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904B1 -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904B1
KR102053904B1 KR1020190080863A KR20190080863A KR102053904B1 KR 102053904 B1 KR102053904 B1 KR 102053904B1 KR 1020190080863 A KR1020190080863 A KR 1020190080863A KR 20190080863 A KR20190080863 A KR 20190080863A KR 102053904 B1 KR102053904 B1 KR 10205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olley
flexible film
flexi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경주
김윤진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904B1/ko
Priority to PCT/KR2020/008698 priority patent/WO20210027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하부에 구비되고 연성막이 결합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트롤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연성막 결합부재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30);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막(4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볼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PLATE TYPE COUPLING MEMBER FOR FLEXIBLE RETRACTABLE STRUCTURE AND TROLLY SYSTEM HAVING THE SAME}
발명은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트롤리의 하부에서 연성막을 결합하는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붕 구조물에서 연성막이 주케이블에 매달린 상태에서 개폐 구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성막을 트롤리에 결합시키는 부재로서 연성막의 특정 부위에 집중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에서 개폐식 지붕은 보편적인 지붕형태의 고정성과 달리, 열리고 닫히는 가동상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 건축계획과 구조계획의 측면에서 요구되는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개폐형식의 선택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실제 건설되고 있는 개폐식 지붕의 개폐형식은 개폐면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강성패널 방식과 연성막재 방식이 있다.
연성막재 방식은 케이블에 연성막을 매달아 연성막의 폴딩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연성막을 케이블에 매달아 폴딩하기 위해서 트롤리가 요구된다. 이 트롤리는 케이블에 정착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트롤리가 일렬로 배치되고 트랙터에 의해 이끌려서 이동하게 된다. 연성막이 편심됨이 없이 케이블에 안정되게 매달려 폴딩 동작될 수 있어야 한다. 트롤리는 강재 케이블을 감싸고 그 위를 최소한의 마찰로 지나가는 부분과 그 하단에 연성 막재를 잡고 있는 디스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롤리는 다수 개가 배치되고, 개개의 트롤리는 모터 구동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케이블 상을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51590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로서 트롤리에 구비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연성 막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트롤리를 케이블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케이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개개의 트롤리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케이블 상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위에서 트롤리의 거동은 트랙터가 끄는 힘과 더불어 외부충격에 의해 진행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도 받게 된다. 또한, 트롤리에 작용하는 외력은 하부에 결합된 연성막과 트롤리 사이에도 작용한다. 즉, 트롤리가 연성막을 끌고 이동하거나 트롤리가 정 위치에 정착된 상태에서도 연성막과 트롤리 겹합부위에는 계속하여 반복적인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트롤리와 연성막 결합형태를 보면, 트롤리 말단에 갈고리 형태의 부재를 이용하여 막을 잡고 끄는 형상이어서 반복 사용에 따라 접합부에 힘이 과도하게 부여되어 응력 집중으로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트랙터에 의해 트롤리가 케이블 상을 이동하거나 트롤리의 플레이트에 정착시에 외력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롤리와 연성막이 결합하는 부위를 넓은 면적에서 면접합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연성막의 특정 부위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하부에 구비되고 연성막이 결합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트롤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연성막 결합부재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30);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막(4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볼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연성막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과 전체적으로 면 접촉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중 일부 영역에는 탄성재질의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연성막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이동하는 탄성블록(10); 상기 탄성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11),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1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3)으로 이루어진 탄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플레이트 상면과 접하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블록은, 탄성블록(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10-1);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지지대(17); 및 상기 지지대를 감싸면서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스프링(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구멍(235)이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볼트 구멍이 관통하지 않으며, 상기 볼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서 상부 플레이트 방향으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체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더 하부에 구비되고, 연성막이 결합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막;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과 같이 구성되어서, 트롤리 내부에 구비된 탄성모듈의 구조로 인해, 상기 트롤리가 케이블 상을 안정적으로 이동할 뿐 아니라 상기 트롤리가 플레이트에 정착된 후에 연성막에 의해 작용하는 케이블에 수직한 방향의 외력에도 효과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하여 트롤리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상태 유지가 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 타입의 플레이트 형상 부재를 상하에 배치하고 이 사이에 연성막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함으로써, 트롤리와 연성막이 넓은 면적에서 면접합하도록 하여 연성막의 특정 부위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배치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가 다수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케이블에 위치하는 모습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중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인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에서 일부 구성을 제외한 모습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이며,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을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연성막이 펼쳐진 모습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배치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가 다수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케이블에 위치하는 모습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중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인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에서 일부 구성을 제외한 모습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이며,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을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본 발명의 트롤리는 개폐식 지붕의 막과 체결되어 지붕을 개폐시 막을 펼치고 접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며, 트롤리 하단에는 디스크 플레이트 형상의 연성막 결합부재가 있어서 연성막이 접합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100,200)는 상측의 슬라이더(100)와 하측의 연성막 결합부재(200)로 이루어진다. 트롤리는 상기 케이블(C)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 연성막(400)을 메달고 있는 구조이다(도 3). 상기 연성막은 건축물 지붕 역할을 하는 막재로서 트롤리 이동에 따라 지붕이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하나의 케이블(C) 상에서 이웃하여 배치되는 트롤리와 트롤리는 견인케이블(미도시)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가장 바같쪽에 위치하는 외측 트롤리를 트랙터(미도시)가 견인하면 트롤리들은 하나씩 견인케이블에 의해 줄줄이 순차적으로 견인되는 구조이다. 트롤리가 순차적으로 견인되면서 아래쪽에 부착된 연성막(400)이 펼쳐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쌍으로 배치되고, 하나의 쌍으로 배치된 케이블 위를 트롤리의 슬라이더(100)가 이동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쌍은 횡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연성막을 지지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때, 트롤리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고정 설치된 케이블(C) 위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위에서 트롤리의 거동은 트랙터가 끄는 힘과 더불어 외부충격에 의해 진행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도 받게 되고, 그 결과 트롤리는 케이블 상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본 발명은 트롤리의 이러한 상하 좌우 흔들림에 대한 완충구조를 적용하여 트롤리가 케이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레이트(300) 구조를 설명한다.
연성 개폐식 트롤리 시스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300)를 메달기 위한 플레이트용 케이블(미도시)이 상기 케이블(C)의 상측에 상기 케이블(C)을 따라 구비된다. 즉, 플레이트(300)는 상기 플레이트용 케이블(미도시)에 메달린 상태로 일정 지점에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용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31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회동부(320) 및 상기 수직회동부(3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3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30)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C)을 안착하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안착홈에 위치하는 케이블(C)은 상기 수평부(330)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수직회동부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회동축(315)으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300)는 상기 플레이트용 케이블에 연결되어 좌우 직선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C)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C)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부(330)의 상면 중 양측단(상기 케이블(C)의 외측부)에는 레일면(340)이 위치하고 상기 레일면(340)의 전후에는 레일경사면(345)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이하 설명할 트롤리의 슬라이더(100)의 부재와 맞닿는 부분이다.
[이탈 방지용 탄성모듈 구조]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롤리(100, 200) 탄성모듈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C)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00)와 하측에 위치하고 연성막(400)을 잡고 있는 연성막 결합부재(200)로 이뤄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00)는, ㄷ 형상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측 슬라이더 몸체(110)와 상기 좌우측 슬라이더 몸체(110)를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슬라이더 결합부재(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슬라이더 몸체(110) 내부에 이하 설명할 탄성모듈(E) 등의 부재를 결합하는 다양한 부품(130)들과 볼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하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탄성블록(10)을 포함하는 탄성모듈(E)을 채택하여 트롤리가 플레이트(300) 위에 정착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모듈(E)은 탄성블록(10)을 각각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11), 외측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1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3)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판의 양단에는 보조지지판(14)이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지지판, 측면지지판, 하부지지판, 보조지지판 등은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판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서 볼트로 체결되며, 이러한 볼트 체결 수단은 기계요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부품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블록(10)은 상부지지판(11), 측면지지판(12), 하부지지판(13)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ㄷ 형태의 탄성모듈의 구조 내부에 위치한다.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E)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보조지지판(14)만을 제거한 모습이다.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하부지지판(13)에 의해 지지된다. 다만, 상기 하부지지판(13)에 의해 탄성블록의 하면이 전체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는 아니며 일부(도 10의 그림의 10b부분)만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즉, 하부지지판(130)의 폭이 상기 탄성블록(10)의 저면 중 일부만을 지지하고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저면 중 일부는 상기 하부지지판(13)에서 지지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저면부(10a)를 형성한다(도 10). 상기 노출저면부(10a)는 위에서 설명한 플레이트(300)의 레일면(도 6의 340)과 접하면서 레일면 상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모듈(E)의 측면을 보면, 대략 ㄷ 형태의 구조 내부에 탄성블록(10)이 위치하고, 탄성블록(10)과 상부지지판(11) 사이에는 탄성간격(d)가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블록(10)의 상면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홈에는 지지대(17)와 스프링(18)이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17)는 스프링의 내측에 위치하여 스프링의 좌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대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판(11)에 형성된 상부체결홀(11a)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18)의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판(11)에 닿고 스프링의 하단은 상기 블록홈(10-1)의 하단에 닿아서 상기 탄성블록(10)이 상기 상부지지판(11)으로 부터 상기 탄성간격(d)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트롤리의 슬라이더(100) 내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지지판(11), 측면지지판(12), 하부지지판(13) 등은 상기 슬라이더(100) 내측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블록(10)은 상기 탄성간격(d) 만큼 스프링(18)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트롤리가 케이블(C)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00)에 정착되는 과정에서 탄성모듈(E)이 상기 플레이트(300)에 접하는 모습을 보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 전방에 위치하는 레일경사면(345)과 접하면서 탄성블록(10)은 스프링(18)이 압축되면서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블록이 플레이트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340)에 상기 스프링(18)이 압축된 상태로 위치한다(도 11의 (a)와 (b)와 (c)).
그리고, 상기 트롤리가 케이블(C)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00)를 지나서 통과하게 되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에서 해제되면서 탄성블록은 다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도 11의 (d)).
본 발명의 트롤리가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성막을 펼치게 되고, 연성막을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트롤리는 상기 플레이트(300)에 정착되어 더 이상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데, 이것이 도 11의 (c)의 모습이다.
트롤리가 플레이트에 정착되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과 접하면서 탄성블록(10)은 스프링(18)이 압축되면서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스프링이 탄성력을 작용하면서 의해 탄성블록의 노출저면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340)과 구조가 된다. 그리고, 이때, 연성막에 의해 상기 트롤리에 외력(케이블에 대해 수직방향 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트롤리에 연성막에 의해 케이블의 수직방향 외력이 작용하는 것은 도 13과 같이 비대칭 연성막이 펼쳐진 모습을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다. 여기서 '비대칭'이란 연성막을 개폐구조에서 연성막 상측의 케이블(C)의 길이가 각각 상이하여 대칭이 아님을 의미한다. 본 도면에서 케이블은 10개가 배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각각 번호를 C1, C2 ~C9, C10으로 부여하였다. 즉, 도 13과 같은 케이블은 연성막 위에 배치되되 가운데 위치에 배치되는 케이블(C5,C6,C7)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외곽쪽에 배치되는 케이블(C1,C2,C9,C10)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된다.
연성막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과정을 생각하면, 각 케이블 위에서 트롤리가 동시에 연성막을 끌고 펼치기 시작하는데, 외곽쪽에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케이블(C1,C2,C9,C10) 위의 트롤리가 펼침 동작을 먼저 완료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케이블(C5,C6,C7) 상의 트롤리는 계속하여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외곽측 연성막은 중앙부 연성막에 힘을 작용하게 된다. 즉, 외곽측 트롤리 하부의 연성막이, 중앙부 케이블(C5,C6,C7) 하부의 연성막을 잡아 당기게 되고, 그 결과, 그 힘이 중앙부 케이블(C5,C6,C7) 트롤리 하부로 전달되어, 위에서 언급한 트롤리에 외력(케이블에 대해 수직방향 외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외력이 트롤리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트롤리의 탄성모듈의 탄성블록의 저면이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과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롤리가 플레이트에 정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트롤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연성막 내구성 증대를 위한 결합 구조]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결합부재(120)의 아래쪽에는 결합축(215)과 수직플레이트(210)를 이용하여 연성막 결합부재와 연결된다. 연성막 결합부재(200)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30)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볼트(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30)와 사이에 연성막(4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볼트(240)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를 견고하게 체결한다. 하부 플레이트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구멍(235)이 위치한다.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220)의 하면과 하부 플레이트(230)의 상면이 전체적으로 연성막(400)을 누르게 되어 연성막과 결합부재가 넒은 면적에서 면접촉을 하면서 결합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특정 위치에서만 연성막을 잡고 있는 종래의 트롤리 방식에 비해 연성막의 내구성이 월등히 증가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20)의 하면 또는 하부 플레이트(230)의 상면 중 일부 영역에는 얇은 탄성재질의 마찰부재(238)를 구비함으로써 연성막에 전체적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그 결과 연성막의 내구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트롤리 이동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연성막이 함께 거동하도록 하였다
기존의 연성막 겹합방식은 트롤리 말단부의 특정 부재가 막에 접합된 형태인데, 이러한 방식은 막의 접합부에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막이 반복 동작과정에서 훼손되어 트롤리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연성막을 디스크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 사이에 배치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서 막을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성막의 특정 지점에만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켰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케이블을 지지하는 플레이트(300)와, 상기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하부에 구비되고 연성막이 결합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트롤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연성막 결합부재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30);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막(400);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볼트(240); 및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이동하는 탄성블록(10); 상기 탄성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11),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1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3)으로 이루어진 탄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플레이트(300)의 상면과 접하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막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과 전체적으로 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중 일부 영역에는 탄성재질의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연성막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은,
    탄성블록(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10-1);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지지대(17); 및
    상기 지지대를 감싸면서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스프링(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구멍(235)이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볼트 구멍이 관통하지 않으며,
    상기 볼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서 상부 플레이트 방향으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80863A 2019-07-04 2019-07-04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KR10205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863A KR102053904B1 (ko) 2019-07-04 2019-07-04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PCT/KR2020/008698 WO2021002715A1 (ko) 2019-07-04 2020-07-03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863A KR102053904B1 (ko) 2019-07-04 2019-07-04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904B1 true KR102053904B1 (ko) 2019-12-09

Family

ID=6883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863A KR102053904B1 (ko) 2019-07-04 2019-07-04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3904B1 (ko)
WO (1) WO20210027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715A1 (ko) * 2019-07-04 2021-01-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3025B (zh) * 2021-09-03 2022-09-02 中国水电四局(兰州)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弧形闸门拼装用新型胎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70B1 (ko) * 2012-09-11 2014-03-11 조병욱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20190051590A (ko) * 2017-11-07 2019-05-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갖는 트롤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7889A (ja) * 2000-04-05 2001-10-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ケーブルクレーン
KR102053904B1 (ko) * 2019-07-04 2019-12-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70B1 (ko) * 2012-09-11 2014-03-11 조병욱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20190051590A (ko) * 2017-11-07 2019-05-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갖는 트롤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715A1 (ko) * 2019-07-04 2021-01-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715A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904B1 (ko)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AU2009200126B2 (en) Actuating system and folding panel assembly
USRE34053E (en) Mine door system
KR102053905B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US4911577A (en) Mine door system
EP0687608A1 (en) Double-acting clamp for coupling a funicular vehicle to the running cable
CN107018455A (zh) 扬声器箱的连接装置,悬置在彼此下面的扬声器箱的布置,以及安装该布置的方法和运输车
KR102082318B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KR102361016B1 (ko)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DE50008373D1 (de) Tor
JP2003313830A (ja) 遮音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KR102056680B1 (ko) 이송용 대차
JP3552022B2 (ja) 搬送用ガイドレール吊下装置
EP1598516A1 (en) Door arrangement
JP6708465B2 (ja) 開閉装置
JP2689223B2 (ja) ケーブル架渉用金車装置
CN218347106U (zh) 一种连接连杆以及基于连接连杆的安全围栏
CN113636441B (zh) 一种用于吊装彩钢瓦铺设的吊装方法
CN214117168U (zh) 一种剪刀平移幕墙开启系统
JP3436896B2 (ja) 軌条型搬送設備の免震機構
JPH116375A (ja) スライドシャッタの補強構造
JP2023102084A (ja) 手摺
JPH079544Y2 (ja) ケーブル架線用金車
JP2000177961A (ja) エレベータ乗場ユニットの仮保持装置
JP2001107668A (ja) 伸縮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