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944A -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944A
KR20020025944A KR1020020013403A KR20020013403A KR20020025944A KR 20020025944 A KR20020025944 A KR 20020025944A KR 1020020013403 A KR1020020013403 A KR 1020020013403A KR 20020013403 A KR20020013403 A KR 20020013403A KR 20020025944 A KR20020025944 A KR 20020025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strument panel
speed
light source
instru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허수영
이창헌
Original Assignee
안정구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구,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안정구
Priority to KR102002001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5944A/ko
Publication of KR2002002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944A/ko
Priority to JP2002191652A priority patent/JP3727287B2/ja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8Pointers of combined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속도나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의 충전레벨 등에 따라 지침을 소정각도 회전시킴과 아울러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지침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변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차량의 과속에 대한 운전자의 인지도를 높여 과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이고 경제속도로의 운전으로 불필요한 연료소비를 줄여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속도와 함께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엔진) 온도, 배터리의 충전 레벨과 이들의 위험수위를 계기판에 형성된 게이지(gauge)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 자체의 색상으로만 표시하도록 하여 계기판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mechanical ability type cluster for vehicle and its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속도나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의 충전레벨 등에따라 지침을 소정각도 회전시킴과 아울러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지침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 부착되는 계기판은 차량의 속도, 엔진의 회전수, 연료탱크의 연료 량, 냉각수(엔진) 온도 등과 같은 주행상태와 기타 차량 부속장치들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이를 쉽게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행을 유도하고, 사전정비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상태를 인식시켜 줌으로써 크고 작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야간 주행시 운전자가 보다 명확한 차량의 주행상태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므로 통상적인 계기판의 지침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될 필요성이 있다. 즉, 통상적인 차량의 계기판은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계를 비롯하여, 유압계, 연료계 및 수온계 등이 장착되어 있으며, 그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각종 문자 또는 숫자와 표시눈금을 나타낸 문자판 상에 각각의 지침이 설치되고, 그 배면에는 광원으로부터 투사된 빛을 지침쪽으로 반사하여 상기 지침을 통해 발광시키기 위한 프리즘과, 상기 지침을 회전시켜주기 위한 모터가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계기판은 점화스위치가 온(On)되면 일괄적으로 작동되고, 각종 계기들은 조명을 덮고 있는 캡의 색상이나 형광 특성에 따라 일정한 단일 색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세팅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일 색상만으로 표시되는 계기판은 장시간의 야간 주행시에 운전자의 시각적인 피로를 유발시키거나 지루함을 느끼게 하여 주의 부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각종 계기들의 지침 색상을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선택하여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미터클러스터 포인터 조명장치"가 특허출원 제96-31500호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포인터(지침) 조명장치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발광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와, 자동차의 전원과 상기 발광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조명선택 스위치와, 상기 발광부의 각 발광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되어 자동차의 전원/전압을 이 발광부의 구동전압으로 전압강하시켜 안정된 구동전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DC/DC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지침의 색상을 소정 발광다이오드의 색상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조명선택 스위치를 선택하여 상기 컨버터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소정의 트랜지스터가 온(On)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원하는 색상의 빛을 발산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발산되는 특정 색상의 빛이 프리즘을 통해 외부로 투사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색상의 지침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지침 조명장치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을 얻기 위해서는 그 개수만큼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어야 하고 그 개수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 및 부속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적 복잡성과 제작의 어려움은 물론이고, 발광다이오드의 증가에 따른 제작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며, 발광다이오드 자체의 색상이 다양하지 못하고 제한적이므로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색상의 지침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침의 색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어 단조로울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는 것이다.
한편, 삼색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동시에 각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다른 비율로 조정하는 색상 구현방식의 경우라 할지라도, 각 지침의 구조상 상기 각 광원의 빛을 공간상의 한 지점으로 집광되도록 하는 데에는 기술상 또는 제조상의 난점이 있어 균일한 색상을 표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관측 지점이 광원으로부터 멀리 있어야 하므로 제한된 공간 내에 상기의 기술을 구현하기에는 제한성이 있으며, 특히 차량의 계기판용 지침에 적용하기에 부적절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과속을 방지하고 안전운전을 도모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나 차량 내부의 계기판에 별도의 램프를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의 위험수위를 알려주고 있으나, 운전자의 인지도를 높이지 못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과속에 대한 운전자의 인지도를 높여 과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이고 경제속도로의 운전으로 불필요한 연료소비를 줄여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속도와 함께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엔진) 온도, 배터리의 충전 레벨과 이들의 위험수위를 계기판에 형성된 게이지(gauge)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 자체의 색상으로만 표시하도록 하여 계기판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예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에 장착된 여러 게이지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차량속도에 따른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엔진회전수에 따른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연료 량에 따른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서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른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서 배터리 충전량에 따른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속센서 2 : 엔진회전수센서
3 : 연료 수위센서 4 : 냉각수 온도센서
5 : 배터리 충전 레벨센서 6 : MCU(Main Control Unit)
7 : 구동부 8 : 계기판
9∼13 : 게이지 17 :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18 : 문자판 19 : 통공
20 : 프리즘21 : 연결부
22 : 수광부 23 : 투광부
24 : 제1반사부 25 : 원판부
30 : 광원A(적색광원) 31 : 광원B(녹색광원)
32 : 광원C(청색광원) 40 : 지침
41 : 제2반사프리즘 42 : 보스
43 : 집광렌즈 44 : 난반사 방지렌즈
45 : 캡 50 : 모터
51 : 축 연결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은, 차량의 속도,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와,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차량의 속도,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지침을 소정각도 회전시키고 R.G.B(Red.Green.Blue)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MCU(Main Control Unit) 및 상기 MCU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구동부를 통해 입력받아 지침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모터와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지침을 차량의 속도,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량, 배터리 충전레벨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R.G.B 광원을 포함하는 게이지들로 구성된 계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는 표면에 계기눈금이 형성되고 중앙에 구동용 축을 삽입하기 위해 통공이 형성된 문자판과, 상기 문자판의 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보스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빛을 굴절시키기 위한 반사프리즘이 구비된 투명체의 지침과, 상기 문자판의 배면쪽에 배치되어 측면으로부터 수광된 빛을 수직 굴절시켜 반사하고 상기 지침의 보스 내에 일체로 조립되는 프리즘과,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프리즘의 측면부에 원주상 등간격으로 근접 배치된 R.G.B 광원과, 상기 지침의 축선상의 문자판 배면에 배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프리즘 간에 개재되어 이들 양자간을 일체로 연결시켜주는 축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을 조명하기 위한 R.G.B 광원이 더 구비되고, 상기 R.G.B 광원은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차량속도를 인식한 MCU의 제어로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서로 다른 색상을 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속도 게이지의 지침을 적색이나 황색으로 점등시키거나 혹은 점등상태에서 점멸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기준속도를 차량의 주행속도에 의해 설정하되, 차량이 시속 100 Km 이상으로 소정시간(3분) 이상 지속적으로 주행하는 경우 고속도로나 전용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차량이 시속 100 Km 이하로 소정시간(3분) 이상 지속적으로 주행하는 경우 국도나 일반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 중 첫째 차속의 경우에는,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계기판에 위치한 각종 게이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바퀴에 장착된 차속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속도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경제속도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 예고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 이상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지침의 색상을 변환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차량속도는 외부 입력이나 차량속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엔진의 회전수의 경우에는,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계기판에 위치한 각종 게이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에 장착된 엔진회전수 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정상운전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과속운전 예고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과속운전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과속운전 이상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연료 량의 경우에는,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계기판에 위치한 각종 게이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연료탱크에 장착된 연료 수위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 량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 량이 소정의 정상수위 이상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 량이 소정의 부족수위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 량이 소정의 부족수위 이하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 또는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냉각수, 즉 엔진의 온도의 경우에는,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계기판에 위치한 각종 게이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계기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라디에이터에 장착된 냉각수 온도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냉각수의 현재온도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소정의 정상온도 이하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소정의 과열온도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소정의 과열온도 이상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배터리 충전레벨의 경우에는,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계기판에 위치한 각종 게이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충전 레벨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배터리에 잔류하는 충전 레벨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레벨이 소정의 정상레벨 이상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레벨이 소정의 부족레벨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레벨이 소정의 부족레벨 이하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을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MCU(6)에는 차속센서(1)와 엔진회전수센서(2), 연료수위센서(3), 냉각수 온도센서(4), 배터리 충전레벨 센서(5)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MCU(6) 내부 또는 이와 연결된 메모리에는 각 센서들(1∼5)의 출력을 분석하여 계기판(8)에 형성된 게이지들(9∼13), 즉 게이지를 이루는 모터와 3색의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MCU(6)의 출력단에는 구동부(7)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7)는 MCU(6)의 제어에 따라 통상적으로 운전자의 전면에 위치한 계기판(8)의 각 게이지(9∼13)를 이루는 모터와 R.G.B 광원, 즉 3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계기판(8)의 일 예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는 차량속도와 엔진회전수를 지침과 지침의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게이지(9)(10)가 배치되고, 그의 하단에는 연료 량이나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지침과 지침의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게이지(11∼13)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그 외에도 차량의 내부온도, 타이어 압력 등에 대한 게이지도 함께 배치할 수 있을뿐더러 해당 상황의 경고, 즉 위험수위를 알리기 위한 별도의 램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지침의 색상 변환만으로도 표시 가능함으로써 계기판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계기판(8) 자체를 조명하기 위한 R.G.B 광원을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R.G.B 광원을 외부 입력이나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차량속도를 인식한 MCU(6)의 제어로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서로 다른 색상을 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상태나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차량 내의 환경, 즉 계기판(8)의 색상을 변환할 수 있다.
도3은 상기한 계기판(8)에 배치된 게이지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지침(40)의 축을 중심으로 그 원주상의 등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 R.G.B 광원(30)(31)(32)을 구비하고 상기 R.G.B 광원(30)(31)(32)으로 하여금 서로 다른 시간대에 각각 소정의 시간만큼 발광되도록 온/오프 제어하여 이들 색상간에 눈의 잔상현상을 이용한 색의 조합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즉, 수광용 프리즘(20)이 일체로 구비된 지침(40)과, 상기 지침(40)의 축을 중심으로 그 원주상의 등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 3색의 광원A(30), 광원B(31) 및 광원C(32)와, 상기 각 광원(30)(31)(32)들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광원(30)(31)(32)들은 구동부(7)를 통해 MCU(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를 계기판 게이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표면에 계기눈금이 형성되고 중앙에 구동용 축을 삽입하기 위해 통공(19)이 형성된 문자판(18)과, 상기 문자판(18)의 통공(19)을 통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보스(42)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빛을 굴절시키기 위한 반사프리즘(41)이 구비된 투명체의 지침(40)과, 상기 문자판(18)의 배면 쪽에 배치되어 측면으로부터 수광된 빛을 수직 굴절시켜 반사함과 아울러 상기 지침(40)의 보스(42) 내에 일체로 조립되는 프리즘(20)과, 인쇄회로기판(17)에 연결되어 상기 프리즘(20)의 측면부에 원주상 등간격으로 근접 배치된 3색의 광원A,B,C(30)(31)(32)와, 상기 지침(40)의 축선상의 문자판(18) 배면에 배치되는 모터(50)와, 상기 모터(50)와 프리즘(20) 간에 개재되어 이들 양자 간을 일체로 연결시켜 주는 축 연결판(51)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프리즘(20)은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원판부(25)가 구비되고, 상기 원판부(25) 사이에 그 둘레를 따라 볼록하게 수광부(22)가 형성되며, 일측 원판부(25)의 외측으로는 상기 지침(40)의 보스(42) 내측으로 삽입되는 투광부(23)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다른 원판부(25)의 외측으로는 상기 축 연결판(51)을 삽입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1)의 내측으로는 상기 수광부(22)를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투광부(23) 쪽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침(40)의 보스(42) 내측에는 프리즘(20)의 반사부(24)에 의해 굴절된 빛이 상기 반사프리즘(41)쪽으로 투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집광렌즈(43)가 상기 프리즘(20)과 밀접하여 개재되어 있다.
상기 반사프리즘(41)의 외측에는 집광렌즈(43)를 통해 투사된 빛이 상기 반사프리즘(41)에 의해 한쪽 방향, 즉, 지침(40)의 몸체 방향으로만 반사될 수 있도록 다른 쪽 방향으로의 광 발산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난반사 방지렌즈(4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침(40)은 상기 반사프리즘(41)을 통해 반사된 빛이 몸체 쪽으로 집광될 수 있도록 그 지침축 단부를 감싸는 캡(45)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R.G.B 광원(30)(31)(32)은 통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Diode)를 사용하고, 상기 프리즘(20)의 수광부(22)에 근접 배치될 수 있도록 별도의 인출선을 마련하여 인쇄회로기판(17)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게이지를 이루는 지침의 발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3색 광원으로는 빛의 3원광에 해당하는 적색(광원A), 녹색(광원B) 및 청색(광원C)의 발광다이오드(30)(31)(32)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일정 주기에 대하여 상기 3색 광원(30)(31)(32)을 소정의 시간대만큼씩 분할한 후, 하나씩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함으로써 소정의 색상을 조합하게 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주기를 T라하고 각각의 광원들에 대한 분할시간을 t1, t2 및 t3라 할 때, 예컨데, 백색의 조합을 위해서는 적색-녹색-청색 광원을 MCU(6)에 의해 등 분할된 시간만큼씩 순차적으로 온/오프 제어하면 된다.
물론, 단일 색상인 적색만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점등주기T 동안 적색 광원(30)만을 작동시키면 되고, 하늘색과 같은 복합적인 색상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녹색-청색-적색을 순서대로 시간 간격을 달리하면서 온/오프 제어하면 된다. 단, 모든 경우에 있어서 동일 시간대에는 반드시 하나의 광원만이 점등되도록 해야 하며, 상기의 특정 색상 이외에도 MCU(6)에 의해 더욱 조밀하게 시간 분할을 하게 되면 훨씬 더 다양한 색상의 조합이 가능하다. 이것은 아날로그 제어가 아닌 디지털 제어방식으로서 부품 특성의 산포와 관계없이 제품의 균일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각 광원의 빛이 지침에 분포하는 정도가 다르더라도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이 동일 시간대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지침 색상이 균일하게 나타나게 되며, 운전자의시점이 상기 지침(40)과 근접하게 되더라도 균일한 색상으로 감지되는 것이다.
상기 3색 광원으로 지침의 색상을 변환하는 과정을 보면, R.G.B 광원(30)(31)(32)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투사되는 빛이 프리즘(20)의 수광부(22)를 통해 입사되어 반사부(24)에 의해 직각으로 굴절되고, 이 굴절된 빛은 프리즘(20)의 내부를 따라 진행하다가 투광부(23)를 통해 발산된 후 집광렌즈(43)에 의해 반사프리즘(41)쪽으로 굴절된다.
상기 반사프리즘(41)에서는 재차 굴절이 이루어져 지침(40) 몸체의 내측면에 의해 다시 한 번 굴절된 후 외부로 발산되며, 이때, 반사프리즘(41)의 외측에 배치된 난반사 방지렌즈(44)에 의해 지침(40) 몸체의 내측면 쪽으로만 빛의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고휘도로 발광하는 지침(40)을 형성하게 된다.
결국, 운전자는 주행 중에 균일하고도 선명하게 발광하는 지침(40)의 형상을 지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 내지 도8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계기판(8)의 게이지(9∼13), 즉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들을 MCU(6)의 제어로 차량의 속도,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에 따라 구동시키는 여러 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차량의 속도나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의 수치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범위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차종이나 차량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4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게이지(9), 즉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을 변환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MCU(6)는 차량의 바퀴에 장착된 차속센서(1)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현재속도를 인식(S11)하게 된다.
그 결과, 차량의 속도가 경제속도(0∼80Km)(S12)인 경우 MCU(6)는 모터의 구동시켜 지침을 차량의 현재속도에 대응되게 회전(S13)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S14)하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속도가 과속 예고범위(80∼100Km)(S15)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차량의 현재속도에 대응되게 회전(S16)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상태를 유지(S17)하도록 한다.
그리고, 차량의 속도가 과속(100∼120Km)(S18)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차량의 현재속도에 대응되게 회전(S19)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S20)하도록 한다.
하지만, 차량의 속도가 과속(120Km)(S18) 이상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차량의 현재속도에 대응되게 회전(S21)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S22)하도록 한다.
여기서,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지침의 색상을 변환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차량속도는 외부 입력이나 차량속도에 의해 조절 가능하며, MCU(6)는 조절된 기준 차량속도에 따라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지침의 색상을 변환하게 된다.
예를 들면, 차량이 시속 100 Km 이상으로 3분 이상 지속적으로 주행하는 경우 MCU(6)는 현재 차량이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지침을 적색 혹은 적색상태에서 점등시키기 위한 차량의 기준속도를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 적정하게 자동으로 다시 설정한다. 반면에 차량이 시속 100 Km 이하로 3분 이상 지속적으로 주행하는 경우 MCU(6)는 현재 차량이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가 아닌 국도나 일반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지침을 적색 혹은 적색상태에서 점등시키기 위한 차량의 기준속도를 국도나 일반도로에 적합하게 자동으로 다시 설정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에 따라 현재 운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판단하여 경제속도를 유지함으로써 과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경제속도로의 운전으로 불필요한 연료소비를 줄여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5는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게이지(9), 즉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을 변환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MCU(6)는 차량의 엔진에 장착된 엔진회전수 센서(2)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인식(S31)하게 된다.
그 결과, 엔진의 회전수가 정상운전 범위(0∼2000 rpm)(S32)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회전중인 엔진의 회전수에 대응되게 회전(S33)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S34)하도록 한다.
또한, 엔진의 회전수가 과속 예고범위, 즉 엔진이 정상운전보다는 빠르고 과속운전보다는 느린 상태(2000∼3500 rpm)(S35)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회전중인 엔진의 회전수에 대응되게 회전(S36)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상태를 유지(S37)하도록 한다.
그리고, 엔진의 회전수가 과속 범위, 즉 엔진이 과속으로 운전중인 상태(3500∼4500 rpm)(S38)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회전중인 엔진의 회전수에 대응되게 회전(S39)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S40)하도록 한다.
하지만, 엔진의 회전수가 과속, 즉 엔진이 과속운전 때보다 더 빠른 속도(4500 rpm)(S38)로 운전중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회전중인 엔진의 회전수에 대응되게 회전(S41)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S42)하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엔진의 운전상태를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에 의해 판단하고, 냉각수의 보충 및 교환시기, 더 나아가서는 엔진의 정비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6은 연료탱크의 연료 량에 따라 게이지(9), 즉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을 변환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MCU(6)는 차량의 연료탱크에 장착된 연료 수위센서(3)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 량을 인식(S61)하게 된다.
그 결과,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 량이 정상수위(15 리터)(S62)이상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연료 량에 대응되게 회전(S63)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S64)하도록 한다.
또한,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 량이 부족수위, 즉 정상수위(15 리터)보다는 낮고 부족수위(8 리터)보다는 높은 보충시기인 경우(S65)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연료 량에 대응되게 회전(S66)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상태를 유지(S67)하도록 한다.
하지만,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연료 량이 부족수위(8 리터)이하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연료 량에 대응되게 회전(S68)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 또는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S69)하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에 따라 운행중인 차량의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연료 량을 인식하고 연료 보충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7은 엔진, 즉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게이지(9), 즉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을 변환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MCU(6)는 차량의 라디에이터에 장착된 냉각수 온도센서(4)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냉각수의 현재온도, 즉 엔진의 현재온도를 인식(S71)하게 된다.
그 결과, 냉각수의 온도가 정상온도(85 ℃)(S72)이하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엔진의 현재온도에 대응되게 지침을 회전(S73)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S74)하도록 한다.
또한, 냉각수의 온도가 과열온도, 즉 정상온도(85 ℃)보다는 높고 과열온도(105℃)(S75)보다는 낮은 경고온도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엔진의 현재온도에 대응되게 회전(S76)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S77)하도록 한다.
하지만, 냉각수의 온도가 과열온도(105 ℃)(S75) 이상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엔진의 현재온도에 대응되게 회전(S78)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S79)하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에 따라 운전중인 차량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온도, 즉 차량의 엔진온도를 인식하고 냉각수의 보충 및 교환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8은 배터리의 충전레벨에 따라 게이지(9), 즉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을 변환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MCU(6)는 차량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충전 레벨센서(5)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배터리에 잔류하는 충전 레벨을 인식(S81)하게 된다.
그 결과, 배터리의 충전레벨이 정상레벨(12 V)(S82) 이상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배터리의 충전 레벨에 대응되게 회전(S83)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S84)하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의 충전레벨이 부족레벨, 즉 정상레벨(12 V)(S85)보다는 낮고 부족레벨(10 V)보다는 높은 교환시기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배터리의충전 레벨에 대응되게 회전(S86)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S87)하도록 한다.
하지만, 배터리의 충전레벨이 부족레벨(10 V)(S85) 이하인 경우 MCU(6)는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배터리의 충전 레벨에 대응되게 회전(S88)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S89)하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의 색상에 따라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에 잔류하는 충전레벨을 인식하고 배터리의 충전 및 교환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차량속도나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특정색상과 3 또는 4단계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색상과 여러 단계로의 변환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 및 이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과속에 대한 운전자의 인지도를 높여 과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이고 경제속도로의 운전으로 불필요한 연료소비를 줄여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속도와 함께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엔진) 온도, 배터리의 충전 레벨과 이들의 위험수위를 계기판에 형성된 게이지(gauge) 지침의 회전각도와 지침 자체의 색상으로만 표시하도록 하여 계기판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를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차량의 속도,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차량의 속도,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지침을 소정각도 회전시키고 R.G.B(Red.Green.Blue)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MCU(Main Control Unit); 및
    상기 MCU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구동부를 통해 입력받아 지침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모터와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지침을 차량의 속도, 엔진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량, 배터리 충전레벨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R.G.B 광원을 포함하는 게이지(gauge)들로 구성된 계기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는, 표면에 계기눈금이 형성되고 중앙에 구동용 축을 삽입하기 위해 통공이 형성된 문자판;
    상기 문자판의 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보스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빛을 굴절시키기 위한 반사프리즘이 구비된 투명체의 지침;
    상기 문자판의 배면쪽에 배치되어 측면으로부터 수광된 빛을 수직 굴절시켜 반사하고 상기 지침의 보스 내에 일체로 조립되는 프리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프리즘의 측면부에 원주상 등간격으로 근접 배치된 R.G.B 광원;
    상기 지침의 축선상의 문자판 배면에 배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프리즘 간에 개재되어 이들 양자간을 일체로 연결시켜주는 축 연결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을 조명하기 위한 R.G.B 광원이 더 구비되고, 상기 R.G.B 광원은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차량속도를 인식한 MCU의 제어로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서로 다른 색상을 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속도 게이지의 지침을 적색이나 황색으로 점등시키거나 혹은 점등상태에서 점멸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기준속도를 차량의 주행속도에 의해 설정하되, 차량이 시속 100 Km 이상으로 소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주행하는 경우 고속도로나 전용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차량이 시속 100 Km 이하로 소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주행하는 경우 국도나 일반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
  5.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계기판에 위치한 각종 게이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바퀴에 장착된 차속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속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경제속도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 예고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 이상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지침의 색상을 변환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차량속도는, 외부 입력이나 차량속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
  7.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계기판에 위치한 각종 게이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에 장착된 엔진회전수 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정상운전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과속운전 예고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과속운전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과속운전 이상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
  8.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계기판에 위치한 각종 게이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연료탱크에 장착된 연료 수위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 량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 량이 소정의 정상수위 이상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 량이 소정의 부족수위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 량이 소정의 부족수위 이하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황색 또는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
  9.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계기판에 위치한 각종 게이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라디에이터에 장착된 냉각수 온도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냉각수의 현재온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소정의 정상온도 이하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소정의 과열온도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소정의 과열온도 이상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
  10.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신호에 따라 계기판에 위치한 각종 게이지를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 량, 냉각수 온도, 배터리 충전레벨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충전 레벨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배터리에 잔류하는 충전 레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레벨이 소정의 정상레벨 이상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백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레벨이 소정의 부족레벨 범위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레벨이 소정의 부족레벨 이하이면 지침을 회전시키는 한편 R.G.B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계기판 게이지의 지침이 적색상태에서 점멸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의 구동방법.
KR1020020013403A 2002-03-13 2002-03-13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 KR20020025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403A KR20020025944A (ko) 2002-03-13 2002-03-13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
JP2002191652A JP3727287B2 (ja) 2002-03-13 2002-07-01 車両用人工知能型計器板およびその駆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403A KR20020025944A (ko) 2002-03-13 2002-03-13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364U Division KR200277887Y1 (ko) 2002-03-13 2002-03-13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944A true KR20020025944A (ko) 2002-04-04

Family

ID=1971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403A KR20020025944A (ko) 2002-03-13 2002-03-13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27287B2 (ko)
KR (1) KR2002002594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953B1 (ko) * 2003-08-18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속도감응식 컬러변경 클러스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727176B1 (ko) * 2005-12-07 2007-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온도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811919B1 (ko) * 2006-09-29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속방지를 위한 차량 최고속도제한장치
WO2009151253A2 (ko) * 2008-06-09 2009-12-17 Choi Jaegu 자동차 계기판
KR101255264B1 (ko) * 2011-10-18 2013-04-23 화남전자 주식회사 건설 중장비 차량의 계기장치의 후면조명장치 제어 시스템
KR20160070303A (ko) *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경신 차량 에어컨의 냉매량 표시장치
CN109263646A (zh) * 2018-08-03 2019-01-25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人工智能的安全驾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2325B2 (ja) * 2007-05-08 2012-08-15 矢崎総業株式会社 指針照明装置
JP5277035B2 (ja) * 2009-03-27 2013-08-28 矢崎総業株式会社 発光指針構造
JP6160402B2 (ja) * 2013-09-26 2017-07-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及び車両用表示方法
JP6434362B2 (ja) * 2015-04-27 2018-12-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乗り物の表示装置
KR102394832B1 (ko) 2017-07-11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티비티 통합관리 방법 및 커넥티드 카
WO2019236210A2 (en) 2018-06-08 2019-12-12 Franklin Fueling Systems, Llc Fuel station operations controller and method to control fuel station oper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258A (ko) * 1995-12-28 1997-07-22 전성원 차량의 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KR19980022968A (ko) * 1996-09-25 1998-07-06 배순훈 연료탱크내 연료량 표시방법
KR19980028816A (ko) * 1996-10-24 1998-07-15 김영귀 자동속도 제한 경고장치
KR19980067232U (ko) * 1997-05-20 1998-12-05 이관기 자동차 계기판의 지시계
KR19990026432A (ko) * 1997-09-24 1999-04-15 주종철 차량 계기판용 지침의 색상변환 장치
KR20010044986A (ko) * 1999-11-01 2001-06-05 류정열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경고 장치 및 방법
KR100327127B1 (ko) * 1999-09-13 2002-03-13 안정구 차량 계기판용 발광지침의 색변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258A (ko) * 1995-12-28 1997-07-22 전성원 차량의 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KR19980022968A (ko) * 1996-09-25 1998-07-06 배순훈 연료탱크내 연료량 표시방법
KR19980028816A (ko) * 1996-10-24 1998-07-15 김영귀 자동속도 제한 경고장치
KR19980067232U (ko) * 1997-05-20 1998-12-05 이관기 자동차 계기판의 지시계
KR19990026432A (ko) * 1997-09-24 1999-04-15 주종철 차량 계기판용 지침의 색상변환 장치
KR100327127B1 (ko) * 1999-09-13 2002-03-13 안정구 차량 계기판용 발광지침의 색변환장치
KR20010044986A (ko) * 1999-11-01 2001-06-05 류정열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경고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953B1 (ko) * 2003-08-18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속도감응식 컬러변경 클러스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727176B1 (ko) * 2005-12-07 2007-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온도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811919B1 (ko) * 2006-09-29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속방지를 위한 차량 최고속도제한장치
WO2009151253A2 (ko) * 2008-06-09 2009-12-17 Choi Jaegu 자동차 계기판
WO2009151253A3 (ko) * 2008-06-09 2010-03-11 Choi Jaegu 자동차 계기판
KR101255264B1 (ko) * 2011-10-18 2013-04-23 화남전자 주식회사 건설 중장비 차량의 계기장치의 후면조명장치 제어 시스템
KR20160070303A (ko) *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경신 차량 에어컨의 냉매량 표시장치
CN109263646A (zh) * 2018-08-03 2019-01-25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人工智能的安全驾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27287B2 (ja) 2005-12-14
JP2003267162A (ja) 200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9346A (en) Light-driven display device
KR970009793B1 (ko) 차량용 표시 장치
KR20020025944A (ko)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과 이의 구동방법
US20020140552A1 (en) Vehicle indicator unit having wowing and graduation lighting function
KR20000077430A (ko) 차량용 계기
US9581471B2 (en) Gauge with multiple color pointer tip
US4086812A (en) Display device
US20110241545A1 (en) Vehicle headlight alert system and method
KR200277887Y1 (ko) 차량용 인공지능형 계기판
CN201765242U (zh) 一种背光随车速变化的组合仪表
JPH10332438A (ja) 計器装置
JP2005091218A (ja) 車両用表示装置
US20060055630A1 (en) Chromatically enhanced display
CN1231371C (zh) 仪表板发光指示针装置及其颜色转换方法和装置
JP2004226364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0640198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교통 신호등
KR100327127B1 (ko) 차량 계기판용 발광지침의 색변환장치
JPH1026542A (ja) 自動車用デジタルメータ装置
JP2003165355A (ja) 車両用表示装置
JP3501202B2 (ja) 計器装置
US20020130885A1 (en) Color conversion method of light emitting pointer for vehicle dashboard, color conversion device therefor and light emitting pointer device using the same
JP4697358B2 (ja) 計器照明装置
JP2005326183A (ja) 表示装置
JP2004325652A (ja) 車両用インジケータ表示装置
JP3259789B2 (ja) 車両用計器の文字板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