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238B1 -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양측부 보호체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양측부 보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238B1
KR101747238B1 KR1020150029822A KR20150029822A KR101747238B1 KR 101747238 B1 KR101747238 B1 KR 101747238B1 KR 1020150029822 A KR1020150029822 A KR 1020150029822A KR 20150029822 A KR20150029822 A KR 20150029822A KR 101747238 B1 KR101747238 B1 KR 101747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fixing
vehicle
bracke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988A (ko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신형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형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신형이앤지
Priority to KR102015002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23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61D17/22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flexible, e.g. bel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에서 연속 배열된 차량들 사이에서 연결구조체에 의해 보호되는 연결통로를 위해 연결구조체의 양측 측부에 위치하여 가림 할 수 있으면서 미려한 외관을 이룰 수 있는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내측의 양측부 보호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200)과 차량(20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막주조체(300)의 측부에 설치되는 측부구조체(100)와, 상기 측부구조체(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200)의 본체(202)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재(112a)와 체결브라켓트(600)를 연결하는 볼트착탈부재(118)와, 상기 측부구조체9100)의 다른 일측에 설치된 연결브라켓트(115)와 상기 차량(200)의 본체(202)에 부착되어 있는 다른 고정부재(112)에 설치된 키착탈부재(116)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112)(112a)에 설치되어 열차의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차량간 상하 높이 차와 좌우 편위량 및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는 수직완충부재와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양측부 보호체{PROTECTION FOR INTERCAR LINKAGE PASSAGE BETWEEN TWO CONSECUTIVE CARS OF A COMMON ARTICULATED LAND VEHICLE}
본 발명은 기차, 지하철, 전철 등과 같은 철도차량의 객차와 객차 사이 통로를 연결시켜 주는 철도차량용 통로 연결막을 개선한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에서 연속 배열된 차량들 사이에서 연결구조체에 의해 보호되는 연결통로를 위해 연결구조체의 양측 측부에 위치하여 가림 할 수 있으면서 미려한 외관을 이룰 수 있는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내측의 양측부 보호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차, 지하철, 전철 등과 같은 철도차량은 다수의 객차를 연결하여 운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철도차량에는 객차와 객차 사이를 사람들이 안전하게 왕래할 수 있도록 객차와 객차 사이에 발판이 설치되고, 또한 철도차량에는 객차와 객차 사이를 왕래하는 사람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객차와 객차 사이에 터널형상의 통로 연결막이 설치되고 있다.
종래에는 열차의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차량간 상하 높이 차와 좌우 편위량 및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며 승객이 안전하게 차량간을 통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량과 차량 사이에 천막지 등으로 주름막을 형성시키거나, 상부와 좌우는 고 무판을 원형으로 하여 부착하고 하부에는 별도의 건널판(Gangway Plate)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승객이 실족하거나 틈새에 끼이게 되는 위험성이 있으며, 외부의 소음 및 먼지가 차내로 유입되고, 단열이 안되어 차내의 냉난방 효과를 감소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막(벨로우즈)은, 이면체로서 형성되고 개폐되는 주름구조체로부터 확장되는 장치이다. 연결막은 원하는 용도를 위한 충분한 보호기능을 제공하지만, 연결막이 가지는 강성과 기계적 저항에 기인하여 연결막은 동력중단 또는 충격과 같은 기계적 현상에 적응하지 못한다.
또한 연결막(벨로우즈)이 가지는 아코디언 구조는 일련의 주름구조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구조체들은 액체 잔류물 및 고체 오염물을 끌어들여, 작동과정 동안 기술적 문제를 야기하고 또한 외관을 오염시키며 승객들에게 불쾌한 인상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4280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1714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55567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통로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막(벨로우즈)의 측부에 몸체패널(panel)들을 가진 측부보호체를 제공하여 미려한 연결통로부를 형성하고 고속주생에 따른 소음률이 낮도록 하는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내측의 양측부 보호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넬 형태의 측부보호체를 철도차량의 연결막 내측에 설치하여 가림기능을 이루게 하고 차량 운행 시 상하 또는 좌우 진동에 의한 움직임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승객이 차량 간의 이동 시 안전한 통행로를 확보할 수 있는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측부보호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로연결막의 측면을 가림 할 수 있으면서 미려한 외관을 이룰 수 있는 장식판을 차량의 고정틀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원가와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공정과 부품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내측의 양측부보호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철로 위를 운행하는 기차의 차량과 차량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 위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고, 외부와 차단하여 소음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결막구조체에서, 상기 연결막구조체의 내측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측부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내측의 양측부 보호체에 있어서, 상기 측부구조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체결브라켓트를 연결하는 볼트착탈부재와; 상기 측부구조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된 연결브라켓트와 상기 차량의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다른 고정부재에 설치된 키착탈부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열차의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차량간 상하 높이 차와 좌우 편위량 및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는 수직완충부재와 토션스프링과,
삭제
상기 볼트착탈부재는 한 쌍의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체결브라켓트를 각각 부착하여 접합하여 보울트체결공을 통하여 보울트로 체결하고,
상기 키착탈부재는 상기 측부구조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재를 착탈 가능하도록 스프링으로 탄발되는 키가 조절구와 연결되어 고정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수직완충부재는 수직바를 고정하는 지지판과 수직바의 하단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을 일체로 설치하는 연결브라켓트에 고정브라켓트를 연결하여 차량간 상하 높이 차와 편위량 및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고정부재에 핀축으로 결속되어 차량간 좌, 우간 편위량 및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내측의 양측부 보호체.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내측의 양측부 보호체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막 측부에 별도의 방음과 단열성을 가지는 판넬 형태의 보호체(가림판)을 설치하고, 압축코일스프링과 토션스프링을 적용하여 다각도의 차량간 편위량에 적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막의 일측부를 가림하여 미려한 외관을 얻음과 동시에 자체 소음은 물론 외부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승객의 통행에 있어서 장애가 없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통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내측의 양측부 보호체 조립구조에 따르면, 측부구조체가 연결막 구조체의 측부에 고정프레임과 연결프레임에 의하여 양호하게 조립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열차의 차량 주행 시 발생하는 차량간 상하 높이 차와 좌우 편위량 및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며 승객이 안전하게 차량간을 통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가 철도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부구조체의 요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구조체에 측부구조체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측부구조체의 부분 발췌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착탈부재의 구성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왕충부재의 구성 확대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완충부재의 요부 및 분해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와 토션스프링의 결속상태 요부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완충부재의 조립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완충부재의 조립된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은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저면도이고, 도 4는 부분 발췌 단면도이며, 도 5는 비틀림스프링의 구조 및 설치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측부구조체(100)는 철도의 차량(200)과 차량(20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막구조체(300)의 내측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으면서 승객의 안전한 통행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측부구조체(100)는 전체적으로 차체 외형에 따라 대략 사각대형의 호형을 이루는 판넬 구조를 가지며, 그 사각대형 몸체의 가장자리에는 철도차량(200)의 본체(202)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재(112)(112a)와, 상기 고정부재(112)(112a)와 대응하는 연결부재(114)(114a)가 상기 측부구조체(100) 일측 단에 설치되어 고정부재(112)(112a)와 고정 또는 이동형태로 결속을 이루게 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12)에는 연결부재(114)가 착탈이 가능할 수 있는 키착탈부재(116)와 볼트착탈부재(118)가 각각 한 쌍이 대각선 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측부구조체(100)는 일측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상기 하나의 대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부재(112)는 철도차량(200)의 본체(202)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일면이 고정되어 있으며, 개방부에는 키착탈부재(116)가 결속되어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대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부재(112a)는 철도차량(200)의 본체(202)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일면이 고정되어 있으며 개방부에는 볼트착탈부재(118)가 결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키착탈부재(116)는 대응하는 연결부재(114)를 착탈 가능하게 스프링(410)으로 탄발되는 키(412)가 조절구(416)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절구(416)는 상기 키착탈부재(116)의 상,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키(412)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핀(418)이 결속되어 있어서 조절구(416)가 수직방향에서 회동운동을 이루게 되므로 키(412)가 승강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키(412)가 승강 작동하면 키(412)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스프링(412)이 압축과 팽창을 이루게 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114)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트(115)를 결속하거나 해제가 이루어져 연결브라켓트(115)의 체결상태는 물론 해제상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키(412)와 대응하는 상기 연결브라켓트(115)에는 키(412)가 삽입되는 키홀(115-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키(412)의 출입은 물론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직 방향의 상,하단으로 한 쌍이 설치되어 있는 연결브라켓트(115)의 내측에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차량(200)의 본체(202)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재(112)에는 수직완충부재(5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직완충부재(500)는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바(502)와, 완충스프링(504)와, ‘ㄷ’자형상연결브라켓트(506)와, 고정브라켓트(508)과, 지지판(510)과 핀축(512) 및 토션스프링(5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스프링(504)은 수직바(502)에 완충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재(1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바(502)의 하부는 완충스프링(504)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는 지지판(510)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부재(112)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12)에 고정부착된 지지판(510)의 상면에는 두 번절곡하여 고정브라켓(508)을 니사로 조립한다.
상기 토션스프링(512)은 핀축(512)으로 ‘ㄷ‘형상연결브라켓(506)과 고정브라켓트(508)에 결속되어 고정브라켓트(508)과 고정부재(112)(112a)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수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12)와 대향 하는 대칭상태의 다른 고정부재(112a)에는 상기 수직완충부재(500)가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수직완충부재(500)의 외부 및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브라켓트(600)가 마련되어 대응하는 연결부재(114a)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브라켓트(600a)과 체결수단인 보울트로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내측의 양측부 보호체에서,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통로연결막 조립구조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200)의 본체(202)에 고정부재(112)(112a)가 고정설치되어 복수개의 고정부재(112)(112a) 중 일측 고정부재(112a)에는 측부구조체(10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재(112a)가 체결브라켓트(600)와 보울트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112)에 설치되어 키탈착부재(116)에 의하여 측부구조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재(114)의 연결브라켓트(115)가 결속되어 안전하고 양호한 측부구조체(10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부구조체(10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부재(114)는 고정부재(112)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측부구조체(100)의 회동에 의하여 키탈착부재(116)에 자유롭고 편리하게 착탈고정을 이루게 된다.
즉, 연결부재(114)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트(115)는 고정부재(112)를 대향하여 접근하게 되고, 이어서 키홀(115-1)에 접근하면 키(412) 하부을 밀어 올려줌과 동시에 키(412)의 하단에 위치하면 키(412)는 스프링(410)의 탄성력으로 상승된 후 복귀력을 갖고 있어서 원상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키(412)에 의하여 상기 연결브라켓트(115)은 단속되어 안전하고 양호한 결속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트(115)의 단속을 해제하여 측부구조체(100)를 자유롭게 회동할 때에는 키착탈부재(116)에 마련되어 있는 조절구(416)를 직각방향으로 회동하면 조절구(416)과 힌지핀(418)으로 연결되어 있는 키(412)가 상승하게 되어 상기 연결브라켓(115)으로 부터 이탈되어 연결브라켓트(115)는 자유롭게 이탈될 수 있어 측부구조체(100)의 일측이 개방되어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구(416)를 다시 원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스프링(410)의 탄성력으로 키(412)가 원상복귀되므로 키(412)를 원래 상태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완충부재(500)는 도 2 및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상연결브라켓트(506)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12a)가 차량(200)의 본체(202)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112a)의 일측에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ㄷ‘형상고정브라켓트(508)과 지지판(510)이 결합되어 수직바(502)를 결속하고 있으며, 상기 수직바(502)는 완충스프링(504)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면서 설치되어 차량본체에서 전달되는 상.하방향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얀걀구조체(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수직완충부재(500)은 고정부재(112a)의 일부에 홀을 형성하여 고정부재(112a)의 내부에는 완충스프링(504)과 수직바(502)를 설치하는데 상기 홀의 하단에는 수직바홀을 형성하여 수직바(502)를 상하수직으로 안내하고 완충스프링(504)를 지지하는 철편을 조립설치한다
상기 완충스프링(504)은 수직바(502)에 완충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재(112a)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직바(502)의 하부는 완충스프링(504)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는 지지판(510)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부재(112)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200)의 주행 시 발생되는 차량간 상하 높이 차에 의한 편이량 및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여 양호한 열차 통행로를 유지할 수 있어 승객의 출입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2)에 고정부착된 지지판(510)의 상면에는 두 번절곡한 고정브라켓트(508)을 조립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508)에는 토션스프링(512)과 함께 ‘ㄷ’자형상연결부라켓트(506)을 핀축(512)으로 조립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트(508)는 두 번절곡하여 절곡된 양단에는 핀축홀을 형성하여 핀축(512)을 조립하고 중앙부에는 나사홀을 형성하여 지지판(510)의 상면에 위치하여 고정부재(112)에 조립고정한다.
상기 ‘ㄷ’자형상연결부라켓트(506)는 절곡하여 ‘ㄷ’자 형상으로 만들어 절곡된 양측일부에는 핀축홀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나사홀을 형성하여 나사로 본체에 조립한다.
상기 토션스프링(512)은 핀축(512)으로 연결브라켓(506)과 ‘ㄷ‘형상고정브라켓트(508)에 결속되어 있어 ‘ㄷ‘형상고정브라켓트(508)과 고정부재(112)(112a)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112)(112a)에는 토션스프링(514)가 핀축(512)에 의해 결속되어 있어서 열차의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차량간 좌우 편위량 및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측부 구조체(100)가 차량(200)의 본체(202)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정부재(112)(112a)에 의하여 일측은 회동가능한 상태로 고정설치되고 다른 일측은 착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므로 차량(200)과 차량(200) 간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구조체(300)의 일측을 가림 할 수 있어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으며, 사용중 연결구조체(300)의 수리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측부구조체(100)의 일측을 간편하게 개방하여 열림 상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열차의 차량 주행 시 발생하는 차량간 상하 높이 차와 좌우 편위량 및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기 때문에 차량통행로를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흔들림이나 쏠림이 일어나지 않고 양호하고 안전한 보행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철도차량용 측부구조체의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측부구조체 112,112a; 고정부재
114,114a; 연결부재 115; 연결브라켓트
115-1; 키홀 116; 키착탈부재
118; 볼트착탈부재 300; 연결막구조체
410; 스프링 412; 키
416; 조절구 418; 힌지핀
500; 수직완충부재 502; 수직바
504; 완충스프링 506; 연결브라켓트
508; ‘ㄷ’자형상고정브라켓트 510; 지지판
512; 핀축 514; 토션스프링
600; 체결브라켓트

Claims (6)

  1. 철로 위를 운행하는 기차의 차량과 차량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 위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고, 외부와 차단하여 소음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결막구조체에서,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측부구조체(100)는 철도의 차량(200)과 차량(20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막구조체(300)의 측부에 설치되어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으면서 승객의 안전한 통행로를 제공하고,
    측부구조체(100)는 전체적으로 차체 외형에 따라 사각대형의 호형을 이루는 판넬 구조를 가지며, 그 사각대형 몸체의 가장자리에는 철도차량(200)의 본체(202)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재(112)(112a)와, 상기 고정부재(112)(112a)와 대응하는 연결부재(114)(114a)가 상기 측부구조체(100) 일측 단에 설치되어 고정부재(112)(112a)와 고정 또는 이동형태로 결속을 이루게 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112)에는 연결부재(114)가 착탈이 가능할 수 있는 키착탈부재(116)와 볼트착탈부재(118)가 각각 한 쌍이 대각선 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측부구조체(100)는 일측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대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부재(112)는 철도차량(200)의 본체(202)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일면이 고정되어 있으며, 개방부에는 키착탈부재(116)가 결속되고,
    다른 하나의 대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부재(112a)는 철도차량(200)의 본체(202)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일면이 고정되어 있으며 개방부에는 볼트착탈부재(118)가 결속되고,
    상기 키착탈부재(116)는 대응하는 연결부재(114)를 착탈 가능하게 스프링(410)으로 탄발되는 키(412)가 조절구(416)와 연결되고,
    상기 조절구(416)는 상기 키착탈부재(116)의 상,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키(412)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핀(418)이 결속되어 있어서 조절구(416)가 수직방향에서 회동운동을 이루게 되므로 키(412)가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고,
    키(412)가 승강 작동하면 키(412)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스프링(412)이 압축과 팽창을 이루게 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114)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트(115)를 결속하거나 해제가 이루어져 연결브라켓트(115)의 체결상태는 물론 해제상태를 이룰 수 있고,
    상기 키(412)와 대응하는 상기 연결브라켓트(115)에는 키(412)가 삽입되는 키홀(115-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키(412)의 출입은 물론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수직 방향의 상,하단으로 한 쌍이 설치되어 있는 연결브라켓트(115)의 내측에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차량(200)의 본체(202)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재(112)에는 수직완충부재(50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완충부재(500)는 수직바(502)와 완충스프링(504)와, 연결브라켓트(506)와, 고정브라켓트(508)과, 지지판(510)과 핀축(512) 및 토션스프링(5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스프링(504)은 수직바(502)에 완충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재(1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바(502)의 하부는 완충스프링(504)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는 지지판(510)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부재(112)에 배치되고,
    상기 토션스프링(512)은 핀축(512)으로 고정브라켓트(508)에 결속되어 있어서 고정브라켓트(506)과 고정부재(112)(112a)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수용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112)와 대향 하는 대칭상태의 다른 고정부재(112a)에는 상기 수직완충부재(500)가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수직완충부재(500)의 외부 및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브라켓트(600)가 마련되어 대응하는 연결부재(114a)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브라켓트(600a)과 체결수단인 보울트로 체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측부 보호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29822A 2015-03-03 2015-03-03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양측부 보호체 KR101747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822A KR101747238B1 (ko) 2015-03-03 2015-03-03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양측부 보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822A KR101747238B1 (ko) 2015-03-03 2015-03-03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양측부 보호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88A KR20160106988A (ko) 2016-09-13
KR101747238B1 true KR101747238B1 (ko) 2017-06-27

Family

ID=5694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822A KR101747238B1 (ko) 2015-03-03 2015-03-03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양측부 보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92B1 (ko) * 2018-08-09 2020-08-25 (주)신형이앤지 철도차량의 통로연결막 양내측에 설치된 가림판부재의 상,하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435A (ja) * 2004-08-23 2006-03-0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用外幌の取付構造
US20110304170A1 (en) * 2010-06-09 2011-12-15 Hübner GmbH Side wall cover
CN103863343A (zh) 2012-12-11 2014-06-18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折棚风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145Y1 (ko) 1998-12-12 2001-04-02 김용철 철도차량용 객차 연결막구조_
FR2798889B1 (fr) 1999-09-29 2001-11-16 Lohr Ind Protection pour le passage d'intercirculation entre deux voitures consecutives d'un meme vehicule terrestre articule
KR200455567Y1 (ko) 2009-11-24 2011-09-15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 다이어프램용 고정부재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435A (ja) * 2004-08-23 2006-03-0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用外幌の取付構造
US20110304170A1 (en) * 2010-06-09 2011-12-15 Hübner GmbH Side wall cover
CN103863343A (zh) 2012-12-11 2014-06-18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折棚风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88A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04330B (zh) 一种大视野悬挂式空轨列车
CA2464637A1 (en) Impactable door
CN110509947B (zh) 一种低地板车辆用车底防护装置
US7191909B2 (en) Cover for coupling head
JP5500670B2 (ja) ホームドア装置
KR101747238B1 (ko)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의 양측부 보호체
KR20140055232A (ko) 철도차량용 배장기
CN108146306B (zh) 军车用折叠防雷车座椅
EP0208436B2 (en) Hood device for coupling cars
JP2013199270A (ja) 鉄道車両用の複合自己支持型ハウジング
WO2017018251A1 (ja) 車両
CA2062212A1 (en) Removable sealing device for a raisable-curtain goods-handling door
KR200245222Y1 (ko)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
KR101263564B1 (ko) Psd 조립체 모듈용 보강프레임
KR200464709Y1 (ko)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KR100826234B1 (ko) 스크린도어용 헤드박스의 보강구조
KR100935010B1 (ko)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JP4188852B2 (ja) 鉄道車両用パネル装置
CN207747887U (zh) 贯通道及磁悬浮列车
KR100396000B1 (ko)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
CN110745154A (zh) 一种过滤装置和轨道车辆
KR101234884B1 (ko) 피에스디 조립체 모듈의 천장 밀봉 구조
CN214823284U (zh) 一种具有新型居中机构的贯通道装置
CN214823289U (zh) 一种一片式侧护板装置
CN214396745U (zh) 一种门立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