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458B1 - 지붕막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지붕막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458B1
KR100852458B1 KR1020070078470A KR20070078470A KR100852458B1 KR 100852458 B1 KR100852458 B1 KR 100852458B1 KR 1020070078470 A KR1020070078470 A KR 1020070078470A KR 20070078470 A KR20070078470 A KR 20070078470A KR 100852458 B1 KR100852458 B1 KR 100852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oof membrane
upper plate
sealing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to KR102007007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막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막과 플레이트 사이의 밀폐력을 높여 지붕막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붕막과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을 높여 지붕막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붕, 지지, 빗물, 체결

Description

지붕막 조립 장치 {Roof-membrane 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지붕막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막과 플레이트 사이의 밀폐력을 높여 지붕막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붕막과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을 높여 지붕막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구조물은 골조 막구조물, 공기 막구조물 그리고 텐션 막구조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막으로 이루어진 지붕구조는 수시로 방향이 변하는 바람의 힘을 잘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반이 약하고, 바람이 센 지방에서 합리적인 인장구조로 선택된다.
그리고, 지붕 마감재 가운데 테프론은 초경량이면서 스스로 2차적인 구조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과, 아름다운 반투명성 재료로서 지붕 아래에 고르고 부드러운 자연채광을 유지시켜주고 처마 그림자선을 부드럽게 해준다는 외관상의 장점으로 인하여 제주도와 같이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의 월드컵 경기장의 지붕구 조에 사용되고 있으며, 스포츠 경기장, 쇼핑몰, 실내 수영장, 전시관, 물류창고, 야외음악당 등에도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는 지지파이프(10)에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3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30)에 체결부재(60)로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2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3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0) 사이에 포개진 상태로 개재되어 지붕 역할을 하는 지붕막(50)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60)는 볼트(62)와 너트(64)로 이루어져 하부플레이트(30)와 상부플레이트(20)에 동시에 체결되어 지붕막(50)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붕막(50)의 포개진 부분 끝단에는 심부재(52)가 삽입되어 지붕막(50)이 하부플레이트(30)와 상부플레이트(20)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레이트(30)와 상부플레이트(20)는 지붕막(50)과의 사이에는 고무 재질의 제1, 2밀폐부재(22, 32)를 개재하여 지붕막(50)을 보호하고 지붕막(5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는 체결부재 체결시 체결부재 주위로 체결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체결부재 주위의 밀폐부재는 압축되어 밀폐력이 높아지지 만, 체결부재에서 멀어질수록 밀폐력이 떨어져 지붕막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는 지붕막과 플레이트 사이의 밀폐력을 높여 지붕막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붕막과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을 높여 지붕막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지붕 역할을 하는 지붕막과,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지붕막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력을 높이고,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제1, 2밀폐부재를 구비하는 지붕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제1밀폐부재를 가압하여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지붕 역할을 하는 지붕막과,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지붕막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력을 높이고,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제1, 2밀폐부재를 구비하는 지붕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제1밀폐부재와 제2밀폐부재를 가압하여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부재에 다중으로 밀착되어 수분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 하부플레이트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1, 2 밀폐부재에 다중으로 밀착되어 수분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
또한, 상기 제1, 2밀폐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표면 형상이 오목 볼록하게 연속적으로 출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
또한, 상기 제1, 2밀폐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에 눌려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가압부재에 밀착되도록 오목한 부분의 곡률을 상기 가압부재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는 지붕막과 플레이트 사이의 밀폐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붕막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지붕막과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높아져 지붕막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를 조립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는 하부플레이트(130)와, 상부플레이트(120)와, 지붕막(150)과, 밀폐부재(122, 132), 가압부재(140), 체결부재(16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부플레이트(130)는 지붕 구조물에 설치된 지지파이프(110)에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강도 높은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20)는 하부플레이트(130)의 상측부에 구비되어 체결부재(160)로 고정되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막(150)은 하부플레이트(130)와 상부플레이트(120) 사이에 포개진 상태로 개재되어 지붕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160)는 볼트(162)와 너트(164)로 이루어지며, 하부플레이트(130)와 상부플레이트(120)에 동시에 체결되어 지붕막(150)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붕막(150)의 포개진 부분 끝단에는 심부재(152)가 삽입되어 하부플레이트(130)와 상부플레이트(120) 사이에 걸림으로써 지붕막(150)이 하부플레이트(130)와 상부플레이트(120)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폐부재(122, 132)는 상부플레이트(120)와 지붕막(150) 사이에 형성되는 제1밀폐부재(122)와, 하부플레이트(130)와 지붕막(150) 사이에 형성되는 제2밀폐부재(132)로 이루어지며,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20)는 제1밀폐부재(122)와 접하는 면에 제1밀폐부재(122)를 가압함으로써 지붕막(150)과의 밀폐력을 높여 지붕막(150)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압부재(140)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부재(140)는 제1밀폐부재(122)를 가압하여 제1밀폐부재(122)와의 밀폐력을 높임과 아울러 가압된 제1밀폐부재(122)가 지붕막(150)을 가압하여 제1밀폐부재(122)와 지붕막(150) 사이의 밀폐력도 높이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140)는 상부플레이트(120)에 다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부재(160) 체결시 체결력을 분산시켜 제1밀폐부재(122)의 여러 곳을 가압함으로써 밀폐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40)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압부재(140)가 제1밀폐부재(122) 가압시 고무 재질의 제1밀폐 부재(122)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가압력을 높이고, 제1밀폐부재(122)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밀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밀폐부재(132)는 하부플레이트(130) 상측면에 안착되며, 제2밀폐부재(132)의 상측면에 지붕막(150)이 두 겹으로 포개어져서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1밀폐부재(122)는 지붕막(150)의 상측면에 안착되며, 제1밀폐부재(122)의 상측면에 상부플레이트(120)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20), 하부플레이트(130), 제1, 2밀폐부재(122, 132), 지붕막(150)에 볼트(162)를 삽입한 후 너트(164)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지붕막(150)의 포개진 부분 끝단에 심부재(152)를 삽입한 후 지붕막(150)을 팽팽하게 잡아당긴 상태에서 체결부재(160)를 체결한다.
상기 지붕막(150)은 심부재(152)가 상부플레이트(120)와 하부플레이트(1!30) 사이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160) 체결시 너트(164)가 볼트(162)에 회전하여 체결됨에 따라 상부플레이트(120)와 하부플레이트(130)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부플레이트(120)와 하부플레이트(130)가 각각 제1, 2밀폐부재(122, 132)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120)는 가압부재(140)가 제1밀폐부재(122)를 가압 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140)는 상부플레이트(120)에 다수개 형성되어 체결부재(160)의 체결력을 제1밀폐부재(122)의 여러 곳에 분산하여 전달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160)의 체결력이 고르게 형성됨으로써 체결력이 증가하여 지붕막(150)을 더욱 견고하게 시킨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40)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무 재질의 제1밀폐부재(122)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제1밀폐부재(122)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밀착력이 향상된다.
그로 인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와 제1밀폐부재(122) 사이와의 밀폐력이 높아져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밀폐부재(122)는 가압부재(140)에 의해 가압된 부분이 지붕막(150) 측으로 돌출되어 지붕막(150)을 가압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1밀폐부재(122)는 지붕막(150)과의 밀폐력이 높아져 지붕막(15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는 지붕막(150)과 플레이트(120, 130) 사이의 밀폐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붕막(150)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지붕막(150)과 플레이트(120, 130)를 고정하는 체결부재(160)의 체결력이 높아져 지붕막(15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를 조립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는 하부플레이트(230)와, 상부플레이트(220)와, 지붕막(250)과, 밀폐부재(22, 232), 가압부재(240), 체결부재(26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부플레이트(230)는 지붕 구조물에 설치된 지지파이프(210)에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강도 높은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20)는 하부플레이트(220)의 상측부에 구비되어 체결부재(260)로 고정되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막(250)은 하부플레이트(230)와 상부플레이트(220) 사이에 포개진 상태로 개재되어 지붕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260)는 볼트(262)와 너트(264)로 이루어지며, 하부플레이트(230)와 상부플레이트(220)에 동시에 체결되어 지붕막(250)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붕막(250)의 포개진 부분 끝단에는 심부재(252)가 삽입되어 하부플레이트(230)와 상부플레이트(220) 사이에 걸림으로써 지붕막(250)이 하부플레이트(230)와 상부플레이트(220)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폐부재(222, 232)는 상부플레이트(220)와 지붕막(250) 사이에 형성되는 제1밀폐부재(222)와, 하부플레이트(230)와 지붕막(250) 사이에 형성되는 제2밀 폐부재(232)로 이루어지며,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240)는 상부플레이트(220)에 형성되는 제1가압부재(242)와, 하부플레이트(230)에 형성되는 제2가압부재(2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20)는 제1밀폐부재(222)와 접하는 면에 제1밀폐부재(222)를 가압하여 지붕막(250)과의 밀폐력을 높여 지붕막(250)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가압부재(242)를 구비한다.
상기 제1가압부재(242)는 제1밀폐부재(222)를 가압하여 제1밀폐부재(222)와의 밀폐력을 높임과 아울러 가압된 제1밀폐부재(222)가 지붕막(250)을 가압하여 제1밀폐부재(222)와 지붕막(250) 사이의 밀폐력도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230)는 제2밀폐부재(232)와 접하는 면에 제2밀폐부재(232)를 가압하여 지붕막(250)과의 밀폐력을 높여 지붕막(250)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가압부재(244)를 구비한다.
상기 제2가압부재(244)는 제2밀폐부재(232)를 가압하여 제2밀폐부재(232)와의 밀폐력을 높임과 아울러 가압된 제2밀폐부재(232)가 지붕막(250)을 가압하여 제2밀폐부재(232)와 지붕막(250) 사이의 밀폐력도 높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2가압부재(242, 244)는 각각 상부플레이트(220)와 하부플레이트(230)에 다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부재(260) 체결시 체결력을 분산시켜 제1, 제2밀폐부재(222, 232)의 여러 곳을 가압함으로써 밀폐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2가압부재(242, 244)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 2가압부재(242, 44)가 제1, 2밀폐부재(222, 232)를 각각 가압시 고무 재질의 제1, 2밀폐부재(222, 232)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가압력을 높이고, 제1, 2밀폐부재(222, 232)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밀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밀폐부재(232)는 하부플레이트(230) 상측면에 안착되며, 제2밀폐부재(232)의 상측면에 지붕막(250)이 두 겹으로 포개어져서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1밀폐부재(222)는 지붕막(250)의 상측면에 안착되며, 제1밀폐부재(222)의 상측면에 상부플레이트(220)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20), 하부플레이트(230), 제1, 2밀폐부재(222, 232), 지붕막(250)에 체결부재(260)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지붕막(250)의 포개진 부분 끝단에 심부재(252)를 삽입한 후 지붕막(250)을 팽팽하게 잡아당긴 상태에서 볼트(262)에 너트(264)를 강하게 체결한다.
상기 지붕막(250)은 심부재(252)가 상부플레이트(220)와 하부플레이트(230) 사이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260) 체결시 너트(264)가 볼트(262)에 회전하여 체결됨에 따라 상부플레이트(220)와 하부플레이트(230)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부플레이트(220)와 하부플레이트(230)가 각각 제1, 2밀폐부재(222, 232)를 가압하게 된 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와 하부플레이트(230)의 제1, 2가압부재(242, 244)가 각각 제1, 2밀폐부재(222, 232)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1, 2가압부재(242, 244)는 상부플레이트(220)와 하부플레이트(230) 각각에 다수개 형성되어 체결부재(260)의 체결력을 제1, 2밀폐부재(222, 232)의 여러 곳에 분산하여 전달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260)의 체결력이 고르게 형성됨으로써 체결력이 증가하여 지붕막(250)을 더욱 견고하게 시킨다.
또한, 상기 제1, 2가압부재(242, 244))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무 재질의 제1, 2밀폐부재(222, 232)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제1, 2밀폐부재(222, 232)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밀착력이 향상된다.
그래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와 제1밀폐부재(222) 사이와의 밀폐력이 높아지고, 하부플레이트(230)와 제2밀폐부재(232) 사이와의 밀폐력이 높아져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밀폐부재(22, 232)는 제1, 2가압부재(242, 244)에 의해 가압된 부분이 지붕막(250) 측으로 돌출되어 지붕막(250)을 가압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1, 2밀폐부재(222, 232)는 지붕막(250)과의 밀폐력이 높아져 지붕막(@5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는 지붕막(250)과 플레이트(220, 230) 사이의 밀폐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붕막(250)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지붕막(250)과 플레이트(220, 230)를 고정하는 체결부재(260)의 체결력이 높아져 지붕막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를 조립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조립 장치를 조립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지지파이프 120 : 상부플레이트
122 : 제1밀폐부재 130 : 하부플레이트
132 : 제2밀폐부재 140 : 가압부재
150 : 지붕막 152 : 심부재
160 : 체결부재 210 : 지지파이프
220 : 상부플레이트 222 : 제1밀폐부재
230 : 하부플레이트 232 : 제2밀폐부재
240 : 가압부재 250 : 지붕막
252 : 심부재 260 : 체결부재

Claims (7)

  1.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지붕 역할을 하는 지붕막과,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지붕막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력을 높이고,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제1, 2밀폐부재를 구비하는 지붕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제1밀폐부재를 가압하여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
  2.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지붕 역할을 하는 지붕막과,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지붕막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력을 높이고,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제1, 2밀폐부재를 구비하는 지붕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제1밀폐부재와 제2밀폐부재를 가압하여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부재에 다중으로 밀착되어 수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 하부플레이트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1, 2 밀폐부재에 다중으로 밀착되어 수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밀폐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표면 형상이 오목 볼록하게 연속적으로 출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밀폐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에 눌려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가압부재에 밀착되도록 오목한 부분의 곡률을 상기 가압부재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조립 장치.
KR1020070078470A 2007-08-06 2007-08-06 지붕막 조립 장치 KR100852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70A KR100852458B1 (ko) 2007-08-06 2007-08-06 지붕막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70A KR100852458B1 (ko) 2007-08-06 2007-08-06 지붕막 조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458B1 true KR100852458B1 (ko) 2008-08-14

Family

ID=3988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470A KR100852458B1 (ko) 2007-08-06 2007-08-06 지붕막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4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618B1 (ko) 2012-04-02 2012-10-09 정영미 밴딩파이프를 이용한 옥외용차양과 이에 사용되는 마감장치
KR101517394B1 (ko) * 2015-02-09 2015-05-04 주식회사 아킨스 방수기능 개선을 위한 융합형 하이브리드 막 구조물
KR101889970B1 (ko) * 2018-02-13 2018-08-20 주앤보주식회사 시공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막 고정 시스템
KR102060577B1 (ko) * 2019-05-27 2019-12-30 (주)올찬 막구조물의 지붕막 클램핑장치
KR102160584B1 (ko) * 2020-01-30 2020-09-28 주식회사 타이가 방수성이 향상된 막구조의 연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357U (ja) 1983-11-29 1985-06-20 株式会社大林組 膜造構造物の膜端係止構造
US4620402A (en) 1985-01-22 1986-11-04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Penetrating roofing fastening and sealing system
JPH05231048A (ja) * 1992-02-18 1993-09-07 Ohbayashi Corp 膜体の接続構造
JP3059640U (ja) * 1998-12-07 1999-07-13 株式会社タイザー ハトメ装置
KR20040071436A (ko) * 2003-02-06 2004-08-12 (주)케이돔엔지니어링 막체의 마감 고정 및 인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357U (ja) 1983-11-29 1985-06-20 株式会社大林組 膜造構造物の膜端係止構造
US4620402A (en) 1985-01-22 1986-11-04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Penetrating roofing fastening and sealing system
JPH05231048A (ja) * 1992-02-18 1993-09-07 Ohbayashi Corp 膜体の接続構造
JP3059640U (ja) * 1998-12-07 1999-07-13 株式会社タイザー ハトメ装置
KR20040071436A (ko) * 2003-02-06 2004-08-12 (주)케이돔엔지니어링 막체의 마감 고정 및 인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618B1 (ko) 2012-04-02 2012-10-09 정영미 밴딩파이프를 이용한 옥외용차양과 이에 사용되는 마감장치
KR101517394B1 (ko) * 2015-02-09 2015-05-04 주식회사 아킨스 방수기능 개선을 위한 융합형 하이브리드 막 구조물
KR101889970B1 (ko) * 2018-02-13 2018-08-20 주앤보주식회사 시공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막 고정 시스템
KR102060577B1 (ko) * 2019-05-27 2019-12-30 (주)올찬 막구조물의 지붕막 클램핑장치
KR102160584B1 (ko) * 2020-01-30 2020-09-28 주식회사 타이가 방수성이 향상된 막구조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458B1 (ko) 지붕막 조립 장치
US7658356B1 (en) Mounting bracket for solar panel applications
US8549793B1 (en) Flashing system
KR102160584B1 (ko) 방수성이 향상된 막구조의 연결장치
CN103774795A (zh) 金属屋面用抗风夹具
DK201600088U3 (da) Forankringssystem til montage på tage samt anvendelse af sådan et forankringssystem
KR101517397B1 (ko) 하이테크 클램핑 방식을 이용한 막 손상 방지형 막 구조물
CN107264726A (zh) 一种埋入式人孔盖
KR101517394B1 (ko) 방수기능 개선을 위한 융합형 하이브리드 막 구조물
CN113309226B (zh) 一种主索嵌入式斜向交叉索网气膜结构
KR101371770B1 (ko)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JP3205310U (ja) 波板用支持枠締結構造
CN203729504U (zh) 一种金属屋面用抗风夹具
KR20150110882A (ko)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KR200476484Y1 (ko) 막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 구조물
TWI808644B (zh) 太陽能發電板組合裝置及其金屬板件
KR20100002793U (ko) 막 구조물의 막 지지고정구조
CN105952068A (zh) 可提高抗风揭性能的屋面板系统
KR20040083196A (ko) 강관트러스형 비닐하우스 구조물
JP6987531B2 (ja) 支持体、パネル構造体及び支持体の設置方法
TWM598569U (zh) 矩形管束鎖付支架
JPH0734541A (ja) ドーム式屋根構造
CN209145180U (zh) 一种屋面运维通道
CN213329421U (zh) 一种室外张拉膜的安装结构
CN105908904A (zh) 屋面板变形缝连接装置以及屋面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