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292A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292A
KR20020050292A KR1020027006394A KR20027006394A KR20020050292A KR 20020050292 A KR20020050292 A KR 20020050292A KR 1020027006394 A KR1020027006394 A KR 1020027006394A KR 20027006394 A KR20027006394 A KR 20027006394A KR 20020050292 A KR20020050292 A KR 2002005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cave portion
hinge device
pair
inner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963B1 (ko
Inventor
오시마가즈요시
고시카와신이치로
이마이가쓰야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가쓰야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가쓰야,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가쓰야
Publication of KR2002005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 Toy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식 휴대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힌지장치(1)로서, 한 쌍의 접촉부재(5, 6)와 이 접촉부재를 밀어눌러 접촉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7)과, 한쪽의 접촉부재(5)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54)와 다른 쪽의 접촉부재(6)에 상기 돌출부가 출입하는 오목부(64)가 형성된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64)를 접촉부재의 지름방향 안쪽과 바깥쪽의 안쪽 오목부와 바깥쪽 오목부로 구성하고, 안쪽 오목부는 중심선을 따라 형성하고, 바깥쪽 오목부는 안쪽 오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하여 오목부의 측면이 전체로서 「 < 」형상을 하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힌지장치{HINGE DEVICE}
일반적으로, 폴더식 휴대전화기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화부(A)와 수화부(B)를 구비하고 있고, 송화부(A)와 수화부(B)는, 도 18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맞부딪친 사용하지 않는 위치 와, 도 19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통화위치와의 사이를, 힌지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송화부(A)와 수화부 (B)는, 서로가 이루는 각도가 소정각도 α보다 작을 때에는, 힌지장치에 내장된 가압수단에 의해서 사용하지 않는 위치까지 회동되고, 같은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서로가 이루는 각도가 소정각도 β보다 커지면, 가압수단에 의해서 통화위치까지 회동되고, 같은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힌지장치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접촉판(접촉부재)(C, D)과, 이 한 쌍의 접촉판(C, D)을 서로 접근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접촉판 (C,D)은, 송화부(A)와 수화부(B)에 각각 회동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판(C,D)은, 송화부(A)와 수화부(B)의 회동에 따라 상대회동한다.
한쪽의 접촉판(C)의 접촉판(D)과의 대향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C1, C1)가 둘레방향으로 180°떨어져 배치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접촉판(D)의 접촉판(C)과의 대향면에는, 한 쌍의 오목부(D1, D1)가 둘레방향으로 180°떨어져 배치형성되어 있다. 돌출부(C1) 및 오목부(D1)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송화부 (A) 및 수화부(B)를 사용하지 않는 위치 또는 통화위치에 유지한다.
즉,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C1) 및 오목부(D1)는, 어느 쪽이나 단면이 원호형상을 하고 있고, 송화부(A)와 수화부(B)가 사용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중앙부에서 접촉판 (C,D)의 둘레방향으로 약간 떨어진 부위에서 서로 맞부딪치고 있다. 따라서, 가압수단의 가압력은, 접촉판(C)을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가압력[접촉판(D)를 화살표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회동가압력에 의해, 송화부(A)와 수화부(B)가 사용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된다.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화부(A)와 수화부(B)가 이루는 각도가 α이하일 때에는, 돌출부 (C1)의 중앙부에서 약간 떨어진 부위가 오목부(D1)의 한쪽 끝단부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접촉판(C)이 도 21(B)의 화살표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송화부(A) 및 수화부(B)가 사용하지 않는 위치에 회동시키게 된다. 송화부(A)와 수화부(B)가 이루는 각도가 β이상일 때에는, 돌출부(C1)와 오목부(D1)가 도 21(B)에 나타내는 상태와 대칭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접촉판(C)이 화살표방향과 역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송화부(A) 및 수화부(B)가 통화위치까지 회동시키게 된다. 송화부(A) 및 수화부(B)가 통화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도 21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C1)와 오목부(D1)가, 서로의 중앙부에서 밀어눌러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은 돌출부(C1)를 오목부(D1)의 바닥면에 밀어붙일 뿐이고, 회동가압력으로 변환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접촉부재(C, D)가 도 21(C)에 나타내는 위치(이하, 중립위치라고 한다.)로부터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회동하면, 가압수단의 가압력이 회동가압력으로 변환되어, 접촉부재(접촉판:C,D)를 중립위치로 되돌린다. 따라서, 송화부(A) 및 수화부(B)가 통화위치에 유지된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판(C, D)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C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지만, 오목부(D1)는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는 것과, 부채형상을 한 것이 있다. 접촉판 (C,D)이 중립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오목부(D1)가 어떤 형상을 하고 있는 경우에도, 돌출부(C1)와 오목부(D1)는 양자의 중앙부에서 선접촉한다. 그러나, 접촉판(C,D)이 상대회전하여 각도 α의 범위내에서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면, 오목부(D1)가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돌출부(C1)의 바깥둘레쪽의 끝단부밖에 오목부(D1)에 접촉하지 않고, 오목부(D1)가 부채형일 때에는, 돌출부(C1)의 안둘레쪽의 끝단부밖에 오목부(D1)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의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돌출부(C1)가 조기에 마모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상대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재와, 이 한 쌍의 접촉부재를 서로 밀어눌러 접촉하도록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의 대향면의 한쪽에는, 접촉부재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쪽의 접촉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의 상대회전에 따라서 출입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상기접촉부재의 지름방향 안쪽의 안쪽 오목부와 지름방향 바깥쪽의 바깥쪽 오목부로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한쪽 측부와 접촉하는 상기 안쪽 및 바깥쪽 오목부의 각 한쪽면이, 상기 접촉부재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체로서「 <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안쪽 오목부의 한쪽면을 상기 접촉부재의 지름선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한쪽면을, 그 안쪽의 끝단부가 상기 안쪽 오목부의 한쪽면의 바깥쪽의 끝단부와 교차하고, 바깥쪽의 끝단부가 상기 접촉부재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안쪽 오목부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안쪽 오목부의 한쪽면에 대하여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한쪽면의 상기 접촉부재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끝단부가 상기 접촉부재의 대향면에 접하도록,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한쪽면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쪽 오목부 및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한쪽면을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면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쪽 오목부 및 상기 바깥쪽 오목부를, 상기 고정디스크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안쪽 오목부 및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폭방향의 중앙을 통하여, 또한 상기 접촉부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를 소정의 중립위치로 회동시키었을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쪽 오목부의 양쪽부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더식 휴대전화기 등에 사용하는 데 바람직한 힌지장치 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Y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Z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같은 실시의 형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같은 실시의 형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같은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제1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은 그 정면도, 도 7(B)은 그 우측면도, 도 7(C)은 그 평면도, 도 7(D)은 그 하면도, 도 7(E)은 그 정단면도이다.
도 8은, 같은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제2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A)은 그 정면도, 도 8(B)은 그 우측면도, 도 8 (C)은 그 평면도, 도 8(D)은 그 하면도, 도 8(E)은 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같은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가동 디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A)는 그 정면도, 도 9(B)는 그 우측면도, 도 9(C)는 그 평면도, 도 9(D)는 그 하면도, 도 9(E)는 그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같은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고정 디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A)은 그 평면도, 도 10(B)은 그 우측면도, 도 10(C)은 그 정단면도, 도 10(D)은 그 하면도이다.
도 11은, 가동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가 중립위치에 회동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오목부와 돌출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Y-Y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가동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가 중립위치로부터 약간 회동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오목부와 돌출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돌출부의 오목부에 대한 접촉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종래의 돌출부의 오목부에 대한 접촉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 12와 마찬가지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가 사용되는 휴대전화기의 일례를, 송화부와 수화부가 사용하지 않는 위치로 회동시키게 되었을 때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같은 휴대전화기의 일례를, 송화부와 수화부가 통화위치에 회동시키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종래의 힌지장치의 한 쌍의 접촉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한 쌍의 접촉판에 형성된 돌출부와 오목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로서, 도 21(A)은 송화부와 수화부가 사용하지 않는 위치에 회동시키게 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1(B)은 송화부와 수화부가 사용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각도 α만큼 회동시키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1(C)은 송화부와 수화부가 통화위치에 회동시키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종래의 힌지장치에 있어서의 돌출부와 오목부와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힌지장치에 있어서의 돌출부와 오목부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기 폴더식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적용한 1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이외의 회동하는 두개의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다른 힌지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장치(1)는, 제1, 제2 고정부재 (2, 3), 힌지축(4), 가동 디스크(접촉부재)(5), 고정 디스크(접촉부재)(6) 및 코일스프링(가압수단)(7)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부재(2) 내지 (7)는,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제1 고정부재(2)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 끝단부에 바닥부(21)를 갖고, 다른쪽 끝단부가 개구한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을 하는것이고, 그 축선을 송화부(A)와 수화부(B)와의 회동축선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송화부(A)와 수화부(B)의 어느 한쪽으로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닥부(21)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부재(2)의 둘레벽부의 개구측 끝단부에는, 개구측의 끝단면으로부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 (23,23)이 둘레방향으로 180°떨어져 배치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부재(3)는, 제1 고정부재(2)와 대향한 상태로 송화부(A)와 수화부 (B)와의 어느 쪽이나 다른쪽으로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고정부재(3)의 제1 고정부재(2)와의 대향면에는, 수용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고정부재(2)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 (32)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4)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한쪽 끝단부에서 다른쪽 끝단부로 향해서 차례로 형성된 머리부(41), 큰 지름부(42), 단면이 육각형상인 고정부 (43) 및 작은 지름부(44)를 갖고 있고, 이들의 각부분(41) 내지 (44)는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 형성되어 있다. 큰 지름부(42)는, 머리부(41)가 제1 고정부재(2)의 바닥부(21)에 맞부딪칠 때까지 관통구멍(22)에 삽입되어 있고, 관통구멍(22)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작은 지름부(44)는, 제2 고정부재(3)의 관통구멍 (32)에 삽입되어 있고, 삽입 후, 작은 지름부(44)의 앞끝단면에 형성된 조임구멍 (45)을 이용하여 작은 지름부(44)를 큰 지름으로 되도록 조여감으로써, 제2 고정부재(3)가 작은 지름부(44)에 위치 고정되어 있다. 또, 작은 지름부(44)의 바깥지름은, 고정부(43)를 구성하는 육각형의 내접원과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갖고 있다.
가동 디스크(5)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하는 기판부(51)를 갖고 있고, 이 기판부(51)가 제1 고정부재(2)의 개구측 끝단부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기판부(51)의 중앙부에는, 힌지축(4)의 큰 지름부(42)가 상대회동 가능하게, 또한 상대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51)의 한쪽 끝단부와 다른쪽 끝단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53, 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가이드부(53, 53)가 제1 고정부재(2)의 가이드홈(23, 23)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해, 가동 디스크(5)가 제1 고정부재(2)에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동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동 디스크(5)의 기판부(51)와 제1 고정부재(2)의 바닥부(21)와의 사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7)이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7)에 의해, 가동 디스크(5)가 제2 고정부재(3)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고정 디스크(6)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하는 기판부(61), 이 기판부(61)의 아랫면[가동 디스크(5)측과 반대측 면]에 형성된 돌출조(62)를 갖고 있고, 전체로서 수용오목부(31)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고정 디스크(6)는, 수용오목부(31)에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해, 제2 고정부재(3)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정 디스크(6)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63)은, 힌지축(4)의 작은 지름부(44)의 바깥지름과 거의 동일한 안쪽지름을 갖고 있고, 단면이 육각형상인 고정부(43)가 눌러넣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디스크(6) 및 제2 고정부재(3)와 힌지축(4)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힌지축(4)은, 반드시 제2 고정부재(3) 및 고정 디스크(6)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할 필요는 없고, 제1 고정부재(2) 및 가동 디스크(5)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더라도 좋고, 또는 제1, 제2 고정부재(3), 가동 디스크(5) 및 고정 디스크(6)의 전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더라도 좋다.
고정 디스크(6)는, 제1 고정부재(2)측에서 제2고정부재(3)측으로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제2 고정부재(3)에 받아멈춰져 있다. 따라서, 고정 디스크(6)의 가동 디스크(5)와의 대향면(6a)에는, 가동디스크(5)의 대향면(5a)이 코일스프링(7)에 의해서 밀어붙여져 있다. 도 5,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디스크(5)의 대향면(5a)에는, 한 쌍의 돌출부(54, 54)가 가동 디스크(5)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둘레상에 180°떨어져 배치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 디스크(6)의 대향면(6a)에는, 도 5,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오목부(64, 64)가 둘레방향으로 180°떨어져 배치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4)는, 돌출부(54)와 동일 원둘레상에 배치되어 있다. 더구나, 오목부(64)에 돌출부(54)가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디스크(5,6)의 지름방향에서의 오목부(64)의 길이는, 돌출부(54)의 같은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도 11 및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54)는, 일정한 폭을 갖고 가동 디스크(5)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폭 방향의 중심선(L1)이 가동 디스크(5)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54)의 바깥면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호면의 중심선은, 가동 디스크(5)를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심선(L1)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54)는, 중심선(L1)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선(L1)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은, 어느 쪽의 단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돌출부(54)는, 가동 디스크(5)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54)와 가동 디스크(5)의 대향면(5a)과의 교차능선(54a, 54a)이 중심선(L1)과 평행하게 되도록 사각형상을 하고 있다.
오목부(64)는, 고정 디스크(6)의 지름방향 안쪽에 형성된 안쪽 오목부(65)와, 지름방향 바깥쪽에 형성된 바깥쪽 오목부(66)로 구성되어 있다.
안쪽 오목부(65)는, 일정한 폭을 갖고 고정 디스크(6)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폭 방향의 중심선(L2)이 고정 디스크(6)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안쪽 오목부(65)의 중심선(L2)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은, 어느 쪽의 단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더구나, 안쪽 오목부(65)는, 중심선(L2)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쪽 오목부(65)의 양쪽면[고정 디스크(6)의 둘레방향으로 위치하는 양쪽면](65a, 65a)는, 바깥쪽으로 팽창하여 나가는 볼록한 곡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원호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원호면의 중심은, 중심선(L2)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더구나, 이 원호면의 한쪽 끝단부는, 대향면(6a)에 접하고 있다.
한편, 바깥쪽 오목부(66)는, 고정 디스크(6)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고정 디스크(6)의 안둘레쪽에서 바깥둘레쪽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부채형을 하고 있고, 바깥쪽 오목부(66)의 안둘레쪽 끝단부의 폭은, 안쪽 오목부(65)의 폭과같게 되어 있다. 바깥쪽 오목부(66)도 중심선(L2)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66a)은 측면(65a)을 구성하는 원호면과 거의 동일한 곡율반경을 갖는 원호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측면(66a)을 구성하는 원호면과 측면(65a)을 구성하는 원호면은, 서로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일 없이 교차하고 있다. 그 교차능선은, 도 11에 있어서 부호(L3, L4)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측면(66a)을 구성하는 원호면의 한쪽 끝단부는, 대향면(6a)에 접하고 있다. 측면(66a)과 대향면(6a)과의 접촉부위를 늘어놓은 선(L5)은, 고정 디스크(6)의 축선과 직교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측면(66a)을 구성하는 원호면의 중심선은, 선(L5)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결과, 측면(66a)은, 측면(65a)에 대하여 고정 디스크(6)의 바깥둘레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안쪽 오목부(65)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떨어지도록 경사하고, 측면(65a, 66a)가 전체로 하여「 <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측면(66a)을 구성하는 원호면에 대해서는, 그 중심선이 선(L5)과 평행하기 때문에, 고정 디스크(6)의 축선과 직교하지 않지만, 직교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선(L 5)이 고정 디스크(6)의 축선과 직교하지 않게 된다.
상기 돌출부(54)와 상기 안쪽 및 바깥쪽 오목부(65, 66)와의 관계에 대해서 말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의 송화부(A)와 수화부(B)가 통화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중심선(L1, L2)이 디스크(5,6)의 축선방향에서 보아 일치한다. 이 때의 가동 디스크(5)와 고정 디스크(6)와의 위치가 중립위치이다.
가동 디스크(5) 및 고정 디스크(6)가 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54)의 중앙부가 안쪽 오목부(65)의 바닥면(65b)으로부터 이간되어, 돌출부(54) 양쪽부가 안쪽 오목부(65)의 양쪽면(65a, 65a)과 각각 접촉한다. 더구나, 돌출부(54)의 중심선(L1)과 안쪽 오목부(6)의 측면(65a)을 구성하는 원호면의 중심선이 평행하기 때문에, 돌출부(54)와 측면(65a)은, 도 11에서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접촉(실질적으로는 면접촉)한다. 한편, 바깥쪽 오목부(66)는 안쪽 오목부(65)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짐에 따라서 그 폭이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54)는, 바깥쪽 오목부(66)의 측면(66a)은 물론이고, 바깥쪽 오목부(66)를 구획하는 어느 쪽의 면에 대해서도 떨어져 있다.
양 디스크(6)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부터 각도 α보다 작은 각도범위에서 회동하면, 돌출부(54)는, 도 14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오목부(65)의 측면(65a)의 바깥둘레쪽의 끝단부 및 바깥쪽 오목부(66)의 측면(66a)의 안쪽의 끝단부가 돌출부(54)와 접촉한다. 단, 송화부(A)와 수화부 (B)가 중립위치로부터 각도 α만큼 회동하면, 중심선(L2)이 선(L5)과 평면에서 보아 일치한다. 이 결과, 돌출부(54)의 중앙부가 선(L5)상에서 측면(65a)[대향면 (6a)]과 선접촉한다.
또한, 송화부(A)와 수화부(B)가 이루는 각도가 β보다 커진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와 대칭이 된다.
상기 구성의 힌지장치(1)에 있어서는, 가동 디스크(5)가 중립위치로부터 회동하면, 도 14에서 해칭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디스크(5)의 지름방향에서의 돌출부(54)의 중간부가, 안쪽 오목부(65)의 측면(65a)과 바깥둘레쪽의 끝단부(Q)에서 접촉한다. 더구나, 돌출부(54)의 중간부는, 바깥쪽 오목부(66)의 측면 (66a)과 그 안쪽의 끝단부(R)에서 접촉한다. 따라서, 돌출부(54)와 오목부(64)와의 접촉면적은, 오목부(64)를 사각형 또는 부채형으로 형성한 종래의 힌지장치에 있어서의 접촉면적에 비하여 배로 증가한다. 따라서, 돌출부(54) 및 오목부(64)의 조기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힌지장치(1)에 있어서는, 가동 디스크(5)와 고정 디스크(6)가 중립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돌출부(54)와 오목부(64)의 안쪽 오목부(65)가, 디스크(6)의 둘레방향으로 떨어진 2부위에서 서로 접촉하기 때문에, 가동 디스크(5)와 고정 디스크(6)가 절도있게 위치고정될 수가 있고, 나아가서는 송화부(A)와 수화부(B)를 통화위치에 있어서 절도있게 위치고정될 수가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이 힌지장치(1)와 같이 오목부(64)의 측면(65a, 66a)을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면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가동 디스크(5)와 고정 디스크(6)와의 회동에 따르는 돌출부(54)의 측면(65a, 66a)에 대한 접촉부분(도 15에서 더블해칭을 실시한 부위)의 길이가, 오목부(64)를 구획하는 바닥면(64a)을 오목한 곡면으로 구성한 경우의 접촉부분(도15에 있어서 더블 해칭을 실시한 부위)의 길이보다 길게 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54)의 조기마모를 보다 한층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오목부(65)를 구획하는 면을바깥쪽 오목부(65)의 폭 방향 중앙의 오목한 곡면(65c)과 양측의 오목한 곡면(65d)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오목한 곡면(65c)에 대해서는, 가동 디스크(5)와 고정 디스크(6)가 중립위치로 회동하였을 때, 돌출부(54)가 둘레방향으로 떨어진 2부위에서 안쪽 오목부(65)와 접촉할 수가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돌출부(54)를 구성하는 원호면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면으로 구성한다. 또한, 오목한 곡면(65d)에 대해서는, 돌출부(54)를 구성하는 원호면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면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안쪽 오목부(65)를 중앙쪽의 하나의 오목한 곡면(65c)과 양쪽의 두개의 오목한 곡면(65d)으로 구성하는 점에 대해서는, 바깥쪽 오목부(66)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돌출부(54)와 한 쌍의 오목부(64)와의 어느 쪽이라도 둘레방향으로 180°떨어뜨려 배치하고 있지만, 일본국 특개평 10-317779호 공보(특히, 도 1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54)를 180°이하의 각도, 예를 들면 160°정도로 배치하여, 오목부(64)를 3개 형성하여, 그들을「Y」자 형상으로 배치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는, 휴대전화기 등의 본체와 덮개체와 같은 2개의 물품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장치로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9)

  1.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상대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재와, 이 한 쌍의 접촉부재를 서로 밀어눌러 접촉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의 대향면의 한쪽에는, 접촉부재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쪽의 접촉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의 상대회전에 따라서 출입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상기 접촉부재의 지름방향 안쪽의 안쪽 오목부와 지름방향 바깥쪽의 바깥쪽 오목부로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한쪽 측부와 접촉하는 상기 안쪽 및 바깥쪽 오목부의 각 한쪽면이, 상기 접촉부재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체로서「 < 」형상을 하도록, 상기 안쪽 오목부의 한쪽면을 상기 접촉부재의 지름선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한쪽면을, 그 안쪽의 끝단부가 상기 안쪽 오목부의 한쪽면의 바깥쪽의 끝단부와 교차하고, 바깥쪽의 끝단부가 상기 접촉부재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안쪽 오목부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안쪽 오목부의 한쪽면에 대하여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한쪽면의 상기 접촉부재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끝단부가 상기 접촉부재의 대향면에 접하도록,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한쪽면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오목부 및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한쪽면을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면에 의해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오목부 및 상기 바깥쪽 오목부를, 상기 고정디스크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안쪽 오목부 및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폭 방향의 중앙을 통하여, 또한 상기 접촉부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오목부 및 상기 바깥쪽 오목부를, 상기 고정디스크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안쪽 오목부 및 상기 바깥쪽 오목부의 폭 방향의 중앙을 통하여, 또한 상기 접촉부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심선에 관해서 대칭으로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를 소정의 중립위치에 회동시키었을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쪽 오목부의 양측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를 소정의 중립위치로 회동시켰을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쪽 오목부의 양측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를 소정의 중립위치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쪽 오목부의 양측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를 소정의 중립위치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쪽 오목부의 양측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1020027006394A 2000-09-29 2001-09-21 힌지장치 KR100811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99502A JP3830746B2 (ja) 2000-09-29 2000-09-29 ヒンジ装置
JPJP-P-2000-00299502 2000-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292A true KR20020050292A (ko) 2002-06-26
KR100811963B1 KR100811963B1 (ko) 2008-03-10

Family

ID=1878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394A KR100811963B1 (ko) 2000-09-29 2001-09-21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72481B2 (ko)
EP (1) EP1321683A4 (ko)
JP (1) JP3830746B2 (ko)
KR (1) KR100811963B1 (ko)
CN (1) CN1392930A (ko)
BR (1) BR0107265A (ko)
CA (1) CA2392531A1 (ko)
MX (1) MXPA02005260A (ko)
NO (1) NO322616B1 (ko)
TW (1) TW526648B (ko)
WO (1) WO2002029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825A (ja) * 2001-01-29 2002-08-14 Ohashi Technica Inc 携帯用機器のヒンジ装置
JP4141651B2 (ja) * 2001-02-28 2008-08-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KR100665709B1 (ko) * 2001-04-26 2007-01-10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JP2003120655A (ja) * 2001-10-15 2003-04-23 Ohashi Technica Inc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4211864A (ja) * 2003-01-08 2004-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装置
TW572125U (en) * 2003-05-30 2004-01-1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mechanism
TWM243535U (en) * 2003-06-06 2004-09-1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assembly
KR100560682B1 (ko) * 2003-06-19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고
TWM246422U (en) * 2003-08-27 2004-10-1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assembly
JP4488490B2 (ja) * 2004-01-09 2010-06-23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4329545B2 (ja) * 2004-01-14 2009-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その装着方法
CN2689662Y (zh) * 2004-02-28 2005-03-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US7107648B1 (en) * 2005-03-18 2006-09-19 Shin Zu Shing Co., Ltd. Hinge
CN100446645C (zh) * 2005-05-13 2008-12-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WO2007007705A1 (ja) * 2005-07-12 2007-01-18 Sugatsune Kogyo Co., Ltd. ヒンジ装置
EP2258358A3 (en) 2005-08-26 2011-09-07 Braincells, Inc. Neurogenesis with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CA2620333A1 (en) 2005-08-26 2007-03-01 Braincells, Inc. Neurogenesis by muscarinic receptor modulation
EP1940389A2 (en) 2005-10-21 2008-07-09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pde inhibition
CA2625210A1 (en) 2005-10-31 2007-05-10 Braincells, Inc. Gaba receptor mediated modulation of neurogenesis
WO2007104035A1 (en) * 2006-03-08 2007-09-13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nootropic agents
US20100216734A1 (en) * 2006-03-08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nootropic agents
MX2008014320A (es) 2006-05-09 2009-03-25 Braincells Inc Neurogenesis mediada por el receptor de 5-hidroxitriptamina.
AU2007249399A1 (en) 2006-05-09 2007-11-22 Braincells, Inc. Neurogenesis by modulating angiotensin
US20100009983A1 (en) * 2006-05-09 2010-01-14 Braincells, Inc. 5 ht receptor mediated neurogenesis
CN101136949B (zh) * 2006-08-28 2010-07-28 比亚迪精密制造有限公司 转轴固定结构
US20100184806A1 (en) 2006-09-19 2010-07-22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ppar agents
EP2066355A2 (en) * 2006-09-19 2009-06-10 Braincells, Inc. Combination comprising 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agent and a second neurogenic agent for treating a nervous system disorder, increasing neurodifferentiation and increasing neurogenesis
CN101153625A (zh) * 2006-09-28 2008-04-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US20080115325A1 (en) * 2006-11-17 2008-05-22 Shin Zu Shing Co., Ltd. Dual-axis hinge assembly
WO2008083204A2 (en) * 2006-12-28 2008-07-10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melatoninergic ligands
EP2125017A2 (en) * 2007-01-11 2009-12-02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with use of modafinil
US8098874B2 (en) * 2007-07-17 2012-01-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anging type earphone with a hinge unit
TW200906278A (en) * 2007-07-20 2009-02-01 First Int Computer Inc Supporting device
US7584524B2 (en) * 2007-07-25 2009-09-08 Shin Zu Shing Co., Ltd. Hinge for a notebook extension pad
US20100216805A1 (en) 2009-02-25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using d-cycloserine combinations
KR101612962B1 (ko) * 2010-01-06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형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CN102207128A (zh) * 2010-03-30 2011-10-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套筒及应用该套筒的铰链结构
CN102840220A (zh) * 2011-06-21 2012-12-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DE102018124895A1 (de) * 2017-11-03 2019-05-09 Stabilus Gmbh Modulares, motorisiertes Antriebssystem, Modul, Verwendung und Fertigungsverfahren dafür
US10407958B1 (en) * 2018-04-24 2019-09-10 Kuo-Ho Tsou Hinge device with a stop function
US11564538B2 (en) 2019-10-21 2023-01-31 Bemis Manufacturing Company Hinge post for toilet sea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5612A (ja) 1982-10-08 1984-04-13 Nhk Spring Co Ltd ばね式回動装置
AU624027B2 (en) * 1989-10-11 1992-05-28 Sugatsune Industrial Co., Ltd Door hinge
JP2526490B2 (ja) * 1993-06-23 1996-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ヒンジ構造
US5600868A (en) * 1995-03-07 1997-02-11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Deployment hinge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JP2842827B2 (ja) 1996-02-26 1999-01-0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ヒンジ構造
JPH10131947A (ja) * 1996-10-28 1998-05-22 Kato Electrical Mach Co Ltd 複合トルクヒンジ
US5996132A (en) * 1997-01-24 1999-12-07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Compound torque hinge
JP3691630B2 (ja) * 1997-04-21 2005-09-07 加藤電機株式会社 開閉体の開閉装置
JP3818407B2 (ja) 1997-05-14 2006-09-06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JP3732619B2 (ja) * 1997-06-16 2006-01-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3816202B2 (ja) * 1997-07-31 2006-08-30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TW411069U (en) 1997-10-08 2000-11-01 Kato Electric & Machinary Co Hinge device
JP3828643B2 (ja) 1997-10-08 2006-10-04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DE69834470T2 (de) * 1997-12-11 2006-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Gelenkmechanismus für ein tragbares Telefon
US6065187A (en) * 1998-05-14 2000-05-23 Motorola, Inc. Hinge assembly
KR100266516B1 (ko) * 1998-05-18 2000-09-15 한영수 힌지장치
DE19858709A1 (de) * 1998-12-18 2000-06-29 Kermi Gmbh Scharnier, insbesondere für Türflügel von Duschabtrennungen
JP3489668B2 (ja) * 1999-05-31 2004-01-26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22534D0 (no) 2002-05-28
WO2002029266A1 (fr) 2002-04-11
NO20022534L (no) 2002-06-07
BR0107265A (pt) 2002-08-06
CA2392531A1 (en) 2002-04-11
EP1321683A4 (en) 2005-02-09
NO322616B1 (no) 2006-11-06
MXPA02005260A (es) 2002-12-11
JP3830746B2 (ja) 2006-10-11
JP2002106545A (ja) 2002-04-10
US6772481B2 (en) 2004-08-10
US20030009851A1 (en) 2003-01-16
KR100811963B1 (ko) 2008-03-10
CN1392930A (zh) 2003-01-22
EP1321683A1 (en) 2003-06-25
TW526648B (en) 200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963B1 (ko) 힌지장치
KR100818020B1 (ko) 힌지 장치
KR100567119B1 (ko) 힌지장치
KR100807489B1 (ko) 힌지장치
KR20020093945A (ko) 힌지장치
US20080064342A1 (en) Swivel hinge for use in handheld device
EP1103688A2 (en) Hinge device
KR20050004259A (ko) 힌지장치
JPWO2006001142A1 (ja) 二軸ヒンジ装置
WO2006008955A1 (ja) ヒンジ装置
JP4488490B2 (ja) ヒンジ装置
JPH09195611A (ja) ヒンジ構造
KR1007005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3947248B2 (ja) 回転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