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991A - 자동차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 Google Patents

자동차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991A
KR20020062991A KR1020027008201A KR20027008201A KR20020062991A KR 20020062991 A KR20020062991 A KR 20020062991A KR 1020027008201 A KR1020027008201 A KR 1020027008201A KR 20027008201 A KR20027008201 A KR 20027008201A KR 20020062991 A KR20020062991 A KR 2002006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ousing
rim
insert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826B1 (ko
Inventor
디르크 야콥
울리히 뮐러
제프리 디. 플레이트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6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3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pivotab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07C2009/00952Electronic keys comprising a mechanical key within their housing, e.g. extractable or retractable emergency ke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051Using a powered device [e.g., motor]
    • Y10T70/7062Electrical type [e.g., solenoid]
    • Y10T70/7068Actuated after correct combination recognized [e.g., numerical, alphabetical, or magnet[s] pattern]
    • Y10T70/7073Including use of a key
    • Y10T70/7079Key rotated [e.g., Eurocyl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8Operating elements
    • Y10T70/7791Keys
    • Y10T70/7876Bow or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80Parts, attachments, accessories and adjuncts
    • Y10T70/8432For key-operated mechanism
    • Y10T70/8676Key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부품들과 L형 평면키(30, flat key)를 위한 키 하우징을 포함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평면키(30)는 상기 평면키의 회전 지지에 사용되는 베어링 림(31, bearing limb)과 잠금 장치를 기계적으로 조작하는 샤프트 림(32, shaft limb)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평면키(30)의 샤프트 림(32)은 키 하우징 내부 방향으로 회전되는 비작동 지점과 하우징 외부 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 지점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누름 버튼이 바람직하게는 평면키(30)용 회전축으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평면키(30)를 작동 지점으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키가 그의 위치들 중 한 곳에서 제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누름 버튼과 하우징은 프로필 섹션을, 그리고 베어링 림은 메이팅 프로필 섹션(37, 38, 39)을 갖는다. 더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제조를 위해 평면키가 L형 프로필을 가진 평판(34)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평판에 샤프트 림(32)이 베어링 림과 동일 평면으로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베어링 림(31)은 메이팅 프로필 섹션(37, 38, 39)을 가진 수용부(36)를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플레이트 개구(35)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COMBINED MECHANICAL AND ELECTRONIC KEY, IN PARTICULAR FOR THE LOCKS OF MOTOR VEHICLES}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언급된 방식의 공지된 키(유럽 특허출원 공개 명세서 제 0 267 429호)의 경우 L자형 평면키가 림에 의해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L자형 평면키는 접선 부착물을 가진 베어링 링 형태의 헤더를 가지며, 상기 헤더 내로 블레이드 단부가 삽입되어 풀릴 수 있게 고정된다. 삽입된 블레이드 결합 부재는 나사나 리벳에 의해 삽입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하기가 매우 힘들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 공지된 평면키의 샤프트 림을 형성하는 L자형 림은 베어링 링, 부착물 및 삽입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 림도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삽입 헤더와 베어링 링 부착물 사이의 전이 영역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파손을 막기 위해서는 헤더용 수용 슬릿을 둘러싸는 재료가 베어링 링의 부착물 내에서 가능한 한 두껍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공간 절약형 키의 목적과 상반된다.
공지된 키(독일 특허출원 공개 명세서 제 39 02 537 C2호)의 경우 평면키의 회전축 영역 내에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기계식 누름 버튼이 장착된다. 누름 버튼은 평면키용 회전축으로서 사용된다. 누름 버튼의 이중 스프링 장치는 평면키에서 2 가지 임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그중 하나는 평면키에 비작동 지점으로부터 작동 지점으로의 회전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가하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가능한 한 평면키의 양 회전 위치를 제동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누름 버튼은 적절한 프로필(profile)을, 그리고 평면키는 적절한 메이팅 프로필(mating profile)을 필요로 한다. 평면키가 L자형으로 형성되긴 하지만, 베어링 림은 메이팅 프로필 때문에 꽤 높은 전체높이를 가지며, 사각형 프로필을 가진 베어링 바디로서 별도로 미리 제조된다. 베어링 바디의 높은 높이를 활용하기위해 샤프트 림을 평면키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 배치한다. 이를 위해서는 키 하우징의 높이가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기계식 누름 버튼의 지지를 위해 사용되는 평면키의 지지 바디는 별도로 제조된 키 샤프트를 추후에 장착하기 위한 슬릿을 갖는다. 키 샤프트는 지지 바디의 슬릿 내에 삽입되어, 거기서 핀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편평한 L자형 평면키를 가지기는 하나 축 영역 내에 누름 버튼이 제공되지 않는 복합 키도 있다(독일 특허출원 공개 명세서 제 22 26 385 A호; 제 38 42 790 C1호). 회전축은 움직이지 않는 베어링 핀을 형성한다. 누름 버튼을 위한 메이팅 프로필이 필요없기 때문에 회전 베어링을 위해 사용되는 평면 프로필의 베어링 림이 형성될 수 있다. 평면키는 평판으로서 설계되고, 상기 평판 내에는 샤프트 림의 평면 프로필도 배치된다. 이러한 키 하우징은 더욱 편평하게 만들어질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키 하우징 내부쪽으로 기울어진 비작동 지점으로부터 키 하우징 외부쪽으로 회전되는 작동 지점으로 샤프트 림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 하중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면 조작하는데 힘이 든다. 또한 평면키를 하우징 내 상기 위치에서 제동시키기 위한 공간 절약 가능성도 존재하지 않는다. 평면키의 회전 위치가 이와 같이 고정될 수 없게 되면 바지 주머니속에 휴대할 때뿐만 아니라 사용시, 예컨대 키 하우징의 회전 조작시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박판 프로필에의 나사 결합시, 나사에 필요한 조임 길이에 도달하기 위해 암나사가 박판 프로필 내에서 부착물 또는 단단하게 고정된 삽입물에 의해 확장되는 것이 공지되어있다("Bauelemente der Feinmechanik(정밀공학 부품)", U. Richter,R. v. Voss, F. Kozer 저술, Berlin: Verlag Technik, 1954, 137 p.). 박판 프로필에서 암나사를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것은 평면키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상기 간행물에는 L자형 평면키의 구조에 대한 언급이 없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제시된 방식의 복합 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키는 잠금 장치의 직접적인 기계식 조작뿐만 아니라,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예컨대 상기 잠금 장치 내지는 다른 잠금 장치의 원격 작동과 같은 전자식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키 하우징은 키의 기계식 및 전자식 작동을 위한 조작 수단이다. 따라서 키 하우징의 외부면에는 전자식 작동을 위해 예컨대 전기 누름 버튼이나 탄성 부재 형태의 작동부가 제공되며, 이 작동부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전기 스위치 또는 그와 유사한 부품을 작동시킨다. 기계식 평면키는 L자형으로 성형되고, 그의 L자형 림(limb)에 의해 하우징의 전면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때문에 "베어링 림"이라고 명명된다. 비작동 지점에서는 키 샤프트를 구성하는 또 다른 L자형 림을 갖는 평면키가 하우징 내 회전 위치에 있다. 상기 L자형 림은 하기에서 "샤프트 림"으로 표기된다. 평면키의 샤프트 림은 작동 지점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위치 보증을 위해 평면키를 키 하우징 내 두 곳에서 제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돌출된 기계식 평면키를 포함하는 키 하우징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키에 종속되는, 전자 부품을 둘러싸는 전기 케이스로 형성된 탈착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3은 키의 기계식 및 전자식 작동시 조작에 사용되는, 도 1의 키 하우징과 도 2의 탈착 유닛이 서로 결합된 복합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계식 평면키를 포함하는 키 하우징의 필수적인 구성 부품들이 조립되기 전 상태의 분해도이다.
도 5는 기계식 평면키의 두 구성 부품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성 부품 중 하나를 도 5의 절단선(VI-VI)을 따라 잘라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조립된 키 하우징을 도 1의 절단선(VII-VII)을 따라 잘라낸 횡단면도로서, 누름 버튼이 눌려진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키 하우징을 도 1의 절단선(VIII-VIII)을 따라 잘라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복합 하우징을 도 3의 절단선(IX-IX)을 따라 잘라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간단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언급된 방식의 신뢰할만한 공간절약형 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방법들을 통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들에는 아래와 같은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키가 그의 2 개의 L자형 림(limb)과 일체로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L자형 평면키는 평판 재료로부터 스탬핑된다. 일체형 구조에 의해 베어링 림과 샤프트 림 사이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전이부가 제공된다. 상기 L자형 키의 평면 구조에도 불구하고 그 베어링 림 영역 내에는 기계식 누름 버튼이 키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이는 베어링 림의 플레이트 개구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되는 삽입물에 누름 버튼 자체를 위해 요구되는 메이팅 프로필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삽입물은 회전 지지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누름 버튼의 축방향 가이드 및 그의 스프링 장치의 수용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그로 인해 키 하우징의 구조도 단순화된다. 가격이 적절하고 일체형인 평면키의 L자 플레이트 형태에도 불구하고 비작동 지점 및 작동 지점에서 상기 키의 제동은 누름 버튼에 의해 확실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누름 버튼의 작동에 의해 비작동 지점에서 제동이 무효화된 경우, 상기 키는 누름 버튼 및 삽입물에 제공된 종동 표면을 통해자신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비작동 지점으로부터 작동 지점으로 자동 회전된다.
그밖의 방법들과 본 발명의 장점들은 종속 청구항,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되어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이 하나의 실시예로 간략하게 도시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키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잠금 장치의 기계식 및 전자식 작동을 모두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키는 추후에 서로 결합되는, 각각 별도로 미리 제조된 2 개의 부품(10, 20)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 한 부품(10)은 기계식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1 개의 키 하우징(10)으로 형성된다. 상기 키 하우징(10)의 구성 부품들은 도 4의 분해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있다. 다른 한 부품(20)은 이후에 더 자세히 기술될 탈착 유닛으로서, 상기 탈착 유닛의 내부에는 도 9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전자 부품(40)이 장치된다.
도 1 및 4에서 볼 수 있듯이, 기계식 부품은 우선 클램셸(clamshell) 방식의 키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도 7 및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셸(11)은 산발적으로 배치된 결합 끼움판(13)을 내부면에 가진 평면 플레이트로서 형성되는 반면, 하부 셸(12)은 셸 베이스(15) 외에도 셸 측벽(14)을 포함한다. 셸 측벽(14)에는 전술한 상부 셸(11)의 결합 끼움판(13)을 위한 산발적 결합 끼움판(16)이 존재한다. 상부 셸(11)은 키 하우징(10)의 앞부분에 걸쳐서만 연장되고, 뒷부분에는 외부로부터의 액세스가 자유로운 공간이 셸 내부(18)쪽으로 형성되어있는 개방부(17)를 포함한다. 이는 이후에 더 자세히 기술될 탈착 유닛(20)의 탈부착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키 하우징(10)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 내에서 자세히 도시되지않은 매립된 비작동 지점으로부터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튀어나오게 되는 작동 지점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기계식 평면키(30)가 포함된다. 평면키(30)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평면키(30)는, 다른 운동도 고려될 수 있지만, 도 1, 3 및 4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한다. 이 경우 상기 평면키(30)는 도 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평판(34)으로부터 다이 컷(die-cut)으로서 형성되고, 이 때 상기 다이 컷은 2 개의 림(31, 32)으로 구성된 L자형 프로필을 갖는다. 한 L자형 림은 짧게 형성되어 키 하우징(10) 전면 단부에서의 평면키(30)의 회전을 지지하는데 사용되고, 그 때문에 이후로는 짧게 "베어링 림"으로 표기된다. 다른 한 L자형 림(32)은 키 샤프트 고유의 평면 프로필을 가지기 때문에, 이하 "샤프트 림"으로 표기된다. 상기 두 림(31, 32)은 전술한 플레이트 형태(34)에 의해 정해진 공통 평면에 놓이며, 상기 공통 평면은 키 하우징(10)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회전축(33)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베어링 림(31)에는 특수 삽입물(36)의 수용을 위해 사용되는 불완전한 원 형태의 플레이트 개구(35)가 제공된다.
누름 버튼(40)은 축방향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으로도 스프링 하중을 받고, 하우징(10)과 동일하게 형성된 프로필(19, 48, 28)을 갖는다. 삽입물(36)은 비교적 휘기 쉬운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회전축(33)의 위치를 결정하는 누름 버튼(40)을 위한 특수한 메이팅 프로필(37, 38, 39)을 갖는다. 스프링 작용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누름 버튼(40)의 축방향 보어(45) 내에 수용되는 압축-비틀림 복합 스프링(41)이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41)의 한 쪽 스프링 단부(42)는 누름 버튼(40)과 고정 연결되고, 다른 한 쪽 스프링 단부(43)는 하우징(10)의 하부 셸(12) 내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41)은 나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조립시 하부 셸(12)의 베이스측 내부면에 놓인 볼트(44)는 나사선 내부뿐만 아니라 삽입물(36)에도 맞물린다.
도 5에 따라 먼저 천공 공정을 통해 플레이트 개구(35)를 갖는 평면키(30)가 제조된 다음, 추후에 상기 플레이트 개구(35) 내로 삽입물(36)이 수직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후에는 도 4 및 7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키의 두 플레이트 면 위로 돌출된다. 상기 삽입물에는, 도 6에 따라, 원통형 부착물(47)뿐만 아니라 도 8에 제시된 것처럼 양쪽 셸(11 및 12)의 링 그루우브 세그먼트(19) 내로 돌출되는 스톱 핀(39)도 포함된다. 도 8에 도시된 스톱 도그(39, stop dog)의 위치에는 이미 도입부에서 언급한, 하우징(10) 바깥쪽으로 회전되는 작동 지점이 존재한다. 전술한 평면키(30)의 샤프트 림(32)이 도 8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보조선(30.1) 방향으로 뻗으며, 상기 보조선은 나머지 도면에 도시된 평면키(30)의 작동 지점을 표시한다. 상기 작동 지점(30.1)에서는 평면키가 누름 버튼(40)에 의해 제동된다. 그런 다음 누름 버튼(40)에 제공된, 여기서는 직경방향으로 배치된 종동 블레이드(48)가 상부 셸(11)의 내부면에 나 있는 관련 반경방향 홈(28)에 맞물리고, 그리하여 평면키(30)의 바깥쪽 회전 상태를 보증한다.
종동 블레이드(48)는, 도 7에 표시된 힘 화살표(46) 방향으로의 압착 운동을 허용하는 축방향 홈(38)을 삽입물(36) 내에 메이팅 프로필로서 갖는다. 도 7에서실시되는 상기 압착 운동(46)은 누름 버튼(40)의 축방향 하강을 야기하며, 그로 인해 종동 블레이드(48)가 반경방향 홈(28)에서 빼내어진다. 상기 압착 운동(46)은 스프링(41)의 축방향 힘 작용과 반대로 실시된다. 그렇게 되면 작동 지점(30.1)의 제동이 중지된다. 그러면 평면키는 도 8에 힘 화살표(49)로 표시된 스프링(41)의 회전력에 대해 도 8의 운동 화살표(29) 방향으로 하우징 내 비작동 지점을 향해 다시 회전된다. 그러면 평면키(30)의 샤프트 림(32)이,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30.2로 표시된 일점쇄선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비작동 지점(30.2)에서 샤프트 림(32)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더 자세히 기술될 키 하우징(10)과 그 안에 삽입된 탈착 유닛(20)으로 구성된 전체 하우징(50)의 측면 틈(24)으로 사라지게 된다. 그런 다음 종동 블레이드(48)가 다시 축방향으로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측 반경방향 홈(28)과 스냅식으로 맞물리고, 그리하여 키 하우징(10)에서 평면키(30)의 정지 상태(30.2)도 중단된다.
회전 운동(29)에서는 누름 버튼(40)이 회전 베어링으로서도 사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의 상부 셸(11)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베어링 보어(25)가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 보어(25)는 축방향으로 도 5와 6에 도시된 삽입물(36)의 축방향 보어(37) 및 이미 여러 번 언급한 하부 셸(12)의 볼트(44)와 연관된다. 누름 버튼(40)은 평면키(30)의 회전축(33)을 의미한다. 한 편으로는 삽입물(36)의 스톱 핀(39)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스톱 핀에 하우징측으로 배치된 링 그루우브 세그먼트(19)가 회전 운동(29)시 회전 안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한 편으로는 키(30)의 프로필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두 셸(11, 12)의 내부면에 의해 회전 제동이 구현될 수 있다.
삽입물(36)을 미리 제조하는 대신 사출성형 기술을 통해 나중에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되고있는 평면키(30)를 사출성형 모울드 내에 삽입한 다음, 상기 모울드 내에서 플레이트 개구(35) 내 삽입물(36)이 주조를 통해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전술한 메이팅 프로필(37, 38, 39, 47)이 유사한 형태로 제공된다.
대부분의 적용예에서 도입부에 언급한 전자 작동식 복합 키의 경우 소위 트랜스폰더(26, transponder)도 선호된다. 이러한 트랜스폰더(26)는 이미 상기 복합 키의 전자 개별화(electronic individualisation)를 위해 고려되어왔다. 상기 키가 관련 잠금 장치에 삽입되면 트랜스폰더(26)와 잠금 장치간에 통신이 이루어지고, 잠금 장치와 키가 일치하면 잠금 기능이 해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방식의 트랜스폰더(26)가 키 하우징(10)의 전면 영역에 수용 설치된다. 이를 위해 하부 셸(12)은 트랜스폰더(들)(26)가 부착될 수 있는 챔버(27)를 갖는다. 트랜스폰더(26)의 전자 에너지 공급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배터리 교환이나 그와 유사한 일을 수행하기 위해 도 1의 완전 조립된 키 하우징(10)을 셸(11, 12)로 분해할 필요가 없다. 즉, 트랜스폰더(26)는 챔버(27) 내에서 영구적으로 보호된다. 이는 이미 도입부에서 언급한, 전체 하우징(50)의 탈거 가능한 탈착 유닛(20)의 내부 요소인 추가 전자 부품(21)들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도 9에 가장 잘 도시되어있는 것처럼, 탈착 유닛(20)에는 하우징 방식의 케이스(22)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23)에는 부품들(21)이 설치되고,외부를 향해 모든 면이 폐쇄된다. 케이스 내부(23)에는 부품들로 이루어진 회로도 설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전기적 장해가 있을 수 있다. 탈착 유닛으로서 키 하우징(10)과 함께 작용하는 이러한 부품들(21, 22)은 미리 완전히 제조되며, 이하 "전기 케이스"로 명명한다. 이를 위해 키 하우징(10)의 프로필이 하기의 방식으로 매칭되어야 한다.
도입부에 언급한 키 하우징(10) 내 개방부(17)는 상부 셸(11)이 도 1에 따라 키 하우징(10)의 전면 섹션(51)만을 덮음으로써 간단하게 구현된다. 그로 인해 외부로부터 셸 내부(18)로의 액세스가 자유로운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 공간(17)은 위를 향하는 상부 개구(52)를 가질 뿐만 아니라 후면 단부(54)로부터 액세스되는 측면 개구(53)까지 뻗어있다. 이러한 개구는 상부 셸(11)의 후면 섹션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의 후면 단부(54)에 하부 셸(12)의 측벽(14)이 없기 때문에 형성된다. 전기 케이스(20)는 상기 측면 개구(53)를 통해 도 1의 운동 화살표(55)에 따라 키 하우징(10)의 개방 공간(17) 내로 삽입된다. 전기 케이스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 3에 따라, 상기 전기 케이스(20)는 상부 개구(52)를 폐쇄한다. 삽입 운동(55)은 전술한 회전 운동(29)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이루어진다. 이 때, 전기 케이스(20)의 바람직한 삽입 및 슬라이딩(55)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가이드 부재(61, 62)가 제공된다.
하부 셸(12)의 셸 베이스(15) 내부면에는 측면 개구(53)를 향해 정렬된 2 개의 평행 가이드 리브(61, guide rib)가 제공된다. 이 가이드 리브들은 후방절단되며, 바람직하게는 도브테일(dovetail) 형태의 프로필을 갖는다. 내부에는 전기 케이스(20)의 하우징 하부면에 매칭되는 가이드 홈(62)이 할당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61, 62)가 맞물린 상태는 도 9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도 9에 따른 케이스 하우징(22)의 측벽이 58에서 단(段)을 가짐으로써, 도 4에 따른, 하부 셸(12) 내 상응하는 단 형성부(59)와 함께, 맞물림 상태에서 평면키(30)의 샤프트 림(32)용 측면 틈(24)이 형성된다. 도 3 및 9에 따른 맞물림 상태에서 한 편으로는 관찰 가능하게 유지되는 전기 케이스(20)의 외부면과, 다른 한 편으로는 키 하우징(10)의 외부면이 서로 평행하게 결합된다. 그렇게 되면 두 부분(10, 20)은 전술한 복합 하우징(50)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키의 조작시 손에 함께 쥐어지기 때문에 "복합 하우징"으로 명명된다. 이는 바깥쪽으로 회전된 샤프트 림(32)이 상기 복합 하우징(50)에 의해 회전되는 관련 잠금 장치의 기계식 작동시뿐만 아니라 전자식 작동시에도 적용된다. 이 경우 공통 복합 하우징 전기 케이스(20)의 관찰 가능하게 유지되는 외부면에 작동부(60)가 제공된다. 이들은 압력 스위치 또는 박막형 작동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60)에는 하기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 전술한 누름 버튼(40)의 영역 내에 추가의 박막형 덮개가 제공된다.
도 3 및 9에 도시된, 키 하우징(10) 내 전기 케이스(20)의 삽입 위치는 스톱 장치에 의해 한정될뿐만 아니라 캐치(catch) 장치에 의해 보증된다. 이러한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누름 버튼(40)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 케이스(20)는, 도 2에 따라, 그 전면 단부가 돌출부(56)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도 3의 슬라이드 인 상태에서 키 하우징(10)의 상부 셸(11) 전면부(51)를 덮는다. 상기 돌출부(56)는, 도 3에 따라 전기 케이스(20)가 슬라이드 인된 상태에서축방향 탄성을 받는 누름 버튼(40)이 스냅 인되는 홈(57)을 갖고 있다. 그로 인해 키 하우징과 전기 케이스(20)의 결합이 보증된다. 상기 홈(57)은 돌출부(56)를 관통하기 때문에, 도 3에 따라 맞물려지는 경우 누름 버튼(40)은 그의 작동에 충분한 길이만큼 상기 돌출부(56)로부터 튀어나온다. 복합 하우징(50)을 그의 구성 부품(10, 20)으로 분해하기 위해서는 누름 버튼(40)을 돌출부(56)의 홈(57)에서 빠지도록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46)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누름 버튼(40)은 돌출부(56) 영역 내에서 작동부(61)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박막으로 덮일 수 있다. 이러한 작동부(61)의 박막은 전술한 누름 버튼(60) 영역 내 박막과 결합될 수 있다.

Claims (8)

  1. 특히 자동차 잠금 장치를 위한 기계 전자 복합 키로서,
    키 작동시 조작될, 잠금 장치의 전자식 작동용 전자 부품들(21) 및 잠금 장치의 기계식 작동용 L자형 평면키(30)를 위한 공통 키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키(30)의 한 L자형 림(limb), 즉 베어링 림(31)이 하우징(10)의 전면 단부(51)에서 회전 지지되며,
    상기 평면키(30)의 또 다른 L자형 림, 즉 샤프트 림(32)은 하우징(10) 안쪽으로 회전되는 비작동 지점(30.2, inoperative position)으로부터 하우징 바깥쪽으로 회전되는 작동 지점(30.1, operative position)으로 움직일 수 있고,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하중 장치(41)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 하우징(10) 내 평면키(30)의 회전축을 의미하기도 하는 누름 버튼(40)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버튼(40) 및 하우징(10)은 프로필(48, 28)을, 그리고 베어링 림(31)은 메이팅(mating) 프로필(37, 38, 39, 47)을 가지며, 이들 프로필을 통해 평면키(30)가 한쪽으로는 그의 작동 지점(30.1)에서 힘 하중을 받고, 다른 한쪽으로는 상기 지점(30.1; 30.2) 중 적어도 한 곳에서 제동되며,
    상기 샤프트 림(32)은 누름 버튼(44)과 상호작용하는 베어링 림(31)과 같이, 회전축(33)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 내에 배치되는 기계 전자 복합 키에 있어서,
    상기 L자형 평면키(30)의 양쪽 림 단부(31, 32)는 일체형 평판으로서 설계되고,
    상기 베어링 림(31)은 불완전한 원 형태의 플레이트 개구(35)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35)는 메이팅 프로필(37, 38, 39, 47)을 갖는 삽입물(36)의 고정 수용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전자 복합 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평면키(30) 및 그의 불완전한 원 형태의 플레이트 개구(35)는 플레이트 재료(34)로부터 천공 공정을 통해 제조되어, 다이 컷(die-cut)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36)의 메이팅 프로필(37, 38, 39, 47)은 사전 제조물로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삽입물(36)은 불완전한 원 형태의 프로필을 가지며,
    상기 삽입물(36)은 추후에 플레이트 개구(35) 내로 삽입되어, 거기에 포지티브하게 및/또는 넌포지티브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키(30)는 비교적 단단한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물(36)은 비교적 휘기 쉬운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36)은 평면키(30)의 2 개의 플레이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6.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36)은 플레이트 개구(35) 영역 내에서 사출성형 기술에 의해 성형되어, 사출성형 기술에 의해 평면키(3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36)의 메이팅 프로필은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제동 요소 및/또는 회전 가이드 요소(39)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동 요소 및/또는 회전 가이드 요소는 조립시 키 하우징(10)의 내부면에 있는 링 그루우브 세그먼트(19) 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36)의 메이팅 프로필은 축방향 보어(37) 및 상기 축방향 보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축방향 홈(38)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홈(38) 내로는 누름 버튼(40)이 적어도 하나의 하강된 종동 블레이드(48)와 임시로 및/또는 국부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KR1020027008201A 1999-12-24 2000-11-22 자동차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KR100709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62975.7 1999-12-24
DE19962975A DE19962975A1 (de) 1999-12-24 1999-12-24 Kombinierter mechanischer und elektronischer Schlüssel, insbesondere für an Fahrzeugen befindliche Schlös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991A true KR20020062991A (ko) 2002-07-31
KR100709826B1 KR100709826B1 (ko) 2007-04-23

Family

ID=793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201A KR100709826B1 (ko) 1999-12-24 2000-11-22 자동차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05141B1 (ko)
EP (1) EP1242704B1 (ko)
KR (1) KR100709826B1 (ko)
AU (1) AU2836901A (ko)
DE (2) DE19962975A1 (ko)
WO (1) WO2001048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3498C2 (de) * 1999-09-10 2002-03-07 Kiekert Ag Fahrzeugschlüssel für fernbedienbare Fahrzeugschliesssysteme
FR2828515B1 (fr) * 2001-08-08 2004-02-27 Valeo Securite Habitacle Cle a panneton articule
US20030132831A1 (en) * 2002-01-16 2003-07-17 Banks David C. Vehicle anti-theft key with transponder
US6892558B2 (en) * 2002-03-25 2005-05-17 David Jeffrey Chodosh Key holder with automatic ejection
US7762470B2 (en) 2003-11-17 2010-07-27 Dpd Patent Trust Ltd. RFID token with multiple interface controller
US7213766B2 (en) 2003-11-17 2007-05-08 Dpd Patent Trust Ltd Multi-interface compact personal toke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7597250B2 (en) 2003-11-17 2009-10-06 Dpd Patent Trust Ltd. RFID reader with multiple interfaces
US7055352B2 (en) 2003-11-19 2006-06-06 Meyerson David W Apparatus for storing and positioning keys
DE10357931B4 (de) * 2003-12-11 2006-09-07 Daimlerchrysler Ag Elektronischer Schlüssel
FR2867217B1 (fr) * 2004-03-03 2006-05-19 Valeo Securite Habitacle Cle comportant un logement pour transpondeur ferme de maniere permanente
ES2277477B1 (es) * 2004-03-17 2008-05-16 Carlos Brion Camean Llavero.
FR2868801B1 (fr) * 2004-04-08 2006-07-14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Cle a tige escamotable comportant des moyens d'entrainement de la tige vers une position deployee
FR2869934B1 (fr) * 2004-05-04 2006-07-14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Cle a insert escamotable comportant des moyens d'entrainement de l'insert
ATE344364T1 (de) * 2004-06-23 2006-11-15 Delphi Tech Inc Fernsteuervorrichtung mit einklappbarem schlüssel,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
US7127922B2 (en) * 2004-07-21 2006-10-31 Saysamon Khounsombath Key unit holder
ES2249160B1 (es) * 2004-07-30 2007-03-16 Luis Maria Aizpurua Plaza Portallaves escamoteable.
US7463134B1 (en) 2005-04-01 2008-12-09 Stilley Russell L Dual key fob
JP4510698B2 (ja) * 2005-05-19 2010-07-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メカキー
US7441651B1 (en) * 2005-05-30 2008-10-28 Samuel Rupert Sullivan Automobile remote control cover with key ring
JP2007085074A (ja) * 2005-09-22 2007-04-05 Honda Lock Mfg Co Ltd イモビライザー用キー
ES2285913B1 (es) * 2005-09-30 2008-08-16 David Ramon-Laca Garcia Llavero perfeccionado.
US8528374B2 (en) * 2005-11-29 2013-09-10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Portable device including mechanical key
FR2894789B1 (fr) * 2005-12-20 2008-02-22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Dispositf de positionnement et de maintien d'une clef de secours
US7370501B2 (en) * 2006-03-22 2008-05-13 Kabushiki Kaisha Honda Lock Key unit
WO2008006551A1 (de) * 2006-07-13 2008-01-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lüsseleinheit für ein schlosssystem eines fahrzeugs
US8485007B2 (en) * 2006-09-19 2013-07-16 Keypoint, Inc. Key organizing device
EP2070055B1 (de) * 2006-09-29 2012-10-24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Elektrische bedieneinheit
ITTO20060747A1 (it) * 2006-10-17 2008-04-18 Giobert Spa Portachiavi provvisto di una chiave retrattile, in particolare per una serratura di un veicolo
JP2010511111A (ja) * 2006-11-27 2010-04-08 コンティネンタル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ユーエ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補強されたキーフォブ
WO2008067276A1 (en) * 2006-11-27 2008-06-0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Key fob assembly
US7634932B2 (en) * 2006-12-01 2009-12-22 Chrysler Group Llc Fob integrated key
DE102007007752A1 (de) 2007-02-16 2008-08-21 Kiekert Ag Schlüssel für ein Kraftfahrzeug
US7578154B2 (en) * 2007-02-21 2009-08-25 Bernardo Beresnitzky Key case with key select mechanism
DE102007017208A1 (de) 2007-04-12 2008-10-16 Hella Kgaa Hueck & Co. Funkschlüssel mit einem ausklappbaren mechanischen Schlüssel
FR2919327A1 (fr) * 2007-07-27 2009-01-30 Johnson Controls Tech Co Cle d'actionnement d'une serrure a resistance aux chocs amelioree
FR2922572B1 (fr) * 2007-10-19 2013-02-01 Johnson Controls Tech Co Cle pivotante a blocage en position renforce, pour l'actionnement d'une serrure.
DE102007058481A1 (de) * 2007-12-04 2009-06-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icherheitssystem
US8225633B2 (en) * 2008-03-03 2012-07-24 Lear Corporation Rotation mechanism for key blade
DE102008016201B4 (de) * 2008-03-28 2010-03-18 Lear Corporation Gmbh Modularer Funkschlüssel mit Schwenkarmaturen
FR2935419B1 (fr) * 2008-09-01 2010-10-15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de telecommande a cle escamotable, en particulier de vehicule automobile.
EP2284337A1 (fr) * 2009-08-07 2011-02-1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e méchanique pour une clé d'un véhicule et une clé munie d'un tel module
FR2952956B1 (fr) * 2009-11-20 2011-12-09 Valeo Securite Habitacle Cle a insert escamotable a resistance mecanique amelioree
FR2961242A1 (fr) * 2010-06-14 2011-12-16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de commande a cle escamotable notamment pour vehicule
FR2967188B1 (fr) * 2010-11-05 2013-05-31 Valeo Securite Habitacle Cle a insert escamotable et module de deploiement d'insert associe
EP2460956B2 (en) * 2010-12-06 2022-07-27 Valeo Climatizacion S.A. A flip key for an automotive vehicle with enhanced resistance to forces exerted onto an insert of such flip key
DE102010061331A1 (de) * 2010-12-17 2012-06-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ombinierter mechanischer und elektronischer Schlüssel
US9041512B2 (en) * 2011-03-30 2015-05-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key
DE102011100032A1 (de) * 2011-04-29 2012-10-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chlüssel und damit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US9010162B2 (en) * 2011-11-17 2015-04-21 Rudi A Thyn Retractable key storage apparatus with original key adaptor
FR2984944B1 (fr) * 2011-12-23 2014-04-25 Valeo Securite Habitacle Cle a insert escamotable et module de deploiement correspondant
FR3000124B1 (fr) * 2012-12-21 2015-03-06 Valeo Securite Habitacle Cle a insert escamotable avec jeu limite
US20150061831A1 (en) * 2013-08-28 2015-03-05 Invue Security Products Inc. Key and security device
IL228846A (en) * 2013-10-13 2015-11-30 Lior Shabtay A portable electric installation is integrated into the key
JP6169999B2 (ja) * 2014-03-19 2017-07-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携帯用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6883999B2 (ja) * 2017-02-17 2021-06-0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子キー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機
IT201900001021A1 (it) * 2019-01-23 2020-07-23 Masinara S P A Telecomando portachiave
JP1664724S (ko) * 2019-03-05 2020-07-27
USD916456S1 (en) 2019-10-22 2021-04-20 International Key Supply, LLC Key fob
FR3104188B1 (fr) * 2019-12-10 2022-06-10 U Shin France Clé pour véhicule amélioré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4069A (en) * 1952-07-05 1954-07-20 Donaldson Precision linear-fracture instrument for heart valve surgery
FR1425414A (fr) * 1964-12-05 1966-01-24 Porte-clé lumineux
US4276582A (en) * 1978-12-26 1981-06-30 Lock Light Corporation Key with light
GB2080386A (en) * 1980-07-25 1982-02-03 Ford Motor Co Key with light source
FR2522941B1 (fr) * 1982-03-09 1985-06-07 Renault Porte-clefs du type a clef escamotable dans un boitier
DE3769923D1 (de) * 1986-10-20 1991-06-13 Siemens Ag Geraet zum fernsteuern einer mit einem empfaenger ausgeruesteten schliessanlag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3842790C1 (ko) * 1988-12-20 1990-04-05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DE3902537A1 (de) * 1989-01-28 1990-08-09 Daimler Benz Ag Schluesselbehaelter mit ausschwenkbarem flachschluessel
DE4226579C2 (de) 1992-08-11 1995-02-16 Daimler Benz Ag Kompaktsender zur Fernansteuerung einer einen Schließzylinder umfassenden Schließeinrichtung
US6035677A (en) * 1993-08-26 2000-03-14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Key assembly for vehicle ignition locks
US6427504B1 (en) * 1993-08-26 2002-08-06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Key assembly for vehicle ignition locks
KR100219896B1 (ko) * 1994-05-20 1999-09-01 기자끼 아끼라 발신소자 내장 키
GB9523159D0 (en) 1995-11-13 1996-01-17 Powell Michael C A key holder
US5819568A (en) * 1996-11-12 1998-10-13 Audiovox Corporation Key element/key FOB unit housing signal transmitter
US5832761A (en) * 1997-12-03 1998-11-10 Advance Security Inc. Key in combination with a timer and emitter
FR2783011B1 (fr) 1998-09-08 2000-12-01 Valeo Electronique Cl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a tete formant boitier de telecommande et a insert escamotable
DE19952247C1 (de) * 1999-10-29 2001-04-05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Elektronischer Flachschlü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826B1 (ko) 2007-04-23
EP1242704A1 (de) 2002-09-25
EP1242704B1 (de) 2005-05-11
DE19962975A1 (de) 2001-07-05
DE50010314D1 (de) 2005-06-16
AU2836901A (en) 2001-07-09
US6705141B1 (en) 2004-03-16
WO2001048339A1 (de)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2991A (ko) 자동차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KR100507985B1 (ko) 자동차 내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KR20060052813A (ko) 자동차의 도어 또는 힌지 결합된 플랩을 위한 핸들
US7232161B2 (en) Latch device for vehicle tailgate
KR101254527B1 (ko) 전자기식 잠금 장치
CA2607474C (en) Electromechanical lock device
KR100566646B1 (ko)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EP1182090A3 (en) Rotary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rotation of housing prior to installation onto steering device
KR20150038436A (ko) 차량 도어 록
KR101628422B1 (ko)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JP659284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2175736A (ja) 防水スイッチ
EP1690760B1 (en) Lock mechanism
CN116194647A (zh) 机动车锁
JP4418298B2 (ja) 錠装置
KR200189329Y1 (ko) 산업차량의 후드 록킹장치
JPH0765667A (ja) ロック機能付きスイッチおよびそのロック機能付きスイッチを装着した開閉扉付きケース
US5334810A (en) Combination lock and switch mount
JP3778604B2 (ja) 鍵スイッチ
JPH1028358A (ja) 車両などの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製法
JP6282846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0130106Y1 (ko) 도어 액츄에이터
CN113863795A (zh) 门把手组件
JPS6222991Y2 (ko)
CN113728364A (zh) 用于机动车的电子的钥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