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004A - 악취 억제를 위한 개선된 방법, 악취 억제용 조성물 및 제품 - Google Patents

악취 억제를 위한 개선된 방법, 악취 억제용 조성물 및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004A
KR20020026004A KR1020027002759A KR20027002759A KR20020026004A KR 20020026004 A KR20020026004 A KR 20020026004A KR 1020027002759 A KR1020027002759 A KR 1020027002759A KR 20027002759 A KR20027002759 A KR 20027002759A KR 20020026004 A KR20020026004 A KR 20020026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weight
composition
present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릭키아-만
두발딘래리
콥다니엘스콧트
키블린저로버트윌리엄
우치야마히로타카
트린토안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2002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0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2Compound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31Carpet, upholstery, fur or leather clean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68Deodor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11D3/2058Dihydric alcohols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2Aldehydes-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23Polyamines or polyalkylenei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7(Co)polymeris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esters in 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 C11D3/502Protected perfumes
    • C11D3/507Compounds releasing perfumes by thermal or chemical activ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로부터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세탁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안정한 수성 냄새 중화제 조성물 및 조성물과 방법 및/또는 유도되는 잇점에 대한 지침서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물질들과 상호작용하지 않도록 보호되어 비착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악취 중화제 및/또는 임의로, 악취를 억제하도록 도와주는 제올라이트, 점토, 냄새 차단제, 냄새 반응제, 예를 들면, I급 및/또는 II급 알데히드, 정유(플라바노이드 포함), 금속염,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임의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저분자량 폴리올, 킬레이트화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직물을 오염시키거나 얼룩지게 할 수 있는 어떠한 물질로 필수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악취 억제를 위한 개선된 방법, 악취 억제용 조성물 및 제품 {Improved methods,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 odor control}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세탁 단계 후에도 악취를 보유하는 직물의 냄새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을 포함하여 세탁공정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에 사용하기 위한 냄새 흡수 조성물, 특히 이러한 직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농축된 첨가제 조성물, 및 당해 조성물을 직물의 냄새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수행하고/하거나 당해 방법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이익을 얻기 위한 지침서와 함께 포함하는 제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악취를 감소시킴으로써 상쾌함을 되찾고/되찾거나 유지시킨다.
배경기술
통상의 세탁공정에서는 악취를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함유하는 보통의 직물로부터 냄새를 제거한다. 그러나, 세탁 온도가 낮아지거나 세탁기 내의 세탁물 중에 부취제(付臭劑)를 높은 수준으로 함유하는 직물이 포함되어 있거나 세탁기 내에 세탁물이 과도하게 많이 적재되는 것과 같은 몇가지 다른 인자가 관련되는 경우, 종종 악취가 계속 남게 된다. 남아있는 이러한 악취는, 몇가지 세제 조성물 중에존재하거나 세탁 후에, 예를 들면, 항미생물 작용에 의해 생성되거나 그후에 직물에 부착되어 종종 다량의 소수성 오물의 존재를 동반하는 악취와는 다르다. 세탁 사이클이 모든 악취를 제거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기대로 인해, 상기한 문제점들은 일반적으로 인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몇몇 소비자들이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게 되어 이러한 직물을 따로 분리시킨 세탁물로서 세탁하는 등의 극한의 조치를 취해왔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악취를 제거하거나 중화시키기 위한 조치, 예를 들면, 제품을 다시 세탁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부가적인 조치가 성공적이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2차 세탁은 시간, 물 및 세제를 낭비하고 의류의 마모를 증가시킨다. 세제를 더 많이 사용하면 세정 단계 후에도 세제가 제품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세제 조성물로부터 악취를 억제하고 세제 조성물 중의 향기를 보호하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합물의 용해도를 향상시켜 이의 제거를 증진시키고 염료를 현탁된 상태로 유지시켜 염료가 다른 직물에 이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세탁공정이 완료된 후에도 악취가 남아 있는 것과 관련한 문제점을, 바람직하게는, 악취의 제거/억제를 돕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거나, 차선책으로서, 냄새 차단제 또는 악취와 반응하거나 악취를 차폐시키는 물질과 같은 악취 중화제(malodor counteractant)를 제공함으로써 해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접근책에서는 악취를 제거하거나 악취가 통하지 않게 하는 물질을 사용한다. 대체로 세탁기 직물 세탁물은 문제되지 않으나 악취를 제거하거나 악취가 통하지 않게 하는 물질의 다수가 자체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 및 조성물이 부가책으로서 사용된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세제 조성물 중에 혼입되는 경우, 계면활성제 및 향료와 반응하는 경향이 있으며, 악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매우 높은 농도로 요구된다. 악취 억제를 위해 냄새 차단제가 높은 수준으로 사용될 경우, 냄새 차단제는 악취 뿐만 아니라 향료의 바람직한 냄새도 차단한다. 유사하게는, 차폐 화합물이 다른 바람직한 냄새를 차단하고 반응물이 바람직한 냄새를 파괴시킬 수 있다.
몇몇 소비자들이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여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가지 방법을 찾아내었음을 나타내는 일화적인 정보가 있다. 그러나, 문제가 야기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악취를 불충분하게 제거되도록 하는 세탁공정, 오물, 세탁물 조건 등과 이익을 보기 위해 필요한 성분들의 농도를 일반 소비자들에게 확인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첨가제가 필요한 경우 이러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이전의 악취를 중화시키기 위한 노력들은 과도한 물질을 소모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결과를 보장하기에는 불충분한 정보를 근거로 하였다.
앞서 명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세제에 이러한 중화제 또는 직물 유연제를 제공하는 것은, 어떤 세탁물의 경우에는 이들 제제부터의 이익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한, 우수한 악취 제거/소거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여러 성분들의 농도가, 심지어 이들이 정말로 효과적인 중화제라 하더라도, 통상적으로 매우 높다. 최선의 중화제를 선택하면 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세탁공정의 일부를 방해하는 물질을 높은 수준으로 첨가제 조성물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다량의 산 물질은 통상적으로 세탁액의 pH를 낮추어 세정력을 손상시키고, 음이온성 물질은 통상적으로 양이온성 직물 유연제 등과 혼화되지 않는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세탁공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 유효량의 악취 억제제(중화제)를 적용하여 효과적인 방법으로 악취를 제거하거나 소수성 오물의 제거를 개선시킴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세탁공정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개선책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익을 위해서는 성분들이 높은 수준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최대 이익 범위, 이러한 이익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악취 중화제의 양 등을 규정하고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중화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송출 방법과 농축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유익한 결정을 내리는 데 요구되는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악취 제거 방법을 사용하는 시기)를 공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조성물을 이러한 정보와 함께 패키지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선의 중화제는 몇가지 잔류성 악취 방지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세탁공정에도 보다 우수한 최종 결과를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I. 사용방법
후술하는 조성물은, 불리기(presoak), 세탁 단계, 세정 단계 또는 배수 단계, 예를 들면, 탈수 또는 회전, 건조 등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세탁 사이클 중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직물에 유효량으로 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한 유효량은 덜 불쾌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후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정도로 악취를 흡수 또는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원에 논의된 바와 같이, 특정의 냄새의 경우, 직물 주변의 대기, 즉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에서의 냄새 수준이 이러한 냄새의 최저 감지 농도보다 낮아야 한다.
심한 악취를 야기시킬 가능성이 높은 오물의 종류로는 기계공의 의복, 식품을 다루는 사람, 특히 정육점 및 주방일을 하는 사람의 의복, 하수구 직공의 의복, 바텐더의 의복, 소방관의 의복, 농부 의복, 운동선수용 의복, 공장 노동자의 의복, 중기계 조작자의 의복 등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오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오물은 본 발명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중화시킬 수 없는 조합된 악취를 갖는다. 이러한 오물은 또한 소수성 오물, 예를 들면, 윤활유, 그리스, 식품 오일, 신체 오물, 연기 등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사이클로덱스트린 악취 중화제는 이러한 오물의 제거를 증진시킨다.
악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과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이 바람직하다.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은 캐비티가 너무 커서 대부분의 악취 분자를 제어하지 못한다. 치환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상응하는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덱스트린보다 용해도가 더 높을 경우에는 치환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특히 유용할 수 있다. 포장 용기는 최소화시키고 작용 속도는 최대화시키는 농축된 액상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세탁수 또는 세정수 중에서 계면활성제 및 향료와 착화될 수 있으므로, 사이클로덱스트린을 가능한 빨리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에 의해 불활성화된다는 것은 놀랍다. 세제 조성물 또는 유연화 조성물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기보다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세제 조성물 및/또는 유연화 조성물의 성분들과 사이클로덱스트린과의 상호작용을 최소화시킨다.
악취 제거에 필요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농도는 높지만,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키는 데 필요한 것보다는 훨씬 낮다. 또한, 임의의 세제 조성물 또는 유연화 조성물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존재할 경우, 세탁 직물로부터 악취를 제거하고자 한다면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활성물질로부터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분리(보호)해야 한다. 세제 성분으로부터 악취를 제거하거나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악취 억제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본원에 사용되는 첨가제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화되는 물질, 예를 들면, 효소,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화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말티톨 하이드록실 지방족 에테르, 직쇄 알킬 쇄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유연제 분자, 지방산과 이의 비누 및 이들의 유도체,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화되는 향료 등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착화되지 않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여전히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한 물질이 충분치 않아야 한다).
착화되지 않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농도는 오물 및/또는 냄새 수준과 관련이 있다. 특히, 오물/냄새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르는 바람직한 대략적인 양으로서의최소 농도는 점진적으로 각각 20ppm, 30ppm, 40ppm 및 60ppm으로 증가하고 바람직한 정도가 증가되는 순서에 있어서의 최대 농도는 약 500ppm, 300ppm, 200ppm 및 110ppm이다.
하기 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농축 제품의 세탁 또는 세정 사이클 동안의 전형적인 사용방법을 예시한다.
처리 조건 세탁 또는 세정 사이클 동안의 사용
기계 타입 켄모어(Kenmore) 20gallon 세탁기는 전형적인 유형의탑 로딩 와셔(top loading washer)를 나타냄
세탁 용량 표준 용량 : 약 7lb
온도 설정 표준, 고온 또는 냉각
전형적인 사용법 표준 용도에서는 약 1/3컵을 사용하거나, 특별한 악취 제거 용도에는 약 1/2컵을 사용함. 세탁 사이클 또는 최종 세정 사이클 동안 세탁기에 직접 가함. (표준 사용을 위한 지침서에서, 조성물의 수준은 약 2 내지 약 3oz로 다양할 수 있고, 특별한 악취 제거를 위한 수준은 약 4 내지 약 8oz로 다양할 수 있다. 이는 표준 사용을 위해서는 세탁액 또는 세정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0 내지 약 200ppm,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110ppm의 사이클로덱스트린 농도를 기본으로 하고, 특별한 악취 제거를 위해서는 세탁액 또는 세정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40 내지 약 500ppm,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300ppm의 사이클로덱스트린 농도를 기본으로 한다)
다음의 예는 세탁 또는 세정 사이클 동안 AATCC(통상의 세제 일반식) 분말 세제에 본 발명의 전형적인 농축 조성물을 첨가할 경우 직물에 있어서의 놀라운 부가적인 악취 제거 잇점을 예시한다.
사용방법 처리 후의 드라이 그리스 냄새 등급 처리 후의 드라이 합성 바디 냄새 등급
초기 = 90 내지 100* 초기 = 90 내지 100*
세탁시에만 AATCC 세제1/2컵 첨가 45 55
세탁 사이클 동안 AATCC 세제 1/2컵과 냄새 제거용 농축물11/3컵 첨가 5 15
세탁시 AATCC 세제 1/2컵과 최종 세정 사이클 동안 악취 제거용 농축물11/3컵 첨가 0 15
1농축물은 10%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1% 실웨트(Silwet) L-7600 계면활성제, 0.1% 항료 및 물을 함유한다.
*드라이 직물 악취 등급은, 악취가 없는 경우를 0이라 하고 악취가 매우 강한 경우를 100이라고 하는 평가 등급을 사용하여, 향료 분야의 전문 패널에 의한 평가를 기준으로 한다. 최종 등급이 전반적인 악취 제거 효능의 척도이며, 숫자가 낮은 것이 우수하다. 최종 등급에서 15단위의 차이는 제품 성능에 있어서 소비자가 인지할 수 있는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20 미만의 최종 악취 등급은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인지하지 못한다.
직물 예비처리제로서, 제품을 더러워진 직물에 직접 균일하게 적용하도록 권장된다. 최선의 결과를 위해서는, 더러워진 직물에 약간 축축해질 때까지 균일하게 분무한 다음 의복을 세탁하도록 교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존재는 용액의 전개를 촉진시키고, 항미생물 활성제는 냄새의 형성을 최소화함으로써 항미생물 작용 뿐만 아니라 개선된 냄새 제거 작용을 제공한다. 계면활성제와 항미생물 활성제는 둘 다 개선된 성능을 제공하며, 이의 혼합물이 특히 양호하다.
냄새 차단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 냄새 차단제의 수준은 냄새를 감소키기기에 충분한 양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보통의 냄새 수준의 경우에는 20gallon 세탁기 속에서 처리액, 세탁수 또는 세정수, 예를 들면, 세탁 용액 또는 세정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4 내지 약 10ppm, 바람직하게는 약0.007 내지 약 5ppm이고, 냄새 수준이 보다 높은 경우에는 처리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7 내지 약 30ppm,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7ppm이다. 냄새와 반응하는 물질, 예를 들면, 알데히드, 설파이트 등의 경우, 이들의 수준은 바람직하게는, 보통의 냄새 수준의 경우에는 처리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5 내지 약 10ppm,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7ppm이고, 냄새 수준이 보다 높은 경우에는 처리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30ppm,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5ppm이다. 악취를 차폐시키는 플라바노이드와 같은 물질의 경우, 이들의 수준은 바람직하게는, 보통의 냄새 수준의 경우에는 처리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40ppm,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ppm이고, 냄새 수준이 보다 높은 경우에는 처리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2 내지 약 40ppm,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ppm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비이온성 세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이의 농도가 세정 문제를 야기하기에는 부족한 정도인 세제 조성물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출원인에 의해 발견된 중요한 새로운 정보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은 몇가지 오물에 대한 높은 오물 함유량과 관련한 현저한 문제점이 비교적 광범위하게 퍼져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는 오물의 비효과적인 제거 및/또는 특히 이러한 오물과 관련된 악취가 포함된다. 따라서, 냄새 중화제를 함유하는 제품이 오물 및/또는 냄새를 충분히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냄새 중화제(들)를 포함하고, 제품이 이익(들)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제품을 사용하기 위한 지침서와 함께바람직하게는 패키지 내에 들어 있으며, 오물을 소비자가 인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성취되는 오물 및/또는 악취 감소 이외에, 본 발명의 방법은 직물에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악취 방지는 악취가 특히 세탁후에도 직물에 남아 있을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행동 방법이라는 점에서 악취 감소 또는 제거와는 다르다. 악취는 통상적으로, 의복을 "착용"하거나 벽장 또는 곰팡이나 백분병에 감염되기 쉬운 환경에서 보관하는 동안 의복에 발생한다. "착용" 상태에서 의복 직물에 악취가 나면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을 매우 당황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착용" 상태 동안에 의복에서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직물에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유효량의 조성물을 통상의 세탁공정의 세탁 또는 세정 사이클에 가하여 직물에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악취 방지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세탁공정 후에도 충분한 양의 악취 중화제가 직물에 남아 있어 직물에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원에 기재된 유효량의 조성물을 직물에 침착시킬 필요가 있다.
직물에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바람직한 악취 중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다. 직물에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바람직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직물에 유효량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침착시킴을 추가로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직물에 악취가 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직물에 잔류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직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이상이다. 또한, 조성물의 악취 방지 잇점을 전달하고 소비자에게 잇점을 성취하기 위해 필요량의 조성물을 사용하도록 교시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지침서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악취 방지 방법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조성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항미생물 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의 사용에 있어서, 악취 방지를 제공하기 위해 직물에 잔류하는 항미생물 활성제의 양은, 직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적으로 약 0.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이상이다.
II. 조성물
세탁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대표적인 조성물은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악취 흡수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5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0중량%의 가용화된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A),
임의로,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5 내지 약 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약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0.005 내지 약 0.2중량%의 냄새 차단제(B),
임의로,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0.5중량%의 I급 및/또는 II급 알데히드(C),
임의로,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중량%의 플라바노이드(D),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3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중량%의 악취 억제 잇점 개선용의 수용성 중합체, 특히 음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또는 이의 수용성 염(E),
임의로, 조성물의 수용(acceptance) 개선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3 내지 약 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0.5중량%의, 플라바노이드 및/또는 냄새 차단제 이외에 향료를 포함하는 용액, 유화액 또는 분산액(F)(여기서, 당해 용액, 유액 또는 분산액은 ClogP가 약 3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이고 분자량이 약 21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20 이상인 항료 성분을, 향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중량% 이상 함유하고/하거나, 유화액 또는 분산액의 입자 크기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존재할 경우, 이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화될 수 없을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향료가 악취를 차폐할 수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그렇지 못할 경우, 향료는 성분(B) 및/또는 성분(C)에 추가로 존재한다),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성능 개선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4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내지 약 3중량%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G)(여기서, 당해 계면활성제는 약 20 내지 약 60dyne/cm,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5dyne/cm의 표면 장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5중량%의 오물 현탁제, 예를 들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개질되거나 개질되지 않은 수용성 폴리알킬렌이민 오물 현탁제(H)(여기서, 당해 오물 현탁제는 폴리아민 주쇄를 포함한다),
임의로, 미생물의 치사 또는 미생물의 성장 감소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농축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3 내지 약 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2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0.8중량%의 수용성 항미생물 활성제(I)(여기서, 당해 항미생물 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화합물, 사이클릭 질소 화합물, 4급 화합물 및 페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2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중량%의 저분자량 폴리올(J),
임의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0.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약 0.1중량%의 킬레이트화제, 예를 들면,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K),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8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5중량%의 냄새 잇점 개선용 금속염, 특히 수용성 구리염 및/또는 아연염(L),
임의로,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내지 약 0.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003 내지 약 0.1중량%의 가용화된 수용성 항미생물 방부제(M) 및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의 수용성 알콜을 20% 이하로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수성 캐리어(N)를 포함하고,
통상적인 세탁에서도 잔존하는 악취를 상당히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 이상으로 성분(A), 성분(B), 성분(C), 성분(D) 및/또는 성분(E)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사용 조건하에서 직물을 오염시키거나 얼룩지게 할 수 있는 어떠한 물질도 필수적으로 함유하지 않고/않거나, 바람직하게는 pH가 약 3 이상 약 13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 약 12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세탁공정 후에도 남아 있는 것으로 임의로 확인된 악취를 중화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지침서와 함께 포장되어 있으며, 직물의 예비처리, 세탁 및/또는 세정시 첨가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단지 낮은 수준의 산성 물질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존재할 경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상호작용하는 세제 효소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필수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냄새 흡수 또는 중화용 농축 조성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악취 흡수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약 2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0중량%의 가용화된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A),
임의로,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5 내지 약 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약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0.2중량%의 냄새 차단제(B),
임의로,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0.5중량%의 I급, II급 알데히드(C),
임의로,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중량%의 플라바노이드(D),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유효량,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3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중량%의 악취 억제 잇점 개선용의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과 이의 수용성 염(E),
조성물의 수용 개선 유효량,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3 내지 약 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0.5중량%의, 상기한 성분 이외에 향료를 포함하는 용액, 유화액 및/또는 분산액(F)(여기서, 당해 용액, 유액 및/또는 분산액은 ClogP가 약 3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이고 분자량이 약 21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20 이상인 항료 성분을, 향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중량% 이상 함유하고/하거나, 유화액 또는 분산액의 입자 크기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존재할 경우, 이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화될 수 없을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향료가 악취를 차폐할 수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그렇지 못할 경우, 향료는 성분(B) 및/또는 성분(C)에 추가로 존재한다),
임의로, 조성물의 성능 개선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4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중량% 내지 약 3중량%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G)(여기서, 당해 계면활성제는 약 20 내지 약 60dyne/cm,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5dyne/cm의 표면 장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로, 약 0.01 내지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5중량%의 오물 현탁제, 예를 들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개질되거나 개질되지 않은 수용성 폴리알킬렌이민 오물 현탁제(H)(여기서, 당해 오물 현탁제는 폴리아민 주쇄를 포함한다),
임의로, 미생물의 치사 또는 미생물의 성장 감소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0.8중량%의, 기타 성분들과 상용성인 수용성 항미생물 활성제(I)(여기서, 당해 항미생물 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화합물, 사이클릭 질소 화합물, 4급 화합물 및 페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6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3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중량%의 저분자량 폴리올(J),
임의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약 0.1중량%의 킬레이트화제, 예를 들면,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K),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8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5중량%의 냄새 잇점 개선용 금속염, 특히 수용성 구리염 및/또는 아연염(L),
임의로,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0.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약 0.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0.2중량%의 악취 억제 잇점 개선용 효소(M),
임의로,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내지 약 0.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003 내지 약 0.1중량%의 가용화된 수용성 항미생물 방부제(N) 및
저분자량의 수용성 알콜을 20% 이하로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잔여량의 수성 캐리어(O)를 포함하고,
통상적인 세탁에서도 잔존하는 악취를 상당히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 이상으로 성분(A), 성분(B), 성분(C) 및/또는 성분(D)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 조건하에서 직물을 오염시키거나 얼룩지게 할 수 있는 어떠한 물질도 필수적으로 함유하지 않고/않거나, 바람직하게는 pH가 약 3 이상 약 13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 약 12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세탁공정 후에도 남아 있는 악취를 중화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지침서와 함께 포장되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 수준 및 처리하고자 하는 오물 유형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은 특정 지침서와 함께 직물의 예비처리, 세탁 및/또는 세정시 첨가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단지 낮은 수준의 산성 물질을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세제 효소를 필수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불리기, 세탁 단계, 세정 또는 건조 단계와 같은 세탁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농축되고 안정한,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수성 냄새 흡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사이클로덱스트린
본원에 사용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라는 용어에는 공지된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6개 내지 12개의 글루코즈 단위를 함유하는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덱스트린, 특히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은 6개의 글루코즈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7개의 글루코즈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은 도너츠 형태의 환 형태로 배열된 8개의 글루코즈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글루코즈 단위의 특정한 커플링 및 입체배위는 특정한 용적의 중공 내부를 갖는 강성의 원뿔형 분자 구조를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제공한다. 각 내부 캐비티(cavity)의 "내벽(lining)"은 수소원자와 글리코사이드 브릿지 산소원자로 형성되며, 따라서 이 표면은 상당히 소수성이다. 캐비티의 독특한 형상 및 물리-화학적 특성은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가 캐비티에 합치할 수 있는 유기 분자 또는 유기 분자의 일부분을 흡수(유기 분자와의 봉입 착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다수의 악취 분자 및 향료 분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방향성 분자는 캐비티에 합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특히 캐비티 크기가 상이한 사이클로덱스트린들의 혼합물이 반응성 관능 그룹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유기 방향 물질에 의해 유발된 냄새를 억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방향성 분자의 착화는 물의 존재하에 신속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착물 형성 범위는 또한 흡수된 분자의 극성에 따라 좌우된다. 수용액에 있어서, 강력한 친수성 분자(고도의 수용성 분자)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흡수된다. 따라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이들이 습윤 직물에 저농도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부 극저분자량 유기 아민 및 산과 효과적으로 착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물이 제거됨에 따라, 예를 들면, 직물이 건조됨에 따라, 일부 저분자량 유기 아민과 산은 친화성이 더욱 커지고 보다 신속하게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화될 것이다.
본 발명의 용액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속의 캐비티는, 용액이 표면에 적용될 때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이 각종 냄새 분자를 흡수하도록 실질적으로 용액 내에 충전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해야 한다(사이클로덱스트린은 비착화된 상태로 존재해야 한다). 유도체화되지 않은(정상)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실온에서 사용 조건하에 이의 용해도 한계인 약 1.85%(물 100g 중의 약 1.85g) 이하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냄새 흡수 용액은 투명하다. 본원에 정의된 "투명한"이라는 용어는, 두께가 약 10cm 미만인 층을 통해 관찰할 경우,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상태,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물"에서와 같이 투명한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용해되지 않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보다 점성이 높은 액체 또는 겔에 균일하게 현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이의 유도체,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이의 유도체, 유도체화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이의 혼합물 등과 같이 고도의 수용성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유도체는 OH 그룹의 일부가 OR 그룹으로 전환된 분자로 주로 구성된다.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에는, 예를 들면, 단쇄 알킬 그룹을 갖는 것[예: 메틸화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에틸화 사이클로덱스트린(여기서, R은 메틸 또는 에틸 그룹이다)]; 하이드록시알킬 치환된 그룹을 갖는 것[예: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하이드록시에틸 사이클로덱스트린(여기서, R은 -CH2-CH(OH)-CH3또는 -CH2CH2-OH 그룹이다)]; 측쇄 사이클로덱스트린(예: 말토즈-결합된 사이클로덱스트린); 양이온성 사이클로덱스트린[예: 낮은 pH에서 양이온성인 2-하이드록시-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여기서, R은 CH2-CH(OH)-CH2-N(CH3)2이다)]; 4급 암모늄[예: 2-하이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에테르 클로라이드 그룹(여기서, R은 CH2-CH(OH)-CH2-N+(CH3)3Cl-이다)]; 음이온성 사이클로덱스트린(예: 카복시메틸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설페이트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숙시닐레이트); 양쪽성 사이클로덱스트린(예: 카복시메틸/4급 암모늄 사이클로덱스트린);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문헌[참조: "Optimal Performances with Minimal Chemical Modification of Cyclodextrins", F. Diedaini-Pilard and B. Perly, The 7th International Cyclodextrin Symposium Abstracts, April 1994, p. 49]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글루코피라노즈 단위가 3-6-안하이드로-사이클로말토 구조를 갖는 사이클로덱스트린(예: 모노-3-6-안하이드로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기타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모두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파머터(Parmerter) 등에게 1969년 2월 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3,426,011호; 모두 파머터 등에게 1969년 7월 1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3,453,257호, 제3,453,258호, 제3,453,259호 및 제3,453,260호; 그라메라(Gramera) 등에게 1969년 8월 5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3,459,731호; 파머터 등에게 1971년 1월 5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3,553,191호; 파머터 등에게 1971년 2월 2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3,565,887호; 제이틀리(Szejtli) 등에게 1985년 8월 1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535,152호; 히라이(Hirai) 등에게 1986년 10월 7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16,008호; 오기노(Ogino) 등에게 1987년 7월 7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78,598호; 브란트(Brandt) 등에게 1987년 1월 20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38,058호 및 쓰치야마(Tsuchiyama) 등에게 1988년 5월 2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746,734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추가의 사이클로덱스트린에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문헌[참조; V. T. D'Souza and K. B. Lipkowitz, CHEMICAL REVIEWS: CYCLODEXTRINS, Vol. 98, No. 5(American Chemical Society, July/August 1998)]에 기재되어 있는 것들이 포함된다.
고도의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실온에서 수용해도가 물 100ml당 약 10g 이상,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물 100ml당 약 2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물 100ml당 약 25g 이상인 것들이다. 가용화된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이용가능성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악취 억제 성능에 필수적이다. 가용화된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표면, 특히 직물에 침착되는 경우, 비-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보다 더 효율적인 악취 억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바람직한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의 예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메틸화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메틸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에틸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이다. 하이드록시알킬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사이클로덱스트린당 OR 그룹의 총 수를 치환도로서 정의하는 경우, 치환도가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7이다. 메틸화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전형적으로 치환도가 약 1 내지 약 18,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6이다. 공지된 메틸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각 글루코즈 단위가 약 2개의 메틸 그룹을 포함하고 치환도가 약 14인, DIMEB로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헵타키스-2,6-디-O-메틸-β-사이클로덱스트린이다. 보다 상업상 입수가능한 바람직한 메틸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치환도가 상이한, 통상적으로 약 12.6인, RAMEB로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랜덤 메틸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이다. RAMEB가 DIMEB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RAMEB보다 DIMEB가 바람직한 계면활성제의 표면 활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예를 들면, 세레스타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Cerestar USA, Inc.) 및 웍커 케미칼스(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Wacker Chemicals(USA), Inc.)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또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보다 다양한 분자 크기를 갖는 광범위한 방향성 분자와 착화됨으로써 보다 광범위하게 냄새를 흡수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적어도 일부분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유도체,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유도체화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와 유도체화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유도체화된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과 유도체화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 및/또는 메틸화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과 메틸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이다.
다양한 수의 글루코즈 단위로 구성되어 있는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는 직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공지된 흡수성 탈취 조성물의 흡수 잇점을 제공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효과적인 냄새 흡수 활성이 있지만, 일부 작은 분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의 캐비티가 너무 커서 보다 작은 유기 분자를 적절하게 보유할 수 없기 때문에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에 의해 충분히 흡수되지 않는다. 크기가 작은 유기 냄새 분자가 사이클로덱스트린 캐비티로 충분히 흡수되지 않으면, 상당량의 악취가 잔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분자량 폴리올을 조성물에 가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 봉입 착물의 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수용성 금속염을 가하여 일부 질소 함유 및 황 함유 악취 분자와 착화시킬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특정한 미생물의 주요 생육 토대가 되기 때문에, 특히 수성 조성물에서는, 당해 조성물이 이하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항미생물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 미생물 성장을 억제 및/또는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수용성 항미생물 방부제를 포함시켜,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투명한 냄새 흡수 수용액의 저장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냄새, 감염 등을 유발하는 생물체를 실질적으로 사멸시키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항미생물 활성제와 같은 임의의 성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조성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여 소수성 표면(예: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 위로 냄새 흡수 조성물의 확산을 촉진시키고, 또한 악취 억제를 개선시키기 위해 임의의 오일상 소수성 오물을 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는 착용시의 정전기 억제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냄새 흡수 조성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항균 활성제와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 둘 다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활성제는, 유효량의 유리 비착화 활성제 및 유리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 둘 다가 목적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 농도에서 조성물 중의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실질적으로 착물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다. 추가로, 이들을 최대한 주름지지 않도록 건조시키면서 면직물 중의 목적하는 수분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습윤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의 악취를 억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악취 제거를 최대화시키고 고농도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용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세정 잇점을 이용하기 위해 세탁공정에서 세탁 단계의 첨가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오일상 소수성 오물을 높은 수준으로 함유하는 오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보다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보다 완전한 제거는 일부는 직물로부터 용해되기 때문이고 일부는 오물이 현탁되기 때문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또한 높은 농도로 사용될 경우 유연성 및 주름방지 잇점을 제공한다. 놀랍게도,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제의 일부로서 가하면, 착물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농도 및/또는 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이 최소화된다.
보다 희석된 조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저렴하고/하거나 부피가 보다 작은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농축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사용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농축 조성물의 약 2 내지 약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30중량%가 되도록 한다.
(B) 냄새 차단제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악취의 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해 냄새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차단제가 항상 존재해야 한다. 냄새의 근원이 사라지기 전에 냄새 차단제가 증발되면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덜해진다. 또한, 냄새 차단제는 향기와 같은 목적하는 냄새를 차단시켜 미적 감각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적당한 냄새 "차단제"가 미국 특허 제4,009,253호, 제4,187,251호, 제4,719,105호, 제5,441,727호 및 제5,861,371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 문헌들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C) 알데히드
악취의 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해 임의 성분으로서 알데히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알데히드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676,163호에 기재되어 있는 I급, II급 알데히드 및 이들 알데히드의 혼합물이다.
(D) 플라바노이드
플라바노이드는 통상의 정유에서 발견되는 성분이다. 이러한 오일은 침엽수와 목초, 예를 들면, 히말라야삼목, 노송나무, 유칼리나무, 일본산 적색 소나무, 민들레, 줄무늬가 적은 대나무 및 이질풀로부터 건식 증류에 의해 추출되는 정유를 포함하며, 이는 알파-피넨, 베타-피넨, 마이센, 펜콘 및 캄펜과 같은 테르펜계 물질을 함유한다. 테르펜형 성분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의해 피니싱제(finishing agent)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옷감을 구성하는 섬유에 부착된다. 또한, 차잎으로부터의 추출물도 포함된다. 이러한 물질에 대한 설명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일본 특허 제6219157호, 제02284997호, 제04030855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E) 향료
본 발명의 냄새 흡수 조성물은 직물로부터 악취의 제거를 신호하는 상쾌한 냄새 형태로 "향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향료는, 냄새 중화제의 역할을 완료한 향료 성분에 더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속적인 향료 향기를 제공하도록 고안된다. 향료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 내지 약 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3 내지 약 0.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0.2중량%의 농도로 첨가된다.
향료는 표면에 냄새를 보다 오래 지속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보다 강력한수준의 향료가 바람직한 경우, 비교적 고농도의 향료를 첨가할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화될 수 있는 바람직한 소수성 향료가, 당해 조성물 속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용이하게 반응하지 않을 액적 크기를 갖는 유화액으로 형성되는 한, 어떠한 유형의 향료라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 도입시킬 수 있다. 향료 성분은 친수성이거나 소수성일 수 있다.
향료 성분이 친수성인 경우, 이들은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화되지 않도록 수성상에 용해시켜야 한다. 최상의 제품 안정성 및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을 위해서는, 먼저 친수성 향료 성분,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 및 용해 보조제(예: 에탄올)로 이루어진 투명한 예비혼합물을 제조하여 모든 친수성 향료 성분을 예비용해시킨다. 사이클로덱스트린, 물 및 임의 성분은 언제나 최종 혼합 단계 동안 첨가된다. 악취 억제를 위한 유효량의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를 보유하기 위해, 친수성 향료 성분은 통상적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약 9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미만이 향료와 착화되는 농도로 존재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 대 향료의 중량비는 약 8:1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1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1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0:1 이상이어야 한다.
친수성 향료는 주로, ClogP가 약 3.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낮은(예를 들면, 약 22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10 이하) 성분들로 구성된다. 보다 장시간 동안 지속되는 향료 효과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하기의 소수성 향료를 사용한다.
(a) 소수성 향료 성분
장기간 지속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향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수성이며, 비점이 비교적 높다. 즉, 이는 두 그룹의 성분, 즉 ClogP가 약 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인 친수성 성분(a) 및 분자량이 약 21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20 이상인 성분(b)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약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0중량% 이상의 향료가 상기 그룹(a) 및 (b)의 향료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바람직한 향료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 대 향료의 중량비는 통상적으로 약 2:1 내지 약 200:1, 바람직하게는 약 4:1 내지 약 100:1,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1 내지 약 50: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8:1 내지 약 30:1이다.
소수성 향료 성분은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화되는 경향이 있다. 향료 성분의 소수성 정도는 이의 옥탄올/물 분배계수(P)와 상호 관련될 수 있다. 향료 성분의 옥탄올/물 분배계수는 옥탄올과 물 속에서의 이의 평형 농도 비율이다. 분배계수(P)가 보다 큰 향료 성분은 보다 소수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역으로, 분배계수(P)가 보다 작은 향료 성분은 보다 친수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향료 성분의 분배계수는 통상적으로 높은 값을 갖기 때문에, 이들은 밑수(base)가 10인 로그 형태(logP)로 제시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향료의 소수성 향료 성분은 logP가 약 3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이다.
다수의 향료 성분의 logP는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캘리포니아주 어빈소재의 데일라이트 케미칼 인포메이션 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Daylight Chemical Information System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Pomona92 데이타베이스는 원문에 대한 인용과 함께 많은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logP 값은 데일라이트 CIS로부터 입수가능한 "CLOGP" 프로그램으로 계산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 이 프로그램은 또한, Pomona92 데이타베이스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실험적 logP 값을 제공한다. "계산된 logP"(ClogP)는 한슈 및 레오(Hansch and Leo)의 프레그먼트법(fragment approach)[참조: A. Leo, 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Vol. 4, C. Hansch, P.G. Sammens, J. B. Taylor and C.A. Ramsden, Eds., p. 295, Pergamon Press, 1990, 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으로 측정한다. 프레그먼트법은 각 향료 성분의 화학 구조를 기초로 한 것이며, 원자수와 원자 유형, 원자 연결 및 화학 결합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해 가장 신뢰할 수 있고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평가치인 ClogP는 본 발명에 유용한 향료 성분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실험적 logP 값 대신에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한 소수성(지속성) 향료 성분의 비제한적 예는 디에틸 프탈레이트, 메틸 디하이드로 자스모네이트, 리랄, 헥실 살리실레이트, 이소-E 수퍼, 헥실 신남산 알데히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갈락솔라이드, 페닐-에틸-페닐 아세테이트, 시스-자스몬; 디메틸 벤질 카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바닐린; 제라닐 아세테이트; 알파-이오논; 베타-이오논; 감마-이오논; 라우르산 알데히드;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 노닐 아세트알데히드; 감마-노날락톤; 페녹시 에틸 이소-부티레이트; 페닐 에틸 디메틸 카비놀; 페닐 에틸 디메틸 카비닐 아세테이트;알파-메틸-4-(2-메틸프로필)-벤젠프로판알(수자랄 T); 6-아세틸-1,1,3,4,4,6-헥사메틸 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토날리드); 운데실렌산 알데히드; 바닐린; 2,5,5-트리메틸-2-펜틸-사이클로펜타논(벨로우톤); 2-3급-부틸사이클로헥산올(베르돌); 베르독스; 파라-3급-부틸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베르테넥스);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지속성 향료 조성물은 이들 지속성 향료 성분을, 지속성 향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중량% 이상으로 사용하여 제형화할 수 있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지속성 향료 성분의 총 농도는, 상기 지속성 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70중량% 이상이다.
상기 언급된 지속성 향료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기타의 지속성 향료 성분은 비점(B.P.) 및 옥탄올/물 분배계수(P)에 의해 특징화될 수 있다. 향료 성분의 옥탄올/물 분배계수는 옥탄올 및 물 속에서의 이의 평형 농도의 비율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타의 지속성 향료 성분은 분자량이 약 21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20 이상이고, 옥탄올/물 분배계수(P)가 약 1,00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타의 지속성 향료 성분의 분배계수가 높은 값을 갖기 때문에, 이들은 밑수가 10인 로그(logP)의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기타의 지속성 향료 성분은 logP가 약 3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1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3.2 이상이다.
하기 표는 바람직한 향료 성분 대 바람직하지 않은 향료 성분 중 일부의 분자량 특성을 예시한다.
CD 상호작용에 대한 향료 성분의 예
향료 성분 분자량 CD 상호작용
디에틸 프탈레이트 222.0 약함
메틸 디하이드로 자스모네이트 226.3 약함
리랄 210.3 약함
헥실 살리실레이트 222.3 약함
이소-E 수퍼 234.0 약함
헥실 신남산 알데히드 216.3 약함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270.0 약함
갈락솔라이드 258 약함
토날리드 258 약함
페닐-에틸-페닐 아세테이트 240 약함
테트라하이드롤리날롤 158.0 현저함
코아본 182.0 강함
터피닐 아세테이트 196.0 현저함
베르테넥스 198.3 강함
플로르 아세테이트 192.0 강함
알파-이오논 192.3 강함
사이말 170.0 강함
알파-Me 이오논 206.3 강함
프루텐 206.0 강함
릴리알 204.3 강함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기타의 바람직한 수소성 향료 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기타의 지속성 향료 성분의 예
향료 성분 대략적인 비점(℃)(a) ClogP
BP≥250℃ 및 ClogP≥3.0
알릴 사이클로헥산 프로피오네이트 267 3.935
암브레톨라이드 300 6.261
암브록스 DL(도데카하이드로-3a,6,6,9a-테트라메틸-나프토[2,1-b]푸란) 250 5.400
아밀 벤조에이트 262 3.417
아밀 신나메이트 310 3.771
아밀 신남산 알데히드 285 4.324
아밀 신남산 알데히드 디메틸 아세탈 300 4.033
이소-아밀 살리실레이트 277 4.601
아우란티올 450 4.216
벤조페논 306 3.120
벤질 살리실레이트 300 4.383
파라-3급-부틸 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 +250 4.019
이소-부틸 퀴놀린 252 4.193
베타-카리오필렌 256 6.333
카디넨 275 7.346
세드롤 291 4.530
세드릴 아세테이트 303 5.436
세드릴 포르메이트 +250 5.070
신나밀 신나메이트 370 5.480
사이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304 5.265
사이클라멘 알데히드 270 3.680
디하이드로 이소자스모네이트 +300 3.009
디페닐 메탄 262 4.059
디페닐 옥사이드 252 4.240
도데카락톤 258 4.359
이소 E 수퍼 +250 3.455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332 4.554
에틸 메틸 페닐 글리시데이트 260 3.165
에틸 운데실레네이트 264 4.888
엑살톨라이드 280 5.346
갈락솔라이드 +250 5.482
제라닐 안트라닐레이트 312 4.216
제라닐 페닐 아세테이트 +250 5.233
헥사데카놀라이드 294 6.805
헥세닐 살리실레이트 271 4.716
헥실 신남산 알데히드 305 5.473
헥실 살리실레이트 290 5.260
알파-아이론 250 3.820
릴리알(p-t-부시날) 258 3.858
리날릴 벤조에이트 263 5.233
2-메톡시 나프탈렌 274 3.235
감마-n-메틸 이오논 252 4.309
무스크 인다논 +250 5.458
무스크 케톤 MP=137℃ 3.014
무스크 티베틴 MP=136℃ 3.831
미리스티신 276 3.200
옥사헥사데칸올라이드-10 +300 4.336
옥사헥사데칸올라이드-11 MP=35℃ 4.336
파트코울리 알콜 285 4.530
판톨라이드 288 5.977
페닐 에틸 벤조에이트 300 4.058
페닐 에틸 페닐 아세테이트 325 3.767
페닐 헵탄올 261 3.478
페닐 헥산올 258 3.299
알파-산탈올 301 3.800
티베톨라이드 280 6.246
델타-운데카락톤 290 3.830
감마-운데카락톤 297 4.140
운데카베르톨(4-메틸-3-데센-5-올) 250 3.690
베티베릴 아세테이트 285 4.882
야라-야라 274 3.235
일란겐 250 6.268
(a) M.P.는 융점이고, 이들 성분은 약 250℃ 이상의 비점(B.P.)을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향료 조성물은 4종 이상의 상이한 소수성 향료 성분, 바람직하게는 5종 이상의 상이한 소수성 향료 성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6종 이상의 상이한 소수성 향료 성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종 이상의 상이한 소수성 향료 성분을 함유한다.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되는 가장 통상적인 향료 성분은 다수의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 각각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향료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을 정의하기 위해 이를 하나의 단일 성분으로서 간주한다.
냄새 감지 역치가 낮은 향료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이들의 수용해도 범위까지 수성 상에 용해되거나 다른 소수성 향료 성분과의 유화액 또는 분산액에 도입되는, 냄새 감지 역치가 낮은 물질을 저농도 내지 중간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냄새 감지 역치는 후각으로 검지할 수 있는 당해 물질의 최저 증발 농도이다. 냄새 감지 역치 및 일부 냄새 감지 역치값은, 예를 들면, 본원에 모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문헌들[참조: "Standardized Human Olfactory Thresholds", M. Devos et al, IRL Press at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and "Compilation of Odor and Taste Threshold Values Data", F. A. Fazzalari, editor, ASTM Data Series DS 48A,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1978]에 언급되어 있다. 냄새 감지 역치값이 낮은 향료 성분을 소량 사용하면 향료 냄새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감지 역치가 현저히 낮은 향료 성분은 암브록스, 박다놀, 벤질 살리실레이트, 부틸 안트라닐레이트, 세탈록스, 다마세논, 알파-다마스콘, 감마-도데카락톤, 에반올, 허바버트, 시스-3-헥세닐 살리실레이트, 알파-이오논, 베타-이오논, 알파-이소메틸이오논, 릴리알, 메틸 노닐 케톤, 감마-운데카락톤, 운데실렌산 알데히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물질은 낮은 농도,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전체 향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3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20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중량% 미만의 저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낮은 농도만이 당해 효과를 제공하는 데 요구된다.
또한, 감지 역치가 현저히 낮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 특히 유용한 친수성 성분도 있다. 이들 성분의 예는 알릴 아밀 글리콜레이트, 아네톨, 벤질 아세톤, 칼론, 신남산 알콜, 쿠마린, 사이클로갈바네이트, 사이클랄 C, 사이말, 4-데세날, 디하이드로 이소자스모네이트, 에틸 안트라닐레이트, 에틸-2-메틸 부티레이트, 에틸 메틸페닐 글리시데이트, 에틸 바닐린, 유겐올, 플로르 아세테이트, 플로르하이드랄, 프럭톤, 프루텐, 헬리오트로핀, 케톤, 인돌, 이소 사이클로 시트랄, 이소유겐올, 라이랄, 메틸 헵틴 카보네이트, 리날룰,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 이소부테닐 테트라하이드로피란, 메틸 베타 나프틸 케톤, 베타 나프톨 메틸 에테르, 네롤, 파라-아니스산 알데히드, 파라 하이드록시 페닐 부탄온, 페닐 아세트알데히드, 바닐린 및 이의 혼합물이다. 냄새 감지 역치가 낮은 향료 성분의 사용은 대기로 방출되는 유기 물질의 농도를 최소화시킨다.
사이클로덱스트린과의 상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소수성인 향료 성분은 안정한 유화액/분산액으로 존재해야 한다. 유화액/분산액의 입자는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0.01μ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μ 이상이다. 유화액을 먼저 형성시키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기 전에 안정화시킨다. 바람직한 안정화제는 이하 기재된 실록산 계면활성제;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부분 둘 다를 함유하는 중합체; 및 목적하는 입자 크기 범위의 안정한 소포를 형성하는 양이온성 직물 유연화 활성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직경이 0.01μ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μ 이상인 입자 크기를 갖는 안정한 소수성 향료 현탁액(유화액/분산액)을 포함한다.
향료 안정화제는 하기 (F)(b)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실록산 계면활성제와 하기 (F)(a)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블럭 공중합체 및 하기 (F)에 기재되어 있는 기타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들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인 단량체(예: 폴리 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 아크릴아미드; 폴리 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옥틸아크릴아미드 등)와, 친수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전된 단량체(예: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소수성 부분을 함유한다.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1,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250,0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내지 약 100,000이다. 친수성 부분 대 소수성 부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약 90/1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75/25이다. 중합체의 친수성 부분(들), 바람직하게는 하전된 부분(들)은 바람직하게는 말단 위치나 소수성 부분 상의 펜던트 위치에 존재하는데, 이는 소수성 부분(들)은 향료에 존재하고 친수성 부분(들)은 수상(water phase)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직물 유연제 활성물질은 또한 향료의 안정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적합한양이온성 직물 유연제 활성물질이 왈(Wahl) 등에게 1998년 5월 5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47,443호, 트린(Trinh) 등에게 1998년 11월 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830,845호, 왈 등에게 1998년 6월 2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59,990호, 루슈(Rusche) 등에게 1997년 11월 11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686,376호, 바콘(Bacon) 등에게 1996년 3월 19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500,138호, 왈 등에게 1996년 8월 1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545,340호, 트린 등에게 1998년 9월 8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804,219호 및 트린 등에게 1987년 4월 28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61,269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들은 모두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유연제 활성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대부분의 물에 첨가하기 전에 향료와의 분산액으로 형성된다.
(F)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
임의의, 그러나 바람직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B)는 당해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과 같은 소수성 표면 위에 용이하고 보다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는 낮은 표면 장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용액은 만족스럽게 확산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악취 억제를 개선시키기 위해 소수성 오일상 오물을 보다 우수하게 투과시킬 수 있다. 놀랍게도,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배합하면 그리스 얼룩에 대한 분말상 또는 액상 세제의 세정 성능이 상당히 증가한다. 또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착용시"의 정전기 억제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농축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농축 수성 조성물 중의 다수의 활성제(예: 항미생물 활성제) 및 향료의 분산을 촉진시킨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존재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요구되는 낮은 표면 장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이어야 하며, 즉 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성능을 감소시킬 정도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실질적으로 착물을 형성하지 않아야 한다. 착물 형성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냄새 흡수능 및 계면활성제의 수성 조성물 표면 장력 저하능 둘 다를 감소시킨다.
적합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가 제공하는 표면 장력에 미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효과 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용액 속에서 약 1%의 특정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표면 장력(dyne/cm)을 측정함으로써 성취된다. 수용액은 계면활성제를 약 0.5%, 0.1%, 0.01% 및 0.005%의 농도로 함유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계면활성제 용액의 표면 장력을 상승시킴으로써 계면활성제의 표면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물 속에서의 소정 농도에서 표면 장력이 사이클로덱스트린 1% 용액 중의 동일한 계면활성제의 표면 장력과 약 10%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이는 계면활성제와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이의 강력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1%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동일한 농도의 용액의 표면 장력에 대한 수용액 중의 표면 장력의 차이가 (최하) 약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미만이어야 한다.
(a) 블럭 공중합체
사이클로덱스트린-상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와의 블록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대부분의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상용성인 적합한 블록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중합체성 계면활성제에는 출발 반응성 수소 화합물로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에틸렌디아민을 기본으로 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출발 화합물과 단일 반응성 수소원자와의 연속적인 에톡시화 및 프로폭시화로부터 생성되는 중합체 화합물(예: C12-18지방족 알콜)은 일반적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상용성이 아니다. 바스프-위안도트 코포레이션(BASF-Wyandotte Corp., 미국 미시간주 위안도트 소재)으로부터 플루로닉(PluronicR) 및 테트로닉(TetronicR)이라는 상표명의 특정한 블록 중합체 계면활성제 화합물이 용이하게 입수가능하다.
이러한 유형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의 비제한적 예로는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화학식 H(EO)n(PO)m(EO)nH의 플루로닉 계면활성제(여기서, EO는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이고, PO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이며, n과 m은 계면활성제에서 해당 그룹의 평균 수를 나타내는 수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플루로닉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및 이의 혼합물이다:
명칭 평균 MW 평균 n 평균 m
L-101 3,800 4 59
L-81 2,750 3 42
L-44 2,200 10 23
L-43 1,850 6 22
F-38 4,700 43 16
P-84 4,200 19 43
화학식의 테트로닉 계면활성제(여기서, EO, PO, n 및 m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테트로닉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및 이의 혼합물이다:
명칭 평균 MW 평균 n 평균 m
901 4,700 3 18
908 25,000 114 22
"리버스" 플루로닉 및 테트로닉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리버스 플루로닉 계면활성제 H(PO)m(EO)n(PO)mH
리버스 테트로닉 계면활성제(여기서, EO, PO, n 및 m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사이클로덱스트린-상용성 리버스 플루로닉 및 리버스 테트로닉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및 이의 혼합물이다:
리버스 플루로닉 계면활성제:
명칭 평균 MW 평균 n 평균 m
10 R5 1,950 8 22
25 R1 2,700 21 6
리버스 테트로닉 계면활성제:
명칭 평균 MW 평균 n 평균 m
130 R2 7,740 9 26
70 R2 3,870 4 13
(b) 실록산 계면활성제
사이클로덱스트린-상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부류는 디메틸 폴리실록산 소수성 잔기와 하나 이상의 친수성 폴리알킬렌 측쇄를 갖는 하기 화학식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실록산이다:
R1-(CH3)2SiO-[(CH3)2SiO]a-[(CH3)(R1)SiO]b-Si(CH3)2-R1
위의 화학식에서,
a + b는 약 1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5이고,
R1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메틸 및 화학식 -(CH2)nO(C2H4O)c(C3H6O)dR2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여기서, n은 3 또는 4, 바람직하게는 3이고, 전체 c(모든 폴리알킬렌옥시 측쇄 그룹)는 1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100의 값이며, 전체 d는 0 내지 약 14,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약 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이며, 전체 c + d는 약 5 내지 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9 내지 약 100의 값이고,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및 아세틸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 바람직하게는 수소 및 메틸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하나 이상의 R1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그룹이다.
이러한 유형의 계면활성제의 예는 미국 코네티컷주 댄버리 소재의 오시 스페셜티즈 인코포레이트(OSi Specialties, Inc.)에서 입수가능한 실웨트(SilwetR) 계면활성제이다. 대표적인 실웨트 계면활성제는 다음과 같다.
명칭 평균 MW 평균 a + b 평균 전체 c
L-7608 600 1 9
L-7607 1,000 2 17
L-77 600 1 9
L-7605 6,000 20 99
L-7604 4,000 21 53
L-7600 4,000 11 68
L-7657 5,000 20 76
L-7602 3,000 20 29
폴리알킬렌옥시 그룹(R1)의 분자량은 약 10,000 이하이다. 폴리알킬렌옥시 그룹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8,0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약 5,000 범위이다. 따라서, c 및 d의 값은 분자량을 이들 범위 내로 제공하는 수일 수 있다. 그러나, 폴리에테르 쇄(R1) 중의 에틸렌옥시 단위(-C2H4O)의 수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실록산을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으로 되도록 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프로필렌옥시 그룹이 폴리알킬렌옥시 쇄에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쇄 속에 램덤하게 분포하거나 블록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웨트 계면활성제는 L-7600, L-7602, L-7604, L-7605, L-7657 및 이의 혼합물이다. 표면 활성 이외에,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실록산 계면활성제는 또한 직물에 정전기방지 잇점, 윤활성 및 유연성 등의 다른 잇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실록산의 제조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실록산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3,299,112호에 기재되어 있는 과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블렌드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실록산은 하이드로실록산(즉, 규소-결합된 수소를 함유하는 실록산)과 알케닐 에테르(예: 비닐, 알릴, 또는 알콕시 또는 하이드록시 말단차단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의 메트알릴 에테르)의 부가 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한다. 이러한 유형의 부가 반응에 사용되는 반응 조건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백금 촉매(예: 염화백금산) 및 용매(예: 톨루엔)의 존재하에 반응물을 가열(예를 들면, 약 85℃ 내지 약 110℃의 온도에서)시킴을 포함한다.
(c)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사이클로덱스트린-상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비제한적 예는 화학식의 알킬디페닐 옥사이드 디설포네이트(여기서, R은 알킬 그룹이다)이다. 이러한 유형의 계면활성제의 예는 다우팍스(DowfaxR)(여기서, R은직쇄 또는 측쇄 C6-C16알킬 그룹이다)라는 상품명으로 다우 케미칼 캄파니(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이들 사이클로덱스트린-상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R이 대략적으로 직쇄 C10그룹인 다우팍스 3B2이다. 이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항미생물 활성제 또는 방부제 등이 양이온성 활성제와의 상호작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양이온성인 경우, 계면활성제와 활성제 둘 다의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d) 피마자유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물질과 함께 미셀 또는 소포와 같은 분자 응집체를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유용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는 일부 또는 전부 수소화된,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에톡실레이트는 다음의 화학식을 갖는다:
이러한 에톡실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이들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에톡실레이트의 평균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몰 수(즉, 상기 화학식에서 l+m+n+x+y+z)는 일반적으로 약 7 내지 약 100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80이다. 피마자유 계면활성제는 HCO 40 및 HCO 60이라는 상품명으로 니코(Nikko)에서 시판되고 있으며 크렘포르(Cremphor)TMRH 40, RH 60 및 CO 60이라는 상품명으로 BASF에서 시판되고 있다.
(e) 소르비탄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물질과 함께 분자 응집체를 형성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로서 유용한 장쇄 지방산의 소르비탄 에스테르는 탄소수 14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의 장쇄 지방산 잔기를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또한, 장쇄 지방산의 소르비탄 폴리에스테르의 에스테르화도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특히 2.8 내지 3.2이다. 이러한 장쇄 지방산의 소르비탄 폴리에스테르의 전형적인 예는 소르비탄 트리팔미테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및 소르비탄 탈로우 지방산 트리에스테르이다.
기타의 적합한 소르비탄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에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특히 화학식의 모노- 및 트리-에스테르(여기서, R1은 H 또는이고, R2이며, w는 약 10 내지 약 16이다)가포함된다.
추가의 적당한 소르비탄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에는 폴리에톡시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특히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R1은 H 또는이고, R2이며, u는 약 10 내지 약 16이고, (w+x+y+z)의 평균은 약 2 내지 약 20이며, 바람직하게는, u는 16이고, (w+x+y+z)의 평균은 약 2 내지 약 4이다)이 포함된다.
(f) 폴리에톡시화 지방 알콜 계면활성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는 추가로 화학식 CH3-(CH2)x(CH=CH)y-(CH2)z-(OCH2CH2)w-OH의 폴리에톡시화 지방 알콜 계면활성제(여기서, w는 약 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80이고, y는 0 또는 1이며, x는 약 1 내지 약 10이고, z는 약 1 내지 약 10이며, x+z+y는 11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3이다)를 포함한다.
화학식 R-(OCH2CH2)w-OH의 측쇄 (폴리에톡시화) 지방 알콜(여기서, R은 탄소수 약 10 내지 약 26의 측쇄 알킬 그룹이고, w는 상기한 바와 같다)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로서 적합하다.
(g) 글리세롤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추가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에는 글리세롤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특히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올레에이트, 팔미테이트 또는 라우레이트가 포함된다.
(h)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특히 화학식 R1-(OCH2CH2)w-OH 또는 R1-(OCH2CH2)w-OR1의 화합물(여기서, R1은 스테아로일, 라우로일, 올레오일 또는 팔미토일 잔기이고, w는 약 2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8이다)이 본 발명에 유용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이다.
(i) 플루오로카본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추가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에는 플루오로카본 계면활성제가 포함된다. 플루오로카본 계면활성제는 양친매체(amphiphile)의 소수성 부분이, 통상적으로 수소가 친수성 헤드 그룹과 함께 탄소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탄소에 결합되어 있는 불소원자를 갖는 탄소계의 직쇄 또는 사이클릭 잔기의 일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부류이다. 몇가지 전형적인 비제한적 플루오로카본 계면활성제에는 불화 알킬 폴리옥시알킬렌과 불화 알킬 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이온성 계면활성제도 포함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대표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RfR(R1O)xR2
(2) RfR-OC(O)R3
(3) RfR-Y-Z
(4) RfRZ
여기서, Rf는 각각 약 0 내지 약 3개의 불소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약 6 내지 약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고, R은, 존재할 경우, 탄소수 약 1 내지 약 10의 알킬 또는 알킬렌 옥사이드 그룹이며, R1은 탄소수 약 1 내지 약 4의 알킬렌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약 1 내지 약 3의 작은 알킬 캡핑 그룹이며, R3은 에스테르 그룹 상의 탄소를 포함하여 탄소수 약 2 내지 약 22의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탄화수소는 에테르, 알콜, 에스테르, 카복실레이트, 아미드, 아민, 티오에스테르 및 티올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산소, 질소 및 황을 기본으로 하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잔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산소, 질소 및 황 잔기는 탄화수소 쇄를 중지시키거나 탄화수소 쇄의 팬턴트일 수 있다. 구조(3)에서, Y는 불화된 쇄 및 친수성 헤드 그룹 간의 결합 그룹으로서 작용하는 알킬, 피리딘 그룹, 아미도프로필 등일 수 있는 탄화수소 그룹을 나타낸다. 구조(3) 및 (4)에서, Z는 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4급 암모늄 그룹 및 베타인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양쪽성의 친수성 헤드 그룹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의 비제한적인 시판 예로는 조닐(Zonyl)R9075, FSO, FSN, FS-300, FS-310, FSN-100, FSO-100, FTS, TBS(제조원;Dupont) 및 플루오라드(Fluorad)TM계면활성제 FC-430, FC-431, FC-740, FC-99, FC-120, FC-754, FC-170C 및 FC-171(제조원;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3MTM캄파니)이 포함된다.
상기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약하게 상호작용하거나(표면 장력이 5% 미만으로 상승) 상호작용하지 않는다(표면 장력이 1% 미만으로 상승).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및 도데칸올폴리(6)에톡실레이트와 같은 통상의 계면활성제는 강력하게 상호작용을 하는데, 이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메틸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전형적인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존재하에 표면 장력을 10% 이상 상승시킨다.
사용 조성물 중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농도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3 내지 약 0.6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0.3중량%이다. 농축 조성물 중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농도는, 농축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8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4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3중량%이다.
(G) 오물 현탁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약 0.01 내지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5중량%의 오물 현탁제, 예를 들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개질되거나개질되지 않은 수용성 폴리알킬렌이민 오물 현탁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으며, 당해 오물 현탁제는 폴리아민 주쇄,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약 100 내지 약 5000dalton인 화학식의 폴리아민 주쇄(여기서, 후속적으로 개질시키기 전의 주쇄는 R "결합" 단위에 의해 연결된 1급, 2급 및 3급 아민 질소를 포함한다)를 포함한다. 주쇄는 쇄를 따라 랜덤하게 분포할 수 있는, 필수적으로 3가지 유형의 단위로 이루어진다.
폴리알킬렌이민 주쇄를 구성하는 단위는 주요 주쇄와 임의의 측쇄로 말단화된 화학식 H2N-R]- 및 -NH2의 1급 아민 단위, 개질 후에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가 후술한 바와 같은 알킬렌옥시 단위로 치환되는 화학식의 2급 아민 단위 및 주요 주쇄 및 제2 측쇄의 분지점인 화학식의 3급 아민 단위(여기서, B는 분지화에 의한 쇄 구조의 연장부이다)이다. 3급 단위는 치환 가능한 수소원자를 갖지 않으므로 알킬렌옥시 단위로의 치환에 의해 개질되지 않는다.
R은 C2-C12알킬렌, C3-C6측쇄 알킬렌(여기서, 바람직한 측쇄 알킬렌은 1,2-프로필렌이다)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가장 바람직한 R은 에틸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알킬렌이민은 동일한 R 단위(예를 들면, 모든 단위는 에틸렌이다)를 포함하는 주쇄를 갖는다. 가장 바람직한 주쇄는 모두 에틸렌 단위인 R 그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이민은 각각의 N-H 단위 수소가 화학식 -(R1O)nR2의 알킬렌옥시 단위(여기서, R1은 C2-C12알킬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1,2-프로필렌, 1,3-프로필렌, 1,2-부틸렌, 1,4-부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1,2-프로필렌,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이고, R2는 수소, C1-C4알킬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로 치환되어 개질된다.
n 지수의 값 뿐만 아니라 개질 전의 주쇄의 분자량은 제조업자들이 제공하기를 원하는 이익과 특성들을 크게 좌우한다. 예를 들면, 1996년 10월 15일자로 허여된 왓슨(Watson) 등의 미국 특허 제5,565,145호에는 소수성 물질, 특히 그을음, 때, 오물 현탁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개질된 폴리알킬렌이민으로서 주쇄 Mw가 1800dalton이고 질소당 약 7개의 에틸렌옥시 단위를 갖는 바람직한 폴리아민이 기재되어 있다. 직물 표면에 대한 알킬렌옥시 치환된 폴리아민의 직접성은 제조업자들에 의해 특정의 양태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1990년 1월 2일자로 허여된 반더 미어(Vander Meer)의 미국 특허 제4,891,160호, 1986년 7월 1일자로 허여된 반더 미어의 미국 특허 제4,597,898호에는 친수성 물질, 특히 점토 오물용의 적합한 오물 현탁제로서 주쇄 Mw가 189dalton이고 질소당 약 약 15 내지 18개의 에틸렌옥시 단위를 갖는 폴리아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아민 오물 현탁제에 대한 추가의 설명을 미국 특허원 제09/103,135호, 1999년 12월 21일자로 허여된 왓슨 등의 미국 특허 제6,004,922호 및 1987년 5월 12일자로 허여된 오(Oh) 등의 미국 특허 제4,664,848호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들 문헌들은 모두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민은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중아황산나트륨, 황산, 과산화수소, 염화수소, 아세트산 등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이민을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민 주쇄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이 1939년 12월 5일자로 허여된 울리히(Ulrich) 등의 미국 특허 제2,182,306호, 1962년 5월 8일자로 허여된 메일(Mayle) 등의 미국 특허 제3,033,746호, 1940년 7월 16일자로 허여된 에쎌만(Esselmann) 등의 미국 특허 제2,208,095호, 1957년 9월 17일자로 허여된 크로더(Crowther)의 미국 특허 제2,806,839호 및 1951년 5월 21일자로 허여된 윌슨(Wilson)의 미국 특허 제2,553,696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들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H)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항미생물 활성제
가용화된 수용성 항미생물 활성제(H)는 처리된 물질에 부착되는 생물체에 대한 보호 작용을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항미생물 활성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이어야 하며, 예를 들면, 냄새 흡수 조성물 중의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실질적으로 착물을 형성하지 않아야 한다. 비착화된 유리 항미생물 활성제, 예를 들면, 항균 활성제는 최적 항균 성능을 제공한다.
직물의 위생은, 항미생물 물질, 예를 들면, 항균성 할로겐화 화합물, 4급 화합물 및 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비구아니드
소독제/살균제 뿐만 아니라 가공품 방부제(하기 참조)로서 작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보다 강력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항미생물 할로겐화 화합물에는, 통상적으로 클로르헥시딘으로서 공지된 1,1'-헥사메틸렌 비스(5-(p-클로로페닐)비구아니드) 및 이의 염, 예를 들면, 염산, 아세트산 및 글루콘산과의 염이 포함된다. 디글루코네이트 염은 고도의 수용성, 수중 약 70%이고, 디아세테이트 염은 수중 용해도가 약 1.8%이다. 클로르헥시딘을 본 발명에서 살균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0.4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2 내지 약 0.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0.2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바이러스 사멸 활성을 위해 약 1 내지 약 2중량%의 농도가 요구될 수도 있다.
다른 유용한 비구아니드 화합물에는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하여 코스모시(CosmociR), CQR, 반토실(VantocilR) IB가 포함된다. 다른 유용한 양이온성 항미생물제에는 비스-비구아니딘 알칸이 포함된다. 상기의 유용한 수용성 염에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예: 메틸 설포네이트 및 에틸 설포네이트), 페닐설포네이트(예: p-메틸페닐 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아세테이트, 글루코네이트 등이 있다.
적합한 비스 비구아니드 화합물의 예는 클로르헥시딘; 1,6-비스-(2-에틸헥실비구아니도헥산)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페닐-N1,N1'-메틸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o-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2,6-디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베타-(p-메톡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알파-메틸-베타-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p-니트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오메가:오메가'-디-(N1,N1'-페닐디구아니도-N5,N5')-디-n-프로필에테르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오메가:오메가'-디(N1,N1'-p-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디-n-프로필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2,4-디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p-메틸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2,4,5-트리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알파-(p-클로로페닐)에틸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오메가:오메가'디(N1,N1'-p-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m-크실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12-디(N1,N1'-p-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도데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10-디(N1,N1'-페닐디구아니도-N5,N5')-데칸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1,12-디(N1,N1'-페닐디구아니도-N5,N5')도데칸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o-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p-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에틸렌 비스(1-톨릴 비구아니드); 에틸렌 비스(p-톨릴 비구아니드); 에틸렌 비스(3,5-디메틸페닐 비구아니드); 에틸렌 비스(p-3급-아밀페닐 비구아니드); 에틸렌 비스(노닐페닐 비구아니드); 에틸렌 비스(페닐 비구아니드); 에틸렌 비스(N-부틸페닐 비구아니드); 에틸렌 비스(2,5-디에톡시페닐 비구아니드); 에틸렌 비스(2,4-디메틸페닐 비구아니드); 에틸렌 비스(o-디페닐비구아니드); 에틸렌 비스(혼합된 아밀 나프틸 비구아니드); N-부틸 에틸렌 비스(페닐비구아니드); 트리메틸렌 비스(o-톨릴 비구아니드); N-부틸 트리메틸렌 비스(페닐 비구아니드); 및 상기한 모든 화합물의 상응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글루코네이트; 하이클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시트레이트; 비설파이트; 플루오라이드; 폴리말레에이트; N-코코넛알킬사코시네이트; 포스파이트; 하이포포스파이트; 퍼플루오로옥타노에이트; 실리케이트; 소르베이트; 살리실레이트; 말레에이트; 타르트레이트; 푸마레이트;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이미노디아세테이트; 신나메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아르기네이트; 피로멜리테이트; 테트라카복시부티레이트; 벤조에이트; 글루타레이트;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퍼플루오로프로피오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이다. 이들 그룹으로부터의 바람직한 항미생물제는 1,6-디-(N1,N1'-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o-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2,6-디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2,4-디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알파-(p-클로로페닐)에틸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오메가:오메가' 디(N1,N1'-p-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m-크실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12-디(N1,N1'-p-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도데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o-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p-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이의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1,6-디(N1,N1'-o-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2,6-디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2,4-디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알파-(p-클로로페닐)에틸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오메가:오메가' 디(N1,N1'-p-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m-크실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12-디(N1,N1'-p-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도데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o-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디(N1,N1'-p-클로로페닐디구아니도-N5,N5')-헥산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이의 혼합물이다.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선택되는 비스 비구아니드는 사이클로헥시딘과 이의 염, 예를 들면, 디글루코네이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이다.
4급 화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해, 바람직한 계면활성제와 함께 다양한 4급 화합물을 항미생물 활성제로서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한 4급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1)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및/또는 치환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예를 들면, 시판되는 바쿼트(BarquatR)(론자(Lonza)로부터 입수가능), 마쿼트(MaquatR)(메이슨(Mason)으로부터 입수가능), 바리쿼트(VariquatR)(위트코/세렉스(Witco/Sherex)로부터 입수가능) 및 하이아민(HyamineR)(론자로부터 입수가능); (2) 디(C6-C14)알킬 디 단쇄(C1-C4알킬 및/또는 하이드록시알킬) 4급 화합물, 예를 들면, 론자의 바닥(BardacR) 제품; (3) N-(3-클로로알릴)헥사미니움 클로라이드, 예를 들면, 다우(Dow)로부터 시판되는 다위사이드(DowicideR) 및 다위실(DowicilR); (4)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예를 들면, 롬 앤드 하스(Rohm & Haas)로부터 시판되는 하이아민(HyamineR); (5) 롬 앤드 하스에 의해 공급된 하이아민(HyamineR) 10X로 대표되는 메틸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6)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예를 들면, 메렐 랩스로부터 시판되는 세파콜 클로라이드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디알킬 4급 화합물의 예는 디(C8-C12)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예를 들면,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바닥 22) 및 디옥틸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바닥 2050)이다. 살생물 효능을 위한 이들 4급 화합물의 전형적인 농도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0.8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0.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0.2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3 내지 약 0.1중량%이다. 농축 조성물의 상응하는 농도는, 농축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3 내지 약 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6 내지 약 1.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0.8중량%이다.
항미생물제에 첨가되는 경우, 계면활성제는 항미생물 작용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는 특히 실록산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그러하며, 특히 실록산 계면활성제를 클로르헥시딘 또는 바닥 항미생물 활성제와 배합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I) 저분자량 폴리올
물과 비교하여 비점이 비교적 높은 저분자량 폴리올,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글리세린은 본 발명 조성물의 악취 억제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임의 성분이다. 이론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소량의 저분자량 글리콜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도입하면 직물이 건조됨에 따라 사이클로덱스트린 봉입 착물의 형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물보다 장기간 동안 직물에 잔존하는 폴리올의 능력은, 직물이 건조됨에 따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몇몇 악취 분자와의 3원 착물을 형성시킨다. 글리콜을 첨가하면, 크기가 비교적 작은 몇몇 악취 분자에 의해서는 전적으로 채워지지 못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캐비티 속의 공간이 채워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글리콜은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이의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이다. 이러한 폴리올 농도를 생성하는 공정으로 제조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이들이 폴리올을 제거하지 않고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몇몇 폴리올, 예를 들면, 디프로필렌 글리콜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일부 향료 성분의 가용화를 촉진시키는 데 유용하다.
통상적으로, 글리콜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3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0.5중량%의 농도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된다. 저분자량 폴리올 대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바람직한 중량비는 약 2:1,000 내지 약 2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3:1,000 내지 약 15:1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5:1,000 내지 약 10: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100 내지 약 7:100이다.
(J) 임의의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
킬레이트화제,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하이드록시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및 기타의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와 이의 혼합물과 이의 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그람-음성 세균, 특히 슈도모나스(Pseudomonas) 종에 대한 항미생물 효능 및 방부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EDTA 및 기타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에 대한 감수성이 주로 슈도모나스 종의 특성이긴 하지만, 킬레이트화제에 대해 매우 감수성이 있는 기타의 세균 종에는 아크로모박터(Achromobacter), 알칼리게네스(Alcaligenes), 아조토박터(Azotobacter),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살모넬라(Salmonella), 스피릴룸(Spirillum) 및 비브리오(Vibrio)가 포함된다. 또한, 진균 및 효모를 포함하는 기타의 생물체 그룹도 이들 킬레이트화제에 대해 증가된 감수성을 나타낸다. 추가로,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는, 예를 들면, 생성물 투명성 유지, 방향 성분과 향료 성분 보호 및 악취와 냄새 방지를 도울 수 있다.
이들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는 자체로서 효능있는 살생물제가 아닐 수도 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기타 항미생물제/방부제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강화제로서 작용한다.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는, 다수의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항미생물제/방부제, 페놀계 화합물, 및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항미생물제/방부제로서 사용되는 이소티아졸리논의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용액에서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에 의해 강화되는 양이온성 항미생물제/방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클로르헥시딘 염(디글루코네이트, 디아세테이트 및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을 포함함) 및 다위실(Dowicil) 200, 다위사이드(Dowicide) Q, 프리벤톨 D1, 벤알코늄 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 미리스트알코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등으로도 공지된 쿼터니움-15이다.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에 의해 향상되는 유용한 음이온성 항미생물제/방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소르브산 및 칼륨 솔베이트이다.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에 의해 강화되는 유용한 비이온성 항미생물제/방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DMDM 하이단토인, 펜에틸 알콜, 모노라우린,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및 브로노폴(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이다.
이들 킬레이트화제에 의해 강화되는 유용한 페놀계 항미생물제/방부제의 예는 클로르옥실레놀, 페놀, 3급-부틸 하이드록시아니솔, 살리실산, 레소르시놀 및 나트륨 o-페닐 펜에이트이다.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에 의해 향상되는 이소티아졸리논 항미생물제/방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카톤, 프록셀 및 프로멕살이다.
임의의 킬레이트화제는 본 발명에서 항미생물 효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적으로 약 0.01 내지 약 0.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약 0.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약0.05중량%의 농도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한다.
비착화된 유리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는 항미생물제 효능을 강화시키는 데 요구된다. 따라서, 과량의 알칼리 토금속(특히, 칼슘 및 마그네슘) 및 전이 금속(철, 망간, 구리 등)이 존재하는 경우, 유리 킬레이트화제는 이용할 수 없으며, 항미생물제 강화도 관찰되지 않는다. 상당한 물의 경도 또는 전이 금속이 이용가능하거나 제품 유미제가 특정한 킬레이트화제 농도를 요구하는 경우, 항미생물제/방부제의 강화제로서 작용하는 비착화된 유리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의 이용가능성을 위해서는 보아 높은 농도가 요구될 수도 있다.
(K) 금속염
임의로, 그러나 매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에 냄새 흡수 및/또는 항미생물 잇점을 부가하기 위해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염은 구리염, 아연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구리염은 약간의 항미생물 잇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아비에틴산동은 살진균제로서 작용하고, 구리 아세테이트는 곰팡이 억제제로서 작용하며, 염화동은 살진균제로서 작용하고, 구리 락테이트는 살진균제로서 작용하며, 황산구리는 살균제로서 작용한다. 또한, 구리염은 약간의 악취 억제능을 보유한다.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루폴드(Leupold) 등의 미국 특허 제3,172,817호에는 구리염 및 아연염을 포함하여, 아실아세톤의 적어도 약간의 수용성 염을 포함하는 일회용 제품을 처리하기 위한 탈취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아연염은 악취 억제능을 보유한다. 아연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엔.비. 사(N.B. Shah) 등에게 1982년 4월 20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325,939호 및 1983년 9월 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469,674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악취 완화능으로 인해, 예를 들면, 구강 세탁 제품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어 왔다. 염화아연과 같은 고도로 이온화된 수용성 아연염은 아연 이온의 최고의 공급원을 제공한다. 붕산아연은 제균제 및 곰팡이 억제제로서 작용하며, 아연 카프릴레이트는 살진균제로서 작용하고, 염화아연은 방부제 및 탈취제 잇점을 제공하며, 아연 리시놀레에이트는 살진균제로서 작용하며, 황산아연 헵타하이드레이트는 살진균제로서 작용하고, 아연 운데실레네이트는 제균제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염은 수용성 아연염, 구리염 또는 이의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연염, 특히 ZnCl2이다. 이들 염은 바람직하게는, 분자 크기가 너무 작아서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와 효과적으로 착화되지 않는 아민 및 황-함유 화합물을 주로 흡수하기 위해 본 발명에 존재한다. 저분자량 황-함유 물질, 예를 들면, 설파이드 및 머캅탄은 다양한 형태의 악취, 예를 들면, 식품 냄새(마늘 및 양파), 신체/땀 냄새, 호흡 냄새 등의 성분이다. 또한, 저분자량 아민은 다수의 악취, 예를 들면, 식품 냄새, 신체 냄새, 뇨 등의 성분이기도 하다.
금속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 이들은,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적으로 약 0.1 내지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5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아연염이금속염으로 사용되고 투명한 용액이 요구되는 경우, 용액을 투명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용액의 pH는 약 7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미만으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 방부제
임의로, 조성물은 유효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내지 약 0.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003 내지 약 0.1중량%의 가용화된 수용성 항미생물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특히 수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가 특정 미생물에 대한 주요 생육 토대를 이룰 수 있는 다양한 수의 글루코즈 단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항미생물 물질이 충분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용화된 수용성 항미생물 방부제를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은 현저히 긴 시간 동안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의 저장 안정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후속적인 미생물 성장에 따른 특정 미생물에 의한 오염은 눈에 거슬리는 및/또는 악취나는 용액을 생성시킬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 속에서 미생물 성장의 발생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수용성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냄새 흡수 수용액의 저장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미생물 성장의 억제 및/또는 억제에 효과적인 가용화된 수용성 항미생물 방부제를 포함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사이클로덱스트린 공급물에서 발견될 수 있고 이의 성장이 사이클로덱스트린 수용액 속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존재하에 발견될 수 있는 통상의 미생물에는 세균, 예를 들면, 바실루스 투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세레우스 그룹) 및 바실루스 스파에리쿠스(Bacillus sphaericus) 및 진균, 예를 들면, 아스퍼길루스 우스투스(Aspergillus ustus)이다. 바실루스 스파에리쿠스는 토양 속의 바실루스 종에서 수적으로 가장 많은 구성원 중의 하나이다. 아스퍼길루스 우스투스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생성하기 위한 원료 물질인 낟알 및 소맥분에서 통상적이다.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와 같은 미생물은 몇몇 물 공급원에서 발견되며,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는 동안 도입될 수 있다. 기타의 슈도모나스 종, 예를 들면, 슈도모나스 세파시아(Pseudomonas cepacia)는 계면활성제 제조 설비에서의 통상적인 미생물 오염물이며, 포장된 가공품을 쉽게 오염시킬 수 있다. 전형적인 기타의 세균 오염물에는 부르크홀데리아(Burkholderia), 엔테로박터(Enterobacter) 및 글루코노박터(Gluconobacter) 종이 포함될 수 있다. 농업 토양, 작물 및 본 발명의 경우에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옥수수 생성물과 관련될 수 있는 대표적인 진균 종에는 아스퍼길루스(Aspergillus), 아브시디아(Absidia), 페니실리움(Penicillium), 파에실로마이세스(Paecilomyces) 및 기타 종이 포함된다.
광범위한 방부제, 예들 들면, 세균(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 모두)과 진균 둘 다에 대해 효과적인 방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한된 범위의 방부제,예를 들면, 단일 그룹의 미생물(예: 진균)에 대해서만 효과적인 방부제는 광범위한 방부제와 함께 사용하거나, 유리한 활성 및/또는 보충 활성을 갖는 다른 제한된 범위의 방부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범위한 방부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한 그룹의 미생물 오염물이 문제가 되는 몇가지 경우(예: 그람 음성)에는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방부제와 함께 강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하이드록시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및 기타 아미노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하는 이러한 킬레이트화제 및 이의 혼합물은 그람-음성 세균, 특히 슈도모나스 종에 대한 방부제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항미생물 방부제에는 살생물 화합물, 즉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물질, 또는 생물 생육 억제 화합물(biostatic compound), 즉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 및/또는 억제하는 물질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항미생물 방부제는 수용성이고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적인 것들인데, 이는 유기 방부제가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와 봉입 착물을 형성할 수 있고 사이클로덱스트린 캐비티에 대해 악취 분자와 경쟁함으로써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악취 억제 활성제로서 비효과적이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수용성 방부제는 물 100ml당 약 0.3g 이상, 즉 수용해도가 실온에서 약 0.3% 이상,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약 0.5% 이상인 것들이다. 이러한 유형의 방부제는 적어도 수성상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캐비티에 대한 친화성이 보다 낮으며, 따라서 항미생물 활성을제공하는 데 더욱 이용 가능하다. 수용해도가 약 0.3% 미만이고 분자 구조가 사이클로덱스트린 캐비티에 용이하게 부합하는 방부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와 봉입 착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보다 크며, 따라서 방부제가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에서 미생물을 덜 효과적으로 제어하게 한다. 따라서, 파라벤으로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p-하이드록시벤조산의 단쇄 알킬 에스테르, 3,4,4'-트리클로로카바닐라이드 또는 트리클로카반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N-(4-클로로페닐)-N'-(3,4-디클로로페닐)우레아, 통상적으로 트리클로잔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 디페닐 에테르 등의 널리 공지된 다수의 방부제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이들이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비교적 비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항미생물 방부제는 유효량으로 포함된다. 본원에 정의된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특정한 시간 동안 부주의로 첨가된 미생물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이의 성장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농도를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방부제는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조성물이 침착되어 있는 표면 위의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에, 조성물의 저장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방부제의 바람직한 농도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내지 약 0.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003 내지 약 0.1중량%이다.
악취 억제용 사이클로덱스트린 대부분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대 방부제의 몰 비가 약 5:1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1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1 이상이어야 한다.
방부제는 직물 외관의 손상, 예를 들면, 탈색, 착색 및 표백을 일으키지 않는 모든 유기 방부제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한 수용성 방부제에는 유기 황 화합물, 할로겐화 화합물, 사이클릭 유기 질소 화합물, 저분자량 알데히드, 4급 암모늄 화합물, 데하이드로아세트산, 페닐 및 페놀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수용성 방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A) 유기 황 화합물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수용성 방부제는 유기 황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기 황 화합물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a) 3-이소티아졸론 화합물
바람직한 방부제는 하기 화학식의 3-이소티아졸론 그룹을 함유하는 항미생물성 유기 방부제이다:
위의 화학식에서,
Y는 탄소수 약 1 내지 약 18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 그룹, 약 3개 내지 약 6개의 탄소 환을 갖는 탄소수 약 12 이하의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그룹, 탄소수 약 10 이하의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아르알킬 그룹 또는 탄소수 약 10 이하의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아릴 그룹이고,
R1은 수소, 할로겐 또는 (C1-C4) 알킬 그룹이며,
R2는 수소, 할로겐 또는 (C1-C4) 알킬 그룹이다.
바람직하게는, Y가 메틸 또는 에틸인 경우, R1및 R2는 모두 수소가 아니어야 한다. 당해 화합물을 산(예: 염산, 질산, 황산 등)과 반응시켜 형성한 이들 화합물의 염도 적합하다.
이러한 부류의 화합물이 루이스(Lewis) 등에게 1981년 5월 5일자로 허여되고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4,265,899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2-n-부틸-3-이소티아졸론; 2-벤질-3-이소티아졸론; 2-페닐-3-이소티아졸론, 2-메틸-4,5-디클로로이소티아졸론; 5-클로로-2-메틸-3-이소티아졸론;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방부제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수용성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7%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약 23%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혼합물, 롬 앤드 하스 캄파니(Rohm and Hass Company)에서 카톤(KathonR) CG라는 상품명으로 1.5% 수용액으로서 시판되는 광범위한 방부제이다.
카톤R을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0.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내지 약 0.0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03 내지 약 0.003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004 내지 약 0.002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다른 이소티아졸린에는 프록셀(ProxelR) 제품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및 프로멕살(PromexalR)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2-메틸-4,5-트리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이 포함된다. 프록셀과 프로멕살 둘 다는 제네카(Zeneca)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이들은 다양한 pH 범위(즉, 4 내지 12)에 대해 안정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어떠한 활성 할로겐도 함유하지 않으며, 포름알데히드 방출성 방부제가 아니다. 프록셀과 프로멕살 둘 다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0.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0.0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0.02중량%의 농도로 사용되는 경우, 통상의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 세균, 진균 및 효모에 대해 효과적이다.
(b) 나트륨 피리티온
또다른 바람직한 유기 황 방부제는 수용해도가 약 50%인 나트륨 피리티온이다. 본 발명에서 나트륨 피리티온을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0.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내지 약 0.0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03 내지 약 0.003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또한, 바람직한 유기 황 화합물의 혼합물을 방부제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2) 할로겐화 화합물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방부제는 할로겐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할로겐화 화합물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헨켈(Henkel)로부터 브로니독스(Bronidox) LR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5-브로모-5-니트로-1,3-디옥산: 브로니독스 LR은 수용해도가 약 0.46%이다. 브로니독스를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5 내지 약 0.0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약 0.01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이놀렉스(Inolex)로부터 브로노폴(BronopolR)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이는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브로노폴은 수용해도가 약 25%이다. 브로노폴을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2 내지 약 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0.05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사이클로헥시딘으로 공지되어 있는 1,1'-헥사메틸렌 비스(5-(p-클로로페닐)비구아니드) 및 이의 염, 예를 들면, 아세트산 및 글루콘산과의 염: 이들은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디글루코네이트 염은 수용해도가 약 70%로서 매우 높고, 디아세테이트 염은 수용해도가 약 1.8%이다. 사이클로헥시딘을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0.04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05 내지 약 0.01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클로로부탄올로서 공지되어 있고 수용해도가 약 0.8%인 1,1,1-트리클로로-2-메틸프로판-2-올: 클로로부탄올의 전형적인 유효 농도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0.5중량%이다.
수용해도가 약 50%인 4,4'-(트리메틸렌디옥시)비스-(3-브로모벤즈아미딘)디이소티아네이트 또는 디브로모프로프아미딘: 디브로모프로프아미딘을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0.0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05 내지 약 0.01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또한, 바람직한 할로겐화 화합물의 혼합물을 방부제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3) 사이클릭 유기 질소 화합물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수용성 방부제는 사이클릭 유기 질소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사이클릭 유기 질소 화합물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a) 이미다졸리딘디온 화합물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방부제는 이미다졸리디온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미다졸리딘디온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디메틸올디메틸하이단토인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1,3-비스(하이드록시메틸)-5,5-디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또는 론자(Lonza)로부터, 예를 들면, 글리단트(GlydantR)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DMDM 하이단토인: DMDM 하이단토인은 수용해도가 50% 이상이고, 주로 세균에 대해 효과적이다. DMDM 하이단토인을 사용하는 경우, 이는 카톤 CGR또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광범위한 방부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혼합물은, 론자로부터 글리단트 플러스R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DMDM 하이단토인과 3-부틸-2-요오도프로피닐카바메이트의 약 95:5 혼합물이다. 글리단트 플러스R를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5 내지 약 0.2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디아졸리디닐 우레아로서 공지되어 있고 수톤 라보라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Sutton Laboratories, Inc.)(Sutton)로부터 게르말(Germall) IIR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N-[1,3-비스(하이드록시메틸)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N,N'-비스(하이드록시메틸) 우레아: 이는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게르말 IIR를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0.1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로서 공지되어 있고 3V-시그마(Sigma)로부터 상표명 아비올(AbiolR), 인두헴(Induhem)으로부터 상표명 유니사이드(Unicide) U-13R, 수톤으로부터 게르말 115R로서 시판되는 N,N"-메틸렌비스{N'-[1-(하이드록시메틸)-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이는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5 내지 약 0.2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또한, 바람직한 이미다졸리딘디온 화합물의 혼합물을 방부제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b) 폴리메톡시 비사이클릭 옥사졸리딘
또다른 바람직한 수용성 사이클릭 유기 질소 방부제는 휠스 아메리카(Huls America)로부터 누오셉트(NuoseptR) C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화학식의 폴리메톡시 비사이클릭 옥사졸리딘(여기서, n은 약 0 내지 약 5의 값이다)이다. 누오셉트RC를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5 내지 약 0.1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또한, 바람직한 사이클릭 유기 질소 화합물의 혼합물을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4) 저분자량 알데히드
(a) 포름알데히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방부제는 포름알데히드이다. 포름알데히드는 포름알데히드의 37% 수용액인 포르말린으로서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광범위한 방부제이다. 포름알데히드를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전형적인 농도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3 내지 약 0.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8 내지 약 0.1중량%이다.
(b) 글루타르알데히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방부제는 글루타르알데히드이다. 글루타르알데히드는 수중 25% 또는 50% 용액으로서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수용성의 광범위한 방부제이다. 글루타르알데히드를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5 내지 약 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0.05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5) 4급 화합물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방부제는 양이온성 및/또는 4급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에는 화학식 HCl·NH2-(CH2)3-[-(CH2)3-NH-C(=NH)-NH-C(=NH·HCl)-NH-(CH2)3-]x-(CH2)3-NH-C(=NH)-NH·CN의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로서 또한 공지되어 있는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가 포함된다.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는 아이씨아이 아메리카스 인코포레이티드(ICI Americas, Inc.)로부터 상표명 코스모실(Cosmocil) CQR및 브룩스 인코포레이티드(Brooks, Inc.)로부터 상표명 미크로킬(MikrokillR)로서 입수가능한, 20% 수용액으로서 시판되는 수용성의 광범위한 방부제이다.
예를 들면, 다우 케미칼(Dow Chemical)로부터 다위실 200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1-(3-클로르알릴)-3,5,7-트리아자-1-아조니아아다만탄 클로라이드가 효과적인 4급 암모늄 방부제인데, 이는 물에 자유롭게 용해되지만 탈색(황변)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바람직한 4급 암모늄 화합물의 혼합물을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4급 암모늄 화합물을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들은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5 내지 약 0.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0.1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6)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방부제는 데하이드로아세트산이다. 데하이드로아세트산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인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형태의 광범위한 방부제이다. 이들 방부제는 살생물성 방부제라기보다는 생물 생육 억제성 방부제로서 작용한다. 데하이드로아세트산을 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5 내지 약 0.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8 내지 약 0.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0.05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7) 페닐 및 페놀계 화합물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페닐 및 페놀계 화합물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프로프아미딘 이세티오네이트로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수용해도가 약 16%인 4,4'-디아미디노-α,ω-디페녹시프로판 디이세티오네이트 및 헥스아미딘 이세티오네이트로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4,4'-디아미디노-α,ω-디페녹시헥산 디이세티오네이트. 이들 염의 통상의 유효 농도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2 내지 약 0.05중량%이다.
다른 예는 수용해도가 약 4%인 벤질 알콜, 수용해도가 약 2%인 2-페닐에탄올 및 수용해도가 약 2.67%인 2-페녹시에탄올이며, 이들 페닐 및 페녹시 알콜의 통상의 유효 농도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0.5중량%이다.
(8) 이의 혼합물
본 발명의 방부제는 다양한 미생물을 제어하기 위해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제균 효과는 종종 조성물의 pH를 산성 pH, 예를 들면, 약 pH 4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pH 3 미만, 또는 염기성 pH, 예를 들면, 약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11 이상으로 억제함으로써 수성 조성물에서 수득될 수 있다. 미생물 제어를 위한 낮은 pH는, 이들이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화학적 분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접근법이 아니다. 미생물 제어를 위한 높은 pH도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데, 높은 pH, 예를 들면, 약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1 이상에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이온화되어 유기 물질과의 착화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pH가 약 3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8,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약 6이어야 한다. 이러한 pH는 통상적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과의 착화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무기 분자로 억제한다.
(9) 이의 혼합물
(M) 수용성 중합체
몇몇 수용성 중합체, 예를 들면,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 및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추가의 악취 억제 잇점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할 수 있다.
a. 양이온성 중합체(예: 폴리아민)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면, 아미노 작용기, 아미도 작용기 및 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체는 특정한 산-유형 냄새를 억제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유용하다.
b. 음이온성 중합체(예: 폴리아크릴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및 이의 수용성 염은 특정한 아민-유형 냄새를 억제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유용하다. 바람직한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은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미만이다. 또한, 설폰산 그룹, 인산 그룹, 포스폰산 그룹 및 이들의 수용성 염 및 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체, 및 카복실산 및 카복실레이트 그룹과의 혼합물도 적합하다.
양이온성 작용기와 음이온성 작용기 둘 다를 함유하는 수용성 중합체도 적합하다. 이들 중합체의 예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엔. 고바야시(N. Kobayashi) 및 에이. 가와조에(A. Kawazoe)에게 1990년 3월 20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09,986호에 기재되어 있다. 양이온성 작용기와 음이온성 작용기 둘 다를 함유하는 수용성 중합체의 또다른 예는 칼곤(Calgon)으로부터 머쿼트(Merquat) 280R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디메틸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산과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중합체, 특히 음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또는 이의 수용성 염은 유효량,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3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N) 캐리어
알콜을 약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미만으로 함유하는 수용액이 악취 억제에 바람직하다. 수성 조성물을 사용하면 희석된 처리 수용액의 형성 속도를 향상시켜 직물 상의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를 최대한 분리시키고, 이에 따라, 냄새 분자가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화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캐리어는 물이다. 사용되는 물은 증류수, 탈이온수 또는 수돗물일 수 있다. 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에 대한 액체 캐리어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처리되는 경우에 직물 위에 존재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임의의 악취 분자 사이의 착화 반응을 촉진시킨다. 최근 들어, 물이 그 자체로서 예상치 못한 악취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몇몇 극성의 저분자량 유기 아민, 산 및 머캅탄에 의해 생성되는 냄새의 강도가 냄새-오염된 직물을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론에 국한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물이 이들 극성의 저분자량 유기 분자를 용해시켜 이의 증기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들의 냄새 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O) 기타의 임의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 이외에, 임의로 악취 억제 보조 물질, 효소, 킬레이트화제, 대전방지제, 곤충 및 나방 퇴치제, 착색제, 특히 청색화제, 산화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 성분의 전체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 미만이다. 이들 임의 성분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언급된 기타 성분을 제외한다. 하나 이상의 냄새-억제 보조 물질을 포함시켜, 악취 억제능을 향상시키고 제거될 수 있는 냄새 유형 및 분자 크기의 범위를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에는, 예를 들면, 상기한 금속염, 수용성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중합체, 제올라이트, 수용성 중탄산염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1) 수용성 탄산염 및/또는 중탄산염
수용성 알칼리 금속 탄산염 및/또는 중탄산염, 예를 들면,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탄산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을 특정한 산-유형 냄새의 억제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염은 탄산나트륨 일수화물, 탄산칼륨,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들 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 이들은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2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이들 염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하는 경우에, 비상용성 금속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염이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수-불용성 염을 형성하는 아연 및 기타 비상용성 금속 이온, 예를 들면, Ca, Fe, Ba 등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2) 효소
효소는 특정한 유형의 악취, 특히 구토물을 포함하여, 뇨 및 기타 유형의 분비물로부터의 악취를 억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테아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시판 효소의 활성은 고려되는 효소의 유형과 순도에 따라 매우 달라진다. 수용성 프로테아제인 효소, 예를 들면, 펩신, 트립신, 피신, 브로멜린, 파파인, 렌닌 및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유용하다.
효소는 통상적으로, 수성 조성물 g당 약 5mg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약 3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2 내지 약 1mg의 활성 효소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농도로 도입된다. 달리 언급하면, 본원에서 수성 조성물은 약 0.0001 내지 약 0.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약 0.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량% 내지 약 0.2중량%의 시판 효소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테아제 효소는 통상적으로, 수성 조성물 g당 0.0005 내지 0.1Anson 단위(AU)의 활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농도로 이러한 시판 제제에 존재한다.
시판되는 적합한 수용성 프로테아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펩신, 트립신, 피신, 브로멜린, 파파인, 렌닌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파파인은, 예를 들면, 파파야 라텍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략 80% 이하의 정제된 단백질 형태 또는 활성이 훨씬 낮은 보다 조악한 기술적 등급으로 시판중이다. 프로테아제의 기타 적합한 예는 특정한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바실루스 리케니포름스(Bacillus licheniforms) 종으로부터 수득되는 서브틸리신이다. 또다른 적합한 프로테아제는, 노보 인더스트리즈 에이/에스(Novo Industries A/S)가 개발하여 등록 상표명 에스퍼라제(ESPERASER)로서 시판하는, pH 8 내지 12 범위에서 활성이 최대인 바실루스 균주로부터 수득된다. 이러한 효소 및 유사한 효소의 제조방법은 노보의 영국 특허 제1,243,784호에 기재되어 있다. 시판되고 있는, 단백질계 오염물을 제거하는 데 적합한 단백질분해 효소에는 덴마크 노보 인더스트리즈 에이/에스의 상표명 알칼라제(ALCALASER)와 사비나제(SAVINASER) 및 네델란드 인터네셔널 바이오-신테틱스 인코포레이티드(International Bio-Synthetics, Inc.)의 막사타제(MAXATASER)가 포함된다. 다른 프로테아제에는 프로테아제 A(1985년 1월 9일자로 공개된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130 756호 참조); 프로테아제 B(1987년 4월 28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원 제87303761.8호 및 1985년 1월 9일자로 공개된 보트(Bott) 등의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130 756호 참조), 및 제넨커 인터네셔널 인코포레이티드(Genencor International, Inc.)가 하기 특허들(참조: 칼드웰(Caldwell) 등의 미국 특허 제5,185,258호, 제5,204,015호 및 제5,244,791호)의 하나 이상에 따라 제조한 프로테아제가 포함된다.
다양한 효소 물질 및 이를 액체 조성물내로 도입하는 방법은 또한 맥카티(McCarty) 등에게 1971년 1월 5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3,553,139호에 기재되어 있다. 효소는 또한 플레이스(Place) 등에게 1978년 7월 18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101,457호 및 휴즈(Hughes)에게 1985년 3월 26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507,219호에 기재되어 있다. 액체 제형에 유용한 기타의 효소 물질 및 이를 이러한 제형 내로 도입하는 방법은 호라(Hora) 등에게 1981년 4월 1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61,868호에 기재되어 있다. 효소는 각종 기술, 예를 들면, 게지(Gedge) 등에게 1971년 8월 17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3,600,319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 199 405호, 1986년 10월 29일자로 공개된 베네가스(Venegas)의유럽 특허원 제86200586.5호 및 미국 특허 제3,519,570호에 기재 및 예시되어 있는 기술에 의해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특허 및 특허원 모두는 적어도 관련부가 본원에 도입되어 있다.
또한, 효소-폴리에틸렌 글리콜 접합체가 바람직하다. 효소의 이러한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유도체는 PEG 또는 알콕시-PEG 잔기가, 예를 들면, 2급 아민 결합을 통해 단백질 분자에 커플링된 것이다. 적합한 유도체화는 면역원성을 증가시켜 알레르기 반응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효소 활성을 여전히 유지시킨다. 프로테아제-PEG의 예는 2급 아민 결합을 통해 메톡시-PEG에 커플링된 바실루스 리켄니포르미스로부터의 PEG-서브틸리신 칼스버그이며,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알드리히 코포레이션(Sigma-Aldrich Corp.)으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이들이 계면활성제와 상용성이지는 않지만, 첨가제로서는 탁월하게 작용할 수 있다.
(3) 대전방지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로, 착용시 정전기가 제어되도록 처리된 옷을 제공하기 위해 유효량의 대전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대전방지제는, 조성물이 투명한 용액 상태로 잔류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상용성이 되도록 적어도 유효량에서 수용성인 것들이다. 이들 대전방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중합체성 4급 암모늄염, 예를 들면, 롱-프랑(Rhone-Poulenc)에서 미라폴(Mirapol) A-15R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화학식 [N(CH3)2-(CH2)3-NH-CO-NH-(CH2)3-N(CH3)2 +-CH2CH2OCH2CH2]x 2+2x[Cl-]의 중합체 및 롱-프랑에서 미라폴 AD-1R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화학식 [N(CH3)2-(CH2)3-NH-CO-(CH2)4-CO-NH-(CH2)3-N(CH3)2-(CH2CH2OCH2CH2]x +x[Cl-]의 중합체, 4급화된 폴리에틸렌이민, 가프(GAF)에서 가프쿼트(Gafquat) HS-100R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메이브룩(Maybrook)에서 쿼트-프로(Quat-Pro) ER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트리에토늄 가수분해된 콜라겐 에토설페이트, 알코 케미칼(Alco Chemical)에서 버사(Versa) TL-30R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중화된 설폰화 폴리스티렌, 예를 들면, 알코 케미칼에서 버사 TL-4R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중화된 설폰화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직물 처리 동안 거품 형성을 피하기 위해 소포제 또는 저 발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폴리에톡시화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바리쿼트 66R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톡실레이트 그룹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에 대해 강력한 친화성을 갖고 이와 용이하게 착화됨으로써 냄새 제거를 위해 이용가능한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소모시킨다.
대전방지제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5 내지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중량%, 보다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3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4) 곤충 및/또는 나방 퇴치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로 유효량의 곤충 및/또는 나방 퇴치제를 함유할 수 있다. 통상의 곤충 및 나방 퇴치제는 페로몬, 예들 들면, 응집 방지 페로몬 및 기타 천연 및/또는 합성 성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바람직한 곤충 및 나방 퇴치제는 향료 성분, 예를 들면, 시트로넬롤, 시트로넬랄, 시트랄, 리날룰, 히말라야삼목 추출물, 제라늄 오일, 백단(sandalwood) 오일, 2-(디에틸페녹시)에탄올, 1-도데센 등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기타 곤충 및/또는 나방 퇴치제의 예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4,449,987호, 제4,693,890호, 제4,696,676호, 제4,933,371호, 제5,030,660호, 제5,196,200호 및 문헌[참조: "Semio Activity of Flavor and Fragrance Molecules on Various Insect Species", B.D. Mookherjee et al., published in Bioactive Volatile Compounds from Plants, ASC Symposium Series 525, R. Teranishi, R.G. Buttery, and H. Sugisawa, 1993, pp. 35-48]에 기재되어 있다. 곤충 및/또는 나방 퇴치제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5 내지 약 3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5) 추가의 냄새 흡수제
용액의 투명성이 불필요한 경우, 기타 임의의 냄새 흡수 물질,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및/또는 활성탄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a) 제올라이트
바람직한 제올라이트 부류는 "중급"(intermediate) 실리케이트/알루미네이트 제올라이트로서 기재된다. 중급 제올라이트는 SiO2/AlO2몰 비가 약 10 미만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iO2/AlO2몰 비는 약 2 내지 약 10이다. 중급 제올라이트는 "고급" 제올라이트에 비해 잇점을 갖는다. 중급 제올라이트는 아민형 냄새에 대한 친화성이 보다 높고, 표면적이 보다 크기 때문에 냄새 흡수를 위한 중량 효율이 보다 높으며, 고급 제올라이트보다 내수성이 더욱 크고 수중 냄새 흡수능이 보다 크다. 본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중급 제올라이트는 피큐 코포레이션(PQ Corporation)으로부터 발포(ValforR) CP301-68, 발포 300-63, 발포 CP300-35 및 발포 CP300-56이라는 상품명으로 그리고 콘테카(Conteka)로부터 제올라이트 CBV100R시리즈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Union Carbide Corporation) 및 UOP로부터 애브센츠(AbscentsR) 및 스멜라이트(SmellriteR)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올라이트 물질이 바람직하다. 이들 물질은 통상적으로, 입자 크기 범위가 3 내지 5μ인 백색 분말로서 입수가능하다. 이러한 물질은 황-함유 냄새, 예를 들면, 티올, 머캅탄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중급 제올라이트에 비해 바람직하다.
(b) 활성탄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탄소 물질은 유기 분자 및/또는 공기 정화 목적을 위한 흡착제로서 시판 제품에 공지된 물질이다. 종종, 이러한 탄소 물질은 "활성"탄 또는 "활성" 목탄으로서 언급된다. 이러한 탄소는 칼곤-유형 CPGR, 유형 PCBR, 유형 SGLR, 유형 CALR및 유형 OLR과 같은 상표명으로 시판 공급처로부터 입수가능하다.
(6) 착색제
착색제 및 염료, 특히 청색화제는 시각적 매력 및 성능 인상을 위해 냄새 흡수 조성물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착색제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직물이 얼룩지지 않도록 극히 낮은 농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착색제는 고도의 수용성 염료, 예를 들면, 밀리켄 케미칼 캄파니(Milliken Chemical Co.)로부터 입수가능한 리퀴틴트(LiquitintR) 염료이다. 적합한 염료의 비제한적인 예는 리퀴틴트 블루 HPR, 리퀴틴트 블루 65R, 리퀴틴트 페이턴트 블루R, 리퀴틴트 로얄 블루R, 리퀴틴트 엑스페리먼탈 옐로우 8949-43R, 리퀴틴트 그린 HMCR, 리퀴틴트 옐로우 IIR및 이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리퀴틴트 블루 HPR, 리퀴틴트 블루 65R, 리퀴틴트 페이턴트 블루R, 리퀴틴트 로얄 블루R, 리퀴틴트 엑스페리먼탈 옐로우 8949-43R및 이의 혼합물이다.
III. 제품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당해 조성물과 세탁시 악취의 작용을 제거/소거/감소시키기 위해 세탁공정의 단계에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도록 하는 지침서가 포함되어 있는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상업적인 양태의 제품이 사용되는 경우, 특히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존재하는 경우에 방부제를 포함시키는 것은 선택 사항이기는 하지만 이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인 제품은 착화되지 않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캐리어, 및 지침서가 들어있는 패키지를 포함한다. 지침서에는 상기한 방법 중의 어떠한 것이나 상기한 방법을 모두 따르는 지시사항 및/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소정의 잇점을 제공하기 위해 조성물을 사용하는 지시사항을 포함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의 명세서, 실시예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모든 비율, 비 및 부는 중량에 의한 것이며, 근사치이다.
하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이다.
실시예에서 향료는 다음의 물질 중의 하나일 수 있다.
향료 A
향료 성분4-3급 부틸 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벤조페논벤질 살리실레이트시스-3-헥세닐 살리실레이트사이말데실 알데히드디하이드로미르세놀디메틸 벤질 카비닐 아세테이트플로르 아세테이트플로르하이드랄갈락솔라이드 50 DEP헬리오날헥실 신남산 알데히드리날룰메틸 디하이드로 자스모네이트오렌지 테르펜라이랄운데실렌산 알데히드바닐린전체 중량%5.003.005.001.205.000.102.000.503.000.4015.003.0010.004.8015.001.2025.000.500.30100.00
향료 B C
향료 성분베타 감마 헥세놀세탈록스시스-3-헥세닐 살리실레이트시트랄시트로넬랄 니트릴시트로넬롤쿠마린다마스콘 베타데실 알데히드디하이드로 미르세놀플로르 아세테이트프루텐갈락솔라이드 50 IPM헬리오날헥실 신남산 알데히드헥실 살리실레이트멘톨메틸 안트라닐레이트메틸 세드릴론메틸 디하이드로 자스모네이트메틸 디옥솔란메틸 이소 부테닐 테트라하이드로피란메틸 페닐 카비닐 아세테이트오렌지 테르펜라이랄파라 하이드록시 페닐 부타논프레닐 아세테이트산달로레트리프랄운데카락톤베르독스전체 중량%0.350.052.700.352.004.000.700.050.500.707.005.0014.002.0017.003.000.052.005.003.506.000.200.502.5010.002.001.000.200.204.003.45100.00 중량%0.000.051.000.002.504.000.700.200.352.007.005.0020.002.0013.000.000.005.005.005.003.000.100.502.5010.001.001.001.200.504.003.40100.00
향료 D
향료 성분이소-E 수퍼아우란티올벤질 살리실레이트세탈록스시스-3-헥세닐 아세테이트시트로넬롤디페닐 옥사이드에틸 바닐린유겐올엑살텍스플로르 아세테이트갈락솔라이드 50 DEP감마 데카락톤제라니올제라닐 니트릴헥실 신남산 알데히드인돌리날룰리날릴 아세테이트LRG 201메틸 베타-나프틸 케톤메틸 세드릴론메틸 이소 부테닐 테트라하이드로피란무스크 플러스오렌지 테르펜라이랄파트콘페닐 에틸 페닐 아세테이트산달로레전체 중량%5.001.0014.650.200.502.000.700.400.701.202.309.000.252.500.7010.000.055.002.801.251.9014.000.106.000.7012.001.801.002.30100.00
향료 E
향료 성분헥실 신남산 알데히드아니스산 알데히드벤즈알데히드벤질 살리실레이트부틸 신남산 알데히드시스 3 헥세닐 아세테이트시스-3-헥세닐 살리실레이트쿠마린디하이드로 이소 자스모네이트에틸-2-메틸 부티레이트에틸렌 브라실레이트프럭톤갈락솔라이드 50 DEP감마 데카락톤헥실 아세테이트리날룰아우란티올노날락톤트리프랄운데카락톤운데카베르톨바닐린전체 중량%12.650.550.5510.001.100.758.203.258.200.5511.000.5511.004.351.1010.002.151.100.3011.000.551.10100.00
향료 F
향료 성분이소-E 수퍼알파 다마스콘아우란티올베타 나프톨 메틸 에테르세탈록스시스 자스몬시스-3-헥세닐 살리실레이트시트로넬랄 니트릴시트로넬롤쿠마린디페닐 옥사이드에틸-2-메틸 부티레이트유칼립톨엑살톨라이드플로르 아세테이트플로르알로존플로르하이드랄갈락솔라이드 50 IPM헥실 신남산 알데히드헥실 살리실레이트인트렐레벤 알데히드 SP이오논 감마 메틸리구스트랄리날룰리날릴 아세테이트LRG 201리몰렌메틸 안트라닐레이트메틸 베타-나프틸 케톤메틸 세드릴론메틸 이소 부테닐 테트라하이드로피란오렌지 테르펜라이랄페녹사놀페닐 에틸 아세테이트산달로레테트라하이드로리날룰토날리드운데카락톤전체 중량%7.0000.3503.2000.5000.2500.3000.5001.5001.6000.4000.1500.0100.6500.5002.0001.5000.4009.3507.0005.0000.4504.1500.6001.4001.4000.4001.0002.2500.6505.0000.2007.20012.2006.9500.3501.9404.2007.1500.350100.000
향료 G
향료 성분미르센오렌지 터펜디하이드로 미르세놀사이클랄 C페닐 에틸 알콜벤질 아세테이트네롤제라니올메틸 안트라닐레이트바닐린라이랄이소 E 수퍼LRG 201헥실 신남산 알데히드에틸 메틸 페닐 글리시데이트디하이드로 이소 자스모네이트메틸 세드릴론전체 중량%0.151.2510.600.157.700.101.651.750.953.2532.0012.406.5015.150.405.001.00100.00
향료 H
향료 성분벤질 아세테이트벤질 살리실레이트베타 감마 헥세놀세드람버세타록스시스 자스몬시스-3-헥세닐 살리실레이트쿠마린다마세논디하이드로 이소 자스모네이트에틸렌 브라실레이트엑살톨라이드프럭톤프루텐감마 데카락톤헥실 신남산 알데히드헥실 살리실레이트인돌이소 E 수퍼이소 유겐올락토자스몬LRG 201메틸 안트라닐레이트메틸 디하이드로 자스모네이트오렌지 테르펜라이랄파라 크레실 메틸 에테르페닐 에틸 알콜산달로레트리모픽스 O운데카락톤운데카베르톨바닐린베르독스전체 중량%3.0020.000.100.750.200.201.501.300.105.005.003.000.352.000.3012.5010.000.106.800.300.100.501.006.001.008.000.202.003.004.500.300.300.400.20100.00
다음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이다. 하기 조성물은 먼저 에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향료 및 실웨트 L-7600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투명한 예비 혼합물을 제조하여 모든 향료 성분이 예비용해되도록 함으로써 제조한다. 실시예 II, III 및 IV에 있어서, 안정성 보조제, 예를 들면, 소수성/친수성 공중합체,또는 소포 형성제는 예비 혼합 단계 동안 첨가한다. 주요 혼합 탱크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98%의 물을 먼저 약 10분 동안 적당히 진탕시켜 혼합한다. 실시예 I의 경우에는, 이후에 폴리아크릴레이트 산 및 카톤을 추가로 10분 동안 혼합하면서 첨가한다. 이어서, 투명한 예비 혼합물을 약 30분 동안 격렬히 진탕시키면서 와동기로 서서히 주요 혼합물에 첨가하여 안정한 유화제/분산액을 형성시킨다. pH는 HCl 또는 NaOH로 조정하고, 보유된 물을 약 30분 동안 적절한 조건하에 최종적으로 혼합하면서 마지막으로 첨가한다.
실시예 I II III IV V VI
성분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예비 혼합물
에탄올디에틸렌 글리콜향료실웨트 L-7600냄새 차단제4-사이클로헥실-4-메틸-2-펜타논1급 및 II급 알데히드, 에틸-바닐린과 헥실-신남산 알데히드의 혼합물 0.21.0 3.01.00.31.0 3.00.50.21.00.1 3.00.21.00.2 3.00.31.0 5.00.31.00.050.1
주요 혼합물
HPBCD(a) 또는 (b)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분자량 2500)바닥 2250(quats)카톤HCl 또는 NaOH증류수전체 5.01.03ppmpH 6로잔여량100 10.03ppmpH 7로잔여량100 5.03ppmpH 4로잔여량100 10.03ppmpH 9로잔여량100 5.01.03ppmpH 4로잔여량100 3.03ppmpH 4로잔여량100
실시예 VII VIII IX X XI
성분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예비 혼합물
에탄올디에틸렌 글리콜향료실웨트 L-7600냄새 차단제4-사이클로헥실-4-메틸-2-펜타논1급 및 II급 알데히드헥실-신남산 알데히드 5.00.50.11.0 3.00.21.0 3.00.21.0 0.11.0 7.00.20.11.0
플라바노이드 0.5
주요 혼합물
HPBCD(a) 또는 (b)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분자량 2500)염화아연중탄산나트륨바닥 2250(quats)카톤HCl 또는 NaOH증류수전체 7.05.03ppmpH 5로잔여량100 5.03ppmpH 11로잔여량100 5.01.03ppmpH 4.5로잔여량100 5.02.03ppmpH 5로잔여량100 7.03ppmpH 6로잔여량100
항료는 퍼퓸(Perfume) A이다.
실웨트 L-7600은 위트코 케미칼 코포레이션(Witco Chemical Co.)에서 공급하는 계면활성제이다.
플라바노이드는 식물 추출물이다.
HPBCD(a) 또는 (b)는 하이드록실 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이다.
바닥(Bardac) 2250은 C10 디알킬 디메틸 암모니아 클로라이드 quat이다.
카톤(Kathon)TM은 방부제이다.
실시예 XII XIII XIV XV XVI XVII
성분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예비 혼합물
에탄올디에틸렌 글리콜향료실웨트 L-7600AA/TBA 공중합체디알킬 에테르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3.00.10.10.1 3.00.10.10.10.1-0.5 3.00.10.10.10.5 3.00.10.10.10.1-0.5 5.00.10.10.1 5.00.30.10.2
주요 혼합물
HPBCD(a) 또는 (b)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분자량 2500)바닥 2250(quats)카톤HCl 또는 NaOH증류수전체 1.00.23ppmpH 4로잔여량100 1.03ppmpH 7로잔여량100 1.03ppmpH 4로잔여량100 1.03ppmpH 9로잔여량100 1.00.153ppmpH 4로잔여량100 3.03ppmpH 4로잔여량100
(a)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b) 랜덤 메틸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실시예 XVIII XIX XX XXI XXII
성분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예비 혼합물
에탄올디에틸렌 글리콜향료실웨트 L-7600실웨트 L-77POE-60 수소화 피마자유 0 내지 50.21.0 0 내지 50.11.0 0 내지 50.22.0 0 내지 50.21.0 0 내지 50.21.01.0
주요 혼합물
HPBCD(a) 또는 (b)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분자량 2500)오물 현탁제(quats)프록셀 GXLHCl 또는 NaOH증류수전체 10.01.00.01pH 5로잔여량100 10.01.00.01pH 5로잔여량100 5.01.01.00.01pH 5로잔여량100 7.01.0pH 5로잔여량100 5.00.5pH 7로잔여량100
(a)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b) 랜덤 메틸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c) 폴리알킬렌이민 오물 현탁제
하이드록시에틸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및 하이드록시에틸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하이드록시에틸화 반응시켜 혼합물로서 수득된다. 이들은 HP-B-CD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조성물을 기계공 유니폼, 정육점 주인의 앞치마 등과 같이 약 20ppm 이상의 농도로 악취를 풍기는 직물을 포함하는 통상의 세탁기 세탁물에 가한 결과, 악취가 크게 감소하였다.

Claims (29)

  1. 임의로, 악취 흡수 유효량의 가용화된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A),
    임의로, 유효량의 냄새 차단제(B),
    임의로, 유효량의 I급 및/또는 II급 알데히드(C),
    임의로, 유효량의 플라바노이드(D),
    임의로, 유효량의 수용성 중합체(E),
    임의로, 조성물의 수용(acceptance) 개선 유효량의, 플라바노이드, 알데히드 및/또는 냄새 차단제 이외에 향료를 포함하는 용액, 유화액 또는 분산액(F),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성능 개선 유효량의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G),
    임의로, 약 0.01중량% 이상의,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개질되거나 개질되지 않은 수용성 폴리알킬렌이민 오물 현탁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오물 현탁제(H)(여기서, 당해 오물 현탁제는 폴리아민 주쇄를 포함한다),
    임의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존재할 경우, 미생물의 치사 또는 미생물의 성장 감소 유효량의 사이클로덱스트린-상용성 수용성 항미생물 활성제(I),
    임의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5중량%의 저분자량 폴리올(J),
    임의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1중량%의 킬레이트화제(K),
    임의로, 유효량의 냄새 잇점 개선용 금속염(L),
    임의로, 위의 항미생물 활성제 이외에 미생물 성장을 방지하는 유효량의 가용화된 수용성 항미생물 방부제(M) 및
    임의로, 저분자량의 수용성 알콜을 20% 이하로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수성 캐리어(N)를 포함하며,
    통상적인 세탁에서도 잔존하는 악취를 상당히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 이상으로 성분(A), 성분(B), 성분(C), 성분(D) 및/또는 성분(E)를 함유하고,
    사용 조건하에서 직물을 오염시키거나 얼룩지게 할 수 있는 어떠한 물질도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pH가 약 3 이상이고,
    직물의 예비처리, 세탁 및/또는 세정시 첨가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단지 낮은 수준의 산성 물질을 함유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존재할 경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착물을 형성하는 화합물로부터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보호되며,
    통상적인 세탁공정 후에도 남아 있는 악취를 중화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해 세탁공정 중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유효량 이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지침서와 함께 포장되어 있는, 세탁공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첨가제로서 유용한 냄새 흡수 또는 중화용 농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I)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약 0.01 내지 약 60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향료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3 내지 약 0.5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며 ClogP가 약 3 이상이고 분자량이 약 210 이상인 항료 성분을, 향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60중량% 이상 함유하거나,
    (II)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20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향료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0.3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며 ClogP가 약 3.5 이상이고 분자량이 약 220 이상인 항료 성분을, 향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70중량% 이상 함유하거나,
    (III)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향료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5 내지 약 0.2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며 ClogP가 약 3.5 이상이고 분자량이 약 220 이상인 항료 성분을, 향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메틸 치환된 사이클로덱스트린, 에틸 치환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덱스트린, 측쇄 사이클로덱스트린, 양이온성 사이클로덱스트린, 4급 암모늄 사이클로덱스트린, 음이온성 사이클로덱스트린, 양쪽성 사이클로덱스트린, 하나 이상의 글루코피라노스 단위가 3,6-안하이드로-사이클로말토 구조를 갖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메틸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메틸화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과 메틸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존재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존재하기 전에, 소수성 향료가,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부분을 둘 다 함유하는 중합체 및/또는 목적하는 입자 크기 범위의 안정한 소포(vesicle)를 형성하는 양이온성 직물 유연화 활성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물질을 사용하여 직경이 0.01μ 이상인 입자를 갖는 유화액으로 형성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물질이 화학식 R1-(CH3)2SiO-[(CH3)2SiO]a-[(CH3)(R1)SiO]b-Si(CH3)2-R1의 실록산 계면활성제{여기서, a + b는 약 1 내지 약 50이고, R1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메틸 및 화학식 -(CH2)nO(C2H4O)c(C3H6O)dR2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여기서, n은 3 또는 4이고, 전체 c(모든 폴리알킬렌옥시 측쇄 그룹)는 1 내지 약 100이며, 전체 d는 0 내지 약 14이고, 전체 c + d는 약 5 내지 약 150이며,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및 아세틸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단 하나 이상의 R1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그룹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실록산 계면활성제에서, a + b가 약 3 내지 약 30이고, n이 3이며, c가 약 6 내지 약 100이고, 전체 d가 0 내지 약 3이며, 전체 c + d가 약 9 내지 약 100이고, R2가 각각 수소 및/또는 메틸 그룹인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물질이, 소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부분을 함유하며,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1,000,000이고, 소수성 부분에 대한 친수성 부분의 비가 20/80 내지 약 90/10인 블럭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블럭 공중합체가, 친수성이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전된 단량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부분을 함유하며, 분자량이 약 5,000 내지 약 250,000이고, 소수성 부분에 대한 친수성 부분의 비가 30/70 내지 약 75/25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블럭 공중합체가 분자량이 약 10,000 내지 약 100,000이고, 소수성 단량체가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폴리옥틸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1. 제5항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가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블럭 공중합체, 폴리알킬렌옥사이드 폴리실록산, 화학식의 알킬디페닐 옥사이드 디설포네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여기서, R은 알킬 그룹이다), 피마자유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폴리에톡시화 지방 알콜 계면활성제, 글리세롤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플루오로카본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 상용성 계면활성제가 피마자유 계면활성제인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임의로 화학식 H(EO)n(PO)m(EO)nH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블럭 공중합체(여기서, EO는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이고, PO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이며, n과 m은 계면활성제에서 해당 그룹의 평균 수를 나타내는 수로서, n은 약 2 내지 약 100이고, m은 약 10 내지 약 100이다)인 조성물.
  14. 제5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화학식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폴리실록산{여기서, a + b는 약 1 내지 약 50이고, R1은 주로 하나 이상의 화학식 -(CH2)nO(C2H4O)c(C3H6O)dR2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랜덤 공중합체 그룹[여기서, n은 3 또는 4이고, 전체 c(모든 폴리알킬렌옥시 측쇄 그룹)는 1 내지 약 100이며, 전체 d는 0 내지 약 14이고, 전체 c + d는 약 5 내지 약 150이며,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및 아세틸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이다}인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악취 억제를 개선하기 위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 내지 약 3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5 내지 약 2중량% 농도의 폴리아크릴레이트인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악취 억제를 개선하기 위한 수용성 아연염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5 내지 약 3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개질되거나 개질되지 않은 수용성 폴리알킬렌이민 오물 현탁제(여기서, 당해 오물 현탁제는 폴리아민 주쇄를 포함한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오물 현탁제를 약 0.01중량% 이상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9. 악취를 흡수하기에 유효한 양의 가용화된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 악취 인지를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냄새 차단제, 냄새와 반응하여 냄새를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I급 및/또는 II급 알데히드, 유효량의 플라바노이드 및/또는 유효량의 수용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악취 중화제를 세탁공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 가함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세탁공정 후에도 직물에 존재하는 악취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20. 가용화된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악취 중화제를 세탁공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 가함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세탁공정 후에도 직물에 존재하는 악취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21. 냄새 인지를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냄새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효량의 악취 중화제를 세탁공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 가함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세탁공정 후에도 직물에 존재하는 악취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22. 냄새와 반응하여 냄새를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I급 및/또는 II급 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유효량의 악취 중화제를 세탁공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 가함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세탁공정 후에도 직물에 존재하는 악취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23. 유효량의 플라바노이드를 포함하는 유효량의 악취 중화제를 세탁공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 가함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세탁공정 후에도 직물에 존재하는 악취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직물이 소수성 오물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소수성 오물이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한 윤활성 탄화수소 및/또는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또는 신체 오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6. 악취를 흡수하기에 유효한 양의 가용화된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 악취 인지를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냄새 차단제, 냄새와 반응하여 냄새를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I급 및/또는 II급 알데히드, 유효량의 플라바노이드 및/또는 유효량의 수용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악취 중화제를 세탁공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 가함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세탁공정 후에도 직물에서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27. 악취를 흡수하기에 유효한 양의 가용화된 비착화 사이클로덱스트린, 악취 인지를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냄새 차단제, 악취와 반응하기에 유효한 양의 I급 및/또는 II급 알데히드, 악취의 작용을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플라바노이드 및/또는 악취와 반응하기에 유효한 양의 수용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악취 중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당해 조성물을 세탁공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 유효량으로 첨가함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세탁공정 후에도 직물에 존재하는 악취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지침서를 함께 함유하는 패키지를 포함하는 제품.
  28. 제2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제품.
  29. 제28항에 있어서, 지침서에 악취가 보통 수준인 경우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약 20ppm 이상 제공하고 악취가 높은 수준인 경우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약 60ppm 이상 제공하게 조성물을 첨가하도록 기재되어 있는 제품.
KR1020027002759A 1999-09-02 2000-08-30 악취 억제를 위한 개선된 방법, 악취 억제용 조성물 및 제품 KR20020026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07099P 1999-09-02 1999-09-02
US60/152,070 1999-09-02
PCT/US2000/023854 WO2001016264A2 (en) 1999-09-02 2000-08-30 Improved methods,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 odor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004A true KR20020026004A (ko) 2002-04-04

Family

ID=2254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759A KR20020026004A (ko) 1999-09-02 2000-08-30 악취 억제를 위한 개선된 방법, 악취 억제용 조성물 및 제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212395B1 (ko)
JP (1) JP2003508582A (ko)
KR (1) KR20020026004A (ko)
AT (1) ATE327307T1 (ko)
AU (1) AU771124B2 (ko)
CA (1) CA2379525C (ko)
DE (1) DE60028215T2 (ko)
ES (1) ES2263484T3 (ko)
MX (1) MXPA02002387A (ko)
WO (1) WO2001016264A2 (ko)
ZA (3) ZA2002014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408A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 농축 섬유유연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4190B2 (en) 2003-06-19 2011-06-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increasing liquid extraction from fabrics
GB0408962D0 (en) 2004-04-22 2004-05-26 Quest Int Serv Bv Malodor reducing compositions
DE102005005633A1 (de) * 2005-02-08 2006-08-10 Wacker Polymer Systems Gmbh & Co. Kg Lösungmittelfrei herstellbare Dispersion enthaltend einen 1:1 oder 2:1-Cyclodextrin-Riechstoff-Komplex
DE602006021336D1 (de) * 2005-11-17 2011-05-26 Robertet Fragrances Inc Duftendes polymer mit mittel gegen schlechten geruch
EP1884251B1 (en) * 2006-08-03 2013-08-28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Use of fragrance compositions for restricting the formation of indole from faecal and urine based soils
US20080032912A1 (en) 2006-08-04 2008-02-07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Use of fragrance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f the development of indole base malodours from fecal and urine based soils
EP1967545A1 (en) 2007-03-09 2008-09-10 Rohm and Haas France SAS Cationic polymer latex
US7550416B2 (en) * 2007-06-27 2009-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fumed household products and methods for preserving perfume integrity and extending fragrance life
GB2452977A (en) 2007-09-21 2009-03-25 Sun Chemical Ltd Ink composition
EP2247704A1 (en) * 2008-01-31 2010-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refreshing fabric articles
US9260817B2 (en) * 2009-09-18 2016-0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esh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malodor binding polymers and malodor counteractants
CA2780653C (en) * 2009-12-18 2014-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capsulates
JP5618605B2 (ja) * 2010-04-21 2014-11-05 ライオン株式会社 衣料用液体漂白剤組成物
US20120183489A1 (en) * 2011-01-14 2012-07-19 Ricky Ah-Man Woo Compositions comprising metallated malodor control polymers
JP5986887B2 (ja) * 2012-10-26 2016-09-06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の液体洗浄剤
US9821081B2 (en) * 2012-11-27 2017-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fume-free malodor reducing compositions
WO2014085215A1 (en) * 2012-11-27 2014-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fume-free malodor reducing compositions
BR112017027775A2 (pt) * 2015-06-22 2018-09-11 Procter & Gamble composições de perfume
AU2016295399A1 (en) 2015-07-20 2018-02-01 S.C. Johnson & Son, Inc. Water-based fragrance composition, fragrance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long-lasting scent
JP2017132901A (ja) * 2016-01-27 2017-08-03 株式会社ベネフィット−イオン 洗濯前処理剤及び洗濯方法
JP6666635B2 (ja) * 2016-03-29 2020-03-18 株式会社川島織物セルコン 油分除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1727A (en) * 1989-06-21 1995-08-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ketone deodor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deodorization
JPH08508547A (ja) * 1993-03-31 1996-09-10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未複合化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含有する乾燥機活性化布帛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3420670B2 (ja) * 1996-08-12 2003-06-30 花王株式会社 香料粒子組成物
ES2248906T3 (es) * 1997-06-09 2006-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ciones de ciclodextrina no complejada para controlar el olor y las arruga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408A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 농축 섬유유연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201404B (en) 2003-07-30
AU7092400A (en) 2001-03-26
DE60028215D1 (de) 2006-06-29
ZA200201405B (en) 2003-05-19
AU771124B2 (en) 2004-03-11
DE60028215T2 (de) 2007-03-08
ATE327307T1 (de) 2006-06-15
WO2001016264A3 (en) 2001-10-11
MXPA02002387A (es) 2002-08-20
ES2263484T3 (es) 2006-12-16
JP2003508582A (ja) 2003-03-04
CA2379525A1 (en) 2001-03-08
CA2379525C (en) 2007-06-19
WO2001016264A2 (en) 2001-03-08
EP1212395B1 (en) 2006-05-24
EP1212395A2 (en) 2002-06-12
ZA200201406B (en) 200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0289B1 (en) Methods,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 odor control
US6833342B2 (en) Method of deodorizing and/or cleaning carpet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odor control agent
KR20020026004A (ko) 악취 억제를 위한 개선된 방법, 악취 억제용 조성물 및 제품
EP1133322B1 (en) Improved uncomplexed cyclodextrin compositions for odor control
US6033679A (en) Uncomplexed cyclodextrin compositions for odor control
US6106738A (en) Uncomplexed cyclodextrin compositions for odor control
US5942217A (en) Uncomplexed cyclodextrin compositions for odor control
JP4219413B2 (ja) 臭気およびシワ抑制用の未複合シクロデキストリン組成物
JP4459309B2 (ja) 臭気抑制用の未複合シクロデキストリン組成物
AU742640B2 (en) Improved uncomplexed cyclodextrin compositions for odor control
EP0988064A1 (en) Improved uncomplexed cyclodextrin compositions for odor control
JP2003501558A (ja) 臭いを制御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非錯化シクロデキストリン組成物
CA2585206A1 (en) Improved methods,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 odor control
MXPA99011498A (en) Uncomplexed cyclodextrin compositions for odor and wrinkle control
MXPA01005312A (en) Improved uncomplexed cyclodextrin compositions for odor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