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016B1 -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016B1
KR102361016B1 KR1020190146841A KR20190146841A KR102361016B1 KR 102361016 B1 KR102361016 B1 KR 102361016B1 KR 1020190146841 A KR1020190146841 A KR 1020190146841A KR 20190146841 A KR20190146841 A KR 20190146841A KR 102361016 B1 KR102361016 B1 KR 10236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film
tractor
cable
trolley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420A (ko
Inventor
황경주
김성원
김헌일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이엔에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이엔에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0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4Suspend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막 구조물의 지붕을 개폐하는 구동시스템으로서, 모터와 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윈치; 상기 윈치에 감겨서 윈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리프케이블; 상기 리프케이블의 일단에 전방이 결합되고 상기 리프케이블의 타단에 후방이 결합되어 리프케이블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트랙터; 상기 트랙터에 연결되고 상기 트랙터 전후방 이동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연성막; 및 상기 연성막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성막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연성막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Driving System of Flexible Membrane Retractable Structure}
발명은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연성막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성막 지붕 구조물에서 연성막이 모터와 윈치에 연결된 리프케이블에 의해 개폐 구동되도록 하는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에서 개폐식 지붕은 보편적인 지붕형태의 고정식 지붕과 달리, 열리고 닫히는 가동상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 건축계획과 구조계획의 측면에서 요구되는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개폐형식의 선택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실제 건설되고 있는 개폐식 지붕의 개폐형식은 개폐면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강성패널 방식과 연성막재 방식이 있다.
연성막재 방식은 케이블에 연성막을 매달아 연성막의 폴딩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연성막을 케이블에 매달아 펼치거나 접기 위해서는 트롤리와 트롤리를 끌고가는 트랙터가 요구된다. 케이블 위에서 위해 다수개의 트롤리가 일렬로 배치되고 트랙터에 의해 이끌려서 이동하게 된다. 연성막이 편심되지 않도록,트롤리와 트랙터가 케이블에 안정되게 매달려 이동되거나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트롤리는 강재 케이블을 감싸고 그 위를 최소한의 마찰로 지나가는 부분과 그 하단에 연성 막재를 잡고 있는 디스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롤리는 다수 개가 배치되고, 개개의 트롤리는 모터 구동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케이블 상을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51590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로서 트롤리에 구비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연성 막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트롤리를 케이블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케이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개개의 트롤리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케이블 상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위 트롤리를 견인하는 트랙터는 연성막과 트롤리를 견인하게 되는데 트랙터가 연성막에 의한 장력 등 외부충격에 의해 진행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를 받게 되고, 그 결과 트랙터는 케이블 상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연성막 개폐를 위해서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유압시스템은 유지 보수가 어렵고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연성막을 개폐하는 시스템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제어가 용이하고 응답성이 좋은 개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트롤리와 트랙터가 외력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블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성막 구조물의 지붕을 개폐하는 구동시스템으로서, 모터와 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윈치; 상기 윈치에 감겨서 윈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리프케이블; 상기 리프케이블의 일단에 전방이 결합되고 상기 리프케이블의 타단에 후방이 결합되어 리프케이블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트랙터; 상기 트랙터에 연결되고 상기 트랙터 전후방 이동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연성막; 및 상기 연성막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성막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연성막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트랙터의 좌우 양측에서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성막 케이블(MC); 및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연성막을 견인하는 연성막 연결부(5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성막 펼침 과정에서는, 상기 리프케이블이 상기 트랙터의 전방을 견인함에 따라 트랙터의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와 연성막 연결부에 의해 연성막이 견인되어 차례로 펼쳐지고 상기 연성막에 의해 상기 트롤리가 차례로 견인된다.
상기 연성막 접힘 과정에서는, 상기 리프케이블이 상기 트랙터의 후방을 견인함에 따라 트랙터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트랙터가 상기 복수 개의 트롤리를 차례로 밀어서 연성막이 접히게 된다.
상기 리프케이블의 후방연결부(TC2)가 소정 횟수만큼 감기는 와인딩블록(720); 및 상기 리프케이블의 후방연결부(TC2)가 와인딩블록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후방연결부를 상기 트랙터에 체결하는 체결블록(74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리프케이블의 사용 중 장력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과 같이 구성되어서, 본 발명은 연성막을 개폐하는 시스템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제어가 용이한 효과가 발휘되며,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구조로 인해, 상기 트롤리 및 트랙터가 케이블 상을 안정적으로 이동할 뿐 아니라 상기 트랙터가 일정 위치에 정착된 후에도 연성막에 의해 작용하는 케이블에 수직한 방향의 외력에도 효과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배치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가 다수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케이블에 위치하는 모습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중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인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에서 일부 구성을 제외한 모습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이며,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을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연성막이 펼쳐진 모습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된 트랙터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된 트랙터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구동시스템을 도시한 모습으로 연성막이 펼쳐진 상태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구동시스템을 도시한 모습으로 연성막이 접혀진 상태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구동시스템에 사용가능한 것으로, 리프케이블의 장력조절이 가능한 트랙터의 고정방식의 하나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트랙터 및 트롤리는 케이블 상을 이동하면서 개폐식 지붕의 막과 체결되어 막을 펼치고 접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며,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된 트롤리 각각의 하단에는 디스크 플레이트 형상의 연성막 결합부재가 있어서 연성막이 접합되어 트롤리 이동에 따라 연성막이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드라이빙 캐리지(이하, '트랙터'라고 함)는 복수 개의 일렬로 배치된 트롤리의 선두에 위치하면서 트롤리와 연성막을 견인하여 끌고 가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2에서는 먼저 트롤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도 14 이하에서는 트랙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100,200)는 상측의 슬라이더(100)와 하측의 연성막 결합부재(200)로 이루어진다. 트롤리는 상기 케이블(C)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 연성막(400)을 메달고 있는 구조이다(도 3). 상기 연성막은 건축물 지붕 역할을 하는 막재로서 트롤리 이동에 따라 지붕이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하나의 케이블(C) 상에서 이웃하여 배치되는 트롤리가 나란히 배치되고, 가장 선두에 위치하는 트롤리를 트랙터(도 14 참조)에 의해 견인되면 트롤리들은 하나씩 줄줄이 순차적으로 견인되는 구조이다. 트롤리가 순차적으로 견인되면서 아래쪽에 부착된 연성막(400)이 펼쳐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쌍으로 배치되고, 하나의 쌍으로 배치된 케이블 위를 트롤리의 슬라이더(100)가 이동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쌍은 횡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연성막을 지지하게 된다(도 2 참조). 연성막 개폐 시스템에 대해서는 도 13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트롤리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고정 설치된 케이블(C) 위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위에서 트롤리의 거동은 트랙터가 끄는 힘과 더불어 외부충격에 의해 진행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도 받게 되고, 그 결과 트롤리는 케이블 상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본 발명은 트롤리의 이러한 상하 좌우 흔들림에 대한 완충구조를 적용하여 트롤리가 케이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레이트(300) 구조를 설명한다.
연성 개폐식 트롤리 시스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300)를 메달기 위한 플레이트용 케이블(미도시)이 상기 케이블(C)의 상측에 상기 케이블(C)을 따라 구비된다. 즉, 플레이트(300)는 상기 플레이트용 케이블(미도시)에 메달린 상태로 일정 지점에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용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31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회동부(320) 및 상기 수직회동부(3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3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30)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C)을 안착하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안착홈에 위치하는 케이블(C)은 상기 수평부(330)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수직회동부(320)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310)와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315)으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300)는 상기 플레이트용 케이블에 연결되어 좌우 직선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C)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C)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부(330)의 상면 중 양측단(상기 케이블(C)의 외측부)에는 레일면(340)이 위치하고 상기 레일면(340)의 전후에는 레일경사면(345)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이하 설명할 트롤리의 슬라이더(100)의 부재와 맞닿는 부분이다.
[트롤리 이탈 방지용 탄성모듈 구조]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롤리(100, 200)에 적용된 탄성모듈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C)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00)와 하측에 위치하고 연성막(400)을 잡고 있는 연성막 결합부재(200)로 이뤄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00)는, ㄷ 형상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측 슬라이더 몸체(110)와 상기 좌우측 슬라이더 몸체(110)를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슬라이더 결합부재(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슬라이더 몸체(110) 내부에 이하 설명할 탄성모듈(E) 등의 부재를 결합하는 다양한 부품(130)들과 볼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하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탄성블록(10)을 포함하는 탄성모듈(E)을 채택하여 트롤리가 플레이트(300) 위에 정착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모듈(E)은, 탄성블록(10)을 각각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11), 외측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1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3)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판의 양단에는 보조지지판(14)이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지지판, 측면지지판, 하부지지판, 보조지지판 등은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판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서 볼트로 체결되며, 이러한 볼트 체결 수단은 기계요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부품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블록(10)은 상부지지판(11), 측면지지판(12), 하부지지판(13)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ㄷ 형태의 탄성모듈의 구조 내부에 위치한다.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E)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보조지지판(14)만을 제거한 모습이다.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하부지지판(13)에 의해 지지된다. 다만, 상기 하부지지판(13)에 의해 탄성블록의 하면이 전체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는 아니며 일부(도 10의 그림의 10b부분)만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즉, 하부지지판(130)의 폭이 상기 탄성블록(10)의 저면 중 일부만을 지지하고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저면 중 일부는 상기 하부지지판(13)에서 지지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저면부(10a)를 형성한다(도 10). 상기 노출저면부(10a)는 위에서 설명한 플레이트(300)의 레일면(도 6의 340)과 접하면서 레일면 상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모듈(E)의 측면을 보면, 대략 ㄷ 형태의 구조 내부에 탄성블록(10)이 위치하고, 탄성블록(10)과 상부지지판(11) 사이에는 탄성간격(d)가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블록(10)의 상면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홈에는 지지대(17)와 스프링(18)이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17)는 스프링의 내측에 위치하여 스프링의 좌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대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판(11)에 형성된 상부체결홀(11a)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18)의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판(11)에 닿고 스프링의 하단은 상기 블록홈(10-1)의 하단에 닿아서 상기 탄성블록(10)이 상기 상부지지판(11)으로 부터 상기 탄성간격(d)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탄성블록(10)은 상기 지지대(17)와 하부지지판(13)등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왕복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트롤리의 슬라이더(100) 내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지지판(11), 측면지지판(12), 하부지지판(13) 등은 상기 슬라이더(100) 내측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블록(10)은 상기 탄성간격(d) 만큼 스프링(18)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트롤리가 케이블(C)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00)에 정착되는 과정에서 탄성모듈(E)이 상기 플레이트(300)에 접하는 모습을 보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 전방에 위치하는 레일경사면(345)과 접하면서 탄성블록(10)은 스프링(18)이 압축되면서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블록이 플레이트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340)에 상기 스프링(18)이 압축된 상태로 위치한다(도 11의 (a)와 (b)와 (c)).
그리고, 상기 트롤리가 케이블(C)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00)를 지나서 통과하게 되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에서 해제되면서 탄성블록은 다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도 11의 (d)).
본 발명의 트롤리가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성막을 펼치게 되고, 연성막을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트롤리는 상기 플레이트(300)에 정착되어 더 이상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데, 이것이 도 11의 (c)의 모습이다.
트롤리가 플레이트에 정착되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과 접하면서 탄성블록(10)은 스프링(18)이 압축되면서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스프링이 탄성력을 작용하면서 의해 탄성블록의 노출저면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340)과 구조가 된다. 그리고, 이때, 연성막에 의해 상기 트롤리에 외력(케이블에 대해 수직방향 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연성막 개폐를 위한 구동시스템]
도 13 내지 도 17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랙터(500) 구조 및 연성막 개폐를 위한 구동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과 도 17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시스템을 편의상 상하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와 도 15를 보면, 본 발명의 트랙터(500)는 중심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510)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와, 상기 몸체의 상측 좌우측에 결합되는 ㄷ형상의 슬라이더 부재(5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에는 각각 연성막을 견인하는 연성막 케이블(MC)이 결합된다. 연성막 케이블(MC)에는 연성막이 결합되어 견인된다.
그리고, 트랙터 몸체부(510)의 전방 및 후방을 서로 연결하는 리프케이블(Reef Cable, 도 16의 RC) 이 구비되고, 상기 리프케이블(RC)이 도 16 및 도 17에서와 같이 정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성막을 펼치거나 접는 구조이다. 상기 리프케이블의 전단부로 상기 트랙터 몸체부의 전방부와 연결되는 부위를 편의상 전방연결부(TC1)라고 하고, 상기 리프케이블의 후단부로 상기 트랙터 몸체부의 후방부와 연결되는 부위를 편의상 후방연결부(TC2)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케이블은 연성막 개폐 시스템에 구비된 모터(도 16의 600)와 윈치(도 16의 650)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트랙터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견인하게 된다.
그리고, 트랙터 몸체부(510)의 후방에는 연성막(400)을 연결하여 견인하는 연성막 연결부(560)가 위치하여, 상기 트랙터(500)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성막 연결부(560)에 연결된 연성막의 끝단부를 견인하여 연성막이 펼쳐지게 한다. 그리고, 연성막(400)이 펼쳐지면서 그 힘에 의해 연성막의 위쪽에서 연성막과 연결된 트롤리(100)가 상기 케이블(C)위를 이동하게 된다. 즉, 트랙터가 연성막을 견인하고 연성막이 트롤리를 견인하게 된다.
도 15를 보면, 트롤리 몸체부(510)에는 수직하게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된 회동축(515)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에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도 15의 화살표).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에 연결된 연성막 케이블(MC)과, 몸체부 후방의 연성막 연결부(560)에 의해서 상기 트랙터는 연성막을 견인하면서 동시에 트롤리를 견인하는 구조이다.
상기 트롤리 및 트랙터에 연성막에 의해 케이블(C)의 수직방향 외력이 작용하는 것은 도 13과 같이 비대칭 연성막이 펼쳐진 모습을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다. 여기서 '비대칭'이란 연성막 개폐구조에서 연성막 상측의 케이블(C)의 길이가 각각 상이하여 대칭이 아님을 의미한다. 본 도면에서 케이블은 10개가 배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각각 번호를 C1, C2 ~C9, C10으로 부여하였다. 즉, 도 15와 같은 케이블은 연성막 위에 배치되되 가운데 위치에 배치되는 케이블(C5,C6,C7)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외곽쪽에 배치되는 케이블(C1,C2,C9,C10)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된다.
연성막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과정을 생각하면, 각 케이블 위에서 각각의 트랙터(500)가 연성막을 끌고 펼치기 시작하는데, 외곽쪽에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케이블(C1,C2,C9,C10) 위의 트랙터가 펼침 동작을 먼저 완료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케이블(C5,C6,C7) 상의 트랙터는 계속하여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외곽측 연성막은 중앙부 연성막에 힘을 작용하게 된다. 즉, 외곽측 트롤리 하부의 연성막이, 중앙부 케이블(C5,C6,C7) 하부의 연성막을 잡아당기게 되고, 그 결과, 그 힘이 중앙부 케이블(C5,C6,C7) 트롤리 하부로 전달되어, 위에서 언급한 트롤리에 외력(케이블에 대해 수직방향 외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외력이 트롤리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트롤리의 탄성모듈의 탄성블록의 저면이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과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롤리가 플레이트에 정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트롤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트랙터와 트롤리에 작용하는 힘을 보면 트랙터 전방에 결합되어 트랙터를 견인하는 리프케이블과 트랙터 뒤에서 연성막이 작용하는 힘과 같은 외력이 존재하게 되고, 트롤리도 마찬가지이다. 즉, 트랙터 및 트롤리는 진행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는 다양한 외력을 받게 되고, 그 결과 트랙터는 케이블 상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본 발명은 트랙터의 이러한 상하 좌우 흔들림에 대한 완충구조를 적용하여 케이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구동시스템을 도시한 모습으로 연성막이 펼쳐진 지붕이 닫힌 상태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구동시스템을 도시한 모습으로 연성막이 접혀진 지붕 개방 상태이다.
본 발명의 리프케이블(RC)의 일단은 트랙터 몸체부(510)의 전방에 연결되고(TC1), 타단은 후방에 연결되어(TC2), 하나의 무한궤도 구동시스템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프케이블(RC)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600)와 윈치(650)를 구비한다. 윈치는 더블 윈치로 하는 것이 작은 크기로서 충분한 동력과 마찰력을 생성할 수 있어서 좋다. 그리고, 리프케이블 좌우 양쪽에는 시브 풀리(670)가 적절한 개수로 구비된다. 도 16은 연성막이 펼쳐진 상태(지붕이 닫힌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지붕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리프케이블은 그림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후방연결부(TC2)가 트랙터(500) 후방을 견인하게 된다. 그 결과 트랙터가 움직이면서 트롤리를 차례로 밀어서 도 17의 지붕 개방상태가 된다.
도 17의 지붕이 개방된 상태에서 지붕을 닫기 위해서는, 상기 모터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리프케이블은 그림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상기 전방연결부(TC1)가 트랙터(500)의 전방을 견인하게 되고, 트랙터가 움직이면서 트랙터의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520,530)와 연성막 연결부(560)에 결합된 연성막(400)을 잡아 당기게 된다. 그리고, 연성막이 차례로 펼쳐지면서 연성막 위에 연결된 트롤리가 차례로 견인되어 도 16의 지붕 닫힘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케이블을 트랙터의 전후방에 고정하는 방식은 리프케이블이 사용 중에 느슨해질 때를 대비하여 무한궤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하나의 예로서 전방연결부(TC1)는 나사식으로 완전히 고정하고, 다른 쪽은 후방연결부(TC2)는 케이블을 감아서 고정하는 방식(도 18)을 채택하였다. 즉, 도 18을 보면, 리프케이블의 후방연결부(TC2)를 와인딩블록(720)에 일정 횟수만큼 감은 상태에서 체결블록(740)을 이용하여 트랙터 몸체부의 후방에 결합하는 방식이다. 결합을 위해 나사와 와셔 등 체결수단(750,760)을 사용한다. 리프케이블의 느슨한 상태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체결수단을 풀어서 리프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고 재결합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연성막 구조물의 지붕을 개폐하는 구동시스템으로서,
    모터와 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윈치; 상기 윈치에 감겨서 윈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리프케이블; 상기 리프케이블의 일단에 전방이 결합되고 상기 리프케이블의 타단에 후방이 결합되어 리프케이블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트랙터; 상기 트랙터에 연결되고 상기 트랙터 전후방 이동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연성막; 및 상기 연성막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성막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연성막이 펼쳐지거나 접혀지고,
    상기 트롤리는, 슬라이더(100); 상기 슬라이더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성막이 결합되는 연성막 결합부재(200);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모듈(E);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모듈은,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이동하는 탄성블록(10); 상기 탄성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11),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1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3)을 구비하여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좌우 양측에서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성막 케이블(MC); 및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연성막을 견인하는 연성막 연결부(560);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막 펼침 과정에서는, 상기 리프케이블이 상기 트랙터의 전방을 견인함에 따라 트랙터의 제1 및 제2케이블 결합부재와 연성막 연결부에 의해 연성막이 견인되어 차례로 펼쳐지고,
    상기 연성막에 의해 상기 트롤리가 차례로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막 접힘 과정에서는, 상기 리프케이블이 상기 트랙터의 후방을 견인함에 따라 트랙터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트랙터가 상기 복수 개의 트롤리를 차례로 밀어서 연성막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케이블의 후방연결부(TC2)가 소정 횟수만큼 감기는 와인딩블록(720); 및
    상기 리프케이블의 후방연결부(TC2)가 와인딩블록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후방연결부를 상기 트랙터에 체결하는 체결블록(74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리프케이블의 사용 중 장력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은,
    탄성블록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감싸면서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상면과 상부지지판(11)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인해 탄성간격(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KR1020190146841A 2019-11-15 2019-11-15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KR10236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841A KR102361016B1 (ko) 2019-11-15 2019-11-15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841A KR102361016B1 (ko) 2019-11-15 2019-11-15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420A KR20210059420A (ko) 2021-05-25
KR102361016B1 true KR102361016B1 (ko) 2022-02-09

Family

ID=7614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841A KR102361016B1 (ko) 2019-11-15 2019-11-15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0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1087A (ja) * 2007-06-20 2009-01-08 Sei Nishimura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
US20120279140A1 (en) 2011-05-06 2012-11-08 Uni-Systems, Llc Automated cove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262A (ja) * 1988-08-11 1990-02-19 Toshiba Corp 軌道走行式ロボ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1087A (ja) * 2007-06-20 2009-01-08 Sei Nishimura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
US20120279140A1 (en) 2011-05-06 2012-11-08 Uni-Systems, Llc Automated cover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420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2628A (en) Suspension system for folding door
US5282663A (en) Retracting system for flexible side walls for cargo vehicles
KR102361016B1 (ko)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KR100612620B1 (ko) 반펴짐식 접이문의 개폐시스템
KR102053904B1 (ko)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US5970578A (en) Theatrical scenery carriage and movement mechanism
KR102082318B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KR102053905B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US5524692A (en) Vertical blind retraction apparatus with spacing control
US2222229A (en) Curtain-supporting and operating mechanism
JPH0356951A (ja) プロジェクタの天井移動装置
KR102191881B1 (ko)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장력 도입을 위한 앵커링 시스템
JP2000185556A (ja) 昇降ルーフのテント装置
JP2580135B2 (ja) 車両のキヤンバストツプ構造
KR102189227B1 (ko)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윈치모터 시스템
KR102222634B1 (ko)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레일 구동형 드라이빙 케리지 시스템
JP3647276B2 (ja) 引戸装置
JP2002531737A (ja) 摺動翼部用駆動装置
JP3781997B2 (ja) 開閉装置
JPH0633693B2 (ja) オ−バ−ドア
JPS58780Y2 (ja) 2連片引き扉の開閉装置
JP2507350B2 (ja) 開閉間仕切り
JP4987785B2 (ja) カーテンの懸吊構造および懸吊方法
FR2623237A1 (fr) Dispositif d'ouverture et de fermeture de porte mobile dans une direction perpendiculaire a l'ouverture
JPH0715511Y2 (ja) カーテンラン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