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059A - 포장용기, 그것을 포함하는 포장체, 및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그것을 포함하는 포장체, 및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059A
KR20020025059A KR1020017014163A KR20017014163A KR20020025059A KR 20020025059 A KR20020025059 A KR 20020025059A KR 1020017014163 A KR1020017014163 A KR 1020017014163A KR 20017014163 A KR20017014163 A KR 20017014163A KR 20020025059 A KR20020025059 A KR 20020025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ilm
tray
packaging contain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이와사끼
미노루 오오시따
도시오 오구리
노리오 가와니시
Original Assignee
이시다 다게시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46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4802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360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48003A/ja
Application filed by 이시다 다게시,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filed Critical 이시다 다게시
Publication of KR2002002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05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히트롤러에 의해서 트레이와 스트리취필름과의 열접착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충분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레이 (10) 는, 저면 (11) 과, 벽면 (12) 과, 플랜지 (13) 를 구비하고 있다. 저면 (11) 은, 피포장물을 탑재하기 위한 면이다. 벽면 (12) 은, 저면 (11) 을 둘러쌓도록, 저면 (11) 으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 (13) 는, 벽면 (12) 의 상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 (13) 는, 벽면측의 만곡부 (13a) 와, 만곡부 (13a) 의 바깥측에 위치하는 경사부 (13b) 를 갖고 있다. 그리고, 경사부 (13b) 는, 그 상면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선이다. 또한, 만곡부 (13a) 는, 벽면 (12) 과 경사부 (13b) 가 연속적인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포장용기, 그것을 포함하는 포장체, 및 포장방법{PACKAGING CONTAINER, PACKAGING BODY INCLUDING THE SAME, AND PACKAGING METHOD}
포장용기의 중에 수용한 피포장물을 필름에 의해서 포장하는 것은, 종래로부터 행하여지고 있다. 널리 행하여지고 있는 방법으로서, 피포장물을 용기내에 탑재하여 필름에 의해서 용기전체를 덮는 오버랩 (overlap) 방식이나, 포장용기를 형틀에 고정하여 용기상면에 필름을 씌워 열용착하는 형틀고정 시일방식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각 방식에는, 각각 문제점이 존재한다.
오버랩방식의 경우에는, 포장용기전체를 필름으로 덮어 저면에서 필름끼리를 합쳐서 열접착하기 때문에, 용기본체와 필름과의 계면은 단순한 접촉일 뿐이고, 내용이 액상일 경우에는 기울이면 액이 새는 염려가 있다. 즉, 오버랩방식으로는, 밀봉성이 뒤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기전체를 덮기 때문에, 용기가 평면적인 크기의 수배의 필름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필름의 사용량이 많아져 자원절약화나 쓰레기처리의 관점으로부터도 문제가 있다.
한편, 형틀고정 시일방식의 경우에는, 용기에 대하여 각각 열압착용의 형틀이 필요하고, 용기사이즈나 용기형상으로의 대응의 유연성을 결하기 때문에, 다종 (多種) 의 포장용기를 필요로 하는 업계에서는 채용되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일본 특허출원 평11-137025호에 있어서, 포장용기 (tray) 의 상면을 덮는 필름에 가열한 롤러를 경사한 상태로 대어, 포장용기의 플랜지상에서 롤러를 굴리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방식에 의하면, 용기별로 형틀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킨 히트롤러에 의해서 포장용기와 필름과의 열접착 및 열용단 (熱溶斷) 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종에 이르는 용기형상에 대응하고, 또한 밀봉성이 뛰어난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단지, 기존의 용기는, 플랜지가 수평면에 따른 형상이거나, 또는 플랜지가 컬 (curl) 한 형상이다. 따라서, 히트롤러를 적당한 각도로 플랜지에 대더라도, 양자는 선접촉이 되어 충분한 접착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다. 또한, 선시일로서는, 밀봉성, 특히 액체에 대한 밀봉성이 낮은 것이 문제점으로 된다. 또한, 핀홀이 발생하는 염려도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과제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킨 히트롤러에 의해서 포장용기와 필름과의 열접착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충분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는 포장용기, 그것을 포함하는 포장체, 및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 에 관련되는 포장용기는, 저면과, 벽면과,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다. 저면은, 피포장물을 탑재하기 위한 면이다. 벽면은, 저면을 둘러싸도록,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는, 벽면의 상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는, 벽면측의 만곡부와, 만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경사부는, 그 상면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선이다. 또한, 만곡부는, 벽면과 경사부가 연속적인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포장용기의 플랜지형상은, 수평면에 따른 평면형상 또는 컬한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고, 가열된 롤러 (열체) 를 경사상태로 접촉시키면 선접촉으로 된다. 따라서, 포장용기와 포장용기의 상면에 씌워진 필름과는, 선시일 같은 상태로 접착된다. 이 경우, 유통과정의 반송이나 충격에 의해서 용이하게 파단, 박리되어, 수납한 피포장물이 노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피포장물이 액체이면, 액누설이 생기게 된다. 또한, 선접착이기 때문에 열체의 이동시에 마찰 등에 의해 선시일된 접착부에 핀홀 등이 생겨, 밀봉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청구항의 포장용기에는, 열체가 접촉하는 각도에 대략 맞추어 경사지게 한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 플랜지의 경사부의 상면을 직선 (상면의 단면을 직선) 으로 하였기 때문에, 경사진 열체가 플랜지에 맞닿았을 때에 포장용기와 필름이 선시일이 아니라 면시일이 되어, 보다 강고하고 밀봉성이 높은 접착이 얻어지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말하는 플랜지의 경사부의 직선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면 된다. 즉 다소의 만곡이 있더라도, 열체가 플랜지에 닿았을 때에 눌러서 닿게하는 압력에 의해서 플랜지의 접촉면이 직선으로 되어, 면접착 가능하게 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경사가 있는 플랜지의 직선형상 경사부의 경사각도는, 처음부터 열체의 경사각과 평행한 경우와, 시일시에 열체를 밀어 부칠 때의 압력에 의해 시일됨과 동시에 시일압력에 의해서 열체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어느 경우에도, 면접촉하여, 면시일이 이루어진다. 후자의 경우에는, 열체를 밀어 부치는 것에 의해 경사각도가 맞추어지기 때문에, 플랜지에 있어서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향하여 시일압력의 압력균배가 생긴다. 이 때문에, 플랜지 바깥테두리 일수록 압력이 강하게 되고, 해당 압력에 의해서, 필름을 보다 절단 (열용단) 하기 쉬운 상태가 형성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후자와 같이 열체를 밀어 부치는 것에 의해 열체와 플랜지의 직선형상 경사부의 경사각도를 맞추는 것이 좋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기를 사용하여 경사 히트롤러에 의한 시일을 하면, 시일시에, 시일부분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랜지의 부분에서, 필름이 포장용기에 대하여 밀착하지 않는 (완전히는 밀착하지 않음) 현상이 생긴다. 즉, 시일시에 있어서, 포장용기의 플랜지와 필름과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상태로 된다.
이 공기층은, 시일시에 열체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을 단열하여, 열체로부터의 열량이 필름에 집중하여 큰 열응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통상의 포장에 사용하는 필름의 내열성으로서는, 열에 의해서 핀홀이 생기게 된다.
이 핀홀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열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어도, 열체와 근거리에 접근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열체로부터의 열량을 필름에 집중시키지 않도록, 필름을 포장용기에 밀착시켜둘 필요가 있다.
이에 감안하여, 본 청구항의 포장용기에서는, 플랜지의 경사부 (시일부분)의 내측에 만곡부를 형성하여, 필름이 만곡부에 밀착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열체로부터의 열량은, 경사부와 필름을 열접착시키는 것 외는, 플랜지의 만곡부 등을 거쳐 방열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포장용기에서 발생하는 바와 같은 핀홀이 억제되어, 밀봉성이 좋은 포장이 가능해진다.
또, 필름과 포장용기의 플랜지를 밀착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치로 필름을 잡아 당겨, 필름에 장력이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포장용기의 플랜지의 경사부 및 만곡부의 표면이 필름과의 충분한 접착을 하기 위한 접촉면적을 갖고 있는 것이 좋다. 즉, 점접촉이 아니라 면접촉하는 상태 (충분히 정마찰계수가 확보되는 상태) 이고,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인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광택을 갖는 정도의 표면상태이면, 충분히 필름과 포장용기를 밀착시킬 수 있다. 필름을 밀착시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일시의 열체로부터의 열량을 필름에 집중시키지 않고, 핀홀 등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포장용기의 포장 후의 미칭 (美稱) 성의 문제보다, 필름에 다소장력이 걸린 상태쪽이, 내용물을 넣어 포장하였을 때의 외부에서 필름을 통해서 내용물을 확인할 때의 필름의 투명성이나 가시성이 향상되어, 미칭성이 향상한다. 또한,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필름에 장력을 걸어, 미칭성의 향상을 꾀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해당 발명에서는, 필름에 장력을 인장한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열체에 의해 시일하기 때문에, 시일직후에 시일부에 장력이 직접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도, 플랜지의 표면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서 중심측으로 걸려있는 필름의 장력을 저감시켜, 시일직후의 필름장력에 의한 시일불량의 발생의 가능성을 가능한 한 저감시키기 위하여도 플랜지의 표면은 매끈매끈한 쪽이 좋다.
청구항 2 에 관련되는 포장용기는, 청구항 1 에 기재의 포장용기로서, 경사부가, 저면에 대하여 경사각도 20°로부터 60°의 범위로 경사져 있다.
청구항 3 에 관계되는 포장용기는,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의 포장용기로서, 경사부의 폭이 2mm 이상이다.
테스트결과로부터, 필름과 열접착되는 경사부의 폭이 2mm 이상이면, 접착강도나 밀봉성이 높은 레벨로 확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청구항 4 에 관련되는 포장용기는, 청구항 1 내지 3 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포장용기이고, 플랜지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청구항 5 에 관련되는 포장체는, 청구항 1 내지 4 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포장용기와, 필름을 구비하고 있다. 필름은, 포장용기의 상면을 덮어, 주위가 플랜지에 접착된다.
청구항 6 에 관련되는 포장체는, 청구항 5 에 기재의 포장체로서, 필름의 주위는, 플랜지의 만곡부에 빈틈 없이 이어져, 플랜지의 경사부에 접착된다.
청구항 7 에 관련되는 포장체는, 청구항 5 또는 6 에 기재의 포장체이고, 플랜지는, 돌출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 이 돌출부는, 경사부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필름을 절단시킨다.
청구항 8 에 관련되는 포장체는, 청구항 5 내지 7 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포장체이고, 필름의 주위가 만곡부 및 경사부에 밀착한 상태이며, 경사한 열체가 경사부에 닿아, 필름이 플랜지에 열접착 된다.
청구항 9 에 관련되는 포장방법은, 제 1 공정, 제 2 공정, 제 3 공정, 및 제 4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공정에서는, 경사한 플랜지를 주위에 갖는 포장용기에, 피포장물을 탑재시킨다. 제 2 공정에서는, 포장용기의 상방에 필름을 공급하여, 그 필름에 장력을 건다. 제 3 공정에서는, 포장용기를 상승시켜, 장력이 걸린 상태의 필름에 대하여 플랜지를 맞닿게 한다. 제 4 공정에서는, 필름이 맞닿고 있는 플랜지에 대하여, 열체를, 플랜지의 경사각도 보다도 큰 경사각도로 밀어 부친다.
여기에서는, 포장용기의 경사한 플랜지에 대하여, 그 플랜지의 경사각도 보다도 큰 경사각도로 열체를 밀어 부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통상 포장용기에는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열체가 밀어 부쳐지는 것에 따라 플랜지가 열체에 따르도록 변형하여, 열체가 플랜지에 닿았을 때에 포장용기와 필름이 선시일이 아니라 면시일 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강고하고 밀봉성이 높은 접착이 얻어진다.
또한, 열체를 밀어 부쳤을 때의 플랜지의 변형은, 시일부분의 외측단부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도 강한 압력이 걸리고 있는 상태를 만들어 낸다. 특히, 플라스틱 트레이와 같이 탄력성의 큰 포장용기의 경우에는, 시일부분의 내측과과 외측과의 압력차가 커진다. 이 때문에, 열체로부터의 열이나 필름의 장력에 의해, 필름을 시일부분의 외측단부에 있어서 용이하게 용단할 수가 있다. 예컨대, 시일완료시에 있어서 필름의 시일부분과 그 바깥쪽부분과의 사이에 장력이 걸리고 있는 상태로 하면, 필름이 자동적으로 용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플랜지의 경사각도와 열체의 경사각도와의 차는, 지나치게 작으면 용단성이 저하하고, 지나치게 크면 면시일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용단성 및 면시일이 양립하도록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항 9 에 기재의 포장방법의 경우에는, 포장용기의 경사한 플랜지에 대하여, 그 플랜지의 경사각도 보다도 큰 경사각도로 열체를 밀어 부치고 있기 때문에, 필름이 플랜지의 정점에서 접착하는 것이 거의 없고, 거의 플랜지의 경사하고 있는 부분만이 면시일 된다. 만약에 플랜지의 정점이 접착되어 버리면, 열체가 떨어저 플랜지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갔을 때에 정점의 접착점에서는 필름이 연화상태이고, 더구나 거기에는 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용단 또는 오그라들어 변형과 같은 일이 일어나 포장물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그러나, 여기서는 플랜지의 정점에서 필름이 접착되는 일이 거의 없게 되기 때문에, 그와 같은 불량의 발생이 억제된다.
청구항 10 에 관련되는 포장방법은, 청구항 9 에 기재의 포장방법이고, 제 4 공정에서는, 플랜지와 열체와의 접촉부분의 폭이 2mm 이상으로 되도록, 열체를 플랜지에 밀어 부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레이의 원재료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레이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장치의 개략도.
제 4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동작의 설명도.
제 5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동작의 설명도.
제 6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전의 트레이, 스트리취 (stretch) 필름, 및 히트롤러의 평면도.
제 7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히트롤러의 시일동작 평면도.
제 8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일전의 스트리취필름 (Fm) 의 플랜지 (13) 에 대한 밀착상태도.
제 9 도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일 및 용단중의 히트롤러, 트레이, 및 스트리취필름의 상태도.
제 10 도는, 종래의 트레이와 제 1 실시형태의 트레이와의 시일동작중의 스트리취필름의 상태도.
제 11 도는, 제 3 실시형태의 시일 및 용단중의 히트롤러, 트레이, 및 스트리취필름의 상태도.
제 12 도는, 제 4 실시형태의 시일 및 용단중의 히트롤러, 트레이, 및 스트리취필름의 상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 1 실시형태]
<트레이의 원재료>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트레이 (포장용기) 의 원재료의 단면도를, 도 1 에 나타낸다. 이 원재료는, 플라스틱시트이다. 이 플라스틱시트 (90) 를 진공압공 (眞空厭空) 성형함으로써, 트레이가 성형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틱시트 (90) 는, 열용융성의 플라스틱 재료층(91,93) 과 발포플라스틱재료층 (92) 을 접합시킨 구성으로 되어있다.
트레이의 상면으로 되는 열용융성의 플라스틱재료층 (91) 은, 후술하는 열체 (히트롤러(3)) 에 의해서 스트리취필름과 열접착되는 층이고, 스트리취필름과 열접착 가능한 재질이 아니면 안된다. 여기서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카탈로이폴리프로필렌/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의 3층 구조의 스트리취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열용융성의 플라스틱재료층 (91) 으로서, 스트리취필름과 동질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열용융성의 플라스틱재료층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발포플라스틱재료층 (92) 으로서는, 폴리스티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발포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트레이의 외면으로 되는 플라스틱재료층 (93) 에 관해서도, 플라스틱재료층 (91) 과 열수축률이 거의 동등인 재질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같은 수축률을 갖는 플라스틱재료층 (91,93) 이 양면에 접합되어 있는 재료를 원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성형 후의 트레이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 스트리취필름 및 트레이의 원재료로서, 가스배리어 (gas barrier) 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나 폴리비닐알콜 등의 필름을, 보향성 (保香性) 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의 필름을, 다층구조의 중에 적어도 일층 이상 사용하면 좋다. 이것들의 재질은, 배리어의 대상으로 되는 가스에 의해서 재질 및 두께를 선택하면 좋다. 또한, 알루미늄 증착이나 세라믹스증착 등의 증착에 의해서 가스배리어성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알루미늄박이나 철박 등의 금속을 배리어층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트레이에 관해서는 접착층인 최내층 이외의 층에 사용할 수 있다. 단지, 스트리취필름에 대하여는, 금속을 배리어층으로 사용하면 투명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채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트레이의 형상>
상기와 같은 도 1 의 플라스틱시트 (90) 를 원재료로서, 진공압공 성형기를 사용하여, 도 2 에 나타내는 단면형상의 트레이 (10) 를 성형한다.
도 2 에 나타내듯이, 트레이 (10) 는, 직사각형의 저면 (11) 과, 4장의 벽면 (12) 과, 플랜지 (13) 로 구성되어 있다. 4장의 벽면 (12) 은, 저면 (11) 을 둘러싸듯이 저면의 사방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 (13) 는, 벽면 (12) 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플랜지 (13) 는, 벽면 (12) 측의 만곡부 (13a) 와, 만곡부 (13a) 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사부 (13b) 로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 (13a) 는, 벽면 (12) 과 경사부 (13b) 가 연속적인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부 (13a) 의 곡율에 관해서는, 스트리취필름을 트레이에 밀착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R2 (반경 2mm) ∼R10, 바람직하게는, R3∼R8로 된다.
경사부 (13b) 는, 도 2 에 나타내듯이, 그 상면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되어 있고, 만곡부 (13b) 의 외주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이 경사부 (13b) 의 저면 (11) 에 대한 경사각도 α (도 2 참조) 는, 후술하는 히트롤러 (열체:3) 가 접촉하였을 때에 면접촉하도록, 20°∼ 60°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 경사각도 α의 범위로서는, 5°∼ 90°를 생각할 수 있지만, 히트롤러 (3) 의 경사 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20°∼ 60°이다. 상술하였듯이, 여기서의 히트롤러 (3) 의 경사각도와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의 경사각도 α와는,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고, 오히려, 히트롤러 (3) 를 시일시에 밀어 부칠 때에 경사부 (13b) 의 경사각도 α와 히트롤러 (3) 의 경사각도가 대략 맞도록 각각의 각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의 시일폭을 확보하기 위하여, 플랜지 (13) 의 폭을 치수 D 만큼 확보하고 있다 (도 2 참조). 이 플랜지 (13) 의 폭치수 D 로서는, 1mm ∼ 15mm 가 상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3mm ∼ 10mm 이다. 그리고,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의 폭치수가 2mm 이상 확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와 스트리취필름과의 열접착동작>
다음으로, 트레이에 스트리취필름을 열접착시키는 포장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포장장치 (1) 는, 일본 특허출원 평11-137025호에 개시하고 있는 포장장치와 같은 것이다.
도 3 에 나타내듯이 트레이 (10) 가 유지부재 (2) 상에 놓이면, 필름공급기구 (5) 의 세트부 (51) 로부터 스트리취필름 (Fm) 이 풀어 나온다. 풀어 내여진 스트리취필름 (Fm) 은, 반송롤러 (52a,52b) 에 건너질러지고 있는 2개의 벨트 (B) 및 가압롤러 (52c,52d) 에 건너질러지고 있는 2개의 벨트 (B) 를 반송방향 (도 6 의 좌우방향) 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트리취필름 (Fm) 을 폭방향 (도 6 의 상하방향) 으로 당긴다. 이것에 의해, 스트리취필름 (Fm) 에는 폭방향에따른 장력이 걸린다.
다음으로, 리프트기구 (6) 의 이동부 (63) 가 상승하고, 트레이 (10) 가 스트리취필름 (Fm) 을 쳐 올려 정지한다 (도 4 참조). 이 때에는, 트레이 (10) 의 쳐 올리기에 의해, 스트리취필름 (Fm) 에는 반송방향에 따른 장력이 걸린다. 또한, 스트리취필름 (Fm) 은, 도 8 (확대도) 에 나타내듯이, 트레이 (10) 의 플랜지 (13) 의 만곡부 (13a) 의 외측부분 및 경사부 (13b) 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가압판 (73) 에 대한 레버기구 (74) 의 하방으로의 힘의 인가를 해제시켜, 링크기구 (72) 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히트롤러 (3) 가 자중에 의해서 트레이 (10) 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한다 (도 5 참조). 이들의 히트롤러 (3) 가 각각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히트롤러 (3) 는, 대략 같은 압력으로 트레이 (10) 에 접촉한다.
다음에, 모터 (82) 에 의해서 회전축 (81) 을 소정각도만 회전시킴으로써, 도 7 에 나타내듯이 히트롤러 (3) 가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히트롤러 (3) 는, 트레이 (10) 의 주위 (플랜지(13)) 를 덧쓰듯이 이동하여, 트레이 (10) 와 스트리취필름 (Fm) 을 열융착시켜 시일하여 간다. 이 때, 히트롤러 (3) 는, 플랜지 (13) 상을 전동하면서 이동한다.
히트롤러 (3) 가 트레이 (10) 의 주위에 따라 이동할 때의 양자의 접촉부분 부근을 확대한 것을, 도 9 에 나타낸다. 트레이 (10) 는, 상부 개구가 전후좌우에 장력이 걸린 스트리취필름 (Fm) 으로 덮어진 상태에 있다. 그리고, 스트리취필름 (Fm) 은, 트레이 (10) 의 플랜지 (13) 의 만곡부 (13a) 의 외측부분 및 경사부(13b) 에 압착하고 있다. 히트롤러 (3) 는, 그 스트리취필름 (Fm) 과 플랜지 (13) 와의 접촉부분에 비스듬히 닿아, 열과 힘을 가하고 있다. 이들의 열과 힘에 의해, 스트리취필름 (Fm) 과 플랜지 (13) 가 열융착한다.
또한, 이 때에는, 트레이 (10) 의 에지부분 (여기에서는 히트롤러 (3) 가 닿아 있는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의 외주단부) 에 있어서 스트리취필름 (Fm) 에 열 및 힘이 집중하여, 스트리취필름 (Fm) 에 장력이 발생하고 있음으로, 트레이 (10) 의 에지부분으로 스트리취필름 (Fm) 이 녹아 분리절단된다 (도 9 참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 에 나타내듯이 수평면에 대한 히트롤러 (3) 의 각도가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의 각도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도 9 에 나타내듯이 히트롤러 (3) 가 플랜지 (13) 에 닿았을 때에는 히트롤러에 의한 압력이 플랜지 (13) 의 외주단부에서 가장 커지기 때문에, 스트리취필름 (Fm) 의 장력에 의해, 플랜지 (13) 의 외주단부로 스트리취필름 (Fm) 이 용단된다. 플랜지 (13) 의 외주단부로 압력이 가장 커지게 되므로, 플랜지 (13) 에는 만곡부 (13a) 로부터 외주단부에 향하여 압력균배가 존재한다. 따라서, 필름 (Fm) 과 플랜지 만곡부 (13a) 부근에서는 압력이 외주단부에 비하여 약해져 있고, 시일되는 플랜지 (13) 의 내주단부의 경계에 있어서, 열과 압력에 의한 부하가 경감되어, 스트리취필름 (Fm) 에 대하여 부하를 거는 일없이 시일되게 된다. 스트리취필름 (Fm) 과 트레이 (10) 가 시일된 후의 플랜지 (13) 의 단면사진을 관찰한 바, 트레이 (10) 의 내측 시일단면에서 필름에 대하여 열 및 압력에 의한 크랙, 필름의 열화가 생기지 않았다. 이로부터, 핀홀이나 크랙 등의 발생이 억제되게 된다.
히트롤러 (3) 에 의한 트레이 (10) 로의 스트리취필름 (Fm) 의 시일을 끝내면, 히트롤러 (3) 를 인상 (引上) 하여 리프트기구 (6) 에 의해서 트레이 (10) 를 하강시킨 후에, 시일포장된 트레이 (10) 가 유지부재 (2) 로부터 취출된다. 다음 사이클로 옮길 때에는, 트레이 (10) 의 시일포장에 의해 일부가 열용단된 스트리취필름 (Fm) 은, 권취부 (53) 의 구동에 의해서 권취된다.
<종래의 트레이와의 시일동작의 비교>
도 10 에, 종래의 트레이 (100) 에 스트리취필름 (Fm) 을 시일하는 경우와, 본 실시형태의 트레이 (10) 에 스트리취필름 (Fm) 을 시일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종래의 트레이)
도 10 (a) 는, 종래의 트레이 (100) 에 스트리취필름 (Fm) 을 히트롤러 (3) 에 의해서 열용도착할 때의 플랜지 (113) 근방의 확대도이다. 트레이 (100) 의 플랜지 (113) 는, 제 1 만곡부 (113a) 와, 수평부 (113b) 와, 제 2 만곡부 (113c) 와, 수직부 (113d) 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으로로부터 명확하듯이, 히트롤러 (3) 가 플랜지 (113) 의 제 2 만곡부 (113c) 와 접촉함으로써, 트레이 (100) 와 스트리취필름 (Fm) 이 시일된다. 또한, 제 2 만곡부 (113c) 에 가까운 수직부 (113d) 의 외측의 공간에서는, 플랜지 (113) 와 스트리취필름 (Fm) 과의 사이에 공기층 (S1) 이 형성된다. 이 공기층 (S1) 이 단열재의 역활을 하기 때문에, 히트롤러 (3) 로부터의 열량이 제 2 만곡부 (113c) 와 수직부 (113d) 와의 경계선부분에 있는 스트리취필름 (Fm) 에 집중하여, 거기에서 스트리취필름 (Fm) 이 열용단 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레이 (100) 에서는, 동일하게 스트리취필름 (Fm) 과 플랜지 (113) 의 수평부 (113b) 와의 사이에 공기층 (S2) 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이 공기층 (S2) 은, 히트롤러 (3) 로부터의 열량의 단열재의 역활을 하며, 시일부분의 내측에 있어서 열에 의한 핀홀을 발생킬 염려가 높다. 이러한 핀홀이 생기면, 트레이 (100) 내의 밀봉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핀홀이 커지면, 포장자체를 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트레이)
도 10 (b) 에 본 실시형태의 트레이 (10) 에 대하여 스트리취필름 (Fm) 을 열시일 시킬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트레이 (10) 의 경우, 만곡부 (13a) 의 외측에 경사부 (13b) 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리취필름 (Fm) 이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및 만곡부 (13a) 의 외측부분을 밀착하여 덮는다. 그리고, 히트롤러 (3) 는, 주로 경사부 (13b) 에 닿고, 만곡부 (13a) 에는 거의 닿지 않는다. 따라서, 도 10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공기층 (S1,S2) 가 형성되는 일이 없고, 핀홀 등이 생기는 일없이 안정하여 시일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플랜지 (13) 를 갖는 트레이 (10) 와 스트리취필름 (Fm) 을 히트롤러 (3) 에 의해서 열용착시킬 때에는, 만곡부 (13a) 가 약간 변형하여 히트롤러 (3) 의 경사각과 플랜지 (13) 의 각도가 대략 맞는 상태에서, 히트롤러 (3) 가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열용착 시키기 때문에, 대략 플랜지 (13) 의 폭전체로 시일이 행하여진다. 또한, 히트롤러 (3) 로부터의 열량은, 경사부 (13b) 와 스트리취필름 (Fm) 을 열접착시키는 외에는, 만곡부 (13a) 를 통하여 방열시키게 된다. 따라서, 핀홀 등이 생기는 위험성도 회피된다.
<종래의 트레이와의 측정결과의 비교>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트레이 (10) 의 구체적인 예와 종래의 트레이 (100) 의 구체적인 예 (비교예) 와의 비교측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트레이 (10) 의 원재료로서, 양측의 표면층이 40㎛ 두께의 무연신 (無延伸) 의 폴리프로필렌필름 (CPP) 이며, 그들의 사이에 개재되는 기재 (基材) 가 발포폴리스티렌시트 (두께 1.5mm, 중량 260g/m2) 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공압출 (共壓出)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CPP (40㎛) /발포폴리스티렌 (1.5mm) /CPP (40㎛) 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이다. 그리고, 이 시트를 형틀에 세트하여, 진공압공성형기로 식품용 트레이 (10) 를 얻었다.
트레이치수는, 외경이 130mm ×180mm, 깊이가 30mm, 플랜지각도 α가 35°, 플랜지폭이 5mm, 만곡부의 곡율이 R5mm 이다.
본 트레이 (10) 를 상술한 바와 같이 히트롤러식의 스트리취필름 포장장치에 세트하여, 스트리취필름 (Fm) 을 트레이개구부에 열시일 하였다.
스트리취필름 (Fm) 으로서는, 라이너로딩시티폴리에치렌 (LLDPE) /카탈로이폴리프로피렌/라이너로딩시티폴리에치렌 (LLDPE) 의 두께 15㎛ 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리취필름 (Fm) 을 사용하였다.
시일온도 (히트롤러온도) 는, 190℃로 설정하였다.
비교예인 트레이 (100) 에 관해서도, 트레이 (10) 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여, 도 10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플랜지 (113) 를 갖는동일 정도의 치수의 것으로 하였다.
양자의 시일강도의 측정과 핀홀의 발생현황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샘플 시일강도[gf/15 mm] 핀홀발생 상황
트레이 10 578.7 발생 없음
트레이 100 361.1 모두 2개 이상 발생
*시일강도의 측정에는, 동양정기 (주) 제 만능시험기 스트로그래프V1-C를 사용.
* N수는 10으로 하여, 15mm 폭으로 커트한 후, 인장력시험기로 시일강도를 측정.
* 시일강도는, 트레이의 주방향 전체의 평균치를 채용.
이 결과대로, 본 발명의 구체예인 트레이 (10) 에서는, 안정하여 500gf/15mm 이상의 시일강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인 트레이 (100) 에 있어서는, 대개의 것에 핀홀이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하지 않는 샘플은 얻을 수 없었다.
이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일이 명확하게 된다. 즉, 트레이 (10) 의 플랜지 (13) 에 히트롤러 (3) 의 경사각에 대응한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부 (13b) 를 형성하고, 또한 만곡부 (13a) 를 형성하여 트레이 내부방향으로 향하는 히트롤러 (3) 가 접촉하지 않는 곳까지 스트리취필름 (Fm) 이 트레이 (10) 의 표면 (만곡부 (13a) 의 표면) 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히트롤러 (3) 의 열량이 스트리취필름 (Fm) 에만 집중하는 일없이 반드시 트레이 (10) 로도 전달되게 되고, 스트리취필름 (Fm) 에 이러한 열응력이 저감되어 핀홀의 발생이 억제된다.
[제 2 실시형태]
<트레이의 원재료, 형상, 접착제도포, 및 열시일>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0.8mm의 시트를 사용하여, 진공압공성형으로 트레이를 성형하였다.
트레이 치수로서는, 외경 140mm ×210mm, 깊이 25mm, 플랜지각도 α가 35°, 플랜지폭 10mm로 하였다. 이 플랜지에 접착제, 동양모튼제 핫래커형 열시일제 AD-1790-15를 도포하였다.
이번은 테스트였기 때문에, 이것을 비자동적으로 플랜지에 일정량을 도포하여, 충분히 건조시켰다.
완전히 건조한 후, 히트롤러식 스트리취필름 포장기에 세트하여, 스트리취필름의 열시일을 하였다.
시일에 사용한 스트리취필름으로서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카탈로이폴리프로필렌/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의 3층구조로 이루어지는 15㎛ 두께의 것을 사용하였다.
<시일강도의 측정과 핀홀의 발생형편의 확인>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같이, 트레이에 스트리취필름을 열시트한 것을 대상으로서, 열시일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로부터는, 완전히 강고한 접착이 얻어졌다. N수=10 (10개의 대상품) 으로 측정을 실시한 결과, 모두 500gf/15mm 이상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핀홀의 발생도 확인되지 않았다.
이것은, 접착제가, 히트롤러로부터의 열량을 흡수 용융하여, 스트리취필름을 플랜지에 완전히 접착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것은, 스트리취필름단체에 히트롤러로부터의 열량이 걸리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핀홀의 발생을 억제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히트롤러의 경사각에 대략 맞춘 경사부와, 히트롤러 부근에 스트리취필름 뿐만 아니라 트레이 자신 혹은 접착제라고 한 공기층 이외의 것을 개재시킬 수 있는 만곡부에 의해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실시형태의 시일강도의 측정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히트롤러로부터의 열량의 스트리취필름으로의 집중이 억제되어, 핀홀 등의 불량발생이 적어진다. 또한, 보다 안전하게 확실한 시일을 할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의 외주단부에 있어서 스트리취필름 (Fm) 에 열 및 힘을 집중시켜 스트리취필름 (Fm) 을 용단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보다 압력을 부하하여 보다 확실하게 용단하기 위해서, 플랜지 (13) 를 도 11 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도 11 에 나타내는 트레이 (10) 의 플랜지 (13) 에서는, 경사부 (13b) 의 외주측에 돌출부 (13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13c) 는, 히트롤러 (3) 에 향하여 돌출하고 있으며, 스트리취필름 (Fm) 을 용단하는 역활을 한다. 돌출부 (13c) 의 선단은 뾰족하며, 돌출부 (13c) 와 히트롤러 (3) 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트리취필름 (Fm) 에는 높은 압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스트리취필름 (Fm) 은, 이 부분에 있어서 확실하게 용단된다.
또한, 접착제로서, 발포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장용기의 표면과 필름의 내면을 용융시켜 접착시키는 경우, 히트롤러로부터 공급된 열량이 공기중에 발산하여, 열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발포핫멜트형의 접착제를 접착제로서 사용하여, 이것을 플랜지에 도포하면, 히트롤러로부터의 열량을 발포접착제자체가 흡수하여, 그 열량에 의해서 발포접착제가 용융하여,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것으로 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2 에서는, 히트롤러 (3) 의 경사각도와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의 경사각도 α가 대략 동일한 경우의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 12 에 나타내듯이, 히트롤러 (3) 의 경사각도 β가 트레이 (10) 의 플랜지경사부 (13b) 의 경사각도 α보다 약간 커지는 바와 같은 구조를 적극적으로 채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트레이 및 히트롤러의 상대관계>
도 12 는, 스트리취필름 (Fm) 에 장력을 건 상태로 트레이 (10) 의 상면에 필름 (Fm) 을 세트하여, 히트롤러 (3) 에 의해서 시일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a) 에 나타내듯이, 여기에서는, 히트롤러 (3) 가,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의 경사각도 α에 대하여 약간 큰 경사각도 β의 경사를 갖고 있다.
<시일동작>
경사각 β의 히트롤러 (3) 와 경사각 α의 플랜지 (10) 의 경사부 (13b) 가 시일될 때에는, 도 12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이 행하여진다. 트레이 (10)의 플랜지 (13) 는, 경사각 β의 히트롤러 (3) 에 의해서 압력이 걸려 변형하여, 경사부 (13b) 의 경사각이 α로부터 히트롤러 (3) 의 경사각 β 에 가까워진다. 이 때, 플랜지 (13) 의 만곡부 (13a) 의 연직중심선이 각도 γ 만큼 기울어, 히트롤러 (3) 및 플랜지 (13) 의 서로의 경사각도가 거의 동일하게 된다. 또한, 트레이 (10) 의 플랜지 (13) 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히트롤러 (3) 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경사부 (13b) 가 기울어, 그 경사각도가 변한다.
히트롤러 (3) 에 의해서 압력이 가해져 경사각도가 거의 히트롤러 (3) 에 맞춘형태로 된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는, 그 직선부분에 있어서 스트리취필름 (Fm) 과 면시일 된다. 그 시일폭은, 스트리취필름 (Fm) 과 히트롤러 (3) 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폭이고, 2mm 이상이 확보된다. 이 때, 플랜지 (13) 의 외측단부는, 히트롤러 (3) 에 맞닿고 있는 부분의 압력균배의 정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 히트롤러 (3) 로부터의 압력에 더하여, 히트롤러 (3) 에 의한 열량 및 스트리취필름 (Fm) 의 트레이 바깥쪽으로의 장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스트리취필름 (Fm) 은, 플랜지 (13) 의 외측단부에 있어서 용단된다.
또, 플랜지 (13) 의 내측부분에는, 스트리취필름 (Fm) 과 접촉하고 있지만 히트롤러 (3) 와는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거리 r (도 12 (b) 참조) 만큼 존재한다.
<특징>
(1) 열시일 후, 히트롤러 (3) 가 이반 (離反) 하면, 플랜지 (13) 의 탄성변형이 풀려, 도 12 (c) 에 나타내듯이 플랜지 (13) 가 원래의 경사각도까지 되돌려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플랜지 (13) 의 만곡부 (13a) 의 외측부분에는, 열접착하지 않은 채 스트리취필름 (Fm) 과 밀착하고 있는 개소가, 거리 r (도 12 (c) 참조) 만큼 존재한다. 이 거리 r 은, 트레이 (10) 상에 붙여져 있는 스트리취필름 (Fm) 의 장력을 유지하여, 열시일된 부분 d 의 내측단면으로의 부하를 상당히 경감하여, 시일불량을 막는 역활을 한다.
시일되기 전의 플랜지 (13) 의 만곡부 (13a) 의 연직중심선보다도 내측으로 들어 간 곳까지 시일 된다고 하면, 시일부분은 플랜지 (13) 와 스트리취필름 (Fm) 과의 밀착부분의 내측단부에까지 미치게 되고, 히트롤러 (3) 에 의해서 직접 뜨겁게 된다. 이 때문에, 그 시일부분의 내측단면에 있는 스트리취필름 (Fm), 즉 접착하였지만 완전히는 냉각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스트리취필름 (Fm) 에 대하여, 스트리취필름 (Fm) 의 장력이 직접 작용하여, 스트리취필름 (Fm) 이 고화하기 전에, 시일부분의 내측단면 (밀착부분의 내측단부) 에 있어서 스트리취필름 (Fm) 이 찢어지는 또는 핀홀이 발생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트롤러 (3) 의 경사각도 β를, 시일시에 플랜지 (13) 의 만곡부 (13a) 의 연직중심선 보다도 외측까지가 시일되어 내측까지는 시일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리취필름 (Fm) 이 찢어지는 또는 핀홀이 발생하는 등의 불량의 발생이 억제된다.
(2) 또한, 트레이 (10) 는, 시트의 상태로부터 진공압공성형에 의해 지정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성형 후, 지정 플랜지치수로 단부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이 성형공정시에는, 금형은 트레이 (10) 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고, 바깥 치수는 정확히 성형가능 하지만, 내측의 치수를 정확, 엄밀히 성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또한, 플랜지 (13) 의 단부의 절단시에도 절단도가 사방이 균일하게 절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플랜지 (13) 에 성형시트의 일부가 남아, 플랜지 (13) 의 단면에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 (10) 의 플랜지 (13) 는, 성형에 의한 경사오차 및 단부절단시의 절단오차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동일 트레이에 있어서도, 사방의 모든 플랜지 (13) 가 완전히 동일한 경사각도 α인 경사부 (13b) 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고, 또한 단부에도 절단오차가 되는 수평인 평탄부를 가지고 있는 것도 있다.
이들 성형시의 오차에 의한 시일불량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도, 어느 정도의 오차를 허용할 수 있는 시일기구가 아니면 안된다. 이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본 실시형태와 같이, 플랜지 (13) 의 경사각도 α보다도 히트롤러 (3) 의 경사각도 β가 약간 커지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성형시의 오차에 의해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의 경사각도 α가 히트롤러 (3) 의 경사각도 β보다도 커져 버린 경우에는, 히트롤러 (3) 가 플랜지 (13) 의 외측단부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열용단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히트롤러 (3) 의 경사각도 β가 플랜지경사부 (13b) 의 경사각도 α보다도 약간 커져 있으면, 성형시의 오차에 의해 플랜지 (13) 의 경사부 (13b) 의 경사각도 α가 히트롤러 (3) 의 경사각도 β보다도 커져 버리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을 이용하면, 플랜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경사부의 상면을 직선으로 하였기 때문에, 경사한 열체가 플랜지에 닿았을 때에 포장용기와 필름이 면시일되게 되어, 보다 강고하고 밀봉성이 높은 접착이 얻어진다.
또한, 경사부의 내측에 만곡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필름이 만곡부에 밀착하게 되어, 열체로부터의 열량이 만곡부를 따라 방열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포장용기에서 발생되는 바와 같은 핀홀이 억제되어, 밀봉성이 좋은 포장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본 발명을 이용하면, 포장용기의 경사한 플랜지에 대하여, 그 플랜지의 경사각도보다도 큰 경사각도로 열체를 밀어 부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의 변형으로 포장용기와 필름이 면시일되게 되어, 시일부분의 외측단부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도 강한 압력이 걸려 시일부분의 외측단부에 있어서 용이하게 필름을 용단할 수 있게 되고, 플랜지의 정점에서 스트리취필름이 접착되는 일이 거의 없게 되어 필름에 구멍이 발생하는 불량이 억제된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 그것을 포함하는 포장체, 및 포장방법, 특히, 플랜지에 필름을 접착하는 것에 의해 피포장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기, 그것을 포함하는 포장체,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0)

  1. 피포장물을 탑재 하기위한 저면과,
    상기 저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저면으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상단부로부터 바깥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벽면측의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는, 그 상면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벽면과 상기 경사부가 연속적인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저면에 대하여 경사각도 20°로부터 60°의 범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폭이 2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포장용기와,
    상기 포장용기의 상면을 덮고, 주위가 상기 플랜지에 접착되는 필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주위는, 상기 플랜지의 만곡부에 빈틈 없이 이어지며, 상기 플랜지의 경사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경사부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을 절단시키는 돌출부를 추가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주위가 상기 만곡부 및 상기 경사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경사한 열체가 상기 경사부에 닿아, 상기 필름이 상기 플랜지에 열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9. 경사한 플랜지를 주위에 갖는 포장용기에 피포장물을 싣는 제 1 공정과,
    상기 포장용기의 윗쪽에 필름을 공급하여, 상기 필름에 장력을 거는 제 2 공정과,
    상기 포장용기를 상승시켜, 장력이 걸린 상태의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플랜지를 맞닿게 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필름이 맞닿고 있는 상기 플랜지에 대하여, 열체를, 상기 플랜지의 경사각도보다도 큰 경사각도로 밀어 부치는 제 4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공정에서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열체와의 접촉부분의 폭이 2mm 이상으로 되도록, 상기 열체를 상기 플랜지에 밀어 부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방법.
KR1020017014163A 2000-04-06 2001-03-19 포장용기, 그것을 포함하는 포장체, 및 포장방법 KR20020025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04433 2000-04-06
JP2000104433 2000-04-06
JPJP-P-2000-00346183 2000-11-14
JP2000346183A JP2001348020A (ja) 2000-04-06 2000-11-14 包装容器、及びそれを含む包装体
JPJP-P-2001-00036065 2001-02-13
JP2001036065A JP2001348003A (ja) 2000-04-06 2001-02-13 包装容器の包装方法
PCT/JP2001/002180 WO2001076955A1 (fr) 2000-04-06 2001-03-19 Recipient d'emballage, corps d'emballage le comprenant et procede d'embal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059A true KR20020025059A (ko) 2002-04-03

Family

ID=2734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163A KR20020025059A (ko) 2000-04-06 2001-03-19 포장용기, 그것을 포함하는 포장체, 및 포장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20179607A1 (ko)
EP (1) EP1193179A4 (ko)
KR (1) KR20020025059A (ko)
CN (1) CN1366504A (ko)
AU (1) AU757599B2 (ko)
NZ (1) NZ515790A (ko)
TW (1) TW534890B (ko)
WO (1) WO2001076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2789B2 (ja) * 2006-10-27 2013-01-16 東洋製罐株式会社 角形絞り容器およびその成形方法
ITBO20070391A1 (it) * 2007-06-01 2008-12-02 Coopbox Europ Spa Foglia di materia plastica, vassoio per un prodotto alimentare ottenuto da detta foglia, confezione comprendente detto vassoio e relativo metodo di realizzazione.
MX2010013865A (es) * 2008-06-17 2011-02-15 Cryovac Inc Charola termoplastica.
NL2001739C2 (nl) * 2008-07-01 2010-01-05 Ch Food B V Werkwijze voor het afdekken van een houder, en verpakking.
KR101690343B1 (ko) * 2009-01-06 2016-12-27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본체, 포장 용기, 용기 본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A2791638C (fr) * 2009-03-16 2017-08-29 1/4 Vin Verre a vin, procede de conditionnement du vin, et conteneur de vin
CN102009772B (zh) * 2009-09-08 2014-09-10 出光统一科技株式会社 包装容器、其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JP6235497B2 (ja) * 2015-01-22 2017-11-22 株式会社イシダ 包装装置
CN106628616B (zh) * 2017-01-22 2020-12-25 罗松 一种发泡聚乙烯材质的包装容器
PE20200060A1 (es) 2017-02-16 2020-01-15 Alto Packaging Ltd Mejoras para bandejas
KR102309363B1 (ko) * 2017-02-28 2021-10-07 컨버터 매뉴팩처링, 엘엘씨 매끄러운 연부 및, 임의적으로, 박리 가능한 표면을 가지는 형성된 열가소성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5219A (en) * 1928-10-08 1929-11-12 John F Jelke Company Container for coloring material
US1866408A (en) * 1929-11-11 1932-07-05 Fidelity Trust Company Food pack
US2041537A (en) * 1934-11-16 1936-05-19 George S Frost Package
US2878128A (en) * 1955-05-02 1959-03-17 Pacific Coast Foil Co Frozen food package
US3398876A (en) * 1967-02-06 1968-08-27 Anderson Bros Mfg Co Reclosable package
SE337463B (ko) * 1968-04-10 1971-08-09 Tetra Pak Int
US3718274A (en) * 1972-04-24 1973-02-27 Diamond Int Corp High strength open bottom packaging trays
US3946871A (en) * 1974-09-27 1976-03-30 Alcan Aluminum Corporation Sealable and sterilizable package
US3997101A (en) * 1975-04-21 1976-12-14 Mobil Oil Corporation Meat tray or the like
JPS6053537U (ja) * 1984-08-13 1985-04-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と紙の複合シ−トよりなる容器
JPH03176378A (ja) * 1989-11-29 1991-07-31 Showa Alum Corp 食品密封包装用容器
JP3061400B2 (ja) * 1990-07-09 2000-07-10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食品用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H04182125A (ja) * 1990-11-15 1992-06-29 Yamato Esuron Kk 食品貯蔵用容器
FR2687633A1 (fr) * 1992-02-24 1993-08-27 Lorraine Laminage Procede de fermeture d'un recipient pour produits alimentaires, notamment du type barquette, dispositif pour sa mise en óoeuvre et recipient obtenu par ce procede.
JPH06199361A (ja) * 1993-01-07 1994-07-19 Chuo Kagaku Kk 食品等の包装用容器およびその容器を用いる包装方法
US5472139A (en) * 1993-09-22 1995-12-05 Invention Machine Corporation Pizza box
GB2289663A (en) * 1994-05-21 1995-11-29 Metal Box Plc Containers and lids bonded thereto
US5934472A (en) * 1998-04-06 1999-08-10 Tekni-Plex, Inc. Processor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79607A1 (en) 2002-12-05
EP1193179A4 (en) 2004-12-08
WO2001076955A1 (fr) 2001-10-18
AU4120201A (en) 2001-10-23
TW534890B (en) 2003-06-01
AU757599B2 (en) 2003-02-27
EP1193179A1 (en) 2002-04-03
CN1366504A (zh) 2002-08-28
NZ515790A (en)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007B1 (ko) 용기용 밀봉재
KR20020025059A (ko) 포장용기, 그것을 포함하는 포장체, 및 포장방법
MXPA00009933A (es) Capa sellante para tapa de contenedor.
IE850900L (en) Laminated material for packaging
JP2008529834A (ja) 熱収縮性断熱パッケージング
US20060091037A1 (en) Blister package for adhesive compositions
JP4627038B2 (ja) 無菌充填用紙容器内縦シールテープ及び縦シールテープ付き無菌充填用紙容器
JP2001348020A (ja) 包装容器、及びそれを含む包装体
JP2001348003A (ja) 包装容器の包装方法
JP3768548B2 (ja) カップ容器
JPH08151069A (ja) 包装体
JP4135897B2 (ja) ストリップテープ
JP7227669B1 (ja) 帯状の剥がれシールの長尺方向に線条の剥がれシールが付加された複合ヒートシール構造を形成するヒートシール装置
JP3542856B2 (ja) 紙容器
JP2002225175A (ja) 蓋 材
JP2838486B2 (ja) イージーオープン容器
JP2004106858A (ja) 食品容器用蓋材
JP2023123060A (ja) 多層フィルム、包装用シート、及び、食品用容器
JP4152037B2 (ja) 積層体及び密封容器
JP3576336B2 (ja) 深絞りガスパック包装体
JPH02180168A (ja) 耐熱容器
JP2000079937A (ja) 密封性複合トレ―容器
JP2002012216A (ja) 紙容器内縦シールテープ及び縦シールテープ付き紙容器
JP4314416B2 (ja) 積層シートからなる包装用容器
JPS634308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