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499B1 -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499B1
KR101734499B1 KR1020150041170A KR20150041170A KR101734499B1 KR 101734499 B1 KR101734499 B1 KR 101734499B1 KR 1020150041170 A KR1020150041170 A KR 1020150041170A KR 20150041170 A KR20150041170 A KR 20150041170A KR 101734499 B1 KR101734499 B1 KR 10173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ed
weight
steam
dry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817A (ko
Inventor
김제경
Original Assignee
김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경 filed Critical 김제경
Priority to KR1020150041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4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6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8Hydrolysis, degree of hyd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래기 중 선별된 무청 시래기를 사용하여 증기 및 파쇄를 통해 무청의 섬유질을 저분자화 및 조직을 균일하게 제조하여 냉장 및 냉동 보관을 통해 즉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으로서, 자연 또는 인공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스팀 증기 또는 끓는 물을 이용하여 20 내지 50분간 증자하는 단계와, 상기 증자된 무청 시래기를 0.1~50mm의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 및 파쇄된 무청 시래기를 외주면들 간의 사이간격이 0.5~3㎜인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시켜 압착하는 단계와, 상기 압착 롤을 통과한 무청 시래기의 함수율이 1∼5 중량%로 50~70℃의 건조기에서 건조 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즉시 냉각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Method for processing dried radish greens of oriental material}
본 발명은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래기 중 선별된 무청을 사용하여 증기 및 파쇄를 통해 무청의 섬유질을 저분자화 및 조직을 균일하게 제조하여 냉장 및 냉동 보관을 통해 즉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래기를 흔히 우거지라고도 하는데 우리말 사전에 우거지는 푸성귀를 다듬을 때 골라 놓은 갈대나 떡잎이고, 시래기는 배춧잎이나 무청을 말린 것으로 흔히 푸른 무청을 새끼 따위로 엮어 말린 것이라고 한다.
요즘은 겨울철에도 전기나 기름으로 난방을 하는 하우스에서 각종 푸른 채소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그렇지 못한 과거에는 겨울에 대비하여 무청이나 배춧잎을 건조시켜 저장해두었다가 죽이나 국 등으로 조리하여 섭취하는 것이, 부족한 채소 영양소를 섭취하는 일반적인 방법 중의 하나였다.
무(Raphanus sativus)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서, 배추, 고추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3패 채소의 하나에 속한다. 역사적으로는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도입된 후 고려시대에는 재배가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통상 무라고 하면 그 뿌리에 해당하는 부분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무의 뿌리는 주로 김치, 무생채, 무순, 무국 등으로 조리하거나, 육류나 생선 등을 활용한 찜이나 찌개, 조림 등에 첨가하게 된다. 영양학적으로는 무에는 비타민 C가 풍부하다
본 발명에서 다루고자 하는 무청은 무의 줄기부분으로서 칼슘, 철분, 비타민 A와 C, 식이섬유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고, 김치의 원료, 무침 또는 자연건조해 채소가 귀했던 겨울철에 말린 나물류와 함께 이용되었다. 건조채소의 경우 채소 고유의 녹색이 건조 과정 중에 변색되거나 풍미 저하가 일어나므로 유기산, 항산화제 등을 이용한 전처리 및 열풍 건조에 의한 건조 시간 단축 등으로 채소 고유의 색을 유지하려는 시도가 있다.
한편, 최근 급격한 경제성장, 식생활의 서구화로 영양섭취 과다와 함께 정제된 곡류를 이용한 가공 식품 및 인스턴트식품의 증가, 노인 인구의 증가로 암,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질환, 뇌질환 및 당뇨 등 각종 성인병에 노출됨에 따라 건강장수에 관심이 깊어지면서 천연물 유래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성의 증대와 더불어 합성첨가물을 사용한 식품을 꺼리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더욱 안전한 천연 식품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무청 시래기의 식품학적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최근의 웰빙 트렌드에 맞추어 무청 시래기를 식품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96031호에는무청 시래기를 가공하여 상업적으로 유통될 수 있는 상품으로 만들되, 그 무청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맛과 엽 록소를 원래 상태 그대로 최대한 유지시키고, 또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며, 특히, 고온 다습한 하절기에 상기 가공된 시래기를 물속에 담그어 두어도 거품이나 백탁이 생기지 않으면서 쉽게 부패되지 않는 시래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청 시래기를 삶고 탈수한 후, 상기 탈수된 무청 시래기를 오배자, 황백, 연(蓮), 대나무 숯물, 은행나무잎 숯물, 죽초액 등의 추출액에 적시는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하는 시래기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무청 시래기의 경우에 삶아서 건조시킨 후에 이를 음식으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된장국 등에 넣고 잠깐 끓이는 정도로는 뭉쳐져 있던 무청 시래기 조직이 제대로 풀리질 않는다. 그 결과는 시래기가 부드럽게 씹히지 않고, 질겨서 먹기가 대단히 어렵다는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래기를 다시
2시간 정도 삶고 물에서 2일 정도 불리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이 무청 시래기를 뜨거운 물만 부어서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진정한 형태의 최종적인 즉석 제품 형태로의 개발을 막아 온 것이다.
미리 삶고 불려서 건조시켜 유통된 시래기라 하더라도, 이렇게 건조된 시래기를 음식으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재차 2시간 정도 삶고 2일 정도의 불리는 긴 수고를 거쳐야만 한다. 물론, 삶고 불리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음식으로 조리해서 섭취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시래기의 질김과 단단함으로 인해서 섭취에는 큰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여, 바로 끓는 물에 잠깐 끓이거나, 나아가서는 끓는 물을 붓고 5분 정도만 방치하면, 삶아서 불린 시래기와 같은 질감을 갖는 즉석식 무청 시래기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자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던 중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8680호(발명의 명칭 : 식이섬유가 강화된 무청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본 발명은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에 있어서, 시래기 중 무청을 증기에 찌는 과정, 일정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는 과정 및 압착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조리에 사용하지 않고, 바로 조리에 사용할 수 있는 즉석식 한방 무청 시래기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뜨거운 물만 부어서 바로 섭취 가능한 진정한 의미의 즉석 시래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자연 또는 인공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스팀 증기 또는 끓는 물을 이용하여 20 내지 50분간 증자하는 단계와, 상기 증자된 무청 시래기를 0.1~50mm의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 및 파쇄된 무청 시래기를 외주면들 간의 사이간격이 0.5~3㎜인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시켜 압착하는 단계와, 상기 압착 롤을 통과한 무청 시래기의 함수율이 1∼5 중량%로 50~70℃의 건조기에서 건조 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즉시 냉각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와 멥쌀분말을 중량비 1:4의 비율로 혼합하여 끊는물을 부어 국밥 또는 죽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멥쌀분말은,
멥쌀을 1~2시간 물에 불린 후 스팀 증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80분간 증자한 후 외주면들 간의 사이간격이 1~3㎜인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시켜 제1차 압착하여 60~70℃의 건조기에서 함수율 1~5%가 되도록 건조한 후 외주면들 간의 사이간격이 1~3㎜인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시켜 제2차 압착한 후 220~280℃의 스크류형 볶음기에서 함수율 1~2%가 되도록 20~60초간 볶는 과정을 거친 후 즉시 냉각하는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즉석식 무청 시래기는 다시 삶는 과정과 불리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국, 국밥 또는 죽 등에 포함시켜서 조리하거나, 아니면 뜨거운 물에 잠깐 불려서 무침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조리하여도 섭취하는데 아무런 장애가 없도록 시래기의 조직이 충분히 풀리게 된다. 나아가서, 뜨거운 물을 붓고 잠시 그대로 놔두기만 해도 시래기의 뭉쳐졌던 조직이 풀려서 질김이나 단단함은 느끼지 않고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즉석 컵라면과 같은 형태의 진정한 의미의 즉석식 무청 시래기 제품을 제조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바와 같이, 간편식 또는 즉석식으로 뜨거운 물만 부으면 바로 먹을 수 있는 형태의 한방 무청 시래기를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한방 시래기라 함은 아무런 양념도 포함하지 않는 형태를 원칙적으로 포함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무청 시래기를 뜨거운 물을 부어서 적정 시간이 지나 바로 섭취하거나 뜨거운 물과 함께 가공 건조된 멥쌀분말 또는 밥을 넣어 국밥 또는 죽으로 조리할 수 있으며, 또한 양념을 섞어서 한방 시래기 나물의 형태로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 한방 시래기 된장국을 조리하는데 있어서 원료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방법은 자연 또는 인공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스팀 증기 또는 끓는 물을 이용하여 20 내지 50분간 증자하는 단계와, 상기 증자된 무청 시래기를 0.1~50mm의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 및 파쇄된 무청 시래기를 외주면들 간의 사이간격이 0.5~3㎜인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시켜 압착하는 단계와, 상기 압착 롤을 통과한 무청 시래기의 함수율이 1∼5 중량%로 50~70℃의 건조기에서 건조 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즉시 냉각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자연 또는 인공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준비하는 단계:
무청 시래기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무청 시래기는 상업적으로 공급되는 시래기의 어떠한 형태도 사용가능하다.
통상 시중에서 유통되는 무청 시래기로는 다음 2가지 형태가 있다. 가을에 채취한 무청을 다른 과정 없이 자연 또는 인공 건조한 시래기와 일단 한번 삶아서 불린 후에 자연 또는 인공 건조한 시래기가 있다. 유통을 위해서 건조를 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건조시켜 유통되는 시래기의 수분 함량은 대략 5~15% 범위를 갖는다.
물론, 직접 집에서 채취한 무청을 건조시켜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스팀증기로 증자하는 단계:
상기 자연 또는 인공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준비한 후 스팀 증기 또는 끓는 물을 이용하여 20 내지 50분간 증자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서, 무청 시래기의 섬유질이 일부 파괴되는 섬유질의 저분자화가 진행되어 섭취시 질기지 않는 부드러운 식감을 갖는 무청 시래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자 단계는 스팀 증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자 단계는 끓는 물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팀증기 또는 끓는 물로 수행되는 증자 단계는 20 내지 50분간 증자할 수 있는데, 이는 20분 미만일 경우 원료 크기가 균일하지 않게 되어 열전달이 불충분하게 됨으로써 섬유질이 그대로 유지되어 식감에서 질긴현상을 그대로 유지되는 문제가 있고, 50분을 초과할 경우는 과도한 열전달로 섬유질이 완전 파괴되어 점성이 높은 끈적함의 무른형태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스팀증기에 의한 증자과정에서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증제기에 넣고 증자압력 70~90kgf/cm2로 20 내지 50분간 증제하며, 상기 증자압력이 70kgf/cm2 미만일 경우 무청 시래기의 섬유조직이 연화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여 질긴 실감을 유지하게 되며, 증자압력 90kgf/cm2를 초과할 경우 무청 시래기의 섬유조직이 너무 무른 상태의 섬유조직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절단 및 파쇄하는 단계:
상기 증자과정을 거친 무청 시래기를 0.1~50mm의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는 단계를 거친다.
압착하는 단계:
상기 0.1~50mm의 크기로 절단 및 파쇄괴정을 거친 무청 시래기를 외주면들 간의 사이간격이 0.5~3mm의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시켜 압착하여 무청이 갖고 있는 섬유질의 피아조직을 연화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절단 및 파쇄된 무청 시래기가 롤의 외주면과 롤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0.5∼3mm인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1쌍의 압착 롤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절단 및 파쇄된 무청 시래기가 개별적으로 압착 성형되어 두께 1∼2mm의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함수율 2∼7 중량%의 무청 시래기가 구성된다.
상기 무청 시래기가 압착 성형되면서 두께가 1mm 미만이면 상기 무청 시래기가 쉽게 부서지고, 두께가 2mm를 초과하면 상기 무청 시래기의 식감과 보존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무청 시래기가 압착 성형되면서 함수율 2 중량% 미만이면 상기 무청 시래기가 쉽게 부서지고, 함수율 7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무청 시래기의 바삭함의 정도와 보존성이 저하된다.
건조하는 단계:
상기 압착 롤을 통과한 무청 시래기의 함수율이 1∼5 중량%로 50~70℃의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업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즉석식 무청 시래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변질되지 않도록 수분을 최대한 줄이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수이다.
건조단계에서 구체적으로 취할 수 있는 건조방법은 통상의 식품 제조시에 취하는 각종 건조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에 의한 건조, 온풍을 이용한 건조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무청 시래기의 고유의 맛과 질감 등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결건조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알려진 모든 방식의 건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압착 성형을 가진 무청 시래기는 함수율 2~7%를 유지하여 그대로 조리가 가능하나 저장을 위한 포장단계를 거치기 위해 함수율 1~5%로 유지하기 위해 건조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렇게 건조된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 무청 시래기는 장기간 유통을 위해서는 진공포장 과정을 거치게 할 수 있다. 진공포장의 과정은 공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방법을 그대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증자하는 단계 전(前)에 건조된 무청 시래기에 섬유질 분해효소를 첨가하며, 상기 섬유질 분해효소는 셀룰라아제(Cellulase), 아라바나아제(Arabanase), β-1,4-글루카나아제(β-1,4-glucanase), 내열성 α-아밀라아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첨가하게 되며, 상기 섬유질 분해효소를 첨가한 무청 시래기를 증자함으로서 무청 시래기가 갖고 있는 견고한 조직의 섬유질을 스팀증기에 의해 섬유질 분해효소를 활성화하여 더 빠르게 유연화함과 동시에 스팀증기로 인하여 섬유질의 연화를 촉진하여 연화된 무청 시래기의 섬유조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 100 중량부에 섬유질 분해효소 01~0.2 중량부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섬유질 분해효소 0.1중량부미만으로 투입되면 분해효소의 양이 적어 충분한 효소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무청 시래기의 섬유질 분해가 어렵고, 섬유질 분해효소가 0.2 중량부를 초과하여 투입되면 분해효소의 사용량 과다로 불필요한 섬유질의 분해반응이 발생되어 무청 시래기의 물러짐과 아울러 잡미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섬유질 분해효소 중 내열성 액화효소인 내열성 α-아밀라아제의 사용으로 효소반응을 통해 건조된 무청 시래기 중 목말 또는 글리코겐 등의 성분을 저분자화하여 무청 시래기의 섬유조직을 분해하게 되며, 이때 분해하면서 무청 시래기의 당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단계 후(後) 종국을 혼합하게 되며, 이때 압착된 무청 시래기 100 중량부에 종국 0.1~1 중량부를 혼합하여 건조단계를 하게 되며, 상기 건조단계에서 50~70℃에서 3~5시간 동안 건조하게 된다.
상기 종국을 사용함으로서 무청 시래기가 갖고 있는 쓴맛을 줄이기 위해 당배출 효소인 종국을 사용하여 무청 시래기를 소정의 시간으로 배양하여 쓴맛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종국(種麴)이라 함은 당화효소생산 곰팡이로써 국을 제조할 때 종균으로 사용되는 국균의 배양물을 말하는데 조제종국과 분말종국으로 구분되며, 여기서는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인 조제종국을 사용한다.
이렇게 압착된 무청 시래기에 당화효소생산 곰팡이인 종국이 잘 배양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압착된 무청 시래기 100 중량부에 0.1~1 중량부의 종국을 사용하는데, 이는 종국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배양되는 종국의 함량이 너무 적어 백군균이 잘 증식되지 않아 무청 시래기의 쓴맛이 나며,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종국의 함량이 너무 많아 과증식되는 문제로 무청 시래기의 본연의 맛보다 단맛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된 무청 시래기 100 중량부에 상기 종국 0.8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증자단계 전(前) 건조된 무청 시래기에 섬유질 분해효소와 종국을 사용하여 증자단계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섬유질 분해효소와 종국이 각각 사용되는 중량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적용되어 사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자연 건조된 무청시래기를 증자단계를 하기 전(前) 저온 저장고에 넣고 온도 12∼15℃ 및 습도 85∼90%로 1∼2개월간 숙성과정을 거친 후에 재료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숙성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자연 건조된 후에 1∼2개월 지나야 무청 시래기가 최고로 맛있는 상태 즉, 자연 건조되는 과정에서 무청 시래기의 색상이 갈변되면서 섬유질이 더욱 강화된 조직이 발생함과 아울러 고온의 건조에 따른 쓴맛이 가미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숙성과정을 통해 섬유질의 조직을 연화하면서 쓴맛이 적정온도 및 습도에서 제거되어 최고로 맛있게 숙성된 무청 시래기를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무청 시래기를 11℃이하의 온도로 건조시키면 냉해를 입게 되고 16℃ 이상의 온도로 건조시키면 무청 시래기의 호흡작용으로 영양이 손실됨과 더불어 섬유조직의 강화로 상품가치가 하락한다.
이러한 건조 중 품질에 가장 크게 미치는 영향 중 하나가 마이얄 반응으로 상기 마이얄 반응은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눌 수 있는데, 초기에 아마도리 화합물이 생성되고, 반응이 더 진행되어 중기반응에서는 퓨란, 리덕톤 등이 생성된다. 이 중기 반응 산물들은 후기반응에서 멜라노이딘이라는 갈색색소를 만들어 맛과 향, 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런데 건조조건이 고온, 저습도로 갈수록 마이얄 반응이 촉진되며, 탄취, 쓴맛, 신맛, 갈색도가 높아지고, 저온으로 갈수록 마이얄 반응이 억제되어 감칠맛과 천연의 맛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무청 시래기를 압착하는 단계 후(後) 상기 무청 시래기에 탈력, 보습, 항균, 산화 방지의 효과를 가진 쌀겨 추출물인 피트산(Phytic Acid), 글루코산(Glucosa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하게 되며, 이때 무청 시래기 100 중량부에 0.1~0.45 중량부를 사용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0.4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더욱 상세하게 당업자가 반복 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 시 예 1
자연 또는 인공 건조된 무청 시래기 10kg을 준비하며,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스팀 증기 또는 끓는 물을 이용하여 50분간 증자하여 증자된 무청시래기를 형성하였다.
상기 증자된 무청 시래기를 0.1~50mm의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며, 상기 절단 및 파쇄된 무청 시래기를 외주면들 간의 사이간격이 2㎜인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시켜 압착하여 두께 1~2mm의 무청 시래기를 형성하였다.
상기 압착 롤을 통과한 무청 시래기의 함수율이 3 중량%로 54℃의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수득하였다.
이렇게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무청 시래기를 사용하여 국밥 또는 죽을 조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준비한 후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멥쌀분말을 사용하여 국밥 또는 죽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멥쌀분말은, 멥쌀을 1~2시간 물에 불린 후 스팀 증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80분간 증자한 후 외주면들 간의 사이간격이 1~3㎜인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시켜 제1차 압착하여 60~70℃의 건조기에서 함수율 1~5%가 되도록 건조한 후 외주면들 간의 사이간격이 1~3㎜인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시켜 제2차 압착한 후 220~280℃의 스크류형 볶음기에서 함수율 1~2%가 되도록 20~60초간 볶는 과정을 거친 후 즉시 냉각한 멥쌀분말을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멥쌀분말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건조된 무청시래기와 멥쌀분말의 중량비 1:4의 비율로 혼합하여 끊는 물을 부어 소정의 시간이 지나 즉석의 국밥 또는 죽을 조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자연 또는 인공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증제기에 넣고 스팀 증기를 이용하여 증자압력 70~90kgf/cm2로 20 내지 50분간 증자하는 단계와,
    상기 증자된 무청 시래기를 0.1~50mm의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 및 파쇄된 무청 시래기를 외주면들 간의 사이간격이 0.5~3㎜인 1쌍의 압착 롤 사이를 통과시켜 압착하는 단계와,
    상기 압착된 무청 시래기 100 중량부에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의 조제종국 0.1~1 중량부를 혼합하여 50~70℃에서 3~5시간 동안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종국 혼합과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된 무청 시래기를 즉시 냉각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41170A 2015-03-25 2015-03-25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KR10173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170A KR101734499B1 (ko) 2015-03-25 2015-03-25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170A KR101734499B1 (ko) 2015-03-25 2015-03-25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817A KR20160114817A (ko) 2016-10-06
KR101734499B1 true KR101734499B1 (ko) 2017-05-11

Family

ID=5716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170A KR101734499B1 (ko) 2015-03-25 2015-03-25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466B1 (ko) * 2020-12-23 2023-10-20 김용래 무청 음료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80B1 (ko) * 2006-08-28 2007-07-11 한국식품연구원 식이섬유가 강화된 무청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101027128B1 (ko) * 2010-11-10 2011-04-06 함지헌 시래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80B1 (ko) * 2006-08-28 2007-07-11 한국식품연구원 식이섬유가 강화된 무청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101027128B1 (ko) * 2010-11-10 2011-04-06 함지헌 시래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817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293B1 (ko)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장
KR20090018335A (ko) 즉석식 시래기 제조방법
CN112401216A (zh) 一种竹荪酱的制备方法
CN103584237A (zh) 甜粘青玉米浆面食品
CN104996926B (zh) 木姜子豆豉及其制作方法
CN106720808B (zh) 食叶草功能性茶叶及其制备方法
KR101788449B1 (ko) 모링가 송이버섯 발효차와 이의 제조방법
KR101753964B1 (ko) 모링가 간장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34499B1 (ko)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CN107047895A (zh) 一种芹菜叶茶的制作方法
KR101796674B1 (ko) 하수오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하수오 발효식품
KR101811516B1 (ko) 모링가 떡국떡과 이의 제조방법
KR102107424B1 (ko) 발효 호박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1748941B1 (ko) 모링가잎을 포함하는 김치양념과 이의 제조방법
CN106417528A (zh) 茉莉花糕及其生产方法
KR102290792B1 (ko) 귤 찐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귤 찐빵
CN112931785A (zh) 一种发酵豆食的制备方法
KR101229959B1 (ko) 국수 호박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국수
KR101811517B1 (ko) 모링가 쌀과 이의 제조방법
KR100706774B1 (ko) 더덕김치의 제조방법
KR102372036B1 (ko) 장기보관이 용이한 누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5930B1 (ko) 보리 발효곡의 제조 방법 및 보리 발효곡의 용도
KR102320421B1 (ko) 식방풍잎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111630B1 (ko) 생유산균 함유 누룽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