 반사 충돌 위치에 따라서 R, G 및 B의 형광체로 구분하여 칠함으로써, 기하학적으로 색선별을 행하여 형광체 스크린(14) 상에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의 컬러 음극선관에서는 형광체 스크린 상의 화면 전역에 화상을 그리도록 오버 스캔 방식에 의해 화상을 재생하고 있다. 그 오버 스캔량은 형광체 스크린에 대해서 수평, 수직 방향으로 각각 105∼110〔%〕정도이다. 이와 같이 오버 스캔 방식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을 주사하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 스캔한 전자 빔(5)의 일부가 섀도우 마스크(1)를 유지하는 마스크 프레임(31) 등에 충돌하고, 그 반사 빔이 형광체 스크린(14)에 입사하여 소정 이외의 형광체층을 발광시켜서, 화상의 색순도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켜서, 화질을 열화시킨다.
그 때문에, 종래로부터 이 반사 빔에 의한 화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31)의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에 일렉트론 실드부(33)를 형성한다든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자기 실드(2)와 마스크 프레임(31)의 내측 장출부(32)의 사이에 마스크 프레임(31)으로부터 관축측으로 돌출하도록 일렉트론 실드부(33)를 장착한다든지 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종래 일렉트론 실드부(33)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800〔A/m〕(10〔Oe〕)정도의 지자기가 존재하는 중에 음극선관을 설치한 경우,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선단부로부터의 누설 자계의 영향으로 전자 빔 궤도가 편향되어 소망하는 위치의 형광체층을 반사 충돌하지 않는 현상(미스랜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자기에 의한 미스랜딩을 방지하여 색얼룩이 없는 컬러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은 마스크 프레임과, 상기 마스크 프레임에 고정된 섀도우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프레임에 유지된 내부 자기 실드와, 상기 마스크 프레임에 설치된 일렉트론 실드부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에 있어서, 인가자계가 800〔A/m〕(10〔Oe〕)에서의 상기 일렉트론 실드부의 적어도 일부의 비이력(非履歷) 투자율이 상기 섀도우 마스크, 상기 마스크 프레임 및 상기 내부 자기 실드의 각 비이력 투자율에 비해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일렉트론 실드부의 자기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렉트론 실드부의 선단부로 흐르는 자속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일렉트론 실드부의 선단부로부터의 누설 자계를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지자기에 의한 미스 랜딩을 감소시켜서 색얼룩이 없는 컬러 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일렉트론 실드부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전자 빔 부근의 선단부를 연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일렉트론 실드부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과는 다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전자 빔 부근의 선단부로부터 또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일렉트론 실드부는 그 일부에 그 이외의 부분에 비해서,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이 작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 자기 실드로부터 마스크 프레임을 지나서 일렉트론실드부의 선단부로 흐르는 자속을 정류(整流)할 수 있고, 일렉트론 실드부의 선단부로부터의 누설 자계를 감소할 수 있다.
또, 상기 마스크 프레임은 단면이 L자형인 L자형 부재와, 상기 L자형 부재와 조합되는 보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재는 그 일부에 그 이외의 부분에 비해서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이 작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 자기 실드로부터 마스크 프레임의 보강부재로 흐르는 자속을 정류할 수 있고, 마스크 프레임의 보강부재로부터의 누설 자계를 감소할 수 있다.
또, 전자 빔을 형광체 스크린에 대해서 100〔%〕 스캔하였을 때에, 상기 일렉트론 실드부와 상기 전자 빔의 궤도 사이의 최소 거리가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자 빔이 누설 자계가 작은 영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미스랜딩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컬러 음극선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일렉트론 실드부에서의 자계의 작용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일렉트론 실드부에서의 자계의 작용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컬러 음극선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일렉트론 실드부에서의 자속의 모양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일렉트론 실드부에서의 자속의 모양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일렉트론 실드부에서의 자속의 모양을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컬러 음극선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마스크 프레임의 내측 장출부(張出部)에서의 자속의 모양을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내측 장출부에서의 자속의 모양을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컬러 음극선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보강부재 근방에서의 자계의 작용을 도시한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보강부재 근방에서의 자계의 작용을 도시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컬러 음극선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5는 일렉트론 실드부 근방을 통과하는 전자 빔에 대한 일렉트론 실드부로부터의 누설 자계의 작용을 도시한 개념도,
도 16은 일렉트론 실드부로부터 떨어진 영역을 통과하는 전자 빔에 대한 일렉트론 실드부로부터의 누설 자계의 작용을 도시한 개념도,
도 17은 컬러 음극선관(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8은 오버 스캔한 전자 빔의 궤도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9는 종래의 컬러 음극선관의 일렉트론 실드부 근방을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0은 종래의 일렉트론 실드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섀도우 마스크 2 : 내부 자기 실드
5 : 전자 빔 8 : 일렉트론 실드부의 일부(공극)
9 : 일렉트론 실드부의 일부(공극) 10 : 보강부재의 일부
14 : 형광체 스크린 31 : 마스크 프레임
32 : 내측 장출부 33 : 일렉트론 실드부
34 : 보강부재 62, 63 : 누설 자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은 마스크 프레임 근방의 구조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음극선관의 기본 구조는 도 17에 나타내는 종래의 음극선관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전체의 설명은 생략하고, 마스크 프레임 근방의 주요 부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의 단면 중, 마스크 프레임(31)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마스크 프레임(31)은 단면이 대략 L자형이고, 섀도우 마스크(1)에 장력을 부여하며, 글래스 벌브(13)에 고정(고정기구는 도시하지 않음)되는 부분과, 섀도우 마스크(1)와 거의 평행하게 글래스 벌브(13)의 관축(중심축)측으로 빠져 나오는 내측 장출부(32)로 이루어진다. 마스크 프레임(31)에는 내부 자기 실드(2)가 고정된다(내측 장출부(32)에 설치되는 고정기구는 도시하지 않음).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에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내측 장출부(32)를 연장하도록 내측 장출부(32)와 거의 동일 두께의 띠형상의 일렉트론 실드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인가 자계가 800〔A/m〕(10〔Oe〕)(지자기에 상당)에서의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전부 또는 일부의 비이력 투자율이 섀도우 마스크(1), 마스크 프레임(31) 및 내부 자기 실드(2)에 비해서 작은 것이 본 실시형태의 특징이다.
여기에서, 「비이력 투자율」이라는 것은 비이력 자화 모델에 의해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키시고, 교류 감쇠 자계가 0이 되었을 때의 히스테리시스 상의 수렴점의 자속 밀도(B)와 직류 자계(H)로 정의할 수 있는 실효적인 비투자율을 말하고,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μμ=(1/μ0)×(B/H)
여기에서 μ0은 진공중의 투자율이다. 비이력 투자율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전자 정보 통신 학회 논문지 C-Ⅱ Vol. J79-C-Ⅱ No. 6 pp. 311-319(1996년 6월)에기술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마스크 프레임(31)에서의 자계의 작용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예를 나타내고,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에 내측 장출부(32)와 일체의 일렉트론 실드부를 갖지만, 그 비이력 투자율은 내측 장출부(32)와 동일하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한 것이다. 각각 마스크 프레임(31)의 내측 장출부(32)에 설치된 일렉트론 실드부로부터의 누설 자계의 모양을 화살표 61, 62로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의 굵기는 누설 자계의 대소에 대응하고 있다.
도 2의 종래예에서는 내부 자기 실드(2)를 거쳐서 마스크 프레임(31)으로 흘러 들어간 자속이 내측 장출부(32)로부터 섀도우 마스크(1)를 향하여 진공중으로 누설된다(누설 자계(61)).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서는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에 설치된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적어도 일부의 비이력 투자율이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 섀도우 마스크(1), 마스크 프레임(31) 및 내부 자기 실드(2)의 비이력 투자율에 비해서 작기 때문에, 일렉트론 실드부(33)와 섀도우 마스크(1) 사이의 자기 저항이 높아지고, 누설 자계(62)는 감소한다. 따라서 미스랜딩을 저감할 수 있다.
비이력 투자율이 다른 부재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용접, 나사고정, 클램핑 스프링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또 도 1에서는 내측 장출부(32)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갖고 일렉트론 실드부(33)가 고정되어 있지만, 적당한 각도를 갖게 함으로써, 일렉트론 실드부(33)에 충돌하여 반사하는 전자 빔의 궤도를 제한할 수 있고, 할레이션(halation)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이 내부 자기 실드(2)가 12000 정도(연철), 마스크 프레임(31)이 2200 정도(Fe-36Ni, Fe-42Ni 등), 섀도우 마스크(1)가 2000 정도(570∼640℃ 정도로 열처리한 Fe-36Ni 등), 일렉트론 실드부(33)가 1800 정도(철)인 재료를 이용하였다. 1800 정도의 비이력 투자율은 섀도우 마스크에 이용한 철재(Fe-36Ni)를 비교적 저온(450〔℃〕이하)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얻었다.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로부터의 일렉트론 실드부(33)가 둘출하여 길이를 20〔㎜〕로 한 결과, 내측 장출부(32)를 동일량만큼 연장시킨 도 2에 비해서 미스랜딩이 2〔㎛〕 이상 저감되었다.
또한,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재료로서는 상기 이외의 스테인레스 강(SUS)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의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은 1정도이다.
(실시형태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프레임(31)의 내측 장출부(32)의 전자총측의 면에 두께 0.1∼0.3〔㎜〕정도의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는 일렉트론 실드부(33)가 내측 장출부(32)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로부터 30〔㎜〕 정도 관축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재료는 내부 자기 실드(2)의 재료와 동일한 연철이다. 일렉트론 실드부(33)의 관축측의 선단부는 약간 전자총측으로 구부러져서 할레이션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은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전체에서 동일하지 않고, 그 일부(8)의 비이력 투자율이 그것 이외의 부분의 비이력 투자율에 비해서 작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부(8)에 특정한 재료의 부재를 설치하는 대신에,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일부(8)를 공극(정사각형의 구멍)으로 하고 있다.
도 5는 종래의 일렉트론 실드부(33)를, 또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일렉트론 실드부(33)를 각각 전자총측에서 본 경우의 자속의 모양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종래예에서는 일렉트론 실드부(33)는 공극을 갖지 않고, 비이력 투자율은 전체에서 동일하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것으로, 공극(8)을 갖는 것 이외에는 도 5와 동일 구성이다. 도 5, 도 6에서는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상측의 장변에서의 자속의 모양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종래예의 구성에서는 일렉트론 실드부(33)를 흐르는 자속이 일렉트론 실드부(33)로부터 섀도우 마스크(1)를 향하여 진공중에 누설된다. 도면 중에 화살표로 일렉트론 실드부(33) 내를 흐르는 자속과, 일렉트론 실드부(33)로부터의 자속 자계(61)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6의 본 발명에서는 내부 자기 실드(2)로부터 일렉트론 실드부(33) 선단으로 흐르는 자속(도면 중의 화살표)이 공극(8)에 의해 정류되고, 일렉트론 실드부(33)의 공극(8)보다도 관축측(내측)을 흐르는 자속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구성(도 5)에 비해서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선단부로부터의 누설 자계(62)를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미스랜딩을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40〔㎜〕의 일렉트론 실드부(33)의 내측단으로부터 5〔㎜〕의 위치에, 폭 2〔㎜〕, 길이 25〔㎜〕의 정사각형의 공극(8)을 설치한 결과, 스크린 상의 미스랜딩은 2〔㎛〕이상 저감되었다. 공극(8)의 비이력 투자율은 약 1이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코너부에 폭 2〔㎜〕의 L자형상의 공극(8)을 설치한 결과, 스크린 상의 코너부의 미스랜딩이 2〔㎛〕 이상 저감되었다.
또한, 공극(8)을 개구상태로 하지 않고, 공극(8)을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이 섀도우 마스크(1), 마스크 프레임(31) 및 내부 자기 실드(2)의 각 비이력 투자율보다도 작은 재료로 봉인해도 좋다. 그와 같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서 일렉트론 실드부(33)에 이용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비이력 투자율이 작은 부재 또는 공극은 누설 자계를 작게 하고 싶은 장소에, 적당한 크기의 것을 적당한 개수만큼 설치하면 좋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일렉트론 실드부(33) 내를 수평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을 나타내었지만, 이것 이외의 방향의 자속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는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실시형태 3)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에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내측 장출부(32)를 연장하도록 내측 장출부(32)와 거의 동일 두께의 띠형상의 일렉트론 실드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재료는 마스크 프레임(31)의 재료와 동일하게 Fe-36Ni나 Fe-42Ni 등이다. 일렉트론 실드부(33) 중 일부(9)의 비이력 투자율이 인가 자계가 800〔A/m〕(10〔Oe〕)(지자력에 상당)에서, 일렉트론 실드부(33)의 다른 영역의 비이력 투자율보다도 작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일부(9)에 다수개의 구멍을 설치하여 공극으로 하고 있다.
도 9는 종래의 내측 장출부(32) 및 일렉트론 실드부(33)를, 또,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내측 장출부(32) 및 일렉트론 실드부(33)를 각각 전자총측에서 본 경우의 자속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종래예에서는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전역에 걸쳐서 비이력 투자율은 동일하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한 것이고, 일렉트론 실드부(33)에 공극(9)을 갖는 것 이외에는 도 9와 동일 구성이다. 도 9, 도 10에서는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상측의 장변에 설치된 일렉트론 실드부(33) 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일렉트론 실드부(33)는 실제로는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에 전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9, 도 10에서는 상측의 장변에서의 자속의 모양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종래예의 구성에서는 내측 장출부(32)를 흐르는 자속이 일렉트론 실드부(33)로부터 섀도우 마스크(1)를 향하여 진공중으로 누설된다. 도 9 중에, 내측 장출부(32) 내 및 일렉트론 실드부(33) 내를 흐르는 자속과, 일렉트론 실드부(33)로부터의 누설 자계(61)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0의 본 발명에서는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장변측의 일부에 다수개의 공극(구멍)(9)을 설치하고,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공극(9)의 비이력 투자율을 그 이외의 부분에비해서 작게 함으로써, 내부 자기 실드(2)로부터 마스크 프레임(31)을 지나서 일렉트론 실드부(33) 선단으로 흐르는 자속이 비이력 투자율을 작게 한 부분(공극(9))에 의해서 정류되고, 비이력 투자율을 작게 한 부분보다 관축측으로 흐르는 자속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구성(도 9)에 비해서 일렉트론 실드부(33) 선단부로부터의 누설 자계(62)를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미스랜딩을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경 8〔㎜〕의 원형의 공극(9)을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장변의 중앙부 근방의 4개소에 설치한 결과, 스크린 상의 미스랜딩이 2〔㎛〕 이상 저감되었다.
공극(9)의 개수, 위치, 형상은 목적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하면 좋다.
또, 공극(9)을 개구 상태로 하지 않고, 공극(9)을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이 섀도우 마스크(1), 마스크 프레임(31) 및 내부 자기 실드(2)의 각 비이력 투자율보다도 작은 재료로 봉인해도 좋다. 그와 같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서 일렉트론 실드부(33)에 이용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에 일렉트론 실드부(33)를 설치하는 동시에, 마스크 프레임(31)의 단면이 삼각형이 되도록 판재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34)를 마스크 프레임(3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또는 일부로 조합하고 있다. 보강부재(34)는 관축측(일렉트론 실드(33)측)의 단부에 닿는 일부(10)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부(10)의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이 다른 영역의 비이력 투자율에 비해서 작다.
도 12 및 도 13은 도 2 및 도 3과 동일하게, 마스크 프레임(31)에서의 자계의 작용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2는 참고예이고, 실시형태 1(도 1)과 동일하게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에 일렉트론 실드부(33)를 갖지만, 보강부재(34)는 단일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한 것이고, 보강부재(34)를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 이외에는 도 12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면 중의 화살표는 일렉트론 실드부(33)로부터의 누설 자계의 모양을 나타내고, 화살표의 굵기가 자계의 강도를 나타낸다.
도 12의 참고예의 구성에서는 일렉트론 실드부(33)를 흐르는 자속이 일렉트론 실드부(33) 및 보강부재(34)로부터 섀도우 마스크(1)를 향해서 진공중에 누설된다(누설 자계(62)). 한편, 도 13의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부재(34)의 일부에 그 주변부에 비해서 인가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이 작은 부분(10)을 설치함으로써, 내부 자기 실드(2)로부터 내측 장출부(32)를 지나서 보강부재(34)로 흐르는 자속을 정류하여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강부재(34)로부터의 누설 자계(63)를 더욱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미스랜딩을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변측의 마스크 프레임(3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한 보강부재(34)의 길이방향의 중앙 부분을 폭 30〔㎜〕, 길이(마스크 프레임(31)의 길이방향의 길이) 50〔㎜〕의 크기로 자르고, 상기 자른 부분에 스테인레스 강철(비이력 투자율이 1정도)을 접속함으로써, 스크린 상의 미스랜딩이 도 12의 구성보다 2〔㎛〕이상 저감되었다.
보강부재(34) 이외의 각 부재의 재료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면 좋다. 예를 들면, 내부 자기 실드(2)로서 인가 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이 12000정도인 연철을 마스크 프레임(31)으로서 이 비이력 투자율이 2200정도인 Fe-36Ni 또는 Fe-42Ni 등을 섀도우 마스크(1)로서 이 비이력 투자율이 2000정도인 570∼640℃ 정도에서 열처리한 Fe-36Ni 등을 일렉트론 실드부(33)로서 상기 비이력 투자율이 1800정도인 450℃ 정도에서 열처리한 Fe-36Ni를 각각 이용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일부(9)의 인가자계가 800〔A/m〕(10〔Oe〕)에서의 비이력 투자율을 다른 부분의 비이력 투자율보다 작게 한 구성(도 8 참조)에, 본 실시형태의 상기 보강부재(34)를 조합해도 좋다. 이 때, 일렉트론 실드부(33)의 재료로서 실시형태 3과 동일하게 마스크 프레임(31)과 동일 재료를 이용해도 좋고, 혹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재료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2에 나타낸 얇은 판의 일렉트론 실드부(33)를 구비한 마스크 프레임(31)(도 4 참조)에 본 실시형태의 보강부재(34)를 조합해도 좋다.
보강부재(34)의 형태는 본 실시형태의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그 일부의 비이력 투자율이 다른 부분의 비이력 투자율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실시형태 5)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프레임(31)의 내측 장출부(32)의 관축측 단부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폭 20〔㎜〕의 띠형상의 일렉트론 실드부(33)를 갖고 있다. 전자 빔(5)을 형광체 스크린(14)에 대해서 100〔%〕스캔하였을 때에, 전자 빔(5)과 일렉트론 실드부(33) 사이의 최소 거리(d)가 8〔㎜〕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형광체 스크린 상에서의 전자 빔의 미스랜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마스크 프레임(31)에서의 자계의 작용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도 15는 상기 최소 거리 d=6〔㎜〕인 경우, 도 16은 상기 최소 거리 d=10〔㎜〕인 경우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 15 및 도 16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도, 일렉트론 실드부(33) 및 마스크 프레임(31)에는 동일 재료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일렉트론 실드부(33)로부터 섀도우 마스크(1)로의 누설 자계(61)의 모양은 동일하다. 전자 빔(5)을 100〔%〕스캔한 경우, 도 15의 구성에서는 전자 빔(5)이 일렉트론 실드부(33)의 근방을 통과하기 때문에, 누설 자계(61)에 의해 그 궤도가 구부러져서 큰 미스랜딩이 발생한다. 한편, 도 16의 구성에서는 전자 빔(5)을 100〔%〕스캔한 경우에도, 누설 자계(61)의 비교적 약한 영역을 전자 빔(5)이 통과하기 때문에, 미스랜딩이 저감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의 구성은 도 15의 구성에 대해서 형광체 스크린 상에서의 미스랜딩량을 3〔㎛〕 이상 저감할 수 있었다.
전자 빔(5)을 형광체 스크린(14)에 대해서 100〔%〕스캔하였을 때에, 일렉트론 실드부(33)와 전자 빔(5)의 궤도 사이의 최소 거리(d)를 8〔㎜〕 이상 확보한다고 하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이어도 조합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14) 상에서의 미스랜딩을 보다 한층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각 부재의 재료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렉트론 실드부의 자기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렉트론 실드부의 선단부로 흐르는 자속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일렉트론 실드부의 선단부로부터의 누설 자계를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지자기에 의한 미스랜딩을 감소시켜서 색얼룩이 없는 컬러 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정정) 마스크 프레임과, 상기 마스크 프레임에 고정된 섀도우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프레임에 유지된 내부 자기 실드와, 상기 마스크 프레임에 설치된 일렉트론 실드부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에 있어서,
    인가자계가 800〔A/m〕(10〔Oe〕)에서의 상기 일렉트론 실드부의 적어도 일부의 비이력 투자율이,상기 일렉트론 실드부의 그 이외의 부분,상기 섀도우 마스크, 상기 마스크 프레임 및 상기 내부 자기 실드의 각 비이력 투자율에 비해서 작고,
    상기 일렉트론 실드부의 상기 비이력 투자율이 작은 부분은 상기 마스크 프레임보다도 관축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론 실드부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전자 빔 부근의 선단부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론 실드부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과는 다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전자 빔 부근의 선단부로부터 또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1-0022325A 2000-04-25 2001-04-25 컬러 음극선관 KR100392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23746 2000-04-25
JP2000-123746 2000-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870A KR20010098870A (ko) 2001-11-08
KR100392907B1 true KR100392907B1 (ko) 2003-07-28

Family

ID=1863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325A KR100392907B1 (ko) 2000-04-25 2001-04-25 컬러 음극선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84607B2 (ko)
EP (1) EP1150325B1 (ko)
KR (1) KR100392907B1 (ko)
CN (1) CN1203512C (ko)
DE (1) DE6010181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5767A1 (fr) * 2001-03-19 2002-09-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à tube à réception d'images
KR100624992B1 (ko) * 2004-06-26 2006-09-20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1690A (en) * 1987-03-20 1990-06-05 Hitachi, Ltd. Color picture tube with an electron shiel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941A (en) * 1966-10-27 1977-01-11 Rca Corporation Shadow mask cathode ray tube shield
US3808492A (en) * 1971-12-21 1974-04-30 Hitachi Ltd Support frame for color selection electrode in color picture tube
US3766419A (en) * 1972-11-10 1973-10-16 Rca Corp Cathode-ray tube with shadow mask having random web distribution
JPS5242056A (en) 1975-09-29 1977-04-01 Nec Corp Fm demodulation distortion measuring unit
JPS5794160U (ko) * 1980-12-01 1982-06-10
JPS58198825A (ja) 1982-05-14 1983-11-18 Hitachi Ltd カラ−ブラウン管
JPS6285592A (ja) 1985-10-09 1987-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ブラウン管
KR900001701B1 (ko) 1985-03-20 1990-03-19 미쯔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칼라음극선관
JPH0275129A (ja) * 1988-09-09 1990-03-14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の製造方法
KR900007032A (ko) * 1988-10-25 1990-05-09 김정배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JP3085385B2 (ja) * 1990-03-14 2000-09-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ー陰極線管
JP3148393B2 (ja) 1992-09-07 2001-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陰極線管装置
JPH06251720A (ja) * 1993-02-26 1994-09-09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KR200147272Y1 (ko) * 1995-09-25 1999-06-15 손욱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US5594300A (en) * 1995-11-15 1997-01-1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picture tube having a tensioned mask and compliant support frame assembly
US5644192A (en) * 1995-11-15 1997-07-0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picture having a tensioned mask and compliant support frame assembly
KR100243255B1 (ko) * 1997-12-15 2000-02-01 손욱 새도우 마스크 지지체
KR100257716B1 (ko) * 1998-03-17 2000-06-01 손욱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1690A (en) * 1987-03-20 1990-06-05 Hitachi, Ltd. Color picture tube with an electron sh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01818D1 (de) 2004-02-26
KR20010098870A (ko) 2001-11-08
CN1203512C (zh) 2005-05-25
DE60101818T2 (de) 2004-11-04
EP1150325A1 (en) 2001-10-31
US20010033129A1 (en) 2001-10-25
US6784607B2 (en) 2004-08-31
EP1150325B1 (en) 2004-01-21
CN1321999A (zh)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907B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220762B1 (ko) 엔벨로프를 구비한 칼라 표시관
KR100203213B1 (ko) 내부 자기 시일드를 가진 칼라 수상관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JP2544543B2 (ja) カラ―陰極線管
KR900001701B1 (ko) 칼라음극선관
JP3085385B2 (ja) カラー陰極線管
JP3840062B2 (ja) カラー陰極線管
US6741022B2 (en) Shrinkage band and cathode ray tube comprising the same
JP3153915B2 (ja) カラー陰極線管
US6825598B2 (en) Tension mask with inner shield structure for cathode ray tube
JPH0636701A (ja) カラー陰極線管
WO2002075769A1 (fr) Tube cathodique couleur
KR19990029672A (ko) 개선된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US20020171350A1 (en) Cathode ray tub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electron beam mis-landing caused by geomagnetism
KR10041820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 쉴드
US6806633B2 (en) Cathode ray tube
JP3144845B2 (ja) カラー受像管
JP2001268587A (ja) 表示装置
JPH08167386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1185042A (ja) 陰極線管
KR20060012884A (ko) 마스크 프레임
JP2003100230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1023533A (ja) 表示装置
KR20040008366A (ko) 인장 마스크 방식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