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040A -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040A
KR20020053040A KR1020020025883A KR20020025883A KR20020053040A KR 20020053040 A KR20020053040 A KR 20020053040A KR 1020020025883 A KR1020020025883 A KR 1020020025883A KR 20020025883 A KR20020025883 A KR 20020025883A KR 20020053040 A KR20020053040 A KR 20020053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terminal
information
sale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게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게이트
Priority to KR1020020025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3040A/ko
Publication of KR2002005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Landscapes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 매장에서 필요로 하는 판매 등록 방식과 인터넷망을 통한 매출, 재고, 고객, 직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 매장, 선불제 매장, 후불제 매장에서 이루어지는 주문 등록 방식과 등록된 모든 데이터를 매출 발생과 동시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본사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전송시키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이 표기되며, 상기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은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주문 전표를 생성하는 테이블 단말기, 상기 테이블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주문 전표를 표시하고, 조리 진행 상황을 입력받는 주방 단말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주문 상황 및 요리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홀 단말기 및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는 카운터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order based on network}
본 발명은 판매 매장에서 필요로 하는 판매 등록 방식과 인터넷망을 통한 매출, 재고, 고객, 직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 매장, 선불제 매장, 후불제 매장에서 이루어지는 주문 등록 방식과 등록된 모든 데이터를 매출 발생과 동시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본사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전송시키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문 방법에서는 음식점에 고객이 들어오면 종업원이 직접 테이블로 가서 주문 내용을 포함하는 주문 전표를 작성하고, 작성한 주문 전표를 주방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매번 주문을 할 때마다 주방까지 이동하여 주문 전표를 전달하여하므로 인력의 손실이 많이 되고, 동선이 길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주문 방법은 주문 전표에 따른 데이터 집계가 실시간으로 입력되지 못 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매출 집계 및 메뉴별 매출 집계, 고객 성향별 매출 집계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주문 방법은 매일, 매주 또는 매월의 매출 집계에 따른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주문 방법은 실시간으로 입력된 고객별 메뉴 선호도를 파악하지 못하므로 재고의 효율적 관리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중앙 본사에서 각 매장에 대한 재고 정도를 파악하지 못하므로 매장간의 재고 물량의 교환 및 거래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주문 방법은 수작업으로 인한 오류와 작업량이 많아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매장, 선불제 매장, 후불제 매장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등록 방식과 등록된 모든 데이터를 매출 발생과 동시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본사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전송시키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포스(POS)란 Point of Sales의 약자로 판매 시점 관리를 뜻한다. POS 시스템은 과거 금전 등록기를 PC POS로 대치함으로써 고객에게 매출 금액을 제시하고 정산할 뿐 아니라, 경영 관리자에게 각종 영업/경영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포스(POS) 시스템은 단품별로 수집한 판매 정보 및 매입, 매송, 재고 관리 등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컴퓨터로 보내어, 필요에 따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로 가공하여 전달하는 종합 경영 정보 시스템을 의미한다. 특히 신규 개발한 포스(POS)는 네트워크의 기능이 추가된 것이다. 포스(POS)는 각 지점의 정보나 자료를 서버에서 일괄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서버와 포스(POS)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 처리하는 C/S(클라이언트/서버)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출 자료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집되어 매출 형태별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문 전표를 주방에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주방 프린터에서 전표가 직접 출력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동선이 짧아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출이 자동 집계될 뿐 아니라 동선이 짧아지므로 불필요한 인력을 감소할 수 있고, 직원들의 교육 시간 또한 단축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확한 집계로 고객의 기호를 파악하여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문 관리 시스템의 경우 정보 시스템실에 위치해 있는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각 매장의 매출 정보 및 재고를 관리하는데, 이것은 네트워크로 각 매장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작업으로 인한 오류와 작업량이 대폭 감소됨에 따라 대고객 서비스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어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단말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담당자 로그인 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등록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합계 리스트 화면의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결재 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품 할인 화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계산 화면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표 현황 화면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현황 화면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품목 집계 현황 화면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담당자별 집계 현황 화면의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별 집계 현황 화면의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리스트 화면의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주문 관리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메인 서버103 : 네트워크
105 : 매장(105a, ...105n을 이하 105라 하기로 함)
107 : 테이블 단말기109 : 카운터 단말기
111 : 주방 단말기113 : 홀단말기
201 : 매장 서버201 : 고객용 표시 장치
203 : 터치 스크린205 : 카드 리더기
207 : 본체209 : 프린터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문 화면에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이 표기되며, 상기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은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주문 전표를 생성하는 테이블 단말기, 상기 테이블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주문 전표를 표시하고, 조리 진행 상황을 입력받는 주방 단말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주문 상황 및 요리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홀 단말기 및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는 카운터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단말기는 매장에 구비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출 정보를 본사의 메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각 매장의 매출과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매출 정보에 대한 백업 파일을 저장하여 데이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단말기는 매장에 구비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출 정보를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세원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단말기는 상기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일일 매출 현황, 주간 매출 현황, 월별 매출 현황, 품목별 집계 현황, 담당자별 집계 현황, 고객별 집계 현황, 마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요금 결제 정보는 현금 결제 정보, 카드 결제 정보, 상품권 결제 정보,접대 결제 정보, 할인 결제 정보, 외상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단말기, 상기 카운터 단말기, 상기 주방 단말기 및 상기 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문 화면은 테이블 이동 또는 합석 시, 테이블 붙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매장 서버가 테이블 단말기, 홀 단말기, 카운터 단말기 및 주방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 단말기의 주문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이 표기되며, 상기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은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문 정보를 관리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상기 테이블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뉴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주문 전표를 생성하고 저장하고, 상기 주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조리 진행 상황을 수신하고, 상기 카운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주문 전표 및 상기 조리 진행 상황은 상기 홀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장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출 정보를 본사의 메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각 매장의 매출과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매출 정보에 대한 백업 파일을 저장하여 데이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단말기는 매장에 구비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출 정보를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세원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일일 매출 현황, 주간 매출 현황, 월별 매출 현황, 품목별 집계 현황, 담당자별 집계 현황, 고객별 집계 현황, 마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요금 결제 정보는 현금 결제 정보, 카드 결제 정보, 상품권 결제 정보, 접대 결제 정보, 할인 결제 정보, 외상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단말기, 상기 카운터 단말기, 상기 주방 단말기 및 상기 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문 화면은 테이블 이동 또는 합석 시, 테이블 붙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품 매장 또는 선불제 매장의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이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주문 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매출 정보는네트워크를 통해 본사의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주문 관리 시스템은 메인 서버(101), 각 매장(105)별 테이블 단말기(107), 카운터 단말기(109), 주방 단말기(111), 홀 단말기(113) 등을 포함한다.
본사의 메인 서버(101)는 네트워크(103)를 통해 각 매장(105)의 카운터 단말기(109)와 연결되어 있다.
고객이 주문한 정보는 각 테이블에 마련된 테이블 단말기(107)를 통해 입력된다. 테이블 단말기(107)에서는 주문 정보에 따른 주문 전표가 생성되며, 주문 전표는 매장(105) 내의 네트워크를 통해 카운터 단말기(109), 주방 단말기(111), 홀 단말기(113)로 전달된다.
주방에서는 주방 단말기(111)를 통해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만들고, 홀에서는 홀 단말기(113)를 통해 음식 주문 상황 및 주문한 음식의 제공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고객이 식사를 완료한 뒤 금액을 계산할 때에서는 카운터에 구비된 카운터단말기(109)를 통해 주문한 메뉴에 대한 결재를 처리할 수 있다.
각 매장(105)에서는 카운터 단말기(109)에 저장된 매출 정보를 통해 일일 매출 정산, 주간 매출 정산, 월별 매출 정산 등을 제공한다. 또한, 각 매장(105)의 카운터 단말기(109)를 통해 품목별 집계 현황, 담당자별 집계 현황, 고객별 집계 현황, 마감 리스트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각 매장(105)의 매출 정보는 네트워크(103)를 통해 본사의 메인 서버(101)로 전송된다. 메인 서버(101)는 각 매장(105)으로부터 전송된 매출 정보를 통해 매장별 매출 관리 및 전체적인 재고 파악 및 재고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주문 관리 시스템은 메인 서버(101), 각 매장(105)별 매장 서버(201), 테이블 단말기(107), 카운터 단말기(109), 주방 단말기(111), 홀 단말기(113) 등을 포함한다.
본사의 메인 서버(101)는 네트워크(103)를 통해 각 매장(105)의 매장 서버(201)와 연결되어 있다.
고객이 주문한 정보는 각 테이블에 마련된 테이블 단말기(107)를 통해 입력된다. 테이블 단말기(107)에서는 주문 정보에 따른 주문 전표가 생성되며, 생성된 주문 전표는 매장 서버(201)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주방의 요리사, 홀의 종업원 등은 매장(105) 내의 카운터 단말기(109), 주방 단말기(111), 홀 단말기(113)를 통해 매장 서버(201)에 저장된 주문 전표를 확인할수 있다. 주방에서는 주방 단말기(111)를 통해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만들고, 홀에서는 홀 단말기(113)를 통해 음식 주문 상황 및 주문한 음식의 제공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고객이 식사를 완료한 뒤 금액을 계산할 때에서는 카운터에 구비된 카운터 단말기(109)를 통해 주문한 메뉴에 대한 결재를 처리할 수 있다.
각 매장(105)에서는 카운터 단말기(109)를 통해 매장 서버(201)에 접속하여 매장 서버(201)에 저장된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일일 매출 정산, 주간 매출 정산, 월별 매출 정산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 단말기(109)를 통해 매장 서버(201)에 접속하여 매장 서버(201)에 저장된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품목별 집계 현황, 담당자별 집계 현황, 고객별 집계 현황, 마감 리스트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각 매장(105)의 매장 서버(201)에 저장된 매출 정보는 네트워크(103)를 통해 본사의 메인 서버(101)로 전송된다. 메인 서버(101)는 각 매장(105)으로부터 전송된 매출 정보를 통해 매장별 매출 관리 및 전체적인 재고 파악 및 재고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단말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운터 단말기(109)는 고객용 표시 장치(201), 터치 스크린(203), 카드 리더기(205), 본체(207), 프린터(209) 등으로 구성된다.
고객용 표시 장치(201)는 고객에게 상품이나 지불 수단 내역 등을 표시하는 장비이다.
터치 스크린(203)은 주문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화면에 대한 사용자 처리를 입력받는 장비이다.
카드 리더기(205)는 신용 카드나 회원 카드 등의 마그네틱으로 만들어진 카드를 읽어 신상 정보를 판독하는 장비이다.
본체(207)는 카드 인식 및 주문 관리와 관련된 각각의 처리를 수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주문 관리 시스템의 타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프린터(209)는 주문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영수증, 카드 전표 및 각종 집계 리스트 인쇄 시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담당자 로그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담당자 로그인 화면(301)은 아이디 입력 부분(303), 비밀 번호 입력 부분(305), 키패드(30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가 카운터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나타난 담당자 로그인 화면(301)의 키패드(307)에서 담당자 아이디를 입력하고 확인(313)을 누르면, 아이디 입력 부분(303)에 입력된 아이디가 표시되고, 아이디에 상응하는 담당자 이름이 나타난다.
담당자 아이디를 입력한 후, 상기 아이디에 상응하는 비밀 번호를 키패드(307)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확인(313)을 누르면, 하기의 도 4의 메뉴 등록 화면(401)이 나타난다.
키패드(307)에서 삭제(309)를 누르면 입력값이 삭제되며, 취소(311)를 누르면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등록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뉴 등록 화면(401)은 매장명 입력 부분(403), 메뉴 대분류 선택 부분(405), 메뉴 코드 입력 부분(407), 메뉴명 입력 부분(409), 단가 입력 부분(411), 메뉴 삽입 버튼(413), 종료 버튼(415), 저장 버튼(417), 주요 메뉴 목록 부분(419) 등을 포함한다.
관리자는 매장명 입력 부분(403), 메뉴 대분류 선택 부분(405), 메뉴 코드 입력 부분(407), 메뉴명 입력 부분(409), 단가 입력 부분(411) 각각에 매장명, 메뉴 대분류, 메뉴 코드, 메뉴명, 단가를 입력한다. 그리고 저장 버튼(417)을 누르면 입력된 메뉴가 매장의 메뉴로 저장되며, 메뉴 삽입 버튼(413)을 누르면 메뉴로 저장됨과 동시에 등록한 메뉴가 주요 메뉴 목록 부분(419)에 추가된다. 관리자는 주요 메뉴 목록 부분(419)에 등록된 메뉴를 이용하여 고객이 자주 주문하는 메뉴를 손쉽게 찾아 주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종료 버튼(415)을 누르면 메뉴 등록 화면(401)이 닫힌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합계 리스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문 합계 리스트 화면(501)은 주문 리스트(503), 닫기 버튼(5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 합계 리스트 화면(501)을 통해 주문 화면에서 분산되어 있던 각 상품에 대한 총 수량과 총 매출을 확인할 수 있다. 주문 리스트(503)에는 각 메뉴별 총 주문 수량과 총 매출 금액이 표시된다. 닫기 버튼(505)을 누르면, 주문 합계 리스트화면(501)이 닫힌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결재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복합 결재 화면(601)은 현금 버튼(603), 현금 금액 입력 부분(605), 카드 버튼(607), 카드 수량 입력 부분(609), 카드 금액 입력 부분(611), 상품권 버튼, 상품권 수량 입력 부분, 상품권 금액 입력 부분, 접대 금액 입력 부분, 금액 할인 입력 부분, 외상 금액 입력 부분, 취소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결재 화면(601)은 품목 총액, 할인액, NET 금액, 세금, 총금액, 받은 돈, 영수증 버튼(613), 완료 버튼(615), 선수금 처리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결재 화면(601)은 두 가지 이상의 금액 계산 방법이 복합적으로 일어날 때 사용한다.
복합 결재 화면(601)에서는 입력된 현금, 카드, 상품권, 접대, 금액 할인, 외상의 각 금액에 따라 품목 총액, 할인액, NET 금액, 세금, 총금액, 받은 돈이 계산되어 표시된다.
입력이 있기 전 복합 결재 화면(601)의 현금 금액 입력 부분(605)에 총 금액이 표시된다. 사용자의 결재 방식에 따라 원하는 결재 방식의 버튼(603, 607 등)을 눌러 금액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금과 카드로 복합 결재를 하는 경우 먼저 현금버튼(603)을 누른다. 그러면 현금 결재 입력 화면(617)이 나타난다. 현금 결재 화면(617)의 키패드(621)를 이용하여 현금으로 결재할 금액을 입력하고 잔돈 계산 버튼(619)을 누르면 결재한 금액과 입력한 금액에 따라 잔돈이 계산된다. 확인(621)을 누르면, 복합 결재 화면(601)의 현금 금액 입력 부분(605)에 입력된 금액이 표시된다.
카드 결재의 경우에는 카드 버튼(607)을 누르고 나타나는 카드 계산 화면(하기의 도 8의 801)을 이용하여 현금 결재 금액 입력과 같은 방식으로 카드 결재 금액을 입력한다. 그러면 복합 결재 화면의 카드 수량 입력 부분(609) 및 카드 금액 입력 부분(611)에 입력된 수량과 금액이 표시된다. 카드 결재 금액 입력은 하기의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합 결재의 금액 입력이 완료되면, 완료 버튼(615)을 눌러 화면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품 할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품 할인 화면(701)은 품목 단가 입력 부분(703), 할인율 입력 부분(705), 할인 방식 선택 부분(707), 키패드(709), 할인 금액(711), 닫기 버튼(7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품목 단가 입력 부분(703)에 할인할 품목의 단가를 입력하고, 할인 방식 선택 부분(707) 및 키패드(709)를 이용하여 할인 비율, 적용 쿠폰 등을 입력한다. 그러면 할인율 입력 부분(705)에 할인율이 표시되고, 할인 금액(711)에는 할인되어 지불할 금액이 표시된다.
닫기 버튼(713)을 눌러 단품 할인 화면(701)을 종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계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카드 계산 화면(801)은 카드 금액 입력 부분(803), 카드 번호 입력 부분(805), 카드명 입력 부분(807), 유효 기간 입력 부분(809), 할부 개월 입력 부분(811), 승인 번호 입력 부분(813), 메세지 입력 부분(815), 키패드(817), 영수증 버튼(819), 완료 버튼(821), 할인 버튼(8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 계산 화면(801)에서는 카드 계산 시 계산 금액 뿐 아니라 카드 번호, 카드명, 유효 기간, 할부 개월 등 카드 정보와 승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카드 리더기 고장 시 카드 계산 화면을 이용하여 카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카드 계산 화면(801)에서는 현금 계산과 동일하게 고객 조회나 영수증 출력이 가능하다.
카드 금액 입력 부분(803)에는 계산해야 할 총금액이 표시된다.
키패드(817)를 이용하여 카드번호, 유효 기간, 할부 개월 등을 입력한 후 승인되면 승인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영수증 버튼(819)을 선택하면, 카드 전표와 영수증이 출력되고 계산이 완료된다. 완료 버튼(821)을 선택하면, 영수증 없이 카드 전표만 출력되고 계산이 완료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표 현황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표 현황 화면(901)에서는 전표별 현황을 알 수 있다.
전표 현황 화면(901)은 영수증 리스트(903), 상세 리스트(905), 매출 집계 버튼(907), 품목 집계 버튼(909), 담당자별 집계 버튼(911), 고객 매출 집계 버튼(913), 체크 리스트 버튼(915)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표 현황 화면(901)은 영수증 재출력 버튼(917), 결재 수정 버튼(919), 검색 버튼(921), 종료 버튼(9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수증 리스트(903)에는 영수증 번호, 최초 주문 시간, 계산 완료 시간, 계산 금액 등이 표시된다. 최초 주문 시간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영수증 번호순으로 표시된다.
상세 리스트(905)에는 영수증 리스트(903)에 표시된 목록 각각에 대한 주문 메뉴, 수량, 금액, 수량 합계, 금액 합계 등이 표시된다.
매출 집계 버튼(907)을 선택하면, 하기의 도 10의 매출 집계 현황 화면(1001)이 나타난다.
품목 집계 버튼(909)을 선택하면, 하기의 도 11의 품목 집계 현황 화면(1101)이 나타난다.
담당자별 집계 버튼(911)을 선택하면, 하기의 도 12의 담당자별 집계 현황 화면(1201)이 나타난다.
고객 매출 집계 버튼(913)을 선택하면, 하기의 도 13의 고객별 집계 현황 화면(1301)이 나타난다.
영수증 리스트(903)에 표시된 영수증 목록 중 하나의 영수증을 선택하고, 체크 리스트 버튼(915)을 선택하면, 상세 리스트(905)에 선택된 영수증에 대한 상세내역이 표시된다.
영수증 재출력 버튼(917)을 선택하면 영수증이 재출력된다. 결재 수정 버튼(919)을 선택하면 결재 정보 수정 화면(미도시)이 나타난다.
검색 버튼(921)을 선택하면, 검색할 영수증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미도시)이 뜬다. 종료 버튼(923)을 선택하면, 전표 현황 화면(901)이 닫힌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현황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매출 집계 현황 화면(1001)을 통해 품목계, 접대, 쿠폰, 총매출액 등의 금액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각 항목별 금액은 점심, 저녁, 합계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출력 버튼(1003)을 선택하면, 매출 집계 현황이 인쇄된다. 종료 버튼(1005)을 선택하면, 매출 집계 현황 화면(1001)이 종료되고 다시 전표 현황 화면(901)으로 전환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품목 집계 현황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품목 집계 현황 화면(1101)은 품목별 집계 리스트(1103), 총수량(1105), 품목 합계(1107), 할인액(1109), 전체 금액(1111), 출력 버튼(1113), 종료 버튼(1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품목별 집계 리스트(1103)에는 메뉴별로 판매된 수량, 단가, 금액이 표시된다.
총수량(1105)에는 품목별 집계 리스트(1103)에 표시된 품목별 수량의 합계가 표시되며, 품목 합계(1107)에는 품목별 집계 리스트(1103)에 표시된 품목별 금액의 합계가 표시된다.
할인액(1109)에는 품목별 할인 금액의 합계가 표시되며, 전체 금액(1111)에는 품목 합계(1107)에서 할인액(1109)을 차감한 금액이 표시된다.
출력 버튼(1113)을 선택하면, 품목 집계 현황이 인쇄된다. 종료 버튼(1115)을 선택하면, 품목 집계 현황 화면(1101)이 종료되고 다시 전표 현황 화면(901)으로 전환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담당자별 집계 현황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담당자별 집계 현황 화면(1201)에서는 각 담당자별 매출 집계를 알 수 있다. 담당자별 집계 현황 화면(1201)은 담당자별 집계 리스트(1203), 출력 버튼(1205), 종료 버튼(120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담당자별 집계 리스트(1203)에는 담당자의 아이디, 성명, 작업 시작 시각, 작업 종료 시각, 담당자의 총매출이 표시된다.
출력 버튼(1205)을 선택하면, 담당자별 집계 현황이 인쇄된다. 종료 버튼(1207)을 선택하면, 담당자별 집계 현황 화면(1201)이 종료되고 다시 전표 현황 화면(901)으로 전환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별 집계 현황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객별 집계 현황 화면(1301)에서는 각 고객별 매출 집계를 알 수 있다. 고객별 집계 현황 화면(1301)은 고객별 집계 리스트(1303), 출력 버튼(1305), 종료 버튼(130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별 집계 리스트(1303)는 영수증 아이디, 고객 코드, 성명, 매출액, 전체 합계를 포함한다.
출력 버튼(1305)을 선택하면, 고객별 집계 현황이 인쇄된다. 종료 버튼(1307)을 선택하면, 고객별 집계 현황 화면(1301)이 종료되고 다시 전표 현황 화면(901)으로 전환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리스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마감 리스트 화면(1401)은 각 금액별 합계(1403), 현금 합계(1405), 준비금(1407), 현금 매출(1409), 카드 매출(1411), 상품권 매출(1413), 순매출(1415), 쿠폰 매출(14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감 리스트 화면(1401)은 날짜(1419), 시작 시각(1421), 종료 시각(1423), 키패드(1425), 종료 버튼(14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에 상응하여 현금 합계(1405), 준비금(1407), 날짜(1419), 시작 시각(1421), 종료 시각(1423) 각각이 자동으로 산출되어 표시된다.
키패드(1425)를 이용하여 나머지 항목에 대한 각각의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종료 버튼(1427)을 선택하면, 마감 리스트 화면(1401)이 닫힌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주문 관리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고객이 테이블에 제공된 테이블 단말기(107)를 통해 메뉴를 선택하여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S1501)하면, 테이블 단말기(107)는 메뉴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주문 전표를 생성하고 저장(S1503)한 후, 주문 전표를 주방 단말기(111), 카운터 단말기(109), 홀 단말기(113)로 전송한다.
주방의 주방 단말기(111)에 주문 전표가 표시되면, 요리사는 주문 전표에 따라 요리를 하면서 주방 단말기(111)를 통해 지연 시간, 음식 제공 시간 등의 조리 진행 상황을 입력(S1505)한다. 상기 입력된 조리 진행 상황은 테이블 단말기(107), 홀 단말기(113)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리가 완료되어 음식이 제공되면, 주방 단말기(111)를 통해 음식 제공 정보를 입력(S1507)한다. 음식 제공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식 제공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카운터 단말기(109)로 전달된다. 카운터에서는 고객의 결제 방식에 따라 현금, 카드, 쿠폰 등을 이용할 요금 결제 정보를 입력(S1509)한다. 입력된 요금 결제 정보에 따라 매출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S1511)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매장, 선불제 매장, 후불제 매장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등록 방식과 등록된 모든 데이터를 매출 발생과 동시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본사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전송시키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출 자료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집되어 매출 형태별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 전표를 주방에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주방 프린터에서 전표가 직접 출력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동선이 짧아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출이 자동 집계될 뿐 아니라 동선이 짧아지므로 불필요한 인력을 감소할 수 있고, 직원들의 교육 시간 또한 단축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집계로 고객의 기호를 파악하여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작업으로 인한 오류와 작업량이 대폭 감소됨에 따라 대고객 서비스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어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3)

  1. 주문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이 표기되며, 상기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은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주문 전표를 생성하는 테이블 단말기;
    상기 테이블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주문 전표를 표시하고, 조리 진행 상황을 입력받는 주방 단말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주문 상황 및 요리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홀 단말기; 및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는 카운터 단말기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단말기는
    매장에 구비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출 정보를 본사의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각 매장의 매출과 재고를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매출 정보에 대한 백업 파일을 저장하여 데이터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단말기는
    매장에 구비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출 정보를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세원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단말기는
    상기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일일 매출 현황, 주간 매출 현황, 월별 매출 현황, 품목별 집계 현황, 담당자별 집계 현황, 고객별 집계 현황, 마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결제 정보는
    현금 결제 정보, 카드 결제 정보, 상품권 결제 정보, 접대 결제 정보, 할인 결제 정보, 외상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단말기, 상기 카운터 단말기, 상기 주방 단말기 및 상기 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화면은
    테이블 이동 또는 합석 시, 테이블 붙임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10. 매장 서버가 테이블 단말기, 홀 단말기, 카운터 단말기 및 주방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 단말기의 주문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이 표기되며, 상기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은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문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상기 테이블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뉴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주문 전표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조리 진행 상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운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주문 전표 및 상기 조리 진행 상황은 상기 홀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출 정보를 본사의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각 매장의 매출과 재고를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매출 정보에 대한 백업 파일을 저장하여 데이터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단말기는
    매장에 구비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출 정보를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여 세원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일일 매출 현황, 주간 매출 현황, 월별 매출 현황, 품목별 집계 현황, 담당자별 집계 현황, 고객별 집계 현황, 마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결제 정보는
    현금 결제 정보, 카드 결제 정보, 상품권 결제 정보, 접대 결제 정보, 할인 결제 정보, 외상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단말기, 상기 카운터 단말기, 상기 주방 단말기 및 상기 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화면은
    테이블 이동 또는 합석 시, 테이블 붙임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19. 상품 매장 또는 선불제 매장의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이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주문 전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매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본사의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20. 매장 서버가 테이블 단말기, 홀 단말기, 카운터 단말기 및 주방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 단말기의 주문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이 표기되며, 상기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은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문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상기 테이블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뉴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주문 전표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수단;
    상기 주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조리 진행 상황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카운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
    을 구비하되,
    상기 주문 전표 및 상기 조리 진행 상황은 상기 홀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장치.
  21. 상품 매장 또는 선불제 매장의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이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주문 전표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수단; 및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
    을 구비하되,
    상기 매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본사의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장치.
  22. 매장 서버가 테이블 단말기, 홀 단말기, 카운터 단말기 및 주방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 단말기의 주문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이 표기되며, 상기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은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상기 테이블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뉴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주문 전표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조리 진행 상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운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실행하되,
    상기 주문 전표 및 상기 조리 진행 상황은 상기 홀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23. 상품 매장 또는 선불제 매장의 주문 화면에서의 메뉴 또는 상품이 대, 중, 고정키, 키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주문 화면을 통해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주문 전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문 전표에 따른 요금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요금 결제 정보에 상응하는 매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실행하되,
    상기 매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본사의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KR1020020025883A 2002-05-10 2002-05-10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20053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883A KR20020053040A (ko) 2002-05-10 2002-05-10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883A KR20020053040A (ko) 2002-05-10 2002-05-10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040A true KR20020053040A (ko) 2002-07-04

Family

ID=2772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883A KR20020053040A (ko) 2002-05-10 2002-05-10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30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4992A1 (en) * 2004-12-17 2006-06-22 Sewoo Tech Co., Ltd Melody-generating device coupled to mini-printer
KR20130024558A (ko) * 2011-08-31 2013-03-08 채수길 주방 주문서의 키워드를 검색하여 주방 업무를 자동화하는 주방 주문처리 자동화 시스템
KR101354121B1 (ko) * 2013-05-28 2014-01-24 최봉원 연합형 경품관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음식점 체인 매장의 고객 주문 통합 연결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104A (ja) * 1994-11-04 1996-05-31 Sun Tec:Kk オーダ管理サービス装置
JP2000123255A (ja) * 1998-10-20 2000-04-28 Fujitsu General Ltd 店舗/本部間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00049627A (ko) * 2000-04-18 2000-08-05 정정곤 웹 포스 시스템
KR20010074078A (ko) * 2001-02-09 2001-08-04 강승호 음식 주문 시스템
KR20010104047A (ko) * 2000-05-12 2001-11-24 유명이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식점용 서비스 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20020029850A (ko) * 2000-10-18 2002-04-20 서호준 실시간 온라인 예약 및/또는 주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104A (ja) * 1994-11-04 1996-05-31 Sun Tec:Kk オーダ管理サービス装置
JP2000123255A (ja) * 1998-10-20 2000-04-28 Fujitsu General Ltd 店舗/本部間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00049627A (ko) * 2000-04-18 2000-08-05 정정곤 웹 포스 시스템
KR20010104047A (ko) * 2000-05-12 2001-11-24 유명이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식점용 서비스 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20020029850A (ko) * 2000-10-18 2002-04-20 서호준 실시간 온라인 예약 및/또는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74078A (ko) * 2001-02-09 2001-08-04 강승호 음식 주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4992A1 (en) * 2004-12-17 2006-06-22 Sewoo Tech Co., Ltd Melody-generating device coupled to mini-printer
KR20130024558A (ko) * 2011-08-31 2013-03-08 채수길 주방 주문서의 키워드를 검색하여 주방 업무를 자동화하는 주방 주문처리 자동화 시스템
KR101354121B1 (ko) * 2013-05-28 2014-01-24 최봉원 연합형 경품관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음식점 체인 매장의 고객 주문 통합 연결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24730A (ja) 携帯電話による電子決済方法とシステム
WO2001008026A2 (en) Determination and presentation of package pricing offers in response to customer interest in a product
CN106203987A (zh) 移动支付方法及移动支付系统
WO2016098774A1 (ja) 店舗端末装置、会員管理サーバー、決済代行サーバー、および決済方法
JP5695143B2 (ja)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1513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dering goods or services
WO2020050410A1 (ja) 携帯端末、計量装置、pos端末、プログラム、記憶媒体、販売処理システム、及び、販売処理方法
JP2012243243A (ja) 会計処理システム
JP7485152B2 (ja) 売価管理装置、売価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10509B1 (ja) 決済処理方法
CN107924597A (zh) 订购处理系统和订购处理方法
CN108629590A (zh) 结算系统及控制方法
JP5882958B2 (ja)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72820A (ja) 取引精算システム、取引精算システムにおける精算装置、取引管理サーバ、取引精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87231A (ja) 飲食店の運営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2007839A (ja) 仮想市場に於ける商取引のポイント集計システム
KR102122794B1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20020053040A (ko) 네트워크 기반 주문 관리 방법 및 장치
JP4512243B2 (ja) レジスタシステム
JP2004062545A (ja) 有価価値情報の管理方法及び管理システム並びに有価価値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5913656B2 (ja)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269465A (ja) クレジット請求データ処理装置
JP2003187097A (ja) 買物代行宅配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20181206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
US11488219B2 (en) End-to-end food delivery eco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