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727A -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727A
KR20020062727A KR1020027004089A KR20027004089A KR20020062727A KR 20020062727 A KR20020062727 A KR 20020062727A KR 1020027004089 A KR1020027004089 A KR 1020027004089A KR 20027004089 A KR20027004089 A KR 20027004089A KR 20020062727 A KR20020062727 A KR 2002006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content
user
desktop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다마코토
야마다유이치로
시무라사오미
Original Assignee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7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프로젝트에 관련된 구성원과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기 쉬운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서버(2)와, 사용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참가하는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한 컨텐츠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3)를 구비하고 있다. 서버(2)는, 사용자 단말기(1)에 소정의 페이지를 송신하는 것과 동시에 해당 페이지에 대한 조작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4)와, 이들 조작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컨텐츠데이터를 읽어옴과 동시에 각 프로젝별로 해당프로젝트에 속한 모든 컨텐츠의 표시용 또는 액세스용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 생성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0)와, 통신제어부(4)을 통해서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액세스가 있는 때에 해당 컨텐츠를 포함한 프로젝트데스크탑 단위로 사용자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액세스제어부(12)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 management}
종래에는, 기업에서 새로운 상품, 광고 등의 신규개발을 하거나 대학 연구기관에서 새로운 연구테마를 진행할 때는 문서의 교환이나 구두회의 등의 방법으로 프로젝트의 상세를 결정해 나갔다. 근래에는, 정보처리장치의 발달로 인해 전자회의실 기능, 그룹의 진행상황을 관리하는 기능, 전자문서파일을 공유하는 기능이 제공되어 그룹의 구성원은 프로젝트를 수행해 나갈 때 전자회의실을 이용하거나 그룹웨어의 특정 디렉토리에 공유된 문서파일을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들어, 일본에서 1996년에 특허 출원공개된 공보번호 A-8-30577호에 따르면, 프로젝트 관리자가 임의로 작업을 추가하거나 담당자를 변경하는 경우에 관리자측과 담당자측의 정보를 종합해서 보관, 관리하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에서 1999년에 특허출원 공개된 A-11-143912에는, 전자회의실에 대응하는 문서집합을 검색하기 위하여 각종 인덱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예에서는 단일 프로젝트에 관련된 발언(statement)과 문서파일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다른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이용하여 관리하지 않으면안 되는 불편이 있었다. 더구나, 다양한 프로젝트가 동시에 병행하며 진행될 때에는, 프로젝트구성원이 필요한 문서파일을 저장하거나 읽어들이거나 또는 전자회의실에 참가하는 경우에는 각 프로젝트마다 해당 조작을 수행하는 전자적 위치를 찾아 가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전자회의와 문서관리가 프로젝트별로 행해질 때, 프로젝트 구성원 및 그들의 역할이 프로젝트마다 다르기때문에 사용자별로 액세스권한을 관리하는 것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 관리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의 상세한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 지는 경우의 구성예 등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4(A)는 도 1에 도시한 액세스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B)는 검색결과의 표시형식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서 프로젝트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PJ-DT sheet)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루틴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서 하드웨어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7(A)는 서버 하드웨어자원의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고, 도7(B)는 네트워크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으로 이루어 진 경우의 구성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각 페이지의 접속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에 연이어서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 속성과 각 속성별 액세스권한과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구성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한 구성에의 사용자속성판정처리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프로젝트데스크탑 표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8에 도시한 구성에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실시처리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서 프로젝트데스크탑 작성용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17(A)는 프로젝트 작성용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고, 도 17(B)는 본 실시예에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초기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8은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서 텍스트 입력용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프로젝트 편집용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서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문서관리영역을 추가한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8에 도시한 저장제어기 및 검색제어기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서 문서내용 등의 검색결과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처리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서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를 저장하는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24(A)는 저장할 프로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페이지 예를 도시한 그림이고, 도 24(B)는 저장된 프로젝트데스크탑 파일(서고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페이지의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처리 루틴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스크탑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리스트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데스크탑 완성까지의 일반적인 단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액세스하는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의 사용예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프로젝트에 관련된 정보의 등록 및 검색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업 및 연구실 등의 조직내에서 로그인 ID가 있는 사용자가 복수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에 각 프로젝트별로 정보관리 및 작업진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각각 조작되는 복수의 단말기(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서버와, 복수의 사용자 일부분이나 전부가 참여한 각각의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해 있는 컨텐츠(contents)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서버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페이지를 송신하고 동시에 해당 페이지에 대한 조작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와, 이러한 통신제어부에서 수신한 조작정보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읽어냄과 동시에 각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해있는 모든 컨텐츠들의 표시용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PJ-DT sheets)로서 생성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PJ-DT sheet generator)를 구비한다. 서버는 또한, 통신제어부를 통해서 컨텐츠들의 내용에 대한 액세스가 있을 때 해당 컨텐츠를 갖고 있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단위로 하여 사용자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액세스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해 있는 컨텐츠들을 기록하고 있다. 컨텐츠는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와 파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러한 것들로는 프로젝트명칭데이터, 텍스트데이터, 리스트데이터, 이미지데이터, 음성(voice) 데이터, 문서파일, 전자회의실에서 나온 발언(statement), 스크랩북, 스케쥴데이터, 각 프로젝트 정보가 업데이트된 히스토리(history)데이터, 해당 프로젝트에 속해있는 구성원을 나타낸 차트(chart)데이터등이 있다.
액세스제어부는 컨텐츠 내용 검색 및 사용자리스트가 있는 때에는 사용자명에 따른 프로젝트단위별로 액세스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내용에 액세스한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단위로 하여 사용자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액세스제어부는 프로젝트를 검색하는 때에는 해당 컨텐츠를 갖고 있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의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가 특정되어 있어서 해당 컨텐츠를 표시하는 때에는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에 쉬트(sheet)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액세스제어부는, 예를 들어, 콘테츠내용이 검색되는 때에는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프로젝트데스크탑 명칭(PJ-DT title)을 검색결과로서 표시해준다. 상기의 프로젝트데스크탑 명칭은 해당 프로젝트데스크탑 명칭을 표시하는 링크로 되어 있을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프로젝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들의 이름을 프로젝트의 데스크탑 컨텐츠로 하여 프로젝트데스크탑 명칭리스트를 생성하면 된다. 다양한 입구(entrances)로부터 프로젝트데스크탑이 특정된 후에 어떤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부터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액세스제어부는 프로젝트데스크탑 쉬트생성부로 하여금 표시명령에 의해 특정되어 선택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하게 한다.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PJ-DT sheet generator)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데이터를 읽어옴과 동시에 각 프로젝트에 해당 프로젝트에 속한 모든 컨텐츠를 표시/액세스하는데 쓰이는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 쉬트로 생성한다. 그럼으로써, 사용자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이용해서 해당 프로젝트에 관계된 모든 정보(컨텐츠내용)를 관람할 수 있고, 또한 새로운 정보를 입력 및 등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프로젝트 명칭, 문서파일의 전문 검색결과, 각 사용자별 개인 데스크탑 등에 표시된 컨텐츠 명칭, 컨텐츠 타입의 일종인 프로젝트 명칭이 디스플레이 용도로 조작될 때에는,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PJ-DT sheet generator)는 액세스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프로젝트에 속해있는 컨텐츠집합으로 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한다. 이처럼 프로젝트데스크별로 프로젝트에서 이용되는 데이터나 파일을 등록, 갱신, 열람하기 때문에 복수의 프로젝트가 병행해 있다하더라도 프로젝트별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쉽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액세스제어부는 프로젝트명의 리스트로부터의 액세스, 컨텐츠 내용의 검색, 또는 구성원 리스트가 있을 때에 사용자명에 의한 액세스와 같은 프로젝트 컨텐츠의 액세스가 있는 때에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로하여금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데이터를 읽어오고, 또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하는 전체의 컨텐츠를 표시/액세스하기 위하여 프로젝트별로 프로젝트데스크탑 쉬트로서 페이지를 생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해당 프로젝트에 관계된 정보 전체를 보거나 해당 프로젝트에 관계된 새로운 정보를 입력 또는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 파일의 전문검색의 결과로 프로젝트 리스트 또는 컨텐츠명 또는 프로젝트명이 개별적으로 각각 사용자의 데스크탑 등에 표시되는 경우에,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는 액세스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하는 컨텐츠를 모아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프로젝트가 병행해서 진행된다하더라도 프로젝트데스크탑 단위로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파일을 등록,갱신, 열람하기 위한, 종래에는 없었던 프로젝트별 정보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훌륭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로젝트관리시스템은 구성원 프로젝트 단위로 활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각각 조작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1)에 네트워크(5)를 통해서 연결되는 서버(2)와, 복수의 사용자의 일부나 전부가 참여하는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하는 컨텐츠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3)로 구성된다.
서버(2)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1)에 소정의 페이지를 송신하고 동시에 해당 페이지에 대한 조작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4)와, 이러한 통신제어부에서 수신한 조작정보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읽어냄과 동시에 각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해있는 모든 컨텐츠들의 표시용 페이지 또는 액세스용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PJ-DT sheets)로서 생성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PJ-DT sheet generator)(10)와, 통신제어부(4)를 통해서 컨텐츠들의 내용에 대한 액세스가 있을 때 해당 컨텐츠들을 갖고 있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단위로 해서 사용자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액세스제어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단말기(1A)로 되어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고 마크업랭귀지(ML, HTML 또는 XML)같은 페이지 기술(記述) 언어로 이루어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서버(2)는 이러한 페이지 정보(ML pages)를 생성하고, 통신제어부(4)를 통해서 사용자단말기(1)에 송신한다. 서버(2)가 생성한 페이지는 링크, 편집버튼, 설정버튼 등의 조작용 실행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을 구비하고 있다.사용자는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온 페이지의 편집버튼, 링크 등을 조작해서 새로운 페이지를 표시하거나 문서파일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거나 액세스 권한과 표시 등에 관해서 각종 설정을 행한다.
네트워크(5)는 인터넷, 인트라넷, 조직 내의 전용네트워크 등의 정보운송매체이다. 통신제어부(4)는 사용자단말기(1)간에 이루어지는 소정의 통신프로토콜 통신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다. 서버(2)는 서버용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터이다.
프로젝트데스크탑 쉬트생성부(10)는 각종 페이지를 생성하는 서버(2) 기능의 일부이다. 프로젝트데스크탑은 도 2에 표시된 것처럼 프로젝트 구성원의 리스트인 프로젝트구성원 영역(42)과, 문서관리용 컨텐츠를 형성하는 서고(bookshelf) 영역(46)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는, 이 프로젝트데스크탑이 각 프로젝트별로 생성된다. 프로젝트에 필요한 컨텐츠를 입력 또는 등록하거나 컨텐츠의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것은, 도 2에 표시된 것처럼 프로젝트데스크탑 단위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통신제어부(4)를 통해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가 있을 때에는 액세스제어부(12)는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단위로 해서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액세스제어부(12)는, 프로젝트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하여 액세스 시도가 있는 경우 그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하고 또한 링크를 표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액세스제어부(12)는 또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단위로 해서 설정된 액세스권한에 기초해서 프로젝트데스크탑 전체에 대한 쓰기(write) 및 읽기(read)를 사용자별로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로젝트에 관계된 정보에 대해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고, 복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프로젝트에 참가한 경우에도 각 프로젝트에 관계된 정보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어, 편집버튼이나 링크 등이 사용자단말기(1)에서 클릭되면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명령이 해당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통신제어부(4)에 송신된다. 이하에서 실행버튼이라함은, 편집버튼, 조작버튼 및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와 같이, 프로젝트데스크탑이나 컨텐츠영역에 표시된 조작용 표시를 말한다.
예를 들어 HTML에 의한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는 실행버튼에 포함된다. 실행버튼에 의해서, 서버(2)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스크립트) 명칭 및 다른 페이지명칭이 정의되고, 통신제어부(4)는 이들 프로그램 명칭과 필요한 값 등을 수신하여 서버(2)에 입력한다. 서버(2)에서는 프로젝트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가 있는 때에는 액세스제어부(12)가 이에 응답한다. 이때, 액세스제어부(12)는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0)로하여금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시킨다.
도 2에 표시된 것처럼, 프로젝트데스크탑(30)은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컨텐츠에는, 프로젝트 명칭, 프로젝트 내용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관리하는 텍스트영역,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는 구성원을 리스트한 구성원 리스트(42)를 관리하는 구성원 리스트영역, 회의실(44)을 관리하는 회의실영역, 각종 파일그룹을 관리하는 서고 영역, 스크랩북 영역(미도시), 프로젝트 스케쥴을 관리하기 위한 스케쥴 또는 캘린더 영역(미도시), 텍스트, 그래픽,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텍스트 영역(미도시) 등이 포함된다. 캘린더 영역에서는 프로젝트 캘린더가 각 사용자의 캘린더와 연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들 각종 컨텐츠 영역은 프로젝트 리더나 구성원들에 의해서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추가된다. 각 컨텐츠 영역은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 안의 내부창이다.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0)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할 때, 프로젝트데스크탑에 포함될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읽어와서 컨텐츠영역을 생성한다. 그래서, 각 컨텐츠영역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단일 페이지에 합성되어 프로젝트데스크탑(30)을 이루게 된다. 그럼으로써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젝트 개요설명 등을 만들어서 텍스트를 관리하는 텍스트영역 생성기(50), 프로젝트에 포함된 구성원 리스트를 관리하는 구성원 리스트영역을 컨텐츠로서 생성하는 구성원 리스트 생성기(52),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에 의해서 관리되는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각 사용자의 발언 및 회신을 기록 또는 표시하는 회의실영역을 컨텐츠로서 생성하는 회의실영역 생성기(54)를 구비하게 된다.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0)는 또한,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16)에 의해서 관리되는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문서파일의 등록 또는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서고 영역(38)과 해당 서고 영역(38)안에 등록된 문서파일(46)을 컨텐츠로서 관리하는 서고 영역 생성기(5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0)는, 프로젝트에 관계된 뉴스기사 및 영상 등을 복사하기 위한 스크랩북영역을 생성하는 스크랙북영역 생성기(5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기능은, 향후 프로젝트활동 지원시스템의 개발단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개인데스크탑이나 사용자 리스트에 프로젝트데스크탑 명칭을 부가하는 실시예에서는, 구성원 리스트가 필수항목으로 된다. 또한, 서고 영역은 프로젝트 활동의 지원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어진다. 각 컨텐츠영역 생성기(50, 52,...., 58)는, 도 2에 도시한 편집버튼(31) 또는 링크 등의 조작 또는 실행버튼을 사용자별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각 영역에 부가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0)는, 다양한 컨텐츠가 생성될 때, 컨텐츠를 생성시키는 사용자에게 이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권한을 설정하도록 하는 액세스권한 등록 관리자(59)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편집버튼(31)이 조작되면 서버(2)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이나 컨텐츠 영역의 컨텐츠 추가, 표시 설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페이지를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은 프로젝트데스크탑을 각 프로젝트별로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프로젝트의 현재 상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프로젝트 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여러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중복해서 사용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서고 영역(38)에 새로운 파일을 등록하고 그 개요 등을 회의실컨텐츠(36)에서 언급함으로써, 각 컨텐츠영역을 개별기능으로서가 아닌 일체적으로 연관지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의 교체, 소프트웨어의 실행, 적당한 위치 검색 등에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서 프로젝트 개발에 따른 필요한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나아가, 각 사용자별 페이지(여기서는 개인데스크탑이라 함)를 생성하거나,각 컨텐츠내용(예컨대, 프로젝트 명칭, 구성원 이름, 서고 영역에 등록된 문서전문(全文), 회의실의 발언내용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각 컨텐츠를 단위로 하여 수행하지 않고 도 2에 도시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단위로 해서 수행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검색결과로 나온 컨텐츠가 속해있는 프로젝트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이 속해있는 프로젝트리스트를 계속 개인데스크탑에 표시하는 등의 처리도 가능해져서 이들 프로젝트에 관련되어 있는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시도를 하는 경우, 액세스제어부(12)는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단위로 하여 사용자단말기(1)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액세스제어부(12)는, 또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표시명령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해당 컨텐츠가 검색되는 경우, 프로젝트 명칭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 구성원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 개인데스크탑을 표시하는 경우 또는 프로젝트 명칭, 구성원 리스트 등의 컨텐츠에 액세스되는 경우에도 프로젝트데스크탑 단위로 컨텐츠 내용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즉, 액세스제어부(12)는 프로젝트에 관계되어 키로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정보에 대해서 검색 및 표시요구가 있을 때에 도 2에 도시한 프로젝트데트크탑을 기준으로해서 표시해준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기준으로 해서 표시할 때에 프로젝트데스크탑 명칭을 링크에 의한 조작버튼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서버(2)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제어부(4)를 통해서 통신하는 사용자에 관해서 프로젝트별로 설정된 해당 프로젝트 리더 또는 구성원 등의 프로젝트에대한 사용자속성을 판정하는 프로젝트별 사용자속성판정부(14)와, 상기의 프로젝트별 사용자속성판정부(14)에 의해서 판정된 사용자속성과 각 프로젝트의 컨텐츠별로 정해진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을 기초로 해서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대한 조작내용을 제어하는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16)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서버(2)에 로그인한 로그인사용자, 어떤 프로젝트가 있는 때에 그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는 구성원, 그 구성원 중에 해당 프로젝트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리더와 같이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들의 역할을 규정한 것이 사용자 속성이다. 예를 들면, 어떤 사용자는 프로젝트A에 관해서는 구성원으로서, 프로젝트 B에 관해서는 구성원 및 리더로서, 프로젝트 C에 대해서는 비구성원, 비참가 로그인 사용자일 수 있다. 사용자 속성은 프로젝트별로 설정된다. 프로젝트별 사용자속성 판정부(14)는, 통신제어부(4)를 통해서 통신하는 세션(session) 중의 사용자에 대해서, 당해 세션 중에 사용자가 액세스하려고 하는 프로젝트에 관해서 프로젝트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당해 프로젝트에 대한 리더 또는 구성원 등의 사용자 속성을 판정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프로젝트 컨텐츠별로 사용자별 액세스권한을 설정한다. 또한, 액세스권한 설정을 사용자명에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속성에 근거하여 행한다. 따라서, 열람/편집 등을 허용하거나 막도록 구성원에 대해서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어떠한 사용자라도 구성원이라면 당해 액세스권한이 적용된다. 이처럼 각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권한을 프로젝트별 사용자속성에 기초하여 제어함으로써, 액세스권한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권한의 설정과 사용이 프로젝트 참가자와 정보등록자들이 이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프로젝트 리더는 불편한 조작없이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제한의 운용을 확실히 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16)는, 프로젝트별 사용자 속성 판정부(14)에 의해 판정된 사용자 속성과 각 컨텐츠별로 정해진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 등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컨텐츠에 대한 조작내용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어떤 프로젝트의 구성원이 아닌 자가 로그인 사용자인 경우에는 회의실 영역에 참가할 수 있지만, 서고 영역에 있는 문서파일의 다운로드는 할 수 없게 하는 설정이 되어 있다고 하면, 서버와 통신하는 세션중의 사용자가 구성원 이외의 로그인 사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액세스권한에 따라 회의실영역에서 발언을 허가하는 반면, 서고 영역에 등록된 문서파일의 다운로드를 금지시키게 된다. 사용자 속성별로 액세스권한이 정해지므로, 사용자가 새로이 로그인하는 경우에도 액세스권한을 재설정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어떤 로그인 사용자를 구성원에 등록시키거나 구성원에서 삭제하는 경우에도 액세스권한 재설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액세스 권한이 프로젝트마다 다른 경우에, 동일한 로그인 사용자에 대해서도, 각 프로젝트의 각 컨텐츠에 대해서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 권한을 그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트의 리더를 정하고 정해진 리더에 액세스권한을 설정하는 권한을 줌으로써, 자율적인 액세스권한 운용이 가능해진다. 즉,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을 각 컨텐츠별로 설정함으로써, 특별한 관리자를 필요로 하지않고 프로젝트에 관계된 정보의 보안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16)는 도 2에 도시한 편집버튼(31), 조작버튼, 작성버튼 등의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속성에 따라 컨텐츠영역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별적인 파일에 대한 액세스권한의 설정 없이 사용자속성별 보안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보관(archive)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 서버(2)는, 1개 또는 복수의 프로젝트를 보관대상으로 설정하는 보관대상설정부(18) 및, 보관대상설정부(18)에 의해 설정된 1개 또는 그 이상의 프로젝트데스크탑에 포함된 컨텐츠를 1개의 보관파일(archive file)에 수용하는 보관파일업로드관리부(20) 및, 보관파일업로드관리부(20)에 의해 보관된 보관파일을 사용자단말기의 조작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보관파일다운로드관리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프로젝트 진척 및 완성단계 등에서 프로젝트데스트탑 단위로 보관을 한다. 프로젝트데스크탑 단위로 보관함으로써,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이용해 외부에 발표를 수행하거나 프로젝트에 관련한 모든 정보를 1개 장소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관을 마크업랭귀지(markup language)를 이용한 페이지 정보로서 보관해 두면, 당해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웹서버에 등록해 두고 외부에 대해서 홈페이지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예에서 서고 영역에 축적되어있는 파일그룹(46)을 일체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프로젝트데스크탑에 관련된 파일을 보관(archive)된 형태로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관은 서고 영역(38)이 있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즉, 보관파일업로드관리부(20)가 보관대상설정부(18)에 의해서 설정된 1개 또는 그 이상의 프로젝트데스크탑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1개의 보관파일에 보관한다. 예를들면, 1개의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프로젝트데스크탑 전체를 나타내는 페이지, 회의실에서의 게시물 등을 따로 기억하는 페이지, 서고 영역(38)에 있는 문서파일,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표시에 쓰이는 영상파일 등을 1개의 폴더에 보관한다. 이때, 보관파일업로드관리부(20)는 문서 파일, 영상파일, 게시물 등을 기술한 페이지의 링크를 고쳐 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관파일업로드관리부(20)는 보관된 파일을 압축하는 압축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보관파일다운로드관리부(22)는 보관파일업로드관리부(20)에 의해서 보관된 보관파일을 사용자단말기의 조작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송신은 보관파일을 다운로드 가능한 상태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운로드 조작을 할 수 있게 하거나 플로피디스켓에 저장하여 메일로 사용자에게 전송해도 된다.
도 4(A)는 복수의 프로젝트별 컨텐츠를 통틀어 검색하는 경우의 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 4(A)에 표시한 예에서는 액세스제어부(12)가 사용자단말기에 입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기능(60), 컨텐츠 검색기능(60)에 의해서 검색된 컨텐츠들이 속해있는 프로젝트를 특정하는 프로젝트 특정기능(62), 프로젝트 특정기능(62)에 의해서 특정된 프로젝트의 프로젝트데스크탑 리스트를 검색결과로서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 리스트 전송기능(64)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검색기능(60)은 텍스트컨텐츠의 텍스트, 회의실에서의 게시물, 서고 영역에 등록되어 있는 문서파일 전문의 검색 등을 수행한다. 프로젝트 특정기능(62)은 컨텐츠 검색기능(60)에 의해서 검색된 컨텐츠나 컨텐츠 구성요소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를 특정한다. 프로젝트데스크탑 리스트 전송기능(64)은 프로젝트 특정기능(621)에 의해서 특정된 프로젝트의 프로젝트데스크탑 리스트를 검색결과로서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한다. 도 4(B)는 이러한 검색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 문자를 포함한 문서파일을 가진 프로젝트리스트(68)를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 검색결과로부터 해당 문서파일 및 해당 문서파일이 작성된 프로젝트에 관계된 정보 리스트인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검색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검색대상과 관련성이 높은 정보에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문서파일 및 텍스트데이터의 작성과정 및 작성의도를 쉽게 이해하게 된다.
도 5는, 도 1 등에 도시한 구성에서 프로젝트에 관련된 정보 관리(프로젝트 관리방법)의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도 1 등에 도시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사용해서 프로젝트에 관계한 데이터의 생성 및 관리를 지원한다. 우선, 프로젝트별로 각 프로젝트에 포함된 컨텐츠를 등록한다(단계 S1: 프로젝트별 컨텐츠 등록단계). 이어서, 프로젝트에 속한 구성원에 의하여, 등록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가 검색되거나 액세스된 때에는(단계 S2), 해당 각 컨텐츠나 구성원을 포함하는 프로젝트리스트를 생성한다.(단계 S3, 프로젝트리스트생성단계). 그리고 프로젝트리스트 생성단계(단계 S3)에서 생성된 프로젝트리스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프로젝트 표시를 요구한 때에는 해당 프로젝트에 포함된 모든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액세스할 때 쓰이는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형태로서 생성한다(단계 S4, 프로젝트데스크탑 생성단계).
단계 S3에서 프로젝트 리스트 생성의 객체가 되는 액세스에는, 등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가 검색된 경우와 컨텐츠에 속한 구성원에 관해서 액세스되는 경우가 있다. 구성원의 액세스에 의한 프로젝트데스크 리스트 표시의 예를 들면, 구성원 리스트를 생성할 때 각 구성원이 속한 프로젝트명칭을 표시하는 경우, 각 사용자용 데스크탑에 해당 사용자가 소속한 프로젝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 특정 사용자 이름으로 검색이 이루어진 경우 등이 있다. 컨텐츠 검색은 도 4에 도시한 경우와 동일한 모양을 갖는다.
도 6은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생성처리(S4)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프로젝트데스크탑 생성단계(단계 S4)에서는, 우선, 표시요구를 하는 사용자의 로그인 ID 등을 특정하고(단계 S11), 이어서, 사용자가 표시 요구대상인 프로젝트의 구성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자속성을 판정한다(단계 S12: 프로젝트별 사용자 속성 판정단계). 그리고, 표시요구된 프로젝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권한과 표시요구를 했던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 각 컨텐츠에 대해서 해당 사용자에게 표시요구를 허가할 것인가 또는 어떠한 조작을 허가해 줄것인가를 판정한다(단계 S13: 컨텐츠별 권한판정단계). 그리고, 컨텐츠별 권한판정단계에서 판정된 표시 및 조작에 대한 권한에 따라서 각 컨텐츠영역을 생성함과 동시에 당해 콘탠츠영역이 일체화된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서 생성한다(단계 S15: 컨텐츠영역 일체화된 페이지 생성단계).
단계 S11에서는 세션 중의 로그인ID와 사용자 ID 등을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한다. 단계 S12에서는, 표시요구된 프로젝트에 대한 리더, 구성원 등의 사용자 속성을 해당 사용자 ID 및 로그인 ID 등으로부터 판정한다. 표시요구에는 프로젝트 명칭에 의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링크의 조작표시를 요구하는 경우, 검색결과로서 프로젝트 명칭을 표시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프로젝트의 리더가 구성원 이외에는 프로젝트데스크탑에의 액세스를 완전히 금지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 등에서 검색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그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의 링크는 나타나지 않게 된다.
단계 S14에서는 실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하는 경우에 각 프로젝트별, 각 컨텐츠별로 정해진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각 컨텐츠의 생성을 제어한다. 단계 S15에서는 단계 S14에서 생성한 각 컨텐츠영역을 일체화시켜 전체의 컨텐츠를 하나의 페이지안에 들어가는 항목으로 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한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한 프로젝트 활동 지원방법에 의하면,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단위로 해서 정보 등록 및 열람을 할 수 있고 나아가 프로젝트별, 컨텐츠별로 사용자속성에 따른 액세스권한을 설정하여 보안 관리를 한다, 따라서, 복수의 프로젝트가 병행해서 있는 경우에도 간단한 조작으로 액세스 권한을 관리하는 한편 각 프로젝트에 필요한 정보의 등록 및 열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A)는 본 실시 형태로서 하드웨어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7(A)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한 프로젝트 활동 지원시스템(2)은 하드웨어로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CPU(70), CPU(70)에 기억영역을 제공하는 주기억부(72)와 하드디스크 등의 보조기억부(74), CD-ROM등 기억매체(78)로부터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읽어내는 디스크드라이브(76), 도시되진 않았지만 표시장치 및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기억장치(74)는 컨텐츠의 내용, 각 프로젝트별로 설정된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권한에 관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3)로서 저장한다.
도 7(A)에 도시된 CPU가 프로젝트 활동 지원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에, 도 7(A)에 도시된 서버(2)는 도 1에 도시한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으로 기능을 한다. 프로젝트 활동 지원 프로그램은 기억매체(78)에 실려있고, 서버(2)의 디스크 드라이브(76)까지 운송된다. CPU(70)는 디스크 드라이브(76)를 제어하여 기억매체(78)에 저장된 프로젝트 활동 지원 프로그램을 보조기억부(74)에 설치한다. 또한 네트워크(5)를 통해서 다른 서버로부터 프로젝트 활동 지원 프로그램 전체나 일부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프로젝트 활동 지원 프로그램에는 컴파일된 프로그램 외에도 데이터베이스를 구동시켜서 소정의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스크립트(script), 페이지 데이터의 작성에 필요한 영상파일 등을 포함한다.
프로젝트 활동 지원 프로그램에는, 서버(2)의 CPU(70)를 동작시키는 명령으로서 다음의 명령을 구비한다. 즉, 프로젝트별로 각 프로젝트에 포함된 컨텐츠를 등록시키는 프로젝트별 컨텐츠 등록명령, 등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컨텐츠가 검색되거나 프로젝트에 속한 구성원에 관해서 액세스된 때에 해당 각 컨텐츠 또는 구성원을 포함한 프로젝트 리스트를 생성시키는 프로젝트리스트생성명령, 프로젝트 리스트생성명령에 따라 서버에 의해 생성된 프로젝트리스트에 기초해서 사용자로부터 프로젝트의 표시요구가 있게 되는 경우에 해당 프로젝트가 가진 모든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또는 액세스하기 위한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서 생성시키는 프로젝트데스크탑 생성명령을 구비하고 있다. CPU(70)는 이러한 명령을 실행하여 도 5에 도시한 처리를 실현한다. 또한, 프로젝트데스크탑 생성명령이 도 6에 도시한 각 단계에 대응되는 명령을 갖도록 함으로써 CPU(70)는 도 6에 도시한 처리를 실현한다. 나아가 프로젝트활동 지원용 프로그램은 도 1 등에 도시한 각 부분 및 각 기능에 맞는 명령을 구비하고, 서버(2)는 도 1 등에 도시한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으로서 동작한다.
CPU(70)나 서버(2)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CPU를 동작시키는 명령"이라는 언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만을 가지고 CPU(70) 등을 동작시키는 명령 및, 보조기억부(7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의존해서 CPU(70) 등을 동작시키는 명령 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별 컨텐츠등록명령"은 프로젝트별로 각 프로젝트에 포함된 컨텐츠를 등록시키기 위해, 등록용의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페이지를 사용자단말기(1)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넘겨주는 명령만 해도 된다. 이 경우, 기억매체(78)에는 프로젝트별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프로그램은 포함되지 않고 등록용 페이지 생성을 수행하는 프로그램만이 실려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작동은 서버(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과의 관계에 따라서 정해진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단일 서버(2)와 단일 CPU가 제공되어 있지만, 복수의 CPU를 구비하고 있는 1대의 서버로 구성하거나 복수의 서버에 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다. 서버에서의 파일관리 방안으로서는, 프로젝트별 컨텐츠데이터의 액세스권한을 루트(super user)만 하게하고, 루트권한에서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실제의 컨텐츠별로 보안확보를 편집 버튼 기능 등에 의해서 실행하게 해도 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는 서버(3)의 관리하에 있는 것이기만 하면 다른 컴퓨터나 데스크장치에서 구축하여도 된다.
도 7(B)는 네트워크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경우의 서버(2)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버(2)는 HTTP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는 웹서버(80) 및, 웹서버를 통해서 입력된 스크립트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SQL 문자 등을 발행하고 검색결과를 페이지정보의 일부로서 웹서버(80)에 회신하는 DB구동부(82) 및, 데이터베이스(DB)(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버(2)는 웹서버(80)나 DB구동부(82)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사용자단말기(1)에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동시에 수신된 전자메일에 대해서 자동응답하고, 수신한 전자메일의 기술내용을 DB에 등록하는 메일서버(84)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일송수신부(84)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프로젝트테스크탑에 변화가 생긴 때에 해당 구성원에게 전자메일을 송신한다든지, 첨부파일을 포함하는 전자 메일로 서고 영역에 등록을 수행한다든지, 프로젝트데스크탑별로 전자메일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질문을 수신하는 것 등이 가능해 진다. 또한, 로그인 사용자와 웹 페이지내에서 전자 메일을 송수신을 할수 있는 웹메일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웹메일 기능은 개인 데스크탑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예]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트 데스크탑 등의 페이지를 생성하는 페이지 생성제어기(130)와, 문서관리를 행하는 문서관리부(140)와, 프로젝트별 및 컨텐츠별 사용자 속성에 따른 액세스권한을 관리하는 액세스제어부(150)와, 프로젝트의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제어하는 검색제어기(160)와,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저장(save)을 제어하는 저장제어기(17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서버(2)가, 사용자단말기에 소정의 페이지를 송신함과 동시에 해당 페이지에 대한 조작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4)와, 이 통신제어부(4)에서 수신한 조작정보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컨텐츠데이터를 읽어냄과 동시에 각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한 모든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또는 액세스하는데 쓰이는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서 생성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31)는 텍스트(40)을 표시하는 텍스트영역(32)과, 사용자의 발언(44)을 기록/표시하는 회의실영역(36)과, 사용자로부터 운송되어온 파일(46)을 관리하는 서고 영역(38)을 컨텐츠로 포함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30, 도 10 참조)을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의실영역(36)과 서고 영역(38)을 1개의 페이지인 프로텍트데스크탑 안에 설치하기때문에, 소프트웨어의 절체를 하지 않고서도 프로젝트의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일체적으로 손쉽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각 페이지의 대표적인 접속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여기서의 그림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각 구성요소간의 관계에 의해 발생되는 이점에 관해서는 개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의 탑 페이지으로부터 프로젝트 리스트를 나타내는 프로젝트리스트 페이지(100), 로그인 ID를 가진 사용자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사용자리스트 페이지(101), 프로젝트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용 페이지(102),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페이지(103) 및 로그인사용자에 대한 개인 전용 페이지로 되는 개인 데스크탑 페이지(104)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이것들은 또한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다.
각 페이지(110,101,102,103,104)에는,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의 링크가 설치되어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리스트 페이지에는 각 사용자가 속한 프로젝트 명칭을 링크로서 기술하는 것이 가능한다. 저장용 페이지(103)를 이용해서 저장을 하는 경우에도 프로젝트의 선택을 하기 위해 프로젝트데스크탑 명칭이 표시된다. 또한 개인데스크탑(104)에 개인이 소속한 프로젝트 리스트를 표시하게하고, 해당 프록젝트데스크탑에 갱신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데스크탑(104)에 갱신이 있다는 표시를 하게 해도 된다.
새로운 프로젝트의 추가 및 기존의 프로젝트의 삭제를 수행하기 위해 프로젝트리스트 페이지(100)부터 프로젝트 추가/삭제 페이지(110)를 불러 낼 수 있다. 또한 개인데스크탑(104)에는 웹메일을 관리하기 위해 웹메일 페이지(111)을 불러 낼 수 있다. 나아가 로그인ID를 가지지 않은 방문자의 페이지 및 시스템관리자 전용 페이지 등 각종의 페이지를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상술한 것처럼, 프로젝트데스크탑(30)에는 텍스트영역(32), 회의실영역(36), 서고영역(38)이 포함된다. 또한 프로젝트데스크탑안에 컨텐츠 명칭 리스트인 목차영역(33), 해당 프로젝트에 소속해 있는 구성원들을 나타내는 구성원 리스트 영역(34)를 구비할 수 도 있다. 이들 컨텐츠 영역은 프로젝트의 리더뿐만 아니라 리더의 허가가 있는 경우에는 구성원에 의해서 작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 및 도 1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서 실현하는 기능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러한 기능의 구체적 실현방법 및 데이터구조 등은 후술한다. 우선, 데스크탑은 프로젝트 명칭(201)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영역의 실시형식으로서 3가지 표시를 준비하고 있다. 즉, 전체로 표시되는 "전체 디스플레이(full size)"와, 컨텐츠의 내용이 아닌 컨텐츠 명칭만을 표시하는 "생략디스플레이(name only)"와, 그 사이에서 컨텐츠 영역에 스크롤 바(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구비하여 조그마한 영역내에서 표시하는 "중간디스플레이(scroll)"가 있다. 표시형태의 명칭은 각 컨텐츠별로 다르다. 예를 들어 텍스트영역에서는 "전문(full text)", "3단", "없음(생략)"으로 되고, 회의실영역에서는 "전개(큰 프레임)", "축소(작은 프레임)", "없음(생략)"으로 된다.
프로젝트데스크탑은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속한 각 컨텐츠 전체를 전개시키기 위하여 축소버튼(202)과, 반대로 내용을 생략해서 표시하기 위한 전개버튼(203)을 실행버튼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0)는 축소버튼(202) 또는 전개버튼(203)의 조작에 따라서 콘텐트 영역의 화면을 제어한다. 데스크탑 설정버튼(204)은 데스크탑 설정용도로 쓰이는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데스크탑 설정용 페이지를 사용하여 새로운 컨텐츠의 생성작업이 수행된다.
각 컨텐츠는 컨텐츠 명칭, 표시형식을 선택하는 표시형식 선택리스트(207), 해당 컨텐츠 영역의 내용 등을 편집하기 위한 페이지를 표시하는 편집버튼(206),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첫부분에 링크되는 링크버튼(205) 및, 해당 컨텐츠의 내용들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목차 영역(41)는 각 컨텐츠 영역의 명칭을 "1단리스트(one column list)"라는 지정에 따라 표시하고 있다. 또한, 텍스트영역의 명칭은 "프로젝트 내용"이고, 해당 내용 설명은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해서 등록된다.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의 등록, 갱신, 삭제는 편집버튼이 조작될 때에 표시되는 텍스트데이터 편집용 페이지에서 수행된다.
구성원 리스트 영역(34)에는 서열1번 리더 "마코토 와다"와 2번 리더 "유이치로야마다" 등이 등록되어 있다. 구성원의 추가 및 삭제도 해당 편집버튼에 의해서 표시되는 구성원 편집용 페이지에서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열1번의 구성원을 리더로 하고 있다. 리더는 각 컨텐츠의 액세스권을 결정하는 권한을 가진다. 이 서열은 구성원 리스트영역의 편집버튼에 의해 표시되는 구성원 리스트 편집용 페이지에서 편집될 수 있다.
회의실 영역(36)에는 회의실 자체의 표시형식은 부호 207에서 나타난 표시형식 선택리스트에 따라 표시되고, 발언의 표시형식은 부호 214에서 도시한 발언표시형식 선택리스트(214)에서 선택된다. 또한 새로운 발언을 하기 위한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신규버튼(212)과, 발언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페이지를 생성하는 검색버튼(213)을 구비하고 있다. 발언에 대한 회신을 위하여 발언내용을 표시한 페이지에 회신버튼을 배치 할 수도 있다. 또한 회의실 영역(36)의 재설정을 하기 위한 페이지를 구동하는 설정버튼(211)도 구비되어 있다.
회의실 컨텐츠(44)는 각종 조작버튼이 배치된 회의실 제어영역(44A)과, 회의실에 관계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텍스트를 표시하는 공지표시영역(44B)과, 발언 내용의 명칭 및 내용을 표시하는 발언표시영역(44C)을 구비하고 있다.
도 11에 표시된 것처럼, 서고 영역(46)는 문서관리제어영역(46A)과 실제 등록된 문서파일의 파일명을 가상적 디렉토리구조로 표시하기 위한 문서파일명표시영역(46B)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 디렉토리구조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루트디렉토리로 하고 그중에서 복수의 폴더를 계층적으로 정의하여 문서의 종류 등에 따라 문서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문서파일명 표시영역(46B)에서 표시형식은 표시형식 선택리스트(225)에서의 선택에 따른다. 서고 영역의 표시 크기는 도 11의 부호 207로 표시한 표시형식 선택리스트(225)를 이용해서 결정한다.
문서파일에 대한 조작버튼으로서는 서고 영역(46)에 등록되어 있는 문서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1)에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버튼(220)과, 서고 영역(38)또는 다른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있는 문서파일을 복사 또는 이동하기 위한 복사버튼(221) 및 이동버튼(222)과, 등록된 문서파일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버튼(22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서고 영역 내에 있는 가상적디렉토리(폴더)를 작성하기 위한 작성버튼(226)과, 폴더명 등을 편집하기 위한 폴더편집버튼(224)이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단말기(1)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를 서버(2)의 서고 영역(38)에 등록하는데는 등록할 문서파일의 선택과 등록조작을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는 참조버튼(229)은 사용자단말기(1)의 오퍼레이팅시스템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단말기(1)에 있는 문서파일의 선택화면을 해당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등록할 문서파일을 이 선택화면을 이용하여 선택하면 해당 선택된 파일의 저장위치가 필드(230)에 입력된다. 그후, 등록버튼(228)이 조작되면 서버는 선택된 파일을 수신한다.
문서파일명 표시영역(46B)에서는 우선 현재 표시중인 폴더계층을 현재의 경로(231, path)로서 표시한다. 현재의 폴더에 포함된 모든 폴더의 전개 및 전개한 폴더를 닫는 등의 조작을 행하는 버튼(232), 현재의 폴더에 포함된 폴더를 표시하는 폴더표시영역, 그리고 현재의 폴더에 포함된 문서파일의 문서파일명 및 폴더명을 표시하는 파일명 표시영역(233)이 구비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이용함으로써,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문서파일의 공유나 회의실에서의 발언 등, 일반적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해서 진척해가는데 필요한 정보 공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젝트데스크탑이각 프로젝트별로 작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프로젝트가 동시 진행되는 경우에도 각 프로젝트별로 필요한 정보가 전자적으로 분실되거나 검색에 긴 시간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속성에 따른 액세스제어---
다음으로 리더, 구성원, 비구성원 로그인사용자, 로그인ID없이 방문한 자 등 각 프로젝트별로 정해진 사용자 속성에 따라 프로젝트데스크탑 전체 또는 각 컨텐츠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3)가 프로젝트별로 설정된 해당 프로젝트 리더 또는 구성원 등의 프로젝트에 대한 속성을 각 프로젝트별로 기록한 프로젝트 사용자테이블(254)과 이들 프로젝트에 속한 컨텐츠별로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권한을 기록한 프로젝트 컨텐츠테이블(258)을 구비하고 있다.(도 13 참조)
그리고, 도 8에 표시한 것처럼, 서버(2)의 액세스 제어기(150)는 통신제어부(4)를 통해 통신(session)중인 사용자의 당해 통신 대상 프로젝트에 관한 속성을 프로젝트 사용자테이블(254)을 사용해서 판정하는 프로젝트별 사용자 속성판정부(151) 및 프로젝트별 사용자속성제어부(151)에 의해 판정된 액세스사용자의 프로젝트에 대한 속성과 프로젝트 컨텐츠테이블(258)에 기록된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에 기초해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각 컨텐츠 표시 및 조작내용을 제어하는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젝트별 사용자 속성판정부(151)는 프로젝트 사용자테이블(254)을 사용해서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 속성을 판정한다.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152)는 프로젝트 컨텐츠테이블(258)을 사용해서 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을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작성자인 리더가 해당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대한 컨텐츠의 액세스 권한을 결정하도록 촉구한다. 이처럼, 구성원 리스트를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필수항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구성원 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구성원 및 비구성원에 대한 액세스권한을 설정해야만 하는 리더의 고려를 쉽게 해준다.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131)는 프로젝트 사용자 테이블(254)에 저장된 프로젝트 구성원 리스트에 기초해서 각 프로젝트데스크탑별로 구성원의 리스트를 표시 및 추가하기 위해 구성원 리스트 영역(34)을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리더가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컨텐츠 영역을 추가한다. 리더가 컨텐츠 영역을 작성할 때에, 서버는 새롭게 작성한 콘텐트영역의 액세스권한을 특정하도록한다. 예를 들어, 초기설정(디폴트)의 액세스권한을 표시하여 그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젝트데스크탑 전체에 대한 액세스권한을 제한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3)가 프로젝트데스트탑 전체에 대한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을 기록한 프로젝트테이블(252)을 구비하고, 서버는 프로젝트별 사용자속성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사용자 속성에 기초해서 해당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액세스권을 설정하는 프로젝트별 액세스설정부(153)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2는 기업 및 대학 등의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실시예로서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 속성과 각 속성별 액세스권한의 관계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를 시스템관리자, 프로젝트(PJ)리더, 프로젝트 구성원, 등록 사용자(로그인 ID를 가진 사용자), 로그인 ID를 가지지 않은 일반 방문자로 분류한다. 프로젝트데스크탑의 리스트 및 구성원 리스트는 모든 사용자에 대해서 표시가능으로 해 놓았다. 프로젝트데스크탑 전체에 관해서 시스템관리자와 프로젝트리더는 보안레벨을 변경가능(full access)(◎)으로 고정되어 있다. 프로젝트리더 및 시스템관리자는 프로젝트구성원에 대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액세스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내용은 변경가능(write)(O), 표시가능(read)(△), 표시불가(none)(X)의 세종류이다. 도 12에 도시한 예에서는 일반 방문자에 대해서는 강제적으로 변경을 불가로 하고 있다.
컨텐츠에 관해서도 시스템관리자 및 프로젝트리더가 액세스권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서고 영역에서 다운로드, 복사불가 등 콘텐트 영역에 맞는 설정을 사용자 속성별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개별 로그인ID를 가진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 액세스권한을 정하지는 않는다. 어디까지나 프로젝트에 대한 역할에 따라서 액세스권한을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로젝트리더는 복잡한 설정작업을 하지 않고도 충분히 액세스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사용자의 추가, 삭제 및 프로젝트구성원의 추가, 삭제 등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에 변화가 있어도 액세스 권한을 재설정할 필요가 없다.
도 13은 도 8에 도시한 구성에서 사용하는 데이타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데이타구조는 도 8에 도시한 프로젝트활동 지원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프로젝트활동에 쓰이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를 이룬다. 프로젝트활동 지원용 데이터는 복수 사용자의 사용자ID, 로그인사용자명, 로그인용 패스워드, 사용자의 연락처 등의 사용자정보를 각각 기록한 사용자 테이블(2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활동 지원용 데이터는 복수의 프로젝트를 식별하는 프로젝트ID와 해당 프로젝트ID별로 프로젝트명과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권한을 기록한 프로젝트테이블(252)과 각 프로젝트에 속한 사용자의 로그인ID와 사용자 속성을 이루는 각 사용자의 순서(order)를 기록한 프로젝트 사용자테이블(25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용 데이터는 각 프로젝트별로 생성된 회의실영역 또는 서고 영역 등의 컨텐츠의 종류를 기록한 컨텐츠테이블(256) 및 각 프로젝트에 속한 콘텐트의 컨텐츠ID, 각 컨텐츠의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 각 콘텐트의 표시순서(컨텐츠순서 데이터)를 기록한 프로젝트 컨텐츠 테이블(258)을 구비하고 있다. 각 컨텐츠의 표시순서는 예를 들면, 서고 영역과 회의실영역 중 어느쪽을 상단에 올릴것인가 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내에서의 표시순서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트 사용자 테이블(254)은, 서버(2)에 의해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이 생성된 때에, 해당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표시요구를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속성 판정에 사용된다. 또한, 프로젝트 컨텐츠테이블(256)은 사용자속성별로 액세스권한에 따른 컨텐츠의 표시형태의 판정에 사용됨과 동시에 각 컨텐츠의 표시순서를 특정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젝트 컨텐츠테이블(258)은 해당 프로젝트가 속한 컨텐츠의 프로젝트데스크탑에서의 표시순서를 기록한 컨텐츠순서데이터를 가진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프로젝트 데스크탑 생성부(131)는 컨텐츠순서데이터에 기초해서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읽어옴과 동시에 컨텐츠별 액세스 제어부(152)에 의해서 설정된 액세스 권한에 따라서 컨텐츠 영역을 순차묘사하는 컨텐츠영역 묘사기능(131A)과, 컨텐츠영역 묘사기능(131A)에 의해 묘사된 컨텐츠 영역을 컨텐츠순서데이터의 순서대로 한 페이지의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서 합성제어하는 합성제어기능(131B)을 구비하고 있다.
컨텐츠 영역 묘사기능은 액세스권한에 따른 컨텐츠영역의 편집버튼 등의 사용 허가 또는 사용 불허를 설정해서 액세스를 제어 한다. 또한, 표시형식선택리스트(207) 등에서 설정된 표시형식에 따라 컨텐츠내용을 페이지 일부로서 묘사한다. 합성제어기능(131B)은 컨텐츠순서 데이터에 지정된 순서에 따라 각 컨텐츠 영역을 합성해서 한 페이지로 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작성한다. 합성제어기능(131B)은 컨텐츠 합성이 완성된 후에 사용자단말기에 해당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순서데이터에 따른 순서대로 컨텐츠영역을 생성하고 생성완료 후에 컨텐츠영역별로 사용자단말기(1)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순서 데이터는 데스크탑 설정버튼(204)의 조작에 의해서 표시되는 데스크탑 설정용 페이지에서 변경 및 갱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갱신은 리더가 한다.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대한 구성원의 액세스권한이 가능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구성원도 해당 컨텐츠 순서 데이터를 편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순서데이터는 프로젝트ID별로 한 개 존재하지만, 하나의 프로젝트데스크탑내의 컨텐츠에 관해서 각 구성원의 흥미의 대상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각 구성원별로 컨텐츠순서데이터를 정의하도록 해도 될 것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한 구성에서의 사용자 속성판정 처리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에 도시한 처리단계는 도 8에 도시한 프로젝트별 사용자 속성 판정부(151)의 상세동작을 형성한다.
도 14에 도시한 예에서는 우선,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액세스하는 세션(session)중인 사용자의 ID를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한다(단계 A1). 이어서 그 사용자가 로그인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단계 A2),로그인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한 일반 방문자로 판정한다(단계 A3). 반면에 로그인 사용자로 판정된 경우에는 액세스대상인 프로젝트의 ID에 기초해서 프로젝트 사용자테이블(254)을 읽어오고(단계 A4), 해당 로그인 사용자가 해당 프로젝트의 구성원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A5). 그리고 프로젝트 구성원이 아닌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한 등록 사용자로 판정한다(단계 A6).
한편, 프로젝트 구성원인 경우에는 프로젝트 사용자테이블로부터 사용자순서데이터를 읽어오고, 해당 사용자의 서열데이터가 1인가 아닌가를 판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프로젝트의 리더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A7). 프로젝트 리더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세션의 로그인사용자를 프로젝트 구성원으로 판정한다(단계 A8). 서열데이터가 1인 경우에는 이 사용자를 리더로 판정한다(단계 A9). 도 14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 의해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액세스한 사용자의 사용자속성이정해진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표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예에서는 HTML 페이지를 표시한 브라우저에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이 표시되어 있다.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상부에는 사용자명과 패스워드의 입력 필드가 있어서 로그인 또는 로그아웃을 작업을 수행한다.
"홈(home)"은 프로젝트 활동 지원시스템의 홈페이지에 링크되어 있다. "프로젝트리스트"는 도 9에 도시한 프로젝트 리스트페이지(100)로 링크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리스트", "개인데스크탑", "검색"은 각각 사용자리스트 페이지(101), 개인데스크탑 페이지(104), 검색페이지(102)로 링크된다. 도 15에 도시한 예에서는 대학 연구실 내에서의 연구테마를 프로젝트로 한다.
도 15에 도시한 예에서 프로젝트의 개요를 도시한 텍스트 영역(32)에 있는 연구내용의 개요는 리더에 의해서 기술된다. 구성원은, 리더인 연구자(전력공학연구실), 지도교수, 같은 연구실안에 있는 사람, 제휴하고 있는 기업(Dolphin Net)내의 연구자, 실험의 보조자 등이 된다. 회의실은 리더에 의해서 질문박스라고 이름이 붙여져 있으며, 프로그래밍언어의 선정 등에 관해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젝트에 관해서 등록된 문서파일의 일례로서, A사에서의 도입사례, CV 케이블의 경량화에 관한 문서 등이 있다..
도 16은, 도 8에 도시한 구성에서 도 15 등에 나타내는 프로젝트데스크탑(PJ-DT)의 표시처리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에 도시한 예에서는 우선 도 14의 도시된 처리과정에 따라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액세스한사용자의 속성을 판정한다(단계 B1). 이어서 프로젝트테이블(252)를 참조해서 해당 사용자 속성에 따른 프로젝트에 대한 액세스권한을 판정한다(단계 B2). 프로젝트의 표시가 불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불능 에러를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해서 처리를 종료한다.
만약, 프로젝트표시가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각 컨텐츠의 표시 및 갱신(쓰기)이 가능인가 불가인가를 판정한다. 우선, 프로젝트컨텐츠테이블(256)의 컨텐츠표시순서데이터를 참조해서, 표시할 컨텐츠의 종류 및 컨텐츠의 표시순서를 특정한다.(단계 B4) 이어서, 프로젝트 컨텐츠 테이블(258)을 참조해서 표시대상 컨텐츠의 액세스권한을 사용자속성에 기초해서 판정한다(단계 B5). 나아가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컨텐츠의 표시형식을 설정한다(단계 B6). 예를 들어 조작버튼의 사용가/불가 여부를 제어한다. 이어서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는 표시형식에 따라서 컨텐츠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읽어오고 페이지의 일부로서 컨텐츠 영역을 묘사한다(단계 B7). 컨텐츠 영역의 묘사처리는 각 컨텐츠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그램루틴을 구성할 수도 있다.
컨텐츠의 묘사가 종료되면, 컨텐츠 표시순서데이터를 참조해서 다음 컨텐츠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정하고(단계 B8), 다음 컨텐츠가 있으면 프로세싱은 단계 B4부터 반복되어 처리된다. 만약 더이상 다음 컨텐츠가 없으면 작성순서에 따라 컨텐츠 영역을 합성한다(단계 B9).
-------프로젝트 및 컨텐츠의 신규작성-------
도 17은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젝트데스크탑 작성용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7(A)는 프로젝트 작성용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고, 도 17(B)는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초기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7(A)에 도시한 것처럼, 새로운 프로젝트 작성시에는 프로젝트명과, 일본어에 대해서 다양한 정렬을 편하게 하기 위한 "후리가나(일본어 발음문자)", 프로젝트데스크탑에 포함될 컨텐츠의 지정을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중에서 목차, 개요텍스트, 구성원 리스트는 초기설정시에 프로젝트데스크탑에 포함된 컨텐츠로 되어있다. 도 17(A)에 도시된 조건에서 저장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 도 17(B)에 도시한 프로젝트데스크탑이 생성된다. 목차 영역에 작성되는 내용물은 자동생성된다. 도 17에 도시한 예에서는, 개요텍스트 영역에는 아무 내용도 생성되어 있지 않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서 텍스트데이터(텍스트영역)를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추가 또는 갱신한기 위한 텍스트편집용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러한 텍스트편집용 페이지는 텍스트 영역(32)의 편집버튼이 조작될 때에 표시된다. 따라서, 텍스트 갱신을 할 수 없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이 텍스트 영역의 편집버튼의 조작을 불가로 해야한다. 도 18에 도시한 예에서는 개요 텍스트의 타이틀, 텍스트영역의 표시형식(표시모드), 내용에 관해서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세션중 사용자가 리더인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한 것처럼 보안(security) 지정을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텍스트 컨텐츠에 관해서 지금까지의 변경기록(로그)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 18에 도시한 상태에서 저장버튼이 조작되면 도 16의 부호 32에서 도시한 텍스트영역(32)을 갱신하게 된다.
도 19는 프로젝트 편집용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러한 프로젝트 편집용 페이지는, 도 15에 도시한 데스크탑 편집버튼의 조작에 의해서 표시된다.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편집에서는 프로젝트명의 변경, 컨텐츠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도 18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리더로 하여금 사용자속성별로 보안 설정을 하도록 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서 서고 영역을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추가한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것처럼, 프로젝트의 진행에 따라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이 성장해 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연구실의 교수는 각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열람함으로써 각 연구프로젝트의 진척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상황에 따라서 지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를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한 예에서, 동경과 캘리포니아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프로젝트를 1개의 프로젝트데스크탑에서 관리하며 그것을 런던에서 회의실에 참가해 있는 교수가 열람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데스크탑에서의 관리와 확실한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관리에 의해 종래에 어려웠던 프로젝트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검색-------
다음으로, 컨텐츠 등의 검색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에는 도 8에 도시한 검색제어기(160)의 상세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3)는, 프로젝트와 해당 프로젝트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의 리스트를 저장한 프로젝트 사용자 테이블(254)과,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서고 영역(38)을 통해서 송신되어온 문서파일의 저장위치 등을 기억한 문서테이블(260), 문서테이블(260)에 의해서 관리되는 문서파일의 서고 영역(38)에서의 가상적 배치위치를 저장하는 문서폴더테이블(262)를 구비하고 있다. 실제의 문서파일은 관리목적으로 특별 파일명으로 변환되어 서버(2)에 의해서 관리되는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된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한 것처럼, 서버(2)의 검색제어기(160)는, 사용자단말기(1)의 조작에 따라서 여러 프로젝트에 걸쳐서 이들 프로젝트 내의 컨텐츠 및 문서테이블에서 관리하는 문서파일에 대한 검색을 실행함과 동시에 검색결과로서 컨텐츠명 또는 문서명을 특정하는 검색부(161), 검색부(161)에 의해서 검색된 컨텐츠명에 따라서 프로젝트콘테츠테이블(258)을 참조하여 해당 컨텐츠가 속한 프로젝트를 특정하는 제1프로젝트 특정부(162), 검색부(161)에 의해서 검색된 문서명에 따라서 문서테이블(260)과 문서폴더 테이블(262)를 참조해서 해당 문서가 속한 프로젝트를 특정하는 제2프로젝트 특정부(163), 제1, 제2 프로젝트 특정부(162, 163)에 의해 특정된 프로젝트리스트를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링크된 상태로 검색부의 검색결과로서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리스트 송신제어부(16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2는 리스트송신제어부(164)에 의해 생성된 검색결과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검색부(161)는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대상을 특정하도록 한다. 여기서는 문서내용(서고 영역(38)에 등록된 문서파일의 전문검색)이 선택되어 있다. 그리고 키워드로서 "송전케이블"이 입력되어 검색이 실행된다. 이 검색결과로서, 도 15에 도시한 "A사도입사례.doc가 검색된 걸로 한다. 제2프로젝트특정부(163)는 우선 문서테이블(260)을 참조하여 해당문서가 속한 가상폴더ID를 특정한다. 이어서, 제2프로젝트특정부(163)는 문서폴더테이블(262)을 참조해서 가상폴더ID로부터 프로젝트ID를 특정한다. 그러면, 프로젝트테이블로부터 프로젝트명 "지중 송전선에 있어서 Crossbond된 지점에서의 Surges의 분석"을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2에 도시한 예에서는 검색된 문서파일이 1개이기 때문에 프로젝트도 1개로 된다. 리스트 송신제어부(164)는 이러한 프로젝트명을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링크시켜놓은 상태로 검색부(161)의 검색결과로서 사용자단말기에 송신시킨다. 이 검색결과 페이지에서, 프로젝트명은 조작버튼(링크형식)이며 이 프로젝트명을 조작(예컨대 "클릭")함으로서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프로젝트데스크탑을 표시한다.
문서파일에 대한 검색은 서버의 부하가 적은 시간대에 문서파일에 대한 인덱스를 생성시켜두고, 이 인덱스에 기초해서 문서파일을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문서파일로부터 일정한 크기의 요약을 자동적으로 생성하고 검색결과에 포함시켜 놓을 수도 있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처리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에 도시한 처리는 검색제어기(160)의 상세동작 예이다. 우선, 검색대상을 특정한다(단계 C1). 이어서 검색 키워드의 입력을 받는다(단계 C2). 문서내용 전문의 검색인 경우에는(단계 C3), 전문검색엔진을 구동시켜서 문서ID를 취득한다(단계 C4). 이어서 문서테이블(260)을 참조해서 해당 문서가 소속한 가상폴더ID를 특정한다(단계 C5). 그리고 문서폴더테이블(262)을 참조해서 프로젝트ID 및 컨텐츠ID를 취득한다(단계 C8). 이 단계 C4, C5, C8의 처리는 도 21에 도시한제2프로젝트특정부(163)의 동작예이다.
검색 대상이 문서타이틀(문서파일의 파일명)인 경우에는(단계 C6), 문서테이블의 원파일명을 검색해서 가상폴더ID를 특정한다(단계 C7). 이어서, 문서폴더테이블을 참조해서 프로젝트ID와 컨텐츠ID를 취득한다(단계 C8). 단계 C6, C7, C8의 처리는 도 21에 도시한 제2프로젝트특정부(163)의 제2 동작예이다.
검색대상이 텍스트영역, 구성윈 리스트 등인 경우에는(단계 C9), 컨텐츠내용 테이블(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텍스트데이블 등)을 검색해서 프로젝트ID 및 컨텐츠ID를 취득한다(단계 C10). 단계 C9, C10 처리는 도 21에 도시한 제1프로젝트특정부(162)의 동작예이다.
프로젝트가 특정되면, 검색을 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판정한다(단계 C11). 예를 들어, 단계 C11은 도 14에 도시하고 있는 사용자속성판정처리에 의해서 사용자속성을 판정한다(단계 C12). 사용자속성 판정은 특정된 프로젝트별로 행한다. 그리하여, 프로젝트에 대한 액세스요구가 있는 경우에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대한 링크를 표시한다(단계 C13). 만약 프로젝트에 대한 액세스권이 없다면 해당 프로젝트의 링크는 검색결과에 포함되지 않는다(단계 C14). 이러한 처리를 특정되는 프로젝트 전부에 대해서 행한다.
이처럼 검색된 컨텐츠 내용이 소속된 프로젝트를 특정하여 이 프로젝트의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의 링크로서 검색결과를 표시하기 때문에, 주변정보들의 액세스가 쉬워지고 검색된 컨텐츠가 작성된 배경 및 의미들을 파악하기 쉽게된다. 예를 들면, 기억이 희미한 상태에서 검색을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의도한 검색결과로사용자를 이끌수 있다. 또한 과거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자료를 재이용하는 경우에는, 소속했던 구성원이름, 문서파일에서 사용한 키워드, 프로젝트의 개요를 기재한 텍스트 등 다양한 방면으로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전의 자료를 검색하기 쉽다.
------저장-----
다음으로, 서고 영역 및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저장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구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서버(2)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서고 영역(38)을 통해서 송신된 문서파일을 문서테이블(260)에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문서파일을 서고 영역(38)내의 가상적 디렉토리에 배치하는 문서관리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문서관리부(140)는 컨텐츠별액세스제어부(152)에 의해서 설정된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문서파일의 복사 및 삭제 그리고 사용자단말기로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문서조작제어기능(141)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문서관리부(140)에 의해서 관리되는 문서파일을 도 8에 도시한 저장제어기(170)에 의해서 일괄해서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것처럼 저장제어기(170)는, 복수의 제어기 내에 1개 또는 복수의 프로젝트를 저장대상으로 설정하는 저장대상설정부(171)와, 저장대상설정부(171)에 의해서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젝트데스크탑에 포함된 컨텐츠를 하나의 보관파일에 보관(archive)하는 보관파일보관제어부(172)와, 보관파일보관제어부(172)에 의해서 수용된 보관파일을 사용자단말기의 조작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보관파일송신제어부(17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관파일보관제어부(172)가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152)에 의해서 설정된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프로젝트별로 컨텐츠의 내용을 표시하거나 컨텐츠 부분의 링크를 마크업랭귀지(markup language)로 기술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 페이지를 생성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생성기(174)와, 프로젝트데스크탑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이미지데이터 테이블에 저장된 문서파일을 관련 폴더에 저장하는 파일저장기능(175)와, 프로젝트데스크탑 페이지 및 관련 폴더의 내용을 하나의 어카이브(archive)에 저장하는 어카이브압축기능(176)을 구비하고 있다.
도 24(A)는 저장대상으로 할 프로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페이지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저장대상설정부(171)는 도 24(A)에 도시한 것처럼,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선택용 페이지를 생성한다. 또한 저장을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저장대상으로 할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저장을 하는 세션중 사용자의 사용자속성에 따라서 표시가능으로 되어 있는 프로젝트만을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보관파일보관제어부(172)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표시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이것을 보관파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 보관파일을 압축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데스크탑 페이지생성기(174)는, 표시가능으로 되어있는 컨텐츠의 내용을 표시하거나 또는 콘테츠의 부분에 HTML, SML 등의 마크업랭귀지(ML, Markup Language)로 기술되어 있는 링크를 표시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 페이지를 생성한다. 이 프로젝트데스크탑 페이지는 외관상 도 15에 도시한 프로젝트데스크탑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먼저 그 프로젝트데스크탑에서 링크되어 있는 문서파일, 회의실 발언내용 등의 링크정보가 다시 쓰여진다. 다음으로, 내용의 추가 등의 편집을 불가능으로 하기 위해 편집버튼 등을 삭제할 수도 있다.
파일저장기능(175)은 이 프로젝트데스크탑페이지에서 사용하는 이미지데이터 및 텍스트테이블에 저장된 문서파일을 관련 폴더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구성원 리스트에 각 구성원의 얼굴사진이미지를 표시하는 예에서 사용자테이블로부터 해당 얼굴사진 이미지를 읽어 와서 관련 폴더에 저장한다. 트리 형태의 표시를 하는 회의실 등의 경우에는 각 발언내용은 개별적인 ML 페이지로 되기 때문에 해당 발언내용을 기술한 ML 페이지 파일도 관련 폴더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고 영역에 등록된 문서파일도 관련 폴더에 저장한다. 프로젝트데스크탑페이지생성기(174)는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부터 각 문서파일 및 발언내용, 얼굴사진 이미지파일의 링크를 관련 폴더명 등을 이용해서 갱신한다.
어카이브압축기능(176)은 프로젝트데스크탑 및 관련 폴더 내용을 하나의 어카이브에 저장하고 그것들을 압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로젝트데스크탑의 내용 전부가 하나의 파일로 보관되고 압축된다. 압축에 의해서 이 보관파일을 사용자단말기(1)에 송신할 때 통신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보관파일송신제어부(173)는 도 24(B)에 도시한 것처럼 보관파일(예컨대 HTML으로 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다운로드용 페이지를 생성한다. 보관파일송신제어부(173)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서고 영역(38)에 해당 보관파일을 추가할 수도 있다.
도 25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저장처리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5에 도시한 처리는 저장대상설정부(171)와 보관파일보관제어부(172)의 동작예이다. 우선, 저장대상 프로젝트를 도 24(A) 등의 페이지를 조작하여 선택한다(단계 D1). 이어서, 저장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속성에 따라서 보관용 표시형식을 설정한다(단계 D2). 나아가, 프로젝트데스크탑페이지의 표시처리와 동일하게 마크업랭귀지(ML) 페이지를 생성한다(단계 D3). 단계 D3와 병행해서 프로젝트데스크탑에 관련되는 관련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관련 폴더를 작성하고(단계 D4), 서고 영역(38)의 문서파일 등을 관련 폴더에 저장하며 나아가 ML 페이지로의 링크를 정의한다(단계 D5).
이어서, 회의실영역(36)이 있는 경우에는, 회의실의 발언 등의 계층적데이터를 마크업랭귀지(ML) 페이지로 변환하고 링크를 정의한다(단계 D6). ML 페이지 및 관련 폴더를 어카이브에 저장하고(단계 D7), 이 어카이브를 압축한다(단계 D8).
------개인데스크탑------
도 26은 본실시예에 의한 개인데스크탑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6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 데스크탑에 자신이 소속해 있는 프로젝트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즉석에서 표시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서버는, 사용자 각각에 따라 개인데스크탑을 생성하는 개인데스크탑생성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데스크탑 생성부(132)가 사용자로부터 개인데스크탑 표시요구를 수령한 때에는, 개인데스크탑생성부(132)는 프로젝트사용자테이블(254)을 참조해서 해당 사용자가 소속한 프로젝트리스트를 표시하는 소속 프로젝트리스트영역을 생성하는 소속 프로젝트리스트영역생성기능(132A)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프로젝트리스트 영역생성기능(132A)에 의해서 생성한 프로젝트리스트중의 프로젝트 컨텐츠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변경의 유무를 알려주도록 해당 프로젝트리스트영역에 추가하는 변경통지기능(132B)를 구비하고 있다.
소속 프로젝트리스트영역생성기능(132A)은 프로젝트 사용자테이블(254)을 참조하여 그 사용자가 소속한 모든 프로젝트ID를 취득한다. 게다가, 도 26에 도시한 예에서 보듯이, 프로젝트테이블을 참조하고서 프로젝트ID로부터 프로젝트명을 취득하고 이 프로젝트명을 프로젝트데스크탑 링크로서 개인데스크탑에 표시한다. 또한 각 프로젝트데스크탑에서 변경로그를 관리하는 실시예에서, 현재부터 일정기간내 동안 해당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 개인 데스크탑에 표시된 프로젝트명의 링크에 변경이 있음을 알려주는 표시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한 예에서는 "새로운 내용갱신, 일시"를 표시한다. 또한 갱신된 컨텐츠영역명을 표시하거나 변경자 이름을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개인 데스크탑에는 각 프로젝트데스크탑을 대신해서 개인 정보를 편집하거나 각 로그인사용자에 주어진 웹메일기능을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젝트 리스트페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서버(2)는 프로젝트의 리스트를 프로젝트리스트 페이지로서 생성하는 프로젝트리스트페이지 생성부(133)를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프로젝트리스트페이지 생성부(133)가 프로젝트사용자테이블(254)을 참조해서 각 프로젝트에 소속한 사용자명을 해당 프로젝트리스트 페이지의 각 프로젝트별로 부가하는 사용자명 부가기능(133A)를 구비하고 있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리스트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예에서는 전개버튼이 조작되는 때에 사용자명 부가기능(133A)에 의해 프로젝트 리스트의 표시에 각 프로젝트에 속해 있는 구성원의 이름이 부가되어 표시된다.
-----사용자 리스트 페이지-----
도 8을 참조하면 서버(2)는 사용자의 리스트를 사용자리스트 페이지로서 생성하는 사용자리스트페이지생성부(134)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리스트페이지생성부(134)는 프로젝트사용자테이블(254)을 참조해서 해당 사용자리스트 페이지에, 각 사용자가 속한 프로젝트명을 사용자별로 나타내는 프로젝트명 부가기능(134A)을 구비하고 있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28에 도시한 전개버튼이 조작된 때에는 프로젝트명 부가기능(134A)에 의해 사용자명에 그 사용자가 소속하고 있는 프로젝트명을 부가한다.
------사용예-------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데스크탑 완성까지의 일반적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프로젝트 발생으로부터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이용한 안건상정, 검토, 프로젝트 완료시에 HTML로 보관되어 있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이용, 나아가 프로젝트완료후의 정확한 정보의 보관까지, 본 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트활동 지원시스템은 프로젝트 진행에 따라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이 성장되어 간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진척상황을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활동에 관한 정보 및 활동내역이 프로젝트데스크탑이라는 전자적 형태로 기록되기 때문에, 보관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이나 정보의 보관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프로젝트의 구성원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 성과가 집약되어 프로젝트데스크탑 내에서 완성되어 가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진척에 맞춰서 정보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액세스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사용자에 대해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액세스 경로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프로젝트에 소속해 있는 본인에 대해서는 자신의 개인데스크탑에 프로젝트데스크탑의 링크가 자동 표시되며, 조직내에서 프로젝트명을 알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프로젝트리스트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프로젝트명을 모른다거나 망각하고 있어도 프로젝트 구성원을 알고 있는 경우에 구성원 리스트로부터 그 프로젝트를 확정할 수 있다. 게다가 특정 분야에 관해서 흥미가 있는 조직 바깥의 사용자 및 일반 방문자에 대해서는 문서파일의 전문검색으로부터 텍스트영역의 검색까지, 키워드에 따른 다양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그 검색결과로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링크를 표시하는 실시예인 경우에는 검색자가 본래 의미하고 있는 정보에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의 존재 및 구성원 이름 등을 잊어버리거나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키워드에 의한전문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에 대해 액세스가 용이해 진다.
도 3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활동 지원시스템의 사용예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1에 도시한 예는, 프로젝트활동 지원시스템을 훌륭하게 사용하는 일예로서, 도 31에 도시한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상태 및 조직에 다른 사용예가 있을 수 있다. 도 31은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성장과정을 강조한 사용예이다.
우선, 프로젝트를 상정하는 자를 리더로 하여 등록한다(단계 E1). 이어서, 프로젝트의 내용 등이 리더에 의해서 텍스트컨텐츠로 등록된다(단계 E2). 예를 들어, 프로젝트가 연구에 대한 것이면 연구내용이나 과제 등을 기술하고 또한, 신상품의 개발에 대한 것이면 기술적 전제(前提), 마케팅의 특성 등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있어 지침이 되는 설명이 기재될 수 있다. 이어서, 리더에 의해서 선정된 구성원을 구성원 리스트로 순차등록한다(단계 E3).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트의 리더가 구성원을 등록한다. 로그인 사용자에 대한 모든 프로젝트데스크탑 설정이 "쓰기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젝트 구성원 스스로 프로젝트구성원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다른 컨텐츠를 관리하는 컨텐츠 영역이 텍스트 컨텐츠와 구성원리스트를 프로젝트별로 가지는 프로젝트데스크탑에서 정의된다(단계 E4). 어떤 컨텐츠가 프로젝트에 추가될 것인가는 리더에 의해 결정되거나, 리더에 의해 허가를 받은 구성원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한 컨텐츠로는 문서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문서관리 컨텐츠, 리더나 구성원에 의해 발언을 컨텐츠에 기록하는 회의실 컨텐츠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 컨텐츠영역별로 각 컨텐츠의 액세스권을 리더, 구성원 및 그외의사용자속성에 따른 설정을 한다(단계 E5). 이것은 구성원 이외의 사용자에 대해서 비밀로 하는 회의실과 모든 이에게 공개되는 회의실 양자 모두가 동일한 데스크탑내에 작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회의실 내용 및 발언은 공개되는 한편, 반면에 서고 영역에 있는 문서파일의 녹취(다운로드 및 복사)를 금지하게 할 수도 있다.
각 컨텐츠영역을 포함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표시요구에 따라서, 해당 표시요구를 한 사용자의 사용자속성별로 각 컨텐츠의 표시 또는 조작을 제한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각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이렇게 표시된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해당표시에 따라 입력되는 컨텐츠를 해당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추가한다(단계 E6). 이 단계(E6)는 프로젝트의 종료까지 되풀이된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완료시에는 해당 프로젝트에 관한 텍스트데이터, 발언내용, 문서파일을 마크업랭귀지(ML)로 일괄적으로 기술한 완료페이지를 생성한다(단계 E8). 이처럼, 완료 페이지(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보관 문서파일에 저장된 프로젝트데스크탑(ML 페이지))가 생성되면, 예컨대 휴대가능한 노트북 등의 컴퓨터에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실리게 함으로써,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 출장지나 회의하는 장소 등에서 해당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참조하면서 프리젠테이션을 할 수 있고, 또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HTML화하면 그대로 웹서버에서 공개할 수 있고, 외부에 대해서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 공개가 가능해진다. 이렇게하여 완료된 페이지는 공개된다.

Claims (24)

  1.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각각 조작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에 네트워크를 를 통해서 접속되는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참가하는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한 컨텐츠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서버는,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페이지를 송신함과 동시에 해당 페이지에 대한 조작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
    (b) 상기 통신제어부에서 조작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데이터를 읽어내어 동시에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한 모든 컨텐츠의 표시용 또는 액세스용의 페이지를 생성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 및
    (c) 상기 통신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액세스가 있는 때에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 단위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액세스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로젝트데스크탑이 해당 각 프로젝트에 속한 구성원에 대한 리스트정보를 가지는 구성원리스트를 상기의 컨텐츠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서버는,
    (d) 상기 통신제어부를 통해서 통신하는 상기 프로젝트별로 설정된 해당 프로젝트의 리더 또는 구성원들의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 속성을 판정하는 프로젝트별 사용자속성 판정부; 및
    (e) 상기 프로젝트별 사용자 속성판정부에 의해서 판정된 사용자속성과 상기 각 프로젝트의 컨텐츠별로 미리 정해진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에 기초해서 상기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대한 조작내용을 제어하는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b)는,
    (b-i) 프로젝트에 포함된 구성원 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구성원리스트영역을 상기컨텐츠로서 생성하는 구성원리스트생성기;
    (b-ii) 상기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e)에 의해서 관리되는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각 사용자의 발언 및 회신을 기록 또는 표시하는 회의실영역을 상기의 컨텐츠로서 생성하는 회의실 영역생성기;
    (b-iii) 상기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e)에 의해서 관리되는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파일의 등록 또는 다운로드를 하기 위한 서고 영역 및 해당서고 영역내에 등록된 문서파일을 상기 컨텐츠로서 생성하는 서고 영역 관리부; 및
    (b-iv) 상기 컨텐츠가 생성되는 때에 그러한 생성 조작을 하는 사용자에 해당 컨텐츠의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을 설정하도록 하는 액세스권 등록 관리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f) 상기 복수의 프로젝트가운데 하나 또는 복수를 보관대상으로 설정하는 보관대상설정부;
    (g) 상기 보관대상설정부(e)에 의해서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젝트데스크탑에 포함된 컨텐츠를 한개의 보관파일에 수용하는 보관파일업로드관리부; 및
    (h) 상기 보관파일업로드관리부에 의해서 수용된 보관파일을 상기 서버단말기의 조작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보관파일다운로드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제어부(c)는,
    (c-i)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한개 또는 복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기능;
    (c-ii) 상기 컨텐츠 검색기능에 의해서 검색된 각 컨텐츠가 속한 각 프로젝트를 특정하는 프로젝트 특정기능; 및
    (c-iii) 상기 프로젝트 특정기능에 의해서 특정된 프로젝트의 프로젝트데스크탑 리스트를 검색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리스트 송신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7.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각각 조작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는 서버와 상기한 복수의 사용자 일부 또는 전부가 참가하는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한 컨텐츠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사용해서 프로젝트에 관련한 데이터의 생성 및 관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프로젝트별로 각 프로젝트에 속한 컨텐츠를 등록하는 프로젝트별 컨텐츠 등록단계;
    (b) 상기에서 등록된 한개 또는 복수의 컨텐츠가 검색되는 때 또는 프로젝트에 속한 구성원에 관해서 액세스된 때에, 해당 각 컨텐츠 또는 구성원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프로젝트리스트 생성단계; 및
    (c) 상기 프로젝트리스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프로젝트리스트 조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프로젝트의 표시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프로젝트에 포함된 모든 컨텐츠의 표시용 또는 액세스용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 생성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 생성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데스크탑 생성단계(c)는,
    (c-i) 상기 표시요구를 한 사용자가 해당 프로젝트의 구성원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프로젝트별 사용자속성 판정단계;
    (c-ii) 상기 표시요구된 프로젝트의 컨텐츠별로 미리 정해진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 및 해당표시 요구를 한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서, 각 컨텐츠에 대해 해당 사용자에게 허가되는 표시 및 조작을 특정하는 컨텐츠별 권한 특정 단계; 및
    (c-iii) 상기 컨텐츠별 권한 특정 단계에서 판정된 표시 및 조작에 관한 권한에 따라서 각 컨텐츠영역을 생성함과 동시에 이들 컨텐츠 영역이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로서 일체로 된 하나의 페이지를 생성하는 컨텐츠 영역 일체화 페이지 생성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
  9.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각각 조작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는 서버와 상기한 복수의 사용자 일부 또는 전부가 참가하는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해 있는 컨텐츠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사용해서 프로젝트에 관계된 데이터의 생성 및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서버로 하여금
    (a) 프로젝트별로 각 프로젝트에 속한 컨텐츠를 등록시키는 프로젝트별 컨텐츠 등록명령;
    (b) 상기 등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컨텐츠가 검색된 때 또는 프로젝트에 속한 구성원에 관해서 액세스된 때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있어서 해당 각 컨텐츠 또는 구성원을 포함하는 프로젝트의 리스트를 생성시키는 프로젝트리스트 생성명령; 및
    (c) 상기 프로젝트리스트 생성명령에 따라서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한 프로젝트의 표시요구가 없는 때에는 해당 프로젝트에 포함된 모든 컨텐츠의 표시용 또는 액세스용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서 생성시키는 프로젝트데스크탑 생성명령
    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0.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각각 조작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는 서버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일부 또는 전부가 참가하는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해 있는 컨텐츠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a) 사용자 단말기에 페이지를 송신하여 해당 페이지로부터 조작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b)수신한 상기 조작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데이터를 읽어와서 각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한 모든 컨텐츠의 표시용 또는 액세스용의 페이지를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 생성하는 수단; 및
    (c) 상기 통신제어부를 경유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질 때에 상기컨텐츠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데스크탑 단위로 사용자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11.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각각 조작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는 서버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일부 또는 전부가 참가하는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해 있는 컨텐츠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페이지를 전송하여 해당 페이지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 및
    상기 통신제어부에 의해 수신된 조작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읽어와서 각 프로젝트별로 프로젝트에 속한 모든 컨텐츠를 표시용 또는 액세스용의 페이지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는 텍스트를 나타낸 표시영역, 사용자 발언을 표시하고 기록하는 회의실 영역, 사용자로부터 전송되어 온 파일을 관리하는 서고 영역을 컨텐츠로 가지는 프로젝트데스크탑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프로젝트별로 설정된 해당 프로젝트의 리더 또는 구성원들의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 속성을 각 프로젝트별로 기록한 프로젝트사용자 테이블; 및
    각 프로젝트에 속한 컨텐츠별로 상기 사용자 속성 액세스 권한을 기록한 프로젝트컨텐츠테이블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프로젝트사용자테이블을 사용해서 상기 통신제어부를 통하여 통신중인 사용자에 대해서 해당 통신의 대상이 되는 프로젝트에 관한 속성을 판정한 프로젝트별 사용자속성판정부; 및
    상기 프로젝트별 사용자속성판정부에 의해서 판정된 액세스사용자의 프로젝트에 대한 속성과 상기 프로젝트컨텐츠테이블에 기록된 상기 사용자속성별 액세스 권한에 기초해서 상기 프로젝트데스크탑의 각 컨텐츠에 대한 표시 및 조작내용을 제어하는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트데스크탑쉬트생성부는 상기 프로젝트사용자테이블에 있는 프로젝트에 속한 구성원의 리스트에 기초해서 각 프로젝트데스크탑별로 상기 구성원의 리스트를 표시 및 추가하기 위한 구성원리스트 영역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모든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대한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을 기록한 프로젝트테이블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서버는, 프로젝트별 사용자 속성판정부에 의하여 결정된 사용자속성에 근거하여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액세스권을 설정한 프로젝트별 액세스설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컨텐츠테이블은 프로젝트데스크탑에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한 컨텐츠의 표시순서를 기록한 컨텐츠 순서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프로젝트데스크탑 생성부는,
    상기 컨텐츠순서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읽어와서 상기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에 의해서 설정된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컨텐츠 영역을 순차묘사하는 컨텐츠영역 묘사기능; 및
    상기 컨텐츠영역 묘사기능에 의해서 묘사된 컨텐츠 영역을 상기 컨텐츠 순서 데이터의 순서에 따라 한 페이지의 프로젝트데스크탑으로서 합성하는 제어를 하는 합성제어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프로젝트데스크탑의 서고 영역을 경유하여 송신되어 온 문서파일의 저장위치를 기록한 문서테이블 및 상기 문서테이블에 의해서관리되는 문서파일이 서고 영역에서 배치되는 가상적 위치가 저장되는 문서폴더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문서관리 코너를 통해서 송신된 문서 파일을 상기 문서테이블에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문서 파일을 문서관리코너 내의 가상적 디렉토리에 배치하는 문서관리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문서관리부는, 상기 컨텐츠별 액세스 제어부에 의해서 결정된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상기 문서파일의 복사 및 삭제하는 기능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하는 문서파일을 수용하는 기능을 가진 문서조작제어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의 프로젝트내의 하나 또는 복수를 저장대상으로 설정하는 저장대상설정부;
    상기 저장대상설정부에 의해서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젝트데스크탑에 포함된 컨텐츠를 한 개의 보관파일에 수용하는 보관파일보관제어부; 및
    상기 보관파일보관제어부에 의해서 수용된 보관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보관파일 송신제어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보관파일보관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별 액세스제어부에 의해서 설정된 액세스권한에 따라서 각 프로젝트에 대해서 컨텐츠의 내용 표시 또는 컨텐츠중의 한 부분으로의 링크를 소정의 마크업랭귀지(Markup Language)로 기술한 프로젝트데스크탑페이지를 생성하는 프로젝트데스크탑 페이지 생성기;
    상기 프로젝트데스크탑 페이지에서 사용한 이미지데이터 및 상기 문서테이블에 저장된 문서파일을 관련 폴더에 저장하는 파일저장기능; 및
    상기 프로젝트데스크탑페이지 및 관련 폴더의 내용을 한개의 어카이브에 수납하기 위해 압축하는 어카이브 압축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각 프로젝트와 해당 프로젝트에 포함된 컨텐츠의 리스트를 기록한 프로젝트컨텐츠테이블;
    상기 각 프로젝트 데스크탑의 서고 영역을 통해서 송신된 문서파일의 저장위치를 기록하는 문서테이블; 및
    상기 문서테이블에 의해서 관리되는 문서파일에 대한 상기 서고 영역에서의 가상적 배치위치가 저장되어 있는 문서폴더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서 해당 각 프로젝트내의 컨텐츠 및 상기문서테이블에서 관리되는 문서파일에 대한 검색을 실행하여 검색결과로서 상기 컨텐츠명 또는 문서명을 특정하는 검색부;
    검색부에 의해서 검색된 컨텐츠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컨텐츠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컨텐츠가 속한 프로젝트를 특정하는 제1프로젝트 특정부;
    상기 검색부에 의해서 검색된 문서명에 따라 상기 문서테이블 및 문서폴더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문서가 속한 프로젝트를 특정하는 제2프로젝트 특정부; 및
    제1 및 제2 프로젝트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프로젝트의 리스트를 상기 프로제트데스크탑에 링크된 상태로 상기 검색부의 검색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리스트 송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송신제어부는 특정된 프로젝트에 대하여 상기 검색조작을 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판정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표시 불가되는 프로젝트를 상기 특정 결과로부터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각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한 사용자 리스트를 기록한 프로젝트사용자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각 사용자의 개별적인 개인데스크탑을 생성하는 개인데스크탑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 데스크탑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개인 데스크탑표시요구를 수령하는 때에 상기 프로젝트사용자테이블을 참조해서 해당 사용자가 속한 프로젝트의 리스트를 표시한 소속 프로젝트리스트영역을 생성하는 소속 프로젝트리스트영역 생성기; 및
    프로젝트리스트중에서 프로젝트컨텐츠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변경 유무를 해당 프로젝트리스트영역에 부가하는 변경통지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프로젝트의 리스트를 프로젝트리스트페이지로서 생성하는 프로젝트리스트페이지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리스트페이지생성부는 상기 프로젝트사용자 테이블을 참조해서 각 프로젝트에 속한 사용자명을 해당 프로젝트리스트 페이지의 각 프로젝트별로 부가하는 사용자이름 부가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리스트를 사용자 리스트페이지로서 생성하는 사용자리스트페이지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리스트페이지생성부는 상기 프로젝트사용자테이블을 참조해서 각 사용자가 속한 프로젝트명을 해당 사용자리스트 페이지의 각 사용자별로 부가하는 프로젝트명 부가기능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22.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인 프로젝트 관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각각 조작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웍을 통해서 접속되는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참가하는 프로젝트별로 해당 프로젝트에 속한 컨텐츠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로젝트 관리 데이터는,
    상기 복수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각각 기록한 사용자테이블;
    상기 복수의 프로젝트를 식별하는 프로젝트ID, 해당 프로젝트ID별 프로젝트명,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을 기록한 프로젝트테이블;
    상기 각 프로젝트에 속한 사용자의 사용자ID, 상기 사용자속성을 형성하는 사용자순서를 기록한 프로젝트사용자테이블;
    상기 각 프로젝트별로 생성된 회의실영역, 서고 영역 등의 컨텐츠의 종류를 기록한 컨텐츠테이블; 및
    상기 각 프로젝트에 속한 컨텐츠의 컨텐츠ID와, 각 컨텐츠의 사용자속성별 액세스권한과 각 컨텐츠의 표시순서를 기록한 프로젝트컨텐츠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트사용자 테이블은, 상기 프로젝트데스크탑이 상기 서버에 의해생성될 때 해당 프로젝트데스크탑 표시요구를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프로젝트컨텐츠테이블은, 상기 사용자 속성별 액세스권에 따른 컨텐츠의 표시형식의 판정과 상기 각 컨텐츠의 표시순서의 특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23. 컴퓨터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단위로 활동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상정자를 리더로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리더가 입력한 해당 프로젝트의 내용을 텍스트컨텐츠로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리더에 의해서 선정된 구성원을 구성원리스트로 순차등록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컨텐츠 및 상기 구성원리스트를 가진 프로젝트별 프로젝트데스크탑에 다른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컨텐츠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각 컨텐츠영역별로 각 컨텐츠의 액세스권한을 리더, 구성원 및 기타 사용자속성에 따라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 컨텐츠영역을 가진 프로젝트데스크탑의 표시 요구에 따라, 표시를 요구한 사용자의 사용자속성별로 여러 컨텐츠의 표시 또는 그와 관련된 조작을 제한하면서 프로젝트데스크탑을 표시하고, 해당 표시에 따라 입력된 컨텐츠를 해당 프로젝트데스크탑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완료시에 해당 프로젝트에 관한 텍스트데이터, 발언내용 및문서파일을 일괄해서 마크업랭귀지로 기술된 완료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완료 페이지를 공개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지원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역은 문서파일을 관리하는 문서관리컨텐츠, 리더 및 구성원의 발언내용을 기록하는 회의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지원방법.
KR1020027004089A 2000-08-01 2001-07-31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2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33750 2000-08-01
JP2000233750A JP3882479B2 (ja) 2000-08-01 2000-08-01 プロジェクト活動支援システム
PCT/JP2001/006610 WO2002011008A1 (en) 2000-08-01 2001-07-31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727A true KR20020062727A (ko) 2002-07-29

Family

ID=1872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089A KR20020062727A (ko) 2000-08-01 2001-07-31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46345A1 (ko)
JP (1) JP3882479B2 (ko)
KR (1) KR20020062727A (ko)
CN (1) CN1392992A (ko)
WO (1) WO200201100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67B1 (ko) * 2005-12-05 2008-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베디드 시스템에 있어서 개발 프로젝트 관리 전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KR100970851B1 (ko) * 2004-07-06 2010-07-1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스템 구축 가이드 시스템
WO2017004104A1 (en) * 2015-07-01 2017-01-05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offer management
US10546347B2 (en) 2007-06-08 2020-01-28 Meso Scale Diagnostics, Llc Real property information management, retention and transferal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102369569B1 (ko) 2021-03-17 2022-03-03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업무컨테이너를 기반으로 하는 협업플랫폼에서 업무에 대한 웹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717701A0 (en) * 2001-08-22 2001-09-13 Xylogy Research Pty Limited Management system
JP2003150762A (ja) * 2001-11-15 2003-05-23 Hitachi Ltd プロジェクト情報連携方法およびシステム
SG108837A1 (en) 2002-03-11 2005-02-28 Pi Eta Consulting Co Pte Ltd An enterprise knowledg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s system with intelligent user interfaces
JP2004078452A (ja) * 2002-08-14 2004-03-11 Toshiba Corp 技術コンサルティ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4185221A (ja) * 2002-12-02 2004-07-02 Hork:Kk ソフトウエア請負支援システム
JP2004362477A (ja) * 2003-06-06 2004-12-24 Kokuyo Co Ltd アポイントメント調整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ジェクト活動支援システム
US7761320B2 (en) * 2003-07-25 2010-07-20 Sap Aktiengesellschaft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ole templates based on skills lists using keyword extraction
US8862688B1 (en) * 2003-11-03 2014-10-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ownloading web-based email
US7809809B2 (en) * 2004-01-13 2010-10-05 Nokia Corporation Client provisioning using application characteristics template with flag parameters
US20050159968A1 (en) * 2004-01-21 2005-07-21 Stephen Cozzolino Organizationally interactive task management and commitment management system in a matrix based organizational environment
US7472356B2 (en) * 2004-02-11 2008-12-30 Microsoft Corporation Collapsible container with semi-collapsed view
JP4551680B2 (ja) * 2004-03-26 2010-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管理システム、文書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5284608A (ja) * 2004-03-29 2005-10-13 Nec Corp データ検索システム、データ検索方法
WO2005109284A2 (en) * 2004-05-03 2005-11-17 Trintuitio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documents in a distributed computing network
JP2007536634A (ja) * 2004-05-04 2007-12-13 フィッシャー−ローズマウント・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のためのサービス指向型アーキテクチャ
WO2006019255A1 (en) 2004-08-17 2006-0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cting ofdm symbol timing in ofdm system
US20060047811A1 (en) * 2004-09-01 2006-03-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access to various data associated with a project
US7509345B2 (en) * 2004-09-29 2009-03-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sisting and managing computer program clippings
JP4487714B2 (ja) * 2004-09-30 2010-06-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会議環境制御装置および会議環境制御プログラム
US20060090071A1 (en) * 2004-10-13 2006-04-27 Werner Sinzig Systems and methods for project management
WO2006046395A1 (ja) * 2004-10-27 2006-05-04 Gatcomputer Inc. 連絡情報管理システム
JP4591096B2 (ja) * 2005-01-27 2010-1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転送装置および画像ファイル転送プログラムならびに画像読取装置
JP4900891B2 (ja) 2005-04-27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7034647A (ja) * 2005-07-27 2007-02-08 Fuji Xerox Co Ltd 表示装置、表示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機器
US9021424B2 (en) * 2005-09-27 2015-04-28 Sap Se Multi-document editor with code inlining
US20070078893A1 (en) * 2005-09-30 2007-04-05 Eric Milhet Automated project management method
US20070130163A1 (en) * 2005-11-04 2007-06-07 Personify Design Inc. Work item management through a client application
US8050953B2 (en) * 2006-06-07 2011-11-01 Ricoh Company, Ltd. Use of a database in a network-based project schedule management system
US8799043B2 (en) * 2006-06-07 2014-08-05 Ricoh Company, Ltd. Consolidation of member schedules with a project schedule in a network-based management system
US20070288288A1 (en) * 2006-06-07 2007-12-13 Tetsuro Motoyama Use of schedule editors in a network-based project schedule management system
JP2008065714A (ja) * 2006-09-08 2008-03-21 Ricoh Co Ltd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
US8195497B2 (en) * 2007-01-16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workspace for project management coordination
US8826282B2 (en) * 2007-03-15 2014-09-02 Ricoh Company, Ltd. Project task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project schedules over a network
US9152433B2 (en) * 2007-03-15 2015-10-06 Ricoh Company Ltd. Class object wrappers for document object model (DOM) elements for project task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project schedules over a network
JP2010527051A (ja) * 2007-03-30 2010-08-05 グーグ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モバイル装置のための文書処理
US8381169B2 (en) * 2007-10-30 2013-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ding unified process and method content to include dynamic and collaborative content
US8615733B2 (en) * 2008-01-31 2013-12-24 SAP France S.A. Building a component to display documents relevant to the content of a website
US8260772B2 (en) * 2008-01-31 2012-09-04 SAP France S.A.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ocuments relevant to the content of a website
US20090217241A1 (en) * 2008-02-22 2009-08-27 Tetsuro Motoyama Graceful termination of a web enabled client
US20090217240A1 (en) * 2008-02-22 2009-08-27 Tetsuro Motoyama Script generation for graceful termination of a web enabled client by a web server
AU2009251571A1 (en) * 2008-04-02 2009-12-03 Envist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 coordination and asset control
US8706768B2 (en) * 2008-05-16 2014-04-22 Ricoh Company, Ltd. Managing to-do lists in task schedules in a project management system
US7941445B2 (en) * 2008-05-16 2011-05-10 Ricoh Company, Ltd. Managing project schedule data using separate current and historical task schedule data and revision numbers
US20090287522A1 (en) * 2008-05-16 2009-11-19 Tetsuro Motoyama To-Do List Representation In The Database Of A Project Management System
US8352498B2 (en) * 2008-05-16 2013-01-08 Ricoh Company, Ltd. Managing to-do lists in a schedule editor in a project management system
US8321257B2 (en) * 2008-05-16 2012-11-27 Ricoh Company, Ltd. Managing project schedule data using separate current and historical task schedule data
US8862489B2 (en) * 2008-09-16 2014-10-14 Ricoh Company, Ltd. Project management system with inspection functionality
US20100070328A1 (en) * 2008-09-16 2010-03-18 Tetsuro Motoyama Managing Project Schedule Data Using Project Task State Data
US9258391B2 (en) * 2009-05-29 2016-02-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1040021A (ja) * 2009-08-17 2011-02-24 Syscom Support:Kk ウィンドウズ利用の3秒で鮮やかに見せる電子文書類プレゼンテーションソフト
CN102592182A (zh) * 2011-01-17 2012-07-18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行为记录系统
US8782525B2 (en) * 2011-07-28 2014-07-15 National Insturments Corporation Displaying physical signal routing in a diagram of a system
WO2013025556A1 (en) * 2011-08-12 2013-02-21 Splunk Inc. Elastic scaling of data volume
US20130046549A1 (en) * 2011-08-18 2013-02-21 Salesforce.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enterprise portfolio management
US8204949B1 (en) * 2011-09-28 2012-06-19 Russell Krajec Email enabled project management applications
US20130117701A1 (en) * 2011-10-26 2013-05-09 II Joseph I. Evans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a Multi-User Internet-Based Appointment Scheduler for Fashion and Related Arts
JP5922504B2 (ja) * 2012-06-13 2016-05-24 株式会社Pfu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7495B2 (ja) * 2012-09-28 2017-07-2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20140365263A1 (en) * 2013-06-06 2014-12-11 Microsoft Corporation Role tailored workspace
JP2015022542A (ja) * 2013-07-19 2015-02-02 ウェストフィールド株式会社 電子書庫システム
US10242344B1 (en) * 2014-11-02 2019-03-26 Evernote Corporation Advancing joint projects on wearable devices
CN104318403A (zh) * 2014-11-18 2015-01-28 上海市地下空间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人防工程平战转换管理系统及方法
CN107430607A (zh) * 2015-06-25 2017-12-01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提取企业项目信息
WO2019036910A1 (zh) * 2017-08-22 2019-02-2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身份验证方法、设备、机器可读存储介质以及系统
JP6965704B2 (ja) * 2017-11-27 2021-11-1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N109064137A (zh) * 2018-08-02 2018-12-21 龙马智芯(珠海横琴)科技有限公司 一种项目申报装置、系统
JP7318255B2 (ja) * 2019-03-25 2023-08-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388547B2 (ja) 2020-04-30 2023-11-2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複合分析データ管理システム、複合分析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複合分析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7461A (en) * 1993-10-04 1997-08-12 Xerox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defining and automatically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preferred communication channels
US5717439A (en) * 1995-10-10 1998-02-10 Xerox Corporation Hierarchy of saving and retrieving control templates
US5793365A (en) * 1996-01-02 1998-08-11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computer user interface enabling access to distributed workgroup members
US6006195A (en) * 1996-04-26 1999-12-21 Workgroup Technology Corporation Product develop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ntegrated process and data management
US5727950A (en) * 1996-05-22 1998-03-17 Netsage Corporation Agent based instruction system and method
US5923552A (en) * 1996-12-31 1999-07-13 Buildne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separate business entities
US5995756A (en) * 1997-02-14 1999-11-30 Inprise Corporation System for internet-based delivery of computer applications
US6266683B1 (en) * 1997-07-24 2001-07-24 The Chase Manhattan Bank Computerized document management system
US5940843A (en) * 1997-10-08 1999-08-17 Multex Systems, Inc.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including restriction processing
US6247020B1 (en) * 1997-12-17 2001-06-12 Borland Software Corporation Development system with application browser user interface
JPH11306244A (ja) * 1998-04-16 1999-11-05 Hitachi Ltd ワーク管理システム
JP2000048010A (ja) * 1998-07-29 2000-02-18 Nec Corp 協同作業支援システム
JP4153596B2 (ja) * 1998-08-28 2008-09-24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連携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連携方法
US20030164853A1 (en) * 2000-12-29 2003-09-04 Min Zhu Distributed document sharing
US20020128895A1 (en) * 2001-01-11 2002-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ject management method for optimizing information technology resources
US20020138166A1 (en) * 2001-03-21 2002-09-26 Milling Systems & Concepts Pte Ltd Data processing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change
US7275235B2 (en) * 2001-08-29 2007-09-25 Molinari Alfred A Graphical application development system for test, measurement and process control applications
JP2004046796A (ja) * 2002-07-15 2004-02-12 Seiko Epson Corp ディレクトリ管理プログラム、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ディレクトリ管理方法及びディレクトリ管理装置
US20050097506A1 (en) * 2003-10-31 2005-05-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rtual desktops and project-time track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51B1 (ko) * 2004-07-06 2010-07-1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스템 구축 가이드 시스템
KR100805367B1 (ko) * 2005-12-05 2008-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베디드 시스템에 있어서 개발 프로젝트 관리 전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US10546347B2 (en) 2007-06-08 2020-01-28 Meso Scale Diagnostics, Llc Real property information management, retention and transferal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11734753B2 (en) 2007-06-08 2023-08-22 Thermodynamic Design, Llc Real property information management, retention and transferal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WO2017004104A1 (en) * 2015-07-01 2017-01-05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offer management
KR102369569B1 (ko) 2021-03-17 2022-03-03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업무컨테이너를 기반으로 하는 협업플랫폼에서 업무에 대한 웹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82479B2 (ja) 2007-02-14
JP2002049729A (ja) 2002-02-15
WO2002011008A1 (en) 2002-02-07
US20030046345A1 (en) 2003-03-06
CN1392992A (zh) 200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2727A (ko)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20755B1 (ko) 정적 및 동적 리스트의 사용을 포함하는 가상 폴더 및 항목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72370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rowser management of web site
US70500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viewable graphics
US67484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wser creation and maintenance of forms
US67287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wser definition of workflow documents
US67321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secure rooms
US65946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offline uninterrupted updating of rooms in collaboration space
US78274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ation of room navigation
US66368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lient replication of collaboration space
US8195714B2 (en) Context instantiated application protocol
US66752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 management utilizing a messaging system
US7152220B2 (en) Collaboration engine: adding collaboration functionality to computer software
US70206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person awareness in a place
US7139761B2 (en) Dynamic association of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with iterative workflow changes
US67723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room decoration and inheritance
US20060167890A1 (en) Content framework system and method
US20130173601A1 (en) Management of Multimedia Content
KR20060061734A (ko) 파일 시스템 셸
US7685159B2 (en) Creating content associations through visual techniques in a content framework system
US7533105B2 (en) Visual association of content in a content framework system
US7702999B1 (en) Network-bas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8655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 room security management
US7761476B2 (en) Automatic capture of associations between content within a content framework system
JP3587512B2 (ja) ウェブサイト作成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