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882A -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0882A KR20150110882A KR1020140032867A KR20140032867A KR20150110882A KR 20150110882 A KR20150110882 A KR 20150110882A KR 1020140032867 A KR1020140032867 A KR 1020140032867A KR 20140032867 A KR20140032867 A KR 20140032867A KR 20150110882 A KR20150110882 A KR 201501108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membrane
- fixing
- rubber plate
- fixing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붕이나 차양을 막으로 구성한 막 구조물에 있어 막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막을 팽팽하게 견인함은 물론 막을 견인하는 막 고정부재의 부식 및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막 고정부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여백을 생략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붕이나 차양을 막으로 구성한 막 구조물에 있어 막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지지기둥과 연결되는 막 고정부재에 의해 막을 팽팽하게 견인함은 물론 막 고정부재의 부식 및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막 고정부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여백을 생략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 구조물은 천장부에 천막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치나 해체가 용이하고 다양한 구조와 형태 및 용도로 구축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기 때문에 전시장이나 창고 또는 각종 체육활동을 위한 공간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막 구조물은 대공간 구조물의 하나의 구조 방식으로 코팅된 직물을 주재료로 사용한 막에 초기장력을 줌으로써 막 자체에 인장력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저항형 대공간 구조를 말한다.
특히, 구조체로서 막에 인장력을 사용하여 구조물 외관에 강성을 줌으로써 외부하중에 대하여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막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막 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대공간 창출이 가능하여 건물의 경량화가 가능한 재료로서의 경제성, 기능성 및 시공우수성 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와 목적에 맞는 대공간 구조물로 인정받는다.
따라서 막 구조물은 대규모 스타디움, 실내경기장과 같은 대형 무주공간 구조물, 대형공장, 박람회 관련시설 등의 가설 건축물뿐만 아니라 주택 등에도 널리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327328호(발명의 명칭: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가진 막(1)의 모퉁이측을 구조물(4) 일측에 마련된 결합공(4a)에 체결부재(30)와 고정부재(20)로서 고정하여서 된 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금속소재로서 막(1)의 모퉁이측 각도와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구조물(4)의 결합공(4a)과 일치되는 제1결합공(22a)이 형성되며, 제1결합공(22a) 양측에는 구조물(4)과의 체결보강을 위한 제2결합공(22b)이 형성되며, 부채꼴 형상의 막 가장자리로부터 다방향으로 분산지지하기 위한 제 3 결합공(22c)이 호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3결합공(22c)이 배열된 양측에 다수개의 제4결합공(22d)이 형성되어 막의 모퉁이측 저면을 받쳐 고정하는 받침 플레이트(22)가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받침 플레이트(22)는 고무소재로서 받침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치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제3결합공(22c)과 일치되는 관통공(24a)이 배열되며, 관통공(24a)이 배열된 양측에는 상기 제4결합공(22d)을 수용하는 사각형의 안내공(24b)이 형성되어 막(1)의 모퉁이측 상면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고무플레이트(24)가 구성된다.
또한, 금속소재로서 상기 고무플레이트(24)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제3결합공(22c)과 일치되는 관통공(26a)이 배열되며, 관통공(26a)이 배열된 양측에는 상기 제4결합공(22d)을 수용하는 사각형의 안내공(26b)이 형성되어 고무플레이트(24), 막(1)을 포함한 받침 플레이트(22)와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26)와; 상기 체결부재(30)는 구조물(4)의 결합공(4a)을 통해 받침 플레이트(22)의 제1결합공(22a) 및 막(1)을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제1고정볼트(32)와, 상기 구조물(4)의 저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제2결합공(22b), 막(1)을 관통하여 제공되는 너트(N)로 체결고정되는 U볼트(34)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제3결합공(22c), 고무플레이트(24) 및 고정 플레이트(26)의 관통공(24a)(26a)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너트(N)로 막(1)을 포함하여 체결고정되는 제3볼트(36)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22)의 제4결합공(22d), 고무플레이트(24) 및 고정 플레이트(26)의 안내공(24b)(26b)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너트(N)로 막(1)을 포함하여 체결고정되는 제4볼트(3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발명은 받침 플레이트(22) 위에 막을 얹고 그 위에 고무플레이트를 얹고 그 위에 고정 플레이트(26)를 얹어서 육각 렌치 볼트로 고정하는 형상이므로 이는 제 4 결합공(22D)부분의 결합공 사이 간격이 좁아 막에 볼트 결합공을 타공할 때 막이 찢어지면서 결합공과 합쳐져 막에 인장력을 잡아주는 볼트의 역할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22)에 막을 바로 얹고 고무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26)를 얹는 결합방식을 사용하면 풍 하중에 의한 진동의 영향으로 받침 플레이트(22)와 막 간의 마찰이 일어나 막이 쉽게 마모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22)를 용융아연도금 처리했을 시 표면이 거칠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막의 마모가 보다 빠르기 진행되어 막의 내구성과 수명을 더욱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막 고정부재와 구조물의 지지기둥의 결합을 U볼트를 이용하여 했을시 받침 플레이트(22)가 구조물에 밀착되는데 이것은 바람에 의한 진동이나 설 하중이 발생했을시 지지기둥이나 막 고정부재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지지기둥과 받침 플레이트(22)의 마찰에 의한 도장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조물의 도장이 벗겨지면 눈, 비가 내릴 때 철재의 빠른 부식을 초래하며, 부식된 부분을 유지보수작업하기 위해서는 지지기둥과 막 고정부재를 완전히 분리하여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막 구조물의 특성상 막에 원단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지기둥에 직접 맞닿게 시공하면 안 되고, 종래의 U볼트 체결방법은 막에 원단과 구조물의 지지기둥이 직접 맞닿아 있어서 마모로 인한 막의 내구성을 약화시킨다.
또한, 종래의 막 고정부재는 막 구조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각도로 생산하여야 한다.
이것은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의 양산체제를 방해하여 생산원가 증감과 현장 시공성 저하의 주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종래의 막 고정부재는 받침 플레이트 중 많은 여백 공간이 발생하여 불필요한 자재비를 발생시킨다.
또한, 우천시 빗물이 막을 타고 내려와 고정 플레이트를 범람하여 구조물을 타고 구조물 안쪽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구조물의 강 접합 및 핀 접합부의 부식을 촉진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막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막 고정부재에 의해 막을 팽팽하게 견인함은 물론 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막 고정부재의 부식 및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불필요한 여백을 생략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기상이변에 대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는 막 구조물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과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받침 플레이트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시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타측 단부와 중앙 부분이 연결 고정되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공이 배열되며, 좌우 양단에는 고정된 막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정된 막을 케이블에 의해 당겨주도록 인장력 조절부가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막을 삽입한 다음 맞물려 고정하도록 위치한 한 쌍의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와, 상기 상단 고무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고정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와 고정 너트에 의해 받침 플레이트,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 고정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는 막 가장자리 부분의 장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막 구조물의 막 전체를 균일하게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막의 기능 및 미관이 한층 개선된 막 구조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막 고정부재는 부식 및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여백을 생략하여 생산원가 절감 및 생산성,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기상이변 또는 천재지변 발생시 결속력이 향상되어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막 구조물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정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막 고정부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100)는 가용성을 가지는 막(114)의 가장자리를 막 구조물에 고정하는 것으로, 크게 회전판(110), 고정수단(109), 받침 플레이트(101),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고정 플레이트(105)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110)은 막 구조물의 지지기둥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볼트에 의해 조임 체결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판(110)의 상부에는 고정수단(109)이 위치하여, 고정수단(109)의 일측 단부와 고정되고, 고정수단(109)의 타측 단부는 받침 플레이트(101)와 좌우 회동할 수 있게 연결 고정시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받침 플레이트(101)와 회전판(110)은 고정수단(109)을 통해 연결하여 진동이나 설 하중 발생시 받침 플레이트(101)와 지지 기둥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고정수단(109)은 회전판(110)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에서 조절공(117)이 형성된 격벽(116)이 일렬로 세워지고, 상기 조절공(117)에는 조절볼트(119)가 삽입된 다음 조절볼트(119)의 선단에 위치한 체결 브라켓(118)이 받침 플레이트(101)의 상면과 저면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 브라켓(118)에 힌지 볼트를 삽입하여 받침 플레이트(101)를 관통한 다음 고정 너트(107)로 조임 체결하거나 리벳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수단(109)은 받침 플레이트(101)에 연결한 상태에서 조절볼트(119)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체결 브라켓(118)에서는 받침 플레이트(101)가 힌지 볼트에 의해 힌지 체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109)과 연결되는 받침 플레이트(101)는 부채꼴 형상으로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공(115)이 배열되며, 좌우 양단에는 고정된 막(114)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정된 막(114)을 케이블로 당겨주도록 장력 조절부(108)가 형성된다.
상기 장력 조절부(108)는 막 전체에 균일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막(1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케이블이 결합되고, 장력 조절공(120)의 내부로 삽입된 장력 조절 볼트(121)는 케이블과 연결되어 조임 및 해지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장력 조절부(108)의 상면에는 하단 고무 플레이트(102)의 저면을 밀착 고정하도록 고정공(115) 사이에는 논 슬립 테이프(112)가 부착된다.
상기 논 슬립 테이프(112)는 상·하단 플레이트(103, 102)와 받침 플레이트(101)의 결속 및 접착력을 향상시켜 풍 하중에 의한 진동, 설 하중 및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 발생시 막(114)과 막 고정부재의 결속력을 강하시켜 그 충격을 최소화함으로 인해 기상이변 및 천재지변으로부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101)의 상부에는 부채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가 위치하고, 상기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 사이에는 막(114)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는 고무재질이면서 서로 맞물리도록 한 쌍으로 구성하되, 하단 고무 플레이트(102)의 상면과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엠보싱(embossing)(104)이 형성되어 맞물리도록 한다.
상기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 사이로 막(114)의 가장자리 부분을 삽입하면 요철형상의 엠보싱(104)에 의해 막(114)과 함께 맞물려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 사이에서 임의로 인출되지않고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는 받침 플레이트(101)에 형성된 고정공(115)과 일치하도록 고정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에 삽입되는 막(114)도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에 형성된 고정공(115)과 일치하도록 고정공이 형성된다.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막(114)을 견인하여 고정함으로 인해 금속재질인 받침 플레이트(101)와 고정 플레이트(105)는 서로 마찰이 발생하지않아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의 상부에는 고정 플레이트(105)가 안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05)는 받침 플레이트(101)와 동일한 부채꼴 형상이며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의 고정공(115)과 일치하도록 고정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05)는 회전판(110)의 반대방향 즉 부채꼴의 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전방의 가장자리 둘레는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도록 절곡되어 경사진 낙숫물 유도부(113)가 일체로 형성되어 빗물이 낙숫물 유도부(113)에 의해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여 지지기둥의 안쪽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 막 고정부재(1)는 받침 플레이트(101)의 상부로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를 적층한 다음,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 사이에는 막(114)의 가장자리를 삽입한 한 후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에 고정 플레이트를 밀착한 다음 받침 플레이트(101)의 고정공(114)으로 고정볼트(106)를 삽입한 후 고정 플레이트(105)의 고정공(115)으로 돌출된 고정볼트(106)의 끝단을 고정 너트(107)로 조임 체결하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막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지지기둥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의 지지기둥을 이용하여 막 구조물의 뼈대를 완성한 다음 대형의 천막을 이용하여 천장부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는 회전판(110)을 밀착하여 고정볼트로 의해 조임 체결한 다음 받침 플레이트(101)의 상면에는 막(114)의 가장자리를 삽입하여 맞물린 상·하단 고무 플레이트(103, 102)를 안착한 상태에서 고정 플레이트(105)를 상단 고무 플레이트(103)의 상부로 밀착한 상태에서 받침 플레이트(101)의 저면에서 고정공(115)으로 고정볼트(106)를 삽입하여 고정 플레이트(105)의 상부로 돌출된 고정볼트(106)를 고정 너트(107)로 조임 체결한다.
또한, 막(114)의 끝단에는 케이블이 매입되고, 케이블의 끝단에는 장력 조절 볼트(121)가 체결된 상태에서 장력 조절부(108)의 장력 조절공(120)으로 삽입하여 조임 및 해지에 따라 케이블에 고도의 인장력을 부여함으로 막은 항상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101)는 고정수단(109)에 연결된 상태에서 격벽(116)에 형성된 조절공(117)으로 조절볼트(119)가 삽입되어 조임 및 해지에 의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막 고정부재 101: 받침 플레이트
102: 하단 고무 플레이트 103: 상단 고무 플레이트
104: 엠보싱(embossing) 105: 고정 플레이트
106: 고정볼트 107: 고정 너트
108: 장력 조절부 109: 고정수단
110: 회전판 112: 논 슬립 테이프
113: 낙숫물 유도부 114: 막
115: 막 구조물 116: 격벽
117: 조절공 118: 체결 브라켓
119; 조절볼트 120: 장력 조절공
121: 장력 조절볼트
102: 하단 고무 플레이트 103: 상단 고무 플레이트
104: 엠보싱(embossing) 105: 고정 플레이트
106: 고정볼트 107: 고정 너트
108: 장력 조절부 109: 고정수단
110: 회전판 112: 논 슬립 테이프
113: 낙숫물 유도부 114: 막
115: 막 구조물 116: 격벽
117: 조절공 118: 체결 브라켓
119; 조절볼트 120: 장력 조절공
121: 장력 조절볼트
Claims (5)
- 가용성을 가지는 막의 가장자리를 막 구조물에 고정하는 막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막 고정부재는 막 구조물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과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받침 플레이트와 연결 고정시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수단; 과
상기 고정수단의 타측 단부와 중앙 부분이 연결 고정되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공이 배열되며, 좌우 양단에는 고정된 막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정된 막을 케이블에 의해 당겨주도록 장력 조절부가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 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의 고정공과 일치하도록 고정공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하단 고무 플레이트; 와
상기 하단 고무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하며 하단 고무 플레이트의 고정공과 일치하도록 가장자리에 고정공이 형성된 막; 과
상기 막의 상부에는 하단 고무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에 하단 고무 플레이트의 고정공과 일치하도록 고정공이 형성되어 하단 고무 플레이트와 맞물려 막을 고정하는 상단 고무 플레이트; 와
상기 상단 고무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받침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단 고무 플레이트의 고정공과 일치하도록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고정공으로 삽입된 고정볼트를 고정 너트로 조임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무 플레이트와 하단 고무 플레이트는 밀착되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요철형상의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되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논 슬립 테이프(Non - Slip Tape)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둘레는 상부방향으로 절곡된 낙숫물 유도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된 받침 플레이트는 좌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2867A KR101569827B1 (ko) | 2014-03-20 | 2014-03-20 |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2867A KR101569827B1 (ko) | 2014-03-20 | 2014-03-20 |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0882A true KR20150110882A (ko) | 2015-10-05 |
KR101569827B1 KR101569827B1 (ko) | 2015-11-18 |
Family
ID=5434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2867A KR101569827B1 (ko) | 2014-03-20 | 2014-03-20 |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982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6754B1 (ko) * | 2021-02-23 | 2022-01-03 | (주)위즈덤 | 클램프 일체형 거터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
KR102603936B1 (ko) * | 2023-02-24 | 2023-11-21 | 주식회사 에이스돔 | 막구조용 장력 균등 조절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4048B1 (ko) * | 2019-01-08 | 2019-06-05 | (주) 대현이엔씨 | 구조가 개선된 막구조물용 고정부재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2904B1 (ko) * | 2011-06-10 | 2012-01-11 | 손영길 | 각도조절 막플레이트 |
-
2014
- 2014-03-20 KR KR1020140032867A patent/KR10156982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6754B1 (ko) * | 2021-02-23 | 2022-01-03 | (주)위즈덤 | 클램프 일체형 거터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
KR102603936B1 (ko) * | 2023-02-24 | 2023-11-21 | 주식회사 에이스돔 | 막구조용 장력 균등 조절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9827B1 (ko) | 2015-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55087B2 (en) | Mounting hardware and mounting system for vertical panels | |
ITMI20100147A1 (it) | Dispositivo di supporto per l'ancoraggio di pannelli fotovoltaici su un tetto. | |
KR101605405B1 (ko) | 지붕막 연결장치 | |
JP3160565U (ja) | ソーラーパネル架台の設置構造 | |
KR101569827B1 (ko) | 막 구조물용 막 고정부재 | |
TWM612105U (zh) | 太陽能電池板設置構造及太陽能電池板支撐架 | |
KR101102904B1 (ko) | 각도조절 막플레이트 | |
KR102377916B1 (ko) | 막구조체의 지붕막 인장설치구조 | |
JP5744469B2 (ja) | 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用架台システム | |
US7096633B1 (en) | Method of hanging a false cloth ceiling | |
CN103114694A (zh) | 装饰保温板系统 | |
KR20110087023A (ko) | 태양전지판 설치를 위한 클램프 | |
KR101517397B1 (ko) | 하이테크 클램핑 방식을 이용한 막 손상 방지형 막 구조물 | |
KR20190030292A (ko) | 데크 조립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결합구조물 | |
TWM629776U (zh) | 太陽能發電板組合裝置(二) | |
KR101115411B1 (ko) |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 | |
WO2019144571A1 (zh) | 柱面干挂石材抱箍式连接装置 | |
KR100575429B1 (ko) | 골조고정구 | |
KR200472721Y1 (ko) | 매립형 플랜지, 및 이를 이용한 막구조물 | |
KR200462415Y1 (ko) | 설치 및 교환 작업이 용이한 광고판용 플렉스 고정구 | |
JP2011122402A (ja) | 太陽光パネルの平板状支持瓦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光パネルの設置方法 | |
JP2016084834A (ja) | 取付金具 | |
JP4789181B2 (ja) | フェンスの支持具及び取付構造 | |
JP4005975B2 (ja) | 外断熱工法を用いた建物の外壁パネル材取付金物 | |
JP5342828B2 (ja) | 浮き床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02 Effective date: 20151022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