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798A -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33798A KR20020033798A KR1020027003336A KR20027003336A KR20020033798A KR 20020033798 A KR20020033798 A KR 20020033798A KR 1020027003336 A KR1020027003336 A KR 1020027003336A KR 20027003336 A KR20027003336 A KR 20027003336A KR 20020033798 A KR20020033798 A KR 200200337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signal
- encoded
- accumulation
- signal
- intr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2—User inpu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축적 요구가 입력되면, 축적 재생 제어부(3)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대하여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출함과 함께,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대하여 축적 개시 신호를 송신한다.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서는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부호화 제어부(2)가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도록 화상 부호화부(1)를 제어하여,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 송출한다. 그에 따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에서는, 화상 복호부(5)가 그 부호화 화상 신호를 복호하는 한편, 축적 재생 제어부(3)로부터의 축적 개시 신호에 의해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축적을 행한다.
Description
TV 전화를 비롯한 동화상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전화 회선을 비롯한 음성 통화용 통신로를 이용하여 동화상 통신을 행하는 경우, 음성 신호에 비하여 동화상 신호는 신호량이 수백 배∼수천 배로 매우 많기 때문에, 정보량을 압축하기 위한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디지털 동화상의 부호화 처리는, 예를 들면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의 권고 H. 261나 H. 263 방식,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의 국제 표준 MPEG 등이 존재한다. 이들은 모두 움직임 보상 예측이 가능한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와, 이산 코사인 변환(DCT)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부호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산 코사인 변환은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화소간 상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8×8 사이즈의 블록을 단위로 한 화상 신호에 대하여 직교 변환을 하여 주파수 영역 상에서 정보량의 압축을 도모하는 것이다.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는 동화상의 인접한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신호 상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인접 프레임 사이에서 차분 신호를 구하고, 구해진 차분 신호만을 부호화하는 것이다. 또한, 블록 매칭에 의한 움직임 보상 예측을 이용하여 움직임이 있는 화상에 대해서도 높은 신호 상관을 얻어, 움직임 벡터와 차분 신호를 부호화함으로써 정보량의 압축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들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호화된 화상 신호에는 단독 신호만으로 복호할 수 있는 프레임내(인트라) 부호화 모드의 블록과, 복호된 프레임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복호한 차분 신호를 가산함으로써 화상을 복호할 수 있는 프레임간(인터) 부호화 모드의 블록의 2종류가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서는 이상과 같은 프레임내 부호화와 프레임간 부호화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부호화 방식이 채용되고 있기 때문에, 부호화된 화상 신호(이하, 부호화 화상 신호라고 함)를 축적하여 재생하고자 할 때,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선두가 프레임간 부호화 모드인 경우에는, 선두부터 화상을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어, 재생 화상이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도 1을 이용하여 이 문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의 I는 프레임내 부호화 화상을 나타내고, P는 프레임간 화상 부호화 화상을 나타내며, n-3∼n+2의 값은 시각을 나타낸다. 도 1에서, Pn-2, Pn-1의 프레임을 복호하기 위해서는 In-3의프레임이 복호되어 있지 않으면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다. 그 때문에, Pn-2의 프레임으로부터 부호화 화상 신호의 축적을 행하고, 그 축적된 신호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Pn-2, Pn-1의 프레임은 화상을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어, 왜곡된 화상이 재생되게 되며, In의 화상의 순서에서 비로소 정확한 화상을 복호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1에서는 프레임내 부호화 화상 I가 적절하게 삽입되어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프레임내 부호화 화상 I의 삽입은 필수 사항이 아니므로, 화상의 송신 데이터량을 가능한 한 줄이기 위해서 통신 개시 시의 최초의 프레임 이외에는 전부 프레임간 부호화 화상으로 부호화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하고자 한 경우, 예를 들면 특개평7-184189호 공보에 개시되는 발명에서는, 부호화 화상 신호를 한 번 화상에 복호한 후, 축적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선두를 프레임내 부호화로 설정하여 화상을 다시 한번 부호화하고 나서 축적을 행하는 처리를 거치고 있지만, 여기서는 화상 신호를 축적 재생하는 장치에 부호화 기능이 필요하게 되므로, 장치 규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치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 왜곡된 화상을 표시하지도 않고,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는, 축적 요구에 기초하여 화상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함과 함께, 재생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복호하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신호를 복호하는 화상 복호부와, 상기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하는 부호화 신호 축적부와, 상기 축적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신호 송신 장치에 대하여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지시함과 함께, 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에 대하여 축적 개시를 지시하는 축적 개시 신호를 보내는 한편, 상기 재생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복호부에 대하여 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복호에 의한 재생 개시를 지시하는 축적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축적 재생 제어부는, 상기 축적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신호 송신 장치에 대하여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도록 요구하는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적 재생 제어부는, 상기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반복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적 재생 제어부는, 상기 축적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신호 송신 장치에 대하여 부호화 화상 신호를 송신하는 회선을 일단 폐쇄하고 다시 해당 회선을 개방하는 동작을 요구함으로써,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상 복호부는, 상기 화상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화상 신호를 복호할 때,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부호화 모드 신호를 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로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는 상기 부호화 모드 신호에 기초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되어 있는 부호화 화상 신호로부터 축적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상 복호부는, 상기 축적 재생 제어부로부터 부호화 화상 신호의 재생 개시 지시를 받은 경우, 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가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되어 있는 부호화 화상 신호로부터 복호에 의한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는, 상기 화상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화상 신호로부터 화면 전체의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고,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되어 있는 부호화 화상 신호로부터 축적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신호 송신 장치는, 부호화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로서, 입력 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화상 신호로서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부호화부와,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로부터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 전체의 입력 화상 신호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화상 부호화부를 제어하는 부호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신호 송신 장치는, 부호화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로서, 사전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신호 축적 송신부와,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로부터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 전체의 입력 화상 신호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송신부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부호화 제어부 또는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로부터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 지시를 반복해서 수신했을 때는, 통신 회선의 에러 상황에 맞게 화면 전체의 입력 화상 신호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는 빈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재생할 때, 부호화 화상 신호를 일단 복호한 후 다시 부호화하여 축적하는 재부호화 처리가 필요없게 되므로, 장치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 왜곡된 화상을 표시하지도 않고,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축적 요구에 기초하여 화상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함과 함께, 재생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복호하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이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부호화 화상 신호를 송신하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의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 ITU-T로 표준화된 H. 223과 같은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 회선을 한 번 폐쇄한 후 다시 개방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참조 부호(1)는 화상 부호화부, 참조 부호(2)는 부호화 제어부이고, A는 이들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나 PDA, TV 전화 등과 같이 화상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 가능한 화상 신호 송신 장치이다. 또,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입력 화상 신호를 캡쳐하기 위해서 카메라, 또는 외부 카메라와 접속하기 위한 화상 신호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부호화된 화상을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참조 부호(3)는 축적 재생 제어부, 참조 부호(4)는 부호화 신호 축적부, 참조 부호(5)는 화상 복호부, B는 이들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나 PDA, TV 전화등과 같이 화상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 가능한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이다. 또,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호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와 접속하기 위한 화상 신호 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대한 축적 처리와,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재생 처리로 나누어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대한 축적 처리〕
우선,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가 부호화 화상 신호의 축적을 개시할 때의 상태로서, 두 가지 상태가 있다. 하나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로부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에 대하여 부호화 화상 신호가 송신 중인 상태, 즉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의 화상 부호화부(1)가 부호화 제어부(2)의 제어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에 송신하고 있는 상태와, 다른 하나는 아직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로부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에 대하여 부호화 화상 신호가 송신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한 두 상태의 어느 경우라도,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에서는 축적을 요구할 때 발생되는 축적 요구가 축적 재생 제어부(3)에 입력되면, 축적 재생 제어부(3)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대하여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출함과 함께,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대하여 축적 개시 신호를 송신한다. 또, 축적 재생 제어부(3)에 입력되는 축적 요구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의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나, 사전에 설정된 시각이나 통신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 내외부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등, 다양한 방법이 고려된다.
여기서, 축적 재생 제어부(3)가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대하여 송출한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가 통신 에러 등으로 인해 정확하게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도 고려된다. 또한,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가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출하고 나서,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로부터 화상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수신하기까지는, 통신 지연이나 처리 지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로 된다.
그래서, 축적 재생 제어부(3)는, 예를 들면 1초마다 등의 사전에 설정된 시간마다,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복수회 송출함으로써, 이러한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송출 횟수에 대해서는, 사전에 설정된 횟수만큼 송출하도록 해도 되지만, 프레임내 부호화 화상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의 송출을 계속할 수도 있다.
또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축적 중에 통신 에러가 혼입된 경우,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마지막까지 올바르게 재생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에서는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하고 있는 동안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계속 송출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한편,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서는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부호화 제어부(2)가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를 행하도록 화상 부호화부(1)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화상 부호화부(1)는 부호화 제어부(2)의 제어에 기초하여,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 송출한다.
여기서,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는 프레임내 부호화에 의해 부호화 화상 신호를 송출하면, 부호화의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당 부호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1초간에 송신할 수 있는 프레임 수가 감소되어, 부호화 화상의 화질이 열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서는, 예를 들면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연속하여 복수회 수신한 경우, 부호화 제어부(2)가 통신 에러의 상황에 맞게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는 인트라프레임의 빈도를 제어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통신 에러가 매우 많은 경우, 부호화 제어부(2)는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대로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를 행하도록 제어하고, 통신 에러가 적은 경우에는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의 빈도에 비하여 적은 비율로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를 행하도록 부호화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하면, 부호화의 효율을 일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통신 에러 상황의 감시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 등의 각종 신호에 포함되는 에러의 양을 카운트하거나, 화상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에러의 양을 카운트하는 등의 처리로 측정된 통신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부터 전송받는 등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에서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의 화상 부호화부(1)로부터의 부호화 화상 신호가 전송되어 오면, 그 부호화 화상 신호를 화상 복호부(5)에서 복호하여 복호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 등에 출력하여 동화상을 재생함과 함께, 그 부호화 화상 신호의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부호화 모드 신호를 부호화 신호 축적부(4)로 출력한다.
축적 재생 제어부(3)가 축적 요구의 입력에 의해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로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출하고 있음과 함께,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축적 개시 신호를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부호화 신호 축적부(4)는 그 축적 개시 신호의 입력에 의해,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의 화상 부호화부(1)로부터의 부호화 화상 신호와 화상 복호부(5)로부터의 부호화 모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축적 처리의 동작을 개시한다.
여기서,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가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신한 경우라도, 부호화 신호 축적부(4)가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을 개시할 때, 반드시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로부터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가 송신되어 온다고는 한정할 수 없고, 프레임간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가 송신되어 오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의 부호화 신호 축적부(6)에서는 화상 복호부(5)로부터 송신되는 부호화 모드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부호화 화상 신호의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로 처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프레임간 부호화로 처리되어 있는 블록을 포함하는 부호화 화상 신호에 대해서는 축적을 하지 않고 폐기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로 처리되어 있는 프레임의 부호화 화상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부터 부호화 화상 신호의 축적 처리를 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화상 복호부(5)가 부호화 신호 축적부(6)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최초로 축적된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로부터 재생할 수 있게 되어, 불피요한 축적 처리도 없고, 또한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재생할 때, 왜곡된 화상을 표시하지도 않고 화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에는,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로 처리되어 있는 부호화 신호의 프레임으로부터 축적 처리가 개시되게 된다. 상기한 동작은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대한 축적 처리이다.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재생 처리〕
다음으로, 축적 재생 제어부(3)에 대하여 사용자 등으로부터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 축적 재생 제어부(3)는 부호화 신호 축적부(4) 및 화상 복호부(5)에 대하여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재생 개시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이 재생 개시 신호는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만 입력되고, 이 개시 신호에 의해 부호화 신호 축적부(4)가 축적해 둔 부호화 화상 신호를 화상 복호부(5)로 출력하고, 화상 복호부(5)가 그 부호화 화상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재생을 개시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이 재생 개시 신호가 화상 복호부(5)에만 입력되고, 이 개시 신호에 의해 화상 복호부(5)가 부호화 신호 축적부(4)로부터 부호화 화상 신호를 판독하여 그 부호화 화상 신호의 재생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그러면, 제1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인트라프레임의 부호화 화상 신호를 선두로 하여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 복호부(5)는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축적된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재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재생 처리를 행하는 경우라도, 프레임간 부호화로 처리되어 있는 블록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복호 화상은 재생되지 않으므로, 왜곡된 화상을 표시하지도 않고 화상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재생할 때, 부호화 화상 신호를 일단 복호한 후 다시 부호화하여 축적하는 재부호화 처리가 필요없게 되므로, 장치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 왜곡된 화상을 표시하지도 않고,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신호 축적부(4)가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축적 처리를 행하도록 설명했지만, 요컨대, 화상 복호부(5)가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재생 처리를 행할 때,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인트라프레임의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복호하여 재생할 수 있으면 되므로, 본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부호화 신호 축적부(4)는 축적 개시 신호의 입력에 의해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축적하고, 화상 복호부(5)가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재생 처리를 행할 때, 부호화 화상 신호와 함께 축적되어 있는 부호화 모드 신호 등에 기초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프레임간 부호화로 처리되어 있는 블록을 포함하는 부호화 화상 신호는 복호하지 않고, 또는 복호해도 복호 화상은 복호 화상 신호로서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복호 화상 신호를 재생·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ISO/IEC로 표준화된 MPEG-4와 같이 각 프레임의 헤더 정보(MPEG-4에서는 VOP 헤더라고 함)로서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인지 여부의 정보(MPEG-4에서는 vop_coding_type라고 함)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헤더 정보를 검출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화상 부호화 신호의 프레임을 대기하여 축적 처리의 개시나 복호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헤더 정보의 검출은 화상 복호부(5)에서 행하고, 부호화 모드 신호로서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보낼 수도 있지만, 부호화 신호 축적부(4) 자체에서 헤더 정보를 직접 검출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프레임을 대기하여 축적 처리의 개시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화상 복호부(5)로부터의 부호화 모드 신호는 불필요하게 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부호화 화상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회선이 개방되었을 때,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가 우선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 처리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 송신한다고 하는 설정을 이용한 것이다. 이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는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 처리를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았거나, 또한 이러한 처리는 반드시 송신 장치 측의 의무가 아닌 것과 같이,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부터의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수신해도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처리를 행하지 않은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가 존재하는 것도 상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 2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즉, 제2 실시예의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에서는,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할 때,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회선을 한 번 폐쇄한 후에 다시 개방하는, 일련의 처리를 통해,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대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지시한다. 또, 제2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이 회선의 개폐에 의해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대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기 때문에,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므로,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해도 되지만, 최초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그래도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로부터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가 송신되어 오지 않는 경우에는, 회선의 개폐를 행하는 것과 같이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그러면,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서는 회선이 일단 폐쇄되고, 그 후 개방되었을 때에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제어부(2)의 제어에 의해 화상 부호화부(1)는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그 부호화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 송신한다.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에서는, 부호화 신호 축적부(4)가 회선이 개방된 직후부터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로부터 전송되어 온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함으로써,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 처리된 선두부터 올바르게 복호 가능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선을 한번 폐쇄한 후에 다시 개방하는 처리는, 통신 회선을 차단한 후에 접속하는 방법이어도 되지만, 예를 들면 ITU-T로 표준화된 H. 223과 같은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에 사용하고 있는 회선(논리 채널)만을 폐쇄한 후에 다시 개방하는 등의, 별도의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도 3은 ITU-T로 표준화된 H. 223과 같은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 회선을 한번 폐쇄한 후에 다시 개방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에서는 ITU-T로 표준화된 H. 223 규격에 따라, 음성이나 화상, 데이터, 제어 등의 복수의 미디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경우, 이들을 복수의 미디어마다 별개의 논리 채널 CH-1∼CH-4를 설정·개설하고, 각 논리 채널 CH-1∼CH-4를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을 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H. 223 규격에 따른 경우, 제2 실시예의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지금까지 부호화 화상 신호의 통신에 사용하고 있었던 논리 채널 CH-2만을 한번 폐쇄하고, 다른 논리 채널을 새로이 개방하여 부호화 화상 신호의 통신을 개시함으로써, 선두가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되는 부호화 화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음성 등의 다른 미디어에 관한 논리 채널(도 3에서는, CH-1, CH-3, CH-4)은 폐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축적을 행하는 부호화 화상 신호의 통신 이외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도중에 끊기지 않고 계속해서 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는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할 때에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회선을 한번 폐쇄한 후에 다시 개방함으로써,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대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 처리를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대해서도,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 처리를 행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송신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는 통신 회선이 개방된 직후부터 화상신호 송신 장치 A로부터 전송되어 온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함으로써,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로 부호화 처리된 선두부터 올바르게 복호 가능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치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 왜곡된 화상을 표시하지도 않고,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상기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는 화상 신호를 입력·부호화하면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는 미리 축적해 둔 부호화 화상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에서, 참조 부호(6)는 프레임내 부호화 및 프레임간 부호화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사전에 축적해 두고,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출력하여 송신하는 부호화 신호 축적 송신부, 참조 부호(7)는 부호화 신호 축적 송신부(6)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이고, 그 밖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가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대하여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신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요구함과 함께,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 대하여 축적 개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선을 일단 폐쇄하고 다시 개방함으로써,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요구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제3 실시예의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서는, 부호화 신호 축적 송신부(6)가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판독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사전에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부터의 상기 요구를 수신하면, 사전에 축적되어 있는 부호화 화상 신호 내에서,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선두로 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송신하도록 한다.
여기서,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판독하여 송신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송신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부호화 신호 축적부(6)가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 시에, 프레임간 부호화의 부호화 화상 신호는 송신하지 않고,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송신하도록 제어하거나, 또한 최초로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송신되도록 부호화 화상 신호를 부호화 신호 축적부(6)에 사전에 축적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신호 축적 송신부(6)가,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판독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하지 않는경우에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부터 상기 요구를 수신해도, 프레임간 부호화된 부호화 신호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 측에 송신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 측의 화상 복호부(5)나 부호화 신호 축적부(4)에서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재생이나 축적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서는, 입력 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화상 부호화부(1) 대신에, 미리 축적된 화상 신호를 송신하는 부호화 신호 축적 송신부(6)를 설치했기 때문에, 사전에 축적된 화상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라도, 상기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 실시예∼제3 실시예에서는,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된 프레임내 부호화 화상의 삽입은 필수 사항이 아니므로, 아무런 지시도 하지 않으면 통신 개시 시의 최초의 프레임 이외에는 전부 프레임간 부호화 화상으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가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로부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 송신되는 경우도 상정하여, 반드시 화상 신호 재생 장치 B로부터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대하여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 등과 같이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요구하도록 설명했지만, 프레임내 부호화 화상이 프레임간 부호화 화상 사이에 적절하게 삽입된 부호화 화상 신호가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로부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로 송신되는 경우에만, 화상 신호 재생 장치 B로부터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에 송신하는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 등과 같이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요구하는 것은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B 측의 처리만으로, 즉 축적 재생 제어 장치(3)로부터의 축적 개시 신호에 의해 부호화 신호 축적부(4)가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축적을 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축적 재생 제어 장치(3)로부터의 재생 개시 신호에 의해 화상 복호(5)가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재생을 개시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는 장치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 왜곡된 화상을 표시하지도 않고,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11)
- 축적 요구에 기초하여 화상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함과 함께, 재생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복호하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있어서,상기 부호화 화상 신호를 복호하는 화상 복호부와,상기 부호화 화상 신호를 축적하는 부호화 신호 축적부와,상기 축적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신호 송신 장치에 대하여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지시함과 함께, 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에 대하여 축적 개시를 지시하는 축적 개시 신호를 송신하는 한편, 상기 재생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복호부에 대하여 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의 복호에 의한 재생 개시를 지시하는 축적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축적 재생 제어부는, 상기 축적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신호 송신 장치에 대하여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도록 요구하는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축적 재생 제어부는, 상기 인트라프레임 요구 신호를 반복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축적 재생 제어부는, 상기 축적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신호 송신 장치에 대하여 부호화 화상 신호를 송신하는 회선을 일단 폐쇄하고 다시 해당 회선을 개방하는 동작을 요구함으로써,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상 복호부는, 상기 화상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의 부호화 화상 신호를 복호할 때,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모드 신호를 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로 출력하고,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는, 상기 부호화 모드 신호에 기초하여,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되어 있는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축적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상 복호부는, 상기 축적 재생 제어부로부터 부호화 화상 신호의 재생 개시가 지시된 경우, 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가,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되어 있는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복호에 의한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부호화 신호 축적부는, 상기 화상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부호화 화상 신호로부터 화면 전체의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고, 화면 전체가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되어 있는 부호화 화상 신호부터 축적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 부호화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에 있어서,입력 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화상 신호로서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부호화부와,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로부터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 전체의 입력 화상 신호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상기 화상 부호화부를 제어하는 부호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 부호화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에 있어서,사전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신호 축적 송신부와,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로부터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 전체의 입력 화상 신호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를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송신부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부호화 제어부는,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로부터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 지시를 반복하여 수신했을 때는, 통신 회선의 에러 상황에 맞게 화면 전체의 입력 화상 신호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는 빈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로부터 화면 전체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신호의 송신 지시를 반복하여 수신했을 때는, 통신 회선의 에러 상황에 맞게 화면 전체의 입력 화상 신호를 프레임내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는 빈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송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214320A JP2002034021A (ja) | 2000-07-14 | 2000-07-14 | 画像信号蓄積再生装置および画像信号送信装置 |
JPJP-P-2000-00214320 | 2000-07-14 | ||
PCT/JP2001/006103 WO2002007437A1 (en) | 2000-07-14 | 2001-07-13 | Image signal storage/reproduction device, and image signal transmiss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3798A true KR20020033798A (ko) | 2002-05-07 |
Family
ID=1870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03336A KR20020033798A (ko) | 2000-07-14 | 2001-07-13 |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20150393A1 (ko) |
EP (1) | EP1303135A1 (ko) |
JP (1) | JP2002034021A (ko) |
KR (1) | KR20020033798A (ko) |
HK (1) | HK1052427A1 (ko) |
WO (1) | WO200200743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562106C (zh) * | 2004-01-23 | 2009-11-18 | 日本电气株式会社 | 运动图像通信装置、运动图像通信系统及运动图像通信方法 |
KR20070008289A (ko) * | 2005-07-13 | 2007-01-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정보 처리 시스템,그리고 그것의 구동 방법 |
US7478187B2 (en) * | 2006-03-28 | 2009-01-13 | Dell Products L.P. |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ot insertion of external graphics |
KR100767273B1 (ko) * | 2006-09-12 | 2007-10-17 | 박란 | 버스 위험경고장치 |
JP7105675B2 (ja) * | 2018-11-02 | 2022-07-25 | 株式会社東芝 | 送信装置、サーバ装置、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34313B2 (ja) * | 1990-11-09 | 1998-12-0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画像符号化復号装置 |
JP3104805B2 (ja) * | 1991-10-02 | 2000-10-30 | 株式会社東芝 | テレビ電話 |
JPH06350952A (ja) * | 1993-06-08 | 1994-12-22 | Hitachi Ltd | 圧縮動画像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
JP3129092B2 (ja) * | 1994-08-05 | 2001-01-2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符号化データ編集装置 |
US5568200A (en) * | 1995-06-07 | 1996-10-22 | Hitachi America,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video display of progressively refreshed coded video |
US5768533A (en) * | 1995-09-01 | 1998-06-16 |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 Video coding using segmented frames and retransmission to overcome channel errors |
JPH09261617A (ja) * | 1996-01-19 | 1997-10-0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オンデマンド通信システム |
US6028965A (en) * | 1997-05-13 | 2000-02-22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codec system |
US6012091A (en) * | 1997-06-30 | 2000-01-04 | At&T Corporation | Video telecommunications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video fast forward and reverse |
EP0933939A4 (en) * | 1997-07-18 | 1999-12-22 | Sony Corp |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XING AN IMAGE SIGNAL, METHOD AND SYSTEM FOR DEMULTIPLEXING AN IMAGE SIGNAL, AND TRANSMISSION MEDIUM |
US6397251B1 (en) * | 1997-09-02 | 2002-05-2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File server for multimedia file distribution |
KR100511693B1 (ko) * | 1997-10-23 | 2005-09-02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화상 복호화 장치 |
JPH11220711A (ja) * | 1998-02-03 | 1999-08-10 | Fujitsu Ltd | 多地点会議システム及び会議端末装置 |
JP4421055B2 (ja) * | 2000-03-06 | 2010-02-24 | 株式会社東芝 | データ伝送システムとその通信装置 |
GB2364459B (en) * | 2000-06-30 | 2004-03-31 | Nokia Mobile Phones Ltd | Video error resilience |
-
2000
- 2000-07-14 JP JP2000214320A patent/JP2002034021A/ja not_active Abandoned
-
2001
- 2001-07-13 KR KR1020027003336A patent/KR200200337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07-13 WO PCT/JP2001/006103 patent/WO2002007437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07-13 US US10/088,014 patent/US2002015039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1-07-13 EP EP20010949978 patent/EP1303135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3
- 2003-06-26 HK HK03104582.3A patent/HK1052427A1/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2034021A (ja) | 2002-01-31 |
US20020150393A1 (en) | 2002-10-17 |
HK1052427A1 (zh) | 2003-09-11 |
EP1303135A1 (en) | 2003-04-16 |
WO2002007437A1 (en) | 2002-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4224B1 (ko) | 영상 통신 에러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0931873B1 (ko) | 비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비디오 신호 부호기/복호기 | |
US7263125B2 (en) |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quantizer parameters in a video coding system | |
JP4603695B2 (ja) | 映像コーディング | |
AU774040B2 (en) | Video coding | |
USRE43238E1 (en) | Picture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apparatus | |
CN104902274A (zh) | 视频处理装置及方法 | |
KR100289856B1 (ko) | 화상 신호 재생 방법 및 화상 신호 재생 장치 | |
KR20010023666A (ko) | 수신장치 및 송수신장치 | |
US6526100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images, a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a multimedia terminal | |
KR100716093B1 (ko) | 멀티미디어 통신 단말기 | |
KR100972673B1 (ko) | 동화상 축적 시스템, 동화상 축적 방법 및 동화상 축적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
JPWO2009013958A1 (ja) | マルチメディア提供サービス | |
KR20020033798A (ko) | 화상 신호 축적 재생 장치 및 화상 신호 송신 장치 | |
JPH1070727A (ja) | 動画像伝送方法および動画像伝送装置 | |
JP2007201875A (ja) | 無線動画像通信システム | |
JP3594017B2 (ja) | ビットストリームの伝送方法及び伝送システム | |
JP2009296208A (ja) | 動画像再生装置及び動画像伝送システム | |
JPH0730893A (ja) |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 | |
KR100557047B1 (ko) | 동영상 디코딩 방법 | |
JPH07245747A (ja) | テレビ電話システム | |
JP2001309337A (ja) | 画像送信装置 | |
JPH07336678A (ja) | ディジタル信号送信、受信及び送受信装置 | |
JPH11308619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 |
JPH05276265A (ja) | 蓄積動画像再生方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