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827B1 -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827B1
KR101569827B1 KR1020140032867A KR20140032867A KR101569827B1 KR 101569827 B1 KR101569827 B1 KR 101569827B1 KR 1020140032867 A KR1020140032867 A KR 1020140032867A KR 20140032867 A KR20140032867 A KR 20140032867A KR 101569827 B1 KR101569827 B1 KR 10156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rane
fixing
rubber pl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882A (ko
Inventor
이국환
이만근
Original Assignee
(주)아트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트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아트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4003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82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붕이나 차양을 막으로 구성한 막 구조물에 있어 막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막을 팽팽하게 견인함은 물론 막을 견인하는 막 고정부재의 부식 및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막 고정부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여백을 생략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Fabric fixing material for roofing fabric structure}
본 발명은 지붕이나 차양을 막으로 구성한 막 구조물에 있어 막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지지기둥과 연결되는 막 고정부재에 의해 막을 팽팽하게 인장시킴은 물론 막 고정부재와 지지기둥이 빗물침투에 의하여 부식됨과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막 고정부재가 전체적으로 1차 회전되면서 그 다음으로 받침 플레이트가 자체적으로 2차 회동이 가능하여 막의 설치각도 조절의 다양성에 따른 설치의 효율성과 장력조절이 매우 용이한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 구조물은 천장부에 천막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치나 해체가 용이하고 다양한 구조와 형태 및 용도로 구축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기 때문에 전시장이나 창고 또는 각종 체육활동을 위한 공간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막 구조물은 대공간 구조물의 하나의 구조 방식으로 코팅된 직물을 주재료로 사용한 막에 초기장력을 줌으로써 막 자체에 인장력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저항형 대공간 구조를 말한다.
특히, 구조체로서 막에 인장력을 사용하여 구조물 외관에 강성을 줌으로써 외부하중에 대하여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막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막 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대공간 창출이 가능하여 건물의 경량화가 가능한 재료로서의 경제성, 기능성 및 시공우수성 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와 목적에 맞는 대공간 구조물로 인정받는다.
따라서 막 구조물은 대규모 스타디움, 실내경기장과 같은 대형 무주공간 구조물, 대형공장, 박람회 관련시설 등의 가설 건축물뿐만 아니라 주택 등에도 널리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327328호(발명의 명칭: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가진 막(1)의 모퉁이측을 구조물(4) 일측에 마련된 결합공(4a)에 체결부재(30)와 고정부재(20)로서 고정하여서 된 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금속소재로서 막(1)의 모퉁이측 각도와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구조물(4)의 결합공(4a)과 일치되는 제1결합공(22a)이 형성되며, 제1결합공(22a) 양측에는 구조물(4)과의 체결보강을 위한 제2결합공(22b)이 형성되며, 부채꼴 형상의 막 가장자리로부터 다방향으로 분산지지하기 위한 제 3 결합공(22c)이 호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3결합공(22c)이 배열된 양측에 다수개의 제4결합공(22d)이 형성되어 막의 모퉁이측 저면을 받쳐 고정하는 받침 플레이트(22)가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받침 플레이트(22)는 고무소재로서 받침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치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제3결합공(22c)과 일치되는 관통공(24a)이 배열되며, 관통공(24a)이 배열된 양측에는 상기 제4결합공(22d)을 수용하는 사각형의 안내공(24b)이 형성되어 막(1)의 모퉁이측 상면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고무플레이트(24)가 구성된다.
또한, 금속소재로서 상기 고무플레이트(24)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제3결합공(22c)과 일치되는 관통공(26a)이 배열되며, 관통공(26a)이 배열된 양측에는 상기 제4결합공(22d)을 수용하는 사각형의 안내공(26b)이 형성되어 고무플레이트(24), 막(1)을 포함한 받침 플레이트(22)와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26)와; 상기 체결부재(30)는 구조물(4)의 결합공(4a)을 통해 받침 플레이트(22)의 제1결합공(22a) 및 막(1)을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제1고정볼트(32)와, 상기 구조물(4)의 저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제2결합공(22b), 막(1)을 관통하여 제공되는 너트(N)로 체결고정되는 U볼트(34)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제3결합공(22c), 고무플레이트(24) 및 고정 플레이트(26)의 관통공(24a)(26a)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너트(N)로 막(1)을 포함하여 체결고정되는 제3볼트(36)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제4결합공(22d), 고무플레이트(24) 및 고정 플레이트(26)의 안내공(24b)(26b)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너트(N)로 막(1)을 포함하여 체결고정되는 제4볼트(3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발명은 받침 플레이트(22) 위에 막을 얹고 그 위에 고무플레이트를 얹고 그 위에 고정 플레이트(26)를 얹어서 육각 렌치 볼트로 고정하는 형상이므로 이는 제 4 결합공(22D)부분의 결합공 사이 간격이 좁아 막에 볼트 결합공을 타공할 때 막이 찢어지면서 결합공과 합쳐져 막에 인장력을 잡아주는 볼트의 역할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22)에 막을 바로 얹고 고무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26)를 얹는 결합방식을 사용하면 풍 하중에 의한 진동의 영향으로 받침 플레이트(22)와 막 간의 마찰이 일어나 막이 쉽게 마모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22)를 용융아연도금 처리했을 시 표면이 거칠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막의 마모가 보다 빠르기 진행되어 막의 내구성과 수명을 더욱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막 고정부재와 구조물의 지지기둥의 결합을 U볼트를 이용하여 했을시 받침 플레이트(22)가 구조물에 밀착되는데 이것은 바람에 의한 진동이나 설 하중이 발생했을시 지지기둥이나 막 고정부재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지지기둥과 받침 플레이트(22)의 마찰에 의한 도장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조물의 도장이 벗겨지면 눈, 비가 내릴 때 철재의 빠른 부식을 초래하며, 부식된 부분을 유지보수작업하기 위해서는 지지기둥과 막 고정부재를 완전히 분리하여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막 구조물의 특성상 막에 원단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지기둥에 직접 맞닿게 시공하면 안 되고, 종래의 U볼트 체결방법은 막에 원단과 구조물의 지지기둥이 직접 맞닿아 있어서 마모로 인한 막의 내구성을 약화시킨다.
또한, 종래의 막 고정부재는 막 구조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각도로 생산하여야 한다.
이것은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의 양산체제를 방해하여 생산원가 증감과 현장 시공성 저하의 주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종래의 막 고정부재는 받침 플레이트 중 많은 여백 공간이 발생하여 불필요한 자재비를 발생시킨다.
또한, 우천시 빗물이 막을 타고 내려와 고정 플레이트를 범람하여 구조물을 타고 구조물 안쪽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구조물의 강 접합 및 핀 접합부의 부식을 촉진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327328호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막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막 고정부재에 의해 막을 팽팽하게 견인함은 물론 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막 고정부재의 부식 및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불필요한 여백을 생략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기상이변에 대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는 막 구조물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과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받침 플레이트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시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타측 단부와 중앙 부분이 연결 고정되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공이 배열되며, 좌우 양단에는 고정된 막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정된 막을 케이블에 의해 당겨주도록 인장력 조절부가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막을 삽입한 다음 맞물려 고정하도록 위치한 한 쌍의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와, 상기 상단 고무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고정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와 고정 너트에 의해 받침 플레이트,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 고정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는 막 가장자리 부분의 장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막 전체를 균일하게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받침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와의 결속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우천시 빗물이 안쪽의 기둥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각 결속부위와 체결구조를 부식시키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항상 동일한 결속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받침 플레이트의 자체적인 회동 가능에 따른 조절각도의 다양성에 따라 막 구조물의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힘의 분산은 물론 보다 효율적인 장력조절이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막 고정부재는 부식 및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여백을 생략하여 생산원가 절감 및 생산성,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기상이변 또는 천재지변 발생시 결속력이 향상되어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막 구조물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정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100)는 가용성을 가지는 막(114)의 가장자리를 막 구조물에 고정하는 것으로, 크게 회전판(110), 고정수단(109), 받침 플레이트(101),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고정 플레이트(105)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110)은 막 구조물의 지지기둥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볼트에 의해 조임 체결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판(110)의 상부에는 고정수단(109)이 위치하여, 고정수단(109)의 일측 단부와 고정되고, 고정수단(109)의 타측 단부는 받침 플레이트(101)와 좌우 회동할 수 있게 연결 고정시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받침 플레이트(101)와 회전판(110)은 고정수단(109)을 통해 연결하여 진동이나 설 하중 발생시 받침 플레이트(101)와 지지 기둥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고정수단(109)은 회전판(110)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에서 조절공(117)이 형성된 고정체(116)이 일렬로 세워지고, 상기 조절공(117)에는 조절볼트(119)가 삽입된 다음 조절볼트(119)의 선단에 위치한 체결 브라켓(118)이 받침 플레이트(101)의 상면과 저면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 브라켓(118)에 힌지 볼트를 삽입하여 받침 플레이트(101)를 관통한 다음 고정 너트(107)로 조임 체결하거나 리벳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수단(109)은 받침 플레이트(101)에 연결한 상태에서 조절볼트(119)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체결 브라켓(118)에서는 받침 플레이트(101)가 힌지 볼트에 의해 힌지 체결되어 좌우로 자체적인 방향 조절을 할 수 있어 막구조 설치각도의 다양성과 장력조절의 효율성을 갖도록 하였다.
또한, 고정수단(109)과 연결되는 받침 플레이트(101)는 부채꼴 형상으로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공(115)이 배열되며, 좌우 양단에는 고정된 막(114)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정된 막(114)을 케이블로 당겨주도록 장력 조절부(108)가 형성된다.
상기 장력 조절부(108)는 막 전체에 균일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막(1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케이블이 결합되고, 장력 조절관(120)의 내부로 삽입된 장력 조절 볼트(121)는 케이블과 연결되어 조임 및 해지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장력 조절부(108)의 상면에는 하단 고무 플레이트(102)의 저면을 밀착 고정하도록 고정공(115) 사이에는 논 슬립 테이프(112)가 부착된다.
상기 논 슬립 테이프(112)는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와 받침 플레이트(101)의 결속 및 접착력을 향상시켜 풍 하중에 의한 진동, 설 하중 및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 발생시 막(114)과 막 고정부재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그 충격을 최소화함으로 인해 기상이변 및 천재지변으로부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101)의 상부에는 부채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가 위치하고, 상기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 사이에는 막(114)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는 고무재질이면서 서로 맞물리도록 한 쌍으로 구성하되, 하단 고무 플레이트(102)의 상면과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면(104)이 형성되어 맞물리도록 한다.
상기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 사이로 막(114)의 가장자리 부분을 삽입하면 요철형상의 파형면(104)에 의해 막(114)과 함께 맞물려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 사이에서 임의로 인출되지않고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는 받침 플레이트(101)에 형성된 고정공(115)과 일치하도록 고정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에 삽입되는 막(114)도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에 형성된 고정공(115)과 일치하도록 고정공이 형성된다.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막(114)을 견인하여 고정함으로 인해 금속재질인 받침 플레이트(101)와 고정 플레이트(105)는 서로 마찰이 발생하지않아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의 상부에는 고정 플레이트(105)가 안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05)는 받침 플레이트(101)와 동일한 부채꼴 형상이며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의 고정공(115)과 일치하도록 고정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05)는 회전판(110)의 반대방향 즉 부채꼴의 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전방의 가장자리 둘레는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도록 절곡되어 경사진 낙숫물 유도부(113)가 일체로 형성되어 빗물이 낙숫물 유도부(113)에 의해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여 지지기둥의 안쪽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 막 고정부재(1)는 받침 플레이트(101)의 상부로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를 적층한 다음,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 사이에는 막(114)의 가장자리를 삽입한 한 후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에 고정 플레이트를 밀착한 다음 받침 플레이트(101)의 고정공(114)으로 고정볼트(106)를 삽입한 후 고정 플레이트(105)의 고정공(115)으로 돌출된 고정볼트(106)의 끝단을 고정 너트(107)로 조임 체결하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막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지지기둥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의 지지기둥을 이용하여 막 구조물의 뼈대를 완성한 다음 대형의 천막을 이용하여 천장부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는 회전판(110)을 밀착하여 고정볼트로 의해 조임 체결한 다음 받침 플레이트(101)의 상면에는 막(114)의 가장자리를 삽입하여 맞물린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를 안착한 상태에서 고정 플레이트(105)를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의 상부로 밀착한 상태에서 받침 플레이트(101)의 저면에서 고정공(115)으로 고정볼트(106)를 삽입하여 고정 플레이트(105)의 상부로 돌출된 고정볼트(106)를 고정 너트(107)로 조임 체결한다.
또한, 막(114)의 끝단에는 케이블이 매입되고, 케이블의 끝단에는 장력 조절 볼트(121)가 체결된 상태에서 장력 조절부(108)의 장력 조절관(120)으로 삽입하여 조임 및 해지에 따라 케이블에 고도의 인장력을 부여함으로 막은 항상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101)는 고정수단(109)에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체(116)에 형성된 조절공(117)으로 조절볼트(119)가 삽입되어 조임 및 해지에 의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막 고정부재 101: 받침 플레이트
102: 하단 고무 플레이트 103: 상단 고무 플레이트
104: 파형면 105: 고정 플레이트
106: 고정볼트 107: 고정 너트
108: 장력 조절부 109: 고정수단
110: 회전판 112: 논 슬립 테이프
113: 낙숫물 유도부 114: 막
115: 막 구조물 116: 고정체
117: 조절공 118: 체결 브라켓
119; 조절볼트 120: 장력 조절관
121: 장력 조절볼트

Claims (5)

  1. 가용성을 가지는 막의 가장자리를 구조물에 연결하는 막 고정 부재를 형성함에 있어,
    막 고정부재는 막 구조물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110)과;
    상기 회전판과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받침 플레이트와 연결 고정시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수단(109); 과
    상기 고정수단의 타측 단부와 중앙 부분이 연결 고정되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공이 배열되며, 좌우 양단에는 고정된 막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정된 막을 케이블에 의해 당겨주도록 장력 조절부가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101); 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의 고정공과 일치하도록 고정공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하단 고무 플레이트(102); 와
    상기 하단 고무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하며 하단 고무 플레이트의 고정공과 일치하도록 가장자리에 고정공이 형성된 막; 과
    상기 막의 상부에는 하단 고무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에 하단 고무 플레이트의 고정공과 일치하도록 고정공이 형성되어 하단 고무 플레이트와 맞물려 막을 고정하는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 와
    상기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의 상부에는 받침 플레이트(101)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의 고정공과 일치하도록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105)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고정공으로 삽입된 고정볼트로 체결토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와 하단 고무 플레이트(102)의 밀착되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요철형상의 파형면(104)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받침 플레이트(101)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논슬립테이프(112)를 부착함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105)의 전방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둘레는 완만하게 내향으로 절곡된 낙숫물 유도부(113)가 형성됨과,
    상기 고정수단(109)에서의 받침 플레이트(101)가 체결 브라켓(118)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32867A 2014-03-20 2014-03-20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KR101569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867A KR101569827B1 (ko) 2014-03-20 2014-03-20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867A KR101569827B1 (ko) 2014-03-20 2014-03-20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882A KR20150110882A (ko) 2015-10-05
KR101569827B1 true KR101569827B1 (ko) 2015-11-18

Family

ID=5434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867A KR101569827B1 (ko) 2014-03-20 2014-03-20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048B1 (ko) * 2019-01-08 2019-06-05 (주) 대현이엔씨 구조가 개선된 막구조물용 고정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754B1 (ko) * 2021-02-23 2022-01-03 (주)위즈덤 클램프 일체형 거터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KR102603936B1 (ko) * 2023-02-24 2023-11-21 주식회사 에이스돔 막구조용 장력 균등 조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04B1 (ko) * 2011-06-10 2012-01-11 손영길 각도조절 막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04B1 (ko) * 2011-06-10 2012-01-11 손영길 각도조절 막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048B1 (ko) * 2019-01-08 2019-06-05 (주) 대현이엔씨 구조가 개선된 막구조물용 고정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882A (ko)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519B2 (en) Ceiling system
KR101605405B1 (ko) 지붕막 연결장치
KR101569827B1 (ko)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US20080047184A1 (en) Outdoor advertising system
ITMI20100147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per l'ancoraggio di pannelli fotovoltaici su un tetto.
US9698723B2 (en) Roof attachment system
JP2014240540A (ja) 構造体の取付け構造
KR101102904B1 (ko) 각도조절 막플레이트
KR101391485B1 (ko) 프레임 조립체
KR20110087023A (ko) 태양전지판 설치를 위한 클램프
TWM612105U (zh) 太陽能電池板設置構造及太陽能電池板支撐架
KR102257881B1 (ko) 부착식의 태양광발전모듈
KR101753841B1 (ko) 로프가 결합된 비닐하우스
KR102377916B1 (ko) 막구조체의 지붕막 인장설치구조
KR101632155B1 (ko) 설치가 간편한 케노피 구조물
TWM629776U (zh) 太陽能發電板組合裝置(二)
JP2016005316A (ja) 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支持金具及び支持方法
JP2014212177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JP2006214205A (ja) 仮囲い等の支柱を鉛直姿勢で結合支持する支持杭とこの支持杭と支柱の締結装置
KR20140104710A (ko) 비닐하우스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JP2020180465A (ja)
JP2021533293A (ja) 角度付ベースプレートを有するアンカープラットフォームアセンブリ
KR100523186B1 (ko) 트러스형 첨단하우스
JP4789181B2 (ja) フェンスの支持具及び取付構造
JP4119806B2 (ja) 温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02

Effective date: 201510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