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318B1 -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2318B1 KR102082318B1 KR1020190113105A KR20190113105A KR102082318B1 KR 102082318 B1 KR102082318 B1 KR 102082318B1 KR 1020190113105 A KR1020190113105 A KR 1020190113105A KR 20190113105 A KR20190113105 A KR 20190113105A KR 102082318 B1 KR102082318 B1 KR 102082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ctor
- cable
- elastic
- flexible
- support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4—Suspended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상을 이동하며 트롤리와 연성막을 견인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로서, 몸체부(510);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 상기 몸체부의 상면 좌우측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 위를 이동하는 ㄷ형상의 슬라이더 부재(550); 및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구비되는 트랙터 탄성모듈(TE);을 구비하고, 상기 트랙터 탄성모듈은,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탄성블록(20); 상기 탄성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21),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2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23)을 구비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명은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드라이빙 캐리지(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붕 구조물에서 연성막이 케이블에 매달린 상태에서 개폐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트롤리를 견인하는 트랙터가 이동 중 상하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에서 개폐식 지붕은 보편적인 지붕형태의 고정식 지붕과 달리, 열리고 닫히는 가동상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 건축계획과 구조계획의 측면에서 요구되는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개폐형식의 선택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실제 건설되고 있는 개폐식 지붕의 개폐형식은 개폐면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강성패널 방식과 연성막재 방식이 있다.
연성막재 방식은 케이블에 연성막을 매달아 연성막의 폴딩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연성막을 케이블에 매달아 펼치거나 접기 위해서는 트롤리와 트롤리를 끌고가는 트랙터가 요구된다. 케이블 위에서 위해 다수개의 트롤리가 일렬로 배치되고 트랙터에 의해 이끌려서 이동하게 된다. 연성막이 편심되지 않도록,트롤리와 트랙터가 케이블에 안정되게 매달려 이동되거나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트롤리는 강재 케이블을 감싸고 그 위를 최소한의 마찰로 지나가는 부분과 그 하단에 연성 막재를 잡고 있는 디스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롤리는 다수 개가 배치되고, 개개의 트롤리는 모터 구동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케이블 상을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51590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로서 트롤리에 구비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연성 막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트롤리를 케이블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케이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개개의 트롤리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케이블 상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위 트롤리를 견인하는 트랙터는 트롤리와 함께 연성막도 함께 견인하게 되는데, 이동하는 트랙터가 연성막에 의한 장력 등 외부충격에 의해 진행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를 받게 되고, 그 결과 트랙터는 케이블 상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상하 좌우 흔들림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여 트랙터가 케이블에서 이탈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트랙터가 외력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블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과 트랙터가 접촉하는 면에서 사용되는 부재를 탄성계수와 강도를 고려한 적절한 재료를 채택함으로써 트롤리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상을 이동하며 트롤리와 연성막을 견인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로서, 몸체부(510);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 상기 몸체부의 상면 좌우측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 위를 이동하는 ㄷ형상의 슬라이더 부재(550); 및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구비되는 트랙터 탄성모듈(TE);을 구비하고, 상기 트랙터 탄성모듈은,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탄성블록(20); 상기 탄성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21),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2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23)을 구비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블록은, 탄성블록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감싸면서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상면과 상부지지판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탄성간격(d)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판의 폭은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하부지지판에서 지지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저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트랙터가 케이블 상에서 이동시, 상기 탄성블록의 노출저면부가 외력을 받으면 상기 탄성블록은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성막 케이블(MC);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막 케이블에는 상기 연성막이 결합된다.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연결되어 트렉터를 견인하는 트랙터 견인 케이블(TC1); 및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트롤리를 견인하는 트롤리 견인 케이블(TC2); 상기 몸체부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연성막의 일단과 결합되어 트랙터 이동에 따라 연성막을 견인하는 연성막 연결부(5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회동축(515)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의 일단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되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회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하부에 연성막이 부착되고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트롤리와,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연성막과 트롤리를 견인하는 트렉터;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로서, 상기 트랙터는, 상기 케이블 위를 이동하는 ㄷ형상의 슬라이더 부재(550);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트랙터 탄성모듈(TE)가 구비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과 같이 구성되어서, 트랙터 내부에 구비된 탄성모듈의 구조로 인해, 상기 트랙터가 케이블 상을 안정적으로 이동할 뿐 아니라 상기 트랙터가 일정 위치에 정착된 후에도 연성막에 의해 작용하는 케이블에 수직한 방향의 외력에도 효과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배치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가 다수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케이블에 위치하는 모습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중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인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에서 일부 구성을 제외한 모습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이며,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을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연성막이 펼쳐진 모습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된 트랙터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된 트랙터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된 트랙터의 일부 구성의 모습이며,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인 트랙터 탄성모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구성인 트랙터 탄성모듈의 조립된 모습이며,
도 19는 도 18 중 일부 구성을 제거한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가 다수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케이블에 위치하는 모습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중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인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에서 일부 구성을 제외한 모습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이며,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을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연성막이 펼쳐진 모습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된 트랙터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된 트랙터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된 트랙터의 일부 구성의 모습이며,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인 트랙터 탄성모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구성인 트랙터 탄성모듈의 조립된 모습이며,
도 19는 도 18 중 일부 구성을 제거한 모습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트랙터 및 트롤리는 케이블 상을 이동하면서 개폐식 지붕의 막과 체결되어 막을 펼치고 접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며,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된 트롤리 각각의 하단에는 디스크 플레이트 형상의 연성막 결합부재가 있어서 연성막이 접합되어 트롤리 이동에 따라 연성막이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드라이빙 캐리지(이하, '트랙터'라고 함)는 복수 개의 일렬로 배치된 트롤리의 선두에 위치하면서 트롤리와 연성막을 견인하여 끌고 가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2에서는 먼저 트롤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도 14 이하에서는 트랙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100,200)는 상측의 슬라이더(100)와 하측의 연성막 결합부재(200)로 이루어진다. 트롤리는 상기 케이블(C)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 연성막(400)을 메달고 있는 구조이다(도 3). 상기 연성막은 건축물 지붕 역할을 하는 막재로서 트롤리 이동에 따라 지붕이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하나의 케이블(C) 상에서 이웃하여 배치되는 트롤리와 트롤리는 견인케이블(미도시)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가장 선두에 위치하는 트롤리를 트랙터(도 14 참조)가 견인하면 트롤리들은 하나씩 견인케이블에 의해 줄줄이 순차적으로 견인되는 구조이다. 트롤리가 순차적으로 견인되면서 아래쪽에 부착된 연성막(400)이 펼쳐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쌍으로 배치되고, 하나의 쌍으로 배치된 케이블 위를 트롤리의 슬라이더(100)가 이동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쌍은 횡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연성막을 지지하게 된다(도 2 참조).
트롤리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고정 설치된 케이블(C) 위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위에서 트롤리의 거동은 트랙터가 끄는 힘과 더불어 외부충격에 의해 진행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도 받게 되고, 그 결과 트롤리는 케이블 상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본 발명은 트롤리의 이러한 상하 좌우 흔들림에 대한 완충구조를 적용하여 트롤리가 케이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레이트(300) 구조를 설명한다.
연성 개폐식 트롤리 시스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300)를 메달기 위한 플레이트용 케이블(미도시)이 상기 케이블(C)의 상측에 상기 케이블(C)을 따라 구비된다. 즉, 플레이트(300)는 상기 플레이트용 케이블(미도시)에 메달린 상태로 일정 지점에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용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31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회동부(320) 및 상기 수직회동부(3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3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30)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C)을 안착하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안착홈에 위치하는 케이블(C)은 상기 수평부(330)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수직회동부(320)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310)와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315)으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300)는 상기 플레이트용 케이블에 연결되어 좌우 직선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C)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C)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부(330)의 상면 중 양측단(상기 케이블(C)의 외측부)에는 레일면(340)이 위치하고 상기 레일면(340)의 전후에는 레일경사면(345)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이하 설명할 트롤리의 슬라이더(100)의 부재와 맞닿는 부분이다.
[트롤리 이탈 방지용 탄성모듈 구조]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롤리(100, 200)에 적용된 탄성모듈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C)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00)와 하측에 위치하고 연성막(400)을 잡고 있는 연성막 결합부재(200)로 이뤄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00)는, ㄷ 형상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측 슬라이더 몸체(110)와 상기 좌우측 슬라이더 몸체(110)를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슬라이더 결합부재(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슬라이더 몸체(110) 내부에 이하 설명할 탄성모듈(E) 등의 부재를 결합하는 다양한 부품(130)들과 볼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하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탄성블록(10)을 포함하는 탄성모듈(E)을 채택하여 트롤리가 플레이트(300) 위에 정착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모듈(E)은, 탄성블록(10)을 각각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11), 외측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1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3)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판의 양단에는 보조지지판(14)이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지지판, 측면지지판, 하부지지판, 보조지지판 등은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판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서 볼트로 체결되며, 이러한 볼트 체결 수단은 기계요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부품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블록(10)은 상부지지판(11), 측면지지판(12), 하부지지판(13)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ㄷ 형태의 탄성모듈의 구조 내부에 위치한다.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E)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보조지지판(14)만을 제거한 모습이다.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하부지지판(13)에 의해 지지된다. 다만, 상기 하부지지판(13)에 의해 탄성블록의 하면이 전체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는 아니며 일부(도 10의 그림의 10b부분)만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즉, 하부지지판(130)의 폭이 상기 탄성블록(10)의 저면 중 일부만을 지지하고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저면 중 일부는 상기 하부지지판(13)에서 지지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저면부(10a)를 형성한다(도 10). 상기 노출저면부(10a)는 위에서 설명한 플레이트(300)의 레일면(도 6의 340)과 접하면서 레일면 상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모듈(E)의 측면을 보면, 대략 ㄷ 형태의 구조 내부에 탄성블록(10)이 위치하고, 탄성블록(10)과 상부지지판(11) 사이에는 탄성간격(d)가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블록(10)의 상면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홈에는 지지대(17)와 스프링(18)이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17)는 스프링의 내측에 위치하여 스프링의 좌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대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판(11)에 형성된 상부체결홀(11a)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18)의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판(11)에 닿고 스프링의 하단은 상기 블록홈(10-1)의 하단에 닿아서 상기 탄성블록(10)이 상기 상부지지판(11)으로 부터 상기 탄성간격(d)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탄성블록(10)은 상기 지지대(17)와 하부지지판(13)등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왕복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트롤리의 슬라이더(100) 내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지지판(11), 측면지지판(12), 하부지지판(13) 등은 상기 슬라이더(100) 내측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블록(10)은 상기 탄성간격(d) 만큼 스프링(18)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트롤리가 케이블(C)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00)에 정착되는 과정에서 탄성모듈(E)이 상기 플레이트(300)에 접하는 모습을 보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 전방에 위치하는 레일경사면(345)과 접하면서 탄성블록(10)은 스프링(18)이 압축되면서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블록이 플레이트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340)에 상기 스프링(18)이 압축된 상태로 위치한다(도 11의 (a)와 (b)와 (c)).
그리고, 상기 트롤리가 케이블(C)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00)를 지나서 통과하게 되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에서 해제되면서 탄성블록은 다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도 11의 (d)).
본 발명의 트롤리가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성막을 펼치게 되고, 연성막을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트롤리는 상기 플레이트(300)에 정착되어 더 이상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데, 이것이 도 11의 (c)의 모습이다.
트롤리가 플레이트에 정착되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과 접하면서 탄성블록(10)은 스프링(18)이 압축되면서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스프링이 탄성력을 작용하면서 의해 탄성블록의 노출저면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340)과 구조가 된다. 그리고, 이때, 연성막에 의해 상기 트롤리에 외력(케이블에 대해 수직방향 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트롤리에 연성막에 의해 케이블의 수직방향 외력이 작용하는 것은 도 13과 같이 비대칭 연성막이 펼쳐진 모습을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다. 여기서 '비대칭'이란 연성막을 개폐구조에서 연성막 상측의 케이블(C)의 길이가 각각 상이하여 대칭이 아님을 의미한다. 본 도면에서 케이블은 10개가 배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각각 번호를 C1, C2 ~C9, C10으로 부여하였다. 즉, 도 13과 같은 케이블은 연성막 위에 배치되되 가운데 위치에 배치되는 케이블(C5,C6,C7)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외곽쪽에 배치되는 케이블(C1,C2,C9,C10)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된다.
연성막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과정을 생각하면, 각 케이블 위에서 트롤리가 동시에 연성막을 끌고 펼치기 시작하는데, 외곽쪽에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케이블(C1,C2,C9,C10) 위의 트롤리가 펼침 동작을 먼저 완료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케이블(C5,C6,C7) 상의 트롤리는 계속하여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외곽측 연성막은 중앙부 연성막에 힘을 작용하게 된다. 즉, 외곽측 트롤리 하부의 연성막이, 중앙부 케이블(C5,C6,C7) 하부의 연성막을 잡아 당기게 되고, 그 결과, 그 힘이 중앙부 케이블(C5,C6,C7) 트롤리 하부로 전달되어, 위에서 언급한 트롤리에 외력(케이블에 대해 수직방향 외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외력이 트롤리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트롤리의 탄성모듈의 탄성블록의 저면이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과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롤리가 플레이트에 정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트롤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3을 보면, 케이블(C1 내지 C10) 위에 복수 개의 트롤리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들 트롤리의 앞에는 트롤리를 견인하는 트랙터가 배치된다(도 13 도면 상에서는 트롤리와 트랙터 미도시). 즉, 트랙터는 트롤리를 견인하면서 고정 설치된 케이블(C) 위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위에서 트랙터에 작용하는 힘을 보면 트랙터 전방에 결합되어 트랙터를 견인하는 견인케이블과 트랙터 뒤에서 인장력을 가하는 트롤리 힘과 더불어 연성막에 작용하는 힘과 같은 외력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트랙터는 진행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는 다양한 외력을 받게 되고, 그 결과 트랙터는 케이블 상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본 발명은 트랙터의 이러한 상하 좌우 흔들림에 대한 완충구조를 적용하여 케이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9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랙터(500) 구조를 설명한다.
도 14를 보면, 본 발명의 트랙터(500)는 중심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510)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와, 상기 몸체의 상측 좌우측에 결합되는 ㄷ형상의 슬라이더 부재(5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에는 각각 연성막을 견인하는 연성막 케이블(MC)이 결합된다. 연성막 케이블(MC)에는 연성막이 결합되어 견인된다.
그리고, 트랙터 몸체부(510)의 전방에는 트랙터를 견인하는 트랙터 견인케이블(TC1)이 연결되고, 상기 트랙터 견인케이블(TC1)은 연성막 개폐 시스템에 구비된 모터(미도시)에서 동력을 받아 트랙터를 전방으로 견인하게 된다. 트랙터 몸체부(510)의 후방에는 후방에 위치하는 트롤리를 견인하는 트롤리 견인케이블(TC2)의 일단이 연결되고, 트롤리 견인케이블의 타단은 후방의 트롤리에 연결된다. 전방으로 이동하는 트랙터가 상기 트롤리 견인케이블(TC2)를 당겨서 후방에 위치하는 트롤리를 견인하게 된다. 그리고, 트롤리 몸체부(510)의 후방에는 연성막을 연결하여 견인하는 연성막 연결부(560)가 위치하여, 상기 트랙터(500)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트롤리를 견인함과 동시에 연성막 연결부(560)에 연결된 연성막의 끝단부를 견인하여 펼쳐지게 한다.
도 15를 보면, 트롤리 몸체부(510)에는 수직하게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된 회동축(515)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에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도 15의 화살표).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에 연결된 연성막 케이블(MC)과, 몸체부 후방의 연성막 연결부(560)에 의해서 상기 트랙터는 연성막을 3지점에서 견인하면서 동시에 트롤리를 견인하는 구조이다.
[트랙터 이탈 방지용 탄성모듈 구조]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랙터(500)에 적용된 탄성모듈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550)는, ㄷ 형상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좌우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몸체(552)와 상기 슬라이더 몸체(552)의 내부에 트랙터 탄성모듈(TE)이 내부에 구비되고 이들을 결합하는 다양한 볼트 등 부품을 포함한다. 트랙터 탄성모듈(TE)은, 상하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탄성블록(20)을 채택하여 트랙터가 플레이트(300) 위를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트랙터 탄성모듈(TE)은, 탄성블록(20)을 각각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21), 외측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2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23)을 포함하고, 이들은 볼트공을 통해서 볼트로 체결된다. 상기 탄성블록(20)은 상부지지판(21), 측면지지판(22), 하부지지판(23)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ㄷ 형태의 구조 내부에 위치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구성인 트랙터 탄성모듈의 조립된 모습이며, 도 19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8의 그림에서 보조지지판(24)만을 제거한 모습이다. 도 18 및 도 19를 보면,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하부지지판(23)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하부지지판(23)에 의해 탄성블록의 하면이 전체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는 아니며 일부(도 19의 그림의 20b 부분)만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즉, 하부지지판(23)의 폭이 상기 탄성블록(20)의 저면 중 일부만을 지지하고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저면 중 일부는 상기 하부지지판(23)에서 지지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저면부(20a)를 형성한다(도 19). 트랙터(500)가 케이블(C) 위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노출저면부(20a)는 위에서 설명한 플레이트(300)의 레일면(도 6의 340)과 접하면서 레일면 상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트랙터 탄성모듈(TE)의 측면을 보면, 대략 ㄷ 형태의 구조 내부에 탄성블록(20)이 위치하고, 탄성블록(20)과 상부지지판(21) 사이에는 탄성간격(d)가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블록(20)의 상면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20-1)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홈에는 지지대(27)와 스프링(28)이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27)는 스프링의 내측에 위치하여 스프링의 좌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대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판(21)에 형성된 상부체결홀(21a)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28)의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판(21)에 닿고 스프링의 하단은 상기 블록홈(20-1)의 하단에 닿아서 상기 탄성블록(20)이 상기 상부지지판(21)으로부터 상기 탄성간격(d)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탄성블록(20)은 상기 지지대(27)와 하부지지판(23)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왕복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블록(20)은 상기 탄성간격(d) 만큼 스프링(28)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거동을 하면서 트랙터가 케이블 상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트랙터가 케이블(C)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00)에 정착되는 과정에서 트랙터 탄성모듈(TE)이 상기 플레이트(300)에 접하는 모습을 보면, 상기 탄성블록(20)의 노출저면부(2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 전방에 위치하는 레일경사면(345)과 접하면서 탄성블록(20)은 스프링(28)이 압축되면서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블록이 플레이트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340)에 상기 스프링(18)이 압축된 상태로 위치한다(도 11의 (a)와 (b)와 (c)와 유사). 그리고, 상기 트랙터가 케이블(C)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00)를 지나서 통과하게 되면, 상기 탄성블록(20)의 노출저면부(2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에서 해제되면서 탄성블록은 다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거동은 트롤리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트롤리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트랙터에도 외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트랙터 탄성모듈의 탄성블록의 저면이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과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접하게 됨으로써, 트랙터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 케이블 상을 이동하며 트롤리와 연성막을 견인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로서,
몸체부(510);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
상기 몸체부의 상면 좌우측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 위를 이동하는 ㄷ형상의 슬라이더 부재(550); 및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구비되는 트랙터 탄성모듈(TE);을 구비하고,
상기 트랙터 탄성모듈은,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탄성블록(20); 상기 탄성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21),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2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23)을 구비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은,
탄성블록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감싸면서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상면과 상부지지판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탄성간격(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폭은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하부지지판에서 지지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저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가 케이블 상에서 이동시, 상기 탄성블록의 노출저면부가 외력을 받으면 상기 탄성블록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성막 케이블(MC);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막 케이블에는 상기 연성막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연결되어 트렉터를 견인하는 트랙터 견인 케이블(TC1); 및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트롤리를 견인하는 트롤리 견인 케이블(TC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연성막의 일단과 결합되어 트랙터 이동에 따라 연성막을 견인하는 연성막 연결부(5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회동축(5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의 일단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되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 하부에 연성막이 부착되고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트롤리와,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연성막과 트롤리를 견인하는 트랙터;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로서,
상기 트랙터는, 상기 케이블 위를 이동하는 ㄷ형상의 슬라이더 부재(550); 및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구비되는 트랙터 탄성모듈(TE);을 구비하고,
상기 트랙터 탄성모듈은,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탄성블록(20); 상기 탄성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21),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2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23)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상면과 상부지지판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탄성간격(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에 일단이 결합되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 및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성막 케이블(MC);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막 케이블에는 상기 연성막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은,
탄성블록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감싸면서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폭은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하부지지판에서 지지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저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노출된 노출저면부가 상기 플레이트 상면을 접하면서 탄성블록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3105A KR102082318B1 (ko) | 2019-09-11 | 2019-09-11 |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3105A KR102082318B1 (ko) | 2019-09-11 | 2019-09-11 |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2318B1 true KR102082318B1 (ko) | 2020-05-26 |
Family
ID=7091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3105A KR102082318B1 (ko) | 2019-09-11 | 2019-09-11 |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231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94432A (zh) * | 2020-08-11 | 2020-10-20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大开口索穹顶结构防解锁的索膜连接构造及施工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1770B1 (ko) * | 2012-09-11 | 2014-03-11 | 조병욱 |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
KR20190051590A (ko) * | 2017-11-07 | 2019-05-15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갖는 트롤리 |
-
2019
- 2019-09-11 KR KR1020190113105A patent/KR102082318B1/ko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1770B1 (ko) * | 2012-09-11 | 2014-03-11 | 조병욱 |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
KR20190051590A (ko) * | 2017-11-07 | 2019-05-15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갖는 트롤리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비특허문헌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94432A (zh) * | 2020-08-11 | 2020-10-20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大开口索穹顶结构防解锁的索膜连接构造及施工方法 |
CN111794432B (zh) * | 2020-08-11 | 2021-09-21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大开口索穹顶结构防解锁的索膜连接构造及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90002455B1 (ko) | 처짐이 없는 철도대차 연결장치 | |
KR102082318B1 (ko) |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 |
KR102053904B1 (ko) |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 |
CA2151855C (en) | Double-acting clamp for coupling a funicular vehicle to the running cable | |
CA2172309A1 (en) | Roll-Up Door | |
KR102067703B1 (ko) |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 |
EP0561095B1 (en) | Overhead transport with a low ecological impact | |
KR102053905B1 (ko) |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 |
JP4819530B2 (ja) | 車両用プラグドア装置 | |
JPH0819808B2 (ja) | 折り戸装置 | |
CA1057799A (en) | Method of and means for reducing track noise in a track-type vehicle | |
US4595231A (en) | Cargo hauling road vehicle | |
US20040149066A1 (en) | Tool-bearing carriage, in particular mobile in a pipe | |
RU2385235C2 (ru) | Убираемая сцепка | |
KR102361016B1 (ko) |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 |
US12123190B2 (en) | Breakaway-prevent trolley for flexible retractable structure and trolley system having the same | |
JP2007283812A (ja) | 高速鉄道車両の外幌装置 | |
KR102630088B1 (ko) | 통신 케이블 배선용 덕트 | |
KR20020037363A (ko) | 공통 관절연결 수송수단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차량사이에 있는 연결차량 결합통로에 대한 보호 | |
KR102056680B1 (ko) | 이송용 대차 | |
JP2001169409A (ja) | 走行体の充電装置 | |
JP3754677B2 (ja) | 吊り戸の取付け構造 | |
KR102191881B1 (ko) |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장력 도입을 위한 앵커링 시스템 | |
JP2001107668A (ja) | 伸縮扉 | |
KR200305687Y1 (ko) | 이동식 유리 칸막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