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697A -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697A
KR20020053697A KR1020010045941A KR20010045941A KR20020053697A KR 20020053697 A KR20020053697 A KR 20020053697A KR 1020010045941 A KR1020010045941 A KR 1020010045941A KR 20010045941 A KR20010045941 A KR 20010045941A KR 20020053697 A KR20020053697 A KR 20020053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ecific gravity
sorting
crushe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234B1 (ko
Inventor
후쿠다모리키
스미히로시
아키야마히사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Abstract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폐가전 제품의 파쇄물을 파쇄물의 비중 차이로 적어도 2 종류의 파쇄물로 선별한다. 이어서,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로 선별한 파쇄물중 경량물과 선별수에 원심력을 작용시켜, 다시 물에 침전하는 파쇄물과 물에 뜨는 파쇄물로 선별한다. 이 물에 뜨는 파쇄물은 가전 제품에서 가장 대량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이다. 이렇게 하여, 다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재료 재활용(material recycling)할 수 있는 고순도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선별 회수한다. 종형 원심식 비중 선별기(44)에서 사용한 선별수를 제 2 펌프(51)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상류측으로 순환시킨다.

Description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MATERIAL-RECYCLING PROCESSING APPARATUS FOR WASTE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본 발명은 폐가전 제품을 파쇄한 파쇄물로부터 플라스틱 등을 소재별로 물 비중 선별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종래 기술)
도 24는 종래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처리 흐름의 일례이다. 폐가전 제품을 적재 장소(stock yard)(1)로부터 공급 장치(2)를 이용하여 파쇄기(3)로 반송한 후, 파쇄기(3)로 파쇄하여 파쇄된 파쇄물로부터 자기 선별기(4)로 철을 회수한다.
철을 회수한 후의 파쇄물은 풍력 선별기(5)로 플라스틱이 주 구성물인 더스트 그룹과 비철 그룹으로 선별한다. 선별된 더스트 그룹은 각종 플라스틱과 고무와 전선류 등의 혼합물이며, 더스트로서 관리형 매립지에 매립하거나 소각 처분된다. 선별된 비철 그룹은 체 선별기(6)로 크기별로 분리한다. 비교적 큰 비철 그룹은 와전류(eddy current) 선별기(7)로 알루미늄과 동으로 선별하고, 비교적 작은 크기의 비철 그룹은 비중 선별 장치(8)로 알루미늄과 동으로 선별한다.
(제 2 종래 기술)
도 25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3-147040 호에 도시된, 종래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처리 흐름이다. 폐가전 제품을 적재 장소(9)로부터 공급 장치(10)로 반송하고, 금속괴(金屬塊) 분별 수단(11)에서 모터, 압축기 등의 금속괴를 분별한다. 다음에, 금속괴가 분별된 본체를 파쇄기(12)로 50㎜ 내지 100㎜ 정도의 크기로 파쇄하고, 파쇄물을 경량물 분별 수단(13)으로 발포 우레탄 등의 발포 성형재를 분리한다.
분별된 모터, 압축기 등의 금속괴는 냉각 장치(14)에서 -100℃ 이하의 저온으로 냉각한 후, 파쇄기(15)로 파쇄하여, 경량물 분별 수단(13)에서 나온 무거운 폐기물과 섞여서 금속 및 비철 분별 공정(16)으로 이송된다. 금속 및 비철 분별 공정(16)에서는 자기 선별기(17)로 철을 회수하고, 스테인레스 선별기(18)로 스테인레스를 회수한다.
다음에, 와전류 선별기(19)로 선별한 비철 그룹을 자성 유체를 이용한 비중 선별기(20)로 동, 알루미늄, 기타 비철 금속의 3종류로 분별한다. 또한, 금속 및 비철을 회수한 후의 플라스틱 그룹은 정전 분리 장치(21)로 목재 등을 분리하고 플라스틱 분별 공정(22)으로 이송된다.
냉각 장치(23)에서 0℃ 내지 -60℃ 정도로 냉각된 플라스틱 그룹을 파쇄기(24)로 파쇄하고, 체 선별기(25)로 취화점이 높고 대부분이 미세한 파쇄물로 된 염화비닐계의 플라스틱과, 비교적 큰 파쇄물로 된 염화비닐이 적은 플라스틱 그룹으로 선별한다. 미세한 파쇄물은 비중액을 이용한 비중 선별기(26)로 침강하는 염화비닐과 부상하는 그 밖의 수지로 분리하고, 그 밖의 수지는 비교적 큰 파쇄물인 플라스틱 그룹과 함께 물 비중 선별기(27)로 올레핀계 수지와, 스티렌계 수지와, 염화비닐로 분리한다.
물 비중 선별기(27)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염화비닐 침강용 제 1 용기(vessel)(28) 및 밸브(29)와 이어지는 염화비닐의 회수 컨베이어(30)와, 스티렌계 수지 침강용 제 2 용기(31) 및 밸브(32)와 이어지는 스티렌계 수지의 회수 컨베이어(33)와, 하류측의 올레핀계 수지의 회수 컨베이어(34)를 구비하고 있다. 선별수의 순환 경로는 비중 선별기(27)의 최종부에 설치한 제 3 용기(35)와 저수조(36)를 연통하고, 밸브(29) 및 밸브(32)를 수용 용기(37)를 거쳐서 저수조(36)와 연통하고, 저수조(36)를 펌프(38)를 거쳐서 제 1 용기(28)와 연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물 비중 선별기(27)로 공급된 올레핀계 수지(a), 스티렌계 수지(b), 염화비닐 수지(c)중, 비중이 1.4정도인 염화비닐 수지(c)는 순환수의 흐름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고 제 1 용기(28)로 침강하여 회수 컨베이어(30)로 회수되고, 비중이 1.05정도인 스티렌계 수지(b)는 순환수의 흐름에 영향을 받으면서 서서히 제 2 용기(31)의 바닥부로 침강하여 회수 컨베이어(33)로 회수된다. 비중이 0.91정도로 물의 비중보다도 작은 올레핀계 수지(a)는 순환수의 흐름에 의해서 서서히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컨베이어(34)로 회수된다.
도 27은 종래의 플라스틱의 물 비중 선별 장치의 오수 처리 장치이다. 물 비중 선별기(도시하지 않음)의 바닥부에 설치된 배수 밸브(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된 모래 여과기(39)와 이온 교환탑(40)으로 오수 처리 폐수 경로를 구성한다. 플라스틱 선별 작업에 있어서, 선별수는 중금속, 철 등의 금속, 비철금속, 진흙, 곰팡이 등으로 금방 오염된다. 오수가 된 선별수는 모래 여과기(39)에서 미용해 상태의 오염 물질을 여과하고, 다음에 이온 교환탑(40)에서 이온 상태의 중금속 등의 금속 이온을 제거한다. 이상으로 종래 기술의 설명을 종료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올레핀계 수지)는 가전 제품에서 가장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지이므로, 분리 회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다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재료 재활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소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는 이물질 혼입이 적은 고순도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회수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는 대량으로 폐가전의 플라스틱 파쇄물의 물 비중 선별을 실행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고순도로 선별 회수한다.
본 발명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는 폐가전 제품의 파쇄물, 또는 파쇄물과 선별수를 공급하는 제 1 원료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공급 원료를 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에서 파쇄물의 비중 차이로 적어도 두 종류의 파쇄물로 선별하고, 선별한 파쇄물중 경량물과 선별수에 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로 원심력을 작용시켜, 다시물에 침전하는 파쇄물과 물에 뜨는 파쇄물로 선별한다. 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에서 사용한 선별수는 선별수 순환 수단에 의해서 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의 상류측으로 순환시킨다. 이것에 의해, 대량으로 폐가전의 플라스틱 파쇄물의 물 비중 선별을 실행하여, 가전 제품에서 가장 대량으로 사용되어 범용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올레핀계 수지)를 다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재료 재활용할 수 있는 고순도로 선별 회수한다.
본 발명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는 폐가전 제품을 1차 파쇄한 후에 자력 선별기로 철을 회수한 나머지 파쇄물을 2차 파쇄 수단으로 재파쇄하고, 2차 파쇄물을 풍력 선별 수단으로 선별하여, 풍력 선별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파쇄물을 적어도 하나의 물 비중 선별 장치로 선별한다. 이것에 의해, 물 비중에 의해 선별하기 전에 풍력 선별 수단에 의해서 필름이나 발포 스티롤 등의 초경량물을 분리하므로, 더욱 이물질 혼입이 적은 고순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는 비중을 1.05 초과 1.4 미만으로 조정한 비중액을 선별수로 한 비중액 선별 장치를 사용한다. 비중액의 비중을 1.1로 설정하여, 가전 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범용 수지중에서 2번째로 사용량이 많은 스티렌계 수지를 고순도로 분리 회수한다.
본 발명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는 오수 처리의 닫힌 시스템(closed system)이 가능한 오수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고체 액체 분리기의 일부 절결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주요부 시스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풍력 선별기의 일부 절결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주요부 시스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부 절결한 시스템 구성도,
도 24는 종래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일례의 공정 흐름도,
도 25는 종래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다른 예의 공정 흐름도,
도 26은 종래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물 비중 선별 장치의 단면도,
도 27은 종래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오수 처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컨베이어
42 :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
43 : 제 1 원료 공급부(제 1 원료 공급 수단)
44 :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
45 : 제 2 원료 공급부(원통체)46 : 제 1 펌프(제 1 공급 수단)
47 : 제 1 회수용 배관(제 1 회수 수단)
48 : 탈수기49 : 탈수액 배출부
50 : 저수조51 : 제 2 펌프(선별수 순환 수단)
58 : 회전 드럼68 : 송풍기
(제 1 실시예)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는 파쇄물을 공급하는 컨베이어(41)와,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42)로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제 1 원료 공급부(제 1 원료 공급 수단)(43)와,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부터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44)에 설치한 제 2 원료 공급부(원통체)(45)로, 물에 뜬 파쇄물(경량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제 1 펌프(제 1 공급 수단)(46)를 설치하고,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에 설치한 제 1 회수용 배관(제 1 회수 수단)(47)으로부터 물에 침전한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과, 탈수기(48)의 탈수액 배출부(49)로부터 배출되는 선별수를, 교반기(50a)를 설치한 저수조(50)와 제 2 펌프(51)(선별수 순환 수단)를 거쳐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1 원료 공급부(43)로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는 제 1 선별 용기(52)와, 제 2 선별 용기(53)와, 제 1 선별 용기(52)에 배치한 제 1 스크루 컨베이어(54)와, 제 2 선별 용기(53)에 배치한 제 2 스크루 컨베이어(55)와, 배출부(56)에 설치한 스크루식 배출 장치(5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는, 도 2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58)이 연직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고, 제 1 구동 모터(59)에 의해서 벨트(60)를 거쳐서 회전수 2000회/분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 드럼(58)의 회전 중심축상에 파쇄물을 공급하는 제 2 원료 공급부(원통체)(45)를 설치하고, 회전 드럼(58)의 바닥부측의 측벽 근방에 하부 배출구(61)를 거쳐서 제 1 회수용 배관(제 1 회수 수단)(47)을 설치하고 있다.
회전 드럼(58)의 상부측에 하부 배출구(61)보다 회전 중심축측으로 상부 배출구(62)와, 스크루식 회수기(63)와, 탈수기(48)를 설치한 회수 기구(제 2 회수 수단)를 배치하고 있다. 스크루식 회수기(63)는 제 2 구동 모터(64)에 의해서, 벨트(65)와 구동 샤프트(66)와 벨트(67)를 거쳐서 회전수 2200회/분으로 회전하여, 회전 드럼(58)보다도 200회/분 고속으로 회전한다. 탈수기(48)의 상부 측벽측에는 파쇄물을 송풍기(68)로 공기 반송하는 반송 덕트(69)를 설치하고 있다.
회전 드럼(58)의 내측으로 분리수(70)를 수용하여, 비중 1.0을 기준으로 파쇄물을 선별(분별)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물의 흐름을 설명하면,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내의 선별수가 배출부(56)와 제 1 펌프(46)를 거쳐서, 제 2 원료 공급부(45)로부터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내로 공급되고, 공급된 선별수는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내에서 대략 원통형상의 분리수(70)를 형성하여, 대 부분은 하부 배출구(61)와 제 1 회수용 배관(47)을 거치고, 또한 일부 선별수(분리수)는 상부 배출구(62)와 탈수기(48)와 탈수액 배출부(49)를 거쳐서 저수조(50)로 공급된다.
저수조(50)로 공급된 선별수는 제 2 펌프(51)에 의해서 제 1 원료 공급부(43)를 거쳐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순환되고, 제 1 원료 공급부(43)로부터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공급된 선별수는 배출부(57)로 흘러 순환한다. 이때, 사용 완료된 가전 제품을 파쇄하여, 자기 분리기로 철을 회수한 나머지 부분의 비철류를 포함하는 파쇄물(플라스틱 그룹)이 컨베이어(41)로부터 제 1 원료 공급부(43)로 공급되어, 선별수와 혼합된 상태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흘러 들어간다.
이 파쇄물중에 비중이 큰 비철류(d)와 염화비닐 수지(c)는 즉시 제 1 선별 용기(52)의 바닥부로 침전하여 제 1 스크루 컨베이어(54)로 회수된다. 스티렌계 수지(b)와 같이, 물에 침전하지만 물의 비중과 근사한 수지는 선별수의 흐름에 따라 흐르면서 제 2 선별 용기(53)의 바닥부로 서서히 침전하여 제 2 스크루 컨베이어(55)로 회수된다.
또한, 비중이 0.91정도인 올레핀계 수지(가전 제품의 올레핀계 수지는 대부분을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차지하므로, 이후 폴리프로필렌 수지라고 함)(a)와, 본래 침전하는 스티렌계 수지(b)의 일부와 전해 콘덴서의 필름의 일부가 발수성에 의해서 물에 뜬 것과 연립(連立) 발포체의 스펀지류가, 선별수의 흐름을 타고 배출부(56)로부터 스크루식 배출 장치(57)를 거쳐서 선별수와의 혼합 상태에서, 제 1 펌프(46)에 의해서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2 원료 공급부(45)를 거쳐서 회전 드럼(58)내로 들어간다.
이때, 회전 드럼(58)은 회전수 2000회/분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분리수(70)는 회전 드럼(58)내에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리수(70)의 외주부에서 약 800G의 원심력이 작용하고, 비중이 1.0 이상인 파쇄물은 원심력으로회전 드럼(58)의 측벽측으로 이동하여, 선별수[분리수(70)]와 물에 침전한 파쇄물이 혼합 상태로 배출구(61)와 제 1 회수용 배관(47)을 거쳐서 저수조(50)로 공급된다. 한편, 비중이 1.0보다 작은 폴리프로필렌 수지(a)의 파쇄물은 분리수(70)의 회전 중심축측의 수면으로 모여, 배출구(62)를 거쳐서 스크루 회수기(63)에 의해서 탈수기(48)로 공급된다.
탈수된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송풍기(68)에 의해서 반송 덕트(69)에서 송출되어 회수된다. 탈수된 선별수는 탈수액 배출부(49)를 거쳐서 저수조(50)로 공급된다. 저수조(50)에 공급된 선별수와 비중이 1.0보다 큰 파쇄물은 제 2 펌프(51)에 의해서 제 1 원료 공급부(43)로 순환되어, 다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되돌려진 비중이 1.0보다 큰 파쇄물은 친수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 2 선별 용기(53)에 침강한다.
이 결과, 비중이 1.0보다도 큰 파쇄물의 대부분은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분리 회수할 수 있어, 당초 발수성이 있기 때문에, 또는 기포가 부착되어 있거나, 스펀지류와 같이 내부에 공기를 유지하고 있음으로 해서 분리할 수 없던 파쇄물은 원심력의 G에서 강력하게 분리시키는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에 의해서 분리되고, 이 결과 본래 침전하는 파쇄물을 분리 제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a)를 회수할 수 있으므로, 재료 재활용에 바람직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를 횡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로 바꾸더라도 완전히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원심력이 5G 정도인 하이드로사이클론으로 바꾼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비하여 약간 분리 정밀도가떨어지지만, 재료 재활용의 용도에 따라서는 충분히 실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2 실시예)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42)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44) 사이에 하이드로사이클론(제 3 물 비중 선별 장치)(71)을 설치하고,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는 제 1 펌프(46)(제 1 공급 수단)를 거쳐서 대략 역원추형상의 하이드로사이클론(71)의 외주 측벽부의 상부에 접선 방향으로 설치한 제 3 원료 공급부(72)와 연결하고, 하이드로사이클론(71)의 중심축상의 상부에 설치한 상부 배출 배관(제 2 공급 수단)(73)과,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2 원료 공급부(45)를 연결하고 있다.
하이드로사이클론(71)의 중심축상의 하부에 설치한 하부 배출 배관(74)과,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1 회수용 배관(47)과 탈수액 배출부(49)는 교반기(50a)를 설치한 저수조(50)에 연결하고, 저수조(50)는 제 2 펌프(51)를 거쳐서 제 1 원료 공급부(43)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에서 물에 뜬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은 배출부(56)와 제 1 펌프(46)를 거쳐서 제 3 원료 공급부(72)로부터 하이드로사이클론(71)내로 공급된다. 하이드로사이클론(71)내에서는 대략 역원추형상을 따라 하향의 소용돌이 흐름이 형성되고, 소용돌이 흐름에 의해서 약 5G 정도의 수평 방향의 원심력이 작용하여, 물에 침전하는 파쇄물은 외주부로 이동하여 하부 배출 배관(74)을 거쳐서 저수조(50)로 흐른다.
한편, 물에 뜨는 파쇄물은 수평 방향의 원심력에 저항하여, 소용돌이 흐름의 중심축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배출 배관(73)과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2 원료 공급부(45)를 거쳐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내로 공급되고, 물에 뜨는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반송 덕트(69)를 거쳐 분리 회수되어, 물에 침전하는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이 제 1 회수용 배관(47)으로부터 저수조(50)로 공급되어, 탈수된 선별수가 탈수액 배출부(49)로부터 저수조(50)로 공급된다.
저수조(50)로 들어온 물에 침전하는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은 제 1 원료 공급부(43)로 순환되고, 발수성이 없어진 파쇄물이나 공기가 빠진 파쇄물은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에서 침강하여 회수된다. 또한, 그 밖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와,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보다도 분리 성능이 우수한 하이드로사이클론(71)에서 물에 침전하는 파쇄물을 분리하여, 파쇄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가장 분리 성능이 우수한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에 의해서 최종 분리를 실행하므로, 극히 이물질 혼입이 적은 폴리프로필렌 수지(a)를 회수할 수 있다. 즉,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42)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44) 사이에 하이드로사이클론(제 3 물 비중 선별 장치)(71)을 배치함으로써,상기 제 1 실시예보다 이물질 혼입이 적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회수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42)와 하이드로사이클론(제 3 물 비중 선별 장치)(71) 사이에 수중 파쇄기(수중 파쇄 수단)(75)를 설치하고,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배출부(56)와 수중 파쇄기(75)의 파쇄실부(75a)를 연결하고, 토출부(75b)와 하이드로사이클론(71)의 외주 측벽부의 상부에 접선 방향으로 설치된 제 3 원료 공급부(72)를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에서 분리된 파쇄물중 물에 뜬 파쇄물은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배출부(56)로부터 수중 파쇄기(75)의 파쇄실(75a)내로 공급된다. 수중 파쇄기(75)는 파쇄와 펌프 기능을 가지므로, 공급된 파쇄물은 파쇄실(75a)에서 5㎜ 내지 10㎜ 정도의 크기로 잘게 파쇄되어, 미세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의 상태로 하이드로사이클론(71)내로 제 3 원료 공급부(72)를 거쳐서 수중 파쇄기(75)의 펌프 기능에 의해서 압송 공급된다. 또한, 그 밖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파쇄물의 파쇄 크기가 5㎜ 내지 10㎜ 정도로 대체로 가지런해지고, 수중 파쇄시에 파쇄물끼리 강력하게 마찰되어, 파쇄물 표면이 친수성으로 되므로, 이후의 하이드로사이클론(71)과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에서의 분리 정밀도가 향상한다. 또한, 수중 파쇄시에 파쇄물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의 세정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분리 정밀도 향상과 수지 표면의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재료 재활용에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전체 시스템을 도 5에 도시하고, 고체 액체 분리기(76)(고체 액체 분리 수단)의 상세도를 도 6에 도시한다. 전체 시스템은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2 선별 용기(53)의 바닥부(53a)와, 하이드로사이클론(71)의 하부 배출 배관(74)과,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1 회수용 배관(47)을 고체 액체 분리기(76)에 연결한다. 고체 액체 분리기(76)는 고체 배출부(76a)와 배수부(76b)를 갖고, 배수부(76b)는 펌프(77)를 거쳐서 저수조(50)와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고체 액체 분리기(76)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고체 액체 분리 반송 수단)(78)를 대략 원반형상으로 구성하고, 외주부에 외주벽(78a)을 설치함과 동시에 외주 바닥부에 망체(網??)(78b)를 설치하고, 모터(79)의 샤프트(80)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망체(78b)는 공급되는 분리한 파쇄물의 크기보다도 작은 메시(meshes)로 되어 있다.
회수물 공급관(고체 액체 공급 수단)(81)은 분리한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을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의 상향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의 상향에 설치한다. 회수물 공급관(81)과 마주하여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의 하향에서 물받이 용기(82)와 배수관(83)을 배치하고 있다. 회수 덕트(84)는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의 상향의 회수물 공급관(81)과 다른 위치에 설치하고, 이 회수 덕트(84)와 마주하여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의 하향으로 송풍기(공기 압송 수단)(85)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고체 액체 회수 덕트(84)와 송풍기(85)로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로 선별수를 분리하여 반송된 파쇄물을 회수하는 고체 회수 수단을 구성함과 동시에, 송풍기(85)는 또한 파쇄물의 막힘을 방지하는 막힘 방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2 선별 용기(53)의 바닥부(53a)에 침강한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이 회수물 공급관(81)으로부터, 모터(79)의 샤프트(80)를 거쳐서 회전하는 고체 액체 분리기(76)의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상으로 공급된다. 또한, 하이드로사이클론(71)의 하부 배출 배관(74)과 제 1 회수용 배관(47)으로부터도 물에 침전하는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을 동일하게 하여 고체 액체 분리기(76)의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상으로 회수물 공급관(81)을 거쳐서 공급된다.
이때, 선별수는 망체(78b)를 통과하여 물받이 용기(82)로부터 배수관(83)과 펌프(77)를 거쳐서 저수조(50)로 공급되고, 저수조(50)의 선별수는 펌프(51)를 거쳐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1 원료 공급부(43)로 순환한다.
한편,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의 망체(78b)상에 남은 물에 침전된 파쇄물은 선별수가 분리된 상태로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의 회전으로 송풍기(85)의 상부까지 반송되어, 송풍기(85)로부터의 압송 공기로 상부방향으로 불어 올려져, 고체 회수 덕트(84)를 거쳐서 선별수의 부착이 적은 파쇄물을 회수할 수 있다.
이 결과, 하이드로사이클론(71)과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에서 분리한 물에 침전된 파쇄물을 고체 액체 분리기(76)로 분리하여, 선별수만을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순환시킴으로써,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에서 선별하는 파쇄물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선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의 망체(78b)를 파쇄물의 공급측과 반대 방향에서 압송 공기로 파쇄물을 불어 날릴 때에, 망체(78b)를 막히게 하는 작은 조각의 파쇄물도 불어 날릴 수 있어, 고체 액체 분리 반송체(78)에 의한 파쇄물과 선별수가 양호한 분리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송풍기(85)로부터의 압송 공기로 물에 침전된 파쇄물을 건조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밖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5 실시예)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탈수기(탈수 수단 : 도시하지 않음)에서, 풍력 반송 수단을 구성하는 송풍기(68)와 반송 덕트(69)를 거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a)를 공기 압송하는 이전 단의 제 1 사이클론(제 3 회수 수단)(86)을 설치하고, 제 1 사이클론(86)의 하부 배출부(86a)에 제 1 밀폐식 회수 용기(87)를 배치하고, 고체 액체 분리기(76)의 고체 배출부(76a)의 다음 단에 탈수기(88)와 제 2 사이클론(89)을 설치하고, 제 2 사이클론(89)의 하부 배출부(89a)에 제 2 밀폐식 회수 용기(90)를 배치하고, 제 1 사이클론(86)의 상부 배기부(86b)와 제 2 사이클론(89)의 상부 배기부(89b)를 집진기(91)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탈수기(88)는 원료 공급부(88a)와, 배출부(88b)와, 탈수액 배출부(88c)와, 모터(92)와 샤프트(93)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파쇄물 크기보다 작은 탈수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대략 역원추형상의 구멍이 있는 회전 탈수조(94)와, 파쇄물을 공기 압송하는 송풍기(95)와, 탈수한 선별수를 저수조(50)로 순환시키는 펌프(9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와, 수중 파쇄기(75)와, 하이드로사이클론(71)과,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를 거쳐서, 최종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에 의해서 분리된 물에 뜨는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 탈수기(도시하지 않음)에서 탈수된 후에 제 1 사이클론(86)의 하부 배출부(86a)를 거쳐서 제 1 밀폐식 회수 용기(87)로 회수된다.
또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2 선별 용기(53)의 바닥부(53a)와, 하이드로사이클론(71)의 하부 배출관(74)과,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1 회수용 배관(47)을 거쳐서 고체 액체 분리기(76)로 물에 침전하는 스티렌계 수지(b)가 공급된다. 이 공급된 스티렌계 수지(b)는 고체 액체 분리기(76)의 고체 배출부(76a)에서 배출되어, 원료 공급부(88a)를 거쳐서 탈수기(88)의 구멍이 있는회전 탈수조(94)의 대략 회전 중심축상에 공급되고, 스티렌계 수지(b)는 구멍이 있는 회전 탈수조(94)내에서 탈수되면서 원심력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배출부(88b)를 거쳐서 송풍기(95)의 압송 공기에 의해서 제 2 사이클론(89)으로 공급되어 하부 배출부(89a)를 거쳐서 밀폐식 회수 용기(90)로 회수된다.
한편, 탈수기(88)에서 탈수된 선별수는 탈수액 배출부(88c)와, 펌프(96)를 거쳐서 저수조(50)로 순환된다. 또한, 제 1 사이클론(86)의 상부 배기부(86b)에서의 배기 가스와, 제 2 사이클론(89)의 상부 배기부(89b)에서의 배기 가스는 집진기(91)와 연결되어 있어 처리된다. 또한, 그 밖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재료 재활용을 위한 리펠릿 가공으로 즉시 제공할 수 있는 건조 상태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에 대해서도, 열 재활용(thermal recycling)의 원료로서 즉시 제공할 수 있는 건조 상태로 회수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부분 시스템을 도 8에 도시하고, 풍력 선별기(풍력 선별 수단)(97)의 상세도를 도 9에 도시한다.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탈수기(탈수 수단 : 도시하지 않음)와, 풍력 반송 수단을 구성하는 송풍기(68)와 반송 덕트(69)를 거쳐서, 풍력 선별기(97)의 원료 공급관(제 2 원료 공급 수단)(98)을 연통시키고, 풍력 선별기(97)의 상부의 배출부(99)와 제 1 사이클론(86)(제 3 회수 수단)을 연결하고, 풍력 선별기(97)의 하부의 선별물 배출부(100)에 폴리프로필렌 수지(a)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101)를 설치하고, 제 1 사이클론(86)의 하부에 제 1 사이클론(86)과 밀폐 밀봉 상태로 된 적층 콘덴서의 필름 등의 초경량물(e)을 회수하는 밀폐식 회수 용기(강체)(8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력 선별기(97)의 원통체(102)는 몸통부(102a)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이며, 중심축을 대략 연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고, 몸통부(102a)의 상하에 대략 원추사다리꼴로 형성한 상단부(102b)와 하단부(102c)를 설치하고, 원료 공급관(98)은 선단부를 몸통부(102a)의 하부에, 경사진 상부방향에서 대략 접선 방향을 향해서 설치하고, 원통체(102)의 상단부(102b)에서 초경량물을 배출하는 배출부(99)를 설치하고, 원통체(102)의 하단부(102c)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a)를 배출하는 선별물 배출부(100)를 설치하고, 원통체(102)의 내면 상부에 충돌판(103)을 설치하고, 충돌판(103)은 충돌면(103a)을 경사지게 하여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하고, 원통체내의 소용돌이 형상의 상승 공기류가 충돌면(103a)에 충돌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에서 선별된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탈수기(도시하지 않음)에서 탈수된 후, 송풍기(68)에서 반송 덕트(69)를 거쳐서 풍력 선별기(97)의 원통체(102)내로 원료 공급관(98)으로부터 압송 공기와 함께 폴리프로필렌 수지(a)가 원통체(102)의 하부에서 경사진 상부방향에서 대략 접선 방향을 향해서 공기 압송된다.
여기서, 집진기(도시하지 않음)의 풍량은 송풍기(68)의 송풍량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고 있어, 원통체(102)내가 부압으로 되기 때문에, 원통체(102)내에 소용돌이 형상의 상승 공기류와 선별물 배출부(100)로부터 원통체(102)내로 약한 상승 공기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원통체(102)내로 이송된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소용돌이 형상의 상승 공기류에 의해서 소용돌이 형상으로 불어 올려진다.
이때, 폴리프로필렌 수지(a)(질량이 큰 선별물)는 소용돌이 형상의 상승 공기류의 원심력으로 원통체(102)의 내벽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서 감속하여 원통체(102) 내부를 낙하하여, 선별물 배출부(100)로부터 회수 용기(101)내로 배출되어 회수된다.
상세하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수지(a)의 크기(질량)의 편차로, 큰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빠른 단계로 낙하하고, 작으면 작을수록 낙하하는 타이밍이 늦어져, 원통체(102) 내부에 설치된 충돌판(103)의 충돌면(103a)에 충돌하여 하부방향으로 되튀어서, 중력 방향의 관성력이 증가하여 낙하한다.
한편, 물 비중 선별에서 파쇄물의 표면성상, 형상, 질량(작음)때문에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이물질로서 혼입해 버린 초경량물(e)(적층 콘덴서의 필름이나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체)은 소용돌이 형상의 상승 공기류에 의해서 원통체(102) 상부까지 소용돌이 형상으로 불어 올려져, 상부의 배출부(99)를 거쳐서 제 1 사이클론(도시하지 않음)에서 분리되어, 초경량물(e)은 제 1 밀폐식 회수 용기(도시하지 않음)로 회수된다. 또한, 그 밖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적층 콘덴서의 필름은 PET 필름상에 알루미늄을 증착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보다도 융점이 높으므로, 리펠릿 가공시에 압출기의 스크린의 막힘을 발생시켜, 생산성을 현저하게 악화시킨다. 또한, 상이한 재질이 혼입하면 물성이 저하하거나, 성형품 표면에 흑점 등이 발생하지만, 적층 콘덴서의 필름이나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체의 초경량물(e)을 분리하여 회수함으로써, 리펠릿 가공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거나, 물성을 저하시키거나, 성형품 표면에 불순물인 이물질의 혼입이 적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회수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탈수기(도시하지 않음)에서 배출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a)를 공기 압송하는 송풍기(압송 수단 겸용 풍력 공급 수단)(68)의 분출부(104)를 분기하여, 제 1 분출부(104a)는 풍력 선별기(풍력 선별 수단)(97)의 원료 공급관(98)에 연결하고, 풍력 선별기(97)의 상부의 배출부(99)와 제 1 사이클론(86)(제 3 회수 수단)을 연결하고, 또한 사이클론의 상부 배기부(86b)와 송풍기(68)의 흡기구(68a)를 연결한 압송 공기의 순환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 2 분출부(104b)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이때, 송풍기(68)의 분출부(104)의 분기는 제 1 분출부(104a)로의 풍량을 대략 8할, 제 2 분출부로의 풍량을 대략 2할이 되도록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압송 공기 경로의 순환 경로에대하여 설명한다. 압송 공기의 순환 경로는 송풍기(68)로부터의 공급 풍량을 흡기구(68a)에서의 흡입 풍량의 대략 8할로 하고, 제 1 사이클론(86)내와 밀폐식 용기(101b)내와, 풍력 선별기(97)내는 부압이 되어, 풍력 선별기(97)의 선별물 배출부(100)로부터 약간 공기를 흡입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전체 시스템과 물 비중 선별의 동작)와 제 6 실시예(풍력 선별의 동작)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물 비중 선별후의 파쇄물을 회수하는 독립된 시스템으로 함으로써, 집진기(도시하지 않음)와 제 1 사이클론(86)을 연결할 필요가 없고, 풍력 선별기(97)내를 부압으로 하는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료 호퍼(105)와 파쇄물을 공기 압송하는 송풍기(106)와 반송 덕트(107)를 갖는 2차 파쇄기(2차 파쇄 수단)(108)를 구비하고,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물 비중 선별 장치)(42)의 상류측에 설치한 풍력 선별기(풍력 선별 수단)(109)의 원료 공급관(110)과 반송 덕트(107)를 연결하고, 풍력 선별기(109)의 선별물 배출부(111)와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1 원료 공급부(43)를 밀폐하지 않고 연결하고 있다.
또한, 풍력 선별기(109)의 상부의 배출부(112)와 제 3 사이클론(113)을 연결하고, 제 3 사이클론(113)의 하부 배출구(113a)와 밀폐 밀봉 상태로 한 적층 콘덴서의 필름, 발포체, 먼지 등의 초경량물(e)을 회수하는 밀폐식 회수 용기(강체)(114)를 설치하고, 제 3 사이클론(113)의 상부 배기구(113b)와집진기(91)를 연결하여, 풍력 선별기(109)내가 약간 부압으로 되도록 송풍기(106)의 풍량보다도 집진기(91)의 흡입 풍량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송풍기(106)와 반송 덕트(107)로 반송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물 비중 선별기) 및 제 6 실시예(풍력 선별기)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폐가전 제품을 1차 파쇄한 후에 자력 선별기로 철을 회수한 나머지 30㎜ 내지 100㎜ 정도의 파쇄물을 2차 파쇄기(108)의 원료 호퍼(105)에 투입한다. 투입된 1차 파쇄물은 2차 파쇄기(108)에 의해서 대략 10㎜ 내지 15㎜로 재파쇄된 후에 반송 덕트(107)를 거쳐서 송풍기(106)에 의해서 풍력 선별기(109)내로 공기 압송된다.
풍력 선별기(109)내에서는 재료 재활용을 목적으로 선별 회수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a)에 이물질로서 혼입하기 쉬운 발포 스티롤이나 적층 콘덴서의 필름 등과, 선별수를 오염시키는 먼지 등의 초경량물(e)과 비철이나 고무 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그룹(중량물)을 분리하고, 비철이나 고무 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그룹은 선별물 배출부(111)로부터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순환하는 선별수와 함께 제 1 원료 공급부(43)에서 공급된다.
한편, 초경량물은 상부의 배출부(112)로부터 제 3 사이클론(113)으로 공급되어 밀폐식 회수 용기(114)로 회수된다. 그 밖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물 비중 선별기) 및 제 6 실시예(풍력 선별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파쇄 크기가 10㎜ 내지 15㎜ 정도의 크기로 가지런해짐으로써, 파쇄물끼리의 얽힘이나 중첩을 감소시킬 수 있어, 초경량물과 중량물의 풍력 선별과물 비중 선별의 분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 비중 선별전에 초경량물을 풍력 선별기(109)에서 사전에 제거하므로, 폴리프로필렌 수지(a)로의 이물질 혼입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9 실시예)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차 파쇄기(2차 파쇄 수단)(108)와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상류측의 풍력 선별기(109) 사이에 파쇄물의 공급구(115)와 수용기(116)와 하부에 설치한 모터(117)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 공급 스크루부(118)와, 공급 스크루부(118)의 선단부가 연통하여 하단부에 송풍기(119)를 배치한 반송 덕트(120)를 갖는 원료 정량 공급기(원료 정량 공급 수단)(121)를 설치하고, 파쇄물의 공급구(115)의 상향에 설치한 풍력 선별기(122)의 선별물 배출구(123)를 파쇄물의 공급구(115)내에 배치하고, 2차 파쇄기(108)의 반송 덕트(107)와 풍력 선별기(122)를 연결하고, 원료 정량 공급기(121)의 반송 덕트(120)와 풍력 선별기(109)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풍력 선별기(122)의 상부의 배출부(123)는 하부에 밀폐식 회수 용기(125)를 배치한 제 4 사이클론(126)을 거쳐서 집진기(91)와 연결하고, 또한 풍력 선별기(109)의 상부의 배출부(112)는 하부에 밀폐식 회수 용기(114)를 배치한 제 3 사이클론(113)을 거쳐서 집진기(91)와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 2차 파쇄기(108)의 송풍기(106)와 원료 정량 공급기(120)의 송풍기(118)의 풍량보다도 집진기(91)의 흡입 풍량을 크게 설정하여, 풍력 선별기(122)와 풍력 선별기(109) 각각의 내부가 약간의 부압 상태가 되도록 하고있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물 비중 선별기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며, 풍력 선별기의 구성은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2차 파쇄기(108)에서 10㎜ 내지 15㎜ 정도로 재파쇄된 파쇄물이 송풍기(106)의 압송 공기와 함께 반송 덕트(107)를 거쳐서 제 1 단의 풍력 선별기(122)로 공급된다. 공급된 파쇄물중에 1차 선별된 초경량물은 상부의 배출부(124)를 거쳐서 제 4 사이클론(126)으로 공급되고, 밀폐식 회수 용기(125)로 회수된다.
한편, 파쇄물중 중량물은 풍력 선별기(122)의 선별물 배출부(123)로부터 원료 정량 공급기(121)의 수용기(116)로 들어가, 모터(117)로 회전하는 회전 스크루부(118)로부터 반송 덕트(120)로 정량 공급되어, 송풍기(119)의 압송 공기에 의해서 제 2 단의 풍력 선별기(109)내로 정량 공급된다. 정량 공급된 파쇄물중에 2차 선별된 초경량물은 상부의 배출부(112)를 거쳐서 제 3 사이클론(113)으로 공급되고, 밀폐식 회수 용기(114)로 회수된다.
한편, 파쇄물중 풍력으로 2차 선별된 정량의 중량물은 선별물 배출부(111)와 제 1 원료 공급부(43)를 거쳐서 선별수와 함께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공급된다. 다른 동작에 있어서, 물 비중 선별기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고, 풍력 선별기의 동작은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2차 파쇄기(108)에서 10㎜ 내지 15㎜ 정도로 파쇄 크기를 맞춘 파쇄물을 2 단계의 풍력 선별을 실행하므로 폴리프로필렌 수지(a)로의 이물질 혼입을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물 비중 선별기로 파쇄물을 정량 공급하므로, 파쇄물끼리의 중첩을 억제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수지(a)의 선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0 실시예)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차 파쇄기(108)의 송풍기(106)의 분출부를 제 1 분출부(127a)와 제 2 분출부(127b)로 분기하고, 제 1 분출부(127a)를 반송 덕트(107)의 하단부와 연결하고, 반송 덕트(107)를 거쳐서 2차 파쇄기(108)와 풍력 선별기(122)를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풍력 선별기(122)의 하부의 선별물 배출부(123)는 원료 정량 공급기(121)의 파쇄물의 공급구(115)에 개방 상태로 삽입하고 있다.
또한, 풍력 선별기(122)의 상부의 배출부(124)는 제 4 사이클론(126)과 연결하고, 또한 제 4 사이클론(126)의 상부 배기부(126b)는 2차 파쇄기(108)의 송풍기(106)의 흡기구(106a)와 연결하여, 압송 공기의 제 1 순환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 4 사이클론(126)의 하부 배출부(126a)와 밀폐 밀봉 상태로 밀폐식 회수 용기(125)를 배치하고 있다. 이때, 송풍기(106)의 제 2 분출부(127b)는 대기로 개방한 구성으로 하고, 제 1 분출부(126a)의 풍량이 송풍기(106)의 흡기구(106a)의 대략 8할 정도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원료 정량 공급기(121)의 송풍기(119)의 분출부를 제 1 분출부(128a)와 제 2 분출부(128b)로 분기하고, 제 1 분출부(128a)를 반송 덕트(120)의 하단부와 연결하고, 반송 덕트(120)를 거쳐서 원료 정량 공급기(121)와 풍력 선별기(109)를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풍력 선별기(109)의 하부의 선별물 배출부(111)는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1 원료 공급부(43)에 밀폐하지 않고 연결하고 있다.
또한, 풍력 선별기(109)의 상부의 배출부(112)는 제 3 사이클론(113)과 연결하고, 제 3 사이클론(113)의 상부 배기부(113b)는 원료 정량 공급기(121)의 송풍기(119)의 흡기구(119a)와 연결하여, 압송 공기의 제 2 순환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 3 사이클론(113)의 하부 배출부(113a)와 밀폐 밀봉 상태로 밀폐식 회수 용기(114)를 배치하고 있다. 이때, 송풍기(119)의 제 2 분출부(128b)는 대기에 개방한 구성으로 하여, 제 1 분출부(128a)의 풍량이 송풍기(119)의 흡기구(119a)의 대략 8할 정도가 되도록 하고 있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물 비중 선별기의 전체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며, 풍력 선별기의 구성은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며, 2차 파쇄기로부터 물 비중 선별기까지의 압송 공기의 순환 경로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2차 파쇄기(108)의 송풍기(106)의 제 1 분출부(127a)의 풍량이 송풍기(106)의 흡기구(106a)의 풍량의 대략 8할로 하고 있으므로, 압송 공기의 순환 경로내의 풍력 선별기(122)내와 제 4 사이클론(126)내는 약간의 부압 상태가 되고, 풍력 선별기(122)의 하부의 선별물 배출부(123)로부터 약간의 공기를 흡입한 상태가 된다. 압송 공기의 제 2 순환 경로도 동일하다. 다른 동작에 있어서, 물 비중 선별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며, 풍력 선별의 동작은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며, 2차 파쇄로부터 물 비중선별기까지의 파쇄물의 동작은 제 9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압송 공기의 순환 경로를 각각 독립시키고 있으므로, 각각의 풍력 선별기내의 부압 상태와 풍력 선별의 풍력 및 파쇄물을 반송하는 풍력의 공기 밸런스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집진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설비 비용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제 11 실시예)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2 선별 용기(53)로부터 저수조(129)로 선별수 공급관(130)을 설치하고, 저수조(129)로부터 펌프(131)를 거쳐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수면상에 설치한 샤워부(132)와 연결하고, 2차 파쇄기(108)의 송풍기(106)의 제 2 분출부(127b)와, 원료 정량 공급기(121)의 송풍기(119)의 제 2 분출부(128b)에서의 공기 배관의 배관 선단부(133)를 샤워부(132)의 하부에 설치하고, 송풍기(106)와 송풍기(119)의 공기가 샤워부(132)의 하부를 통과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0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2 선별 용기(53)의 선별수를 선별수 공급관(130)과 저수조(129)와 펌프(131)를 거쳐서 제 1 선별 용기(52)의 상부에 설치한 샤워부(132)로부터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선별수면상으로 순환시키고 있다. 여기서, 2차 파쇄기(108)의 송풍기(106)의 제 2 분출부(127b)와, 원료 정량 공급기(121)의 송풍기(119)의 제 2 분출부(128b)에서 배관한 배관 선단부(133)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샤워부(131)의하부를 통과할 때에,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한 분진이 샤워로 쳐서 떨어져 선별수중에 분산된다. 또한, 그 밖의 동작은 상기 제 10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2차 파쇄기(108)의 송풍기(106)의 제 2 분출부(125b)와, 원료 정량 공급기(121)의 송풍기(118)의 제 2 분출부(126b)로부터 작업장으로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2 실시예)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배출부(56)와 펌프(46)를 거쳐서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2 원료 공급부(45)를 연결하고,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2 선별 용기(53)의 바닥부(53a)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1 회수용 배관(47)을 고체 액체 분리기(76)로 연결하고, 고체 액체 분리기(76)의 배수부(76b)를 펌프(77)를 거쳐서 저수조(50)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탈수액 배출부(49)를 저수조(50)에 연결하고, 저수조(50)로부터 펌프(51)를 거쳐서 제 1 원료 공급부(43)와 샤워부(132)로 배관하여 선별수를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고체 액체 분리기(76)의 고체 배출부(76a)에서 분리한 선별물을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2 선별 용기(53)에 침전된 스티렌계 수지(b)는 바닥부(53a)에서 선별수와 함께고체 액체 분리기(76)로 공급된다. 또한,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1 회수용 배관(47)으로부터 원심력으로 분리된 물에 침전하는 스티렌계 수지(b)가 선별수와 함께 고체 액체 분리기(76)로 공급된다.
고체 액체 분리기(76)에 공급된 스티렌계 수지(b)와 선별수는 분리되어, 선별수는 배출부(76b)와 펌프(77)와 저수조(50)와 펌프(51)를 거쳐서 제 1 원료 공급부(43)와 샤워부(132)로 공급되어, 선별수는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순환된다. 한편, 고체 액체 분리기(76)에서 분리된 스티렌계 수지(b)는 고체 배출부(76a)에서 배출된다. 또한, 그 밖의 동작은 상기 제 1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2단의 풍력 선별기(2차 파쇄기로부터 원료 정량 공급기까지 도시하지 않음)에서 사전에 물 비중 선별시에 분리가 곤란한 적층 콘덴서의 필름이나 발포 스티롤 등의 초경량물을 분리 제거하고, 또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2 선별 용기(53)의 바닥부(53a)에서 선별수를 배출하는 흐름에서, 부유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b)를 강제적으로 끌어내는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로 공급하는 파쇄물로의 이물질이나 스티렌계 수지(b)의 혼입량과 파쇄물의 절대 공급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폴리프로필렌 수지(a)의 선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체 액체 분리기(76)를 거친 선별수를 샤워부(132)로 공급하므로 스티렌계 수지(b)에 의한 막힘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b)를 선별수와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제 13 실시예)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체 액체 분리기(76)의 고체 배출부(76a)와 탈수기(88)의 공급부(88a)를 연결하고, 탈수기(88)의 배출부(88b)와 제 2 사이클론(89)을 연결하고, 제 2 사이클론(89)의 상부 배기부(89b)를 집진기(91)에 연결하고, 제 2 사이클론(89)의 하부 배출부(89a)에 밀폐식 회수 용기(9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반송 덕트(69)와 풍력 선별기(97)의 원료 공급관(98)을 연결하고, 풍력 선별기(97)의 상부 배출부(99)와 제 1 사이클론(86)을 연결하고, 제 1 사이클론(86)의 상부 배기부(86b)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송풍기(68)를 연결하여, 제 1 압송 공기의 순환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송풍기(68)의 제 2 분출부(104b)는 배관 선단부(133)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 풍력 선별기(97)의 선별물 배출부(100)를 개방한 상태로, 하향으로 회수 용기(101)를 설치하고, 제 1 사이클론(86)의 하부 배출부(86a)에 대기와 밀폐 상태를 확보하도록 밀폐식 회수 용기(87)를 설치하고, 또한 송풍기(68)의 제 1 분출부(104a)로의 풍량을 대략 8할이 되도록 하고, 제 2 분출부(104b)를 대략 2할이 되도록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고체 액체 분리기(76)의 고체 배출부(76a)에서 탈수기(88)로 공급부(88a)를 거쳐서 구멍이 있는 회전 탈수조(94)로 스티렌계 수지(b)가 공급된다. 공급된 스티렌계 수지(b)는 탈수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대략 반원추형상으로 상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부(88b)에서 송풍기(95)에 의해서 제 2 사이클론(89)내로 공기 압송되고, 스티렌계 수지(b)는 하부 배출부(89a)에서 밀폐식 회수 용기(90)로 회수된다. 이때, 탈수기(88)에서 탈수된 선별수는 펌프(96)를 거쳐서 저수조(50)로 순환된다.
또한, 제 2 사이클론(89)의 상부 배기부(89b)에서의 배기는 집진기(91)와 연결되어 처리된다. 또한,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내의 탈수기(도시하지 않음)에서 탈수된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반송 덕트(69)를 거쳐서 풍력 선별기(97)내로 공급되고 중량물인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선별물 배출부(100)를 거쳐서 회수 용기(101)내로 낙하하여 회수된다.
한편, 초경량물(e)은 풍력 선별기(97)의 상부 배출부(99)를 거쳐서 제 1 사이클론(86)내로 공기 압송되어, 밀폐식 회수 용기(87)내로 낙하하여 회수된다. 이때, 제 1 압송 공기 경로의 순환 경로에 있어서, 송풍기(68)로부터의 공급 풍량이 흡기구(68a)에서의 흡입 풍량의 대략 8할로 하고 있으므로, 제 1 사이클론(86)내와 밀폐식 용기(87)내와 풍력 선별기(97)내는 부압으로 되어, 풍력 선별기(97)의 선별물 배출부(100)로부터 약간 공기를 흡입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른 동작은 상기 제 1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로 물 비중 선별한 후의 폴리프로필렌 수지(a)와, 다 회수되지 않고 남은 적은 양의 초경량물(e)이 혼입한 파쇄물의 절대량이 감소한 단계에서, 한번더 초경량물(e)을 풍력 선별하므로 이물질 혼입이 적은 폴리프로필렌 수지(a)를 탈수된 상태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물 비중 선별로 분리한 스티렌계 수지(b)를 탈수한 상태로 회수할 수 있으므로 열 재활용에도 즉시 제공할 수 있다.
(제 14 실시예)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 사이에 수중 파쇄기(75)를 설치하고,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배출부(56), 수중 파쇄기(75)의 파쇄실부(75a)를 연결하고, 수중 파쇄기(75)의 토출부(75b)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2 원료 공급부(45)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3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철을 회수한 후의 폐가전 제품의 나머지 파쇄물을 2차 파쇄기(도시하지 않음)에서 10㎜에서 15㎜ 정도의 파쇄물로 하여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공급한다. 공급된 파쇄물중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선별로 뜬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이 배출부(56)로부터 스크루식 배출 장치(57)를 거쳐서 대략 일정한 혼합비로 수중 파쇄기(75)의 파쇄실(75a)로 공급된다.
공급된 파쇄물은 파쇄실(75a)에서 5㎜ 내지 10㎜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되어, 토출부(75b)에서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내로 제 2 원료 공급부(45)를 거쳐서 공급된다. 다른 동작은 상기 제 1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에는 5㎜에서 10㎜ 정도의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비가 대략 일정하게 공급되므로, 파쇄물끼리의 얽힘이나 중첩이 없어, 폴리프로필렌 수지(a)의 분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물질 혼입을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중 파쇄기(75)로 파쇄할 때에, 선별수중에서 파쇄물끼리의 마찰이 발생함으로써, 파쇄물 표면을 세정하는 작용이 얻어져, 폴리프로필렌 수지(a) 표면의 금속가루 부착량이나 오염 부착량이 적어진다. 따라서, 재료 재활용에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 수지(a)를 얻을 수 있다.
(제 15 실시예)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중액 선별기(134)의 상부방향으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도시하지 않음)의 바닥부(53a)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도시하지 않음)의 제 1 회수용 배관(47)으로부터 분리된 선별수에 침전하는 수지 그룹[폴리스티렌계 수지(b)가 주 구성물인 혼합 수지]이 공급되는 제 2 사이클론(89)의 하부 배출부(89a)에 원료 공급부(135)를 설치하고, 제 2 사이클론(89)의 상부 배기부(89b)는 집진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원료 공급부(135)의 하향으로는 선별 용기(136)와 내부에 가압 스크루(137)를 배치한 오버플로부(138)로 구성하는 비중액 선별기(134)를 설치하고, 선별 용기(136)의 바닥부(136a)와 고체 액체 분리기(139)를 연결하고, 고체 배출부(139a)는 탈수기(140)를 거쳐서 제 5 사이클론(141)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고체 액체 분리기(139)의 배수부(139b)와 탈수기(140)의 배수부(140a)는 펌프(142)를 거쳐서 저수조(143)에 연결하는 제 1 비중액의 경로(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5 사이클론(141)의 하부 배출부(141a)에는 밀폐식 회수 용기(143)를 설치하고, 상부 배기부(141b)를 집진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고 있다. 한편, 오버플로부(138)는 고체 액체 분리기(144)와 연결하고, 고체 배출부(144a)는 탈수기(145)를 거쳐서 제 6 사이클론(146)과 연결하고 있다. 또한, 고체 액체 분리기(144)의 배수부(144b)와 탈수기(144)의 배수부(145a)는 펌프(147)를 거쳐서 저수조(143)에 연결하는 제 2 비중액의 경로(B)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6 사이클론(146)의 하부 배출구(146a)에는 밀폐식 회수 용기(148)를 설치하고, 상부 배기부(146b)를 집진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저수조(143)는 펌프(149)를 거쳐서 비중액 선별기(134)의 상향에 설치한 원료 공급부(135)와 연결하여 비중액을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비중액은 탄산염으로 비중을 1.2로 조정한 것이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14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도시하지 않음)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도시하지 않음)로 물 비중 선별되어 물에 침전된 폴리스티렌계 수지(b)를 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수지 그룹과 선별수의 혼합물이 고체 액체 분리기(76)에서 수지 그룹과 선별수로 분리되어, 수지 그룹이 탈수기(88)를 거쳐서 제 2 사이클론(89)으로 공급된다. 제 2 사이클론(89)으로 공급된 수지 그룹은 하부 배출부(89a)에서 원료 공급부(135)를 거쳐서, 순환하는 비중액(하기에 설명함)과 함께 비중액 선별기(134)로 공급된다.
이때, 비중액은 비중액 선별기(134)의 선별 용기(136)의 바닥부(136a)에서 제 1 비중액의 순환 경로(A)와, 비중액 선별기(134)의 오버플로부(138)로부터 제 2비중액의 순환 경로(B)를 지나서 저수조(143)와 펌프(149)와 원료 공급부(135)를 거쳐서 순환하고 있으므로, 비중액 선별기(134)의 비중액의 액면은 오버플로부(138)측으로 흐르고 있다.
여기서, 비중액 선별기(134)로 공급된 수지 그룹중, 이전 공정의 물 비중 선별에서 스티렌계 수지(b)에 혼입하고 있던 염화비닐 수지(c)는 비중액의 비중 1.2보다 비중이 크므로, 비중액의 흐름에 저항하여 선별 용기(136)에 침전되어, 바닥부(136a)에서의 비중액의 흐름에 흡입되어 고체 액체 분리기(139)로 공급되고, 염화비닐 수지(c)는 고체 배출부(139a)에서 탈수기(140)를 거쳐서 제 5 사이클론(141)에 공급되어 하부 배출구(141a)에서 밀폐식 회수 용기(143)로 회수된다.
또한, 고체 액체 분리기(139)의 배수부(139b)에서 분리된 비중액과, 탈수기(140)의 배수부(140a)에서 탈수된 비중액이 펌프(142)를 거쳐서 저수조(143)로 이송된다. 한편, 비중이 1.2보다 작은 비중액에 뜨는 폴리스티렌계 수지(b)를 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수지 그룹은 오버플로부(138)로부터 가압 스크루(137)를 거쳐서 고체 액체 분리기(144)로 공급되어, 수지 그룹은 고체 배출부(144a)에서 탈수기(145)를 거쳐서 제 6 사이클론(146)으로 공급되어 하부 배출구(146a)에서 밀폐식 회수 용기(148)로 회수된다.
또한, 고체 액체 분리기(144)의 배수부(144b)에서 분리된 비중액과, 탈수기(145)의 배수부(145a)에서 탈수된 비중액이 펌프(147)를 거쳐서 저수조(143)로 이송된다. 저수조(143)의 비중액은 펌프(149)를 거쳐서 비중액 선별기(134)의원료 공급부(135)로 순환된다. 이때, 제 5 사이클론(141)의 상부 배기부(141b)와 제 6 사이클론(146)의 상부 배기부(146b)에서 집진기(도시하지 않음)로 배기된다. 다른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1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이전 공정의 물 비중 선별로 분리된 스티렌계 수지(b)를 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수지 그룹으로부터 혼입한 염화비닐 수지(c)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스티렌계 수지(b)를 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수지 그룹은 고온 화로 환원재나 보일러 연료의 바람직한 재료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염화비닐 수지(c)는 화로의 내화물을 손상시키거나, 철의 용융 점도를 변화시키므로, 매립 또는 탈염소 처리후에 연료 재료로 한다.
(제 16 실시예)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1 선별 용기(52)의 바닥부(52a)를 저수조(50)에 연결하고,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2 선별 용기(53)의 바닥부(53a)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1 회수용 배관(47)을 고체 액체 분리기(76)를 거쳐서 배수부(76b)를 저수조(50)에 연결하고 있다. 저수조(50)는 펌프(150)를 거쳐서 점선부로 도시하는 오수 처리 장치(오수 처리 수단)(151)의 오수 공급부(152)에 연결하여 오수 공급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오수 처리 장치(151)는 응집 분리 장치이고, 응집제 반응조(153), 블럭(응집물) 숙성조(154) 및 블럭 분리조(155)로 구성되고, 응집 반응조(153)에는 제 1 교반기(156a) 및 응집제 투입 장치(157)[정량 펌프(157a)를 가짐]를 설치하고, 블럭 숙성조(154)에는 제 2 교반기(156b)를 설치하고, 응집 반응조(153)와 블럭 숙성조(154)의 경계는 제 1 오버플로부(158)를 형성하고 있다.
블럭 분리조(155)에는 제 2 오버플로부(159)와, 제 1 안내판(160a)과, 제 2 안내판(160b)과, 제 3 안내판(160c)과, 제 4 안내판(160d)과, 경사판(161)과, 채수홈(採水溝)(162)과, 바닥부의 슬러지 배출용 밸브(16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블럭 분리조(155)의 채수홈(162)은 저수조(164)에 배관(165)으로 연결되어 있고, 저수조(164)는 펌프(166)를 거쳐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원료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15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 완료 전력화 제품의 파쇄물을 물 비중 선별하면, 선별수는 파쇄시에 발생한 금속가루, 비철가루, 중금속가루, 또한 사용시에 부착되어 있던 진흙, 솜형 먼지(綿埃), 먼지(塵埃) 등에 의해 선별수가 오염된다. 이때,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1 선별 용기(52)의 바닥부(52a)에서 오염된 선별수(이하, 오수라고 함)가 저수조(50)로 이송된다.
또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의 제 2 선별 용기(53)의 바닥부(53a)로부터, 그리고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제 1 회수용 배관(47)으로부터의 오수가 고체 액체 분리기(76)를 거쳐서 저수조(50)로 이송된다. 저수조(50)에 모인 오수는 펌프(150)와 오수 공급부(152)를 거쳐서 응집제 반응조(153)로 공급된다. 응집제 반응조(153)에서는 오수와, 응집제 투입 장치(157)의 정량 펌프(157a)에 의해서 투입된 응집제가 제 1 교반기(156a)에 의해서 저속으로 교반되어, 오염성분과 응집제가 반응하여 응집물(이하, 블럭이라고 함)을 생성한다.
응집제 반응조(153)의 처리수는 제 1 오버플로부(158)를 거쳐서 블럭 숙성조(154)로 넘쳐흐른다. 블럭 숙성조(154)에서는 제 2 교반기(156b)에 의해서 저속으로 교반하여, 미반응으로 넘쳐 흘러온 오염 성분과 응집제를 반응시켜 블럭을 숙성시킨다. 여기서, 블럭 숙성조(154)의 처리수는 제 2 오버플로부(159)를 거쳐서 블럭 분리조(155)로 넘쳐흐른다.
블럭 분리조(155)에서는 제 1 안내판(160a)과 제 2 안내판(160b) 사이를 지나, 제 3 안내판(160c)을 따라 바닥부까지 유도되고, 처리수는 제 3 안내판(160c)과 제 4 안내판(160d) 사이에서 다수의 경사판(161) 사이를 지나 상부방향으로 유도된다. 경사판(161) 사이를 통과할 때에, 처리수는 블럭과 깨끗한 선별수(이하, 정화수라고 함)로 분리하고, 블럭은 블럭 분리조(155)의 바닥부에 침강하여 퇴적한다.
정화수는 채수홈(162)으로부터 배관(165)을 거쳐서 저수조(164)에 모이고, 저수조(164)의 정화수는 펌프(166)를 거쳐서 선별수로서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원료 공급부(43)와 샤워부(132)로부터 순환된다. 다른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15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폐가전 제품의 파쇄물의 물 비중 선별을 하면서, 선별수중의 파쇄물의 오염을 분리하여 선별수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물 비중 선별에 의해서 선별한 플라스틱이 선별수의 오염에 의해서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별수의 비중이 물 비중 선별에 지장이 발생할 때까지 닫힌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침강식 응집 분리 방법이지만, 가압수를 이용하는 부상식 응집 분리 방법이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17 실시예)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에 수산화나트륨의 자동 투입기(167)[정량 펌프(167a)를 가짐]를 설치하고, 저수조(50)에 PH 측정기(168)를 설치하고, PH 제어 장치(169)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6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저수조(50)로 이송된 오수(오염된 선별수)의 PH값이 PH 9.0 이하라고 PH 측정기(168)가 검지하면, PH 제어 장치(169)는 PH 측정기(168)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해서, 수산화나트륨 자동 투입기(167)의 정량 펌프(167a)를 동작시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로 공급한다.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순환하는 선별액으로 확산되어 저수조(50)의 선별액의 PH값이 PH 10이라고 PH 측정기(168)가 검지하면, PH 제어 장치(169)는 PH 측정기(168)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해서, 수산화나트륨 자동 투입기(167)의 정량 펌프(167a)를 정지한다. 다른 동작은 상기 제 16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순환하는 선별액과 오수는 PH 9에서 PH 10 사이로 유지된다. 여기서, 파쇄물과 함께 선별수중에 들어간 납 등의 중금속은 거의 용해되지 않고, 선별수중에 미용해의 SS(부유 입자)로 되어 존재하므로, 중금속의 대부분을 응집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선별수중의 중금속 양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분리 회수하는 플라스틱의 중금속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8 실시예)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수조(50)로부터 오수를 공급하는 펌프(150)와, 응집제 반응조(153) 사이에 제 3 교반기(156c)와 중금속 키일레이트제(chelating agent) 투입 장치(170)[정량 펌프(170a)를 가짐]를 배치한 중금속 반응조(171)를 설치하고, 중금속 반응조(171)로부터 응집제 반응조(152)로 넘쳐흐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6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저수조(50)로부터 펌프(150)를 거쳐서 중금속 반응조(171)로 오수가 공급됨과 동시에, 중금속 키일레이트제 투입 장치(170)에서 정량 펌프(170a)에 의해서 중금속의 키일레이트제가 중금속 반응조(171)로 공급된다.
중금속 반응조(171)내에서는 제 3 교반기(156c)의 교반에 의해서 오수중에 용해하여 있는 중금속 이온과 중금속의 키일레이트제가 반응하여 물에 불용성 물질로 변하여 응집제 반응조(153)로 넘쳐흐른다. 응집제 반응조(153)에서는 다른 오염 성분과, 중금속의 물에 불용성인 물질은 응집제에 의해서 블럭을 생성한다. 다른 동작은 상기 제 16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응집 분리법으로 분리할 수 없는 물에 용해한 중금속을 물에 불용성의 물질로 바꿈으로써, 오수로부터 중금속을 분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7 실시예보다 중금속을 완전히 오수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제 19 실시예)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수조(50)에 제 1 혼탁도 계기(제 1 혼탁도 검지 수단)(172)와, 저수조(164)에 제 2 혼탁도 계기(제 2 혼탁도 검지 수단)(173)와, 응집제 반응조(153)에 벤토나이트(광물성 점토) 분산 용액을 정량 투입하는 벤토나이트 투입 장치(174)[정량 펌프(174a)와 교반기(174b)를 가짐]와, 제 1 혼탁도 계기(172)와 제 2 혼탁도 계기(173)의 신호를 검지하여 응집제 투입 장치(157)와 벤토나이트 투입 장치(174)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75)를 설치하고, 또한 저수조(164)에 비중계(비중 검지 수단)(176)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7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부상 침강식 물 비중 선별기(42)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로부터 저수조(50)로 공급된 오수의 오염 정도(혼탁도)를 제 1 혼탁도 계기(172)가 검지한다. 또한, 오수 처리 장치(151)로부터 저수조(164)에 공급된 정화수의 혼탁도를 제 2 혼탁도 계기(173)가 검지한다.
이때, 사전에 제어 장치(175)에 제 1 혼탁도 계기(172)의 혼탁도값(a1)과, 제 2 혼탁도 계기(173)의 혼탁도값(b1)을 설정하고 있어, 제 1 혼탁도 계기(172)의 혼탁도값이 a1보다 크고, 또한 제 2 혼탁도 계기(172)의 혼탁도값이 b1보다 클 때에는 제어 장치(175)는 응집제 투입 장치(157)의 응집제를 응집 반응조(153)에 투입하는 정량 펌프(157a)를 연속 가동시킨다.
또한, 제 1 혼탁도 계기(172)의 혼탁도값이 a1보다 크고, 또한 제 2 혼탁도계기(173)의 혼탁도값이 b1보다 작아졌을 때에는 제어 장치(175)는 벤토나이트 투입 장치(174)로부터 벤토나이트 용액을 투입하는 정량 펌프(174a)를 연속 가동시킨다.
이것은 오수중에 포함된 오염 성분의 양이 오수 처리에 의해서 감소했기 때문에 응집제의 양이 과잉으로 되고 있고, 벤토나이트를 응집제 반응조(153)에 공급함으로써, 벤토나이트가 블럭 생성의 핵이 되어 오염 성분을 응집시킴과 동시에 과잉의 응집제를 소비하여 정화수중에 미반응의 응집제가 남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1 혼탁도 계기(171)의 혼탁도값이 a1보다 작고, 제 2 혼탁도 계기(173)의 혼탁도값이 b1보다 작아졌을 때에, 응집제 투입 장치(157)의 정량 펌프(157a)와 벤토나이트 투입 장치(174)의 정량 펌프(174a)를 제어 장치(175)가 정지시킨다.
또한, 선별수중에 파쇄물이 가지고 들어온 염류가 용해하여, 서서히 비중이 상승하지만, 폴리프로필렌 수지(a)와 스티렌계 수지(b)를 물 비중 선별하는 데 지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비중 1.02를 비중계(176)가 검지했을 때에,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의 제어기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램프 표시하여, 선별수의 교체 시기인 것을 알리는 것이다. 다른 동작은 상기 제 17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결과, 오수의 오염 정도와 오수 처리의 진행 상황에 따라 응집제와 벤토나이트의 투입 개시와 정지를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비중 선별수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어 선별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0 실시예)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반송 덕트(69)와 제 1 풍력 선별기(97a)를 연결하여, 제 1 풍력 선별기(97a)의 선별물 배출부(100a)의 하향에 교반기(177a)를 갖는 산 세정조(178)를 설치하고, 산 세정조(178)의 배출부(178a)와, 제 1 고체 액체 분리기(179a)의 고체 배출부(179a1)를 거쳐서 제 2 풍력 선별기(97b)를 연결하고, 제 2 풍력 선별기(97b)의 선별물 배출부(100b)의 하향에 교반기(177b)를 갖는 알카리 세정조(180)를 설치하고 있다.
알카리 세정조(180)의 배출부(180a)와, 제 2 고체 액체 분리기(179b)의 고체 배출부(178b1)를 거쳐서 제 3 풍력 선별기(97c)를 연결하고, 제 3 풍력 선별기(97c)의 선별물 배출부(100c)의 하향에 교반기(177c)를 갖는 수세조(水洗槽)(181)를 설치하고, 수세조(181)의 배출부(181a)와, 제 3 고체 액체 분리기(179c)의 고체 배출부(179c1)를 거쳐서 탈수기(182)를 연결하고, 탈수기(182)와, 하부에 밀폐식 회수 용기(184)를 배치한 제 7 사이클론(183)을 연결하고 있다.
이때, 제 1 고체 액체 분리기(179a)의 액체 배출부(179a2)는 제 1 펌프(185a)를 거쳐서 산 세정조(178)로 순환시키고, 제 2 고체 액체 분리기(179b)의 액체 배출부(179b2)는 제 2 펌프(185b)를 거쳐서 알칼리 세정조(180)로 순환시키고, 제 3 고체 액체 분리기(179c)의 액체 배출부(179c2)는 제 3 펌프(185c)를 거쳐서 수세조(181)로 순환하고, 탈수기(182)의 탈수액에 대해서도 제 4 펌프(185d)를 거쳐서 수세조(181)로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풍력 선별기(97a)의 상부의 배출부(99a1)와, 제 2 풍력 선별기(97b)의 상부의 배출부(99a2)와, 제 3 풍력 선별기(97c)의 상부의 배출부(99a3)는 하부에 밀폐식 회수 용기(87)를 배치한 제 1 사이클론(86)에 연결하고, 풍력 선별기(제1 내지 제 3 풍력 선별기)내가 부압이 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사이클론(86)의 상부 배기부(86b)와, 제 7 사이클론(183)의 상부의 배기부(183b)는 집진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1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폐가전 제품의 파쇄물을 물 비중 선별하여 탈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a)가 종형 원심식 물 비중 선별기(44)의 반송 덕트(69)를 거쳐서 제 1 풍력 선별기(97a)내로 공기 압송되고, 선별물 배출부(100a)에서 염산을 수용하는 산 세정조(178)내로 공급된다. 산 세정조(178)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교반기(177a)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파쇄 수지 표면에 부착하여 있는 철이나 비철이 용해 제거되고, 배출부(178a)와 고체 액체 분리기(179a)를 거쳐서 제 2 풍력 선별기(97b)내로 공기 압송되어, 선별물 배출부(100b)에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수용하는 알칼리 세정조(180)내로 공급된다.
알칼리 세정조(180)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교반기(177b)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파쇄 수지 표면에 남은 산 부분을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중화하여, 배출부(180a)와, 제 2 고체 액체 분리기(179b)를 거쳐서 제 3 풍력 선별기(97c)내로 공기 압송되어, 선별물 배출부(100c)에서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세조(181)내로 공급된다.
수세조(181)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파쇄 수지 표면에 남은 알칼리 부분을 세정하여 떨어뜨려 배출부(181a)와, 제 3 고체 액체 분리기(179c)를 거쳐서 탈수기(182)내로 공급된다. 탈수기(182)에서 탈수된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제 7 사이클론(183)으로 공기 압송되어 밀폐식 회수 용기(184)내로 회수된다.
이때, 산 세정조(178)의 배출부(178a)에서 배출된 염산은 제 1 고체 액체 분리기(179a)와, 제 1 펌프(185a)를 거쳐서 제 1 산 세정조(178)의 상부로 순환시키고 있다. 또한, 알칼리 세정조(180)의 배출부(180a)에서 배출된 수산화나트륨 용액은 제 2 고체 액체 분리기(179b)와 제 2 펌프(185b)를 거쳐서 알칼리 세정조(180)의 상부로 순환시킨다.
또한, 수세조(181)의 배출부(181a)에서 배출된 세정수는 제 3 고체 액체 분리기(179c)와 제 3 펌프(185c)를 거쳐서 수세조(181)의 상부로 순환시킨다. 탈수기(182)의 탈수액에 대해서도 제 4 펌프(185d)를 거쳐서 수세조(181)의 상부로 순환시킨다. 다른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19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에 따르면, 대량으로 폐가전의 플라스틱 파쇄물의 물 비중 선별을 실행하여, 가전 제품에서 가장 대량으로 사용되어 범용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올레핀계 수지)를 다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재료 재활용할 수 있는 고순도로 선별 회수할 수 있으며, 물 비중에 의해 선별하기 전에풍력 선별 수단에 의해서 필름이나 발포 스티롤 등의 초경량물을 분리하므로, 더욱 이물질 혼입이 적은 고순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비중액의 비중을 1.1로 설정하여, 가전 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범용 수지중에서 2번째로 사용량이 많은 스티렌계 수지를 고순도로 분리 회수할 수 있다.

Claims (34)

  1.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폐가전 제품의 파쇄물, 또는 상기 파쇄물과 선별수를 공급하는 제 1 원료 공급 수단과, 상기 제 1 원료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공급 원료를 상기 파쇄물의 비중 차이로 적어도 2 종류의 파쇄물로 선별하는 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와, 상기 적어도 2 종류로 선별한 파쇄물중 경량물과 선별수를 후공정으로 공급하는 제 1 공급 수단과, 상기 제 1 공급 수단으로부터 이송된 경량물과 선별수에 원심력을 작용시켜 다시 물에 침전하는 파쇄물과 물에 뜨는 파쇄물로 선별하는 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와, 상기 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에서 사용한 선별수를 상기 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의 상류측으로 순환시키는 선별수 순환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가 중(重) 비중물(동선, 알루미늄 조각 등의 비철류)과 중간 비중물(물에 침전하는 파쇄물)과 경(輕) 비중물(물에 뜨는 파쇄물)로 선별하는 물 비중 선별 용기를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가 연직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고 내측에 선별수를 수용하는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중심축상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 드럼내에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원통체와, 상기 회전 드럼의 바닥부측에 제 1 회수 수단과, 상기 회전 드럼의 상부에 제 2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와, 상기 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 사이에 파쇄물의 비중 차이로 적어도 2 종류의 파쇄물로 선별하는 하나 이상의 물 비중 선별 장치(제 3 내지 제 n의 물 비중 선별 장치)를 설치하고, 이전 공정의 물 비중 선별 장치로부터 다음 공정의 물 비중 선별 장치에 경량물과 선별수를 공급하는 제 2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비중 선별 장치 사이에 수중 파쇄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비중 선별 장치로부터 회수한 파쇄물과 선별수를 분리하는 고체 액체 분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체 액체 분리 수단에 연결하여 선별수 순환 수단을 설치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액체 분리 수단이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고체 액체 공급 수단과, 상기 고체 액체 공급 수단에서 공급된 상기 파쇄물과 선별수를 분리하여 선별수를 분리한 파쇄물을 반송하는 고체 액체 분리 반송 수단과, 상기 고체 액체 분리 반송 수단에 의해서 반송된 파쇄물을 회수하는 고체 회수 수단과, 적어도 고체 액체 분리 반송 수단 또는 고체 회수 수단중 어느 하나에 설치하여 파쇄물의 막힘을 방지하는 막힘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8.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의 제 2 회수 수단 또는 고체 액체 분리 수단중 어느 하나의 다음 단에 탈수 수단과, 이것에 의해 탈수한 파쇄물을 회수하는 제 3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수단의 다음 단에 풍력 반송 수단과, 풍력 선별 수단과, 상기 풍력 선별 수단에 의해서 분리한 초경량물을 회수하는 제 3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선별 수단이 중심축이 대략 연직 방향의 대략 원통형상의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상단부의 배출부에 연결하여 초경량물을 회수하는 제 3 회수 수단과, 상기 원통체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경 비중물을 배출하는 선별물 배출부와, 상기 원통체의 하부에 설치하여 경사 상부방향에서 대략 접선 방향으로 원료가 상기 원통체내로 공기 압송되는 제 2 원료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파쇄물의 압송과 상기 풍력 선별 수단의 풍력을 공급하는 압송 수단 겸용 풍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송 수단 겸용 풍력 공급 수단의 분출구를 분기하고, 일단부를 상기 풍력 선별 수단의 풍력 공급측에 연결하고, 타단부를 공기 배기부로 하고, 상기 풍력 선별 수단의 상부는 제 3 회수 수단을 거쳐서 상기 압송 수단 겸용 풍력 공급 수단의 공기 흡입구와 연결하고, 상기 풍력 선별 수단내를 부압 상태로 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12.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폐가전 제품을 1차 파쇄한 후에 자력 선별기로 철을 회수한 나머지 파쇄물을 다시 재파쇄하는 2차 파쇄 수단과, 상기 2차 파쇄 수단에 의해서 재파쇄된 파쇄물을 선별하는 풍력 선별 수단과, 상기 2차 파쇄 수단으로부터 상기 풍력 선별 수단으로 파쇄물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풍력 선별 수단으로부터 파쇄물이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 비중을 기준으로 파쇄물을 선별하는 물 비중 선별 장치를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파쇄 수단과 상기 물 비중 선별 장치 사이에 파쇄물의 원료 정량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파쇄 수단으로 파쇄한 파쇄물의 압송과 상기 풍력 선별 수단의 풍력을 공급하는 압송 수단 겸용 풍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송 수단 겸용 풍력 공급 수단의 분출구를 분기하고, 일단부를 상기 풍력 선별 수단의 풍력 공급측에 연결하고, 타단부를 공기 배기부로 하고, 상기 풍력 선별 수단의 상부는 제 3 회수 수단을 거쳐서 상기 압송 수단 겸용 풍력 공급 수단의 공기 흡입구와 연결하고, 상기 풍력 선별 수단내를 부압 상태로 하는 풍력 선별 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물 비중 선별 장치는 물(선별수)과의 비중 차이와 선별수의 흐르는 힘의 작용으로 선별하는 부상 침강식이고, 그 수면상에 샤워부를 설치하여, 압송 수단 겸용 풍력 공급 수단의 공기 배기부의 일단부로부터 공기를 상기 샤워부로 통과시키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단의 물 비중 선별 장치로서 배치한 제 1 물 비중 선별 장치가 중 비중물(동선, 알루미늄 조각 등의 비철류)과 중간 비중물(물에 침전하는 수지)과 경 비중물(물에 뜨는 수지)로 선별하는 물 비중 선별 용기를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최종 단계의 물 비중 선별 장치(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가 연직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고 내측에 선별수를 수용하는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중심축상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 드럼내에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을 공급하는원통체와, 상기 회전 드럼의 바닥부측에 제 1 회수 수단과, 상기 회전 드럼의 상부에 제 2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비중 선별 장치로부터 회수한 파쇄물과 선별수를 분리하는 고체 액체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액체 분리 수단이 파쇄물과 선별수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고체 액체 공급 수단과, 상기 고체 액체 공급 수단에서 공급된 상기 파쇄물과 선별수를 분리하여 선별수를 분리한 파쇄물을 반송하는 고체 액체 분리 반송 수단과, 상기 고체 액체 분리 반송 수단에 의해서 반송된 파쇄물을 회수하는 고체 회수 수단과, 적어도 고체 액체 분리 반송 수단 또는 고체 액체 회수 수단중 어느 하나에 설치하여 파쇄물의 막힘을 방지하는 막힘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적어도 최종 단계의 비중 선별 장치(제 2 물 비중 선별 장치)의 제 2 회수 수단 또는 고체 액체 분리 수단중 어느 하나의 다음 단에 탈수 수단과, 이것에 의해 탈수한 파쇄물을 회수하는 제 3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수단의 다음 단에 풍력 반송 수단과, 풍력 선별 수단과, 상기 풍력 선별 수단에 의해서 분리한 초경량물을 회수하는 제 3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선별 수단이 중심축이 대략 연직 방향인 대략 원통형상의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상단부에 연결하여 초경량물을 회수하는 제 3 회수 수단과, 상기 원통체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초경량물이외의 파쇄물을 배출하는 선별물 배출부와, 상기 원통체의 하부에 설치하여 경사 상부방향에서 대략 접선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에 원료를공급하는 제 2 원료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비중 선별 장치 사이에 수중 파쇄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4.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폐가전 제품의 파쇄물의 비중 차이로 적어도 2 종류의 파쇄물로 선별하는 물 비중 선별 장치와, 상기 파쇄물을 선별수로부터 분리하는 고체 액체 분리 수단과, 비중을 1.05 초과 1.4 미만으로 조정한 비중액을 선별수로 하여 상기 고체 액체 분리 수단에 의해서 선별수를 분리한 파쇄물을 비중 선별하는 비중액 선별 장치를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액체 분리 수단에 의해서 선별수를 분리한 파쇄물을 탈수하는 탈수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6.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폐가전 제품의 파쇄물의 비중 차이로 적어도 2 종류의 파쇄물로 선별하는 물 비중 선별 장치와, 상기 파쇄물을 물 비중 선별하는 작용에 기여한 오수의 오염 성분을 분리하는 오수 처리 수단과, 상기 오수 처리 수단에 의해서 처리한 처리수를 물 비중 선별 장치로 순환시키는 처리수 순환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처리 수단이 응집 분리 장치인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 분리 장치가 교반기를 포함한 응집제 반응조와, 상기 응집제 반응조에서 발생한 블럭(응집물)을 성장시키는 블럭 숙성조와, 상기 블럭 숙성조에 연통한 블럭과 정화수(처리 완료된 깨끗한 선별수)로 분리하는 블럭 분리조로 구성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물 비중 선별하는 선별수의 PH를 측정하는 PH 계기와, 알칼리를 공급하는 알칼리 공급 수단과, 상기 PH 계기의 PH값에 근거하여 상기 알카리 공급 수단을 제어하는 PH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처리 수단 또는 상기 응집 분리 장치에 중금속 키일레이트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31. 제 2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폐가전 제품의 파쇄물을 물 비중 선별하는 작용에 기여한 오수의 혼탁도를 검지하는 제 1 혼탁도 검지 수단, 또는 오수 처리 수단으로 처리한 처리물의 혼탁도를 검지하는 제 2 혼탁도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비중 선별 장치의 선별수의 비중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33. 제 1 항, 제 12 항, 제 24 항 또는 제 2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 비중 선별 장치의 플라스틱 배출부의 다음 단에 플라스틱의 세정 수단을 포함하는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의 세정 수단이 산 세정 장치인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KR10-2001-0045941A 2000-12-27 2001-07-30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KR100418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7669A JP4660925B2 (ja) 2000-12-27 2000-12-27 廃家電再資源化処理装置
JPJP-P-2000-00397669 2000-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697A true KR20020053697A (ko) 2002-07-05
KR100418234B1 KR100418234B1 (ko) 2004-02-11

Family

ID=1886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941A KR100418234B1 (ko) 2000-12-27 2001-07-30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60925B2 (ko)
KR (1) KR100418234B1 (ko)
CN (2) CN2512525Y (ko)
TW (1) TWI22498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03B1 (ko) * 2007-02-12 2009-06-29 서흥인테크(주)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CN104403123A (zh) * 2014-12-02 2015-03-11 安徽神剑新材料股份有限公司 用于聚酯树脂粉末原料回收再利用的装置
CN104403125A (zh) * 2014-12-02 2015-03-11 安徽神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聚酯树脂粉末原料回收再利用装置
KR101579613B1 (ko) 2014-06-12 2015-12-22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력드럼을 이용한 폐전자제품의 스테인리스금속 선별장치
KR20190007302A (ko) 2017-07-12 2019-01-22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810A (ja) * 2003-09-26 2005-04-14 Dowa Mining Co Ltd 混合粒体の分離方法
JP4953254B2 (ja) * 2008-08-05 2012-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Led搭載製品の処理方法
JP2010120762A (ja) * 2008-11-20 2010-06-03 Kumakura Industry Co Ltd 空気輸送システム
JP4964256B2 (ja) * 2009-01-19 2012-06-27 秋田エコプラッシュ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KR101051989B1 (ko) * 2009-11-10 2011-07-26 김진수 폐피씨비로부터 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48490B1 (ko) * 2009-11-27 2010-03-18 서흥인테크(주)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방법
CN102198421A (zh) * 2011-03-03 2011-09-28 株洲长江硬质合金工具有限公司 Yg、yt类废旧硬质合金的分选方法及分选装置
CN103182345A (zh) * 2011-12-29 2013-07-03 上海盛致塑胶科技有限公司 废旧塑料分离系统
CN103213214B (zh) * 2013-01-31 2015-07-22 冯愚斌 旋流型的废塑料破碎分选清洗系统及方法
CN105057084B (zh) * 2015-07-22 2017-08-08 中钢集团马鞍山矿山研究院有限公司 一种采用水介质分选的空心玻璃微珠分离漂选设备
CN107107073B (zh) * 2015-12-03 2018-10-09 竹内智治 重金属分离系统
CN107511945B (zh) * 2016-06-17 2023-05-16 江西格林循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废物塑料的再生处理方法及其装置
CN107351279A (zh) * 2017-08-14 2017-11-17 贵州亿博科技有限公司 用于热塑膜生产设备中的塑料清洁装置
CN107469980B (zh) * 2017-09-30 2019-10-01 安徽荣国环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铝合金破碎清洗回收装置
CN107837875A (zh) * 2017-12-21 2018-03-27 广东德新科技孵化器有限公司 一种高性能的塑料粉碎装置
CN108046398B (zh) * 2018-01-16 2024-02-27 青海洁神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沉降分离制浆设备及沉降分离制浆系统
JP6938414B2 (ja) * 2018-03-28 2021-09-22 Jx金属株式会社 部品屑の処理方法
CN108786966A (zh) * 2018-06-26 2018-11-13 重庆米之吉粮食有限公司 具有稻谷处理筛选处理功能的打米机
CN109127111B (zh) * 2018-08-24 2020-10-16 极简(嘉兴)园林景观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药用铝箔废料回收装置
CN109454095A (zh) * 2018-12-27 2019-03-12 江苏泓润生物质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源头预处理后餐厨废弃物的料仓
AT522427B1 (de) * 2019-04-11 2022-07-15 Erema Eng Recycling Maschinen & Anlagen Gmbh Luftgranulierung
CN110124848B (zh) * 2019-05-17 2021-06-18 尹亚龙 一种塑料比重机
KR102259527B1 (ko) * 2020-12-31 2021-06-02 주식회사 한림에스아이엠 동력전달장치용 이물질 제거 장치
CN113209709B (zh) * 2021-03-31 2022-08-09 青岛康景辉环境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蒸发结晶母液槽循环防淤沉方法
KR102369787B1 (ko) 2021-04-15 2022-03-03 (주)영일자원 폐가전제품 파쇄장치
CN113648676B (zh) * 2021-09-23 2022-07-15 连云港诺信食品配料有限公司 一种丙酸钙生产用蒸发装置
JP7058436B1 (ja) 2021-11-26 2022-04-22 株式会社ダイトク 混合粉砕片材料の分別回収システム及び分別回収方法
CN114918123A (zh) * 2022-06-08 2022-08-19 刘盼 一种新材料制作用原料筛选装置及筛选方法
CN115230020B (zh) * 2022-07-19 2023-10-03 浙江天能电源材料有限公司 一种废旧蓄电池重质塑料智能分选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735A (ja) * 1999-03-03 2000-09-12 Hitachi Ltd 廃プラスチックの分別装置及び方法
JP4543509B2 (ja) * 2000-06-30 2010-09-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破砕物選別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03B1 (ko) * 2007-02-12 2009-06-29 서흥인테크(주)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KR101579613B1 (ko) 2014-06-12 2015-12-22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력드럼을 이용한 폐전자제품의 스테인리스금속 선별장치
CN104403123A (zh) * 2014-12-02 2015-03-11 安徽神剑新材料股份有限公司 用于聚酯树脂粉末原料回收再利用的装置
CN104403125A (zh) * 2014-12-02 2015-03-11 安徽神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聚酯树脂粉末原料回收再利用装置
KR20190007302A (ko) 2017-07-12 2019-01-22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512525Y (zh) 2002-09-25
TWI224983B (en) 2004-12-11
JP4660925B2 (ja) 2011-03-30
JP2002192138A (ja) 2002-07-10
KR100418234B1 (ko) 2004-02-11
CN1216698C (zh) 2005-08-31
CN1360978A (zh) 200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234B1 (ko)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KR101684633B1 (ko) 폐배터리 해체용 수력분리기 및 폐배터리 해체 시스템
US4830188A (en) Plastics separation and recycling methods
US9573139B2 (en) Incineration byproduc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101574641B1 (ko) 폐배터리 분해 장치
IL129037A (en) A process for crumbling waste materials containing components that can be reused at least partially
GB2078138A (en) "Sink-float" separation of plastics from waste material
GB2198662A (en) A process and a device for the treatment of mixed waste such as refuse or its fractions for the recovery of plastics sheet material scrap
JP3566547B2 (ja) 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メタン発酵処理の前処理装置
JP4453190B2 (ja) 廃家電再資源化処理装置の汚水処理装置
JP2008246461A (ja) メタン発酵前処理又は後処理装置、メタン発酵後処理システム及びこれらの方法
CN219058769U (zh) 一种用于去除天然水体低浓度磷一体化应用装置
CN2589466Y (zh) 煤水净化煤泥回收机
CN207525118U (zh) 一种黑臭水体底泥的处理系统
KR100956626B1 (ko) 건설폐기물과 준설토, 정수오니, 폐토사의 파분쇄 및 선별 처리시설
JP4461596B2 (ja) 比重選別装置
JP2006187691A (ja) 破砕産業廃棄物の流水分級と沈降速度を利用した選別方法
CN113334633A (zh) 一种混杂物料的清洗与浮选分离工艺及设备
KR100724730B1 (ko) 청수를 이용한 슬러지 통합 처리방법
RU2606376C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ртути из ртутьсодержащих отходов
JP2003191238A (ja) 廃棄プラスチックを素材リサイクルするための前処理方法及び装置
CN115157485B (zh) 一种微塑料颗粒除杂淘析设备、方法和在微塑料颗粒回收利用的应用
CN216141293U (zh) 一种工业废水处理用气浮装置
CN209999533U (zh) 一种塑胶废料处理水循环系统
CN218743868U (zh) 一种废旧金属分类和洁净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