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887A -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887A
KR20020062887A KR1020020037368A KR20020037368A KR20020062887A KR 20020062887 A KR20020062887 A KR 20020062887A KR 1020020037368 A KR1020020037368 A KR 1020020037368A KR 20020037368 A KR20020037368 A KR 20020037368A KR 20020062887 A KR20020062887 A KR 20020062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garlic
weight
salt composition
composition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020037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2887A/ko
Publication of KR2002006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8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Landscapes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염을 음용수에 용해하여 15 내지 50% 비중의 식염수를 준비하는 단계와; 마늘과 버섯류가 각기 충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포대들을 임의 순서에 따라 상기 식염수에 침지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포대들이 침지된 식염수를 100 내지 120℃로 가열하여 석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염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마늘 특유의 냄새와 맛을 제거하여 기호성을 개선하고 특히, 피로 회복 및 체력 증진의 강장 작용과 혈액을 맑게 하며 몸을 따뜻하게 해 주는 등의 마늘 자체의 약리 효능을 부가하여 기능성을 개선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 Common Salt Composition for Containing Garlic Ingredients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염수에 마늘, 버섯 또는 과일 등의 천연 재료를 선택적으로 혼합 용탕하여 분말 성상의 석출물을 형성하고 식품 등의 규격에 따라 석출물의 수분 함량을 조절하여 인체에 유익하며 풍미가 우수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늘은 중앙 아시아가 원산지로써 현재는 한국, 중국 및 일본 등 극동 아시아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백합과 식물이다. 예로부터 마늘은 살균, 정장, 각기, 백일해, 폐결핵, 강장 등에 효과가 큰 것으로 전해 오고 있다. 마늘에 관한 최근의 연구 결과를 참조하면, 강심(强心), 항산화, 항암 및 항바이러스 등에 효능이 있음이 입증되고 있다.
마늘 성분은 마늘 특유의 냄새와 맛을 결정짓는 냄새의 바탕이 되는 1% 정유 성분과 5%의 다당류 그리고 비타민 B₁및 비타민 C 등으로 조성되어 있다. 마늘 냄새의 원인은 정유 성분 중 무색무취의 알린(alliin)이 알리나제 (allinase)에 의해 알리신(allicin)으로 변화됨으로써 발현되는 것으로, 반응성이 강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능이 있어 동맥경화, 노화 등의 질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알리신은 비타민 B₁과 결합하여 보다 강력한 효능의 알리티아민이라는 성분으로 변화되며 특히, 알리티아민은 장내에 기생하는 세균의 비타민 B₁분해작용에 영향을 받지 않아 비타민 B₁이 손실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비타민 B₁자체는 인체 내에서 100mg 이상 흡수되지 않으나 알리티아민은 비타민 B₁을 2,000mg 이상 흡수할 수 있도록 조력하기 때문에 비타민 B₁의 약리 작용인 당, 지질, 탄수화물의 물질 대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소금은 음식의 맛을 결정하고 식품의 보존 기간을 연장시키는 한편, 신경 및 근육 섬유의 흥분에 관계된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체내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더욱이, 소금은 인간의 생명 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소금에 관한 연구, 특히 소금의 가공에 대한 연구는 거의 되어있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금의 국내 동향을 보면, 국내 관련정책의 부재로 유해 불량소금(분쇄염)과 비식용 소금(부산물)이 식용으로 둔갑, 유통되고 있으며 일부 해수의 오염으로 천일염의 간수에 불순물이 포함된 상태로 시중에 유통됨으로써 국민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여기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소금의 종류를 간단히 설명하면, 소금은 크게 천일염과 정제염으로 구분되며 정제염은 다시 기계염과 가공염으로 나뉘어진다. 천일염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소금으로 바닷물을 농축시켜 만든 것이며, 기계염은 바닷물을 끌어들여 이온교환막을 통해 염화나트륨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소금을 의미한다. 특히, 기계염은 전술된 바와 같이 염화나트륨만을 추출하여 형성된 것으로, 바닷물에 함유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아 영양학적으로 저급의 소금으로 분류된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가공염은 고온 가공 공정을 거쳐 유해 성분을 제거하여 제조한 구운 소금과 생금, 죽염 그리고 맛소금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키토산 소금도 개발되어 실제 유통되고 있다. 그리고, 가공염에 대한 외국의 동향을 살펴보면, 일본의 경우에는 소금에 글루탐산, 마그네슘, 칼슘, 철분, 깨, 후추 등 각종 향신료를 첨가한 첨가물염이 유통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가공염의 일종인 마늘 소금이 유통되고 있는데 이는 소금과 마늘 분말을 단순하게 혼합해서 제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가공염의 기능성 및 기호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국내의 가공염 중 죽염이나 키토산 소금 등은 900℃ 이상의 고온에서 9번 굽는 특수 공정이 요구되거나 고가의 키토산 재료가 사용되기 때문에 기능성은 우수하나 제조 단가가 높아 일상적인 식용염으로 사용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의 첨가물염은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풍미를 개선하여 기호성은 우수한 반면, 기능성은 매우 미약하고, 미국의 가공염 중의 하나인 마늘 분말은 일상적인 식용염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전술된 바와 같이 기능성도 우수하지만, 마늘 특유의냄새와 독특한 맛 때문에 폭 넓게 식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식염수에 마늘, 버섯 또는 과일 등의 천연 재료를 선택적으로 혼합 용탕하여 분말 성상의 석출물을 형성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하고 양호한 풍미를 구현할 수 있는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늘 특유의 냄새와 맛을 제거하여 양호한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식염을 음용수에 용해하여 15 내지 50% 비중의 식염수를 준비하는 단계와; 마늘과 버섯류가 각기 충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포대들을 임의 순서에 따라 상기 식염수에 침지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포대들이 침지된 식염수를 100 내지 120℃로 가열하여 석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염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식염수의 비중은 15 내지 50% 범위에서 조절되며,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4%이다.
여기서, 식염수의 비중이 24%를 넘게 되면 조성물의 석출양보다 식염 자체로 석출되는 양이 월등히 많아져 조성물의 수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식염수의 비중이 50%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수율이 감소됨은 물론, 석출되는 조성물과 식염이 혼합되어 분리가 곤란하게 되고 특히, 조성물의 염도가 높아져 풍미가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염은 함수율(含水率) 8 내지 10% 이하의 국내산 천일염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마늘은 껍질을 탈피하여 세척한 것(통마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위는 식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마늘, 버섯류 또는 천연 색소물 등이 중량%로 일관되게 표시되어 있으나, 식염수는 식염의 수분 함량이 각기 상이하기 때문에 비중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식염수는 음용 목적의 수질 검사를 통과한 지하수, 광천수, 수돗물 등(이하 "음용수"라 한다)에 식염을 용해한 것이다. 특히, 식염은 온도에 변화에 따른 용해율의 차이가 미세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식염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가열 공정보다는 교반 공정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공성 포대는 식염수에 침지되거나 고온 가열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배출되지 않고 마늘이나 버섯류를 담을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개구부의 개폐 여부는 특히 요구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측부가 개방된 면포 또는 삼베와 같은 천연 재질의 직물 포대의 사용이 요구되며 그 개구부는 면실과 같은 천연 실로 묶어 봉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과 버섯류가 각기 담겨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포대들은 임의의 순서에 따라 식염수에 완전히 침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공성 포대들이 식염수의 수면에 부유되면 각기 담겨진 내용물들의 일부분이 추후 진행되는 가열 공정에 의하여 엑기스를 신속하고 완벽하게 획득될 수 없기 때문이며, 내용물의중량이 적어 다공성 포대가 부유되는 경우에는 다공성 포대에 인체에 무해한 중량체를 부설하여 식염수에 완전히 침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버섯류는 가격이 저렴하며 인체에 유효한 성분이 많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등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 느타리버섯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표고버섯은 자체 색깔이 검기 때문에 제조되는 조성물의 색상이 미려하지 않아 다른 버섯들과 함께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표고버섯은 버섯류 중량의 1/2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버섯류 및 천연 색소물은 식염의 중량%에 대하여 마늘 성분의 중량%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 식염 조성물의 쓴맛이나, 떫은맛과 같이 양호치 못한 풍미를 보완하기 위한 가미제의 기능으로 제공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버섯류 및 천연 색소물은 인체에 유효한 내재 성분을 제공한다. 더욱이, 천연 색소물은 소비자의 색상에 대한 기호에 대응하여 다양한 색상을 발현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늘과 버섯류의 침지 순서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결정짓는 필수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마늘을 먼저 침지하고 버섯류를 침지하거나 또는, 마늘과 버섯류를 동시에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늘의 중량은 식염 100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130 중량%으로 조성되며,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 중량%이다. 또한, 버섯류의 중량은 식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이다.
그리고, 조성물의 미려한 색상을 발현하거나 풍미를 개선하기 위하여, 천연색소물이 충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포대를 식염수에 침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의 침지 순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수구성 요소가 아니지만 적어도 마늘이 담겨진 다공성 포대들 보다 선행하여 침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천연 색소물이 담겨진 다공성 포대들의 침지 방법은 전술된 바와 동일하다.
여기서, 천연 색소물이란 당근, 파슬리, 바나나, 포도 등과 같은 야채류, 과일류, 채소류에서 색상이 미려하고 가격이 저렴한 농산물을 의미한다. 그리고, 천연 색소물은 버섯류와는 달리 각기 1종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혼합될 경우 잡미가 생기거나 풍미가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천연 색소물의 중량은 식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이다. 또한, 천연 색소물은 신선도가 좋은 것을 선택하여 깨끗이 세척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늘 성분, 버섯류 성분 및 천연 색소물 성분은 각 재료의 고온 가열과정중 추출되는 엑기스로써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에는 각 재료의 고형물은 함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가열 공정은 내용물이 각기 충전된 다공성 포대들이 침지된 식염수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는데, 최저 임계온도인 100℃부터 석출이 시작된다. 여기서, 최저 임계온도 이하로 가열이 지속되면 석출이 미소하게 진행되는 반면, 대다수의 식염수는 교질화(膠質化)된 상태로 최외곽부터 열변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식염 조성물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그리고, 최고 임계온도인 1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석출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반면, 제조된 식염 조성물의 풍미가 양호하지 않으며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늘, 버섯류 또는 천연 색소물의 엑기스까지 열변성될 수 있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성 식염 조성물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식염수의 표면으로부터 석출이 진행되면, 석출물을 인력이나 석출물과 수분이 유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저장조로 운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과정은 석출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여기서, 석출물의 함수율은 대략 8 내지 25% 정도로써 바람직하게는 함수율이 8% 미만으로 건조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석출물의 함수율이 8% 이상 특히, 함수율이 20% 이상인 경우에 건조 공정없이 저장조에 저장되어 대략 1 내지 5일이 경과되면 석출물로부터 간수가 유출되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함량비를 갖는 식염 조성물을 획득할 수 없음은 물론, 풍미가 나빠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장조에 석출물을 저장하기 전에 석출물의 함수율을 측정하여 석출물의 함수율이 8% 이상인 경우에는 열풍 건조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열전도를 통한 직접 건조방법은 석출물의 건조 시간은 매우 짧으나 석출물이 열변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식염 조성물은 일반적인 천일염보다 단시간 내에 석출되기 때문에 결정 구조를 갖지 않고 미세한 분말 성상을 갖아 용해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 제조 공정
(1) 일정 체적을 갖는 용탕조에 음용수를 일정 높이까지 충전한다.
(2) 식염을 용탕조에 부어 용해하면서 비중이 15 내지 50%가 되도록 조절하며, 이 때 교반 공정을 병행하여 용해 반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세척 건조된 마늘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포대에 넣어 개구부를 밀폐한 후 식염수가 충전된 용탕조에 완전히 침지시킨다.
여기서, 마늘은 식염의 중량과 밀접한 관계를 갖으며, 그 양은 식염 100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13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 중량%이다.
(4) 용탕조에 충전된 식염수를 교반하면서 일정 온도로 가열한다. 여기서, 식염수는 대략 15 내지 100rpm으로 교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 온도는 100 내지 120℃ 정도로 일정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이 때, 마늘의 특유한 냄새와 맛을 결정짓는 정유 성분이 가열에 의해 휘발되기 때문에 역겨운 냄새가 발생되며, 결과적으로 식염 조성물은 마늘의 특유한 냄새와 맛을 포함하지 않는다.
(5) 식염 조성물이 식염수의 표면으로부터 석출되기 시작하면 교반을 멈추고, 다공성 포대들을 제거한 후 석출물을 긁어서 인력이나 석출물과 수분이 유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저장조에 저장한다.
여기서, 석출물의 함수율을 측정하여 8% 미만이면 직접 저장조에 저장하고, 함수율이 8% 이상인 경우에는 열풍 건조를 통해 함수율을 만족한 후 저장조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 제조 공정
전술된 실시예 1의 제3공정에서 버섯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포대에 담아 용탕조에 침지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공정을 갖기 때문에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버섯류의 함량은 식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이다.
실시예 3 - 제조 공정
전술된 실시예 2의 제3공정에서 천연 색소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포대에 담아 용탕조에 침지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제조 공정을 갖기 때문에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천연 색소물의 함량은 식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이다.
이상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마늘, 버섯류 또는 천연 색소물의 침지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마늘 →버섯류 →천연 색소물"의 순서가 양호하다.
실시예 4 - 관능 시험(풍미)
본 실시예는 전술된 식염 조성물의 조성에서 마늘 성분의 함량에 따른 풍미 관능시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관능시험 대상은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식염에 마늘 성분이외에는 아무 것도 첨가하지 않은 상태이며, 단위는 식염 100 중량%에 대한 마늘의 중량%이다.
비교예 1을 살펴보면, 마늘의 함량이 적어 짠맛이 강하여 풍미가 좋지 않았으며, 비교예 9 및 10은 마늘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쓴맛과 떫은 맛이 강해 풍미가 매우 좋지 않았다. 따라서, 마늘의 함량은 비교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60 내지 120 중량%가 양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관능 시험에서 알 수 있었던 다른 사실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은 생마늘 복용시 심각하게 발생되던 입냄새가 비교예 9 및 10을 제외하고는 전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양호한 풍미와 입냄새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표 1의 시험결과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늘 성분의 함량을 60 내지 120 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 - 관능 시험(색상)
본 실시예는 전술된 식염 조성물에 천연 색소물을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색상에 따른 색상 관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관능시험 대상은 성인 남녀 16명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최종 제품인 식염 조성물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표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황색 식염 조성물은 모든 비교예에서 "매우 좋음"으로 판명되었고, 녹색 식염 조성물은 면류 가공에서 "매우 좋음" 육류가공 및 양념류에서 "보통" 그리고 생선구이에서는 "좋지 않음"으로 판명되었으며, 주홍색/자주색 식염 조성물은 면류 가공 및 양념류에서만 "보통"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관능 시험중 언급하지 않는 비교예는 시험 결과가 "좋지 않음"으로 판명된 경우이다.
육류 및 생선구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육류와 생선류에 적용한 것으로 황색식염 조성물은 대상자 전원에게서 매우 좋은 시험결과를 나타나고 있어 다른 적용 대상에서도 이러한 시험 결과가 예측된다. 여기서, 면류 가공이란 밀가루 또는 쌀가루 반죽에 첨가되어 면을 가공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양념류란 향신료, 조미료 등과 함께 혼합되어 특정 가공식품에 첨가되는 시각적으로 판별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실시예 6, 7, 8 및 9 - 관능 시험(기호성)
여기서, 실시예 6, 7 및 9의 기호성 시험 대상자는 성인 남녀 50명이며 실시예 8은 성인 남녀 10명이다. 또한, 실시예 6은 구워진 육류를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에 찍어 먹은 후 기호성을 시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실시예 8의 김장 김치는 김치를 담근지 한 달 정도 경과하여 어느 정도 숙성된 김치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9에서 지리는 고춧가루를 넣지 않은 탕(湯)을 의미한다.
실시예 6 - 육류의 숯불구이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은 고기 특유의 역한 냄새가 많이 나며 기름기 많은 돼지고기에서 다른 육류들에 비하여 월등하게 기호성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 육류의 찌개류 또는 국류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은 김치찌개와 같이 각종 향신료가 많이 첨가되는 찌개류에 사용되는 돼지고기인 경우에는 기호성 측면에서 특이한 것이 별로 없으나,깔끔한 맑은 장국에 주로 적용되는 쇠고기인 경우에는 기호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8 - 야채 및 채소류의 절임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은 야채류와 김치의 겉절이에서 매우 좋은 기호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김장 김치인 경우에는 기호성 측면에서 특이한 것이 별로 없으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게 되면 김장 김치에도 기호성이 높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실시예에서 통상적인 천일염 사용량보다 12 내지 15 중량% 정도 적은 양을 넣어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대상자 대다수에서 일반적인 식염량을 넣을 경우와 동일한 염미를 느꼈다. 이는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이 미세한 분말 형상을 갖기 때문에 용해성과 침투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시예 9 - 민물 및 바다 어류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은 각종 향신료가 많이 첨가되는 매운탕의 경우에는 민물 및 바다 어류 모두 기호성 측면에서 특이한 것이 별로 없으나, 장어의 매운탕과 복어의 지리인 경우에는 매우 좋은 기호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장어의 매운탕과 복어의 지리인 경우에는 매우 좋은 기호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생선회는 와사비(고추냉이)를 푼 간장에 찍어 먹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호성이 좋지 못하다.
전술된 실시예 외에 햄버거, 돈까스(포크커틀릿) 등의 기타 서양 음식에서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 좋은 기호성을 보였으며, 특히 강한 마늘 냄새 때문에 적용치 못한 음식에 좋은 보조 가미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은 기호에 따라 다양한 함량비로 제조될 수 있으며, 성상, 색상 및 입도 등도 적용 대상이나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분말, 고체 등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 고체 성상의 표면에 당 캡슐 처리를 하여 복용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 및 방법은 마늘 특유의 강한 냄새와 맛을 제거하여 기호성을 개선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은 주지한 바와 같이 건강에 유익하며, 특히 강한 살균 및 항균 작용이 있는 마늘 성분이 비타민 B₁과 결합하여 피로 회복 및 체력 증진의 강장 작용을 제공하는데 특히 효능이 있으며, 혈액을 맑게 하며 몸을 따뜻하게 해 주는 등의 마늘 자체의 약리 효능을 포함하여 기능성 또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식염을 용해하여 단시간에 식염 조성물을 제조하기 때문에 식염의 조성물의 결정이 급속하게 형성되어 결정체가 미세하여 특유의 색상과 함께 용해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을 적용하면 침투력과 용해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인 식염의 소비량보다 적은 양으로도 동등한 염미를 제공함으로써 고혈압 환자 등과 같이 염분 관리가 특히 필요한 환자들이나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염분 섭취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현재는 식염이 단지 짠맛만 내거나 식품의 보조재로서의 기능이 한정되지 않고 음식 및 인간의 신체 생리에 대하여 식염의 역할 다원화가 특히 요구되는 바, 식염이 어떤 기능성 물질과의 혼합으로 한, 두 가지 이상의 기능성을 가지도록 연구, 발전이 기대되며 특히 인간이 섭취해야 하는 식품의 하나로서 안정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본 발명의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고기능성 제품으로 기호에 따라 마늘 성분의 양과 색상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 시장에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국제화 제품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 높은 제품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식염을 음용수에 용해하여 15 내지 50% 비중의 식염수를 준비하는 단계와;
    마늘과 버섯류가 각기 충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포대들을 임의 순서에 따라 상기 식염수에 침지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포대들이 침지된 식염수를 100 내지 120℃로 가열하여 석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염수의 비중은 18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염수의 비중은 20 내지 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의 중량은 상기 식염 100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1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의 중량은 상기 식염 100 중량%에 대하여 95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류의 중량은 상기 식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및 버섯류가 각기 충전된 다공성 포대들의 침지 순서에 대응하여 천연 색소물이 충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공성 포대들을 임의 순서로 상기 식염수에 침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색소물의 중량은 상기 식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의 함수율이 8% 미만이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KR1020020037368A 2002-06-29 2002-06-29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62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368A KR20020062887A (ko) 2002-06-29 2002-06-29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368A KR20020062887A (ko) 2002-06-29 2002-06-29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887A true KR20020062887A (ko) 2002-07-31

Family

ID=2772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368A KR20020062887A (ko) 2002-06-29 2002-06-29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2887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549A (ko) * 1990-07-09 1992-02-29 오가 노리오 Mis형 반도체장치
KR19980061993A (ko) * 1996-12-26 1998-10-07 김기형 마늘소금의 제조방법
KR0162535B1 (ko) * 1995-05-25 1998-11-16 박용대 소금가공장치
KR20000072277A (ko) * 2000-08-25 2000-12-05 박현기 마늘소금의 제조방법
KR20010074606A (ko) * 2001-05-10 2001-08-04 박현기 마늘소금의 제조방법
KR20020025136A (ko) * 2002-02-25 2002-04-03 손영석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소금의 제조방법
KR20030012055A (ko) * 2001-07-30 2003-02-12 이영남 소금 제조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030055062A (ko) * 2001-12-26 2003-07-02 바리산업개발 주식회사 마늘 소금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549A (ko) * 1990-07-09 1992-02-29 오가 노리오 Mis형 반도체장치
KR0162535B1 (ko) * 1995-05-25 1998-11-16 박용대 소금가공장치
KR19980061993A (ko) * 1996-12-26 1998-10-07 김기형 마늘소금의 제조방법
KR20000072277A (ko) * 2000-08-25 2000-12-05 박현기 마늘소금의 제조방법
KR20010074606A (ko) * 2001-05-10 2001-08-04 박현기 마늘소금의 제조방법
KR20030012055A (ko) * 2001-07-30 2003-02-12 이영남 소금 제조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030055062A (ko) * 2001-12-26 2003-07-02 바리산업개발 주식회사 마늘 소금의 제조 방법
KR20020025136A (ko) * 2002-02-25 2002-04-03 손영석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소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4505A (zh) 一种香辣低盐蘸料及其制备方法
CN102845703B (zh) 一种适合于非油炸杂粮方便面的双椒调味包及其生产方法
KR100454229B1 (ko) 진공조리 굴가공품의 제조방법
KR100415765B1 (ko)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닭고기 가공식품
CN104855904B (zh) 一种方便型雪豆酸菜及其制备方法
KR101540867B1 (ko)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CN105212165A (zh) 一种醇香低盐蘸料及其制备方法
KR102254039B1 (ko) 조미 아귀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212351A (zh) 竹笋清汤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JP5732092B2 (ja) キムチソースの製造方法
KR101257337B1 (ko) 다용도 분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용도 분말소스
CN104432220A (zh) 一种速冻粘粉调味多春鱼的制作方法
KR101126681B1 (ko) 저 자극성 생 두부 쌈장 제조 방법 및 저 자극성 생두부 쌈장
KR101793661B1 (ko) 즉석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2887A (ko) 마늘 성분을 함유한 식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35255A (ko) 육수와 가마보꼬를 주원료로 한 라면국물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라면의 조리방법
KR20000063472A (ko) 우렁 쌈장 및 그 제조 방법
CN104366402A (zh) 一种腌制竹笋
CN101108010B (zh) 牛肉鲜方便粗粮粉
KR102372301B1 (ko) 전복밥의 제조방법
KR20030055062A (ko) 마늘 소금의 제조 방법
KR20170037935A (ko) 즉석 제조용 젓갈 보리비빔밥의 제조방법
JP2018161123A (ja) 食品の照り艶を保持させる方法
KR101203984B1 (ko) 문어 먹물 조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18491A (ko) 즉석 제조용 젓갈 보리비빔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