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309B1 -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콜크 카페트 - Google Patents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콜크 카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309B1
KR100395309B1 KR10-2000-0061435A KR20000061435A KR100395309B1 KR 100395309 B1 KR100395309 B1 KR 100395309B1 KR 20000061435 A KR20000061435 A KR 20000061435A KR 100395309 B1 KR100395309 B1 KR 100395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k
carpet
nonwoven fabric
adhesiv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548A (ko
Inventor
조춘남
Original Assignee
조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춘남 filed Critical 조춘남
Priority to KR10-2000-006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30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콜크 카페트에 관한 것으로서, 콜크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콜크부재에 코팅 내지 필림층을 형성하고 상기 콜크부재를 바닥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재봉 마감하여서 된 콜크카페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판재나 부직포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판재나 부직포의 상부에 콜크 재를 배열하고 가압하여 접착한 후, 상기의 콜크 재를 코팅한 후 재단하여 일정크기의 단위부재를 구한 다음, 바닥부직포 상에 블록형태의 배열구조를 이루도록 접착한 후 테두리를 장식 띠로 마감한 콜크카페트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콜크카페트는 콜크의 뛰어난 보온, 단열, 방수, 방음의 효과와 우수한 탄력과 복원성 등의 기능적인 면과 콜크무늬 자체에서 풍기는 자연미와 고급스러움을 나무자리에 이용하여 항상 아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콜크 카페트{Cork carpet by the method and cork carpet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콜크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콜크부재에 코팅 내지 필림층을 형성하고 상기 콜크부재를 바닥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재봉 마감하여서 된 콜크카페트에 관한 것으로서, 콜트카페트의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보다 다양하고 천연의 기능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콜크를 나무자리에 활용하므로 인하여, 콜크가 지닌 실내위생과 강력한 탈취효과, 실내습도조절, 흡음과 방음, 정전기 방지, 보온과 단열, 뛰어난 탄력성, 방균성과 부패하지 않는 성질과 강한 신축성 등 천연의 재료만으로 환경친화적인 콜프카페트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일반적으로 하절기에 더위를 피하고 시원함과 쾌적함을 얻기 위하여 실내나 바닥에 왕골, 대나무, 원목, 무늬 목 접착판재 재질로 된 돗자리(이하 통칭하여 나무자리라 통칭함)를 펴서 사용하는 예가 많은바, 이와 같은 나무자리는 그 소재가 딱딱하고 단단한 나무(목재, 판재, 대나무, 왕골 등)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나무를 재단하거나 켜서 일정 크기의 단위부재로 만들고, 실(끈)로 엮거나 바닥 시트에 접착하여 만들어지는 바, 이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번호 실1997-008013(출원번호 실1995-020081)이 있으며, 공개번호 실-1995-000440(출원번호 제1995-022609) 등이 있다.
그 외 천연무늬목이나 대나무를 판재에 접착하여서 되는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번호 실2000-0002147호(출원번호 제1998-12026호)가 있는바,『목판의 표면과 저 면에 동일한 수축력을 갖는 무늬 목을 접착시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목판의 재질이 중밀도섬유합판 또는 고밀도섬유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있고, 출원번호 제10-1998-0017837호가 있는바, 나무자리에 있어서 MDF나 HDF 등에 무늬목을 접착하여서되는 나무자리용 목편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천연 소재를 절감하거나 작업의 편이성을 위하여 원목, 대나무, 섬유질 압축목(이하 통칭하여 판재라 통칭함)등에 천연무늬 목 등을 접착하고 이를 가공하여 단위부재를 얻어 만든 나무자리도 일부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나무자리에 있어서 단단한 소재를 이용하여 나무자리를 만들다 보니 나무자리를 바닥에 깔아 사용하면서 딱딱함으로 인하여 쉬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노약자나 어린이가 넘어질 경우 타박상 등의 부상을 입기 쉬웠다.
또한 천연의 원목이나 대나무, 왕골 등으로 이루어진 나무자리에 있어서는 사용 중 열원이나 습기에 의하여 단위부재의 갈라짐이나 뒤틀림 등이 발생되는 수가 많아 제품의 수명이 짧고, 계절적 요인으로 인하여 자재의 생산 및 수급이 원활하지 못하였던 바, 그로 인한 자재의 상태에 따라 제품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 외, 천연 무늬목이나 대나무 등을 원목이나 판재에 접착하고 제조되는 나무자리 역시도 무늬 목을 접착하기 위하여 열압프레스 가공시 판재의 상부 면과 하부 면의 함수 율이 달리되는 변화로 인한 자체 휨이나 벤딩이 발생되고 밀도나 강도에 변화가 생기고 이로 인한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요소수지 등 열 경화성 수지를 주 접착 재로 사용함으로서 단위부재가 물리적인 영향으로 꺾이거나 뒤틀림 작용이 있을 때에 접착부재가 탄성이 없는 관계로 접착표면의 갈라짐이나 소재의 박리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 표면에 황변 현상이 발생되고, 습기나 열원에 의해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어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으로 남게 되었다.
반면, 콜크를 이용하는데 있어 일부 흡음판이나 그 복원성과 내부패성, 탈취 효과 등의 효과를 이용하여 신발이나 바닥 재 또는 벽지로서도 일부분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콜크를 흡음재, 단열재, 신발이나 바닥 재, 벽지 등으로 일부 이용되고는 있으나, 콜크의 특성상 두껍게 형성되므로 밀도와 강도가 약하며, 그 표면이 긁힘이나 파손의 위험이 높고, 실내의 바닥에 직접 접착 또는 현가식으로 시공함으로서 파손이나 결함 등의 보수에 관한 유지관리가 어렵고, 시공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소재의 특성상 고가인 관계로 그 뛰어난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이용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이 흠이다.
더욱이 상기의 나무자리나 콜크에 있어서, 접착제나 콜크 보강제 등이 요소수지나 폐타이어, 페놀수지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서, 포름알데히드(Formaldeyde)의 방출 량이 2.0ppm(5.0mg/l)(E2등급)이하이고, 바닥 재로서의 포름알데히드의 방산 량이 2.0ppm(5.0mg/l)(F2등급)이하인 것이 주류였던 바, 사용하는 중 두통이나, 눈이 아픈 현상, 구토증, 아토피성 피부염, 심신피로, 스트레스, 정서불안정 등과 같은 신체적 증상으로 식크하우스 증후군과 같은 우려의 소지가 있었다.
이러한 병상이 생기는 요인으로서, 미주나 유럽에서는 공기의 질을 문제로 하고 있는바, 일본이나 대한 민국에서는 그다지 친숙한 용어는 아니지만 『실내 공기의 질(Indoor Air Quality)』 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어지는바, 최근에는 일반적인 주택에서도 이전과 비교하여 기밀성(氣密性)이 높아져, 이 때문에 건설자재나 바닥 등으로부터 방산(放散)되어지는 화학물질이 빠져나갈 틈새가 작아졌다는 것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고 지적되어지고 있다.
또한, 국제연합의 전문가위원회에서는 1996年에 「건재(建材)와 건강」 을 작성하여 실내공기의 질(Indoor Air Quality: IAQ) 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이 있는 인자로서 환경인자(環境因子)에 속한 화학적 인자그룹에 휘발성 유기화합물(포름알데히드 등)을 오염원(汚染源)에 포함시키는 등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에서도 포름알데히드는 요소수지의 화학 결합에서 방출되는 화학약품으로 암 유발의 원인으로 발전할 수 있는 물질로서, 각종 접착제를 시작으로, 바닥 재, 섬유질 압축강화목이나 합판, 염화비닐 중에 함유되어 있다.
국내 KS 규정에 의하면, 섬유질 압축강화목이나 합판 등의 등급을 제품 제조 후 7일 이내에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에 따라 E0, E1, E2 등 3등급으로 나누고 있으며 일본의 JAS (日本農林規格) 에서는 합판이나 바닥 재의 포름알데히드 방산 량과, 또한, JIS規格에서도 파티클보오드의 포름알데히드 방산 량을 표시 구분하여 정해두고 있으며 이를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주) 상기의 방출 량은 20±0.1℃의 데시게이터 내에서 24시간 방치하였을 때, 증류수(蒸留水)에 흡수되어지는 농도(濃度)등에 의해 WHO (세계보건기구) 에 따른 식크하우스 증후군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눈(目), 특히, 안구결막, 코의 점막 및 목의 점막에서의 자극.
2. 입술 등의 점막이 건조됨.
3. 피부의 붉은 반점, 진마신, 습진 등이 생긴다.
4. 피로를 느끼기 쉽다.
5. 두통, 호흡기질환에 감염되기 쉽다.
6. 숨이 막히는 듯한 기분이 들거나, 호흡기에서 소리가 나는 듯하다.
7. 아무 이상이 없이 과민한 반응을 한다.
8. 어지럼증, 구토증, 구토의 반복 등과 같은 증상이나, 복합적인 증상이 생기는 병상을 나타낸다.
선진국인 유럽이나 미국, 호주, 일본 등에서나 가구나 마루판 등에 쓰이는 MDF기준을 E0, E1 등급 제품만을 사용토록 규제하고 있어 일본만 해도 E0등급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30%에 달하고 있다.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관련 규제가 희미해 제품가격을 낮추기 위해 KS규정에도 없는 등급이하의 저가수입제품이 쓰이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상기한 규정에서도 자재인 판재에 대하여만 규제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나무자리의 다종다양한 판재(즉 대나무, 원목, 압축 강화 목, 합섬수지금속류, 광석류)에 의해 형성되는 콜크카페트를 제조하는데 있어, 판재의 소재에 구애받지 않고 포름알데히드 방출 량이 0.6ppm(1.5mg/l)이하(E1등급)의 환경친화적 소재로 된 판재 내지 부직포에 콜크를 접착하여 코팅/재단하여 하나의 단위부재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콜크카페트를 만들므로 콜크가 가진 천연의 실내 위생성, 강력한 탈취력, 실내 습도조절, 흡음과 방음, 정전기 방지, 보온과 단열, 뛰어난 탄성, 방균성과 내 부패성과 강한 신축성 등에 더하여 포름알데히드의 방출 량이 적은 판재를 접목하여 간편한 설치와 철거, 그리고 이동과 보관이 용이하며, 더 나아가 그 외관이 심히 아름답고 고급스러우며 가공에 따라 제품의 변화가 쉬운 환경친화인 콜크카페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의 콜크를 나무자리에 활용하는데 있어서, 1입방 인치의 콜크 속에는 2억개 정도의 세포들이 각각 수지 막에 싸여 밀집되어있고 부피의 절반이 공기로 차있어 매우 가벼운 것이 또한 특징이며, 사용 중 강한 압박을 받은 후에도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특성이 있어 사용 중 긁힘이나 눌림 등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콜크의 특성인 부드러움과 탄성으로 인하여 피로감이 적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넘어지는 등의 사고에도 콜크의 탄성으로 그 충격을 줄여 부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을 것이며, 아파트 같은 층간의 소음을 콜크의 흡음 성으로 인하여 현저히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콜크를 판재에 접착하거나, 하나의 집성체로 만들고 이를 계속적으로 절편하여 콜크를 얻으므로 대량 생산과 생산비의 절감과 고 품질의 동일규격의 콜크를 얻는데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공지된 데이터의 우수한 콜크를 이용하여 위의 기준에 다소 다르다 할지라도 그 범주에 크게 다르다 하지 않은 콜크카페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처럼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친화인 소재를 이용하여 보다 건강하고 활력있는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고 항상 아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콜크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콜크부재에 코팅 내지 필림층을 형성하고 상기 콜크부재를 바닥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재봉 마감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콜크카페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콜크판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콜크판재의 단면도,
도 3은 판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의 단면도,
도 4는 판재의 일면에 콜크를 접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판재에 콜크를 가압하여 접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판재와 콜크를 접착하는 프레스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 의한 콜크카페트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 의한 콜크카페트의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콜크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작업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면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콜크자리10: 판재 20: 콜크
30: 접착제 40: 코팅 층50: 바닥부직포 51: 직물부직포
60: 테두리부재 70: 재봉실100: 콜크판재 200: 콜크접착 단위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나무, 원목, 압축 강화 목, 플라스틱, 금속, 석재 등의 판재에 의해 제조되는 나무자리에 있어 콜크부재와 기타 부재가 포름알데히드 방출 량이 0.6ppm(1.5mg/l)이하인 무취등급의 것으로서, 상기판재나 부직포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판재나 부직포의 상부에 콜크 재를 배열하고 가압하여 접착한 후, 상기의 콜크 재를 코팅한 후 재단하여 일정크기의 단위부재를 구한 다음, 바닥부직포 상에 접착한 후 장식 띠로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재봉하여 마감되어진 콜크 카페트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콜크카페트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판재나 부직포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판재나 부직포의 상부에 콜크 재를 배열하고 가압하여 접착한 후, 상기의 콜크 재를 코팅한 후 재단하여 일정크기의 단위부재를 구한 다음, 바닥 부직포 상에 접착한 후 장식 띠로 테두리부를 형성하여 마감되어진 콜크카페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콜크판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콜크판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판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의 단면도이고, 도 4는 판재의 일면에 콜크를 접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판재에 콜크를 가압하여 접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판재와 콜크를 접착하는 프레스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 의한 콜크카페트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 의한 콜크카페트의 단면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콜크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작업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실시함에 있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콜크카페트를 제작하기 위한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입자상태의 콜크소재를 가열 소성 성형하여 콜크 집성체를 만들어 이를 소정의 크기로 절편하여 콜크시트(20)를 얻는 단계(S1)와, 상기 콜크시트(20)에 의해 무취 판재(10)를 접착하여 콜크 접착판재(100)를 얻는 단계(S2)와, 상기 콜크 접착판재(100)상에 투명 도료를 소정의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S3)와, 투명도료가 코팅된 콜크 접착판재(100)를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고, 이를 상도 도장하여 하나의 콜크 단위부재(200)를 얻는 단계(S4)와, 상기 콜크 단위부재(200)의 일면에 콜크부직포(50)를 접착하되, 그 자장자리인 테두리부(60)를 재봉(70)마감하여 콜크 카페트(1) 완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콜크카페트를 제작하기 위한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콜크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콜크부재에 코팅 내지 필름 층을 형성하고 상기 콜크부재를 바닥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재봉 마감하여서 된 콜크카페트에 있어서, 금형(6A,6B)에 의해 콜크시트(20)를 열압 성형하여 콜크 단위부재(210)를 얻는 단계(S6)과, 상기 콜크 단위부재(210)에 투명도료를 코팅하는 단계(S7)와, 코팅된 콜크 단위부재(210) 일면에 해당하는 크기의 직물부직포(52)가 접착되며, 직물부직포(52)가 접착된 가장자리의 테두리부(60)가 접착처리 되어 완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8)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콜크카페트를 제작하기 위한 제 3실시예에 따르면, 콜크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콜크부재에 코팅 내지 필름 층을 형성하고 상기 콜크부재를 바닥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재봉 마감하여서 된 콜크카페트에 있어서,
콜크시트(20)에 일면에 바닥부직포(52)가 접착하여 콜크접착 부직포(110)를 얻는 단계(S9)와, 상기 콜크접착 부직포(110)에 투명한 염화비닐시트(43) 내지 필름을 접착하여 필림접착 부직포(120)를 얻는 단계(S10)와, 상기 필림접착 부직포(120)의 가장자리인 테두리부(60)가 재봉되하여 완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이에 따른 본 발명의 콜크 카페트제조방법에 따른 각 실시예를 각각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1실시 예 -
본 실시예는 콜크를 금형에 넣고 가열 성형하고 절편(대패기의 원리와 같은 슬라이샤기 내지 로타리기로 깎아서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서 접착작업 등이 용이할 정도가 되도록 가공하는 것)한 콜크를 판재에 접착하여 U/V코팅을 후, 이를 재단하여 상도 도장한 콜크부재를 바닥부직포(콜크 카페트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방수용 염화비닐, 방수용 직물, 나프타 천, 콜크부직포 등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위부재를 접착하여 운반이나 사용 중 갈라짐이나 늘어짐, 꺾임 등이 없는 소재)에 접착하여 테두리 부재로 재봉해서 마감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으로 각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콜크 제조단계 ; S1)
본 공정은 본 실시예의 콜크카페트(1)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콜크시트(2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S1)으로, 콜크카페트(1)의 콜크소재는 콜크 참나무의 수피 또는 콜크용 떡갈나무의 외피를 끓는 물에 삶아 단단한 외피층을 제거한 후 음지에서 수개월동안 건조시켜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이것을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고 콜크 천연의 문양과 색상을 지닌 콜크집성체를 만들거나, 집성체된 콜크를 분쇄하여 1∼2mm 의 채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를 만들고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를 가열소성 성형하여 콜크집성체 즉, 콜크시트를 제조한다.
콜크를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소성성형 하는데 있어서 콜크를 가로로 적층하여 만든 것과 세로로 세워서 적층하여 가압한 것으로, 이는 콜크의 결을 좁게나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금형의 크기로 콜크집성체로부터 절편하여 얻어지는 콜크시트(20)의 넓이를 결정하고, 금형의 모양과 형태에 따라서 콜크시트(20)의 외곽모양의 형태를 결정하게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즉 금형의 내부가 원형일 경우 외곽모양이 원형인 콜크시트(20)를 얻을 수 있으며, 접착 시 배열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짜 맞춤식의 배열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요홈 부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첨가재의 종류를 다르게 함으로서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지닌 콜크시트(2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성형 시 메라만수지에 함침하여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는 것으로 내수성이 강한 내수 콜크를 만들 수 있으며, 요소나 페놀 등의 수지를 첨가하는 것으로 콜크의 밀도나 강도 또는 탄성의 정도를 조절하여 만들 수도 있다.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하거나, 임의의 색상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착색 재나 염료를 첨가하여 임의의 색상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의 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콜크집성체를 대패와 같은 원리의 슬라이샤기나 로타리기의 장비를 이용하여 절편하고, 여기서 임의의 두께를 가진 콜크를 얻는데 있어 그 두께는 용도에 따라 달리하여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되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동일 규격과 재질의 콜크를 지속하여 얻는다.
또는 상기의 각각의 작은 단위 편으로 된 콜크시트(20)를 콜크부직포(접착제;종이, 함침지, 염화비닐레자, 직물, 망사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두께가 매우 얇고 인 장력이 우수하고 박리가 없는 것)에 접착하여 보다 넓고 규격화되며 차후 가공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한다.
(콜크판재 제조단계 ; S2)
본 발명의 단계(S1)에 의해 생산된 콜크를 포름알데히드의 방출 량이 0.6ppm(1.5m g/l)이하인 무취판재(10)에 접착하여 생성되는 콜크판재(100)를 제조하는 공정(S2)에 관한 것이다.
콜크를 적층하거나 분쇄하여 금형에 넣고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여 콜크 집성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첨가되는 접착제나 안정제 등으로 인한 콜크의 표면과 입자들 사이에 접착성 내지 점착성 물질이 함침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잔존 물로 인하여 열 압착할 때에 콜크의 이완 내지 콜크간의 박리가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콜크시트(20)의 콜크 입자 특성상 내부 공기의 팽창에 의한 콜크 입자 구조가 파괴되거나, 콜크입자로부터 박리에 의한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판재(10)의 상부 면과 하부 면의 수분 불균형으로 인한 휨과 벤딩 현상을 최소 화 하기 위하여 냉압프레스로 압착하여 접착한다.
콜크시트(20)를 판재(10)에 접착하기 위해서 판재(10)를 접착제(30)가 펌핑되어져 있는 스프레다 롤러(5)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그 하부측 롤러(3)에 의해 이송되는 판재(10)에 접착제(30)를 소정두께로 도포하게 된다.
이때에 사용되어지는 접착제(30)는 고형분 함량이 48%이상의 초산비닐계 에멀젼 본드를 사용하게 되며, 이때의 배합비는 에멀젼 본드 8:멜라민 2정도가 적당하며, 도포 량에 있어서 70∼90㎖/㎡로 형성됨이 적당하다.
접착제(30)에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하거나, 임의의 색상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착색 재나 염료를 첨가하여 임의의 색상을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30)가 도포된 판재(10)위에 콜크시트(20)를 판재(10)의 면적을 채울 수 있는 정도로 서로 맞붙어 배열하여 올려놓고, 상기 접착제(30)의 수분이 증발되어 물성이 안정되고 접착제(30)의 건조나 경화의 반응이 시작되어 점착 건조(접착제가 건조 내지 경화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포되어진 접착제의 표면을 손으로 압착하였을 때 점착은 되나 접착제가 손에 묻어나지는 않는 상태)의 상태일 때에 프레스금형(6A,6B)로 40초를 가압하여 일차 접착을 한 연후 접착제(31)가 완전히 건조되기까지 상기의 콜크판재(100)를 다시 3시간정도 가압하는 것으로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 접착제(30)의 점착 건조 이전에 가압을 하게되면 접착제(30)의 자체 수분에 의하여 콜크(20)가 겹치거나 늘어지게 되어 표면 층이 울게되고, 또한 함수 율이 높은 상태일 때에 접착되어진 콜크(20)는 차후 함수율이 낮아질 경우, 콜크시트(20)의 콜크입자간의 갈라짐이나 박리 내지 전체적인 콜크판재(100)의 휨이나 벤딩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가 접착 후 일정 시간 적치하고 이를 가압하는데 있어서 적치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작업 여건 등에 의하여 달라지게 되는 바, 이는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충분히 감지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프레스(6)로 콜크시트(20)를 판재(10)에 접착하는데 있어, 일부 열에 의하여 반응하지 아니하는 첨가제(열 경화성 수지 등)를 사용하여 제조된 콜크시트(20)일 경우에는, 접착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열 압착하여도 무방하나 판재(10)와 콜크시트(20)에 직접 전달되는 열원의 온도는 상기의 콜크 입자 구조가 파괴되거나, 콜크입자간의 박리에 의한 부풀어오르는 현상 등을 막기 위하여 60℃가 가장 바람직하며, 콜크시트(20)의 콜크 특성상 입자가 굵거나 큼으로 인하여 콜크시트(20) 표면에 다소의 엠보(요철)현상이 있게 되는데, 이처럼 함몰된 부분까지 완전하게 가압하기 위해선 콜크시트(20)위에 스펀지와 같은 쿠션재 올려놓고 가압함으로서 움푹 패인 부분까지도 접착이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콜크판재 코팅 단계 ; S3)
본 발명의 단계(S2)에 의해 생성되는 콜크판재(100)에 코팅을 하는 단계(S3)로서, 상기의 콜크판재(100)를 가지고 그 위에 투명 도료로 도장을 하여 콜크 천연의 아름다운 무늬와 색상을 그대로 표현되게 하는데 있어 코팅층(40)을 형성하는 콜크판재(100) 코팅공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완성된 콜크판재(100)를 가지고, 그 상부의 콜크를 200#~500#입자의 페이퍼 등으로 표면의 거친 부분과 요철부분을 연마 기나 수 작업을 하여 연마함으로서 표면에 있는 불순물이나 판재에서 일부 배어 나오는 파라핀 등의 침전물을 절삭하고 매끄럽게 다듬은 다음 아이솔레이터 도료(각종 도장을 하는데 있어서, 도체의 눈 메나 목구를 차단하고 도체와 도료의 부착성을 증대시키거나 도체와 유사한 색으로 구성되어 눈 메꿈용으로 시행하는 도료)로 1차 도장을 하게 되는데, 이 아이솔레이터 실라 작업을 하게 됨으로서 본 도장 시 콜크시트(20)의 콜크입자 속으로 도료가 스며들어감으로서 발생되는 도막 표면의 기포와 핀홀 등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도료의 살 오름이 양호해지며 도료와 도체간의 부착력이 강화되어 차후 콜크시트(20)의 탄성과 쿠션에 의한 도막의 깨짐이나 갈라짐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처럼 콜크시트(20)의 콜크층이 1차 아이솔레이터 실라 작업으로 인해 차폐되어진 후 공지된 U/V 도장법에 의하여 도장을 하게 되는데, 공지된 U/V 도장이라 함은, 다이렉트롤러와 리버스롤러가 반복되어 배열 된 콘 베어 라인을 따라 판재가 이송되어지면서 먼저 우드실라가 펌핑되어진 다이렉트롤러와 리버스롤러로 눈 메꿈 및 살오름의 하도 도장이 이루어지고 1차 가 건조가 U/V 조사에 의하여 도료가 건조되어지면, 다시 우드실라와 샌딩실라가 펌핑되어져 있는 다이렉트롤러와 리버스롤러를 거치면서 살오름과 평활 도를 얻게 되고 다시 최종적으로 2차 건조가 U/V 조사에 의하여 도료가 건조되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때에 우드실라 도료는 눈 메꿈과 살 오름 성이 좋은 연성의 에폭시 타입 도료가 좋을 것이며, 샌딩실라 도료는 도막의 투명성과 평활 도를 얻기 위하여 연마 성이 우수하고 투명도가 뛰어난 연성의 도료를 사용함이 좋다.
상기의 1회 도장으로 원하는 정도의 도막이나 평활 도 내지 이루고자 하는 특성을 얻을 수 없을 때에는, 부분 반복하거나 공정을 혼용하여 실행한다.
(콜크단위부재 생산단계 ; S4)
본 발명은 단께(S3)에 의해 생성된 콜크코팅판재(300)를 가공하여 콜크접착단위부재(20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S4)으로서, 콜크코팅판재(100)를 재단하고 상부에 면취부(콜크접착단위부재의 사각면을 다듬은 것으로서 단위부재를 교호 조립하거나 콜크 카페트를 말아서 보관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공하는 것)를 형성한 콜크접착단위부재를(예; 25mmx150mm크기와 25mmx300mm크기)을 구하는 재단을 실시하며, 상기의 공정으로 얻어진 각 콜크접착 단위부재(200)를 우레탄이나 락카 계열의 투명성이 양호한 도료인 것으로서, 표면광택은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어 크게 유광, 반광, 무광으로 분류하여 도장하게 된다.
또한 별도로 도장 면의 은은하고 고풍스러움 등을 발현하고자 도료에 갈색이나 오렌지색 등 투명 유색을 조색한 도료 등으로 상부면과 면취부의 최종적인 상도도장으로 콜크접착 단위부재(200)를 도장하여 자연건조 내지 열원에 의하여 건조되는 것으로 상도도장을 마감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상기에 있어서, 각각의 콜크접착 단위부재(200)를 도장할 수도 있겠으나 도장이 용이하고 도료의 손실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그 면적이 도장이 용이한 넓이(예; 300mmx600mm 내지 650mmx1200mm)로 조립하여 배면에 점착성 테이프로 결속하여 도장한 후 이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작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콜크 카페트 완제품 생산단계 ; S5)
본 발명은 상기 단계(S4)에 의해 생성되는 콜크접착 단위부재(200)를 바닥부직포(50)에 접착하고 테두리부(60)를 재봉하는 것으로 마감하여된 콜크 카페트(1)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S5)으로서, 상기 단계(S4)에 의하여 완성된 콜크접착 단위부재(200)를 블록 담의 배열구조를 이루도록 상호 결합하여 교호조립 하여된 것을 핫멜트접착제(31;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열에 의해 용해, 도포된 후 냉각과정을 통해 짧은 시간에 접착을 나타내는 접착제)가 펌핑되어 있는 스프레다 롤러(5)에 통과시켜서 콜크접착 단위부재의 배면에 도포한 다음, 바닥부직포(50)와 접착하고 프레스(6A,6B)로 가압하여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후 핫멜트 접착제(31)가 완전히 반응되기까지의 약24시간을 가압하여 적재하는 것으로 콜크접착 단위부재(200)와 바닥부직포(50)의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접착제(31)에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공정으로 일정면적의 콜크 카페트(예: 가로2700mm,세로3000mm두께4mm)가 생성되어지게 되며 조립시 불특정 콜크접착 단위부재(200)의 들고 나온 것을 재단 톱을 사용하여 커팅하는 것으로 마감재단하고, 콜크 카페트(1)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부(60)로 감싸은 후 미싱을 사용하여 재봉(70)하여 마감되어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콜크 카페트(1)를 얻을 수 있게 된다.
- 제 2 실시 예 -
금형(6A,6B)에 의해 콜크시트(20)를 열압 성형하여 콜크 단위부재(210)를 얻는 단계(S6)와, 상기 콜크 단위부재(210)에 투명도료를 코팅하는 단계(S7)와, 코팅된 콜크 단위부재(210) 일면에 해당하는 크기의 직물부직포(52)가 접착되며, 직물 부직포(52)가 접착된 가장자리의 테두리부(60)가 접착처리 되는 단계(S8)로서, 콜크 카페트를 완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콜크카페트(1)의 콜크단위부재(210)를 순수 콜크시트(20)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콜크시트(20)를 금형에 넣고 열압 성형하여 콜크단위부재(210)를 만들고, 이를 코팅하여 직물부직포(51)에 접착한 상태에서 그 테두리부(60)를 접착하여 이루어진다.이에 따른 각 단계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콜크단위부재 제조단계 ; S6)
본 발명에 따른 단계(S6)는 본 실시예의 콜크 카페트(1)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콜크 단위부재(210)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콜크시트(20)는 콜크 참나무의 수피 또는 콜크용 떡갈나무의 외피를 끓는 물에 삶아 단단한 외피 층을 제 거한 후 음지에서 수개월동안 건조시켜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이것을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고 콜크 천연의 문양과 색상을 지닌 콜크단위부제(210)를 만들거나, 콜크를 분쇄하여 1∼2mm 의 채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를 만들고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를 가열 소성 성형하여 콜크를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나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는데 있어서 성형시 콜크 카페트(1)의 콜크단위부재(210)로 생성되어지게 한다.
상기에 있어서 금형의 모양은 콜크 단위부재(210)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진 것으로서 제1실시예의 콜크접착 단위부재(200)와 유사한 형태로 제조된다.
이때에 콜크(20)의 특성상 그 구조와 밀도나 강도가 약한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콜크단위부재(210)의 배면에 콜크용 부직포(50)를 접착하거나, 콜크를 섭씨 35℃ 정도의 메라만수지와 요소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속에 24시간 정도 함침하여 콜크의 입자 속에 수지가 충분히 함침되게 후 탈수기를 이용하여 수지를 제거하여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는 것으로 내수성이 강한 내수 콜크를 만들 수 있으며, 요소나 페놀 등의 수지를 첨가하는 것으로 콜크의 밀도나 강도 또는 탄성의 정도를 조절하여 한다.
반면에 제1실시에와 같이하여 생성된 콜크집성체를 두껍게(예; 3mm두께)절편하여 콜크단위부재(210)와 같은 형태로 재단하고 면취부를 형성하여서된 콜크단위부재(220)를 구한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되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동일 규격과 재질의 콜크단위부재(210)를 지속하여 얻을 수 있다.
(콜크단위부재 코팅 단계 ; S7)
본 발명의 단께는 상기 단계(S6)에 의해 생성되는 콜크단위부재(210)에 코팅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콜크단위부재(210)를 가지고 그 위에 투명도료로 도장을 하여 콜크 천연의 아름다운 무늬와 색상을 그대로 표현되게 하는데 있어 코팅층(40)을 형성하는 콜크단위부재(210) 코팅공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완성된 콜크단위부재(210) 상부의 콜크를 200#~500#입자의 페이퍼 등으로 표면의 거친 부분과 요철부분을 연마기나 수작업을 하여 연마함으로서 표면에 있는 불순물이나 침전물 등을 절삭하고 매끄럽게 다듬은 다음 공지의 스프레이 내지 붓도장, 침전도장 공법으로 아이솔레이터 도료로 1차 도장을 하고, 니스, 우레탄, 호마이카, 멜라민 등 투명성과 도장성, 작업성에 있어 양호한 도료를 사용, 공지의 스프레이 내지 붓도장, 침전도장 공법으로 도장한다.
이 도장의 특징으로서는 1차 아이솔레이터로 실라 작업을 하고 뒤이은 도막을 올리기 위한 본 도장 시 상기의 각 도료에 있어 우레탄 등의 도료는 작업성과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으나, 1회 도장으로도 충분한 도막을 올릴수 있고, 그 성질이 연질에 속하는 관계로 혹 U/V 코팅에서 일부 발생되는 도막의 크랙이나 부착불량을 줄일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본 공정에서 상도마감도장까지 완료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표면광택은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어 크게 유광, 반광, 무광으로 분류하여 도장하게 된다.또한 별도로 도장 면의 은은하고 고풍스러움 등을 발현하고자 도료에 갈색이나 오렌지색 등 투명 유색을 조색한 도료 등으로 상부면과 면취부의 최종적인 상도도장을 마감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상기에 있어서 각각의 콜크 단위부재(210)를 도장할 수도 있겠으나, 도장이 용이하고 도료의 손실을 막기위한 것으로서 그 면적이 도장이 용이한 넓이(예; 300mmx600mm 내지 650mmx1200mm)로 조립하여 배면에 점착성 테이프로 결속하여 도장한 후 이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작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콜크 카페트 완제품 생산단계 ; S8)
본 발명은 상기한 단계(S2)에 의해 생성되는 콜크 단위부재(210)를 직물부직포(52)에 접착하고 테두리 부(60)를 접착하는 것으로 마감하여된 콜크 카페트(1)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S3)으로서, 상기 단계에 의하여 완성된 콜크 단위부재(210)를 블록 담의 배열구조를 이루도록 상호 결합하여 교호 조립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콜크 단위부재를 제조하는 공정과 재료 등을 달리하여서 이루어진 각기 다른 단위부재(예; 적색 콜크단위부재와 노랑색 콜크 단위부재 내지 천연콜크단위부재와 분말콜크단위부재)를 특정 문양이나 색상이 표현되게 조립하는 것으로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단위부재에 두 가지 이상의 각기 다른 콜크로 이루어지거나 접착되어진 것이나 그 재료나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패턴이나 색상 등이 달리되는 콜크가 생성되게 됨은 이미 설명한바 있다.
상기의 각기 다른 콜크로 이루어진 각 콜크단위부재(210)를 직물부직포(52)위에 교호 조립할 때에 이러한 각기 다른 콜크단위부재(210)를 이용하여 일정 형태의 문양이나 색상을 가진 특정 디자인의 콜크카페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진한 색의 콜크단위부재(210)는 나무자리의 외곽에 위치하게 하고 밝은 색의 콜크단위부재(210)는 중심부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운 콜크카페트가 제공된다.
또는, 하나의 단위부재나 판재에 제1콜크와 제2콜크가 중앙에서 양분되게 접착하여 재단하여서, 하나의 단위부재에 각기 다른 콜크가 중앙에서 양분되게 표현된다.
2가지 이상의 각기 다른 콜크 단위편재를 조립하여 일정 문양이나 색상을 표현할 때에 이 단위부재를 활용하여 문양이나 색상이 단락 되지 않고, 또한 단위부재의 블록 형태의 배열구조가 연결됨으로서 보다 심미감 있고 다양한 콜크 카페트를 제공하게된다.
하나의 콜크카페트(1)가 완성되기 위해선 단위부재가 보통 작게는 700개에서많게는 1300개정도가 소용되는바, 이러한 조립방법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모자이크기법에 의하여 상기의 단위부재를 조립할 때에 임의의 문양이나 색상의 조화 내지 색상으로 형성되는 띠 등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조립되어진 단위부재 조립 판을 직물부직포(52)에 접착하기 위하여 열 경화성이며 에폭시수지, 경화제, 충진제, 희석제, 기타첨가제로 구성되어지는 에폭시 본드를 스프레다롤러(5)나 스프레이 공법으로 직물부직포(52)의 배면에 도포한 다음, 직물부직포(52)와 접착하고 고주파프레스(고주파가열 - 4000Khz으로 수초에서 200초 이내에 접착력이 발현됨)로 가압하여 접착이 이루어지게는 것으로 콜크 단위부재(210)와 방수천부직포(52)의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 지게된다.
상기의 공정으로 일정면적의 콜크카페트(예: 가로3000mm,세로3300mm두께4mm)가 생성되어지게 되며 조립시 불특정 단위편의 들고 나온 것을 재단톱을 사용하여 커팅하는 것으로 마감재단하고 콜크카페트(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성 본드가 일면에 함침되어 있는 테두리부재(60)이거나, 접착제(30)를 도포 하여 테두리부(60)를 접착하여 마감되어지는 것으로서,
콜크단위부제를 제조하는 단계(S6), 상기 단계(S2)에 의해 콜크단위부재를 코팅하는 단계(S7), 상기 (S2)에 의해 콜크카페트 완제품을 생산하는 단계(S8)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콜크카페트(1)의 콜크단위부재(210)를 순수 콜크만으로 이루어진 콜크시트(20)를 금형에 넣고 열압 성형하여 콜크단위부재(210)를 만들고, 이를 코팅하여 직물부직포(51)에 접착하고 테두리부(60)를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 제 3 실시 예 -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콜크시트(20)를 바닥부직포(50)에 직접 접착하여 구성되는 콜크 카페트(1)에 관한 것으로서, 콜크시트(20)에 일면에 바닥부직포(50)가 접착하여 콜크접착 부직포(110)를 얻는 단계(S9)와, 상기 콜크접착 부직포(110)에 투명한 염화비닐시트(43) 내지 필름을 접착하여 필림접착 부직포(120)를 얻는 단계(S10)와, 상기 필림접착 부직포(120)의 가장자리인 테두리부(60)가 재봉되하여 완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각 공정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 방수레쟈부직포 콜크 제조 단계 ; S9)
콜크를 방수레자(53)에 접착하는 공정(S9)으로서, 제 1 실시예의 콜크를 제조하는 상기 단계(S1)에 의해 제조된 콜크시트(20)내지는 천연의 콜크나 분말의 콜크를 우레탄수지가 도포된 바닥부직포(50;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닥부직포를 방수레쟈로 한다))에 접착하고 롤라 내지 프레스로 압착하여 접착하여지는 것으로 구성된다.
방수레자(53; 옥이나 숯, 게르마늄, 세라믹, 자석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방수염화비닐레쟈)가 공지의 라미네이팅기의 이송 부에 장착되고 그 스프레다 롤라(6)를 통과함으로서 접착제(30; 우레탄 본드(폴리올(디올류), 디아소시아네이트, 쇄연장재, 용제, 기타첨가제 등으로 구성되어지는 본드)가 도포되고 섭씨60℃의 건조실을 5초간 통과하여 우레탄본드(32)의 점착 건조가 진행될 때 상기 분말의 콜크가 우레탄 본드(32)상에 분사되어져 접착되어지고, 1차 소프트한 재질의 고무롤러에 의하여 가압된 후 2차 하드한 재질의 고무롤러에 의하여 가압되며 3차 스틸롤라에 의하여 가압된 후 상온의 건조실을 통과하고 접착되어진 콜크시트(20)외에 잔존하는 콜크를 브러쉬와 바람으로 제거하고 4차 하드한 고무롤러로 가압하고 5차 표면의 온도가 80도로 설정된 스틸롤러를 통과하여 접착이 이루어진다.
또는, 냉압프레스나 고주파프레스로 접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그 상부의 콜크시트(20)의 표면을 1차 220#입자의 페이퍼로 연마하고 2차 440#입자의 페이퍼로 연마하여 표면의 거친 부분과 요철부분을 연마기나 수작업을 하여 연마함으로서 표면에 있는 불순물, 오염 내지 잔존하는 콜크를 제거하게 되며, 이때에 사용되어지는 우레탄본드(32)나 염화비닐레자에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하여 제조되는 것을 실시할 수 있음도 가능하다.
(투명염화비닐 접착 단계 ; S10)
상기의 단계(S9)에 의해 제조된 콜크접착부직포(110)의 상면에 투명염화비닐(43)을 프레스(6)로 열압 접착하는 공정으로서, 먼저 완성된 콜크접착부직포(110)를 가지고 그 상부의 콜크표면을 200#∼500#입자의 페이퍼 등으로 표면의 거친 부분과 요철부분을 연마기나 수작업을 하여 연마함으로서 표면에 있는 불순물이나 침전물을 절삭하여 매끄럽게 다듬은 다음,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림을 프레스로 열압 하거나 롤러로 압착하여 접착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도장의 효과를 얻는다.
이는 도료가 따라가지 못하는 유연성과 부드러운 질감에 있다 할 것이고, 도막을 형성하고 있는 필름 내지 비닐이 표면으로부터의 수분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완전히 차폐함으로서 그 색상이나 품질을 오랜 기간 보존할 수 있으며 작업의 간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또는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림을 접착하지 않고 상기의 콜크접착부직포(110)위에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림을 올려놓고 미싱으로 재봉하여 이루어 질수도 있다.
(콜크 카페트 완제품 생산단계 ; S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 필림접착 부직포(120)를 재단하고 테두리부(60)를 재봉하여 마감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의 필림접착부직포(120)를 재단하여 콜크카페트의 면적이 되도록 하고 테두리부재를 재봉하거나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의 필림접착부직포(120)를 서로 접착하거나 재봉하여 양면에 콜크층이 형성되어 있는 콜크카페트를 제공한다.
상기의 테두리부재에 콜크카페트를 말아서 보관시 휘거나 꺾이는 것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철심 등의 보강재를 삽입하여 될 수 있다.
상기의 각 실시예에 병행하여 바닥부직포(50)와 콜크부재에 열선을 설치하고리모콘에 의하여 열선에 전원이 들어가고 발열하여 콜크부재에 고온의 열을 전달하는 것을 열원에 의한 난방이나 보온의 효과를 준다.
콜크를 판재나 부직포에 접착하지 않고 분말의 형태로 만들고 이를 투명한 연성의 튜브매트에 충진하거나 상기의 튜브매트를 바닥부직포에 배열하여 고정된 것으로 이루어진 콜크카페트를 만들 수도 있다.
상술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예측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원목이나 대나무, 왕골, 무늬목 접착 강화 목 등으로만 일관되었던 나무자리에 있어서, 판재와 콜크부재 등이 포름알데히드 방출 량이 무취용인 것으로 이루어지고, 접착부재에 있어서는, 보다 다양하고 천연의 기능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콜크를 나무자리에 활용하므로 인하여, 콜크가 지닌 실내위생과 강력한 탈취효과, 실내습도조절, 흡음과 방음, 정전기 방지, 보온과 단열, 뛰어난 탄력성, 방균성과 부패하지 않는 성질과 강한 신축성 등 천연의 재료만으로 환경친화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투명 도료나 필름의 도장이 되어있어 방습 및 방수 효과가 큼은 물론, 재질이 견고하며 콜크 무늬 자체에 서 풍기는 자연미와 더불어 종전엔 이룰 수 없었던 나무자리서의 단조롭고 획일적인 것에서 벗어나서 하나의 문양뿐만 아니라, 보다 복합적이고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여 문양이나 색상등의 표현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18)

  1. 콜크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콜크부재에 코팅 내지 필름 층을 형성하고 상기 콜크부재를 바닥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재봉 마감하여서 된 콜크카페트에 있어서,
    입자상태의 콜크소재를 가열 소성 성형하여 콜크 집성체를 만들고 이를 소정의 크기로 절편하여 콜크시트(20)를 얻는 단계(S1)와,
    상기 콜크시트(20)에 의해 무취 판재(10)를 접착하여 콜크 접착판재(100)를 얻는 단계(S2)와,
    상기 콜크 접착판재(100)상에 투명 도료를 소정의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S3)와,
    투명도료가 코팅된 콜크 접착판재(100)를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고, 이를 상도 도장하여 하나의 콜크 단위부재(200)를 얻는 단계(S4)와,
    상기 콜크 단위부재(200)의 일면에 부직포(50)를 접착하되, 그 자장자리인 테두리부(60)를 재봉(70)마감하여 콜크 카페트(1) 완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5)를 포함하여서 된 콜크카페트 제조방법.
  2. 콜크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콜크부재에 코팅 내지 필름 층을 형성하고 상기 콜크부재를 바닥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재봉 마감하여서 된 콜크카페트에 있어서,
    금형(6A,6B)에 의해 콜크시트(20)를 열압 성형하여 콜크 단위부재(210)를 얻는 단계(S6)과,
    상기 콜크 단위부재(210)에 투명도료를 코팅하는 단계(S7)와,
    코팅된 콜크 단위부재(210) 일면에 해당하는 크기의 직물부직포(52)가 접착되며, 직물 부직포(52)가 접착된 가장자리의 테두리부(60)가 접착처리 되어 완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제조방법.
  3. 콜크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콜크부재에 코팅 내지 필름 층을 형성하고 상기 콜크부재를 바닥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재봉 마감하여서 된 콜크카페트에 있어서,
    콜크시트(20)에 일면에 바닥부직포(52)가 접착하여 콜크접착 부직포(110)를 얻는 단계(S9)와,
    상기 콜크접착 부직포(110)에 투명한 염화비닐시트(43) 내지 필름을 접착하여 필림접착 부직포(120)를 얻는 단계(S10)와,
    상기 필림접착 부직포(120)의 가장자리인 테두리부(60)가 재봉되하여 완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크부재는 섬유질 압축강화 목으로,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0.6ppm(1.5mg/l)이하인 E1등급의 무취판재(10)위에 접착제(30)를 도포하고, 여기에 콜크시트를 접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크부재는 콜크를 콜크카페트(1)의 바닥부직포(50)에 접착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크부재에 코팅은 아이솔레이터 도장 후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크부재의 코팅층(40)이 콜크부재의 콜크 입자를 완전히 눈 메꿈한 도장이 아닌 오픈포아 도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 카페트.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콜크부재에는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필름을 접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크부재에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필름을 접착한 뒤 이들의 가장자리를 미싱으로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직포(50)가 콜크부재 등의 습기나 수분은 배출하고 외부의 수분이나 물은 차단하는 발수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직포(50)가 부직포에 발포되어진 비닐레쟈로서 저면에 망사 부직포와 수지층과 표면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방수 레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직포(50)가 바닥부직포(50)의 일면 내지 양면에 콜크부재가 접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60)를 재봉(70)하기 위하여 콜크카페트(1) 가장자리의 재봉 선을 따라 재봉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 홈에 메라민 내지 에폭시 또는 콜크부재로 이루어진 내수용제가 충진되거나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 카페트.
  1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콜크부재는 단위부재(200)가 각기 다른 입자와 색상을 가진 것을 조립할 때에 모자이크 기법에 의하여 임의의 문양이나 색상의 조화 내지 색상으로 형성되는 띠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하여 표현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직포(50)와 콜크부재 사이에 열선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카페트.
KR10-2000-0061435A 2000-10-18 2000-10-18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콜크 카페트 KR100395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435A KR100395309B1 (ko) 2000-10-18 2000-10-18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콜크 카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435A KR100395309B1 (ko) 2000-10-18 2000-10-18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콜크 카페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548A KR20020030548A (ko) 2002-04-25
KR100395309B1 true KR100395309B1 (ko) 2003-08-21

Family

ID=1969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435A KR100395309B1 (ko) 2000-10-18 2000-10-18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콜크 카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752B1 (ko) 2012-09-05 2013-06-17 한일이화주식회사 코르크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부품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872A (en) * 1972-11-10 1975-11-18 Armstrong Cork Co Carpet-faced wallboard
JPH079620A (ja) * 1993-06-23 1995-01-13 Tadahiro Akita コルク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26273A (ja) * 1995-06-02 1996-12-10 Noboru Isogaki
JPH09151596A (ja) * 1995-11-30 1997-06-10 Mitsubishi Chem Mkv Co コルク質床材
US5667444A (en) * 1994-06-21 1997-09-16 Caballero; Josep Lluis Mencheta Sports flooring
KR20000060158A (ko) * 1999-03-12 2000-10-16 성재갑 무늬목 적층 염화비닐수지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872A (en) * 1972-11-10 1975-11-18 Armstrong Cork Co Carpet-faced wallboard
JPH079620A (ja) * 1993-06-23 1995-01-13 Tadahiro Akita コルク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5667444A (en) * 1994-06-21 1997-09-16 Caballero; Josep Lluis Mencheta Sports flooring
JPH08326273A (ja) * 1995-06-02 1996-12-10 Noboru Isogaki
JPH09151596A (ja) * 1995-11-30 1997-06-10 Mitsubishi Chem Mkv Co コルク質床材
KR20000060158A (ko) * 1999-03-12 2000-10-16 성재갑 무늬목 적층 염화비닐수지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752B1 (ko) 2012-09-05 2013-06-17 한일이화주식회사 코르크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부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548A (ko)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2349B (zh) 具有耐磨表面的基于纤维的镶板
CN107165376B (zh) 一种超耐磨耐刮防水的塑胶地板及其制造方法
RU268744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мента, покрытого шпоном, и такой элемент, покрытый шпоном
CN102917878B (zh) 用于制造包含粉末覆盖层的建筑镶板的方法
ES2693125T3 (es)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 tablero de suelo basado en fibra de madera
CN101998896B (zh) 具有薄的表面层的基于木质纤维的镶板
KR100258600B1 (ko) 멜라민시트적층염화비닐바닥장식재
US20090291286A1 (en) Laminate manufacturing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US10603812B2 (en) Process of making compreg multi-colored laminated wood and utility, ornamental, decorative products thereof
CN107206734A (zh) 由再生材料和可再生材料制成的复合板
CN101480806A (zh) 集成材细木工高强度装饰板材及其制备方法
CN107816193A (zh) 一种实木复合软木地板及其制作方法
CN105034126A (zh) 一种压制高性能重组木的方法
CN110206262A (zh) 一种表层为pp膜的复合木质地板及制备方法
KR100417536B1 (ko) 기능성 화장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화장판
KR100395309B1 (ko) 콜크 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콜크 카페트
KR100392338B1 (ko) 콜크부직포 돗자리 및 그 제조방법
CA2615739C (en) Decorative wood material shee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0395305B1 (ko) 무취 우드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무취 우드카페트
CN209760692U (zh) 一种osb软木复合地板
KR200345225Y1 (ko) 기능성 화장판
KR100710722B1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US20080042313A1 (en) Molded composite manufacturing process
CN109537848A (zh) 一种osb软木复合地板及其制备工艺
KR102595518B1 (ko) 인테리어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