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066A - 콜크부직포 돗자리 - Google Patents

콜크부직포 돗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066A
KR20020036066A KR1020000065974A KR20000065974A KR20020036066A KR 20020036066 A KR20020036066 A KR 20020036066A KR 1020000065974 A KR1020000065974 A KR 1020000065974A KR 20000065974 A KR20000065974 A KR 20000065974A KR 20020036066 A KR20020036066 A KR 2002003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k
nonwoven fabric
mat
nonwove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2338B1 (ko
Inventor
조춘남
Original Assignee
조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춘남 filed Critical 조춘남
Priority to KR10-2000-006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3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06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protect the underlying surface, e.g. temporary covers, disposable carpets, absorbent pads, wheelchair pads, hearth r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돗자리나 매트의 바닥설치면에 위치하는 돗자리나 매트의 저면측 부직포에 콜크가 접착되어있는 콜크부직포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서, 공지된 돗자리의 단위부재(원목, 대나무, 섬유질 압축강화목, 광석, 금속 등을 가공하여 돗자리의 부직포에 접착하는 작은 단위편재들)를 콜크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마감하여서 되는, 콜크의 뛰어난 보온, 단열, 방수, 방음의 효과와 우수한 탄력과 복원성 등의 기능적인 면과 콜크무늬 자체에서 풍기는 자연미와 고급스러움을 나무자리의 부직포에 적용하여 항상 아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콜크부직포 돗자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콜크부직포 돗자리{A rush mat colk Seet}
하절기에 더위를 피하고 시원함과 쾌적함을 얻기 위하여 실내나 바닥 에 왕골, 대나무, 원목, 무늬 목 접착판재 재질로 된 돗자리를 펴서 사용하는 예가 많은 바, 이와 같은 공지의 돗자리는 그 소재가 딱딱하고 단단한 나무(목재, 판재, 대나무, 왕골 등)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나무를 재단하거나 켜서 일정 크기의 단위부재로 만들고 실로 엮거나 직물 또는 레쟈부직포에 접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번호 실1997-008013(출원번호 실1995- 020081)이 있으며, 공개번호 실-1995-000440(출원번호 제1995-022609) 등이 있다.
그 외 천연무늬목이나 대나무를 판재에 접착하여서 되는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번호 실2000-0002147호(출원번호 제1998-12026호)가 있는바,『목판의 표면과 저 면에 동일한 수축력을 갖는 무늬 목을 접착시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목판의 재질이 중밀도섬유합판 또는 고밀도섬유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있고, 출원번호 제10-1998-0017837호가 있는 바, 나무자리에 있어서 MDF나 HDF 등에 무늬 목을 접착하여서되는 돗자리용 목편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돗자리에 있어서 단단한 소재를 이용하여 돗자리를 만들다 보니 돗자리를 바닥에 깔아 사용하면서 딱딱함으로 인하여 쉬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노약자나 어린이가 넘어질 경우 타박상 등의 부상을 입기 쉬웠다.
더우기 여름철에만 사용되었는바, 목재의 보온과 열 전도가 낮기 때문이다.
반면, 콜크를 이용하는데 있어 일부 흡음판이나 그 복원성과 내부패성, 탈취효과 등의 효과를 이용하여 신발이나 바닥 재 또는 벽지로서도 일부분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나, 콜크를 흡음재, 단열재, 신발이나 바닥 재, 벽지 등으로 일부 이용되고 있고, 콜크의 특성상 두껍게 형성되므로 밀도와 강도가 약하며 그 표면이 긁힘이나 파손의 위험이 높고, 실내의 바닥에 직접 접착 또는 현가식으로 시공함으로서파손이나 결함 등의 보수에 관한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시공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용 되며 고가인 관계로 그 뛰어난 효용성 에도 불구하고 이용이 제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하여 딱딱한 소재로 이루어진 돗자리의 단위부재를 콜크부직포에 접착하여 사용중 안락한 쿠션과 콜크의 자연발생적 기능을 십분 활용하고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돗자리를 만들기 위한 목적인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콜크(20)를 제조하는 공정과(S1),
상기 콜크(20)를 부직포(50)에 접착하는 공정과(S2),
상기 접착공정에 의해 콜크가 접착된 상태의 콜크부직포(50)에 단위부재를 접착하는 공정(S3)으로 이루어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콜크부직포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콜크부직포 돗자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일부 분해 사시 도이며,
도 5는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단위부재 사시 도이고,
도 6은 제4도의 콜크부직포 돗자리를 절단한 일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20: 콜크 22: 콜크집성체
30: 접착제 30a: 멜라만수지 30c: 핫맬트 접착제
50: 콜크부직포 50a: 부직포 51: 부직포시트 200: 단위부재
이하 공지의 돗자리 단위부재의 제조 과정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콜크부직포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콜크부직포 돗자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일부 분해 사시 도이며,
도 5는 콜크부직포 돗자리 단위부재의 사시 도이고,
도 6은 제4도의 콜크부직포 돗자리를 절단한 일부분 단면도이다.
- 제 1실시예 -
(콜크를 제조하는 공정 - S1)
본 실시예의 콜크부직포(50)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콜크(2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S1)으로서,
콜크부직포(50)의 콜크(20)는 콜크 참나무의 수피 또는 콜크용 떡갈나무의 외피를 끓는 물에 삶아 단단한 외피 층을 제거한 후 음지에서 수개월동안 건조시켜서 만들어지며 이것을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소성성형하고 콜크 천연의 문양과 색상을 지닌 콜크집성체(22)를 만들거나, 콜크(20)를 분쇄하여 1~2mm 의 채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를 만들고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를 가열소성성형 하여 콜크집성체(22)를 제조한다.
콜크(20)를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성형 하는데 있어서 콜크(20)를 가로로 적층하여 만든 것과 세로로 세워서 적층하여 가압한 것으로 콜크(20)의 결을 좁게나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금형의 크기로 콜크집성체(22)로부터 절편하여 얻어지는 콜크(20)의 넓이를 결정하고 금형의 모양과 형태에 따라서 콜크(20)의 외곽모양의 형태를 결정하게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즉 금형의 내부가 원형일 경우 외곽모양이 원형인 콜크(20)를 얻을 수 있으며, 접착 시 배열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짜 맞춤식의 배열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요홈 부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첨가제의 종류를 다르게 함으로서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지닌콜크(20)를 얻을 수 있게된다.
예를 들면 성형 시 메라만수지(30b)에 함침하여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는 것으로 내수성이 강한 내수콜크를 만들 수 있으며, 요소나 페놀 등의 수지를 첨가하는 것으로 콜크(20)의 밀도나 강도 또는 탄성의 정도를 조절하여 만들 수도 있다.
또는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하거나, 향기를 지속적으로 풍길수 있는 향 재료를 첨가하여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현 시키거나, 임의의 색상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착색 제나 염료를 첨가하여 임의의 색상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의 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콜크집성체(22)를 대패와 같은 원리의 슬라이샤기나 로타리기로 절편하여 임의의 두께를 가진 콜크(20)를 얻는데 있어 그 두께는 용도에 따라 달리하여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 외,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고 콜크 천연의 문양과 색상을 지닌 콜크단위부재(200)를 만들거나, 콜크(20)를 분쇄하여 1~2mm 의 채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를 만들고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를 가열 소성 성형하여 콜크(20)를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나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는데 있어서 성형시 단위부재(200)와 동일한 규격 과 유사한 형태가 되도록 된 분말콜크단위부재(200)로 생성되어지게 한다.
부가하여 콜크(20)를 섭씨 35도 정도의 메라만수지(30a)와 요소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속에 24시간 정도 함침하여 콜크의 입자 속에 수지가 충분히 함침되게 후 탈수기를 이용하여 수지를 제거하여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는 것으로 내수성이 강한 내수콜크(20)를 만들 수 있으며, 요소나 페놀 등의 수지를 첨가하는 것으로 콜크(20)의 밀도나 강도 또는 탄성의 정도를 조절하여 한다.
상기의 각 콜크(20)의 특성상 그 구조와 밀도나 강도가 약한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콜크(20)를 콜크용 부직포(50a; 종이, 함침지, 염화비닐레자, 직물, 망사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두께가 매우 얇고 인 장력이 우수하고 박리가 없는 것)에 접착 하거나 각각의 작은 시트편재로 된 콜크단위부재(200)를 콜크용 부직포(50a)에 접착하여 보다 넓고 규격화되며 차후 가공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한다.
(콜크를 부직포에 접착하는 공정 - S2)
콜크(20)를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는 공정(S2)으로서, 콜크(20)를 제조하는 제1공정(S1)에 의해 제조된 콜크(20)내지 천연의 콜크(20)를 접착제(30)가 도포된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고 프레스(6)로 압착하여 접착하여지는 것으로 구성된다. 콜크(20)를 적층하거나 분쇄하여 금형에 넣고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여 콜크 집성체(22)를 만드는 과정에서 첨가되는 접착제나 안정제 등으로 인한 콜크(20)의 표면과 입자들 사이에 접착성 내지 점착성 물질이 함침되어 있게되는데 이러한 잔존 물로 인하여 열 압착할 때에 콜크(20)의 이완 내지 콜크(20)간의 박리가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콜크(20)의 입자의 특성상 내부 공기의 팽창에 의한 콜크입자 구조가 파괴되거나, 콜크와 콜크간의 박리에 의한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부직포시트(51)의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냉압프레스로 압착하여 접착한다.
콜크(20)를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기 위해서 부직포시트(51)를 접착제(30)가 펌핑되어져 있는 스프레다 롤러(5)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부직포시트(51)에 접착제(30)를 도포하게 된다.
이때에 사용되어지는 접착제(30)는 고형 분 함량이 48%이상의 초산비닐계 에멀젼본드를 사용하게 되며 이때의 배합 비는 에멀젼본드 8:멜라민 2 정도가 적당하며 도포 량에 있어서 70~90㎖/m2로 형성됨이 적당하다.
접착제(30)에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하거나, 임의의 색상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착색 재나 염료를 첨가하여 임의의 색상을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30)가 도포된 부직포시트(51)위에 콜크(20)를 부직포시트(51)의 면적을 채울 수 있는 정도로 서로 맞붙어 배열하여 올려놓고 상기 접착제(30)의 수분이 증발되어 물성이 안정되고 접착제(30)의 건조나 경화의 반응이 시작되어 점착 건조(접착제가 건조 내지 경화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포되어진 접착제의 표면을 손으로 압착하였을때 점착은 되나 접착재가 손에 묻어나지는 않는 상태)의 상태일 때에 프레스로 40초를 가압하여 일차 접착을 한 연후 접착제(30)가 완전히 건조되기까지 상기의 콜크부직포(50)를 다시 3시간정도 가압하는 것으로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 지게된다.
이때에 접착제(30)의 점착 건조 이전에 가압을 하게되면 접착제(30)의 자체수분에 의하여 콜크(20)가 겹치거나 늘어지게 되어 표면 층이 울게되고 또한 함수율이 높은 상태일 때에 접착되어진 콜크(20)는 차후 함수 율이 낮아질 경우 콜크(20)의 갈라짐이나 박리 내지 콜크부직포(50)의 수축과 패앙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된다.
이상과 같이 가 접착 후 일정 시간 적치하고 이를 가압하는데 있어서 적치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작업 여건 등에 의하여 달라지게 되는바, 이는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충분히 감지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프레스(6)로 콜크(20)를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는데 있어, 일부 열에 의하여 반응하지 아니하는 첨가제(열 경화성 수지 등)를 사용하여 제조된 콜크(20)일 경우에는, 접착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열 압착하여도 무방하나 부직포시트(51)와 콜크(20)에 직접 전달되는 열원의 온도는 상기의 콜크 입자 구조가 파괴되거나, 콜크와 콜크간의 박리에 의한 부풀어오르는 현상 등을 막기 위하여 60도가 가장 좋을 것이며, 콜크(20)의 특성상 입자가 굵거나 큼으로 인하여 콜크(20)의 표면에 다소의 엠보(요철)현상이 있게 되는데, 이처럼 함몰된 부분까지 완전하게 가압하기 위해선 콜크(20)위에 스펀지와 같은 쿠션재 올려놓고 가압함으로서 움푹 패인 부분까지도 접착이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단위부재와 콜크부직포를 접착하는 공정 - S3)
공지의 돗자리용 단위부재를 핫멜트 접착제(30c;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열에 의해 용해, 도포된 후 냉각과정을 통해 짧은 시간에 접착을 나타내는 접착제)가 펌핑되어 있는 스프레다 롤러(5)에 통과시켜서 돗자리 단위부재(200)의 배면에 도포한 다음, 콜크부직포(50)와 접착하고 프레스(6)로 가압하여 접착이 이루어지게되며 이후 핫멜트 접착제(30c)가 완전히 반응되기까지의 약24시간을 가압하여 적재하는 것으로 코팅편재(200)와 콜크부직포(50)의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 지게된다.
상기 접착제(30c)에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할 수도 있을 것이며 열 가소성 접착제가 함침된 접착부직포를 코팅편재(200)와 콜크부직포(50)사이에 삽입하고 열압하여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콜크부직포(50)의 콜크(20)가 접착된 면이 우드카페트(1)의 저면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단위부재(200)와 접착되어져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양면에 콜크(20)가 접착되어져 있는 콜크부직포(50)의 일면에 단위부재(200)를 접착하고 다른 일면 측은 우드카페트(1)의 저 면에 드러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공정으로 조립 시 불특정 코팅편재(200)의 들고 나온 것을 재단 톱을 사용하여 커팅하는 것으로 마감재단하고, 우드카페트(1)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부(60)로 감싸은 후 미싱을 사용하여 재봉(70)한다.
또는 재봉 선을 따라 가장자리에 재봉 홈(80)을 형설하고 테두리부재(60)로 감싸은 후 미싱을 사용하여 재봉(70)하여 마감되어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콜크부직포 돗자리(1)가 제공된다.
- 제 2 실시예 -
분말의 형태로 가공하여 콜크(20)와 함께 옥, 게르마늄, 세라믹 등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가진 분말과 함께 배합하고,
부직포시트(51; 옥이나 숯, 게르마늄, 세라믹, 자석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바닥용 부직포)가 공지의 라미네이팅기의 이송 부에 장착되고 그 스프레다 롤라(6)를 통과함으로서 우레탄 본드(30c; (폴리올(디올류), 디아소시아네이트, 쇄연장재, 용제, 기타첨가제 등으로 구성되어지는 본드)가 도포되고 섭씨60도의 건조실을 5초간 통과하여 우레탄본드(30c)의 점착건조가 진행될 때 상기 분말의 콜크(20)가 우레탄 본드(30c)상에 분사되어져 접착되어지고, 1차 소프트한 재질의 고무롤러에 의하여 가압된 후 2차 하드한 재질의 고무롤러에 의하여 가압되며 3차 스틸롤라에 의하여 가압된 후 상온의 건조실을 통과하고 접착되어진 콜크(20)외에 잔존하는 콜크(20)를 브러시와 바람으로 제거하고 4차 하드 한 고무롤러로 가압하고 5차 표면의 온도가 80도로 설정된 스틸롤러를 통과하여 접착이 이루어진다.
또는 콜크(20) 내지 콜크단위부재(200)를 콜크용 부직포(50a)에 접착한 후 이것을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의 부직포시트(51)를 우드카페트(1)의 규격으로 먼저 재단하고 접착제(30)를 도포하여 프레스(6)나 고주파프레스(7)로 콜크(20)를 접착하여 콜크부직포(50)를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그 상부의 콜크(20)를 1차220#입자의 페이퍼로 연마하고 2차440#입자의페이퍼로 연마하여 표면의 거친 부분과 요철부분을 연마기나 수 작업을 하여 연마함으로서 표면에 있는 불순물, 오염 내지 잔존하는 콜크(20)를 제거하게되며, 이때에 사용되어지는 우레탄본드(30c)나 염화비닐레자에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하여 제조되는 것을 실시할 수 있음도 가능하다.
상기 콜크부직포(50)의 표면오염이나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콜크(20) 천연의 아름다운 무늬와 색상을 그대로 표현되게 하는 등 필요에 의하여 코팅층(40)을 할 수도 있을 것인데 도료와 투명비닐 등의 방법이다.
먼저 도료에 의한 코팅층(40)은 콜크부직포(50)를 가지고 그 상부의 콜크(20)를 200#~500#입자의 페이퍼 등으로 표면의 거친 부분과 요철부분을 연마기나 수 작업을 하여 연마함으로서 표면에 있는 불순물이나 침전물을 절삭하고 매끄럽게 다듬은 다음 아이솔레이터 도료(40a)로 1차 도장을 하고 공지 된 우레탄(40d)의 도료로 오픈포아 내지 세미오픈포아 도막으로 스프레이도장을 하되 콜크(20)의 특성상 유연성이 좋은 연성도료를 사용함이 좋다.
상기의 1회 도장으로 원하는 정도의 도막이나 평활 도 내지 이루고자 하는 특성을 얻을 수 없을 때에는 수회 반복한다.
또는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름(40c)을 프레스(6)로 열압하거나 롤러로 압착하여 접착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도장의 효과를 얻는다.
이는 도료가 따라가지 못하는 유연성과 부드러운 질감에 있다 할 것이고, 도막을 형성하고 있는 필름 내지 비닐(40c)이 표면으로부터의 수분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완전히 차폐함으로서 그 색상이나 품질을 오랜 기간 보존할 수 있으며 작업의 간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또는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름(40c)을 접착하지 않고 상기의 콜크부직포(50)위에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름(40c)을 올려놓고 미싱으로 재봉(70)하여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도료에 의하여 코팅(40)을 하거나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름(40c)을 프레스(6)로 열압하거나 롤러로 압착하여 접착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도장의 효과를 얻는다.
필요시 상기 공정을 반복하여 부직포시트(51)의 양면에 콜크(20)가 접착된 콜크부직포(50)를 제조한다.
콜크부직포에 단위부재를 접착하여 돗자리를 만들므로 콜크가 가진 천연의 실내 위생성, 강력한 탈취력, 실내 습도조절, 흡음과 방음, 정전기 방지, 보온과 단열, 뛰어난 탄성, 방균성과 내 부패성과 강한 신축성 등에 더하여 상기의 콜크를 우드카페트에 활용하는데 있어서,1입방인치의 콜크 속에는 2억개 정도의 세포들이 각각 수지 막에 싸여 밀집되어있고 부피의 절반이 공기로 차있어 매우 가벼운 것이 또한 특징이며 사용 중 강한 압박을 받은 후에도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특성이 있어 사용 중 긁힘이나 눌림 등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콜크의 특성인 부드러움과 탄성으로 인하여 피로감이 적고,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넘어지는 등의 사고에도 콜크의 탄성으로 그 충격을 줄여 부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을 것이며, 아파트 같은 층간의 소음을 콜크의 흡음 성으로 인하여 현저히 줄일 수 있음도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친화인 소재를 이용하여 보다 건강하고 활력있는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고 항상 아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콜크부직포 돗자리를 얻을수 있다.

Claims (8)

  1. 나무,대나무,또는 원목 합성수지나 금속류, 광석류에 의해 제조되는 돗자리의 단위부재를 콜크부직포에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콜크부직포 돗자리에 있어서,
    콜크(20)를 열압가열소성하여 콜크집성체(22)를 만들고, 이를 절편하여 콜크시트를 얻고, 돗자리의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여 콜크부직포(50)를 제조하여 돗자리 단위부재(200)를 콜크부직포(50)위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마감하여서 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콜크부직포 돗자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크부직포(50)가 콜크(20)를 열압가열소성하여 콜크집성체(22)를 만들고, 이를 절편하여 콜크시트를 얻거나, 분말의 콜크를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여 제조되어진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크부직포(50)의 양측면에 콜크(20)가 접착되어 있어서 일측면엔 돗자리의 단위부재(200)가 접착되어지고 일측면은 돗자리의 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
  4. 제 1항에 있어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저면측 콜크부직포(50)에 오픈포아 또는 세미오픈포아로 도료에 의하여 코팅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콜크부직포 돗자리.
  5. 제 1항에 있어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저면측 콜크부직포(50)에 투명비닐 또는 투명필름으로 접착되어 있거나 재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
  6. 제 1항에 있어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저면측 콜크부직포(50)가 방향제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
  7. 제 1항에 있어서,
    콜크(2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S1)과,
    콜크(20)를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는 공정(S2)과,
    단위부재(200)와 콜크부직포(50)를 접착하는 공정(S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돗자리 단위부재(200)와 부직포(50)를 열 가소성 핫맬트 접착제로 접착하는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
KR10-2000-0065974A 2000-11-07 2000-11-07 콜크부직포 돗자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39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974A KR100392338B1 (ko) 2000-11-07 2000-11-07 콜크부직포 돗자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974A KR100392338B1 (ko) 2000-11-07 2000-11-07 콜크부직포 돗자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066A true KR20020036066A (ko) 2002-05-16
KR100392338B1 KR100392338B1 (ko) 2003-07-22

Family

ID=1969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974A KR100392338B1 (ko) 2000-11-07 2000-11-07 콜크부직포 돗자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3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60B1 (ko) * 2007-05-14 2008-04-22 서봉각 에어 매트리스 제조방법 및 수리방법
US20110045243A1 (en) * 2009-08-18 2011-02-24 Dossche Piet V Bamboo composite board and beam product
WO2011149370A1 (en) 2010-05-25 2011-12-01 Dyn Cork - Technical Industry, Lda. Cork fabric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346692B1 (ko) * 2012-09-17 2014-01-06 주식회사 엘앤제이 코르크 필름의 제조 방법, 코르크 필름을 이용한 문구 및 단말기 케이스
KR101362366B1 (ko) * 2012-12-11 2014-02-13 주식회사 엘앤제이 코르크 필름의 제조 방법, 코르크 필름을 이용한 문구 및 단말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663A (ko) * 2002-04-17 2003-10-23 장진기 돗자리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536U (ja) * 1992-11-27 1994-06-14 宏 二見 絹床ズレ防止及び安眠マット
KR200149463Y1 (ko) * 1997-02-11 1999-06-15 이정만 가요성 배설건강매트
JPH11221137A (ja) * 1997-12-03 1999-08-17 Hida Forest Kk マット
KR20000000115A (ko) * 1999-09-13 2000-01-15 김이교 온돌침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온돌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60B1 (ko) * 2007-05-14 2008-04-22 서봉각 에어 매트리스 제조방법 및 수리방법
US20110045243A1 (en) * 2009-08-18 2011-02-24 Dossche Piet V Bamboo composite board and beam product
US8541085B2 (en) * 2009-08-18 2013-09-24 Us Floors, Inc. Bamboo composite board and beam product
WO2011149370A1 (en) 2010-05-25 2011-12-01 Dyn Cork - Technical Industry, Lda. Cork fabric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346692B1 (ko) * 2012-09-17 2014-01-06 주식회사 엘앤제이 코르크 필름의 제조 방법, 코르크 필름을 이용한 문구 및 단말기 케이스
KR101362366B1 (ko) * 2012-12-11 2014-02-13 주식회사 엘앤제이 코르크 필름의 제조 방법, 코르크 필름을 이용한 문구 및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2338B1 (ko) 200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2356B (zh) 具有耐磨表面的基于纤维的镶板
JP6567555B2 (ja) 単板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及び単板エレメント
US10017005B2 (en) Coated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anel
JP2020037271A (ja) ベニヤ要素の製造方法
KR20110096161A (ko) 코팅 패널 및 이러한 패널의 제조 방법
ES2256762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a estera.
KR101679171B1 (ko) 코팅 패널 및 이러한 패널의 제조 방법
CN107206734A (zh) 由再生材料和可再生材料制成的复合板
WO1988000134A1 (en) Decora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92338B1 (ko) 콜크부직포 돗자리 및 그 제조방법
JPS59101312A (ja) 強化化粧板の製造方法
JP3777838B2 (ja) 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43489B1 (ko) 마루바닥재용 복합기재 구조
US2517069A (en) Laminated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852003B1 (ko) 주거용 바닥재 제조방법
KR100395305B1 (ko) 무취 우드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무취 우드카페트
KR100395309B1 (ko)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콜크 카페트
TW347366B (en) Lami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860062B2 (ja) 床材の製造方法
KR101761534B1 (ko) 평활도가 개선된 밀짚 또는 볏짚 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밀짚 또는 볏짚 보드
JPS6269887A (ja) 合成皮革
CZ26597A3 (en) Floor cover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JP4540816B2 (ja) 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10506Y1 (ko) 상감 문양이 형성된 나무 돗자리
KR20090026555A (ko) 탄화목을 이용한 자리 제조방법 및 그 탄화목자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