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02715A1 -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02715A1
WO2021002715A1 PCT/KR2020/008698 KR2020008698W WO2021002715A1 WO 2021002715 A1 WO2021002715 A1 WO 2021002715A1 KR 2020008698 W KR2020008698 W KR 2020008698W WO 2021002715 A1 WO2021002715 A1 WO 20210027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te
flexible film
trolley
flexi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86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경주
김윤진
알렉산더 허브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10027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027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er for coupling a flexible film at a lower portion of a trolley applied to a flexible retractabl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a member that couples the flexible film to the trolley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while the flexible film is suspended from the main cable in a roof structure. It relates to a trolley system of a flexible retractable structure that increases durability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oncentrated stress in the area.
  • the retractable roof has an open and closed operation state, unlike the fixedness of the general roof type. For this reason, the sel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that can satisfy the conditions required in terms of the architectural plan and the structural plan should be given priority.
  •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of that is actually being constructed is largely the rigid panel type and the rigid panel type depending on the method of forming the opening surface. There is a soft film material method.
  • a flexible membrane is suspended on a cable and opened and closed by folding the flexible membrane.
  • a trolley is required for folding by hanging the flexible film on the cable.
  • a plurality of trolleys are arranged in a row to fix the cables and are moved by the tractor.
  • the flexible film must be stably suspended from the cable without being eccentric and capable of folding operation.
  • the trolley consists of a portion that wraps a steel cable and passes over it with minimal friction, and a disk plate holding a flexible membrane material at the bottom of the trolley.
  • a plurality of trolleys are arranged, and each trolley receives a driving force by motor driving and moves on a cable by a force drawn by a moving tractor.
  •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9-0051590 is disclosed as a technology that serves a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ior art discloses a channel-type steel coupling provided in the trolley as a trolley of a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ack of a structure for stably supporting the trolley on the cable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exible membrane material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able.
  • Each trolley moves on the cable by the force pulled by the tractor.
  • the movement of the trolley on the cable receives the force pulled by the tractor as well as an external force ac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or inclined to the traveling direction by an external shock.
  •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trolley also acts between the soft film and the trolle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That is, even when the trolley is moved by dragging the soft film or the trolley is fixed in a fixed position, a repetitive external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soft film and the trolle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shaking due to external force when a trolley moves on a cable by a tractor or is fixed to a plate of a trolle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by providing a technique for interfacing the area where the trolley and the flexible membrane are bonded in a large area to prevent excessive load from acting on a specific area of the flexible membrane. .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olley system comprising a plate for supporting a cable, a slider moving on the cable, and a flexible film coupling member provided under the slider and coupled to a flexible film, wherein the flexible film coupling member includes an upper plate ( 220) and a lower plate 230; A flexible film 400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it provides a trolley system of a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comprising a; bolt 240 for coupl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 the flexible film is in full surfac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friction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flexible film.
  •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n elastic block 10 having a spring therein and moving while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odule consisting of an upper support plate 11 supporting the elastic block from the upper side, a side support plate 12 supporting from the side, and a lower support plate 13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block. It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hile in contact with.
  • the elastic block a block groove (10-1) form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lock (10); A support (17)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plate and inserted into the block groove; And a spring 18 inserted into the block groove while surrounding the support.
  • a bolt hole 235 for fastening a bolt is provided through the lower plate, a bolt hole does not pass through the upper plate, and the bolt is fastened from bottom to top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from the lower plat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exible film coupling member provided below the slider moving on the cable and to which the flexible film is coupled, comprising: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 flexible film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it provides a plate-type flexible film coupling member comprising a; and a bolt for coupl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module provided inside the trolley, the trolley not only stably moves on the cable, but also perpendicular to the cable acting by the flexible film after the trolley is fixed to the plate.
  • An advantageous effect of preventing trolley separation and maintaining a stable state is generated by effectively buffering against external force in one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excessive load from acting on a specific part of the flexible film by arranging the disk-type plate-shaped members on the top and bottom and combining them with the flexible film positioned therebetween, so that the trolley and the flexible film are interfacially joined over a large area.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trolley system of a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 Figure 2 is a view of the trolley of the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located on a plurality of transversely arranged cables,
  •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trolley system shown in Figure 1,
  • FIG.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trolley of a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art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 FIG. 10 is a view excluding some components from the elastic module of FIG. 9,
  • FIG. 11 is a view showing a buffer function while moving the trolley system of the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trolley system shown in FIG. 1,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flexible film of the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olley system of a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trolley of a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plurality of transversely arranged cables.
  • 3 is a front view of the trolley system shown in FIG. 1
  • FIG.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trolley of a flexible retractable structur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and 6 are It shows only a part of the trolley system of the flexib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o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separation of the elas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art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7 A perspective view is shown
  • FIG. 10 is a view excluding some components from the elastic module of FIG. 9
  • FIG. 11 is a view showing a buffer function while moving the trolley system of the flexible retractable structur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2 is a view of the trolley system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the bottom.
  • the tro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fastened to the membrane of the retractable roof to unfold and fold the membran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roof, and there is a disc plate-shaped soft membrane coupling member at the bottom of the trolley, so that the flexible membrane is bonded.
  • the trolleys 100 and 200 include a slider 100 on the upper side and a flexible film coupling member 200 on the lower side.
  • a plurality of trolleys are arranged along the cable (C), and the flexible film 400 is affixed with a flexible film coupling member positioned below (FIG. 3).
  • the flexible membrane is a membrane material that serves as a roof of a building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of can be ope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olley.
  • Trolleys and trolley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one cable (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towing cable (not shown), so when a tractor (not shown) pulls the outer trolley located at the most bar side, the trolleys are lined up one by one by the towing cabl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trolley from separating from the cable by applying a buffer structure against such a vertical and horizontal shaking of the trolley and to enable a stable behavior.
  • a plate cable (not shown) for hanging the plate 300 is provided along the cable C on the upper side of the cable C. That is, the plate 300 is fixed at a certain point while being attached to the plate cable (not shown).
  • the plate includes a cable connection part 310 connected to the plate cable, a vertical rotation part 320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ion part 310, and a horizontal part 330 integrally formed with the vertical rotation part 320. ).
  • a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cable C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330, and the cable C positioned in the seating groove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horizontal portion 330.
  • the vertical rotation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le connection part by a rotation shaft 315.
  • the plate 300 is connected to the plate cable and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able C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left-right linear movement to fix and support the cable C.
  • a rail surface 340 is located on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 330 (outer part of the cable C), and a rail inclined surface 345 is formed before and after the rail surface 3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t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member of the slider 100 of the trolley.
  • the tro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r 100 positioned at an upper side and moving along the cable C and a flexible film coupling member 200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and holding the flexible film 400.
  • the slider 100 includes left and right slider bodies 11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 shape, and a slider coupling member 120 that connects the left and right slider bodies 110 to each other from the bottom.
  • the slider body 110 includes various parts 130 and bolts for coupling members such as an elastic module E to be described below.
  •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n elastic module E including an elastic block 10 that moves elastically up and down so that when the trolley is settled on the plate 300, it is stably fixed.
  • the elastic module (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upport plate 11 supporting each of the elastic blocks 10 from the upper side, a side support plate 12 supporting from the outer side, and a lower support plate 13 supporting from the lower side, An auxiliary support plate 14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ide support plate.
  • These upper support plates, side support plates, lower support plates, auxiliary support plates, etc. are fastened with bolts through bolt holes formed in each support plat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se bolting means ar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mechanical elements, so specific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elastic block 10 is located inside the structure of an elastic module of an approximately c-shaped shape composed of an upper support plate 11, a side support plate 12, and a lower support plate 13.
  • 10 is a view in which only the auxiliary support plate 14 is removed to aid understanding from the elastic module E of FIG. 9.
  •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block is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plate 13.
  • it is not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block is entirely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plate 13, but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only a part (10b of the figure in FIG. 10). That is, since the width of the lower support plate 130 supports only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block 10, som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block is not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plate 13 and is exposed to the exposed bottom surface 10a. )
  • the exposed bottom portion 10a moves on the rail surface while contacting the rail surface 340 of FIG. 6 of the plate 300 described above.
  • the elastic block 10 is located inside the structure of a substantially c shape, an elastic gap (d)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block 10 and the upper support plate (11). Further, a block groove (10-1) formed verticall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lock (10), and a support (17) and a spring (18) are inserted into the block groove.
  • the support 17 is positioned inside the spring to prevent buckling of the spring,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is coupled to an upper fastening hole 11a formed in the upper support plate 11.
  • the upper end of the spring 18 touches the upper support plate 11 and the lower end of the spring touches the lower end of the block groove 10-1, so that the elastic block 10 from the upper support plate 11 It plays a role of exerting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gap (d).
  • the elastic module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lider 100 of the trolley. That is, the upper support plate 11, the side support plate 12, and the lower support plate 13 are integral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lider 100. In this state, the elastic block 10 can be moved up and dow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pring 18 by the elastic interval d.
  •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olley system of the flexible opening/closing structure having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nd acts as a buffer.
  • the elastic module (E) When the trolley moves on the cable (C) and is fixed to the plate (300), the elastic module (E) is in contact with the plate (300), the exposed bottom (10a) of the elastic block (10) ) Is in contact with the rail inclined surface 345 located in front of the rail surface 340 of the plate 300, and the elastic block 10 slightly moves upward as the spring 18 is compressed. And, when the elastic block is located inside the plate, the elastic block is loc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pring 18 is compressed on the rail surface 340 of the plate (Fig. 11 (a), (b) and (c)). )).
  • the exposed bottom portion (10a) of the elastic block (10) contacts the rail surface (340) of the plate (300), and the elastic block (10) is slightly upward as the spring (18) is compressed.
  • the exposed bottom portion of the elastic block becomes a structure with the rail surface 340 of the plate by the spring acting on the elastic force in this state.
  • an external force external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ble
  • asymmetric means that the lengths of the cables C on the upper side of the flexible film in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flexible fil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us are not symmetric.
  • 10 cables are arranged as an example, and numbers are given as C1, C2 to C9, and C10, respectively. That is, the cable as shown in FIG. 13 is disposed on the flexible film, but the cables (C5, C6, C7) disposed in the middle position are relatively long, and the cables (C1, C2, C9, C10) disposed on the outer side have a length. It becomes relatively short.
  • the trolley starts to pull and unfold the flexible film simultaneously on each cable, and the trolley on the relatively short cable (C1, C2, C9, C10) on the outer side completes the unfolding operation first. Is done.
  • the trolley on the cables C5, C6, and C7 located in the middle continues to advance.
  • the outer soft film acts on the central soft film. That is, the soft film under the outer trolley pulls the soft film under the central cables (C5, C6, C7), and as a result,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cables (C5, C6, C7), as mentioned above. It acts as an external force (external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able) on one trolley.
  •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block of the elastic module of the trolley is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the rail surface of the plate by the spring elastic forc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while the trolley is fixed to the plate, the trolley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due to this action of the elas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exible film coupling member 200 includes an upper plate 220 and a lower plate 230 and a bolt 240 for fasten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Further,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firmly fastened with the bolts 240 while the flexible film 400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late 220 and the lower plate 230. A bolt hole 235 for fastening bolts is located on the lower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30 press the flexible film 400 as a whole, so that the flexible film and the coupling member are combined while making surface contact in a large area.
  • the durability of the flexible film i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olley method in which the flexible film is held only at a specific position.
  • a friction member 238 made of a thin elastic material i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2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30, a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film as a whole, and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flexible film is further increased. I can. When the trolley is moved, the soft film behaves together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 the flexible film is disposed between disk plate-shaped members so that the film can be held in a wider area, so that an excessive load is not concentrated only at a specific point of the flexible film,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하부에 구비되고 연성막이 결합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트롤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연성막 결합부재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30);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막(4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볼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발명은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트롤리의 하부에서 연성막을 결합하는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붕 구조물에서 연성막이 주케이블에 매달린 상태에서 개폐 구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성막을 트롤리에 결합시키는 부재로서 연성막의 특정 부위에 집중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에서 개폐식 지붕은 보편적인 지붕형태의 고정성과 달리, 열리고 닫히는 가동상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 건축계획과 구조계획의 측면에서 요구되는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개폐형식의 선택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실제 건설되고 있는 개폐식 지붕의 개폐형식은 개폐면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강성패널 방식과 연성막재 방식이 있다.
연성막재 방식은 케이블에 연성막을 매달아 연성막의 폴딩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연성막을 케이블에 매달아 폴딩하기 위해서 트롤리가 요구된다. 이 트롤리는 케이블에 정착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트롤리가 일렬로 배치되고 트랙터에 의해 이끌려서 이동하게 된다. 연성막이 편심됨이 없이 케이블에 안정되게 매달려 폴딩 동작될 수 있어야 한다. 트롤리는 강재 케이블을 감싸고 그 위를 최소한의 마찰로 지나가는 부분과 그 하단에 연성 막재를 잡고 있는 디스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롤리는 다수 개가 배치되고, 개개의 트롤리는 모터 구동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케이블 상을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51590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로서 트롤리에 구비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연성 막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트롤리를 케이블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케이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개개의 트롤리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케이블 상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위에서 트롤리의 거동은 트랙터가 끄는 힘과 더불어 외부충격에 의해 진행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도 받게 된다. 또한, 트롤리에 작용하는 외력은 하부에 결합된 연성막과 트롤리 사이에도 작용한다. 즉, 트롤리가 연성막을 끌고 이동하거나 트롤리가 정 위치에 정착된 상태에서도 연성막과 트롤리 겹합부위에는 계속하여 반복적인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트롤리와 연성막 결합형태를 보면, 트롤리 말단에 갈고리 형태의 부재를 이용하여 막을 잡고 끄는 형상이어서 반복 사용에 따라 접합부에 힘이 과도하게 부여되어 응력 집중으로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트랙터에 의해 트롤리가 케이블 상을 이동하거나 트롤리의 플레이트에 정착시에 외력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롤리와 연성막이 결합하는 부위를 넓은 면적에서 면접합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연성막의 특정 부위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하부에 구비되고 연성막이 결합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트롤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연성막 결합부재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30);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막(4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볼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연성막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과 전체적으로 면 접촉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중 일부 영역에는 탄성재질의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연성막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이동하는 탄성블록(10); 상기 탄성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11),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1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3)으로 이루어진 탄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플레이트 상면과 접하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블록은, 탄성블록(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10-1);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지지대(17); 및 상기 지지대를 감싸면서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스프링(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구멍(235)이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볼트 구멍이 관통하지 않으며, 상기 볼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서 상부 플레이트 방향으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체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더 하부에 구비되고, 연성막이 결합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막;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과 같이 구성되어서, 트롤리 내부에 구비된 탄성모듈의 구조로 인해, 상기 트롤리가 케이블 상을 안정적으로 이동할 뿐 아니라 상기 트롤리가 플레이트에 정착된 후에 연성막에 의해 작용하는 케이블에 수직한 방향의 외력에도 효과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하여 트롤리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상태 유지가 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 타입의 플레이트 형상 부재를 상하에 배치하고 이 사이에 연성막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함으로써, 트롤리와 연성막이 넓은 면적에서 면접합하도록 하여 연성막의 특정 부위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배치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가 다수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케이블에 위치하는 모습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중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인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에서 일부 구성을 제외한 모습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이며,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을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연성막이 펼쳐진 모습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배치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가 다수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케이블에 위치하는 모습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중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인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에서 일부 구성을 제외한 모습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이며,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시스템을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본 발명의 트롤리는 개폐식 지붕의 막과 체결되어 지붕을 개폐시 막을 펼치고 접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며, 트롤리 하단에는 디스크 플레이트 형상의 연성막 결합부재가 있어서 연성막이 접합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100,200)는 상측의 슬라이더(100)와 하측의 연성막 결합부재(200)로 이루어진다. 트롤리는 상기 케이블(C)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 연성막(400)을 메달고 있는 구조이다(도 3). 상기 연성막은 건축물 지붕 역할을 하는 막재로서 트롤리 이동에 따라 지붕이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하나의 케이블(C) 상에서 이웃하여 배치되는 트롤리와 트롤리는 견인케이블(미도시)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가장 바같쪽에 위치하는 외측 트롤리를 트랙터(미도시)가 견인하면 트롤리들은 하나씩 견인케이블에 의해 줄줄이 순차적으로 견인되는 구조이다. 트롤리가 순차적으로 견인되면서 아래쪽에 부착된 연성막(400)이 펼쳐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쌍으로 배치되고, 하나의 쌍으로 배치된 케이블 위를 트롤리의 슬라이더(100)가 이동하는 구조이다. 상기 케이블의 쌍은 횡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연성막을 지지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때, 트롤리는 트랙터가 끄는 힘에 의해 고정 설치된 케이블(C) 위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위에서 트롤리의 거동은 트랙터가 끄는 힘과 더불어 외부충격에 의해 진행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도 받게 되고, 그 결과 트롤리는 케이블 상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본 발명은 트롤리의 이러한 상하 좌우 흔들림에 대한 완충구조를 적용하여 트롤리가 케이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레이트(300) 구조를 설명한다.
연성 개폐식 트롤리 시스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300)를 메달기 위한 플레이트용 케이블(미도시)이 상기 케이블(C)의 상측에 상기 케이블(C)을 따라 구비된다. 즉, 플레이트(300)는 상기 플레이트용 케이블(미도시)에 메달린 상태로 일정 지점에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용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31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회동부(320) 및 상기 수직회동부(3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3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30)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C)을 안착하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안착홈에 위치하는 케이블(C)은 상기 수평부(330)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수직회동부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회동축(315)으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300)는 상기 플레이트용 케이블에 연결되어 좌우 직선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C)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C)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부(330)의 상면 중 양측단(상기 케이블(C)의 외측부)에는 레일면(340)이 위치하고 상기 레일면(340)의 전후에는 레일경사면(345)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이하 설명할 트롤리의 슬라이더(100)의 부재와 맞닿는 부분이다.
[이탈 방지용 탄성모듈 구조]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롤리(100, 200) 탄성모듈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C)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00)와 하측에 위치하고 연성막(400)을 잡고 있는 연성막 결합부재(200)로 이뤄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00)는, ㄷ 형상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측 슬라이더 몸체(110)와 상기 좌우측 슬라이더 몸체(110)를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슬라이더 결합부재(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슬라이더 몸체(110) 내부에 이하 설명할 탄성모듈(E) 등의 부재를 결합하는 다양한 부품(130)들과 볼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하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탄성블록(10)을 포함하는 탄성모듈(E)을 채택하여 트롤리가 플레이트(300) 위에 정착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모듈(E)은 탄성블록(10)을 각각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11), 외측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1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3)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판의 양단에는 보조지지판(14)이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지지판, 측면지지판, 하부지지판, 보조지지판 등은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판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서 볼트로 체결되며, 이러한 볼트 체결 수단은 기계요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부품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블록(10)은 상부지지판(11), 측면지지판(12), 하부지지판(13)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ㄷ 형태의 탄성모듈의 구조 내부에 위치한다. 도 10은 도 9의 탄성모듈(E)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보조지지판(14)만을 제거한 모습이다.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하부지지판(13)에 의해 지지된다. 다만, 상기 하부지지판(13)에 의해 탄성블록의 하면이 전체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는 아니며 일부(도 10의 그림의 10b부분)만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즉, 하부지지판(130)의 폭이 상기 탄성블록(10)의 저면 중 일부만을 지지하고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저면 중 일부는 상기 하부지지판(13)에서 지지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저면부(10a)를 형성한다(도 10). 상기 노출저면부(10a)는 위에서 설명한 플레이트(300)의 레일면(도 6의 340)과 접하면서 레일면 상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모듈(E)의 측면을 보면, 대략 ㄷ 형태의 구조 내부에 탄성블록(10)이 위치하고, 탄성블록(10)과 상부지지판(11) 사이에는 탄성간격(d)가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블록(10)의 상면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홈에는 지지대(17)와 스프링(18)이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17)는 스프링의 내측에 위치하여 스프링의 좌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대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판(11)에 형성된 상부체결홀(11a)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18)의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판(11)에 닿고 스프링의 하단은 상기 블록홈(10-1)의 하단에 닿아서 상기 탄성블록(10)이 상기 상부지지판(11)으로 부터 상기 탄성간격(d)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트롤리의 슬라이더(100) 내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지지판(11), 측면지지판(12), 하부지지판(13) 등은 상기 슬라이더(100) 내측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블록(10)은 상기 탄성간격(d) 만큼 스프링(18)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트롤리가 케이블(C)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00)에 정착되는 과정에서 탄성모듈(E)이 상기 플레이트(300)에 접하는 모습을 보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 전방에 위치하는 레일경사면(345)과 접하면서 탄성블록(10)은 스프링(18)이 압축되면서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블록이 플레이트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340)에 상기 스프링(18)이 압축된 상태로 위치한다(도 11의 (a)와 (b)와 (c)).
그리고, 상기 트롤리가 케이블(C)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300)를 지나서 통과하게 되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에서 해제되면서 탄성블록은 다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도 11의 (d)).
본 발명의 트롤리가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성막을 펼치게 되고, 연성막을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트롤리는 상기 플레이트(300)에 정착되어 더 이상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데, 이것이 도 11의 (c)의 모습이다.
트롤리가 플레이트에 정착되면, 상기 탄성블록(10)의 노출저면부(10a)가 플레이트(300)의 레일면(340)과 접하면서 탄성블록(10)은 스프링(18)이 압축되면서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스프링이 탄성력을 작용하면서 의해 탄성블록의 노출저면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340)과 구조가 된다. 그리고, 이때, 연성막에 의해 상기 트롤리에 외력(케이블에 대해 수직방향 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트롤리에 연성막에 의해 케이블의 수직방향 외력이 작용하는 것은 도 13과 같이 비대칭 연성막이 펼쳐진 모습을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다. 여기서 '비대칭'이란 연성막을 개폐구조에서 연성막 상측의 케이블(C)의 길이가 각각 상이하여 대칭이 아님을 의미한다. 본 도면에서 케이블은 10개가 배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각각 번호를 C1, C2 ~C9, C10으로 부여하였다. 즉, 도 13과 같은 케이블은 연성막 위에 배치되되 가운데 위치에 배치되는 케이블(C5,C6,C7)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외곽쪽에 배치되는 케이블(C1,C2,C9,C10)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된다.
연성막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과정을 보면, 각 케이블 위에서 트롤리가 동시에 연성막을 끌고 펼치기 시작하는데, 외곽쪽에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케이블(C1,C2,C9,C10) 위의 트롤리가 펼침 동작을 먼저 완료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케이블(C5,C6,C7) 상의 트롤리는 계속하여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외곽측 연성막은 중앙부 연성막에 힘을 작용하게 된다. 즉, 외곽측 트롤리 하부의 연성막이, 중앙부 케이블(C5,C6,C7) 하부의 연성막을 잡아 당기게 되고, 그 결과, 그 힘이 중앙부 케이블(C5,C6,C7) 트롤리 하부로 전달되어, 위에서 언급한 트롤리에 외력(케이블에 대해 수직방향 외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외력이 트롤리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트롤리의 탄성모듈의 탄성블록의 저면이 상기 플레이트의 레일면과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롤리가 플레이트에 정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의 탄성모듈의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트롤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연성막 내구성 증대를 위한 결합 구조]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결합부재(120)의 아래쪽에는 결합축(215)과 수직플레이트(210)를 이용하여 연성막 결합부재와 연결된다. 연성막 결합부재(200)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30)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볼트(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30)와 사이에 연성막(4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볼트(240)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를 견고하게 체결한다. 하부 플레이트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구멍(235)이 위치한다.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220)의 하면과 하부 플레이트(230)의 상면이 전체적으로 연성막(400)을 누르게 되어 연성막과 결합부재가 넒은 면적에서 면접촉을 하면서 결합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특정 위치에서만 연성막을 잡고 있는 종래의 트롤리 방식에 비해 연성막의 내구성이 월등히 증가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20)의 하면 또는 하부 플레이트(230)의 상면 중 일부 영역에는 얇은 탄성재질의 마찰부재(238)를 구비함으로써 연성막에 전체적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그 결과 연성막의 내구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트롤리 이동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연성막이 함께 거동하도록 하였다
기존의 연성막 겹합방식은 트롤리 말단부의 특정 부재가 막에 접합된 형태인데, 이러한 방식은 막의 접합부에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막이 반복 동작과정에서 훼손되어 트롤리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연성막을 디스크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 사이에 배치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서 막을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성막의 특정 지점에만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켰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케이블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하부에 구비되고 연성막이 결합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트롤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연성막 결합부재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30);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막(40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볼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막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과 전체적으로 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중 일부 영역에는 탄성재질의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연성막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이동하는 탄성블록(10); 상기 탄성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11),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판(12)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3)으로 이루어진 탄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은 상기 플레이트(300)의 상면과 접하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은,
    탄성블록(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블록홈(10-1);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지지대(17); 및
    상기 지지대를 감싸면서 상기 블록홈에 삽입되는 스프링(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구멍(235)이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볼트 구멍이 관통하지 않으며,
    상기 볼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서 상부 플레이트 방향으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7. 케이블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더 하부에 구비되고, 연성막이 결합되는 연성막 결합부재로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막;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막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과 전체적으로 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중 일부 영역에는 탄성재질의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연성막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PCT/KR2020/008698 2019-07-04 2020-07-03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WO202100271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863 2019-07-04
KR1020190080863A KR102053904B1 (ko) 2019-07-04 2019-07-04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715A1 true WO2021002715A1 (ko) 2021-01-07

Family

ID=6883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8698 WO2021002715A1 (ko) 2019-07-04 2020-07-03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3904B1 (ko)
WO (1) WO20210027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3025A (zh) * 2021-09-03 2021-12-03 中国水电四局(兰州)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弧形闸门拼装用新型胎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04B1 (ko) * 2019-07-04 2019-12-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7889A (ja) * 2000-04-05 2001-10-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ケーブルクレーン
KR101371770B1 (ko) * 2012-09-11 2014-03-11 조병욱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20190051590A (ko) * 2017-11-07 2019-05-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갖는 트롤리
KR102053904B1 (ko) * 2019-07-04 2019-12-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7889A (ja) * 2000-04-05 2001-10-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ケーブルクレーン
KR101371770B1 (ko) * 2012-09-11 2014-03-11 조병욱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20190051590A (ko) * 2017-11-07 2019-05-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성개폐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채널형 스틸커플링을 갖는 트롤리
KR102053904B1 (ko) * 2019-07-04 2019-12-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YU HAN: "Research on the structural design and driving device of retractable membrane structures -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engineering plastics", MASTER'S THESIS, 1 February 2018 (2018-02-01), pages 1 - 210, XP00952536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3025A (zh) * 2021-09-03 2021-12-03 中国水电四局(兰州)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弧形闸门拼装用新型胎架
CN113733025B (zh) * 2021-09-03 2022-09-02 中国水电四局(兰州)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弧形闸门拼装用新型胎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904B1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2715A1 (ko) 플레이트 타입의 연성막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시스템
WO2021002716A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개폐식 구조물의 트롤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롤리 시스템
WO2020196997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0405870A1 (en) Bi-fold door construction
WO2013039326A1 (ko)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CA2172309A1 (en) Roll-Up Door
WO2018097535A2 (ko) 철구조물 벽면 및 천장 주행용 마그네틱 트랙
US6012554A (en) Elevator guide rail
EP0561095B1 (en) Overhead transport with a low ecological impact
CA2226775A1 (en) Hinge assembly for sectional door
WO2010143755A1 (ko) 트랙장력 조절장치
KR102082318B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개폐식 구조물
JPH062558B2 (ja) 電気式天井トロリコンベア
CN100379674C (zh) 电梯门装置
CA1281939C (en) Hood device for coupling cars
WO2021221264A1 (ko) 밀착형 자동차 루프 박스
KR102361016B1 (ko) 연성막 구조물의 개폐식 구동시스템
JP2951228B2 (ja) キャリヤ走行レールの端部接続装置
WO2020256192A1 (ko) 고정 어셈블리
GB2345496B (en) Structural frame members
JPS58224844A (ja) 吊下げ搬送装置
JP3552022B2 (ja) 搬送用ガイドレール吊下装置
DE50012143D1 (de) Deckengliedertor
WO2020055081A1 (ko) 고정 어셈블리
WO2021085736A1 (ko) 자동차용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349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349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