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419B1 -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419B1
KR101514419B1 KR1020130126847A KR20130126847A KR101514419B1 KR 101514419 B1 KR101514419 B1 KR 101514419B1 KR 1020130126847 A KR1020130126847 A KR 1020130126847A KR 20130126847 A KR20130126847 A KR 20130126847A KR 101514419 B1 KR101514419 B1 KR 10151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control unit
state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3012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1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in vehicle or relative to seat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04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in vehicle or relative to seat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021/0131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monitoring the braking system, e.g. 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021/013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monitoring the vehicle steering system or the dynamic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급정거, 전방충돌 및 후방충돌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비상상태에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부; 안전벨트제어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제어하는 안전벨트제어부; 시트제어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차량의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 중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시트제어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차량이 상기 비상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안전벨트제어부 및 상기 시트제어부로 상기 안전벨트제어신호 및 상기 시트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Vehicle Passenger Security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운행시 차량의 급정거, 타 차량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 등 비상상태가 발생할 경우 탑승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조절하고, 탑승자가 앉은 시트의 이동을 조절하는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운행시 차량의 급정거, 타 차량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 등 비상상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비상상태에서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벨트, 에어백 등의 보호장치가 차량에 일반적으로 구비된다.
일반적인 차량의 안전벨트는 수동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탑승자가 적당한 조임상태를 유지하도록 손으로 안전벨트를 조절한다. 그러나, 탑승자가 편의를 위해 의도적으로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느슨하게 하는 경우도 있고, 탑승자가 자주 바뀌는 차량의 경우 각각의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적당하게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조절하는 경우는 드물고, 이미 조임상태가 조절된 안전벨트를 그대로 착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안전벨트가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적당한 조임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급정거, 충돌 등의 비상상태가 발생하면 탑승자를 충분히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게 된다.
탑승자가 앉는 시트는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시 비상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고정된 시트에 앉은 탑승자는 차량의 급정거, 충돌 등으로 인해 차량의 속도가 순간적으로 급속히 감속됨에 따라 발생하는 관성력 때문에 순간적으로 몸이 차량이 받는 충격력의 반대방향으로 쏠리게 된다. 이러한 쏠림현상은 탑승자의 부상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쏠림현상으로부터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과 안전벨트가 구비되지만, 에어백과 안전벨트만으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벨트가 느슨하게 착용된 경우 쏠림현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운행시 차량의 급정거, 타 차량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 등 비상상태가 발생할 경우 탑승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조절하고, 탑승자가 앉은 시트의 이동을 조절하는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급정거, 전방충돌 및 후방충돌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비상상태에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부; 안전벨트제어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제어하는 안전벨트제어부; 시트제어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차량의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 중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시트제어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차량이 상기 비상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안전벨트제어부 및 상기 시트제어부로 상기 안전벨트제어신호 및 상기 시트제어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비상상태의 강도에 따라 각각 달리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제어하는 각각의 상기 안전벨트제어신호 및 상기 시트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제어하는 각각의 상기 시트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를 작동시켜 상기 안전제어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작동정지시키는 안전제어모드선택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벨트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정상운전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안전벨트를 정상운전상태에 설정된 조임상태로 복귀시키는 제1릴레이장치; 상기 차량의 상기 안전벨트의 특정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안전벨트를 상기 비상상태에서 상기 비상상태의 강도에 따라 각각 설정된 조임상태로 두고, 상기 제1릴레이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정상운전상태의 상기 안전벨트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안전벨트를 상기 정상운전상태의 위치에 두는 안전벨트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시트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정상운전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시트를 정상운전상태에 설정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릴레이장치; 상기 차량의 상기 시트의 특정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시트위치감지센서; 상기 시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롤러; 및 상기 시트를 상기 비상상태에서 상기 비상상태의 강도 및 차량의 탑승자에게 작용하는 관성력의 방향에 따라 각각 설정된 이동거리와 방향에 두고, 상기 제2릴레이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시트위치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정상운전상태의 상기 시트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시트를 상기 정상운전상태의 위치에 두는 시트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구비된 감지부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급정거, 전방충돌 및 후방충돌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비상상태에 있음을 감지하는 비상상태 감지단계; 상기 감지부와 연결된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감지부로부터 차량이 상기 비상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비상상태의 강도 및 차량의 탑승자에게 작용하는 관성력의 방향에 따라 각각 설정된 값에 따라 안전벨트의 조임상태와 차량의 시트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제어하는 각각의 제어값을 결정하는 제어값 결정단계; 상기 각각의 제어값을 안전벨트제어부 및 시트제어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단계; 및 상기 안전벨트제어부에 의해 상기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시트제어부에 의해 상기 시트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제어하는 안전벨트 및 시트 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안전벨트 및 시트를 제어하는 단계 후, 상기 차량이 정상운전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안전벨트제어부 및 상기 시트제어부에 각각 구비된 제1릴레이장치 및 제2릴레이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안전벨트 및 상기 시트가 상기 정상운전상태의 위치로 복귀하는 정상운전상태 복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차량의 운행시 차량의 급정거, 타 차량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 등 비상상태가 발생할 경우 탑승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조절하고, 탑승자가 앉은 시트의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비상상태 발생시 탑승자가 한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줄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에 사용하는 안전벨트제어부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에 사용하는 시트제어부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나타낸 구성도이다.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은 감지부(100), 안전벨트제어부(200), 시트제어부(300), 제어유닛(400) 및 안전제어모드선택스위치(500)를 포함한다.
감지부(100)는,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급정거, 타 차량 등 전방에 있는 장애물에 차량이 충돌하는 전방충돌, 후방에 있는 장애물에 차량이 충돌하는 후방충돌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비상상태에 있음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비상상태에 있음을 감지하는 장치로 속도센서(110), 가속도센서(120), 브레이크작동 감지센서(130), 충돌감지센서(140) 등을 포함한다.
속도센서(110)는 차량이 비상상태에 있는 경우 속도의 급속한 증감을 감지한다. 차량이 급정거하거나, 장애물에 충돌하는 경우 속도센서(110)는 속도의 급속한 감소를 감지하고, 타 차량이 차량의 후방에서 추돌하는 경우 속도의 급속한 증가를 감지한다.
가속도센서(120)는 차량이 비상상태에 있는 경우 가속도의 급속한 변화를 감지한다.
브레이크작동 감지센서(130)는 차량이 비상상태에 있는 경우 과도한 브레이크작동을 감지한다. 차량 운행시 일반적으로 브레이크는 반복적으로 작동하므로, 과도한 브레이크작동 시 차량이 비상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급정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의 브레이크페달을 과도하게 가압한다. 따라서, 브레이크페달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대한 특정한 값을 설정하고, 설정값 이상의 가압력이 브레이크페달에 가해지는 경우 비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충돌감지센서(140)는 차량이 외부로부터 정해진 수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는 경우 차량이 외부의 장애물과 충돌한 것으로 판단한다.
감지부(100)는 구비하고 있는 속도센서(110), 가속도센서(120), 브레이크작동 감지센서(130), 충돌감지센서(140) 등을 통해 차량이 비상상태에 있음을 감지하고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유닛(400)으로 전송한다.
안전벨트제어부(200)는, 제어유닛(400)으로부터 안전벨트제어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안전벨트(10)의 조임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 안전벨트구동수단(230) 및 제1릴레이장치(210)를 포함한다.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는 차량의 안전벨트(10)의 특정부위의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유닛(400)으로부터 안전벨트제어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안전벨트구동수단(230)이 안전벨트(10)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인식하도록 하여, 비상상태일 때 안전벨트(10)가 안전벨트구동수단(230)에 의해 설정된 조임상태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는 제1릴레이장치(210)가 작동하는 경우 안전벨트구동수단(230)이 안전벨트(10)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인식하도록 하여 안전벨트(10)가 차량의 정상운전상태에서 설정된 조임상태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벨트구동수단(230)은 비상상태에서 제어유닛(400)이 지정하는 거리만큼 안전벨트(10)를 이동시켜 설정된 조임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안전벨트구동수단(230)은 제1릴레이장치(210)가 작동하는 경우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로부터 정상운전상태의 안전벨트(10)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아 안전벨트(10)를 정상운전상태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안전벨트구동수단(230)은 제어유닛(400)이 지정하는 안전벨트(10)의 거리를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느 것도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장치, 모터,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릴레이장치(210)는 차량이 비상상태에서 다시 정상운전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안전벨트(10)를 정상운전상태에 설정된 조임상태로 복귀시킨다.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 안전벨트구동수단(230) 및 제1릴레이장치(210) 서로 간 구체적인 작동방식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시트제어부(300)는, 제어유닛(400)으로부터 시트제어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차량의 시트(20)를 전방 또는 후방 중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시트위치감지센서(320), 롤러(330), 시트구동수단(340) 및 제2릴레이장치(310)를 포함한다.
시트위치감지센서(320)는 차량의 상기 시트(20)의 특정부위의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유닛(400)으로부터 시트제어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시트구동수단(340)이 시트(20)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인식하도록 하여, 비상상태일 때 시트(20)가 시트구동수단(340)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시트위치감지센서(320)는 제2릴레이장치(310)가 작동하는 경우 시트구동수단(340)이 시트(20)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인식하도록 하여 시트(20)가 차량의 정상운전상태에서 설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롤러(330)는 시트(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시트(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시트구동수단(340)으로부터 시트(20)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받는다.
시트구동수단(340)은 비상상태에서 제어유닛(400)의 지정에 의해, 시트(20)를 비상상태의 강도 및 차량의 탑승자에게 작용하는 관성력의 방향에 따라 각각 설정된 이동거리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시트구동수단(340)은 제2릴레이장치(310)의 작동에 의해 시트위치감지센서(320)로부터 정상운전상태의 시트(20)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아 시트(20)를 정상운전상태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트구동수단(340)은 제어유닛(400)이 지정하는 이동방향과 이동거리에 의해 시트(20)를 지정된 위치로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느 것도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장치, 모터,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릴레이장치(310)는 차량이 비상상태에서 다시 정상운전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시트(20)를 정상운전상태에 설정된 위치로 복귀시킨다.
시트위치감지센서(320), 롤러(330), 시트구동수단(340) 및 제2릴레이장치(310) 서로 간 구체적인 작동방식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유닛(400)은, 감지부(100), 안전벨트제어부(200) 및 시트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이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즉, 감지부(100)로부터 차량이 비상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전송받아 안전벨트제어부(200) 및 시트제어부(300)로 안전벨트제어신호 및 상기 시트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안전벨트제어부(200)와 시트제어부(300)는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안전벨트(10)와 시트(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유닛(400)은 비상상태의 강도에 따라 각각 달리하여 안전벨트(10)의 조임상태를 제어하는 각각의 안전벨트제어신호 및 상기 시트(20)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제어하는 각각의 시트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비상상태의 강도는 차량의 급정거, 충돌 등이 발생하는 경우, 속도 또는 가속도의 변화량, 충격력의 강도 등에 따라 복수로 구분되고, 각각의 강도에 따라 안전벨트(10)의 조임상태, 시트(20)의 이동거리 및 방향을 지시하는 값이 각각 설정되며, 이러한 설정치는 제어유닛(400)에 의해 각각의 안전벨트제어신호 및 시트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안전벨트제어부(200)와 시트제어부(300)로 전송된다. 따라서, 제어유닛(400)은 비상상태의 강도에 따라 안전벨트(10)와 시트(20)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
안전제어모드선택스위치(500)는, 감지부(100)와 연결되고, 감지부(100)를 작동시켜 본 명의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작동정지시킨다. 안전제어모드선택스위치(500)가 오프 상태인 경우 감지부(100)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전체가 작동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에 사용하는 안전벨트제어부(200)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안전벨트(10)는 차량 내부몸체 상부(B)에 구비되는 안전벨트가이드(G)를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시트구동수단(340)의 구체적 형상, 구조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장치, 모터,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장치들의 형상, 구조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는 차량의 정상운전상태의 안전벨트(10) 상의 위치인 P점과 비상상태에서 안전벨트(10) 상의 위치인 P1점을 감지한다.
정상운전상태에서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와 동일한 높이에 P점이 위치한다. 비상상태에서는 안전벨트구동수단(230)에 의해 안전벨트(10)는 조여지게 되고, 이에 따라 P1점은 하강한다. P1점이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 이러한 상태를 감지하여 벨트구동수단(23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에 따라 안전벨트구동수단(230)은 멈추게 된다. 따라서 정상운전상태에서 비상상태로 변하는 경우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와 안전벨트구동수단(230)에 의해 안전벨트(10)는 P점에서 P1점까지의 길이만큼 안전벨트(10)는 조여진다.
비상상태가 종료된 후 정상운전상태로 복귀하면 제1릴레이장치(210)가 작동하여 안전벨트구동수단(230)에 의해 안전벨트(10)는 풀리게 되고, P점이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 이러한 상태를 감지하여 벨트구동수단(23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에 따라 안전벨트구동수단(230)은 멈추게 된다.
P점에서 P1점까지의 길이는 비상상태의 강도에 따라 복수로 지정될 수 있고, 제어유닛(400)은 비상상태의 강도를 판단하고 각각의 강도에 따라 설정된 P점에서 P1점까지의 길이를 포함한 안전벨트제어신호를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와 안전벨트구동수단(230)에 전송하여 이들을 작동시킴으로써 안전벨트(10)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에 사용하는 시트제어부(300)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롤러(330)는 차량 내부몸체 하부(B') 상에서 롤링하여 시트(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롤러(330)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는 시트구동수단(340)에 의해 제어되는바, 시트구동수단(340)의 구체적 형상, 구조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장치, 모터,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장치들의 형상, 구조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시트위치감지센서(320)는 차량의 정상운전상태의 시트(20) 상의 위치인 P'점과 비상상태에서 시트(20) 상의 위치인 P1'점 및 P'2점을 감지한다.
P'1점은 P'점보다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고, P'2점은 P'점보다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다. 차량이 전방주행 중 급정거하거나, 전방충돌의 비상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탑승자에게 미치는 관성력은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발생하므로, 관성력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시트(20)는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시트(20)는 시트감지센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P'점에서 P'2점으로 이동한다. 차량이 후진 중 급정거하거나, 후방충돌의 비상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탑승자에게 미치는 관성력은 차령의 후방방향으로 발생하므로, 관성력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시트(20)는 차량의 후방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시트(20)는 시트감지센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P'점에서 P'1점으로 이동한다.
정상운전상태에서 시트위치감지센서(320)와 전후방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P'점이 위치한다. 비상상태에서는 시트구동수단(340)에 의해 시트(20)가 전후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P'1점이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P'2점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P'1점 또는 P'2점이 시트위치감지센서(320)와 전후방 방향으로 동일하게 위치하게 되면, 시트위치감지센서(320)는 이러한 상태를 감지하여 시트구동수단(34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에 따라 시트구동수단(340)은 멈추게 된다. 따라서 정상운전상태에서 비상상태로 변하는 경우 시트위치감지센서(320)와 시트구동수단(340) 및 롤러(330)에 의해 시트(20)는 P'에서 P'1까지 또는 P'에서 P'2까지 이동한다.
비상상태가 종료된 후 정상운전상태로 복귀하면 제2릴레이장치(310)가 작동하여 시트구동수단(340)과 롤러(330)에 의해 시트(20)는 정상운전상태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P'점이 시트위치감지센서(320)와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시트위치감지센서(320)는 이러한 상태를 감지하여 시트구동수단(34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에 따라 시트구동수단(340) 및 롤러(330)는 멈추게 된다.
P'점에서 P'1점 또는 P'점에서 P'2점까지의 길이는 비상상태의 강도에 따라 복수로 지정될 수 있고, 제어유닛(400)은 비상상태의 강도를 판단하고 각각의 강도에 따라 설정된 P'점에서 P'1점까지 또는 P'점에서 P'2점까지의 길이를 포함한 시트제어신호를 시트위치감지센서(320)와 시트구동수단(340)에 전송하여 이들을 작동시킴으로써 시트(20)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제어방법은, 안전제어모드선택스위치(500)를 작동시키는 단계(S100), 비상상태 감지단계(S200), 제어값 결정단계(S300), 제어신호 전송단계(S400), 안전벨트(10) 및 시트(20) 제어단계(S500) 및 정상운전상태 복귀단계(S600)를 포함한다.
안전제어모드선택스위치(500)를 작동시키는 단계(S100)에서는, 감지부(100)와 연결되고, 감지부(100)를 작동시키는 안전제어모드선택스위치(500)를 작동시킨다. 안전제어모드선택스위치(500)가 온 상태가 되는 경우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이 작동한다.
비상상태 감지단계(S200)에서는, 감지부(100)가 차량의 급정거, 전방충돌 및 후방충돌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비상상태에 있음을 감지한다.
제어값 결정단계(S300)에서는, 감지부(100)와 연결된 제어유닛(400)이, 감지부(100)로부터 차량이 비상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전송받고, 비상상태의 강도 및 차량의 탑승자에게 작용하는 관성력의 방향에 따라 각각 설정된 값에 따라 안전벨트(10)의 조임상태와 차량의 시트(20)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제어하는 각각의 제어값을 결정한다.
제어신호 전송단계(S400)에서는, 상기 각각의 제어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안전벨트제어부(200) 및 시트제어부(300)로 전송한다.
안전벨트(10) 및 시트(20) 제어단계(S500)에서는, 안전벨트제어부(200)에 구비되는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220)와 안전벨트구동수단(230)에 의해 안전벨트(10)의 조임상태를 제어하고, 시트제어부(300)에 구비되는 시트위치감지센서(320), 롤러(330) 및 시트구동수단(340)에 의해 상기 시트(20)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제어한다.
정상운전상태 복귀단계(S600)에서는, 차량이 정상운전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안전벨트제어부(200) 및 시트제어부(300)에 각각 구비된 제1릴레이장치(210) 및 제2릴레이장치(310)가 작동하여 안전벨트(10) 및 시트(20)가 정상운전상태의 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안전벨트 20: 시트
100: 감지부 110: 속도센서
120: 가속도센서 130: 브레이크작동 감지센서
140: 충돌감지센서 200: 안전벨트제어부
210: 제1릴레이장치 220: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
230: 안전벨트구동수단 300: 시트제어부
310: 제2릴레이장치 320: 시트위치감지센서
330: 롤러 340: 시트구동수단
400: 제어유닛 500: 안전제어모드선택스위치
B: 차량 내부몸체 상부 B': 차량 내부몸체 하부
G: 안전벨트가이드

Claims (11)

  1.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급정거, 전방충돌 및 후방충돌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비상상태에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부;
    안전벨트제어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제어하는 안전벨트제어부;
    시트제어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차량의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 중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시트제어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차량이 상기 비상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안전벨트제어부 및 상기 시트제어부로 상기 안전벨트제어신호 및 상기 시트제어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비상상태의 강도에 따라 각각 달리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제어하는 각각의 상기 안전벨트제어신호 및 상기 시트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제어하는 각각의 상기 시트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벨트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정상운전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안전벨트를 정상운전상태에 설정된 조임상태로 복귀시키는 제1릴레이장치;
    상기 차량의 상기 안전벨트의 특정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안전벨트를 상기 비상상태에서 상기 비상상태의 강도에 따라 각각 설정된 조임상태로 두고, 상기 제1릴레이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안전벨트위치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정상운전상태의 상기 안전벨트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안전벨트를 상기 정상운전상태의 위치에 두는 안전벨트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를 작동시켜 상기 안전제어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작동정지시키는 안전제어모드선택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속도센서, 가속도센서, 브레이크작동 감지센서 및 충돌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작동 감지센서는,
    차량의 브레이크페달이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가압된 경우에 상기 제어유닛에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장치, 모터 및 실린더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7.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급정거, 전방충돌 및 후방충돌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비상상태에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부;
    안전벨트제어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제어하는 안전벨트제어부;
    시트제어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차량의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 중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시트제어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차량이 상기 비상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안전벨트제어부 및 상기 시트제어부로 상기 안전벨트제어신호 및 상기 시트제어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비상상태의 강도에 따라 각각 달리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조임상태를 제어하는 각각의 상기 안전벨트제어신호 및 상기 시트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제어하는 각각의 상기 시트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시트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정상운전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시트를 정상운전상태에 설정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릴레이장치;
    상기 차량의 상기 시트의 특정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시트위치감지센서;
    상기 시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롤러; 및
    상기 시트를 상기 비상상태에서 상기 비상상태의 강도 및 차량의 탑승자에게 작용하는 관성력의 방향에 따라 각각 설정된 이동거리와 방향에 두고, 상기 제2릴레이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시트위치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정상운전상태의 상기 시트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시트를 상기 정상운전상태의 위치에 두는 시트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장치, 모터 및 실린더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126847A 2013-10-23 2013-10-23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1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847A KR101514419B1 (ko) 2013-10-23 2013-10-23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847A KR101514419B1 (ko) 2013-10-23 2013-10-23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419B1 true KR101514419B1 (ko) 2015-04-23

Family

ID=5305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847A KR101514419B1 (ko) 2013-10-23 2013-10-23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4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1756A (zh) * 2017-09-30 2019-04-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车辆
CN110861591A (zh) * 2018-08-27 2020-03-06 深圳市时商创展科技有限公司 车载支架的控制电路及车载支架
US10737650B2 (en) 2018-05-08 2020-08-11 Hyundai Motor Company Sensor-connected passenger detection method and passenger occupancy detection system
KR20210089398A (ko) * 2020-01-08 2021-07-16 채호성 안전 헬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207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충돌 사전 간비 및 시트 자동 후진 장치
KR19980050888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시트벨트 당김장치
JP2008143277A (ja) * 2006-12-07 2008-06-26 Calsonic Kansei Corp 乗員保護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207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충돌 사전 간비 및 시트 자동 후진 장치
KR19980050888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시트벨트 당김장치
JP2008143277A (ja) * 2006-12-07 2008-06-26 Calsonic Kansei Corp 乗員保護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1756A (zh) * 2017-09-30 2019-04-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车辆
CN109591756B (zh) * 2017-09-30 2020-10-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车辆
US10737650B2 (en) 2018-05-08 2020-08-11 Hyundai Motor Company Sensor-connected passenger detection method and passenger occupancy detection system
CN110861591A (zh) * 2018-08-27 2020-03-06 深圳市时商创展科技有限公司 车载支架的控制电路及车载支架
KR20210089398A (ko) * 2020-01-08 2021-07-16 채호성 안전 헬멧
KR102303465B1 (ko) * 2020-01-08 2021-09-16 채호성 안전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495B2 (en) Method and safety restraint device for restraining an occupant on a vehicle seat
EP1310400B1 (en) An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pparatus
JP3814050B2 (ja) 緊急自動ブレーキ装置
US6906621B2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
US20080109137A1 (en) Method for Actuating a Reversi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Means in a Motor Vehicle
JP4669509B2 (ja) 車両における乗員保護手段の制御方法及び乗員保護システム
US20070017726A1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restraining occupant in seat of vehicle
US11654901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KR20090083910A (ko) 운전자 존재 모니터링부를 갖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KR101514419B1 (ko)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0502515A (ja) 自動車の走行方向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CA2513968A1 (en) Travel safety device for vehicle
JP2013082298A (ja) 車両の衝突時安全装置
KR20150062531A (ko)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JP4084318B2 (ja) 緊急ブレーキ装置
KR20170131968A (ko) 에어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11833A (ko) 차량의 후석 승객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3544B1 (ko) 차량의 승객 구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438150B2 (en) Seat belt apparatus
CN110497880B (zh) 车辆座椅安全带装置
JP5691801B2 (ja)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90113217A (ko) 차량의 에어-백 전개 후 자동 제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666360B1 (ko) 차량 동역학에 근거한 충돌예방 안전장치
KR101409226B1 (ko)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H04215527A (ja) 車両の追突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