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687Y1 - 이동식 유리 칸막이 - Google Patents

이동식 유리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687Y1
KR200305687Y1 KR20-2002-0034037U KR20020034037U KR200305687Y1 KR 200305687 Y1 KR200305687 Y1 KR 200305687Y1 KR 20020034037 U KR20020034037 U KR 20020034037U KR 200305687 Y1 KR200305687 Y1 KR 200305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ition
glass panel
side pl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문
Original Assignee
변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문 filed Critical 변재문
Priority to KR20-2002-0034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Glaz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실내외를 자유로이 격리 및 통합하여 그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시키고, 유리패널의 지지를 위한 체결부재의 노출을 방지하여 방범 및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키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천정면(20)에 설치되는 레일(30)을 따라 이동되어 공간을 격리ㆍ통합하도록 다수개 마련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유리 칸막이(10)는, 유리패널(300)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레일(30)에 안착되는 롤러(35)에 양측부가 연결되는 제1지지수단(100)과; 상기 유리패널(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공간이 크기에 상관없이 공간을 자유로이 격리ㆍ통합할 수 있고, 통합을 위한 개방시에 칸막이의 적치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공간의 격리시에 유리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는 별도의 프레임이 없으므로 양호한 미관을 얻을 수 있고, 유리패널의 지지를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방범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유리 칸막이{MOVABLE GLASS PARTITION}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실내외를 자유로이 격리 및 통합하여 그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시키고, 유리패널의 지지를 위한 체결부재의 노출을 방지하여 방범 및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키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외를 격리하기 위해서는 벽체를 형성하거나, 유리창호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유리창호는 유리패널의 모든 측면을 프레임으로 고정시키게 되며, 개방을 위한 이동을 실시하더라도, 하측 프레임의 길이만큼은 이동할 수 없게 되어 개방을 위한 이동에 한계가 존재하게 되며, 특히 넓은 공간을 격리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유리창호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격리된 공간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유리창호를 하측방향으로 밀어서 적치시키게 되며, 유리창호의 적치공간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유리창호마다 별개의 이동로를 구비하여야 함으로,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또한, 이러한 이동로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유리창호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창호틀의 폭을 무한히 확장시켜야 하는 곤란함이 있고, 창호틀의 폭을 무한히 확장하더라도, 유리창호의 하측 프레임의 길이만큼은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공간의 격리시에 다수개의 프레임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며, 상업점포 등의 물건 특히, 차량 등의 대형 물품의 입출시에 개방되는 공간의 확보가 곤란하여 별도의 입구를 구비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간이 크기에 상관없이 공간을 자유로이 격리ㆍ통합할 수 있고, 통합을 위한 개방시에 칸막이의 적치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칸막이가 동일한 이동로를 이동하여 공간의 격리ㆍ통합을 실시할 수 있게 하여 설치비용을 최소화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업점포 등의 물건 특히, 차량 등의 대형 물품의 입출시에 개방되는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여 별도 입구의 마련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간의 격리시에 유리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는 별도의 프레임이 없으므로 양호한 미관을 얻을 수 있고, 유리패널의 지지를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방범의 효율이 증대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의 정면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의 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4는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의 이동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5의 가)는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가 이동하여 적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5의 나)는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가 적치되도록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칸막이 20;천정면
30;레일 35;롤러
40;바닥면 50;체결부재
60;체결홀 100;제1지지수단
110;고정세트 111;고정지지대
120;제1고정대 130;제2고정대
150;측판 160;패킹
170;덮개 200;제2지지수단
210;안착홈 220;가이드홈
230;고정핀 250;바닥고정부재
254;탄성부재 300;유리패널
본 고안은 천정면(20)에 설치되는 레일(30)을 따라 이동되어 공간을 격리ㆍ통합하도록 다수개 마련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유리 칸막이(10)는, 유리패널(300)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레일(30)에 안착되는 롤러(35)에 양측부가 연결되는 제1지지수단(100)과; 상기 유리패널(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의 정면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2는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의 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의 이동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5의 가)는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가 이동하여 적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5의 나)는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가 적치되도록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이동식 유리 칸막이는유리패널(300)의 상부를 고정 지지하고, 천정면(20)에 설치되는 레일(30)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35)가 양측부에 구비되는 제1지지수단(100)과, 유리패널(300)의 하부를 고정 지지하고, 바닥면(40)에 설치되는 바닥고정부재(250)에 삽입되어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핀(230)이 하측에 마련되고, 상측에는 고정핀(230)의 측면 돌출부가 삽입되는 안착홈(210)이 구비되는 제2지지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직사각형태의 유리패널(300)을 상ㆍ하부에서 각각 고정 지지하는 제1ㆍ2지지수단(100,200)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지지수단(100)을 기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패널(300)은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직사각형태로서, 구획하고자 하는 공간의 천정면(20)으로부터 바닥면(40)에 이르기까지 후술할 제1ㆍ2지지수단(100,200)과 함께 구획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리패널(300)의 상부를 고정 지지하는 제1지지수단(100)은 유리패널(300)의 상부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150)과, 이 측판(150)을 결속시켜 유리패널(300)을 고정시키는 고정세트(110)로 이루어진다.
후술할 고정세트(110)에 의해 결속되는 각각의 측판(150)은 유리패널(300)의 가로방향의 길이에 부합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측판(150)의 하측부가 유리패널(300)의 상부 양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측부에는 후술할 고정세트(110)가 배치됨으로써, 유리패널(300)의 상부 양면에 배치되는 각측판(150)의 하측부가 고정세트(110)에 의해 유리패널(300)에 밀착되어 유리패널(300)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각 측판(150)의 상측부에는 후술할 고정세트(110)의 고정지지대(111)가 유리패널(300) 및 유리패널(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수단(200)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하중지지돌출턱(152)이 하방향으로 경사져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하중지지돌출턱(152)의 하측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돌출턱(155)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데, 이 고정돌출턱(155)의 상측과 하측에는 후술할 고정세트(110)의 제1고정대(120)와 제2고정대(130)의 양측 돌출부가 각각 안착되는 삼각형상의 홈이 각각 형성되는데, 하측에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홈은 상측의 삼각형상홈보다 좁은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삼각을 이루는 홈의 각도가 상측에 비해 하측이 좁게 형성되며, 이는 후술할 제2고정대(130)의 양측에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져서 돌출되는 제2경사면(135)이 고정돌출턱(155)의 하측홈에 안착되어 상측홈에 안착되는 제1고정대(120)와의 체결부재(50)에 의한 체결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각도의 하측홈을 당기게 되어 유리패널(30)의 상부 양면에 배치되는 각 측판(150)의 하측부가 서로를 향하여 오므리게 되어 유리패널(3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리패널(300)의 상부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150)사이에 마련되는 고정세트(110)는 롤러(35)에 연결되는 연결봉(115)이 상측 중앙부에 상방향으로 마련되고,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홀(60)이 형성되며, 상기한 측판(150)의 하중지지돌출턱(152)에 부합하는 결합홈(113)이 양면에 구비되는 소정길이의 고정지지대(111)와, 이 고정지지대(1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한 측판(150)의 고정돌출턱(152)의 상측홈에 안착되도록 제1경사면(125)이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체결홀(60)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대(120)와, 이 제1고정대(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한 측판(150)의 고정돌출턱(152)의 하측홈에 안착되도록 제2경사면(135)이 상부 양측에 마련되고, 제1고정대(130)의 체결홀(60)에 배치되는 체결부재(5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1고정대(130)의 체결홀(60)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60)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대(1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세트(110)를 이루는 제1고정대(120) 및 제2고정대(130)는 측판(150)의 길이에 부합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고정대(120)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지지대(111)의 길이는 대략 측판 길이의 30%이내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칸막이(10)의 하중을 감소시켜 칸막이의 유동성을 양호하게 한다.
즉, 연결봉(115)에 의해 롤러(35)에 연결되는 고정지지대(111)는 측판(150)의 양측단부에 설치되어 칸막이(10)의 유동을 원활히 하고, 칸막이(10)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고정지지대(111)는 한 쌍의 측판(150)사이에 배치되어 측판(150)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에 설치되고, 측판(150)의 상부에 형성되는하중지지돌출턱(152)에 부합하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결합홈(113)이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체결홀(60)이 다수개 형성되는데, 이 체결홀(60)은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연결봉(115)을 기준하여 동일하게 배분됨으로써, 방향성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하로 관통되는 체결홀(60)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50)가 체결되어 체결부재(50)의 하단부가 고정지지대(111)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제1고정대(120)의 상단에 체결부재(50)의 하단부가 밀착되면, 계속적으로 체결부재(50)에 체결력을 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지지대(111)가 상승하게 되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결합홈(113)이 측판(150)의 하중지지돌출턱(152)에 더욱 긴밀하게 결속됨으로써, 체결부재(50)의 체결력을 제거하지 않으면 해체되지 않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50)의 체결에 의해 고정지지대(111)가 균형되게 상승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개이상의 체결부재(50)가 체결홀(60)에 체결되어야 하며, 측판(150)의 고정돌출턱(155)의 상측홈에 안착되는 제1고정대(120)에 적어도 고정지지대(111) 길이의 반이상에 겹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고정지지대(111)의 상측 중앙부에는 천정면(20)에 설치되는 레일(30)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35)와 연결되는 연결봉(115)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연결봉(115)에 연결되는 롤러(35)는 칸막이(10)의 적치시에 효율적인 칸막이(10)의 회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하로 설치되는 연결봉(115)의 중심축에 동심을 이루며 회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지지대(111)의 하측에 밀접되어 측판(150)에 구비되는 고정돌출턱(155)의 상측홈에 부합하는 제1경사면(125)이 하부 양측에 마련되어 고정돌출턱(155)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고정대(120)는 측판(150)에 구비되는 고정돌출턱(155)의 하측홈에 부합하는 제2경사면(135)이 상부 양측에 마련되어 고정돌출턱(155)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고정대(130)와 체결부재(5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150)을 결속시키게 된다.
즉, 제1고정대(120)와 제2고정대(130)는 각 측판(150)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고정돌출턱(155)의 삼각의 형태로 된 상ㆍ하측홈에 각각 안착되고, 동심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6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50)에 의해 제1고정대(120)와 제2고정대(130)가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측판(150)을 결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3의 하측에 도시한 확대도와 같이, 고정돌출턱(155)의 삼각형태의 하측홈의 경사각이 제2고정대(130)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도록 경사지는 제2경사면(135)의 경사각보다 작게 구비되어서, 제1고정대(120)와 제2고정대(13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50)에 체결력을 가하게 되면, 제2경사면(135)이 고정돌출턱(155)의 하측홈을 경사진 사면을 슬라이딩하게 되고, 그로 인해 유리패널(300)의 상부가 배치되는 측판(150)의 하측부가 서로를 향하여 당겨지게 되어 유리패널(30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세트(110)에 의해 결속되는 한 쌍의 측판(150)과, 이 측판(150)의 하측부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유리패널(300)사이에 고무재질로 된패킹(160)을 구비하면, 유리패널(300)가 더욱 용이하게 측판(150)사이에 고정되고, 제1ㆍ2지지수단(100,200)에서 이송 및 고정 중에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유리패널(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패킹(160)은 유리패널(300)과 측판(150)의 밀착되는 부분을 포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킹(160)의 형상의 하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특히, 유리패널(300)에 오목한 하측면이 접촉되도록 하면, 고정세트(110)에 의해 결속되는 측판(150)의 유리패널(300)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에 의해 유리패널(300)에 접촉된 패킹(160)의 오목한 하측면이 압착되면서 진공상태가 되어 견고하게 유리패널(30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리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수단(200)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지지수단(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제2지지수단(200)의 하측 고정지지대(111)에는 연결봉(115)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면(40)에 설치되는 바닥고정부재(250)에 삽입되는 고정핀(230)과, 이 고정핀(2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20)이 마련되고, 상측 고정지지대(111)에는 다른 칸막이(10)의 제2지지수단(200)에 마련되는 고정핀(230)의 측면 돌출부가 삽입되는 안착홈(210)이 형성되어 앞선 칸막이(10)가 고정된 후에 뒤따르는 칸막이(10)의 안착홈(210)에 고정핀(230)의 돌출부가 안착되는 것이다.
제2지지수단(200)의 측판(150) 일단부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대(111)에는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 형태인 고정핀(2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20)이 형성되며, 고무재질 등으로 가이드홈(220)의 내부면을 형성하여고정핀(230)의 마찰을 크게 함으로써, 고정핀(230)이 용이하게 가이드홈(220)내에 배치되며, 고정핀(230)은 칸막이(10)의 공간구획이 완료되면, 바닥면(4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바닥고정부재(250)에 삽입되도록 고정지지대(111)의 가이드홈(220)에 의해 안내되어 하강하게 된다.
또한, 고정핀(230)이 "ㄱ"자 형태로 된 것은 고정지지대(111)의 하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고정핀(230)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닥면(40)에 설치되는 바닥고정부재(250)는 칸막이(10)의 가로방향의 길이에 부합되는 간격을 유지하며, 칸막이(10)의 수량에 부합하는 수량을 구비하여 공간구획의 완료시에 고정핀(230)이 삽입되고, 돌출되는 고정핀(230)의 돌출부는 상기한 안착홈(210)에 안착됨으로써, 칸막이(1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바닥고정부재(250)에는 고정핀(230)이 삽입되는 내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탄성부재(254)에 의해 지지되는 방지막(252)이 마련되어 있어서, 칸막이(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30)의 삽입이 없으면, 탄성부재(254)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고정부재(250)의 상부면에 방지막(252)이 위치하게 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ㆍ2지지수단(100,200)의 각 측단면에 부합하는 덮개(170)을 배치시키면, 이물질 등의 유입이 방지되고, 더욱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4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10)의 설치 및 적치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10)의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공간 구획을 하고자 하는 천정면(20)에는 레일(30)이 설치되고, 그 설치된 레일(10)을 따라 롤러(35)가 마련된 칸막이(10)가 이동하게 된다.
공간이 구획을 하게 되는 가장자리에 첫번째 칸막이(10)가 도착하면, 바닥면(40)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바닥고정부재(250)에 칸막이(10)의 하부 하측에 마련되는 고정핀(230)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그 후에 도착되는 칸막이(10)를 첫번째로 도착한 칸막이(10)에 밀착시켜서, 후에 도착되는 칸막이(10)의 하부 상측에 마련되는 안착홈(210)에 첫번째의 칸막이(10)의 고정핀(230)의 측면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한 후, 두번째로 도착된 칸막이(10)의 하부 하측에 마련되는 고정핀(230)을 바닥고정부재(250)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선행된 칸막이(10)를 고정하고, 후행하는 칸막이(10)를 선행된 칸막이(10)에 밀착시킨 후 고정하게 되면, 안정적인 공간 구획이 실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간 구획을 통합 즉,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공간 구획을 위한 칸막이(10)의 고정의 역순(逆順)으로, 후행된 칸막이(10)의 고정핀(230)을 바닥고정부재(250)로부터 해제하고, 밀착된 선행 칸막이(10)로부터 탈락시킨 후, 도5의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10)의 적치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선행된 칸막이(10)도 이와 같이, 실시하여 적치공간으로 이동하여 적치시키면, 용이한 공간의 통합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칸막이(10)가 적치되는 적치공간에는 단선의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는 다수의 칸막이(10)들이 복선의 레일 즉, 추가되는 레일지선(30')에 의해 서로 평행한 상태로 겹쳐지게 적치되어 최소의 적치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레일지선(30')에 의해 다수개의 칸막이(10)가 평행하게 적치되기 위해서는 레일(30)에서 레일지선(30')으로 갈라지는 부분에서 칸막이(10)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칸막이(10) 회전을 도모하기 위해, 제1지지수단(100)의 양단에 배치되는 고정지지대(111) 상부에 상방향으로 마련되는 연결봉(115)에 동심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롤러(35)가 레일(30) 및 레일지선(3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어서, 선행하는 롤러(35)가 레일지선(30')을 따라 이동하면, 후행하는 롤러(35)가 레일(30)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칸막이(10)가 회전하게 되어 다른 칸막이(10)에 평행하게 적치되는 것이다.
또한, 레일(30)과 레일지선(30')의 간격은 칸막이(10)의 롤러(35)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며, 레일지선(30')이 마련되는 적치공간의 크기는 공간구획을 위해 마련되는 칸막이(10)의 수량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공간이 크기에 상관없이 공간을 자유로이 격리ㆍ통합할수 있고, 통합을 위한 개방시에 칸막이의 적치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칸막이가 동일한 이동로를 통한 공간의 격리ㆍ통합을 실시할 수 있게 하여 설치비용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업점포 등에 차량 등의 대형 물품 입ㆍ출고시에 개방되는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여 별도 입구의 마련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간의 격리시에 유리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는 별도의 프레임이 없으므로 양호한 미관을 얻을 수 있고, 유리패널의 지지를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방범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천정면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공간을 격리ㆍ통합할 수 있도록 다수개 마련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유리 칸막이는,
    유리패널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롤러에 양측부가 연결되는 제1지지수단과;
    상기 유리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수단은 상기 유리패널의 상부 양면에 하측부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측부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판을 결속시켜서, 상기 측판이 상기 유리패널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롤러에 연결되는 고정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수단은 상기 유리패널의 하부 양면에 하측부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측부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판을 결속시켜서, 상기 측판이 상기 유리패널를 지지하도록 하는 고정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측부에는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하중지지돌출턱과; 상기 하중지지돌출턱의 하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측홈과 하측홈이 형성되는 고정돌출턱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세트는 상기 하중지지돌출턱에 부합하는 결합홈이 양면에 구비되고,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돌출턱의 상측의 홈에 안착되도록 제1경사면이 하부 양측에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대와; 상기 제1고정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출턱의 하측홈에 안착되도록 제2경사면이 상부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고정대의 체결홀에 부합하는 체결홀이 하나 이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부재의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대와 결속되는 제2고정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하측부와 상기 유리패널사이에는 일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패킹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제1고정대의 양측부에 적어도 1/2이상 겹쳐지도록각각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체결부재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체결시키고,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제1고정대의 상부면을 밀게 되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서 상기 하중지지돌출턱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홈과 하측홈은 삼각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하측홈의 경사각은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각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대에 상기 제2고정대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면, 상기 측판을 끌어당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리 칸막이.
KR20-2002-0034037U 2002-11-14 2002-11-14 이동식 유리 칸막이 KR200305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37U KR200305687Y1 (ko) 2002-11-14 2002-11-14 이동식 유리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37U KR200305687Y1 (ko) 2002-11-14 2002-11-14 이동식 유리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687Y1 true KR200305687Y1 (ko) 2003-03-03

Family

ID=4933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037U KR200305687Y1 (ko) 2002-11-14 2002-11-14 이동식 유리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6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437B1 (ko) 2007-08-29 2009-03-10 김성철 이동식 커튼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437B1 (ko) 2007-08-29 2009-03-10 김성철 이동식 커튼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9578B1 (en) A structure having a movable panel
US20080258587A1 (en) Width-Adjustable Board Storage Fram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US20130326976A1 (en) Frameless glass mounting system
US3783930A (en) Train operated folding partition
SU149866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хранен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US3699734A (en) Partitioning system having removable panels
KR200305687Y1 (ko) 이동식 유리 칸막이
US3019836A (en) Folding doors and mounting fixtures therefor
CA2522999C (en) Tilt-latch and window sash assembly
JPS63118478A (ja) 開閉体を軌条に係合させる支持体
US4379604A (en) Drawer
US20040035810A1 (en) Mobile shelv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KR101875895B1 (ko) 간편한 조립구조 및 이중 밀폐기능을 갖춘 납골안치단
JP4787422B2 (ja) 移動パネル連接式間仕切り装置
US4121392A (en) Extensible partition
CN217465028U (zh) 分隔装置及冰箱
JP2871138B2 (ja) 扉開閉装置
JPH1025969A (ja) サッシにおける固定障子の上下位置調整具
CN220967047U (zh) 一种磁性门帘悬挂龙骨
JP2781636B2 (ja) 折り戸装置
KR20220156366A (ko) 가변벽체 실링장치
GB2318501A (en) Wall cabinet
JP2000308550A (ja) 展示ケースの扉開閉装置
GB2204619A (en) Partitions comprising demountable panels
JPS61162694A (ja) 可動間仕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