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811A -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811A
KR20020035811A KR1020020021864A KR20020021864A KR20020035811A KR 20020035811 A KR20020035811 A KR 20020035811A KR 1020020021864 A KR1020020021864 A KR 1020020021864A KR 20020021864 A KR20020021864 A KR 20020021864A KR 20020035811 A KR20020035811 A KR 20020035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hape
synthetic resin
frame
resi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명재
Original Assignee
성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명재 filed Critical 성명재
Priority to KR102002002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5811A/ko
Publication of KR2002003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0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제 용기에 담긴 세재나 세정액 등을 배출하는 스프링 장치를 합성수지제를 원료로 탄발력있는 스프링구조로 변환성형하여 플라스틱제 용기를 폐기할 경우 별도의 금속제를 분리하는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분쇄하게 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1)이 뚫린 합성수지재로 된 원판(2)(2')을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다단으로 적층결합시킨 판스프링(11)에 있어서, 상기 원판(2)(2')을 평행하게 형성시킨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20)의 두께보다 소정의 얇은 여러형상으로 반복되는 스프링프레임(10)이 상기 고정프레임(20) 사이에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판스프링(11)의 형상을 도시한 실시예로서 원통형 형상(E1), 마름모형상(E2), 피라미드형상(E3) 또는 변형사다리꼴형상(E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스프링프레임(10)의 형상을 도시한 실시예로서 일정크기의 반복구조로 마름모꼴 형상(F1), 상호대칭되는 측면 V자형상(F2), 지그재그형상(F3), X자 형상(F4) 등의 반복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The spring device formed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제 용기에 담긴 세재나 세정액 등을 배출하는 스프링 장치를 합성수지제를 원료로 탄발력있는 스프링구조로 변환성형하여 플라스틱제 용기를 폐기할 경우 별도의 금속제를 분리하는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분쇄하게 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재나 세정액 등은 피스톤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배출장치가 장착된 플라스틱재 용기에 담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플라스틱재 용기에 담긴 세재나 세정액을 배출하는데 사용하는 배출장치는 플라스틱재로 형성되어 있으나, 배출장치의 주 부품인 스프링은 금속재로 형성되어 액체로 된 세재나 세정액에 의하여 산화되어 인체에 악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원의 재활용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일반 가정이나 대중목욕탕 및 사우나 등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플라스틱제 세재나 세정액 용기를 사용후 폐기처분하게 되는데, 상기 용기를 폐기 처분할 경우 용기를 파쇄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이때 배출장치에 장착된 금속재 스프링으로 인하여 배출장치를 일일이 선별하여 분리하는 분리작업을 해야하는데 이는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 및 인력 소모되어 능률적인 재활용 작업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20-0169158)에서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용액펌핑용으로 자바라 형태의 스프링을 제안하고 있으나 현실의 금형제작기법상 제작하는데 있어 플라스틱류의 두께가 극히 제한된 수치이내의 상태로 제품을 성형하여야 자바라형 스프링을 얻을 수 있고, 이때 제한된 수치이상의 두께를 유지할 경우 합성수지제가 응고되어 탄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또한 코일형 방법으로 등록실용신안(20-021438)등은 압축 및 팽창시 원하는 탄성 및 인장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플라스틱제 용기에 담긴 세재나 세정액 등을 배출하는 스프링 장치의 제작공정을 변환함으로서 고정프레임과 스프링프레임으로 구성하여 공정을 간단히 하고, 탄발력있는 합성수지제를 사용하여 장력을 이용한 탄발력있는 스프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a,3b는 본 발명의 판스프링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4b,4c,4d는 본 발명의 스프링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중공 2,2': 원판 10: 스프링프레임
11: 판스프링 20: 고정프레임 E1: 원통형 형상
E2: 마름모형상 E3: 피라미드형상 E4: 변형사다리꼴형상
F1: 마름모꼴형상 F2: 측면 V자형상 F3: 지그재그형상
F4: X자 형상 A: 각도
중공(1)이 뚫린 합성수지재로 된 원판(2)(2')을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다단으로 적층결합시킨 판스프링(11)에 있어서, 상기 원판(2)(2')을 평행하게 형성시킨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20)의 두께보다 소정의 얇은 여러형상으로 반복되는 스프링프레임(10)이 상기 고정프레임(20) 사이에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판스프링(11)의 형상을 도시한 실시예로서 원통형 형상(E1), 마름모형상(E2), 피라미드형상(E3) 또는 변형사다리꼴형상(E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스프링프레임(10)의 형상을 도시한 실시예로서 일정크기의 반복구조로 마름모꼴 형상(F1), 상호대칭되는 측면 V자형상(F2), 지그재그형상(F3), X자 형상(F4) 등의 반복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탄발력을 가진 합성수지로서 성형되고, 도 1에서 도시한 각도 A에서 발생되는 탄발력과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의 자체의 탄발력이 합쳐져 최대의 탄발력 효율을 지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0)과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의 두께비율은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을 상기 고정프레임(20)보다 얇게 성형함으로서 장력을 증가시켜 탄발력있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의 크기와 상기 고정프레임(20)과의 간격은 물체 내의 임의의 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양쪽에서 끌어당기는 변형력을 나타내는 장력이 적정범위에서 탄발력을 최대화하는 크기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1)의 제작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사출압력에 의해 중공(1)이 뚫린 금형에 원료를 부어 형을 만들어 원료에 열을 가하면 녹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쌀 알 크기만한 펠레트(pellet)라고 불리는 원료를 약 50도 전후로 가열, 용융하고 형에 충전한 다음 이것을 냉각, 경화시키고 금형을 열어 성형품을 얻는 것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상기 고정프레임(20)과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작이 매우 편리하고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가격또한 저렴하고 무게도 가벼워 다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장기간을 사용하여도 녹이 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이 길어진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많이 사용되어지는 곳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구를 반복해서 눌러주면 로드에 결합된 피스톤이 승강되면서 피스톤의 압축력과 흡인력에 의하여 용기내부에 주입된 용액이 실린더 하측에 결합된 호스를 통해 실린더로 유입된 후 가압구의 노즐공을 통해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펌핑용 용기의 상기 스프링(11)에 사용한다. 따라서 용액이 펌핑되어지므로 금속제로 사용하여 용액이 변질될 가능성을 함유하는 것보다 용기와 동종류의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이 용액의 성질을 보존시키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해 파쇄할 경우 별도의 금속제를 분리하는 작업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1a 및 도 3a,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1)의 형상을 원통형 형상(E1), 마름모형상(E2), 피라미드형상(E3) 또는 변형사다리꼴형상(E4)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프레임(10)의 실시예로서 도 4a,4b,4c,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사이의 스프링프레임(10)의 형태는 일정크기로 상기 스프링프레임이 커지고 작아짐이 반복하는 구조의 마름모꼴(F1)형상, 상호대칭되는 측면 V자형상(F2), 계단모양의 지그재그형상(F3), X자 형상(F4) 등으로 각각의 상기 판스프링(11)과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의 형상에 따라 장력의 크기도 달라지고,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은 각각의 각도 A에 따라 탄발력의 크기도 달라지고, 상기 판스프링(11)의 경우 형태의 크기에 따른 장력의 위치에너지도 다르게 적용되어 필요한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판스프링(11)의 형상을 지정하여 용도를 달리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탄발력있는 합성수지재로 된 스프링(11)을 고정프레임(20)과 스프링프레임(10)으로 구분지어 구성하는 제작공정으로 간단히 변환함으로서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이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0)과의 각도 A에서 발생하는 탄발력과 상기 스프링프레임(10) 자체의 장력에 의한 탄발력이 합쳐져 탄발력의 증대효과를 가져오고, 상기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11)이 포함된 용기 등을 파쇄할 때에 별도의 금속제 분리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간단하게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중공(1)이 뚫린 합성수지재로 된 원판(2)(2')을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다단으로 적층결합시킨 판스프링(11)에 있어서, 원판(2)을 평행하게 형성시킨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20)의 두께보다 소정의 얇은 여러형상으로 반복되는 스프링프레임(10)이 상기 고정프레임(20) 사이에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1)의 형상은 원통형 형상(E1), 마름모형상(E2), 피라미드형상(E3), 변형사다리꼴형상(E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3. 제 1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의 형상은 일정크기의 마름모꼴(F1)형상의 반복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4. 제 1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의 형상은 일정크기의 상호대칭되는 측면 V자형상(F2)의 반복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5. 제 1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의 형상은 일정크기의 지그재그형상(F3)의 반복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6. 제 1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프레임(10)의 형상은 일정크기의 X자 형상(F4)의 반복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KR1020020021864A 2002-04-22 2002-04-22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KR20020035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864A KR20020035811A (ko) 2002-04-22 2002-04-22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864A KR20020035811A (ko) 2002-04-22 2002-04-22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133U Division KR200286798Y1 (ko) 2002-04-22 2002-04-22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811A true KR20020035811A (ko) 2002-05-15

Family

ID=1972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864A KR20020035811A (ko) 2002-04-22 2002-04-22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581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876Y1 (ko) 2019-10-28 2020-01-15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치과 드릴 조립체용 탄성수단
KR102116648B1 (ko) * 2020-01-22 2020-05-28 강민구 펌프 용기
KR102186036B1 (ko) * 2019-12-12 2020-12-03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343287B1 (ko) * 2021-08-26 2021-12-24 이재환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CN114151485A (zh) * 2020-09-07 2022-03-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树脂制弹簧
US20230104389A1 (en) * 2021-10-05 2023-04-06 Sunsoo Kim Elastic member for pump dispenser
KR20230121705A (ko) * 2020-06-16 2023-08-21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 부재
KR20230155373A (ko) * 2023-08-08 2023-11-10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71A (ja) * 1996-07-01 1998-01-20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圧縮スプリング
JPH1047400A (ja) * 1996-05-29 1998-02-17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スプリング
JPH1072052A (ja) * 1996-08-28 1998-03-17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注出器
JPH10325433A (ja) * 1997-05-26 1998-12-08 Kato Spring Seisakusho:Kk 樹脂製コイルスプリング、コイルスプリングの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樹脂製コイルスプリングの製造方法
KR200286798Y1 (ko) * 2002-04-22 2002-08-24 성명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400A (ja) * 1996-05-29 1998-02-17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スプリング
JPH1019071A (ja) * 1996-07-01 1998-01-20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圧縮スプリング
JPH1072052A (ja) * 1996-08-28 1998-03-17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注出器
JPH10325433A (ja) * 1997-05-26 1998-12-08 Kato Spring Seisakusho:Kk 樹脂製コイルスプリング、コイルスプリングの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樹脂製コイルスプリングの製造方法
KR200286798Y1 (ko) * 2002-04-22 2002-08-24 성명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876Y1 (ko) 2019-10-28 2020-01-15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치과 드릴 조립체용 탄성수단
CN114786821A (zh) * 2019-12-12 2022-07-22 株式会社衍宇 弹性部件及包括该弹性部件的泵组件
US11813626B2 (en) 2019-12-12 2023-11-14 Yonwoo Co., Ltd. Elastic member and pump assembly comprising same
KR102186036B1 (ko) * 2019-12-12 2020-12-03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WO2021118025A1 (ko) * 2019-12-12 2021-06-17 주식회사 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20210075006A (ko) * 2019-12-12 2021-06-22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CN114786821B (zh) * 2019-12-12 2023-09-12 株式会社衍宇 弹性部件及包括该弹性部件的泵组件
US20230001436A1 (en) * 2019-12-12 2023-01-05 Yonwoo Co., Ltd. Elastic member and pump assembly comprising same
CN113148420A (zh) * 2020-01-22 2021-07-23 姜旻求 泵容器
CN113148420B (zh) * 2020-01-22 2022-12-13 姜旻求 泵容器
WO2021149871A1 (ko) * 2020-01-22 2021-07-29 강민구 펌프 용기
EP3854486A1 (en) * 2020-01-22 2021-07-28 Min Gu Kang Pump container
KR102116648B1 (ko) * 2020-01-22 2020-05-28 강민구 펌프 용기
KR20230121705A (ko) * 2020-06-16 2023-08-21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 부재
CN114151485A (zh) * 2020-09-07 2022-03-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树脂制弹簧
KR102343287B1 (ko) * 2021-08-26 2021-12-24 이재환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WO2023027383A1 (ko) * 2021-08-26 2023-03-02 이재환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US20230104389A1 (en) * 2021-10-05 2023-04-06 Sunsoo Kim Elastic member for pump dispenser
KR20230000725U (ko) * 2021-10-05 2023-04-12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 부재
KR20230155373A (ko) * 2023-08-08 2023-11-10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6798Y1 (ko)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KR20020035811A (ko)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US7820259B2 (en) Housing, injection mold for making the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housing by using the injection mold
EP0721834A4 (en) SURFACE MATERIAL THAT HAS A VARIETY OF DEPTHS AND PROJECTS IN AND ON ITS SURFACE,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OBJECTS USING THIS SURFACE MATERIAL
CN208410630U (zh) 一种塑料制品生产用模具顶出装置
US3094758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ressing detergents
CN101569906B (zh) 模具结构
CN207273736U (zh) 小家电齿轮一体成型且高效注塑模具
CN103419339B (zh) 塑封注塑装置及其注射头
CN206812338U (zh) 一种嵌件注塑产品的浮动嵌件定位模具结构
CN208112776U (zh) 液晶电视凸式装饰环保护件
ES2111758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a teja compuesta de materia plastica reciclada y teja asi obtenida.
CN205704953U (zh) 一种塑料牛奶瓶压塑机
CN208323978U (zh) 一种塑胶鱼饵压模机
CN210173993U (zh) 一种塑胶制品生产用废料回收装置
CN210883316U (zh) 一种结构改良的环保型胶袋
CN211591453U (zh) 一种人造岗石真空压制成型装置用压盘
CN113923903A (zh) 一种适用于户外电器的工程塑料外壳及其注塑成型方法
CN218111566U (zh) 一种用于硅胶注塑的一次性模具
CN215396814U (zh) 环保型造粒机水冷区用水流回收装置
CN217962871U (zh) 一种废旧塑胶椅回收破碎装置
CN217552967U (zh) 一种汽车零部件用注塑成型装置
KR100876384B1 (ko) 수지시트 제조용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수지시트 제조방법
CN206953408U (zh) 一种新型发泡挤压一次成型注塑件
CN212124149U (zh) 一种生产吸塑包装的快速脱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