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363A - 공통 관절연결 수송수단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사이에 있는 연결차량 결합통로에 대한 보호 - Google Patents

공통 관절연결 수송수단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사이에 있는 연결차량 결합통로에 대한 보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363A
KR20020037363A KR1020027004013A KR20027004013A KR20020037363A KR 20020037363 A KR20020037363 A KR 20020037363A KR 1020027004013 A KR1020027004013 A KR 1020027004013A KR 20027004013 A KR20027004013 A KR 20027004013A KR 20020037363 A KR20020037363 A KR 20020037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module
panel
vehicle
protection devic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807B1 (ko
Inventor
장-뤽 앙드레
Original Assignee
로르 로베르
로르 앵뒤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르 로베르, 로르 앵뒤스트리 filed Critical 로르 로베르
Publication of KR2002003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61D17/22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flexible, e.g. 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6Passages between articulated vehicles, e.g. bridges or rota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Jib Cran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연결통로(1)를 위한 좌우동형 보호장치는 동일 관절이음 수송수단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2,3) 사이에 있는 벨로우로 구비되며, 중간모듈(4)로 결합되고, 패널이 회전안쪽에 위치할 때 가까워지는 쪽으로 그리고 멀어지는 쪽으로 회전을 하는 동안 중간모듈(4)에 대해서 횡단으로 자동이동하는 두 개의 중앙덮개패널(20,21)로 형성되고 각각의 차량(2,3)의 측부 몸체표면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으로 구성된다. 중간모듈에 차량(2,3)을 결합시키는 피벗관절연결부는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각의 중앙패널(20 혹은 21)이 회전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하기에 충분히 가까이 있다. 본 발명은 관절형 연결차량에 적용이 가능한테, 특히 대중교통수단에 적용이 가능한다.

Description

공통 관절연결 수송수단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 사이에 있는 연결차량 결합통로에 대한 보호{PROTECTION FOR INTERCAR LINKAGE PASSAGE BETWEEN TWO CONSECUTIVE CARS OF A COMMON ARTICULATED LAND VEHICLE}
동일 수송수단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을 결합하는 통로에 대한 보호장치는 차량의 출구 오프닝에 부착된 종축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벨로우 형식 구조물에 제한된다.
이러한 보호 구조물은 이동중에 방향, 경사 혹은 각도 변화 같이 이동중에 방향의 변화 및 회전이 일어나는 동안에 변형이 가능한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을 연결하는 공간에 방수커버를 형성한다.
벨로우는 개폐하는 기초적인 이면체로 형성되는 주름형장치(pleated device)로부터 연장된 구조물이다. 현 사용목적에 맞게 충분한 보호능력을 제공하지만 자체 강성과 기계적인 저항으로 인해 동력차단 혹은 충격 같은 기계적인 현상에 적합하지 않는다.
또한 벨로우의 아름답지 못한 벨로우의 아코디언 구조는 액체 및 고형 오염물질을 가두어 놓는 주름으로 구성되며, 작동하는 동안 기계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더러운 외관으로 인해 승객으로 하여금 안좋은 인상을 갖게한다.
그러나 휠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모듈의 경우에서, 벨로우 구조물은 더럽고 물로 젖은 곳을 이동할 때 휠에 대해서 진흙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미적인 면에서도 그렇다.
본 발명은 동일한 승객 수송수단의 두 개의 연속적인 차 사이에 있는 벨로우(bellow)에 의해 보호되는 통로에 대한 좌우동형 덮개구조물에 관련된다.
도 1은 벨로우가 보이지 않는 상태의 직선형 구조로 된 연결통로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좌회전에 대한 구조와 좌측으로 기울어진 차량으로 벨로우 없는 통로에 대하 사시도;
도 3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동안 중앙패널이 어떻게 분리핸들을 사용하여 분리되는지를 나타내는 계략도;
도 4는 본 발명을 따르는 좌우동형 덮개로 구비된 중간모듈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직선위치에서 벨로우는 보이지 않고 투명하게 도시된 상기 중앙패널과 그 작동메카니즘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벨로우는 보이지 않고 중앙패널의 연장된 부분과 그 작동 메카니즘을 도시하는 상세도;
도 7은 지지구조에 의해 유지되는 중앙패널을 도시하는데 점선으로 기울어지고 이탈된 상태를 도시하는 중간 모듈의 내부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확장된 상태 및 철회된 상태에 있는 중앙패널로 구비된 중간모듈의 1/2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9에서 11은 벨로우를 도시함과 동시에 각각 우회전, 직진, 좌회전 상태의 세 가지 특징적인 구조상태에서 인접한 차량의 말단과 연결통로에 대한 도식도;
도 12에서 14는 회전시작 및 최대 회전점에서 직선구조로 된 인접한 차량의 몸체에 대한 중앙패널의 상대적인 위치를 도시하는 도식도;
* 부호 설명 *
1 : 연결통로2,3 : 연속적인 차량
4 : 중간모듈5 : 섀시프레임
6 : U자형 축7,8 : 휠
10 : 기저부 프레임11 : 벨로우
12 : 중앙 프레임14,15 : 관절부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한측에 측면연속으로 된 몸체패널형태로 덮개구조를 제공하여 이러한 여러 가지 단점을 극복하고, 벨로우와 휠을 보호한다
좀더 자세하게 각각의 차량 측면에 벨로우와 휠은 강성이며 가동성인 중앙 덮개패널을 갖는 완전한 블록을 형성하여 완전히 효과적으로 보호되는데, 상기 덮개패널은 두 개의 인접한 차량의 측면을 덮기 위해서 몸체표면의 양 극단 사이를 움직인다.
본 발명을 따르면 각각의 중앙패널을 일시적으로 떼어놓는 수단이 있는데, 유닛의 미적인 면을 유지하는 동안 인접한 차량의 몸체의 단부를 움직인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을 동일한 관절이음 수송수단에 연결하는 중간 자립(self-supporting) 모듈에 대한 보호 벨로우로 구비된 연결통로를 위한 좌우동형 보호에 관련되는데, 특히 승객 수송차량에 관련되며, 연결통로과 함께 직선이며 피벗 관절연결로 인해 중간모듈에 연결된 각각의 연결된 차량의 측부 몸체표면으로부터 연장되며, 통로를 보호하는 벨로우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중간모듈로부터 그리고 모듈쪽으로 가로질러 이동하는 부착된 중앙패널이 있는데, 우선 중간모듈에 연결된 차량의 측부몸체표면의 극단과 동일 평면상에 있는 직선위치로부터 이동하고 그 다음에 회전을 하는 동안 자동적인 힘으로 가로질러 자동적으로 이송되는 가동성 중앙패널 쪽의 내부위치로 이동하고,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직선으로 복귀한다.
좀더 자세히 연결통로의 각각의 측면 길이를 따르는 주요영역을 덮는 강체이며 가동성인 패널은 모든 외부의 힘들에 대해서 효과적인 보호를 받는다.
여러 가지 충격과 힘에 대해서 내부 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충분한 기계적인 저향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강체이다.
상부가 약한 안쪽으로 곡선이고 부드러운 형상이며 편평한 것은 액체나 물질을 가두는 어떠한 영역을 갖질 않는다.
밀려날때, 회전 안쪽에 위치한 중앙패널은 회전하는 동안 중간모듈의 바깥쪽으로 가로질러 점진적으로 오프셋되며, 서로 가까워질수록 인접한 차량의 극단의 변위에 대한 자유공단을 남긴다. 그런다음 회전 안쪽에 위치한 중앙패널은 탄성력에 의해 중간모듈의 내부 쪽으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결책은 여러 가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기상이나 날씨에 의한 영향, 날아오는 물체 등등 같은 외부힘으로부터 보호받는다.
차량의 공기역학을 개선시킨다.
광고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판넬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동안 차량몸체에 미적인 요소를 유지한다.
휠을 기계적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휠 하우징을 아름답게 한다.
국부적인 구조물 강화같은 원리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차량의 부품증가를 막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도면을 참고로 제한적이지 않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따라 좌우동형 통로 덮개 구조물은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2,3), 여객열차 같은 도로 혹은 선로를 달리는 열차의 앞차 및 뒷차 사이의 연결통로(1)처럼 보호요소를 덮기 위해 특별하게 설계되었지만, 거기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또한 여객열차에만 국한되지도 않는다.
이러한 좌우동형 덮개구조물은 두 개의 휠(7,8)을 연결하는 U자형 축(6)을 형성하는 섀시프레임(chassis frame)을 갖는 중간모듈(4)에 부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우동형 구조물은 기저부를 보호하기 위해 벨로우(9)를 덮는다.
상기 섀시 프레임(5)은 하단 기저부 프레임(10)을 갖으며 벨로우(11)와 같은공기식 벨로우 같이 두개의 서스펜션으로 프레임과 지지부를 형성하고 연결통로 영역을 형성하며 중간모듈(4)의 요소를 덮는 수직 중앙 프레임(12)을 지지한다. 이러한 중앙 프레임(12)은 또한 중간모듈(4)의 몸체에 대한 지지프레임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버섯형상이며 중간모듈(1)에서 중앙지점을 차지한다.
각각의 중앙 프레임(12)에 대한 수직요소는 하단 섀시 기저부(9)에 이어진 수평프레임 같이 생긴 지지기저부(13)를 형성하는 두 개의 이격된 파생부로 분리된다. 상기 지지기저부(13)는 서로 가깝게 위치한 두 개의 피벗 관절부(14,15)를 지지하며 중심선의 어느 한쪽은 중앙 프레임(12)이 전개되는 중간 모듈 평면을 가로지른다.
이러한 관절부(14,15)는 연속적으로 인접한 차량의 피벗 관절부이며, 각각의 차량에 대한 극단이 중간모듈(4)에 대해서 피벗되도록 하며 호전을 하는 동안 열차 차량 사이의 필요한 각도 브레이크(break)를 만든다.
좀더 자세히, 이러한 피벗 관절부(14,15)는 서로 가까이에 있으며, 인접한 차량(2,3)의 몸체 구조로 단부 프레임(16,17)에 연결되며, 각각의 차량(2,3)을 덮는 측면을 형성하는 몸체 패널 극단(18,19)의 어느 한 측면에서 종단된다.
한 측면(20)과 다른 측면(21)의 가동성 중앙 덮개패널은 연결통로에 대한 각각의 측면을 덮는다. 완전한 닫힘을 위해 각각의 가동성 중앙 덮개패널(20 혹은 21)은 점차적으로 인접한 차량(2,3)의 몸체 반대쪽에 있는 각각의 극단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에 그 자체를 삽입한다. 몸체 극단 및 수직방향 변부는 몸체 극단(도4)의 둘레(23) 및 패널의 변부(22) 같이 비스듬한 귀환부(return)를 형성한다. 이러한 귀환부는 보강하고 밀봉하기 위한 기계적인 목적으로 중간모듈의 내부쪽으로 쉽게 회전되는 플랜지를 형성하지만 외관을 직선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약간 틈이 병렬로 약간 보이도록 발생된다.
몸체패널(23)의 극단에 이러한 귀환부 혹은 가장자리는 형상이 다르다고 가정하며 특정한 도면에 다른 형식으로 도시되었다. 특정한 실시예가 특정한 사용에 대해 선호적일 때 기계적인 동기가 결정되지만 모두 다 동일하게 유지된다.
중앙 덮개패널(20 혹은 21)은 중간모듈(4)에 대해 가로질러 이동이 가능하며 인접한 차량(2,3) 극단(18,19)이 함께 회전 안쪽으로 이동할 때 회전 바깥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하기설명과 같이 이러한 운동은 자동인데, 회의 안쪽에서 이동하는 차량(2,3)의 극단으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한번 회전하는 동안에 반대 차량(2,3)에 있는 극단(18,19)의 대향한 가장자리는 패널을 가로질러 움직여서(도 9) 떨어지게 할 필요없이 패널(21) 같은 대향한 중앙 덮개패널의 가장자리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몸체 극단 가장자리 위에 있는 귀환부(23) 및 각각의 중앙 덮개 패널(20 혹은 21)의 종축 가장자리 위에 있는 귀환부(22)의 각도 및 폭은 이탈될 때 따르는 경로에 적합하며, 차량을 덮는 몸체와 모듈을 덮는 것 사이의 간섭을 제거한다.
연속적으로 인접한 차량(2,3)의 몸체극단에 대한 상단부분은 차량에 대해 세로인 스트립(24,25)으로 부분적으로 강화되며 약간 상승되어 회전 안쪽(도 4)에서중앙 덮개 패널(20 혹은 21)의 수직 가장자리(22)의 상단 영역에 대한 트랙을 형성한다. 이러한 트랙(24,25)은 회전 안쪽으로 자동적으로 가로질러 옮겨지도록 회전측면에 위치한 중앙 덮개 패널(20 혹은 21)을 미는 실제적으로 기울어진 램프(ramp)를 형성한다.
커브에서 차량 극단의 최소한의 상단영역이 기울어지는 것으로부터 발생되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특이 후미차량의 경우에서 각각은 분리핸들(26,27)로 구성된다.
이것은 후미차량의 경우에서 차량극단의 횡단영역과 일체형으로 된 종축로드(rod)로 구성된다. 이러한 로드의 단부는 중간모듈의 내부 쪽으로 오프셋되지만 차량이 커브에서 기울어질 때 중앙 덮개패널의 인접한 수직 가장자리의 귀환부에 대해서 밀수 있도록 인접한 중앙패널에 평행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미는 작용은 기울어지는 작용이 있을 경우(도 3) 차량과 중앙 덮개패널에 대향한 두 개의 극단을 분리시키고 이탈시킨다.
이러한 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에서 중간모듈의 인접한 차량중 하나의 극단에 제공되며 예증적인 실시예로 도시되었는데, 중앙프레임(12)이 차량과 중앙패널(도 4)의 개별의 극단인 인접한 구조물이 피칭과 기울어짐 동작을 하는 동안 하나의 유닛처럼 이동하도록 협동하는 두 개의 비스듬한 상단로드(28,29)를 갖는 전방차량에 이어져있다. 이러한 유닛은 로드(30) 같이 기울어진 로드를 끼워넣어서 완성된다.
몇몇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성 중앙 덮개패널(20,21)은 중간 모듈(4)의 지지휠(7,8)을 보호하고 가리기에 충분히 높다.
본 발명의 일번적인 특징을 따라, 각각의 가동성 중앙 덮개패널(20 혹은 21)은 안정상태를 유지하거나 중간모듈(4)로부터 혹은 교차이동을 하는 중에 모듈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지지 혹은 안내장치(31)를 사용하여 중앙 프레임(12)에 의해 이동 중에 가로질러 지지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지 및 안내장치(31)의 여러 가지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방치는 하기와 같다. 결합축(34)에 의해 중앙에서 피벗연결된 두 개의 병렬 크로스바(cross bar)(32,33)로 형성된 변형가능한 평행사변형 형태의 지지 및 안내장치로 구성된다. 파생부 같은 것의 상부극단은 우선적으로 중앙 프레임(12)의 반대영역에 피벗 연결되며 그 다음에 중앙패널의 내부표면에 연결된다. 크로스바의 하부 극단 같은 것은 내부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지며 각각 패널(20 혹은 21) 같은 중앙패널의 후면과 중앙 프레임(12)의 적합한 가이드(35,36)를 따라 미끄러진다.
모든 지지장치는 상응하는 중앙패널에 대해 정적 및 동적지지를 하는 동시에 중간 모듈(4)로부터 떨어지고 보호하기 위한 필요한 보충적인 안내운동을 한다.
지지 및 안내장치(31)에 의한 가로횡단 운동이 반대이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은 역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개별의 귀환수단, 각각의 중앙 패널에 관련된 수단 혹은 공통수단 혹은 결합축으로 인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귀환수단은 영구적으로 작동 혹은 제어된다. 탄성 복원력는 개별의 수단 혹은 공통수단으로 발생된다. 하나의 실시예가 도 4 및 도 7에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중앙패널의 상단부분에 위치한 지점과 고정점 사이에서 연장된 유연성코드(27) 혹은 유연성 연결부와 결합시키는 중앙 덮개패널 위의 두 개의 상응하는 상단점 사이에서 연장된 단일이 유연성 코드로 구성된다.
각각의 중앙 덮개패널을 부착하는 것은 중간모듈(4)에 대해 가로횡단으로 이송가능 하도록 하고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도록 다른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시스템은 최대거리로 분리될 때까지 각각의 패널 혹은 패널들을 지지하기 위해 개별의 혹은 공동 슬라이더 같은 종래의 지지수단을 사용하고 수축에 의해 혹은 다른 수단들로 제거한다.
확장 가능한 지지수단은 종래의 기술에 공지되었으며 따라서 도시되지 않았다. 탄성복원력 혹은 회로와 관련된 몇가지 구동수단 혹은 푸시풀(push-pull) 실린더 같이 이송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과 관련된다.
인접한 차량의 몸체 극단이 회전을 하는 동안 이송되기 때문에, 회전 바깥쪽에 위치한 중한 덮개 패널로부터 제거되고 확장되는데, 서로를 향해 이동하며 회전 내부에 위치한 중앙 덮개 패널쪽으로 이동한다.
차량 몸체의 평면 사이의 연속성을 위해서, 몸체극단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는 직선 구조로 복원될 때 가동성 중앙패널의 상응하는 수직 가장자리를 따라 병렬된다. 연속성의 효과는 휠의 상부영역이 덮혀진다는 사실로 인해 향상되고, 인접한 차량몸체(2,3)의 하부 가장자리가 종단모듈의 하부영역 쪽으로 연속된다는 사실로 인해 향상된다.
지지 및 안내장치(31)는 푸싱수단(pushing means)으로 자동으로 전개되는데상응하는 가동성 중앙패널의 내부표면으로 파생부들을 이송시키고 횡으로 가로질러 투영시키고 바깥쪽으로 밀게된다.
상단파생부의 상단전방극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응하는 덮개패널(20 혹은 21)의 내부표면에 피벗 연결된다.
도시된 지지 및 안내장치(31)는 수동이다. 물론 밀고 복원시키는 구동수단을 추가하여 작동될 수 있다. 파생부들 사이에 위치한 단일 혹은 이중 작동실린더는 이러한 목적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힘은 중간모듈(4) 쪽으로 복원시키는 힘을 접했을 때 파생부를 피벗시켜 지지 및 안내장치를 복원 혹은 전개시키도록 하여 파생부의 후방 이동가능한 극단에 가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방향 혹은 양방향으로 작동하는 지지 및 안내장치(31)의 외부에 대한 힘은 상응하는 중앙패널을 옮긴다. 그러므로 지지장치는 운동의 중앙부 안내 및 안정성을 제공한다.
분명히 이러한 이유로 반대형 패널에 대해 동일한 장치가 존재하며 둘 중 하나만 설명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최종적인 특징은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 휠에 접근하도록 각각의 중앙패널을 기울어지게 하는 능력에 관련된다. 이러한 특징은 도 7에 도시되었다. 이러한 도면은 장치(31)의 적어도 하나의 파생부(32 혹은 33)의 하부극단을 각각의 중앙 패널(20 혹은 21)의 내부표면 가까이 있는 가이드(36) 같은 하부가이드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도시한다. 일단 이러한 극단들이 자유롭게 되면, 하부영역을 중간모듈로부터 이동시켜 패널을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경사진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대(prop)에 의해 이러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특히 도 9에서 도 14까지의 도면이 참고로 사용되었다.
직선 구조에서(도 8), 각각의 중앙덮개패널(20 혹은 21)은 인접한 차량(2,3)의 몸체극단과 정렬되어서 벨로우와 휠을 보호한다.
우회전 혹은 좌회전 중에(도 9에서 도 11), 회전 바깥쪽에 있는 중앙패널(20 혹은 21)은 정위치에 있고 복원수단으로 모듈의 내부쪽으로 이동한다. 표시된 중앙패널의 가장자리에 반대쪽에 있는 인접한 차량의 몸체(2,3)의 극단의 가장자리는 그 자체를 패널로부터 이동시키거나 이탈한다.
운동학상 그리고 좌우균형을 위한 목적으로 인접한 차량의 피벗관절연결(14,15) 축은 서로에 대해서 가깝게 놓여있고 축의 중앙평면에 가까우며, 대향한 수직 가장자리의 귀환부(22,23)는 선호적으로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서 기울어져 있다.
좌회전 혹은 우회전(도 9 및 도 11)을 하는 동안에, 회전의 안쪽에 위치한 중앙패널(20 혹은 21)은 자동적으로 중간모듈(4)의 바깥쪽으로 밀려나며, 회전을 하는 동안 차량(2,3)에 형성된 각도가 가까워짐에 따라 서로 이동하는 차량(2,3)의 극단(18,19)에 의해 회전 안쪽으로 밀려난다. 이러한 푸쉬는 중앙패널(20,21)의 수직 가장자리가 상단트랙(24,25)과 접촉하여 작동을 시작하도록 한다. 이러한 시작운동은 자동적으로 중앙패널(20 혹은 21)을 중간모듈(4)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킨다.직선으로 되돌아 왔을 때, 각각의 중앙패널(20 혹은 21)은 자동적으로 유연성 코드(37) 같은 복원수단의 탄성력으로 중간모듈의 내부쪽으로 복귀한다.
회전을 하는 동안 차량 사이에서 기울어짐과(혹은) 피칭이 발생될 때, 상단분리 핸들(26 혹은 27)은 중앙패널(20 혹은 21)의 상단단부 영역과 인접한 차량의 상응하는 영역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분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현상은 회전을 하는 동안 발생한다.
그러므로 차량은 기울어짐, 피칭 혹은 비틀림운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접촉은 상단측에만 국한되는데 일반적으로 필요한 공간이 적용되는 공간에 국한된다.

Claims (20)

  1. 연결통로(1)에 대한 좌우동형 보호장치는 특히 승객수송차량 같은 단일 관절형 연결 운동수단의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2,3) 사이를 연결하는 자립형 중간모듈(4)에 대한 보호 벨로우(9)로 구비되는데, 연결통로(1)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며 피벗 관절연결(14,15)로 인해 중간모듈에 관절형으로 연결된 각각의 차량(2 혹은 3) 측면 몸체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연결통로(1)위의 보호벨로우(9)를 덮으며, 중간모듈(40)로부터 혹은 모듈 쪽으로 가로질러 이동이 가능한 중앙패널(20 혹은 21)이 있는데, 중간모듈(4)에서 종단되는 각각의 차량(2 혹은 3)의 측부몸체의 극단과 연속이며 동일 평면상에 있는 첫 번째 직선위치와 자동구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가로질러 이동하는 가동성 중앙패널(20 혹은 21)쪽으로 두 번째 내부회전 위치 사이에 있으며,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직선으로 복원되고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모듈(4)에서 차량(2,3)의 피벗 관절이음(14,15)은 서로 가까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3. 상기항에 있어서, 피벗 관절연결(14,15)은 중간모듈(4)의 두 개의 휠을 연결시키는 축선 가까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4. 제 1,2 혹은 3 항에 있어서, 회전 바깥쪽에 위치한 가동성 중앙 덮개패널(20 혹은 21)은 직선상태로 복귀하는 것과 회전하는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5.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으로 횡단으로 미는 힘은 인접한 몸체의 운동에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동성 중앙패널(20 혹은 21)은 회전의 바깥쪽에 위치할 때 중간모듈(4)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동성 중앙패널(20 혹은 21)은 회전 안쪽에 위치할 때 중간모듈(4)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8. 제 1,5,6 혹은 7 항에 있어서, 복원력은 중간모듈(4)쪽으로 미는 탄성횡단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모듈(4)은 서스펜션을 통해 중간모듈(4)의 섀시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 중앙프레임(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10.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앙 덮개패널(20 혹은 21)은 수직중앙프레임(12)의 지지 및 안내장치(31) 수단으로 중간모듈로부터 그리고 중간모듈 쪽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11. 상기 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앙덮개패널(20 혹은 21)에 대한 지지 및 안내장치(31)는 두 개의 피벗 크로스 바(32 혹은 33)를 갖는 장치인데, 파생부 같은 상부극단은 첫째로 중앙프레임(12)의 반대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둘째로 관련된 중앙 덮개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며, 크로스 바의 하부극단은 중간모듈(4)에 대에 측면으로 이동하는 중에 이러한 가동성 중앙덮개패널을 횡단으로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해 중앙프레임(12)과 각각의 중앙덮개패널(20 혹은 21)의 후면에서 적합한 개별의 가이드(35,36)를 따라 그리고 내부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12. 상기항에 있어서, 지지 및 안내장치(31)의 파생부 하부극단은 각각의 중앙 덮개패널(20 혹은 21)의 하부측면 위의 가이드(36)로부터 제거되고 휠 아래에 있는 공간으로 접근하기 위해 기울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 안쪽으로 발생되는 자동힘은 미는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14. 상기항에 있어서, 중간모듈(4)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동안 발생되는 자동으로 미는힘은 가동성 중앙덮개패널(20 혹은 21)의 수직 가장자리를 갖는 각각의 차량의 측부 몸체의 상응하는 극단으로 인한 접촉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차량의 측부몸체에 대한 극단의 상단영역은 각각의 가동성 중앙덮개패널(20 혹은 21)의 수직 가장자리에 대한 슬라이드 혹은 트랙(24,25)을 형성하는 종방향 강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앙덮개패널(20 혹은 21)은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중간모듈(4)의 휠을 거의 완전히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17. 상기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량(2 혹은 3)의 측부몸체의 측면에 있는 극단의 상부영역은 기울어짐 혹은 피칭운동을 할 동안에 몸체 극단 가까이와 패널 사이에 일어나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인접한 가동성 중앙패널(20 혹은 21)의 상단영역을 이탈시키는 분리핸들(26 혹은 27)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18. 상기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량(2 혹은 3)의 상부극단을 구비하는 분리핸들(26 혹은 27)은 기울어짐 혹은 피칭운동을 하는 동안 덮개패널(20,21)의 대향한 가장자리 및 인접한 차량의 것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서 중간모듈(4)의 내부쪽으로 측면으로 오프셋되는 로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패널(20,21)은 한 쌍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프레임(12)은 두 개의 상단 경사로드(28,29)에 의해 앞차량에 관절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로드는 중앙 덮개패널(20 혹은 21) 및 앞차량의 개별의 극단으로 구성되는 가까운 구조물이 로드(30)처럼 경사로드를 끼워 넣어서 완성되는 유닛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동형 보호장치.
KR1020027004013A 1999-09-29 2000-09-29 벨로우즈들을 가진 연결통로를 보호하기 위한 양쪽 측부의 보호장치. KR100742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2333 1999-09-29
FR9912333A FR2798889B1 (fr) 1999-09-29 1999-09-29 Protection pour le passage d'intercirculation entre deux voitures consecutives d'un meme vehicule terrestre artic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363A true KR20020037363A (ko) 2002-05-18
KR100742807B1 KR100742807B1 (ko) 2007-07-25

Family

ID=955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013A KR100742807B1 (ko) 1999-09-29 2000-09-29 벨로우즈들을 가진 연결통로를 보호하기 위한 양쪽 측부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216179B1 (ko)
JP (1) JP4828064B2 (ko)
KR (1) KR100742807B1 (ko)
CN (1) CN1283508C (ko)
AT (1) ATE238186T1 (ko)
AU (1) AU7669400A (ko)
CA (1) CA2390806A1 (ko)
DE (1) DE60002351D1 (ko)
ES (1) ES2195938T3 (ko)
FR (1) FR2798889B1 (ko)
MX (1) MXPA02002896A (ko)
RU (1) RU2266838C2 (ko)
TR (1) TR200200865T2 (ko)
WO (1) WO2001023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14610U1 (de) * 2010-06-09 2011-02-24 Hübner GmbH Seitenwandabdeckung
CN104254471A (zh) * 2011-12-13 2014-12-31 易构国际有限责任公司 用于多车厢车辆的第一车厢和所述车辆的第二车厢之间的通道的通道地板
KR101747238B1 (ko) 2015-03-03 2017-06-27 (주)신형이앤지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양측부 보호체
CN108860186B (zh) * 2018-06-26 2020-03-10 中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自导向虚拟轨道列车用贯通道及其设计方法
FR3096949B1 (fr) * 2019-06-04 2021-11-12 Sncf Mobilites Dispositif de prolongement pour assurer la continuité pour la circulation de l’air entre un véhicule ferroviaire avant et un véhicule ferroviaire arrière d’un train ferroviaire
CN112455244B (zh) * 2019-09-09 2022-07-26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无轨电车动力走行系统及无轨电车
CN112455243B (zh) * 2019-09-09 2022-07-26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无轨电车走行系统及无轨电车
FR3101048B1 (fr) * 2019-09-23 2021-10-01 Alstom Transp Tech Dispositif d’habillage d’une passerelle d’un véhicule et véhicule, notamment ferroviair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habill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20662A1 (ko) * 1968-10-14 1970-07-17 British Railways Board
FR2571010B1 (fr) * 1984-10-02 1988-03-11 Regie Autonome Transports Dispositif d'intercirculation entre deux modules de rame ferroviaire
JP2798389B2 (ja) * 1988-03-11 1998-09-17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連接車用連接部通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3508C (zh) 2006-11-08
TR200200865T2 (tr) 2002-08-21
KR100742807B1 (ko) 2007-07-25
AU7669400A (en) 2001-04-30
DE60002351D1 (de) 2003-05-28
FR2798889B1 (fr) 2001-11-16
CN1376123A (zh) 2002-10-23
EP1216179A1 (fr) 2002-06-26
RU2002111364A (ru) 2004-02-10
JP4828064B2 (ja) 2011-11-30
ATE238186T1 (de) 2003-05-15
RU2266838C2 (ru) 2005-12-27
JP2003516259A (ja) 2003-05-13
WO2001023236A1 (fr) 2001-04-05
FR2798889A1 (fr) 2001-03-30
MXPA02002896A (es) 2003-05-23
CA2390806A1 (fr) 2001-04-05
EP1216179B1 (fr) 2003-04-23
ES2195938T3 (es) 200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4360B2 (en) Telescoping truck bed shell
US5011214A (en) Truck box cover
KR20020037363A (ko) 공통 관절연결 수송수단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사이에 있는 연결차량 결합통로에 대한 보호
US8096010B2 (en) Bridge span and bridge span transportation vehicle
RU99103928A (ru) Составное шарнирное сочленение между двумя салонами пассажир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тделенными друг от друга промежуточным модулем, опирающимся на одну колесную ось
US20240083225A1 (en) Telescoping truck bed shell
US7419200B2 (en) Retractable parcel shelf for a convertible vehicle with a folding roof
NL8204033A (nl) Overkapping.
US7735899B2 (en) Convertible automobile
US20070090664A1 (en) Hardtop vehicle roof with external roof kinematic system
RU2553927C2 (ru) Токосъемник для питания моторных и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узлов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P2272700B1 (en) Collapsible roof device for a long vehicle such a touristic bus
GB1592155A (en) Motor vehicles
KR102082318B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CN113335406A (zh) 一种变形式越障机器人
US3682126A (en) Amphibious bridge vehicle
JP2893028B2 (ja) 防雪柵
GB2289243A (en) Shelter for a vehicle
GB2304647A (en) Demountable hardtop for a vehicle
CN104245378A (zh) 用于车辆的敞开式车顶构造
RU2212489C2 (ru)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й мостовой комплекс
CN211280603U (zh) 一种新能源观光车
JP2002276205A (ja) 伸縮式テント装置
JPH10100685A (ja) トラック荷台用伸縮幌の前部取付構造
CN115030572A (zh) 一种可移动式顶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