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698A -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698A
KR20020026698A KR1020000057930A KR20000057930A KR20020026698A KR 20020026698 A KR20020026698 A KR 20020026698A KR 1020000057930 A KR1020000057930 A KR 1020000057930A KR 20000057930 A KR20000057930 A KR 20000057930A KR 20020026698 A KR20020026698 A KR 2002002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bstacle
unit
braking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419B1 (ko
Inventor
전범준
김영빈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5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4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2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후진주행시 이동범위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검출은 물론, 장애물의 검출시 후진주행의 차속과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대비하여 각 차륜의 브레이크계통으로 공급되는 제동압력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안정된 제동기능을 보장함으로써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의 후미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변속단이 후진변속단으로 절환되는 것을 검출하는 후진변속 감지부, 주행중 각 차륜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륜속도 감지부, 후진시 이동범위내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이격거리와 차속을 고려하여 이를 경고하는 후방감시 제어부 및, 후진시 장애물과의 최소 이격거리 유지상태에서 차륜의 회전을 구속하여 제동상태를 유발하도록 제동압력을 조절하는 제동압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back warning automatic brak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진 주행중 이동구간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인지하여 경고함과 더불어 장애물과의 이격거리에 따라 제동계통으로의 적절한 제동압력의 조절을 통해 차량의 안정된 제동을 실시함으로써, 장애물과의 예기치 못한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체와 차실내에 탑승한 승객의 보호를 위한 각종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바, 그 중에 일례로서 후방경고장치(back warning system)는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에 있어 운전자가 룸미러 내지 사이드미러 등을 통해 후방의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는 사각지대에 위치한 후방의 물체 등의 장애물을 감지하고서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써, 후진하는 차체와 장애물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의 후방경고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후미에서 차체의 전폭에 걸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초음파센서(10)와, 주행변속단을 결정하는 변속레버(12)상에 설치되어 변속레버(12)가 위치되는 변속단을 검출하는 변속레버 위치감지부(14) 및, 이 변속레버 위치감지부(14)로부터 후진변속상태임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초음파센서(10)를 매개로 차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에 대한 존재여부 및 이격거리를 산출하여 이를 경고하는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는 차실내에 위치한 경고음 발생용부져(18)와 연결되어 있어, 후진시 차체의 후방에 있는 장애물과 차체 사이의 충돌이 예상될 경우에 부져(18)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가 후진주행시에는 상기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가 변속레버(12)의 후진변속단으로의 위치절환을 변속레버 위치감지부(14)를 통해 검출받고서 상기 초음파센서(10)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는 초음파센서(10)를 매개로 차체의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에 대한 감지 및 장애물과 후방차체 사이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는 후진중 장애물과 후방차체 사이의 이격거리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면, 상기 부져(18)를 통해 충돌의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되는 데, 상기 부져(18)를 통한 경고음의 발생은 장애물과 후방차체와의 이격거리가 근접하면 할수록 주기가 단축되게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방경고장치는 후진시 차체의 이동범위내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와 충돌가능성만을 경고하도록 되어 있어, 충돌사고의 발생 자체를 사전에 자동적으로 회피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종래의 후방경고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후진시 매번 부져(18)를 통해 발생되는 경고음에 익숙해짐과 더불어, 운전습관에 따라 자신의 운전능력을 과신한 결과에 의해 기인되는 현상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이 후진주행시 이동범위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검출은 물론, 장애물의 검출시 후진주행의 차속과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대비하여 각 차륜의 브레이크계통으로 공급되는 제동압력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안정된 제동기능을 보장함으로써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후미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변속단이 후진변속단으로 절환되는 것을 검출하는 후진변속 감지부, 주행중 각 차륜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륜속도 감지부, 후진시 이동범위내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이격거리와 차속을 고려하여 이를 경고하는 후방감시 제어부 및, 후진시 장애물과의 최소 이격거리 유지상태에서 차륜의 회전을 구속하여 제동상태를 유발하도록 제동압력을 조절하는 제동압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후방경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초음파센서12-변속레버
14-변속레버 위치감지부16-후방감시 제어유니트
18-부져20-휠스피트센서
22-제동압력 조절유니트24-브레이크실린더
26-브레이크페달28-접촉센서
30-절환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인, 종래 자동차의 후방경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진주행시 후방차체의 이동범위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이를 경고하는 후방경고장치(back warning system)에, 주행중 각 차륜에서 발생되는 슬립률을 검출하여 각 차륜의 슬립을 제어함으로써 이를 통해 주행중 가속성과 안정성 내지 선회중 조향성을 도모하는 트랙션 제어장치(traction control system)가 부가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후방차체에 설치되어 차체의 후미로 위치하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변속레버(12)의 이동이 후진변속단으로 절환되는 것을 검출하는 후진변속 감지부, 주행중 각 차륜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륜속도 감지부, 브레이크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제동조작 감지부, 후진시 이동범위내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에 이를 이격거리 대비 차속을 고려하여 충돌을 경고하는 후방감시 제어부 및, 제동시 각 차륜의 브레이크계통으로 인가되는 제동압력을 조절하는 제동압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후방차체의 전폭에 걸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서 설치되는 다수개의 초음파센서(10)이고, 상기 후진변속 감지부는 상기 변속레버(12)의 변속단이 후진위치로 절환되는 것을 감지하는 변속레버 위치감지부(14)이며, 상기 차륜속도 감지부는 각 차륜에 설치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휠스피트센서(20)이다.
그리고, 상기 제동조작 감지부는 브레이크페달(26)의 회동구간내에 설치되어 브레이크페달(26)의 작동을 검출하는 접촉센서(28)이고, 상기 후방감시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10)를 통해 후방차체의 이동범위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한 다음 이를 경고하도록 부져(18)를 작동시키는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이다.
또한, 상기 제동압력 조절부는 트랙션 제어장치의 유압제어용 유니트로서 각 차륜의 슬립률에 따라 적절하게 배분되도록 조절하는 제동압력 조절유니트(22)인바, 이 제동압력 조절유니트(22)는 통상 내부에 고압의 압유를 일정량 저장하고 있는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고서, 이 고압의 압유를 각 차륜에 설치된 브레이크실린더(24)로 공급함에 있어 제동압력을 증압 내지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액츄에이터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의 제어를 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운전자에 인접한 위치로 차실내에 설치된 부져(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방감시 제어부의 작동을 온/오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칭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는 바, 이 스위칭부는 상기 후방감시 제어부인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온/오프되게 하는 절환스위치(3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후진주행시 이동범위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 이를 경고하는 후방경고장치와, 주행중 각 차륜에서 발생되는 슬립률에 따라 제동압력을 조절하는 트랙션 제어장치가 부가되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는, 후진시 장애물 감지부인 초음파센서(10)가 후방차체의 이동범위내에 있는 장애물의 존재여부와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이를 후방감시 제어부인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에 출력하게 되고, 이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는 장애물과의 이격거리와 상기 휠스피트센서(20)로부터 검출된 차속을 대비하여 충돌예상시간을 연산하여 이를 부져(18)를 통해 경고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는 장애물과의 이격거리가 최소한으로 좁아짐에도 불구하고 접촉센서(28)를 통한 브레이크페달(26)의 작동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동압력 조절부인 제동압력 조절유니트(22)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 차륜, 특히 구동차륜측에 구비된 브레이크실린더(24)로 제동압력을 인가함과 더불어, 이때 인가되는 제동압력의 정도를 증가 또는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동압력 조절유니트(22)에 의한 브레이크실린더(24)로 인가되는 제동압력의 증가 내지 유지의 정도는, 후진시 휠스피트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차속에 대한 정보와 상기 초음파센서(10)를 통해 입력되어 산출되는 장애물과의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가 제동압력 조절유니트(22)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동은 상기 스위칭부에 해당되는 절환스위치(30)가 온상태일 경우에 한해서 가능한 것이고, 이에 반해 상기 절환스위치(30)가 오프상태일 경우에는 후방경고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페달(26)의 회동을 검출하는 접촉센서(28)는 운전자의 의지에 따른 제동시, 상기 트랙션 제어장치의 제동압력 조절유니트(22)가 각 차륜의 브레이크실린더(24)로 공급되는 제동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와 같이, 후진시 후방경고장치가 주행범위내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사전에 경고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운전자에 의해 제동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트랙션 제어장치용 제동압력 조절유니트(22)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륜에 제동압력을 인가하여 차체를 정차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에 의하면, 주행중 후진시 이동범위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경고음의 발생을 도모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킴과 더불어, 장애물과 차체 사이의 이격거리가 충돌직전의 시점에 도달하게 되면 강제적인 제동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후진시 장애물과의 접촉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차체의 후미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변속단이 후진변속단으로 절환되는 것을 검출하는 후진변속 감지부, 주행중 각 차륜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륜속도 감지부, 후진시 이동범위내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이격거리와 차속을 고려하여 이를 경고하는 후방감시 제어부 및, 후진시 장애물과의 최소 이격거리 유지상태에서 차륜의 회전을 구속하여 제동상태를 유발하도록 제동압력을 조절하는 제동압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압력 조절부는 브레이크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제동조작 감지부에 의해 제동압력의 조절을 중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감시 제어부는 스위칭부의 온/오프 조작에 의해 후방감지 및 경고음의 발생을 중지함과 더불어, 제동압력 조절부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후방차체의 전폭에 걸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초음파센서(10)이고, 상기 후진변속 감지부는 변속레버(12)의 변속단이 후진위치로 절환되는 것을 감지하는 변속레버 위치감지부(14)이며, 상기 차륜속도 감지부는 각 차륜에 설치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휠스피트센서(20)이고, 상기 제동조작 감지부는 브레이크페달(26)의 회동구간내에 설치되어 브레이크페달(26)의 작동을 검출하는 접촉센서(28)이며, 상기 후방감시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10)를 통해 후방차체의 이동범위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한 다음 이를 경고하도록 부져(18)를 작동시키는 후방감시 제어유니트(16)이고, 상기 제동압력 조절부는 각 차륜의 슬립률에 따라 제동압력을 적절하게 배분되도록 조절하는 제동압력 조절유니트(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KR10-2000-0057930A 2000-10-02 2000-10-02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KR10037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930A KR100372419B1 (ko) 2000-10-02 2000-10-02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930A KR100372419B1 (ko) 2000-10-02 2000-10-02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698A true KR20020026698A (ko) 2002-04-12
KR100372419B1 KR100372419B1 (ko) 2003-02-19

Family

ID=1969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930A KR100372419B1 (ko) 2000-10-02 2000-10-02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178A (ko) * 2019-05-23 2020-04-17 주식회사 만도 후방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268B1 (ko) * 2010-04-22 2014-06-27 주식회사 만도 다기능 차량 자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0453A (ja) * 1986-11-20 1988-06-02 Tokico Ltd 車両ブレ−キ装置
KR960004128A (ko) * 1994-07-30 1996-02-23 김태구 자동차의 후진주행시 제동브레이크 제어장치
KR970040563A (ko) * 1995-12-29 1997-07-24 전성원 차량후진시 사이드브레이크 작동제어장치
KR0177083B1 (ko) * 1996-08-23 1999-04-01 박병재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
KR19980074553A (ko) * 1997-03-26 1998-11-05 김영귀 후진시 자동 브레이킹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178A (ko) * 2019-05-23 2020-04-17 주식회사 만도 후방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419B1 (ko)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194B1 (en) Brake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722746B2 (ja) 自動ブレーキ装置
US809527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direction of travel in a motor vehicle
JP2005035535A (ja) 低速衝突回避システム
JP2004518584A (ja) ドライバアシスタントシステム
JP2008519725A (ja) 衝突回避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の制御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装置
US616047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optical signal at the rear of a vehicle to warn the driver of a following vehicle
US20070063827A1 (en) Back up alarm system
US7164350B2 (en) Back up alarm system
JP2012505119A (ja) 車両ブレーキ装置の調節方法
KR101514419B1 (ko)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72419B1 (ko)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KR101459760B1 (ko) 지게차의 주변 경고장치
JPH04123757U (ja) 車両の自動制動装置
JP2004291667A (ja) 衝突予防装置
JP3925642B2 (ja) 運転支援装置
JP2003006796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KR970074291A (ko) 자동차 하차시의 사고 방지장치
KR100405357B1 (ko) 차량간 및 장애물과의 추돌 방지장치
JP2006004242A (ja) 車輌用走行制御装置
JP3195805B2 (ja) 車両の接触防止装置
KR0124074Y1 (ko) 자동차 비상점멸등의 자동점멸장치
KR101221732B1 (ko) 노면의 상태에 따라 주차 보조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31533B1 (ko) 차량의 고속주행시 사고방지장치
JPH0891159A (ja) 車両用接触事故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