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287B1 -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287B1
KR102343287B1 KR1020210113507A KR20210113507A KR102343287B1 KR 102343287 B1 KR102343287 B1 KR 102343287B1 KR 1020210113507 A KR1020210113507 A KR 1020210113507A KR 20210113507 A KR20210113507 A KR 20210113507A KR 102343287 B1 KR102343287 B1 KR 102343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member
bound
lower support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이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환 filed Critical 이재환
Priority to KR1020210113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287B1/ko
Priority to PCT/KR2022/011780 priority patent/WO20230273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05B11/3004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는, 평면상 소정 크기의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된 하단지지부; 상기 하단지지부 또는 제2탄성부의 일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하단지지부 또는 제2탄성부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되며, 평면상 하단지지부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된 제1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의 타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제1탄성부의 타측과 결속되는 위치는 하단지지부와 제1탄성부가 서로 결속되는 위치와 평면상 정반대편에 위치하는 방향이며, 제1탄성부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되며, 평면상 제1탄성부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된 제2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가 연속적으로 교번 결속되어 하나의 탄성 결속 구조를 형성하는 탄성구조형성부; 및 상기 탄성구조형성부를 구성하는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구성의 일측 또는 타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최상단에 위치하는 구성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되며, 평면상 하단지지부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된 상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핑장치의 펌핑작동을 순조롭게 유도할 수 있고, 펌핑작동에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일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변경되지 않아 펌핑장치의 일정한 펌핑 토출량을 보장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Spring Having A Structure For Smoothly Guiding The Pumping Of The Pumping Device, And A Pump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할 수 있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겔(gel)상의 화장품을 용기로부터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의 개구부에 내용물 배출장치를 결합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의 개구부에 배출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내용물을 필요한 량 만큼 씩만 배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고, 적정량 사용으로 화장품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의 잦은 구입 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을 적정량씩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배출장치는, 펌프체의 피스톤과 연결된 헤드를 누르면 실린더의 흡입구로 위치한 체크밸브가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흡입구를 차단시켜 실린더내에 유입되어 있는 내용물이 용기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실린더내의 내용물이 압력에 의해 피스톤의 이송로를 거쳐 헤드를 통해 배출되고, 헤드에 가해졌던 압력이 해제되어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피스톤이 상부로 이동할 때 실린더의 흡입구를 차단하고 있던 체크밸브가 흡입구로부터 이격되면서 용기내의 내용물이 실린더 내부에 재차 유입되어 연속적인 펌핑 작동으로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배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체를 내용물이 위치하는 실린더의 내부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 내용물이 금속재인 스프링에 대하여 화학반응을 일으켜 변질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에 의한 화장품의 변질(화학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물 배출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제306872호로 등록된 바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306872호에 개시된 상기의 배출장치는 스프링이 화장품의 내용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나, 스프링이 펌프체와 펌프체의 피스톤 상부로 연결 설치되어 있는 헤드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것이어서 배출장치를 조립 생산하는데 따른 조립공수가 늘어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스프링이 별도의 부품으로 취급됨으로써 보관 및 운반 시 분실의 우려가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307호 (공개일자: 2017년10월12일)
본 발명의 목적은, 펌핑장치의 펌핑작동을 순조롭게 유도할 수 있고, 펌핑작동에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일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변경되지 않아 펌핑장치의 일정한 펌핑 토출량을 보장할 수 있으며, 액상 화장품과의 접촉에 의한 액상 화장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탄성부재는, 평면상 소정 크기의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하단지지부; 상기 하단지지부 또는 제2탄성부의 일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하단지지부 또는 제2탄성부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되며, 평면상 하단지지부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제1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의 타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제1탄성부의 타측과 결속되는 위치는 하단지지부와 제1탄성부가 서로 결속되는 위치와 평면상 정반대편에 위치하는 방향이며, 제1탄성부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되며, 평면상 제1탄성부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제2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가 연속적으로 교번 결속되어 하나의 탄성 결속 구조를 형성하는 탄성구조형성부; 및 상기 탄성구조형성부를 구성하는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구성의 일측 또는 타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최상단에 위치하는 구성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되며, 평면상 하단지지부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상단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부, 제1탄성부, 제2탄성부 및 상단지지부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부 및 상단지지부는, 장착하고자 하는 장착면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형성되거나, 장착하고자 하는 장착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부의 종단면 구조는,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조합된 다각형 구조이고, 상기 하단지지부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T1)는 외경(OD) 대비 10 내지 20%의 길이이고, 상기 하단지지부의 종단면상 일측과 타측 각각의 폭(D1)은 외경(OD) 대비 10 내지 20%의 길이이고, 상기 하단지지부의 일측과 제1탄성부가 서로 결속되는 부분의 높이방향 두께(T2)는 하단지지부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T1) 대비 150 내지 180%의 길이이고, 상기 하단지지부의 일측과 제1탄성부가 서로 결속되는 부분의 폭(D2)은 하단지지부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T1) 대비 80 내지 100%의 길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탄성부, 제2탄성부 및 상단지지부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 종단면상 일측과 타측 각각의 폭, 다른 구성과 결속되는 부분의 높이방향 두께, 다른 구성과 결속되는 부분의 폭은, 하단지지부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의 일단부에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탄성부재에 압축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탄성부의 측면 및 제2탄성부의 측면과 평행한 수직 측면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의 하단지지돌기; 및 상기 상단지지부의 일단부에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탄성부재에 압축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탄성부의 측면 및 제2탄성부의 측면과 평행한 수직 측면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의 상단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구조형성부의 내측공간에 장착되고, 탄성부재의 압축에 의해 연동하여 압축되어 탄성부재 내측공간 충진하는 구조의 보조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탄성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의 내주면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중앙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환형구조의 하단장착부; 상기 하단장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고, 하단장착부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방으로 연속적으로 비틀려 상승하는 스크류 구조의 곡면 구조를 형성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곡면형성부; 및 상기 곡면형성부의 상단부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며 상단면에 결속요철구조가 형성된 상단장착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탄성부재의 곡면형성부의 외주면은, 상기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의 내주면과 평행한 수직 측면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펌프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 펌프는, 샤프트의 상단에 결속되고, 샤프트의 유동로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로가 형성된 헤드; 내부 중심에 유동로가 형성되고, 유동로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탄성부재 상단고정홈이 형성되며, 상단에 헤드 결속부, 하단에 스템 결속부가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한 헤드 누름동작에 의해 결속 실린더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 슬라이딩 구동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형 구조이고, 샤프트의 유동로 하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탄성부재 하단고정홈이 형성되며, 상단에 결속 실린더의 상단과 결속되는 실린더 결속부가 형성되는 챠플렛;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유동로와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는 스템; 상기 챠플렛의 실린더 결속부와 결속되고, 내부에 샤프트 상하 슬라이딩 구동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상단에 화장품용기의 입구와 결속되는 커버가 위치하는 플랜지 구조가 형성된 결속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속 실린더의 하부에는, 화장품용기 내부에 수납된 액상 화장품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에는 샤프트의 상하방향 슬라이딩 구동에 따라 형성되는 유동로 내부에 압력차에 의해 흡입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판막구조의 판상형 개폐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부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단지지부, 제1탄성부, 제2탄성부, 탄성구조형성부 및 상단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펌핑장치의 펌핑작동을 순조롭게 유도할 수 있고, 펌핑작동에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일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변경되지 않아 펌핑장치의 일정한 펌핑 토출량을 보장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부재에 따르면, 하단지부, 제1탄성부, 제2탄성부 및 상단지지부를 모두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인체 피부에 적용되는 화장품에 금속 소재가 직접 접촉하여 화장품의 금속 부식에 의한 요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식품가공장치, 식품포장장치 등 식품을 다루는 장치에 적용되어 식품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위생적인 식품 가공을 구현할 수 있어, 금속 탄성부재를 상용함에 따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부재에 따르면, 하단지지부, 제1탄성부, 제2탄성부 및 상단지지부의 종단면상 두께 및 폭의 길이, 다른 구성과 결속되는 부분의 높이 방향 두께 및 폭의 길이를 하단지지부의 평면상 외경(OD)을 기준으로 서로 유기적으로 특정 범위로 한정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특정 크기 이상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부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단지지돌기 및 상단지지돌기를 특정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탄성부재가 장착된 하단면과 상단면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고, 탄성부재가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 의해 헤드 누름동작에 대항하여 탄성복원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부재를 장착한 화장품 용기펌프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단장착부, 곡면형성부 및 상단장착부를 포함하는 보조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헤드 누름동작에 따라 보조탄성부재가 하방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헤드의 내부공간을 급격히 축소함으로써, 헤드 내부공간 중 보조탄성부재 내부 공간에 충진되어 있는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어, 종래 기술에 따른 펌핑동작 스트로크 길이와 동일한 스트로크 길이로 펌핑동작을 실시함에도 종래 기술 대비 더 증가된 펌핑량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부재를 장착한 화장품 용기펌프에 따르면, 특정 판막구조의 판상형 개폐부재를 흡입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장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구슬형 개폐부재를 장착한 화장품 용기 펌프의 구슬의 의도치않은 움직임에 따른 액상 화장품의 유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품 펌프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탄성부재가 외력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탄성부재가 외력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보조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펌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펌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00)는, 특정 구조의 하단지지부(110), 제1탄성부(120), 제2탄성부(130), 탄성구조형성부(140) 및 상단지지부(150)를 구비함으로써, 펌핑장치의 펌핑작동을 순조롭게 유도할 수 있고, 펌핑작동에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일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변경되지 않아 펌핑장치의 일정한 펌핑 토출량을 보장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 3에 도시된 탄성부재가 외력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단지지부(110)는, 평면상 소정 크기의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탄성부(120)는, 하단지지부(110) 또는 제2탄성부(130)의 일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하단지지부(110) 또는 제2탄성부(130)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된다. 이때, 제1탄성부(120)는, 평면상 하단지지부(110)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부(130)는, 제1탄성부(120)의 타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제1탄성부(120)의 타측과 결속되는 위치는 하단지지부(110)와 제1탄성부(120)가 서로 결속되는 위치와 평면상 정반대편에 위치하는 방향이며, 제1탄성부(120)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된다. 이때, 제2탄성부(130)는, 평면상 제1탄성부(120)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부(120)와 제2탄성부(130)는 연속적으로 교번 결속되어 하나의 탄성 결속 구조를 형성하는 탄성구조형성부(140)를 형성한다.
상단지지부(150)는, 탄성구조형성부(140)를 구성하는 제1탄성부(120)와 제2탄성부(130)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구성의 일측 또는 타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구성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된다. 이때, 상단지지부(150)는, 평면상 하단지지부(110)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지부, 제1탄성부(120), 제2탄성부(130) 및 상단지지부(150)를 모두 플라스틱(PP, Polypropylene)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인체 피부에 적용되는 화장품에 금속 소재가 직접 접촉하여 화장품의 금속 부식에 의한 요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식품가공장치, 식품포장장치 등 식품을 다루는 장치에 적용되어 식품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위생적인 식품 가공을 구현할 수 있어, 금속 탄성부재를 상용함에 따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단지지부(110)의 종단면 구조는,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조합된 다각형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지지부(110)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T1)는 외경(OD) 대비 10 내지 20%의 길이이고, 하단지지부(110)의 종단면상 일측과 타측 각각의 폭(D1)은 외경(OD) 대비 10 내지 20%의 길이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단지지부(110)의 일측과 제1탄성부(120)가 서로 결속되는 부분의 높이방향 두께(T2)는 하단지지부(110)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T1) 대비 150 내지 180%의 길이이다. 또한, 하단지지부(110)의 일측과 제1탄성부(120)가 서로 결속되는 부분의 폭(D2)은 하단지지부(110)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T1) 대비 80 내지 100%의 길이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탄성부(120), 제2탄성부(130) 및 상단지지부(150)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 종단면상 일측과 타측 각각의 폭, 다른 구성과 결속되는 부분의 높이방향 두께, 다른 구성과 결속되는 부분의 폭은, 하단지지부(110)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지지부(110), 제1탄성부(120), 제2탄성부(130) 및 상단지지부(150)의 종단면상 두께 및 폭의 길이, 다른 구성과 결속되는 부분의 높이 방향 두께 및 폭의 길이를 하단지지부(110)의 평면상 외경(OD)을 기준으로 서로 유기적으로 특정 범위로 한정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특정 크기 이상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00)는, 하단지지부(110)와 상단지지부(150)에 각각 측방으로 돌출된 돌기구조를 더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지지부(110)의 일단부에는 하단지지돌기(111)가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단지지돌기(111)는, 탄성부재에 압축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탄성부(120)의 측면 및 제2탄성부(130)의 측면과 평행한 수직 측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단지지부(150)의 일단부에는 상단지지돌기(151)가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단지지돌기(151)는, 탄성부재에 압축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탄성부(120)의 측면 및 제2탄성부(130)의 측면과 평행한 수직 측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단지지돌기(111) 및 상단지지돌기(151)를 특정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탄성부재가 장착된 하단면과 상단면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고, 탄성부재가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 의해 헤드 누름동작에 대항하여 탄성복원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탄성부재가 외력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00)의 하단지지부(110)와 상단지지부(150)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구조(도 6의 111, 151 참조)가 생략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 도 6과 도 8의 비교)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00)에 압축력이 인가되어 탄성부재(100)가 상하방향으로 압축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구조가 상하방향으로 연속되는 평면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다른 탄성부재(100)는 원통형 홈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단지지부(110) 및 상단지지부(150)는, 장착하고자 하는 장착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단지지부(150)의 하부에 결속되는 구성은 제1탄성부(120) 또는 제2탄성부(130)일 수 있다. 즉, 탄성구조형성부(140)를 구성하는 제1탄성부(120)와 제2탄성부(130)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보조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펌프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펌프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00)는, 탄성구조형성부(140)의 내측공간에 장착되는 보조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탄성부재(160)는, 탄성부재의 압축에 의해 연동하여 압축되어 탄성부재 내측공간 충진하는 구조로서, 특정 구조의 하단장착부(161), 곡면형성부(162) 및 상단장착부(16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조탄성부재(160)의 하단장착부(161)는, 하단지지부(110)의 내주면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중앙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환형구조일 수 있다. 곡면형성부(162)는, 하단장착부(161)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하단장착부(161)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방으로 연속적으로 비틀려 상승하는 스크류 구조의 곡면 구조를 형성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장착부(163)는, 상기 곡면형성부(162)의 상단부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며 상단면에 결속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탄성부재(160)의 곡면형성부(162)의 외주면은, 제1탄성부(120) 및 제2탄성부(130)의 내주면과 평행한 수직 측면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펌프(200)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00)를 탄성부재 상단고정홈(222)과 탄성부재 하단고정홈(231) 사이에 장착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펌프(200)는, 특정 구조의 헤드(210), 샤프트(220), 챠플렛(230), 스템(240) 및 결속 실린더(25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용기 펌프(200)의 헤드(210)는, 샤프트(220)의 상단에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샤프트(220)의 유동로(221)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로(211)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샤프트(220)는, 내부 중심에 유동로(221)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유동로(221)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탄성부재 상단고정홈(222)이 형성되고, 상단에 헤드 결속부(223), 하단에 스템 결속부(224)가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한 헤드(210) 누름동작에 의해 결속 실린더(250)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스템(240)은, 샤프트(220)의 하단에 유동로(221)와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챠플렛(230)은, 샤프트(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형 구조로서, 샤프트(220)의 유동로(221) 하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탄성부재 하단고정홈(231)이 형성되며, 상단에 결속 실린더(250)의 상단과 결속되는 실린더 결속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 실린더(250)는, 챠플렛(230)의 실린더 결속부(232)와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샤프트(220) 상하 슬라이딩 구동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상단에 화장품용기의 입구와 결속되는 커버(252)가 위치하는 플랜지 구조(251)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결속 실린더(250)의 하부에는, 화장품용기 내부에 수납된 액상 화장품을 흡입하는 흡입구(2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단장착부(161), 곡면형성부(162) 및 상단장착부(163)를 포함하는 보조탄성부재(16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헤드 누름동작에 따라 보조탄성부재(160)가 하방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헤드의 내부공간을 급격히 축소함으로써, 헤드 내부공간 중 보조탄성부재(160) 내부 공간에 충진되어 있는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어, 종래 기술에 따른 펌핑동작 스트로크 길이와 동일한 스트로크 길이로 펌핑동작을 실시함에도 종래 기술 대비 더 증가된 펌핑량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흡입구(253)에는 샤프트(220)의 상하방향 슬라이딩 구동에 따라 형성되는 유동로(221) 내부에 압력차에 의해 흡입구(253)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판막구조의 판상형 개폐부재(254)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판막구조의 판상형 개폐부재(254)를 흡입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장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구슬형 개폐부재를 장착한 화장품 용기 펌프의 구슬의 의도치않은 움직임에 따른 액상 화장품의 유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탄성부재
110: 하단지지부
111: 하단지지돌기
120: 제1탄성부
130: 제2탄성부
140: 탄성구조형성부
150: 상단지지부
151: 상단지지돌기
160: 보조탄성부재
161: 하단장착부
162: 곡면형성부
163: 상단장착부
200: 화장품 용기 펌프
210: 헤드
211: 배출로
220: 샤프트
221: 유동로
222: 탄성부재 상단고정홈
223: 헤드 결속부
224: 스템 결속부
230: 챠플렛
231: 탄성부재 하단고정홈
232: 실린더 결속부
240: 스템
250: 결속 실린더
251: 플랜지 구조
252: 커버
253: 흡입구
254: 판상형 개폐부재

Claims (5)

  1. 평면상 소정 크기의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 하단지지부(110);
    상기 하단지지부(110) 또는 제2탄성부(130)의 일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하단지지부(110) 또는 제2탄성부(130)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되며, 평면상 하단지지부(110)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 제1탄성부(120);
    상기 제1탄성부(120)의 타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제1탄성부(120)의 타측과 결속되는 위치는 하단지지부(110)와 제1탄성부(120)가 서로 결속되는 위치와 평면상 정반대편에 위치하는 방향이며, 제1탄성부(120)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되며, 평면상 제1탄성부(120)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 제2탄성부(130);
    상기 제1탄성부(120)와 제2탄성부(130)가 연속적으로 교번 결속되어 하나의 탄성 결속 구조를 형성하는 탄성구조형성부(140);
    상기 탄성구조형성부(140)를 구성하는 제1탄성부(120)와 제2탄성부(130)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구성의 일측 또는 타측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최상단에 위치하는 구성의 상부면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는 하부면을 가지도록 결속되며, 평면상 하단지지부(110)와 동일한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 상단지지부(150);
    상기 하단지지부(110)의 일단부에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탄성부재에 압축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탄성부(120)의 측면 및 제2탄성부(130)의 측면과 평행한 수직 측면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의 하단지지돌기(111); 및
    상기 상단지지부(150)의 일단부에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탄성부재에 압축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탄성부(120)의 측면 및 제2탄성부(130)의 측면과 평행한 수직 측면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의 상단지지돌기(15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부(110) 및 상단지지부(150)는,
    장착하고자 하는 장착면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형성되거나,
    장착하고자 하는 장착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단지지부(110)의 종단면 구조는,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조합된 다각형 구조이고,
    상기 하단지지부(110)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T1)는 외경(OD) 대비 10 내지 20%의 길이이고,
    상기 하단지지부(110)의 종단면상 일측과 타측 각각의 폭(D1)은 외경(OD) 대비 10 내지 20%의 길이이고,
    상기 하단지지부(110)의 일측과 제1탄성부(120)가 서로 결속되는 부분의 높이방향 두께(T2)는 하단지지부(110)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T1) 대비 150 내지 180%의 길이이고,
    상기 하단지지부(110)의 일측과 제1탄성부(120)가 서로 결속되는 부분의 폭(D2)은 하단지지부(110)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T1) 대비 80 내지 100%의 길이이며,
    상기 제1탄성부(120), 제2탄성부(130) 및 상단지지부(150)의 종단면상 높이방향 두께, 종단면상 일측과 타측 각각의 폭, 다른 구성과 결속되는 부분의 높이방향 두께, 다른 구성과 결속되는 부분의 폭은, 하단지지부(110)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구조형성부(140)의 내측공간에 장착되고, 탄성부재의 압축에 의해 연동하여 압축되어 탄성부재 내측공간 충진하는 구조의 보조탄성부재(16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탄성부재(160)는,
    상기 하단지지부(110)의 내주면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중앙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환형구조의 하단장착부(161);
    상기 하단장착부(161)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고, 하단장착부(161)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방으로 연속적으로 비틀려 상승하는 스크류 구조의 곡면 구조를 형성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곡면형성부(162); 및
    상기 곡면형성부(162)의 상단부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며 상단면에 결속요철구조가 형성된 상단장착부(163);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탄성부재(160)의 곡면형성부(162)의 외주면은,
    상기 제1탄성부(120) 및 제2탄성부(130)의 내주면과 평행한 수직 측면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
  5. 제1항에 따른 탄성부재(100)를 탄성부재 상단고정홈(222)과 탄성부재 하단고정홈(231) 사이에 장착하는 화장품 용기 펌프(200)로서,
    샤프트(220)의 상단에 결속되고, 샤프트(220)의 유동로(221)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로(211)가 형성된 헤드(210);
    내부 중심에 유동로(221)가 형성되고, 유동로(221)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탄성부재 상단고정홈(222)이 형성되며, 상단에 헤드 결속부(223), 하단에 스템 결속부(224)가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한 헤드(210) 누름동작에 의해 결속 실린더(250)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 슬라이딩 구동되는 샤프트(220);
    상기 샤프트(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형 구조이고, 샤프트(220)의 유동로(221) 하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탄성부재 하단고정홈(231)이 형성되며, 상단에 결속 실린더(250)의 상단과 결속되는 실린더 결속부(232)가 형성되는 챠플렛(230);
    상기 샤프트(220)의 하단에 유동로(221)와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는 스템(240);
    상기 챠플렛(230)의 실린더 결속부(232)와 결속되고, 내부에 샤프트(220) 상하 슬라이딩 구동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상단에 화장품용기의 입구와 결속되는 커버(252)가 위치하는 플랜지 구조(251)가 형성된 결속 실린더(250);
    상기 결속 실린더(250)의 하부에 형성되고, 화장품용기 내부에 수납된 액상 화장품을 흡입하는 흡입구(253); 및
    상기 흡입구(253)에 장착되고, 샤프트(220)의 상하방향 슬라이딩 구동에 따라 형성되는 유동로(221) 내부에 압력차에 의해 흡입구(253)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판막구조의 판상형 개폐부재(25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펌프.
KR1020210113507A 2021-08-26 2021-08-26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KR102343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507A KR102343287B1 (ko) 2021-08-26 2021-08-26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PCT/KR2022/011780 WO2023027383A1 (ko) 2021-08-26 2022-08-08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507A KR102343287B1 (ko) 2021-08-26 2021-08-26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287B1 true KR102343287B1 (ko) 2021-12-24

Family

ID=7917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507A KR102343287B1 (ko) 2021-08-26 2021-08-26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3287B1 (ko)
WO (1) WO202302738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83A1 (ko) * 2021-08-26 2023-03-02 이재환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US20230104389A1 (en) * 2021-10-05 2023-04-06 Sunsoo Kim Elastic member for pump dispenser
KR200497169Y1 (ko) * 2022-08-18 2023-08-17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811A (ko) * 2002-04-22 2002-05-15 성명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KR20160097607A (ko) * 2015-02-09 2016-08-18 (주)연우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구조
KR20170111307A (ko) 2016-03-28 2017-10-12 임종수 화장품용기의 미스트 펌프
KR20210094429A (ko) * 2020-01-21 2021-07-29 임종수 수지재 스프링 조립체를 탑재한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158A (ja) * 1995-08-29 1997-03-04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吐出ポンプ容器
KR102116648B1 (ko) * 2020-01-22 2020-05-28 강민구 펌프 용기
KR102343287B1 (ko) * 2021-08-26 2021-12-24 이재환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811A (ko) * 2002-04-22 2002-05-15 성명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KR20160097607A (ko) * 2015-02-09 2016-08-18 (주)연우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구조
KR20170111307A (ko) 2016-03-28 2017-10-12 임종수 화장품용기의 미스트 펌프
KR20210094429A (ko) * 2020-01-21 2021-07-29 임종수 수지재 스프링 조립체를 탑재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83A1 (ko) * 2021-08-26 2023-03-02 이재환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US20230104389A1 (en) * 2021-10-05 2023-04-06 Sunsoo Kim Elastic member for pump dispenser
KR20230000725U (ko) * 2021-10-05 2023-04-12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 부재
KR200497155Y1 (ko) * 2021-10-05 2023-08-10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 부재
KR200497169Y1 (ko) * 2022-08-18 2023-08-17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7383A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287B1 (ko)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RU2463226C2 (ru) Выдачной клапан с сопротивлением к гидравлическому удару
US9392857B2 (en) Container provided with a vacuum pump for cream-type cosmetics
US9609936B2 (en) Cream-type cosmetic container
JP3039564B2 (ja) 流動物質を小出しするための装置
JP6014405B2 (ja) 吐出容器
RU2427513C2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шарнирной крышкой и снимающими напряжения выемками
EP1371579A1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US20080073311A1 (en) Closure with lid protection
JP2005511429A (ja) 圧力駆動弁及び封止蓋を備える密閉器
KR102200505B1 (ko) 내용물 누액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펌프
US8152032B2 (en) Cap for a condiment container
KR20040074663A (ko)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RU188035U1 (ru) Канистра
KR102197692B1 (ko) 내용물 오염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펌프
KR101320556B1 (ko) 화장품 용기
EP2904931B1 (en)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JP7320609B2 (ja) 一体型チェックバルブ
US9278794B2 (en)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JPH0339411Y2 (ko)
KR200468098Y1 (ko) 신규한 구조의 용기 캡
KR102609011B1 (ko) 애완동물용 물통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CA2647406C (en) Cap for a condiment container
KR102169678B1 (ko) 탄성 복원력을 이용한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