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897A - 지중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과 부설 구조 및부설에 사용되는 부재 - Google Patents

지중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과 부설 구조 및부설에 사용되는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897A
KR20020056897A KR1020027004470A KR20027004470A KR20020056897A KR 20020056897 A KR20020056897 A KR 20020056897A KR 1020027004470 A KR1020027004470 A KR 1020027004470A KR 20027004470 A KR20027004470 A KR 20027004470A KR 20020056897 A KR20020056897 A KR 2002005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communication cable
main
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키야후미아키
야기이사부로
아즈마카추히코
키시베노부야수
아소코지
우에다야수히로
Original Assignee
산키공업주식회사
야마다 히로가즈
세토 이치로
아시모리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89743A external-priority patent/JP39802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6822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740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4232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690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0785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25497B2/ja
Application filed by 산키공업주식회사, 야마다 히로가즈, 세토 이치로, 아시모리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키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5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8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02Installation methods in fluid conducts, e.g. pipel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08Fixation devices in ducts for draw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관 등의 지중관로 내에서 광섬유 케이블(20)에 직접 장력을 가하지 않고, 또 헐거워짐이 없이 부설이 가능하고, 또한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20)이 부설되는 본관에 대해서는 관로의 상부 측에 광섬유 케이블(20)을 부설할 수 있고, 부설 작업에는 값비싼 로봇(robot)을 필요하지 않는 통신 케이블(16)의 부설 방법을 제공한다. 그 결과, 본원 통신 케이블(16)의 부설 방법은 광섬유 케이블(20, 21, 22)에 따라 고강도 저신도성(high-strength low-elongation)의 인장부재(25, 26, 27)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sliding) 가능하도록 배치하고, 인장부재(25, 26, 27)를 견인하여 지중관로(1) 내부로 끌어넣어 맨홀(2, 3,) 사이에서 트렁크 인장부재(25)에 장력을 가하여 트렁크 인장부재(25)를 지중관로(1) 내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도록 함으로써,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을 지중관로(1)의 상부 측에 부설한다. 또한, 분기관(4, 5) 내에 분기 인장부재(26, 27)에 장력을 가하여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을 분기관 내에서 헐거움(slack)이 없도록 부설한다.

Description

지중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과 부설 구조 및 부설에 사용되는 부재{LAYING METHOD, LAYING STRUCTURE, AND STRUCTURAL MEMBERS USED FOR LAYING COMMUNICATION CABLES IN UNDERGROUND PIPELINE}
광섬유 케이블은 기존의 금속 케이블과 비교할 때에 중량이 가볍고 쉽게 구부러지는 유연함 때문에 취급이 쉬우며, 전송 속도와 전송 용량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차세대 전송 매체로서 훌륭한 매체로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광섬유 케이블은 그 재질이 유리로써 제조되기 때문에, 파단(破斷) 신장성이 극히 적은 결점이 있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을 하수도관에 부설하는 경우에는 광섬유 케이블에 장력을 가하지 않도록 유의하여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하수도관의 본관에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간선(幹線; truck line)이나 지선(枝線; branch line)이라고 칭하는 외경이 약 20 mm인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하여, 또 그 본관(本管)에서 각 가정으로 접속된 분기관 내에 인입선이라고 칭하는 외경이 5 mm 정도의 좁은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래서, 하수도관 내에서 자연 유하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관로 내부에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하는 경우에는 하수도 본관 안을 흐르는 하수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간선, 지선 및 각 인입선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케이블을 하수도 본관의 상부 측에 부설하도록 요청되고 있다.
이상의 기술 배경에서는 광섬유 케이블을 하수도 본관의 상부 측에 장력을 가하지 않고 부설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특공평 제3-50483호 공보 및 특개평 제8-103012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종래 기술은 하수도관 내의 광섬유 케이블을 삽입시키면서 부설 로봇(robot)을 삽입하여, 이 부설 로봇의 팔(arm)로서 광섬유 케이블을 들어 올려 하수도관 내면의 상부에 눌러 붙어 부설 로봇에 있는 후크(hook)를 하수도 본관 내면에 적당한 간격으로 취부하면서 이 후크에 광섬유 케이블을 걸리게 한다.
상기의 기술에 있어서 후크의 취부 방법으로써, 부설 로봇에 내장된 드릴(drill) 취부 구멍을 마련하고, 후크 취부 구멍 내부에 접착제를 충전한 후에 후크 취부 구멍에 후크를 삽입하여 후크 취부 구멍 내부의 접착제를 넘쳐흐르게 하면서, 후크를 하수도 본관 내면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방법은 후크 사이의 광섬유 케이블이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헐거워져 이완되는 것을 고려하여, 이완에 따른 크리프 파단(creep rupture)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 간격을 비교적 좁게 설정하여야만 하고, 후크의 취부 작업에는 대단히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또한, 부설 로봇에는 광섬유 케이블을 압착시키기 위한 암 기구(arm mechanism), 후크 취부 구멍을 뚫기 위한 드릴(drill) 기구, 접착제의 주입 기구, 후크 취부 구멍에 후크를 압입시키는 기구 등, 하수도 관로 내에서 여러 가지 작업을 하기 위한 기구가 조립하여 인입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매우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하수도 관로 내에 광섬유 케이블 망을 신속 용이하게 구성시키기 위해서는 부설 작업이 적은 비용의 기술로 이루어짐을 요구되고 있어, 공보에 기재된 방법은 채용하기에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에는 하수도 본관에서 연장되는 분기관으로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시키는데 대해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하수가 잘 흐르지 않는다든지 또는 광섬유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지중관로 특히 하수도 관로 내에 광섬유 케이블 등의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과 부설 구조 및 부설에 사용되는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새로운 통신 방식으로서 광섬유 케이블을 전송 매체로 하는 정보 통신망의 구성에 대해 여러 곳에서 검토되고 있다. 그리하여, 전송 경로로서는 기존의 전화 회선을 광섬유 케이블로 변경하는 방식이 아니고, 이미 각 가정으로의 연결 경로가 확보되어 있는 하수도 관로 내에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
도1은 하수도 관로 내에 견인 로프를 삽통한 상태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
도2는 하수도관의 분기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3은 광섬유 케이블에 인장부재를 부분적으로 계지(係止)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파이프형의 인장부재를 광섬유 케이블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며, (b)는 확대 횡단면도.
도5는 단면 형상이 U자형인 인장부재에 광섬유 케이블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단면 형상이 다른 인장부재에 광섬유 케이블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횡단 도면으로서, 인장부재의 단면 형상이 (a)는 V형이고 (b)는 W형을 나타낸 도면.
도7은 강성체로서 구성된 인장부재를 접속 부재하여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하수도 관로 내에서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
도9는 광섬유 케이블과 인장부재를 유도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
도10은 도9에 있어서, (a)는 A-A 부분의 횡단면도, (b)는 B-B 부분의 단면도.
도11은 본관 내면에 이완 방지재로서의 금속 링을 끼운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12는 본관 내면에 이완 방지재로서의 FRP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13은 분기관구에 유도부재를 끼운 상태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
도14는 도13에 있어서, 분기관구의 하면도.
도15는 분기관구에 T형 유도부재를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6은 분기관에 유연성 보형 파이프(retaining pipe)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
도17은 도16에 있어서, 유연성 보형 파이프를 분기관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
도18은 분기관구에 유도부재를 끼워 넣어 광섬유 케이블과 인장부재를 분기관구의 하부로 유도하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a)는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회전통을 회전시켜서 분기관구 하부로 유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9는 도18의 유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a)는 분기관구에 배치한 상태, (b)는 회전통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0은 도18의 유도부재의 내측에 경화성 고정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21은 유도부재로서 판상부재를 나선형(spiral form)으로 감아 돌린 관체를 사용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a)는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한 상태, (b)는 관체를 비튼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2는 유도부재로서의 파이프를 분기관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23은 도22에 있어서 유도부재로서의 파이프 사시도.
도24는 유도부재로서 양단에 확개부재(擴開部材)를 고정시킨 파이프를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25는 도24에 있어서의 유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a)는 분기관구로의 장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분기관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6은 본 발명에 관련된 광섬유 케이블 시설 구조의 다른 형태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개략도.
도27은 유도관과 유도관 내에 삽입된 광섬유 케이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8은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할 수 있도록 광섬유 케이블을 유도하는 유도부재의 사시도.
도29는 이완 방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0은 굴곡 파이프의 굴곡부의 내면 상부에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할 수 있도록 광섬유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31은 유도관의 형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2는 인장부재를 끌어당기는 지그(jig)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3은 유도부재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그(jig)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4는 본 발명에 관련된 광섬유 케이블 부설 구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전체 개략도.
도35는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할 수 있도록 광섬유 케이블을 유도하는 유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6은 파이프형의 인장부재에 광섬유 케이블을 삽입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사시도이며, (b)는 확대 단면도.
도3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지중관로의 배치예를 모형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38은 본 발명에 관련된 지중관로 내부에서의 통신 케이블 부설용 유도관, 또는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 사시도.
도39는 유도관 내부에서의 통신 케이블 등의 배선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 (b)는 상면도.
도40은 지중관로 내부에 유도관과 통신 케이블 등을 부설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1은 본관 상부 측에 유도관 설치 시의 상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42는 부설 시에 있어서, 몇 개의 맨홀을 인출하여 유도관을 부설할 경우에 사용하는 유도관 연결부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3은 유도관 또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4는 유도관 또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5는 유도관으로 통신 케이블 등의 삽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6은 맨홀 사이의 거리가 긴 경우에, 유도관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등의 배선 방법을 설명하는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47은 유도부재가 유도관과 통신 케이블 등을 구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48은 본관 내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의 설치 상황과 본관에서 분기한 분기관 내에 고정부재를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49는 통신 케이블이 유도관에서 분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50은 통신 케이블이 한 실시예인 분기 기구를 갖는 유도관에서 분기하고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51은 튜브에 삽입된 통신 케이블이 유도관에서 분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52는 통신 케이블이 다른 실시예인 분기 기구를 갖는 유도관에서 분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53은 본 발명에 관련된 유도관과 통신 케이블 등의 유도관 내에 있어서 배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54는 분기관 내의 통신 케이블 등을 상부 측에 부설하기 위한 고정부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55는 통신 케이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6은 도55의 통신 케이블에 사용된 통신 테이프 철심(tape core wire)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7은 통신 케이블의 다른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8은 통신 케이블의 또한 다른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P : 유도부재(유지부재)
Q : 고정부재(유지부재)
1 : 지중관로(地中管路), 본관(本管)
2, 3 : 맨홀
4, 5 : 분기관(分岐管)
6, 7 : 분기관구(分岐管口)
8, 9 : 분기관 박스
13 : 칸막이 판
14 : 내관(內管)
15 : 공간(空間)
16 : 분기 통신 케이블
17 : 분기 인출선
18 : 분기공(分岐孔)
19a, 19b : 인출자
20 :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트렁크 통신 케이블)
21, 22 : 분기 광섬유 케이블(분기 통신 케이블)
23, 24, 25 : 견인 로프
27 : 유도관 연결부재
25 : 트렁크 인장부재
26, 27 : 분기 인장부재
28 : 공간부
30, 31 : 결속용 끈
34 : 인장 기구
41 : 원호상(圓弧狀) 고정부
42 : 경사면
43 : 슬라이드부
44 : 원호상 고정부
45 : 유도관
50, 52 : 이완방지부재
55 : 이완 방지재
56 : 원호상 고정부
60, 65 : 유도부재
70 : 탄성 보형관
80 : 유도부재
81 : 원통체
82 : 회전통
83 : 트렁크 슬라이드부
84 : 지지부
85 : 분기 슬라이드부
86 : 경화성 고정부재
87 : 판상부재
88 : 관체
89 : 밀폐부재
90 : 파이프
91, 92 : 확개부재(擴開部材)
102 : 트렁크 슬라이드부
103 : 분기 슬라이드부
104 : 삽입부
111 : 유도관
112 : 외관
121 : 트렁크 인장부재
122 : 가는 선
123 : 간선(幹線)용 인출선
127 : 유도관 연결부
128 : 트렁크 통신 케이블
212 : 분기용구
216 : 튜브
218 : 개구부
231 : 트렁크 슬라이드부
232 : 분기 슬라이드부
241 : 원호상 고정부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하수도관 등의 지중관로 내부로 광섬유 케이블에 직접 장력을 가하지 않고, 또한 헐거움으로 인한 이완이 없이 부설 가능하며,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이 부설되는 본관 내에 대해서는 관로의 상부 측에 광섬유 케이블 등의 통신 케이블을 부설할 수 있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과 부설 구조, 및 부설에 사용되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하수도 본관에서 이어가는 분기관에 통신 케이블을 보다 적절하게 부설할 수 있는 지중관로 내에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부설 구조, 부설에 사용되는 부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 갱도 사이에 마련된 본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기관이 분기되어 있는 지중관로에 본관과 분기관을 경유하여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과, 본관 내에 부설된 트렁크 통신 케이블(전술한 간선, 지선 케이블에 해당함)과 분기관 내에 부설된 분기 통신 케이블(전술한 인입선에 해당함)에 따라 각각의 고강도 저신도성(high-strength low-elongation)의 인장부재를 각각의 통신 케이블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여, 트렁크 통신 케이블에 따르게 한 트렁크 인장부재를 한쪽의 수직 갱도에서 본관 내를 거쳐서 다른 쪽의 수직 갱도까지,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에 따르게 한 분기 인장부재를 상기 한쪽의 수직 갱도에서 본관과 소정의 분기관 내를 경유하여 분기관 박스까지 각각 인입하여, 각 통신 케이블을 본관 내와 분기관 내에 삽입하고, 각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본관 내로 삽입한 인장부재를 본관 내에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도록 함으로써, 각 통신 케이블을 본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함과 함께 분기관 내로 삽입된 분기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에 있어서 이완이 없도록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의 통신 케이블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관 내에 삽입하는 분기 인장부재가 본관 내의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본관 내에 삽입된 트렁크 인장부재와 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분기관 내에 삽입하는 분기 인장부재가 본관 내의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본관 내에 부설된 분기 인장부재에서 분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과 인장부재가 유도관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이 유도관에 있어서 본관 내의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가 전기 유도관에서 외부로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인장부재가 원통으로 되어 있고, 이 인장부재 내로 통신 케이블을 삽입함으로써, 통신 케이블을 인장부재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부재가 선상체(string-like body) 또는 띠상체(strip-like body)이고, 인장부재로 통신 케이블을 약간 헐겁게 하면서 부분적으로 묶음으로써 통신 케이블을 인장부재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인장부재의 단면 형태가 U형, V형 또는 W자형과 같이 한쪽이 열린 공간부를 갖는 형태의 강성체(rigid body)로서 이루어지고, 인장부재의공간부에 통신 케이블을 설치함으로써 통신 케이블을 인장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렁크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트렁크 인장부재와 트렁크 통신 케이블을 본관의 상부에 부설한 후, 본관 내로 원호형 또는 링형의 이완 방지재를 삽입하여 이 이완 방지재의 지름을 넓혀서 트렁크 인장부재와 트렁크 통신 케이블을 본관의 내벽 면에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관 또는 분기관 내에 인장부재와 통신 케이블을 삽입한 후에 본관의 분기관구에 유도부재를 배치하여 통신 케이블과 인장부재를 분기관구의 바로 아래에서 우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시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관과 분기관 내로 인장부재와 통신 케이블을 삽입한 후에 분기관 내부로 이 분기관보다 지름이 좁은 유연성과 보형성을 갖는 파이프를 삽입하여 분기관 내에 삽입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 내면과 파이프의 외면과의 사이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관과 분기관 내로 인장부재와 통신 케이블을 삽입한 후에 분기관구에 배치된 유도부재에 의해 분기관구에서의 분기 인장부재와 분기 통신 케이블을 본관의 상부에서 분기관의 상부 또는 하부로 유도하고 분기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분기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따라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부재가 분기관에서 본관 내로 돌출하여 본관 내에 부설하는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분기관 내에 부설하는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분기 슬라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도부재와 관련되는 분기관의 내측 선단부로서 원통형의 경화성 고정부재를 확대하여 분기관의 내면에 압접한 상태로 경화시켜, 유도부재를 분기관에 대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부재가 전기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통체(cylinder body)와 이 통체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상기 분기 슬라이드부를 구비한 회전통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분기 슬라이드부를 일치시킨 상태로서, 그들에게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유지시켜 그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하여 통체의 트렁크 슬라이드부로서 본관 내에 부설된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유지토록 하여 회전통을 통체에 대해 회전시켜 분기 슬라이드부를 분기관의 하부에 위치토록 하고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유도부재가 판상부재(plate member)를 나선형으로 감아 돌려 인접한 판상부재의 측단(adjacent side edge)을 굽힘 가능하도록 끼우는관체(pipe body)의 한 단부에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지지부를 형성하고, 다른 끝부분에 분기 슬라이드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전기의 지지부를 분기 슬라이드부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유지시켜 그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하여 트렁크 슬라이드부로서 본관 내에 부설되어 있는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지지토록 하여 판상부재를 비틀림 관체의 지름을 확대시킴과 함께, 분기 슬라이드부를 분기관의 하부에 위치시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부재의 외면에 수분 팽창 고무(water growth rubber)로서 이루어진 밀폐재(seal)를 부착시켜, 분기관 내의 물에 의해 밀폐재를 팽창시킴으로서 유도부재를 분기관에 대하여 공기 밀폐(air tightening)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도부재는 양단부가 강직하고 중앙부에 스프링 탄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파이프이고, 직선형의 파이프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삽통시켜 파이프를 분기관구에 배치하고, 파이프의 선단을 본관 내로 돌출함으로써 본관 내에 부설된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유지하고, 파이프의 중앙부를 비틀리도록 함으로써 분기관의 내면에 따라 나선상(spiral shape)으로 변형함과 동시에, 파이프의 후단을 분기관의 하부에 위치토록 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에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부재가 스프링 탄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소재로써 이루어진 파이프의 양단을 각각 분기관의 내부 지름보다 조금 큰 지름의 링의 일부를 잘라낸 확개부재(expansion member)에 고정시켜, 직선형의 파이프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삽입함과 함께 확개부재의 지름을 좁혀 양단을 임시적으로 묶어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하고, 파이프 선단을 본관 내로 돌출시켜 본관 내에 부설된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유지하고, 파이프의 선단부의 확개부재의 임시적 묶음을 벗어나도록 팽창하여 분기관 내면에 접촉시켜 잇따라 파이프의 중앙부를 비틀리도록 함으로써, 분기관의 내면에 따라 나선상으로 변형하여 파이프의 후단을 분기관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파이프의 후단부의 확개부재의 임시적 묶음을 벗어나게 하여 팽창된 분기관 내면에 접촉시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직 갱도의 사이에 부설된 본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관이 분기되어 있는 지중관로에 있어서, 본관 내부와 각 분기관 내부에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과, 본관 내에 부설되는 트렁크 통신 케이블과 각 분기관 내에 부설되는 분기 통신 케이블에 따라서 각각 고강도 저신도성 인장부재를 유도관 내에 삽입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함과 함께,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유도관에서 외부로 끌어내어 두고, 분기관구 해당 부분의 유도관 바깥 둘레로 유도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함과 함께 분기관 내에 상부에 해당하는 유도부재의 부분에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취부하여 두고, 연후에 유도관을 한쪽의 수직 갱도에서 본관 내부를 경유하여 다른 쪽의 수직 갱도까지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한쪽의 수직 갱도로부터 본관 내의 소정의 분기관구 부근에 각각 인입시켜, 분기관 박스로부터 분기관구 부근에 위치하는 분기 인장부재를 끌어올리면서 유도부재를 분기관구로 배치함과 함께 분기관 내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인입하여 수직 갱도(立抗) 사이의 트렁크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트렁크 인장부재를 본관 내의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치게 함으로써 유도관과 각 통신 케이블을 본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함과 동시에, 분기관구와 분기관 박스와의 사이에서 분기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내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치게 함으로써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로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관에 형성되어 있는 굴곡 파이프의 굴곡부의 내면 상부 측에 고정부재를 배치하고 고정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분기 인장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하여, 굽어진 파이프의 내면 상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직 갱도(立抗)의 사이에 설치된 본관(本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기관(分岐管)이 분기되어 있는 지중관로 내부에 있어서, 유도관에 고강도 저신도성의 트렁크 인장부재를 삽통시켜 취부함과 동시에, 통신 케이블과 대체하기 위한 인출선을 미리 유도관으로 수용하여 유도관을 본관 내로 부설한 후에, 본관 내에서 트렁크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본관의 상부 측에 유도관을 부설하고, 분기관 내로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적합한 유도관의 인출선을 분기 통신 케이블과 교체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을 유도관에서 분기관 내로 인입하여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관으로 통신 케이블 및/또는 인출선을 삽입함과 함께 인출선의 한 끝을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유도관의 외부로 꺼내어 두고 유도관을 본관 내에 부설함과 함께 분기관 사이에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분기관 내로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여 분기관 사이에 분기 통신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의 분기관 내로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분기관구에 위치하는 인출선의 일단을 분기관 박스까지 끌어냄과 동시에, 인출선의 반대 방향 종단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여 분기관 박스까지 끌어낸 인출선의 일단을 끌어당겨 분기 통신 케이블을 유도관으로 통하게 하여 분기관 내에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지중관로 내로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도관으로 통신 케이블 및/또는 인출선을 삽입함과 함께, 인출선의 일단을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써 유도관 외부로 인출하여 두고, 유도관을 본관 내로 부설함과 함께, 분기관 사이에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분기관 내로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하고, 분기관구에 위치하는 인출선의 일단을 분기관 박스까지 끌어내어 분기관 사이에 분기 통신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 각 분기관 박스 안으로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인출선의 상대 끝부분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여 분기관 박스까지 끌어낸 인출선의 일단을끌어 당겨서 분기 통신 케이블을 유도관을 통하여 분기관 내로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지중관로 내로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경도 사이에 설치된 본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기관이 분기되어 있는 지중관로에 있어서, 유도관에 고강도 저신도성(high-strength low-elongation)의 트렁크 인장부재를 삽통 또는 취부하여 트렁크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유도관의 본관 내의 상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분기관 사이에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분기관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여 분기관의 사이에 분기 통신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의 분기관 내로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유도관 내로 인출선을 삽입함과 함께 인출선의 일단을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유도관 외부로 끌어내어 인출선의 상대 끝부분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접속시켜 분기관구에 위치하는 인출선의 한 단부를 끌어당겨 분기 통신 케이블을 유도관으로 통하게 하여, 분기관 내에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로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분기관구(分岐管口)에 위치하는 인출선을 분기관 박스까지 끌어내는 시점에서 인출선을 본관의 한 단부로 끌어냄과 함께, 분기관 박스에서 본관의 한 단부까지 견인 로프를 삽입하여 본관의 한 단부에서 인출선과 견인 로프를 접속하여 분기관 박스 측의 견인 로프를 끌어당겨 인출선을 분기관 박스까지 끌어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지중관로 내로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관 박스로 인출선을 끌어내기 위해 유도관의 분기공에서 끌어낸 인출선의 일단이 분기관 박스에 걸리도록 하거나 또는 붙잡히도록 하기 위한 인출자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지중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의 바깥 지름과 인출선의 바깥 지름이 거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지중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관의 분기관구 부근에서 고강도 저신도성의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하여 두고, 인출선 또는 분기 통신 케이블과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일체화시켜, 인출선 또는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부로 부설하는 경우 분기관 내에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지중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수직 갱도 사이에 설치된 본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기관이 분기되어 있는 지중관로에 있어서, 본관 내에 부설된 트렁크 통신 케이블과 본관 내에서 각 분기관 내로 부설되고 있는 분기 통신 케이블에 따라서 각각으로 고강도 저신도성 인장부재를 각각의 통신 케이블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트렁크 통신 케이블에 따르게 한 트렁크 인장부재는 한쪽의 수직 갱도에서 본관 안을 거쳐서 다른 쪽의 수직 갱도까지의 사이에 장력이 가해져 본관 내의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배치하여, 각 통신 케이블을 본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됨과 함께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에 따르게 한 분기 인장부재는 적어도 분기관구 내로부터 분기관구를 경유하여 분기 박스까지의 사이에 장력이 가해져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 거의 직선적으로 배치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내의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관에서 분기관이 분기하고 있는 분기관구에 유도부재가 배치되어 이 유도부재에 의해 분기 인장부재를 본관 내의 상부 측에서 분기관 내의 상부 측으로 방향을 바꾸어 유지시켜, 분기관 내의 상부에 해당하는 분기관구 부분에 분기 통신 케이블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분기관에 형성된 굴곡 파이프의 굴곡부의 내면 상부 측으로 고정부재가 배치되어, 이 고정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로 분기 인장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여, 이 굴곡 파이프의 내면 상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이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관 내에 위치하고 있는 통신 케이블과 인장부재가 유도관 내에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관 내에 복수 개의 통신 케이블을 폭 방향으로 병렬로 수용한 유도관이 부설되어, 분기관에 대하여 한쪽의 수직 갱도의 가까이 에서 유도관 내부를 거쳐 통신 케이블을 삽입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도관이 본관의 상부 측으로 설치되어 본관의 횡단면에서 좌우 측의 각각으로 접속된 분기관에 대하여, 한쪽의 수직 갱도의 가까이 에서 유도관의 좌우로 각각 접속된 분기관에 상응하도록 분기 통신 케이블이 병렬로 삽입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관의 거의 중앙, 또는 분기관의 수가 수직 갱도 사이에서 반 정도가 되는 위치를 대칭으로 각각의 수직 갱도의 가까운 쪽에서 유도관 내로 분기 통신 케이블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분기 통신 케이블이 조금이라도 분기관구에서 분기관 박스까지 배치되고, 분기 통신 케이블의 최소 굴곡 반경 이상으로 굴곡 특성을 갖는 튜브형의 분기 인장부재 내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관 내로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한 유도관이 배치되어 이 유도관에서 튜브가 분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튜브의 일단이 유도관 내에 수납되고, 이 튜브가 유도관의 외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관구에 있어서 튜브를 분기관 내벽에 따라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가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분기관 내에 형성된 굴곡 파이프부(pipe bend part)에 튜브를 분기관 내벽 상면에 따라서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부재와 고정부재에 대하여 튜브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지부재(保持部材; holding member)에 유지된 튜브가 분기관구 부근에 있어서 분기관 내벽에서 약간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가 스테인레스제 또는 플라스틱제와 같은 유연성 튜브 (flexible tube)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튜브가 원통형 면포(cylindrical cloth)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관구에 배치하기 위한 유도부재이며, 분기관의 내부 지름에 거의 해당하는 바깥 지름을 가지며, 단면(cross section)이 적어도 반원 이상의 원호형 또는 링형 삽입부와 이 삽입부에서 연속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본관 내에 부설하는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삽입부에 마련된 분기관 내에 부설하는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분기 슬라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분기관 내에 형성되고 있는 굴곡 파이프부의굴곡부(valley part)의 내면 상부 측에 배치하기 위한 고정부재이며, 분기관의 내부 지름에 거의 해당하는 외부 지름을 가지며, 단면이 반원 이상의 원호형 또는 링형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마련한 분기관 내에 부설하는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관 내에 배치하기 위한 유도관이며, 본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원통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를 갖는 파이프형이고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관 내에 배치하기 위한 이완(slack)방지재이며, 본관의 내경에 해당하는 외경을 가지며, 단면이 적어도 반원 이상의 원호형 또는 링형으로 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의 일부에는 본관 내에 부설하는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요부(凹部; depression part)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관이 각 분기관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지며, 그 내부의 높이가 분기 통신 케이블 바깥 지름의 2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도관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칸막이 판(partitionplate)이 적어도 한 장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관이 본관 내에 부설하기 위한 트렁크 통신 케이블을 삽통하기 위한 내관(inner pipe)과, 각 분기관에 부설하기 위한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외관(outer pipe)을 갖는 이중 구조로 하고, 외관은 각 분기관에 해당하는 복수의 분기 통신 케이블을 수용(accomodate)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외관을 상하로 구획하는 칸막이 판이 적어도 한장 이상 마련되어 구획된 부분의 높이가 분기 통신 케이블의 바깥 지름의 2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는 하수도관의 관로(pipeline)에 대한 것이고, 본원은 지중관로(underground pipeline) 내면에 후크(hook)등의 야금구(jig; 冶金具)가 직접 취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상으로 되는 관로 시스템(pipeline system)이나 관의 종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강철관(steel pipe)으로서 배관된 가스관로(gas pipeline)와 주철관(cast iron pipe)로써 배관된 수도관로, 우수관로(rainwater pipeline), 전력 케이블 관로 등 모든 지중관로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로에 수직 갱도(shaft; 立抗)인 맨홀(manhole)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 새로운 수직 갱도를 형성함으로서 본원을 실행할 수가 있다.
도1은 지중관로의 한 실시예로서 하수도 관로를 나타낸 것이고, 하수도관의 본관(1)은 맨홀(2)과 다른 맨홀(3)과의 사이에 배관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관(1)의 상부 측에서 분기관구(branch pipe opening; 6, 7) 사이에 분기관(4, 5)이 분기하여, 이 분기관(4, 5)은 각 가정(도시하지 않음)마다의 분기관 박스(branch pipe box; 8, 9)까지 접속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본관(1)은 도로에 따라서 깊이가 수 미터 아래쪽에 부설되어 있고, 도2에서와 같이 이 본관(1)의 경사 측 상부에 분기관구(branch pipe opening; 6, 7)가 형성되어, 분기관(4, 5)은 분기관구(6, 7)에서 급경사로 상승한 후, 땅 표면의 가까운 곳에서 각도가 변하여 완만한 경사로 분기관 박스(8, 9)가 접속되어 있다.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을 부설하는 경우는, 먼저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하는 본관(1)과 분기관(4, 5) 내부를 TV 카메라로 조사하여, 맨홀(manhole; 2)에서 맨홀(3)까지의 길이(이 사이에서 다른 맨홀을 두어도 좋다),맨홀(2)에서 분기관구(6, 7)까지의 길이, 분기관(4, 5)의 길이와 각각의 구멍의 지름(口俓; caliber) 등의 수치 데이터(numerical data)를 측정한다. 또한, 관로 내부에 장해물(모르타르(mortar) 덩어리, 본관 내로 분기관의 돌출)등이 있으면, 이 장해물을 장해물 제거 전용기(도시되지 않음,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보 특개평 제4-3280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음)로서 철거하여 광섬유 케이블의 부설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에 있어서는 맨홀(2)에서 다른 맨홀(3)과 분기관 박스(8, 9)까지 견인 로프(pull rope; 10, 11, 12)를 통선(通線)하여 둘 수 있다. 이 통선 방법으로서는 파이프(pipe) 내부에 철사(wire)와 같은 강성체(rigid member)를 밀어 넣는 방법, 낙하산형(parachute-like)의 통선 기구를 공기 압력으로 날리는 방법, 자주형 관 내 이동 자동차(self-propelling vehicle)를 접속시키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어 이미 알려진 이와 같은 방법들을 적당하게 채용할 수가 있다.
또한, 맨홀(2)에서 다른 맨홀(3)까지, 또한 본관(1)과 분기관(4, 5)을 경유하여 분기관(8, 9)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두고, 그 길이에 대응하는 광통신 케이블(20, 21, 22)을 준비하여 둔다.
그리하여, 조사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광통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 26,27)의 길이를 결정하여 그들을 미끄럼(slide)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 작업은 공장 내에서 실행하여도 좋으며 작업 현장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인장부재(25, 26, 27)는 고강도 저신도성(high-strength, low-elongation)의 재료로써 만들어져, 이들이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평행으로 연장하고, 또한인장부재(25, 26, 27)와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이 서로 길이 방향으로 여유를 가지며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은 다른 통신 케이블로써 구성되어도 좋다.
도3은 인장부재(引張部材; 25, 26, 27)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폴리파라 페닐렌 벤조 비스옥사졸(POB; poly-para-phenylene-benzo-bis-oxazole) 섬유, 아라미드(aramid) 섬유, 탄소(carbon) 섬유, 금속(metal) 섬유, 유리 섬유(glass fiber) 등의 고강도 저신도성 섬유로서 이루어진 로프(rope), 끈(string), 벨트(belt) 등의 장척체(長尺體; elongated member)와 스테인레스 와이어(stainless wire)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인장부재(25, 26, 27)에 대해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은 약간 처짐 상태로 병설(竝設)되어, 그 양자가 결속용 끈(tying string; 30)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 있어서는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 26, 27)와는 결속용 끈(30)으로서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다소의 융통성을 가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또한 결속용 끈(30) 사이에 있어서는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은 인장부재(25, 26, 27)보다 약간 길이가 길어 전체로서 그 양자는 서로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3에 있어서는 분기관(branch pipe; 5) 내에 삽입된 분기 인장부재(27)를 본관(1)내의 분기관구(7)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본관(1) 내의 간선 인장부재(25)와 결속용 끈(31)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속하면, 광섬유 케이블을 하수도 관로 내부에 부설한 후, 분기관 박스(9)에서 인장부재(27)에 장력을 가하면 인장부재(25)를 분기관구(7)의 부분에서 분기관(5)의 방향으로 잡아오도록 할 수 있어, 광섬유 케이블(20)을 본관(1)의 중간 지점에서 본관(1) 내부의 상부 측으로 당길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케이블(20)이 이완됨이 없이 본관(1) 내부에 부설할 수가 있다.
도4는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의 각각에 대해서 인장부재(25, 26, 27)를 미끄럼이 가능하도록 일체화된 구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인장부재(25, 26, 27)는 파이프(pipe)형이고, 그 인장부재(25, 26, 27)의 내부에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이 미끄럼(slide)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4의 (b)는 확대 횡단면도이고, 인장부재(25, 26, 27)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파이프(35)의 외면에 부식 방지용 수지피막(36)이 피복(coating)되어 있다. 금속관(35)의 내부에는 두개의 광섬유(23)의 외면에 부식 방지용 수지피막(24)으로 피복한 2심형(two-core)의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이 삽입되어 있다. 더욱이, 광섬유 케이블은 2심형뿐만 아니라, 4심형 또는 다른 형식의 것도 사용 가능하다.
금속 파이프(35)의 내경(inner diameter)을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의 외경(outer diameter)보다 더 크게 구성함으로써,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은 금속 파이프(35) 내에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금속 파이프(35)는 유연하여 굴곡(bending)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식 방지용 피막(anti-corrosion coating; 36)의 두께의 내부에는 선형의 고강도 저신도성 섬유를 매립시켜,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보강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 내지 도7은 본관(1)에 삽입되는 광섬유 케이블(20, 21, 22)에 대하여 그 본관(1) 내의 트렁크 인장부재(25)를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일체화(unity)시킨 것이고, 더하여 다른 형태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는 광섬유 케이블을 한 개만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는 분기관(4, 5)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도 있을 수 있다.
도5는 단면 형상이 U자형의 스테인레스 강철재 또는 FRP재 등의 강직한 재료로서 이루어진 트렁크 인장부재(25)이고, 그 내측에 공간부(28)에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이 설치되어 있다.
도6은 단면 형상이 다른 형태이고, 도6(a)는 단면 형상이 거의 V자형이고, 도6(b)는 단면 형상이 거의 W자형으로 되어 있어, 그 내측의 공간부(28)는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이 도6(a)에서는 한 개, 도6(b)에서는 2개가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본원에 있어서는 트렁크 인장부재(25)의 단면 형상은 도5와 도6에 나타낸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섬유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 한쪽으로 비운 공간부(28)를 갖는 형상이면 바람직하다.
도7은 트렁크 인장부재(25)끼리를 장축 방향으로 링(ring)형의 접속부재(29)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렁크 인장부재(25)는 강성체(rigid body)이므로, 맨홀(manhole; 2, 3)부터는 한정된 길이인 것만이 반입될 수 있고, 본관(1)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인장부재(25)를 부설하기 위해서는 본관(1)에 있어서 접속부재(29)에 의해 짧은 인장부재를 연결하여 긴 트렁크 인장부(25)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도7에 있어서는 도5 또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방향이 열린(open)모양의 U자형, V자형, W자형 등의 단면 형상인 트렁크 인장부재(25)의 열린 부분을 닫는 원통형(cylindrical shape)의 접속부재(29)에 의해 접속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 있어서 본관(1)의 분기관구(branch pipe opening; 6)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속부재(29)를 설치함으로서 트렁크 인장부재(25) 내부에 설치된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접속부재(29)의 위치에서 분기(branch)시켜 분기관(4)에 삽통시킬 수 있어, 도3의 결속용 띠(tying string; 31)와 같은 모양으로 분기관 박스(8)에서 분기 인장부재(26)에 장력을 인가하여 트렁크 인장부재(25)를 분기관구(6)의 방향으로 인입시켜서, 본관(1) 내부에 있어서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을 느슨함이 없도록 부설할 수가 있다.
도2 내지 도8에 의해 설명한다. 그런데, 맨홀(2)에 있어서 광섬유 케이블 (20, 21, 22)을 각각 대응하는 인장부재(25, 26, 27)를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두고, 각 인장부재(25, 26, 27)의 일단에 견인로프(pull rope; 10, 11, 12)의 일단을 접속한다.
그 다음에는 맨홀(3)과 각 분기관 박스(8, 9)에서 견인 로프(10, 11, 12)의 다른 끝부분(other end)을 끌어들임으로써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 26, 27)를 본관(1) 내부와 분기관(4, 5) 내부로 삽통시켜, 인장부재(25, 26, 27)의 다른 끝부분을 맨홀(3) 내부 및 분기관 박스(8, 9) 내부로 끌어낸다.
이 상태에 있어서, 먼저 맨홀(2) 내부의 인장부재(25, 26, 27)의 일단(一端;one end)을 앵크(anchor; 40) 등의 고정 방법에 의해 고정하고, 다음은 맨홀(3)과 분기관 박스(8, 9)에 설치한 인장 기구(34) 등과 같은 감아 올리기 수단(wind-up means)에 의해 인장부재(25, 26, 27)의 타단(他端; other end)을 견인하여 인장부재(25, 26, 27)에 장력을 가한다. 이 상태가 도8에 나타내고 있다. 인장 기구(34)로서는 예컨대 원통형 돌려말기(drum winding) 방식의 수동 윈치(捲揚機; winch)와 후크(hook)가 쌍으로 인장 기구 또는 턴 버클(turn buckle) 등이 사용된다.
인장 기구(34)의 설치 위치는 인장부재(25, 26, 27)에 장력을 가할 때에 인장부재(25, 26, 27)가 지중관로 내의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신장(伸張; stretching) 가능하도록, 적어도 맨홀(3)의 내부에 있어서는 본관(1)의 상부 측과 같은 위치 또는 그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8에 있어서는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광섬유 케이블(20, 21, 22)가 생략되고 있으나,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장부재(25, 26, 27)에 대해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인장부재(25, 26, 27)에 장력을 가할 때는 광섬유 케이블(20, 21, 22)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고, 끝까지 인장부재(25, 26, 27)에만 장력이 작용한다. 특히, 도4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인장부재(25, 26, 27)의 내부에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이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부재(25, 26, 27)에 장력을 인가할 때 그 내부에 삽통된 광섬유 케이블(20, 21, 22)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장력 적용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 인장부재(26, 27)를 분기관구(6, 7)에 결속용 끈(31)에 의해 트렁크 인장부재(25)와 결속하여 둠으로써 분기관 박스(8, 9) 측에서 분기 장력부재(26, 27)에 장력을 가할 때, 트렁크 장력부재(25)를 분기관구(6, 7) 부분에서 분기관(4, 5)의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가 있어, 맨홀(2, 3)의 사이에서 트렁크 인장부재(25)에 과대한 장력을 가하지 않고 인장부재(25, 26, 27)와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을 본관(1)의 상부 측에 위치시킬 수가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광섬유 케이블(20)을 본관(1) 내부의 상부 측에 부설할 수가 있다. 최후로 맨홀(2, 3)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 박스(도시 안됨)에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을 접속하고,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의 선단을 적절한 곳에 설치된 가정마다의 배선용 연결부를 결합하여 맨홀(2, 3) 사이의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의 부설이 종료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장부재(25, 26, 27)를 모두 같은 형태로 할 필요는 없고, 각 관로의 형식에 따라 최적의 형태를 적절하게 조합시켜 채용할 수가 있다.
도9와 도10은 본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안내관(45)은 플라스틱판(plastic plate)을 관상(pipe-shape)으로 형성시켜, 그의 양측 단을 개폐 가능하도록 겹친 이중 파이프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안내관(45)의 양측 단을 개방하여 광섬유 케이블(20, 21)과 인장부재(25, 26)를 삽입하고, 다시 그 탄성력에 의해 관상(pipe-shape)으로 복귀하여 이들을 안내관(45)에 의해 외측에서 차폐(shielding)하여 보호하고 있다.
또한, 안내관(45)에 있어서 분기관구(6)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개구부(46)가형성되어 있어, 안내관(45)의 내부로부터 개구부(46)를 통하여 광섬유 케이블(21)과 인장부재(26)가 외부로 분기되어 있다. 접속부재(47)는 안내관(45)을 서로 접속시키는 부재이다.
도9와 도10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트렁크 인장부재(25)에 장력을 인가하여, 트렁크 인장부재(25)를 본관(1) 내부의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어 있도록 하기 때문에, 트렁크 인장부재(25)를 감싸고 있는 안내관(45)을 본관(1) 내의 상부 측에 배치하도록 하여 이 안내관(45) 내부에 삽입된 광섬유 케이블(20, 21, 22)도 안내관(45)과 함께 본관(1) 내의 상부 측에 부설되도록 한다.
본원에 있어서는 본관(1) 내에 삽통된 트렁크 인장부재(25)에 장력을 가하여, 인장부재(25, 26, 27)와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을 본관(1)의 상부 측에 배치하는 것이나, 떨어진 맨홀(2, 3) 사이에서 긴 트렁크 인장부재(25)에 장력을 가할뿐이고, 이들을 확실하게 본관(1)의 상부에 따라서 배치하는 것은 어려워, 무게 만큼 밑으로 늘어지는 것은 피할 수가 없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은 인장부재(25, 26, 27)에 대해서 헐거운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예컨대 도3의 실시예에서는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이 인장부재(25, 26, 27)에 대해 헐거움이 생겨 본관(1) 내에서 밑으로 늘어진다.
도11과 도12는 이와 같은 경우에 광섬유 부재(20, 21, 22)와 인장부재(25, 26, 27)의 헐거움을 방지하고, 본관(1)의 상부 측에 정확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11에 있어서 금속링(50)은 느슨함(slack) 방지재이고, 그 바깥 둘레(outer periphery)에는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26, 27)를 수납 가능한 처짐 억제재(depression member; 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관(1) 내에 광섬유 케이블(20, 21, 22) 또는 인장부재(25, 26, 27)가 헐거워져 있는 곳에 벽면을 굴곡시켜서 축경(縮俓; contracted diameter)된 금속링(metal ring; 50)을 삽입하고, 이 금속링(50)을 확경(擴俓; expended diameter)하여 본관(1) 내면에 눌러 접속하여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 26, 27)를 처짐 억제재(51)에 수용하여 본관(1) 내면에 압력을 가하여 본관(1) 내에서 밑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헐거움을 제거할 수 있다.
이 조작은 특히 광섬유 케이블(20, 21, 22) 또는 인장부재(25, 26, 27)가 본관(1) 내에서 밑으로 늘어진 부분만이 적용할 수는 있지만, 본관(1)의 소정 간격마다 금속링(50)을 설치하고 후발적인 늘어짐도 방지할 수가 있다.
도12에 있어서, 이완 방지재(slack prevention member)는 링 형태의 FRP 부재(52)로써 이루어져, 이를 미경화(未硬化; uncured) 상태에서 필요한 부분에 설치하고 이를 확대시켜 광섬유 케이블(21, 22, 23)과 인장부재(25, 26, 27)를 본관(1) 내면에 압력을 가하여 그 상태에서 경화(硬化; cure)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미경화(未硬化; uncured) FRP재(52)가 경화하는 동안 이완 방지재가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 26, 27)에 고착함으로 광섬유 케이블(25, 26, 27)과 인장부재(25, 26, 27)와 미경화 FRP재와의 사이에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 26, 27)를 수납 가능한 요부(54)를 형성한 금속편(metal piece; 53)을 끼워 고착을 방지시킴으로써, 나중에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의 교체가 편리하도록 한다.
도11과 도12에 있어서, 억제부(51, 54)는 한 곳 뿐이지만, 본관(1) 내에 부설된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 26, 27)의 개수에 알맞게 더 많이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완 방지재(50, 52)의 형태는 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판형의 끝부분을 중첩시켜서 지름을 축소되도록 하고, 이 중첩 부분을 슬라이드(slide)시켜서 지름을 확장시킨 형태도 좋다. 또한, 후술한 바와 같이 반원보다 더 큰 원호형(arcuate-shape)도 좋다.
지금까지는 도2에 의거하여 본관(1)에 대해서 분기관(4, 5)이 분기하는 경우, 본관(1)의 경사측 상부에 분기관(6, 7)이 형성되고 있는 취지를 설명하였다. 대부분의 분기는 이와 같은 구조이고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를 본관(1)의 상부 중앙을 따라서 부설하면 이들은 분기관(4, 5)으로부터의 하수의 흐름이 장해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개별적인 본관(1)과 분기관(4, 5)에 의해서는 반드시 엄밀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분기관(4, 5)의 각도나 분기관구(6, 7)의 위치가 엇갈리게 되어, 본관(1)의 상부 중앙이 분기관구(6, 7)에 걸쳐 있어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이나 트렁크 인장부재(25)가 분기관구(6, 7)를 가로질러서 하수의 유통을 저해하는 두려움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도13은 그와 같은 경우에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 26, 27)가 분기관구(6, 7)를 가로지르는 일이 없도록 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13에 있어서 유도부재(guide member; 60)는 분기관(4) 내로 삽입되는통부(cylinder part; 61)와 분기관구(6) 가장자리의 본관(1) 내면에 접촉한 둥근 테두리부(flange part; 62)로써 형성되어 있고, 통부(61)의 선단부는 둥근 테두리부(62)에서 본관(1)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하여, 통부(筒部; 61)의 분기관(4) 내에 삽입된 곳에는 확경 수단(擴俓手段; diameter expansion means; 63)이 형성되어 있다. 확경 수단(63)으로서는 스테인레스제의 스프링 링과 조성 변형에 의해 확대 가능한 금속 링 등을 사용할 수 있어, 통부(61)를 내측에서 밀어 넓혀 분기관(4)의 내면에 압력을 가해 접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둥근 테두리부(62)에는 분기 광섬유 케이블(21)이 분기 인장부재(26)를 통과시키기 위한 절결부(cutaway part; 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는 통부(61)의 선단부의 외주로 유도되어 절결부(64)에 도달하며, 이 절결부(64)에서 통부(61)와 분기관(4, 5)과의 사이를 통하여 분기관(4, 5) 내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는 통부(61)의 선단부의 외주를 우회함으로써, 분기관구(branch pipe opening; 6, 7)를 횡단함이 없이 본관(1)의 상부 중앙을 따라 연장하고 있다.
또한, 도14에서와 같이 둥근 테두리(flange part; 62)의 하측에 광섬유 케이블(20, 21)과 인장부재(25, 26)의 장력에 의해 유도부재(60)가 분기관구(6)에서 본관(1) 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15는 유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원통기부(cylindrical base part; 66)와 원통지부(cylindrical branch part)를 거의 T자형으로 결합한 형태의 T자형 유도부재(65)이다. 관로 내에 광섬유 케이블(20, 21)과 인장부재(25, 26)를 설치한 후, 이 T자형 유도부재(65)를 축소한 상태로서 본관(1)내에 삽입하여 분기관구(6)에 위치시킴과 함께 원통지부(67)를 분기관(4)에 삽입하여 그 상태에서 원통기부(66)와 원통지부(67)를 확장하여 본관(1)과 분기관(4)의 내면에 접착시킨다.
이로써, 분기관구(6)를 가로지른 광섬유 케이블(20, 21)과 인장부재(25, 26)는 확장된 원통지부(67)에 의해 분기관구(6)의 주변부(fringe)를 우회한 경로에 근접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위치에서 원통기부(66) 및 원통지부(67)와 본관(1) 및 분기관(4)과의 사이를 죄어 지지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분기관(4, 5)은 본관(1)의 측면상부(upper side part)의 분기관구(6, 7)에서 급경사로 상승하여 지표면 가까이 에서 상승 각도를 완화시켜 분기관 박스(8, 9)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분기관(4, 5)에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과 분기 인장부재(26, 27)를 삽입하여 분기 인장부재(26, 27)에 장력을 작용시키면 분기관구(6, 7)에 있어서 그들의 관련된 위치에 의해 분기 인장부재(26, 27)가 분기관(4, 5) 내부를 경사로 가로질러 하수의 유통을 저해시키는 위험성이 있다. 즉, 도2에서와 같은 경우는 인장 기구(34)를 분기관 박스(8, 9)의 상부의 34A 위치에 설치하여도, 분기관 박스(8, 9)의 하부의 34B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분기 인장부재(26, 27)는 분기관(4, 5) 내를 비스듬하게 가로지르게 된다.
도16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나타낸 것이고, 분기관(4)에 분기 광섬유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삽입시켜, 분기 인장부재(26)에 장력을 작용시킨 후 분기관 박스(8)로부터 분기관(4)내로 이 분기관(4)보다 지름(diameter)이 조금 적은 탄성 보형관(flexible shape retaining pipe; 70)을 삽입하여 이 탄성 보형관(70)에 의해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분기관(4)의 벽면에 접근시켜 그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분기관(4)과 탄성 보형관(70)과의 사이를 죄어 지지하도록 한다.
탄성 보형관(70)으로서는 굽힘 탄력성(bending resiliency)이 있는 단일 필라멘트실 또는 철사를 횡사(橫絲; warp thread)로 하고, 횡사와 종사(縱絲)로서 통상으로 짠 통상직포(cylindrical fabric wove)의 내면에 열가소성 수지의 라이닝(lining)을 행한 호오스(hose)와, 경질 플라스틱의 선재료를 나선형으로 배합하여 보강재로 한 나선형 호스(spiral hose)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탄성 보형관(70)의 바깥 지름은 분기관(4)의 안쪽 지름보다 약간 적도록 하여, 분기관(4) 내로 쉽게 삽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기관(4)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관(1)과 분기관(4)에 광섬유 케이블(20, 21)과 인장부재(25, 26)를 삽입시켜, 인장부재(25, 26)에 장력을 인가한 후에 탄성 보형관(70)을 분기관 박스(8) 측에서 분기관(4) 내로 삽입시킨다.
도17은 분기관(4) 내에 탄성 보형관(70)을 삽입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선단부는 거의 포탄형(ballistic type)으로 된 버그(bug; 73)를 선단이 돌출하도록 탄성 보형관(70)의 선단에 끼워 맞춤하고, 버그(73)의 뒤쪽에서유체 주입호스(74)로써 가압된 유체를 밀어 넣어 버그(73)의 선단에 결합된 당김 줄(pull rope; 72)로써 당겨 삽입한다. 탄성 보형관(70)을 뒤쪽에서 밀어 넣기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도2에서 나타낸 분기관(4, 5)은 본관(1)의 측상부의 분기관구(6, 7)에서 급한 각도로 기울면서, 지표면 가까이에서 상승 각도를 변화시켜 완만한 각도로 분기관 박스(8, 9)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하여,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 26, 27)는 본관(1)의 상측 중앙부에 부설되어, 그로부터 분기된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과 분기 인장부재(26, 27)가 분기관(4, 5)에 삽입됨으로, 단지 분기 인장부재(26, 27)에 장력을 가하면 분기 인장부재(26, 27)는 분기관구(6, 7)의 상단에서 분기관(4, 5)에서의 각도 변화 위치의 사이에서 분기관(4, 5)을 기울임으로 횡절하여 부설함으로써 하수의 유통을 저해시키는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도16과 도17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유로(流路)를 확보할 수 있으나, 분기 인장부재(26, 27)에 장력을 작용시킨 상태로서 탄성 보형관(70)을 삽입하는 것은 어려우며, 또한, 불필요하게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에 장력을 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방법은 반드시 충분한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관(1)의 상부에 부설된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에서 분기한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과 분기 인장부재(26, 27)를 분기관구(6, 7)로 우회시켜, 일단 분기관구(4, 5)의 하부로 유도하여 이 위치에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분기 인장부재(26, 27)에 장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과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과 분기 인장부재(26, 27)는 분기관(4, 5) 내를 교차함이 없이 분기관(4, 5)의 하면에 따라 부설된다.
또한, 분기관구(6, 7)에 있어서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과 분기 인장부재(26, 27)를 분기관구(4, 5)의 하부에 우회시키기 위한 몇 가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8과 도19는 그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분기관(4)의 분기관구(6)에 설치된 유도부재(80)는 통체(81)와 회전통(rotary cylinder; 82)이 서로 회전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통체(81)는 분기관(4, 5)의 내경보다 약간 적은 외경을 갖고 있으며, 그의 선단부에는 본관(1) 내에 돌출하여 본관(1) 상부에 배치된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를 미끄럼 가능하게 트렁크 미끄럼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렁크 미끄럼부(trunk slide part; 83)에 대응하는 위치의 외면에는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8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통(82)은 통체(81)의 후단 주변에서 회전 자유롭게 끼워져 있고, 그의 외주에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미끄럼 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분기 미끄럼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18(a)와 도19(a)에서와 같이, 통체(81)의 지지부(84)와 회전통 (82)의 분기 미끄럼부(85)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곳에 분기 광섬유(21)와 분기 인장부재(26)를 삽입하고, 유도부재(80)를 분기관 박스(8)에서 분기관(4)으로 삽입하여 분기관구(6)로 이르게 한다.
그리하여, 통체(81)의 트렁크 미끄럼부(83)를 본관(1) 내에 돌출시켜 트렁크 미끄럼부(83)로서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를 유지한다. 여기서, 미리 유도부재(80)를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의 분기관구(6)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하여 두고, 본관(1) 내부에 삽통하여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와 함께 본관(1) 내부에서 끌어 올려 분기관구(6)에 배치하여도 좋다.
다음은 회전통(82)을 통체(81)에 대해 회전시켜, 도18(a)와 도19(b)에서와 같이 분기 미끄럼부(85)를 분기관(4)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통체(81)와 회전통(82)의 외면을 우회시켜 분기관(4)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분기관 박스(8)로부터 분기 인장부재(26)로 장력을 작용시키면, 분기 인장부재(26)의 선단은 분기관(4)의 하부에서 분기 미끄럼부(8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는 분기관(4)의 경사의 하측 면에 따라서 배치되어 분기관(4) 내부를 가로지를 수 없다.
더욱 이 방법에 있어서는, 유도부재(guide member; 80)의 분기관(4)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되지 않으므로, 도20에서와 같이 유도부재(80)의 통체(81)의 내면에서 회전통(82)을 거쳐 분기관(4)의 내면에 걸쳐서 통상(筒狀)의 밀폐 몰딩 컴파운드(seal molding compound) 등으로 이루어진 경화성의 고정부재(86)를 끼워서, 고정부재(86)를 그 내측에 삽입한 공기 주머니(air bag) 등에 의해 확장시켜 유도부재(80)와 분기관(4)의 내면에 압력을 가하여 경화시켜, 유도부재(80)를 분기관(4)에 강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도20에서와 같이, 고정부재(86)의 단말부에 테이퍼 면(tapered surface)을 형성시킴으로써 분기관(4) 내부를 흐르는 굳은 물질이 고정부재(86)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분기관(4) 내의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도21은 유도부재(8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도부재(80)는 판상부재(87)를 나선상으로 권희(rolling)하여 인접한 판상부재(87)의 측단(side edge)끼리를 접동 가능하게 끼움으로써 관체(pipe body; 88)를 형성하고 있다. 이 관체(88)를 구성하는 판상부재(87)를 서로 접동시킴으로써 비틀림(twisting)시킬 수가 있고, 이와 같은 비틀림에 의해 지름(diameter)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조의 관체(88)의 선단부에 트렁크 슬라이드부(83)와 지지부(84)를 형성함과 동시에, 후단부에 분기 슬라이드부(85)를 형성하고 관체(88)를 비틀리도록 하여 지지부(84)와 분기 슬라이드부(85)가 일치하고, 또한 외경을 분기관(4)의 내경보다 약간 적은 지름까지 축소시킨 상태로써 지지부(84)와 분기 슬라이드부(85)에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삽통시키고, 그 상태의 유도부재(80)를 분기관 박스(8)에서 삽입하여 분기관구(6)로 이르게 한다.
이어서, 트렁크 슬라이드부(83)로서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를 지지한다. 그리하여, 관체(pipe body; 88)를 나선(spiral)이 헐거운 방향으로 비틀어져 관체(88)의 지름을 확대하여 분기관(4)의 내면을 압력으로 접하게 하고, 분기 슬라이드부(85)를 분기관(4)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이로 인해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는 관체(88)의 외면을 우회하여 분기관(4)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도된다.
이상의 유도부재(80)의 외면에는 수분 팽창 고무(water swelling rubber)로서 이루어진 밀폐부재(seal material; 89)를 부착시켜 둠으로써 분기관(4) 내의 물에 의해 이 밀폐부재(89)를 팽창시켜 유도부재(80)를 분기관(4)에 대해 기밀(氣密; air tight)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도22는 유도부재(8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유도부재(80)는 양단부가 강직하여 중앙부가 스프링 탄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소재로 된 파이프(80)이고, 이 파이프(90)의 내경은 분기 광섬유 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삽입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다.
그리하여, 파이프(90)가 직선형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분기 광섬유 케이블 (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삽통시켜, 그 파이프(90)를 분기관 박스(8)에서 삽입하여 분기관구(6)로 이르게 하고, 파이프(90)의 선단을 본관(1) 내로 돌출시켜서 트렁크 슬라이드부(83)로서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를 유지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90)를 본관(1) 내에서 배치하여도 좋다.
그런데, 이 파이프(90)의 중앙부를 비틀면, 그 중앙부는 그 탄성에 대항하여 분기관(4)의 내면에 따라서 나선형으로 변형하여 이 나선(spiral)은 파이프(90)의 탄성에 의해 분기관(4)의 내면에 가압 접속한다. 그리하여, 파이프(90)의 후단을분기관(4)의 하부에 위치시켜 분기 슬라이드부를 형성한다.
더구나, 유도부재(80)가 분기관(4) 내면에 가압 접속된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는 파이프(90) 나선의 내측에 도20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고정부재(86)를 배치하고 이를 넓혀서 분기관(4)의 내면에 가압 접속시킨 상태로서 경화시켜 유도부재(80)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4는 유도부재(8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도부재(80)는 도25에서와 같이 도2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파이프(90)의 양단에 링형의 확개부재(91, 92)를 고정시킨 것이다. 확개부재(expansion member; 91, 92)는 금속 등의 스프링 탄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소재로 되어 있고, 분기관(4)의 안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인 링의 일부를 잘라낸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유도부재(80)는 확개부재(91, 92)를 분기관(4)의 안쪽 지름보다 적은 지름까지 지름을 축소시킴과 동시에, 그 양단을 탈락 가능하게 일시적으로 묶어(temporarily fastened) 두고, 파이프(90)가 직선 상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파이프(90)에 분기 광케이블(21)과 분기 인장부재(26)를 삽통시킨다.
그리하여, 이 상태에서 유도부재(80)를 분기 박스(8)에 삽입시켜 분기관구(6)로 이르게 하여, 파이프(90)의 선단을 본관(1) 내로 돌출시켜 트렁크 슬라이드부(83)로 형성토록 하여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를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선단부의 확개부재(91)의 일시적 묶음을 해제하여 확개부재(91)를 그 탄성에 의해 확개시켜 분기관(4, 5)의 내면에 가압 접촉하여 지지토록 한다.
다음은 도22에서와 같이 파이프(90)의 중앙부를 비틀리도록 하여 중앙부가 탄성력에 대항하여 분기관(4)의 내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변형되어, 나선은 파이프(90)의 후단을 분기관(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파이프(90)의 후단부의 확개부재(92)의 일시적 묶음을 해체시켜 확개(expansion)토록 하여 분기관(4)의 내면을 가압 접촉시킨다.
그러나, 도25(b)에서와 같이 파이프(90)의 중앙부를 비틀어서, 그 중앙부는 탄성에 대항하여 분기관(4)의 내면에 따라서 나선형으로 변형하고, 그 나선은 파이프(90)의 탄성에 의해 분기관(4)의 내면에 가압 접촉함과 함께, 파이프(90)의 양단이 확개부재(91, 92)에 의해 분기관(4)의 하부에 고정되어 그 후단부는 분기 슬라이드부(85)로 된다.
또한, 본원 실시예에 있어서 확개부재(91, 92)에 관한 양단부의 일시적 결합은 고온의 용융 접착제(hot melt adhesive)로써 접착하여 가열에 의해 탈락 가능한 구조, 적합한 걸림 구조(locking structure)에 의해 부착 ·이탈을 자유롭게 걸리도록 하는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분기관으로서 도1에서의 분기관(4)에 대해서만이 설명되고 있으나, 분기관(4)에 대해서도 동일하고, 또한 더 많은 분기관이 설치된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트렁크 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를 언급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분기관(4)을 통과시키는 분기 광섬유 케이블(22)과 분기 인장부재(27)를 병렬로 설치한 상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1에서와 같이 인접한 두개의 맨홀(2, 3)사이에한정된 것은 아니고 광섬유 케이블의 부설 거리에 따라서 복수의 맨홀 양쪽에 걸쳐서 적용할 수도 있어, 그 경우에는 중간에 있는 맨홀을 분기관(4, 5)과 같은 방법으로 취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설 방법은 본관(1) 내에 부설한 트렁크 광케이블(20)에 트렁크 인장부재(25)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맨홀(2, 3) 사이의 트렁크 인장부재(25)에 장력을 가하고, 트렁크 인장부재(25)를 본관(1) 내의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확장하도록 함으로써, 트렁크 인장부재(25)는 고강도이고 저신도성이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거의 확장되지 아니하면서, 광섬유 케이블(20)에 무리한 인장력을 가하지 않으며, 또한 불필요한 헐거로움도 주지 않아, 트렁크 인장부재(25)를 따라 본관(1)의 상부에 트렁크 섬유 케이블(20)이 부설되어 있다.
또한, 분기관(4, 5)에 있어서도 분기 인장부재(26)에 장력을 가하여 인입시킴으로써, 각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에 무리한 인장력을 가할 필요 없이, 분기관(4, 5)에 삽입하여 부설할 수가 있다.
또한, 분기관(4, 5) 내에 설치하는 분기 인장부재(26, 27)를 본관(1) 내로 설치하는 인장부재(25)에 대하여 분기관구(6, 7)에 해당하는 부분(31)으로 결속함으로써, 트렁크 인장부재(25)를 분기관(5)의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이 다시 헐거워지는 문제없이 본관(1) 내에 부설된다.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를 유도관(45)에 삽통시킴으로써 유도관(45)을 거쳐서 트렁크 인장부재(25)에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을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트렁크 인장부재(25)에 가하는 장력에 의해 유도관(45)을 거쳐서 광섬유 케이블(20)이 본관(1) 내부의 상부 측에 부설된다.
또한, 유도관(45)에 의해 분기관(4, 5) 내에 삽입하는 분기 광섬유 케이블 (21, 22)과 분기 인장부재(26, 27)를 분기관구(6, 7)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유도관(45)에서 분기시켜, 분기 인장부재(26, 27)에 장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분기관(4, 5) 내에도 각 광섬유 케이블(21, 22)이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함이 없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관(1) 내에 이완 방지 부재(slack prevention member; 50, 52)를 설치함으로써, 본관(1) 내에 발생될 수 있는 광섬유 케이블(20)의 헐거워짐을, 이완 방지 부재(50, 52)에 의해 본관(1) 내면에 압력을 가하여 제거할 수가 있다.
또한, 분기관구(6, 7)에 유도부재(60, 65)를 배치함으로써, 광섬유 케이블 (20, 21, 22)과 인장부재(25, 26, 27)를 분기관구(6, 7)의 바로 아래에서 우회시켜, 분기관구(6, 7)로써 오염된 물의 흐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분기관(4, 5) 내로 탄성 보형관(flexible shape retaining pipe; 70)을 삽입시킴으로써 분기관(4, 5)의 오염물의 흐름을 탄성 보형관(70) 내로 유도하여 광섬유 케이블(21, 22)과 인장부재(26, 27)에 의해 분기관(4, 5)의 오염수의 흐름을 저해시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분기관구(6, 7) 내부에 유도부재(80)를 배치함으로써 본관(1)의 상부에 부설된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 또한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과 분기 인장부재(26, 27)를 분기관구(6, 7)를 우회하여 분기관(4, 5)의 하부로 유도시켜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분기 인장부재(26, 27)에 장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과 분기 인장부재(26, 27)는 분기관(4, 5) 내로 횡단하지 아니하고 분기관(4, 5)의 하면에 따라 부설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분기관의 상면에 따라서 부설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첫째,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하는 본관(1)과 분기관(4, 5) 내부를 TV 카메라로 조사하여 맨홀(2)에서 맨홀(3)까지의 길이(이 사이에 다른 맨홀이 게재하여도 좋다), 맨홀(2)에서 분기관구(6, 7)까지의 길이, 분기관(4, 5)의 길이와 각각의 구경 등의 수치 데이터(numerical data)를 측정한다. 또한, 관로 내에 장해물(모르타르 덩어리, 분기관에서 본관 내로의 돌출) 등이 있으면 이 장해물을 장해물 제거 전용기로서 철거하여 광섬유 케이블의 부설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다음은, 본관(1) 내에 견인 밧줄(pull rope)을 통과시킨다. 통과 방법은 밧줄 등의 강성체를 삽입시키는 방법과 낙하산(parachute)형의 삽입 기구를 공기 압력으로 쏘는 방법, 자주형 관 내 이동차(self-moving vehicle)에 접속하여 두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어 이들의 방법을 적절하게 채택할 수가 있다.
조사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과 인장부재(25, 26, 27)의 길이를 결정하여 각각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트렁크 인장부재(25)에 와이어(wire)를 사용하여 분기 인장부재(26, 27)에 내외면 수지피막(resin film)을 입혀서 통의 길이 방향으로 고강도 저신도성 섬유(탄소, 아라미드(aramid) 등의 망사섬유(super-fabric)를 일체화한 유연성 스테인레스 강관(flexible stainless steel pipe)으로써 이루어진 통상관이 바람직하다.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과 트렁크 인장부재(25)는 도27에서와 같이 파이프 상의 유도관(45)내를 각각 삽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두는 것이 좋다. 또한,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과 분기 인장부재(26, 27)는 분기 인장부재(26, 27) 내에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을 삽통함으로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일체화하여 두고, 본관(1) 내에 부설된 부분에 있어서는 도27에서와 같이 유도관(45) 내에 삽통하여 두어 유도관(45)으로 맨홀(2)에서 분기관구(6, 7)의 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에 마련한 개구부(46)에서 모두 끌어내는 것이 좋다.
이 유도관(45)은 본관(1) 내의 유체에 대한 내약품성(chemical resistance)과 맨홀(2, 3)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것이 좋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등의 플라스틱 종류나, 이들을 섬유로서 보강한 것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관(1)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적어도 통(cylinder)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하나 이상의 공간부를 갖는 파이프형이고 분기관구(6, 7)에 해당하는 부분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는 개구부(46)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서 광섬유 케이블과 인장부재가 유도관(45) 내에서 서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나란히 설치할 수가 있다.
더욱이, 유도관(45)의 형태는 도9와 도10에서와 같이 파이프형의 통 길이 방향을 잘라내어 C자형으로 하고, 그 양단부를 중첩시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이 형상인 경우는 내부로 부재를 배당하는 작업이절개부(cutout part)에서 행하는 것이 쉬워진다.
역시 안내관(45)은 도27에서와 같이 한 개의 파이프로 실시하여도 좋고, 예컨대 도31에서와 같이 3개 파이프를 사용하여 각각을 결속시켜서 전체의 하중을 트렁크 인장부재(25)에 부담시키는 구조로 하여 각각의 안내관(45)에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을 삽입하여도 좋다. 물론, 도44와 도45와 같이 안내관(45)이 복수의 공동(cavity)을 갖는 한 구조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 개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각각의 안내관(45)을 결속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안내관(45)에 트렁크 인장부재(25)를 삽입시켜 두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인장부재(25, 26, 27)는 고강도 저신도성의 재료로써 이루어지고, 그것이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평행하여 연장되고, 또한 인장부재(25, 26, 27)와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이 서로 길이 방향으로 여유를 가지며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도3과 같이, 인장부재(25, 26, 27)로서는 폴리파라 페닐렌 벤조 비옥사졸(PBO) 섬유,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금속섬유, 유리섬유 등의 고강도 저신도성 섬유로서 이루어진 로우프(rope), 끈(string), 벨트(belt) 등의 장척체(elongated member)나 스테인레스 와이어(stainless wire)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도36(a)는 광섬유 케이블(20, 21, 22)에 대하여, 인장부재(25, 26, 27)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일체화된 구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인장부재(25, 26, 27)는 파이프형으로 되어 있고, 인장부재(25, 26, 27)의 내부에는 광섬유케이블(20, 21, 2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도36(b)는 도36(a)의 확대 횡단면도이고, 인장부재(25, 26, 27)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파이프(35)의 내외면에 방식용의 수지피막(36)이 피복되어 있다. 금속 파이프(35)의 내부에는 두 개의 광섬유(23)의 외면에 부식 방지(anti-corrosion)용의 수지피막(24)을 피복한 2심형(two-core)의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이 삽입되어 있다. 더욱이, 광섬유 케이블은 2심형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4심형과 또 다른 형도 사용 가능하다. 특히, 트렁크 섬유 케이블(20)은 분기의 수에 의해 200심(core)이상의 것도 사용되고 있다.
금속 파이프(35)의 내면 피막의 내경을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의 외경보다 더 크게 구성함으로써,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은 금속 파이프(35)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다. 더구나, 금속 파이프(35)는 유연하여 굴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식 방지용 피막(36)의 두께의 내부에는 선형의 고강도 저신도성 섬유(37)를 매립(embedding)하여 길이 방향에 대해 보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분기 인장부재(26, 27)의 트렁크 인장부재(25)와의 분기 위치, 즉 유도관(45)의 개구부(46) 부근에 도28에서와 같은 각 유도부재 P를 취부하여 둔다. 유도부재 P는 분기관(4, 5)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갖고 있어서, 단면이 반원보다 큰 원호형 또는 링형의 원통형 삽입부(104)와 이 원통형 삽입부(104)에서 연속하여 아래 외측을 돌출하고 있는 본관(1) 내에 부설하는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트렁크 슬라이드부(102)와 이 삽입부(104)에 마련한 분기관(4, 5) 내에 부설한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분기 슬라이드부(103)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유도부재 P에 마련한 트렁크 슬라이드부(102)에 보호관(45)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하도록 하여 분기 인장부재(26, 27)와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을 분기 슬라이드부(103)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하여 둔다. 트렁크 슬라이드부(102)와 분기 슬라이드부(103)는 구멍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으며, 파이프형(도35 참조)이라도 좋다.
또한, 유도부재 P의 분기 슬라이드부(103)에서 끌어낸 분기 인장부재(26, 27)와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은 작고 둥글게 하여, 작업 중 유도관(45)에 감아 붙지 않도록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유도관(45)을 사용하지 않는 도8과 같은 경우에는, 트렁크 인장부재(25)에 유도부재 P를 취부하여 둔다.
다음은 본관(1) 내부에 광섬유 케이블(20, 21, 22)을 부설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26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맨홀(2, 3)의 사이에 삽통시킨 견인 로프(pull rope)의 한쪽 끝에 유도관(45)을 접속하여 견인 로프의 다른 끝부분을 끌어 들여서 유도관(45)을 맨홀(2)에서 맨홀(3)까지 통과시킨다. 또한, 분기관 박스(8, 9)에서 TV 사진기를 삽입시켜 유도부재 P가 분기관(6, 7)의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확인한다.
또한, 각 유도부재 P의 본관(1) 내로 이동 시에 유도부재 P가 관내벽과의 마찰로써 상처를 받는다던가, 관로의 단계 등으로 걸림(trap)하는 위험이 있을 때에는, 본관(1) 내부를 이동 가능한 손수레(cart) 또는 간이선(simple boat) 위에 위치시켜, 견인 밧줄(pull string)과 함께 인입시킬 수 있다.
다음은 도32에서와 같이 분기관 박스(8)에서 후크 지그(hook jig; 38)를 막대(rod)의 선단에 장비한 작업 막대(work rod)를 삽입하여 TV 사진기로써 확인시키면서, 인장부재(26)를 후크 지그(38)에 걸쳐서 인장부재(26)와 분기 광섬유 케이블(21)을 분기 박스(8)에서 끌어낸다. 이 때에, 본관(1) 내의 유도관(45)을 움직여서 인장부재(26)를 작업 막대에 걸림이 쉬운 위치로 조정한다. 또한, 트렁크 인장부재(25)에 일시적인 인장력을 가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현장의 형편에 적합하게 체용한다.
이어서, 분기관 박스(8)로 인장부재(26)를 끌어 들여서, 유도부재 P의 선단부를 분기관구(6)에 삽입한다. 인장부재(26)를 끌어 들여도 유도부재 P의 선단의 방향이 변하지 않는 경우는 도33에서와 같이 공기 주머니(air packer; 39)를 수축한 상태에서 분기관 박스(8)로부터 분기관구(6)로 삽입하고, 유도부재 P의 내면으로 삽입 팽창시켜, 공기 주입부를 끌어들여 유도부재 P의 선단의 방향을 분기관(4)의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부재 P의 분기관구(6)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유도부재 P의 원통형 삽입부(104) 외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미리 도포하여 두고, 분기관(4) 내면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시켜도 좋으며, 원통형 삽입부(104) 외면에 고무 또는 스펀지(sponge) 등의 탄성체를 부여한다든지, 앞면 끝(front end)에 테이퍼 면을 형성하여 두고 마찰에 의해 압착으로 고정시켜도 좋다.
도35에서와 같은 형상의 유도부재 P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유도부재 P를 사용할 경우는 원호상 고정부(41)를 가는 선 등으로 지름을 수축하여 분기관(4) 내로 원호상 고정부(41)의 지름을 확대하여 분기관(4) 내부로 원호상 고정부(41)를 고정시킨다. 이 경우, 도28에 나타낸 형태의 유도부재 P와 같이, 원호상 고정부(41)의 외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미리 도포하여 두고 분기관(4) 내면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시켜도 좋으며, 원호상 고정부(41) 외면에 고무나 스펀지 등의 탄성체를 부여하거나, 앞면 끝의 경사면(42)을 형성하여 마찰로서 압착하여 고정시켜도 좋다.
또한, 유도부재 P는 도47에서와 같은 형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분기관(5)에서도 같은 작업을 순서대로 실시하고 분기관 박스(90)에서 분기 광섬유 케이블(22)과 분기 인장부재(27)를 꺼내어 유도부재 P를 분기관구(7)에 삽입하여 고정하여 둔다.
다음은, 맨홀(2, 3)에 취부한 원통형 돌려말기식의 수동 윈치(winch)와 후크(hook)가 쌍으로 된 인장 기구(34)를 사용하여 인장부재(25)의 한쪽은 후크에 고정하고 다른 쪽은 윈치로서 장력을 가하여 유도관(45)과 광섬유 케이블(20, 21, 22) 및 인장부재(25, 26, 27)를 본관(1) 내의 상부 측에 부설한다.
도3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기관(4)이 수직관인 경우는 분기관 박스(8, 9)에 취부한 인장 기구(34)로서 분기 인장부재(26, 27)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분기관(4, 5) 내의 상부에 분기 광섬유 케이블(21, 22)을 부설할 수가 있다.
그러나, 도2와 도26에서와 같이 분기관(4, 5)이 굴곡관(bend pipe)인 경우, 단지 분기관 박스(8, 9)에 취부한 인장 기구(34)로서 분기 인장부재(26, 27)에 장력을 가하는 것만으로서는 분기관(4, 5)의 굴곡 파이프의 굴곡부인 곡부(谷部;valley part; 101)의 내면 상부에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21, 22)을 부설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는 분기관(4, 5)의 굴곡 파이프의 곡부(101)에 도30에 나타낸 것처럼 고정부재 Q를 곡부(101)의 내면 상부에 따라 배치한다.
배치 방법은 분기관 박스(8)에 도착된 인장부재(26)와 광섬유 케이블(21)을 고정부재 Q의 슬라이드부(43)의 내부를 통하도록 하면서, 원호상 고정부(44)를 지름 수축하여 굽힘 파이프부 가까이에 이동시킨다. 이동 수단으로써는 전술한 공기 주머니(air bag)의 외부에 취부하는 방법이나 전용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슬라이드부(43)를 굽힘 파이프의 곡부(101)의 내면 상부에 배치하였다면, 유도부재 P의 경우와 같이 원호상 고정부(44)의 지름 수축을 자유롭게 분기관(4, 5) 내로 고정시킨다.
본관(1) 내에서 유도관(45)과 트렁크 인장부재(25)에 느슨함(slack)이 발생한 경우에는 본관(1) 내부에 이완 방지재(55)를 도26에서와 같이 배치한다. 이완 방지재(55)의 이동과 고정 방법은 고정부재 Q나 유도부재 P의 경우와 같이 원호상 고정부(56)로써 고정시킨다.
다음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로서 분기관의 수가 적은 경우의 본관과 분기관 내에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첫째, 광섬유 케이블을 부설하는 본관(1)과 분기관(4, 5) 내부를 TV 사진기로서 조사하고, 이어서 본관(1)과 분기관(4, 5)에 견인 로프(10, 11, 12)를 통과시킨다.
다음은 각 견인 로프(10, 11, 12)의 한쪽에 유도관(45), 인장부재(26, 27)를각각 접속하여 각 견인 로프(10, 11, 12)의 다른 쪽을 거의 동시에 인입시켜서, 광섬유 케이블(20, 21, 22)과 인장부재(25, 26, 27)를 맨홀(2)로부터 맨홀(3)과 분기관 박스(8, 9)까지 삽입할 때, TV 사진기로서 확인하여 유도부재 P를 본관(1) 내부의 분기관구(6, 7) 부근에 위치토록 한다.
다음은 같은 방법으로 유도부재 P를 분기관구(6, 7)에 배치한다. 분기관구(6, 7)에 유도부재 P를 취부하였다면, 맨홀(2, 3)에 취부된 인장 기구(34)를 사용하여 본관(1) 내의 인장부재(25)에 장력을 가하고 본관(1)의 상부에 각각의 부재를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분기관(4, 5)이 도26에서와 같은 굴곡 파이프(bent pipe)인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곡부(valley part; 101)에 고정부재 Q를 배치한다. 더구나, 고정부재 Q의 배치는 준비 작업 시에 미리 실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슬라이드부에 견인 로프(11, 12)를 삽입하여 두게 된다.
또한, 유도부재 P, 고정부재 Q, 이완방지부재(55)의 재질에 관해서는 파이프와 동질의 수지제(경질 염화 비닐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 또는 금속을 채용할 수가 있다. 특히, 이들 부재의 원호형 또는 링형의 고정부가 지름이 압축되고 지름의 확장으로 파이프 내벽에 압착시킬 수 있는 재질은 이 고정부에 반발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연질 염화 비닐, 중간 밀도 이하의 폴리에틸렌 또는 스프링 철강재를 단독 또는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부재의 원호형 또는 링형의 고정부의 단부에 있어서, 외면을 향하여 선단이 좁아진 테이퍼면(tapered surface)을 형성함으로서 유하물(flowing object)의 걸림(trapping)이나, 관로 진단 시의 고압 세정에 의해 이동도 방지할수 있다.
다음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섬유 케이블 등의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지 않는 가정이 존재하는 경우의 부설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37은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맨홀(2, 3) 사이에 마련한 지중관로(1)를 나타내고 있다. 이 맨홀(2, 3) 사이에 다른 맨홀을 설치하여도 좋으며, 맨홀이 통신 기지로 되어 있다 하여도 본 발명과 같이 적용 가능하다. 도37에 있어서 맨홀(2, 3) 사이에는 a, b, …, j의 각 가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기관 A, B, …, J가 설치되어 있다.
도1은 도37의 I-I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에 있어서, 하수도관의 본관(1)은 맨홀(2)과 다른 쪽의 맨홀(3)과의 사이에 배관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관(1)의 상부 측에서 분기관구(6, 7)에 있어서, 분기관(4, 5)(도37에서 A ∼ J의 어느 것에나 해당하는 것)이 분기하여, 이 분기관(4, 5)은 각 가정(도37에서의 a, b, …, j에 해당하는 것) 마다의 분기관 단부인 분기관 박스(8, 9)까지 접속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본관(1)은 도로에 따라서 깊이가 수 미터의 위치에 부설되어 있고, 도2에서와 같이 본관(1)의 경사측 상부에 분기관구(6, 7)가 형성되어 분기관(4, 5)은 분기관구(6, 7)에서 급각도(steep angle)로 상승한 후, 지표 가까이에서 각도를 변화시켜 완각도(gentle angle)로 분기관 박스(8, 9)에 접속되어 있다.
도37에서와 같이, 본원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중관로는 본관(1)으로부터는 분기관 A ∼ J가 도면 위쪽에는 a, b, c, d, e가, 도면 아래쪽에는 f, g, h, i, j에 위치하는 각 가정을 향하여 모두 10개가 분기하고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b, e, j에 위치한 3가옥에 대해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고, a, c, d, f, g, h, i에 위치하는 가옥에는 통신 케이블이 부설되지 않은 것으로 예시한다.
첫째, 본관(1) 내로 TV 사진기 등을 사용하여 맨홀(2, 3) 사이의 거리, 맨홀(2)에서 본관(1) 내의 각 분기관(4, 5)의 분기구(6, 7)까지의 거리, 분기관(4, 5)에서 분기관 박스(8, 9)까지의 거리와 분기관 박스(8, 9)의 깊이 등을 정확히 측정한다(도1 참조). 이상과 같은 조사를 실행한 후에 통신 케이블을 수용하는 유도관을 준비한다.
본원 실시예에서는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지 않는 가옥인 a, c, d, f, g, h, i에 대해서 후일에 통신 케이블을 쉽게 부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후술하는 플라스틱 관이나 로우프형으로 이루어진 옥입 전선을 본관(1)의 각 분기관구 가까이에 또는 각 분기관 박스까지 부설하여 둔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유도관(111)의 한 예를 도38에 나타낸다. 도38에 나타낸 유도관의 형상은 본원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 특히 적합하다. 유도관(111)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제는 가벼움과 내약품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나, 또 다른 소재라도 지중관로의 종별에 따라 선정 가능하다.
안내관(111)은 도38에서와 같이, 외관(112)과 좌우로 연장하는 칸막이 판 (partition plate; 13)를 갖는 내관(14)으로서 구성된 이중 구조의 파이프로 되어 있다. 내관(14)의 내부는 본관(1)을 통하는 트렁크 통신 케이블(128; 도면 부호20과 동등함) 또는 간선용 인출선(123)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가 된다. 내관(14)의 외주(outer periphery)의 양측에는 좌우로 뻗은 칸막이 판(13a, 13b, 13d)이 취부되어 있어, 외관(112)이 내관(14)과의 공간을 상하로 분할시키고 있다. 외관(112)은 복수의 분기 통신 케이블(16; 도면 부호 21, 22와 동등함) 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을 병렬로 배치할 수 있도록 단면이 거의 타원형의 중공관(hollow pipe)으로 되어 있다.
이 칸막이 판(13a, 13b, 13c, 13d)에 둘러싸인 6개소의 공간(15a, 15b, 15c, 15d, 15e, 15f)이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이 통과되기 위한 통로가 된다.
분기 통신 케이블(16)은 전술한 광섬유 케이블(21, 22)에 해당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부재(26, 27)를 동반시킬 수도 있다. 더구나,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 인출선(17)과는 거의 비슷한 두께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서, 분기용 인출선(17)을 분기 통신 케이블(16)로서 대체(replace)할 때에, 인접한 분기 통신 케이블(16)과의 사이에서 위치 엇갈림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인입 시에 무리한 인입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단선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한 실시예로서는, 스테인레스 관의 내부에 4심의 통신 소선이 통하게 되어 있고, 외부 표면은 폴리에틸렌이 피복된 두께 5 mm 정도의 케이블이 본원 실시예에서는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분기용 인입선(17)으로서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외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갖는 우레탄 튜브(urethanetube)와 스트링(string)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원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용 인입선(17)의 접속법이지만, 금속 링 등으로 맞대어 접촉시켜도 좋으며, 분기 통신 케이블의 피막과 분기용 인입선의 재질이 모두 플라스틱 제품이고, 또한 분기용 인입선이 튜브 구조이면 분기용 인출선 내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의 선단을 적당한 길이로 삽입하여 겹치는 부분을 형성하고, 그 부분을 외면에서 열 압착 또는 유전에 의해 압착하여 겹친 부분의 플라스틱을 녹이면서 분쇄(crushing)함으로서 거의 단차가 없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16)에는 4심형 케이블 외에 2심형이나 다른 형식의 것도 사용 가능하다.
유도관(111)의 외관(112)과 내관(14)의 공간(15)의 칸막이 판(13)에 의해 칸막이된 분기 통신 케이블(16), 분기용 인출선(17)의 각 통로(15)의 높이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외경의 2배 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치수를 채용함으로써,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거의 지름이 같은 분기용 인출선(17)을 유도관(111) 내로 삽입시킬 때, 인접한 분기 통신 케이블 등을 넘어서 교차함이 없이, 유도관 내부에서 서로 얽혀 무리한 장력이 가하여지거나 또는 허용 굴곡 반경(allowable bending radius)을 초과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이 절단되지 않는다. 또한, 폭 방향(lateral direction)으로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병렬로 복수 삽입이 가능한 구조에 의해, 본관(1)내 설치 시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어, 하수도관이나 우수관 등처럼 상부에 개방 공간(open space)이 있는 경우는 그곳에 설치함으로서 지중관로의 본래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도38에서와 같이, 유도관(111)에는 유도관(111)이 본관(1) 내에 끌어 넣어진 상태에서 각 분기관구(6, 7)에 위치한 곳으로부터 1 m 정도의 곳에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용 인출선(17)을 유도관(111)으로부터 외부로 끌어내는 분기공(18; 개구부(46)와 동일)이 마련되어 있다. 이 분기공(18)은 유도관(111)의 양측 면에 유도관(111)의 한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맨홀(2)에서 각 분기관까지의 길이에 상당하는 위치(전후 1 m 정도의 범위 내)에서 개방(opening)되어 있다. 분기공(18)은 지중관로 내의 조사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미리 공장 등에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분기공(18)에서 꺼내어진 분기 통신 케이블(16) 및/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은 예컨대, 맨홀(2)에 접속되고 있는 본관(1)의 한 단부에서 도37에서의 분기관 A의 분기관구까지의 거리가 1 m 이었다고 하면, 분기공(18)도 또한 유도관 (111)의 한 단부에서 1 m 정도의 위치에서 개방하여 분기공(18)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용 인출선(17)을 꺼내는 것이다. 이 경우, 분기공(18)의 위치는 분기관에서 유체(fluid)가 분기공(18) 내로 유입하는 위험성이 있으므로 분기관구 바로 아래는 피하는 것이 좋다.
분기공(18)에서 끌어낸 분기 통신 케이블(16) 및/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의 선단에 부착된 인출자(lead tag; 19a, 19b)는, 분기 통신 케이블을 유도관 내부에서 끌어낼 때 사용하는 부재이고 탈착 불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이들 인출자 (19a, 19b)의 형상은 후크상(hook-shape)과 링상(ring-shape) 등의 여러 가지의 형태를 채용 가능하지만, 적어도 인출자(19a, 19b)의 외경은 분기공(18)의 크기보다더 크기 때문에, 유도관(111) 외부로 끌어낸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의 선단이 유도관(111) 내부로 뒤돌아오지 않도록 하여 두는 것이 중요하다. 도38에 있어서, 인출자(19a)는 1 mm 정도 두께의 와이어(wire)를 핸드볼 상(hand ball shape)으로 조합한 Φ100 mm 정도의 구형이다. 또한, 인출자(19b)는 Φ20 mm 정도의 수지제의 볼(plastic ball), 예컨대, 탁구와 같은 것이다. 물론, 통신 케이블(16)의 선단을 직접 끌어 걸리도록 하든지, 또는 붙들어 매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하여도 상관이 없다.
또한, 인출자(19a)가 분기 통신 케이블(16)에 연결된 경우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유도관(111)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길이를 끌어내어 두고, 분기관구(6, 7)로부터 끌어 걸림 또는 붙들림 하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자(19b)가 분기용 인출선(17)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인출자(19b)의 위치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삽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방치되기 때문에, 인출자(19b)를 분기공(18)에 접하는 정도까지 끌어 붙여 인출자(19b)가 유도관(11) 바깥쪽으로 돌출 되지 않도록 하여 두고, 지중관로 내의 흐름을 될 수 있으면 저해하지 않도록 하여 두는 것이 좋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유도관(111) 내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16)들 상호간, 분기용 인출선들 상호간, 또는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용 인입선(17)들 사이가 뒤엉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용 인입선(17)을 유도관(111) 내로 삽입시키는 장소가 본관(1)에서 a, b, …, j에 위치하는 각 가정으로 이어가는 분기관 A ∼ J의 형성 방법에 관련된 규칙적 입선 법칙에 따라 배치시킨다.
도39(a)에 있어서, 유도관(111) 내부로 a부터 j까지 기호가 붙여진 분기 통신 케이블(16) 및/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이 삽입되어 있다. 도39 (a)의 상부면은 도39 (b)에 나타내고 있다. 이 유도관(111) 내부의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의 삽입 상황은 도37에 나타낸 지중관로의 배관 형상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37의 지중관로의 본관(1)에 있어서 분기관의 수는 A에서 J까지 10개이고, 그 중에 b, e, j의 3개 가옥만이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부설하는 경우, 즉, 분기관(4, 5)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경우, 도39(a)의 유도관(111) 내의 b, e, j에 해당하는 곳에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삽입하고 다른 a, c, d, f, g, h, i에는 분기용 인출선(17)을 삽입한다. 그리하여, 도39(b)에 나타낸 것처럼 각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유도관(111)의 외부로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용 인출선(17)을 꺼내어, 그 선단에 각각의 인출자(19a, 19b)를 형성하여 둔다.
도면에서, 흑색 부분은 트렁크 인장부재(121; 25와 같음)를 나타내고, 또한 유도관(111) 내부에 내관(14)과 칸막이 판(13)에 의해 칸막이된 최하부의 공간(15e, 15d)에는 1 ∼ 2 mm 정도의 금속선(wire), 낚싯줄(fishing line), 단일 필라멘트실 (monofilament yarn) 등의 가는 선(122)과 간선용 인출선(123)은 유도관(111)의 전체 길이에 설치된다. 또한, 도39(b)에서는 인출자(19a, 19b), 트렁크 인장부재 (121)와 가는 줄(122) 등은 생략되어 있다. 트렁크 인장부재(121)에는 폴리파라 페닐렌 벤조 비옥사졸(POB) 섬유,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금속섬유, 유리섬유 등의 고강도 저신도성 섬유로서 이루어진 로우프, 끈, 벨트 등의장척체(elongated member)와 스테인레스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유도관 내의 규칙적인 입선 법칙이라 함은 유도관(111)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폭 방향 병렬로 배치하고,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통신 케이블(16) 및/또는 분기용 인출선(17)(도39a)을 맨홀(2)(도1 참조)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분기관(도37의 A) 내에 삽입하여, 본관의 내부로 향하도록 접속하고 있는 분기관으로 가장 외측의 다음 외측에 위치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도39의 b)을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37의 지중관로와 같이, 분기관의 본관(1)의 횡단면에서 좌우로 각각 접속된 경우에는, 유도관 내의 분기 통신 케이블 등을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하여 그 좌우의 가장 외측으로부터 한 방향의 맨홀(2)의 좌우 각각으로 가장 가까운 지점의 분기관에 삽입 가능하게 배치한다.
간선용 인출선(123)의 역할로서는 내관(14) 내에 트렁크 통신 케이블(128; 도면 부호 20과 동등함)을 삽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트렁크 통신 케이블은 지름이 크기도 하고 강성이 높아 미리 유도관 내로 인입하여 두면 줄 감기 원통(reel drum)에 감는 것이 어려워, 줄 감기 원통의 코어 지름(core diameter)을 크게 할 필요성이 있어, 현장에서 삽입하는 일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최하부의 구획 공간(15e, 15d)의 가는 선(thin wire; 122)은 후일에 가옥이 신설되어 새로운 분기관이 본관에 접속될 때, 이 분기관에 삽입하기 위한 인출선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분기관의 신설 시에 분기관구(6, 7)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유도관(111)에 분기공(18)의 구멍을 열고 그로부터 가는 줄(122)을 뽑아내어 분기통신 케이블(16) 및/또는 분기용 인출선(17)과 대체하도록 한다.
또한, 가는 줄(122) 대신에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같은 지름의 분기용 인출선(17)을 당초부터 삽입시켜도 문제는 없다. 또한, 가는 줄(122)을 분기 통신 케이블(16)로 대체하는 경우에는 직접 접속하지 않고 가는 줄과 분기 통신 케이블의 외경의 중간 크기의 지름을 갖는 견인 밧줄을 개재시켜서, 인출력을 전달하기 쉽도록 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다음은 이상과 같이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삽입한 유도관(111)을 지중관 내에 부설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분기 통신 케이블 등을 삽입한 유도관(111)은 릴 드럼(reel drum) 등에 감겨서 공사 현장으로 운반한다. 도1에서와 같이, 공사 현장에 있어서 미리 맨홀(2, 3) 사이에 통선한 견인 로프(23)와 유도관(111)의 한 단부를 본관(1)의 한 단부에서 맨홀(2)로 접속하여 견인 로프를 다른 쪽의 맨홀(3)에서 끌어당겨 본관(1) 내로 유도관을 배치한다. 견인 로프(23)를 맨홀(2, 3) 사이에 통과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철사와 같은 강성체를 밀어 넣는 방법이나, 낙하산 형의 통선 기구를 공기 압력으로 불어넣는 방법, 자주형 관 내 이동차에 접속하여 두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어, 이들 방법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가 있다. 또한,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구간에 맨홀이 설치되지 않은 관로 등에서는, 수직 갱도(shaft)를 땅을 파서 뚫어 맨홀로서 이용한다. 또한, 유도관(111)을 한쪽의 맨홀(2)에서 다른 쪽 맨홀(3)로 끌어낼 때, 유도관의 구부림(twist)을 방지하기 위해 구부림 방지 기구를 견인 로프와 유도관(111)과의 사이에 끼워 두어도 좋다.
유도관(111)의 전체 길이를 본관(1) 내에 배치한 후, 꼬임 방지 기구를 벗어나게 한다. 이 단계에서 유도관(111)에 마련한 각각의 분기공(18)이 각각의 분기관구(6, 7)에 거의 일치한 상태로 된다. 이어서, 분기관 A ∼ J 내부로 분기 통신 케이블(16) 및/또는 분기용 인출선을 부설한다. 이 때에, 미리 본관(1)과 같이 분기관 A ∼ J 내부에서 본관을 거쳐 본관(1)에 한 단부, 예컨대, 맨홀(2)까지 견인 로프(11, 12)를 통선시켜 두고, 유도관(111) 삽통 시에 견인 로프(11, 12)와 접속하여 분기관 단부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용 인출선(17)을 부설하여도 좋다. 또한, 각 분기관 A ∼ J 내에서 팔모양의 손잡이 기구(arm-type gripping jig) 등을 삽입하여, 분기관구(6, 7) 부근에 위치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용 인출선(17)의 일단에 마련된 인출자(19a, 19b)를 잡아, 각 분기관 박스(8, 9)까지 인출시켜 부설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유도관을 본관 내에서 전후로의 미세한 조정으로써 분기 통신 케이블 등의 부설 작업을 보조하여도 좋다.
또한, 본원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중관로의 내부에서 특히 하수관이나 우수관(rainwater pipeline)처럼, 본관(1) 하부에 오염수 등이 흐르는 관로에 있어서는 지중관로 본래의 기능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도관(111)을 도40에서와 같이 본관(1)과 분기관의 상부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관(1)과 분기관 상부 측으로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도28에서와 같은 유도부재 P를 각 분기관 A ∼ J에 대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도부재 P는 분기관(4, 5)의 내부 지름과 거의 같은 바깥 지름을 가지며, 단면이 반원 이상의 원통형 삽입부(104)와 이 삽입부(104)에서 연속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고있는 본관(1) 내에 부설된 유도관(111)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렁크 슬라이드부(102)와 원통형 삽입부(104)에 설치한 분기관(4, 5) 내에 부설한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을 미끄럼 가능하게 구비한 분기 슬라이드부(103)로서 구성되어 있다.
유도부재(P)를 사용하는 경우는 인출자(19a, 19b)를 분기관 박스(8, 9)로 잡아당길 때, 분기 슬라이드부(103)를 통하게 하여 둔다. 공장 등에서 인출자(19a, 19b)를 형성하기 전에 먼저 분기 슬라이드부(103)에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을 통해 두고, 인출자(19a, 19b)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구체적인 작업 순서로써는 먼저, 분기관 박스(8, 9)에서 TV 사진기를 삽입하여 유도부재 P가 각 분기관구(6, 7)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각 유도부재 P가 본관(1) 내로 이동 시에, 유도부재 P가 관내벽과의 마찰에 의해 상처를 받거나, 관로의 단계에 의해 걸릴 가능성이 있을 때는 본관(1) 내부에 이동 가능한 손수레나 간이선(simple boat)의 위에 실어서, 견인박스와 동시에 끌어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분기관 박스(8)에서 암형(arm-type) 손잡이 기구 등을 삽입하여 TV 사진기 등으로서 확인하면서 인출자(19a, 19b)를 잡아 분기관 박스(8)에서 끌어낸다. 이 때에, 본관(1) 내의 유도관(111)을 움직여서 인출자(19a, 19b)를 붙잡기 쉬운 위치로 미세하게 조정한다.
다음은, 분기관 박스(8)로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을인입시켜 유도부재 P의 선단부를 분기관구(6)에 삽입한다.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을 끌어 당겨도 유도부재 P의 선단의 방향이 변하지 않는 경우는 도33에서와 같이 공기 충전기 등을 수축한 상태로써 분기관 박스(8)에서 분기관(6)으로 삽입하고, 유도부재(P)의 내면에 삽입 팽창시켜, 공기 주입부를 끌어들여 유도부재 P의 선단 방향을 분기관(4)의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부재 P의 분기관구(6)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유도부재 P의 원통형 삽입부 (104) 외면에 접착제나 점착제를 미리 도포하여 두고, 분기관(4) 내면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으며, 원통형 삽입부(104) 외면에 고무(rubber), 스펀지 (sponge) 등의 탄성체를 부여할 것인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면(tapered surface)을 형성하여 두어 마찰에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유도부재로서 도35와 도37에 나타낸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도부재 P를 사용할 경우에는 원호상 고정부(41, 241)를 가는 선 등으로 지름을 축소하여 두어 분기관(4) 내로 삽입 후에 가는 선을 절단하여 지름의 축소를 개방하고 원호상 고정부(41, 241)의 지름을 확대하여 분기관(4) 내에 원호상 고정부(41, 241)를 고정한다. 또한, 이 경우에 전술한 도28에 나타낸 형상의 유도부재 P와 같이, 원호형 고정부(41, 241) 외면에 접착제나 점착제를 미리 도포하여 두어, 분기관(4) 내면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시켜도 좋으며 원호형 고정부(41, 241) 외면에 고무와 스펀지 등의 탄성체를 부여하거나, 선단의 경사면(42)을 형성하여 두고 마찰에 의한 압착으로서 고정시켜도 좋다. 더구나, 스파이크(spike; 242)를 돌출시켜서 관벽에 관입시켜도 좋다.
다른 분기관(5)에 있어서도 같은 작업을 순서대로 실시하고, 분기관 박스(9)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을 꺼내어 유도부재 P를 분기관구(7)에 삽입하여 고정하여 둔다.
다음은 원통형 돌려말기식의 수동 윈치(winch)와 후크(hook)가 쌍으로 된 인장 기구(34)를 사용하여 유도관(111) 내로 수납된 트렁크 인장부재(121)를 맨홀(2, 3)에 취부한 일단은 후크로써 고정하고, 다른 쪽은 윈치로서 장력을 가하여 유도관(111)을 본관(1) 내의 상부에 부설한다.
분기관(4)이 직관인 경우에는, 이대로 분기관 박스(8, 9)에 취부한 인장 기구(34)로써 장력을 가함으로써 분기관(4, 5) 내의 상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을 부설할 수가 있다.
그런데, 분기관(4, 5)이 도40에서와 같은 굴곡 파이프인 경우, 단지 분기관 박스(8, 9)에 취부된 인장 기구(34)로서 장력을 가하는 것만으로서는 분기관(4, 5)의 굽힘 파이프의 굽힘부(101)의 내면 상부에 따라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을 부설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는 분기관(4, 5)의 굴곡 파이프의 굴곡부(101)에 도30에서와 같이 고정부재 Q를 굴곡부(101)의 내면 상부에 따라서 배치한다.
배치 방법은 분기 박스(8)에 도달하고 있는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용 인출선(17)을 고정부재 Q의 슬라이드부(43)의 내부를 통하면서 원호상 고정부(44)의 지름을 축소하여 굴곡 파이프 부근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수단으로서는 전술한 공기 충전기의 외부로 취부시키는 방법 또는 전용 장치를 사용하여도좋다. 슬라이드부(43)를 굴곡 파이프의 굴곡부(101)의 내면 상부에 배치하면, 유도부재 P일 때와 같이 원호형 고정부(44)를 분기관(4, 5) 내로 고정시킨다.
이상과 같이, 유도관(111),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용 인출선(17)을 본관(1)과 각 분기관 A ∼ J 내에 상부 측에 부설할 수가 있다. 또한, 이 공정은 분기 통신 케이블 등의 부설 전후의 어느 곳에서 실시하여도 좋으며, 이 분기 통신 케이블 등의 부설 시에 일시적 장력을 트렁크 인장부재에 가하여 유도관을 공간에서 매달림 상태로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인장 기구(34) 등에 의해 장력을 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으로서, 본관(1) 내에 도29에 나타낸 이완 방지재(slack prevention member; 55)를 도41에서와 같이 본관(1) 내에 복수 배치하여 유도관(111)을 지지하도록 실행하여도 좋다. 이완 방지재(55)의 이동 또는 고정 방법은 고정부재 Q나 유도부재 P의 경우와 같이 원호상 고정부(56)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부설 시에 몇 개의 맨홀을 건너뛰게(skipping)하여 유도관(111)을 부설할 경우에는 도42에서와 같이 맨홀 내측 벽에 따라서 만곡(curved)되고 있는 (만일 네모꼴인 경우는 굴절) 유도관 연결부재(127)로써 접속하여 본관(1)의 연장선에 위치하는 것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관 연결부재(127)는 반절 파이프 (half-cut pipe)형도 좋으며, 맨홀 내의 유도관(111)을 제거하여 통신 케이블(16, 128)과 트렁크 부재(121)를 배관용 새들(pipe saddle) 등을 사용하여 맨홀 측벽에 따라서 구부려지도록(skirting) 한다.
이상과 같이, 본관(1) 내로 유도관(111)의 부설과 동시에 통신 케이블의 시설을 희망하는 b, e, j의 각 가정으로 통하는 B, E, J에 통신 케이블(16)을 설치하고, 그 외의 a, c, d, f, g, h, i를 부설하는 동안 통신 케이블 시설을 희망하지 않는 가정에 대해서는 분기용 인출선(17)만을 시설할 수가 있다. 앞으로, a, c, d, f, g, h, i의 가정들로부터 통신 케이블의 시설을 바라는 가정이 있을 때에는 각 분기관 A, C, D, F, G, H, I의 분기관구 또는 분기 단부인 분기관 박스까지 부설하고 있는 분기용 인출선(17)과 대체함으로써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시설할 수가 있다.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대체할 경우는 맨홀(2)의 가까운 곳에 새로운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희망하는 가정의 분기관에 부설된 분기용 인출선(17)의 일단에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접속한다.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분기용 인출선(17)과를 맨홀(2) 측에 접속한 후, 분기관 쪽에서 분기용 인출선(17)을 인입함으로써 유도관(111)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끌어넣을 수 있음과 동시에 분기관 내로 부설할 수가 있다.
또한, 분기관이 신설된 때에는 유도관(111) 내에 수용되어 있는 가는 선(122)이나, 예비(reserve)용으로서 수용되어 있는 분기용 인출선(17)의 일단에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접속하여 가는 선(122) 또는 분기용 인출선(17)과 대체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부설이 필요한 시점에서는 적합하고 쉽게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부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가공 방식(aerial laying)에 비해 손색이 없는 작업성과 시공비로서 통신 케이블의 부설이 가능하게된다. 더욱이, 지중관로의 본래의 기능이 저해되지 않고, 지중관로의 유지 관리 작업 등에도 악영향을 주지 않으며, 지중관로의 사용 시나 유지 관리 작업 등으로 통신 케이블의 손상 없이 부설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지중관로에서의 통신 케이블 부설용 유도관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43, 도44, 도45에서 나타낸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3(a)는 복수 개의 분기 통신 케이블이 삽입 가능한 폭을 구비하고, 내부 높이가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외경의 약 2배보다 적은 파이프형이다. 이와 같은 치수를 채용함으로써,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분기 통신 케이블과 같은 지름의 분기용 인출선(17)을 유도관(111) 내로 삽입할 때, 인접한 분기 통신 케이블(16)등을 넘어(overpassing)서 교차함을 방지하고, 유도관(111) 내부에서 서로 꼬여서 무리한 장력이 가해진다든지, 허용된 굴곡 반경을 초과함으로 인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절단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으로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병렬로 복수 개를 입선시킬 수 있는 구조에 의해, 본관 내에 설치 시의 높이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므로, 하수도관이나 우수관 등과 같이 상부에 빈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에 설치함으로서 지중관로의 본래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43(b)에서는 유도관(111) 내부에 상하 구분을 위한 칸막이 판(partition plate)이 설치되어 있어, 그 내부 높이는 도43(a)와 동일하다. 도43(c)는 도43(b)의 유도관(111)의 거의 중앙에 좌우로 구분하는 칸막이 판(13)을 설치한 것이다.또한, 도43(d)는 도43(c)와 같은 구조이나 내부 칸막이 판(13)을 분할부재(separate part)로써 유도관(111)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끼운 것이다. 도43(e)는 본관(1)용의 트렁크 통신 케이블(128) 또는 간선용 인출선을 수용하는 내관(14)을 도43(c)의 유도관(111)의 거의 중앙에 설치한 것이다. 트렁크 통신 케이블(128)은 전술한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20)에 해당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렁크 인장부재(25)를 동봉시킬 수도 있다.
도44(a)는 단순한 파이프 형상이고 삽입 가능한 통신 케이블의 허용 수 (allowable number)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44(b)는 도44(a)의 유도관(111)에 복수로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통로를 분할하기 위한 칸막이 판(13)이 분리 분할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에는 유도관(111)을 본관(1) 상부에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나 고강도 섬유로서 된 고강도 저신도성의 트렁크 인장부재(흑색부분; 121)가 삽통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44(d)의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이 좌우로 구분된 칸막이 판(13)으로서 칸막이되어 있어 중앙에는 트렁크 통신 케이블(128)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양측에는 트렁크 인장부재(121)를 통과시키는 공간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측에는 트렁크 인장부재(121)를 통과시키는 공간도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유도관(111) 내로 수용하기 위해 덮개로 구성된 상부가 부착되어 일체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도관(111)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16) 및/또는 분기용 인출선 (17)을 삽입하는 방법으로서는 미리 유도관(111) 내로 가느다란 실 형태의 견인 로프를 필요한 수만큼 통선시켜, 분기 통신 케이블(6) 및/또는 분기용 인출선(17)과 결합시켜 끌어넣는 방법과 도45에서와 같이 세공(細工)을 시설하여 두고 입선시키는 방법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45(a)에 나타난 것처럼, 유도관(111)은 상부 (131)와 하부(132)로 분할되어 있고 분할편(divided part)의 접촉 면에 요철부(凹 凸部; 133)가 마련되어 끼워진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분할편(131)이 개방된 상태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삽입시킨다. 분할편(131, 132)의 형태는 도44(d)에 나타낸 덮개형(cover type)으로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도45(b)에서와 같이, 유도관(111)의 외주면에 있어서 칸막이 판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각 공간에 잘림부(13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잘림부(65)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16)등과 통신용 견인 로프를 삽입시킨다. 더욱이, 케이블 삽입 후의 레일(rail)과 같은 I자형의 부재(도시 안됨)를 잘림부(134)에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특히 상면의 잘림(cut)에 대해서는 지중관로 내의 결로(dew drop)와 분기관에서의 흐르는 물이 유도관(111) 내로 침입하여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45(c)와 도45(d)는 칸막이 판(13)이 분할된 경우의 입선 방법에 대한 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45(d)에서와 같이 칸막이 판(13)에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설치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테이프형 부재를 고정시켜 놓고, 이들을 도45(c)에 나타낸 파이프(136) 내로 삽입하는 것이다. 또한, 트렁크 인장부재(121)를 사용하는 경우는 지금까지 설명한 유도관(111) 내의 어느 부분에 설치하여도 상관이 없으나, 복수 개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도관의 평행성 때문에 높이 방향으로 병렬 삽입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유도관의 설치 길이와 총 중량에 따라서 적절한 개수를 정하면 좋다. 더구나, 트렁크 인장부재(121)를 유도관(111)과 일체화한 구조를 사용하여도 좋으며, 도44(b) 및 (c)에서 나타낸 것처럼 칸막이 판과 일체화한 것도 좋다.
전술한 본원 실시예의 한 예로서는 유도관(111) 내의 일단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삽입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각 맨홀의 간격이 긴 경우와 주택이 밀집된 지역에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부설할 때는 예컨대, 도46에서와 같이 유도관(111)의 양단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삽입할 수가 있다.
도46에 있어서, 유도관(111)의 내부에 다수의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이 삽입된 것이며, 도46(a)는 유도관(111)의 오른쪽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46(b)는 유도관(111)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46(b)에 있어서, 유도관(111)의 왼쪽에서 본 단면도는 도39(a)에 해당한다. 유도관(111) 내의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의 삽입 위치는 유도관(111)이 대응하는 분기관의 수는 거의 반 정도의 위치에서 대칭으로 되어 있고, 또한 대칭으로된 분기 통신 케이블들이 각 맨홀의 가까운 곳의 분기관에 순조롭게 유도관(111)의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맨홀 사이의 거리가 길게된 경우에도 두개의 유도관(111)을 접합하여 각각의 맨홀의 가까운 쪽에서 순서대로 병렬로 배치함으로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유도관(111)은 한 개의 긴 파이프라도 상관없다.
다음은, 지금까지 설명하였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다른 실시예로서, 광섬유 케이블 등의 분기 통신 케이블의 굽어짐 특성(bending)을 분기 인장부재인 튜브(tube)로서 규제하는 케이블의 삽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7, 도8,도36에 나타낸 분기 인장부재(26, 27)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40에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지중관로 내의 부설 구조에 대한 한 예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분기 통신 케이블(16)은 통신 매체로서 비교적 뛰어난 특성을 갖는 광섬유로서 되어 있고, 맨홀(2, 3) 사이의 하수도관의 본관(1) 내와 분기관(4, 5)에 부설되어 있다. 이 분기 통신 케이블(16)은 적어도 분기관구(6, 7)에서 분기관단부의 분기관 박스(8, 9)까지는 튜브(216; 도면 부호 26, 27와 동등) 내에 삽입되어 있어, 본관(1) 내부에는 유도관(111)이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분기 통신 케이블(16)에 내수성, 내약품성, 쥐의 공격으로부터 내구성(rat proof characteristics), 내고압세정성(anti-high-pressure-cleaning) 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튜브(tube; 216)에 의해 분기 통신 케이블(16)이 보호되기 때문에, 내수성이나 내약품성을 상실하는 일도 없고, 쥐가 물어서 단선되는 것도 방지되어, 만약 쥐가 물어뜯는 경우에도 튜브(216)의 보호에 의해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단선은 방지된다. 고압세정으로 분기관(4, 5) 내를 청소할 때, 분기 통신 케이블(16)이 고압 세정수(high pressure cleaning water)에 직접 접하여 상처를 받아 단선되는 일은 없다. 더욱이, 본관(1) 내에서도 유도관(1)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수용할 수 있어 전술과 같이 분기 통신 케이블(6)을 외부에서 보호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16)은 유도관(111)에서 분기하여, 분기관구(6, 7)을 통하여 분기관박스(8, 9)와 분기관(4, 5) 내에 부설되어 각 가정으로 인입된다. 또한, 이 맨홀(2, 3) 사이에 다른 맨홀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으며, 맨홀이 통신기지일지라도 그와 같이 실시할 수가 있다.
하수도나 우수관과 같은 본관(1) 하부에 오염수가 흐르는 관로에 있어서는 지중관로의 본래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분기 통신 케이블(16)과 유도관(111) 등의 시설에 사용되는 부재를 도40에서와 같이 본관(1)과 분기관의 상부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분기 통신 케이블(16)이 오염수 등의 흐름을 저지하거나, 쥐가 물어뜯어 단선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분기 통신 케이블(16)은 전술한 광섬유 케이블(21, 22)에 해당하는 것이나, 다른 구조로서도 가능하다. 에컨대, 도55에서와 같이 통신 케이블은 도56에서와 같이 통신소선(260)을 2심 내지 8심으로 배열하여, 그 상부에 수지피복(261)이 입혀져 구성된 통신 테이프 심선(262)을 강선(263)을 중심으로 배치한 플라스틱 코어체(264)의 외주면상에 복수로 형성된 홈 내에 적층 배치하고, 그 위에 수지피복(resin coating; 261)이 입혀진 것이다. 이와 같은 통신 케이블은 대단히 강직(rigid)하고 통신소선(260)에 직접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직선적으로 배치하여 제조되어 있다. 따라서, 트렁크 통신 케이블(20, 128)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통신 케이블로서는 도5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통신소선(260)을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의 노끈줄(braid rope) 내에 수용하여, 그 위에 수지피막(261)을 입힌 통신 케이블이나, 도58에 나타낸 통신소선(260)과 강선(263)에 수지피막(261)을 입힌 통신 케이블 등이 개발되어 있다. 도57이나 도58의 통신 케이블은 전술한 도56의 통신 케이블과 비교하면 대단히 유연하고 외경도 작다. 따라서, 분기 통신 케이블(21, 22, 16)에 아주 적합하게 사용된다.
보통의 통신 케이블은 통신소선의 소재 특성에 따라 어느 각도 이상으로 굽어지면, 단선 또는 그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허용 굽힘 반지름은 이 때의 각도에 의해 정의된다. 통신 케이블 중에서도 광섬유 케이블은 글라스(glass) 또는 플라스틱에 의해 소선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선과 비교하면 허용 굽힘 반지름이 크다. 예컨대, 통신소선을 2심 배열한 통신 테이프 심선(262)을 중심으로 하여 인장부재 2개를 통신 테이프 심선의 양측에 병렬로 배치하여 그들의 외측에 수지피복을 이룬 도58과 같은 구성의 광섬유 케이블의 허용 굴곡 반경은 거의 35 mm이고, 스테인레스제 튜브에 이 통신 테이프 심선을 수납하여 튜브 내를 젤리(jelly) 충전(充塡)하고, 다시 그 튜브 표면에 PE 외피 피복(sheath coating)을 입혀서 구성한 광케이블의 허용 곡률 반지름은 약 80 mm라 하는 자료가 있다. 한편, 광굴절을 이용하여 정보 전달을 행하며 멀티 타이프(multitype)라고 칭하는 광섬유 케이블은 그 소재의 특성 때문에, 굽힘 허용 반지름은 크다. 이상과 같이, 통신 케이블의 종류와 구성에 의해 허용 굽힘 반지름은 정의된다.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튜브(216)는 통신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지름 이상의 굽힘 특성을 갖는 재료로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제품 또는 플라스틱 제품의 유연성 튜브이다. 그리하여, 이 튜브(216)로써 통신 케이블이 허용 굽힘 반지름 이하로 굽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는, 튜브(216)가 통신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지름 이하로 과도하게 굴곡하여 튜브(216)에 삽입된 통신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튜브(216)로서는 별도로 직포, 편물 또는 꼬임끈(braid) 등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직포(cylindrical cloth)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을 사용할 경우, 특히 통신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지름 이상의 굽힘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직물의 경우는 위사(緯絲; latitude string)로, 편물(knit) 또는 꼬임끈(braid)의 경우는 지름 방향으로 별도의 강성(rigid)으로 된 와이어 또는 큰 지름의 단사(mono-filament string)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튜브(216)에 원통형 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일지라도, 튜브(216)는 지중관로 내의 변곡부(inflection part) 등이라도 극단적으로 굽혀질 수 없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통신 케이블의 부설 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스테인레스제나 플라스틱제의 유연성 튜브, 또는 원통형 직포와 같은 수밀성(water-tightness)을 갖지 않는 재료를 튜브(216)에 사용하는 경우는 튜브(216)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 수밀층(water-tight layer)을 형성함으로써, 통신 케이블을 물과 약품들로부터 더욱 확실히 보호할 수가 있다. 이 수밀층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 튜브를 튜브(216)에 삽입 및/또는 포장하여 첨부하거나 경화성 수지 또는 방수성 도료를 튜브(216)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 도포함으로서 이룰 수가 있다.
본관(1)의 거의 상부에 설치한 유도관(111) 내부에는 트렁크 인장부재(121)가 수용되어 있어, 트렁크 인장부재(121)는 맨홀(2, 3) 사이에서 인장장치(34)에 의해 장력을 가하여 유도관(111)을 본관(1) 내의 상부 측에 부설한다.
또한, 전술한 도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요부(凹部; depression part)를 갖는 원호형 고정부(56)로서 이루어진 이완방지부재(55)를 도40에서와 같이 본관(1)에 적합한 간격으로 복수 배치함으로서 유도관(111)이 본관(1)의 내경 방향으로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도41에서와 같이, 이완 방지재(55)의 원호형 고정부(56)는 그 요부로서 유도관(111)을 수용하면서 본관(1)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은, 본관(1)과 분기관(4, 5)의 구조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본관(1)은 도로면에서 깊이 수 m의 위치에 있고, 분기관(4, 5)의 분기관구(6, 7)는 본관(1)의 위쪽에 형성된다. 그리하여, 분기관(4, 5)은 분기관구(6, 7)에서 급한 각도로 상승하여(도시 안됨) 지표 가까이에서 매우 작은 각도로서 분기관 박스(8, 9)에 이른다.
분기관구(6, 7)가 본관(1)의 거의 상부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관(1)의 바로 위에서 좌우로 약 30도(30 degree) 이내의 범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유도관(111)은 본관(1)의 거의 상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분기관(4, 5)의 바로 아래를 통하여 분기관(4, 5)내의 오염물 등의 흐름을 저지시키는 위험이 있다. 이 경우는 도47에서와 같이 원호상 고정부재(241)와 이 원호상 고정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트렁크 미끄럼부(231)와 원호성 고정부(241)에 설치된 분기 미끄럼부(232) 등에서 구성된 유도부재 P(유지부재에 해당)를 각 분기관구(6, 7)에 취부하여 유도관(111)을 트렁크 미끄럼부(231)로서 미끄럼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도부재 P(도13, 도28, 도35에서 나타낸 것)를 사용함으로써, 유도관은 분기관(4, 5)의 바로 아래로 통하지 않게 되어, 분기관(4, 5)의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47의 유도부재 P는 원호상 고정부(241)가 지름 방향으로 돌출부(233)를 갖기 때문에, 돌출부(233)에 오물(waste)이 부착되어 있어도 흐르는 오염수에 의해 제거되어 튜브(216)에 오염물이 붙을 수가 없다. 또한, 유도관(111)이 트렁크 미끄럼부(231)로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부설 작업이 비교적 쉽게 된다.
한편, 분기관구(6, 7)가 본관(1)의 바로 위에서 거의 30도 이상의 범위로 설치한 경우는 유도관(111)이 분기관(4, 5)의 바로 아래를 통하는 일이 없으므로, 유도부재 P를 사용하는 필요성은 없다. 도48에서와 같이 분기관(4, 5) 내벽에 따른 원호상 고정부(44)와 튜브(216)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부(43)로서 이루어진 고정부재 Q(지지부재에 해당)를 분기관구(6, 7) 근방의 분기관(4, 5) 내의 상부에 취부하여 튜브(216)를 분기관(4, 5) 내의 상부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216)가 분기관(4, 5) 내벽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기관(4, 5)은 본래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튜브(216)는 슬라이드부(43)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부설 작업 시에 튜브(216)를 무리한 힘으로 끌어당겨 튜브(216)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분기관구(6, 7)의 형성 각도에 무관하게 분기관(4, 5)이 도40과 도54에서와 같이 급격하게 각도가 변하는 곡부(valley part; 101)를 갖는 경우, 분기관 박스(8, 9)에 취부한 인장 기구(34)로서 장력을 가하는 것만으로서는 분기관(4, 5)의 곡부(101)의 내벽상부에 따라 분기 통신 케이블(16)이 삽입된 튜브(216)를 부설할 수가 없다. 따라서, 튜브(216) 등을 분기관(4, 5)의 내벽 상부에 유지하기 위해 도54에서와 같이 원호형 고정부(44)와 슬라이드부(43)로서 이루어진 고정부재 Q를 사용한다.
다음은 분기 통신 케이블(16)이 유도관(111)에서 분기하는 구성에 대해서 도49 내지 도5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9는 유도관(111) 내의 분기 통신 케이블(16)이 유도관(111)의 측면에 부설한 개구부(218; 18, 46과 동등)를 거쳐서 유도관(111) 외부로 꺼낸 도면이다. 유도관(111)은 단면이 거의 네모꼴의 중공관(hollow pipe)으로서 이루어지고, 유도관(111) 내부는 복수의 칸막이 판으로서 분할되어 있다. 본관(1)을 통하는 트렁크 통신 케이블(도시 안됨)을 입선하기 위한 중앙에 큰 공간과 그 양측에 통신 케이블 등의 통로용과 거의 비슷한 3층으로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50에는 유도관(111) 내부를 삽통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이 유도관(111)의 개구부에서 유도관 외부로 끌어내어 있고, 유도관(111)의 개구부 주위에는 분기용구(branching member; 212)가 장착되어 있다.
분기용구(212)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유도관(111)으로부터의 분기 개소, 즉 유도관(111)의 개구부(218) 근방에 있어서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기 통신 케이블(16)은 유도관(111)의 개구부를 삽통하여 분기용구(212)를 거쳐서 분기관(4, 5) 내부로 유도된다.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외부에서 보호할 목적으로 최소한 분기관구(6, 7)에서 분기관 박스(8, 9)까지 튜브(216)에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삽입시키는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도46과 도50에서와 같이 유도부재 P의 사용 시에 이용되어, 분기통신 케이블(16)은 유도부재 P에 부속된 튜브(216)에 의해 보호된다. 튜브(216)는 유도부재 P의 분기 슬라이드부(232)를 통하여 분기관구(6, 7)에서 분기관(4, 5) 내를 거쳐서 분기관 박스(8, 9)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도관(111)이 유도부재 P의 트렁크 슬라이드부(231)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유도관(111)의 개구부(218)에서 튜브(216)로 삽입시켜 분기관 박스(8, 9) 쪽으로 이끌려 각 가정에 인입하게 된다.
도51은 분기 통신 케이블(16)이 유도관(111)의 일단에서 유도관(111) 내로 삽입되어, 유도관(111)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218)에서 접동 가능하게 분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튜브(216)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외측에서 보호하고, 분기관 박스(8, 9)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52에 있어서는 유도관(111)의 개구부 주위에, 도50과는 다른 형상의 분기구(212)가 장착되어 있고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유도관(111)에서의 분기 개소, 즉 유도관(111)의 개구부(218) 근방에 있어서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분기구(212)에는 중공 원통부재(hollow cylindrical member)가 측부에 부속되어 있어, 이 중공 원통부재의 유도관(111) 측면부는 개구부(218)와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튜브(216)가 중공 원통부재와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외측에서 보호하여 분기관 박스(8, 9)까지 연장되어 있다. 유도관(111) 내를 통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은 유도관(111)의 측면에 마련된 개구부를 삽통하여 분기구(212)의 중공 원통부재의 유도관(111) 측면부에 형성된 공간을 거쳐서 부착된 튜브(216) 내로 이끌어져 분기관(4, 5) 내에 부설되게 한다.
도51과 도52에 나타낸 구성은 분기 통신 케이블(16)이 외부로 노출 (exposure)되지 않도록 튜브(216) 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도47에서의 유도부재 P를 도입하지 않을 때는 바람직하게 사용되어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삽입한 튜브(216)는 도48에 나타낸 고정부재 Q에 의해 분기관(4, 5)의 거의 상부에 지지되어 각 가정으로 인입된다.
유도관(111)에 마련한 개구부(218)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유도관(111) 외부로 끌어내어 분기관(4, 5) 내로 분기(branch off)시키는 것이므로 분기관구(6, 7)에 해당하는 위치(분기관구의 전후 1 m 정도의 범위)로 분기관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분기관(4, 5)으로부터의 유체(fluid)가 개구부(218) 내로 유입하지 않도록 분기관(4, 5)의 바로 아래에 개구부(218)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218)는 본관(1) 내의 조사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미리 공장 등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유도관(111) 내에는 트렁크 통신 케이블(128) 만이 통하게 되어, 분기관 수에 대응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삽입한 튜브(216)는 유도관(111) 바깥 둘레에 겹쳐서 고정되어 있다.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튜브(216)는 도52와 도53에서와 같이 분기 고착 용구(212) 또는 잠금 밴드(lock band) 등을 거쳐서 각 분기관구(6, 7) 가까이에서 유도관(111)으로부터 분기하고 있다.
본관(1)에 대해 분기관 수가 많은 경우는 관로 내로 통선하는 견인 로프(pull rope)의 수가 많게 되어, 꼬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분기 통신케이블(16)을 삽입한 튜브(216)의 선단에 전술한 인출자(19)가 부착 ·이탈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취부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자(19)는 튜브(216)를 유도관(111) 내부에서 개구부(218)를 거쳐서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한다. 이 인출자의 형상은 후크(hook)상과 링(ring) 상등 여러 가지의 형상을 채용 가능하지만, 적어도 인출자의 외경은 유도관(111)의 개구부(218)의 크기보다도 더 크고, 유도관(111) 외부로 꺼낸 튜브(216)의 선단이 유도관(111) 내부로 되돌아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출자(19)가 튜브(216)에 연결된 경우는 튜브(216)를 유도관(111)에서 어느 정도의 길이를 끌어내어, 분기관구(6, 7)에서 걸리게 한다던가, 붙들림이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관(111) 내의 복수 개의 분기 통신 케이블(16) 및/또는 튜브(216)가 서로 꼬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분기 통신 케이블(16) 및/또는 튜브(216)의 유도관(111) 내에서의 배치 장소가 각 가정으로 이어가는 분기관(4, 5)의 위치와 서로 연결되어 규칙적인 배치 법칙에 따르는 것이 좋다. 즉, 도39나 도46에서와 같이 한쪽의 맨홀(2)에서 본관(1)의 내부로 향하여 잇달아 가장 외측으로 위치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꺼낼 수 있도록 유도관(111) 내로 분기 통신 케이블(16) 등을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한다.
다음은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지중관 내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관(1) 내에 있어서 TV 사진기 등을 사용하여 맨홀(2, 3) 사이의 거리, 맨홀(2)에서 본관(1) 내의 각 분기관(4, 5)의 분기관구(6, 7)까지의 거리, 분기관에서 분기 박스(8, 9)까지의 거리, 분기 박스(8, 9)의 깊이 등을 정확히 측정한다. 이상과 같은 관로의 조사로서 얻은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미리 공장 등에서, 유도관(111)으로 각 분기관구(6, 7)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18)를 마련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16) 또는 튜브(216)를 개구부(218)에서 꺼내어 둔다.
분기관(4, 5)이 본관(1)에 대하여 바로 위에서 좌우로 각도가 약 30도 이내의 범위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 분기 통신 케이블(16)의 분기 개소에는 도47에서의 유도부재 P를 분기관구(6, 7)에 취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공사 현장에서의 작업 효율의 향상 때문에, 원호상 고정부(241)의 양단에 뚫려 있는 좁은 구멍(236)에 가는 줄을 통하게 하여 원호상 고정부(241)의 지름을 분기관(4, 5) 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지름을 축소시킨 상태로 하고, 먼저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삽입한 튜브(216)를 유도부재 P의 분기 슬라이드부(232)를 통하여 인출자(19)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장에서 미리 준비된 유도관(111)은 릴 드럼(reel drum)등으로 감겨져 시공 현장으로 반입된다. 또한, 유도부재 P를 반입하는 경우는 본관(1) 내의 이동 시에 본관(1)의 내벽과의 마찰에 의해 상처를 받는다든지, 관로의 단차(step) 등에 걸리게 되는 위험 때문에 본관(1) 내를 이동 가능한 손수레(cart)나 간이선(simple vessel)의 위에 유도부재 P를 올려놓아 이동시켜, 후술하는 견인 로프와 동시에 끌어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사 현장에 있어서는 먼저 맨홀(2, 3) 사이에 견인 로프를 삽입시킨다. 또 여기서, 미리 원통형 돌려말기식의 수동 윈치(manual winch)와 후크(hook)가 쌍으로 이루어진 인장 기구(34)를 맨홀(2, 3) 내부와 각 분기관(4, 5)의 분기관 박스(8, 9)에 취부하여 둔다.
다음은 견인 로프의 일단과 유도관(111)을 본관(1)의 일단부, 예컨대 맨홀(2)에 접속하여 견인 로프를 다른 쪽의 맨홀(3)에서 끌어당겨 본관(1) 내로 유도관(111)을 설치한다. 이 단계에서 유도관(111)에 설치한 개구부(218)의 각각이 분기관구(6, 7)들에 거의 일치한 상태로 된다.
이어서, 분기관(4, 5) 내로 튜브(216)를 인입한다. 이 작업에 관해서, 첫째는 본관(1)의 바로 위로부터 좌우로 거의 30도 이상의 범위에 마련된 경우, 즉 도47의 유도부재 P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관(1) 내의 유도관(111)을 전후로 미세하게 조정하여 튜브(216) 또는 튜브 선단에 있는 인출자(19)를 분기관(4, 5)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다. 다음은 분기관 박스(8, 9)에서 팔 모양(arm-type)의 손잡이 기구 등을 삽입하여 TV 사진기로써 확인하면서 분기관구(6, 7) 부근에 위치하는 튜브(216) 또는 일단에 설치한 인출자(19)를 붙잡아 분기관 박스(8, 9)에서 꺼낸다. 또는, 사전에 분기관 박스(8, 9)에서 분기관(4, 5)과 본관(1)을 거쳐서 본관(1)의 한 단부, 예컨대 맨홀(2)까지 견인 로프를 삽입하여 두고, 튜브(216)와 견인 로프를 접속하여 견인 로프를 분기관 박스(8, 9)에서 끌어올림으로써 분기관(4, 5) 내부로 튜브(216)를 부설할 수도 있다.
유도부재 P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튜브(216)를 분기관(4, 5) 내벽의 거의 상부에 따라서 설치하기 때문에, 고정부재 Q를 분기관구(6, 7)의 분기관(4, 5)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분기관(4, 5) 본래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방지할 수가 있다. 먼저, 분기관 박스(8, 9)에 도착되고 있는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삽입한 튜브(216)를 통하게 한 상태에서 지름이 좁혀진 고정부재 Q의 원호상 고정부(44)와 슬라이드부(43)를 분기관(4, 5) 내부를 통하게 하여 분기관구(6, 7)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이동 조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 포장구 또는 전용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공기 포장구 등을 수축한 상태로써 분기관 박스(8, 9)에서 분기관(4, 5)으로 삽입하고, 고정부재 Q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고정부재 Q의 설치하는 곳에서 공기 포장구 등의 지름 좁힘을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기 포장구 등으로 고정부재 Q의 원호형 고정부(44)를 죄어 붙여(clamp)서 분기관(4, 5) 내벽에 고정시킨다.
한편, 분기관(4, 5)이 본관(1)의 거의 상부에, 보다 상세하게는 본관(1)의 바로 위에서 좌우로 거의 30도 이내의 범위를 설치된 경우에는, 도47의 유도부재 P를 사용한다. 이 경우는 미리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삽입한 튜브(216)를 유도부재 P의 분기 슬라이드부(22)에 통하게 하고, 튜브(216)의 선단에 인출자(19)를 형성하여 둔다. 전술한 방법과 같이, TV 사진기로써 확인하면서 튜브(216)의 선단의 인출자(19)를 손잡이 기구 등으로 붙잡아 분기관 박스(8, 9)에서 끌어낸다. 이와 동시에 가는 선으로 축경된 유도부재 P는 그 선단부에서 분기관구(6, 7)에 삽입된다. 이 때의 조작 보조 방법으로써는 전술한 에어 패커(air packer) 등을 수축한 상태로 분기관 박스(8, 9)에서 분기관구(6, 7)에 삽입하고, 유도부재 P의 내면에 삽입하여 팽창시켜서 에어 패커로서 유도부재 P를 죄어 붙이고, 에어 패커를 끌어올려 분기관구(6, 7)에 삽입시켜도 좋다. 그리하여, 다시 에어 패커를 팽창시켜,이 가는 줄(thin wire)을 절단하여 원호형 고정부(241)의 축지름(diameter contraction)을 풀어 주어 분기관(4, 5) 내에 고정한다.
이어서, 유도관(111) 내에 수용된 트렁크 인장부재(121)의 일단을 맨홀(2, 3)에 취부된 인장기부(34)의 후크에 고정하고, 트렁크 인장부재(121)의 타단을 인장 기구(34)의 윈치(winch)로서 끌어 당겨 유도관(11)을 본관(1)의 거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분기관(4, 5) 내부에도 분기관 박스(8, 9)에 취부한 인장 기구(34)를 사용하여 튜브(216)를 부설할 수가 있다.
그러나, 여기서 분기관(4, 5)에 도40과 도54에서와 같이 급격하게 각도가 변하는 굽힘부(101)를 갖는 경우, 인장 기구(34)로서 장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는 분기관(4, 5) 내의 내벽상부에 따라서 튜브(216)를 부설할 수가 없다. 이 경우, 도30과 도54에서와 같이 고정부 Q를 분기관(4, 5) 내의 굽힘부(101) 주변에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함으로서 굽힘부(101)를 갖는 분기관(4, 5)에 있어서도 튜브(216)를 분기관(4, 5) 내벽의 거의 상부에 따라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시 고정부재 Q의 이동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도29에서의 이완 방지재(55)를 사용하여 유도관(111)을 지지시키는 경우는 이완 방지재(55)의 원호형 고정부(56)에 의해 본관(1) 내벽에 전술한 도41과같이 고정시킨다.
이상과 같이 실행하여 통신 케이블을 본관(1)과 각 분기관(4, 5) 내의 거의 상부에 부설하고 각 가정에 이끌어 갈 수가 있다. 또한, 통신 케이블을 대신하여, 외경이 통신 케이블(16)의 외경과 거의 같은 전술한 인출선(17, 123)을유도관(111) 내와 튜브(216) 내에 삽통시켜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종 부재를 지중관로 내에 부설할 때 통신 케이블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튜브(216)를 원통형 면포(cylindrical cloth)로 구성하면, 원통형 면포는 수밀성(water-tightness)을 갖지 않으나, 그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 수밀층을 형성시켜, 분기 통신 케이블(16)을 물과 약품류 등으로서 확실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수밀층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 튜브(rubber tube)를 튜브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삽입하여 첨부하고, 또는 경화성 수지 또는 방수성 도료를 튜브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원통형 면포가 통신 케이블 (16)의 허용 굽힘 반지름 이상의 굽힘 특성을 확보하도록 직물인 경우는 끈끈한 실(latitude string)로, 편물 또는 꼬임끈(braid)의 경우는 지름 방향으로 강성 와이어 또는 큰 지름의 모노필라멘트실(monofilament yar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튜브(216)는 지중관로 내의 변곡부(inflection part)등에서도 극단적으로 굴곡하지 않고, 비교적 쉽게 통신 케이블(16)의 부설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쥐를 방지하는 약품 등을 도포한 실을 사용하여 원통형 면포를 짬(knit)으로써 쥐의 공격을 방지하는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수직 갱도 사이 및 한쪽의 수직 갱도와 분기관 박스와의 사이에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본관 내에 삽통한 인장부재를 본관 내의 상부 측에 거의 직선적으로 뻗도록 하여, 각 통신 케이블을 본관 내의 상부 측으로 부설함과 동시에 분기관 내로 삽통한 분기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지중관로 내의 유체의 흐름을 저해함이 없이 통신 케이블을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인장부재를 각각의 통신 케이블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어, 통신 케이블에 장력이 가하게 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가 있다.
분기관 내에 삽통하는 분기 인장부재가 본관 내의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본관 내에 부설되는 트렁크 인장부재와 결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기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본관 내에서의 트렁크 인장부재의 늘어짐(slack)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유도관에 있어서 본관 내의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가 유도관에서 돌출하여 분기되어 잇는 경우에는 유도관으로서 통신 케이블과 인장부재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분기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본관 내에서의 유도관의 늘어짐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인장부재가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 이 인장부재 내에 통신 케이블을 삽입되고 있는 경우에는, 유도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인장부재로서 통신 케이블을 보호할 수가 있다. 따라서,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지중관로 내부에 설치한 인장부재의 단면 형태가 U자형, V자형, W자형임으로 한쪽 방향이 공간부로 되어 있어 통신 케이블의 설치가 쉬어진다.
본관 내에 원호형 또는 링형의 늘어짐 방지재(slack prevention member)를 삽입하며, 이 늘어짐 방지재의 지름을 크게 하여 인장부재와 통신 케이블 또는 유도관을 본관의 내벽 면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는 늘어짐 방지재로써 본관 내의 인장부재와 통신 케이블 또는 유도관의 늘어짐을 최소로 방지할 수 있다.
유도부재에 의해 분기관구에서 분기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적절하게 분기관 내로 유도함과 함께, 통신 케이블과 트렁크 인장부재를 분기관구의 직하에서 우회시켜, 통신 케이블이나 인장부재가 분기관구에서 본관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저해하는 것이 감소된다.
분기관 내로 삽입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 내면과 파이프의 외면과의 사이에 죄어 지지된 경우에는 이 파이프 내로 분기관 내의 유체의 흐름을 이끌 수 있다. 그 결과, 분기관 내의 유체의 흐름이 분기 통신 케이블이나 분기 인장부재에 직접 접속하지 않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을 저해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한다.
분기관구에 배치된 유도부재에 의해 분기관구에서의 분기 인장부재와 분기 통신 케이블을 본관의 상부에서 분기관의 상부 또는 하부로 유도하고 분기관 내에서 분기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분기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따라서 분기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분기관 내를 분기 인장부재와 분기 통신 케이블이 서로 가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분기관 내의 유체의 흐름이 분기 통신 케이블이나 분기 인장부재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전기 유도부재가 분기관에서 본관 내로 설치하는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분기관 내에 설치하는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분기 슬라이드부를 갖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유도부재와 각 설치부재와의 사이에서의 위치 조정이 쉬워서 설치 방법이 향상되어 설치 작업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에 있어서 분기관의 내측 선단부에 원통형의 경화성 고정부재를 확대하여 분기관의 내면에 가압 접촉한 상태에서 경화시켜, 유도부재를 분기관 내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상기 유도부재가 전기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통체와, 이 통체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서 분기 슬라이드부를 갖는 회전통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부와 분기 슬라이드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이들에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유지시켜 그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하여 통체의 트렁크 슬라이드부로서 본관 내에 설치된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유지하고, 회전통을 통체에 대해 회전토록 분기 슬라이드부를 분기관의 하부에 위치시켜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로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회전통을 통체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분기 인장부재와 분기 통신 케이블을 본관의 상부에서 분기관구의 하단부(lower edge)로 간단하게 유도할 수가 있다.
상기 유도부재가 판상부재를 나선(spiral)상으로 감겨서, 인접하는 판상부재의 측면(adjacent side edge)끼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운 관체의 한 단부에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지지부를 형성하여, 다른 단부에 분기 슬라이드부를 형성한 것이므로, 지지부와 분기 슬라이드부를 일치시킨 상태로써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삽입하고,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하여 슬라이드부로서 본관 내에 부설한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유지시켜, 판상부재를 비틀림 관체의 지름을 확대함과 동시에, 분기 슬라이드부를 분기관의 하부에 위치시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로 유도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관체를 나선(spiral)이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비틀어 분기 인장부재와 분기 통신 케이블을 본관의 상부에서 분기관의 하부로 간단하게 유도할 수가 있다.
상기 유도부재의 외면에 수팽윤 고무(水膨潤; water growth rubber)로 이루어진 밀폐재(seal member)를 부착하고 분기관 내의 물로서 밀폐재를 팽창시키는 경우에는 유도부재를 분기관에 대하여 기밀(air-tight)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유도부재는 양단부가 강직하여 중앙부가 스프링 탄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소재로서 된 파이프이고, 직선상의 파이프 내에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삽입하고 그 파이프를 분기관구에 배치하여, 파이프의 선단을 본관 내로 돌출시켜 본관 내에 부설된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유지하고, 또 파이프의 중앙부를 비틀리도록 함으로써 분기관의 내면에 따라 나선상으로 변형함과 동시에 파이프의 후단을 분기관의 하부에 위치시켜서 분기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로 유도할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파이프에 의해 분기 인장부재와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의 내면에 따라 유도할 수가 있다.
전기 유도부재가 스프링 탄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소재로써 이루어진 파이프의 양단을 분기관의 내경보다 조금 큰 지름의 링의 일부를 잘라낸 확개부재 (expansion member)에 고정시키고, 직선 상의 파이프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삽입함과 함께, 확개부재의 지름을 축소하여 양단을 일시적으로 묶어,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하고 파이프의 선단을 본관 내부로 돌출시켜 본관 내에 설치된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유지시키고, 또한 파이프 선단부의 확개부재의일시적 묶음을 풀어서 확개하여 분기관 내면에 압접시킨다. 다음은 파이프의 중앙부를 비틀어서 분기관 내면에 따라 나선상으로 변형하여 테이프- 파이프(tape-pipe)의 후단을 분기관구의 하부에 위치시켜, 파이프 후단부의 확개부재의 일시적 묶음을 풀어서 확개하여 분기관 내면에 가압 접촉시켜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에 유도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파이프 양단부의 확개부재의 일시적 묶음을 풀어, 확개함으로써 간단하게 파이프를 분기관 내로 고정할 수가 있다.
트렁크 인장부재를 본관 내의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도록 함으로써 유도관과 통신 케이블을 본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함과 함께 분기관에 유도부재를 배치하여, 분기관구와 분기관 박스와의 사이로 분기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도록 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을 본관 내와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할 경우, 본관과 분기관 내의 유체의 흐름이 통신 케이블이나 인장부재에 의해 저해되는 것이 충분히 방지된다. 특히 유도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분기관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의 설치를 분기관 하나씩 차례로 행함으로써, 작업이 단순하여 통신 케이블 등이 걸리거나 얽히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분기관의 수가 많은 경우에도 전술한 이유에 의해 작업원을 수직 갱도(shaft)와 분기 통신 케이블을 끌어내는 분기 박스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좋으며, 최소한의 인원수로 시공이 가능하고, 비용도 감소된다.
분기관에 형성된 굴곡 파이프(pipe bend)의 굴곡부의 내면 상부에 고정부재를 배치하고, 이 고정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분기 인장부재를 미끄럼(slide) 가능하게 취부하여, 이 굽힘 파이프의 내면 상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이 배치된 경우에는 굴곡 파이프를 가진 분기관 내에서도 분기 통신 케이블의 상부에 배치할 수가 있다.
분기관 내에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유도관 내의 알맞은 인입선을 분기 통신 케이블과 대체하고, 이 분기관 케이블을 유도관에서 분기관 내로 끌어넣어 부설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결정되지 않는 통신 케이블은 부설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것은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통신 케이블을 지상 공간에서 부설하는 방식과는 손색없는 융통성(versatility)을 갖는다.
유도관에서 끌어낸 분기 통신 케이블, 분기 인장부재와 인출선의 선단의 인출자를 구비한 경우에는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와 인출선을 분기관 내로의 삽입이 쉽게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불필요한 분기관에 대해서는 유도관 외부의 분기관구 부근에 인출자를 연결한 상태로 부설하였기 때문에 필요한 시점에서는 신속히 대응할 수가 있다.
수평 방향으로 통신 케이블을 복수로 삽입할 수 있는 유도관을 본관 내로 부설함으로써, 예컨대 하수도관이나 우수관(rainwater pipeline) 등과 같이 상부에 빈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그 곳에 설치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유도관 내로 분기관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올바른 규칙으로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함으로써 각 분기관 내로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할 때, 유도관 내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이 얽히지 아니하고 쉽게 실행할 수가 있다.
분기 통신 케이블이 분기관구에서 분기관 박스까지 배치된 분기 통신 케이블의 최소 굽힘이 반지름 이상의 굽힘 특성을 갖는 튜브 상의 분기 인장부재 내로 삽입된 경우는 분기 통신 케이블이 접혀서 구부러져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이 튜브에 의해 분기 통신 케이블이 보호되기 때문에, 내수성(water resistance), 내약품성, 쥐 공격 내구성(rat-proof)이 향상한다. 더하여, 튜브 내에는 복수 개의 분기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가능하므로, 공통 주택에 부설된 분기관 등으로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경우에도 단순하고 쉽게 대응할 수가 있다.
튜브의 일단을 유도관 내에 수용하여 둠으로써, 유도관에서 분기된 튜브의 길이가 부족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도관 내의 튜브를 슬라이딩 시켜서 사용할 수가 있어 시공 안전성이 높아짐과 함께, 튜브 길이의 규제에 여유를 갖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튜브를 분기관구 부근에 배치하는 유지부재(유도부재와 고정부재에 해당)와 분기관의 굴곡 파이프에 배치하는 고정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분기관 내에 튜브를 잡아 당겨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 시에 튜브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고, 튜브와 분기 통신 케이블의 파손됨이 없다.
통신 케이블의 부설용 유도관은 각 분기관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지며, 이 내부 높이가 분기 통신 케이블 바깥 지름의2배 보다 작아서, 유도관에 삽입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용 인출선의 배열이 헝클어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유도관의 내부를 구획된 칸막이 판이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분기관 내에 삽입하는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용 인출선을 순서가 좋도록 잘 배열할 수 있어 삽입 시에 교차하거나 얽혀 파손되는 일은 없다.
유도관을 내관과 외관이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 지름이 두터운 트렁크 통신 케이블과, 트렁크 통신 케이블과 비교하여 지름이 좁은 분기 통신 케이블을 동일한 유도관 내에 삽입할 수가 있어, 유도관의 높이를 크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지중관로의 통신 케이블 배선 설계가 쉽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렁크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각 통신 케이블을 본관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해, 종래와 같은 로봇(robot) 등의 비싼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통신 케이블의 부설 작업을 값싸게 제공할 수 있어, 신속하게 통신 케이블 망을 건설할 수가 있다.

Claims (53)

  1. 수직 갱도의 사이에 설치된 본관(本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기관이 분기되고 있는 지중관로에, 본관과 분기관을 경유하여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관 내에 부설된 트렁크 통신 케이블과, 분기관 내에 부설된 분기 통신 케이블에 따라, 각각 고강도 저신도성(high-strength low-elongation tension)의 인장부재를 각각 통신 케이블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slide) 가능하게 배치하고, 트렁크 통신 케이블에 따르게 한 트렁크 인장부재를 한쪽의 수직 갱도에서 본관 안을 거쳐서 다른 쪽의 수직 갱도까지,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에 따르게 한 분기 인장부재를 전기한 한쪽의 수직 갱도에서 본관과 소정의 분기관 안을 경유하여 분기관 박스까지 각각 인입시켜, 각 통신 케이블을 본관 내부와 분기관 내부에 입선시키고, 이어서 각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본관 내에 입선시킨 인장부재를 본관 안의 상부 측에 거의 직선적으로 확장하도록 함으로써 각 통신 케이블을 본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함과 함께,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에 있어서 헐거움이 없도록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분기관 내로 입선하는 분기 인장부재가 본관 안의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본관 안에 부설되는 트렁크 인장부재와 결속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분기관 내로 삽입되는 분기 인장부재가 본관 내의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본관 내로 삽입되는 트렁크 인장부재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과 인장부재가 유도관에 삽통됨으로써 서로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병설되어 있고, 유도관에 있어서 본관 내의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가 유도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인장부재가 원통형이고 인장부재 안으로 통신 케이블을 삽통함으로써 통신 케이블을 인장부재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인장부재는 선형체 또는 띠형체이고, 인장부재에 통신 케이블을 약간 헐겁게 하면서 부분적으로 계지(係止)함으로써 통신 케이블을 인장부재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인장부재의 단면 형태가 U형, V형, 또는 W형과 같이 한쪽방향이 열린 공간부를 갖는 형태의 강성체(rigid body)로서 형성되고, 통신 케이블을 인장부재에 대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트렁크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트렁크 인장부재와 트렁크 통신 케이블 본관의 상부에 부설한 후에, 본관 내로 원호형 또는 링형의 이완 방지재를 삽입하여 이완 방지재의 지름을 넓혀 트렁크 인장부재와 트렁크 통신 케이블을 본관의 내벽 면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본관과 분기관 내부로 인장부재와 통신 케이블을 삽입한 후에 본관의 분기관구로 유도부재를 배치하고, 통신 케이블과 인장부재를 분기관구의 바로 아래로부터 우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본관과 분기관 내로 인장부재와 통신 케이블을 삽입한 후에 분기관내로 분기관보다 작은 지름의 유연한 보형성을 갖는 파이프를 삽입하여, 분기관 내로 삽입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 내면과 파이프의 외면과의 사이에 죄어붙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본관과 분기관 내로 인장부재와 통신 케이블을 삽입한 후에 분기관구에 배치된 유도부재에 의해 분기관구에서의 분기 인장부재와 분기 통신 케이블을 본관의 상부에서 분기관의 상부 또는 하부로 유도하여, 분기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분기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따라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유도부재가 분기관에서 본관 내로 돌출하여 본관 내에 부설하는 부재를 미끄럼이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분기관 내에 부설하는 부재를 미끄럼 가능하게 유지하는 분기 슬라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유도부재에서의 분기관의 내측 선단부로 원통형의 경화성 고정부를 팽창함으로써 분기관의 내면에 압력이 가해져 경화시키고 유도부재를 분기관에 대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유도부재가 상기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원통체와, 이 연통체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끼워져 상기의 분기 슬라이드부를 갖는 회전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와분기 슬라이드부를 일치시킨 상태로써 그들에게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유지시켜 그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하여 원통체의 트렁크 슬라이드부로서 본관 내에 부설되고 있는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유지하고, 회전통을 통체에 회전시켜 분기 슬라이드부를 분기관의 하부에 위치시켜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판상부재를 나선형으로 감아돌려, 인접하는 판상부재의 측면 상호간을 굽힘 가능하도록 끼워진 관체의, 한 단부에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지지부를 형성하고, 다른 단부에는 분기 슬라이드부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와 분기 인장부재를 일치시키는 상태로써 그들에게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유지시켜, 그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하여 트렁크 슬라이드부로써 본관 내에 부설된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유지하고 판상부재를 비틀어지도록 하여 관체의 지름을 확대함과 동시에 분기 슬라이드부를 분기관의 하부에 위치시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유도부재의 외면에 수팽윤 고무로서 이루어진 밀폐재를 부착하여 분기관내의 물에 의해 밀폐재를 팽창시킴으로서 유도부재를 분기관에 대하여 기밀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로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유도부재가 강직하여 중앙부가 스프링 탄성을 가진 변형 가능한 소재로서 된 파이프이고, 직선형의 파이프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삽통시켜, 파이프를 분기관구에 배치하고 파이프의 선단을 본관 내에 돌출하여 본관 내에 부설된 부재를 본관의 상부로 유지시키며, 파이프의 중앙부를 비틀어지도록 하여 분기관의 내면을 나선형으로 변형함과 동시에 파이프의 후단을 분기관의 하부로 위치시켜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유도부재가 스프링 탄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소재로써 이루어진 파이프의 양단을 분기관의 내경보다 조금 큰 지름인 링의 일부를 잘라낸 팽창부재를 고정하고, 직선형의 파이프 내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삽통함과 함께, 팽창부재를 지름을 좁혀 양단을 임시 묶어서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하고, 이 파이프의 선단을 본관 내로 돌출시켜 본관 내에 부설된 부재를 본관의 상부에 유지하고, 파이프 선단부의 팽창부재의 임시 묶음을 풀어서 팽창시켜서 분기관 내면에 압착되도록 하고, 파이프의 중앙부를 비틀어서 분기관의 내면에 따라 나선상으로 변형하여 테이프의 후단을 분기관구의 하부로 위치시키고, 파이프 후단부에 있는 팽창부재의 임시 묶음을 풀어 팽창함으로써 분기관 내면으로 접하게 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의 하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19. 수직 갱도 사이에 설치한 본관에 한 개 이상의 분기관이 분기되어 있는 지중관로에 있어서, 본관과 각 분기관 내로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관 내에 부설된 트렁크 통신 케이블과 각 분기관 내에 부설된 분기 통신 케이블에 따라 각 케이블에 고강도 저신도성의 인장부재를 유도관 내부로 삽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며,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구 부분에서 유도관으로부터 외부로 끌어내어 두고, 분기관구 부분의 유도관 바깥 둘레에 유도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하고, 분기관 내의 상부에서 유도부재에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취부하여 두고, 그 연후에 유도관을 한쪽의 수직 갱도에서 본관 내를 경유하여 상대측의 수직 갱도까지 인입하여 트렁크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취부하여 두고, 그 후에 유도관을 한쪽의 수직 갱도에서 본관 내를 경유하여 상대측의 수직 갱도까지 인입하여, 트렁크 통신 케이블과 트렁크 인장부재를 한쪽의 수직 갱도에서 본관 내를 경유하여 상대 쪽의 수직 갱도까지,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수직 갱도에서 본관 내의 소정의 분기관구 부근으로 각각 인입하고, 분기관 박스에서 분기관 부근으로 위치하는 분기 인장부재를 끌어올리면서, 유도부재를 분기관구에 배치함과 동시에 분기관 내로 분기 통신 케이블과 분기 인장부재를 인입하여 수직 갱도 사이의 트렁크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트렁크 인장부재를 본관 내의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도록 하여 유도관과 각 통신 케이블을 본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함과 함께 분기관구와분기관 박스의 사이에서 분기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도록 함으로써,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0. 제1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분기관에 형성되고 있는 굴곡 파이프의 굴곡부의 내면 상부 측에 고정부재를 배치하여, 이 고정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로 분기 인장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하여, 이 굴곡 파이프의 내면 상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1. 수직 갱도 사이에 설치한 본관에 한 개 이상의 분기관이 분기되고 있는 지중관로 내에 있어서, 유도관으로 고강도 저신도성의 트렁크 인장부재를 삽통하여 취부함과 함께,
    통신 케이블과 대체하기 위한 인출선을 미리 유도관에 수납하고, 이 유도관을 본관 내로 부설한 후에 본관 내에서 트렁크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여 본관의 상부 측에 유도관을 부설하고 분기관 내로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적당한 유도관의 인출선을 분기 통신 케이블과 대체하여 분기 통신 케이블을 유도관 내에서 인입하여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유도관으로 통신 케이블 및/또는 인출선을 삽통함과 함께인출선의 일단을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유도관 외부로 끌어내어 두고, 유도관을 본관 내로 부설함과 함께, 분기관들 중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분기관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 설치하여, 분기관들 중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의 분기관 내로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분기관구에 위치한 인출선의 일단을 분기 박스까지 끌어냄과 동시에, 인출선의 상대단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여 분기관 박스까지 끌어낸 인출선의 일단을 끌어당겨 분기 통신 케이블을 유도관을 통하여 분기관 내에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유도관으로 통신 케이블 및/또는 인출선을 삽입함과 함께, 인출선의 일단을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유도관 외부로 꺼내어 두고, 유도관을 본관 내에 부설함과 같이, 분기관들 중에서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분기관 내로 분기관 통신 케이블을 삽입하고, 분기관구에 위치하는 인출선의 일단을 분기관 박스까지 끌어내며, 분기관들 중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 각 분기관 안으로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인출선의 타단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여 분기관 박스까지 끌어낸 인출선을 잡아당겨, 분기 통신 케이블을 유도관을 통하여 분기관 내로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4. 수직 갱도의 사이에 설치된 본관에 한 개 이상의 분기관이 분기되고 있는 지중관로 내에 있어서, 유도관에 고강도 저신도성의 트렁크 인장부재를 삽통시켜 취부하여, 트렁크 인장부재에 장력을 가하고,
    유도관을 본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함과 함께, 분기관들 중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분기관 안으로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고, 분기관들 중에서 분기 통신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의 분기관 안으로 통신 케이블의 삽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유도관 내로 인출선을 삽입함과 함께, 인출선의 일단을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유도관 외부로 끌어내어 인출선의 타단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여 분기관구에 위치하는 인출선의 일단을 끌어당겨 분기 통신 케이블을 유도관에 통하게 하여, 분기관 내에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에 있어서, 분기관구에 위치하는 인출선을 분기관 박스까지 인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인출선을 본관의 한 단부로 끌어내는 것과 함께 분기관 박스에서 본관의 한 단부까지 견인 로프를 통선시켜, 본관의 한 단부에서 인출선과 견인 로프를 접속하여 분기관 박스 측의 견인 로프를 잡아 당겨 인출선을 분기관 박스까지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6. 제22항 내지 제25항에 있어서, 분기관 박스로 인출선을 끌어내기 위해, 유도관의 분기공에서 잡아 끌어낸 인출선의 일단에 분기관 박스로부터 당겨 걸리도록하거나, 붙잡도록 하기 위한 인출자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7. 제21항 내지 제26항에 있어서, 통신 케이블의 외경과 인출선의 외경이 거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8. 제21항 내지 제27항에 있어서, 유도관의 분기관구 부근에서 고강도 저신도성의 분기 인장부재를 분기하여 두고, 인출선 또는 분기 통신 케이블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일체화하여 인출선 또는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로 부설하는 시점에서 분기관 내로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내부로의 통신 케이블 부설 방법.
  29. 수직 갱도 사이에 설치한 본관으로 한 개 이상의 분기관이 분기하고 있는 지중관로에 있어서, 본관 내에 부설된 트렁크 통신 케이블과 본관 내에서 각 분기관 내로 부설된 분기 통신 케이블을 따라 각각 고강도 저신도성의 인장부재를 각각의 통신 케이블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트렁크 통신 케이블에 따르게 한 트렁크 인장부재는 한쪽의 수직 갱도에서 본관 안을 거쳐서 다른 쪽의 수직 갱도까지 사이로 장력이 가해져 본관 내의 상부 측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배치되고, 각 통신 케이블도 본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됨과 함께, 또한 분기 통신 케이블에 따르게 한 분기 인장부재는 분기관구에서 분기관 내를 경유하여분기관 박스까지의 사이에 장력이 가해져,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 거의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분기 통신 케이블을 분기관 내의 상부 측에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내의 부설 구조.
  30. 제29항에 있어서, 본관으로부터 분기관이 분기되어 있는 분기관구에 유도부재가 배치되어, 유도부재에 의해 분기 인장부재를 본관 내의 상부 측으로부터 분기관의 상부 측으로 방향을 바꾸어 유지하며, 분기관 내의 상부에 해당하는 분기관구 부분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내의 부설 구조.
  31. 제29항에 있어서, 분기관에 형성된 굴곡 파이프의 곡부의 내면 상부 측에 고정부재가 배치되고, 이 고정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로 분기 인장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며, 굴곡 파이프의 내면 상부에 분기 통신 케이블이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내의 부설 구조.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본관 안에 위치하는 통신 케이블과 인장부재가 유도관 내에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내의 부설 구조.
  33. 제32항에 있어서, 본관 내의 적합한 곳에서 유도관이 이완 방지재에 의해 본관 내의 상부 측에 보조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내의 부설 구조.
  34. 제29항에 있어서, 본관 내로 복수 개의 통신 케이블을 폭 방향으로 병렬로 용한 유도관이 부설되고, 분기관에 대하여 한쪽의 수직 갱도의 근방에 유도관 안을 거쳐서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35. 제34항에 있어서, 유도관이 본관의 상부 측에 설치되고, 본관의 횡단면에서 좌우 각각으로 접속된 분기관에 대하여, 한쪽의 수직 갱도의 가까이에서 유도관으로 좌우로 각각 접속된 분기관에 상응하도록 분기 통신 케이블을 병렬로 입선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본관의 거의 중앙 또는 분기관의 수가 수직 갱도 사이에서 거의 반이 되는 위치를 대칭으로 하여, 각각의 수직 갱도의 가까운 곳에서 유도관 내로 분기 통신 케이블을 입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37. 제29항 내지 제36항에 있어서, 분기 통신 케이블이 적어도 분기관구로부터 분기관 박스까지 배치된 분기 통신 케이블의 최소 굽힘 반경 이상의 굽힘 특성을갖는 튜브형의 분기 인장부재 안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38. 제37항에 있어서, 본관 내에 분기 통신 케이블을 입선한 유도관이 배치되고, 이 유도관에서 튜브가 분기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39. 제38항에 있어서, 튜브의 일단이 이 유도관 내로 수용되고, 이 튜브가 유도관 외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분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40. 제37항 내지 제39항에 있어서, 분기관구는 튜브를 분기 내벽에 따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재가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41. 제37항 내지 제40항에 있어서, 분기관 내에 형성된 굴곡 튜브부에 튜브를 분기관 내벽 상면에 따라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유지부재와 고정부재에 대하여 튜브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43. 제40항에 있어서, 유지부재에 유지된 튜브가 분기관 부근에서 분기관구 내벽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44. 제37항 내지 제43항에 있어서, 튜브가 스테인레스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유연성 튜브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구조.
  45. 제37항 내지 제43항에 있어서, 튜브가 원통형 면포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의 지중관로 부설 부재.
  46. 분기관구에 배치하기 위한 유도부재로서, 분기관의 내경에 거의 해당하는 외경을 가지며, 단면이 적어도 반원 이상의 원호형 또는 링형의 삽입부와 이 삽입부에서 연속하여 아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본관 내에 부설된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트렁크 슬라이드부와, 이 삽입부에 마련한 분기관 내에 부설된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분기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
  47. 분기관 내에 형성된 굴곡 튜브의 내면 상부 측에 배치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분기관의 내경에 거의 해당하는 외경을 가지며, 단면이 적어도 반원 이상의 원호형 또는 링형의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마련한 분기관 내에 부설하는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
  48. 본관 내에 배치하기 위한 유도관으로서, 본관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하나 이상의 공간부를 갖는 파이프형이고, 분기관구에 해당하는 부분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는 개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
  49. 본관 내에 배치하기 위한 이완 방지재이고, 본관의 내경에 거의 해당하는 외경을 가지고 있어, 적어도 단면이 반원 이상의 원호형 또는 링형이고 그 길이 방향의 일부로 본관 내에 부설된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요부(凹部; depression)를 한 개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
  50. 제48항에 있어서, 유도관이 각 분기관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지며, 그 내부 높이가 분기 통신 케이블의 외경의 두 배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
  51. 제50항에 있어서, 유도관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칸막이 판이 한장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
  52. 제50항에 있어서, 유도관이 본관 내에 부설하기 위한 트렁크 통신 케이블을 삽입시키기 위한 내관과, 각 분기관에 부설하기 위한 분기 통신 케이블을 삽통하기 위한 외관을 갖는 이중 구조로 하고, 외관은 각 분기관에 해당하는 복수의 분기 통신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
  53. 제52항에 있어서, 외관을 상하로 구획된 부분의 높이가 분기용 통신 케이블의 외경의 두 배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부재.
KR1020027004470A 2000-08-07 2001-08-07 지중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과 부설 구조 및부설에 사용되는 부재 KR200200568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75668 2000-08-07
JP2000275668 2000-08-07
JP2000289743A JP3980258B2 (ja) 2000-08-07 2000-09-25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敷設方法
JPJP-P-2000-00289743 2000-09-25
JPJP-P-2000-00368222 2000-12-04
JP2000368222A JP4474042B2 (ja) 2000-12-04 2000-12-04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敷設構造および敷設方法ならびに敷設するための部材
JPJP-P-2001-00042326 2001-02-19
JP2001042326A JP4469095B2 (ja) 2001-02-19 2001-02-19 地中管路内への通信ケーブル敷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ガイド管並びに通信ケーブルの地中管路敷設構造
JP2001207852A JP4425497B2 (ja) 2001-07-09 2001-07-09 通信ケーブルの地中管路内敷設構造
JPJP-P-2001-00207852 2001-07-09
PCT/JP2001/006767 WO2002013345A1 (fr) 2000-08-07 2001-08-07 Procede et structure pour poser des cables de telecommunications dans des conduites souterraines et elements utilises pour effectuer la po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897A true KR20020056897A (ko) 2002-07-10

Family

ID=2753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470A KR20020056897A (ko) 2000-08-07 2001-08-07 지중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과 부설 구조 및부설에 사용되는 부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179019B2 (ko)
EP (1) EP1309054B1 (ko)
KR (1) KR20020056897A (ko)
CN (1) CN100391070C (ko)
AT (1) ATE410805T1 (ko)
CA (1) CA2387342A1 (ko)
DE (1) DE60136074D1 (ko)
HK (1) HK1053195B (ko)
TW (1) TWI290403B (ko)
WO (1) WO20020133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446A (ko) 2014-06-05 2015-12-16 제우전력주식회사 복수 경간에서의 케이블 포설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0488B (de) * 2001-04-09 2003-05-26 Wien Kanal Abwassertech Gmbh Kabelführ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TWI279055B (en) * 2001-11-22 2007-04-11 Sanki Eng Co Ltd Construction method of information-capable conduit, and constru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mber therefor
CN100440662C (zh) * 2004-09-13 2008-12-03 台湾城市网路股份有限公司 下水道缆线附挂装置及其安装的方法
US7551197B2 (en) 2005-09-08 2009-06-23 Ulc Robotics, Inc. Pipeline inspection system
GB0614416D0 (en) * 2006-07-20 2006-08-30 Thomas Elfed Laying network cables in sewers
CN100440660C (zh) * 2006-12-25 2008-12-03 山东铝业工程有限公司 超长大截面电缆的机械敷设方法
US8929702B2 (en) * 2007-05-21 2015-01-06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odular opto-electrical cable unit
AT506053B1 (de) * 2007-10-25 2009-08-15 Cablerunner Austria Gmbh Manschette zur kabelverlegung in rohrsystemen, anordnung mit manschette und verfahren zum einbringen eienr manschette
ES2394254B1 (es) * 2009-12-03 2013-12-03 Citynet España, S.A. Procedimiento para el despliegue de redes de fibra óptica en redes de conducción subterránea
NL2006064C2 (en) * 2011-01-25 2012-07-26 Jelcer Ip B V A guide member and a method for positioning a cable into a sewerage system.
CN102278528A (zh) * 2011-06-15 2011-12-14 中国瑞林工程技术有限公司 铜及铜合金板带加工车间综合管线布置方法
CA2851877C (en) 2011-10-17 2021-02-09 Schlumberger Canada Limited Dual use cable with fiber optic packaging for use in wellbore operations
US9080693B2 (en) 2011-11-21 2015-07-14 Yeti Pipeline Equipment, Llc Automated system for laying pipe
US9417419B2 (en) * 2012-05-03 2016-08-16 Go!Foton Holding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optical fiber cable
MX357738B (es) 2012-06-28 2018-07-23 Schlumberger Technology Bv Cable optoeléctrico de alta potencia con múltiples vías de energía y telemetría.
CN103322295A (zh) * 2013-05-11 2013-09-25 中煤科工集团武汉设计研究院 长距离输煤管道与通信光缆同沟敷设的方法
CN103293623A (zh) * 2013-05-11 2013-09-11 中煤科工集团武汉设计研究院 长距离管道输煤光缆线路通信系统及敷设方法
CN103322297A (zh) * 2013-05-14 2013-09-25 中煤科工集团武汉设计研究院 输煤管道与通信光缆同沟穿越公路大开挖的敷设方法
CN103422565B (zh) * 2013-08-26 2015-07-15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室外电缆沟除积水的施工方法
CA2949029C (en) * 2014-05-19 2018-01-02 Isco Industries, Inc. Automated system for laying pipe
DE102014008946A1 (de) * 2014-06-23 2015-12-24 Köster GmbH Verfahren zur Verlegung von Erdschutzrohren
CN105807382A (zh) * 2014-12-31 2016-07-27 名气通智能科技(深圳)有限公司 光纤套管支管配件
WO2016122446A1 (en) 2015-01-26 2016-08-04 Schlumberger Canada Limited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optic slickline for coiled tubing operations
WO2016145494A1 (en) * 2015-03-19 2016-09-22 Vinidex Pty Limited Bundled coils and bundled assemblies
CN105240027B (zh) * 2015-10-30 2017-08-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营供电公司 同轴反向式电缆隧洞钻进装置
US10049789B2 (en) 2016-06-09 2018-08-14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Compression and stretch resistant components and cables for oilfield applications
CN106410692A (zh) * 2016-10-19 2017-02-15 国网上海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电缆转弯穿管敷设的轨道装置
CN106641440B (zh) * 2016-12-20 2018-06-08 北京首钢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横向穿越铁路线地下管道顶进施工方法
CN106594387B (zh) * 2016-12-27 2018-06-15 二十二冶集团天津建设有限公司 管廊群管运输装置
US10076988B1 (en) 2017-02-02 2018-09-18 Isco Industries, Inc. Automated system for laying pipe
JP6662920B2 (ja) * 2018-01-19 2020-03-1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ケーブル
US11635544B2 (en) * 2018-05-30 2023-04-25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optimal path arrangements for an infrastructure link with terrain slope consideration
US11009151B2 (en) 2019-09-06 2021-05-18 Trinity Bay Equipment Holdings, LLC Vertical pipe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CN111120877B (zh) * 2019-12-12 2020-11-27 同济大学 一种基于分布式光纤测温的排水管网泄漏监测设备
CN113036667B (zh) * 2021-03-24 2022-09-23 湖南雁能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线缆铺设装置及方法
DE102021128334B4 (de) * 2021-10-29 2023-12-14 Deutsche Telekom Ag Kabelverbund
CN114077023B (zh) * 2021-12-03 2023-04-07 长飞光电线缆(苏州)有限公司 一种防鼠光缆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752A (en) * 1881-07-26 And josiah s
JPS55106012A (en) * 1979-02-03 1980-08-14 Fujikura Ltd Method of laying catenary conduit cable
JPS5838766Y2 (ja) * 1979-03-10 1983-09-01 株式会社フジクラ カテナリ−型管路ケ−ブル
JPS55130539A (en) * 1979-03-29 1980-10-09 Bexford Ltd Substrate suited to produc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GB2124728B (en) 1982-07-01 1985-11-13 Micro Consultants Ltd Cable television transmission
GB2129627B (en) * 1982-09-22 1986-12-10 Water Res Centre Installation of communications cables
JPH0350483A (ja) 1989-07-17 1991-03-05 Kobe Steel Ltd 空気分離装置
US5087153A (en) * 1989-08-23 1992-02-11 Arnco Corporation Internally spiraled duct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2975104B2 (ja) 1990-11-29 1999-11-10 東京都下水道サービス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布設工法
JP2978070B2 (ja) 1994-09-30 1999-11-15 株式会社コンセック ケーブルの敷設方法及び装置
US5788414A (en) * 1995-06-02 1998-08-04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Fiber optic saddle
DE19751415C2 (de) 1997-09-26 2001-05-23 Berliner Wasserbetriebe Vorrichtung zum Greifen, Positionieren und Fixieren von Befestigungselementen in Hohlräumen unterschiedlicher Querschnitte
JP3769367B2 (ja) * 1997-09-30 2006-04-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既設管のライニング方法
JPH11150822A (ja) * 1997-11-12 1999-06-02 Yoshimura Kensetsu Kogyo Kk 下水管へのケーブル敷設方法
DE29802655U1 (de) 1998-02-12 1998-04-02 Berliner Wasser Betriebe Schutzvorrichtung für Lichtwellenleiterkabel
EP0942504A1 (de) 1998-03-12 1999-09-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festigung von Kabeln in Kanal- oder Rohrsystemen
DE19813728A1 (de) 1998-03-27 1999-09-30 Siemens Ag Befestigungselement zum Fixieren eines Lichtwellenleiterkabels in einem nicht begehbaren Kanal- oder Rohrsystem und Verfahren zum Einbringen der Befestigungselemente und Kabel
JP2000104325A (ja) * 1998-09-30 2000-04-11 Takiron Co Ltd 管内への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取付具
US6866682B1 (en) 1999-09-02 2005-03-15 Stryker Spine Distractable corpectomy device
US6536463B1 (en) * 2000-10-10 2003-03-25 Sempra Fiber Links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ing cable in pressurized pipelines
DE10111960B4 (de) * 2001-03-13 2004-05-06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Kanal- oder Rohrsystem sowie Verfahren zur Installation eines Kabels oder Leerrohrs in einem Kanal- oder Rohr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446A (ko) 2014-06-05 2015-12-16 제우전력주식회사 복수 경간에서의 케이블 포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79019B2 (en) 2007-02-20
WO2002013345A1 (fr) 2002-02-14
EP1309054A1 (en) 2003-05-07
US20030021633A1 (en) 2003-01-30
EP1309054B1 (en) 2008-10-08
HK1053195B (zh) 2008-08-22
DE60136074D1 (de) 2008-11-20
CN100391070C (zh) 2008-05-28
TWI290403B (en) 2007-11-21
CN1389009A (zh) 2003-01-01
WO2002013345A8 (fr) 2002-05-02
CA2387342A1 (en) 2002-02-14
ATE410805T1 (de) 2008-10-15
HK1053195A1 (en) 2003-10-10
EP1309054A4 (en)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56897A (ko) 지중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과 부설 구조 및부설에 사용되는 부재
SK286896B6 (sk) Spôsob ukladania dátových káblov
US20040253057A1 (en) Method of constructing information correspondence pipe, construct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mber
JP4417891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敷設方法
US7018136B2 (en) Method installing a duct,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nd a tape-shape element for use with said method
JP3980258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敷設方法
JP4025124B2 (ja) 既設管路の更生方法及び通信ケーブル敷設方法
JP2009017781A (ja) 既設管路の情報対応管構築方法及び既設管路の情報対応管構築構造
JP4246542B2 (ja) 通信ケーブル入線用管体の引き込み治具
JP4474042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敷設構造および敷設方法ならびに敷設するための部材
JP4469102B2 (ja) 分岐通信ケーブル敷設用管内作業装置及び分岐通信ケーブル敷設方法
JP4469095B2 (ja) 地中管路内への通信ケーブル敷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ガイド管並びに通信ケーブルの地中管路敷設構造
JP2007113197A (ja) マンホール構造及びケーブル敷設方法
JP4425497B2 (ja) 通信ケーブルの地中管路内敷設構造
JP5557369B2 (ja) ケーブル敷設構造およびケーブル敷設方法
JP3616995B2 (ja) 可撓管体の敷設方法
JP2004040988A (ja) 既設管路の情報対応管構築に用いられる鞘管並びに情報対応管構築方法及び既設管路の情報対応管構築構造
JP6592410B2 (ja) 直接埋設用ケーブル
JP2004282891A (ja) 通信用管路とハンドホールとの接続構造
KR20200018701A (ko) 공기압 포설 섬유를 위한 직물 매입형 마이크로 튜브
JP5047913B2 (ja) ケーブル防護材装着方法及びケーブル防護材装着冶具
JPH0251303A (ja) 管路内ケーブル布設方法
JPH03173308A (ja) 線状体の布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