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469A -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469A
KR20020050469A KR1020000079620A KR20000079620A KR20020050469A KR 20020050469 A KR20020050469 A KR 20020050469A KR 1020000079620 A KR1020000079620 A KR 1020000079620A KR 20000079620 A KR20000079620 A KR 20000079620A KR 20020050469 A KR20020050469 A KR 20020050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layer
contact hole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모
김재영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7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0469A/ko
Publication of KR2002005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4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 H01L21/021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ynitride, e.g. SiON or SiON: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01L21/0227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the presence of a plasma [PE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8Word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 마진 확보 및 워드 라인의 부식을 방지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코스트를 낮추도록 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 기판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워드 라인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층간 절연막 및 식각 방지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각 방지막상에 제 2 층간 절연막 및 실리콘 산화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이 소정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 제 2 층간 절연막, 식각 방지막, 제 1 층간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 일측 또는 양측의 실리콘 산화 질화막 및 제 2 층간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랜치 및 콘택홀의 내부에 금속 베리어막을 개재하여 금속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metal contact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정 마진(margin)확보 및 코스트(cost)를 절감하는데 적당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가 커짐에 따라 금속 배선의 간격이 좁아져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셀 효율을 높이고 소자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기술로 브로드 레스 콘택(board less contact), 버팅 콘택(butting contact) 그리고 금속 배선에 금속 콘택의 오버랩 마진(overlap margin)이 제로(zero) 또는 네거티브(negative)값을 갖게 되어 기존의 RIE(Reactive Ion Etching) 공정 방식으로 금속 콘택을 구현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도입한 것이 듀얼 다마신(Dual Damascene) 공정이며, 현재 0.20㎛ 디자인 룰(design rule)이하 소자에서 광범위하게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워드 라인(word line)(12)을 형성하고, 상기 워드 라인(12)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IPO(Inter Poly Oxide)막(13)과 식각 베리어(etch barrier)용 질화막(14)을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질화막(14)상에 IMD(Inter MetalDielectric)막(15)을 형성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IMD막(15)상에 제 1 BARC(bottom Anti Reflective Coating)막(16)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BARC막(16)상에 제 1 감광막(17)을 도포한다.
이어,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상기 제 1 감광막(17)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콘택 영역을 정의한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터닝된 제 1 감광막(17)을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반도체 기판(11)의 표면이 소정 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BARC막(16), IMD막(15), 질화막(14), IPO막(13)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18)을 형성한다.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감광막(17) 및 제 1 BARC막(16)을 제거하고, 상기 콘택홀(18)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제 2 BARC막(19)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2 BARC막(19)상에 제 2 감광막(20)을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상기 제 2 감광막(20)을 패터닝한다.
그리고 상기 패터닝된 제 2 감광막(2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 2 BARC막(19) 및 IMD막(15)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콘택홀(18)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트랜치(21)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콘택홀(18)과 일측면에 형성된 트랜치(21)에 듀얼 다마신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감광막(2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 2 BARC막(19) 및 IMD막(15)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트랜치(21)를 형성할 때 제 2 BARC막(19)을 제거하기 위한 오버에치(over etch)에 의한 그 하부 즉 질화막(14) 및 IPO막(13)이 식각되어 버린다.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감광막(20) 및 제 2 BARC막(19)을 제거하고, 상기 트랜치(21) 및 콘택홀(18)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금속 콘택용 금속막을 증착한다.
이어, 상기 IMD막(15) 상부 표면을 앤드 포인트로 하여 상기 금속막의 전면에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랜치(21) 및 콘택홀(18)의 내부에 금속 콘택(22)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워드 라인의 유전체 역할을 하는 산화막의 모서리 부분이 제거되어 슬로프(slope)의 발생으로 인하여 워드 라인의 표면이 노출되어 부식 및 숏트(short)된다.
둘째, BARC막의 증착 특성상 산화막 모서리 부분의 BARC막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코팅되어 식각 공정시 산화막 모서리가 먼저 식각되어 프로파일에 슬로프를 유발한다.
셋째, 슬로프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화막상에 식각 베리어막을 두껍게 형성할경우 유전율이 증가하여 RC 지연을 유발한다.
넷째, 다마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BARC막은 트랜치 형성 공정 중에 다량의 폴리머(polymer)가 발생되어 비정상적인 프로파일이 형성되거나 폴리머를 제거한 후에도 폴리머 잔류물이 남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공정 마진 확보 및 워드 라인의 부식을 방지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코스트를 낮추도록 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반도체 기판 32 : 워드 라인
33 : IPO막 34 : 질화막
35 : IMD막 36 : 실리콘 산화 질화막
37 : 제 1 감광막 38 : 콘택홀
39 : 제 2 감광막 40 : 트랜치
41 : 금속 베리어막 42 : 금속 콘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워드 라인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층간 절연막 및 식각 방지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각 방지막상에 제 2 층간 절연막 및 실리콘 산화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이 소정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 제 2 층간 절연막, 식각 방지막, 제 1 층간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 일측 또는 양측의 실리콘 산화 질화막 및 제 2 층간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랜치 및 콘택홀의 내부에 금속 베리어막을 개재하여 금속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31)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워드 라인(word line)(32)을 형성하고, 상기 워드 라인(32)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IPO(Inter Poly Oxide)막(3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IPO막(33)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워드 라인(32)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질화막(도시되지 않음)을 300 ~ 500Å 두께로 형성한 후 듀얼 다마신 형성시 워드 라인(32) 및 반도체 기판(31)의 보호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IPO막(33)상에 식각 베리어(etch barrier)용 질화막(34)을 200 ~ 500Å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질화막(34)상에 IMD(Inter Metal Dielectric)막(35)을 1000 ~ 7000Å 두께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질화막(34) 대신에 옥시나이트라이드(Oxynitride)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IMD막(35)은 산화막이나 Low-K 유전물질을 사용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IMD막(35)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으로 실리콘 산화 질화(SiON)막(36)을 300 ~ 1000Å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36)상에 제 1 감광막(37)을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36) 대신에 옥시나이트라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상기 제 1 감광막(37)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콘택 영역을 정의한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터닝된 제 1 감광막(37)을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반도체 기판(31)의 표면이 소정 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36), IMD막(35), 질화막(34), IPO막(33)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38)을 형성한다.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감광막(37)을 제거하고, 상기 콘택홀(38)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제 2 감광막(39)을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상기 제 2 감광막(39)을 패터닝한다.
이어, 패터닝된 제 2 감광막(39)을 마스크로 이용해 상기 질화막(34)을 앤드 포인트로 하여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36) 및 IMD막(35)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콘택홀(38) 일측 또는 양측면에 트랜치(40)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콘택홀(38)과 상기 콘택홀(38) 일측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 트랜치(40)는 듀얼 다마신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감광막(39)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실리콘 산화 질화막(36) 및 IMD막(35)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트랜치(40)를 형성할 때 종래와 같이 BARC막을 제거하지 않고 실리콘 산화 질화막(36)을 제거하기 때문에 오버에치에 의한 그 하부 즉 질화막(34) 및 IPO막(33)의 식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감광막(39)을 제거하고, 상기 트랜치(40) 및 콘택홀(38)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금속 베리어막(41)및 금속 콘택용 금속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이어,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36) 상부 표면을 앤드 포인트로 하여 상기 금속 베리어막(41) 및 금속막의 전면에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랜치(40) 및 콘택홀(38)의 내부에 금속 콘택(42)을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SiON막을 사용함으로서 콘택홀 및 트랜치의 형성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산화막 식각에 의한 슬로프의 발생을 방지하여 워드 라인의 부식(erosion)을 방지함으로서 소자 특성 개선 및 공정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의 BARC막 대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ECVD법으로 SiON막을 형성함으로서 코스트 절감 및 폴리머 발생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반도체 기판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워드 라인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층간 절연막 및 식각 방지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방지막상에 제 2 층간 절연막 및 실리콘 산화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이 소정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 제 2 층간 절연막, 식각 방지막, 제 1 층간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 일측 또는 양측의 실리콘 산화 질화막 및 제 2 층간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 및 콘택홀의 내부에 금속 베리어막을 개재하여 금속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은 PECVD법을 이용하여 300 ~ 10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 대신에 옥시나이트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KR1020000079620A 2000-12-21 2000-12-21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KR20020050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620A KR20020050469A (ko) 2000-12-21 2000-12-21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620A KR20020050469A (ko) 2000-12-21 2000-12-21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469A true KR20020050469A (ko) 2002-06-27

Family

ID=2768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620A KR20020050469A (ko) 2000-12-21 2000-12-21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04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8128B2 (en) 2005-08-12 2010-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including a damascene wiring l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8128B2 (en) 2005-08-12 2010-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including a damascene wiring 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9821B1 (en) Dual damascene approach for small geometry dimension
US6410424B1 (en) Process flow to optimize profile of ultra small size photo resist free contact
JPH1197414A (ja) 酸化シリコン系絶縁膜のプラズマエッチング方法
KR100386110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US6225216B1 (en) Method of forming a local interconnect with improved etch selectivity of silicon dioxide/silicide
KR20020050469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KR10039397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KR100598294B1 (ko) 듀얼 다마신을 이용한 구리 배선 형성 방법
JPH09120990A (ja) 接続孔の形成方法
KR10093518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44797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42127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0170913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20030002623A (ko)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77365B1 (ko) 금속배선 형성 방법
KR20010047961A (ko) 산화막 마스크를 사용하는 라인 퍼스트 듀얼 다마신 패턴형성방법
KR20010081436A (ko) 반도체 장치의 다마신 배선 형성 방법
KR19990055200A (ko) 상감형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30043201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방법
KR20040057698A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20080038845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10061259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콘택용 플러그 형성방법
KR19990059127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홀 형성 방법
KR1998002563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9980053693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