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0034A -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034A
KR20020030034A KR1020010063737A KR20010063737A KR20020030034A KR 20020030034 A KR20020030034 A KR 20020030034A KR 1020010063737 A KR1020010063737 A KR 1020010063737A KR 20010063737 A KR20010063737 A KR 20010063737A KR 20020030034 A KR20020030034 A KR 2002003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play
row direction
length
display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2919B1 (ko
Inventor
이께쯔유이찌
기따즈메에이이찌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2003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 passive matri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는 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전극, 행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전극,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및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사이에 개재하고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그들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생성함으로써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제 1 전극의 수는 표시 열의 수의 2 배이다. 제 2 전극은 2 개의 표시 행마다 제공된다. 각 화소는 행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3 발광색의 3 개의 부화소로 구성된다. 각 부화소는 평면 표시에서 제 1 전극이 제 2 전극과 교차되는 각 영역에 형성된다. 인접한 2 개의 표시 행 사이에서 부화소가 서로 행 방향으로 1/2 피치 이동하여 배열된다. 동일한 제 1 전극에 형성된 부화소의 발광색은 1 색으로 통일되어 있다. 3 개의 인접한 부화소의 발광색은 서로 상이한 2 개의 인접한 표시 행에서 3 개의 삼각형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COLOR ORGANIC E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막형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개발이 진행중인 컬러 유기 EL (electro-luminescent)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품질의 향상을 꾀한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LC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같이 컬러 박막형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주목받고 있다. 도 1 는 EL 소자 및 그 발광원리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EL 소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유리 또는 필름제의 투명기판 (121) 상에 인듐 산화주석 (ITO) 제의 투명 전극 (122) 이 양극 (positive electrode)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기 홀 주입층 (123) 및 유기 발광층 (124) 이 ITO 전극 (122) 상에, 순차 적층되고, 그 위에 금속전극 (125) 이 음극 (negative electrode) 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ITO 전극 (122) 과 금속전극 (125) 과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기 발광층(124) 은 투명기판 (121) 의 측부로 발광한다.
또한, 유기 EL 소자의 구조로서는, 두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층만이 형성된 구조, 두 전극사이에 유기 홀 주입 및 수송층, 유기 발광층 및 유기 전자 주입 및 수송층이 순차 형성된 구조, 및 두 전극 사이에 유기 홀 주입층, 유기 홀 수송층, 유기 발광층 및 유기 전자 수송층이 순차 형성된 구조와 같은 다른 구조도 존재한다.
부화소 (sub pixel) 의 배열에서 사용되는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트라이프 패턴, 모자이크 패턴 및 델타 패턴이 있다. 도 2 는 종래의 스트라이프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3 는 종래의 델타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4 는 종래의 모자이크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종래의 스트라이프 패턴에서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전극 (101)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 (101) 은 ITO 전극 (122) 에 대응한다. 각 제 1 전극 (101) 의 가로 방향 (행방향) 의 길이는, 1 화소의 가로 방향의 길이의 약 1/3 이다. 제 1 전극 (101) 상에는, 유기 발광층 등을 경유하여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전극 (104)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 (104) 은 금속전극 (125) 에 대응한다. 각 제 2 전극 (104) 의 폭은, 1 화소의 세로 방향 (열 방향) 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이다. 제 1 전극 (101) 의 수는, 표시 열의 수와 동일하고, 제 2 전극 (104) 의 수는, 표시 행의 수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 1 전극 (101) 및 제 2 전극 (104)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의 발광색은, 열마다 통일되어 있고, 행 방향으로 적색 (R), 녹색 (G) 및 청색 (B) 의 순으로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라이프 패턴에서, 제 1 전극 (101) 및 제 2 전극 (104) 의 단면에 1 개의 부화소가 존재한다. 1개의 주화소는 행 방향으로 배열된 3 색의 부화소로 구성된다.
열방향으로, 동일한 발광색을 가진 부화소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표와 같이 많은 열선 및 행선을 가진 영상의 표시에는 스트라이프 패턴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델타패턴에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전극 (111) 이 표시 열 수의 1.5 배의 수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전극 (111) 은, 교대로 형성된 전하주입부 (112) 및 배선부 (113) 를 구비한다. 전하 주입부 (112) 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길이는, 각각 화소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길이의 1/2 이다. 전하주입부 (112) 는 정사각형 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배선부 (113) 의 세로 방향의 길이는 화소의 세로 방향의길이의 1/2 이지만, 가로방향의 길이는 전하주입부 (112) 의 가로 길이와 비교하면 극히 좁다. 전하주입부 (112) 및 배선부 (113) 의 수는, 제 1 전극 (111) 의 1개당 표시 행 수와 동일하다. 또한, 행 방향으로는, 전하 주입부 (112) 와 배선부 (113) 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전극 (114) 이 제 1 전극 (111) 상에 유기 발광층 등을 경유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 (114) 은,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전극 (114)의 수는 표시 행 수와 동일하다. 제 1 전극 (111) 은 ITO 전극 (122) 에 대응하며, 제 2 전극 (104) 은 금속전극 (125) 에 대응한다.
이러한 델타패턴에서, 1 개의 화소는 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2 색의 전하주입부 (112) 및 이것들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열되고 발광색이 다른 전하주입부 (112) 로 구성된다. 즉, 1개의 화소는 "△" 또는 그 역형상의 각 피크에 위치하는 3 개의 전하주입부 (112) 로 구성된다.
델타 패턴은 스트라이프 패턴과 비교하면 부화소의 배열의 불규칙도가 크기 때문에, 자연 화상 및 동화상의 표시에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모자이크패턴에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 (101) 및 제 2 전극 (104) 이, 도 2 에 도시된 스트라이프 패턴과 유사하게 배열되어 있다. 다만,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의 발광색의 위치는, 일정방향에서 각 한 행마다 1 부화소씩 어긋나고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 (101) 의 시리즈 (series) 에 주목하면, 3 행마다 동일한 발광색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자이크 패턴에서, 1개의 화소는 행 방향으로 배열된 3 색의 부화소로 구성된다.
모자이크 패턴은, 스트라이프 패턴 및 델타 패턴의 이점을 제공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48482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78590호에, 모자이크패턴을 가진 컬러 LCD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트라이프 패턴에 있어서는, 열 방향으로 동일 색을 가진 부화소가 연속하여 배열되고 있는 한편, 행 방향으로 3 색의 부화소가 순서대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3 개의 부화소가 같은 정도로 발광하는 백선 (whiteline) 이외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세로선과 가로선의 사이에 표시품질이 상이한 문제점이 있다. 즉, 백선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세로 및 가로선이 연속한 선으로서 표시될 수 있지만, 백색을 제외한 다른 색의 선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가로선이 미세한 점선으로서 표시되기 때문에, 세로선과 가로선의 사이의 표시품질이 상이하다.
또한, 종래의 델타패턴에서는, 스트라이프 패턴에 대조하여, 세로선이 지그재그 형으로 표시된다. 이는 그 표시품질을 저하시켜 표 등의 많은 세로 및 가로 선을 포함하는 영상의 표시에는 알맞지 않다.
또한, 종래의 모자이크패턴에서는, 제 1 전극 (101) 의 시리즈가 3 색의 부화소를 포함한다. 즉, 1 개의 제 1 전극 (101) 에 의해 3 색이 발광된다. 따라서, 각 색의 신호의 출력 순서를 1 개의 표시 행마다 교체하는 필요가 있어서, 신호처리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한 많은 화소를 가진 경우에는, 패널을 상부 및 하부로 한정하고, 제 1 전극을 구동하는 2 개의 구동회로를 이들 한정된 부분의 구동을 위해 준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위 패턴이 채택되면 2 개의 구동회로의 특성이 서로 상이한 경우, 표시된 화상이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불연속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부 및 하부로 한정한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1/2 화상 데이터 신호를 기억하기위한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프레임 메모리가 필요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방법을 번잡화시키지 않고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는 EL 소자및 그 발광원리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스트라이프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종래의 델타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 은 종래의 모자이크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 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a는 발광 방지층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차폐 층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전극,2: 전하주입부
3: 배선부, 4: 제 2 전극
5: 유리기판, 6: 폴리이미드막
7; 유기 홀 주입층 8; 유기발광층
9; 금속배선 11; 패널
12, 13; 열 드라이버 14, 15; 신호처리회로
16; 라인메모리17; A/D 컨버터
18; 행 드라이버 19; 제어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유기 EL 디스플레이는, 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전극, 행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전극,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및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 1 및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그들의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생성함으로써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제 1 전극의 수는 표시 열 수의 2 배이다. 제 2 전극은 2 표시 행마다 형성된다. 각 화소는 행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3 발광색의 3 개의 부화소로 구성된다. 각 부화소는, 평면도에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교차하는 각 영역에 형성된다. 부화소는 인접한 두 표시 행 사이에서 행 방향으로 서로 반화소씩 어긋나 배열된다. 동일한 제 1 전극에 형성된 부화소의 발광색은 단일색으로 통일되어 있다. 두개의 인접한 표시 행에서 3 개의 삼각형 위치에 배열된 인접한 3 개의 부화소의 발광색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일한 제 1 전극에 형성된 복수의 부화소의 발광색이 통일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전극의 구동 방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색의 부화소 사이의 거리가 열 방향 및 행 방향에서 비교적 균일하기 때문에, 영상이 자연화상, 동화상 및 표 등의 많은 세로선및 가로선을 포함하는 경우라도, 매끄러운 표시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2 개의 표시 행을 동시에 구동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패널을 2 부분으로 한정하여 동시에 구동하는 구동방법과 유사한 새로운 구동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패널이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도 고속 스캐닝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2 개의 구동 회로가 사용되고 그 회로의 특성이 서로 약간 상이한 경우에도, 패널에서 연속적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의 용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배선부와 제 2 전극의 사이의 영역으로부터의 발광의 생성을 방지하는 발광방지막을 배선부 상에 형성하는 경우, 또는 배선부와 제 2 전극과의 사이의 영역에서 생성된 발광이 제 1 전극으로부터 외부에 새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층을 배선부 상에 형성하는 경우, 불필요한 부분에서의 표시를 방지하여 바람직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술한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중 임의의 것의 구동방법은, 제 1 전극을 데이터 전극으로 하고 제 2 전극을 스캐닝 전극으로 하여 패시브매트릭스 방법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전극 (데이터전극) (1) 의 수는 표시 열 수의 2배이다. 제 1 전극 (1) 은,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제 1 전극 (1) 은 교대로 배열된 전하주입부 (2) 및 배선부 (3) 을 포함한다. 전하주입부 (2)의 가로방향 (행방향) 의 길이는 화소의 가로길이의 1/3 이고, 세로방향 (열방향) 의 길이는 화소의 세로길이와 동일하다. 전하주입부 (2) 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길이는, 각각 0.108 mm, 0.36 mm 정도이다. 즉, 전하주입부 (2) 는, 직사각형이고, 그 종횡의 비는, 예컨대 27 : 10 내지 10 : 3 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배선부 (3) 의 세로방향의 길이는 화소의 세로길이와 거의 동일하지만, 그 가로방향의 길이는 전하주입부 (2) 의 가로길이보다 극히 좁다. 전하주입부 (2) 및 배선부 (3) 의 수는, 각각 제 1 전극의 하나 당 표시 행 수의 절반이다. 또한, 행 방향으로는, 전하주입부 (2) 및 배선부 (3) 가 교대로 배열된다.
제 1 전극 (1) 상에는, 유기 발광층 등(도시하지 않음) 을 경유하여 행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 2 전극 (스캐닝 전극) (4)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 (4) 의 폭은, 화소의 세로방향의 길이의 2 배 (예컨대, 약 0.72 mm)이다. 1 개의 제 2 전극 (4) 은 2 표시 행분의 전하주입부 (2) 를 덮고 있다.
제 1 전극 (1) 과 제 2 전극 (4)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의 발광색은 하나의 제 1 전극 (1) 마다 통일되어 있다. 1 표시 행에 대하여, 유기발광층은 전하주입부 (2) 상에 행 방향으로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의 순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인접한 표시 행에 대하여, 1 색의 유기발광층이 표시 행 중 서로 인접한 다른 2 색의 유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배선부 (3) 에 접속된 전하주입부 (2)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1 개의 표시 행에 대하여, 적색의 유기발광층과 녹색의 유기발광층이 서로 인접한 경우, 청색의 유기발광층이 1 개의 표시행에서 한 행씩 위 또는 아래의 행에 형성된다. 녹색의 유기발광층과 청색의 유기발광층이 서로 인접한 경우, 적색의 유기발광층이 1 개의 표시행에서 한 행씩 위 또는 아래의 행에 형성된다. 또한 청색의 유기발광층과 적색의 유기발광층이 서로 인접한 경우, 녹색의 유기발광층은 1 개의 표시행에서 한 행씩 위 또는 아래의 행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전극 (1) (전하주입부2) 은 ITO 전극 (122) 에 대응하고, 제 2 전극 (4) 은 금속전극 (125) 에 대응한다.
이러한 전극패턴에서는, 행 방향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순으로 배열된 3개의 부화소로 1개의 화소 (주화소) 가 구성된다. 그러한 화소는, 서로 인접한 표시 행 중에서, 서로 1/2 피치 이동하여 배열되어 있다.
도 6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전극패턴을 가지는 패널 (11) 에 접속된 열 드라이버 (12, 13) 가 형성되어 있다. 열 드라이버 (12) 는, 1 개의 제 2 전극 (4) 로 뒤덮힌 2 개의 표시 행 중 위쪽의 표시 행, 즉 상부에서 홀수번 째의 표시 행에 전하주입부 (2) 가 위치하는 제 1 전극 (1), 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열 드라이버 (13) 는, 상술한 2 표시 행 중 아래쪽의 표시 행, 즉 상부에서 짝수번째의 표시 행에 전하주입부 (2) 가 위치하는 제 1 전극 (1) 에 접속되어 있다. 열 드라이버 (12, 13) 은 각각 3 색의 3 계통 (route) 으로 신호처리회로 (14, 15)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처리회로 (14) 는 3계통으로 라인메모리 (16) 에 접속된다. 신호처리회로 (15) 및 라인메모리 (16) 는 아날로그/디지털 (A/D) 컨버터 (17) 에 3 계통으로 접속된다. 3 색의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 (R, G, B) 가 A/D 컨버터 (17)에 입력된다. 상술한 패턴화된 전극을 가지는 패널 (11) 에서 제 2 전극 (4) 을 스캐닝하는 행 드라이버 (18) 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수직 동기 신호 (VS) 및 수평 동기 신호 (HS) 를 수신하여, 열 드라이버 (12, 13), 신호 처리 회로 (14, 15), 라인 메모리 (16), A/D 컨버터 (17) 및 행 드라이버 (18) 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19)가 형성되고 있다. 제어기 (19) 는, 수직동기신호 (VS) 및 수평동기신호 (HS) 에 따라서 행 드라이버에 형성된 쉬프트 레지스터 (shift register) 의 시작 펄스 및 클록 신호 등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의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는,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에 의해 구동한다.
A/D 컨버터 (17) 이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 (R, G, B) 를 수신하면 , 이들 신호는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홀수행에 대한 디지탈화된 각 데이터신호는 라인 메모리 (16) 로 출력되고, 짝수행에 대한 신호는 신호처리회로 (15) 로 출력된다. 짝수행에 대한 데이터신호는, 신호처리회로 (15) 에 의해 래치되고,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고, γ보정 처리된다. 그후, 이 신호는 열 드라이버 (13) 로 출력된다. 한편, 홀수행에 대한 데이터신호는, 라인메모리 (16) 에 1 표시행씩 기억된다. 그후, 이 신호는 신호처리회로 (14) 에 출력되고, 짝수행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래치되고,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고, γ보정 처리되어, 열 드라이버 (12) 로 출력된다. 또한, 행 드라이버 (18) 는, 수직동기신호 (VS) 및 수평동기신호 (HS) 에 따라서 제 2 전극 (4) 을 스캐닝한다. 그리고, 열 드라이버 (12, 13) 가 제 1 전극 (1) 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면, 스캐닝되고 있는, 제 2 전극 (4) 과 제 1 전극 (1) 사이의 2 표시 행에 배열된 부화소가 동시에 발광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색을 가진 부화소 사이의 거리가, 열방향 및 행방향으로 서로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자연화상 또는 동화상이 표시되는 경우라도, 표시품질을 양 방향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일색의 부화소가 이산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의 형성공정에서 그물코 모양의 개구부를 가지는 금속 마스크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스트라이프 패턴에서는, 플루트 형으로 형성된 개구부가 필요하기 때문에, 특정 방향에서의 마스크 강도가 약하다. 그러나, 본실시예의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현저히 향상된 금속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마스크의 변형이 방지되어, 패터닝 정확도가 향상된다.
또한, 종래의 델타 패턴과 비교하면, 세로선의 지그재그가 억제된다.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행의 수가 동일한 경우, 전하주입부의 행의 수는 종래의 델타패턴의 행수의 1/2 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 (1) 의 시리즈는 1 색을 가진 1 개의 부화소에만 대응한다. 따라서, 종래의 모자이크패턴과 비교하면, 구동회로 (열 드라이버 (12, 13))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그 구동방법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본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열 드라이버 (12, 13) 에 의해 제 2 전극 (4) 의 시리즈를 포함하는 2 표시 행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을 2 부분으로 분할하는 구동 방법과 본 실시예의 구동방법이 등가임에도 불구하고, 도 6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제 2 전극 (4) 을 스캐닝하는데 하나의 행 드라이버 (18)로 충분하다. 또한, 1 표시 행씩 구동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와 비교하면, 제 2 전극 (4) 의 폭이 2 배가 되기 때문에 형성 공정에서 패터닝 정확도를 확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폭이 넓어지므로 저항값이 저감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구동방법이 패널을 2 부분으로 분할하는 방법과 등가이더라도, 메모리에는 1 표시행에 대해서만 표시 데이터가 기억된다. 따라서, 종래의 프레임 메모리에서 사용되는 대용량의 메모리는 필요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라인 메모리 (16) 를 사용하여 종래 방법과 동등한 또는 그 이상의 화질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열 드라이버 (12, 13) 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 행이 항상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열 드라이버 (12, 13) 사이의 특성에 약간의 상이점이 있는 경우라도, 그것에 의한 영상의 불연속감은 인식되지 않는다.
제 1 전극 (1) 은, 예컨대 유리기판상에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극 (4) 은, 유기발광층 등의 형성후에, 예컨대 섀도우마스크를 사용한 패터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선부 (3) 와 제 2 전극 (4)의 사이에서 발광을 방지하는 발광방지막 또는 그 발광이 생겼다 하더라도 외부에의 발광 누설을 차폐하는 차폐막이 배선부 (3) 와 제 2 전극 (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는 발광방지막이 형성된 실시예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7b는 차폐막이 형성된 실시예의개략단면도이다.
발광방지막이 형성되는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기판 (5) 상에 전하주입부 (2) 및 배선부 (3) 를 구비한 제 1 전극 (1) 이 형성되고, 예컨대 배선부 (3) 상에, 절연 폴리이미드막 (6) 이 형성된다. 그후, 전체 면에 유기 홀 주입층 (7) 이 형성되고, 부화소의 발광색에 대응하는 유기발광층 (8) 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전극 (4) 이 2 표시 행마다 형성된다. 폴리이미드막 (6)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기발광층 (8)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 1 전극 (1) 과 제 2 전극 (4) 과의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유기 홀 주입층 (7) 의 존재로 인해 발광이 발생한다. 그러나, 폴리이미드막 (6) 이 존재하고 있으면, 그 영역에서는 제 1 전극 (1) 과 제 2 전극 (4) 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그 영역에서의 발광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불필요한 부분에서의 발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발광방지막은,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 사이에 배선부 (3) 뿐만 아니라 유리 기판 상에도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 사이의 영역에 발광방지막을 제공함으로써 발광의 누설을 더욱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차폐막이 형성되는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부 (3) 상에, 예컨대 Ni, Au 또는 Cr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배선 (9) 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광방지막이 형성되는 경우와 같이, 유기 홀 주입층 (7), 유기발광층 (8) 및 제 2 전극 (4) 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에서는, 금속배선 (9) 과 제 2 전극 (4) 과의 사이에서 발광한다. 그러나, 발광은 금속배선 (9) 에 의해서 차폐되기 때문에, 외부에는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불필요한 부분에서의 발광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또한, 금속배선 (9) 에 의해, 전하주입부 (2) 사이의 저항값이 감소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방지막이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저항값 감소의 효과는, 배선부 (3) 상에 금속배선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발광방지막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금속배선 (9)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b에서는, 배선부 (3) 상에만 차폐막으로서의 금속배선 (9) 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차폐막은, 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 사이에 유리기판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사이의 영역에 차폐막을 형성함으로써, 발광의 누설을 더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에 도시된 발광방지막과 같이, 차폐막은 서로 접촉함이 없는 영역에 배선부 (3) 뿐만 아니라 유리기판 상에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사이의 영역에 차폐막을 형성함으로써, 발광의 누설을 더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방지막 또는 차폐막이 제공되거나 이들 막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전극 사이의 구성은 도 7a 또는 도 7b 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두 전극사이에 유기발광층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두 전극사이에 유기 홀 주입 및 수송층, 유기발광층 및 유기 전자 주입 및 수송층을 순차 적층할 수 있고, 두 전극사이에 유기 홀 주입층, 유기 홀 수송층, 유기발광층 및 유기 전자 수송층을 순차 적층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2 표시행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라인메모리 (1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대신에지연선 (delay line) 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제 1 전극에 형성된 복수의 부화소의 발광색을 1색에 통일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전극의 구동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일색의 부화소 사이의 간격이 열 방향 및 행 방향 사이에서 비교적 균일하기 때문에, 자연화상, 동화상 및 표 등의 세로선및 가로선이 많은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이더라도, 매끄러운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2 표시 행으로 동시에 표시를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패널을 2 분할하여 동시에 구동하는 방법과 등가인 구동방법을 채용할 수 있어서, 고속스캐닝이 가능해져, 구동회로의 특성이 약간 상이하더라도, 패널의 상하 사이에서 연속한 영상을 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영상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의 용량을 저감할 수가 있다.

Claims (21)

  1. 열 방향으로 연장되고 표시 열의 수의 2 배의 수가 존재하는 제 1 전극;
    행 방향으로 연장되고 2 개의 표시 행마다 제공되는 제 2 전극;
    상기 행 방향 및 상기 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행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3 발광색의 3 개의 부화소로 각각 구성되고,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 1 전극이 상기 제 2 전극과 교차되는 각 영역에 상기 각 부화소가 형성되고, 인접한 2 개의표시 행 사이에서 상기 부화소가 서로 행방향으로 1/2 피치 이동하여 배열되고, 동일한 제 1 전극에 형성된 부화소의 발광색은 1 색으로 통일되어 있고, 3 개의 인접한 부화소의 발광색은 서로 상이한 2 개의 인접한 표시 행에서 3 개의 삼각형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화소;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의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그들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생성함으로써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전극은,
    상기 각 부화소내에 1 개씩 형성되고 상기 표시 행 수의 1/2 인 수가 존재하는 전하주입부; 및
    상기 전하주입부를 서로 접속하는 배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와 상기 제 2 전극과의 사이에서 발광이 형성됨을 방지하는, 상기 배선부 상에 형성된 발광방지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와 상기 제 2 전극과의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발생된 발광이 상기제 1 전극으로부터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배선부 상에 형성된 차폐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와 상기 제 2 전극과의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발생된 발광이 상기제 1 전극으로부터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배선부 상에 형성된 차폐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는 행방향의 길이를 1 로 하였을 경우 열방향의 길이가 2.7 내지 10/3 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는 행방향의 길이를 1 로 하였을 경우 열방향의 길이가 2.7 내지 10/3 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는 행방향의 길이를 1 로 하였을 경우 열방향의 길이가 2.7 내지 10/3 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는 행방향의 길이를 1 로 하였을 경우 열방향의 길이가 2.7 내지 10/3 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는 행방향의 길이를 1 로 하였을 경우 열방향의 길이가 2.7 내지 10/3 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2 개의 표시 행에서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12.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2 개의 표시 행에서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13.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2 개의 표시 행에서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14.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2 개의 표시 행에서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15.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2 개의 표시 행에서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16.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2 개의 표시 행에서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17.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2 개의 표시 행에서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18.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2 개의 표시 행에서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19.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2 개의 표시 행에서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20.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2 개의 표시 행에서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21. 제 1 항에 기재된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을 데이터 전극으로 하고 상기 제 2 전극을 스캐닝 전극으로하여,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방법.
KR10-2001-0063737A 2000-10-16 2001-10-16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KR100422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15627 2000-10-16
JP2000315627 2000-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034A true KR20020030034A (ko) 2002-04-22
KR100422919B1 KR100422919B1 (ko) 2004-03-16

Family

ID=1879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737A KR100422919B1 (ko) 2000-10-16 2001-10-16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18709B2 (ko)
KR (1) KR100422919B1 (ko)
DE (1) DE1015083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5247B2 (en) * 2003-05-30 2014-03-04 Global Oled Technology Llc Flexible display
US9827314B2 (en) * 2003-12-08 2017-11-28 Mars, Incorporated Edible compositions which are adapted for use by a companion animal
KR100560445B1 (ko) * 2004-03-15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560446B1 (ko) * 2004-03-15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6227337A (ja) * 2005-02-18 2006-08-31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635511B1 (ko) * 2005-09-30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662998B1 (ko) 2005-11-04 2006-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080001525A1 (en) * 2006-06-30 2008-01-03 Au Optronics Corporation Arrangements of color pixels for full color OLED
US7498603B2 (en) * 2006-12-06 2009-03-03 General Electric Company Color tunable illumination source and method for controlled illumination
US8772774B2 (en) * 2007-12-14 2014-07-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ackplane structures for organic light emitting electronic devices using a TFT substrate
US8154700B2 (en) * 2007-12-28 2012-04-1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nic device having electrodes and organic active regions and processes of forming the same
KR101851679B1 (ko) 2011-12-19 2018-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TWI559524B (zh) * 2013-01-15 2016-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激發光顯示面板之畫素結構
CN103488020A (zh) * 2013-08-09 2014-0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2476539B1 (ko) 2017-12-12 2022-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집적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1467A (en) * 1974-07-25 1975-10-07 Rca Corp Interlaced readout of charge stored in charge-coupled image sensing array
JP2655865B2 (ja) * 1988-03-16 1997-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527477B2 (ja) * 1988-06-14 1996-08-21 シャープ株式会社 絵素表示装置
FR2670939B1 (fr) * 1990-12-21 1996-12-20 Thomson Lcd Ecran matriciel couleur a filtres colores en triade.
JP3457377B2 (ja) * 1994-04-20 2003-10-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07248482A (ja) 1994-09-02 1995-09-26 Canon Inc カラー表示パネル
JP2900019B2 (ja) * 1995-03-23 1999-06-02 トーケン工業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用セルの検査方法
JP3329206B2 (ja) 1996-09-05 2002-09-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装置および画素配列方法
US5936657A (en) * 1997-01-17 1999-08-10 Xerox Corporation Self replacing OLED multibar printbar
JP3226830B2 (ja) * 1997-03-31 2001-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034758A (en) * 1997-06-20 2000-03-07 Petera; Michael G. Low multiplex ratio dot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JP3542504B2 (ja) * 1997-08-28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表示装置
JP3308880B2 (ja) * 1997-11-07 2002-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と投写型液晶表示装置
US6111356A (en) * 1998-04-13 2000-08-29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fabricating pixelated polyme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JP3927323B2 (ja) * 1998-09-11 2007-06-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フルカラー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13982A (ja) * 1998-10-08 2000-04-21 Sony Corp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2000228284A (ja) * 1998-12-01 2000-08-15 Sanyo Electric Co Ltd カラー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2919B1 (ko) 2004-03-16
DE10150836B4 (de) 2008-07-31
US6518709B2 (en) 2003-02-11
US20020043941A1 (en) 2002-04-18
DE10150836A1 (de)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3985B2 (en) Sub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KR101307556B1 (ko) 표시장치와 그의 서브 픽셀 배열 구조
US10297646B2 (en) Display device having sub-pixel array structure
KR100422919B1 (ko) 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CN106653799B (zh) 像素结构以及包含所述像素结构的oled显示面板
US1029068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902141B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KR20210084639A (ko) Oled 어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3548844B2 (ja) カラー有機el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
JP2019015937A (ja) 表示装置
US20150364075A1 (en) Display device
JP2006338012A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518051B (zh)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16098317A1 (ja) 表示装置
KR20160019243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00119653A (ko) 유기전계발광소자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WO2012157536A1 (ja) 表示装置
JP7261071B2 (ja) 表示装置
US20050104822A1 (en) Self light emission display device
CN111524937B (zh) 一种oled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WO2005104626A1 (ja) パッシブマトリクス型発光装置
CN114843331A (zh) 像素排布结构及显示装置
KR10129179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757899B2 (ja) 駆動用半導体装置及び表示装置ならびに輝度バランス調整方法
KR100779945B1 (ko)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