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580A - 청 고춧가루 - Google Patents

청 고춧가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580A
KR20020042580A KR1020020025369A KR20020025369A KR20020042580A KR 20020042580 A KR20020042580 A KR 20020042580A KR 1020020025369 A KR1020020025369 A KR 1020020025369A KR 20020025369 A KR20020025369 A KR 20020025369A KR 20020042580 A KR20020042580 A KR 20020042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per
red pepper
drying
powder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7276B1 (ko
Inventor
장윤수
Original Assignee
장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수 filed Critical 장윤수
Priority to KR10-2002-002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27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 고춧가루를 새로이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청고추를 수확하여 청고추의 색상을 유지하도록 80-90℃온도로 4-6시간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와 5-15분간 환기시킨 후 60-80℃의 온도로 8-11시간 건조시키는 2차건조 단계에 의해 열풍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춧가루는 농약을 집중적으로 투여하는 고온 다습기 이전에 수확한 청고추를 사용함으로서 저 농약 무공해 식품으로서 인체에 유익하며, 붉은 색 고춧가루에 비해 단맛은 다소 떨어지나 고추 특유의 맛과 향은 그대로 보존되고, 청고추 특유의 연한 녹색을 가져 우리의 다양한 음식문화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청 고춧가루{ Powdered blue pepper }
본 발명은 청록색의 고추를 수확하여 열풍 건조시키고 분쇄시킨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청 고춧가루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에서 고추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식품이자 부 재료이며, 고추 자체로서도 훌륭한 채소이지만 우리 식탁에서 일상적으로 먹는 김치의 중요한 양념중 하나이다.
종래의 고추이용은 청고추(또는 풋고추)를 썰어 양념 또는 된장에 찍어 먹거나 붉은 고추를 건조시켜 고춧가루로 분쇄한 후 양념으로 첨가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김치의 양념 또는 다대기로 사용할 때는 붉은 색 고추를 건조시켜 분쇄한 고춧가루 또는 붉은 생 고추를 그대로 갈아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종래 고추의 이용실태를 보면, 붉은 색 고추를 건조시켜 분쇄한 고춧가루, 붉은 색 또는 청색 고추를 갈아 만드는 양념, 또는 고추 그대로의 이용방법이 있고, 붉은 색의 고춧가루 또는 붉은 고추를 갈아 만든 다대기가 여러 종류의 음식과 어우러져 맛과 멋을 자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주로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식생활에서 청녹색의 채소와 붉은 색의 고춧가루는 서로 반대 색을 이루기 때문에 음식미에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향이 있고, 이와 같은 이유로 모든 종류의 음식에 붉은 고춧가루가 어울리는 것은 아니며, 붉은 색 고춧가루 이용에 따른 여러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즉, 청고추는 개화 후 대략 20-30일정도 지나면 수확하여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종래 고춧가루를 만드는 붉은 고추는 개화 후 45일이 지나야 수확이 가능하고, 청 고추상태에서 한여름의 태양 볕에 익혀져야 하기 때문에 여름기후의 특징인 고온 다습으로 인해 각종 병충해에 노출되어 다량의 농약살포가 불가피하다.
농약의 살포는 생육 초기에서부터 이루어지지만 집중적인 농약살포는 고추가 붉어지면서 고추에 단맛이 생성될 때로 이 시기에 각종 해충들의 표적이 되기 때문에 더 많은 농약살포를 필요로 하며, 이 시기에 살포된 농약은 고추에 잔류될 가능성이 높아 식생활을 위협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이시기에 농약을 집중적으로 살포하더라도 각종 병해충의 영향으로 수확량이 감소되며, 품질관리를 위한 집중적인 노력을 투입하여야 함으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새로운 물품으로서 청 고춧가루를 제시함으로서 특정한 음식에 어울리는 고춧가루를 새로이 제시하고, 아울러 기존의 붉은 고춧가루 제조시 야기되는 농약과다투여문제와, 병해충의 피해에 따른 생산량의 감소 및 노동력의 증가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청고추를 적기에 수확하여 열풍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여 청고추 특유의 연한 녹색을 유지하는 고춧가루를 제시함으로서 기존 고춧가루의 용도 이외에 고추장, 쌈장, 각종 음식재료의 부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춧가루는 청고추를 수확하여 청고추의 색상을 유지하도록 열풍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여 고춧가루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풍건조는 청고추의 색상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80-90℃온도로 4-6시간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와 5-15분간 환기시킨 후 60-80℃의 온도로 8-11시간 건조시키는 2차건조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열풍건조는 붉은 고추의 건조 방법과 구별되는 것으로 붉은 고추의 건조는 통상 햇볕이나 열풍건조등 제한 없이 이루어지고, 열풍건조의 경우에도 80℃ 정도의 온도에서 15-24시간 지속시키는 방법이 사용되나 본 발명에 의한 열풍건조는 청고추 특유의 연녹색을 유지시키기 위해 고온에서의 단시간 건조방법이 사용됨으로서 종래의 붉은 고추의 건조 방법과 구별된다.
실험에 의하면, 청고추의 경우 햇볕에 건조시키거나 초기에 70℃ 이하의 온도로 건조시키면 청고추 특유의 연한 녹색이 탈색되어 백색으로 변하여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초기에 70-80℃ 사이의 온도로 건조시키면 백색으로 탈색되는 정도는 감소하나 색상등의 균일성이 떨어져 상품성이 저하되며, 90℃ 이상 온도를 가할 때는 표면에서의 건조속도가 수분의 방출속도보다 빨라져 고추 내부에서 익어버리기 때문에 상품성이 떨어지는 결함이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기 건조온도로서 80-90℃의 온도가 가장 바람직하며, 가장 좋은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80-90℃온도의 온도로 일정시간 이상 열풍 건조시키면 고추에서 방출된 수분이 건조기 내부에 차 건조효율을 떨어지고, 내부에서 익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일정시간 건조 후 환기를 하여 내부의 수분을 방출시킴으로서 효율적인 건조와 고춧가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80-90℃온도로 4-6시간 열풍 건조시킨 후 5-15분간 건조기를 개방하여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완전 방출시킨 상태에서 2차 건조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2차 건조는 1차 건조에 의해 청고추 특유의 색상이 유지된 상태로 어느 정도 건조 수축된 고추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로 2차 건조는 햇볕에 의해 건조시키거나 바람에 의한 건조가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배제하지 않으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1차 건조와 같은 방법으로 열풍 건조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2차건조는 1차 건조보다 낮은 온도인 60-80℃의 온도에서 8-11시간 열풍을 가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1차건조와 2차 건조 과정에 의해 건조된 고추는 분쇄에 의해 고춧가루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만들어진 고춧가루는 고온에서 단시간 건조시킴으로서 청고추 특유의 연한 녹색을 그대로 유지하며,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보존되고, 붉은 고추를 건조시킨 것과 같이 고추특유의 매운 맛을 내는 캡사이신 성분을 지닌다.
캡사이신 성분은 특정한 장비의 검사를 거치지 않고 사람의 후각만으로도 매운정도를 판별할 수 있어 기호에 따라 고춧가루의 매운 정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한 고춧가루는 고추의 유효성분과 맛이 그대로 유지되어 소량으로도 체지방연소, 다이어트효과와 비타민 등은 붉은 색 고추에서와 같이 유사한 성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춧가루는 농약을 집중적으로 투여하는 고온 다습기 이전에 수확한 청고추를 사용함으로서 저 농약 무공해 식품으로서 인체에 유익하며, 붉은 색 고춧가루에 비해 단맛은 다소 떨어지나 고추 특유의 맛과 향은 그대로 보존되고, 청고추 특유의 연한 녹색을 가져 우리의 다양한 음식문화에 효과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백김치를 담글 때 소량의 고춧가루 첨가로 백김치의 이미지와 고추의 맛을 함께 느낄 수 있게 되며, 녹색채소와 연녹색의 고춧가루는 상호 조화를 이루어 음식 미를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녹색고추장, 쌈장등 이용분야가 매우 맞고, 독특하고, 색다른 기호식품 등의 조미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기에 수확할 수 있는 청고추를 이용함으로 수확량 면에서도 각종 병해충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는 확률이 높아 다수확이 가능하고 노동력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청고추를 수확하여 청고추의 색상을 유지하도록 열풍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 고춧가루.
  2. 제1항에 있어서, 열풍건조는 80-90℃온도로 4-6시간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와 5-15분간 환기시킨 후 60-80℃의 온도로 8-11시간 건조시키는 2차건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 고춧가루.
KR10-2002-0025369A 2002-05-08 2002-05-08 청 고춧가루 제조방법 KR10051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369A KR100517276B1 (ko) 2002-05-08 2002-05-08 청 고춧가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369A KR100517276B1 (ko) 2002-05-08 2002-05-08 청 고춧가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580A true KR20020042580A (ko) 2002-06-05
KR100517276B1 KR100517276B1 (ko) 2005-09-27

Family

ID=2772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369A KR100517276B1 (ko) 2002-05-08 2002-05-08 청 고춧가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59B1 (ko) * 2009-07-13 2010-03-25 육태웅 고추가루 제조방법
KR20170095740A (ko) * 2016-02-15 2017-08-23 김정호 녹색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653B1 (ko) * 2013-12-20 2016-02-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건조 방법
KR102072169B1 (ko) * 2019-04-11 2020-01-31 강석철 백색 또는 금색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930B1 (ko) * 1987-09-28 1990-02-19 임한식 고추가루 제조방법
KR970058582A (ko) * 1996-01-29 1997-08-12 황덕환 푸른 고추 가루 제조방법
KR19980072052A (ko) * 1998-07-10 1998-10-26 윤준희 풋고추를 이용한 녹색 고춧가루와 녹색 고추장을 제조하는 방법
KR100375629B1 (ko) * 2000-08-24 2003-03-10 여경목 생고추를 이용한 미세분말형 고추가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59B1 (ko) * 2009-07-13 2010-03-25 육태웅 고추가루 제조방법
KR20170095740A (ko) * 2016-02-15 2017-08-23 김정호 녹색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7276B1 (ko) 2005-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nwick et al. The genus Allium—part 1
Bhatkar et al. Drying of tomatoes and tomato processing waste: a critical review of the quality aspects
CN101715934B (zh) 炭竹烘焙糊辣椒面及其制备方法
KR101935996B1 (ko) 영양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63152B1 (ko) 과일을 포함하는 블록형태의 큐브선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큐브선식
KR20060096394A (ko) 생식물을 이용한 녹즙생식환의 제조방법
KR101844130B1 (ko) 고추씨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CN107361348A (zh) 一种麻香味调味酱及其制备方法
KR101582275B1 (ko) 초록색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초록색 고춧가루
KR100517276B1 (ko) 청 고춧가루 제조방법
EP224458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ürzigen mischung sowie verwendung der würzigen mischung
KR100657865B1 (ko) 생식물을 이용한 녹즙생식환의 제조방법
KR101997835B1 (ko)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CN105876725A (zh) 油酥百香果粉及制备方法
KR101278186B1 (ko) 마늘 진액 발효소금의 제조방법
KR102144017B1 (ko) 김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0960A (ko) 생선을 이용한 스낵의 제조방법
KR20060096393A (ko) 생식물을 이용한 녹즙생식환의 제조방법
KR101734499B1 (ko)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KR101642802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형태가 유지되는 반건조 오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건조 오디
Cai et al. Dehydrated oriental mushrooms, leafy vegetables, and food preparation herbs and condiments
Jayashree Spice Processing and Value Addition Opportunities for Start-up Entrepreneurs
Lokesh et al. Quality evaluation and storage studies of legume based wadis (traditional delicacies) formulated using Sechium edule–An underutilized vegetable crop of North East India
KR20120110559A (ko) 친환경 액상, 친환경 액상 제조방법 및 친환경 액상 분사장치
KR102410454B1 (ko)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