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630Y1 - 컵 뚜껑 - Google Patents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630Y1
KR200492630Y1 KR2020190001818U KR20190001818U KR200492630Y1 KR 200492630 Y1 KR200492630 Y1 KR 200492630Y1 KR 2020190001818 U KR2020190001818 U KR 2020190001818U KR 20190001818 U KR20190001818 U KR 20190001818U KR 200492630 Y1 KR200492630 Y1 KR 200492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up
lid
topping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69U (ko
Inventor
이영헌
이종술
Original Assignee
비알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알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알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1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63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6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컵을 덮도록 상기 컵의 상부면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되는 제1 뚜껑과, 상기 제1 뚜껑의 중앙 부위에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토핑을 수용하며, 바닥면에 상기 토핑을 상기 컵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개구를 갖는 수용부와, 상기 토핑이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컵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개구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는 차단부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구비되며, 상하를 관통하는 제2 개구를 갖는 제2 뚜껑 및 상기 제2 개구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토핑이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컵으로 공급되도록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차단부를 눌러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힘이 제거되면 상기 차단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는 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컵 뚜껑{Cup lid}
본 고안은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으로 토핑의 공급이 가능한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뚜껑은 컵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컵의 개구부를 밀폐한다. 따라서,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컵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컵에 담긴 음료수와 같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컵에 담긴 음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음료에 토핑을 넣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컵에 상기 컵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토핑을 넣기 위해서는 상기 컵 뚜껑을 상기 컵으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또한, 상기 토핑을 넣은 후 상기 컵 뚜껑을 상기 컵에 결합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컵 뚜껑이 결합된 상기 컵에 상기 토핑을 공급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토핑의 수용 및 공급이 가능한 컵 뚜껑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컵을 덮도록 상기 컵의 상부면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되는 제1 뚜껑과, 상기 제1 뚜껑의 중앙 부위에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토핑을 수용하며, 바닥면에 상기 토핑을 상기 컵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개구를 갖는 수용부와, 상기 토핑이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컵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개구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는 차단부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구비되며, 상하를 관통하는 제2 개구를 갖는 제2 뚜껑 및 상기 제2 개구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토핑이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컵으로 공급되도록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차단부를 눌러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힘이 제거되면 상기 차단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는 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개구를 막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하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개구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뚜껑은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푸시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관 형태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푸시부는 빨대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관 형상의 몸체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푸시부가 상기 차단부를 눌러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수용부의 토핑이 상기 몸체의 내부를 통해 상기 컵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푸시부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3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푸시부가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뚜껑의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푸시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뚜껑에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몸체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상기 푸시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개폐 가능한 마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의 토핑이 상기 제1 개구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바닥면이 상기 제1 개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는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수용홈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뚜껑은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결합 돌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돌기들이 상기 수용홈들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뚜껑이 상기 수용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컵 뚜껑은 상기 푸시부로 상기 차단부를 눌러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토핑을 상기 컵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핑을 상기 컵으로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차단부가 상기 푸시부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제1 개구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를 누르는 회수를 조절하여 상기 컵으로 공급되는 상기 토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상기 바닥면이 상기 제1 개구를 향해 경사지므로, 상기 수용부의 토핑이 상기 제1 개구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에서 상기 마개를 개방한 후, 상기 푸시부의 상기 몸체, 상기 제2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빨대를 상기 컵으로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빨대를 이용하여 상기 컵에 담긴 음료를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뚜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푸시부가 하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이 컵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뚜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푸시부가 하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이 컵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컵 뚜껑(100)은 제1 뚜껑(110), 수용부(120), 차단부(130), 제2 뚜껑(140) 및 푸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뚜껑(110)은 컵(10)을 덮도록 상기 컵(10)의 상부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뚜껑(110)은 대략 중공의 반구 형상을 가지며, 외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112)를 갖는다. 상기 플랜지(112)는 하방을 향해 절곡된 형태이다. 상기 플랜지(112)는 상기 컵(10)의 상단부에 끼움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플랜지(112)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컵(10)의 상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 뚜껑(110)이 상기 컵(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제1 뚜껑(110)의 중앙 부위에 오목한 형태로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제1 뚜껑(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0)는 내부에 상기 컵(10)으로 공급되기 위한 토핑을 수용한다. 상기 토핑의 예로는 사탕, 초코칩, 슈가 파우더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음료에 넣을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상기 수용부(120)는 바닥면(122)에 제1 개구(12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개구(124)는 상기 바닥면(122)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토핑은 상기 제1 개구(124)를 통해 상기 컵(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22)은 상기 제1 개구(124)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바닥면(122)의 경사로 인해 상기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기 토핑이 상기 제1 개구(124)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130)는 상기 제1 개구(124)에 구비되며, 탄성을 이용하여 제1 개구(124)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기 토핑이 상기 제1 개구(124)를 통해 상기 컵(10)으로 임의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130)는 플레이트(132) 및 탄성편(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 개구(124)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개구(124)를 막는다. 상기 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 개구(124)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 개구(124)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32)가 상기 제1 개구(124)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132)는 상기 바닥면(122)과 약간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 개구(124)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상기 플레이트(132)가 상기 제1 개구(124)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132)는 상기 바닥면(122)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토핑이 상기 슈가 파우더와 같은 분말 형태이더라도, 상기 플레이트(132)가 상기 제1 개구(124)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132)와 상기 바닥면(122) 사이를 통해 상기 토핑이 상기 컵(10)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편(134)은 상기 수용부(120)의 상기 바닥면(122)과 상기 플레이트(132)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32)가 상기 수용부(120)의 상기 바닥면(12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134)은 합성 수지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134)은 상기 플레이트(132)가 상기 제1 개구(124)를 막은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푸시부(150)가 상기 플레이트(132)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32)가 하강한 후, 상기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편(1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32)가 상기 제1 개구(124)를 막는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2 뚜껑(140)은 상기 수용부(120)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뚜껑(140)은 상기 수용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용부(120)는 상단 둘레를 따라 내측에 다수의 수용홈들(126)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뚜껑(140)은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에 다수의 결합 돌기들(146)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홈들(126)의 위치와 상기 결합 돌기들(146)의 위치는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들(146)이 상기 수용홈들(126)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뚜껑(140)이 상기 수용부(12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뚜껑(140)은 상하를 관통하는 제2 개구(142)를 갖는다. 상기 제2 개구(142)를 통해 상기 푸시부(15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뚜껑(140)은 가이드 부재(14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44)는 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개구(142)와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44)는 상기 제2 개구(142)로부터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44)는 상기 푸시부(15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150)가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15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개구(142)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푸시부(150)가 하강하고, 상기 푸시부(150)가 상기 차단부(130)의 상기 플레이트(132)를 눌러 상기 제1 개구(124)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기 토핑이 상기 제1 개구(124)를 통해 상기 컵(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차단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푸시부(150)가 상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편(1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32)가 상기 제1 개구(124)를 막는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핑이 상기 제1 개구(124)를 통해 상기 컵(10)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차단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푸시부(150)가 상승하므로, 상기 푸시부(150)를 누르는 회수를 조절하여 상기 컵으로 공급되는 상기 토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150)는 관 형상을 갖는 몸체(15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152)는 상기 차단부(130)의 상기 플레이트(132)를 눌러 상기 제1 개구(124)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52)가 상기 제2 개구(14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52)를 통해 빨대(20)를 상기 컵(10)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빨대(20)는 상기 제2 개구(142) 및 상기 제1 개구(124)를 통과한다. 상기 빨대(20)를 상기 컵(10)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빨대(20)를 이용하여 상기 컵(10)에 담긴 음료를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개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154)는 상기 몸체(152)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개구(154)는 상기 몸체(152)의 측면에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3 개구(154)는 상기 몸체(152)의 측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150)가 상기 차단부(130)를 눌러 상기 제1 개구(124)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수용부(120)의 상기 토핑이 상기 몸체(152)에 걸리지 않고 상기 제3 개구(154)를 통해 상기 몸체(154)의 내부를 거쳐 상기 컵(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154)는 상기 토핑의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상기 몸체(152)에 상기 제3 개구(154)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푸시부(150)가 상기 차단부(130)를 눌러 상기 제1 개구(124)를 개방하더라도 상기 수용부(120)의 상기 토핑이 상기 몸체(152)에 걸려 상기 컵(10)으로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150)는 걸림턱(1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56)은 상기 몸체(152)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푸시부(150)가 상기 제2 개구(142)에 삽입되어 하강하면 상기 걸림턱(156)이 상기 제2 뚜껑(140)에 걸린다. 따라서, 상기 제2 개구(142)를 통해 상기 제2 뚜껑(140)에 삽입된 상기 푸시부(150)가 상기 제2 뚜껑(140)의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150)는 마개(1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158)는 상기 몸체(152)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52)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상기 마개(158)는 연결편(159)에 의해 상기 몸체(152)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개(158)가 상기 몸체(15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컵(10)에 상기 빨대(20)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마개(158)는 개방될 수 있다.
이외의 경우, 상기 마개(158)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마개(158)는 상기 몸체(152)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컵(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152)는 상기 차단부(130)의 상기 탄성편(134)을 눌러 상기 제1 개구(124)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32)가 상기 제1 개구(124)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몸체(152)의 지름은 상기 플레이트(132)의 크기보다 약간 크며, 상기 제1 개구(124)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52)가 상기 탄성편(134)을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154)가 상기 상기 탄성편(134)과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경우,상기 몸체(152)가 상기 탄성편(134)을 누를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몸체(152)가 상기 탄성편(134)을 누르기 위해 상기 제3 개구(154)가 상기 상기 탄성편(134)과 대응하지 않도록 위치해야 한다. 즉, 상기 상기 몸체(152)에서 상기 제3 개구(154)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탄성편(134)과 대응하도록 위치해야 한다.
또한, 상기 푸시부(130)가 상기 제2 뚜껑(140)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3 개구(154)가 상기 상기 탄성편(134)과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푸시부(150)가 상기 제2 뚜껑(140)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52)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돌기(15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44)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홈(1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53)가 상기 가이드 홈(14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몸체(152)가 상기 가이드 부재(144)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몸체(152)가 상기 가이드 부재(144)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푸시부(150)가 상기 제2 뚜껑(14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몸체(152)가 상기 탄성편(134)을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컵 뚜껑은 상기 푸시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토핑을 상기 컵으로 공급하며, 상기 푸시부를 누르는 회수를 조절하여 상기 컵으로 공급되는 상기 토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핑을 상기 컵으로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컵 뚜껑 110 : 제1 뚜껑
112 : 플랜지 120 : 수용부
122 : 바닥면 124 : 제1 개구
126 : 수용홈 130 : 차단부
132 : 플레이트 134 : 탄성편
140 : 제2 뚜껑 142 : 제2 개구
144 : 가이드 부재 146 : 결합 돌기
150 : 푸시부 152 : 몸체
154 : 제3 개구 156 : 걸림턱
158 : 마개 159 : 연결편
10 : 컵 20 : 빨대

Claims (9)

  1. 컵을 덮도록 상기 컵의 상부면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되는 제1 뚜껑;
    상기 제1 뚜껑의 중앙 부위에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토핑을 수용하며, 바닥면에 상기 토핑을 상기 컵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개구를 갖는 수용부;
    상기 토핑이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컵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개구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는 차단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구비되며, 상하를 관통하는 제2 개구를 갖는 제2 뚜껑; 및
    상기 제2 개구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토핑이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컵으로 공급되도록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차단부를 눌러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힘이 제거되면 상기 차단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는 푸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개구를 막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하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개구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뚜껑은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푸시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관 형태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빨대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관 형상의 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가 상기 차단부를 눌러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수용부의 토핑이 상기 몸체의 내부를 통해 상기 컵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푸시부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3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가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뚜껑의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푸시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뚜껑에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상기 푸시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개폐 가능한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토핑이 상기 제1 개구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바닥면이 상기 제1 개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수용홈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뚜껑은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결합 돌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돌기들이 상기 수용홈들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뚜껑이 상기 수용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KR2020190001818U 2019-05-02 2019-05-02 컵 뚜껑 KR200492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18U KR200492630Y1 (ko) 2019-05-02 2019-05-02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18U KR200492630Y1 (ko) 2019-05-02 2019-05-02 컵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69U KR20200002469U (ko) 2020-11-11
KR200492630Y1 true KR200492630Y1 (ko) 2020-11-13

Family

ID=7319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18U KR200492630Y1 (ko) 2019-05-02 2019-05-02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630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27061T3 (es) * 2005-03-23 2009-10-23 Rene Wilhelm Cierre tipo "push-pull" para un recipiente.
KR20130056126A (ko) * 2011-11-21 2013-05-29 이성재 이종물질 수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69U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6707B2 (en) Rotating dial sifter
KR101404859B1 (ko) 뚜껑 뒷면에 열림 버튼을 가지는 음료병 및 뚜껑
US10507482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powder
US5199597A (en) Self-closing container lid
US6363948B2 (en) Cosmetic brush assembly
JP3203484B2 (ja) 製品の分与キャップ
US20050115967A1 (en) Sippy straw cup
EP2104442A1 (en) Cosmetic case
EP3718914B1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CA2491577A1 (en) Cap for beverage-container
US11577892B2 (en) Lid assembly with a rotary trigger for seal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EP2474482B1 (en) Container with improved opening system
US20180079584A1 (en)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
US7229229B2 (en) Liquid dispenser
KR10226517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92630Y1 (ko) 컵 뚜껑
BG65959B1 (bg) Контейнер за напитки с разпределителен клапан с усъвършенствани експлоатационни средства
KR200472089Y1 (ko) 밀폐용기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20100007307U (ko)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WO2016043188A1 (ja) 蓋部開閉構造とその構造を使用した分与容器
US20080041891A1 (en) Bottle cap
JP2006248529A (ja) 押出し容器
KR102609011B1 (ko) 애완동물용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