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324A - 차량수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29324A KR20020029324A KR1020017012679A KR20017012679A KR20020029324A KR 20020029324 A KR20020029324 A KR 20020029324A KR 1020017012679 A KR1020017012679 A KR 1020017012679A KR 20017012679 A KR20017012679 A KR 20017012679A KR 20020029324 A KR20020029324 A KR 200200293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r
- support
- fixing
- damaged
- hollow shaf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6—Removing local distor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2/00—Metal deforming
- Y10S72/705—Vehicle body or frame straigh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고 용이하게 손상부를 소정의 위치로 끄집어 낼 수 있는 차량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패널면의 손상부를 정규의 위치로 끄집어내는 장치로서, 손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21)를 갖으며 그 제 1 고정부를 소정범위의 손상부에 고정하여 끌어올리는 제 1 풀러(2)와, 손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부(31)를 가지며 그 제 2 고정부를 상기 제 1 풀러의 인상대상이 되는 패널면의 손상부 중 더 국부에 고정하여 끌어을리는 제 2 풀러(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패널면에 형성된 손상부를 정규의 위치까지 복원하는 판금 수리에 사용되는 종래의 차량수리장치에는 도 21에 도시한 슬라이딩 해머(200)나 도 22에 도시한 파워록 스탠드 장치 등이 있다.
슬라이딩 해머(200)란, 일단의 후크(204) 및 타단의 철제 손잡이부(203)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철제의 축봉(201)과, 그 축봉(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카운터 웨이트(202)를 갖는 공구로서, 비교적 손상 면적이 작은 손상부에 사용되고 있다.
이 슬라이딩 해머(200)의 사용방법은 축봉(201)의 일단에 형성된 후크(204)를 미리 손상부(D)에 용착해 둔 용착 와셔(W)에 걸리게함과 동시에 손잡이부(203)를 한 손으로 쥐고, 이어 그 축봉(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카운터 웨이트(202)를 손잡이부(203)에 기세 좋게 부딪히도록 슬라이딩시켜 손상부(D)를 인출해낸다. 즉, 카운터 웨이트(202)의 관성 에너지를 손잡이부(203)→축봉(201)→후크(204)→손상부(D)의 순서로 전달하고, 손상부(D)를 작업자측으로 끌어내는 공구이다. 또한, 이 슬라이딩 해머를 사용할 경우에는 손상부에 대해 순간적으로 큰 에너지가 작용한다. 이 때문에, 손상부(D)는 국부적으로 인출되게 된다.
또한, 파워록 스탠드 장치(300)란, 손상부(D)와 그 손상부(D)에 근접하는 바닥면과의 사이에 체인 블록(301)을 통해 팽팽히 걸쳐진 체인과, 그 팽팽하게 걸쳐진 체인(302)의 일부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여 손상부(D)의 인출 방향(높이)을 정하는 스탠드(303)로 이루어진 장치로서, 비교적 손상 면적이 큰 손상부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체인 블록(301)은 후크를 갖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형성된 체인과, 그 체인의 권취장치로 이루어진 장치로서, 그 권취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체인의 길이를 임의로 줄일 수 있다.
이 파워록 스탠드 장치(300)의 조작방법은 먼저 미리 손상부(D)에 용착해 둔 용착 워셔(W)에 체인 블록(301)의 후크를 걸고, 이어 손상부(D)에 근접하는 바닥면으로부터 그 체인 블록(301)에 체인(302)을 팽팽히 친다. 이 때, 팽팽하게 친 체인(302)의 일부가 상기 스탠드(303)에 의해 손상부(D)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지지되도록 스탠드(303)를 배치한다. 그리고, 체인 블록(301)을 조작하여, 팽팽하게 걸쳐진 체인(302)의 전체 길이를 서서히 줄임으로써, 손상부(D)를 정규의 위치까지 끄집어 낼 수 있다. 또한, 파워록 스탠드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손상부에 대해 서서히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손상부는 전체적으로 원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런데, 차량의 패널면에 형성된 손상부에는 커다란 일그러짐 중에 작은 요입부가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손상 상태도 있다. 이 경우, 종래의 수리방법에서는먼저 파워록 스탠드 장치를 이용하여 손상부를 전체적으로 끌어내고, 그 후 슬라이딩 해머를 이용하여 그 국부적인 요입부를 복원하였었다.
또한, 손상부에 미리 용착되는 용착 와셔의 수를 늘려, 상기 두 장치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는데, 용착 와셔를 최적의 위치에 용착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사 두 장치를 잘 설치할 수 있다고 하여도, 파워록 스탠드 장치가 사용하는 용착 와셔가 슬라이딩 해머의 사용으로 인한 충격으로 떨어질 위험성도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판금 수리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장치를 바꿔가면서 작업을 할 수밖에 없어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수리에 걸리는 시간도 길어졌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손상부를 소정의 위치로 끄집어낼 수 있는 차량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시간에 손상부를 소정의 위치로 인출할 수 있는 차량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패널면의 손상을 정규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차량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수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수리장치에 따른 인상(끌어올림) 동작의 원리를 나타낸 원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풀러 본체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풀러 본체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풀러 본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부의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풀러만을 끌어올린 상태를 나타낸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풀러만을 끌어올린 상태를 나타낸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풀러 및 제 2 풀러를 동시에 끌어올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장치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장치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로 레일의 단부 부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로 레일 지지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로 레일 지지 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로 레일의 동작 가능 상태를 나타낸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장치에 형성된 지지각(supporting leg)의 단면도.
도 21은 종래의 판금 수리에 사용되고 있는 슬라이딩 해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종래의 판금 수리에 사용되고 있는 파워록 스탠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수리장치의 다른 형태의 단면도.
본 발명의 차량수리장치는 패널면의 손상부를 정규의 위치로 인출하는 장치로서, 손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를 가지며 그 제 1 고정부를 소정범위의 손상부에 고정하여 끌어올리는 제 1 풀러(puller)와, 손상부에 고정할 제 2 고정부를 가지며 그 제 2 고정부를 상기 제 1 풀러의 끌어올림 대상이 되는 패널면의 손상부 중, 더 국부에 고정하여 끌어올리는 제 2 풀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손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풀러의 끌어올림 대상이 되는 패널면의 손상부를 덮는 흡착 패드와, 그 흡착 패드의 내측을 감압하는 감압수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손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부는 패널면의 손상부에 용착된 용착부재와, 그 용착부재를 지지하는 홀더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축과, 이 중공축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드 로드와, 상기 중공축을 끌어올리는 제 1 승강장치와, 상기 슬라이드 로드를 끌어올리는 제 2 승강장치를 구비한 풀러 본체를 가지며, 상기 중공축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제 2 고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중공축의 일단에 형성한 상기 제 1 고정부의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러 본체를 패널면의 손상부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이 지지부는 상기 풀러 본체의 축방향상의 일점을 지지하고, 상기 풀러 본체는 이 지지부에 지지된 축방향상의 일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그 일단이 전후좌우 전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승강장치 및 제 2 승강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중공축 또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그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랙 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계합되고 그 회전방향으로 제한을 가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피니언 기어 및 상기 걸림돌기를 내부에 구비함과 동시에 소정의 지지점으로 지지되는 승강장치 본체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풀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세로 레일과, 그 세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가로 레일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다란 일그러짐 중에 작은 요입부가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손상상태의 손상부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소정의 위치까지 끄집어 낼 수 있다.
또한, 단일 장치에 의해 또한 동시에, 커다란 일그러짐 중에 작은 요입부가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손상부를 끄집어 낼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장치를 바꿔 넣는 번거로운 작업에서 작업자를 해방시킬 수 있다. 또, 손상 수리에 걸리는 시간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풀러 본체를 손상부 부근의 모든 각도,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손상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끄집어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정규의 형상과 매우 근사한 판금 보수면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차량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제 1 풀러(2) 및 제 2 풀러(3)를 일체로 구비한 풀러 본체(1)와, 풀러 본체(1)를 패널면의 손상부(이하, 단순히 손상부라 칭한다)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와, 그 지지부(4)를 손상부에 대해 평면 매트릭스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풀러(2)는 손상부를 소정의 범위에서 고정(지지)하는 제 1 고정부(21)와, 그 제 1 고정부(21)를 하단측에 갖는 금속제 중공축(22)과, 상기 지지부(4)를 지지점으로 하여 중공축(22)을 끌어올리는 제 1 승강장치(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공축(22)의 하단이란,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차량수리장치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패널면과 마주보는 단부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하측, 하단, 하면 등이라 칭할 경우에는 항상 차량의 패널면(손상부) 방향을 나타낸다.
제 1 고정부(21)는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본체부(23)와, 그 본체부(23)의 하면에 복수의 볼트(24)에 의해 고정된 2중 흡착 패드(25)와, 일단이 흡착 패드(25)의 내측으로 개구되고 타단이 부압원을 구비한 부압발생장치(미도시)에 접속된 흡기통로(26)로 이루어진다. 도 5의 부호 27은 그 흡착 패드(25)의 내측으로 일단이 연통된 흡기통로(26)의 개구를 나타내고 있다.
흡착 패드(25)는 외부흡착 패드(25a), 내부흡착 패드(25b)로 이루어진 2중 구조이며, 그리고, 이 흡착 패드(25)를 손상부에 꽉 누른 상태에서 부압발생장치를 작동시키면, 그 부압(負壓)에 의해 외부흡착 패드(25a)와 내부흡착 패드(25b)로 둘러싸인 공간이 감압되어, 손상부는 그 흡착 패드(25)의 직경에 대응하는 면적에 있어서 제 1 고정부(21)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지지)된다.
또한, 흡착 패드(25)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2가지 타입이 준비되어 있으며, 손상부의 면적 및 형상에 따라 바꿔 붙일 수 있다. 흡착 패드(25)를 교체할 때에는 흡착 패드(25)를 본체부(23)에 고정하는 볼트(24)를 떼어내고 실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압을 이용하여 손상부를 지지하는 흡착장치를 제 1 고정부(21)에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23) 및 흡착 패드(25)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23)에 투시창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고정부(21)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인출 작업을 할 수 있다. 투명한 소재로서는 아크릴 등의 수지소재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23)의 상면측 중앙에 제 1 승강장치(6)에 의해 끌어올려진 금속제의 중공축(22)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23) 및 흡착 패드(25)에는 그 중공축(22)의 내측과 연통하는 제 2 풀러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 2 풀러 관통홀(28) 및 중공축(22)의 내측을 통과해 제 2 풀러(3)가 제 1 풀러(2)와 동심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풀러(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패드(25) 자체를 직접, 관통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제 2 풀러(3)를 형성한 상태에서도 제 1 고정부(21)의 흡착력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흡착 패드(25)는 2중 구조뿐만 아니라 단순히 외부흡착 패드(25a)만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 2 풀러(3)와 제 2 풀러 관통홀(28)의 틈새(clearance)를 충분히 작게 하면, 제 1 고정부(21)의 흡착력을 손상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손상부를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4)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중공축(22)을 끌어올리는 제 1 승강장치(6)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축(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중공축(22)에 형성되며 또한 그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랙 기어(61)와, 그 제 1 랙 기어(61)에 맞물리는 제 1 피니언 기어(62)와, 제 1 피니언 기어(61)에 맞물리며 그 회전방향으로 제한을 가하는 제 1 걸림돌기(63)와, 제 1 피니언 기어(61) 및 제 1 걸림들기(63)를 내부에 구비한 제 1 승강장치 본체(64)와, 제 1 피니언 기어(61)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 1 회전수단(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회전수단으로서, 래칫(rachet)기구를 구비한 래칫레버를 사용하는데, 전동 모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 1 승강장치(64)의 조작 방법은, 후술하는 지지부(4)의 설명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풀러(3)는 상기 제 1 풀러(2)의 끌어올림 대상이 되는 손상부를 더욱 국부적으로 고정(지지)하는 제 2 고정부(31)와, 그 제 2 고정부(31)를 하단에 구비하며 상기 중공축(22) 및 상기 제 2 풀러 관통홀(28)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 로드(32)와, 상기 지지부(4) 또는 상기 제 1 풀러(2)의 중공축(22)을 지지점으로 하여 슬라이드 로드(32)를 끌어올리는 제 2 승강장치(7)로 이루어진다.
제 2 고정부(3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스측으로 대전된 금속제의 홀더 본체(33)와, 그 홀더 본체(33)의 선단부분에 매립된 금속제의 전착(eletrodeposition) 칩(34)(용착부재)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 2 고정부(31)에는 용착에 의해 손상부를 지지하는 전착 홀더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착 칩(34)을 미리 마이너스측으로 대전된 손상부에 용착하여, 그제 2 고정부(31)에 의해, 제 1 풀러(2)의 끌어올림 대상이 되는 손상부를 더 국부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31)로 고정되는 손상부의 면적은 제 1 풀러(2)의 제 1 고정부(21)에 고정되는 손상부의 면적에 비해 충분히 작은 면적이다.
제 2 고정부(31)를 하단에 갖는 슬라이드 로드(32)는 금속제이며 그 전체 길이는 중공축(22)에 비해 충분히 길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공축(22)에 삽입된상태에서는 그 하단 및 상단이 각각 중공축(2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공축(22)으로부터 돌출된 슬라이드 로드(32)의 상부에 제 2 승강장치(7)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즉, 제 2 승강장치(7)는 중공축(22)의 상단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제 2 풀러(3)를 끌어올리는 제 2 승강장치(7)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로드(32)의 상단에서 그 슬라이드 로드(32)의 축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조정(adjust) 로드(71)와, 그 조정 로드(71)의 외측에 끼운 조정 칼라(72)와, 슬라이드 로드(32)에 형성되며 또한 그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랙 기어(73)와, 그 제 2 랙 기어(73)에 맞물리는 제 2 피니언 기어(74)와, 제 2 피니언 기어(74)에 맞물리며 그 회전방향으로 제한을 가하는 제 2 걸림돌기(75)와, 제 2 피니언 기어(74)및 제 2 걸림돌기(75)를 내부에 구비한 제 2 승강장치 본체(76)와, 제 2 피니언 기어(74)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2 회전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회전수단으로서 래칫 기구를 구비한 래칫 레버를 사용하지만 전동 모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 2승강장치(7)의 조작방법도 후술하는 지지부(4)의 설명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제 1 풀러(2) 및 제 2 풀러(3)를 일체로 구비하는 풀러 본체(1)는 손상부에 대해 풀러 본체(1)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4)에 의해 손상부상에 설치된다. 또한, 지지부(4)는 지지부(4)를 손상부에 대해 평면 매트릭스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장치(5)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4)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지지부 본체(41)와, 지지부 본체(41)의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풀러 지지구멍(42)과, 지지부 본체(41)의 측벽면들에 각각 형성된 지지장치 계합부(43)를 가지며, 풀러 본체(1)는 그 풀러 지지구멍(42)에 지지된다. 또한, 지지장치 계합부(43)는 후술하는 지지장치(5)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 되며, 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지지장치(5)의 설명과 함께 설명한다.
풀러 지지구멍(42)은 그 상단면(44)으로부터 내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며, 그리고 소정의 깊이에 도달하면 그 내경은 다시 커지게 되어 하단면(45)에 도달한다. 즉, 풀러 지지구멍(42)은 장구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풀러 지지구멍(42)의 가장 내경이 작은 부분(S)(이하, 지지점(S)이라 한다)은 상기 중공축(22)의 외형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지지점(S)에 의해 풀러 본체(1)는 지지부(4)에 지지되어 있다. 즉, 풀러 본체(1)는 풀러 지지구멍(42)의 일점에 지지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가상선은 풀러 본체(1)를 나타낸다.
이 때문에, 풀러 본체(1)는 그 축방향상의 일점이 지지부(4)에 의해 지지되며, 이 지지부(4)에 의해 지지된 축방향상의 일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그 일단이 전후좌우 전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손상부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항상 그 경사에 대해 수직이 되는 위치에서 지지부(4)에 의해 지지된다. 단, 그 한도는 풀러 지지구멍(42)의 각 단면(44, 45)에서 지지점(S)에 걸친 경사각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지지부(4)에 대한 풀러 본체(1)의 상하 운동은 상기 각 승강장치(6, 7)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부(4)의 상측에는 반구형의 베이스 플레이트(46)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풀러 본체(1)가, 지지부(4)에 대해 임의의 각도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승강장치(6)(7)의 인상력의 벡터(크기, 작용방향)가 항상 풀러 본체(1)의 축선상과 일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각 승강장치(6, 7)의 조작방법 및 각 풀러(2, 3)의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이 베이스 플레이트(46)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6)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측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하면측이 평면으로 형성된 반구형을 이룬다. 또한, 그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으로 관통하여 장공(4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장공(49)에 풀러 본체(1)가 관통 삽입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46)의 볼록면의 곡률반경은 지지점(S)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46)의 표면에 이르는 반경과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견, 풀러 본체(1)의 경사방향은 이 장공(23)에 의해 일방향으로 규제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베이스 플레이트(46)는 지지부(4)와 완전히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4)에 대해 베이스 플레이트(46)를 0∼90도의 범위로 회전시키면, 풀러 본체(1)는 실제 모든 방향으로 경사될 수 있다.
이하, 도 10∼도 12를 참조하여 각 승강장치(6, 7)의 조작을 포함하여 제 1 풀러(2) 및 제 2 풀러(3)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각 풀러(2, 3)의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풀러(2) 및 제 2 풀러(3)는 이미 손상부에 각 고정부(21, 31)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제 2 풀러(3)(슬라이드 로드(32)측)만을 끌어올리는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풀러(3)만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먼저 제 2 승강장치 본체(76)에 형성된 제 2 걸림돌기(75)를 제 2 피니언 기어(74)에 계합시킨다. 이어, 제 2 피니언 기어(74)를 도면중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2 피니언 기언(74)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 로드(32)가 제 2 랙 기어(73)를 통해 상승한다. 또한, 조정칼라(72)의 조정 로드(71)에 대한 고정 위치는 이 제 2 풀러(3)만을 끌어올릴 때에는 어느 위치라도 상관없다.
또한, 여기서의 제 2 승강장치 본체(76)의 지지점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6)상에 있다 즉, 슬라이드 로드(32)에 대한 제 2 승강장치 본체(76)의 상대적인 이동(하방으로의 이동)은 제 1 승강장치 본체(64)와 베이스 플레이트(46)와 지지부(4)에 의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제 2 풀러(3)(슬라이드 로드(32))는 제 2 승강장치 본체(76)에 대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제 2 걸림돌기(75)가 제 2 피니언 기어(74)와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피니언 기어(74)는 역회전하지 않고, 제 2 풀러(3)는 제 2 피니언 기어(74)의 회전각에 따른 위치에서 지지된다.
또한, 미리 제 2 피니언 기어(74) 또는 슬라이드 로드(32)에 제 2 풀러(3)의 인상량을 파악하기 위한 눈금을 표시해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그 눈금을 보면서 제 2 승강장치(7)를 조작하면, 손상부에 대한 제 2 풀러(3)의 승강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손상부를 소정량만 끄집어낼 수 있다.
이어, 도 11을 참조하여 제 1 풀러(2)(중공축(22)측)만의 인상동작에 대해설명한다.
제 1 풀러(2)만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먼저 슬라이드 로드(32)의 상측에 형성된 조정 칼라(72)를 조정 로드(71)의 상부 부근에 고정한다. 이어, 제 2 승강장치 본체(76)에 형성된 제 2 피니언 기어(74)와 제 2 걸림돌기(75)와의 계합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제 1 승강장치 본체(64)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63)를 제 1 피니언 기어(62)와 계합시킨다. 그리고, 제 1 피니언 기어(62)를 도면중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피니언 기어(62)의 회전에 따라 중공축(22)이 제 1 랙 기어(61)를 통해 상승한다.
또한, 여기서 제 2 승강장치 본체(76)는 중공축(22)의 상단면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는데, 제 2 피니언 기어(74)와 제 2 걸림돌기(75)와의 계합상태는 이미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피니언 기어(74)는 제 2 랙 기어(73)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로드(32)는 제 1 풀러(2)의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제 1 풀러(2)에서는 제 1 걸림돌기(63)가 제 2 피니언 기어(62)에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피니언 기어(62)는 역회전하지 않고, 제 1 풀러(2)(중공축(22))는 제 1 피니언 기어(62)의 회전각에 따른 위치에서 지지된다.
또한, 여기서 조정 로드(71)에 대한 조정 칼라(72)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그 고정위치를 바꾸면, 손상부에 대한 제 1 풀러(2)의 인상량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로드(71)에 미리 눈금을 표시해 두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서는 제 2 풀러(3)에 대한 제 1 풀러(2)의 이동량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 조정 칼라(7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중공축(22) 또는 제 1 피니언 기어(62)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미리 눈금을 표시하고, 작업자가 그 눈금을 보면서 제 1 승강장치(6)를 조작하면, 손상부에 대한 제 1 풀러(2)의 인상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손상부를 소정량만 끄집어 낼 수 있다.
이어, 도 12를 참조하여 제 1 풀러(2)(중공축(22)) 및 제 2 풀러(3)(슬라이드 로드(32)의 동시인상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풀러(2) 및 제 2 풀러(3)를 동시에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먼저, 제 2 승강장치 본체(76)내에 형성된 제 2 피니언 기어(74)와 제 2 걸림돌기(75)와의 계합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제 1 승강장치 본체(64)내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63)를 제 1 피니언 기어(62)와 계합시킨다. 계속해서, 제 2 풀러(3)의 상측에 형성된 조정 칼라(72)를 제 2 승강장치(76)에 접촉시킨 상태로 고정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제 1 피니언 기어(62)를 도면중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풀러(2)의 상승과 함께 제 2 풀러(3)도 상승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풀러(2)의 상승에 따라 제 1 풀러(2)(중공축(22))의 상단면이 제 2 승강장치 본체(76)를 밀어 올려, 제 2 승강장치 본체(76)도 제 1 풀러(2)와 함께 상승한다. 이 때, 제 2 승강장치 본체(76)는 조정 칼라(72)에 의해 슬라이드 로드(32)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로드(32)는 그 조정 칼라(72)를 통해 제 2 승강장치 본체(76)와 함께 상승한다. 또한, 제 1 걸림돌기(63)가 제 1 피니언 기어(62)와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피니언 기어(62)는 역회전하지 않으며, 제 1 풀러(2) 및 제 2 풀러(3)는 제 1 피니언 기어(62)의 회전각에 따른 위치에서 지지된다.
또한, 미리 제 1 피니언 기어(62) 또는 중공축(22)에 제 1 풀러(2)의 인상량을 파악하기 위한 눈금을 표시해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그 눈금을 보면서 제 1 승강장치(6)를 조작하면, 손상부에 대한 제 1 풀러(2)의 인상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손상부를 소정량만 끄집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풀러(2) 및 제 2 풀러(3)가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2의 원리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풀러(2)로 손상부(D)를 전체적으로 끌어올리면서, 제 2 풀러(3)에 의해 그 제 1 풀러(2)로 끌어올려진 손상부(D)를 더 국부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미리 각 부재에 눈금을 표시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그 눈금을 보면서 각 승강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소정량의 인상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제 1 풀러(2) 및 제 2 풀러(3)의 인상량이 소정값으로 강제적으로 규제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소정범위의 손상부(D)에서의 정규 패널면 위치를 0점으로 하고, 이 0점까지만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4)의 하단면에, 본체부(21)를 향해 길이가 조절가능한 록킹체(T)를 형성해 두면, 본체부(21)의 상단면이 상기 록킹체(T)에 접촉한 시점이, 제 1 풀러(2)의 최대 인상위치가 된다. 작업원은 정규의 패널면으로, 제 1 풀러(2)의 본체부(21)의 하단면을 패널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체(T)와 본체부(21)의 상단면이 접하도록, 록킹체(T)의 길이를 조절하여 0점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 2 풀러(3)의 최대 인상 위치는 제 1 풀러(2)의 본체부(21)의 하단면과 같은 높이의 위치가 되도록 한다. 즉, 제 2 풀러(3)의 슬라이딩 로드(32) 외면에 돌기(M)를 형성하고, 이 돌기(M)가 본체부(21)의 내면 상단부에 접한 시점에서, 제 2 고정부(31)의 하단이 본체부(21)의 하단면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가 되도록 돌기(M)의 형성위치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손상부(D)의 최대인상량을 강제적으로 규제함으로써, 숙련된 작업원이 아니더라도, 소정 범위내 복수위치에서의 인상수리작업을 레일상에서 지지부(4)를 원하는 위치(인상 위치)에 슬라이딩시키면서, 간단하고 확실하게 그리고 단시간에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풀러 본체(1)를 지지하는 지지부(4)를 손상부에 대해 평면 매트릭스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장치(5)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장치(5)는 지지부(4)가 손상부에 대해 평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4)를 지지하는 지지틀(51)과, 그 지지틀(51)의 주위에 복수개 형성된 복수의 지지각(100)으로 구성된다.
지지틀(51)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단면 C자형 세로 레일(53)과, 그 세로 레일(53) 사이에 걸쳐진 한 쌍의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가로 레일(54)과, 상기 한 쌍의 세로 레일(53)의 단부를 서로 접속시키는 연결 레일(55)을 갖는다. 또한, 연결 레일(55)은 단순히 막대 형태의 부재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레일(53)과 마찬가지로 단면 C자형 레일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지장치(5)의 경량화, 및 부품점수를 줄여 제작 비용을 낮게 하고 있다.
또한, 가로 레일(54)의 각 단부는 도 16∼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에축받이 구멍(56)을 갖는 축받이판(57)에 고정되며, 또한 그 축받이 구멍(56)에 삽입 관통되는 회전축(58)을 구비한 가로 레일 지지 브라켓(59)을 통해, 세로 레일(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문에, 가로 레일(54)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레일(53)에 대해 좌우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레일 지지 브라켓(59)에 형성된 회전축(58)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도면중 화살표 R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가로 레일(54)에 풀러 본체(1)를 지지한 지지부(4)가, 도면중 화살표 Y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로 레일(54)도 세로 레일(53)과 마찬가지로 단면 'ㄷ'(C)자형을 이루며, 그 홈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서로 마주보는 홈에 지지부(4)의 지지장치 계합부(43)가 계합되어, 지지부(4)는 지지장치(5)에 지지된다(도 6 참조).
또한, 이들 세로 레일(53) 및 가로 레일(54)에, 손상부에 대한 풀러 본체(1)의 위치(좌표)를 파악하기 위한 눈금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그 눈금을 봄으로써 손상부에 대한 풀러 본체(1)의 위치(좌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지지틀(51)을 지지하는 지지각(100)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레일(53) 및 연결 레일(55)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지지각용 레일(101)과, 그 지지각용 레일(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을 통해 지지틀(51)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각용 레일(101)은 상기 세로 레일(53) 및 가로 레일(54)과 마찬가지로단면 C자형의 레일이며, 상기 세로 레일(53) 또는 접속 레일(55)과 등을 맞대고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틀(51)의 외주면에 새로 지지각용 슬라이드홈(103)이 형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이 지지각용 레일(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지지각용 레일(101)의 일변에 대해 총 2개, 지지틀(51) 전체적으로는 총 8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총 8개의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에 대해 총 4개의 지지각(100)을 형성하고 있다. 즉, 지지장치(5)의 사용시에는 손상부를 갖는 차량의 패널면 형상에 따라 그 4개의 지지각(100)을 적절할 때,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에 바꿔 붙여 사용한다. 또한, 미리 모든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에, 지지각(100)을 형성해 두어도 물론 좋다.
이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을 통해 차량의 패널면상에 고정되는 지지각(100)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에 볼 죠인트(104)를 통해 지지된 레그부(105)와, 그 레그부(105)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 각 고정부(106)와, 레그부(105)에 형성된 조정부(107)를 가지며, 그 지지각 고정부(106)에 의해 레그부(105)가 차량의 패널면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각 고정부(106)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부압원에 접속된 흡착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패널면과 레그부(105)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레그부(105)는 볼 죠인트(104)를 통해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에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각(100)은 항상 패널면에 대해 직각으로 지지된다. 또한,볼 죠인트(104)는 지지각(100)이 삽입 관통되는 구멍을 구비한 볼 본체(108)와, 볼 본체(108)를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에 결합시키는 스페이서(109)와, 그 스페이서(109)를 지지각용 브라켓(102)에 고정하는 덮개체(110)를 가지며,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에 대해 볼 본체(108)가 슬라이딩함으로써 레그부(105)의 각도가 변경된다.
조정부(107)는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의 상방에 형성된 조정부 본체(111)와,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의 하방에 형성된 조정 스프링(112)을 갖는다. 그리고, 레그부(105)에 대해 조정부 본체(111)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레그부(105)의 유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의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의 하측에 형성된 조정 스프링(112)에 의해, 조정부 본체(111)와 지지각 지지용 브라켓(102)은 항상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되기 때문에, 지지틀(51)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레그부(105)에는 눈금(113)이 표시되어 있으며, 지지장치(5)를 패널면 에 설치하기 전에, 이 눈금(113)으로 미리 레그부(105)의 유효 길이를 설정할 수도있다. 이 경우, 패널면에 대해 지지틀(51)의 위치결정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상부 부근의 모든 각도, 위치에서 풀러 본체(1)를 지지하는 지지장치(5)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패널면에 형성된 손상부에 대해 최적의 위치, 각도로 풀러 본체(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부재에 눈금을 표시한 경우에는 손상부에 대한 각 풀러의 인상량, 및 손상부에 대한 풀러 본체의 위치(좌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작업자는 그 눈금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따라 작업을 행하며,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손상부를 정규의 형상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Claims (7)
- 패널면의 손상부를 정규 위치로 끄집어내는 장치로서, 손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를 갖고 그 제 1 고정부를 소정 범위의 손상부에 고정하여 끌어올리는 제 1 풀러(puller)와, 손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부를 갖고 그 제 2 고정부를 상기 제 1 풀러의 인상대상이 되는 패널면의 손상부 중, 더 국부에 고정하여 끌어올리는 제 2 풀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풀러의 인상 대상이 되는 패널면의 손상부를 덮는 흡착 패드와, 그 흡착 패드의 내측을 감압하는 감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패널면의 손상부에 용착되는 용착부재와, 그 용착부재를 지지하는 홀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중공축과, 이 중공축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드 로드와, 상기 중공축을 끌어올리는 제 1 승강장치와, 상기 슬라이드 로드를 끌어올리는 제 2 승강장치를 구비한 풀러 본체를 가지며,상기 중공축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상기 슬라이드 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제 2 고정부가 형성되며,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중공축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수리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 본체를 패널면의 손상부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이 지지부는 상기 풀러 본체의 축방향상의 일점을 지지하고, 상기 풀러 본체는 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축방향상의 일점을 지지점으로하여, 그 일단이 전후좌우 전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수리장치.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장치 및 제 2 승강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공축 또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그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계합되고 그 회전방향으로 제한을 가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피니언 기어 및 상기 걸림돌기를 내부에 구비함과 동시에 소정의 지지점으로 지지되는 승강장치 본체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수리장치.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세로 레일과, 그 세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가로 레일을 가지며,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0-00032515 | 2000-02-09 | ||
JP2000032515A JP2001219217A (ja) | 2000-02-09 | 2000-02-09 | 車両修理装置 |
PCT/JP2001/000959 WO2001058614A1 (fr) | 2000-02-09 | 2001-02-09 | Appareil de reparation de vehic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9324A true KR20020029324A (ko) | 2002-04-18 |
Family
ID=1855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2679A KR20020029324A (ko) | 2000-02-09 | 2001-02-09 | 차량수리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655185B2 (ko) |
EP (1) | EP1201328B1 (ko) |
JP (1) | JP2001219217A (ko) |
KR (1) | KR20020029324A (ko) |
CA (1) | CA2366498A1 (ko) |
DE (1) | DE60104796T2 (ko) |
WO (1) | WO200105861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437B1 (ko) * | 2012-04-10 | 2014-01-27 | 김보형 | 자동차 외형 복원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25977B2 (ja) * | 2002-11-08 | 2009-09-02 | 健男 上垣 | 板金修理支援装置用の治具 |
AU2003244264A1 (en) * | 2003-06-18 | 2005-01-04 | Tateo Uegaki | Method for supporting motor vehicle repair |
FR2930737B1 (fr) * | 2008-05-05 | 2010-09-03 | Sanchez Christian Sarrion | Appareillage pour le redresssement d'elements metalliques et/ou plastiques deformes a la suite d'une contrainte mecanique excessive |
US8250899B2 (en) * | 2009-05-23 | 2012-08-28 | H&S Autoshot Manufacturing Company Ltd. | Dent removal tool |
US7958767B2 (en) * | 2009-05-23 | 2011-06-14 | Hamid Janversan | Dent removal tool |
US8464413B1 (en) * | 2009-11-06 | 2013-06-18 | Honda Motor Co., Ltd. | Robot gear reducer replacing apparatus and method |
JP2015205320A (ja) * | 2014-04-22 | 2015-11-1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金属板の修理方法 |
CN105081012A (zh) * | 2015-08-24 | 2015-11-25 | 郑州大学 | 波浪变形自动矫正执行器 |
US11027322B2 (en) * | 2017-10-19 | 2021-06-08 | John P. Schwochert | Tube product, tube bender and method for using same |
CN115229430B (zh) * | 2022-08-04 | 2024-06-04 | 淄博普来瑞电器有限公司 | 一种综合汽车钣金修复机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12106A (en) * | 1968-07-24 | 1973-01-23 | Raymond P Wolgast | Shaping tool for planar sheets |
JPS50100748A (ko) * | 1973-07-11 | 1975-08-09 | ||
JPS5084411U (ko) * | 1973-11-27 | 1975-07-19 | ||
US3955397A (en) * | 1974-04-29 | 1976-05-11 | Meis William J | Apparatus for pulling deformations from sheet metal and metal frames of vehicles and the like |
JPS5119443U (ko) * | 1974-07-24 | 1976-02-13 | ||
JPS5119443A (en) | 1974-08-08 | 1976-02-16 | Mitsumi Electric Co Ltd | Ntsc hoshikinyorukaraaterebijonshingono kido * hansoiro shingobunrikairo |
US4057994A (en) * | 1976-01-22 | 1977-11-15 | Detroit Autobody Equipment, Inc. | Automobile body pulling tool |
JPS5691621U (ko) * | 1979-12-12 | 1981-07-21 | ||
JPS5691621A (en) | 1979-12-24 | 1981-07-24 | Hitachi Ltd | Protection relay with excitation rush current remedy for transformer |
JPH0584411A (ja) | 1991-04-24 | 1993-04-06 | Ebara Infilco Co Ltd | 排ガス処理装置 |
JPH0920214A (ja) * | 1995-07-05 | 1997-01-21 | Nakamura Giken:Kk | 車両用修理装置 |
JP2855421B2 (ja) * | 1996-01-15 | 1999-02-10 | 光政 石原 | 板金用引出し具 |
IT241272Y1 (it) * | 1996-12-05 | 2001-05-03 | Maggi Luciano | Dispositivo per riportare in piano parti rientrate di carrozzeria |
JPH10167028A (ja) * | 1996-12-05 | 1998-06-23 | Sangoroo:Kk | 板金用引出し具 |
-
2000
- 2000-02-09 JP JP2000032515A patent/JP2001219217A/ja active Pending
-
2001
- 2001-02-09 US US09/958,428 patent/US665518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2-09 KR KR1020017012679A patent/KR200200293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02-09 CA CA002366498A patent/CA236649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1-02-09 WO PCT/JP2001/000959 patent/WO2001058614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02-09 EP EP01904378A patent/EP120132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2-09 DE DE60104796T patent/DE60104796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437B1 (ko) * | 2012-04-10 | 2014-01-27 | 김보형 | 자동차 외형 복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30070470A1 (en) | 2003-04-17 |
DE60104796T2 (de) | 2005-09-01 |
CA2366498A1 (en) | 2001-08-16 |
EP1201328A1 (en) | 2002-05-02 |
EP1201328A4 (en) | 2003-07-09 |
WO2001058614A1 (fr) | 2001-08-16 |
EP1201328B1 (en) | 2004-08-11 |
DE60104796D1 (de) | 2004-09-16 |
JP2001219217A (ja) | 2001-08-14 |
US6655185B2 (en) | 2003-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0029324A (ko) | 차량수리장치 | |
WO2020056437A1 (de) | Automatisierter vakuumgreifer und verfahren zum sicheren greifen von bauteilen | |
JP2021041393A (ja) | 天井壁面に対する塗装設備 | |
JP6387437B1 (ja) | プレスブレーキ | |
KR101610928B1 (ko) |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 |
KR20210047642A (ko) |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 |
CN210480741U (zh) | 一种具有行程调节功能的卧式千斤顶 | |
JPS5925049B2 (ja) | 静荷重形杭打機 | |
CN207748492U (zh) | 自动接驳机构 | |
KR100488919B1 (ko) | 열차차량의 하부작업용 리프트 | |
CN218087648U (zh) | 一种立屏装置 | |
JPS5813823A (ja) | 静荷重形抗打機 | |
CN220058120U (zh) | 用于建筑工程验收的桩基检测设备 | |
CN214768099U (zh) | 一种汽车钣金包边装置 | |
CN212933951U (zh) | 具有自升降功能的建筑模型 | |
JPH0882388A (ja) | パイプリフター | |
CN216098777U (zh) | 一种设有定向夹持结构的机械故障诊断维修平台 | |
CN218079724U (zh) | 一种汽车车身外形拉拔修复装置 | |
CN218031793U (zh) | 一种水利工程用水利管道支撑装置 | |
JP2731347B2 (ja) | チュービング装置 | |
KR20020071176A (ko) | 와이어단부 자동롤링장치 | |
CN116216432A (zh) | 一种气胀轴自锁系统 | |
JPH01150417A (ja) | ローラーレベラー | |
CN117381406A (zh) | 一种桩机臂安装用对正装置 | |
CN114260620A (zh) | 一种避免点焊火花损伤眼睛的智能机械工程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