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745A -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및통형상 용기 - Google Patents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및통형상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25745A KR20020025745A KR1020010059857A KR20010059857A KR20020025745A KR 20020025745 A KR20020025745 A KR 20020025745A KR 1020010059857 A KR1020010059857 A KR 1020010059857A KR 20010059857 A KR20010059857 A KR 20010059857A KR 20020025745 A KR20020025745 A KR 200200257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barrel
- sheet
- sealing
- st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5/00—Making tubes or pipes without using mand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8—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12—Flanged discs permanently secured, e.g. by adhesives or by heat-sea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separately from tubular body
- B65D5/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separately from tubular body with inset end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측판(1,2) 및 부착판(3)이 대향 대향 접은 자국(a,b)를 통해서 연접되어 있는 블랭크 시트(A)를 준비하고, 봉투부착하여 편평상태의 통(B)을 형성한다. 대향 접은 자국(a,b)를 접근시켜 통(B)을 부풀게 하고, 입체상태의 통(C)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종이 통용기 등의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2개의 대향 접은 자국에서 편평하게 접은 통으로부터 통형상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통형상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형상 용기에서는, 커피(coffee) 등의 자동판매기용의 대략 통형상의 종이컵(paper cup)이나, 포테이토칩(potato chips) 등의 식품류나 테니스볼(tennis ball) 등의 용구류를 포장한 원통형의 종이 통용기 등이 있다.
종래의 원통형의 종이 통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원주형상의 맨드릴(mandrel)에 시트(sheet)를 감는다. 이 후, 감긴 시트의 겹친부분에 접착제의 층을 개재시키고, 가압하므로서 접합하고, 시트를 중공의 통에 성형한다. 가압할 때, 가열하여도 좋고, 가열하지않아도 좋다.
다음에, 이 통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저판을 형성한다. 저판은, 이 개구보다 약간 큰 시트를 준비하고, 이것을 금형으로 오목형상으로 성형하므로서 형성된다. 형성된 저판은 통의 한쪽의 개구에 끼워넣는다. 이 후, 통의 내주면과 저판을 접합한다.
이어서, 통의 다른쪽의 개구에서 소정의 내용물을 충전한 후, 저판과 동일한 모양의 덮개판을 이 개구에 끼워넣어 접합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시트를 중공의 통에 성형하기 위한 원주형상의 맨드릴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통형상 용기를 제조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복수의 맨드릴을 회전체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부착한 기기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의 기구가 복잡하게 되고, 제조장치가 고가로 된다. 또한, 시트를 외형이 사각기둥(square pole)이나 육각기둥 등의 다각기둥형상인 중공의 통으로 성형하는 경우, 시트를 맨드릴에 감는, 즉 중공의 통의 내측을 맨드릴에 눌러 붙이는 것을 이 성형에 이용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대향 접은 자국에서 편평하게 겹친 통으로부터 통형상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통형상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로 사용되는, 편평상태의 통을 형성하는 블랭크 시트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블랭크 시트에서 형성되는 편평상태의 통의 측면도.
도 1c는, 도 1b의 편평상태의 통을 부풀게 하여 형성한 입체상태의 통의 상면도.
도 1d는, 도 1c의 입체상태의 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의 일부가 확대된 측면도.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의 통유지부의 구성 및 작동의 일예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의 통유지부의 구성 및 작동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의 통유지부의 구성, 및 저판 끼워넣기수단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의 통유지부의 구성, 및 덮개판 끼워넣기수단의 구성과 작동의 일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의 통유지부의 구성, 및 덮개판 끼워넣기수단의 구성과 작동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통형상 용기의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방법으로 준비되는 블랭크 시트의 평면도.
도 12b는, 도 12a의 블랭크 시트가 중앙부착되고, 편평상태의 통시트를 형성하고 있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봉지수단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방법에서 준비되는 블랭크 시트의 평면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부풀려진 통본체의 사시도.
도 15a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통형상 용기의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통형상 용기의 덮개부분과 기부가 분리한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통형상 용기의 덮개부분이 분리한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통형상 용기의 사시도.
도 17b는, 도 17a의 통형상 용기를 형성하는 블랭크 시트의 평면도.
도 17c는, 도 17a의 통형상 용기의 덮개부분이 열린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통형상 용기의 덮개부분이 열린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통형상 용기의 덮개부분이 열린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a는,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통형상 용기의 측면도.
도 20b는, 도 20a의 통형상 용기의 상면도.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는, 편평상태와 입체상태를 취하는 통으로 형성되는 통형상 용기(F)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
편평상태의 통(B)을 입체상태의 통(C)으로 하는 통형성수단과,
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를 봉지(封止)하는 제 1 봉지수단과,
입체상태의 통(C)의 다른쪽의 개구단부를 봉지하는 제 2 봉지수단과,
를 구비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는, 입체상태와,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으로 접어 개어진 편평상태를 취하는 통으로 형성되는 통형상 용기(F)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
입체상태의 통(C)에 접하고, 2개로 분리하는 내주면을 각각이 가지는 복수의 통유지부(12)와, 이들의 복수의 통유지부(12)를 주행시키는 통유지부 주행수단을 가지는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으로서, 통유지부(12)는, 상기 내주면이 분리되어 있는 개방상태와, 입체상태의 통(C)에 접하는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폐쇄상태를 취하고, 편평상태의 통(B)은, 통유지부(12)가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므로서, 입체상태의 통(C)으로 되고, 이 입체상태의 통(C)은,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되면서, 통유지부 주행수단에 의해 주행하게 되므로서 반송되는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과;
통공급수단(20)과; 저판 끼워넣기수단(30)과; 저부 시일수단(40)과;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과; 덮개부 시일수단(70)과; 용기송출수단(80)과; 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는, 입체상태와,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으로 접어 개어진 편평상태를 취하는 통으로 형성되는 통형상 용기(F)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
편평상태의 통(B)을 1매씩 공급하는 통공급수단(20)과;
입체상태의 통(C)에 접하고, 2개로 분리하는 내주면을 각각이 가지는 복수의 통유지부(12)와, 이들의 복수의 통유지부(12)를 주행시키는 통유지부 주행수단을 가지는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으로서, 통유지부(12)는, 상기 내주면이 분리되어 있는 개방상태와, 입체상태의 통(C)에 접하는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폐쇄상태를 취하고, 통유지부(12)가 개방상태인 때에, 편평상태의 통(B)이, 통공급수단(20)에 의해 2개로 분리되어있는 상기 내주면 사이에 공급되고, 공급된 편평상태의 통(B)은, 통유지부(12)가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므로서,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가 접근하여 입체형태의 통(C)으로 되고, 이 입체상태의 통(C)은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되면서, 통유지부 주행수단에 의해 주행하게 되므로서 반송되는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과;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된 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에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한쪽의 편측에서 저판(D)을 공급하여 끼워넣는 저판 끼워넣기수단(30)과;
저판(D)과, 저판(D)이 끼워넣어진 개구단부의 내면을 접합하여 시일하는 저부 시일수단(40)과;
상기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된 입체상태의 통(C)의 다른쪽의 개구단부에 상기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다른쪽의 편측에서 덮개판(E)을 공급하여 끼워넣는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과;
덮개판(E)과, 덮개판(E)이 끼워넣어진 개구단부의 내면을 접합하여 시일하는 덮개부 시일수단(70)과;
덮개부(E)를 시일한 후의 통형상 용기(F)를 통유지부(12)로부터 송출하는 용기송출수단(80)과;
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는, 상기 편평상태의 통(B)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조장치는, 이들의 2개의 측판을 각각 바깥쪽을 향해서 끌어당겨서, 2개의 측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인장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에서는, 상기 입체상태의 통(C)의 측면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유지부(12)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유지부(12)의 내주면의 평면은 입체상태의 통(C)의 측면에 접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은, 편평상태로 되어 있고, 부풀은 때 통형상으로 되는 통 시트를 공급하는 통 시트공급공정과,
통 시트를 부풀리고, 2개의 개구를 가지는 통본체를 형성하는 통형성공정과,
상기 통본체의 상기 개구의 한쪽을 봉지하는 제 1 봉지공정과,
상기 통본체의 내부에 내용물을 장전하는 내용물 장전공정과,
상기 통본체의 상기 개구의 다른쪽을 봉지하는 제 2 봉지공정과,
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 1 봉지공정과 상기 제 2 봉지공정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통본체의 상기 개구에 봉지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봉지부재 부착공정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봉지부재 부착공정은, 상기 통본체의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개구단부에 봉지부재를 끼워넣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봉지부재 끼워넣기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 1 봉지공정과 상기 제 2 봉지공정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봉지부재 부착공정의 후에 이어지는, 상기 봉지부재와 상기 통본체를 접합하는 봉지부재 접합공정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통 시트 공급공정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통 시트는, 각부 접은 자국(c)과 대향하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가지고, 또한 이들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에서 접어 겹쳐 편평상태로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통형성공정에서 통 시트를 부풀리고, 2개의 개구를 가지는 통본체를 형성하고, 이 통본체에 각부 접은 자국(c)을 따라 각부(d)를 형성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통 시트 공급공정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통 시트는, 대향하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에서 접어 개어져 편평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통형성공정은,
상기 통본체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 내면을 가지는 성형 형으로서, 이 형성 형은 형성면을 가지고 있는 2 이상의 형부분으로 분할되고, 이들의 형부분이 조합된 때 각각의 형성면이 조합되어 형내면이 형성되는 형성 형을 준비하는 공정과,
분할된 이들의 형부분에서 편평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통 시트의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과 외면을 둘러싸는 공정과,
분할되어 있는 이들의 형부분이 상기 형내면을 형성하도록 이들의 형부분을 통 시트에 접근시키고, 이들의 형부분중의 2개를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에 각각 눌러 대서 상기 통 시트의 상기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서로 접근시키므로서, 통 시트를 부풀리게 하는 공정과,
상기 형부분을 조합시켜서 형 내면을 형성하고, 이 형 내면에 부풀린 통 시트를 둘러싸고, 2개의 개구를 가지는 통본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관한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통 시트 공급공정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통 시트는, 상기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통해서 연속하여 있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을 가지고 있고, 상기 통형성공정은, 이들 2개의 측판을 각각 바깥쪽을 향해서 끌어당겨서, 2개의 측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공정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관한 통형상 용기는, 대향하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에서 접어 개어져 편평상태로 되어 있고, 이들의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서로 접근시키므로서 부풀린 때 통형상으로 되는 통 시트로 형성된 통본체(1401)를 가지고 있고, 이 통본체(1401)는 2개의 개구를 가지고 있고, 이들 2개의 개구는 봉지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관한 통형상 용기는, 상기 통본체(1401)의 2개의 개구에 각각 끼워넣어져 있는 봉재부재(D,E)를 더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15에 관한 통형상 용기에서는, 상기 통 시트는, 상기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과 각부 접은 자국(c)을 가지고 있고, 상기 통 시트가 편평상태로부터 부풀어져 통형상으로 되어 통본체(1401)를 형성할 때, 이 통본체(1401)에 각부 접은 자국(c)을 따라 각부(d)가 형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16에 관한 통형상 용기는, 상기 통형상 용기는 기부(1402)와 덮개부분(1403)을 가지고 있고, 기부(1402)와 덮개부분(1403)은 약화부분(1404a,1404b)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이 약화부분(1404a,1404b)에서 분리된 때 덮개부분(1403)이 개폐자유로이 되고, 덮개부분(1403)을 열었을 때, 통형상 용기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17에 관한 통형상 용기는, 덮개부분(1403)을 닫은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1405)를 더 가지고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를, 그 실시의 형태에 따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편평상태와 입체상태의 2개의 상태를 취하는 통으로 형성되는 통형상 용기를 제조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의해 통형상 용기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편평상태의 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편평상태의 통을 형성하는 블랭크 시트(blank sheet)(A)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b는, 블랭크 시트(A)로부터 형성되는 편평상태의 통(B)이다. 블랭크 시트(A)는, 측판(1)과, 측판(1)에 접은 자국(a)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측판(2)과, 측판(2)에 접은 자국(b)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부착판(margin)(3)을 가지고 있다. 편평상태의 통(B)은,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봉투부착(1매의 시트의 양단을 접합하여 통을 형성하는 형성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 장치에 사용하는 편평상태의 통(B)은, 상기 봉투부착이외에, 예를들면, 플라스틱 압출성형방식(plastic extrusion) 등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한 통형상체를 편평상태로 접어 겹쳐서 형성하여도 좋다.
블랭크 시트(A)의 재료는, 판형상의 종이, 종이컵에 사용하는 시트 등의 종이의 시트; 이들의 종이의 시트에 합성수지 시트(필름)이나 알루미늄박(aluminum foil)을 라미네이트(laminate)한 것; 합성수지 시트(필름)에 산화규소나 산화알루미늄이나 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산화물 증착층을 실시한 것; 합성수지의 층을 코팅한 복합재료; 종이를 사용하지않는 플라스틱필름(시트); 플라스틱필름(시트)에 알루미늄박을 라미네이트한 것; 무기산화물 증착층(가스 배리어(gas barrier)층)을 실시한 시트재료 등을 포함한다.
도 1b의 측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편평상태의 통(B)은, 상기 블랭크 시트(A)를 다음과 같이 봉투부착을 사용하여 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형성의 방법을 설명한다. 접은 자국(a,b)에서 측판(1)과 부착판(3)을 동일방향으로 접어 겹친다. 이 때, 측판(1)을 측판(2)상에 겹치고, 측판(1)의 단부와 부착판(3)을 중합한다. 중합한 부분(4)에는, 글루 시일제(glue), 풀(paste), 또는 접착제(self-adhesive) 등의 감압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를 개재한다. 중합한 부분(4)을 가열시키지않고 가압하므로서, 중합한 부분(4)을 접합하여 시일한다. 중합한 부분(4)에는 핫멜트 접착제(hot-melt adhesive), 열용융성 수지, 감열접착제 등을 개재시켜도 좋다. 이 경우, 중합한 부분(4)은 가열되고 가압된다.
이와같이 하여 형성된 편평상태의 통(B)은, 서로 대향하는 측판(1,2)과, 서로 대향하는 접은 자국(a,b)을 구비하고 있다. 편평상태의 통(B)이 종이의 시트가, 종이의 시트에 가공을 시행한 것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용물이 부착판(3)의 끝 가장자리에 직접 접촉하지않도록, 부착판(3)의 끝 가장자리를 보호하도록 가공(엣지 프로텍트(edge protect))을 부착판(3)에 따라 편평상태의 통(B)의 내측에 시행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가공은 액체를 수용하는 종이의 용기에서 잘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편평상태의 통(B)을 입체상태의 통(C)에 하는 조작의 1개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편평상태의통(B)의 외측에서 응력을 부여하여 부풀게 한다. 이 때,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이 접근하도록, 편평상태의 통(B)의 중심선(입체상태의 통(C)의 중심축에 대응)으로 향하는 방향의 힘(P)을 대향 접은 자국(a,b)에 각각 가한다.
이것에 의해, 도 1c 및 도 1d와 같이, 대향하는 측판(1,2)은 서로 이간하여 반통형상으로 된다. 이 결과, 편평상태의 통(B)은 입체상태의 통(C)으로 된다. 이 후, 입체상태의 통(C)의 양방의 개구단부에 각각 저부와 덮개판을 접합하여 시일한다.
입체상태의 통(C)이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서로 대향하는 대향 접은 자국(a,b)을 구비한 편평상태의 통(B)을 준비한다. 입체상태의 통(C)의 외형이 각기둥의 형태인 경우, 편평상태의 통(B)에는 입체상태로 된 때 각을 형성하는 부분에 접은 자국이 설정되어 있다. 입체상태의 통(C)의 횡단면의 형태가 예를들면, 정사각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등과 같이 짝수의 각을 가지고 정다각형인 경우, 이들의 접은 자국중에,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이 존재한다. 이것에 대하여, 입체상태의 통(C)의 횡단면의 형상이 예를들면, 정삼각형, 정오각형, 정칠각형 등과 같이 홀수의 각을 가진 정다각형인 경우, 각을 형성하는 접은 자국중에 서로 대향하는 접은 자국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는, 이들의 접은 자국중 어느 한개와 대향하는 접은 자국은 적어도 1개 더 설정된다. 각을 형성하는 접은 자국과 더 설정된 접은 자국이 용이하게 구부러지도록, 편평상태의 통(B)의 이들의 접은 자국의 부분은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는, 도 2~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편평상태의 통(B)을 1매씩 공급하는 통공급수단(20)과;
통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편평상태의 통(B)을 입체상태의 통(C)으로 하고, 이 입체상태의 통(C)을 유지하는 복수의 통유지부(12)와, 이들의 복수의 통유지부(12)를 주행시키는 통유지부 주행수단을 가지는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과;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된 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에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한쪽의 편측에서 저판(D)을 공급하여 끼워넣는 저판 끼워넣기수단(30)과;
저판(D)과, 저판(D)이 끼워넣어진 개구단부의 내면을 접합하여 시일하는 저부 시일수단(40)과;
상기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된 입체상태의 통(C)의 다른쪽의 개구단부에 상기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다른쪽의 편측에서 덮개판(E)을 공급하여 끼워넣는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과;
덮개판(E)과, 덮개판(E)이 끼워넣어진 개구단부의 내면을 접합하여 시일하는 덮개부 시일수단(70)과;
덮개부(E)를 시일한 후의 통형상 용기(F)를 통유지부(12)로부터 송출하는 용기송출수단(80)과;
를 구비하고 있다.
통유지부(12)는 통형성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저판 끼워넣기수단(30)과 저부 시일수단(40)은 제 1 봉지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과 덮개부 시일수단(70)은 제 2 봉지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제조공정은(도 2~도 4참조),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의 통유지부(12)를 개방동작하여, 편평상태의 통(B)을 통유지부(12)내에 순차 공급하는 통공급공정①과,
통유지부(12)를 폐쇄상태로 하고, 공급한 상기 편평상태의 통(B)을 입체상태의 통(C)으로 하는 통형성공정②와,
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에 저판(D)을 오목형상으로 성형하여 끼워넣는 저판 끼워넣기공정③과,
상기 개구단부와 끼워넣어진 저판(D)을 접합하고 시일하는 것에 의해 저부를 형성하는 저부 접합시일공정④와,
다른쪽의 개구단부측에서 입체상태의 통(C)내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내용물충전공정⑤와,
내용물을 충전한 입체상태의 통(C)의 다른쪽의 개구단부에 덮개판(E)을 오목형상으로 성형하고 끼워넣는 덮개판 끼워넣기공정⑥과,
통(C)의 다른쪽의 개구단부와 끼워넣어진 덮개판(E)을 접합하여 시일하므로서 덮개부를 형성하고, 내용물의 충전된 통형상 용기를 형성하는 덮개부 접합시일공정⑦과,
통 유지부(12)를 개방상태로 하고, 통형상 용기를 통 유지부(12)의 외측으로 송출하는 통형상 용기 송출공정⑧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의 제조공정에서는 여러가지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판 끼워넣기공정③ 및 저부 접합시일공정④의 순서와, 덮개판 끼워넣기공정⑥ 및 덮개부접합시일공정⑦의 순서와는 교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저판 끼워넣기수단(30), 저부 시일수단(40),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 및 덮개부 시일수단(70)의 배치는, 이 공정의 변경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또한, 내용물 충전공정⑤이후의 공정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제조장치로부터 내용물 충전수단(50),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 덮개부 시일수단(70)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통형성공정②와 저판 끼워넣기공정③의 사이에, 저판(D)이 끼워넣어지는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를 따뜻한 공기를 부는 등으로 가열하는 공정이나, 개구단부의 내주면에 핫멜트 접착제 등을 도포하는 공정을 설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조장치는 가열하는 수단이나 핫멜트 접착제 등을 도포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공정은 내용물 충전공정⑤와 덮개판 끼워넣기공정⑥의 사이에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저판 끼워넣기공정③에서 사용되는 저판 끼워넣기수단(30)에 의해, 저판(D)의 끼워넣기와 접합과 시일을 동시에 행하고, 저부 접합시일공정④에서 사용되는 저부 시일수단(40)에 의해 저부의 접합과 시일을 생략해도 좋다.
또한, 덮개판 끼워넣기공정⑥에서 사용되는 덮개판 끼워넣기수단(30)에 의해, 덮개판(D)의 끼워넣기와 접합과 시일을 동시에 행하고, 덮개부 접합시일공정⑦에서 사용되는 덮개부 시일수단(70)에 의해 덮개부의 접합과 시일을 생략해도 좋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통형성 유지반송수단(10)은, 본체프레임(frame)(f)과, 본체프레임(f)에 축지지(pivot)되는 스프로켓(chainwheel)(10a,10b)과, 스프로켓(10a,10b)사이에 현가(bridge)되어있는 체인(chain)(11)과, 입체상태의 통(C)을 유지하는 복수의 통유지부(12)를 가지고 있다. 스프로켓(10a,10b)은 펄스모터(pulse motor), 서보모터(servo motor) 등의 전동모터로 구동된다. 체인(11)에는 이들의 통유지부(12)가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통유지부(12)는 체인(11)을 따라 스프로켓(10a)으로부터 스프로켓(10b)으로 향해서 주행한다. 스프로켓(10b)에 도달한 통유지부(12)는 스프로켓(10a)으로 되돌린다. 통유지부 주행수단으로서 체인(11)대신에 복수의 통유지부(12)를 회전체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부착한 기기를 사용하여도 좋다. 통유지부(12)는, 통유지부(12)에 의해 입체상태의 통(C)이 유지된 때, 통유지부(12)가 주행하는 방향과, 이 통(C)의 축이 직교하도록, 체인(11)에 부착되어 있다. 통유지부(12)는 입체상태의 통(C)에 접하고, 2개의 분리하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통유지부(12)는, 이 내주면이 분리하는 개방상태와, 입체상태의 통(C)에 접하는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폐쇄상태를 취한다. 통유지부(12)는, 개폐액추에이터(open and close actuator)에 의해 개폐되고,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또는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된다. 개폐액추에이터는, 체인(11)의 스프로켓(10a)측의 부분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개폐액추에이터는, 체인(1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통유지부(12)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편평상태의 통(B)이 통공급수단(20)에 의해 2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내주면의 사이에 공급된다. 공급된 편평상태의 통(B)은, 통유지부(12)가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므로서, 2개의 대향 접은자국(a,b)이 접근하여 입체상태의 통(C)으로 된다. 이 입체상태의 통(C)은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되므로, 통유지부 주행수단에 의해 주행되므로서 체인(11)에 따라 반송된다.
통유지부(12)는, 그 상세는 후술하지만, 입체상태의 통(C)의 측판(1,2)에 접하는 통형성부와, 이것의 양측에 위치하는 저판형성부 및 덮개판형성부를 가지고 있다. 통형성부는 편평상태의 통(B)을 입체상태의 통(C)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저판형성부(덮개판형성부)는,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에 저판(덮개판)을 오목형상으로 성형하면서 끼워넣는데 사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통형성 유지반송수단(10)의 주행로(통유지부(12)가 주행하는 통로)의 편측, 상세하게 설명하면, 체인(11)의 스프로켓(10a)측의 부분의 측방에는 통공급수단(20)이 설치되어 있다.
통공급수단(20)은, 다수매의 편평상태의 통(B)을 평탄하게 쌓아 적재하는 집적부(21)(도 2 참조)와, 통유지부(12)가 개방상태로 될 때에 통유지부(12)의 내주면의 사이에 편평상태의 통(B)을 보내는 송입부(22)(도 2 및 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송입부(22)는, 예를들면 공기를 흡인하는 것을 이용하여 편평상태의 통(B)을 흡착하는 흡착기에 의해 흡착한다. 송입부(22)는, 개폐액추에이터에 의해 개방상태로 된 통유지부(12)의 측방으로 편평상태의 통(B)을 1매씩 취출한다. 송입부(2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통형성 유지반송수단(10)의 주행로에 평행한 방향(X)과, 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Y)과, 상하방향(Z)으로 움직일 수 있다.
통형성 유지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편측에는 저판 끼워넣기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저판 끼워넣기수단(30)은 통공급수단(20)의 스프로켓(10b)측에 배치되어 있다. 저판 끼워넣기수단(30)은, 복수의 저판(D)을 평탄하게 쌓아서 집적하는 집적부(31)와, 저판(D)을 오목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기위한 저판 끼워넣기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저판 끼워넣기부(32)는 저판(D)을 흡착하는 흡착기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집적부(31)는, 저판(D)이 하방으로 취출되도록 구성되어있지만, 저판(D)이 상방으로 취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집적부(31)에 집적된 저판(D)은, 저판 끼워넣기부(32)의 흡착기에 의해 흡착되고,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된 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저판(D)은, 저판 끼워넣기부(32)에 의해 통유지부(12)의 저판형성부에 밀어넣어진다. 이때, 저판(D)은 저판형성부와 저판 끼워넣기부(32) 사이에서 오목형상으로 성형된다. 성형된 저판(D)은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어진다.
저판 끼워넣기부(32)는, 집적부(31)로부터 저판(D)이 취출되는 위치와, 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사이에서 원호상에 따라(예를들면 90。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 이동은 소정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행해진다. 더욱이 저판 끼워넣기부(32)는, 개구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부터 입체상태의 통(C)의 내부로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저판(D)의 재료는 블랭크 시트(A)와 동일하게, 판상의 종이, 종이컵에 사용되는 시트 등의 종이의 시트; 이들의 종이의 시트에 합성수지 시트(필름)나 알루미늄박을 라미네이트한 것; 합성수지시트(필름)에 산화규소나 산화알루미늄이나 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산화물 증착층을 시행한 것; 합성수지의 층을 코팅한 복합재료; 종이를 사용하지않은 플라스틱필름(시트); 플라스틱필름(시트)에 알루미늄박을 라미네이트한 것; 무기산화물 증착층(가스 배리어(gas barrier)층)을 시행한 시트재료 등을 포함한다.
통형성 유지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저판 끼워넣기수단(30)이 배치되는 측에는 저부 시일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저부 시일수단(40)은 저판 끼워넣기수단(30)의 스프로켓(10b)측에 배치되어 있다. 저판 끼워넣기수단(30)에의해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어진 저판(D)은 저부 시일수단(40)에 의해 접합되고 시일된다. 저부 시일수단(40)은 초음파방식, 고주파방식, 전열방식 등에 의해 가열시일방식, 또는 비가열시일방식으로 접합과 시일을 행한다.
통형상 유지반송수단(10)의 주행로를 끼우고 저부 시일수단(40)의 반대측에는 내용물 충전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수작업으로 충전하는 경우에는, 내용물 충전수단(50)은 필요에 따라 배치되면 좋다.
내용물 충전수단(50)은, 내용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벨트(51)와, 컨베이어벨트(51)에 의해 반송된 내용물을 입체상태의 통(C)의 내부에 장전하는 에어 실린더(52)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에어 실린더(52)는 저부 시일수단(40)의 스프로켓(10b)측에 배치되지만, 저부 시일수단(40)에 대향하여도 좋다. 켄베이어벨트(51)는 본체프레임(f)에 축지지되는 스프로켓(51a,51b)에 현가되어 있다. 스프로켓(51a,51b)은 펄스모터, 서보모터 등의 전동모터로 구동된다. 스프로켓(51a,51b)은 스프로켓(10a,10b)과 동기하여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내용물은 통유지부(12)와 동기하여 반송된다. 반송된 내용물은 통형성 유지반송수단(10)의 주행로를 향해서 압출되고, 입체상태의 통(C)의 저판(D)과 반대측의 개구로부터 장전된다.
통형성 유지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내용물 장전수단(50)이 배치되는 측에는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은 에어 실린더(52)의 스프로켓(10b)측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은, 복수의 덮개판(E)을 평탄하게 쌓아서 집적하는 집적부(61)와, 덮개판(E)을 오목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를 끼워넣기위한 덮개판 끼워넣기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판 끼워넣기부(62)는 덮개판(E)을 흡착하는 흡착기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집적부(61)는, 덮개판(E)이 하방으로 취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덮개판(E)이 상방으로 취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집적부(61)에 집적된 덮개판(E)은, 덮개판 끼워넣기부(62)의 흡착기에 의해 흡착되고,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된 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덮개판(E)은, 덮개판 끼워넣기부(62)에 의해 통유지부(12)의 덮개판 형성부에 압입된다. 이 때, 덮개판(E)은 덮개판 형성부와 덮개판 끼워넣기부(62) 사이에서 오목형상으로 성형된다. 성형된 덮개판(E)은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어진다.
덮개판(E)의 재료는 블랭크 시트(A) 또는 저판(D)과 동일하게, 판형상의 종이, 종이컵에 사용되는 시트 등의 종이의 시트; 이들의 종이의 시트에 합성수지 시트(필름)나 알루미늄박을 라미네이트한 것; 합성수지 시트(필름)에 산화규소나 산화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등의 무기산화물 증착층을 시행한 것; 합성수지의 층을 코팅한 복합재료; 종이를 사용하지않은 플라스틱필름(시트); 플라스틱필름(시트)에 알루미늄박을 라미네이트한 것; 무기산화물 증착층(가스배리어층)을 시행한 시트재료 등을 포함한다.
통유지부(12)의 덮개판 형성부는 원형의 구멍이고, 덮개판 끼워넣기부(62)는 이 구멍에 끼워넣어진다. 끼워넣어진 때, 덮개판 형성부와 덮개판 끼워넣기부(62)의 사이에는 덮개판(E)의 두께 정도의 간격이 생긴다. 오목형상으로 성형되기 전의 덮개판(E)은 덮개판형성부의 구멍보다 크다. 덮개판(E)이 덮개판 끼워넣기부(62)에 의해 덮개판 형성부에 밀어넣어지면, 덮개판 형성부의 구멍으로부터 불거져나온덮개판(E)의 부분이 덮개판 형성부와 덮개판 끼워넣기부(62)의 사이의 간격에 끼워진다. 이 결과, 덮개판(E)은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후, 덮개판(E)은 덮개판 끼워넣기부(62)에 의해 더 밀어넣어지고,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어진다.
덮개판 끼워넣기부(62)는, 집적부(61)로부터 덮개판(E)이 취출되는 위치와, 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원호상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이 이동은 소정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행해진다. 더욱이 개구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입체상태의 통(C)의 내부로 향해서 이동될 수 있다.
통형상 유지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이 배치되어 있는 측에는 덮개부 시일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 시일수단(70)은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의 스프로켓(10b)측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에의해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어진 덮개판(E)은 덮개부 시일수단(70)에 의해 접합되어 시일된다. 덮개부 시일수단(70)은 초음파방식, 고주파방식, 전열방식 등에 의한 가열시일방식, 또는 비가열시일방식으로 접합과 시일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내용물이 장전된 통형상 용기(F)가 형성된다.
덮개부 시일수단(70)의 스프로켓(10b)측에는 통유지부(12)를 개방상태로 하는 개폐액추에이터와, 통유지부(12)로부터 통형상 용기(F)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송출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개폐액추에이터는 체인(1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체인(1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용기송출수단(80)은, 개방상태인 통유지부(12)로부터 통형상 용기(F)를 배출하는 배출암(81)과, 이 통형상 용기(F)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82)을 구비하고 있다. 배출암(81)은, 왕복운동하고, 통유지부(12)로부터 통형상 용기(F)를 압출할 수 있다. 배출수단(82)으로서, 예를들면 외부로 향함에 따라 낮게 되도록 경사져 있는 할강대(chute), 자동적으로 통형상 용기(F)를 적층하여 배출하는 장치, 외부로 통형상 용기(F)를 반출하는 벨트컨베이어 등이 사용되고 있다. 배출암(81)과 배출수단(82)은 통형상 유지반송수단(10)의 주행로를 끼우고 대향하여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형상 유지반송수단(10)은 스프로켓(10a,10b)에 감겨진 체인(11)을 가지고 있고, 체인(11)에 따라서 통공급수단(20), 저판 끼워넣기수단(30), 저부 시일수단(40), 내용물 장전수단(50),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 덮개부 시일수단(70) 및 용기 송출수단(80)이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않는다. 통형성 유지반송수단은 스프로켓에 현가된 복수의 체인을 가지고 있고, 이들의 수단이 이들의 체인에 따라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들면, 통형상 유지반송수단은 2개의 엔드리스체인을 가지고 있고, 한쪽의 엔드리스체인에 따라 통공급수단(20), 저판 끼워넣기수단(30) 및 저부 시일수단(40)이, 다른쪽의 엔드리스체인에 따라서 내용물 장전수단(50),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 덮개부 시일수단(70) 및 용기 송출수단(80)이 각각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통유지부(12)의 구성 및 그 작동의 일예를, 도 4, 도 5a ~ 도 5b 및 도 6a ~ 도 6b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통유지부(12)는, 개폐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되고, 내주면이 2분할되는 것이라면, 그 구조 및 그 작동에 대하여 한정되지않는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통유지부(12)는, 주행방향으로 나란한 한쌍의 반(半)통체(13,14)를 가지고 있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반통체(13,14)에는, 폐쇄상태에 있을 때 입체상태의 통(C)(측판(1,2))에 밀접하는 내주면(13a,14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내주면(13a,14a)의 양단에는, 저판(D)을 오목형상으로 성형하기위한 반 링형상의 저판 형성부(13b,14b)와, 덮개판(E)을 오목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반 링형상의 덮개판 형성부(13c,14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내주면(13a,14a)과 저판 형성부(13b,14b)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는 저판 형성부(13b,14b)로부터 내주면(13a,14a)으로 향해서 진행되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주면(13a,14a)과 덮개판 형성부(13c,14c)의 사이에도 동일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단차는 형성되지않아도 좋다. 단차의 폭은, 입체상태의 통(C)의 두께의 1배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입체상태의 통(C)의 두께의 1/2과 동일하다.
반통체(13,14)는 축받이(13d,14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축받이(13d,14d)는 축(15)에 부착되어 있고, 반통체(13,14)는 축(15)주위에서 회동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반통체(13,14)는 개폐될 수 있다.
체인(11)은 서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롤러 링크 플레이트(roller link plate)(17) 와 핀 링크 플레이트(pin link plate)(18)를 가지고 있다. 롤러 링크 플레이트(17)는 겹쳐진 2매의 링크 플레이트에 한쌍의 부시(bush)를 압입하여 고정되어 있다. 부시에는 롤러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롤러는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이와같은 롤러는 2개 배치되어 있고, 링크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2개 나란히 되어 있다. 핀 링크 플레이트(18)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롤러 링크 플레이트(17)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롤러 링크 플레이트(17)와 핀 링크 플레이트(18)는 핀(19)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핀(19)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체인(11)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핀 링크 플레이트(18)는, 축(15)이 브라켓(16)을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브라켓(16)은 핀 링크 플레이트(18)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16)은 롤러 링크 플레이트(17)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폐쇄상태에 있을 때 반통체(13)와 반통체(14)가 겹쳐지는 부분과, 축(15)이, 체인(11)이 뻗어있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나란하기 때문에, 축받이(13d,14d)의 내주면에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축(15)의 외주면에는 이 돌기가 끼워넣어지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받이(13d,14d)의 내주면에 홈이, 축받이(13d,14d)에 접하고 있는 축(15)의 외주면에 돌기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돌기는 홈에 따라서 움직인다. 홈은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돌기가 움직이는 범위는 홈의 영역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홈의 영역은, 폐쇄상태인 때에는, 반통체(13,14)가 겹쳐지는 부분과 축(15)이 체인(11)이 뻗어있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나란히,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는, 반통체(13,14)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도록 결정되어 있다. 반통체(13,14)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면, 내주면(13a,14a)사이의 거리중에 최대의 거리가 편평상태의 통(B)의 폭과 동일하게 된다.
축(15)에는 코일스프링(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반통체(13,14)는 폐쇄상태로 되도록 가압되어 있다.
폐쇄상태인 때에 반통체(13)와 반통체(14)가 겹쳐지는 부분에서, 반통체(13,14)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핸들(13e,14e)이 설치되어 있다. 핸들(13e,14e)에는 오목부(recess)(13f,14f)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개폐액추에어터(90)는 개방핀(90a,90b)은 가지고 있다. 개방핀(90a,90b)은 소정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된다. 통유지부(12)가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될 때, 개방핀(90a,90b)은 각각 오목부(13f,14f)에 삽입된다.
통유지부(12)는 통공급공정①의 앞에서는 코일스프링의 힘에 의해 폐쇄상태로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속해서 주행하는 복수의 통유지부(12)는 통공급공정①에서 통형상 유지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근방에 배치된 개폐액추에이터에 의해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순차 개방상태로 된다.
통유지부(12)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통유지부(12)는 체인(11)에 의해 주행하고, 개폐액추에이터(90)에 대향하도록 위치한다.다음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개방핀(90a,90b)이 오목부(13f,14f)에 삽입된다. 그 후, 도 6a에 도시하는바와같이, 개방핀(90a,90b)이 이격하므로서, 반통체(13,14)는 축(15)주위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한다.
다음에, 통공급공정①에 따라서 통공급수단(20)은 편평상태의 통(B)을 통유지부(12)에 공급한다. 이 때, 송입부(22)는, 집적부(21)에 집적된 편평상태의 통(B)을 흡착하고, z방향(상하방향)과 x방향(주행방향)으로 움직여서 편평상태의 통(B)을 1매씩 통유지부(12)의 측방으로 취출한다. 그 후, 송입부(22)는 이 편평상태의 통(B)을 반통체(13,14)의 사이로 송입한다. 편평상태의 통(B)은 통유지부(12)내에서 체인(11)과 평행하게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다음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개방핀(90a,90b)이 접근하므로서, 반통체(13,14)는 코일스프링의 힘에 의해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도록 회동한다. 그 후, 개방핀(90a,90b)이 오목부(13f,14f)로부터 당겨 빠진다. 이 때, 편평상태의 통(B)의 대향 접은 자국(a,b)이 서로 접근하도록 반통체(13,14)에 의해 눌려진다. 이 결과, 편평상태의 통(B)의 측판(1,2)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하고, 편평상태의 통(B)은 입체상태의 통(C)으로 된다(통형성공정②). 입체상태의 통(C)의 외주면은, 통유지부(12)의 내주면(13a,14a)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되고, 반송된다. 이상의 통유지부(12)의 동작은 통유지부(12)가 주행하면서 행해진다.
본 발명 장치는 통(B)의 2개의 측판(1,2)을 각각 바깥쪽으로 향해서 당겨서, 측판(1,2)을 서로 이간시키는 인장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인장수단은, 통형성공정②에서 통(B)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접근시키기전에, 측판(1,2)을 서로 이격시킨다. 이것에 의해, 대향 접은 자국(a,b)을 접근시킬 때 도 1c 및 도 1d와 같이 측판(1,2)이 서로 이격되지않고, 일반적으로 만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장수단은, 편평상태의 통(B)의 개구단부에 삽입된다. 테이퍼가 설치된(tapered) 테이퍼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1개 또는 2개의 테이퍼부재는 편평상태의 통(B)의 2개의 개구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삽입되고, 측판(1,2)을 서로 이격시킨다.
또한, 인장수단은, 분리접근자유로운 2개의 선단부재를 가지고 있는 가위(scissors)의 형태의 캘리퍼(caliper)를 구비하여도 좋다. 2개의 선단부재는 접한 상태에서 편평상태의 통(B)의 개구단부에 삽입된다. 2개의 선단부재가 이격되면 편평상태의 통(B)의 입구가 열린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인장수단이 편평상태의 통(B)의 측판(1,2)에 각각 흡착한다. 적어도 2개의 흡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판(1,2)에 각각 흡착된 흡착부는 서로 이격되고, 측판(1,2)을 각각 바깥쪽으로 향해서 당긴다. 통유지부(12)에는 내주면(13a,14a)(도 8a참조)을 통해서, 통유지부(1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흡착부는 이 구멍을부터 볼 수 있는 측판(1,2)의 부분에 흡착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인장수단은 대향 접은 자국(a,b)을 접근시키기전에, 측판(1,2)을 서로 이격시키는데, 대향 접은 자국(a,b)을 접근시킴과 동시나, 접근시킨 후에 이격시켜도 좋다.
그리고, 통형상 유지반송수단(10)은, 입체상태의 통(C)을 통유지부(12)내에유지한 상태에서 화살표방향으로의 주행을 계속하고, 다음의 공정, 즉, 저판 끼워넣기공정③, 저부접합 시일공정④, 내용물 장전공정⑤, 덮개판 끼워넣기공정⑥, 덮개부접합 시일공정⑦, 통형상용기 송출공정⑧으로 순차 반송된다.
다음에, 통유지부(12)의 다른 예의 구조, 및 동작을, 도 7a ~ 도 7c의 측면도에 근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예의 구성의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예의 구성의 대부분과 동일하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상술한 예의 도 4, 도 5a ~ 도 5b 및 도 6a ~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의 구성부재는, 상술한 예의 대응하는 구성부재를 지시한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예의 구성이 상술한 예의 구성과 다른 점은, 통유지부(12)를 개폐하기 위하여, 축(15)대신에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가 사용되는 것이다. 반통체(13)는 브라켓(16)을 통해서 핀 링크 플레이트(1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반통체(13)는 브라켓(16)을 통해서 롤러 링크 플레이트(17)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브라켓(16)에서는 봉형상의 리너어 가이드(16a)가 체인(11)이 뻗어있는 방향과 평행하게 뻗어있다.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반통체(14)와 겹치는 반통체(13)의 부분에서는 리니어 가이드(16c)가 리니어 가이드(16a)와 평행하게 뻗어있다. 반통체(14)에는 리니어 가이드(16a,16c)가 삽입되는 구멍(14g)이 체인(11)이 뻗어있는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반통체(14)는 리니어 가이드(16a,16c)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고, 이 결과, 통유지부(12)는 개폐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16a)에는 스프링(16b)이 부착되어 있다. 반통체(14)는, 통유지부(12)가 폐쇄상태로 되도록 가압되어 있다. 리니어 가이드(16a,16c)와 구멍(14g)이 접하는 부분에는 마찰저감부재(anti-friction member)가 사용되고 있다. 마찰저감부재에는, 축받이(bearing), 바람직하게는 축받이 메탈(bearing metal)이 사용되고 있다. 반통체(13,14)의 각각의 외면(내주면(13a,14a)과는 반대측의 면이고, 반통체(13,14)가 조합된 때에 외부로 향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리니어 실린더(linear cylinder)가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리니어 실린더는 반통체(14)를 반통체(13)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고, 반통체(13)에 접근시킬 수 있다. 리니어 실린더는 통유지부(12)와 함께 일체적으로 되어 주행한다.
통유지부(12)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것의 예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예의 동작과 동일하다. 먼저,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핸들(14e)의 오목부(14f)에 개폐액추에이터(90)의 개방핀이 삽입된다.
다음에,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개폐액추에이터(90)의 개방핀이 체인(11)이 뻗어있는 방향과 평행하게, 반통체(13)로부터 반통체(14)로 향해서 이동한다. 이 결과, 반통체(14)는 반통체(13)로부터 이격하도록 리니어 가이드(16a,16c)를 따라 이동한다. 이 때, 내주면(13a,14a)사이의 거리 가운데 최대의 거리가 편평상태의 통(B)의 폭과 같게 되도록 반통체(14)는 반통체(13)로부터 이격된다. 이와같이 하여, 통유지부(12)는 개방상태로 된다. 이 개방상태에서, 통공급수단(20)은 편평상태의 통(B)을 통유지부(12)에 공급한다. 편평상태의 통(B)은 통유지부(12)내에 체인(11)과 평행하게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다음에,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개폐액추에이터(90)의 개방핀이반통체(14)로부터 반통체(13)로 향해서 이동한다. 반통체(14)는 스프링(16b)의 힘에 의해 반통체(13)에 접근하도록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통유지부(12)는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된다. 이 때,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편평상태의 통(B)은 입체상태의 통(C)으로 된다. 이 후, 개폐액추에이터(90)의 개방핀이 핸들(14e)의 오목부(14f)로부터 당겨 빠진다. 통유지부(12)가 폐쇄상태로 되기 전에 상술한 인장수단이 사용되어도 좋다.
다음에, 통형성공정②에 이어지는 공정을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저판 끼워넣기공정③을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저판(D)은 저판 끼워넣기부32)에 의해 흡착되고, 집적부(31)로부터 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저판 끼워넣기부(32)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구멍(32a)이 설치되어 있다. 저판 끼워넣기부(32)에는 암(33)이 고정되어 있다. 암(33)에는 소정의 액추에이터로 구동된다. 암(33)에는 구멍(32a)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를 통하는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통유지부(12)의 저판 형성부(13b,14b)는 원형의 구멍이고, 저판 끼워넣기부(32)는 이 구멍에 삽입된다. 삽입된 때, 저판 형성부(13b,14b)와 저판 끼워넣기부(32)의 사이에는 저판(D)의 두께정도의 간격이 생긴다. 오목형상으로 성형되기전의 저판(D)은 저판 형성부(13b,14b)의 구멍보다 크다.
다음에,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저판(D)은 저판 끼워넣기부(32)에 의해 저판 형성부(13b,14b)에 밀어 넣어진다. 저판 형성부(13b,14b)의 구멍에서 비어져 나온 저판(D)의 부분이 저판 형성부(13b,14b)와 저판 끼워넣기부(32)의 사이의 간격에 끼워진다. 저판(D)의 끼워진 부분은 플랜지(flange)(D1)로 된다. 이 결과, 저판(D)은 오목형상으로 성형된다.
이 후,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저판(D)은 저판 끼워넣기부(32)에 의해 더 밀어 넣어지고,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어진다.
여기서, 통유지부(12)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저판 형성부(13b,14b)를 가지고 있는 통유지부(12)의 단부(통유지단부)는, 내주면(13a,14a)을 가지는 통유지부(12)의 몸체부분과 다른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유지단부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체인(11)에 의해 몸체부분이 주행한다. 몸체부분은 내주면(13a,14a)에 의해 둘러싸이는 원주형상의 공간의 중심축이, 저판 형성부(13b,14b)에 의해 둘러싸이는 원판형상의 공간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통유지단부에 대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 위치결정된 후는 상기 저판 끼워넣기공정③의 설명과 동일하게 저판(D)이 오목형상으로 성형되고,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어진다.
통유지단부에는 여러가지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통유지단부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통유지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저판 형성부(13b,14b)까지 통유지단부를 통하는 슬롯(slot)이 설치되어 있다. 오목형상으로 성형되기 전의 저판(D)은 외부로부터 슬롯을 통해서 통유지단부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저판 형성부(13b,14b)에는 들어간 저판(D)을 적절하게 위치결정하고, 그 위치에 저판(D)을 유지하는 저판유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진입한 저판(D)은 이 홈에 끼워 넣어진다. 저판유지수단은 이와같은 홈에 한정되지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같은 슬롯과 홈은 통유지부와 몸체부분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통유지부(12)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입체상태의 통(C)의 측면이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예를들면 입체상태의 통(C)의 외형이 각기둥의 형태인 경우, 통유지부(12)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유지부(12)의 내주면의 평면은 입체상태의 통(C)의 측면에 접한다.
이 통유지단부를 사용한 저판 끼워넣기공정③을 설명한다. 저판(D)이 위치결정된 후, 저판 끼워넣기부(32)가 통유지단부의 개구(상기의 저판 끼워넣기공정③을 설명한 때, 저판(D)이 밀어넣어지는, 통유지부(12)의 부분에 열려있는 개구(도 8a참조)로부터 통유지단부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저판(D)을 누른다. 상기 저판 끼워넣기공정③의 설명과 동일하게 저판(D)이 오목형상으로 성형된다. 저판 끼워넣기수단(30)이 저판(D)을 더 누르면, 저판(D)은 몸체부분에 진입한다. 이 결과, 저판(D)은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어진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저부접합 시일공정④을 설명한다. 저판(D)의 플랜지(D1)의 외주면은 저부 시일수단(40)에 의해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의 내주면에 접합하여 시일된다. 이것에 의해, 입체상태의 통(C)에 저부가 형성된다. 접합과 시일과는 저판 시일수단(40)은 초음파방식, 고주파방식, 전열방식 등에 의한 가열방식, 또는 비가열 시일방식으로 행해진다. 저판(D)의 플랜지(D1)의 외주면과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의 내주면중 어느 한쪽 또는 양방에는, 미리 접착제(비가열 시일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글루 시일제(glue), 풀, 접착제 등의 감압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 가열 시일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제, 건조한 감열접착제)가 도포된다. 열용융성 수지를 마련해도 좋다. 접착제의 도포는, 통형성공정②과 저판 끼워넣기공정③의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다음에,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내용물충전공정⑤을 설명한다. 컨베이어벨트(51)상의 내용물은, 통유지부(12)에 유지된 입체상태의 통(C)과 동기하여 반송된다. 이것에 의해, 내용물과 입체상태의 통(C)은 에어 실린더(52)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후, 에어 실린더(52)에 의해 내용물이 컨베이어벨트(51)로부터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로 향해서 압출되고, 입체상태의 통(C)의 내부에 장전된다.
다음에, 덮개판 끼워넣기공정⑥을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덮개판(E)은 덮개판 끼워넣기부(62)에 의해 흡착되고, 집적부(61)로부터 입체상태의 통(C)의 다른쪽의 개구단부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 다른 쪽의 개구단부의 저판(D)이 끼워넣어진 개구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덮개판 끼워넣기부(62)에는 공기를 흡입하기위한 구멍(62a)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판 끼워넣기부(62)에는 암(63)이 고정되어 있다. 암(63)에는 소정의 액추에이터로 구동된다. 암(63)에는 구멍(62a)에 연결되는 공기를 통하는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통유지부(12)의 덮개판 형성부(13c,14c)는 원형의 구멍이고, 덮개판 끼워넣기부(62)는 이 구멍에 삽입된다. 삽입된 때, 덮개판 형성부(13c,14c)와 덮개판 끼워넣기부(62)의 사이에는 덮개판(E)의 두께정도의 간격이 생긴다. 오목형상으로 성형되기 전의 덮개판(E)은 덮개판 형성부(13c,14c)의 구멍보다 크다.
다음에, 도 9b와 같이, 덮개판(E)은 덮개판 끼워넣기부(62)에 의해 덮개판형성부(13c,14c)에 압입된다. 덮개판 형성부(13c,14c)의 구멍으로부터 삐어져 나온 덮개판(E)의 부분이 덮개판 형성부(13c,14c)과 덮개판 끼워넣기부(62)의 사이의 간격에 끼워진다. 덮개판(E)의 끼워진 부분은 플랜지(E1)로 된다. 이 결과 덮개판(E)은 오목형상으로 성형된다.
이 후, 도 9c와 같이, 덮개판(E)은 덮개판 끼워넣기부(62)에 의해 더 밀어넣어지고,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어진다.
상기의 저판 끼워넣기공정③의 설명과 동일하게, 통유지부(12)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각 다른 부재인 몸체부분(121)과 통유지단부(122)로 형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도 10a ~ 도 10d를 참조하여 통유지부(12)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0a는 몸체부분(121)이 통유지단부(122)에 대하여 멀리 되어 있는 모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몸체부분(121)은 내주면(13a,14a)을 가지고 있고, 통(C)을 유지하고 있다. 통유지단부(122)는 하면(122a) 과 상면(122b)을 가지고 있다. 통유지단부(122)에는 하면(122a)으로부터 내부로 통해서, 덮개판 형성부(13c,14c)에 의해 둘러 싸이는 원형의 덮개부 성형구멍(122c)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 성형구멍(122c)의 상측에는 상면(122b)으로부터 덮개부 성형구멍(122c)으로 통하는 원형의 개구(122d)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122ㅇ)의 반경은 덮개부 성형구멍(122c)의 반경보다도 크다. 덮개부 성형구멍(122c)과 개구(122d)의 사이에는 단차(122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몸체부분(121)과 통유지단부(122)를 사용한 덮개판 끼워넣기공정⑥을 설명한다. 먼저, 몸체부분(121)이 통(C)을 유지하면서 주행하고, 통유지단부(122)에접근한다(도 10a).
접근한 몸체부분(121)은, 몸체부분(121)의 개구를 포함하는 단면(121a)(eh 10a 참조)이 통유지단부(122)의 하면(122a)에 대향하도록 위치결정된다(도 10b). 이 때, 내주면(13a,14a)에 의해 둘러 싸이는 원주형상의 공간의 중심축은 덮개부 성형구멍(122c)의 축과 일치한다. 또한, 덮개부 성형구멍(122c)의 반경은 통(C)의 내주면의 반경과 동일하다. 이 후, 단차(122e)에 덮개판(E)이 얹어진다. 덮개판(E)은 단차(122e)에 의해 위치결정됨과 동시에 유지된다. 또한, 덮개판(E)의 얹음은 몸체부분(121)의 위치결정전에 행해져도 좋다.
위치결정된 덮개판(E)은 덮개판 끼워넣기부(620)에 의해 단차(122e)로부터 덮개부 성형구멍(122c)에 밀어 넣어진다(도 10c). 이 때, 덮개판(E)은 성형된다.
성형된 덮개판(E)은 더 밀어 넣어져서 몸체부분(121)에 진입한다(도 10d).
이 결과, 덮개판(E)은 통(C)의 개구단부에 끼워넣어진다.
이 통유지부(12)의 변형예에서는, 덮개판(E)을 끼워넣기위한 몸체부분(121)과 통유지단부(122)를 사용하지만, 저판(D)을 끼워넣기위해서 이들과 통일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몸체부분(121)이 통유지단부(122)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때, 몸체부분(121)과 통유지단부(122)는 이격되어 있지만, 접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 변형예의 통유지단부(122)에는, 덮개판(E)을 위치결정시키기위한 단차(122e)가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않는다. 예를들면 통유지단부에는 하면에 까지 관통되어 있는 단이 없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구멍의 상면측의 주위에는 구멍을 둘러싸는 링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링내에 덮개판(E)을 얹으면 구멍에 대하여 덮개판(E)을 위치결정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링은 통유지단부와 몸체부분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통유지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저판 끼워넣기공정③에서 설명한 슬롯과 위치결정 홈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저부접합 시일공정⑦을 설명한다. 덮개판(E)의 플랜지(E1)의 외주면은 덮개부 시일수단(70)에 의해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의 내주면에 접합하여 시일된다. 이것에 의해, 입체상태의 통(C)에 저부가 형성된다. 접합과 시일과는 저부 시일수단(40)은 초음파방식, 고주파방식, 전열방식 등에 의해 가열 시일방식, 또는 비가열 시일방식으로 행해진다. 플랜지(E1)의 외주면과 입체상태의 통(C)의 개구단부의 내주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는, 미리 접착제(비가열 시일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글루 시일제(glue), 풀, 점착제 등의 감압접착제, 가열 시일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제, 건조한 감압접착제)가 도포된다. 열용융성 수지를 마련하여도 좋다. 접착제의 도포는, 내용물 장전공정⑤과 덮개판 끼워넣기공정⑥의 사이에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입체상태의 통(C)에 덮개부가 형성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왁타이 통형상 용기(F)가 형성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통형상 용기송출공정⑧을 설명한다.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되는 통형상 용기(F)가 배출암(81)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도5a ~ 도 6b를 이용하여 설명한 개폐액추에이터(90)와 동일한 개폐액추에이터에 의해 통유지부(12)가 개방상태로 된다. 이 때, 통형상 용기(F)는 배출암(81)에 의해 통유지부(12)로부터 배출수단(82)으로 압출된다. 배출수단(82)은 통형상 용기(F)를 외부로 배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조방법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조방법은 통시트를 공급하는 통시트 공급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공급되는 통시트는 대향하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에서 접어 개어진 편평상태로 되어 있고, 부풀어진 때 통형상으로 되는 시트이다. 통시트는 통시트 형성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통시트 형성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블랭크 시트를 준비한다. 블랭크 시트는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직사각형의 시트이다. 블랭크 시트는 중앙부(2a)와, 중앙부(2a)에 접은 자국(a,b)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측부(1a,3a)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접은 자국(a,b)에서 블랭크 시트를 접으므로서, 측부(1a,3a)를 서로 겹친다(도 12b). 도 12b에서는, 측부(1a)가 측부(3a)의 위에 위치하도록 겹쳐있지만, 물론 측부(1a)가 측부(3a)의 아래에 위치하여도 좋다. 측부(1a,3a), 중앙부(2a)의 길이를 각각 L1,L3,L2로 하면, L3는 L1보다도 길다. 또한, L1은 L2의 거의 반분에 동일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부(1a)의 접은 자국(a)과 반대측의 단부는 중앙부(2a)의 거의 중앙의 부분의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 후, 측부의 겹쳐진 부분을 접합한다. 이 접합은, 글루 시일제, 풀, 또는 점착제 등 감압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시행한 후, 비가열접착방식을 이용하고 가압하여 되거나, 핫멜트 접착제, 열용융성 수지, 감열 접착제 등을 시행한 후, 가열접착방식을 이용하여 가열하면서 가압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봉투부착을 이용하여 대향하는 2개의 접은 자국(a,b)으로 접어 개어서 편평상태로 되는 통시트가 형성된다.
이 봉투부착된 통시트에서는, 도 1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측부(1a)가 측부(3a)의 위에 위치하도록 겹쳐진다. 상술하면, 위로 향하는 측부(3a)의 면이, 아래로 향하고 있는 측부(1a)의 면과 접합되어 있다. 이와같은 부착방법을 봉투부착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부착방법은 봉투부착에 한하지않는다. 예를들면, 앞서 도시한 위로 향하는 측부(3a)의 면을 젖혀서, 아래로 향하는 측부(1a)의 면과 접합하여도 좋다. 이 부착방법을 합장(合掌)부착이라고 한다.
상기 봉투부착에 있어서, 측부(1a)의 길이(L1)는 중앙부의 길이(L2)의 거의 반분이지만(여기서는 이와같은 부착방법을 중앙부착이라고 한다), L1은 L2의 거의 반분에 한정되지않는다. L1이 L2의 반분의 길이보다도 짧거나 긴 경우에는, 측부(1a,3a)의 겹친부분은 중앙부(2a)의 끝에 가까운 부분의 위에 위치한다. 이 부착방법은 도 1a 및 도 1b를 이용하여 설명한 상기 제조장치의 실시의 형태의 부착방법과 동일하다. 이하, 이와같은 부착방법을 끝부착이라고 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형성된 통시트의 재료는 상기 제조장치의 실시의 형태의 통시트의 재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통시트도필요에 따라 가장자리 보호가 실시된다.
이어서, 통시트를 부풀리는 통형성공정을 설명한다. 통시트 공급공정에 의해 공급된 통시트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서로 접근시키므로서, 통시트를 부풀리고, 2개의 개구를 가지는 통본체를 형성한다. 통시트가 부풀어지는 원리는, 도 1b, 도 1c 및 도 1d를 이용하여 설명한 상기 제조장치의 실시의 형태의, 편평상태의 통을 부풀려서 입체상태의 통으로 하는 조작의 예와 동일하다.
이 후, 형성된 통본체의 개구의 한쪽을 봉지하고(제 1 봉지공정), 통본체의 내부에 내용물을 장전하고(내용물장전공정), 통본체의 개구의 다른쪽을 봉지한다(제 2 봉지공정). 또한, 내용물장전공정은 제 1 봉지공정의 전에 행해져도 좋다.
제 1 봉지공정과 제 2 봉지공정은, 통본체의 개구에 봉지부재를 부착하여 개구를 폐쇄하는 봉지부재 부착공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1 봉지공정과 제 2 봉지공정의 어느 한쪽이 봉지부재 부착공정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제 1 봉지공정과 제 2 봉지공정이 봉지부재 부착공정을 가지지않아도 좋다. 또한, 제 1 봉지공정과 제 2 봉지공정의 적어도 한쪽은, 봉지부재를 사용하지않고, 예를들면 통본체의 개구를 찌그러뜨려 개구를 폐쇄하고,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묶어서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봉지하는 공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1 봉지공정과 제 2 봉지공정의 봉지부재 부착공정은, 통본체의 개구에 봉지부재를 끼워넣어 개구를 폐쇄하는 봉지부재 끼워넣기공정을 포함한다. 봉지부재 끼워넣기공정은,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이용하여 설명한 상기 제조장치의 실시의 형태의 저판 끼워넣기공정과 동일한 공정이다. 봉지부재 끼워넣기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플랜지(D1)가 형성된 저판(D)과 동일한 오목형상의 봉지부재를 준비한다. 다음에, 도 8c와 동일하게 하여 오목형상의 봉지부재를 통본체의 개구에 끼워넣는다.
봉지부재 끼워넣기공정의 다른 예를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오목형상의 봉지부재(Da)를 준비한다. 도 13a는 통본체(5)와 봉지부재(Da)의 단면도이다. 봉지부재(Da)는 판형상의 저면부(Da1)와, 저면부(Da1)의 주변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고, 저면부(Da1)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플랜지(Da2)를 가지고 있다. 봉지부재(Da)는 플랜지(Da2)에 의해 둘러싼 개구(Da3)를 가지고 있다. 개구(Da3)의 크기는 통본체(5)의 개구(5a)를 포함하는 통본체(5)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다. 다음에, 준비한 봉지부재(Da)를 통본체(5)의 단면에 덮는다(도 13b).
봉지부재 끼워넣기공정의 또다른 예를 도 1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c는 통본체(5)와, 통본체(5)에 끼워넣어진 상태의 봉지부재(Db)의 단면도이다. 봉지부재(Db)는 저면부(Db1)와 제 1 플랜지(Db2)와 제 2 플랜지(Db3)를 가지고 있다. 저면부(Db1)는 끼워넣어진 때에 통본체(5)의 단부보다도 내부측에 위치한다. 제 1 플랜지(Db2)는 끼워넣어진 때에 통본체(5)의 끝 가장자리의 내면에 따라서 뻗어있다. 제 2 플랜지(Db3)는 끼워넣어진 때에 통본체(5)의 끝 가장자리의 외면에 따라 뻗어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 1 봉지공정과 제 2 봉지공정의 봉지부재 부착공정은 봉지부재 끼워넣기공정을 포함하지만, 이 대신에, 봉지부재로서 시트를 준비하고, 통본체의 개구에 시트를 덮는 공정을 포함해도 좋다. 이 시트는 후에 설명하는 봉지부재 접합공정에 의해 통본체에 접합된다.
제 1 봉지공정과 제 2 봉지공정은, 봉지부재 부착공정의 후에 이어서, 봉지부재와 통본체를 접합하는 봉지부재 접합공정을 가지고 있다. 통본체와 봉지부재는, 글루 시일제, 풀, 또는 점착제 등 감압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서 비가열접착방식에 의해 가압하여 접합되지만, 핫멜트 접착제, 열용융성 수지, 감열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서 가열 잡착방식을 이용하여 가열과 가압을 하므로서 접합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종래와 같이 원주형상의 맨드렐에 종이의 시트를 감는 것은 아니고, 봉투부착을 이용하여 통형상 용기를 제조한다. 따라서, 봉투부착용의, 상자를 제조하기위한 설비나 내용물을 충전하는 설비를 전용할 수 있어서, 맨드렐을 사용하는 복잡하고 고가의 제조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소하고 저렴한 설비로 통형상 용기를 제조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원기둥형상의 맨드렐에 종이의 시트를 감아서 통본체를 형성하는 경우는, 형성된 통본체를 맨드렐로부터 떼어내고, 통본체를 집적, 수송하여 다음의 공정으로 보내는 것이다. 통본체는 부피가 커지므로, 통본체의 집적시에 커다란 공간을 필요로 하고, 편평상태로 된 통시트를 준비하여 통형상 용기를 제조한다. 편평상태로 된 통시트의 집적에는 커다란 공간을 필요로 하지않으므로, 용이하게 집적, 수송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조방법은 봉지부재 부착공정과 봉지부재 접합공정을 가지고 있다. 비교적 휘기 어려운 재료로 봉지부재를 형성하면, 통본체의 단부의 형상이 유지되는 것을 이용하여 통형상 용기의 전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오목형상의 봉지부재를 끼워넣으면 보다 견고하게 통형상 용기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오목형상의 봉지부재를 끼워넣는 경우, 통형상 용기의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은 통본체의 개구를 덮고, 봉지부재의 저판부분(도 8b의 저판(D)에 대응)의 형상에 거의 같게 된다. 이것을 이용하면, 봉지부재의 저판부분의 형상을 적절히 선택하므로서, 통형상 용기의 단면의 형상을 원하는 형상, 예를들면 원, 타원 등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봉지부재를 사용하여도 동일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에, 제조방법의 제 2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제조방법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조방법이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제조방법과 다른 점은, 통시트 형성공정에서 준비되는 블랭크 시트의 구성이다.
도 14a는 블랭크 시트의 평면도이다. 블랭크 시트는 사각형이고,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과 각부 접은 자국(c)을 가지고 있다. 각부 접은 자국(c)은 프레스가공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부 접은 자국(c)은 용이하게 절곡된다. 이들의 접은 자국(a,b)은 상호 이격되어 뻗어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통시트 형성공정에서는, 이와같은 블랭크 시트를 준비하고, 봉투부착을 사용하여, 2개의 대향 접은 자국과 각부 접은 자국을 가지고 있고, 편평상태로 되는 통시트를 형성한다.
이 통시트가 통형성공정에서 부풀어지면, 상기 제조방법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게 되어, 2개의 개구를 가지는 통본체가 형성된다. 이 통본체에는 각부 접은 자국(c)에 따라서 각부가 형성된다. 도 14b는 부풀어진 통본체의 사시도이다. 통본체에는 각부 접은 자국(c) 및 대향 접은 자국(a,b)에 따라서 각부(d)가 형성되어 있다. 각부(d)에서는, 접은 자국(a,b,c)의 양측에 위치하는 통본체의 2개의 표면(예를들면, d1,d2)이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지않다.
또한, 접은 자국(a,b,c)의 적어도 한개에 따라서 각부(d)가 형성되어 있지않아도 좋다. 각부(d)가 형성되어 있지않은 경우, 접은 자국에 따라 줄이 형성되고, 접은 자국의 양측에 위치하는 통본체의 2개의 표면이 매끄럽게 연속한다. 각부(d)는 돌출되어 있어도 함몰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편평상태로 되는 통시트에, 서로 이격되어 뻗어있는 접은 자국(a,b)과 각부 접은 자국(c)이 설정되어 있어서, 통본체에는 각부 접은 자국(c) 및 대향 접은 자국(a,b)에 따라서 각부(d) 또는 줄이 형성되어 있다. 각부(d)가 형성되는 것을 이용하면, 통형상 용기의 축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을 대략 다각형(예를들어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십각형)으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제조방법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부 접은 자국이 통시트에 설정되어 있지않으므로, 통형상 본체에는 각부 또는 줄이 대향 접은 자국(a,b)의 2개소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대향 접은 자국(a,b) 및 각부 접은 자국(c)에 따라서 각부 또는 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부접은 자국(c)을 복수 설정하면 대향 접은 자국(a,b)에 따라서 형성되는 각부 또는 줄을 눈에 띠지않게 할 수 있다. 이 통형상 용기를 가게에 전시하면 고객모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각부(d)가 형성되는 것을 이용하면, 통형상 용기의 단면의 형상을 대략 다각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조방법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봉지부재의 형상을 적절히 설계하면, 통형상 용기의 단면의 형상을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들을 이용하면, 보다 형상의 자유도가 높은 통형상 용기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다음에, 제조방법의 제 3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제조방법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조방법이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제조방법과 다른 점은 통형성 공정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통형성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통본체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 내면을 가지고 있는 형 성형을 준비한다. 형 성형은 형성면을 가지고 있는 2이상의 형부분으로 분할되고, 이들의 형부분이 조합된 때 각각의 형성면이 조합되어 형 내면이 형성된다.
다음에, 분할된 이들의 형부분이 형내면을 형성하도록 이들의 형부분을 통시트에 접근시키고, 이들의 형부분중 2개를 대향 접은 자국(a,b)에 각각 눌러 대어 통시트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서로 접근시키므로서, 통시트를 부풀린다.
이 후, 형부분을 조합시켜서 형내면을 형성하고, 이 형내면에 부풀려진 통시트를 둘러싼다. 이 결과, 2개의 개구를 가지는 통본체가 형성된다.
통형성공정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변형예를 설명하기 전에, 통시트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통시트 공급공정에 의해 공급되는 통시트는, 대향 접은 자국(a,b)을 통해서 연속하여 있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2개의 측판은 중앙부(2a)와, 접합된 측부(1a,3a)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통형성공정은, 이들 2개의 측판을 각각 바깥쪽으로 향해서 끌어 당겨서, 2개의 측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공정을 가지고 있다. 이격공정은, 대향 접은 자국(a,b)을 서로 접근시켜서 통시트를 부풀리기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대향 접은 자국(a,b)을 접근시킬 때에 측판(1,2)이 서로 이격되지않고, 일반적으로 만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격공정은 통시트를 부풀리는 것과 동시이거나, 부풀린 후에 행해도 좋다. 통형성공정에서는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형 성형의 형내면은 통본체에 밀착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들면, 통본체가 원통형의 경우에는 원통 내면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형 성형의 형내면은 통본체의 일부에 밀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들면, 원통본체가 정12각기둥형상의 경우에는 각기둥의 축에서 보아 0시(0°), 3시(90°), 6시(180°), 9시(270°)의 방향에 위치하는 정12각기둥의 각부에 밀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통유지부(12), 또는 도 7에 도시되어있는 통유지부(12)를 성형형으로 이용하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상기 제조장치의 실시의 형태의 저판 끼워넣기공정과 동일하게 되어 봉지부재를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통형상 용기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통형상 용기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형상 용기는 2개의 개구를 가지고 있는 통형상의 통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통본체는, 대향하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에서 접어 개어져서 편평상태로 되어 있고, 이들의 2개의 대향 접은 자국을 서로 접근시키므로서 부풀어진 때 통형상으로 되는 통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개구는 봉지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통형상 용기의 구성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된 상기 제조장치의 실시의 형태의 통형상 용기(F)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같다. 따라서, 본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조장치의 실시의 형태의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의 구성부재는, 상기 제조장치의 실시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성부재를 지시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본체(1,2,3)는 측판(1,2) 및 부착판(3)을 가지고 있고, 원통형상이다. 통형상 용기에는 내용물이 장전된다.
통본체(1,2,3)는 통형상의 통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도 1b ~ 도 1d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통시트는, 통(B)과 같이 대향하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에서 접어 개어져 있는 편평상태로부터, 통(C)과 같이 입체상태로 성형된다. 편평상태의 통(B)은 대향 접은 자국(a,b)을 통해서 연접되어 있는 측판(1,2) 및 부착판(3)을가지고 있는 블랭크 시트(A)를 단부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B)은 도 12a 및 도 12b를 이용하여 설명한 중앙부착을 이용하여 형성되어도 좋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여, 측판(1), 측판(2) 및 부착판(3)을 가지고 있는 통본체의 2개의 개구에는 봉지부재로서 이용되고 있는 오목형상의 저판(D), 오목형상의 덮개판(E)이 각각 끼워넣어져 있다. 저판(D), 덮개판(E)은 외주가 일어선 플랜지를 각각 가지고 있다. 이들의 플랜지의 외주면과 통본체(1,2,3)의 개구단부의 내주면과는 접착되어 있다. 통본체(1,2,3)의 개구에는, 도 13a, 도 13b 및 도 13c를 이용하여 설명한 상기 제조방법의 실시의 형태의 오목형상의 봉지부재(Da)나 봉지부재(Db)가 끼워넣어져 있어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본체(1,2,3)를 봉지하면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지만, 통본체에 창을 설치하고, 내용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이 창을 투명한 필름 등으로 덮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형상 용기는, 맨드렐에 감겨서 원통형상으로 된 종이의 시트는 아니고, 봉투부착에 의해 형성된 통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봉투부착용의, 상자를 제조하기위한 설비나 내용물을 장전하는 설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맨드렐을 사용하는 복잡하고 고가인 제조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통본체의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본체(1,2,3)의 개구에는 봉지부재가 끼워넣어져 있다. 봉지부재를 휘기 어려운 재료로 형성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통형상 용기의 형상을 비교적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통형상 용기의 제 2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의 형태가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다른 점은 통본체의 구성이다.
도 15a는 통형상 용기의 사시도이다. 통형상 용기는 상호 이격되어 있는 각부(d)가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의 통본체(1401)를 가지고 있다. 통본체(1401)는 도 14b를 이용하여 설명한 상기 제조방법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통시트와 동일한 통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시트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과 각부 접은 자국을 가지고 있다. 2개의 대향 접은 자국을 접근시켜서 통시트가 편평상태로부터 부풀려져 통형상으로 되고 통본체(1401)를 형성할 때, 이 통본체(1401)에 대향 접은 자국과 각부 접은 자국에 따라 각부(d)가 형성되어 있다. 각부(d)는 서로 거의 평행하게 뻗어있고, 통형상 용기의 형상은 거의 평행한 능선을 가지는 각기둥형상이다. 인접하는 각부사이의 통본체의 부분은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통시트는 도 14a에 도시되어 있는 블랭크 시트와 동일한 블랭크 시트를 봉투부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본체(1401)의 2개의 개구에는 오목형상의 저판(D), 덮개판(E)이 각각 끼워넣어져 있다. 상하방향에서 본 저판(D), 덮개판(E)의 형상은 원형이다. 저판(D), 덮개판(E)의 외주에 세워지는 플랜지와 접하는 통본체(1401)의 개구단부에는 각부(d)는 형성되어 있지않고, 줄(d)이 형성되어 있다. 통본체(1401)의 개구는 대략 원형이다. 한편, 저판(D), 덮개판(E)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통본체(1401)의 중앙부의 단면형상은 대략 다각형이다. 개구단부와 중앙부의 사이에 있는 통본체(1401)의 부분은, 개구단부와 중앙부가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그런데, 상하방향에서 본 저판(D), 덮개판(E)의 형상이 통본체(1401)의 중앙부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다각형인 다각기둥형상 용기를 고려한다. 통본체(1401)의 개구의 형상은 다각형이고, 저판(D), 덮개판(E)의 각은 통본체(1401)의 개구단부의 각부에 끼워맞춘 것으로 한다. 통형상 용기를 제조할 때, 통본체(1401)의 개구단부에 저판(D), 덮개판(E)을 끼워넣는다. 다각기둥통형상 용기에서는 끼워넣기전에, 저판(D), 덮개판(E)의 각을 개구단부의 각부에 위치결정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통형상 용기에서는 이와같은 공정을 필요로 하지않으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상기 통형상 용기는 기부(1402)와 덮개부분(1403)을 가지고 있다. 기부(1402)는 저판(D)과, 저판(D)이 끼워넣어지는 통본체(1401)의 하부에서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분(1403)은 덮개판(E)과, 덮개판(E)이 끼워넣어지는 통본체(1401)의 상부에서 구성되어 있다. 기부(1402)와 덮개부분(1403)은 지퍼(zipper)(1404)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지퍼(1404)는 기부(1402)와 덮개부분(1403)의 사이에서 통본체(1401)를 주회(周回)하고 있다. 지퍼(1404)와 기부(1402)의 사이, 및 지퍼(1404)와 덮개부분(1403)의 사이에는 약화(弱化)부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2개의 미싱 눈(perforated line)(1404a,1404b)이 형성되어 있다. 즉, 기부(1402)와 덮개부분(1403)은 2개의 약화부분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미싱 눈을 형성하는 대신에, 프레스하여 미싱 눈을 설정하거나, 특정의 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운 재료를 개재시키거나 하여도 좋다.
미싱 눈(1404a,1404b)에서 분리되면 덮개부분(1403)이 개폐자유롭게 된다.미싱 눈(1404a,1404b)에서 분리하여 지퍼(1404)를 떼면, 기부(1402)와 덮개부분(1403)이 분리된다. 도 15b는 분리한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분리하므로서, 기부(1402)와 덮개부분(1403)에는 개구가 각각 형성된다. 덮개부분(1403)의 개구를 둘러싸는 가장자리의 내면에는, 이 내면에 따라 주회하고 있는 환상의 위치결정부(1405)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부(1405)는 개구를 포함하는 덮개부분(1403)의 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위치결정부(1405)를 기부(1402)의 개구에 끼워넣으면, 덮개부분(1403)은, 기부(1402)의 개구가 덮개부분(1403)에 의해 덮이는 위치(닫힌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닫힌 위치에서 덮개부분(1403)을 떼면, 즉 덮개부분(1403)을 열면, 통형상 용기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된다. 이와같이 미싱 눈에서 분리하면 덮개부분(1403)이 개폐자유로이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형상 용기에 있어서는, 통본체에 각부(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을 수평으로 하여 통형상 용기를 위치시킨 때, 상기 통형상 용기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원통형상의 통본체와 비교하여 구르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미싱 눈(1404a,1404b)에서 분리되면 덮개부분(1403)을 개폐자유로이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위치결정부(1405)를 기부(1402)의 개구에 끼워넣으므로서, 덮개부분(1403)을 닫은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통형상 용기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본 변형예와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의 다른 점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지퍼(1404)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제 2 지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본 실시의 형태의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의 구성부재는, 본 실시의 형태의 대응하는 구성부재를 지시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결정부(1405)가 설치된 덮개부분(1403), 제 1 지퍼(도시생략), 통본체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부(1502a), 제 2 지퍼(1504), 기부(1502a)가 이 순서되로 연접되어 있다. 제 1 지퍼를 떼어내면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위치결정부(1405)를 사용하여 덮개부분(1403)이 개폐자유로이 된다. 제 2 지퍼(1504)를 떼어내고, 중간부(1502a)와 기부(1502a)를 분리하면, 덮개부분(1403)을 기부(1502b)에 덮을 수 있다.
예를들면, 내용물이 적어도 통형상 용기로부터 취출되기 어려울 때, 제 2 지퍼(1504)를 떼어내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이 적은 때는 통형상 용기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안정되지않고, 통형상 용기를 이동시킨 때에 내용물이 통형상 용기의 내면에 충돌하여 내용물에 충격을 줄 염려가 있다. 제 1 지퍼 및 제 2 지퍼(1504)를 이용하면 통형상 용기의 내부공간의 크기를 내용물의 크기에 적합시킬 수 있으므로, 통형상 용기의 내부에서 내용물을 안정시킬 수 있고, 내용물에 부주의한 충격을 줄 염려가 없다.
다음에, 통용기 본체의 제 3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의 구성부재는,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성부재를 지시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가 제 2의 실시의 형태와 다른 점은 통본체의 구성이다.
도 17a는 통형상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블랭크 시트의 평면도이다. 블랭크 시트에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과, 복수의 각부 접은 자국(c)이 형성되어 있다. 접은 자국(a,b,c)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대향 접은 자국(a,b)은 서로 거의 수평이고, 이들의 각부 접은 자국(c)은 대향 접은 자국(a,b)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뻗어있다. 블랭크 시트에는 미싱 눈(1604)이 형성되어 있다. 블랭크 시트는, 후에 설명하는 위치결정부(1605)를 형성하는 부분(1605a)이 설치되어 있다.
통본체(1601)에는 접은 자국(a,b,c)을 따라 각부(d)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에 따라서 형성되는 각부(d)는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다. 각부 접은 자국(c)에 따라서 형성되는 각부(d)는, 대향 접은 자국(a,b)을 따라서 형성되는 각부(d)에 평행하게 뻗어있지않고, 소정의 방향으로 뻗어있다.
통형상 용기는 저판(D)과 통본체(1601)의 하측부분으로 구성되는 기부(1602)와, 덮개판(E)과 통본체(1601)의 상측부분으로 구성되는 덮개부분(1603)을 가지고 있다. 기부(1602)와 덮개부분(1603)은 미싱 눈(1604)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미싱 눈(1604)은 접속부(1604a)를 제외하고 통본체(1601)를 주회하고 있다. 미싱 눈(1604)에서 분리하고, 접속부(1604a)에서 기부(1602)와 덮개부분(1603)을 접속시킨 채 기부(1602)로부터 덮개부분(1603)을 멀리하면, 덮개부분(1603)이 열려진다. 도 17c는 덮개부분(1603)이 열려진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때,기부(1602)와 덮개부분(1603)에는 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기부(1602)의 개구를 둘러싸는 가장자리에는 상기 통형상 용기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위치결정부와 동일한 위치결정부(1605)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부(1605)는 기부(1602)의 개구를 포함하는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위치결정부(1605)에 덮개부분(1603)을 끼워넣으면 덮개부분(1603)이 열린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형상 용기에 있어서도, 덮개부분(1603)을 개폐자유로이 할 수 있고, 또한 덮개부분(1603)을 닫은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접속부(160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 용기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지않은 경우는, 덮개부분을 기부의 개구에 위치결정시켜야 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덮개부분(1603)을 닫을 때, 덮개부분(1603)을 기부(1602)에 접근하도록 움직이는 것만으로 덮개부분(1603)을 닫은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부 접은 자국을 따라서 형성되는 각부(d)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뻗어있다. 이와같은 각부(d)를 형성하는 것으로, 자유도가 높은 통형상 용기의 형상을 실현시킬 수 있다.
다음에, 통형상 용기의 제 4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도 17a, 도 17b 및 도 17c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의 구성부재는,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성부재를지시한 참조부호와 동일하게 참조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가 제 3의 실시의 형태와 다른 점은 기부의 구성이다.
도 18a는 덮개부분(1603)이 열린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기부(1702)의 개구를 포함하는 단부에서는 통형상 용기의 축에 평행한 각부(1706a)가 뻗어있다. 각부(1706a)는 2개의 각부(1706b,1706c)로 분기된다. 분기된 각부(1706b,1706c)는 합류한다. 합류한 부분에서는 각부(1706d)가 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까지 뻗어있다. 2개의 각부(1706b,1706c)에서 둘러싸인 부분에서는 고립부(170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분기 합류하는 각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고립부(1707)는 각부(1706b,1706c)를 통해서 각각 인접하는 기부(1702)의 부분(1702a,1702b)에 대하여 함몰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 용기를 형성하는 통시트에는 각부(1706a,1706b,1706c,1706d)에 대응하는 접은 자국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접은 자국을 따라 통시트를 접도록 하면 통시트의 접은 자국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구부러진다. 또한 이들의 접은 자국을 따라서 구부리도록 하면 이 부분은 만곡하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통시트를 거의 편평상태로 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형상 용기에 있어서는, 함몰한 고립부(1707)가 설치되므로 손으로 집을 때 비교적 쥐기 쉽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분기, 합류하는 각부(1706a,1706b,1706c,1706d)가 형성되어 있다. 통본체의 분기, 합류하는 부분에서는, 고립부(1707), 부분(1702a,1702b)이 근접하고 있다. 이들의 표면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통본체의 분기, 합류하는 부분은 특히 변형되기 어렵다.
또한, 분기, 합류하는 각부(1706a,1706b,1706c,1706d)를 형성하므로, 보다 자유도가 높은 통형상 용기의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9를 참조하여 통형상 용기의 제 5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9는 통형상 용기의 사시도이다. 통형상 용기는 통형상의 통본체(1801)를 가지고 있다. 통본체(1801)의 축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은 대략 타원이다. 통본체(1801)에는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각부(d)가 형성되어 있다. 통본체(1801)의 2개의 개구에는 오목형상의 봉지부재(1802,1803)가 끼워져 있다. 통본체(1801)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가 형성된 통본체(1801) 및 봉지부재(1802,1803)는 기부(1804)를 구성한다. 이 개구는 덮개부분(1805)으로 덮혀 있다. 덮개부분(1805)의 가장자리와 기부(1804)의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는 미싱 눈과 접속부(1806)로 접속되어 있다. 미싱 눈으로 분리하고, 접속부(1806)로 기부(1804)와 덮개부분(1805)을 접속시킨 채로 기부(1804)로부터 덮개부분(1805)을 멀리하면, 덮개부분(1805)이 열린다. 기부(1804)의 개구의 접속부(1806)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위치결정부(1807)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부(1807)는 슬릿(slit)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분(1805)의 접속부(1806)와 반대측의 가장자리(1805a)를 위치결정부(1807)에 삽입하면 덮개부분(1805)은 닫힌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통형상 용기에 있어서는, 통본체(1801)의 단면의 형상은 대략 타원이므로 축을 수평으로 하여 통형상 용기를 위치시킨 때, 비교적 안정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본체(1801)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는 덮개부분(1805)을 닫으면 폐쇄된다. 통형상 용기의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저판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내용물을 보아서 확인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통형상 용기의 거의 양단에 걸쳐서 개구를 형성하면, 통형상 용기의 거의 양단에 걸쳐 내용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0을 참조하여 통형상 용기의 제 6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20a는 통형상 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20b는 상면도이다. 통형상 용기는 통형상의 통본체(1901)를 가지고 있다. 통본체(1901)의 축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은 각이 매끄럽게 된 사각형이다. 통본체(1901)에는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호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줄(d)이 형성되어 있다. 통본체(1901)에는 지퍼(1904)가 형성되어 있다. 통본체(1901)의 2개의 개구에는 오목형상의 봉지부재(1902,1903)가 끼워넣어져 있다. 상하방향에서 본 봉지부재(1902,1903)의 형상은 통본체(1901)의 단면형상과 동일하다. 즉, 통본체(1901)는 한쪽의 개구로부터 다른쪽의 개구까지 단면형상이 변하지않는 대략 4각기둥형상을 하고 있고, 개구의 형상은 봉지부재(1902,1903)의 형상과 동일하다. 줄(d)은 통본체(190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직선적으로 뻗어있다.
통형상 용기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개구단부가 중앙부와의 사이에 있는 통본체(1401)의 부분은, 개구단부와 중앙부가 매끄럽게 연속되도록 구부러져 있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의 통형상 용기에서는, 통본체(1901)에는 통형상 용기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와같이 구부러진 부분은 없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의 통형상 용기는 스마트(slim and stylish)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봉지부재(1902,1903)와 통본체(1901)가 보다 밀착하므로, 접합강도가 증가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하방향에서 본 봉지부재(1902,1903)의 형상은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예를들면, 봉지부재(1902)가 원형으로 봉지부재(1903)가 다각형(예를들면 사각형)이라도 좋다. 이것은, 상기 제 1 내지 제 5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장치는, 통형상용기 제조용의 원지시트를, 원주상의 맨드렐에 감아서 지지하여 통형상체로 하는 종래의 통내주 지지방식과는 달리, 미리 형성된 편평상태의 통을, 통형상의 통유지부에 공급하고, 입체통상태의 통으로서 기립한 통의 외주로부터 홀드하여 지지하는 통외주 지지방식이기때문에, 원지시트를 통형상으로 감아서 유지하기위한 원주상의 맨드렐(심봉, 샤프트)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함기계의 기구를 종래보다 간략화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제조(제함(製函)충전)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 통유지부의 내부를 원통형상 내주면으로 함으로써 원통형상의 통형상용기를 성형홀드하여 제조할 수가 있으며, 또, 통유지부의 내부를 다각형 통형상 내주면으로 함으로써, 기립할 때에, 미리 다각형 접은 자국을 따라서 형성한 접은 자국이 있는 누름 괘선을 따라서 다각형통형상으로 기립할 수 있고, 다각형상의 통형상용기를 성형홀드하여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색부착을 이용하여 통형상용기를 제조한다. 따라서, 색부착용의 제함설비나 내용물을 장전하는 설비를 전용할 수 있으므로, 맨드렐을 이용하는 복잡하고 비싼 제조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소하고 저렴한 설비로 통형상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편평상태로 된 통시트를 준비하여 통형상용기를 제조한다. 편평상태로 된 통시트의 집적에는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때문에, 용이하게 집적, 수송을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봉지부재 부착공정과 봉지부재 접합공정을 가지고있다. 비교적 휘기어려운 재료로 봉지부재를 형성하면, 통형상용기의 형상을 비교적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대향 접은 자국 및 각부 접은 자국을 따라서 각부가 형성되므로, 각부 접은 자국을 복수 설치하면 대향 접은 자국을 따라서 형성되는 각부를 눈에 띄지않게 할 수 있다. 이 통형상용기를 점두에 전시하면 손님을 모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봉지부재와 각부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보다 형상의 자유도가 높은 통형상용기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성형형을 사용하여 통본체를 대칭적인 형상으로 쉽게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통형상용기에서는, 색부착에 의해 형성된 통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색부착용의 제함설비나 내용물을 장전하는 설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맨드렐을 이용하는 복잡하고 비싼 제조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통본체의 비용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통형상용기에는 위치결정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덮개부분을 닫은 위치에 위치결정을 할 수가 있다.
Claims (17)
- 편평상태와 입체상태를 취하는 통으로 형성되는 통형상 용기(F)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편평상태의 통(B)을 입체상태의 통(C)으로 하는 통형성수단과,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를 봉지하는 제 1 봉지수단과,입체상태의 통(C)의 다른쪽의 개구단부를 봉지하는 제 2 봉지수단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
- 입체상태와,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으로 접어 개어진 편평상태를 취하는 통으로 형성되는 통형상 용기(F)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입체상태의 통(C)에 접하고, 2개로 분리하는 내주면을 각각이 가지는 복수의 통유지부(12)와, 이들의 복수의 통유지부(12)를 주행시키는 통유지부 주행수단을 가지는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으로서, 통유지부(12)는, 상기 내주면이 분리되어 있는 개방상태와, 입체상태의 통(C)에 접하는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폐쇄상태를 취하고, 편평상태의 통(B)은, 통유지부(12)가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므로서, 입체상태의 통(C)으로 되고, 이 입체상태의 통(C)은,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되면서, 통유지부 주행수단에 의해 주행하게 되므로서 반송되는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과;통공급수단(20)과; 저판 끼워넣기수단(30)과; 저부 시일수단(40)과; 덮개판끼워넣기수단(60)과; 덮개부 시일수단(70)과; 용기송출수단(80)과;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
- 입체상태와,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으로 접어 개어진 편평상태를 취하는 통으로 형성되는 통형상 용기(F)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편평상태의 통(B)을 1매씩 공급하는 통공급수단(20)과;입체상태의 통(C)에 접하고, 2개로 분리하는 내주면을 각각이 가지는 복수의 통유지부(12)와, 이들의 복수의 통유지부(12)를 주행시키는 통유지부 주행수단을 가지는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으로서, 통유지부(12)는, 상기 내주면이 분리되어 있는 개방상태와, 입체상태의 통(C)에 접하는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폐쇄상태를 취하고, 통유지부(12)가 개방상태인 때에, 편평상태의 통(B)이, 통공급수단(20)에 의해 2개로 분리되어있는 상기 내주면 사이에 공급되고, 공급된 편평상태의 통(B)은, 통유지부(12)가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므로서,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가 접근하여 입체형태의 통(C)으로 되고, 이 입체상태의 통(C)은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되면서, 통유지부 주행수단에 의해 주행하게 되므로서 반송되는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과;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된 입체상태의 통(C)의 한쪽의 개구단부에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한쪽의 편측에서 저판(D)을 공급하여 끼워넣는 저판 끼워넣기수단(30)과;저판(D)과, 저판(D)이 끼워넣어진 개구단부의 내면을 접합하여 시일하는 저부 시일수단(40)과;상기 통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된 입체상태의 통(C)의 다른쪽의 개구단부에 상기 통형성유지 반송수단(10)의 주행로의 다른쪽의 편측에서 덮개판(E)을 공급하여 끼워넣는 덮개판 끼워넣기수단(60)과;덮개판(E)과, 덮개판(E)이 끼워넣어진 개구단부의 내면을 접합하여 시일하는 덮개부 시일수단(70)과;덮개부(E)를 시일한 후의 통형상 용기(F)를 통유지부(12)로부터 송출하는 용기송출수단(80)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상태의 통(B)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조장치는, 이들의 2개의 측판을 각각 바깥쪽을 향해서 끌어당겨서, 2개의 측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인장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상태의 통(C)의 측면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유지부(12)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유지부(12)의 내주면의 평면은 입체상태의 통(C)의 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
- 편평상태로 되어 있고, 부풀은 때 통형상으로 되는 통 시트를 공급하는 통 시트공급공정과,통 시트를 부풀리고, 2개의 개구를 가지는 통본체를 형성하는 통형성공정과,상기 통본체의 상기 개구의 한쪽을 봉지하는 제 1 봉지공정과,상기 통본체의 내부에 내용물을 장전하는 내용물 장전공정과,상기 통본체의 상기 개구의 다른쪽을 봉지하는 제 2 봉지공정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지공정과 상기 제 2 봉지공정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통본체의 상기 개구에 봉지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봉지부재 부착공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재 부착공정은, 상기 통본체의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개구단부에 봉지부재를 끼워넣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봉지부재 끼워넣기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지공정과 상기 제 2 봉지공정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봉지부재 부착공정의 후에 이어지는, 상기 봉지부재와 상기 통본체를 접합하는 봉지부재 접합공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통 시트 공급공정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통 시트는, 각부 접은 자국(c)과 대향하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가지고, 또한 이들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에서 접어 겹쳐 편평상태로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통형성공정에서 통 시트를 부풀리고, 2개의 개구를 가지는 통본체를 형성하고, 이 통본체에 각부 접은 자국(c)을 따라 각부(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통 시트 공급공정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통 시트는, 대향하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에서 접어 개어져 편평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통형성공정은,상기 통본체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 내면을 가지는 성형 형으로서, 이 형성 형은 형성면을 가지고 있는 2 이상의 형부분으로 분할되고, 이들의 형부분이 조합된 때 각각의 형성면이 조합되어 형내면이 형성되는 형성 형을 준비하는 공정과,분할된 이들의 형부분에서 편평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통 시트의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과 외면을 둘러싸는 공정과,분할되어 있는 이들의 형부분이 상기 형내면을 형성하도록 이들의 형부분을 통 시트에 접근시키고, 이들의 형부분중의 2개를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에 각각 눌러 대서 상기 통 시트의 상기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서로 접근시키므로서, 통 시트를 부풀리게 하는 공정과,상기 형부분을 조합시켜서 형 내면을 형성하고, 이 형 내면에 부풀린 통 시트를 둘러싸고, 2개의 개구를 가지는 통본체를 형성하는 공정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시트 공급공정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통 시트는, 상기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통해서 연속하여 있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을 가지고 있고, 상기 통형성공정은, 이들 2개의 측판을 각각 바깥쪽을 향해서 끌어당겨서, 2개의 측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 대향하는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에서 접어 개어져 편평상태로 되어 있고, 이들의 2개의 대향 접은 자국(a,b)을 서로 접근시키므로서 부풀린 때 통형상으로 되는 통 시트로 형성된 통본체(1401)를 가지고 있고, 이 통본체(1401)는 2개의 개구를 가지고 있고, 이들 2개의 개구는 봉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본체(1401)의 2개의 개구에 각각 끼워넣어져 있는 봉재부재(D,E)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
-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 시트는, 상기 2개의 대향 접은자국(a,b)과 각부 접은 자국(c)을 가지고 있고, 상기 통 시트가 편평상태로부터 부풀어져 통형상으로 되어 통본체(1401)를 형성할 때, 이 통본체(1401)에 각부 접은 자국(c)을 따라 각부(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
-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용기는 기부(1402)와 덮개부분(1403)을 가지고 있고, 기부(1402)와 덮개부분(1403)은 약화부분(1404a,1404b)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이 약화부분(1404a,1404b)에서 분리된 때 덮개부분(1403)이 개폐자유로이 되고, 덮개부분(1403)을 열었을 때, 통형상 용기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분(1403)을 닫은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1405)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상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0-00298793 | 2000-09-29 | ||
JP2000298793 | 2000-09-29 | ||
JP2001217100A JP4103353B2 (ja) | 2000-09-29 | 2001-07-17 | 筒状容器の製造装置及び筒状容器の製造方法 |
JPJP-P-2001-00217100 | 2001-07-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5745A true KR20020025745A (ko) | 2002-04-04 |
KR100777945B1 KR100777945B1 (ko) | 2007-11-21 |
Family
ID=2660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9857A KR100777945B1 (ko) | 2000-09-29 | 2001-09-27 |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및통형상 용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4103353B2 (ko) |
KR (1) | KR100777945B1 (ko) |
CN (1) | CN1221438C (ko) |
HK (1) | HK1046396B (ko) |
TW (1) | TWI240670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155B1 (ko) * | 2011-01-27 | 2011-06-20 | 박우열 | 고속열차의 화장실에 설치된 멤브레인 물통 |
KR101362982B1 (ko) * | 2013-10-23 | 2014-02-12 | 박성배 | 초음파 융착을 통한 플라스틱 원통의 측면·바닥면 형성 자동화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10817A (ja) * | 2000-09-29 | 2008-05-15 | Toppan Printing Co Ltd | 筒状容器 |
DE60203976T2 (de) * | 2001-09-20 | 2006-05-04 | Fuji Photo Film Co. Ltd., Minamiashigara | Abgedichtetes Gehäuse |
JP3721562B2 (ja) * | 2002-09-10 | 2005-11-30 | 第一印刷株式会社 | 紙筒容器並びに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
KR20050087613A (ko) * | 2004-02-27 | 2005-08-31 | 디아이케이(주) | 금속제 용기의 형성방법 및 제조공정 |
JP4617962B2 (ja) * | 2005-03-30 | 2011-01-26 | 凸版印刷株式会社 | 円筒状紙容器の成形装置 |
CN101920584B (zh) * | 2009-12-10 | 2012-01-11 | 西安航天华阳印刷包装设备有限公司 | 流体食品饮料软包装盒单片包材盒的成型方法 |
US20130092312A1 (en) * | 2011-10-14 | 2013-04-18 | Kellogg Company | Methods for forming composite structures |
JP2014019475A (ja) * | 2012-07-19 | 2014-02-03 | Sigma Shigyo Kk | 紙缶容器 |
WO2015024246A1 (zh) * | 2013-08-23 | 2015-02-26 | Chang Ching-Wen | 具隔热表层的容器的制法 |
JP6248679B2 (ja) * | 2014-02-18 | 2017-12-20 | 凸版印刷株式会社 | 容器シール装置の受け冶具位置決め機構 |
KR101772516B1 (ko) * | 2016-01-28 | 2017-08-31 | 이호영 | 충진용 입체형 비닐 백 및 이의 제조장치 |
CN110809552A (zh) * | 2017-06-16 | 2020-02-18 | 凸版印刷株式会社 | 包装袋 |
CN108177383A (zh) * | 2017-12-27 | 2018-06-19 | 天津厚玺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新型纸盒板张开装置 |
CN111891454B (zh) * | 2020-07-30 | 2021-12-17 | 郑州升达经贸管理学院 | 一种网球自动包装设备 |
DE102020121042A1 (de) | 2020-08-10 | 2022-02-10 | Van Genechten Packaging N.V. | Becher- oder schalenförmige Verpackung |
CN112959738B (zh) * | 2021-04-13 | 2024-10-22 | 沈阳北亚饮品机械有限公司 | 一种纸盒底部压封芯模 |
DE102023108978A1 (de) | 2023-04-06 | 2024-10-10 | Van Genechten Packaging N.V. | Verpackung |
-
2001
- 2001-07-17 JP JP2001217100A patent/JP4103353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9-25 TW TW090123567A patent/TWI24067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9-27 KR KR1020010059857A patent/KR1007779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9-29 CN CNB011360739A patent/CN122143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11-05 HK HK02108025.0A patent/HK104639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155B1 (ko) * | 2011-01-27 | 2011-06-20 | 박우열 | 고속열차의 화장실에 설치된 멤브레인 물통 |
KR101362982B1 (ko) * | 2013-10-23 | 2014-02-12 | 박성배 | 초음파 융착을 통한 플라스틱 원통의 측면·바닥면 형성 자동화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K1046396A1 (en) | 2003-01-10 |
TWI240670B (en) | 2005-10-01 |
CN1347829A (zh) | 2002-05-08 |
JP4103353B2 (ja) | 2008-06-18 |
JP2002172717A (ja) | 2002-06-18 |
KR100777945B1 (ko) | 2007-11-21 |
CN1221438C (zh) | 2005-10-05 |
HK1046396B (zh) | 2006-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7945B1 (ko) | 통형상 용기의 제조장치, 통형상 용기의 제조방법, 및통형상 용기 | |
US1132533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ackages | |
AU2002367107B2 (en) | Self-standing packaging bag, packaging body, web ro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US6138437A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igarette packs | |
US1176053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ackages | |
JPS58203839A (ja) | 流体用容器 | |
JPS629019B2 (ko) | ||
RU2257315C2 (ru) | Устройство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упаковоч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 |
JP6387192B2 (ja) | パウチ容器整列構造、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 |
CN102245477A (zh) | 用于将开启装置应用在能灌装到包装材料管中的食品的包装上的单元 | |
EP100962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ubular hollow items | |
RU2321495C2 (ru) | Система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в особенности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 |
CN1689798A (zh) | 在用于生产产品卷的包的膜上形成把手的方法 | |
CN109311562B (zh) | 用于制造包装的方法和设备和由此形成的包装 | |
US6810640B1 (en) | Methods for producing a composite packing and a composite packing produced according to said method | |
JP2746719B2 (ja) | 管状梱包用品本体の製造方法、該方法によって製造した梱包用品並びに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 |
JP2008110817A (ja) | 筒状容器 | |
JP7500620B2 (ja) | 傾斜ゲーブルを有する包装体のゲーブル面を後成形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 |
CN116119079B (zh) | 薄膜热封包装的一体化生产方法及设备 | |
KR100385704B1 (ko) |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 |
CN113211853A (zh) | 一种礼盒智能环保制造流水线及其工艺 | |
ITUB20156005A1 (it) | Confezioni primarie o secondarie in film termosaldabile per rotoli di carta igienica o per altri usi, per pacchi di salviette, tovaglioli e fazzoletti di carta od in tessuto non tessuto o simili. | |
ITMI971690A1 (it) | Impianto e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confezioni atte a consentire il trasporto e l'esposizione di prodotti commerciali | |
MXPA9900865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ubular hollow i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11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