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8579A -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8579A
KR20020058579A KR1020000086689A KR20000086689A KR20020058579A KR 20020058579 A KR20020058579 A KR 20020058579A KR 1020000086689 A KR1020000086689 A KR 1020000086689A KR 20000086689 A KR20000086689 A KR 20000086689A KR 20020058579 A KR20020058579 A KR 20020058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oelectric
thin film
ferroelectric capacitor
seed layer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147B1 (ko
Inventor
양우석
김남경
염승진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86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1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배향성을 갖는 강유전체를 씨앗층으로 형성한 후 그 상부에 BLT 강유전체박막을 형성하여 BLT 강유전체의 무배향성을 유도함으로써, BLT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전기적 특성과 전극용량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은, 소정 공정이 완료된 기판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하부전극 상에 무배향성을 갖는 강유전체 씨앗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 상에 BixLayTi3O12(x는 3.2 내지 3.5, y는 0.4 내지 0.9) 강유전체 박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BixLayTi3O12강유전체 박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Method for forming ferroelectric capacitor}
본 발명은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BLT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에서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 높은 전극용량을 갖고 누설전류의 영향이 적어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캐패시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SBT(SrxBiyTi3O12(x는 0.7 내지 0.9, y는 2.2 내지 2.6)) 또는 SBTN(SrxBiy(TaiNbj)2O9(x는 0.7 내지 0.9, y는 2.2 내지 2.6, i는 0.6 내지 0.9, j는 0.1 내지 0.4)) 등의 비스무스 층상 구조(Bi-layered perovskite)의 강유전체 박막을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Pt 등을 전극물질로 사용하게 되었다.
한편, SBT(N) 강유전체는 양호한 박막피로 특성과 분극포화 특성을 가지나, 결정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표면이 평탄한 막을 얻기가 힘들며, 결정화 온도가 높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BT(N) 보다 분극 값이 크고, 결정화 온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은 BLT(BixLayTi3O12(x는 3.2 내지 3.5, y는 0.4 내지 0.9))를 이용한 강유전체 박막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스무스 층상구조의 강유전체는 c축 보다 a축 또는 b축 방향의 분극값이 크다.
그러나, BLT의 경우 a축 또는 b축 방향의 분극값은 50μC/㎠로 매우 큰 반면, c축 방향의 분극값은 4μC/㎠로 매우 작다( LANDOLT-BRNSTEIN Numerical Dataand Functional Relationships in Science and Technology, New Series Group Ш, Vol. 16 (Ferroelectrics and Related Substances), Subvolume a: Oxides edited by T. Mitsui & S. Nomura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1981), pp.237 참조).
따라서, 분극값이 증가된 BLT 강유전체 박막을 얻기 위해서는 c축 배향성은 억제하고, a축 또는 b축 배향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러나, BLT 강유전체 박막은 증착방법, 예컨대 스퍼터법(Sputtering)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결정화 열공정 후 표면에너지가 적은 c축 배향성을 가지고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분극값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BLT 강유전체 박막은 단사정계(Monoclinic) 또는 의사사방정계(Pseudo-orthorhombic) 즉, a = 5.411Å, b = 5.448Å, c= 32.38Å인 결정구조를 갖는 반면, SBT(N) 강유전체 박막은 단사정계(Orthorhombic) 즉, a = 5.512Å, b = 5.512Å, c= 25.00Å인 결정구조를 갖는다("Electrical Properties of (Bi, La)4Ti3O12Based Films Prepared by RF Sputtering", N. Ichinose and M. Nomura, Jpn. J. Appl. Phys. 35 (1996) 4960 참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배향성을 갖는 SBT계 강유전체를 씨앗층으로 형성한 후 그 상부에 BLT 강유전체박막을 형성하여 BLT 강유전체의 무배향성을 유도함으로써, BLT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전기적특성과 전극용량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결정화된 BLT 강유전체 박막과 SBT계 강유전체 박막의 배향성 차이를 나타내는 X선 회절 패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30 : 기판
11, 31 : 소스/드레인 접합
12, 32 : 필드산화막
13, 33 : 게이트 절연막
14, 34 : 게이트 전극
15, 35 : 제1층간절연막
16, 36 : 비트라인
17, 37 : 제2층간절연막
18 : 폴리실리콘 플러그
19 : 실리사이드층
20 : 확산방지막
21, 40 : 하부전극
22, 41 : 강유전체 씨앗층
23, 42 : BLT 강유전체 박막
24, 43 : 상부전극
25: 수소확산방지막
26 : 평탄화절연막
27, 47 : 금속배선층
38 : 페시베이션층
39 : 접착층
44 : 제3층간절연막
45 : 제1확산방지막
46 : 제2확산방지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정 공정이 완료된 기판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하부전극 상에 무배향성을 갖는 강유전체 씨앗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 상에 BixLayTi3O12(x는 3.2 내지 3.5, y는 0.4 내지 0.9) 강유전체 박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BixLayTi3O12강유전체 박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결정화된 BLT 강유전체 박막과 SBT계 강유전체 박막의 배향성 차이를 나타내는 X선 회절 패턴이다.
실시예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도 3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결정화 열처리 후 Pt 하부층 상의 BLT 및 SBT계 강유전체 박막의 X선 회절에 의한 강도(A, B)로서 각 박막의 배향성을 확인한 것이다. 여기서, 세로축은 X선 회절에 따른 상대적인 횟수를 강도로서 표시한 것으로 임의의 단위를 나타내며, 가로축은 임의의 결정면을 따라서 측정한 각도(2 Theta)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BLT의 경우(A)는, A1, A2, A3, A4, A6, A8과 같이 c축의 배향성이 지배적이며, A4와 A6에서 처럼 무배향성(Random orientation)인 경우도 나타난다.
한편, SBT계의 경우(B)는, B1∼ B5와 같이 a축 또는 무배향성이 지배적임을 알 수 있다. 즉, BLT(A)와는 달리 SBT계(B)는 증착방법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일반적으로 무배향성을 가지고 결정화된다.
따라서,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시, SBT계 강유전체막을 씨앗층(Seed layer)으로 200Å 이하로 얇게 증착 및 결정화시킨 후 BLT 강유전체 박막을 증착 및 결정화시키면 BLT와 비슷한 결정구조를 가지면서 무배향성을 갖는 SBT계 강유전체막의 영향을 받아서 BLT 강유전체 박막이 무배향성을 갖으면서 결정화되어 결과적으로 c축 배향성을 갖는 단일 BLT 강유전체 박막보다 높은 분극값을 갖는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여 본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a는 반도체 기판(10) 상에 소정의 절연구조 및 도전구조의 하부층이 형성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 하부층 형성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판(10) 상에 소스/드레인 접합(11)과 필드산화막(12) 및 게이트 산화막(13)과 게이트전극(14)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전극(14)과 비트라인(16)을 분리시키는 제1층간절연막(15)과 제2층간절연막(17)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막(15,17)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1콘택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후, 리세스된 폴리실리콘 플러그(18)와 실리사이드층(19) 및 확산방지막(20)을 상기 제1콘택홀(도시하지 않음) 내부의 일정 영역에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층간절연막(17)은 HTO(High Temperatyre Oxidation) 또는 BPSG(BoroPhospho Silicate Glass)에 의한 산화막을 이용하며, 상기 실리사이드층(19)은 통상적인 실리콘(Si)과 티타늄(Ti) 또는 코발트(Co)의 열반응에 의한 실리사이드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확산방지막(20)은 TiN, TiAlN 또는 TiSiN 등을 이용한다.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물 전면에 하부전극(21)과 무배향성을 갖는 SBT 또는 SBTN의 SBT계 강유전체 씨앗층(22)을 50Å 내지 200Å으로 얇게 형성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22)을 무배향성으로 결정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전극(21)은 Pt계/IrO2/Ir 또는 IrO2/Ir의 귀금속과 전도성 산화물이 적층된 구조를 사용하며,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22)의 증착은 졸겔법(Sol-gel), MOD(Metal Organic Decomposition), LSMCD(Liquid Source MistChemical Deposition), 스퍼터법(Sputtering), 금속유기 화학기상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 등을 이용하는 바, 상기 졸겔법, MOD 또는 LSMCD를 이용하는 경우, 액체 상태의 소스를 도포하여 열처리하기 때문에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22) 내에 유기물이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증착 후 350℃ 내지 500℃의 온도에서 2분 내지 6분 동안 베이킹하여 상기 유기물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22)은 700℃ 내지 800℃ 온도를 유지하며, 산소(O2), 질소(N2) 또는 아르곤(Ar)의 분위기에서 1초 내지 60초 동안 급속열처리(Rapid Thermal Annealing; RTA)함으로써 결정화된다.
다음으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22) 전면에 300Å 내지 700Å의 두께의 BLT 강유전체 박막(23) 및 Pt계의 상부전극(2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전극(24) 상에 SBT계의 제2강유전체 씨앗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형성하여 무배향성의 다층 유전체 박막으로 분극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BLT 강유전체 박막(23)은 전술한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22)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증착을 하며, 상기 BLT 강유전체 박막(23)을 증착 후 결정화 열처리를 실시하거나, 상기 상부전극(24) 형성 후 또는 상기 제2강유전체 씨앗층(도시하지 않음) 형성 후 결정화 열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는 바, 상기 결정화 열처리는 먼저, 전술한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22)의 열처리를 실시한 후 이어서, 600℃ 내지 700℃의 온도를 유지하며, 질소 또는 아르곤의 분위기에서 20분내지 4시간 동안 로열처리(Furnace Anneal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전극(24)과 BLT 강유전체 박막(23)을 식각 후 패턴을 형성한 후 회복열처리를 실시하여 식각 시 플라즈마 충격에 의해 열화된 강유전체의 잔류분극 값을 어느 정도 회복시킨다.
구체적으로, 회복열처리는 600℃ 내지 700℃의 온도를 유지하며, 질소 또는 아르곤의 분위기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로열처리(Furnace Annealing)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단, 식각 공정은 전 공정에서 상기 하부전극(21)을 먼저 실시할 수도 있고, 상부전극(24)을 먼저 실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물 전면에 Al2O3등의 수소확산방지막(25)과 실리콘산화막 또는 SOG(Spin On Glass) 등의 평탄화절연막(26)을 차례로 형성한다. 이후, 상기 수소확산방지막(25)과 평탄화절연막(26)을 식각 후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전극(24)과 금속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2콘택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후, 회복열처리를 실시하여 강유전체의 특성을 회복시키며 TiN 반사방지막(arc-TiN)/Al/TiN 등을 증착 및 식각 후 패턴을 형성하여 금속배선층(27)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회복열처리는 600℃ 내지 700℃의 온도를 유지하며, 질소 또는 아르곤의 분위기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로열처리(Furnace Annealing)하여 이루어진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하부전극의 하부에 플러그가 없는 NPP(Non Poly Plug)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도 1a 내지 도 1e와 동일한 공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a는 반도체 기판(30) 상에 소정의 절연구조 및 도전구조의 하부층이 형성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하부층은 기판(30) 상에 소스/드레인 접합(31)과 필드산화막(32) 및 게이트 산화막(33)과 게이트전극(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전극(34)과 비트라인(36)을 분리시키는 제1층간절연막(35)과 그 상부에 제2층간절연막(37)을 형성되어 있다. 후속 공정을 설명하면, 상기 제2 층간절연막(37) 상에 HTO에 의한 페시베이션층(38)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시베이션층(38) 전면에 SiO2등의 접착층(39)과 하부전극(40) 및 무배향성을 갖는 SBT 또는 SBTN의 SBT계 강유전체 씨앗층(41)을 50Å 내지 200Å으로 얇게 형성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41)을 무배향성으로 결정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전극(40)은 Pt 또는 Pt계를 사용하며,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41)의 증착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41)은 700℃ 내지 800℃ 온도를 유지하며, 산소 분위기에서 1초 내지 60초 동안 급속열처리(Rapid Thermal Annealing; RTA)함으로써 결정화된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41) 전면에 300Å 내지 700Å의 두께의 BLT 강유전체 박막(42) 및 Pt계의 상부전극(4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전극(43) 상에 SBT계의 제2강유전체 씨앗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형성하여 무배향성의 다층 유전체 박막으로 분극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BLT 강유전체 박막(42)은 전술한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4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증착을 하며, 상기 BLT 강유전체 박막(42)을 증착 후 결정화 열처리를 실시하거나, 상기 상부전극(43) 형성 후 또는 상기 제2강유전체 씨앗층(도시하지 않음) 형성 후 결정화 열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는 바, 상기 결정화 열처리는 먼저, 전술한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41)의 열처리를 실시한 후 이어서, 750℃ 내지 850℃의 온도를 유지하며, 산소 분위기에서 20분 내지 4시간 동안 로열처리(Furnace Anneal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전극(43)과 BLT 강유전체 박막(42)을 식각 후 패턴을 형성한 후 회복열처리를 실시하여 식각 시 플라즈마 충격에 의해 열화된 강유전체의 잔류분극 값을 어느 정도 회복시킨다.
구체적으로, 회복열처리는 600℃ 내지 800℃의 온도를 유지하며, 산소 분위기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로열처리(Furnace Annealing)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단, 식각 공정은 전 공정에서 상기 하부전극(40)을 먼저 실시할 수도 있고, 상부전극(43)을 먼저 실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물 전면에 제3층간절연막(44)을 형성한 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캐패시터 콘택을 위한 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조건 하에서 회복열처리를 실시한 후 금속배선과 이를 위한 확산방지막 형성 시 캐패시터 콘택 부위에서 발생하는 캐패시터 특성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TiN 등을 이용하여 제1확산방지막(45)을 캐패시터 콘택 부위에만 남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제3층간절연막(44)은 SiO2, BPSG(BoroPhosphoSilicate Glass) 또는 BPSG/SiO2등을 이용한다.
다음으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30) 상의 소스/드레인 접합(31)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한 후 TiN/Ti 등의 제2확산방지막(46)을 형성한다. 이어서, Al 등의 금속배선층(47)을 이용하여 상기 제2확산방지막(46)과 상기 제1확산방지막(45)을 플러깅한 후 상기 제2확산방지막(46)과 금속배선층(47)을 패터닝한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은, BLT 강유전체 박막의 하부에 무배향성을 갖는 SBT계의 강유전체 씨앗층을 일정 두께로 형성하여 열처리 온도를 조절하면서 BLT 강유전체 박막의 무배향성을 유도하여 분극값을 크게 함으로서, 전극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시예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강유전체의 특성 열화를 최소화하며 전기적 특성과 전극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정 공정이 완료된 기판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하부전극 상에 무배향성을 갖는 강유전체 씨앗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 상에 BixLayTi3O12(x는 3.2 내지 3.5, y는 0.4 내지 0.9) 강유전체 박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BixLayTi3O12강유전체 박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BixLayTi3O12강유전체 박막 상에 무배향성을 갖는 강유전체 씨앗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은,
    SrxBiyTi3O12(x는 0.7 내지 0.9, y는 2.2 내지 2.6) 또는 SrxBiy(TaiNbj)2O9(x는 0.7 내지 0.9, y는 2.2 내지 2.6, i는 0.6 내지 0.9, j는 0.1 내지 0.4)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은,
    50Å 내지 2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ixLayTi3O12강유전체 박막과 강유전체 씨앗층은,
    졸겔법, MOD, LSMCD, 스퍼터법, 금속유기 화학기상증착법 또는 원자층 증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졸겔법, MOD 또는 LSMCD를 사용 시,
    350℃ 내지 500℃에서 베이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ixLayTi3O12강유전체 박막은,
    300Å 내지 7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은,
    Pt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강유전체 씨앗층 형성 후 700℃ 내지 800℃의 온도 및 산소, 질소 또는 아르곤 중 어느 하나의 분위기에서 1초 내지 60초 동안 급속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BixLayTi3O12강유전체 박막을 결정화하기 위해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후,
    상기 BixLayTi3O12강유전체 박막을 결정화 열처리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열처리는,
    700℃ 내지 800℃의 온도 및 산소, 질소 또는 아르곤 중 어느 하나의 분위기에서 1초 내지 60초 동안 급속열처리하는 단계; 및
    600℃ 내지 700℃의 온도 및 질소 또는 아르곤의 분위기에서 20분 내지 4시간 동안 로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후,
    상기 상부전극, 상기 BixLayTi3O12강유전체 박막을 선택적으로 싱각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600℃ 내지 700℃의 온도 및 질소 또는 아르곤의 분위기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회복열처리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은,
    Pt계/IrO2/Ir 또는 IrO2/Ir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20000086689A 2000-12-30 2000-12-30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35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689A KR100358147B1 (ko) 2000-12-30 2000-12-30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689A KR100358147B1 (ko) 2000-12-30 2000-12-30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579A true KR20020058579A (ko) 2002-07-12
KR100358147B1 KR100358147B1 (ko) 2002-10-25

Family

ID=2768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689A KR100358147B1 (ko) 2000-12-30 2000-12-30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1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468B1 (ko) * 1995-03-20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유전성박막제조방법및이를적용한캐패시터및그제조방법
US5719417A (en) * 1996-11-27 1998-02-17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Ferroelectric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KR19990055182A (ko) * 1997-12-27 1999-07-15 김영환 강유전체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100269320B1 (ko) * 1997-12-30 2000-10-16 윤종용 유전체막의형성방법및이를이용한캐패시터의제조방법
KR100324589B1 (ko) * 1998-12-24 2002-04-17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147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721B1 (ko) 용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449949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90017758A (ko) 강유전체 커패시터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KR20030002863A (ko) 코어를 가진 플러그 구조 상의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JP4925494B2 (ja) 高誘電率の誘電膜を有する半導体装置のキャパシタ製造方法
JP2008135642A (ja) 強誘電体キャパシタ
KR100500938B1 (ko)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10029911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5009304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98608B1 (ko)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JP3543916B2 (ja) 強誘電体キャパシタの形成方法及び不揮発性半導体記憶素子の製造方法
KR100358147B1 (ko)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20058522A (ko)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545702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확산방지막 형성 방법
KR100296128B1 (ko) 강유전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616211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30039893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418585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에서의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0418584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에서의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1016963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21690B1 (ko) 에프램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1016950B1 (ko) 반도체 소자의 강유전체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600054B1 (ko) 강유전체 결정화 공정에 따른 폴리실리콘 플러그의 산화를방지할 수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20030003358A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에서의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0362197B1 (ko)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