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770B1 -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 Google Patents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770B1
KR101371770B1 KR1020120100690A KR20120100690A KR101371770B1 KR 101371770 B1 KR101371770 B1 KR 101371770B1 KR 1020120100690 A KR1020120100690 A KR 1020120100690A KR 20120100690 A KR20120100690 A KR 20120100690A KR 101371770 B1 KR101371770 B1 KR 101371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able
plate
binding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조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욱 filed Critical 조병욱
Priority to KR102012010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에 관한 것으로, 어퍼케이블에 감싸여진 어퍼패브릭, 이 어퍼패브릭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어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로어케이블에 감싸여진 로어패브릭, 이 어퍼패브릭의 양측 표면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되고 어퍼케이블을 구속하는 어퍼결속브라켓부, 이 로어패브릭의 양측 표면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되고 로어케이블을 구속하는 로어결속브라켓부, 및 대응되는 어퍼결속브라켓부와 로어결속브라켓부에 양측이 연결됨으로써 어퍼패브릭과 로어패브릭을 내측에서 연결하여 결속하는 타이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어퍼패브릭과 로어패브릭의 결속하는 브라켓에 의한 공기 유출을 막거나 최소로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줄이고, 어퍼패브릭을 감싸는 케이블을 나란하게 배치함과 아울러 로어패브릭을 감싸는 케이블을 나란하게 배치하며, 상하 위치의 케이블을 서로 교차되게 배치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 시공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LENS TYPE DOUBLE MEMBRANE AIR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퍼패브릭과 로어패브릭의 결속하는 브라켓에 의한 공기 유출을 막거나 최소로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줄이고, 어퍼패브릭을 감싸는 케이블을 나란하게 배치함과 아울러 로어패브릭을 감싸는 케이블을 나란하게 배치하며, 상하 위치의 케이블을 서로 교차되게 배치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 시공비를 줄일 수 있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야구장, 육상경기장 등의 운동경기용의 구조물에는 지붕이 없다.
이것은 운동경기를 될 수 있는 한 자연 환경 하에 할 수 있게 하려는 의도에서 연유된 것이나, 우천시나 경기 중에 비가 오면 경기를 중단하거나 또는 중지해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천후형의 경기장이 제안되고 있으며, 예컨대 전천후 경기장용 공기막 지붕구조물과 같은 지붕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의 경기장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기존의 구조물에 이중 공기막을 설치하는 추세이다.
이중 공기막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478642호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 이중 공기막은 어퍼패브릭(upper fabric)이 조각화 상태로 서로 연결되고, 로어패브릭(lower fabric)이 조각화 상태로 서로 연결되며, 어퍼패브릭의 연결부위에 와이어의 일측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로어패브릭의 연결부위에 와이어의 타측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결됨으로써 어퍼패브릭과 로어패브릭 사이의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이중 공기막은 조각화된 어퍼패브릭끼리의 연결부위 및 조각화된 로어패브릭의 연결부위에 와이어를 함께 연결함으로써 설치비 및 설치공사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퍼패브릭과 로어패브릭의 결속하는 브라켓의 설치 구조를 변경하여 공기 유출을 막거나 최소로 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어퍼패브릭을 감싸는 케이블을 나란하게 배치함과 아울러 로어패브릭을 감싸는 케이블을 나란하게 배치하며, 상하 위치의 케이블을 서로 교차되게 배치함으로써 어퍼패브릭과 로어패브릭을 고정하기 위한 최소의 장력을 갖도록 케이블을 시공함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 시공비를 줄이고자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은: 어퍼케이블에 감싸여진 어퍼패브릭, 상기 어퍼패브릭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어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로어케이블에 감싸여진 로어패브릭, 상기 어퍼패브릭의 양측 표면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되고 상기 어퍼케이블을 구속하는 어퍼결속브라켓부, 상기 로어패브릭의 양측 표면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되고 상기 로어케이블을 구속하는 로어결속브라켓부, 및 대응되는 상기 어퍼결속브라켓부와 상기 로어결속브라켓부에 양측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어퍼패브릭과 상기 로어패브릭을 내측에서 연결하여 결속하는 타이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케이블은 상기 어퍼패브릭의 표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어케이블은 상기 어퍼케이블과 경사지게 배치되며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로어패브릭의 표면에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퍼결속브라켓부는, 상기 어퍼패브릭의 외측 표면에 면접되고 상기 어퍼케이블을 지지하는 어퍼 제 1플레이트, 상기 어퍼 제 1플레이트에 면접되어 상기 어퍼케이블을 덮는 어퍼 제 2플레이트, 상기 어퍼패브릭의 내측 표면에 면접되고 상기 타이케이블의 상측을 연결하는 어퍼 제 3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패브릭에 삽입된 채 상기 어퍼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어퍼 제 3플레이트를 결속하는 어퍼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어퍼패브릭, 및 상기 어퍼 제 3플레이트와 상기 어퍼패브릭 사이에는 어퍼패킹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어결속브라켓부는, 상기 로어패브릭의 외측 표면에 면접되고 상기 로어케이블을 지지하는 로어 제 1플레이트, 상기 로어 제 1플레이트에 면접되어 상기 로어케이블을 덮는 로어 제 2플레이트, 상기 로어패브릭의 내측 표면에 면접되고 상기 타이케이블의 하측을 연결하는 로어 제 3플레이트, 및 상기 로어패브릭에 삽입된 채 상기 로어 제 1플레이트와 상기 로어 제 3플레이트를 결속하는 로어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은 종래 기술과 달리 어퍼패브릭과 로어패브릭의 결속하는 브라켓의 설치 구조를 변경하여 공기 유출을 막거나 최소로 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어퍼패브릭을 감싸는 케이블을 나란하게 배치함과 아울러 로어패브릭을 감싸는 케이블을 나란하게 배치하며, 상하 위치의 케이블을 서로 교차되게 배치함으로써 어퍼패브릭과 로어패브릭을 고정하기 위한 최소의 장력을 갖도록 케이블을 시공함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 시공비를 줄일 수 있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타이케이블 연결부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결속용 플레이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타이케이블 연결부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결속용 플레이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10)은 어퍼패브릭(20), 로어패브릭(40), 어퍼결속브라켓부(100), 로어결속브라켓부(200), 및 타이케이블(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어퍼패브릭(upper fabric,20)은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10)의 상측에 형성되는 막을 말하고, 로어패브릭(lower fabric,40)은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10)의 하측에 형성되는 막을 말한다.
그리고,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은 가장자리끼리 레이저 용접이나 융착 등에 의해 연결된다. 특히,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고, 밀폐됨에 따라, 렌즈형 이중공기막(10)이 된다.
물론,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은 내부로 에어를 연속적,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서로 연결된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은 가장자리가 철골 등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한편, 어퍼패브릭(20)은 렌즈형 이중공기막(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상부 방향과 측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로어패브릭(40)은 렌즈형 이중공기막(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하부 방향과 측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그래서, 어퍼패브릭(20)은 어퍼케이블(30)에 의해 감싸지고, 로어패브릭(40)은 로어케이블(5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어퍼케이블(30)은 타이케이블(60)에 작용하는 장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어퍼패브릭(20)에 전달되는 수직방향 인장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로어케이블(50)은 타이케이블(60)에 작용하는 장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로어패브릭(40)에 전달되는 수직방향 인장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어퍼케이블(30)과 로어케이블(50)은 양측을 자유단으로 구비할 수 있으나,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의 가장자리 봉합 부위에 구속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에 걸리는 장력을 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어퍼케이블(30)과 로어케이블(5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어퍼케이블(30)은 어퍼패브릭(2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하게 배치되는데, 편의상, 어퍼케이블(30)은 어퍼패브릭(20)의 외측면에 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로어케이블(50)은 로어패브릭(4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하게 배치되는데, 편의상, 로어케이블(50)은 로어패브릭(40)의 외측면에 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외측면'은 렌즈형 이중공기막(10)에서 어퍼패브릭(20) 또는 로어패브릭(40)의 외부 노출 면을 의미하고, '내측면'은 렌즈형 이중공기막(10)에서 어퍼패브릭(20) 또는 로어패브릭(40)의 외측면에 반대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어퍼케이블(30)은 어퍼패브릭(20)의 표면에서 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로어케이블(50)은 로어패브릭(40)의 표면에서 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로어케이블(50)은 어퍼케이블(30)과 경사지게 배치된다. 편의상, 로어케이블(50)과 어퍼케이블(30)은 평면상 수직되게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어퍼케이블(30)이 어퍼패브릭(20)에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고, 로어케이블(50)이 로어패브릭(40)에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케이블(30)과 로어케이블(50)의 시공성이 떨어지고, 교차점 위치가 정확히 설계되어 시공되지 않으면 케이블 장력이 교차점 전, 후에서 과하게 들어가거나 반대편이 느슨해지는 등 장력의 불균형이 생기고 구조적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어퍼케이블(30)과 로어케이블(50)이 한 방향으로만 나란하게 배치되고, 어퍼케이블(30)과 로어케이블(50)이 평면상 서로 교차되게 배열됨으로써, 어퍼케이블(30)과 로어케이블(50)의 장력이 철골 등과 같은 구조 프레임에 전달될 때 하중이 집중되어 프레임 설계가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어퍼패브릭(20)에서 어퍼케이블(30)의 교차점이 없고, 로어패브릭(40)에서 로어케이블(50)의 교차점이 없어지게 되어, 시공이 편리해지며, 교차 지점에서의 누수나 누기현상 등의 하자발생 요인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막하중의 대부분은 어퍼케이블(30)과 로어케이블(50)로 부담시키므로, 막응력해석시 어퍼케이블(30) 각각 및 로어케이블(50) 각각이 교차 방식에 비해 한 방향 배열에 따른 대응되는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과의 접촉 부위 저감으로 인해 접촉부분에 생길 수 있는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의 주름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은 내측끼리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어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렌즈형 이중공기막(10)을 견고하게 결속하기 위함이다.
이때,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을 렌즈형 이중공기막(10)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부위가 최대한 밀봉 처리되면서 견고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어퍼결속브라켓부(100)는 어퍼패브릭(20)의 양측 표면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되고, 어퍼케이블(30)을 구속하며, 타이케이블(60)의 상측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로어결속브라켓부(200)는 로어패브릭(40)의 양측 표면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되고, 로어케이블(50)을 구속하며, 타이케이블(60)의 하측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타이케이블(60)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어퍼결속브라켓부(100)와 로어결속브라켓부(200)에 양측이 연결됨으로써 어퍼패브릭(20)과 로어패브릭(40)을 내측에서 연결하여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타이케이블(60)이 어퍼결속브라켓부(100)에 의해 어퍼케이블(30)과 연결됨으로써, 타이케이블(60)의 장력이 어퍼케이블(30)을 통해 분산된다.
마찬가지로, 타이케이블(60)이 로어결속브라켓부(200)에 의해 로어케이블(50)과 연결됨으로써, 타이케이블(60)의 장력이 로어케이블(50)을 통해 분산된다.
한편, 어퍼결속브라켓부(100)는, 어퍼 제 1플레이트(110), 어퍼 제 2플레이트(120), 어퍼 제 3플레이트(130), 및 어퍼결속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어퍼 제 1플레이트(110)는 어퍼패브릭(20)의 외측 표면의 설정 위치에서 면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측면이 어퍼케이블(30)을 지지한다. 이때, 어퍼 제 1플레이트(110)는 어퍼케이블(30)을 위치 고정하도록 안착하기 위해 어퍼 제 1안착홈(112)을 함몰 형성한다.
아울러, 어퍼 제 2플레이트(120)는 어퍼 제 1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 면접되어 어퍼케이블(30)을 덮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어퍼 제 2플레이트(120)는 어퍼 제 1안착홈(112)에 대응되게 어퍼 제 2안착홈(122)을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어퍼케이블(30)은 어퍼 제 1안착홈(112)에 하측이 안착되고, 어퍼 제 2안착홈(122)에 상측이 안착된다. 이에 따라, 어퍼케이블(30)은 어퍼 제 1플레이트(110)와 어퍼 제 2플레이트(120)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어퍼 제 3플레이트(130)는 어퍼 제 1플레이트(110)에 각각에 대응되도록 어퍼패브릭(20)의 내측 표면에 면접되게 배치되고, 타이케이블(60)의 상측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어퍼결속부재(140)는 어퍼패브릭(20)에 삽입된 채 어퍼 제 1플레이트(110)와 어퍼 제 3플레이트(130)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어퍼결속부재(140)는 어퍼패브릭(20), 어퍼 제 1플레이트(110) 및 어퍼 제 3플레이트(130)를 동시에 결속함에 따라, 어퍼패브릭(20)과 타이케이블(60)은 서로 결속됨으로써, 장력의 안정적 분산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어퍼케이블(30)을 고정하기 위해, 어퍼 제 1플레이트(110)와 어퍼 제 2플레이트(120)를 결속하기 위해, 별도의 결속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나, 어퍼결속부재(140)가 어퍼패브릭(20)에 삽입된 채 어퍼 제 1플레이트(110), 어퍼 제 2플레이트(120), 및 어퍼 제 3플레이트(130)를 한꺼번에 결속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어퍼결속부재(140)는 볼트와 너트 등 기계체결요소로 한다.
한편, 어퍼결속부재(140)가 최소의 개수로 이루어져 어퍼패브릭(20)에 삽입됨으로써, 어퍼패브릭(20)을 조각화하여 브라켓을 통해 서로 면접시켜 연결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에어 리크(air leak)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어퍼결속부재(140)가 어퍼패브릭(20)에 삽입됨으로써, 에어 리크(air leak)가 약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어퍼 제 1플레이트(110)와 어퍼패브릭(20) 사이에는 어퍼패킹부재(150)가 구비되고, 어퍼 제 3플레이트(130)와 어퍼패브릭(20) 사이에는 어퍼패킹부재(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어퍼결속부재(140)는 대향하는 어퍼패킹부재(150)에 함께 삽입된다.
즉, 어퍼패킹부재(150)가 어퍼패브릭(20)에 삽입되는 어퍼결속부재(140)로 인한 틈새 발생을 막는 역할을 한다. 물론, 어퍼패킹부재(150)는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어퍼결속브라켓부(100)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어퍼패브릭(20)에 설치됨으로써, 기존의 조각화된 패브릭의 연결 부위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방식에 비해,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 기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로어결속브라켓부(200)는, 로어 제 1플레이트(210), 로어 제 2플레이트(220), 로어 제 3플레이트(230), 및 로어결속부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어 제 1플레이트(210)는 로어패브릭(40)의 외측 표면의 설정 위치에서 면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면이 로어케이블(50)을 지지한다. 이때, 로어 제 1플레이트(210)는 로어케이블(50)을 위치 고정하도록 안착하기 위해 로어 제 1안착홈(212)을 함몰 형성한다.
아울러, 로어 제 2플레이트(220)는 로어 제 1플레이트(210)의 하측면에 면접되어 로어케이블(50)을 덮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로어 제 2플레이트(220)는 로어 제 1안착홈(212)에 대응되게 로어 제 2안착홈(222)을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로어케이블(50)은 로어 제 1안착홈(212)에 상측이 안착되고, 로어 제 2안착홈(222)에 하측이 안착된다. 이에 따라, 로어케이블(50)은 로어 제 1플레이트(210)와 로어 제 2플레이트(220)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로어 제 3플레이트(230)는 로어 제 1플레이트(210)에 각각에 대응되도록 로어패브릭(40)의 내측 표면에 면접되게 배치되고, 타이케이블(60)의 하측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로어결속부재(240)는 로어패브릭(40)에 삽입된 채 로어 제 1플레이트(210)와 로어 제 3플레이트(230)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로어결속부재(240)는 로어패브릭(40), 로어 제 1플레이트(210) 및 로어 제 3플레이트(230)를 동시에 결속함에 따라, 로어패브릭(40)과 타이케이블(60)은 서로 결속됨으로써, 장력의 안정적 분산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로어케이블(50)을 고정하기 위해, 로어 제 1플레이트(210)와 로어 제 2플레이트(220)를 결속하기 위해, 별도의 로어결속부재(240)가 구비될 수도 있고, 로어결속부재(240)가 로어패브릭(40)에 삽입된 채 로어 제 1플레이트(210), 로어 제 2플레이트(220), 및 로어 제 3플레이트(230)를 한꺼번에 결속될 수도 있다.
여기서, 로어결속부재(240)는 볼트와 너트 등 기계체결요소로 한다.
한편, 로어결속부재(240)가 최소의 개수로 이루어져 로어패브릭(40)에 삽입됨으로써, 로어패브릭(40)을 조각화하여 브라켓을 통해 서로 면접시켜 연결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에어 리크(air leak)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로어결속부재(240)가 로어패브릭(40)에 삽입됨으로써, 에어 리크(air leak)가 약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로어 제 1플레이트(210)와 로어패브릭(40) 사이에는 로어패킹부재(250)가 구비되고, 로어 제 3플레이트(230)와 로어패브릭(40) 사이에는 로어패킹부재(250)가 구비된다. 그리고, 로어결속부재(240)는 대향하는 로어패킹부재(250)에 함께 삽입된다.
즉, 로어패킹부재(250)가 로어패브릭(40)에 삽입되는 로어결속부재(240)로 인한 틈새 발생을 막는 역할을 한다. 물론, 로어패킹부재(250)는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로어결속브라켓부(200)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로어패브릭(40)에 설치됨으로써, 기존의 조각화된 패브릭의 연결 부위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방식에 비해,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 기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타이케이블(60)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어퍼 제 3플레이트(130)와 로어 제 3플레이트(2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어퍼 제 3플레이트(130)와 로어 제 3플레이트(230)는 러그(lug,70)를 타이케이블(60)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러그(70) 각각에는 제 1샤클(shackle,80)이 연결된다. 즉, 'U'자 형상의 제 1샤클(80)은 개방된 부위로 러그(70)를 삽입하고, 제 1샤클(80)과 러그(70)는 결합핀(72)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제 1샤클(80)에는 제 2샤클(90)이 연결된다. 제 2샤클(90)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타이케이블(60)의 대응되는 단부가 연결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렌즈형 이중공기막 20: 어퍼패브릭
30: 어퍼케이블 40: 로어패브릭
50: 로어케이블 60: 타이케이블
70: 러그 80,90: 제 1,2샤클
100: 어퍼결속브라켓부 110,120,130: 어퍼 제 1,2,3플레이트
112,122: 어퍼 제 1,2안착홈
140: 어퍼결속부재 150: 어퍼패킹부재
200: 로어결속브라켓부 210,220,230: 로어 제 1,2,3플레이트
21,222: 로어 제 1,2안착홈
240: 로어결속부재 250: 로어패킹부재

Claims (3)

  1. 어퍼케이블에 감싸여진 어퍼패브릭;
    상기 어퍼패브릭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어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로어케이블에 감싸여진 로어패브릭;
    상기 어퍼패브릭의 양측 표면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되고, 상기 어퍼케이블을 구속하는 어퍼결속브라켓부;
    상기 로어패브릭의 양측 표면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되고, 상기 로어케이블을 구속하는 로어결속브라켓부; 및
    대응되는 상기 어퍼결속브라켓부와 상기 로어결속브라켓부에 양측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어퍼패브릭과 상기 로어패브릭을 내측에서 연결하여 결속하는 타이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블은 상기 어퍼패브릭의 표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어케이블은 상기 어퍼케이블과 경사지게 배치되며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로어패브릭의 표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결속브라켓부는,
    상기 어퍼패브릭의 외측 표면에 면접되고, 상기 어퍼케이블을 지지하는 어퍼 제 1플레이트;
    상기 어퍼 제 1플레이트에 면접되어 상기 어퍼케이블을 덮는 어퍼 제 2플레이트;
    상기 어퍼패브릭의 내측 표면에 면접되고, 상기 타이케이블의 상측을 연결하는 어퍼 제 3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패브릭에 삽입된 채 상기 어퍼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어퍼 제 3플레이트를 결속하는 어퍼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1020120100690A 2012-09-11 2012-09-11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101371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690A KR101371770B1 (ko) 2012-09-11 2012-09-11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690A KR101371770B1 (ko) 2012-09-11 2012-09-11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770B1 true KR101371770B1 (ko) 2014-03-11

Family

ID=5064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690A KR101371770B1 (ko) 2012-09-11 2012-09-11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7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05B1 (ko) * 2019-07-04 2019-12-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KR102053904B1 (ko) * 2019-07-04 2019-12-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KR102082318B1 (ko) * 2019-09-11 2020-05-2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2A (ja) * 1992-06-18 1994-01-11 Ohbayashi Corp 二重膜構造体の施工方法
JPH10159392A (ja) * 1996-11-29 1998-06-16 Takenaka Komuten Co Ltd 半二重空気膜構造物
JPH10317732A (ja) * 1997-05-22 1998-12-02 Taisei Corp 膜屋根構造及び膜屋根構造における補強ケ−ブルの締結装置
KR100974832B1 (ko) 2009-11-19 2010-08-11 주식회사 타이가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2A (ja) * 1992-06-18 1994-01-11 Ohbayashi Corp 二重膜構造体の施工方法
JPH10159392A (ja) * 1996-11-29 1998-06-16 Takenaka Komuten Co Ltd 半二重空気膜構造物
JPH10317732A (ja) * 1997-05-22 1998-12-02 Taisei Corp 膜屋根構造及び膜屋根構造における補強ケ−ブルの締結装置
KR100974832B1 (ko) 2009-11-19 2010-08-11 주식회사 타이가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05B1 (ko) * 2019-07-04 2019-12-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KR102053904B1 (ko) * 2019-07-04 2019-12-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WO2021002715A1 (ko) * 2019-07-04 2021-01-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KR102082318B1 (ko) * 2019-09-11 2020-05-2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979B2 (en) Seismic reinforcing device
AU2013207633B2 (en) Dome cover supporter
KR101371770B1 (ko)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10163724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일체화를 위한 긴장력에 의한 휨보강 구조를 가지는 강박스 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313042B1 (ko)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설비
KR102134400B1 (ko) 필로티 건축물의 기둥 보강 장치 및 방법
JP201202858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支持脚
JP2010265696A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強構造及び方法
KR101300235B1 (ko) 아케이드 지붕패널 고정 프레임
CN102933776B (zh) 预制复合结构大梁、地板系统和用于形成地板系统的方法
WO2016208585A1 (ja) 太陽電池パネル支持架台及び太陽光発電装置
KR20100032052A (ko) 고정 구조물과 트러스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2458B1 (ko) 지붕막 조립 장치
KR100788720B1 (ko) 에어돔 설치구조
KR101517397B1 (ko) 하이테크 클램핑 방식을 이용한 막 손상 방지형 막 구조물
KR101988738B1 (ko) 태양광 패널유닛 및, 태양광 패널구조체
JP5320516B1 (ja) 太陽電池パネル設置装置
KR20130004201U (ko) 케이블 클리트 조립체
KR102362700B1 (ko) 방음벽 구조물
JP2008308884A (ja) 耐震壁
KR200416147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KR200298082Y1 (ko)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구조
JP4602789B2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縦積み工法及びその構造
JP2010001632A (ja) 耐震壁形成方法
JP6731682B1 (ja) ロックボルトの変位検知具およびその変位検知具を用いた斜面安定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