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011B1 - 애완동물용 물통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011B1
KR102609011B1 KR1020210018576A KR20210018576A KR102609011B1 KR 102609011 B1 KR102609011 B1 KR 102609011B1 KR 1020210018576 A KR1020210018576 A KR 1020210018576A KR 20210018576 A KR20210018576 A KR 20210018576A KR 102609011 B1 KR102609011 B1 KR 102609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water
outlet
mod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933A (ko
Inventor
황정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픽
Priority to KR102021001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01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애완동물용 물통이 개시된다. 애완동물용 물통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주입구를 갖는 보틀; 상기 주입구에 장착되고, 유연한 재질로 제공되어 물이 담길 수 있는 컵 모드와 상기 용기의 상단을 덮는 커버 모드로 전환가능한 변형부와, 상기 주입구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보틀에 저장된 물이 유출될 수 있는 내측 유로와 유출구가 형성된 삽입부를 갖는 보울; 및 상기 내측 유로 내에 삽입되며,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물통{Bottle for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물 공급이 용이한 애완동물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 혹은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애완동물 용품은 하나의 중요한 제품 시장을 이루고 있다. 애완동물 용품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들 중 하나는 애완동물용 물통이다.
애완동물은 입 구조가 사람과 달라 물통의 물을 먹이려면 다시 입구가 넓은 용기에 물을 옮겨 담아 먹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애완동물용 물통은 일반적으로 물을 담을 수 있는 물병과, 넓은 입구를 갖는 뚜껑이 결합된 구조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물병에 담긴 물을 뚜껑에 따르고, 애완동물이 핥아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물통은 물병과 뚜껑을 분리해야 하므로, 반드시 양 손을 사용해야 하고, 물병이나 뚜껑을 떨어뜨릴 염려가 있다. 특히 산책과 같은 야외 활동 시, 애완동물의 목줄을 쥔 상태에서 물을 먹여야 하는 경우, 불편함이 증대된다.
US 9,894,879(2018.02.20공개)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게 물을 용이하게 먹일 수 있는 애완동물용 물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물통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주입구를 갖는 보틀; 상기 주입구에 장착되고, 유연한 재질로 제공되어 물이 담길 수 있는 컵 모드와 상기 용기의 상단을 덮는 커버 모드로 전환가능한 변형부와, 상기 주입구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보틀에 저장된 물이 유출될 수 있는 내측 유로와 유출구가 형성된 삽입부를 갖는 보울; 및 상기 내측 유로 내에 삽입되며,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컵 모드에서 아래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 모드에서 위로 볼록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소정 길이의 원통 형상으로,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내측에 연결 유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개구가 상기 유출구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내측 유로에 위치하고, 상단이 상기 삽입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밸브 바디;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서 상기 밸브 바디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내측 유로보다 큰 직경을 갖는 패킹 판; 및 중앙 영역이 상기 밸브 로드의 상단과 연결되며, 양 단이 상기 변형부와 연결되는 호 형상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컵 모드에서 상기 판 스프링의 중앙 영역은 제1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패킹 판은 상기 삽입부와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 모드에서 상기 판 스프링의 중앙 영역은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패킹 판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내측 유로에 삽입되고, 내측에 연결 유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개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밸브 바디; 아치 형상을 갖는 중앙 영역의 상단이 상기 밸브 바디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의 끝단이 상기 변형부와 연결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컵 모드에서 상기 중앙 영역의 상단은 제1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구와 상기 개구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모드에서 상기 판 스프링의 중앙 영역은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구와 상기 개구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연한 재질로 제공되는 보울이 컵 모드와 커버 모드로 변형 가능하고, 보틀의 가압으로 보틀에 담긴 물을 컵 모드의 보울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에게 물을 용이하게 먹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커버 모드로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컵 모드에서 애완동물용 물통의 사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커버 모드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커버 모드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애완동물용 물통을 컵 모드로 표시하였다. 도 4는 도 1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커버 모드로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애완동물용 물통(10)은 보틀(100), 보울(200), 그리고 밸브부(300)를 포함한다.
보틀(100)은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주입구(120)가 형성된다. 주입구(120)는 보틀(10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주입구(120)의 외주면에는 체결용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보톨(100)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용량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틀(100)은 유연한 재질로 제공되며, 외부에서 힘을 가할 경우 눌러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보틀(100)은 실리콘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보울(200)은 보틀(100)의 주입구(120)에 장착된다. 보울(200)은 보틀(100)에서 배출된 물을 담을 수 있는 컵으로 사용될 수 있고, 보틀(100)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는 덮개로 사용가능하다. 보울(200)은 결합부(210), 변형부(220)와 삽입부(230)를 포함한다.
결합부(210)는 보틀(100)의 주입구(120)와 결합한다. 결합부(210)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보틀(100)의 주입구(120)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다. 결합부(210)의 내측면에는 주입구(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용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변형부(220)는 체결부(210)의 상단과 결합한다. 변형부(220)는 유연한 재질로 제공되며, 물이 담길 수 있는 컵 모드와 보틀(10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커버 모드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변형부(220)는 컵 모드에서 아래로 오목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커버 모드에서 위로 볼록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공간의 최대 직경은 상기 보틀(100)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변형부(220)는 실리콘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제공되며, 형상의 용이한 변형을 위해 두께가 얇게 제공된다.
삽입부(230)는 주입구(12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단이 변형부(220)의 중심 영역과 연결된다. 삽입부(230)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내측 공간(231)이 형성되고, 내측 공간(231)의 상단에는 유출구(232)가 형성된다.
밸브부(300)는 삽입부(230)의 내측 공간(231)에 삽입되고, 유출구(232)를 개폐한다. 밸브부(3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삽입부(230)의 내부 직경에 상응하는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밸브부(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밸브부(300)의 내측에는 연결 유로(310)가 형성된다. 연결 유로(310)의 저면은 개방된다. 밸브부(300)의 외주면에는 개구(320)가 형성된다. 개구(320)는 밸브부(30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320)는 유출구(23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밸브부(300)의 상단에는 손잡이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330)를 손으로 쥐고 밸브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밸브부(300)의 회전에 따라, 개구(320)가 유출구(232)와 마주 위치하면 유출구(232)가 개방되고, 개구(320)가 유출구(232)와 마주 위치하지 않으면 유출구(232)가 차단된다.
도 5는 컵 모드에서 애완동물용 물통의 사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틀(100) 내에 물(20)이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변형부(220)를 컵 모드로 전환하고, 밸브부(300)를 회전시켜 개구(320)를 유출구(232)와 마주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보틀(100)을 손으로 쥐고 누르면, 보틀(100)이 수축되면서 보틀(100) 내의 물(20)이 연결 유로(310)와 개구(320), 그리고 유출구(232)를 순차적으로 거쳐 변형부(220) 내부로 토출된다. 변형부(220) 내에 물이 일정량 담긴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물을 핥아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애완동물이 물을 다 마신 경우, 사용자가 보틀(100)을 누르고 있는 힘을 제거하면 보틀(100)이 원래의 모습으로 팽창하고, 변형부(220) 내의 잔량의 물이 유출구(232), 개구(320), 그리고 연결 유로(310)를 순차적으로 거쳐 보틀(100) 내로 유입된다.
사용자는 밸브부(300)를 회전시켜 개구(320)가 유출구(232)와 마주하지 않도록 위치시키고, 변형부(300)를 도 4와 같이, 커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커버 모드에서 변형부(220)는 보틀(100)의 상단부를 덮는다. 커버 모드에서 애완동물용 물통(10)의 휴대가 용이하고, 보관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커버 모드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밸브부(300)는 밸브 바디(310), 패킹 판(320), 그리고 판 스프링(330)을 포함한다.
밸브 바디(3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내측 유로(231)에 위치한다. 밸브 바디(310)의 상단은 삽입부(230)의 상부로 돌출된다.
패킹 판(320)은 삽입부(230)의 하부에 위치한다. 패킹 판(320)은 내측 유로(231)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두께가 얇은 판으로 제공된다. 패킹 판(320)은 중심 영역이 밸브 바디(310)의 하단과 결합한다.
판 스프링(33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두께가 얇은 호 형상의 판으로 제공된다. 판 스프링(330)은 중앙 영역이 낮게 위치하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배치된다. 판 스프링(330)은 탄성 재질로 제공된다. 판 스프링(330)은 금속 재질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판 스프링(330)은 중앙 영역이 밸브 바디(310)의 상단과 결합하고, 양 단이 변형부(220)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판 스프링(330)의 중앙 영역과, 그리고 양 단까지의 사이 영역은 변형부(220)와 연결되지 않고, 양 단이 변형부(220)와 결합한다. 판 스프링(330)의 양 단은, 변형부(220)의 영역 중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곡률 변경 영역(220a)에 결합될 수 있다.
변형부(220)의 컵 모드에서, 판 스프링(330)의 중앙 영역은 제1높이(h1)에 위치하고, 패킹 판(320)은 삽입부(230)와 이격하여 위치한다. 컵 모드에서 사용자가 보틀(100)을 손으로 쥐고 누르면, 보틀(100) 내의 물이 삽입부(230)와 패킹 판(320)의 사이 공간을 통해 내측 유로(231)로 유입될 수 있다
변형부(220)가 커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곡률 변경 영역(220a)의 형상이 위로 볼록하게 변형되고, 판 스프링(330)의 양 측 부분이 곡률 변경 영역(220a)의 볼록한 면에 지지되면서 중앙 영역이 제1높이(h1)보다 높은 제2높이(h2)로 상승한다. 판 스프링(330)의 중앙 영역이 상승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밸브 바디(310)가 상승하고, 패킹 판(320)이 삽입부(230)의 저면에 밀착된다. 패킹 판(320)에 의해 삽입부(230)의 내측 유로(231)가 차단되어 보틀(100) 내의 물이 유입이 차단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애완동물용 물통을 커버 모드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밸브부(300)는 밸브 바디(310)와 판 스프링(330)을 포함한다.
밸브 바디(3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삽입부(230)의 내부 직경에 상응하는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밸브 바디(310)의 내측에는 연결 유로(311)가 형성된다. 연결 유로(311)의 저면은 개방된다. 밸브 바디(310)의 외주면에는 개구(312)가 형성된다. 개구(312)는 밸브 바디(31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판 스프링(330)은 두께가 얇은 판으로, 중앙 영역(330a)이 위로 볼록한 아치 형상을 가지고, 중앙 영역(330a)의 양 측으로 날개부(330b)가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날개부(330b)의 끝단은 변형부(220)와 연결된다. 날개부(330b)의 끝단은, 변형부(220)의 영역 중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곡률 변경 영역(220a)에 결합될 수 있다. 판 스프링(330)은 탄성 재질로 제공된다. 판 스프링(330)은 금속 재질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밸브 바디(310)의 상단은 판 스프링(330)의 중앙 영역(330a)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밸브 바디(310)의 상단은 중앙 영역(330a)의 아치 형상 중 가장 높게 위치하는 영역과 연결된다.
변형부(220)의 컵 모드에서, 중앙 영역(330a)의 상단은 제1높이(h1)에 위치하고, 밸브 바디(310)가 중앙 영역(330a)과 함께 이동하여 개구(312)가 유출구(23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보틀(100)을 손으로 쥐고 누르면, 보틀(100) 내의 물이 밸브 바디(310)의 연결 유로(311)로 유입되고, 개구(312)와 유출구(232)를 통해 변형부(22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변형부(220)가 커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곡률 변경 영역(220a)의 형상이 위로 볼록하게 변형되고, 상면의 반경이 커진다. 곡률 변경 영역(220a)의 형상 변경으로, 판 스프링(330)의 날개부(330b)가 양 측 방향으로 당겨지고, 중앙 영역(330a)이 양 측으로 펼쳐지면서 중앙 영역(330a)의 상단이 제1높이(h1)보다 낮은 제2높이(h2)로 하강한다.
판 스프링(330)의 중앙 영역(330a)의 하강과 함께 밸브 바디(310)가 하강하고, 개구(312)가 유출구(232)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어 유출구(232)가 차단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애완동물용 물통
100: 보틀
200: 보울
300: 밸브부

Claims (5)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주입구를 갖는 보틀;
    상기 주입구에 장착되고, 유연한 재질로 제공되어 물이 담길 수 있는 컵 모드와 상기 보틀의 상단을 덮는 커버 모드로 전환가능한 변형부와, 상기 주입구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보틀에 저장된 물이 유출될 수 있는 내측 유로와 유출구가 형성된 삽입부를 갖는 보울; 및
    상기 내측 유로 내에 삽입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부는
    상기 내측 유로에 위치하고, 상단이 상기 삽입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밸브 바디;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서 상기 밸브 바디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내측 유로보다 큰 직경을 갖는 패킹 판; 및
    중앙 영역이 상기 밸브 로드의 상단과 연결되며, 양 단이 상기 변형부와 연결되는 호 형상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컵 모드에서 상기 판 스프링의 중앙 영역은 제1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패킹 판은 상기 삽입부와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 모드에서 상기 판 스프링의 중앙 영역은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패킹 판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밀착되는 애완동물용 물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컵 모드에서 아래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 모드에서 위로 볼록한 공간을 형성하는 애완동물용 물통.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주입구를 갖는 보틀;
    상기 주입구에 장착되고, 유연한 재질로 제공되어 물이 담길 수 있는 컵 모드와 상기 보틀의 상단을 덮는 커버 모드로 전환가능한 변형부와, 상기 주입구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보틀에 저장된 물이 유출될 수 있는 내측 유로와 유출구가 형성된 삽입부를 갖는 보울; 및
    상기 내측 유로 내에 삽입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부는
    내측에 연결 유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개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밸브 바디;
    아치 형상을 갖는 중앙 영역의 상단이 상기 밸브 바디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의 끝단이 상기 변형부와 연결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컵 모드에서 상기 중앙 영역의 상단은 제1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구와 상기 개구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모드에서 상기 판 스프링의 중앙 영역은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구와 상기 개구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애완동물용 물통.
KR1020210018576A 2021-02-09 2021-02-09 애완동물용 물통 KR10260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576A KR102609011B1 (ko) 2021-02-09 2021-02-09 애완동물용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576A KR102609011B1 (ko) 2021-02-09 2021-02-09 애완동물용 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933A KR20220114933A (ko) 2022-08-17
KR102609011B1 true KR102609011B1 (ko) 2023-12-01

Family

ID=8311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576A KR102609011B1 (ko) 2021-02-09 2021-02-09 애완동물용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0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7451A1 (en) 2005-07-21 2007-01-25 Hurwitz Marni M Portable water bottle, cup and dish assembly for humans and pets
US20150298867A1 (en) 2014-04-21 2015-10-22 Brian M. Sanderson Fluid Dispensing Bottle
US20160316896A1 (en) 2015-04-30 2016-11-03 O2Cool, Llc Pet Water Bottle Assembly
US20160366852A1 (en) 2015-06-18 2016-12-22 Sheila Ann Burroughs Squeezable water bottle for pets with attached bow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286Y1 (ko) * 1993-07-30 1996-03-19 세신실업 주식회사 휴대용 보온물통의 마개밸브장치
KR100418409B1 (ko) * 2002-01-30 2004-02-14 조형진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102197206B1 (ko) * 2018-02-19 2021-01-04 주식회사 지아이엘 애완동물용 물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7451A1 (en) 2005-07-21 2007-01-25 Hurwitz Marni M Portable water bottle, cup and dish assembly for humans and pets
US20150298867A1 (en) 2014-04-21 2015-10-22 Brian M. Sanderson Fluid Dispensing Bottle
US20160316896A1 (en) 2015-04-30 2016-11-03 O2Cool, Llc Pet Water Bottle Assembly
US20160366852A1 (en) 2015-06-18 2016-12-22 Sheila Ann Burroughs Squeezable water bottle for pets with attached bow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933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556B2 (en) Liquid container having single cap
US8186365B2 (en) Cosmetic case
US5960742A (en) Portable canine water dispenser and drinking device
US5636592A (en) Portable device for feeding animals
JP6286102B2 (ja) アプリケータを具備したチューブ容器
US9725217B2 (en) Spuit-type container cap for automatic filling and fixed-amount dispensing
US20150298867A1 (en) Fluid Dispensing Bottle
US20180162610A1 (en) Liquid container having double cap
US10507482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powder
US5809935A (en) Portable drink dispenser
US9532634B2 (en) Nail polish bottle
US20050205587A1 (en) Cup assembly
JP6125887B2 (ja) 二重容器
KR102609011B1 (ko) 애완동물용 물통
ES2222323T3 (es) Dispositivo mejorado para el acondicionamiento y la distribucion dosificada de un producto liquido.
JP6840460B2 (ja) 薬液塗布器具及び薬液塗布具
KR101832086B1 (ko) 컵 세척수단
KR102212090B1 (ko)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JP6797678B2 (ja) 注出容器
KR200378398Y1 (ko) 애완동물용 급수통
KR200492630Y1 (ko) 컵 뚜껑
KR20210042441A (ko)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
JP6629919B2 (ja) 飲料容器
JP4277981B2 (ja) 注出栓付き容器
KR102641782B1 (ko) 반려동물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