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9785A -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785A
KR20020059785A KR1020027006658A KR20027006658A KR20020059785A KR 20020059785 A KR20020059785 A KR 20020059785A KR 1020027006658 A KR1020027006658 A KR 1020027006658A KR 20027006658 A KR20027006658 A KR 20027006658A KR 20020059785 A KR20020059785 A KR 2002005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air
recess
circumferential direction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8020B1 (ko
Inventor
오시마가즈요시
고시카와신이치로
이마이가쓰야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가쓰야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가쓰야,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가쓰야
Publication of KR2002005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식 휴대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힌지장치(1)로서, 한 쌍의 접촉부재(5, 6)가 가압수단(7)의 가압력에 의해, 접촉부재의 둘레방향에서의 돌출부 (54) 및 오목부(64)의 중앙부가 거의 일치하는 중립위치 쪽으로 강제적으로 회동시키게 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접촉부재가 중립위치에 회동하였을 때, 돌출부를 오목부에 대하여 접촉부재의 둘레방향에서의 양쪽부에서 접촉시킨 것이다. 돌출부의 바깥면을 원호면, 오목부의 둘레방향에의 양쪽면을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힌지 장치{HINGE DEVICE}
일반적으로, 폴더식 휴대전화기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화부(送話部)(A)와 수화부(受話部)(B)를 구비하고 있고, 송화부(A)와 수화부(B)는, 도 18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맞부딪친 불사용(不使用) 위치와, 도 19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통화위치와의 사이를, 힌지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구나, 송화부(A)와 수화부(B)는, 서로가 이루는 각도가 소정각도 α보다 작을 때에는, 힌지 장치에 내장된 가압수단에 의해서 불사용 위치까지 회동되어, 같은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서로가 이루는 각도가 소정각도 β보다 커지면, 가압수단에 의해서 통화위치까지 회동시키게 되어, 같은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힌지 장치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접촉판(abutment plate)(접촉부재)(C, D)과, 이 한 쌍의 접촉판(C, D)을 서로 접근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접촉판(C, D)은, 송화부(A)와 수화부(B)에 각각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판(C, D)은, 송화부(A)와 수화부(B)와의 회동에 따라 서로에 대하여 회동한다.
한 쪽의 접촉판(C)의 접촉판(D)와의 대향면(對向面)에는, 한 쌍의 돌출부 (C1, C1)가 둘레방향에 180°떨어져 배치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접촉판(D)의 접촉판(C)과의 대향면에는, 한 쌍의 오목부(D1, D1)가 둘레방향에 180°떨어져 배치·형성되어 있다. 돌출부(C1) 및 오목부(D1)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송화부(A) 및 수화부(B)를 불사용 위치 또는 통화위치에 유지한다.
즉,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C1) 및 오목부(D1)는, 어느 쪽이나 단면이 원호형상을 하고 있고, 송화부(A)와 수화부(B)가 불사용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중앙부에서 접촉판(C, D)의 둘레방향에 약간 떨어진 부위에서 서로 맞부딪치고 있다. 따라서, 가압수단의 가압력은, 접촉판(C)을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가압력(rotational biasing force){접촉판(D)을 화살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회동가압력에 의해, 송화부(A)와 수화부(B)가 불사용 위치에 유지된다.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화부(A)와 수화부(B)가 이루는 각도가 α이하일 때는, 돌출부(C1)의 중앙부에서 약간 떨어진 부위가 오목부(D1)의 한 쪽 끝부분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접촉판(C)이 도 21(B)의 화살표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송화부(A) 및 수화부(B)가 불사용 위치에 회동시키게된다. 송화부(A)와 수화부(B)가 이루는 각도가 β이상일 때에는, 돌출부(C1)와 오목부(D1)가 도 21(B)에 나타내는 상태와 대칭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접촉판(C)이 화살표방향의 역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송화부(A) 및 수화부(B)가 통화위치까지 회동하게 된다. 송화부(A) 및수화부(B)가 통화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C1)와 오목부(D1)가, 서로의 중앙부에서 눌려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은 돌출부(C1)를 오목부(D1)의 바닥면에 밀어붙일 뿐이고, 회동가압력으로 변환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접촉부재(C, D)가 도 21(C)에 나타내는 위치(이하, 중립위치라 칭한다)로부터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회동하면, 가압수단의 가압력이 회동가압력으로 변환되어, 접촉부재(C, D)를 중립위치에 되돌린다. 따라서, 송화부(A) 및 수화부(B)가 통화위치에 유지된다.
상기의 힌지 장치에 있어서는, 이론상, 접촉부재(C, D)가 중립위치로부터 조금이라도 회동하면, 가압수단의 가압력이 접촉부재(C, D)를 중립위치로 되돌리고자 하는 회동가압력으로 변환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돌출부(C1)와 오목부(D1)와의 중립위치에서의 접점{접촉판(C, D)의 둘레방향에서의 돌출부(C1) 및 오목부 (D1)의 중앙부} 근방부분이 가압수단의 가압방향과 거의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부재(C, D)가 중립위치로부터 간신히 회동한 위치에서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이 회동가압력으로 거의 변환되는 일이 없고, 접촉부재(C, D)가 중립위치로 되돌리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통화위치에 있어서는, 송화부(A)와 수화부(B)가 절도(節度)를 가지고 위치결정되는 일이 없고, 흔들림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폴더식 휴대전화기(foldable cellular telephone) 등에 사용하는 데 바람직한 힌지 장치(hinge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X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Y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Z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같은 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같은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 1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은 그 정면도, 도 7(B)은 그 우측면도, 도 7(C)은 그 평면도, 도 7(D)은 그 저면도, 도 7(E)은 그 정단면도이다.
도 8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 2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A)은 그 정면도, 도 8(B)은 그 우측면도, 도 8(C)은 그 평면도, 도 8(D)은 그 저면도, 도 8(E)은 그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동(可動) 디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그 정면도, 도 9(B)는 그 우측면도, 도 9(C)는 그 평면도, 도 9(D)는 그 저면도, 도 9(E)는 그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정 디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A)은 그 평면도, 도 10(B)은 그 우측면도, 도 10(C)은 그 정단면도, 도 10(D)은 그 저면도이다.
도 11은 가동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가 중립위치에 회동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오목부와 돌출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X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Y-Y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가동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가 중립위치로부터 약간 회동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오목부와 돌출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돌출부의 오목부에 대한 접촉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종래의 돌출부의 오목부에 대한 접촉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2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힌지 장치가 사용되는 휴대전화기의 일례를, 송화부와 수화부가 불사용 위치에 회동하게 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같은 휴대전화기의 일례를, 송화부와 수화부가 통화위치에 회동하게 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종래의 힌지 장치의 한 쌍의 접촉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한 쌍의 접촉판에 형성된 돌출부와 오목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로서, 도 21(A)은 송화부와 수화부가 불사용 위치에 회동하게 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1(B)은 송화부와 수화부가 불사용 위치로부터 각도 α만큼 회동하게 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1(C)은 송화부와 수화부가 통화위치에 회동하게 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상대적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재와, 이 한 쌍의 접촉부재를 서로 누름·접촉(press contact)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bias means)을 구비하고, 한 쌍의 접촉부재의 대향면의 한 쪽에는 접촉부재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접촉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서 출입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들어가면, 상기 한 쌍의 접촉판이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의 둘레방향에서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오목부의 중앙부가 거의 일치하는 중립위치 쪽으로 강제적으로 회동하게 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가 중립위치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돌출부를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상기 접촉부재의 둘레방향에서의 양쪽 부분에서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의 바깥면은, 상기 접촉부재의 지름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원호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재의 둘레방향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양쪽면은, 바깥쪽으로 돌출한 원호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기 폴더식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힌지 장치에 적용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이외에 사용되는 힌지 장치로서, 회동하는 두개의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다른 힌지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장치(1)는, 제 1, 제 2 고정부재 (2, 3), 힌지축(4), 가동 디스크(접촉부재)(5), 고정 디스크(접촉부재)(6) 및 코일스프링(coil spring)(가압수단)(7)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부재(2∼7)는, 서로의 축선(軸線)을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다.
제 1 고정부재(2)는, 도 1 ∼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쪽 끝부에 바닥부(21)를 갖고, 다른 쪽 끝부가 개구한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을 하는 것이고, 그 축선(軸線)을 송화부(A)와 수화부(B)와의 회동 축선과 일치시킨 상태로, 송화부(A)와 수화부(B)와의 어느 한쪽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닥부(21)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부재(2)의 둘레벽부 (peripheral wall portion)의 개구측 끝부에는, 개구측의 단면으로부터 축선에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홈(guide groove)(23, 23)이 둘레방향에 180°떨어져 배치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부재(3)는, 제 1 고정부재(2)와 대향한 상태에서 송화부(A)와 수화부(B)와의 어느 쪽이라도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고정부재(3)의 제 1 고정부재(2)와의 대향면에는, 수용(收容)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재(3)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 (32)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4)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한 쪽 끝부에서 다른 쪽 끝부를 향해서 순차 형성된, 머리부(41), 큰 지름부(42), 단면이 육각형상인 고정부 (43) 및 작은 지름부(44)를 갖고 있고, 이들의 각각의 부분(41∼44)은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 형성되어 있다. 큰 지름부(42)는, 머리부(41)가 제 1 고정부재(2)의 바닥부(21)에 맞부딪칠 때까지 관통구멍(22)에 삽입되어 있고, 관통구멍(22)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작은 지름부(44)는, 제 2 고정부재(3)의 관통구멍 (32)에 삽입되어 있고, 삽입 후, 작은 지름부(44)의 선단면(先端面)에 형성된 코킹구멍(caulking hole)(45)을 이용하여 작은 지름부(44)를 큰 지름이 되도록 조임을 더함으로써, 제 2 고정부재(3)가 작은 지름부(44)에 위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작은 지름부(44)의 바깥지름은, 고정부(43)를 구성하는 육각형의 내접원(內接圓)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고 있다.
가동 디스크(5)는, 도 1 ∼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기판부(substrate portion)(51)를 갖고 있고, 이 기판부(51)가 제 1 고정부재(2)의 개구측 끝부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기판부(51)의 중앙부에는, 힌지축(4)의 큰 지름부(42)가 상대적 회동이 가능하게, 또한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51)의 한 쪽 부분와 다른 쪽 부분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53, 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가이드부(53, 53)가 제 1 고정부재(23, 23)에 접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해, 가동 디스크(5)가 제1고정부재(2)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또한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동 디스크(5)의 기판부(51)와 제 1 고정부재(2)의 바닥부(21)와의 사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7)이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7)에 의해, 가동 디스크(5)가 제 2 고정부재(3)측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고정 디스크(6)는, 도 1 ∼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하는 기판부(61), 이 기판부(61)의 저면{가동 디스크(5)측과 반대측면}에 형성된 돌출조(ridge)(62)를 갖고 있고, 전체로 하여 수용 오목부(31)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고정 디스크(6)는 수용 오목부(31)에의 끼워맞춤에 의해 제 2 고정부재(3)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정 디스크(6)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63)은 힌지축(4)의 작은 지름부 (44)의 바깥지름과 거의 동일한 안쪽 지름을 갖고 있고, 단면이 육각형상인 고정부 (43)가 누름·고정(press fitted)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디스크(6) 및 제 2 고정부재(3)와 힌지축(4)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힌지축(4)은, 반드시 제 2 고정부재(3) 및 고정 디스크(6)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할 필요는 없고, 제 1 고정부재(2) 및 가동 디스크(5)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더라도 좋고, 또는 제 1, 제 2 고정부재(2, 3), 가동 디스크(5) 및 고정 디스크(6)의 전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더라도 좋다.
고정 디스크(6)는, 제 1 고정부재(2)쪽에서 제 2 고정부재(3)쪽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2 고정부재(3)에 수용되고 있다. 따라서, 고정 디스크(6)의 가동 디스크(5)와의 대향면(opposing surface)(6a)에는, 가동 디스크(5)의 대향면(5a)이 코일스프링(7)에 의해서 밀어붙여지고 있다. 도 5,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디스크(5)의 대향면(5a)에는, 한 쌍의 돌출부(54, 54)가 가동 디스크 (5)의 축선(軸線)을 중심으로 하는 원둘레 상에 180°떨어져 배치·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 디스크(6)의 대향면(6a)에는, 도 5,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오목부(64, 64)가 둘레방향에 180°떨어져 배치·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4)는 돌출부(54)와 동일한 원둘레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64)에 돌출부(54)가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디스크(5, 6)의 지름방향에서의 오목부 (64)의 길이는, 돌출부(54)의 같은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54)는, 일정한 폭을 갖고 가동 디스크(5)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폭 방향의 중심선(L1)이 가동 디스크(5)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54)의 바깥면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면(arcuate surface)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호면의 중심선은, 가동 디스크(5)를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심선(L1)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54)는 중심선(L1)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선(L1)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은 어느 쪽의 단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돌출부(54)는, 가동 디스크(5)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54)와 가동 디스크(5)의 대향면(5a)과의 교차능선(54a, 54a)이 중심선(L1)과 평행하게 되는 것과 같은 사각 형상을 하고 있다.
오목부(64)는, 고정 디스크(6)의 지름방향 안쪽에 형성된 안쪽 오목부(65)와, 지름방향 바깥쪽에 형성된 바깥쪽 오목부(66)로 구성되어 있다.
안쪽 오목부(65)는, 일정한 폭을 갖고 고정 디스크(6)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폭 방향의 중심선(L2)이 고정 디스크(6)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안쪽 오목부(65)의 중심선(L2)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은 어느 쪽의 단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더구나, 안쪽 오목부(65)는 중심선(L2)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쪽 오목부(65)의 양쪽면{고정 디스크(6)의 둘레방향에 위치하는 양쪽면}(65a, 65a)은 바깥쪽으로 팽창하여 방출하는 볼록한 곡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원호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원호면의 중심은, 중심선(L2)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더구나, 이 원호면의 한쪽끝부는 대향면(6a)에 접하고 있다.
한편, 바깥쪽 오목부(66)는, 고정 디스크(6)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고정 디스크(6)의 안둘레 쪽에서 바깥둘레 쪽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부채형을 하고 있고, 바깥쪽 오목부(66)의 안둘레쪽 끝부의 폭은, 안쪽 오목부(65)의 폭과 같게 되어 있다. 바깥쪽 오목부(66)도 중심선(L2)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66a)은 측면(65a)을 구성하는 원호면과 거의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측면(66a)을 구성하는 원호면의 한쪽 끝부도, 대향면(6a)에 접하고 있다. 측면(66a)을 구성하는 원호면과 측면(65a)을 구성하는 원호면은 서로간에 단차(段差)가 생기는 일없이 교차하고 있다. 그 교차능선이, 도 11에서 부호L3, L4로 나타나 있다. 측면(66a)과 대향면(6a)과의 접촉부위를 연결하는 선 L5는, 고정 디스크(6)의 축선과 직교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측면(66a)을 구성하는 원호면의 중심선은, 선 L5와 평행하지만, 고정 디스크(6)의 축선과 교차하는 일은 없다. 측면(66a)을 구성하는 원호면에 있어서는, 그 중심선이 고정 디스크(6)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배치하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선 L5가 고정 디스크(6)의 축선과 직교하지 않게 된다.
상기 돌출부(54)와 상기 안쪽 및 바깥쪽 오목부(65, 66)와의 관계에 대해서 서술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의 송화부(A)와 수화부(B)가 통화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중심선(L1, L2)이 디스크(5, 6)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볼 때 일치한다. 이 때의 가동 디스크(5)와 고정 디스크(6)와의 위치가 중립위치이다.
가동 디스크(5) 및 고정 디스크(6)가 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54)의 중앙부가 안쪽 오목부(65)의 바닥면(65b)에 대하여 떨어져 있고, 돌출부(54)의 양쪽부만이 안쪽 오목부(65)의 양쪽면(65a, 65a)과 각각 접촉한다. 더구나, 돌출부(54)의 중심선(L1)과 안쪽 오목부(6)의 측면(65a)을 구성하는 원호면의 중심선이 평행하므로, 돌출부(54)와 측면(65a)은, 도 11에서 해칭(hatching)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을 접촉(실질적으로는 면을 접촉)한다. 한편, 바깥쪽 오목부(66)는 안쪽 오목부(65)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져 있음에 따라서 그 폭이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54)는, 바깥쪽 오목부(66)의 측면(66a)은 물론이고, 바깥쪽 오목부(66)를 구획하는 어느 쪽의 면에 대하여도 떨어져 있다.
양 디스크(5, 6)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부터 각도α보다 작은 각도 범위에서 회동하면, 돌출부(54)는, 도 14에 있어서 해칭(hatching)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오목부(65)의 측면(65a)의 바깥둘레 쪽의 끝부 및 바깥쪽 오목부(66)의 측면(66a)의 안쪽의 끝부가 돌출부(54)와 접촉한다. 단지, 송화부(A)와 수화부(B)가 중립위치로부터 각도 α만큼 회동하면, 중심선(L1)이 선 L5와 평면에서 보아 일치한다. 이 결과, 돌출부(54)의 중앙부가 선 L5 상에 있어서 측면(65a)(대향면 6a)과 선접촉(線接觸)한다.
또한, 송화부(A)와 수화부(B)가 이루는 각도가 β보다 커진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와 대칭으로 된다.
상기 구성의 힌지장치(1)에 있어서는, 송화부(A)와 수화부(B)가 통화위치에회동하고, 가동 디스크(5)와 고정 디스크(6)가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돌출부(54)와 오목부(64)의 안쪽 오목부(65)가, 디스크(5, 6)의 둘레방향에 떨어진 두 부위에서 서로 접촉하기 때문에, 가동 디스크(5)와 고정 디스크(6)를 절도(節度)를 갖고 위치 고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송화부(A)와 수화부(B)가 통화위치에 있어서 흔들림이 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예의 힌지장치(1)에서는, 오목부(64)가 사각형의 안쪽 오목부 (65)와 부채형의 바깥쪽 오목부(66)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54) 및 오목부(64)의 조기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즉, 가령, 안쪽 오목부(65)를 바깥둘레 쪽으로 연장하고, 오목부(64)전체를 안쪽 오목부(65)에 의해서 구성한 것으로 하면, 가동 디스크(5)가 고정 디스크(6)에 대하여 중립위치로부터 조금이라도 회동하면, 돌출부(54) 및 오목부(64)의 측면이 바깥둘레 쪽의 끝부에 있어서만 접촉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54) 및 오목부(64)가 조기에 마모되기 쉽다.
한편, 오목부(64)를 사각형의 안쪽 오목부(65)와 부채형의 바깥쪽 오목부 (66)로 구성한 힌지장치(1)에서는, 가동 디스크(5)가 중립위치로부터 회동하면, 도 14에서 해칭(hatching)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디스크(5)의 지름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부(54)의 중간부가, 안쪽 오목부(65)의 측면(65a)과 바깥둘레 쪽의 끝부(Q)에서 접촉한다. 이는, 오목부(64) 전체를 안쪽 오목부(65)만으로 구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힌지장치(1)에서는, 오목부(64)가 바깥쪽 오목부(66)를 갖고 있고, 돌출부(54)의 중간부는 바깥쪽 오목부(66)의 측면 (66a)과 그 안쪽의 끝부(R)에서도 접촉한다. 따라서, 돌출부(54)와 오목부(64)와의 접촉면적이 배로 증가한다. 따라서, 돌출부(54) 및 오목부(64)의 조기 마모를 더욱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 힌지장치(1)와 같이 오목부(64)의 측면(65a, 66a)을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면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가동 디스크(5)와 고정 디스크(6)가 회동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돌출부(54)의 측면 (65a, 66a)에 대한 접점부분(도 15에서 더블해칭으로 나타낸 부위)의 길이가, 오목부(64)를 구획하는 바닥면(64a)을 요곡면으로 구성한 경우의 접점부분(도16에 있어서 더블해칭으로 나타낸 부위)의 길이보다 길어진다. 이에 따라, 돌출부(54)의 조기 마모를 보다 한층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오목부(64)를 안쪽 오목부(65)와 바깥쪽 오목부(66)로 구성하고 있지만, 안쪽 오목부(65)를 바깥쪽 오목부만큼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오목부(64) 전체를 안쪽 오목부(65)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64)를 구획하는 면을 폭방향 중앙의 요곡면(凹曲面)(64a)과 양 쪽의 요곡면(64B)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요곡면(64a)에 있어서는, 가동 디스크(5)와 고정 디스크(6)가 중립위치에 회동하였을 때, 돌출부(54)가 둘레방향에 떨어진 두 부위에서 오목부(64)와 접촉할 수가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돌출부(54)를 구성하는 원호면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면으로 구성한다. 또한, 요곡면(64B)에 있어서는, 돌출부(54)를 구성하는 원호면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면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오목부(64)를 중앙 쪽의 하나의 요곡면(64a)과 폭 방향의 양쪽의 두개의 요곡면(64B)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어서는, 오목부(64)가 안쪽 오목부(65)와 바깥쪽 오목부(66)로 나누어진 경우에서의 각 오목부(65, 66)에 대해서도 같이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돌출부(54)와 한 쌍의 오목부(64) 중의 어느 한쪽을 둘레방향에 180°떨어져 배치하고 있지만, 일본국 특개평 10-317779호 공보(특히, 도 1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한 쌍의 돌출부(54)를 180°이하의 각도, 예를 들면 160°정도로 배치하여, 오목부(64)를 3개 형성하여, 그것들을「Y」글자형상으로 배치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는, 휴대전화기 등의 본체와 덮개체와 같은 2개의 물품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장치로서 이용가능하다.

Claims (3)

  1.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상대적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재와, 이 한 쌍의 접촉부재를 서로 누름·접촉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한 쌍의 접촉부재의 대향면의 한 쪽에는 접촉부재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접촉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서 출입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들어가면, 상기 한 쌍의 접촉판이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의 둘레방향에서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오목부의 중앙부가 거의 일치하는 중립위치 쪽으로 강제적으로 회동하게 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가 중립위치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돌출부를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상기 접촉부재의 둘레방향에서의 양쪽 부분에서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바깥면은, 상기 접촉부재의 지름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원호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의 둘레방향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양쪽면을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면에 의해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1020027006658A 2000-09-29 2001-09-21 힌지 장치 KR100818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99501 2000-09-29
JP2000299501A JP3830745B2 (ja) 2000-09-29 2000-09-29 ヒン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785A true KR20020059785A (ko) 2002-07-13
KR100818020B1 KR100818020B1 (ko) 2008-03-31

Family

ID=1878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658A KR100818020B1 (ko) 2000-09-29 2001-09-21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904644B2 (ko)
EP (1) EP1321684B1 (ko)
JP (1) JP3830745B2 (ko)
KR (1) KR100818020B1 (ko)
CN (1) CN100427777C (ko)
AT (1) ATE372468T1 (ko)
BR (1) BR0107264A (ko)
CA (1) CA2392522A1 (ko)
DE (1) DE60130347D1 (ko)
HK (1) HK1050388A1 (ko)
MX (1) MXPA02005261A (ko)
NO (1) NO322617B1 (ko)
TW (1) TW526647B (ko)
WO (1) WO20020313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064A (ko) * 2002-10-18 2004-04-29 (주) 프렉코 휴대폰 힌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5936B2 (en) 2001-02-26 2004-09-07 Sugatsune Kogyo Co., Ltd. Hinge device
JP2003120655A (ja) * 2001-10-15 2003-04-23 Ohashi Technica Inc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3343543A (ja) 2002-05-31 2003-12-03 Sugatsune Ind Co Ltd ヒンジ装置
EP1614913A4 (en) * 2003-04-03 2008-06-11 Sugatsune Kogyo DEVICE BOX OPENING / CLOSING DEVICE AND ARTICULATED 2 AXIS DEVICE
TWM255628U (en) * 2003-09-05 2005-01-11 Fih Co Ltd Hinge assembly
JP4111392B2 (ja) 2003-10-09 2008-07-0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329545B2 (ja) * 2004-01-14 2009-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その装着方法
CN100340734C (zh) * 2004-03-05 2007-10-0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储藏容器的铰链装置和具有其的储藏容器
JP4373852B2 (ja) * 2004-05-31 2009-11-2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20060196009A1 (en) * 2004-07-20 2006-09-07 Fijitsu Limited Hinge device
CN2757503Y (zh) * 2004-11-27 2006-0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US20070234514A1 (en) * 2006-04-05 2007-10-11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a multi-stage positioning function
CN102168716B (zh) * 2010-02-25 2013-04-24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多段式铰链总成及包含该总成的可携式电子装置
CN104791374B (zh) * 2015-03-31 2017-11-14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旋转机构
US11066192B2 (en) * 2017-08-04 2021-07-20 Rocket Lab Usa, Inc. Satellite deployer door with clutch bearing
US11795747B2 (en) * 2021-06-28 2023-10-24 Rivian Ip Holdings, Llc Vehicle door hing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5612A (ja) 1982-10-08 1984-04-13 Nhk Spring Co Ltd ばね式回動装置
JPH01150727A (ja) 1987-12-02 1989-06-13 Ilmasti Oy 屋内施設の空気調整方法
AU624027B2 (en) * 1989-10-11 1992-05-28 Sugatsune Industrial Co., Ltd Door hinge
JP2526490B2 (ja) 1993-06-23 1996-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ヒンジ構造
JP3984305B2 (ja) * 1994-10-20 2007-10-03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用電話器並びにその開閉装置
US5600868A (en) * 1995-03-07 1997-02-11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Deployment hinge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JP2842827B2 (ja) * 1996-02-26 1999-01-0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ヒンジ構造
JPH10131947A (ja) * 1996-10-28 1998-05-22 Kato Electrical Mach Co Ltd 複合トルクヒンジ
JP3818407B2 (ja) 1997-05-14 2006-09-06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JP3732619B2 (ja) * 1997-06-16 2006-01-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3816202B2 (ja) * 1997-07-31 2006-08-30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JP3828643B2 (ja) * 1997-10-08 2006-10-04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TW411069U (en) * 1997-10-08 2000-11-01 Kato Electric & Machinary Co Hinge device
DE69834470T2 (de) * 1997-12-11 2006-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Gelenkmechanismus für ein tragbares Telefon
US6065187A (en) * 1998-05-14 2000-05-23 Motorola, Inc. Hinge assembly
KR100266516B1 (ko) * 1998-05-18 2000-09-15 한영수 힌지장치
EP0961457B1 (en) * 1998-05-26 2004-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DE19858709A1 (de) * 1998-12-18 2000-06-29 Kermi Gmbh Scharnier, insbesondere für Türflügel von Duschabtrennungen
JP3489668B2 (ja) * 1999-05-31 2004-01-26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064A (ko) * 2002-10-18 2004-04-29 (주) 프렉코 휴대폰 힌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1684A4 (en) 2004-12-15
HK1050388A1 (en) 2003-06-20
TW526647B (en) 2003-04-01
NO322617B1 (no) 2006-11-06
WO2002031369A1 (fr) 2002-04-18
BR0107264A (pt) 2002-08-06
JP2002106544A (ja) 2002-04-10
US20030009852A1 (en) 2003-01-16
MXPA02005261A (es) 2002-12-11
EP1321684A1 (en) 2003-06-25
ATE372468T1 (de) 2007-09-15
NO20022533L (no) 2002-06-06
CN100427777C (zh) 2008-10-22
CA2392522A1 (en) 2002-04-18
CN1392931A (zh) 2003-01-22
EP1321684B1 (en) 2007-09-05
DE60130347D1 (de) 2007-10-18
JP3830745B2 (ja) 2006-10-11
US6904644B2 (en) 2005-06-14
KR100818020B1 (ko) 2008-03-31
NO20022533D0 (no) 200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963B1 (ko) 힌지장치
KR100818020B1 (ko) 힌지 장치
JPWO2002068833A1 (ja) ヒンジ装置
WO2002069683A1 (fr) Dispositif de charnière
US20080064342A1 (en) Swivel hinge for use in handheld device
JP3828643B2 (ja) ヒンジ装置
KR20050004259A (ko) 힌지장치
KR20010051938A (ko) 힌지장치
JP3818407B2 (ja)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JPH1150727A (ja)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JP2000022790A (ja) ヒンジユニット
WO2006008955A1 (ja) ヒンジ装置
KR100223578B1 (ko) 힌지구조
KR100689567B1 (ko) 폴더식 휴대전화기
JP2005195135A (ja) ヒンジ装置
JP2002333012A (ja) ヒンジ装置
KR960032810A (ko) 회전커넥터
JP2004278659A (ja) ヒンジ構造体
JP2002155926A (ja) 小型ヒンジ装置
KR1007005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H0932846A (ja) 軸 具
KR20050101472A (ko) 스토퍼를 내장한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