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358A - 자기 테이프 카세트 - Google Patents

자기 테이프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358A
KR20020026358A KR1020027001183A KR20027001183A KR20020026358A KR 20020026358 A KR20020026358 A KR 20020026358A KR 1020027001183 A KR1020027001183 A KR 1020027001183A KR 20027001183 A KR20027001183 A KR 20027001183A KR 20020026358 A KR20020026358 A KR 20020026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tape
sheet
cassette
lower half
winding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따기요오
나카네다까노부
Original Assignee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무네유키 가코우
Publication of KR2002002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3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57Guiding means
    • G11B23/08764Liner shee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57Guiding means
    • G11B23/08771Pressure pad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 자기 테이프 카세트는, 자기 테이프를 감은 한쌍의 와인딩 허브를 그 양측에 시트를 개재시켜 상측 하프 및 하측 하프로 이루어진 카세트 케이스에 수납한다. 여기서, 이 시트는 그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2.0×10-5㎎/㎟ 내지 1.5×10-4㎎/㎟ 함침시킨 시트이며, 와인딩 허브의 높이 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부형부를 설치한 부분, 또는 부형부를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형 효과를 유지 또는 부여하기 위한 완충재를 부착시킨 시트이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서는, 시트의 표면 전기 저항을 적게 할 수 있으며, 고온 및 고습이라는 가혹한 환경 하에서도 자기 테이프에 대한 대전 방지제의 전사를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환경 하에서 수송 또는 보관한 후에도 안정된 테이프 주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기 테이프의 와인딩 허브의 높이 방향 위치를 규제하고, 자기 테이프의 주행 위치를 양호한 정밀도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테이프 카세트{MAGNETIC TAPE CASSETTE}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 카세트는, 긴 자기 테이프를 와인딩 허브에 감아, 이 자기 테이프를 감은 와인딩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카세트 케이스 내에 수납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DDS 등과 같은 2릴 타입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경우는, 긴 자기 테이프의 양단부를 각각 한쌍의 와인딩 허브에 고정시켜, 자기 테이프를 양단부로부터 각각의 와인딩 허브에 감고, 상측 하프와 하측 하프를 뚜껑 맞춤 형상으로 결합함으로써 구성한 카세트 케이스 내에 이 자기 테이프를 감은 한쌍의 와인딩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 한쌍의 와인딩 허브 사이의 자기 테이프를 소정 경로를 통과하여 가설(架設)하며, 테이프 덱(deck) 등과 같은 기록 재생 장치(이하, 기록 재생 장치라고 함)의 자기 헤드에 대응하는 위치의 자기 테이프를 돌출시켜, 이 돌출 부분의 자기 테이프만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카세트 케이스의 상측 하프에는, 자기 테이프의 자성층 면을 보호하기 위해 한쌍의 와인딩 허브 사이에 가설된 자기 테이프를 덮는 폐쇄 위치와, 이 자기 테이프를 케이스로부터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리드(lid)가 설치되어 있다.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 재생 장치(덱)에 장전하면, 그에 연동하여 상기 덱 내의 기구에 의해, 상기 리드가 개방 위치에 회동되고, 와인딩 허브 사이에 가설된 자기 테이프가 케이스로부터 노출된다. 그리고, 와인딩 허브가 회전되어 자기 테이프가 주행하고, 덱 내의 자기 헤드가 자기 테이프에 맞닿아, 자기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하며, 자기 테이프로부터 정보를 재생한다.
와인딩 허브 및 이에 감기는 자기 테이프는, 와인딩 허브와 함께 회전되는 자기 테이프를 유지하는 동시에 보호하고, 안정된 테이프 주행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측 하프 및 하측 하프로 구성되는 바구니체 형상의 카세트 케이스 내에 시트(마찰 시트)를 개재시켜 수용되어 있다. 시트, 특히, 하측 하프와 자기 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하측 시트는, 자기 테이프를 유지하며 보호하는 동시에, 와인딩 허브가 회전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을 감소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고, 시트에 부형부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는, 그 부형부에 의해 자기 테이프를 감은 와인딩 허브를 지지하여 높이를 규제한다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이 시트(마찰 시트)는 슬라이딩성 및 자기 테이프 유지를 위한 탄력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고밀도 PE(폴리에틸렌)제 시트가 사용되고있다. 이 때문에, 이들 시트 자체의 전기 저항이 매우 크며, 대략 1016Ω 정도이다. 따라서, 시트와 카세트 내벽면, 자기 테이프 또는 와인딩 허브와의 접촉이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시트 자체가 대전하기 쉬워, 먼지가 부착되기 쉽다. 또한, 이것은 자기 테이프가 시트에 마찰되어, 박리 대전이 발생함으로써 한층 더 문제가 되었다.
시트 자체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트에, 예를 들어, 4급 암모늄염을 함유하는 혼합물 등의 대전 방지제를 함침시킴으로써, 시트의 표면 전기 저항을 109Ω∼1012Ω 정도로 감소시킨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술한 시트를 수납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전세계에 보급되어, 그 사용 조건 및 수송 거리 등도 다양화되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적도 바로 아래의 고온 및 고습이라는 가혹한 조건 하에서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수송되어, 보관 또는 사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의 품질보증이 한층 더 요구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시트의 재료인 폴리에틸렌과 대전 방지제는 친화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가혹한 조건 하에서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수송하여, 보관 또는 사용하면, 시트 표면에 함침시킨 대전 방지제가 흡습하고, 자기 테이프에 전사할 우려가 있어, 테이프 주행성에 영향을 준다는 문제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덱에 장전했을 때, 자기 테이프 주행 시에 자기테이프가 상하 운동하면, 자기 헤드에 정확하게 맞닿지 않아, 적정한 기록 및 재생이 실행되지 않으며, 다른 고장의 원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의 주행 시에서의 상하 운동을 억제하고, 자기 테이프 주행 위치의 규제 정밀도를 향상시켜, 주행성의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종래로부터 자기 테이프의 주행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플랜지가 없는 타입의 와인딩 허브를 사용한 종래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와인딩 허브를 받는 하측 하프의 부분에 리브(돌출 형상의 두꺼운 부분)를 설치하거나, 자기 테이프를 감은 와인딩 허브와 하측 하프 사이에 시트를 개재시키고, 시트에 부형부(드로잉)를 설치하여, 상기 부형부의 높이에 의해 자기 테이프의 주행 위치(높이)를 규정했다.
이러한 부형 가공이 가능하며 자기 테이프와의 슬라이딩에 적합한 재료로서는, 초고분자 PE 또는 PET 등으로 한정되나, 이들은 부형부가 충격 하중 등에 의해 변형되기 쉽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변형에 보다 강한 재료로서 테플론 또는 카본 함유물을 포함하는 불소계 시트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테플론 또는 카본 함유물을 포함하는 불소계 시트의 경우에는, 부형부를 설치하고자 하면, 휨 가공부가 접혀 에지로 되고, 이것이 자기 테이프의 에지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부형이 곤란했다.
그래서, 이와 같이 부형이 곤란한 시트는, 종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하측 하프(90) 저면(90a)에 시트 부착용 리브(돌출형상)(92)를 설치하고, 이 리브(92)에 시트(94)를 부착시켰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테이프 주행 위치 규제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자기 테이프 주행 위치 규제용의 돌출 형상을 하측 하프의 부분에 설치한 리브로 형성할 경우에는, 성형품의 중량이 증가하며, 두께가 편중된 구조로 되기 때문에, 성형 불량을 일으키고, 성형 수축 차로부터 발생하는 변형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시트를 개재시키고, 시트에 부형부를 설치하여, 상기 부형부의 높이로 위치를 규제할 경우에는, 부형 높이에 한계가 있으며, 이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부형부에 의해 자기 테이프의 중량을 지탱할 수 없고, 낙하 충격 또는 수송 시의 진동 등에 의해 변형을 초래하여, 자기 테이프의 위치 규제가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측 하프의 리브(시트 부착용 돌출 형상)에 부형이 곤란한 시트를 부착시키는 방법에서는, 시트를 부착시켰을 때에 주름이 발생하고, 자기 테이프 주행 시에, 자기 테이프의 에지가 이 주름과 접촉하여, 자기 테이프의 에지가 손상을 받는 고장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인딩 허브에 감긴 자기 테이프의 주행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와인딩 허브와 카세트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마찰(friction) 시트(이하, 단순히 시트라고도 함)를 개량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 상세하게는 카세트 케이스 내벽면에 배치된 시트에 함침시키는 대전 방지제의 양을 정한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세트 내에 수납되는 와인딩 허브에 감긴 자기 테이프와, 하프와 자기 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시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세트 내에 수납되는 시트에 대한 대전 방지제의 함침량을 규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UV 스펙트럼법에 있어서, 파장 210㎚에서의 흡광도와 대전 방지제의 함침량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시트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부형부를 설치한 시트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부형 곤란한 시트재의 경우의 도 6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부형부를 설치한 시트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부형 곤란한 시트재의 경우의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다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부형 곤란한 시트재를 하측 하프에 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에 함침시키는 대전 방지제의 양을 규정하고, 고온 및 고습이라는 가혹한 조건 하에 노출되어도, 시트를 담지(擔持)시킨 대전 방지제가 자기 테이프에 전사하지 않으며, 안정된 테이프 주행을 얻을 수 있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기 테이프의 와인딩 허브의 높이 방향 위치를 규제하고, 자기 테이프의 주행 위치를 양호한 정밀도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시트 또는 대전 방지제의 종류를 변경하지 않고, 고온 및 고습이라는 가혹한 조건 하에서도 시트에 담지되는 대전 방지제가 자기 테이프에 전사하지 않으며, 시트의 표면 전기 저항값을 허용 범위 내로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트가 단위 면적당 갖는 대전 방지제의 양을 일정 범위로 규정하면 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상측 하프와 하측 하프를 뚜껑 맞춤 형상으로 결합하여 형성된 바구니체 형상의 카세트 케이스와, 상기 카세트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자기 테이프를 감는 와인딩 허브와, 상기 카세트 케이스의 상기 상측 하프 및 하측 하프의 적어도 한쪽 내벽면과 상기 와인딩 허브에 감기는 상기 자기 테이프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2.0×10-5㎎/㎟ 내지 1.5×10-4㎎/㎟ 함침하여 이루어진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트는 적어도 상기 와인딩 허브에 감기는 자기 테이프와 상기 하측 하프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에 대한 상기 대전 방지제의 함침량은 중량법, UV 스펙트럼법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규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상측 하프와 하측 하프를 뚜껑 맞춤 형상으로 결합하여 형성된 카세트 케이스 내에 자기 테이프를 감은 한쌍의 와인딩 허브를 수용하고, 상기 와인딩 허브와 상기 상측 하프 사이에 각각 시트를 개재시킨 자기 테이프 카세트로서, 상기 시트에 와인딩 허브의 높이 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부형부를 설치한 부분, 또는 부형부를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형 효과를 유지 또는 부여하기 위한 완충재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첨부도면에 나타낸 적합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일 실시형태인 2릴 타입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일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 내에 수납되는 와인딩 허브에 감긴 자기 테이프와, 하프와 자기 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시트(마찰 시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로서 2릴 타입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DDS, DAT,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등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는 2릴 타입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한정되지 않고, 1릴 타입 자기 테이프 카세트일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자기 테이프 카세트는, 뚜껑 맞춤 형상으로 결합되어 바구니체를 구성하고 자기 테이프의 케이스(카세트 케이스)로 되는 상측 하프(10)와 하측 하프(12), 하측 하프(12)의 저면에 외측으로부터 접하여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14), 및 와인딩 허브(26)에 감긴 자기 테이프(24)(도 2 참조)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 테이프 카세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자기 테이프(24)의 양단부를 한쌍의 와인딩 허브(26, 26)에 고정시켜, 자기 테이프(24)를 양단부로부터 각각의 와인딩 허브(26, 26)에 감고, 이 자기 테이프(24)를 감은 한쌍의 와인딩 허브(26, 26)를 상측 하프(10)와 하측 하프(12)를 뚜껑 맞춤 형상으로 결합한 카세트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 한쌍의 와인딩 허브(26, 26) 사이의 자기 테이프(24)를 소정 경로를 통과하여 가설하며, 기록 재생 장치(도시 생략)의 자기 헤드 위치에 대응하는 자기 테이프의 돌출 부분(24a)만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비사용 시에 있어서, 카세트 케이스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는 자기 테이프(24)의 돌출 부분(24a)의 자성층 면에 손가락이 접촉하거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기 테이프 돌출 부분(24a)을 보호하기 위해, 상측 하프(10)에는, 핀에 의해 지지된 리드(20)가 자기 테이프 돌출 부분(24a)을 덮는 폐쇄 위치와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를 요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와인딩 허브(26)에는, 그 상단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톱니바퀴(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톱니바퀴(30)는, 상측 하프(10)에 설치된 브레이크 부재(16)의 제동편(16a)과 결합하여 자기 테이프(24)의 이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비사용 시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취급 또는 운반에서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자기 테이프(24)에 이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한쌍의 제동편(16a)이 각각 대응하는 와인딩 허브(26)의 톱니바퀴(30)와 결합하고, 상측 하프(10)에 설치된 핀(도시 생략)에 끼워 장착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스프링(18)에 의해 브레이크 부재(16)가 와인딩 허브(26)를 향하여 뒤쪽으로 스프링 가압되고 있다.
이 브레이크 부재(16)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비사용 시에는, 브레이크 스프링(18)의 압력에 의해, 제동편(16a)이 톱니바퀴(30)와 결합하여 와인딩 허브(26)의 회전을 제지하는 제지 위치에 있고,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했을 때에는, 리드(20)가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회동되어, 브레이크 부재(16)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앞쪽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며, 리드(20)와 결합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암(16b)이 앞쪽으로 끌어당겨져, 제동편(16a)이 톱니바퀴(30)로부터 이탈하여 와인딩 허브(26)의 회전이 가능해지는 해제 위치에 이동한다.
하측 하프(12)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한 저면(12a)을 갖고 있으며, 이 저면(12a)에는, 와인딩 허브(2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기록 재생 장치에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장전했을 때에, 기록 재생 장치로부터 릴축(도시 생략)이와인딩 허브(26)에 삽입되고, 와인딩 허브(26)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릴축 삽입구멍(12b, 12b)을 갖고 있다. 저면(12a)의 좌우 양단은 앞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c, 12c)로 되어 있고, 돌출부(12c, 12c) 사이의 공간은 상기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장전되는 기록 재생 장치(덱) 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른바 테이프 로딩 장치가 진입하기 위한 공간이다.
또한, 하측 하프(12)의 저면(12a)에는 2개의 분할 통형 리브를 연속하여 ハ자 형상으로 설치한 벽 형상 부재(12e)가 설치되고, 그 앞쪽 중앙에 기둥 형상 리브(12f)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둥 형상 리브(12f)와 상기 벽 형상 부재(12e) 사이에 슬라이더(14)를 가압하는 V자 형상 판 스프링을 사용한 슬라이더 스프링(22)이 삽입된다.
슬라이더(14)는, 하측 하프(12)의 저면(12a)에 하측으로부터 접하여 설치된 얇은 평판 형상 저면(14a)과, 이 저면(14a)에 설치된 한쌍의 릴축 삽입구멍(14b, 14b)과, 저면(14a)의 양측에 상측 하프(10)와 하측 하프(12) 양측벽의 뚜껑 맞춤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도시 생략)에 결합하여 슬라이딩하는 측벽부(14c, 14c)를 갖고 있으며, 하측 하프(12)의 측벽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4)는, 슬라이더 스프링(22)에 가압되어 앞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저면(14a)에서 하측 하프(12)에 설치된 돌출부(12c, 12c) 사이의 공간(개구부) 및 릴축 삽입구멍(12b, 12b)을 방진(防塵)을 위해 폐색하고, 뒤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카세트 케이스의 개구부를 개방하며, 하측 하프(12)의 저면(12a)에 형성된 릴축 삽입구멍(12b, 12b)과 슬라이더(14)의 저면(14a)에 형성된 릴축 삽입구멍(14b, 14b)의 위치가 일치하여,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 로딩 장치 및 릴축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슬라이더(14)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는, 기록 재생 장치 내의 장치의 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뒤쪽에 위치되나, 카세트 비사용 시에는 슬라이더 스프링(22)에 의해 앞쪽에 위치된다.
와인딩 허브(26)의 하단부에는, 기록 재생 장치에 설치된 릴축을 삽입하여 연결하고, 각각의 와인딩 허브(26)를 회전 구동시키는 릴축 연결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릴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4) 및 하측 하프(12)에 형성된 릴축 삽입구멍(14b, 12b)을 관통하여 와인딩 허브(26)의 릴축 연결구멍에 삽입되고, 와인딩 허브(26)와 연결하여 이것을 회전 구동시키며, 한쪽 와인딩 허브에 자기 테이프(24)를 와인딩함으로써 다른쪽 와인딩 허브로부터 뽑아낸 자기 테이프(24)가 자기 테이프의 돌출 부분(24a)에서 기록 재생 장치의 자기 헤드에 맞닿아 이동하여, 자기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자기 테이프로부터 정보를 재생한다.
상측 하프(10)와 하측 하프(12) 사이에는, 와인딩 허브(26)에 감긴 자기 테이프(24)가 상측 하프(10)의 내벽과 자기 테이프(24) 사이에는 상측 시트(36)를, 하측 하프(12)의 내벽과 자기 테이프(24) 사이에는 하측 시트(34)를 개재시켜 수납되어 있다.
다음으로, 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특징을 이루는 시트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는, 각각 구멍(36a, 34a)을 도 1에 나타낸 하측 하프(12)의 부호 12d로 나타낸 위치 결정용 리브(핀)에 관통시킴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는, 각각 카세트의 긴 쪽 방향으로 2개의 부형부(40, 38)를 갖고 있다.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는, 자기 테이프를 유지하며 보호하는 동시에, 와인딩 허브(26)가 회전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을 감소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부형부(40, 38)에 의해 자기 테이프(24)와 자기 테이프(24)를 감는 와인딩 허브(26)를 지지하여 높이를 규제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의 형상은, 와인딩 허브(26)에 감기는 자기 테이프(24)의 최대 직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크며, 카세트 케이스 내에 수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예는,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가 구멍(36a, 34a)을 도 1에 나타낸 하측 하프(12)의 부호 12d로 나타낸 위치 결정용 리브에 관통시킴으로써 위치 결정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구멍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시트일 수도 있고, 위치 결정을 위한 리브가 상측 하프(10)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구멍에 리브를 관통시키는 이외의 방법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시트, 예를 들어, 상측 하프 및 하측 하프의 내벽면에 상측 및 하측 시트의 형상에 맞춘 벽을 설치하여 위치 결정되는 시트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예는,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가 카세트 긴 쪽 방향으로 2개의 부형부(40, 38)를 갖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기테이프(24)와 와인딩 허브(26)를 지지하여, 높이를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을 취하고 있어도 좋고, 2개 이상의 부형부를 갖고 있을 수도 있으며, 짧은 쪽 방향으로 부형부를 갖고 있어도 되고, 다른 형상의 부형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부형부를 갖지 않는 시트일 수도 있다.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24)를 유지하며 보호하는 동시에, 와인딩 허브(26)가 회전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을 감소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필요에 따라 와인딩 허브(26)를 지지하는 부형부(40, 38)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자기 테이프(24)와의 슬라이딩성 및 탄력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PE)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밀도 PE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는 상술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다공질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시트(34)에는, 전체면 또는 편면에 대전 방지제(32)를 함침시키고 있다. 여기서, 함침은 다공질 하측 시트(34)에 대전 방지제(32)를 스며들게 하여 담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대전 방지제(32)로서는, 예를 들어, 4급 암모늄염을 함유하는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하측 시트(34)에 함침하는 대전 방지제(32)의 양은, 고형 유효 성분을 2.0×10-5㎎/㎟ 내지 1.5×10-4㎎/㎟로 할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5.0×10-5㎎/㎟내지 1.2×10-4㎎/㎟로 한다. 이것은, 2.0×10-5㎎/㎟ 미만이면, 하측 시트(34)의 표면 전기 저항이 커져, 대전에 의한 먼지 부착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1.5×10-4㎎/㎟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적도 바로 아래와 같은 고온 및 고습 환경 하에서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수송하여, 보관 또는 사용한 경우, 하측 시트(34)에 함침하는 대전 방지제(32)가 자기 테이프(26)에 전사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하측 시트(34)에 함침하는 대전 방지제(32)의 고형 유효 성분량의 규정 방법으로서는, 함침하는 대전 방지제(32)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규정하는 방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수량의 파장 의존성과 농도 의존성으로부터 대전 방지제(32)의 정량(定量)을 행함으로써 규정하는 방법, 대전 방지제(32)에 포함되는 원소를 정량 분석함으로써 규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전 방지제 처리가 완료된 시트 중량과 대전 방지제를 휘발시킨 후의 시트 중량을 전자 천칭으로 계량하여 그 차분으로부터 시트에 처리된 대전 방지제의 양을 측정하는 중량법, 대전 방지제 처리가 완료된 시트로부터 대전 방지제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자외선 분광 광도계에 의해 흡광도를 측정하는 UV 스펙트럼법, NC 검광자(analyzer)에 의해, 대전 방지제 처리가 완료된 시트를 연소시키고, 발생한 가스를 환원시켜 질소 가스로 하며, 질소 가스 양을 카운트하여 측정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간편하며 단시간에 계측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UV 스펙트럼법에 의해 대전 방지제의 양을 규정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다.
UV 스펙트럼법에 의하면, 대전 방지제(32)는 파장 200㎚ 부근의 자외선 영역에 흡수 피크를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이 파장 200㎚ 부근의 흡광도는 편차가 크고, 대전 방지제(32) 양과의 높은 상관을 얻을 수 없었으나, 파장 205㎚∼225㎚의 흡광도와 대전 방지제(32) 양을 비교한 결과, 매우 양호한 상관을 얻을 수 있음을 규명했다.
대전 방지제(32)의 함침량이 동일한 6개의 하측 시트(34)를 여러 세트 준비하여, 에탄올에 침투시키고, 65℃의 항온 수조 내에 2시간 가열하여 대전 방지제(32)를 에탄올에 용해시키며, 자외선 분광 광도계에 의해 이 용액의 파장 21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 3에 흡광도와 대전 방지제(32) 양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도 3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파장 210㎚ 부근에서의 흡광도와 대전 방지제(32)의 함침량과의 상관은 매우 높고, 상관계수는 0.96이었다.
즉, 대전 방지제(32)의 고형 유효 성분량을 UV 스펙트럼법에 의해 규정할 경우, 파장 205㎚∼225㎚에서의 흡광도에 의거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파장 210㎚∼220㎚에서의 흡광도에 의거하여 측정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대전 방지제(32)는 하측 시트(34)의 전체면 또는 편면에 함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의 적어도 한쪽에 대전 방지제(32)가 함침되어 있으면 되고, 함침시키는 면도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 중의 어느 면이라도 상관없다. 대전 방지제(32)의 자기 테이프(24)에 대한 전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 중에서 상측 하프(10) 및 하측 하프(12)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면에 대전 방지제(32)를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경우는, 자기 테이프(24)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자기 테이프(24)로부터 정보를 재생할 때에, 자기 테이프(24)가 하측 하프(12)의 내벽면에 배치된 하측 시트(34) 위를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대전 방지제(32)는 자기 테이프(24)와 하측 하프(12) 사이에 개재되는 하측 시트(34)에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측 시트(34) 중에서 하측 하프(12)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면에 대전 방지제(32)를 함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측 시트(34)에 대한 대전 방지제(32)의 함침 방법으로서는, 침지법 및 도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구체적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트의 제조>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다공질 시트에 대전 방지제로서 4급 암모늄염계의 대전 방지제를 함침시켜 단위 면적당 대전 방지제의 고형 유효 성분이 표 1에 나타낸 양으로 되도록 하여 대전 방지제 처리가 완료된 시트를 제조했다.
<전사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시트가 담지하는 대전 방지제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전사를 살펴보기 위해, 상기 시트를 도 1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하측 하프와 자기 테이프 사이에 개재시키고, 하측 하프를 아래로 하여 배치하며, 실온 50℃상대습도 80% 및 실온 60℃ 상대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1주간 방치했다. 하기의 기준에 따라 자기 테이프의 변색을 시각 관찰 평가함으로써 대전 방지제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전사 상태를 조사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 : 자기 테이프의 변색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 : 자기 테이프의 변색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 : 자기 테이프의 변색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구비하는 시트는, 고온 및 고습의 환경 하에서도, 대전 방지제를 자기 테이프에 전사시키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표면 전기 저항>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시트의 표면 전기 저항값을 인가 전압 500V, 인가 시간 30초, 온도 23±2℃, 상대습도 55±5%의 조건 하에서 하이레스터 고저항계(미츠비시유카 제조)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 : 1.0×109Ω 미만
○ : 1.0×109Ω 이상, 1.0×1012Ω 미만
× : 1.0×1012Ω 이상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구비하는 시트는, 표면 전기 저항값이 작고, 즉, 표면 전기 저항이 적으며, 자기 테이프를 유지하며 보호하는 동시에, 와인딩 허브가 회전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을 감소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임을알 수 있다.
다음으로, 주로 도 2 및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특징을 이루는 시트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24)를 감은 와인딩 허브(26)를 카세트에 수납할 때에는, 그 상하에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가 개재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시트(36) 및 하측 시트(34)는, 각각 시트 부착용 구멍(34a, 36a)을 도 1의 하측 하프(12)의 부호 12d로 나타낸 리브(핀)에 관통시킴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또한, 각 시트(34, 36)는 각각 카세트 좌우 방향으로 2개의 부형부(38, 40)를 갖고 있다. 부형부(38)는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을 하여, 아래로부터 와인딩 허브(26)를 지지하고 있다. 부형부(40)도 마찬가지이다. 각 시트(34, 36)는 와인딩 허브(26)가 회전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을 감소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부형부(38, 40)에 의해 자기 테이프(24)를 감은 와인딩 허브(26)를 지지하여, 높이 규제를 행하고, 자기 테이프의 주행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시트(34, 36)는, 초고분자 PE(다공질의 것을 포함함) 또는 PET 등의 부형 가공 가능하며 자기 테이프와의 슬라이딩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은 부형부가 변형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변형되기 어려운 테플론 또는 카본 함유물을 포함하는 불소계 시트는 부형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부형이 용이한 시트 재료에 대해서는 부형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부형이 곤란한 시트 재료에 대해서는 부형 효과를 부여하도록 각각 시트 재료에 별도 부재를 조합시킴으로써, 부형 효과를 확보하고, 자기 테이프 주행 위치를 확실하게 규제하자고 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하측 시트(34)에 대해서는, 도 5 및 그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형부(38)에 하측 시트(34)의 아래쪽(하측 하프 측)에 별도 부재로서 간지(inserting paper) 및 PET 필름 등의 접착 가능한 것을 부형 형상에 맞추어, 완충재(42)로서 풀 및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시킨다.
또한, 부형이 곤란한 시트(134)의 경우에는, 도 7에 도 6과 동일한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형부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시트(134)의 하측으로부터 상기와 동일한 완충재(42)를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시킨다.
모든 경우, 하측 시트(34(134))의 하측 하프(12)에 대한 장착은, 하측 하프(12)의 위치 결정용 리브(12d)에 하측 시트(34)의 시트 부착용 구멍(34a)을 삽입함으로써 실행되고, 하측 하프(12)의 부분에 부착시킴으로써 고정시키지 않으며,부양(浮揚) 가능한 상태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위치 결정용 리브(12d) 및 시트 부착용 구멍(34a)은 각각 1개로 되어 있으나,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일 수도 있다.
또한, 부형부(38)(또는 부형부(40))의 형상은, 상술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형부(39)가 와인딩 허브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에 걸친 것일 수도 있다. 이 때, 부형 가능한 재료의 시트(34)에 대해서는, 도 8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도 6과 동일)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형부(39) 전체의 하측에 완충재(44)를 부착시킨다. 또한, 부형 곤란한 재료의 시트(134)에 대해서는, 도 10에 동일한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형부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 전체에 시트(134)의 하측으로부터 완충재(44)를 부착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시한 예와 같이, 하측 하프(12)와 와인딩 허브(26) 사이에 개재시키는 하측 시트(34(134))에 별도 부재를 조합시키는 본 발명의 특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측 하프(10)와 와인딩 허브(26) 사이에 개재시키는 상측 시트(36)에 적용한 것일 수도 있고, 어느 한쪽일 수도 있으며, 양쪽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타입의 종래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에는, 하측 하프(90) 저면의 시트 부착용 리브(92)를 제거하고,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부형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 전체에 완충재를 부착시킨 시트를 하측 하프에 부착시켜 고정시키지 않으며, 부양하도록 장착한다.
도 10에 이러한 타입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 전체의 개략을 분해사시도로서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카세트 본체를 형성하는 상측 하프(50)와 하측 하프(52) 사이에 한쪽에만 플랜지를 갖는 와인딩 허브에 감은 자기 테이프(58)가 수납된다. 여기서는 상측 플랜지(54)와 와인딩 허브(56)만을 나타내고, 하측 플랜지와 그 와인딩 허브는 도시를 생략했다. 따라서, 플랜지가 없는 쪽에 시트가 개재된다. 또한, 상측 하프(50) 앞면 측에는, 카세트 앞면에 노출되는 자기 테이프를 보호하기 위해 가드 패널(리드에 상당)(50a)이 설치되어 있다.
와인딩 허브(56)에 감긴 자기 테이프(58)와 하측 하프(52)의 저면(52a) 사이에 하측 시트(60)가 개재된다. 이 하측 시트(60)에는, 그 아래쪽의 부형 효과를 부여하고자 하는 부분에 상술한 것과 동일한 완충재(64)가 부착되어 있다. 하측 시트(60)는 시트 부착용 구멍(60a)을 갖고 있으며, 이 구멍(60a)을 하측 하프(52)의 저면(52a)에 설치된 리브(52b)에 삽입함으로써 하측 시트(60)는 하측 하프(52)에 장착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부착시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양한 상태로 된다. 또한, 여기서도 리브(52b) 및 시트 부착용 구멍(60a) 등은 1개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복수일 수도 있다.
또한, 상측 하프(50)에는, 마찬가지로 뒷면(상측 하프 측)의 부형 효과를 부여하고자 하는 부분에 동일한 완충재(66)를 부착시킨 상측 시트(62)가 시트 부착용 리브를 제거한 상측 하프 저면에 장착된다. 이 장착도 상측 시트(62)에 형성된 시트 부착용 구멍(62a)을 상측 하프(50)의 저면에 설치된 리브(도시 생략)에 삽입함으로써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가 감긴 와인딩 허브와 하프 사이에 개재되는 시트의 부형부 또는 부형부를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에 접착수단을 개재시켜 완충재를 부착시켜, 하프의 시트 위치 결정 리브에 시트의 구멍을 삽입함으로써 부양 가능한 상태로 시트를 하프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부형부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했던 재료에 대해서도 부형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부형을 필요로 하는 자기 테이프와의 슬라이딩용 시트의 재료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하프의 중량 증가, 성형성, 치수 정밀도(변형을 포함함)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자기 테이프와의 슬라이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기 테이프와의 접촉면(부형부 또는 부형부와 유사한 효과를 갖는 완충재를 부착시킨 부분)의 안정적인 높이가 보증되고, 자기 테이프의 주행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재를 부착시킴으로써, 충격에 대하여 쿠션 효과를 갖고, 충격으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보호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하측 하프 저면에 시트 부착용 리브(돌출 형상)를 설치하여 시트를 부착시킨 경우에는, 이러한 쿠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각종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량 또는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시트의 표면 전기 저항을 적게 할 수 있으며, 고온 및 고습이라는 가혹한 환경 하에서도 자기 테이프에 대한 대전 방지제의 전사를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환경 하에서 수송 또는 보관한 후에도 안정된 테이프 주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의 와인딩 허브의 높이 방향 위치를 규제하고, 자기 테이프의 주행 위치를 양호한 정밀도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상측 하프와 하측 하프를 뚜껑 맞춤 형상으로 결합하여 형성된 바구니체 형상의 카세트 케이스와,
    상기 카세트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자기 테이프를 감는 와인딩 허브와,
    상기 카세트 케이스의 상기 상측 하프 및 하측 하프의 적어도 한쪽 내벽면과 상기 와인딩 허브에 감기는 상기 자기 테이프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2.0×10-5㎎/㎟ 내지 1.5×10-4㎎/㎟ 함침하여 이루어진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적어도 상기 와인딩 허브에 감기는 자기 테이프와 상기 하측 하프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트인 자기 테이프 카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상기 대전 방지제의 함침량은 중량법, UV 스펙트럼법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규정된 것인 자기 테이프 카세트.
  4. 상측 하프와 하측 하프를 뚜껑 맞춤 형상으로 결합하여 형성된 카세트 케이스 내에 자기 테이프를 감은 한쌍의 와인딩 허브를 수용하고, 상기 와인딩 허브와 상기 상측 하프 및 하측 하프 각각과의 사이에 각각 시트를 개재시킨 자기 테이프 카세트로서,
    적어도 한쪽의 상기 시트에 와인딩 허브의 높이 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부형부를 설치한 부분, 또는 부형부를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형 효과를 유지 또는 부여하기 위한 완충재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시트는 상기 상측 하프 및 하측 하프의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부양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시트는 상기 와인딩 허브에 감기는 자기 테이프와 상기 하측 하프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트인 자기 테이프 카세트.
KR1020027001183A 1999-07-30 2000-07-28 자기 테이프 카세트 KR200200263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17318A JP2001043655A (ja) 1999-07-30 1999-07-30 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JP-P-1999-00217318 1999-07-30
PCT/JP2000/005110 WO2001009894A1 (fr) 1999-07-30 2000-07-28 Cassette de bande magnet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358A true KR20020026358A (ko) 2002-04-09

Family

ID=1670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183A KR20020026358A (ko) 1999-07-30 2000-07-28 자기 테이프 카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02277A1 (ko)
JP (1) JP2001043655A (ko)
KR (1) KR20020026358A (ko)
CN (1) CN1365499A (ko)
WO (1) WO20010098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3280U (ko) * 1985-11-15 1987-05-27
JPH0256786A (ja) * 1988-08-23 1990-02-26 Nitto Denko Corp 透明カセット用滑りシート
JPH02208883A (ja) * 1989-02-07 1990-08-20 Nitto Denko Corp カセット用透明滑り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43655A (ja) 2001-02-16
EP1202277A1 (en) 2002-05-02
WO2001009894A1 (fr) 2001-02-08
CN1365499A (zh)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5037A (en) Tape cassette brake assembly
CA1263475A (en) Magnetic tape cassette with tape protective sliding closure and lock mechanism for sliding closure
CA1289661C (en) Cassette holder i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magnetic tape cassette having underside-covering sliding shutter member
US4408733A (en) Magnetic tape cassette
US6563672B2 (en) Disk cartridge
KR20020026358A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
JPH08511123A (ja) 同一形式の要素を有する機械的に不適合の磁気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KR100445677B1 (ko) 테이프카트리지
EP0632452B1 (en) Tape cartridge of two-way system
CA1194994A (en) Tape cassette
JP3618887B2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
US4933797A (en) Arrangement for preventing entrance of harmful particles for use in a cartridge
EP0757348B1 (en) Tape cassette
JP3302257B2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
JP4011992B2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EP0492012A1 (en) Tape cassette
WO2000070615A1 (fr) Cassette a ruban magnetique et procede de traitement antistatique de feuilles utilisees pour celle-ci
JPS6022766A (ja) カセット装着装置
JPS62157368A (ja) フロントロ−デイング型コンパ−トメント
US4396169A (en) Magnetic tape cassette
JP3773699B2 (ja) 光記憶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保持機構
JPS6020212Y2 (ja) テ−プカセツト
JP2503656Y2 (ja) テ―プカセット
KR100197172B1 (ko) 테이프 카세트
JP2001184831A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