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950A - 분체재료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분체재료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950A
KR20020025950A KR1020027000180A KR20027000180A KR20020025950A KR 20020025950 A KR20020025950 A KR 20020025950A KR 1020027000180 A KR1020027000180 A KR 1020027000180A KR 20027000180 A KR20027000180 A KR 20027000180A KR 20020025950 A KR20020025950 A KR 20020025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elastic membrane
dispersion chamber
powder material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따나베야스시
하야까와기미아끼
모리모또기요시
Original Assignee
히라타 다다시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타 다다시,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타 다다시
Publication of KR2002002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95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05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for briquetting presses
    • B30B15/0011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for briquetting presses lubr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 mean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comprising moving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분체재료 저장호퍼 (2) 의 재료배출구 (2a) 에, 재료반출밸브 (34) 를 통해 정량분무장치 (3) 을 부착하고, 분체재료 저장호퍼 (2) 의 재료투입구 (2b) 에, 덮개체 (2c) 를 장착하고, 정량분무장치 (3) 는, 분체재료 저장호퍼 (2) 의 재료배출구 (2a) 에 접속된 통형상체 (31) 와, 이 통형상체 (31) 의 저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관통공 (32a) 을 갖는 탄성체막 (32) 과, 통형상체 (31) 의 하부에, 탄성체막 (32) 을 개재시켜 접속된 분산실 (33) 을 구비하며, 이 분산실 (33) 은, 분산실 (33) 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하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와, 배출구 (33e2) 를 구비하고, 또 통형상체 (31) 와 분산실 (33) 의 사이에 바이패스관 (35) 을 접속시키고, 분산실 (33) 의 배출구 (33e2) 에 접속된 도관 (T2) 의 선단 (e2) 으로부터 분체재료를 분무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분체재료 분무장치{POWDER MATERIAL SPRAYING DEVICE}
분체재료를 정량적으로 분무하는 분체재료의 분무장치로서 본발명자들은 일본 특허출원 평8-161553 호에서 관통구를 갖는 탄성체막을 사용한 미량 분체토출장치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
도 19 는 이와 같은 미량 분체토출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는, 분체재료를 저장하는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와,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의 재료배출구 (202a) 에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의 저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관통구멍 (232a) 을 갖는 탄성체막 (232) 과 기력수송관 (T) 을 구비한다.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의 재료투입구 (202b) 에는 덮개체 (202c) 가 착탈 자유롭게 또한 기밀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의 재료배출구 (202a) 는, 기력수송관 (T) 의 도중위치에서 탄성체막 (232) 을 개재시키도록 하여 기력수송관 (T)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탄성체막 (232) 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 (232a) 은 슬릿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력수송관 (T) 의 일단 (Ta) 은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수단 (221) 에 접속되어 있고,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수단 (221) 을 구동시키면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수단 (221) 에 의해 발생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기력수송관 (T) 내로 그 일단 (Ta) 으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 은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의 탄성체막 (232) 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를 사용하여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체재료의 일정량을 분무할 때에는, 먼저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내에 분체재료를 저장한다. 이어서,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의 재료투입구 (202b) 에 덮개체 (202c) 를 기밀하게 장착한다.
다음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수단 (221) 을 구동함으로써 기력수송관 (T)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한다.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에서는, 기력수송관 (T)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공급되면, 맥동공기진동파의 진폭이 산일 때에, 기력수송관 (T) 내의 압력이 높아져 탄성체막 (232) 이 탄성변형되어 그 중앙이 상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된다. 이 때, 관통구멍 (232a) 은 단면에서 본 경우, 상측이 열린 대략 V자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이 대략 V자형상으로 된 관통구멍 (232a) 내로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에 저장되어 있는 분체재료의 일부가 낙하한다 (도 20(a)) 를 참조).
이어서 기력수송관 (T) 내로 공급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그 진폭의 골을 향함에 따라 기력수송관 (T) 내의 압력이 서서히 낮아지게 되면, 탄성체막 (232) 은 그 복원력에 의해 그 중앙이 상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이 때, 관통구멍 (232a) 의 형상도 상측이 열린 대략 V자형상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지만, 관통구멍 (232a) 이 상측이 열린 대략 V자형상으로 되었을 때에 관통구멍 (232a) 내로 낙하된 분체재료가 관통구멍 (232a) 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도 20(b) 참조).
이어서, 기력수송관 (T) 내로 공급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그 진폭의 골이 되어 기력수송관 (T) 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탄성체막 (232) 은 그 중앙이 하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탄성변형된다. 이 때, 관통구멍 (232a) 은 단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하측이 열린 대략 V자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관통구멍 (232a) 이 대략 역V자형상이 되었을 때, 관통구멍 (232a) 내에 끼워져 있던 분체재료가 기력수송관 (T) 내로 낙하한다 (도 20(c) 참조).
기력수송관 (T) 내로 낙하된 분체재료는 기력수송관 (T) 내로 공급되고 있는 정압의 맥동진동파에 혼화되어 분산된 상태로 된다.
그 후, 기력수송관 (T) 내로 낙하된 분체재료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 까지 기력수송되고,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으로부터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와 함께 분무된다.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에서는, 탄성체막 (232) 의 진동은 기력수송관 (T) 내로 공급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기력수송관 (T) 내로 관통구멍 (232a) 을 통하여 공급되는 분체재료의 양은 탄성체막 (232) 의 진동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기력수송관 (T) 내로 공급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일정하게 하는 한, 일정량의 분체재료가 기력수송관 (T) 내로 배출된다.
또, 기력수송관 (T) 내에 정상압의 공기류가 아니라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력수송관 (T) 내로 공급된 분체재료를 정상압의 공기류로 기력수송관 (T) 의 타단으로 기력수송한 경우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기력수송관 (T) 내에서의 분체재료의 퇴적이나 분체재료의 블로바이 (blow-by)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기력수송관 (T) 내로 탄성체막 (232) 의 관통구멍 (232a) 을 통하여 공급된 분체재료의 거의 전량이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된다.
따라서,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는 기력수송관 (T) 의 일단 (Ta) 으로부터 공급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일정하게 하는 한,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 으로부터 항상 일정량의 분체재료를 분무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에서는,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하는 분체재료의 농도는 기력수송관 (T) 의 일단 (Ta) 으로부터 공급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는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하는 분체재료의 농도 변경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도 함께 갖는다.
그러나.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에서는, 기력수송관 (T) 내로부터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내로의 공기 유입은 탄성체막 (232) 의 관통구멍 (232a) 을 통하여 실행된다. 또한,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로부터 기력수송관 (T) 내로의 분체재료의 배출도 탄성체막 (232) 의 관통구멍 (232a) 을 통하여 실행된다.
이 탄성체막 (232) 의 관통구멍 (232a) 을 통하여 실행되는 기력수송관 (T) 내로부터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내로의 공기 유입과,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로부터 기력수송관 (T) 내로의 분체재료의 배출은 서로 공기류가 역방향으로 흐르는 관계로 되어 있어,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와 기력수송관 (T) 내의 압력은 기동시에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의 압력에 비하여 기력수송관 (T) 내의 압력 쪽이 높아, 기동직후부터 평형상태로 되기까지의 동안, 탄성체막 (232) 은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의 방향 (상방향) 으로 팽창되기 쉬워져, 탄성체막 (232) 의 관통구멍 (232a) 으로부터 배출되는 분체재료의 배출량이 적어지고, 그 결과,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되는 분체재료의 분무량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내로의 분체재료의 흡입량이 다르면,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되는 분체재료의 분무량이 변화하여 정량성이 저해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에서는, 기력수송관 (T)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되는 분체재료의 정량성은 탄성체막 (232) 의 상하 진동 패턴에 의존한다. 따라서,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에서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아무리 정확하게 발생시켰다고 하여도,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의 재료배출구 (202a) 에 형성된 관통구멍 (232a) 을 갖는 탄성체막 (232) 이 적정한 인장강도로 골고루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탄성체막 (232) 이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대하여 정확한 재현운동을 하지 않아,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되는 분체재료의 정량성이 저해된다.
따라서, 이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에서는, 기력수송관 (T) 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되는 분체재료의 정량성을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탄성체막 (232) 이 느슨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면 그 장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장치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면, 탄성체막이 진동에 의해 점점 느슨해져 장치로서의 기능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화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 탄성체막 (232) 의 관통구멍 (232a) 을 통하여 직접 기력수송관 (T) 내로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내에 저장된 분체재료를 배출한 경우에는, 예컨대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내에 저장되어 있는 분체재료 중에 대립 (大粒) 분립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대립 분립체가 기력수송관 (T) 내로 기력수송되어 그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되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외부 활택식 타정기의 상부 바, 하부 바 및 절구 각각의 표면으로 활택제를 도포하는, 활택제 도포장치와 같은, 활택제분말의 정량성과 입경이 일정할 것이 요구되는 장치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력수송관 (T) 내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되는 분립체재료의 정량성을 유지하면서, 기력수송관 (T) 내의 타단 (Tb) 으로부터 대립 분립체가 분무되지 않도록 더욱 연구해야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분체재료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통구를 갖는 탄성체막을 사용한 분체재료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로부터의 분체재료의 배출특성을 향상시킨 분체재료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체재료 분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 사용되는 탄성체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한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탄성체막 장착구에 탄성체막을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한 탄성체막 장착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3 에 도시한 탄성체막 장착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도시한 분체재료 분무장치의 분산실을 평면에서 본 경우의, 분산실에 형성하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의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 는 분산실에 대한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의 바람직한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b) 는 분산실에 대한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의 실질적인 장착가능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낸 분체재료 분무장치의 분산실을 평면에서 본 경우의, 분산실에 형성하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와 배출구의 위치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a) 는 분산실에 대한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와 배출구의 바람직한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7(b) 는 분산실에 대한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와 배출구의 실질적인 장착가능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체재료 분무장치를 구비하는 외부 활택식 타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낸 외부 활택식 타정기의 로타리형 타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 사용되는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의 구성을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관내로 공급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 는 도 1 에 나타낸 분체재료 분무장치의 탄성체막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 은 도 9 중, XIII-XIII 선을 따른 활택제 분무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8 에 나타낸 활택제 흡인장치의 부분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 사용되는 탄성체막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 사용되는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 사용되는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체재료 분무장치의 경시적인 정량성 시험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9 는 종래의 미량 분체토출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0 은 종래의 미량 분체토출장치의 탄성체막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탄성체막 (232) 의 관통구멍 (232a) 을 통하여 실행되는 분체재료의 배출특성이나 정량성이 우수한 분체재료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 또한 이와 같은 분체재료 분무장치로서, 탄성체막을 용이하게 적절한 인장강도로 또한 골고루 분체재료 저장호퍼 (202) 의 재료배출구 (202a) 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분체재료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또, 기력수송관 (T) 내의 타단 (Tb) 으로부터 분무되는 분립체재료의 정량성을 유지하면서 기력수송관 (T) 내의 타단 (Tb) 으로부터 대립 분립체가 분무되지 않도록 더욱 연구한 분체재료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분체재료 분무장치는, 분체재료를 저장하는 분체재료 저장호퍼와, 분체재료 저장호퍼의 재료배출구에 재료 반출 밸브를 통하여 장착된 정량분무장치를 구비하고, 분체재료 저장호퍼의 재료투입구에는 덮개체가 착탈 자유롭게 또한 기밀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정량분무장치는 상하에 개구부를 갖고, 분체재료 저장호퍼의 재료배출구에 기밀하게 접속된 통형상체와 통형상체의 하부개구부에 통형상체의 저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관통구멍을 갖는 탄성체막과 통형상체의 하부개구부에 탄성체막을 개재시켜 접속된 분리실을 구비하고, 분산실에는 분산실내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하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와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로부터 분산실내로 공급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탄성체막이 상하로 진동됨으로써,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분산실내로 배출되고, 분산실내로 공급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혼화되어 분산된 분체재료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까지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기력수송하는 도관이 접속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또한,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에 바이패스관을 접속하였다.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는,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에 바이패스관을 접속함으로써,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의 공기유통로를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바이패스관의 합계 2 계통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에 공기유통로로서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멍 이외에 바이패스관을 설치하는 것이,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실행되는 분산실내로의 분체재료의 배출효율 개선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 지에 대한 동작원리에 대해서는 현시점에서 확립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바이패스관이 이하와 같은 동작원리에 의해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실행되는 분산실내로의 분체재료의 배출효율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즉,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의 공기유통로가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멍뿐인 경우에는, 통형상체내의 압력과 분산실의 압력을 동일하게 하려고 하는 공기의 흐름은 관통구멍을 통해서만 실행된다.
이에 의해, 분산실내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하면, 분산실내의 압력이 통형상체내의 압력에 비하여 높은 때에는 관통구멍을 통하여 분산실로부터 통형상체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분산실내의 압력이 통형상체내의 압력에 비하여 낮은 때에는 관통구멍을 통하여 통형상체로부터 분산실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통형상체내의 압력과 분산실내의 압력이 평형으로 되는데 필요한 시간이 느려, 탄성체막이 통형상체의 방향 (상방향) 으로 팽창되기 쉬운 경향으로 되고, 결과적으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한 진동이 작아지는 경향이 생겨, 탄성체막의 관통구멍의 신축이 작아진다. 그 결과, 관통구멍을 통하여 실행되는 분체의 배출이 장치를 기동한 직후부터 탄성체막의 상하 압력이 평형으로 되기까지의 동안에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의 공기유통로를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바이패스관의 2 계통으로 하고 있으므로, 공기는 유통되기 쉬운 쪽을 통하여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를 흐른다.
따라서, 분산실내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했을 때에, 통형상체내의 압력과 분산실내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평형으로 되어, 탄성체막은 그 초기의 인장상태 위치를 중립상태로 하여, 상하로 거의 균등한 진폭으로 상하 진동하여 진동의 재현성 및 응답성이 우수하다.
그 결과, 탄성체막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실행되는 분체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실행되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분체재료 분무장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분체재료 분무장치의, 탄성체막은 통형상체의 하부와 분산실의 상부 사이에 탄성체막 장착구를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고, 탄성체막 장착구는 중공을 갖는 대좌 (臺座) 와 대좌의표면상에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중공을 갖는 돌출부재와, 돌출부재의 외주보다 약간 큰 중공을 갖는 누름부재를 구비하고, 대좌의 표면에는 대좌에 형성된 중공 외측의 돌출부재의 외주보다 외측의 위치에 대좌에 형성된 중공을 링형상으로 둘러싸듯이 형성된 V 홈이 형성되어 있고, 누름부재의, 대좌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대좌의 표면에 형성된 V 홈에 끼워지도록, 또한 링형상의 V자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대좌의 표면에 돌출부재를 탑재하고, 돌출부재상에 탄성체막을 탑재하고, 돌출부재 및 탄성체막을 함께 덮도록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임으로써, 탄성체막을 돌출부재에 의해 누름부재방향으로 돌출시켜 그 내측에서 외주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하고, 돌출부재에 의해 당겨진 탄성체막의 외주부분을, 돌출부재의 외주와 누름부재의 중공을 형성하는 면의 사이에 끼움과 동시에, 대좌의 표면에 형성된 V 홈과, 누름부재의, 대좌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된 V자형상의 돌기 사이에 끼우도록 하고, 대좌의 저면을 분산실의 상부에 장착하고, 누름부재의 상면을 통형상체의 하부에 장착하였다.
이 탄성체막 장착구에서는, 대좌상에 탑재한 돌출부재상에 탄성체막을 탑재하고,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여가면, 탄성체막은 돌출부재에 의해 누름부재방향으로 돌출된다. 그 결과, 탄성체막은 누름부재 방향으로 더욱 돌출됨으로써, 탄성체막의 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당겨진다.
처음 얼마동안은 돌출부재에 의해 당겨진 탄성체막은 돌출부재의 외주면과 누름부재의 중공을 형성하는 면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대좌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 홈과, 누름부재의, 대좌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여 가면, 탄성체막은 돌출부재에 의해 누름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돌출부재의 외주면과 누름부재의 중공을 형성하는 면 (내주면)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돌출부재에 의해, 누름부재방향으로 더욱 돌출됨으로써, 탄성체막의 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잡아당겨져, 대좌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 홈과, 누름부재의, 대좌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사이에 끼워진 부분이, 대좌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 홈과, 누름부재의, 대좌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사이에 끼워진다.
이상에 의해, 이 탄성체막 장착구에서는, 대좌상에 탑재한 돌출부재상에 탄성체막을 탑재하고,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여가는 간단한 조작으로 탄성체막을 팽팽히 당긴 상태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분체재료 분무장치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분체재료 분무장치의 돌출부재에는, 그 외주에, 단면에서 볼 때 상측으로부터 하측이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체막 장착구에서는, 돌출부재의 외주에, 단면에서 본 경우, 상측으로부터 하측이 넓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누름부재방향으로 더욱 돌출됨으로써, 탄성체막의 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당겨진 부분이 대좌의 표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V 홈과, 누름부재의, 대좌에 대향하는 표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사이로 이행하기 쉽다.
이상에 의해서도, 이 탄성체막 장착구에서는, 대좌상에 탑재한 돌출부재상에탄성체막을 탑재하고,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여가는 간단한 조작으로 탄성체막을 팽팽하게 당긴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여가면, 돌출부재의 외주의 경사면과, 누름부재의 중공 내주면의 간격이 서서히 좁혀지므로, 누름부재의 외주면과, 누름부재의 중공 내주면 사이에 단단히 끼워지기 때문에, 누름부재를 대좌에 조인 후에 탄성체막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예컨대 장치에 다이어프램을 형성할 때나, 분체재료 분무장치의 탄성체막을 형성할 때에, 이 탄성체막 장착구에 의해 탄성체막을 형성하도록 하면 사용중에 탄성체막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장치의 정확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분체재료 분무장치는, 청구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체재료 분무장치의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는, 분산실의 하부위치에 분산실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으로 형성되고, 배출구는 분산실의 상부위치에 분산실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는, 분산실내에 분산실의 하측 위치로부터 대략 접선방향에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도입하고, 분산실의 상측 위치로부터 대략 접선방향으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는 분산실내에서 분산실의 하측 위치로부터 분산실의 상측 위치로 향하여 소용돌이형으로 선회한다.
분산실내에서 분산실의 하측 위치로부터 분산실의 상측 위치로 향하여 소용돌이형으로 선회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분산실은 사이클론과 동일한 분립기능을 갖는다.
이에 의해, 탄성체막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분산실내로 응집한 대립 분체재료가 배출되어도, 이와 같은 응집된 대립 분체재료는 분산실의 하측 위치를 계속 선회하기 때문에, 대립 분체재료가 도관의 타단으로부터 분무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를 사용하면, 도관의 타단으로부터, 입경이 일치된 일정량의 분체재료를 분무할 수 있다.
또, 대립 분체재료는 분산실내에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선회류에 빨려들어감으로써, 소립 분체재료로 분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소정 입경으로 될 때까지 분쇄된 분체재료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선회류를 따라 분산실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분산실내에 응집된 대립 분체재료가 퇴적되기 어렵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체재료 분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는 분체재료를 저장하는 분체재료 저장호퍼 (2) 와 정량분무장치 (3) 를 구비한다.
정량분무장치 (3) 는 분체재료 저장호퍼 (2) 의 재료배출구 (2a) 에 재료 반출 밸브 (34) 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분체재료 저장호퍼 (2) 의 재료투입구 (2b) 에는 덮개체 (2c) 가 착탈 자유롭게 또한 기밀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정량분무장치 (3) 는 상하에 개구부 (31a, 31b) 를 갖고, 분체재료 저장호퍼 (2) 의 재료배출구 (2a) 에 기밀하게 접속된 통형상체 (31) 와, 통형상체 (31) 의 하부개구부 (31b) 에 통형상체 (31) 의 저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탄성체막 (32) 과, 통형상체 (31) 의 하부개구부 (31b) 에 탄성체막 (32) 을 개재시켜 기밀하게 접속된 분산실 (33) 을 구비한다.
도 2 는 탄성체막 (32)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탄성체막 (32) 에는 관통구멍 (32a)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관통구멍 (32a) 은 탄성체막 (32) 의 중앙부에 슬릿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산실 (33) 에는, 분산실 (33)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하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와 배출구 (33e2) 가 형성되어 있다.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에는 공기수송관 (예컨대 도 8 에 나타낸 공기수송관 (T1) 을 참조) 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공기수송관 (예컨대 도 8 에 나타낸 공기수송관 (T1) 을 참조) 을 통하여 분산실 (33)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배출구 (33e2) 에는 도관 (도시생략) 의 일단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도관 (도시생략) 의 타단으로부터, 분체재료가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혼화하여 분산시킨 분체재료가 분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체 (31) 와 분산실 (33) 사이에 바이패스관 (35) 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탄성체막 (32) 은 통형상체 (31) 의 하부 (31b) 와, 분산실 (33) 의 상부 (33a) 사이에 탄성체막 장착구 (5) 를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한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탄성체막 장착구에 탄성체막을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에 나타낸 탄성체막 장착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또 도 5 는 도 3 에 나타낸 탄성체막 장착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는 대좌 (52) 와 돌출부재 (53) 와 누름부재 (54) 를 구비한다.
대좌 (52) 에는 중공 (h1) 이 형성되어 있고, 중공 (h1) 의 외주에는 돌출부재 (53) 를 탑재하기 위한 링형상의 탑재면 (S1)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좌 (52) 에는 중공 (h1) 을 링형상으로 둘러싸듯이 V 홈 (Dv) 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재 (53) 는 중공 (h2) 을 갖는다. 본 예에서는 돌출부재 (53) 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면에 단차부 (P1) 가 형성되어 있고, 대좌 (52) 상에 돌출부재 (53) 를 탑재하면, 단차부 (P1) 가 대좌 (52) 의 탑재면 (S1)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돌출부재 (53) 를 대좌 (52) 상에 탑재하였을 때에, 돌출부재 (53) 의 단차부 (P1) 보다 하측으로 연이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하측연설부 (P2) 가 대좌 (52) 의 중공 (h1)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즉, 돌출부재 (53) 의 하측연설부 (P2) 는 그 외경 (D2) 이 대좌 (52) 의 중공 (h1) 의 내경 (D1) 과 같거나 약간 작은 치수로 정밀 가공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돌출부재 (53) 는 그 상측부 (P3) 의 외주에 단면에서 본 경우, 상측으로부터 하측이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 (54) 는 중공 (h3) 을 갖는다. 또, 누름부재 (54) 의 대좌 (52) 에 대향하는 표면 (S4) 에는, 대좌 (52) 의 표면에 형성된 V 홈 (Dv) 에 서로 끼워지도록 링형상의 V 자형상의 돌기 (Cv)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 중, 55 로 나타낸 부재는 볼트 등의 조임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 중, h4 로 나타낸 구멍은, 대좌 (52) 에 형성된 조임수단 (55) 의 고정구멍을, 또한 h6 으로 나타낸 구멍은 누름부재 (54) 에 형성된 조임수단 (55) 의 고정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또, 도 4 중, h5 로 나타낸 구멍은 대좌 (52)에 형성되고, 목적으로 하는 장치 (본 예에서는 도 1 에 나타낸, 분산실 (33) 의 상부 (33a)) 에 탄성체막 장착구 (5) 를 볼트 등의 고정수단 (도시생략) 에 의해 장착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또 h7 로 나타낸 구멍은 누름부재 (54) 에 형성되고, 목적으로 하는 장치 (본 예에서는 도 1 에 나타낸 통형상체 (31) 의 하부 (31b)) 에 탄성체막 장착구 (5) 를 볼트 등의 고정수단 (도시생략) 에 의해 장착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누름부재 (54) 의 중공 (h3) 의 내경 (D4) 은 돌출부재 (53) 의 외경 (D3) 과 같거나, 약간 큰 치수로 정밀가공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에 탄성체막 (32) 을 장착하는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탄성체막 장착구 (5) 에 탄성체막 (32) 을 장착할 때에는 먼저 대좌 (52) 의 표면에 돌출부재 (3) 를 탑재한다.
이어서, 돌출부재 (53) 상에 탄성체막 (32) 을 탑재한다.
다음에, 돌출부재 (53) 및 탄성체막 (32) 을 함께 덮도록, 돌출부재 (53) 상에 누름부재 (54) 를 탑재한다. 이 때, 대좌 (52) 에 형성된 고정구멍 (h4 …) 의 각각과, 누름부재 (54) 에 형성된 고정구멍 (h6 …) 의 각각을 정렬시키도록 한다.
다음에 볼트 등의 조임수단 (55 …) 의 각각을 고정구멍 (h4 …), 및 고정구멍 (h6 …) 의 각각에 나사결합 등을 함으로써, 대좌 (52) 에 대하여 누름부재 (4) 를 조여간다.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에서는 대좌 (52) 상에 탑재한 돌출부재 (53) 상에 탄성체막 (32) 을 탑재하고, 누름부재 (54) 를 대좌 (52) 에 대하여 조여가면, 탄성체막 (32) 은 돌출부재 (53) 에 의해 누름부재 (54)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 결과, 탄성체막 (32) 은 누름부재 (54) 방향으로 더욱 돌출됨으로써, 탄성체막 (32) 의 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당겨진다.
처음 얼마동안은, 돌출부재 (53) 에 의해 당겨진 탄성체막 (32) 은 돌출부재 (53) 의 외주면 (P3) 과 누름부재 (54) 의 중공 (h3) 을 형성하는 면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대좌 (52) 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 홈 (Dv) 과, 누름부재 (54) 의 대좌 (52) 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Cv) 와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볼트 등의 조임수단 (55 … ) 의 각각에 의해 누름부재 (54) 를 대좌 (52) 에 대하여 조여가면, 탄성체막 (32) 은 돌출부재 (53) 에 의해 누름부재 (54)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돌출부재 (53) 의 외주면 (P3) 과, 누름부재 (54) 의 중공 (h3) 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돌출부재 (53) 에 의해 누름부재 (54) 방향으로 더욱 돌출됨으로써, 탄성체막 (32) 의 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당겨진 부분이, 대좌 (52) 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 홈 (Dv) 과, 누름부재 (54) 의 대좌 (52) 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Cv) 사이에 끼워진다.
즉,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에서는, 대좌 (52) 상에 탑재한 돌출부재 (53) 상에 탄성체막 (32) 을 탑재하고, 누름부재 (54) 를 대좌 (52) 에 대해여 조여가면, 탄성체막 (32) 이 돌출부재 (53) 에 의해, 누름부재 (54)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 탄성체막 (32) 이 그 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당겨진 상태로 되고,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돌출부재 (53) 에 의해 당겨진 탄성체막 (32) 의 외주부분이 대좌 (52) 의 표면에 형성된 V 홈 (Dv) 과, 누름부재 (54) 의 대좌 (2) 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된 V자형상의 돌기 (Cv) 에 끼워지는 결과,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에서는, 대좌 (52) 상에 탑재한 돌출부재 (53) 상에 탄성체막 (32) 을 탑재하고, 누름부재 (54) 를 대좌 (52) 에 대하여 조여가는 간단한 조작으로 탄성체막 (32) 을 팽팽하게 당긴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에서는, 돌출부재 (53) 의 외주에 단면에서 본 경우, 상측으로부터 하측이 넓어지는 경사면 (P3) 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사면 (P3) 은,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에서는, 중요한 요소로 되고 있으므로, 이 작용에 대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에서는, 돌출부재 (53) 의 외주에, 단면에서 본 경우, 상측으로부터 하측이 넓어지는 경사면 (P3) 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탄성체막 (32) 은 누름부재 (54) 방향으로 더욱 돌출됨으로써, 탄성체막 (32) 의 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당겨진 부분이, 대좌 (52) 의 표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홈 (Dv) 과, 누름부재 (54) 의 대좌 (52) 에 대향하는 표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Cv) 사이로 이행하기 쉽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출부재 (53) 의 경사면 (P3) 의 외경이 누름부재 (54) 의 중공 (h3) 의 내경 (D4) 보다 충분히 작은 관계에 있을 때에는, 탄성체막 (32) 은 돌출부재 (53) 의 경사면 (P3) 과, 누름부재 (54) 의 중공 (h3) 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 사이의 간극 (간격) 이 충분히 있기 때문에, 돌출부재 (53) 에 의해, 탄성체막 (32) 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당겨진 부분은, 이 간극 (간격) 을 통하여 대좌 (52) 의 표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V 홈 (Dv)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도된다.
또, 돌출부재 (53) 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 (P3) 은, 단면에서 본 경우, 상측으로부터 하측이 넓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돌출부재 (53) 에 의해, 탄성체막 (32) 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당겨진 부분은, 이 경사면 (P3) 의 표면을 따라 대좌 (52) 의 표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V 홈 (Dv) 방향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볼트 등의 조임수단 (55 …) 의 각각을 고정구멍 (h4 …), 및 고정구멍 (h6 …) 의 각각에 나사결합 등을 함으로써, 대좌 (52) 에 대하여 누름부재 (54) 를 조여감으로써 돌출부재 (53) 의 경사면 (P3) 의 외경이 누름부재 (54) 의 중공 (h3) 의 내경 (D4) 에 서서히 접근하고, 돌출부재 (53) 의 경사면 (P3) 과 경사면 (P3) 과, 누름부재 (54) 의 중공 (h3) 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 사이의 간극 (간격) 이 대략 탄성체막 (32) 의 두께 정도로 되면, 탄성체막 (32) 은 돌출부재 (53) 의 경사면 (P3) 과 누름부재 (54) 의 중공 (h3) 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상의 작용에 의해서도,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에서는, 대좌 (52) 상에 탑재한 돌출부재 (53) 상에 탄성체막 (32) 을 탑재하고, 그 후, 볼트 등의 조임수단 (55 …) 의 각각을 사용하여 누름부재 (54) 를 대좌 (52) 에 대하여 조여가는 간단한 조작으로 탄성체막 (32) 을 팽팽하게 당긴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볼트 등의 조임수단 (55 …) 의 각각을 사용하여 누름부재 (54) 를 대좌 (52) 에 대하여 조여가면, 돌출부재 (53) 의 외주의 경사면 (P3) 과, 누름부재 (54) 의 중공 내주면과의 간격이 서서히 좁아져 돌출부재 (53) 의 외주면 (P3) 과, 누름부재 (54) 의 중공 (h3) 의 내주면 사이에 단단히 끼워지기 때문에, 누름부재 (54) 를 대좌 (52) 에 조인 후에 탄성체막 (32) 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또,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에서는, 탄성체막 (32) 을 장착하면, 탄성체막 (32) 이 돌출부재 (53) 의 경사면 (P3) 과, 누름부재 (54) 의 중공 (h3) 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 사이와, 누름부재 (54) 의 대좌 (52) 에 대향하는 표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Cv) 와, 대좌 (52) 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홈 (Dv) 사이에 2 중으로 로크(lock)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누름부재 (54) 를 대좌 (52) 에 조인 후에 탄성체막 (32) 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탄성체막 (32) 을 형성할 때에, 이 탄성체막 장착구 (5) 에 의해 탄성체막 (32) 을 형성하도록 하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사용중에 탄성체막 (32) 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이들 장치의 정확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탄성체막 장착구 (5) 로의 탄성체막 (32) 의 장착작업이 종료되면,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막 (32) 이 장착된 탄성체막 장착구 (5) 의 누름부재 (54) 를 통형상체 (31) 의 하부 (31b) 에 기밀하게 장착하고, 대좌 (52)를 분산실 (33) 의 상부 (33a) 에 기밀하게 장착한다.
또,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재료 반출 밸브 (34) 는, 통형상체 (31) 의 상부 통상부 (31p1) 내에 설치되어 있고, 재료 반출 밸브 (34) 는, 후술하는 레벨 센서 (36) 의 정보에 의거하여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를 개폐함으로써, 분체저장호퍼 (2) 내에 저장된 활택제 (분말) 의 반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통형상체 (31) 의 하부 통체부 (31p2) 는 투명한 수지로 제조되어 있다. 보다 특정적으로 설명하면, 하부 통체부 (31p2) 는 예컨대 유리,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의 광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통체부 (31p2) 에는, 하부 통체부 (31p2) 의 탄성체막 (32) 상에 퇴적 저장하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을 검출하는 레벨센서 (36) 가 부설되어 있다.
레벨 센서 (36) 는, 적외선이나 가시광선 등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36a) 와,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 (36b) 를 구비한다. 발광소자 (36a) 와 수광소자 (36b) 는 하부 통체부 (31p2) 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벨 센서 (36) 를 설치하는 위치 (탄성체막 (32) 으로부터 레벨 센서 (36) 가 설치되는 위치의 높이 ; Hth) 에서 하부 통체부 (31p2) 내의 탄성체막 (32) 상에 퇴적 저장되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하부 통체부 (31p2) 내의 탄성체막 (32) 상에 퇴적 저장되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이 레벨 센서 (36) 를 설치하는 위치 (탄성체막 (32) 으로부터 레벨 센서 (36) 가 설치되는 위치의 높이 ; Hth) 를 초과하면,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된 광이 활택제 (분말) 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소자 (36b) 로 수광할 수 없게 되므로 (오프로 됨), 이 때 하부 통체부 (31p2) 내의 탄성체막 (32) 상에 퇴적 저장되는 활택제 (분말) 의 탄성체막 (32) 상으로부터의 높이 (H) 가 높이 (Hth) 를 초과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H 〉Hth).
또, 하부 통체부 (31p2) 내의 탄성체막 (32) 상에 퇴적 저장되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이 레벨 센서 (36) 를 설치하는 위치 (탄성체막 (32) 으로부터 레벨 센서 (36) 가 설치되는 위치의 높이 ; Hth) 미만이 되면,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수광소자 (36b) 로 수광할 수 있으므로 (온으로 됨), 이 때, 하부 통체부 (31p2) 내의 탄성체막 (32) 상에 퇴적 저장되는 활택제 (분말) 의 탄성체막 (32) 상으로부터 높이 (H) 가 높이 Hth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H〈 Hth).
본 예에서는, 재료 반출 밸브 (34) 는 레벨 센서 (36) 의 검출값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을 닫거나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정량분무장치 (3) 를 구동하고 있는 동안, 레벨 센서 (36) 의 발광소자 (36a) 를 점등한 상태로 해 놓고,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소자 (36b) 로 수광할 수 없게 (오프로 됨) 되면, 재료 반출 밸브 (34) 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를 닫고,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소자 (36b) 로 수광할 수 있게 (온으로 됨) 하면, 재료 반출 밸브 (34) 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를 수광소자 (36b) 로 수광할 수 없게 될 (오프로 됨) 때까지 개방된 상태로 함으로써, 정량분무장치 (3) 를 구동하고 있는 동안, 하부 통체부 (31p2) 내의 탄성체막 (32) 상에 항상 대략 일정량의 활택제 (분말) 가 저장 퇴적되도록 되어 있다.
또, 분산실 (33) 은 그 내부에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선회류로 되기쉽도록 그 내부 형상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분산실 (33) 의 내부 형상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분산실 (33) 의 내부 형상은 그 내부에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선회류로 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되고, 그 내부 형상은 반드시 대략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예에서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는, 분산실 (33) 에는 그 하측의 위치에 분산실 (33) 내주면의 대략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배출구 (33e2) 는 분산실 (33) 의 상측 위치에 분산실 (33) 내주면의 대략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분산실 (33) 에 형성하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의 위치에 대하여 도 6 을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은 분산실 (33) 을 평면에서 본 경우의 , 분산실 (33) 에 형성하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의 위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a) 는 분산실 (33) 에 대한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의 바람직한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b) 는 분산실 (33) 에 대한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의 실질적인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6(a) 및 도 6(b) 의 각각에 곡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분산실 (33) 내에 발생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선회류의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분산실 (33) 내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선회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분산실 (33) 에 대하여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는 분산실 (33) 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 (도 6(a) 중 파선 Lt 로 나타내는 방향) 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를 참조).
그러나,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는 도 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산실 (33) 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는, 분산실 (33) 내에 지배적인 1 개의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는 한,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산실 (33) 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 (예컨대 도 6(b) 중, 파선 Lt 로 나타내는 방향) 과 등가인 방향 (즉 분산실 (33) 의 내주면의 접선방향 (예컨대 도 6(b) 중 파선 Lt) 에 평행인 방향) 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를 도 6(b) 중에 가상선 (Lc)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산실 (33) 의 중심선방향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분산실 (33) 내의 형상이 대략 원통형상인 경우에는, 어느 것이 지배적이라고도 할 수 없는 2 개의 선회류가 발생하므로, 이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은 분산실 (33) 내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고려한 경우에는, 그다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이어서, 분산실 (33) 에 형성하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와 배출구 (33e2) 의 위치관계에 대하여 도 7 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은 분산실 (33) 을 평면에서 본 경우의 분산실 (33) 에 형성하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와 배출구 (33e2) 의 위치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a) 는 분산실 (33) 에 대한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와 배출구 (33e2) 의 바람직한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7(b) 는 분산실 (33) 에 대한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와 배출구 (33e2) 의 실질적인 장착 가능 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 의 각각에 곡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분산실 (33) 내에 발생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선회류의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분산실 (33) 에 배출구 (33e2) 를 도 7(a)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 형성한 경우에는, 분산실 (33) 내에 발생하는 맥동공기진동파의 선회류의 방향 (공기의 진행방향) 과 역방향으로 배출구 (33e2) 가 형성되는 관계로 되어, 이 경우에는 배출구 (33e2) 에서의 공기에 분산시켜 유동화시킨 활택제 (분말) 의 배출효율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배출구 (33e2) 에서의 공기에 분산시켜 유동화시킨 활택제 (분말) 의 배출효율을 높게 하고싶은 경우에는, 도 7(b) 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배출구 (33e21) 또는 배출구 (33e22) 와 같이, 분산실 (33) 내에 발생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선회류의 방향과 순방향으로 배출구 (33e2)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중, 37 로 나타낸 부재장치는, 통형상체 (31) 내의 압력, 즉 장치 (1) 내의 압력을 확인하기 위해 설치된 압력 센서를 나타내고 있다.
또, 38 로 나타낸 부재장치는 발광소자 (38a) 와 수광소자 (38b) 를 구비하여 구성된 레벨 센서를 나타내고 있고, 본 예에서는 이 레벨 센서 (38) 에 의해, 분체저장호퍼 (2) 내에 저장된 활택제 (분말) 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부재장치 (37, 38) 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필수 구성부재는 아니다.
다음으로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적용예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8 은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구비하는 외부 활택식 타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구성도이다.
이 외부활택식 타정기 (A) 는,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와, 로타리형 타정기 (41) 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활택제 분무실 (61) 과, 활택제 분무실 (61) 에 의해 분무된 활택제 중, 여분의 활택제를 제거하는 활택제 흡인장치 (71) 와,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의 전체를 제어ㆍ총괄하는 연산처리장치 (81) 를 구비한다.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는 블로어(blower) 등의 압축공기원 (22) 과, 압축공기원 (22) 에 의해 발생된 압축공기를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로 변환시키는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를 구비한다. 또한, 도 8 중, 24 로 나타낸 부재장치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고, 전자 밸브 등으로 구성되며, 압축공기원 (22) 에 의해 발생된 압축공기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제어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압축공기원 (22) 과 유량제어장치 (24) 는 도관 (T3)에 의해 접속되고, 또 유량제어장치 (24) 와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는 도관 (T4) 에 의해 접속되고, 압축공기원 (22) 으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는 도관 (T3) 을 통하여 유량제어장치 (24) 에 공급되어, 유량제어장치 (24) 에 의해 소정 유량으로 조정된 후, 도관 (T4) 을 통하여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 중, 25 로 나타낸 부재장치는, 압축공기를 맥동공기진동파로 변환하는 회전 캠 (도 10 에 나타낸 회전 캠 (29) 을 참조) 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의 회전구동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와,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는 도관 (T1)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에 의해 발생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도관 (T1) 을 통하여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의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는, 도관 (T1) 의 일단 (T1a) 에 접속되고, 도관 (T1) 의 타단 (T1b)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분산실 (33) 의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에 접속되어 있다.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와, 활택제 분무실 (61) 은 도관 (T2)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로부터 배출되어 도관 (T2) 내에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혼화되어 분산된 활택제 (분말) 가 도관 (T2) 을 통하여 활택제 분무실 (61) 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로타리형 타정기 (41)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로타리형 타정기 (41)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로타리형 타정기 (41) 로는 통상적인 로타리형 타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즉, 이 로타리형 타정기 (41) 는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테이블 (44) 과, 복수의 상부 바 (42 …) 와, 복수의 하부 바 (43 …) 를 구비한다.
회전 테이블 (44) 에는 복수의 절구 (45 …) 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절구 (45 …) 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세트가 되는 상부 바 (42 …) 와, 하부 바 (43 …) 가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부 바 (42 …) 와 복수의 하부 바 (43 …) 와 복수의 절구 (45 …) 는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복수의 상부 바 (42 …) 는 캠 기구 (도시생략) 에 의해, 소정 위치에서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복수의 하부 바 (43 …) 도 캠 기구 (50) 에 의해 소정 위치에서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 중에 46 으로 나타낸 부재장치는 성형재료를 절구 (45 …) 의 각각 내에 충전하는 피드 슈를, 47 로 나타낸 부재장치는 절구 (45 …) 의 각각 내에 충전된 성형재료를 일정량으로 하기 위한 스크레이퍼 (scraper) 를, 또,48 로 나타낸 부재장치는 제조된 정제 (t) 를 배출 슈트 (49) 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정제배출용 스크레이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 중, R1 으로 나타낸 위치는, 활택제 분무 포인트이고,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에서는, 활택제 분무 포인트 (R1) 에 활택제 분무실 (61) 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활택제 분무실 (61) 은 회전테이블 (44)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회전테이블 (44), 복수의 상부 바 (42 …) 및 복수의 하부 바 (43 …) 가 회전함으로써, 활택제 분무실 (61) 에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절구 (45 …), 상부 바 (42 …) 및 하부 바 (43 …) 의 각각의 표면에, 활택제가 도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활택제 분무실 (61) 에서의 절구 (45 …) , 상부 바 (42 …) 및 하부 바 (43 …) 의 각각의 표면으로의 활택제의 도포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9 중, R2 로 나타낸 위치는 성형재료 충전 포인트이고, 성형재료 충전 포인트 (R2) 에서 피드 슈 (46) 에 의해, 절구 (45) 및 절구 (45) 내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는 하부 바 (43) 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공간내에 성형재료 (m) 가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9 중, R3 으로 나타낸 위치는 예비 타정 포인트이고, 예비 타정 포인트 (R3) 에서 절구 (45) 및 하부 바 (43) 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공간내에 충전되고, 스크레이퍼 (47) 에 의해 긁혀 깍임으로써, 소정 양으로 된 성형재료가 세트가 되는 상부 바 (42) 와 하부 바 (45) 에 의해 예비 타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9 중, R4 로 나타낸 위치는 본 타정 포인트이고, 본 타정 포인트(R4) 에서, 예비 타정된 성형재료가 세트가 되는 상부 바 (42) 와 하부 바 (45) 에 의해, 본격적으로 압축되어 정제 (t) 로 압축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9 중, R5 로 나타낸 위치는, 정제 배출 포인트 (R5) 에서 하부 바 (43) 의 상면이 절구 (45) 의 상단까지 삽입됨으로써, 절구 (45) 밖으로 배출된 정제 (t) 가, 정제 배출용 스크레이퍼 (48) 에 의해 배출 슈트 (49) 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를 구성하는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은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의 구성을,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를 중심으로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는 공기 공급 포트 (26a) 와, 공기 배출 포트 (26b) 를 구비하는 중공실 (26) 과, 중공실 (26) 내에 설치된 밸브 시트 (27) 와, 밸브 시트 (27) 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체 (28) 와, 밸브 시트 (27) 에 대하여 밸브체 (28) 를 개폐시키기 위한 회전 캠 (29) 을 구비한다.
공기 공급 포트 (26a) 에는 도관 (T4) 이 접속되어 있고, 또 공기 배출 포트 (26b) 에는 도관 (T1) 이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0 중, 26c 로 나타낸 부분은, 중공실 (26) 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압력 조정 포트를 나타내고 있고, 압력 조정 포트 (26c) 에는 압력 조정 밸브 (30) 가 대기와의 도통ㆍ차단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 (28) 는 축체 (28a) 를 구비하고, 축체 (28a) 의 하단에는 회전롤러(28b) 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의 장치 본체 (23a) 에는, 밸브체 (28) 의 축체 (28a) 를 기밀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축체 수용구멍 (h9) 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캠 (29) 은 내측 회전 캠 (29a) 과 외측 회전 캠 (29b) 을 구비한다.
내측 회전 캠 (29a) 및 외측 회전 캠 (29b) 의 각각에는 회전롤러 (28b) 의 대략 직경분의 거리를 두도록 하여, 소정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캠 (29) 은 활택제 (분말) 의 물성에 따라, 활택제 (분말) 가 혼화되어 분산되기 쉬운 요철 패턴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회전 캠 (29) 의 내측 회전 캠 (29a) 과 외측 회전 캠 (29b) 의 사이에는, 회전롤러 (28b) 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한, 도 10 중, ax 로 나타낸 부재는, 모터 등의 회전구동수단 (25) 의 회전축을 나타내고 있고, 회전축 (ax) 에는, 회전 캠 (29) 이 교환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에 의해, 도관 (T1)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관 (T1)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할 때에는, 먼저, 회전구동수단 (25) 의 회전축 (ax) 에, 활택제 (분말) 의 물성에 따라, 활택제 (분말) 가 혼화되어 분산되기 쉬운 요철 패턴을 갖는 회전 캠 (29) 을 장착한다.
다음에 공기원 (22) 을 구동함으로써 도관 (T3) 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도관 (T3) 내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유량제어장치 (24)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량제어장치 (24) 에 의해 소정 유량으로 조정된 후 도관 (T4) 에 보내지고, 도관 (T4) 으로 보내진 소정 유량의 압축공기는, 공기 공급 포트 (26a) 로부터 중공실 (26) 내로 공급된다.
또, 공기원 (22) 을 구동함과 동시에, 회전구동수단 (25) 을 구동함으로써, 회전구동수단 (25) 의 회전축 (ax) 에 장착한 회전 캠 (29) 을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회전 롤러 (28b) 가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구동되고 있는 회전 캠 (29) 의 내측 회전 캠 (29a) 과 외측 회전 캠 (29b) 의 사이에서 회전하고, 회전 캠 (29) 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 패턴에 따라 재현성 좋게 상하운동하는 결과, 밸브체 (28) 가 회전 캠 (29) 에 설치되어 있는 요철 패턴에 따라 밸브 시트 (28) 를 개폐한다.
또, 중공실 (26) 에 압력조정 포트 (26c) 나 압력 조정 밸브 (30)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력조정 포트 (26c) 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 조정 밸브 (30) 를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도관 (T1) 으로 공급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도관 (T1) 으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공급된다.
또한, 도관 (T1) 내로 공급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파장은, 회전 캠 (29) 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 패턴 및/또는 회전 캠 (29) 의 회전속도에 의해 적당히 조절된다. 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파형은 회전 캠 (29) 에 형성되는요철 패턴에 의해 조절할 수 있고,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진폭은, 공기원 (22) 의 구동량을 조절하거나, 유량제어장치 (24)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량제어장치 (24) 의 조절을 하거나, 압력조정 포트 (26c) 나 압력 조정 밸브 (30)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력조정 포트 (26c) 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 조정 밸브 (30) 를 적당히 조정하거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조절하는 것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1 은, 이상과 같은 조작에 의해 도관 (T1) 내로 공급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관 (T1) 내로 공급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는, 도 1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맥동공기진동파의 진폭의 산이 정압이고, 골이 대기압인 것과 같은 맥동공기진동파이어도 되고, 또, 도 1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맥동공기진동파의 진폭의 산과 골이 모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사용하여 활택제 분무실 (61) 에 활택제 (분말) 를 정량적으로 공급할 때에는, 먼저 분체저장호퍼 (2) 내에 활택제 (분말) 를 수용하고, 분체저장호퍼 (2) 의 재료투입구 (2b) 에 덮개체 (2c) 를 기밀하게 장착한다.
또,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의 회전구동수단 (25) 의 회전축 (ax) 에, 활택제 (분말) 의 물성에 따라 활택제 (분말) 가 혼화되어 분산되기 쉬운 요철 패턴을 갖는 회전 캠 (29) 을 장착한다.
다음에 공기원 (22) 을 구동함과 동시에,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의 회전구동수단 (25) 을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도관 (T1) 내로 원하는 유량, 압력, 파장, 파형인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한다.
도관 (T1) 내로 공급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로부터 분산실 (33) 내로 공급되고, 분산실 (33) 내에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회오리와 같은 소용돌이류와 같이 선회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로 되어 배출구 (33e2) 로부터 배출된다.
이 분산실 (33) 내에서 발생한 선회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는, 맥동공기진동파로서의 성질은 손실되지 않았기 때문에, 탄성체막 (32) 은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주파수, 진폭, 파형에 따라 진동한다.
레벨 센서 (36) 를 동작상태로 하면, 발광소자 (36a) 로부터 광이 조사되고,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된 광이, 수광소자 (36b) 에 의해 수광되고, 이 때에는,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에 설치되어 있는 재료 반출 밸브 (34) 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배출구 (2a) 를 개방한 상태로 하므로, 분체저장호퍼 (2) 내에 저정한 활택제 (분말) 는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로부터 통형상체 (31) 내로 배출되어 탄성체막 (32) 상에 퇴적된다.
탄성체막 (32) 상에 퇴적된 활택제 (분말) 가, 탄성체막 (32) 으로부터의 높이 (H) 가, 레벨 센서 (36) 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의 높이 Hth 를 초과하면,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된 광이, 탄성체막 (32) 상에 퇴적된 활택제 (분말) 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수광소자 (36b) 가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에 설치되어 있는 재료 반출 밸브 (34) 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배출구 (2a) 를 폐쇄한 상태로 하므로, 활택제 (분말) 는 탄성체막 (32) 으로부터 레벨 센서 (36) 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의 높이 (Hth) 로 될 때까지, 탄성체막 (32) 상에 퇴적된다.
다음으로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는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탄성체막 (32) 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예컨대, 분산실 (33) 내로 보내지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산인 상태로 되고, 분산실 (33) 내의 압력 Pr33 이 통형상체 (31) 내의 압력 Pr31 에 비하여 높아진 경우 (압력 Pr33 〉Pr31) 에는, 탄성체막 (32) 은 도 1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부가 상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탄성변형된다.
이 때, 관통구멍 (32a) 은 단면에서 본 경우, 관통구멍 (32a) 의 상측이 열린 대략 V자형상으로 되고, 이 V자형상으로 된 관통구멍 (32a) 내에 통형상체 (31) 내의 탄성체막 (32) 상에 저장된 활택제 (분말) 의 일부가 낙하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20 에 나타낸 탄성체막 (232) 의 동작과 동일하지만,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분산실 (33) 과 통형상체 (31) 사이에, 새로 바이패스관 (35) 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탄성체막 (32) 은 그 초기의 팽창 상태를 중립상태로 하고, 상하가 거의 균등한 진폭으로 상하 진동되므로 진동을 정밀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이 장치 (1) 에서는, 통형상체 (31) 와 분산실 (33) 사이의 공기유통로를 탄성체막 (32) 에 형성된 관통구멍 (32a) 과 바이패스관 (35) 의 2 계통으로 하고 있으므로, 공기는 유통되기 쉬운 쪽을 통하여 통형상체 (31) 와 분산실 (33) 의 사이를 흐른다.
즉, 도 1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막 (32) 의 관통구멍 (32a) 을 통하여, 분산실 (33) 로부터 통형상체 (31) 로 공기가 유입될 때에는, 바이패스관 (35) 내에 통형상체 (31) 로부터 분산실 (33) 로 흐르는 기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낸 미량 분체토출장치 (210) 와 같은 바이패스관 (35) 이 없는 것에 비하여, 탄성체막 (32) 의 관통구멍 (32a) 을 통하여 분산실 (33) 로부터 통형상체 (31) 로 공기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이어서 분산실 (33) 내로 보내지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그 진폭의 골로 향함에 따라, 분산실 (33) 내의 압력 (Pr33) 과, 통형상체 (31) 내의 압력 (Pr31) 이 같아지게 되기 (압력 Pr33=압력 Pr31) 위해서는 탄성체막 (32) 은 그 복원력에 의해 그 중앙이 상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때, 관통구멍 (32a) 의 형상도, 상측이 열린 대략 V자형상으로부터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지만, 관통구멍 (32a) 이 상측이 열린 대략 V자형상으로 되었을 때에, 관통구멍 (32a) 내에 낙하된 분체재료가 관통구멍 (32a) 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도 12(b) 참조).
이 장치 (1) 에서는, 통형상체 (31) 와 분산실 (3) 사이의 공기유통로를 탄성체막 (32) 에 형성된 관통구멍 (32a) 과 바이패스관 (35) 의 2 계통으로 하고 있으므로, 공기는 유통되기 쉬운 쪽을 통하여 통형상체 (31) 와 분산실 (33) 사이를흐른다.
즉, 도 1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막 (32) 의 관통구멍 (32a) 을 통하여, 통형상체 (31) 로부터 분산실 (33) 로 공기가 유입될 때에는, 관통구멍 (32a) 이 폐쇄되어도 바이패스관 (35) 을 통하여 통형상체 (31) 로부터 분산실 (33) 로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낸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와 같은 바이패스관 (35) 이 없는 것에 비하여, 분산실 (33) 의 압력과 통형상체 (31) 의 압력이 신속하게 평형상태로 된다.
이어서, 분산실 (33) 내로 공급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그 진폭의 골이 되어 분산실 (33) 의 압력이 낮아지면, 탄성체막 (32) 은 그 중앙이 하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탄성변형된다. 이 때 관통구멍 (32a) 은 단면에서 본 경우, 하측이 개방된 대략 V자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관통구멍 (32a) 이 대략 역V자형상으로 되었을 때에, 관통구멍 (32a) 내에 끼워져 있던 분체재료가 분산실 (33) 내로 낙하된다 (도 12(c) 참조).
분산실 (33) 내로 관통구멍 (32a) 내에 끼워졌던 분체재료가 배출될 때에, 이 장치 (1) 에서는, 통형상체 (31) 와 분산실 (33) 사이의 공기유통로를 탄성체막 (32) 에 형성된 관통구멍 (32a) 과 바이패스관 (35) 의 2 계통으로 하고 있으므로, 공기는 유통되기 쉬운 쪽을 통하여 통형상체 (31) 와 분산실 (33) 사이를 흐른다.
즉, 도 12(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막 (32) 이 그 중앙이 하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통형상체 (31) 의 체적이 커진 때에는, 바이패스관 (35) 을 통하여 분산실 (33) 로부터 통형상체로 (31) 로 공기가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관통구멍 (32a) 을 통한 분산실 (33) 로부터 통형상체 (31) 로 공기가 흘러들어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관통구멍 (32a) 을 통한 분체재료의 배출이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낸 미량 분체토출장치 (201) 와 같은 바이패스관 (35) 이 없는 것에 비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 장치 (1) 에서는, 분산실 (33) 내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한 때에, 통형상체 (31) 내의 압력과 분산실 (33) 내의 압력의 평형이 되는데 필요한 시간이 빨라져,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진동에 대하여 탄성체막 (32) 의 상하의 진동의 응답성이 우수하다. 그 결과, 관통구멍 (32a) 을 통하여 실행되는 분체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이 장치 (1) 에서는, 분산실 (33) 내로 낙하된 활택제 (분말) 는, 분산실 (33) 내를 선회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혼화되어 분산되고, 유동화되어, 배출구 (33e2) 로부터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와 함께 도관 (T2) 내로 보내진다.
도관 (T2)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혼화되어 분산된 상태에서 보내진 활택제 (분말) 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기력수송되고, 도관 (T2) 의 타단 (도 8 및 도 9 중에 나타낸 도관 (T2) 의 타단 (e2) 을 참조) 으로부터 활택제 분무실 (61) 내로 공급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탄성체막 (32) 의 관통구멍 (32a) 을 통하여 실행되는 분산실 (33) 내로의 활택제 (분말) 의 배출은,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가동시키고 있는 동안 반복 실행된다.
또,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정량분무장치 (3) 를 가동시키고 있는 동안, 레벨 센서 (36) 의 발광소자 (36a) 는 점등상태로 되어, 수광소자 (36b) 가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게 되면, 재료 반출 밸브 (34) 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를 개방하고, 수광소자 (36b) 가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지 않게 되면, 재료 반출 밸브 (34) 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를 폐쇄한 상태로 하는 동작에 의해, 탄성체막 (32) 상에 항상 대략 일정량 (레벨 센서 (36) 를 설치하는 위치 (탄성체막 (32) 으로부터 레벨 센서 (36) 가 설치되는 위치의 높이 (Hth)) 의 활택제 (분말) 가 존재하게 되어 있다.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탄성체막 (32) 의 그 중앙부를 진동의 복 (腹) 으로 하고, 외주부를 진동의 절 (節) 로 하는 상하방향의 진동은, 분산실 (33) 내로 공급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주파수, 진폭, 파형에 따라 일의적으로 진동한다. 따라서, 분산실 (33) 내로 공급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일정하게 하고 있는 한, 항상 일정량의 활택제 (분말) 가 탄성체막 (32) 의 관통구멍 (32a) 을 통하여 분산실 (33) 내로 정밀하게 배출되므로,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는 예컨대, 일정량의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무실 (61)) 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우수하다.
또,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는 분산실 (33) 내로 공급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주파수, 진폭, 파형을 제어하면, 목적으로 하는 장소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무실 (61)) 에 공급하는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을 함께 갖고 있다.
또한,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분산실 (33) 내에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는 선회류로 하고 있으므로, 분산실 (33) 내로 배출된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중에, 가령 응집된 입경이 큰 입자가 포함되었다고 하여도, 그 대부분은 분산실 (33) 내를 선회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빨려듬으로써, 작은 입경이 될 때까지 분산된다.
그 뿐만 아니라,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분산실 (33) 내에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는 선회류로 하고 있으므로, 분산실 (33) 은 사이클론과 동일한 분립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대략 소정 입경의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가 배출구 (33e2) 로부터 도관 (T2) 내로 배출된다. 한편, 응집된 입경이 큰 입자는 분산실 (33) 내의 하측의 위치를 계속 선회하여 분산실 (33) 내를 선회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빨려듬으로써, 소정 입경까지 분산된 후, 배출구 (33e2) 로부터 도관 (T2) 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사용하면, 목적으로 하는 장소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무실 (61)) 에 입경이 일치된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의 일정량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 도관 (T2) 내로 공급된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는 도관 (T2) 의 타단 (e2) 까지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기력수송되게 된다.
이에 의해,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도관 (T2) 내로 공급된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를 도관 (T2) 의 타단 (e2) 까지 일정 유량의 정상압공기에 의해 기력 수송되는 장치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도관 (T2) 내에서의 분체의 퇴적현상이나 도관 (T2) 내에서의 분체의 블로바이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분산실 (33) 의 배출구 (33e2) 로부터 도관 (T2) 내로 배출된 당초의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의 농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가 도관 (T2) 의 타단 (e2) 으로부터 배출되므로, 도관 (T2) 의 타단 (e2) 으로부터 분무되는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의 정량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가동시키고 있는 동안, 탄성체막 (32) 상에 항상 대략 일정량 (레벨 센서 (36) 를 설치하는 위치 (탄성체막 (32) 으로부터 레벨 센서 (36) 가 설치되는 위치의 높이 (Hth)) 의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이 존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탄성체막 (32) 의 관통구멍 (32a) 으로부터 배출된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의 배출량이 탄성체막 (32) 상에 존재하는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이 변동함으로써 변동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서도,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는, 예컨대 일정량의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무실 (61)) 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우수하다.
또,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사용하면, 분산실 (33) 내에 가령 대립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가 배출되었다고 하여도, 그 대부분이 분산실 (33) 내를 선회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빨려듬으로써, 소정 입경까지분쇄되어, 배출구 (33e2) 로부터 도관 (T2) 내로 배출되기 때문에, 분산실 (33) 내에 대립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가 퇴적되기 어렵다.
이에 의해,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정량분무장치 (3) 를 장시간 구동하여도 분산실 (33) 내에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가 퇴적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분산실 (33) 내를 청소하는 작업 회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에 장착한 경우에는,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를 사용하여 연속 타정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분산실 (33) 내를 청소하는 작업이 거의 필요없게 된다. 이 때문에,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를 사용하면, 외부 활택 정제 (정제의 내부에 활택제를 함유하지 않은 정제) 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탄성체막 (32) 을 도 3,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탄성체막 장착구 (5) 를 사용함으로써, 팽팽한 상태로 하고 있으므로, 탄성체막 (32) 의 느슨함이 원인이 되어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 (정량공급장치) 의 정량성이 저해되는 일도 없다.
다음으로 활택제 분무실 (61) 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 은 도 9 중 XIII-XIII 선을 따른 활택제 분무실 (61)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활택제 분무실 (61) 은 회전테이블 (44) 에 형성되어 있는 절구 (43 …) 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고 있고, 그 하면 (S61a) 과 상면 (S61b) 의 각각이 개구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활택제 분무실 (61) 의 기립벽 (W61) 의 상측에는,상부 바 (42 …) 의 회전궤도방향으로, 상부 바 (42 …) 를 활택제 분무실 (61) 내에 수용하기 위한 상부 바 수용 오목부 (61a) 가 필요에 따라 형성된다.
활택제 분무실 (61) 의 기립벽 (W61) 에는 도관 (T2) 의 선단 (e2) 이 접속되어 있고, 이 선단 (e2) 으로부터 활택제 분무실 (61) 내에 도관 (T2) 을 통하여 공급되어 오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혼화 및 분산된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가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와 함께 분무되도록 되어 있다.
또, 활택제 분무실 (61) 의 기립벽 (W61) 에는, 활택제 흡인장치 (71) 의 흡인수단 (72) 에 접속된 흡인 덕트 (T5) 의 일단 (e5) 이 접속되어 있고, 흡인수단 (72) 을 구동하면 이 일단 (e5) 으로부터 활택제 분무실 (61) 내에 분무된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중, 여분의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를 흡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활택제 분무실 (61) 은, 활택제 분무 포인트 (R1) 에 회전테이블 (44) 상에 회전테이블 (44) 에 형성된 절구 (45 …) 의 회전궤도에 위치하도록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활택제 분무실 (61) 의 하면 (S61a) 은, 회전테이블 (44) 에 표면 (S44) 상에 접하도록, 또한 회전테이블 (44) 을 회전시키면 회전테이블 (44) 의 표면 (S44) 이 하면 (S61a) 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다.
이 활택제 분무실 (61) 에서는, 상부 바 (42 …), 하부 바 (43 …) 및 절구 (45 …) 로의 활택제 (분말) 의 도포는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실행된다.
먼저 도관 (T2) 의 선단 (e2) 으로부터, 활택제 분무실 (61) 내에, 정압의 공기맥동파에 혼화하고 분산시킨 활택제 (분말) 를 분무한다. 또, 흡인수단(72) 의 구동량을 적당히 조절하여 흡인수단 (72) 을 구동함으로써, 활택제 분무실 (61) 내에 분무된 활택제 (분말) 중, 여분의 활택제 (분말) 를 흡인 덕트 (T5) 의 일단 (e5) 으로부터 흡인한다. 이에 의해, 활택제 분무실 (61) 내는 일정 농도의 활택제 (분말) 가 정압의 공기맥동파에 혼화되어 분산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회전테이블 (44), 상부 바 (42 …) 및 하부 바 (43 …) 를 동기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활택제 분무실 (61) 의 하측으로 보내지는 절구 (45) 내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는 하부 바 (43) 의 표면 (상면 ; S43) 및 절구 (45) 의 내주면 (S45) 의 하부 바 (43) 의 표면 (상면 ; S43 보다 윗부분 및 활택제 분무실 (61) 내로 보내지는 상부 바 (42) 의 표면 (하면 ; S42) 에 순차적으로 활택제 (분말) 가 도포된다.
이 활택제 분무실 (61) 에서는, 하부 바 (43) 의 표면 (상면 ; S43), 절구 (45) 의 내주면 (S45) 의 하부 바 (43) 의 표면 (상면 ; S43) 보다 윗부분 및 상부 바 (42) 의 표면 (하면 ; S42) 에 정압의 공기맥동파의 존재하에서, 활택제 (분말) 를 도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령 하부 바 (43) 의 표면 (상면 ; S43), 절구 (45) 의 내주면 (S45) 의 하부 바 (43) 의 표면 (상면 ; S43) 보다 윗 부분, 및/또는 상부 바 (42) 의 표면 (하면 ; S42) 에 여분의 활택제 (분말) 가 부착되었다고 하여도, 정압의 공기맥동파가 산측으로 되었을 때에, 하부 바 (43) 의 표면 (상면 ; S43) 이나, 절구 (45) 의 내주면 (S45) 의 하부 바 (43) 의 표면 (상면 ; S43) 보다 윗 부분이나, 상부 바 (42) 의 표면 (하면 ; S42) 에 여분으로 부착된 활택제 (분말) 가 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떨어진 활택제 (분말) 는 흡인 덕트 (T5) 의 일단 (e5) 으로부터 흡인되기 때문에, 하부 바 (43) 의 표면 (상면 ; S43), 절구 (45) 의 내주면 (S45) 의 하부 바 (43) 의 표면 (상면 ; S43) 보다 윗부분, 및 상부 바 (42) 의 표면 (하면 ; S42) 에 필요최소한의 활택제 (분말) 가 균일하게 도포된다.
다음으로 활택제 흡인장치 (71) 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 는 도 8 에 나타낸 활택제 흡인장치 (71) 의 부분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활택제 흡인장치 (71) 는 블로어 등의 흡인수단 (72) 과, 흡인수단 (72) 에 접속된 흡인 덕트 (T5) 를 구비한다.
흡인 덕트 (T5) 는 그 일단 (도 8 중에 나타낸 흡인 덕트 (T5) 의 일단 (e2) 을 참조) 은, 활택제 분무실 (61) 에 접속되어 있고, 도중에 2 개의 분기관 (T5a, T5b) 으로 되고, 또한 도중에, 1 개의 도관 (T5c) 에 합쳐진 후, 흡인수단 (72) 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관 (T5a) 에는, 흡인 덕트 (T5) 의 일단 (e2) 에 가까운 쪽부터 흡인수단 (62) 방향으로 전자밸브 등의 도관개폐수단 (v1) 과 광투과식 분체농도 측정수단 (63) 이 설치되어 있다.
광투과식 분체농도 측정수단 (73) 은 측정 셀 (74) 과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를 구비한다.
측정 셀 (74) 은 석영 등으로 제조되고, 분기관 (T5a) 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는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는 레이저 광선조사계 장치 (75a) 와, 레이저 광선조사계 장치 (75a) 로부터 조사되고, 피검출체에 의해 산란된 광을 수광하는 산란광 수광계 장치 (75b) 를 구비하고, Mie 이론에 의거하여 피검출체의 유량, 입경, 입도분포 및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레이저 광선 조사계 장치 (75a) 와, 산란광 수광계 장치 (75b) 는 측정 셀 (74) 을 사이에 두고 대략 대향배치되어 있고, 측정 셀 (74) 의 부분에서, 분기관 (T5a) 을 흐르는 분체 (본 예에서는 활택제 (분말)) 의 유량, 입경, 입도분포 및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분기관 (T5b) 에는 전자밸브 등의 도관개폐수단 (v2) 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관 (T5c) 에는 전자밸브 등의 도관개폐수단 (v3) 이 설치되어 있다.
활택제 흡인장치 (71) 를 사용하여, 활택제 분무실 (61) 내의 활택제 (분말) 의 농도를 조절할 때에는, 도관개폐수단 (v1) 과 도관개폐수단 (v3) 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도관개폐수단 (v2) 을 폐쇄한 상태로 하여, 흡인수단 (72) 을 구동한다.
또,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및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각각 구동함으로써, 도관 (T2) 의 선단 (e2) 으로부터,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혼화하고 분산시킨 활택제 (분말) 를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와 함께 활택제 분무실 (61) 내로 공급한다.
그러면, 활택제 분무실 (61) 내로 공급된 활택제 (분말) 의 일부는, 활택제 분무실 (61) 내로 보내지게 되고 있는 상부 바 (42 …) 의 각각의 표면 (하면 ;S42), 하부 바 (43 …) 의 각각의 표면 (상면 ; S43) 및 절구 (45 …) 의 각각의 내주면 (S45) 으로의 도포에 사용되지만, 여분의 활택제 (분말) 는 흡인 덕트 (T5) 의 일단 (e5) 으로부터 분기관 (T5a) 및 도관 (T5c) 을 통하여 흡인수단 (72) 으로 흡인된다.
이 때, 광투과식 분체농도 측정수단 (73) 을 구성하는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를 구동시킴으로써, 측정 셀 (74) 내, 즉 분기관 (T5a) 내를 흐르는 활택제 (분말) 의 유량, 입경, 입도분포 및 농도 등을 측정한다.
그리고,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의 측정값에 의거하여, 유량제어장치 (24) 의 조정량이나,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의 구동량을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활택제 분무실 (61) 내의 활택제 (분말) 의 농도 등을 조절한다.
또한, 이상과 같은 조작을 실행하면, 측정 셀 (74) 의 내주면에 활택제 (분말) 가 부착되고,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가 측정 셀 (74) 의 내주면에 부착된 활택제 (분말) 의 영향을 받아, 분기관 (T5a) 내를 흐르는 활택제 (분말) 의 유량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광투과식 측정장치 (65) 의 측정값으로부터, 측정 셀 (74) 의 내주면에 부착된 활택제 (분말) 의 영향분 (노이즈) 을 제거하는 보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장치 (A) 에서는, 측정 셀 (74) 의 내주면에 부착된 활택제 (분말) 의 영향분 (노이즈) 을 측정할 때에는, 흡인수단 (72) 을 구동한 상태로 유지하여, 도관개폐수단 (v1) 을 닫고, 도관개폐수단 (v2) 을 개방한 상태로 한다. 그러면, 흡인 덕트 (T5) 의 일단 (e5) 으로부터, 흡인 덕트 (T5) 내에 흡인된 활택제 (분말) 는, 분기관 (T5b)및 도관 (T5c) 을 통하여, 흡인수단 (62) 으로 흡인되고, 분기관 (T5a) 내로는 활택제 (분말) 가 통하지 않게 된다.
이 때,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를 구동시키면, 측정 셀 (74) 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영향분 (노이즈) 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측정 셀 (74) 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영향분 (노이즈) 의 측정값은, 예컨대 연산처리장치 (71) 의 기억수단에 일시 기억시킨다.
그 후, 흡인수단 (72) 을 구동시킨 상태로 유지하여, 도관개폐수단 (v1) 을 개방하고, 도관개폐수단 (v2) 을 폐쇄한 상태로 하여, 분기관 (T5a) 내에, 활택제 (분말) 를 통과시키도록 하여,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를 구동하고, 구동 셀 (74) 내를 통과하는 활택제 (분말) 의 유량 등을 측정하며, 미리 연산처리장치 (81) 의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있는 보정프로그램과, 측정 셀 (74) 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영향분 (노이즈) 의 측정값에 의거하여,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의 측정값으로부터, 측정 셀 (74) 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영향분 (노이즈) 을 제거한 보정값을 산출하고, 이 보정값에 의거하여 유량제어장치 (24) 의 조정량이나,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의 구동량을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활택제 분무실 (61) 내의 활택제 (분말) 의 농도 등을 조절한다.
또한, 도 8 에 나타낸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에서는, 연산처리장치 (81) 와 유량제어장치 (25) 사이가 신호선 (L1)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유량제어장치 (25) 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연산처리장치 (81) 와 회전구동수단 (25) 사이가 신호선 (L2) 에 의해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회전구동수단 (25) 의 회전축 (도 7 에 나타낸 회전축 (ax) 을 참조) 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에서는, 연산처리장치 (81) 와 흡인수단 (72) 사이가 신호선 (L3)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흡인수단 (72) 의 구동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연산처리장치 (81) 와 광투과식 분체농도 측정수단 (73 ; 보다 특정적으로 설명하면,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사이가 신호선 (L2)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를 구동하거나,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의 측정값을, 적당히 연산처리장치 (81) 의 기억수단에 기억하거나, 연산처리장치 (81) 의 기억수단에 미리 기억된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광투과식 측정장치 (75) 의 측정값에 의거하여, 흡인수단 (72) 의 구동량을 적당히 조절하거나,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의 구동량을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활택제 분무실 (61) 내의 활택제 (분말) 의 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연산처리장치 (81) 와 도관개폐수단 (v1) 사이가 신호선 (L5)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도관개폐수단 (v1) 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연산처리장치 (81) 와 도관개폐수단 (v2) 사이가 신호선 (L6)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도관개폐수단 (v2) 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연산처리장치 (81) 와 도관개폐수단 (v3) 사이가 신호선 (L7)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도관개폐수단 (v3) 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에서는, 연산처리장치 (81) 와 로타리형 타정기 (41) 사이가 신호선 (도시생략)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7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로타리형 타정기 (41) 의 구동과 정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연산처리장치 (81) 와 공기원 (22) 사이가 신호선 (도시생략)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공기원의 구동과 정지 및 구동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또, 연산처리장치 (81) 와 레벨 센서 (36) 사이가 신호선 (도시생략)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레벨 센서 (36) 의 구동과 정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레벨 센서 (36) 가 구동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벨 센서 (36) 를 구성하는 수광소자 (36b) 가 검지한 신호가 연산처리장치 (81) 로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연산처리장치 (81) 와 재료 반출 밸브 (34) 사이가 신호선 (도시생략)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재료 반출 밸브 (34) 는 상하로 이동하여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를 닫거나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벨 센서 (36) 가 구동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연산처리장치 (81) 가 수광소자 (36b) 로부터,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연산처리장치 (81) 는 재료 반출 밸브 (34) 에 대하여, 재료 반출 밸브 (34) 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재료 반출 밸브 (34) 는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 재료 반출 밸브 (34) 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면, 재료 반출 밸브 (34) 는 아래로 이동하고,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를 연 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또, 레벨 센서 (36) 가 구동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연산처리장치 (81) 가 수광소자 (36b) 로부터,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지 않게 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연산처리장치 (81) 는 재료 반출 밸브 (34) 에 대하여, 재료 반출 밸브 (34) 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재료 반출 밸브 (34) 는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 재료 반출 밸브 (34) 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면, 재료 반출 밸브 (34) 는 위로 이동하고, 분체저장호퍼 (2) 의 배출구 (2a) 를 폐쇄한 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 에 나타낸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를 사용하여, 외부 활택정 (정제의 내부에 활택제를 함유하지 않는 정제) 을 제조하는 외부 활택정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를 사용하여, 정제 (t) 를 제조할 때에는, 피드 슈 (46) 내에 정제 (t) 로 되는 성형재료를 충전한다. 외부 활택정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성형재료는 약효성분 (주약 또는 활성물질) 과, 활택제를 제외한 다른 첨가제 (부형제나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붕괴제나 안정화제나 보조제 등) 를 충전한다.
또,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구성하는 분체저장호퍼 (2) 내에 활택제 (분말) 을 수용하고, 분체저장호퍼 (2) 의 재료투입구 (2b) 에 덮개체 (2c) 를 기밀하게 장착한다.
다음에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의 회전구동수단 (25) 의 회전축 (도 10 에 나타낸 회전축 (ax)) 에, 사용하는 활택제 (분말) 를 물성에 따라 활택제 (분말) 가 혼화되고 분산되기 쉬운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요철 패턴을 갖는 회전 캠 (도 10 에 나타낸 회전 캠 (29)) 을 장착한다.
다음에,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 도관개폐수단 (v1) 에 도관 (T5a) 을 여는 신호를 송출하고, 또 도관개폐수단 (v3) 에 분기관 (T5c) 을 여는 신호를 송출한다. 또,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 도관개폐수단 (v2) 에 분기관 (T5b) 을 닫는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측정 셀 (74) 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영향분 (노이즈) 을 계측할 때에는, 도관개폐수단 (v3) 을 연 상태로 유지하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 도관개폐수단 (v1) 에 분기관 (T5a) 을 닫는 신호를 송출하고, 도관개폐수단 (v2) 에 분기관 (T5b) 을 여는 신호를 송출하여, 측정 셀 (74) 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영향분 (노이즈) 을 계측이 종료되면, 도관개폐수단 (v3) 을 연 상태로 유지하고,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 도관개폐수단 (v1) 에 분기관 (T5a) 을 여는 신호를 송출하고, 도관개폐수단 (v2) 에 분기관 (T5b) 을 닫는 신호를 송출한다.
그 후,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 흡인수단 (72) 에 대하여 흡입수단 (72) 의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흡인수단 (72) 은 미리 설정된 구동량으로 구동한다.
또,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 로타리형 타정기 (41) 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회전테이블 (44) 과 복수의 상부 바 (42 …) 와 복수의 하부 바 (43 …) 를 소정 회전속도로 동기시켜 회전시킨다.
또,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 공기원 (22) 에 대하여 공기원 (22) 의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공기원 (22) 은 미리 설정된 구동량으로 구동한다.
연산처리장치 (81) 로부터,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의 회전구동수단 (25) 에 대하여, 회전구동수단 (25) 의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회전구동수단 (25) 은 미리 설정된 구동량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로부터 도관 (T1) 내로 소정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공급되고, 도관 (T1) 내로 공급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로부터 분기관 (33) 내로 공급되고, 분산실 (33) 내에서 배출구 (33e2) 로 향하는 선회류로 된다.
분산실 (33)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공급되면, 탄성체막 (32) 이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상하로 반복 진동 (도 12(a), 도 12(b) 및 도 12(c) 를 참조) 함으로써, 탄성체막 (32) 의 관통구멍 (32a) 을 통하여, 하부 통형상체 (31p2) 내의 탄성체막 (32) 상에 저장ㆍ퇴적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가 분산실 (33) 내로 배출된다.
또한,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을 구동함으로써, 분체재료 분무장치 (1) 가 구동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에, 탄성체막 (32) 의 관통구멍 (32a) 으로부터탄성체막 (32) 상에 저장ㆍ퇴적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배출이 실행되어, 탄성체막 (32) 상에 저장ㆍ퇴적된 활택제 (분말) 의 양 (높이 (H)) 이 레벨 센서 (36) 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 (높이 Hth) 이하로 되면 (H〈 Hth),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수광소자 (36b) 에 의해 수광되기 때문에, 재료 반출 밸브 (34) 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분체저장호퍼 (32) 내에 저장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가 하부 통체부 (31p2) 내의 탄성체막 (32) 상으로의 배출이 실행되어, 탄성체막 (32) 상에 저장ㆍ퇴적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배출이 실행되고, 탄성체막 (32) 상에 저장ㆍ퇴적된 활택제 (분말) 의 양 (높이 (H)) 이 레벨 센서 (36) 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 (높이 Hth) 로 되어, 수광소자 (36b) 가 발광소자 (36a) 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지 않게 되면 재료 반출 밸브 (34) 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분체저장호퍼 (32) 로부터 하부 통체부 (31p2b) 로의 배출이 중단된다는 동작이 반복 실행되므로,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을 구동함으로써, 분체재료 분무장치 (1) 가 구동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 하부 통체부 (31p2) 내의 탄성체막 (32) 상에는 항상 대략 일정량의 활택제 (분말) 가 저장ㆍ퇴적된 상태로 유지된다.
분산실 (33) 내로 배출된 활택제 (분말) 는 분산실 (33) 내를 선회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혼화되어 분산되고 유동화되어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와 함께, 배출구 (33e2) 로부터 도관 (T2) 내로 배출된다.
또한 활택제 (분말) 중에 함유되는 응집된 대립의 것은, 분산실 (33) 내의 하측의 위치를 계속 선회하기 때문에, 응집된 대립 활택제 (분말) 가 도관 (T2) 내로 배출되는 일은 없다.
또, 응집된 대립활택제 (분말) 의 대부분의 것은, 혼분산실 (33) 내에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감겨져 분산실 (33) 내의 하측의 위치를 계속 선회하고 있는 동안에, 소정 입경의 입자로 분산된 후 도관 (T2) 내로 배출되기 때문에, 분산실 (33) 내에 대립활택제 (분말) 가 퇴적되는 현상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도관 (T2) 내로 배출된 활택제 (분말) 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기력 수송되고, 도관 (T2) 의 타단 (e2) 으로부터 활택제 분무실 (61)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와 함께 분무된다.
활택제 분무실 (61) 에 공급된 활택제 (분말) 는 활택제 분무실 (61)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부 바 (42 …) 의 각각의 표면, 하부 바 (43 …) 의 각각의 표면 및 절구 (45 …) 의 각각의 표면으로 분무된다.
그리고 활택제 분무실 (61) 내에 분무된 활택제 (분말) 중, 여분의 활택제 (분말) 는 흡인 덕트 (T5) 를 통하여 활택제 분무실 (61) 밖으로 흡인 제거된다.
이에 의해, 활택제 분무 포인트 (R1) 에서 상부 바 (42 …) 의 각각의 표면, 하부 바 (43 …) 의 각각의 표면 및 절구 (45 …) 의 각각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활택제 (분말) 가 균일하게 도포된다.
다음에 성형재료 충전 포인트 (R2) 에서 피드 슈 (48) 를 사용하여, 절구 (45) 및 절구 (45) 내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는 하부 바 (43)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성형재료를 순차적으로 충전한다.
절구 (45) 내에 충전된 성형재료는 스크레이퍼 (47) 에 의해 그 내용량이 일정량으로 된 후, 예비 타정 포인트 (R3) 로 보내지고, 예비 타정 포인트 (P3) 에서절구 (45) 내에 충전된 성형재료를 세트가 되는 상부 바 (42) 와 하부 바 (45) 에 의해 예비 타정된 후, 본 타정 포인트 (P4) 에서, 예비 타정된 성형재료를 세트가 되는 상부 바 (42) 와 하부 바 (45) 에 의해 본격적으로 압축되어 정제 (t) 로 된다.
이상에 의해 제조된 정제 (t) 는, 그 후 순차적으로 정제 배출 포인트 (R5) 로 보내지고, 정제 배출 포인트 (R5) 에서 정제 배출용 스크레이퍼에 의해 배출 슈트 (49) 로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작업자는 배출 슈트 (49) 로 배출된 정제 (t …) 를 관찰한다.
그리고, 정제 (t …) 에 스티킹 (sticking) 이나 캐핑이나 라미네이팅이 발생한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컨대 압축공기원 (22) 의 구동량이나 흡인수단 (72) 의 구동량 등을 적당히 조절하거나, 또는 유량제어장치 (24)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량제어장치 (24) 를 적당히 조절하고, 그리고 압력조정 포트 (26c) 에 압력 조정 밸브 (30)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력 조정 밸브 (30) 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활택제 분무실 (61) 내의 활택제 (분말) 의 농도가 높아지도록 조절하여, 제조되는 정제 (t …) 에 스티킹이나 캐핑이나 라미네이팅 등의 타정 장해가 발생하는 빈도를 저하시키도록 한다. 또한, 탄성체막 (32) 을 관통구멍 (32a) 의 크기가 큰 것으로 교체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를 사용하면, 종래, 공업적인 생산 베이스에서는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였던 외부 활택정을 공업적인 셍산 베이스에서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조되는 정제 (t …) 에, 스티킹이나 캐핑이나 라미네이팅 등의 타정장해가 발생은 하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정제 (t …) 의 조성을 분석하고, 정제의 조성중, 활택제의 양이 예정량에 비하여 많아지고 있는 경우에는, 예컨대 압축공기원 (22) 의 구동량이나 흡인수단 (72) 의 구동량 등을 적당히 조절하거나, 또는 유량제어장치 (24)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량제어장치 (24) 를 적당히 조절하고, 그리고 압력조정 포트 (26c) 에 압력 조정 밸브 (30)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력 조정 밸브 (30) 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활택제 분무실 (61) 내의 활택제 (분말) 의 농도를 낮아지도록 조절하고, 상부 바 (42 …) 의 각각의 표면, 하부 바 (43 …) 의 각각의 표면 및 절구 (45 …) 의 각각의 표면에, 도포되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을 일정하게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부 바 (42 …) 의 각각의 표면, 하부 바 (43 …) 의 각각의 표면 및 절구 (45 …) 의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정제 (t …) 의 각각의 표면에 전사되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이 일정해지도록 한다. 또한, 탄성체막 (32) 을 관통구멍 (32a) 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교체하여도 된다.
외부 활택정에 있어서는, 정제 (t …) 의 각각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는 정제 (t …) 의 붕괴성에 영향을 준다.
즉, 외부 활택정은, 내부 활택정 (정제를 압축성형할 때에 제조되는 정제에 스티킹이나 캐핑이나 라미네이팅 등의 타정 장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성형재료 중에 미리 활택제 (분말) 를 배합ㆍ분산한 것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정제) 에 비하여, 정제의 붕괴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외부 활택정이라고 하여도, 그 정제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이 많으면, 활택제 (분말) 는 발수성(撥水性)을 갖기 때문에, 정제 (t …) 의 각각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이 많으면, 활택제 (분말) 의 발수성이 원인으로, 정제 (t …) 의 붕괴속도가 느려지는 경향이 있으나,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에서는, 활택제 분무실 (61) 내의 활택제 (분말) 의 농도를 원하는 농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제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양이 적은 우수한 붕괴특성을 갖는 외부 활택정을, 제조되는 정제에 스티킹이나 캐핑이나 라미네이팅 등의 타정장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업적인 생산 베이스에서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이상의 조절 작업이 종료되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의 연산처리장치 (81) 의 기억부에 이상의 정제의 제조조건을 기억시킨다.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에서는,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 탄성체막 (32) 을 장착할 때에 탄성체막 장착구 (5) 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므로,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장시간 운전하여도 탄성체막 (32) 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의 연산처리장치 (81) 의 기억부에, 정제의 제조조건을 기억시키면, 연산처리장치 (81) 의 기억부에 기억시킨 정제의 제조조건에 따라, 원하는 외부 활택정을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에서는, 정제 (t) 를 제조하고 있는 동안, 적당히 광투과식 농도측정장치 (71) 에 의해 측정 셀 (72) 내를 통과하는 활택제 (분말) 를 모니터링함으로서, 활택제 분무실 (72) 내의 활택제 (분말) 의 농도 등을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 외부 활택식 타정기 (A) 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 셀 (74) 에 부착되어 있는 활택제 (분말) 의 영향분 (노이즈) 을 측정할 때에,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로타리형 타정기 (41) 및 흡인수단 (72) 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제를 생산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이상의 예에서는, 탄성체막 (32) 에는 관통구멍 (32a) 으로서, 슬릿 구멍이 하나 형성되어 있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탄성체막 (32) 은 관통구멍 (32a) 이 하나 형성된 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예컨대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수의 관통구멍 (32a …) 를 갖는 탄성체막 (32A) 을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또, 상기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를 구성하는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로서 회전 캠 (29) 을 회전시킴으로써, 밸브체 (28)를, 회전 캠 (29) 에 형성된 요철 패턴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고, 밸브체 (28) 에 의해 밸브 시트 (27) 를 개폐함으로써, 원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도관 (T1) 내로 공급하도록 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원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정확하게 도관 (T1)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고,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로서는, 예컨대 도 16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로타리형의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1A) 나, 도 17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로타리형의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1B) 를 사용하여도 된다.
도 16 에 나타낸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A) 는, 도 10 에 나타낸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와는,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의 구성이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당하는 부재장치에 대해서는 상당하는 참조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A) 의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A) 는 원통형의 통형상체 (92) 와, 통형상체 (92) 내의 중공실 (93) 을 대략 2 분할하도록, 통형상체 (92) 의 중심축을 회전축 (92a) 으로 하여, 회전축 (92a) 에 장착된 로타리 밸브 (93) 를 구비한다. 회전축 (92a) 은 전동모터 등의 회전구동수단 (도시생략) 에 의해,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통형상체 (92) 의 외주벽에는 도관 (T4) 과 도관 (T1) 이 소정 간격을 두고 접속되어 있다.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A) 를 사용하여, 도관 (T1) 내에 원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할 때에는, 압축공기원 (22) 을 구동하여 도관 (T3) 내에 소정의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유량제어장치 (24)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량제어장치 (24) 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도관 (T4) 내로 공급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또, 전동모터 등의 회전구동수단 (도시생략) 에 의해, 회전축 (92a) 을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 (92a) 에 장착된 로타리 밸브 (93) 를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예컨대, 로타리 밸브 (93) 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관 (T4) 과, 도관 (T1) 이 도통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압축공기원 (22) 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는 도관 (T4) 으로부터 도관 (T1) 으로 공급된다.
또, 예컨대 로타리밸브 (93) 가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관 (T4) 과 도관 (T1) 이 로타리밸브 (93) 에 의해 차단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통형상체 (92) 내의 로타리 밸브 (93) 에 의해 구분된 일측의 공간 (S1) 에는 도관 (T4) 으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이 공간 (S1) 에서는 공기의 압축이 실행된다.
또한, 통형상체 (92) 내의 로타리밸브 (93) 에 의해 구분된 일측의 공간 (S2) 에서는, 공간 (S2) 내에 축적되어 있던 압축공기가 도관 (T1) 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로타리 밸브 (93) 의 회전에 의해 반복 실행됨으로써, 도관 (T1)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보내진다.
다음으로 도 17 에 나타낸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B) 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7 은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B) 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7 에 나타낸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B) 는 도 10 에 나타낸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 와는,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B) 의 구성이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당하는 부재 장치에 대해서는 상당하는 참조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B) 의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B) 는 원통형의 통형상체 (102) 와, 통형상체 (102)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밸브체(103) 를 구비한다.
통형상체 (102) 는 일측단 (102e) 이 개구되고, 타측단이 덮개체 (102c) 에 의해 폐쇄된 구조로 되어 잇고, 그 측둘레면에는 흡기구 (102a) 와 송파구 (送波口 ; 102b) 를 구비한다.
흡기구 (102a) 에는 공기원 (22) 에 접속되는 도관 (T4) 이 접속되고, 송파구 (102b) 에는 분체재료용 정량공급장치 (1) 에 접속되는 도관 (T1) 이 접속된다.
또한, 도 17 중 102d 로 나타낸 부분은 회전 밸브체 (103) 를 중심에 접합시키는 회전축받이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회전 밸브체 (103) 는 중공 (h10) 을 갖는 원통형상을 하고 있고, 그 측둘레면 (S103) 에는 개구부 (h11) 가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 밸브체 (103) 는 일측단 (103e) 이 개구되어 있고, 타측단이 덮개체 (103c) 에 의해 닫힌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회전 밸브체 (103) 는 그 회전중심축에 회전축 (104) 이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 (104) 에는 전동모터 등의 회전구동수단 (도시생략) 이 접속되어 있고, 회전구동수단 (도시생략) 을 구동하면, 회전 밸브체 (103) 가 회전축 (104)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 밸브체 (103) 의 측둘레면 (S103) 의 외경은, 통형상체 (102) 의 내경에 대략 일치하고, 회전 밸브체 (103) 를 통형상체 (102) 내에 수용하고, 회전 밸브체 (103) 를 회전시키면, 회전 밸브체 (103) 의 측둘레면 (S103) 이 통형상체 (102) 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7 중의 103d 로 나타낸 부분은, 통형상체 (102) 의 덮개체 (102c) 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받이구멍 (102d) 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을 나타낸다.
회전 밸브체 (103) 는, 통형상체 (102) 내에 회전축 (103d) 을 회전축받이구멍 (102d) 에 장착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 (21B) 를 사용하여, 도관 (T1) 내에 원하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할 때에는, 공기원 (22) 을 구동하여 도관 (T1) 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또, 전동모터 등의 회전구동수단 (도시생략) 에 의해, 회전축 (104) 을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서, 회전 밸브체 (103) 를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예컨대 회전 밸브체 (103) 의 개구부 (h11) 가 송파구 (102b) 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관 (T4) 과 도관 (T1) 이 도통상태로 되고, 이 때, 도관 (T1) 으로 압축공기가 송출된다.
또, 예컨대 회전 밸브체 (103) 의 측둘레면 (S103) 이 송파구 (102b) 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관 (T4) 와 도관 (T1) 사이가 측둘레면 (S103) 에 의해 차단되므로, 이 때, 도관 (T1) 으로 압축공기가 송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동작이 회전 밸브체 (103) 의 회전에 의해 반복 실행됨으로써, 도관 (T1) 내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가 보내진다.
또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감쇠하는 성질을 고려한 경우에는,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장치로부터, 온/오프가 확실하게 바뀌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온/오프가 확실하게 바뀌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도 16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로타리형의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A) 나, 도 17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로타리형의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B) 보다도,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전 캠형의 맥동공기진동파 변환장치 (23)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서는, 분체저장호퍼 (2) 내에, 활택제 (분말) 를 저장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데,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는 활택제 분무용의 활택제 분무실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분체의 정량공급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사출성형기의 금형 근방 위치에 부설하여, 분체저장호퍼 (2) 내에 이형제 (분말) 를 저장하고, 사출성형기의 노즐 터치 공정, 몰드 클램핑된 금형내로 용융수지를 사출하는 사출공정, 금형내로 사출된 용융수지를 냉각하는 냉각공정, 및 금형을 열어 금형내에서 성형된 수지성형품을 꺼내는 분리공정의 사출성형 사이클에 있어서, 금형의 주형면에 수지성형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공정에 있어서, 금형이 열리고, 금형내에서 성형된 수지성형품을 분리한 직후에, 가동형 및 고정형 사이의 몰드 클램핑 에어리어내에, 로봇 수단 등에 의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분무구 (e2) 를 접근시켜, 가동형의 주형면 및 고정형의 주형면의 각각에 이형제 (분말) 를 분무하고, 그 후 가동형과 고정형 사이의 몰드 클램핑 에어리어내로부터, 분무구 (e2) 를 몰드 클램핑 에어리어밖으로 퇴피시키도록 한 사출성형 금형용의 이형제 분무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있다.
또,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분제저장호퍼 (2) 내에 식품, 수지, 화학물질 등의 각종 분체를 수용하면,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이와 같은 분체의 정량공급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효과에 대하여 실험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험은 이하의 방법으로 실행하였다.
먼저 도 1 에 나타낸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를 조립하였다.
이 때, 바이패스관 (35) 은 통형상체 (31) 와 분산실 (33) 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였다.
또, 바이패스관 (35) 을 통형상체 (31) 와 분산실 (33) 로부터 분리한 때에는, 통형상체 (31) 의 바이패스관 (35) 의 접속구멍 (31h) 을 마개체 (도시생략) 에 의해 닫을 수 있고, 또한 분산실 (33) 의 바이패스관 (35) 의 접속구멍 (33h) 을 마개체 (도시생략) 에 의해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분산실 (33) 의 배출구 (33e2) 에 소정 길이의 도관 (도시생략) 을 접속하고, 이 도관 (도시생략) 의 선단에 광투과식 농도측정장치를 접속하였다.
또,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분산실 (33) 의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 (33e1) 에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수단 (21) 을 접속하였다.
또,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에 활택제로서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 (일본약국방품) 을 분체저장호퍼 (2) 내에 수용하고, 그 후, 분체저장호퍼 (2) 의 재료투입구 (2b) 에 덮개체 (2c) 를 기밀하게 장착하였다.
다음에 레벨 센서 (36) 를 동작상태로 하고, 통형상체 (31) 의 탄성체막 (32) 상에 소정량의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을 퇴적시켰다.
다음에 맥동공기진동파 발생수단 (21) 을 구동함으로서, 분산실 (33) 내에 소정 압력 (본 예에서는 0.2㎫) 으로 소정 주파수 (본 예에서는 20㎐) 의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하고, 분산실 (33) 의 배출구 (33e2) 에 접속된 도관 (도시생략) 의 선단으로부터 분무되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 (일본약국방품) 의 분무량을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다음에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로부터 바이패스관 (35) 을 분리하고, 통형상체 (31) 의 바이패스관 (35) 의 접속구멍 (31h) 을 마개체 (도시생략) 에 의해 닫고, 또한 분산실 (33) 의 바이패스관 (35) 의 접속구멍 (33h) 을 마개체 (도시생략) 에 의해 닫는 것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분산실 (33) 의 배출구 (33e2) 에 접속된 도관 (도시생략) 의 선단으로부터 분무되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 (일본약국방품) 의 분무량을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8 에 나타낸다,
도 18 중, 실선으로 나타낸 꺽임선은, 바이패스관 (35) 을 장착한 경우의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분산실 (33) 의 배출구 (33e2) 에 접속된 도관 (도시생략) 의 선단으로부터 분무되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 (일본약국방품) 의 분무량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파선으로 나타낸 꺽임선은, 바이패스관 (35) 을떼어낸 경우의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분산실 (33) 의 배출구 (33e2) 에 접속된 도관 (도시생략) 의 선단으로부터 분무되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 (일본약국방품) 의 분무량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 (35) 을 장착한 경우의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분산실 (33) 의 배출구 (33e2) 에 접속된 도관 (도시생략) 의 선단으로부터 분무되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 (일본약국방품) 의 분무량과, 바이패스관 (35) 을 떼어낸 경우의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분산실 (33) 의 배출구 (33e2) 에 접속된 도관 (도시생략) 의 선단으로부터 분무되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 (일본약국방품) 의 분무량과 비교한 결과, 바이패스관 (35) 을 장착한 경우의 분체재료 분무장치 (1) 는 장치 (1) 를 기동한 직후부터, 소정량의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 (일본약국방품) 이 대략 일정한 비율로 분무되고, 경시적인 안정성 및 정량성의 면에서도, 바이패스관 (35) 을 떼어낸 경우의 분체재료 분무장치 (1) 의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 (일본약국방품) 의 분무에 비하여 우수하고, 또한 적은 에너지로 시간당 더욱 많은 양의 스테아린산마그네슘분말 (일본약국방품) 을 분산실 (33) 의 배출구 (33e2) 에 접속된 도관 (도시생략) 의 선단으로부터 분무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에 기재된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는,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에 바이패스관을 접속함으로써,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의 공기유통로를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바이패스관의 합계 2 계통으로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의 공기유통로를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바이패스관의 2 계통으로 하고 있으므로, 공기는 유통되기 쉬운 쪽을 통하여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를 흐른다.
따라서, 분산실내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했을 때에, 통형상체내의 압력과 분산실내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평형상태로 되고, 탄성체막은 초기의 팽창상태 위치를 중립위치로 하여,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진동에 대하여, 탄성체막이 거의 상하로 균등한 진폭으로 상하 진동하여 진동의 재현성 및 응답성이 우수하다. 그 결과, 탄성체막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실행되는 분체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실행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탄성체막 장착구에서는, 대좌상에 탑재한 돌출부재상에 탄성체막을 탑재하고,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여가면, 탄성체막은 돌출부재에 의해 누름부재방향으로 돌출된다. 그 결과, 탄성체막은 누름부재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탄성체막의 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당겨진다.
최초 동안에는 돌출부재에 의해, 당겨진 탄성체막은 돌출부재의 외주면과, 누름부재의 중공을 형성하는 면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대좌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 홈과, 누름부재의, 대좌를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의 사이에 끼워지게된다.
또한,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여가면, 탄성체막은 돌출부재에 의해 누름부재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돌출부재의 외주면과, 누름부재의 중공을 형성하는 면 (내주면)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돌출부재에 의해 누름부재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탄성체막의 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당겨지고, 대좌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 홈과, 누름부재의, 대좌를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사이에 끼워진 부분이, 대좌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 홈과 누름부재의, 대좌를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사이에 끼워진다.
이상에 의해, 이 탄성체막 장착구에서는, 대좌상에 탑재한 돌출부재상에 탄성체막을 탑재하고,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여가는 간단한 조작으로 탄성체막을 팽팽하게 당긴 상태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탄성체막 장착구에서는, 돌출부재의 외주에, 단면에서 본 경우, 상측으로부터 하측이 넓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누름부재방향으로 더욱 돌출됨으로써, 탄성체막의 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당겨진 부분이, 대좌의 표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V 홈과, 누름부재의, 대좌를 향하는 표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V자형상의 돌기 사이로 이행하기 쉽다.
이상에 의해서도, 이 탄성체막 장착구에서는, 대좌상에 탑재한 돌출부재상에 탄성체막을 탑재하고,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여가는 간단한 조작으로 탄성체막을 팽팽하게 당긴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누름부재를 대좌에 대하여 조여가면, 돌출부재의 외주의 경사면과, 누름부재의 중공 내주면의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므로, 누름부재의 외주면과, 누름부재의 중공 내주면 사이에 단단히 끼워지기 때문에, 누름부재를 대좌에 조인 후에 탄성체막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예컨대 장치에 다이어프램을 형성할 때나 분체재료 분무장치의 탄성체막을 형성할 때에, 이 탄성체막 장착구에 의해 탄성체막을 형성하도록 하면, 사용중에 탄성체막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장치의 정확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분체재료 분무장치에서는, 분산실내에 분산실의 하측의 위치로부터 대략 접선방향에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도입하고, 분산실의 상측의 위치로부터 대략 접선방향으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는 분산실내에서 분산실의 하측의 위치로부터 분산실의 상측의 위치를 향하여 소용돌이형으로 선회한다.
분산실내에서 분산실의 하측위 위치로부터 분산실의 상측의 위치로 향하여, 소용돌이형으로 선회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분산실은 사이클론과 동일한 분립기능을 갖는다.
이에 의해 탄성체막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분산실내에 응집된 대립 분체재료가 배출되어도, 이와 같은 응집된 대립 분체재료는 분산실의 하측 위치를 계속 선회하고 있기 때문에, 대립 분체재료가 도관의 타단으로부터 분무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분체재료 분무장치를 사용하면, 도관의 타단으로부터 입경이 일치된 일정량의 분체재료를 분무할 수 있다.
또, 응집된 대립 분체재료는 분산실내에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선회류에 빨려들어감으로써 소립 분체재료로 분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소정 입경으로 될 때까지 분쇄된 분체재료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의 선회류를 따라분산실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분산실내에 응집된 대립 분체재료가 응집되기 어렵다.

Claims (4)

  1. 분체재료를 저장하는 분체재료 저장호퍼와,
    상기 분체재료 저장호퍼의 재료배출구에 재료 반출 밸브를 통하여 장착된 정량분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재료 저장호퍼의 재료투입구에는 덮개체가 착탈 자유롭게 또한 기밀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정량분무장치는,
    상하에 개구부를 갖고, 분체재료 저장호퍼의 재료배출구에 기밀하게 접속된 통형상체와,
    상기 통형상체의 하부개구부에 통형상체의 저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관통구멍을 갖는 탄성체막과,
    상기 통형상체의 하부개구부에 탄성체막을 개재시켜 접속된 분리실을 구비하고,
    상기 분산실에는 분산실내에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를 공급하는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와,
    상기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로부터 분산실내로 공급된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탄성체막이 상하로 진동됨으로써, 상기 탄성체막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분산실내로 배출되고, 상기 분산실내로 공급되고 있는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혼화되어 분산된 분체재료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까지 정압의 맥동공기진동파에 의해 기력수송하는 도관이 접속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통형상체와 분산실 사이에 바이패스관을 접속한 분체재료 분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막은, 통형상체의 하부와 분산실의 상부 사이에 탄성체막 장착구를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막 장착구는,
    중공을 갖는 대좌 (臺座) 와,
    상기 대좌의 표면상에 기립하도록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외주보다 약간 큰 중공을 갖는 누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대좌의 표면에는, 상기 대좌에 형성된 중공 외측의 상기 돌출부재의 외주보다 외측의 위치에, 상기 대좌에 형성된 중공을 링형상으로 둘러싸듯이 형성된 V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대좌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상기 대좌의 표면에 형성된 V 홈에 끼워지도록, 또한 링형상의 V자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좌의 표면에 상기 돌출부재를 탑재하고,
    상기 돌출부재상에 상기 탄성체막을 탑재하고,
    상기 돌출부재 및 상기 탄성체막을 함께 덮도록 상기 누름부재를 상기 대좌에 대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탄성체막을 상기 돌출부재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그 내측에서 외주측으로 당긴 상태로 하고,
    상기 돌출부재에 의해 당겨진 탄성체막의 외주부분을, 상기 돌출부재의 외주와, 상기 누름부재의 중공을 형성하는 면 사이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대좌의 표면에 형성된 V 홈과, 누름부재의, 대좌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된 V자형상의 돌기의 사이에 끼우도록 하고,
    상기 대좌의 저면을 상기 분산실의 상부에 장착하고,
    상기 누름부재의 상면을 상기 통형상체의 하부에 장착한 분체재료 분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에는, 그 외주에 단면에서 본 경우 상측으로부터 하측이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분체 분무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공기진동파 공급구는 상기 분산실의 하부위치에, 상기 분산실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분산실의 상부위치에, 상기 분산실의 내주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체재료 분무장치.
KR1020027000180A 1999-07-08 2000-07-05 분체재료 분무장치 KR20020025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426499 1999-07-08
JPJP-P-1999-00194264 1999-07-08
PCT/JP2000/004462 WO2001003849A1 (fr) 1999-07-08 2000-07-05 Dispositif de pulvérisation d'une substance en poud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950A true KR20020025950A (ko) 2002-04-04

Family

ID=1632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180A KR20020025950A (ko) 1999-07-08 2000-07-05 분체재료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76361B1 (ko)
EP (1) EP1197265B1 (ko)
JP (1) JP3933931B2 (ko)
KR (1) KR20020025950A (ko)
AT (1) ATE411114T1 (ko)
AU (1) AU765239B2 (ko)
CA (1) CA2378261C (ko)
DE (1) DE60040538D1 (ko)
ES (1) ES2315235T3 (ko)
WO (1) WO2001003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2712B1 (en) 1997-07-21 2001-02-06 Inhale Therapeutic Systems Power fill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ir use
WO2003013836A1 (fr) * 2000-04-11 2003-02-20 Kikusui Seisakusho Ltd. Machine rotative de moulage par compression de poudre
US20040096495A1 (en) * 2000-12-08 2004-05-20 Yasushi Watanab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ablets
KR101159838B1 (ko) * 2002-06-27 2012-06-26 노바르티스 아게 분말 유동 조절 장치 및 그 조절 방법
DE10261292B4 (de) * 2002-12-27 2006-09-14 Eisenmann Maschinenbau Gmbh & Co. Kg Vorlagebehälter für pulverförmige Medien
DE10261276B4 (de) * 2002-12-27 2005-12-01 Eisenmann Maschinenbau Gmbh & Co. Kg Vorlagebehälter für pulverförmige Medien
DE102006004690A1 (de) * 2006-01-31 2007-08-02 Büh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iessen von Verzehrprodukten
JP5183089B2 (ja) * 2007-04-18 2013-04-17 株式会社不二製作所 研磨材定量供給装置
EP3272337A3 (en) * 2008-02-28 2018-02-14 AbbVie Inc. Tablets
US8767214B2 (en) * 2011-10-06 2014-07-01 Nordson Corporation Powder flow detection
ES2753989T3 (es) 2011-10-27 2020-04-15 Graco Minnesota Inc Crisol
AU2012328773B2 (en) 2011-10-27 2017-04-13 Graco Minnesota Inc. Sprayer fluid supply with collapsible liner
US8985400B2 (en) 2013-05-01 2015-03-24 Crystal-Mark, Inc. Micro particle flow facilitator
US8936416B2 (en) * 2013-05-01 2015-01-20 Crystal-Mark, Inc., A Swan Technologies Corporation Fluidized particle abrasion device with precision control
ES2472140B2 (es) * 2014-02-07 2015-01-29 Kerajet S.A. Método de proyección de sólidos sobre una superficie
US9796492B2 (en) 2015-03-12 2017-10-24 Graco Minnesota Inc. Manual check valve for priming a collapsible fluid liner for a sprayer
US9878511B2 (en) 2016-01-05 2018-01-30 Karltex Machine, Inc. Rubber bale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10343362B1 (en) * 2018-04-09 2019-07-09 Karltex Machine, Inc. Air-assisted rubber balers and baling methods
US11020924B2 (en) 2019-03-22 2021-06-01 Karltex Machine, Inc. Rail system for a travelling chute of a rubber baler and related baling methods
WO2020243438A1 (en) 2019-05-31 2020-12-03 Graco Minnesota Inc. Handheld fluid sprayer
US11471141B2 (en) * 2020-06-05 2022-10-18 Bmg Incorporated Powder spray device and medical adhesive excellent in self-decomposability and adhesiveness
CN112735861B (zh) * 2020-12-22 2022-05-03 扬州日精电子有限公司 一种全自动塑胶薄膜电容器喷金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07130B1 (ko) * 1962-05-12 1965-04-09
US3501097A (en) * 1966-12-29 1970-03-17 Metco Inc Powder feed device for flame spray guns
JPS4931468B1 (ko) * 1970-08-27 1974-08-22
US4462547A (en) * 1977-10-21 1984-07-31 Baltimore Paint & Chemical Co., A Division Of Dutch Boy, Inc. Method of applying marking lines to a road surface
JPH036759Y2 (ko) * 1985-10-28 1991-02-20
JPS6393532U (ko) * 1986-12-10 1988-06-16
JPS63176564U (ko) * 1987-03-10 1988-11-16
US5400921A (en) * 1993-09-21 1995-03-28 Chem-Trend Incorporated Powdered lubricant applicator
US5407339A (en) * 1993-09-27 1995-04-18 Vector Corporation Triturate tablet machine
JP2681601B2 (ja) * 1993-11-01 1997-11-26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外部滑沢式打錠機
JP3402806B2 (ja) 1994-12-01 2003-05-06 株式会社東芝 身障者対応自動改札装置
US6302573B1 (en) * 1995-06-09 2001-10-16 Kyowa Hakko Kogyo Co., Ltd. Mixing method of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utilizing pulsating vibration air
JP3708291B2 (ja) * 1996-06-21 2005-10-19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微量粉体吐出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微量粉体噴霧方法
US5992772A (en) * 1996-07-29 1999-11-30 Chem-Trend Incorporated Apparatus for dispensing lubricating powder
JPH10329136A (ja) * 1997-05-28 1998-12-15 Kyowa Hakko Kogyo Co Ltd 造粒物の製造方法及び造粒物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97265B1 (en) 2008-10-15
AU765239B2 (en) 2003-09-11
ATE411114T1 (de) 2008-10-15
EP1197265A4 (en) 2006-11-15
CA2378261C (en) 2009-10-27
JP3933931B2 (ja) 2007-06-20
US6776361B1 (en) 2004-08-17
WO2001003849A1 (fr) 2001-01-18
EP1197265A1 (en) 2002-04-17
AU5847800A (en) 2001-01-30
DE60040538D1 (de) 2008-11-27
CA2378261A1 (en) 2001-01-18
ES2315235T3 (es)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5950A (ko) 분체재료 분무장치
US7766638B2 (en) Tablet production method and tablet production apparatus
US6814317B2 (en) Constant volume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delivering powder material
US4227835A (en) Apparatus for the metered supply of powder to a powder processing unit
JPH08189471A (ja) 小量の液を抽出適用するホースポンプ装置
RU2742281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орошка для подачи покровного порошка к порошковому аппликатору, установка нанесения порошкового покрытия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подачи порошка
US509062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very thin mist of power and controls for producing thin mist of power
MY106813A (en) An ultrasonic devic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articles.
GB2540165A (en) Humidifying apparatus
GB2540166B (en) Humidifying apparatus
GB2540164A (en) Humidifying apparatus
JP2008149036A (ja) 散薬調剤機
JP4390909B2 (ja) 弾性体膜取付具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材料噴霧装置
JP2001019088A (ja) 粉体材料貯蔵用ホッパー、粉体材料用定量フィーダ装置及び粉体材料噴霧装置
JP4533488B2 (ja) 定量排出型ホッパー
JP2003071831A (ja) スクリュ式押出機のガス抜き装置
KR20190105780A (ko) 수지 여과 시스템
JP2009149376A (ja) 粉末容器から粉末導管に粉末状媒体を運搬するための供給装置
JP3862141B2 (ja) 粉体材料の吐出装置及び粉体材料の吐出方法
RU2093196C1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генератор аэрозоля
SU584189A1 (ru) Микродозатор порошк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0229297B1 (ko) 분말체 공급 장치
JP2021533006A (ja) ポリマー押し出し装置用の超音波装置
SU1077648A1 (ru) Дозирующий эжектор
SU605691A1 (ru) Питатель дл подачи порошк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