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594A -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594A
KR20020024594A KR1020017015138A KR20017015138A KR20020024594A KR 20020024594 A KR20020024594 A KR 20020024594A KR 1020017015138 A KR1020017015138 A KR 1020017015138A KR 20017015138 A KR20017015138 A KR 20017015138A KR 20020024594 A KR20020024594 A KR 20020024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ing
selecting
shift finger
channel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689B1 (ko
Inventor
짐메르만마틴
스토르크홀게르
쉬네이데르게오르그
헨네베르게르크라우스
에케르트마틴
히르트군테르
자게르토마스
보르네흠마틴
크레트츠-부쉬볼케르
베르게르레인하드
Original Assignee
게르하르트로터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하르트로터,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filed Critical 게르하르트로터
Publication of KR2002002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2807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using electric control signals for shift actuators, e.g. electro-hydraulic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2059/6823Sensing neutral state of th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53Initializing the parameters of the cont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2061/283Adjustment or calibration of actuator positions, e.g. neutr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42/00Calibrating
    • F16H2342/02Calibrating shift or range mo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0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the ratio establish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36Rotary to rotary
    • Y10T74/18368Inertia or centrifugal transmit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시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시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미션 시스템 및/또는 시프팅 장치의 정해진 구조적 특성 값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해 셀렉터 모터 및 시프트 모터가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를 가동시킨다. 상기 시프트 핑거는 시프팅 방향 및/또는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 경로를 검출하기 위해,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좌표의 관점에서 알려지지 않은 정해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시프팅 방향 및/또는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시프트 핑거는 최대 이동 경로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트랜스미션 구조적 특성 값이 완전히 검출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SHIFTING DEVICE}
트랜스미션 시스템, 특히 자동 변속 기어의 여러 시프팅 단계를 시프팅하기 위해 시프팅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시프팅 장치는 시프트 모터 및 셀렉팅 모터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모터는 셀렉팅 채널 및 상이한 시프팅 채널로 이루어진 장치 내에서 이동되는 시프트 핑거를 제어한다. 여기서, 시프팅 채널에 사전 설정된 단이 지정됨으로써, 시프팅 채널 내에는 사전 설정된 기어 단이 완전히 넣어지는 위치가 존재한다. 이에 상응하는 시프트 포크를 갖는 기계 장치에 의해 시프트 핑거의 이동이 기어 시프트 링에 전달된다. 시프트 핑거에 연결된 시프트 샤프트는 모터에 의해, 상기 시프트 샤프트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 및 축방향 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회전 운동 및 선형 운동은 시프팅 운동 및 기어 시프트 링의 운동으로 변형된다.
여기서, 이러한 운동들, 특히 모터의 운동은 경로 측정 센서 및/또는 각도 측정 센서에 의해 추적된다. 상기 운동들은 특히 증분 경로 측정 센서, 즉 구간 또는 각도를 따라 개별 증분의 합계에 의해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장치들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시프팅 장치는 특히 자동 변속 기어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증분 경로 검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절대 경로 검출 장치를 사용할 때 보다 비용이 절감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지된 시프팅 장치를 갖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은 특히 신용도와 정확한 시프팅에 있어서 더욱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특히 증분 경로 검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승차 쾌적감의 저하 외에도 지연된 시프팅 과정 또는 기어 또는 시프팅 장치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시프팅 에러가 나타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시프트 핑거의 실제 위치가 항상 안전하게 검출되거나 테스트 될 수있으며, 또한 위치 보정이나 위치 어댑션(adaption)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심지어 경로 검출 장치의 정보가 소실되거나 적절하지 않을 경우에도 해당된다. 또한 시프트 핑거의 검출 또는 제어시 나타나는 경로 에러가 가능한 한 조기에 안전하게 검출되고 상기 경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대체 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특히 단 최종 위치와 같은 사전 설정된 위치를 예정된 시점에 안전하게 어댑팅시키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시프팅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시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상기와 같은 트랜스미션 시스템 또는 시프팅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9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0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1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4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5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6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프팅 에러, 기어 손상, 기능 장애 및 고장이 발생할 빈도가 줄어들고 승차 쾌적감이 개선되도록 형성된, 시프팅 장치를 갖춘 개선된 트랜스미션 시스템 및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작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 및/또는 7항 및/또는 8항 및/또는 25항 및/또는 28항 및/또는 29항 및/또는 34항 및/또는 46항 및/또는 50항 및/또는 62항 및/또는 63항 및/또는 66항 및/또는 67항 및/또는 117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70항 및/또는 116항에 따른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의 작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71항 및/또는 72항 및/또는 75항 및/또는 82항 및/또는 85항 및/또는 96항 및/또는 98항 및/또는 99항 및/또는 102항 및/또는 104항 및/또는 106항 및/또는 111항 및/또는 113항 및/또는 114항 및/또는 115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청구항 122항 및/또는 123항 및/또는 124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예는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프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특성 값의 자동 검출 장치를 가지며, 상기 장치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시프트 핑거 위치, 특히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의 알려지지 않은 위치로부터 특성 값이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출원의 모든 실시 예에 제시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이 바람직하게 자동차의 자동 변속 기어(ASG)로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특히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프팅 장치에 관련해서 설명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시프팅 장치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시프팅 장치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를 갖는다. 본 출원의 범주에서 볼 때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셀렉팅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시프팅 채널로 이루어진 장치이다. 이러한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또는 배선도(wiring diagram) 내에서 특히 시프트 핑거인 제 1 시프팅 부재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범주에서 볼 때 시프팅 채널이란 특히 정해진 위치에서 셀렉팅 방향으로 배치되는 채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정해진 위치에서 셀렉팅 채널의 상이한 측면에서 연장되는 셀렉팅 방향으로 배치된 채널 섹션들은 시프팅 채널로 표기된다. 특히 이러한 상이한 섹션들도 시프팅 채널로 표기된다.
공개 공보의 범주에서 볼 때 "시프트 핑거"라는 개념은 더욱 포괄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에서 제시된 시프트 핑거의 개념은 통상적으로 시프팅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시프트 핑거는 특히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갖는 작동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셀렉팅 모터에 의해 시프트 핑거는 셀렉팅 방향, 즉 셀렉팅 채널의 종방향으로 주어진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시프트 핑거는 셀렉팅 모터에 의해 시프팅 방향, 즉 시프팅 채널의 종방향으로 주어진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범주에서 볼 때 작동 장치란 특히 적어도 하나의 모터, 특히 전기 모터를 갖는 장치이다. 특히 상기 작동 장치는 하나의 셀렉팅 모터 및 하나의 시프트 모터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모터는 특히 시프트 핑거의 운동 및/또는 상이한 방향으로의 시프트 샤프트의 운동을 제어한다.
경로 검출 장치는 시프트 핑거 운동 및 시프트 샤프트 운동, 그리고 모터 운동, 즉 특히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의 운동을 검출한다.
여기서, 경로 검출 장치 또는 경로 측정 장치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볼 때 매우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고, 특히 경로 구간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스캐닝된) 각도 및/또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념은 절대 경로 검출 장치 및 증분 경로 검출 장치에도 해당된다. 바람직하게 경로 검출 장치는 증분 각도 센서 장치로 형성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개별 각도 센서 장치는 셀렉팅 모터 측면 또는 셀렉팅 모터 내, 또는 셀렉팅 모터 가까이에, 그리고 시프트 모터 측면 또는 시프트 모터 내, 또는 시프트 모터 가까이에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셀렉팅 모터는 시프트 샤프트의 축방향 운동을 제어하고, 시프트 모터는 상기 시프트 샤프트의 회전 또는 선회 운동을 제어하며, 증분 각도 측정 센서는 선회 운동을 검출하고, 종방향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경로 측정 센서는 병진 운동을 검출한다.
경로 측정 센서란 본 출원의 범주에서 볼 때 특히 각도 운동 또는 선회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 또는 병진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 또는 경로 구간을 검출하는 센서로 볼 수 있다. 상기 경로 측정 센서는 특히 증분 경로 측정 센서로 형성된다.
시프팅 장치는 바람직하게 시프트 샤프트로 형성된 제 2 시프팅 부재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하기에는 시프트 샤프트에 관련해서 설명되며, 시프트 샤프트 대신 다른 형태로 형성된 시프팅 부재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프팅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특성 값을 자동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개별 특성 값은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의 시프트 핑거의 출발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관없이 검출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검출 시작 시점에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의 시프트 핑거의 실제 위치에 대한 정보들이 부정확하거나 거의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시프팅 장치에 의해 특성 값이 검출될 수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성 값, 바람직하게는 구조적인 특성 값은 경로 검출 장치가 시프트 핑거의 실제 (출발-) 위치에 대한 부정확한 값을 제공하거나 값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에도 검출될 수 있다.
검출 가능한 기어 특성 값은 기본적으로 트랜스미션 시스템 및/또는 시프팅 장치 및/또는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사전 설정된 임의의 특성 값일 수 있다. 특히 기어 특성 값은 시프팅 채널 또는 셀렉팅 채널의 방향, 위치, 폭 또는 길이, 또는 채널 벽의 진행을 적어도 함께 기술하는 특성 값이다. 상기와 같은 특성 값에 대한 부가의 예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의 사전 설정된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위치는 그것의 절대 위치에 따라 알려진다. 따라서, 특히 할당 특성에 의해 사전 설정된 지점에 사전 설정된 좌표가 할당될 수 있기 때문에, 할당 특성에 따라 이 지점에 도달한 후에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의 다른 지점들의 (상대) 위치가 (재차) 알려진다. 사전 설정된 특성 값은 특히 시프팅 채널 내에서의 단 최종 위치 또는 단이 중립에 넣어졌을 때 시프트 핑거의 위치일 수도 있다. 경로 검출 장치 또는 작동 장치, 또는 상기 작동 장치의 모터의 효율도 특성 값으로 고려된다. 상기와 같은 특성 값에 대한 부가의 예는 시프트 샤프트의 위치이다. 이러한 특성 값은 특히 사전 설정된 지점 또는 간격 측정 또는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identity)일 수 있다. 여기서, 고려될 특성 값이 이러한 특성 값의 계산의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구조 특성 값 검출 장치에 의해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의 사전 설정된 기준 위치가 도달되며, 시프트 핑거의 출발 위치는 알 수 없다. 여기서, 도달(독: Anfahren)이라 함은 시프트 핑거가 사전 설정된 위치로 이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구조 특성 값을 나타내는 사전 설정된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미리 주어진 제 2 특성에 따라 사전 설정된 구조 특성 값이 검출될 수 있거나, 시프트 핑거에 의해 사전 설정된 구조 특성 값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에 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출발 위치는 특히 추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특성은 특히 실제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제어되는 이동 경로 등과 같은 사전 설정된 파라미터의 분석에 기초를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사전 설정된 특성 값이 검출되는데, 상기 특성 값으로부터 덧셈 및/또는 곱셈 또는 다른 연산에 의해, 및/또는 실험 값에 따라, 또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다른 방식으로 보정된 값이 산출되며, 그리고 나서 보정된 값은 기어 구조 특성 값으로 계속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구조 특성 값이 바람직하게는 간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프트 핑거는 사전 설정된 기어 구조 특성 값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시프트 핑거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 제어되거나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알려지지 않은 시프트 핑거 위치에 존재하는,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시프트 핑거의 이동 경로가 검출될 수 있다. 이어서, 사전 설정된 기어 구조 특성 값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는 시프팅 방향 및/또는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러한 이동의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평가의 범주에서 볼 때 추가의 특성 값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특성 값 또는 데이터 또는 정보들은 특히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된다. 평가는 특히 사전 설정된 평가 특성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어서, 평가의 결과 및/또는 이미 검출되었거나 알려진 다른 특성 값 또는 정보들에 따라 사전 설정된 특성들에 따른 시프트 핑거의 사전 설정된 새로운 위치로의 이동이 시작된다. 특히 도달하게 될 최종 지점이 정해지며, 상기 위치로의 이동은 탐색(scan)을 통해 및/또는 사전 설정된 궤적에 따라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반복적으로 새로운 위치가 제어된다.
개별 이동 또는 개별 이동 경로의 검출에 의해 검출된 값은 특히 평가 장치에 직접 공급된다. 또한 상기 값이 부가의 평가를 위해 이용되기 전에, 상기 값은 덧셈 또는 곱셈과 같은 연산에 의해, 또는 실험 값, 보정값 등에 의해 처리되거나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의 제어, 상기 위치로부터 출발하는 이동 경로의 검출, 그리고 특히 사전 설정된 새로운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검출된 이동 경로를 평가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구조 특성 값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사전 설정된 기어 구조 특성 값이 완전히 검출될 때까지 반복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이러한 기어 구조 특성 값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 정지 위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同期) 위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위치 및/또는 채널 폭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어 구조 특성 값 검출 장치에 의해 적어도 시간별로 사전 설정된 스톱 위치 및/또는 셀렉팅 채널 및/또는 시프팅 채널의 사전 설정된 벽으로의 이동이 시작되거나, 이에 상응하는 이동이 시작되며, 채널 벽 및/또는 스톱 위치는 간접적으로 검출된다. 간접 검출을 위해서는 상이한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사전 설정된 특성 값 또는 작동 특성 값이 사용되거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채널 벽 또는 스톱 위치에 대한 충돌이 검출된다. 특히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모터에는 사전 설정된 속도(회전수), 사전 설정된 가속도(각도 가속도), 사전 설정된 힘(모멘트), 사전 설정된 경로(각 위치)를 갖는 반복 운동, 추측 통계학적인 경로 기준(각 위치)에 의한 운동이 가해지고, 및/또는 시프트 핑거가 자유롭게 이동될 때 사전 설정된 전압 및/또는 사전 설정된 전류 또는 그 밖의 사전 설정된 운동 또는 위에 언급된 운동들의 조합이 야기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값들은 스톱 위치에 대한 충돌시 변동된다.
충돌의 분석은 특히 슬라이딩 슬리브(sliding sleeve) 경로 및/또는 슬라이딩 슬리브 속도 및/또는 슬라이딩 슬리브 가속도 및/또는 특히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모터 같은 E-모터와 시프트 포크 간의 구간 내 임의의 지점에서의 경로 및/또는 E-모터와 시프트 포크 간의 구간 내 임의의 지점에서의 속도 및/또는 E-모터와 시프트 포크 간의 구간 내 임의의 지점에서의 가속도 및/또는 E-모터와 시프트 포크 간의 구간 내 임의의 지점에서의 시프팅력 측정 및/또는 모터의 각도 위치 및/또는 모터의 회전수 및/또는 모터의 각도 가속도 및/또는 모터의 전류 및/또는 모터의 전류 및/또는 위치 조절 장치의 목표 값 실제 값 비교 및/또는 기어 샤프트의 축방향 위치 및/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어 샤프트의 축방향 속도 및/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어 샤프트의 축방향 가속도 및/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어 샤프트의 각도 위치 및/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어 샤프트의 각도 속도 및/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어 샤프트의 각도 가속도 및/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어 샤프트의 전달 모멘트 및/또는 기어로부터 전달된 모멘트 및/또는 상기 값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한 검출 및 분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7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기어의 중립 위치의 검출 및/또는 테스트 및/또는 미세 조정을 위한 장치를 갖는 시프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 의해 중립 위치가 발견될 수 있다. 중립 위치를 발견하기 위해, 기어의 중립 위치의 검출 및/또는 테스트 및/또는 미세 조정을 위한 장치는, 시프트 핑거가 사전 설정된 길이 또는 사전 설정된 영역을 적어도 한번 셀렉팅 방향으로 지나가도록 상기 시프트 핑거를 제어한다. 이어서, 시프트 핑거는 적어도 하나의 증분, 즉 사전 설정된 매우 작은 경로 구간을 중심으로 시프팅 방향으로 셀렉팅 채널의 종방향으로 향한 벽 중 하나에 근접하거나, 시프팅 방향으로 새로운 위치를 취하도록 제어된다. 이어서, 시프트 핑거가 재차 점점 더 시프팅 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시프트 핑거는 사전 설정된 길이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셀렉팅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시프팅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방향 설정은 이전의 시프팅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방향 설정과 일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 제어시 시프팅 방향으로 편향될 때까지, 상기 시프트 핑거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셀렉팅 채널 벽에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편향은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될 때 셀렉팅 채널 벽의 스톱 위치 또는 돌출부 등에 충돌된다는 것에 대한 징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방향 벽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는데, 이때 시프트 핑거는 전체 셀렉팅 채널 길이에 걸쳐 충돌 등에 인한 방해를 받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셀렉팅 채널의 서로 마주 놓인 종방향 벽에 있어서 이에 상응하는벽의 위치가 검출된다. 이를 위해, 특히 시프트 핑거는 출발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 1 셀렉팅 채널 벽에 점점 더 접근함에 따라, 마주 놓인 제 2 셀렉팅 채널 벽이 이러한 통과되는 영역에 놓여있지 않다는 사실이 명백하기 때문이다.
셀렉팅 채널 벽의 상기와 같은 위치에 의해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특히 시프팅 방향으로 좌표의 평균값이 형성됨으로써 중립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프트 핑거는 각각 증분 근사법 하에 전체 셀렉팅 채널 길이에 걸쳐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사전 설정된 부분 길이에 걸쳐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로 인해, 특히 셀렉팅 채널의 종방향 벽의 상이한 섹션들은 시프팅 방향으로의 그들의 좌표에 있어서 별도로 구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각각의 벽 섹션들의 정확한 위치가 알려지기 때문에- 상이한 시프팅 채널 간의 시프팅시, 시프트 핑거가 벽에 충돌할 위험없이 직접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 단 최종 위치도 결정될 수 있다.또한 시프팅 채널은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특히 시프팅 채널 폭이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측정은 위에 언급된 장치 또는 방법에 의해 셀렉팅 채널 및 시프팅 채널, 또는 셀렉팅 방향과 시프팅 방향이 교체되면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시프팅 채널이 각각 셀렉팅 채널로 통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이루어진다.
특히 셀렉팅 채널의 반대편에 놓인 2 개의 시프팅 채널 또는 시프팅 채널 섹션은 하나의 유닛으로 간주됨으로써, 시프팅 채널 섹션의 시프트 핑거는 위에 기술된 방식으로 셀렉팅 채널을 통해 마주 놓인 시프팅 채널 또는 마주 놓인 시프팅 채널 섹션 내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우선 개별 시프팅 채널의 길이가 검출되고 나서, 시프팅 방향으로의 이동 경로에서 상기 길이가 고려된다. 시프팅 채널의 길이는 특히 시프트 핑거가 시프팅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셀렉팅 모터가 작동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셀렉팅 방향으로의 위치값이 언제 사전 설정된 값 이상으로 변경되는지에 대해 모니터링된다. 이러한 지점에 존재하는 시프팅 위치의 측정값은 관련 시프팅 채널의 단부를 대표한다. 이러한 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시프트 핑거는 특히 최종 스톱 위치(limit stop)에 충돌할 때까지 시프팅 채널의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길이 차는 시프팅 채널 길이를 대표한다. 시프팅 채널의 최종 스톱 위치에서 시작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8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절대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시프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절대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시프트 핑거의,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의 좌표를 알 수 없는 일 위치 및/또는 시프트 샤프트의 알려지지 않은 위치를 근거로,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시프팅 방향 또는 셀렉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란 본 출원의 범주에서 볼 때 특히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확실히 정해져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특히 절대 위치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바닥에 마커가 고정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반대편으로 정해진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절대 위치는 특히 채널 벽에 나타나는 마모와는 무관하다.
특히 본 출원의 범주에서 볼 때 이러한 절대 위치의 측정 및/또는 검출은 절대 레벨링이라고 표기된다. 절대 레벨링은 바람직하게는 증분 계산기를 사전 설정된 초기 값, 특히 0으로 설정하기 위해 결과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실행된다.
이를 통해, 특히 합산 에러 및 위치 에러를 야기하는, 센서 분석 에러, 측정 신호에 대한 기생 유도 또는 잘못된 평가가 함께 나타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위치를 잘못 저장하거나 제어 장치 또는 다른 장애들을 리셋함으로써 야기되는 절대 위치의 손실 작용도 레벨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절대 위치 검출 장치는 시프트 샤프트 및/또는 시프트 핑거의 절대 위치가 시프팅 장치의 작동력과는 무관하게 검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절대 위치는 작동 장치 및 상기 작동 장치의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힘의 크기와 무관하게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프트 핑거에 제공된 작동력의 크기와 상관없이 동일시된 절대 위치가 검출될 수 있거나, 동일한 위치가 절대 위치로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프팅 장치 및 절대 위치 검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 필드를 갖는다. 이러한 신호 필드는 센서 장치에 의해 스캐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 장치는 디지털 센서로, 신호 필드는 디지털 센서 필드로 형성된다.
신호 필드는 특히 시프트 샤프트의 표면 위에 배치된다. 특히 신호 필드는 시프트 샤프트의 표면 상승부 및/또는 표면 하강부로 형성된다.
신호 필드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돌출된 패턴에 상응하며, 상기 패턴은 다수의 필드형 영역을 갖는다. 상기 영역들에는 각각 하나의 사전 설정된 (신호 필드의) 신호가 할당된다.
상이한 신호 값에 상응하는 2 개의 영역 간의 경계선을 통과하거나 탐색할 때, 센서는 신호를 기록하거나 신호 값 변동을 검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절대 위치 검출 특성이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시프트 핑거의 운동을 제어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특성이 센서 필드 또는 패턴의 형성에 따라 좌우된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시프트 핑거가 우선 한 방향으로 제어되고, 상기 방향에서 패턴에 따라 시프트 핑거 위치와는 상관없이 안전하게 절대 위치가 검출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센서에 의해 절대 레벨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해 준다. 물론 다수의 센서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에는 디지털 센서 및/또는 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프트 샤프트에서 디지털 스위치가 사용됨으로써, 특히 모터 당 하나의 스위치가 사용되는 대신에 단 하나의 스위치 또는 센서만 요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필드 및 센서를 갖는 시프팅 장치는 절대 위치가 단 시간에 매우 간단하고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단 단계에서 절대 레벨링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대 위치가 시프팅 장치의 탄성, 특히 채널 벽과 같은 스톱 위치의 탄성과는 무관하게, 또는 작동 장치의 탄성, 특히 모터의 탄성과는 무관하게 검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정확한 측정의 영향은 본 발명에 따라 크게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부품 마모가 위치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신호 필드가 시프트 샤프트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절대 위치를 결정할 때, 시프트 핑거가 디지털 전환시 어떤 방향으로 이동되며 및/또는 디지털 전환(디지털 신호 0에서 디지털 신호 1로, 또는 디지털 신호 1에서 디지털 신호 0으로)이 어떤 방향으로 일어나는지가 고려된다.
바람직하게 패턴 및 신호 필드는, 시프트 핑거의 2 회의 이동 과정 내에서 시프팅 방향 및 셀렉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가 분명히 검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프트 핑거의 최대 3 회의 이동 과정 내에서 셀렉팅 방향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가 분명히 검출될 수 있다.
이동 과정이란 출발 지점과 최종 지점 간의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의미하며, 상기 두 지점 사이에서는 이동 경로의 방향 설정 및 방향이 유지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돌출된 패턴의 필드형 영역이 채널들의 축, 즉 시프팅 채널 또는 셀렉팅 채널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방향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센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센서를 가지며, 상기 센서는 전자기계식 프로브(probe), 홀 센서, 감응(inductive) 센서, 광 센서, 용량성 센서, 사운드 센서 분석기, 도체 스트립을 인출하는 전기 Schleifer 등 또는 이것들의 복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시프팅 장치가 일 평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 장치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사전 설정된 디지털 전환시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사전 설정된 위치를 지정한다. 특히 상기 평가 장치 내에 패턴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시프팅 채널 내에서 상이한 센서 신호를 나타내는 2 개의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프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라인에 충돌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프팅 채널 내의 이러한 영역은 시프팅 채널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접촉 라인에 충돌한다.
특히 셀렉팅 채널 내에서 상이한 센서 신호가 할당되어 있는 2 개의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셀렉팅 채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라인에 충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셀렉팅 채널 내의 이러한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셀렉팅 채널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라인에 충돌한다.
바람직하게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패턴은 제 1 디지털 값에 상응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디지털 값과 상이한 제 2 디지털 값에 상응하며, 상기 제 1 영역은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특히 십자형 또는 H자 형태로 놓여있다.
특히 십자형인 제 1 영역의 제 1 부분 영역은 셀렉팅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제 1 부분 영역에 교차되는 제 2 부분 영역은 특히 연속으로 놓인 2 개의 시프팅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며, 상기 시프팅 채널의 유닛은 셀렉팅 채널에 교차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부분 영역은 셀렉팅 채널 내에서 2 개의 시프팅 채널 사이에 셀렉팅 방향으로 설정된 위치의 높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영역의 교차될 부분 영역의 교차 영역, 즉 오버랩 영역 내에 제 2 영역에 상응하는 신호가 존재한다. 제 1 영역의 부분 영역은 바람직하게 시프팅 채널 또는 셀렉팅 채널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영역은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H자 형태로 배치된다. 특히 평행한 2 개의 "H"의 2 개의 평행한 칼럼(column)을 연결시키는 브리지는 셀렉팅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반면, 상기 2 개의 칼럼은 시프팅 채널 내로 연장되어, 상기 시프팅 채널을 -폭에 대해- 부분적으로 덮는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칼럼"은 시프팅 채널의 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H"의 양 칼럼은 셀렉팅 방향으로 상이하게 방향 설정된, 시프팅 채널의 벽 영역에 인접하게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영역은 셀렉팅 방향으로 연장되어, 셀렉팅 채널을 덮고, 부가로 부분적으로 셀렉팅 채널 내로 연장되어, 셀렉팅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지점에서 중단됨으로써, 이 영역 내에 셀렉팅 채널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제 2 영역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패턴은 제 1 영역이 십자형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십자 형태의 연장 방향은 -오버랩될 교차 영역에 의해 중단되어- 전체 셀렉팅 채널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셀렉팅 채널에 대해 수직으로 제공되는 십자 형태의 부분 영역은 셀렉팅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놓인 2 개의 시프팅 채널 내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영역은 셀렉팅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영역에서 셀렉팅 채널의 전체 폭을 덮고, 또한 부분적으로 시프팅 방향으로 인접한 시프팅 채널로 연장되며, 상기 영역에 대해 수직으로 셀렉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영역의 부분 영역은 시프팅 방향으로 서로 마주놓인 2개의 시프팅 채널을 완전히 덮고, 제 1 영역의 시프팅 방향 및 셀렉팅 방향으로의 오버랩 영역은 제 1 영역의 디지털 값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평가 장치에서는 경우에 따라 디지털 스위치가 갖는 히스테리시스가 고려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25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를 갖는 시프팅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시프팅 장치 내에서 작동 장치에 의해 제어 가능한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시프트 핑거는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적어도 하나의 3단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3단 스위치는 적어도 3 개의 상이한 시프팅 상태가 구별될 수 있도록 또는 검출될 수 있도록 시프팅 과정시 이동된 부품, 특히 시프트 샤프트와 상호 작용한다.
특히 시프트 샤프트의 외부 면은 프로필을 가지며, 상기 프로필은 3단 스위치에 의해 스캐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필은, 특히 방사 방향 외부에 놓인 프로필 표면이 적어도 3 개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영역이 시프트 샤프트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별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3 개의 상이한 이격 상태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정성(定性) 또는 정량성 분석으로 검출될 수 있다.
특히 중립 위치의 제 1 프로필 깊이 및 제 2 프로필 깊이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후진 기어에 할당된다. 제 3 영역은 특히 홈을 갖지 않는 시프트 샤프트 표면의 영역으로 형성된다.
특히 기계적 스위치가 상기 표면 영역을 스캐닝함으로써, 상기 스위치는 후진 기어, 중립 기어 위치 또는 그 외 시프팅 위치 중 어떤 위치가 취해져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기계적 스위치의 관점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지라도, 다른 스위치의 사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사전 설정된 기어 위치가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따라 특히 (증분) 경로 검출 장치가 레벨링될 수 있다. 본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주차 기능에 있어서 자동으로 후진 기어가 넣어짐으로써, 특히 점화시 3단 스위치에 의해 검출된 후진 기어에 의해 (증분) 경로 검출 장치가 레벨링될 수 있다. 특히 중립 기어 위치 및 후진 기어 위치와 같이 사전 설정된 2 개의 기어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3단 스위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28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프팅 장치에 경로 검출 장치의 테스트 및/또는 어댑션을 위한 여분 센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프팅 장치는 특히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를 가지며,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 작동 장치, 특히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시프트 핑거의 운동은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추적된다.
여분 센서 장치는 사전 설정된 기어 위치를 감지하거나 검출할 수 있다. 할당 특성은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사전 설정된 위치에 사전 설정된 기어 특성 값을 할당한다. 특히 이러한 할당 특성은 단 최종 위치 및 중립 위치에 사전설정된 위치를 할당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여분 센서 장치에 의해 산출된 값에 의해 할당 특성이 정확하게 테스트될 수 있다.
특히 리던던시 센서 장치는 언제 단 최종 위치 및/또는 중립 위치가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지에 대해 검출한다. 할당 특성은 이러한 한계 위치에 사전 설정된 위치 값을 할당한다. 이러한 위치 값은 경로 검출 장치의 단 최종 위치 또는 중립 위치 내에 표시된 위치 값과 비교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값보다 큰 편차가 정해지면, 할당 특성의 위치 값이 적합하게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29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시프트 샤프트에는 프로필이 제공되며, 상기 프로필은 시프트 샤프트의 축에 대해 상이한 전위 영역을 갖는다. 특히 단 최종 위치 및 중립 위치는 시프트 샤프트 내에서 홈으로 형성된다. 리테이너는 스프링 하중을 받는 볼을 가지며, 상기 볼은 시프트 샤프트에 대해 가압되고 시프팅 상태가 "단 최종 위치" 또는 "중립 위치"일 때 이에 상응하는 홈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볼은 시프팅 상태가 단 최종 위치 또는 중립 위치의 외부에 있을 때 볼을 수용하는 전위와는 구별되는 전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단 최종 위치 또는 중립 위치는 각각 동일한 프로필 전위에 할당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위치에 개별 전위가 할당된다.
리테이너 내 또는 리테이너 측면에 센서 장치 및/또는 스위치가 배치되며, 상기 스위치는 특히 병진 방향으로 볼 운동을 추적하거나 모니터링한다. 이를 통해, 단 최종 위치 또는 중립 위치에 대해 제공된, 시프트 샤프트 내의 홈 내로 볼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검출될 수 있다. 센서 장치 또는 스위치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모터 및/또는 관련 (증분) 경로 검출 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작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포함된 할당 특성에서 할당의 정확성이 테스트될 수 있으며, 상기 할당 특성은 특히 단 최종 위치 또는 중립 위치와 같은 사전 설정된 기어 위치에 작동 장치의 사전 설정된 위치 값을 할당한다.
따라서, 특히 볼이 시프트 샤프트의 홈 내로 삽입되는 것을 센서가 검출할 때, 이 시점에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산출된 값이 할당 특성에 따라 단 최종 위치 또는 중립 위치에 배열되는 값에 상응하는지에 대해 테스트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할당 특성 및 경로 검출 장치의 에러가 추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값, 특히 (증분)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실제로 제시된 위치 값에 근사하는 위치 값은 증분 경로 검출 장치의 위치 값으로 조절되는데, 다시 말해 할당 특성이 어댑팅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34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시프팅 장치는 중립 기준 장치(neutral reference device)를 갖는다.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중립 기준 이동이 초기화되고 실행될 수 있다. 중립 기준 이동은 작동 장치,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모터, 또는 시프트 핑거의 작동에 대한 사전 설정된 순서이며, 상기 중립 기준 이동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시프트 핑거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중립 기어가 넣어질 수 있으며, 특히 시프트 핑거의 잘못된 위치 정보와 같은 오류 정보들은 키잉(keying) 및 가압 과정 및 그것의 평가에 의해 검출된다.
여기서, 키잉 과정이란 스톱 위치가 검출될 때까지 시프트 핑거가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제어되는 과정, 또는 스톱 위치가 검출되거나 최대 경로에 도달할 때까지 작동 장치, 셀렉팅 모터 또는 시프트 모터가 제어되는 과정을 말한다
가압 과정이란 시프트 핑거가, 상기 시프트 핑거의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의 이동이 검출될 때까지 상기 방향으로 제어되거나, 시프트 핑거 및/또는 작동 장치의 이동이 검출될 때까지 작동 장치 또는 셀렉팅 모터 또는 시프트 모터에 전류가 공급되는 과정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라, 시프트 핑거의 제어시 사전 설정된 시프트 핑거 이동이 회피되거나, 또는 방향 및 방향 설정에 따라 정해진 시프트 핑거의 사전 설정된 이동이 일어날 수 없도록 제어된다. 특히 이러한 허용될 수 없는 시프트 핑거의 이동 또는 방향 및 방향 설정은 시프트 핑거가 중립 기준 이동시 사전 설정된 임계 시프팅 채널 내로 도달되지 않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임계 시프팅 채널이란 특히 내연 기관의 회전수 또는 자동차의 속도와 같은 사전 설정된 작동 파라미터가 존재할 때 넣어지는 단에 할당되는 시프팅 채널을 말하며, 이때 트랜스미션 시스템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임계 기어 단은 실제로 존재하는 사전 설정된 작동 파라미터에 따라 즉 다이내믹하게 정해진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프트 핑거는 중립 기준 이동시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단지 셀렉팅 채널 종방향으로, 그리고 셀렉팅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제어되며, 이러한 벡터 성분들로 이루어진 벡터는 사전 설정된 표준에 따라 방향 설정된다. 이러한 사전 설정된 표준들에서 볼 때 특히, 벡터는 임계 셀렉팅 채널의 임의의 시점으로부터 시프팅 채널의 임의의 시점으로 방향 설정된 벡터에 대해 평행하지 않으며, 특히 셀렉팅 채널과 임계 시프팅 채널 간의 교차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의 외부에서 셀렉팅 채널 내에 존재하는 셀렉팅 채널 지점만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 및 후진 기어는 임계 단으로서 정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가 이중 H형 배선도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이중 H형 배선도에서 왼쪽 상부로부터 오른쪽 상부로는 제 1 단, 제 3 단 및 제 5단의 시프팅 채널이 옆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그 아래, 즉 셀렉팅 채널의 반대편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는 제 2단, 제 4단 및 후진 기어가 배치됨으로써, 제 1 단 및 후진 기어는 정반대 방향으로 외부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초기화 상태가 검출될 때 중립 기준 장치가 중립 기준 이동을 시작한다.
바람직한 초기화는 특히 이동시 넣어진 단에 대한 상이한 정보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결정될 때 이루어진다. 특히 차단된 클러치에서 내연 기관의 회전수 및 휠 회전수에 따라 기어 단이 검출될 때 초기화가 구현되며, 상기 기어 단은 경로 검출 장치에 따라 검출되는 기어 단과 일치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상황은 특히 작동 장치가 연결될 때 존재한다.
부가의 바람직한 초기화는 -특히 콘택 불량 또는 간섭에 의해 제한되어- 증분 센서에 의해 더 이상 오류로 확인될 수 없었던 잘못된 신호들이 기어 작동 장치에 수신될 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작동 장치는 잘못된 위치를 제어하거나 잘못된 단으로 이동하거나 기어에서의 예상치 못한 충돌을 검출한다.
부가의 바람직한 초기화는 작동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가 리셋되거나 주로- 특히 배터리 고장에 따라- 차단(switch-off)됨으로써 시프트 핑거 위치가 소실되거나 결합을 가질 때 이루어진다.
이루어짐으로써, 부가의 바람직한 초기화 조건은 작동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가 새롭게 제조되거나 교체될 때 주어진다.
본 발명의 부가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전 설정된 작동 상태가 존재할 때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중립 기준 이동이 초기화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 상태는 특히 의도된 주행 상태를 대표하는 작동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주행 상태의 중단은 통상적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는 자동차가 킥 다운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을 때는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중립 기준 이동이 초기화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는 자동차의 자동차 속도가 사전 설정된 속도 값 보다 작을 때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중립 기준 이동이 초기화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는 자동차가 정차 상태일 때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중립 기준 이동이 초기화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사전 설정된 스로틀 밸브 각도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팅 장치에 의해 검출될 때 중립 기준 이동이 초기화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중립 기준 이동시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사전 설정된 시프팅 과정, 특히 단을 넣는 것이 방해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전 설정된 오류 조건들이 존재할 때 기준 이동이 중단되거나 및/또는 반복되거나 또는 셧 다운이 초기화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사전 설정된 상태에서 중립 기준 이동이 시작된다. 사전 설정된 작동 상태가 검출될 때,특히 중립 기준 이동이 위험하지 않다고 검출될 때, LR-키잉 과정이 시작된다. 상기 LR-키잉 과정은 왼쪽 키잉 과정과 연이은 오른쪽 키잉 과정으로 이루어진 키잉 과정이다. 셀렉팅 모터에는 특히,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 왼쪽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전류가 공급된다. 스톱 위치에 도달된 후 또는 최대 거리만큼 이동된 후 셀렉팅 모터에는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 오른쪽으로 제어되도록 전류가 공급된다.
여기서, 왼쪽(L) 및 오른쪽(R)의 방향은 특히 셀렉팅 방향으로의 반대 방향을 나타내며, 상기 방향은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배선도에 할당된다. 하기에서 왼쪽 및 오른쪽으로 이중 H형 배선도가 제공되며, 시프팅 채널의 일 측면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는 제 1단, 제 3단 및 제 5단이 배치되고 시프팅 채널의 다른 측면에는 제 2단, 제 4단 및 후진 기어가 배치된다.
여기서, 시프팅 방향으로 볼 때 특히 전방(V) 및 후방(H)의 운동은 구별된다. 이러한 방향은 시프팅 방향으로 볼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정된다. "전방"은 셀렉팅 챔버에 의해 제 1단, 제 3단 및 제 5단의 시프팅 채널의 방향으로 설정되며, "후방"은 셀렉팅 채널로부터 볼 때 제 2단, 제 4단 및 후진 기어의 방향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이 이러한 방향 설정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R-키잉에서 큰 폭이 검출되거나 스톱 위치가 사전 설정된 경로차 보다 더 멀리 있을 경우에,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챔버 내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추론된다. R-키잉은 L-키잉 후에 나타나기 때문에, 중립 단은 오른쪽 끝까지 넣어진다는 사실이 추론된다.
LR-키잉이 사전 설정된 값 보다 작은 충돌 지점의 폭 또는 이격을 산출할 때, 시프트 핑거가 단 채널 내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추론될 수 있다.
이어서,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V-키잉이 동시의 R-가압 하에서 제어된다. 여기서, 스톱 위치가 검출되지 않거나, R-가압 후에 이동이 시작될 때, 중립 기준 장치는 RLR-키잉, 즉 우선 오른쪽으로의 키잉, 이어서 왼쪽으로의 키잉, 그리고 이어서 재차 오른쪽으로의 키잉을 제어한다. 이를 통해, 시프트 핑거가 실제로 셀렉팅 채널 내에 존재하는지가 테스트된다. 사전 설정된 이격 보다 큰 스톱 위치의 이격이 검출될 때, 시프트 핑거가 실제로 셀렉팅 채널 내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추론된다. 더욱 자세히 말해서, 후에 오른쪽으로 키잉되기 때문에 셀렉팅 채널의 오른쪽 단부에 존재한다.
V-키잉시 동시에 R-가압이 실시될 때 스톱 위치가 검출되면, 시프트 핑거- 특히 위에 설명된 배선도를 기초로 하여-가 제 1단, 제 3단 또는 제 5단의 시프팅채널 중 하나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추론된다. 이러한 검출은 RLR-키잉이 스톱 위치의 작은 이격을 산출하지 않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이어서, 이러한 경우 H-키잉 과정은 동시에 L-가압 과정 하에서 시작된다. 여기서 어떠한 스톱 위치도 검출되지 않거나 왼쪽으로의 가압이 성공적일 때, 또한 이동이 검출될 때,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LR-키잉이 제어되기 시작된다. LR-키잉시 사전 설정된 간격 값 보다 큰 이격이 검출될 때,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채널 내에 존재하며,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기 셀렉팅 채널의 오른쪽 단부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중립 기준 장치는 셀렉팅 채널의 발견 후에 시프트 핑거의 위치를 셀렉팅 채널의 방향으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시프트 핑거의 왼쪽 또는 오른쪽 셀렉팅 채널 단부로부터 출발하여 사전 설정된 길이 만큼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사전 설정된 길이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 옆으로 나란히 놓인 2 개의 셀렉팅 채널의 중앙에서 셀렉팅 채널 내에 위치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시프트 핑거는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프팅 방향으로, (채널 벽과의) 충돌이 검출될 때까지 계속 제어된다. 인접한 시프팅 채널 내로의 슬립을 것을 막기 위해서 시프팅 방향으로의 이동시 셀렉팅 위치가 모니터링된다. 사전 설정된 변동보다 큰, 셀렉팅 방향으로의 변동이 검출되면 시프트 핑거 이동이 중단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의 작동 후에 사전 설정된 장치(aggregate)가 작동될 경우에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중립 기준 이동이 초기화되는데, 이때 특히 시프트 핑거의 위치와 같은 시프팅 장치의 정해진 특성 값은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46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의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시프트 핑거가 사전 설정된 조건에서 사전 설정된 스톱 위치에 대해 가압되거나 과가압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며, 이어서 시프트 핑거는 이러한 장치에 의해 하중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시프트 핑거는 무응력 위치에 있게 되며, 상기 위치에서 기어 구조의 사전 설정된 특성 값이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톱 위치는 채널 벽, 예컨대 시프팅 채널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시프트 핑거는 정해진 위치에 있으며, 상기 위치는 장치에 의해 제공된 할당 특성을 무응력 단 위치 또는 단 최종 위치에 할당한다. 여기서, 무응력 단 위치 또는 단 최종 위치는 단이 완전히 넣어지는 시프트 핑거의 위치이며, 시프팅 장치는 무응력 상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프트 핑거는 부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프팅 채널의 단부 영역에서 셀렉팅 방향으로 시프팅 채널 벽에 대해 가압되거나 과가압되고, 하중을 받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제어되어 하중을 받지 않으며, 상기 시프트 핑거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단 최종 위치를 추론할 수 있는 사전 설정된 위치에 있다.
시프트 핑거는 하중을 받지 않거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조건지워져서 사전 설정된 위치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프트 모터 또는 셀렉팅 모터에는 하중을 받지 않을 때 거의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프트 모터 또는 셀렉팅 모터에는 하중을 받을 때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스톱 위치에 대한 가압 또는 과가압에서 보다 더 약하게 전류가 공급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에 의해 가압, 과가압 및 하중 경감이 정해진 시기 및/또는 정해진 조건에서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프팅 채널 내에 서로 마주 놓인 2 개의 벽에는 각각 가압, 과가압 및 시프트 핑거의 제어된 하중 경감이 실행되는데, 이때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세팅될 무응력 위치로부터 시프팅 채널의 폭이 추론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히 위에 설명된 형태로- 충돌은 사전 설정된 특성 값 또는 특히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모터의 응력과 같은 특성곡선의 모니터링에 의해 검출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검출된 무응력 위치, 단 최종 위치 또는 세팅될 하중 경감 위치에 의해 경로 검출 장치가 테스트되거나 및/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 값이 어댑팅된다. 특히 시프트 핑거가 하중 경감됨으로써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 세팅될 위치는 증분 경로 검출 장치의 초기화 및 레벨링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증분) 경로 검출 장치가 하중 경감시 시프트 핑거의 위치 변화를 검출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50항에 따른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시프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를 갖는 시프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 코딩 장치를 가지며, 상기 셀렉팅-시프팅 장치 내에서 시프트 핑거는 유격을 갖는 채널의 종방향 벽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다.
단 코딩 장치에 의해 각각 넣어진 단은 특히, 시프트 핑거가 호출될 때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수용되는 위치와는 상관없이 그것의 아이덴티티가 호출될 수 있도록 코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프트 핑거 이동이 코딩시 또는 디코딩시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추적된다는 것이 추론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게는 경로 검출 장치가 디코딩시 시프트 핑거 이동을 검출하지 않으면서 디코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넣어진 단의 아이덴티티가 검출될 수 있으며, 시프트 핑거-특히 디코딩시-는 단 최종 위치 또는 단 정지 위치에 존재한다.
시프트 핑거가 단 아이덴티티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그것의 단 정지 위치에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넣어진 단의 아이덴티티의 디코딩은 기어 커넥팅 레버 또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사전 설정된 구조 특성 값에 따라 검출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프트 핑거는 단이 넣어질 때, 상기 시프트 핑거가 셀렉터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 각각 유격을 갖는 단 최종 위치 또는 단 정지 위치 내에 사전 설정된 위치 영역에 설정되도록 제어되며, 이러한 단 최종 위치 내에 사전 설정된 위치 영역은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단 아이덴티티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프트 핑거는 디코딩을 위해 정해진 특성에 따라 단 최종 위치 내에서 이동되며, 이동 특성-특히 가능한 이동 경로-은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 검출된다. 여기서 검출된 이동 특성과 사전 설정된 특성과의 비교에 의해 단의 아이덴티티가 디코딩될 수 있으며, 상기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단이 넣어질 때 기어 단에 따라 좌우되는 영역에 시프트 핑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단 최종 위치에서 시프트 핑거의 이동 특성이 검출될 때 경로 검출 장치는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추적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출된 측정값에 의해 특히 인접 벽에 대한 이격에 의해 시프트 핑거의 위치 및 단 아이덴티티의 위치가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 아이덴티티는 디코딩시 회전하는 경로 검출 장치와는 무관하게 검출될 수 있다. 특히 시프트 핑거는 코딩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시프팅 채널 벽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위치는 특히 종방향 벽에 인접한다. 제 2 위치는 특히 제 1 종벽에 마주놓인 제 2 종벽에 인접한다. 제 3 위치는 특히 종방향 벽 및 횡방향 벽에 인접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4 위치는 종방향 벽 및 횡방향 벽에 인접하지만, 다른 모서리에 접한다. 디코딩을 위해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성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각각 테스트된다. 이러한 특성에 상응하여 넣어진 단이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프팅 채널은 상이한 시프팅 채널 폭을 가짐으로써, 시프팅 채널 폭의 검출에 의해 어떠한 기어 단이 넣어지는지가 테스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의 정지 위치는 각각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단 아이덴티티는 단이 넣어질 때 시프트 핑거가 이러한 직사각형의 4 개의 모서리 중 하나 또는 이러한 직사각형의 에지에 있는, 2 개의 모서리의 중앙 내로 이동됨으로써 코딩된다.
이에 따라, 단 최종 위치는 직사각형과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왼쪽, 오른쪽, 중심, 상부, 하부를 구별하고자 하는 생각이 단 아이덴티티 정보의 코딩을 위해 다르게 형성된 단 최종 위치 영역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채널 벽으로 형성된 개별 스톱 위치에 대한 이동 길이는 단 아이덴티티 정보의 디코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실제로 기어를 중립 상태에 넣지 않고서 넣어진 단의 아이덴티티를 검출하거나 시프트 모터 및/또는 셀렉팅 모터의 증분 검출에 대한 스타팅 값을 검출하거나, 또는 증분 경로 검출 장치가 합리성을 테스트할 수있다.
또한 특히 증분 경로 검출의 보정이 가능해지는데, 이는 특히 중심 제어 장치가 고장난 후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 코딩 장치에 의해 코딩된 단 아이덴티티가 특히 시프팅 채널 폭 등과 같은 기어 커넥팅 레버 또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구조 특성 값에 따라 디코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 아이덴티티는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특히 단 아이덴티티는 한편으로는 증분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공급된 위치 값에 의해 위치-단 아이덴티티 특성의 할당에 상응하여 수행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위에 기술된 형태로 단 코딩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62항에 따른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시프팅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시프팅 장치는 셀렉팅 모터 테스트 장치를 갖는다. 상기 셀렉팅 모터 테스트 장치에 의해,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시프트 핑거가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단을 넣거나 및/또는 단을 뺄 때 셀렉팅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시프트 핑거는 시프팅 방향으로 이동될뿐만 아니라 셀렉팅 방향으로 오버랩된 이동을 실행한다. 이를 위해, 시프트 핑거는 시프팅 채널 내에서 셀렉팅 방향으로 유격을 가짐으로써,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시프트 핑거의 이동은 경로 검출 장치, 특히 증분 경로 측정 센서에 의해 추적되며, 상기 경로 측정 센서는 셀렉팅 방향으로의 시프트 핑거 이동을 추적한다. 사전 설정된 특성에 의해 셀렉팅 방향으로 제어된 시프트 핑거의 이동 경로가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이동 경로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셀렉팅 모터 및/또는 상기 셀렉팅 모터의 경로 검출 장치의 오류 작동이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시간에 따른 루틴없이 너무 이른 시점에 셀렉팅 모터 및/또는 상기 셀렉팅 모터의 경로 검출 장치의 오류 작동이 측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프팅 채널 내에서 단이 빠져 나오는 너무 이른 단계에 이미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이 오버랩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63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 합리성 테스트 장치를 갖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시프팅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테스트 장치에 의해 단이 넣어지거나 및/또는 단이 어떤 아이덴티티를 갖는지에 대해 테스트될 수 있다. 단 합리성 테스트 장치는 상기 사항들을 시프팅 장치의 부품의 탄성과 무관하게 검출한다. 특히 단 합리성 테스트 장치는 작동 장치에 배치된 경로 검출 장치와 시프트 포크 간의 전달 구간 내 부품들이 갖는 탄성과 무관하게 검출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시프트 핑거 위치를 위조할 수 있는 부품의 탄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시프트 핑거가 이러한 경로 변동을 완료하지 않을지라도, 특히 경로 검출 장치의 언급된 전달 구간에서의 탄성 연신이 이러한 연신 치수에 상응하는 시프트 핑거의 경로 변동으로서 해석될 위험은 없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 합리성 테스트 장치는 한편으로는 시프트 핑거의 -특히 셀렉팅 방향으로의- 규정 값-실제 값-위치 편차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셀렉팅 모터의 전류 공급을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모터의 전류 공급에 의해 사전 설정된 단 단부 위치가 제어된다. 경로 검출 장치에서 셀렉팅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된 위치는 규정 위치와 비교되는데, 상기 규정 위치는 시프트 핑거 및/또는 셀렉팅 모터가 단 최종 위치에서 수용해야만 한다. 실제 위치가 규정 위치와 프리세팅된 제한보다 적은 편차를 나타내고 셀렉팅 모터 또는 시프트 핑거가 사전 설정된 시간 후에 실제 위치에 도달할 때, 즉 차단 히스테리시스로 갈 때, 및/또는 규정 위치에 도달한 후 프리세팅된 시간 후에 적어도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차단 히스테리시스에 머무를 경우, 단 합리성 테스트 장치에 의해 관련 단이 넣어졌는지가 검출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전 설정된 치수는 채널 폭의 값으로 세팅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66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프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 합리성 테스트 장치를 가지며, 시프트 핑거의 측정된 위치 데이터 또는 위치 값 또는 슬라이딩 슬리브가 넣어지려고 시도되는 또는 넣어진 단에 상응하고, 기어 입력 샤프트 회전수 및 휠 회전수 등에 의해 검출된 변속비가 상기 단과 일치할 때, 상기 테스트 장치에 의해 단의 아이덴티티가 넣어진 것으로 검출된다. 이러한 변속비와 넣어진 기어 단 사이의 할당은 바람직하게 할당 특성에 저장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67항에 따른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시프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 검출 장치를 가지며, 상기 단 검출 장치에 의해 자동차 클러치가 의도한 대로 확실하게 완전히 맞물려질 수 있다. 자동차 클러치가 확실하게 맞물려진 이후에, 클러치의 고정 상태에서 모터 회전수 및 자동차 휠의 회전수에 따라 넣어진 변속이 감지된다. 이러한 변속은 이어서 사전 설정된 할당 특성에 따라 개별 단에 할당된 변속비와 비교된다. 여기서 변속비의 일치 및 프리세팅된 공차 범위 내에서 일치가 결정되는 경우, 상응하는 단이 넣어진 것으로 검출된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와 같이 얻어진 넣어진 단에 대한 정보에 의해 경로 검출 장치, 특히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모터에 배치된 증분 경로 측정 센서가 테스트되거나 및/또는 보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전에 의도된 확실한 클러치의 차단에 의해, 회전수에 의해 계산된 변속비는 사실상 기어 단의 회전수 관계에 상응한다. 따라서, 클러치 등의 슬리핑(slipping)에 의해, 넣어진 기어 단에 상응하지 않는 변속비가 계산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시프팅 장치를 갖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이 자동차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는 유압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클러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의 정확도를 확실히 하게 하기 위해, 또는 온도 등과 같은 외부 영향의 요구된 조종 운동을 분리하기 위해,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체적 보상 장치를 가지며, 상기 체적 보상 장치에 의해 사전 설정된 간격 및/또는 사전 설정된 조건으로 유압 시스템의 사전 설정된 구간에 존재하는 유압 액체의 부피가 사전 설정된 부피로 세팅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 검출 장치는 상기와 같은 체적 보상시 넣어진 단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 검출 장치에 의해 단의 검출시 트랜스미션 시스템 또는 시프트 핑거에서 이동이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된 이동에 의해 시프트 핑거는 실제로 존재하는 단 채널 내에서, 셀렉팅 채널과는 떨어진 최종 스톱 위치까지 이동된다. 증분 경로 검출 장치의 경로 측정의 재초기화는 이러한 스톱 위치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 검출 장치는 사전 설정된 조건이 확인될 때 활성화된다. 특히 단 검출 장치는 센서 문제가 확인될 때 활성화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70항에 따른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시프팅 장치의 작동 장치, 특히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가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 장치는 특히 전기 장치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어장치의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모터에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전압 및/또는 전류가 공급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7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에서 알려지지 않은 시프트 핑거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사전 설정된 구조 특성 값 및/또는 사전 설정된 기어 구조 특성 값 및/또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사전 설정된 특성 값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려지지 않은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시프트 핑거가 최대로 가능한 개별 이동 경로를 검출하기 위해 셀렉팅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이동 경로가 이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경로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평가되며, 이어서 평가 결과에 의해 새로운 시프트 핑거 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위치로의 이동이 시작된다. 이러한 새로운 위치로부터, 새롭게 평가되어, 평가 결과에 의해 새로운 위치로의 이동이 시작되기 전에,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 존재하는 이동 가능성이 다시 검출된다. 상기 과정은 사전 설정된 기어 특성 값이 완전히 검출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72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사전 설정된 위치로의 이동이 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프트 핑거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사전 설정된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사전 설정된 기어 구조 특성 값이 검출될 수 있도록 이동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전 설정된 방법에 의해 특히 단 최종 위치 및/또는 동기 위치 및/또는 채널 위치 및/또는 채널 폭이 검출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성의 최종 지점, 특히 채널 벽 및/또는 스톱 위치가 적어도 시간적으로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간접적인 경로에서 검출된다.
이를 위해, 특히 사전 설정된 작동 특성 값이 모니터링되고,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이러한 시간 경과에 의해 스톱 위치, 채널 벽 등이 추론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75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시프팅 장치의 제어 방법은, 특히 알려지지 않은 셀렉팅 채널 내의 시프트 핑거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시프트 핑거가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위해 셀렉팅 채널의 종방향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이 경우 이동 길이가 사전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이동 길이는, 시프트 핑거가 사전 설정된 위치에서 셀렉팅 채널의 리미트 지점까지 이동되도록 사전 설정된다. 이어서, 시프트 핑거는 증분, 특히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시프팅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프트 핑거가 이전에 변경되지 않은 좌표에서 시프팅 방향으로 셀렉팅 채널의 다른 한계 지점으로 이동된다. 시프팅 방향으로의 증분 이동 후에, 시프트 핑거는 사전 설정된 길이에 걸쳐, 셀렉팅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셀렉팅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동된다. 이 경우, 시프트 핑거의 시프팅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경로 검출 장치가 모니터링된다. 이러한 경로 검출 장치가 셀렉팅 방향으로 시프트 핑거를 제어할 경우 시프팅 방향으로의 이동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으면, 시프트 핑거는 이어서 시프팅 방향으로 다시 증분 이동되고,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상기 시프트 핑거가 이미 이전에 시프팅 방향으로 증분 이동되는 동일한 방향을 갖는다. 이어서, 시프트 핑거는, 상기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 - 전체 길이에 걸쳐 또는 전체 셀렉팅 채널 길이에 걸쳐 - 실행되도록 새롭게 제어된다. 여기서, 시프팅 방향으로의 시프트 핑거 이동을 검출하는 경로 검출 장치가 모니터링된다. 이러한 경로 검출 장치가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될 때 어떠한 경로 변경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한, 시프트 핑거는 다시 시프팅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된다. 시프팅 방향으로의 시프트 핑거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셀렉팅 방향으로 시프트 핑거를 제어하는 것, 이어서 동일한 시프팅 방향으로의 증분 이동하는 것, 및 시프팅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셀렉팅 방향으로의 다시 역 이동하는 것은,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시프트 핑거가 시프팅 방향으로 편향될 때까지 또는 시프트 핑거가 사전 설정된 길이에 도달하기 전, 특히 전체 셀렉팅 채널 길이에 도달하기 전에 셀렉팅 방향으로 블록킹될 때까지 계속된다.
상기와 같은 편향이 확인될 경우, 시프트 핑거는 벽, 스톱 위치 등에 접촉되고 상기 위치에 의해 고정되거나 편향된다는 것이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편향시 존재하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위치, 또는 최종 증분 이동 전에 존재하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위치는 중립 위치의 경계를 형성하며, 상기 중립 위치는 셀렉팅 방향으로 진행하고 중립 채널 중앙의 제 1 측면에 놓여있다. 이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 1 경계 또는 벽에 마주 놓인 셀렉팅 채널의 벽이 스캐닝됨으로써, 셀렉팅 채널의 제 2 경계가 결정된다. 상기 경계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중립 위치의 경계를 형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계에 의해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특히 시프팅 방향으로의 경계의 좌표의 평균값 형성에 의해 중립 위치가 검출된다.
중립 위치의 검출을 위한 이러한 방법은 상응하는 방식으로 단 최종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명에 비해 특히 시프팅 및 셀렉팅 방향 또는 시프팅 및 셀렉팅 채널이 뒤바뀐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섹션별로 채널 벽의 위치 및/또는 채널 벽의 표면 윤곽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82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시프트 핑거는 사전 설정된 절대 위치에서 셀렉팅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대 위치의 제어는 위치 정보와 상관없이 시프트 핑거 또는 시프트 샤프트의 출발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정해진 시프트 핑거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는 사전 설정된 변형에 상응하여- 시프트 핑거 이동에 의해 이동된 센서 필드는 센서, 특히 디지털 센서에 의해 스캐닝된다. 상기 센서 필드는 상이한 영역으로 분할되고, 이러한 이동이 이루어질 경우 센서는 이러한 이동을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서 신호 전환 또는 디지털 전환에 따라 및/또는 시프트 핑거가 이동되고 또는 디지털 값 "0"에서 디지털 값 "1"로 전환되는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는 방향 설정에 따라, 시프트 핑거가 실제로 위치하는 위치가 추론된다. 이 경우 센서 필드는 디지털 전환에 의해, 경우에 따라서는 디지털 전환의 방향을 고려하여 및/또는 시프트 핑거가 디지털 전환이 발생할 경우 이동되는 방향 및/또는 방향 설정을 고려하여 시프트 핑거의 절대 셀렉팅- 및/또는 시프팅 위치가 확실하게 검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이러한 절대 위치는 특히 상기 절대 위치가 확실하게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에 대해 규정됨으로써 결정된다. 특히 상기 절대 위치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바닥에 고정 결합된 사전 설정된 위치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절대 위치가 셀렉팅-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 검출되거나 또는 시프트 핑거가 상기 위치를 취한다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시프팅- 및/셀렉팅 방향으로 경로를 검출하기 위한 (증분) 경로 검출 장치가 특정 값으로 세팅된다.
시프트 핑거의 절대 위치는 셀렉팅- 및 시프팅 방향으로 각각 분리되어 시작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85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전 설정된 조건하에서 중립 기준 이동이 실행되고 및/또는 제어된다.
상기 중립 기준 이동은 키잉 과정 및 가압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시프팅 방향으로의 키잉은 셀렉팅 방향으로의 가압과 결합됨으로써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방법에서, 사전 설정된 조건이 검출되는 경우에야 비로소 중립 기준 이동이 초기화된다. 특히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사전 설정된 위치에 할당된 시프트 핑거의 이동성은 실제 이동성과 일치하지 않는다. 본 출원명세서에서 이동성은, 특히 채널 벽과 같은 스톱 위치에 부딪히지 않고, 시프트 핑거가 상기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특히 셀렉팅 -및/또는 시프팅 방향과 같은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설정되어 사전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96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적으로 배치된 시프팅 장치의 시프트 핑거는 채널 벽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채널 벽 반대편으로 이동하여 거기서 과가압된다.
본 발명에서 과가압은 바람직하게 제어되어 사전 설정된 힘에 의해 실행된다.
과가압에 의해 특히 시프트 핑거와 같은 특정 부분이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이렇게 탄력적으로 변형된 상태 또는 상응하는 복원력이 작용한다는 사실이 본 출원서의 범위에서 긴장된 탄성으로서 표시되는 반면, 부품의 관련된 무부하 정지 위치 또는 무응력 상태는 이완된 탄성으로서 표시된다.
이어서 시프트 핑거는 부하를 받지 않게 된다. 상기 무부하는 특히 0 에서의 무부하일 수 있다. 시프트 핑거를 벽에 가압하는 힘이 감소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상기 힘은 시프트 핑거의 탄성 등에 의해 야기된 힘에 의해 시프트 핑거에 여전히 부하를 주는 힘보다 더 크도록 감소된다. 따라서 시프트 핑거는 채널 방향으로, 즉 채널 벽으로부터 내부로 향해 되돌아온다. 이 경우 (탄성) 복원력이 형성되고, 시프트 핑거는 상기 핑거가 과가압되는 스톱 위치와 관련된 채널 장치 내부의 사전 설정된 및/또는 알려진 위치를 취한다. 재복귀되는 동안, 바람직하게 시프트 핑거의 위치 변경이 모니터링된다. 또한 시프트 핑거의 위치 변경은 이미 계속적으로 모니터링되어 왔으며, 이것은 특히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프트 핑거가 이완된 위치 또는 상기 위치에 도달되는 경우 경로 검출 장치가 취하는 최종 값은 특성 위치이다. 특히 상기 특성 위치가 저장됨으로써, 적어도 그 좌표는 채널 벽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미리 알려진다. 또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상기 위치에서 셀렉팅-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 단 최종 위치가 추론된다.
상기 추론된 단 최종 위치는 이어서 저장된 단 최종 위치와 비교된다. 사전 설정된 편차보다 큰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 저장된 단 최종 위치 및/또는 경로 검출 장치 또는 그들의 값이 어댑팅될 수 있다.
또한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값은 시프트 핑거를 가압하는 벽에 대해 수직인 좌표들 또는 좌표와 비교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전 설정된 편차보다 편차가 더 클 경우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값이 어댑팅되고 및/또는 사전 설정된 테스트 루틴이 도입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98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99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시프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시프팅 장치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사전 설정된 채널의 채널 폭이 측정될 수 있다.
시프트 핑거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셀렉팅 채널 또는 시프팅 채널과 같은 채널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즉 종방향 벽을 따라 부하를 받거나 또는 제어된다. 벽에 도달한 이후에 시프트 핑거는 상기 벽에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과가압됨으로써, 시프트 핑거 및/또는 시프트 샤프트 및/또는 특수 부품에서 탄성 변형이 야기된다. 이어서 시프트 핑거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부하를 받지 않음으로써, 시프트 핑거는 상응하는 변형, 즉 복원력에 의해 채널 쪽으로 이동하여 정치 위치를 취하게 된다.
특히 시프트 핑거의 무부하는 시프트 핑거를 제어하는 힘이 0으로 세팅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시프트 핑거에 부하를 주는 힘은 무부하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감소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어서 채널 벽의 시작, 시프트 핑거의 과가압 및 마주 놓인 채널 벽과 관련된 이어지는 하중이 반복됨으로써, 여기서도 특성적인, 이완된 정지 위치가 측정된다. 이러한 특성적인 위치에 의해 이어서 채널 폭이 측정된다.
이를 위해 특히 인접한 벽에 대한 이완된 시프트 핑거의 특성적인 위치의 상대 위치가 할당 특성에 저장된다.
시프트 핑거가 간접적인 방법에 의해 외부 벽에 충돌하는 것이 검출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특히 시프팅- 또는 셀렉팅 모터가 모니터링되고, 상기 모터의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스톱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힘 측정에 의해 상기 스톱 위치가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모터의 고정 전류 또는 전압 또는 사전 설정된 평가 특성에 따른 특수하게 사전 설정된 파라미터의 모니터링에 의해 채널 벽에 시프팅 레버가 스톱되는 것이 검출된다. 또한 특히 이미 언급된기타 방법은 스톱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이완된 위치, 즉 시프트 핑거가 과가압된 이후에 무부하 상태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사전 설정된, 저장된 위치와의 균등화를 위해 사용된다. 특히 저장된 단 정지 상태-위치, 즉 상기 방식으로 시프트 핑거의 과가압에 의해 검출된 단 정지 상태-위치가 어댑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타 파라미터, 특히 저장된 채널 폭이 상응하게 어댑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02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은 셀렉팅 채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셀렉팅 채널 장치 내부에서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프트 핑거는 적어도 그의 단 최종 위치 또는 단 최종 위치에서 각 시프팅 채널 벽에 대한 유격을 포함한다. 상기 유격은 바람직하게 시프팅 채널 폭으로, 특히 바람직하게 시프팅 방향으로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넣어진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상기 기어 단이 넣어질 경우 코딩된다. 특히 시프트 핑거를 코딩하기 위해 유격 영역내의 사전 설정된 위치 영역으로 단 위치가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영역은 사전 설정된 할당 특성에 따라 넣어진 단의 아이덴티티에 할당된다.
그런 다음 추후 임의 시점에 단 아이덴티티 정보가 디코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코딩과 디코딩 사이에서 특히 증분 경로 검출 장치에서 위치 정보가 분실되는 것은 유해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라, 넣어진 기어 단은 디코딩시 유지되고, 즉 시프트 핑거는 실제로 그의 기어 단 또는 기어 정지 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시프트 핑거는 기어 단 또는 기어 정지 위치 내에서 시프팅 채널 및/또는 셀렉팅 채널 방향으로 디코딩하기 위해 이동되고, 바람직하게 단 최종 위치 또는 각 시프팅 채널의 벽 또는 경계가 이동됨으로써, 특히 벽에 대한 이동 길이 또는 경로를 통해 넣어진 단이 검출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04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배치되어 이동될 수 있는 시프트 핑거는 적어도 하나의 시프팅 채널 내에서 시프팅 채널의 벽에 대한 유격을셀렉팅 방향으로 포함한다. 셀렉팅 모터 및/또는 그의 경로 검출 장치의 기능 장애를 검출하기 위해, 시프트 핑거는 시프팅 채널 내에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사전 설정된 조건하에서 및/또는 사전 설정된 시점에서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특히 상기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은 단이 릴리스될 경우 -바람직하게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렉팅 방향으로 시프팅 채널에서, 즉 유격 영역에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이동은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추적된다.
이렇게 검출된 셀렉팅 방향으로의 경로 변경은 이어서 셀렉팅 방향으로의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제어 특성 값과 비교된다. 이러한 비교에 의해 경로 검출 장치가 제어에 따른 경로 변경이 어떻게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에 따라 셀렉팅 방향으로의 경로 변경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음으로써, 셀렉팅 모터의 경로 검출 장치 및/또는 셀렉팅 모터 자체가 기능 결함을 가진다는 것이 검출된다. 이어서 특히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값이 어댑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06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넣어진 하나의 단의 아이덴티티가 테스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된 단 아이덴티티정보의 테스트가 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의 스타팅 클러치가 고정된 상태에 있도록 보장하는 신호가 발생된다. 이를 위해 특히 스타팅 클러치는 의도한 바대로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 있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이어서 넣어진 단의 아이덴티티가 스타팅 클러치의 상이한 측면에 제공된 회전 수, 즉 모터 회전 수 및 휠 회전수에 따라 검출된다.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상기 회전 수 또는 상기 회전 수 특성이 제공될 경우 어떤 기어 단이 넣어지는지가 검출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특히 센서 문제, 상치되는 위치 데이터 등과 같은 사전 설정된 장애 조건이 검출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시작된다. 이것은 특히 제 1 위치 데이터에 따라 실제로 상기 위치에서 발생해서는 안되는 스톱 위치가 검출될 경우에 그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압 릴리스 시스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클러치 장치를 갖춘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 릴리스 시스템은 하나의 체적 보상 장치를 포함하고, 체적 보상 과정이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실행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위치- 및/또는 단 아이덴티티 정보의 어댑팅을위해 사용되고, 상기 위치- 및/또는 단 아이덴티티 정보는 시프트 핑거 운동과 함께 작동하는 경로 검출 장치에 따라 검출된다.
시프트 핑거는 시프팅 방향으로 셀렉팅 채널 반대편에 있는 최종 스톱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특히 기어 단이 넣어지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최종 스톱 경로 측정 또는 경로 검출 장치의 재초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1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시프팅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을 통해 넣어진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가 검출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방법은 넣어진 기어 단에 따른 정보를 테스트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시프트 핑거는 사전 설정된 단 최종 위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규정 위치가 프리 세팅된다. 기어 단이 넣어지는 동안 시프트 핑거 또는 셀렉팅 또는 시프트 모터의 실제 위치가 검출된다. 전송 구간에서의 탄성에 의해, 시프트 핑거의 실제 위치가 경로 검출 장치의 검출된 실제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 나타날 수 있다. 위치의 설정-실제 값-편차가 검출되고, 추가로 셀렉팅 모터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이 모니터링된다. 제어된 단의 아이덴티티 또는위치 할당 특성에 의해 제공된 또는 할당된 단 아이덴티티는 특히 하기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넣어진 것으로 검출된다 : 한편으로는 위치의 설정-실제 값-편차가 사전 설정된 리미트보다 작다 : 다른 한편으로는 셀렉팅 방향으로의 규정 위치가 사전 설정된 제 1 기간에 도달되고 및/또는 셀렉팅 모터는 규정 위치에 도달된 이후에 적어도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차단 히스테리시스에 도달된다.
본 발명에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이 경우 사전 설정된 리미트가 실제로 넣어질 기어 단에 할당되는 시프팅 채널의 채널 폭에 상응한다.
기본적으로 공지된 장치에서는 부품 탄성에 의해, 경로 검출 장치가 시프트 핑거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고, 시프트 핑거의 위치는 시프팅 채널의 외부에 놓이며, 시프팅 채널 내에는 시프트 핑거가 실제로 존재한다. 극단적인 경우, 특히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시프트 핑거의 위치가 제공되고, 시프트 핑거의 위치는 시프트 핑거가 실제로 위치해 있는 시프팅 채널과는 다른 시프팅 채널에 상응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출원과 함께 제출된 특허 청구항은 포괄적인 특허권 보호의 획득을 위한 선례가 없는 작성 제안이다. 출원인 측은 지금까지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만 공개된 추가의 특징들을 청구하는 것을 보류하고 있다.
종속항에서 사용된 재인용은 독립 청구항의 대상을 각각의 종속항의 특징들을 통해 추가로 설명함을 가리키는 것이며, 재인용된 종속항들의 특징들의 결합에 대한 독립적이고 구체적인 특허권 보호의 획득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종속항의 대상은 선행 종속항의 대상에 종속되지 않는 형태를 가진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명세서의 실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와 같은 변형물, 구성 요소 및 조합물 및/또는 재료들은 예컨대 일반적인 명세서와 실시 예 및 청구항에 기술되고 도면에 제시되는 특징들이나 요소들 또는 공정 단계들과 연관된 개별적인 재료의 조합 또는 변형을 통해 매우 독창적이고, 조합 가능한 특징들을 통해 새로운 대상 또는 새로운 공정단계 내지는 공정 단계 시퀀스를 도출시키며, 또한 이들은 대체로 제조 방법, 검사 방법 및 작업 방법에 연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적인 특성이 각각 임의로 조합되어 상호 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종속항에 의해 공개된 특성 조합도 하나 또는 다수의 특성이 생략되면서 각각 바람직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특정 간행물에 인용되지 않은 공지된 모든 장치에 대한 실시 예가 제 1 라인에서 출원인 또는 발명인에게 공지됨으로써, 발명자는 상기 장치가 공개 공보에 공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장치에 대한 특허권 보호를 유보한다.
특성들이 서로 결합될 경우 "또는"에 의해 상기 "또는"이 각각 한편으로는 수학적 "또는"으로서, 다른 한편으로는 "또는"을 제외한 다른 가능성으로서 이해된다.
또한 제어의 의미 및 그로부터 파생된 의미는 본 발명에 있어서 넓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의미는 특히 DIN의 측면에서 조절 및/또는 제어를 포함한다.
전문가를 위해 본 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조사된 다수의 개조 및 구현이 고려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이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 예에 따라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엔진 또는 내연기관과 같은 구동 유닛(2)을 갖춘 자동차(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자동차의 전동장치 내에는 회전 토크 전달시스템(3) 및 기어(4)가 도시되어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회전 토크 전달 시스템(3)이 엔진과 기어 사이의 출력흐름 내에 배치되고, 이 때 모터의 구동 토크가 상기 회전 토크 전달 시스템을 통해 기어로 전달된 후, 상기 기어(4)로부터 출력측으로 피동축(5)과 그의 종속 축(6) 및 휠(6a)에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따른 자동차가 특히 청구항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 시스템 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자동차(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특히 청구항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회전 토크 전달 시스템(3)은 마찰 클러치, 다판 클러치, 전자기 클러치 또는 토크 컨버터 로크업 클러치와 같은 클러치로서 형성되고, 이 때 클러치는 자기조정 또는 마모보상 클러치일 수 있다. 기어(4)는 변속 기어와 같은 수동 기어로서 도시되어있다. 상기 기어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자동 변속기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 변속기어란 구동력 차단에 의해 시프트되고, 적어도 하나의 작동 유닛에 의해 기어 비의 시프트가 제어되도록 동작하는 자동 기어를 의미한다.
또한 시프트 과정시 구동력 차단이 없고 통상 유성(planetary) 기어단에 의해 형성되는 자동 기어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특히 테이퍼 디스크 트위스트 시프트 기어와 같은 무단 가변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동 기어는 클러치 또는 마찰 클러치와 같이 출력측에 배치된 회전 토크 전달 시스템(3)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토크 전달 시스템은 의도에 맞게 제어되어 전달될 수 있는 회전 토크를 가진 스타팅 클러치 및/또는 회전 방향을 바꾸기 위한 방향전환 세트 클러치 및/또는 토크 리미팅(torque-limiting) 클러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토크 전달 시스템은 건식 마찰 클러치이거나 또는 특히 유체 내에서 구동되는 습식 마찰 클러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자동 기어는 회전 토크 변환기일 수 있다.
회전 토크 전달 시스템(3)은 드라이브 사이드(7) 및 파워 테이크오프 사이드(8)를 포함하며, 압력판(3b), 디스크 스프링(3c), 릴리스 베어링(3e) 및 플라이 휠(3d)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3a)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회전 토크가 상기 드라이브 사이드(7)로부터 파워 테이크오프 사이드(8)로 전달된다. 이러한 가압을 위해 릴리스 레버(20)가 액추에이터와 같은 작동 유닛에 의해 조작된다.
회전 토크 전달 시스템(3)의 제어는 전자 제어 장치(13a) 및 액추에이터(13b)를 포함할 수 있는 제어 장치와 같은 제어 유닛(13)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액추에이터 및 전자 제어 장치가 하우징과같은 2 개의 상이한 부품 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제어 유닛(13)은 액추에이터(13b)의 전동기(12)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일렉트로닉스 및 파워 일렉트로닉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시스템이 유일한 장착 공간으로서 전자 장치를 갖춘 액추에이터용 장착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동기와 같은 구동 모터(12)로 형성되고, 이 때 상기 전동기(12)는 웜 기어 또는 스퍼 기어(spur gear) 또는 크랭크 기어 또는 나사 스핀들 기어와 같은 기어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11)에 영향을 미친다. 마스터 실린더에 미치는 상기 효과는 직접 또는 로드(rod)를 통해 구현된다.
마스터 실린더 피스톤(11a)과 같은 액추에이터의 출력부의 움직임은 위치나 속도 또는 각각 클러치의 속도나 가속의 위치 내지는 동력전달 위치에 비례하는 변수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클러치 경로 센서(14)에 의해 검출된다. 마스터 실린더(11)는 유압 파이프와 같은 가압 매체 라인(9)을 통해 슬레이브 실린더(10)에 연결된다. 슬레이브 실린더의 배출 부재(10a)가 릴리스 레버 또는 릴리스 수단(20)에 효과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10)의 배출부(10a)의 운동이 야기되고, 그에 따라 클러치(3)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해 릴리스 수단(20)도 마찬가지로 움직이거나 기울어진다.
회전 토크 전달 시스템(3)의 전달 가능한 회전 토크의 제어를 위한 액추에이터(13b)는 가압 매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13b)에는 가압 매체 마스터 실린더 및 가압 매체 슬레이브 실린더가 장착될 수 있다. 가압 매체는 특히 유압유 또는 압축공기 매체일 수 있다. 가압 매체 마스터 실린더의 조작은 전동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전동기(12)는 전자 제어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3b)의 구동 부재는 전동식 구동 부재 외에 다른, 특히 가압 매체로 작동되는 구동 부재도 가능하다. 또한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마그네틱 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마찰 클러치의 경우에는 플라이 휠(3d)과 압력판(3b) 사이의 클러치 디스크의 압착이 바람직하게 구현됨으로써 전달되는 회전 토크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릴리스 포크(release fork) 또는 중앙 릴리스 레버와 같은 릴리스 수단(20)의 위치 조정을 통해 압력판 및 브레이크 라이닝의 힘의 가중이 제어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압력판은 2 개의 한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며 임의로 조정 및 고정될 수 있다. 일 한계 위치는 완전히 맞물려진 클러치 위치에 상응하고, 또 다른 일 한계 위치는 완전히 릴리스된 클러치 위치에 상응한다. 전달되는, 특히 일시적으로 인가된 엔진 토크보다 더 작은 회전 토크의 제어를 위해, 특히 상기 두 한계 위치 사이의 중간 영역에 놓이는, 압력판(3b)의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클러치는 릴리스 수단(20)의 바람직한 제어에 의해 상기 두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엔진 토크에 의해 정해지는 전달 클러치 토크도 제어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실제 발생하는 엔진 토크가 전달될 수 있으며, 이 때 동력전달시 회전토크-주기적 변동이 특히 회전토크 피크의 형태로 감쇠되거나 및/또는 지연된다.
회전토크 전달 시스템의 제어를 위해 센서가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센서들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전체 시스템의 관련 변수를 감시하고, 제어 유닛에 의해 처리될, 제어에 필요한 상태 변수, 신호 및 측정값을 공급하며, 이 때 특히 엔진 전자 제어장치 또는 ABS-/ASR-전자 제어장치와 같은 다른 전자 장치 유닛으로의 신호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특히 휠 회전수, 엔진 회전수와 같은 회전수, 부하 레버의 위치, 스로틀 밸브의 위치, 기어의 단 위치, 시프트 의도 및 그 외 자동차 고유의 특성 값을 검출한다.
도 1에서는 스로틀 밸브 센서(15), 엔진 회전수 센서(16) 및 속도 센서(17)가 사용되고, 측정값 또는 정보들이 제어 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컴퓨터 유닛과 같은, 제어 유닛의 전자 제어 장치(13a)가 시스템 입력 값을 처리하고 액추에이터(13b)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기어는 단계전환 기어로서 형성되며, 이 때 기어 단계는 시프트 레버를 이용하여 전환하거나 상기 시프트 레버를 이용하여 기어를 조작한다. 또한 시프트 레버(18)와 같은 수동 기어의 조작 레버에는 시프트 의도 및/또는 기어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 유닛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9b)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19a)는 기어에 연결되고, 현재 기어 위치 및/또는 시프트 의도를 검출한다. 상기 두 센서(19a, 19b)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시프트 의도를 인지하는 것은, 상기 센서가 시프트 레버에 작용하는 힘을 검출하는 힘 센서(force sensor)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센서는 경로 센서나 위치 센서로서도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 유닛은 위치 신호의 시간에 따른 변동으로부터 시프트 의도를 인지한다.
제어 유닛은 모든 센서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신호와 연결되며, 현재 작동 지점에 따라 상기 제어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에 제어 명령 또는 조정 명령을 지시하는 방식으로 센서 신호 및 시스템 입력 변수를 평가한다. 전동기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구동 부재(12)는 클러치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측정값 및/또는 시스템 입력 변수 및/또는 센서 분석 신호에 따른 제어 변수를 공급받는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 내에서 제어 프로그램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서 실행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입력되는 신호를 평가하고, 그들의 비교에 의해 및/또는 그들의 기능 및/또는 특성도에 따라 출력 변수를 산정하거나 측정한다.
제어 유닛(13)은 바람직하게는 회전토크 측정 유닛, 기어 위치 측정 유닛, 슬립 측정 유닛 및/또는 작동 상태 측정 유닛을 갖추거나, 상기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연결을 갖는다. 상기 유닛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서의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됨으로써, 입력되는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1)의 구동 유닛(2)의 회전 토크, 기어(4)의 단 위치, 회전토크 전달 시스템의 영역 내에서 우세한 슬립 및 자동차의 현재 작동 상태가 측정될 수 있다. 기어 단 위치 측정 유닛은 센서(19a 및 19b)의 신호에 따라 현재 넣어진 기어의 단을 검출한다. 이 때 상기 센서들은 시프트 레버 및/또는 특히 중앙 시프트 샤프트 및/또는 시프트 레일과 같은 기어 내부의 제어 수단에 연결되어, 특히 상기 부품들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검출한다. 또한 엑셀러레이터 페달과 같은 부하 레버(30)에는 부하 레버 위치를 검출하는 부하 레버 센서(31)가 설치된다. 또 다른 센서(32)는 공회전 스위치(32)로서 작용한다. 즉, 부하 레버와 같은 엑셀러레이터 페달이 작동되면 상기 공회전 스위치(32)가 스위치-온 되고, 신호가 작동되지 않으면 스위치-오프됨으로써, 이러한 디지털 정보를 통해 엑셀러레이터 페달과 같은 부하 레버가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상기 부하 레버 센서(31)는 부하 레버의 작동 정도를 검출한다.
도 1에는 부하 레버와 같은 엑셀러레이터 페달(30) 및 그에 연결되는 센서들 외에도 브레이크 페달, 핸드브레이크 레버 또는 손이나 발로 조작되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부재와 같이 주브레이크(service brake) 또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브레이크 작동 부재(40)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작동 부재(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41)가 설치되어 상기 작동 부재(40)의 작동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센서(41)는 특히 스위치와 같은 디지털 센서로서 형성되고,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센서에는 브레이크등과 같이 브레이크의 작동을 신호화하는 신호 장치가 연결된다. 이러한 신호화는 주브레이크 뿐만 아니라 주차브레이크의 경우에도 실시된다. 그러나 상기 센서는 아날로그 센서로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특히 포텐셔미터와 같은 상기 센서는 작동 부재의 작동 정도를 측정한다. 상기 센서도 신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구동 유닛(100), 회전토크 전달 시스템(102), 기어(103), 구동축(109) 및 휠(106)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구동 레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회전토크 전달 시스템(102)은 플라이 휠(102a) 상에 설치 또는 고정되고, 상기 플라이 휠은 통상 일 스타터 링(102b)을 가진다. 상기 회전토크 전달 시스템은 압력판(102b), 클러치 커버(102e), 디스크 스프링(102f) 및 마찰 라이닝을 갖춘 클러치 디스크(102c)를 포함한다. 클러치 디스크(102d)와 플라이 휠(102a) 사이에 경우에 따라 댐핑 장치를 갖춘 클러치 디스크(102c)가 배치된다. 디스크 스프링(102f)과 같은 힘 축적 장치가 축방향으로 클러치 디스크 상에 압력판을 접촉시키고, 이 때 회전토크 전달 시스템의 작동을 위해 특히 가압 매체로 작동되는 중앙 릴리스와 같은 릴리스 베어링(109)이 제공된다. 상기 중앙 릴리스와 디스크 스프링(102)의 디스크 스프링 리드(reed) 사이에 일 릴리스 베어링(110)이 배치된다. 상기 릴리스 베어링의 축방향 전위에 의해 디스크 스프링이 가압되고, 클러치가 릴리스된다. 클러치는 또한 눌려진 또는 당겨진 클러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08)는 마차가지로 회전토크 전달 시스템을 위한 작동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 기어의 액추에이터이다. 상기 액추에이터(108)는 특히 시프트 롤러(roller) 또는 시프트 레일 또는 기어의 중앙 시프트 샤프트과 같은 기어 내부의 시프트 부재를 작동시키며, 이러한 조작을 통해 기어가 특히 연속적인 순서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넣어지거나 릴리스될 수 있다. 연결부(111)를 통해 클러치 작동 부재(109)가 조작된다. 제어 유닛(107)은 신호 연결 라인(112)을 통해 액추에이터에 연결되고, 이 때 신호 연결 라인(113 내지 115)이 상기 제어 유닛과 연결되며, 라인 (114)가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라인 (113)이 제어 유닛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며, 연결 라인 (115)는 특히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제어 유닛들에 연결된다.
정지 상태 또는 크롤(crawl) 운동과 같은 느린 굴림 운동(rolling motion)으로부터 자동차를 출발시키기 위해, 즉 운전자 측에서 의도적으로 자동차의 가속을 유도하기 위해 운전자는 부하 레버(30)와 같은 엑셀러레이터 페달만 조작하며, 이 경우 시동 과정시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어 또는 조정된 자동 클러치 작동이 회전토크 전달 시스템의 전달 회전토크를 제어한다. 부하 레버가 작동함으로써 부하 레버 센서(31)에 의해 다소 강한 또는 빠른 시동 과정에 대한 운전자의 의도가 감지되고, 이어서 제어 유닛에 의해 상응하게 제어된다. 엑셀러레이터 페달 및 그의 센서 신호는 자동차 시동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변수로서 사용된다.
시동 과정시 클러치 토크(Mksoll)와 같은 전달 회전토크는 사전 설정된 함수를 이용하여 또는 특히 엔진 회전수에 따른 특성 곡선이나 특성도에 의해 정해지고, 이 때 엔진 회전수 또는 엔진 토크와 같은 다른 변수와의 관계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특성곡선이나 특성도를 통해 구현된다.
정지상태 또는 크롤 상태로부터 낮은 속도에서 시동시 부하 레버 또는 엑셀러레이터 페달이 정해진 값(a)으로 작동되면, 타이밍 기어(40)에 의해 엔진 토크가 제어된다. 자동 클러치 작동 제어 유닛(13)이 사전 설정된 함수 또는 특성도에 상응하게 회전토크 전달 시스템의 전달 회전토크를 제어함에 따라 제어된 엔진 토크와 클러치 토크 사이의 정상적인 균형 상태가 조절된다. 상기 균형 상태는 부하 레버의 위치(a)에 따라 규정 시동 회전수, 시동- 또는 엔진 토크, 회전토크 전달 시스템의 규정 전달 회전토크 및 특히 구동 토크와 같이 구동 휠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에 의해 특성화된다. 시동 회전수의 함수로서 시동 토크의 함수적 상관관계는 하기에서 시동 특성곡선으로서 표기된다. 부하 레버 위치(a)는 엔진의 스로틀 밸브의 위치에 비례한다.
도 2에는 부하 레버와 같은 엑셀러레이터 페달(122) 및 그에 연결되는 센서들 외에도 브레이크 페달, 핸드브레이크 레버 또는 손이나 발로 조작되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부재와 같이 주브레이크(service brake) 또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브레이크 작동 부재(120)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작동 부재(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1)가 설치되어 상기 작동 부재(120)의 작동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센서(121)는 특히 스위치와 같은 디지털 센서로서 형성되고,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센서에는 브레이크등과 같이 브레이크의 작동을 신호화하는 신호 장치가 연결된다. 이러한 신호화는 주브레이크뿐만 아니라 주차브레이크의 경우에도 실시된다. 그러나 상기 센서는 아날로그 센서로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특히 포텐셔미터와 같은 상기 센서는 작동 부재의 작동 정도를 측정한다. 상기 센서도 신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특히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로 둘러싸인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를 나타내며, 상기 장치는 시프팅 채널들(310, 312, 314, 316, 318, 320) 및 일 셀렉팅 채널(32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특히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이 도시되어있는데, 상기 패턴은 제 1 영역(324) 및 제 2 영역(326)을 갖는다. 제 1 영역(324)에는 센서 필드의 제 1 디지털 신호가 할당되는 반면, 제 2 영역(326)에는 센서 필드의 제 2 디지털 신호가 할당된다.
특히 위치 (328)로부터 채널 벽(332)을 향해 화살표(330)로 도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도시되지 않은 시프트 핑거는 상기 채널 벽에 부딪히는 방식으로 제어되며, 이는 사전 설정된 특성 곡선에 따라, 특히 특성 값 또는 엔진 전압이나 엔진 전류와 같은 일시적인 파형의 모니터링을 통해 검출된다. 채널 벽(332)으로의 이와 같은 충돌이 검출되면, 화살표(334) 방향의 시프트 핑거가 다시 셀렉팅 채널(322)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위치 (336)에서는 제 2 영역(326) 내에서 그곳까지 움직인 시프트 핑거가 패턴의 제 2 영역(324)과 만난다. 이와 결합된 디지털 (레벨) 전환이 시프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를 검출 및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절대 위치는 특히 증분식 경로 검출 장치의 레벨링에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시프트 핑거가 화살표 (338)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때 상기 위치 내지는 시프트 위치(340)에서 제 2 영역(326)과 제 1 영역(324) 사이의 경계 지점이 새로 주어지며, 상기 경계 지점은 센서 필드를 스캐닝하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장치에 의해 디지털 전환으로서 기록된다. 상기 디지털 전환은 셀렉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의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시프트 핑거 제어의 상기 예시 설명에서는 3 회의 이동 과정 내에서 시프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뿐만 아니라 셀렉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도 검출되며, 상기 두 절대 위치 모두 경로 검출 장치의 레벨링에 사용될 수 있다.
위치 (328)에서는 시프트 핑거의 위치가 본 발명에 따라 식별될 수 없다. 시프트 핑거가 특히 시프트 위치 (342)와 같이 역시 알 수 없는 다른 위치에 있다면, 시프팅 방향 및 셀렉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는 이미 2 회의 이동 과정 후에 검출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화살표 (338)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이 셀렉팅 채널 축에 대해 반사대칭으로 구현되었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를 부분 단면도로 개략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4에도 역시 시프팅 채널들(310, 312, 314, 316, 318, 320) 및 일 셀렉팅 채널(322)을 가진 셀렉팅-시프팅 장치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셀렉팅-시프팅 장치 내에 센서 필드에 따라 투영된 패턴이 도시되어있으며, 상기 패턴은 제 1 영역(350, 352, 354, 356) 및 제 2 영역(358, 360, 362, 364, 366)을 포함한다.
제 1 영역(350, 352, 354, 356)에는 제 1 디지털 신호가 할당되는 반면, 제 2 영역(358, 360, 362, 364, 366)에는 제 2 디지털 신호가 할당된다. 제 2 영역(366)으로부터 제 2 영역(350)으로의 이동시 또는 그 반대의 경우 접촉 라인(368)에서 일 디지털 전환이 검출될 수 있으며, 이는 시프팅 채널 위치의 레벨링에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시프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는 제 1 영역(350)과 제 2 영역(364) 사이의 접촉 라인(370) 또는 제 1 영역(354)과 제 2 영역(362) 사이의 접촉 라인(372) 또는 제 2 영역(362)과 제 1 영역(352) 사이의 접촉 라인(374) 또는 제 2 영역(360)과 제 1 영역(356) 사이의 접촉 라인(376) 또는 제 1 영역(356)과 제 2 영역(358) 사이의 접촉 라인(378)에서 측정될 수 있다.이동 동작으로서 특히 시프팅 방향의 양방향 설정된 이동 동작이 중요하다. 이동 방향 및 이동 방향의 설정은 특히 절대 위치의 측정시 고려된다.
셀렉팅 위치에서는 절대 위치가 특히 접촉 라인(380, 382, 384, 386, 388, 390)에서, 즉 제 2 영역(366)과 제 1 영역(354) 사이 또는 제 1 영역(350)과 제 2 영역(362) 사이 또는 제 2 영역(364)과 제 1 영역(352) 사이의 전이부들, 및 제 1 영역(354)과 제 2 영역(360) 사이의 전이부, 제 2 영역(362)과 제 1 영역(356) 사이의 전이부, 제 1 영역(352)과 제 2 영역(358) 사이의 전이부에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특히 셀렉팅 채널(322)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이 고려된다.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 동작은 셀렉팅 방향에 대해 작은 각도로 수행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를 부분 단면도로 개략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5에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가 그 내부에 투영된 디지털 패턴과 함께 도시되어있다. 여기에는 제 1 영역(400, 402, 404, 406)이 십자형으로 형성되며, 교차되는 부분의 중첩 영역이 제 2 영역(408)으로서 형성된다. 제 1 영역(402 또는 404)이 시프팅 채널(310 또는 312) 내로 뻗음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402 또는 404)은 제 1 영역(410, 412 또는 414, 416)을 단속시키거나 각각 상기 영역에 접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를 부분 단면도로 개략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6에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의 추가 형성 예가 도시되어있다.
디지털 신호 필드의 변환에 상응하는 상기 패턴은 제 1 디지털 신호가 할당되는 제 1 영역(430, 432) 및 제 1 디지털 신호와 상이한 제 2 디지털 신호가 할당되는 제 2 영역(434, 436, 438, 440, 442, 444, 446)을 갖는다.
제 1 영역(430, 432)은 셀렉팅 채널(322)의 세로 방향으로 뻗고, 이 때 상기 제 1 영역(430, 432)은 제 2 영역(438)의 일 지점 여기서는 2 개의 시프팅 채널 사이의 셀렉팅 방향으로 놓인 지점- 에서 단속된다.
제 1 영역은 상기 셀렉팅 채널(22)의 전체 폭에 걸쳐서 셀렉팅 방향으로 뻗고, 시프팅 채널(310, 312, 314, 316, 318, 320) 내로도 뻗는다.
제 1 영역(430)으로부터 제 2 영역(438) 내로 넘어갈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 및 제 1 영역(432)으로부터 제 2 영역(438)으로 넘어갈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발생하는 디지털 전환에 따라 셀렉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가 측정된다.
그에 상응하게 제 2 영역(440 또는 442 또는 444 또는 446)으로부터 제 1 영역(430)으로 넘어갈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 시프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는 제 2 영역(434 또는 436)으로부터 제 1 영역(432)으로 넘어갈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와 똑같이 측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를 부분 단면도로 개략 도시한 것이다.
도 7에는 특히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디지털 신호 필드에 상응하는 패턴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있다.
디지털 신호 필드는 특히 도시되지 않은 시프트 샤프트에 배치된다.
제 1 영역 내지는 그의 부분 영역(450, 452, 454)은 신호 필드가 스캐닝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핑거가 상기 영역에 존재할 때 센서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제 1 디지털 신호를 나타낸다.
그에 상응하게 도시되지 않은 센서 장치가 상기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 내에서 신호 필드를 스캐닝하거나 상기 영역 내에 시프트 핑거가 존재하는 경우, 제 2 영역(456, 458, 460, 462, 464)의 부분 영역을 통해 제 1 디지털 신호와 상이한 제 2 디지털 신호가 발생한다.
제 1 영역(450, 452, 454)은 셀렉팅 방향으로 배치된 일 부분 영역(450) 및 시프팅 방향으로 배치된 일 부분 영역(452, 454)으로 구성되고, 이 때 상기 부분 영역들(450, 452, 454)의 중첩 영역은 제 2 영역(464)을 나타낸다.
제 1 영역의 부분 영역(450, 452, 454)의 중첩 영역 내에서 제 2 영역(464)으로서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패턴의 상기 형성 예에서는 제 1 영역이 T자형으로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시프트 핑거가 접촉 라인(464, 468, 470, 472, 474, 476)에 도달되거나 상기 접촉 라인을 넘어가는 경우, 또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장치가 센서 필드의 스캐닝시 일 디지털 전환을 검출하는 경우, 특히 시프트 핑거의 이동 방향 및/또는 그의 방향 설정을 고려하여 시프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셀렉팅 방향으로 접촉 라인(478)으로 이동시 및 그에 이어지는 디지털 전환시 셀렉팅 방향의 절대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도 8은 특히 디지털 센서 필드에 상응하는 패턴이 투영된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패턴은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디지털 신호가 할당되는 제 1 영역(490, 492, 494, 496)을 갖는다.
그에 상응하게 상기 패턴은 제 2 디지털 신호가 할당되는 제 2 영역(498, 500, 502, 504, 506)을 갖는다.
십자형으로 형성된 제 1 영역(490, 492, 94, 496)의 중첩 영역은 제 2 영역(502)으로서 형성된다.
시프팅 방향으로 뻗는, 제 1 영역의 부분 영역(492, 494)은 각각 서로 병치된 시프팅 채널(310, 314 내지는 312, 316)로 뻗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부분 영역은 상기 채널(310, 312, 314, 316)의 부분 영역만을 덮는 반면, 다른 부분 영역은 제 2 영역(498, 500, 504, 506)에 의해 덮인다.
접촉 라인(508, 510, 512, 514, 516, 518)에서는 적어도 시프팅 방향으로의 일 성분을 갖는 이동 동작시 디지털 전환이 검출된다. 상기 디지털 전환의 검출시, 특히 이동 동작의 방향 및 방향 설정의 고려 하에 시프팅 방향으로의 시프트 핑거의 절대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접촉 라인(520, 522, 524, 526, 528, 530)에서 셀렉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도 9에는 특히 시프트 샤프트(540)가 제 1 홈(542) 및 제 2 홈(544)를 갖는 부분도로 도시되어있다. 제 1 홈(542)의 깊이는 제 2 홈(544)의 깊이보다 얕기 때문에 상기 홈들(542, 544)은 시프트 샤프트(540)의 중심축(546)과 관련하여 상이한 전위를 갖는다. 시프트 샤프트(540)의 축 방향으로 홈 (542)와 (544) 사이에 상기 중심축(546)과 관련하여 제 3의 전위를 가지고 통상 시프트 샤프트(540)의 정상 외부 둘레에 상응하는 영역(548)이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기어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시프트 샤프트(540)를 축방향으로 밀면, 고정 설치된 센서 장치(550)가 상기 시프트 샤프트(540)의 외부 표면을 스캐닝하고, 영역 (548) 또는 (542) 또는 (544) 내 사전 설정된 시프트 위치에 놓인다. 센서 장치(550)가 홈(542 또는 544) 내에 배치될 때 주어지는 기어 위치는 상기 센서 장치의 삽입 깊이에 따라 다른 기어 위치들과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홈(542)는 특히 기어 위치가 중립위치인 경우에 상응하는 반면,센서 장치(550)가 제 2 홈(544) 내에 놓이는 경우에는 특히 기어 위치가 후진인 경우에 상응한다.
도 10에는 특히 프로필을 갖는 시프트 샤프트(540)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시프트 샤프트(540)의 프로필은 표면 상승부(560, 562) 및 표면 하강부(564, 566, 568)를 포함한다.
상기 시프트 샤프트는 도시되지 않은 기어 장치의 작동을 위해 이중 화살표(570)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이고, 또한 이중 화살표(572)의 방향으로 상기 시프트 샤프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또는 회전 요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기어 하우징(574) 내에 장착된 리테이너(576)는 스프링 초기 응력이 가해진 볼(578)을 포함하며, 상기 볼은 시프트 샤프트(540)의 표면 프로필에 접한다. 시프트 샤프트(540)가 이동하면 그에 따라 상기 볼(578)이 상기 시프트 샤프트(540)의 표면 프로필 위에서 이러저리 움직인다. 이 때 상기 볼은 프로필에 의해 리테이너 축의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활주 운동을 한다.
상기 볼(578)이 시프트 샤프트의 표면 홈(564, 566, 568) 내에 놓이게 되는 기어 위치에서는 기어 장치가 사전 설정된 시프트 위치에 있거나, 도시되지 않은시프트 핑거가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부의 사전 설정된 위치에 있게 된다.
특히 축 위치가 동일한 경우에는 시프트 샤프트의 외부 둘레 상에 3 개의 표면 홈(564)거 배치되고, 이 때 볼(578)이 표면 홈(564) 내에 놓이면 기어 장치는 제 1 또는 제 3 또는 제 5 단의 한계 위치에 있게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볼(578)이 표면 홈(566) 내에 놓이면 기어는 중립 위치를 취한다.
그에 상응하게 트랜스미션 장치는, 축 위치가 동일할 때 시프트 샤프트의 둘레 상에 배치된 3 개의 표면 홈(568) 중 하나 내에 볼(578)이 놓이면, 특히 제 2 단, 제 4 단 내지는 후진 기어단의 한계 위치를 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리테이너가 경로 측정 장치로부터 생성된 측정값 또는 신호를 위한 여분 신호를 기어 한계 위치를 통해 발생시킨다.
리테이너 내에는 볼(578)의 상이한 활주 위치를 검출하거나, 상기 볼(578)이 언제 표면 홈(564, 566, 568) 내에 놓이는 지를 검출하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가 설치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리테이너 또는 그의 센서 장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신호 파형의 예를 나타낸다.
특히 시프트 샤프트 위치에 걸쳐서 도 10에 따른 여분 센서의 신호 파형이 도시되어있다.
신호 (590)은 기어 장치가 제 1단 또는 제 3단 또는 제 5단의 기어 한계 위치에 있음을 나타낸다.
신호 (592)는 기어 장치가 중립 위치에 있음을 나타낸다.
신호 (594)는 기어가 제 2단, 제 4단 또는 후진 기어단의 한계 위치에 있음을 나타낸다.
도 12는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를 나타낸다.
설명을 위해 하기와 같이 방향 정의를 정한다. 시프팅 방향으로 놓인 화살표(600)는 전진 방향을 나타내고, 반면 그와 반대쪽 방향으로 놓인 화살표(602)는 후진 방향을 나타낸다. 셀렉팅 방향으로 배치된 화살표(604)는 좌측 방향을, 반면상기 화살표(604)와 반대 방향으로 놓인 화살표(606)는 우측방향을 나타낸다.
전진 방향으로는 제 1단, 제 3단 및 제 5단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차례대로 배치된다. 후진 방향으로는 제 2단, 제 4단 및 후진 기어단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차례대로 배치된다. 중앙에는 중립 위치가 배치된다.
후진 기어단이 여기에 도시된 것처럼- 제 1단의 정반대편 바깥쪽에 놓이도록 배치되지 않고, 제 1단 옆에 좌측에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 예를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중립 기준 이동의 필수 조건이 확인되면, 즉 특히 이동시 클러치가 차단될 때 엔진 회전수 및 자동차 속도가 넣어져야할 기어 단과 조화되지 않는다거나 그와 유사한 사실이 검출되면, 중립 기준 이동이 단계 (610)에서 시작된다. 자동차 상태가 위험하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면, 즉 중립 기준 이동에 의해 특히 기어의 어떠한 손상도 초래될 수 없다는 것이 보증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자동차가 정차 상태에 있는 경우, 단계 (612)에서 후속하는 우측으로의 키잉에 의해 좌측으로의 키잉(keying)이 유도된다. 그 폭, 즉 여기서 검출된 좌측 지점과 우측 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가 예정된 폭보다 더 크면,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채널 내에 있게 된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LR-키잉은 우측으로의 키잉과 함께 종료되었기 때문에 단계 (614)에서는 중립 기어가 우측 종단에서 넣어진다는 사실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LR-키잉 이후 검출된 폭이 예정된 폭보다 작으면, 이어서 단계 (616)에서는 R(후진)-가압이 실시됨과 동시에 V(전진)-키잉이 유도된다. 여기서 어떠한 충돌도 검출되지 않거나 우측으로의 가압이 구현되면, 즉 우측으로의 이동이 인지되면 후속하여 단계 (618)에서는 RLR-키잉이 유도된다. 상기 RLR-키잉은 특히 컨트롤에 도움이 된다. 상기 RLR-키잉시 좌측에 놓인 최대 지점과 우측에 놓인 최대 지점의 폭 내지는 거리가 예정된 폭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채널 내에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또한 그 이전에는 하위 단에 위치하였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RLR-키잉은 우측으로의 키 이동에 의해 종결되기 때문에, 단계 (614)에서는 상기 중립 기어 단이 우측 단부에 넣어지는 사실이 검출될 수 있다.
단계 (616)을 통해, 여기서는 일 상위 단에 위치함을 의미할 수도 있는, 충돌이 검출된 사실이 확인되거나 상기 사실의 추론이 가능했던 경우, 또는 단계 (620)을 통해 검출된 폭이 예정된 폭보다 작은, 즉 시프트 핑거가 일 시프팅 채널 내에 위치한다는 것이 검출되면, 이어서 단계 (620)에서는 L-가압이 실시됨과 동시에 H-키잉이 유도된다. 이 때 충돌이 검출되지 않고 좌측으로의 가압이 구현되면, 즉 우측으로의 이동이 인지되면 이어서 단계 (622)에서 LR-키잉이 컨트롤을 위해 유도된다.
이 경우 좌측 지점과 우측 지점간의, 예정된 폭보다 큰 거리 내지는 폭이 검출되면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채널 내에 위치함에 따라 단계 (614)에서 중립 기어 단이 우측 단부가 넣어짐이 검출될 수 있다는 사실의 추론이 가능하다.
도 14는 특히 도시되지 않은 시프트 핑거의 이동 동작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를 나타내며, 상기 장치는 프레임 내에서 내지는 중립 기준 이동 이후 중립 기어 위치 또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시프팅 방향으로의 알려지지 않은 시프트 핑거 위치(630)로부터 출발하여 도시되지 않은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채널(322)에서 특히 화살표(632)를 따라 상기 셀렉팅 채널(322)의 단부에 놓인 채널 벽(634)으로 이동된다. 특히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검출되는 상기 채널 벽(634)에 도달한 후, 상기 시프트 핑거는 셀렉팅 채널의 반대편 방향으로 화살표(636)를 따라 셀렉팅 방향으로 예정된 길이만큼 다시 이동된다. 예정된 길이는,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되는 시프트 핑거가 그러한 이동 과정의 종결시 시프팅 채널(310) 과 (314) 사이 또는 (312)와 (316)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도록 측정된다. 이어서 시프트 핑거는 시프팅 방향으로, 즉 특히 화살표(640)를 따라 세로 벽(642)의 영역까지 이동된다. 상기 위치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레벨링을 위해 사용된다.
측면 스키드(skid)를 방지하기 위해 특히 화살표(644) 방향으로 또는 화살표(646) 방향으로 시프팅 채널 내로, 즉 시프팅 채널(312) 또는 (326) 내로 셀렉팅 채널 위치가 모니터링된다. 세로 벽(642) 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셀렉팅 채널 위치가 변동되면, 측면 스키드가 일어날 위험이 있다.
도 15는 특히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를 나타낸다.
기어 한계 위치(660, 662, 664, 666, 668, 670)는 도시되지 않은 시프트 핑거가 상기 위치 내에서 간극을 두고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기어 단이 넣어지면 시프트 핑거는 예정된 암호화 특성에 따라 각각의 기어 단에 해당하는 예정된 시프트 핑거 위치(672, 674, 676, 678, 680, 682)에 배치된다. 상기 위치들은 예정된 특성에 따라 서로 구별된다.
따라서 특히 기어 한계 위치 (660)에서는 시프트 핑거가 뒤쪽 중앙에 배치되고, 기어 한계 위치 (662)에서는 앞쪽 좌측에, 기어 한계 위치 (664)에서는 뒤쪽 좌측에, 기어 한계 위치 (666)에서는 앞쪽 중앙에, 기어 한계 위치 (668)에서는 뒤쪽 우측에, 기어 한계 위치 (670)에서는 위쪽 우측에 배치된다. 방향 표시는 특히 십자 화살표의 방향 표시에 상응하며, 여기서 화살표 (684)는 앞, 화살표 (686)은뒤, 화살표 (688)은 우측, 화살표 (690)은 좌측, 그리고 점 (692)는 중앙을 나타낸다.
기어 위치 정보의 디코딩을 위해 시프트 핑거가 좌측 및/또는 우측 및 앞 및/또는 뒤로의 이동 동작에 의해 기어 한계 위치 내에서 이동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이동 경로에 따라 넣어진 기어 단의 추론이 가능하다.
도 16은 특히 일 시프팅 채널(700) 및 일 셀렉팅 채널(702)을 나타낸다. 라인(704 및 706)은 궤적의 2 개의 예시를 나타내며, 상기 궤적을 따라 도시되지 않은 시프트 핑거가 실렉터 모터 또는 상기 실렉터 모터의 경로 검출 장치를 검사하기 위해 시프팅 채널(70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궤적(706, 708)은 특히 이동이 시프팅 방향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시프팅 채널 내에 추가로 셀렉팅 방향으로의 일 성분을 포함한다.
경로 측정 장치에 의해 표시된, 셀렉팅 방향으로의 값을 검사함으로써 셀렉팅 모터 또는 상기 셀렉팅 모터의 경로 측정 장치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될 수 있다.
점 (710)은 기어 단이 넣어질 때 시프트 핑거가 취하는 시프트 핑거 위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종속항에서 사용된 재인용은 독립 청구항의 대상을 각각의 종속항의 특징들을 통해 추가로 설명함을 가리키는 것이며, 재인용된 종속항들의 특징들의 결합에 대한 독립적이고 구체적인 특허권 보호의 획득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종속항의 대상은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 우선권일에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출원인은 독립 청구항 및 부분 설명의 대상을 위해 발명을 보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속항의 대상은 선행 종속항의 대상에 종속되지 않는 형태를 가진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명세서의 실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와 같은 변형물, 구성 요소 및 조합물 및/또는 재료들은 예컨대 일반적인 명세서와 실시 예 및 청구항에 기술되고 도면에 제시되는 특징들이나 요소들 또는 공정 단계들과 연관된 개별적인 재료의 조합 또는 변형을 통해 매우 독창적이고, 조합 가능한 특징들을 통해 새로운 대상 또는 새로운 공정단계 내지는 공정 단계 시퀀스를 도출시키며, 또한 이들은 대체로 제조 방법, 검사 방법 및 작업 방법에 연관된다.

Claims (124)

  1.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 특히 자동차의 자동 변속 기어(ASG)로서,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적어도 하나의 예정된 특성 값, 특히 시프트 샤프트 및/또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및/또는 작동 장치의 예정된 특성 값과 같은 시프팅 장치의 구조적 특성 값의 자동 측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특성 값은 셀렉팅
    -시프팅 채널 장치 내 알려지지 않은 일 시프트 핑거 위치로부터 측정될 수 있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값은 거리 치수이거나 및/또는 넣어진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identit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기어의 사전 설정된 구조적 특성 값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시프트 핑거를 알려지지 않은 시프트 핑거 위치로부터 상기 방향의 설정시 검출된 스톱 위치 내로 및/또는 스톱 위치까지 이동시키거나 및/또는 시프팅 방향의 알려지지 않은 시프트 핑거 위치로부터 상기 방향의 설정시 검출된 스톱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사전 설정 조건 하에서
    - 상기 이동시 검출된 이동 경로가 사전 설정 특성(특성곡선)에 따라 평가되고;
    - 상기 평가를 기초로 하여 및/또는 그 밖의 다른 특성 값을 기초로 하여 시프트 핑거의 새로운 사전 규정 위치가 제어되고, 상기 위치로부터 시프팅 방향 및/또는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 경로가 측정되며;
    - 측정된 이동 경로 및/또는 사전 설정 특성 값이 갱신된 평가를 위한 근거로서 사용되고;
    - 이러한 새로운 시프트 핑거 위치의 스타팅, 이동 및 평가 과정은 기어의 모든 사전 설정 구조적 특성 값이 측정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 제 1항 내지 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특성 값 검출 장치가 사전 설정 조건 하에서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 좌표를 알 수 없는 일 시프트 핑거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적어도 일시적으로 사전 설정 특성에 따라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 사전 설정 기준점, 특히 스톱 위치를 나타내는 일 기준점을 향해 가동됨으로써, 기어의 사전 설정 구조적 특성 값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제 2 사전 설정 특성에 따라 사전 설정된 시프트 핑거 위치를 향해 가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출 가능한 기어의 구조적 특성 값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정지 위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 위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위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폭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구조적 특성 값을 검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채널 벽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 위치가 도달되고, 상기 채널 벽 및/또는 상기 스톱 위치는 사전 설정 조건 하에 속도 변동 및/또는 작동 장치의 전압 변동 및/또는 전류 변동 및/또는 작동 장치의 모터 각 위치 변동 및/또는 모터 회전수 변동 및/또는 작동 장치의 모터 전압 및/또는 모터 전류와 같은 사전 설정 특성 값 및/또는 특성 값 변동에 따라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7.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적어도 일시적으로 사전 설정 조건 하에, 상기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채널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그의 궤적에서 종방향 벽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 영역을 통해 편향되거나 정지됨으로써 채널 벽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중립 기어 위치용 경계가 검출될 때까지 셀렉팅 채널의 종방향 벽 중 하나로의 증분식 접근 하에 상기 셀렉팅 채널 방향으로 셀렉팅 채널 축에 대해 평행하게 놓인 궤적 상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시프트 핑거를 제어하는, 기어의 중립 위치의 측정 및/또는 검사 및/또는 미세 조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8.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사전 설정 조건 하에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 상기 시프트 샤프트 및/또는 시프트 핑거의 알려지지 않은 위치로부터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의 시프트 샤프트 및/또는 시프트 핑거의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 절대 위치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대 위치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9.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프팅 장치의 작동력에 상관없이 사전 설정 조건 하에 시프트 샤프트 및/또는 시프트 핑거의 절대 위치를 측정하는 일 절대 위치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0.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 특히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 및 신호 필드를 포함하고,
    - 상기 센서 장치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신호 필드의 신호를 검출하고;
    - 상기 센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신호 필드가 스캐닝되는 신호 필드 위치에 따라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신호 값을 취할 수 있으며;
    - 상기 신호 필드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상으로 투영된 패턴과 일치하고, 상기 패턴은 각각 하나의 사전 설정 신호 값이 할당되는 다수의 필드형 영역을 포함하고;
    - 상기 센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신호 파형 및/또는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값은 시프트 핑거가 그에 나란히 접하는 영역의 접촉 라인을 통해 이동될 때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필드는 시프트 샤프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2. 제 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가 디지털 센서이거나 및/또는 상기 신호 필드가 디지털 신호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3.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의 필드형 영역이 각각 상기 채널의 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4.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은 시프트 핑거 및/또는 작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의 절대 위치가 시프트 핑거의 최대 3 개의 이동 과정 내에서 명확하게 측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5.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내에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의 2 개의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영역에는 상이한 신호 값이 할당됨에 따라 일 시프트 핑거 이동을 통해 및/또는 상기 시프트 핑거의 서로 접하는 접촉 라인을 통해 절대 셀렉팅 위치가 명확히 측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6.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내에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의 2 개의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영역에는 상이한 신호 값이 할당됨에 따라 일 시프트 핑거 이동을 통해 및/또는 상기 시프트 핑거의 서로 접하는 접촉 라인을 통해 절대 시프트 위치가 명확히 측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7.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는 전자기계식 프로브(probe), 홀 센서, 감응(inductive) 센서, 광센서, 용량성 센서, 사운드 센서 분석기, 도체 스트립 상의 전기 Schleifer 등을 포함하는 하나의 센서 그룹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8.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필드는 시프트 샤프트 위에 및/또는 시프트 샤프트에 표면 상승부 및 표면 홈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9. 제 8항 내지 1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의 위치가 저장되고, 사전 설정 조건 하에 특히 상기 저장된 패턴의 위치 및 검출된 센서 값에 따라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를 명확하게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20.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시점에 사전 설정 값에, 특히 0에 세팅될 수 있는, 셀렉팅 방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증분 경로 센서 및 시프팅 방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증분 경로 센서를 포함하고, 특히 일 절대 위치에는 상기 증분 경로 센서의 사전 설정 값이 할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21. 제 8항 내지 20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시프팅 채널 내에서 셀렉팅 방향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사전 설정되는 경우, 상이한 신호 값이 할당되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의 2 개의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시프팅 채널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일 접촉 라인에서 서로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22. 제 8항 내지 21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시프팅 채널 내에서 셀렉팅 방향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사전 설정되는 경우, 상이한 신호 값이 할당되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의 2 개의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시프팅 채널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일 접촉 라인에서 서로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23. 제 8항 내지 22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팅 채널 내에서 시프팅 방향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사전 설정되는 경우, 상이한 신호 값이 할당되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의 2 개의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셀렉팅 채널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일 접촉 라인에서 서로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24. 제 8항 내지 2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팅 채널 내에서 셀렉팅 방향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사전 설정되는 경우, 상이한 신호 값이 할당되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투영된 패턴의 2 개의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셀렉팅 채널의 횡방향으로 서로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25.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상기 시프트 과정동안 이동된 부품과 함께, 특히 시프트 샤프트와 함께,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 시프트 샤프트 및/또는 시프트 핑거의 적어도 3 개의 상이한 위치 및/또는 위치 영역이 구별될 수 있도록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3 단의 1 개 이상의 센서 장치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샤프트의 재킷면 상에 사전 설정된 시프트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샤프트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깊이가 다른 홈들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일 프로필이 제공되고, 상기 프로필은 적어도 3 단의 센서 장치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검출하거나 및/또는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27. 제 25항 또는 26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샤프트의 표면상에 중립 위치의 식별을 위한 제 1 깊이를 갖는 제 1 홈 및 후진 기어 단의 식별을 위한 제 2 깊이를 갖는 제 2 홈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제 1 홈에 상응하는 제 1 시프트 단계, 제 2 홈에 상응하는 제 2 시프트 단계 및 상기 시프트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상기 홈들 사이에 배치된 표면 위치에 상응하는 제 3 시프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28.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사전 설정 조건 하에 사전 설정 기어 위치를 다른 기어 위치와 명확하게 구별하는 경로 검출 장치의 검사 및/또는 어댑팅(adapting)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센서 장치를 포함하고, 특히 기어 위치 단 최종 위치 및/또는 중립단 위치는 나머지 기어 위치와 구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29.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 상기 시프트 샤프트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 볼을 갖는 일 리테이너,
    -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 내에 통합되고, 작동 장치 및/또는 경로 검출 장치의 기능 테스트를 위해, 특히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모터의 테스트를 위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사전 설정된 볼 운동, 특히 병진 볼 운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또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시프트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으로서,
    - 상기 시프트 샤프트의 외부 표면 상에 상기 시프트 샤프트의 축과 관련하여 상이한 전위 범위를 갖는 일 프로필이 배치되고, 사전 설정된 기어 최종 위치 및/또는 중립 위치가 사전 설정된 전위에 해당되며; 상기 볼은 스프링 작용 하에 시프트 샤프트의 프로필에 기대어지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0. 제 29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어 최종 위치 및 중립 위치를 위해 각각 시프트 샤프트의 표면 프로필의 사전 설정된 정보 전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최종 위치 및 중립 위치의 전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2. 제 28항 내지 31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샤프트의 표면 전위를 거물하기 위한 리테이너 및/또는 센서가 시프트 샤프트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여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 센서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 시프트 핑거의 위치 및/또는 이동 및/또는 상기 시프트 샤프트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제공된 경로 검출 장치의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4.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알려지지 않은 시프트 핑거 위치로부터 중립 기어 단을 검출하거나, 및/또는 중립 기어 단을 넣는 적어도 하나의 중립 기준 장치를 포함하는, 시프트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립 기어 단이 검출되거나 및/또는 넣어질 때 배선도에 따라 사전 설정된 임계 시프팅 채널로의 시프트 핑거의 운동이 회피되도록 시프트 핑거의 제어된 운동방향이 설정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기준 장치에 의해 시프트 핑거 상에 가해진 힘은 항상 셀렉팅 채널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 및 시프팅 채널 방향으로의 벡터 성분을 갖는 방향 및 셀렉팅 채널의 방향을 포함하는 한 그룹의 방향들 중 한 방향을 가지며, 이 때 상기 성분들은 각각 0이 아니고, 사전 설정된 임계 시프팅 채널과 셀렉팅 채널 사이의 교차 영역의 외부에 놓이는, 셀렉팅 채널의 임의의 한 지점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임계 시프팅 채널의 임의의 한 지점을 향하는 벡터의 방향 및 방향 설정에 상응하는 상기 방식의 방향 및 방향 설정이 예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6. 제 34항 또는 3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 시프팅 채널은 제 1단의 시프팅 채널 및 후진 기어 단의 시프팅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7. 제 34항 내지 3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 시프팅 채널들은 이중 H형 배선도에서 정반대 방향으로 바깥쪽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8. 제 34항 내지 3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사전 설정된, 검출된 작동 파라미터가 검출된 및/또는 계산된 기어 단과 모순되는 경우, 특히 클러치가 차단된 경우 검출된 기어 단이 엔진 회전수 및 주행 속도에 따라 산정된 기어 단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 기어 내 알려지지 않은 스톱 우치가 검출되는 경우; 및/또는
    - 증분 센서가 오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및/또는
    - 주행하는 동안 증분 센서로부터 제공된 경로 정보가 리세팅되거나 및/또는 준비되지 않는 경우; 및/또는
    - 시프팅 장치 및/또는 그의 제어 장치의 사전 설정된 성분들이 부가되거나 및/또는 교체되는 경우에 중립 기어 단을 넣거나 및/또는 트리거링하는 중립 기준 장치가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39. 제 34항 내지 3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기준 장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갖춘 자동차가 킥 다운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을 때 또는 사전 설정된 속도 값 미만의 상태에 있을 때와 같이 사전 설정된 작동 상태에 있는 것이 보증되는 경우에만 중립 기준 이동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0.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기준 장치는 자동차의 스로틀 밸브가 사전 설정된 각도를 취하는 경우에만 중립 기준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1. 제 34항 내지 40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기준 장치는 중립 기준 이동시 기어가 넣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2. 제 34항 내지 41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기준 장치는 자동차 속도가 사전 설정된 자동차 속도보다 느린 경우, 특히 자동차 속도가 0인경우에만 중립 기준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3. 제 34항 내지 42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기준 장치는 중립 기준 이동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적어도 일시적으로 키잉- 및 가압-동작을 수행하며, 1 회의 키잉 동작은 스톱 위치가 감지될 때까지 및/또는 사전 설정된 최대 경로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되는 시프트 핑거의 제어에 상응하고, 1 회의 가압 동작은 제어된 방향으로의 이동 운동이 검출될 때까지 수행되는 시프트 핑거의 제어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4. 제 34항 내지 4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에러 조건 하에 기준 이동이 중단되거나 및/또는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5. 제 34항 내지 44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기준 장치는 셀렉팅 채널이 발견된 후 적어도 일시적으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시프팅 방향으로의 시프트 핑거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6.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사전 설정된 스톱 위치에 대해, 특히 채널 벽에 대해 상기 시프트 핑거를 가압 또는 과가압한 다음 하중을 경감시킴으로써 상기 시프트 핑거가 무응력 상태를 취하고, 이를 근거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기어 구조적 특성의 사전 설정된 특성 값이 검출될 수 있게 해 주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특성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특성 검출 장치가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적어도 하나의 , 특히 모든 기어 정지 위치를 검출하고, 이 경우 일 기어 정지 위치의 검출을 위해 시프트 핑거가 각각의 시프팅 채널 단부까지 이동된 다음, 상기 시프트핑거에 가해진 외부 힘이 최소로 감소되기 전에, 상기 스톱 위치를 지나 채널 단부에서 과가압됨에 따라 상기 시프트 핑거는 복원력으로 인해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기어 정지 위치에 대해 사전 설정된 상대 위치를 갖는 무응력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8. 제 46항 및 4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특성 검출 장치가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시프트 핑거를 채널 장치의 사전 설정된 벽에 대해 가압 및 과가압한 다음 하중을 경감시킴으로써, 특히 제어 가능하도록 하중을 경감시킴으로써, 예컨대 채널 벽의 위치 및/또는 채널의 폭 등과 같은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특성 값이 시프트 핑거의 하중 경감 이후에 세팅된 시프트 핑거 위치에 따라 검출 및/또는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49. 제 46항 내지 4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특성 검출 장치가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른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증분 경로 센서를 레벨링 및/또는 초기화 및/또는 테스트하고, 상기 구조적 특성 검출 장치는 상기 시프트 핑거가, 특히 바람직하게 제어되도록 하중 경감되기 전에 상기 시프트 핑거를 사전 설정된 위치에서 사전 설정된 스톱 위치에대해 가압 및 과가압함으로써, 상기 시프트 핑거가 복원력에 의해 움직이고,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증분 경로 센서 장치의 초기화 및/또는 레벨링을 위해 사용되는 무응력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0. - 사전 설정된 시프팅 채널 내부에 기어가 완전히 넣어질 때 상기 기어 또는 상기 기어 최종 위치 내에 할당된, 서로 수직으로 놓인 방향으로 유격을 갖는 영역에 배치되는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운동 및/또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넣어진 단의 아이덴티티가 시프트 핑거의 운동 및/또는 작동 장치의 운동에 의해 기어가 넣어질 때 함께 작동되는 경로 검출 장치의 최종값과 무관하게 검출될 수 있도록 각각 넣어진 단을 코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 코딩 장치를 포함하는,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가 검출되고, 상기 시프트 핑거는 그의 단 최종 위치에 머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2. 제 50항 및 51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는 단 최종 위치 내에서의 시프트 핑거의 이동에 따라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3. 제 50항 내지 51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는 기어 링크 레버의 사전 설정된 구조적 특성 값에 따라 적어도 일시적으로 검출되고, 상기 시프트 핑거는 그의 단 최종 위치에 머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4.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 최종 위치가 각각 적어도 2 개의, 특히 3 개의 채널 벽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5. 제 50항 내지 54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코딩 장치는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단 최종 위치의 유격 영역 내에서 기어 단이 넣어질 때 각각의 기어 단을 특징짓는 사전 설정된 위치에 시프트 핑거를 위치시킴으로써,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단 최종 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제한 지점에 대한 상대 위치의 검출을 통해 시프트 핑거의 운동 및/또는 작동 장치의 운동에 의해 기어가 넣어질 때 함께 작동되는 경로 검출 장치의 최종 값과 무관하게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6. 제 55항에 있어서, 단 최종 위치 내 사전 설정된 위치 및/또는 위치 영역에 사전 설정된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를 할당하는 할당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7. 제 50항 내지 5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단 코딩 장치가 디코딩을 위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단 최종 위치의 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간격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8. 제 57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시프팅 채널이 상기 단 최종 위치의 영역 내에서 상이한 채널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59. 제 50항 내지 5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를 코딩하기 위해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평면 내에서 상부 좌측 및/또는 상부 우측 및/또는 하부 좌측 및/또는 하부 우측으로 보내지거나 및/또는 상부로 보내지고 단 최종 위치의 좌측 및 우측 제한을 위해 사전 설정된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0. 제 50항 내지 5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단 코딩 장치가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상기 장치에 의해 코딩된 상기 단 아이덴티티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구조 특성 값에 따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1. 제 50항 내지 60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단 코딩 장치에 의해 코딩된 단 아이덴티티는 단 아이덴티티에 대한 여분이거나 및/또는 시프트 핑거의 운동 및/또는 작동 장치의 운동에 의해 기어가 넣어질 때 함께 작동되는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2. - 시프팅 채널 내에서 상기 시프팅 채널의 벽에 대해 셀렉팅 방향으로 유격을 갖는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기어 단이 넣어지거나 및/또는 릴리스될 때 상기 시프트 핑거가 시프팅 채널 내에서 셀렉팅 방향으로 그 위치가 변동되도록 상기 시프트 핑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프트 핑거의 특성 내지는 궤적과 셀렉팅 모터와 연결된 경로 검출 장치의 값의 비교를 통해 상기 경로 검출 장치 및/또는 셀렉팅 모터의 기능이 검사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렉팅 모터-테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3.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상기 작동 장치에 배치된 경로 검출 장치와 시프트 포크 사이의 전달 구역 내 부재들의 탄성과 무관하게 기어 단이 넣어지는지 및/또는 어느 기어 단이 넣어지는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단 합리성 테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단 합리성 테스트 장치는,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시프트 핑거의 실제 위치가 상기 단에 할당된 규정 위치와 프리세팅된 제한보다 더 적은 편차를 나타내고,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핑거가 프리세팅된 기간 내에규정 위치에 도달하거나 및/또는 상기 규정 위치에 도달한 후 적어도 프리세팅된 시간 동안 차단 히스테리시스에 머무를 때의 기어 단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5.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제한은 각각의 채널의 채널 폭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6.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시프트 핑거 및/또는 슬라이딩 슬리브의 위치가 프리세팅된 할당 특성에 따라 넣어진 단 위치에 상응하고, 기어 입력 샤프트 회전수와 기어 출력 샤프트 회전수의 비가 상기 기어 단의 변속비와 일치하는 경우, 단의 아이덴티티를 단이 넣어진 것으로서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단 합리성 테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7. - 시프트 핑거가 이동될 수 있는 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 상기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
    - 셀렉팅 방향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샤프트; 및
    -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자동차 클러치가 의도한 대로 확실하게 완전히 맞물려진 이후에, 클러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모터 회전수와 적어도 하나의 휠의 회전수의 비에 따라 넣어진 변속을 감지하여 기어 단들에 할당된 일 변속비와 비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단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시프팅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클러치는 릴리스 운동의 정확성을 보증하기 위해 유압유(hydraulic fluid)용 체적 보상 장치를 포함하는 유압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을 가지며, 상기 기어 단 감지 장치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유압유의 체적 보상동안 넣어진 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69. 제 67항 및 6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감지 장치가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단 검출시 기어의 운동을 제어하고, 상기 장치에 의해 시프트 핑거가 사전 설정된 시프팅 채널 내에서 스톱 위치, 특히 최종 스톱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클러치가 고정되고 단이 결정되면 검출된 상기 스톱 위치가 증분 경로 센서의 경로 측정의 재초기화를 위해 저장된 값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70.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랜스미션 장치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서, 시프트 핑거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시프팅 장치의 작동 장치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
  71.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및/또는 시프팅 장치의 사전 설정된 구조 특성 값의 자동 검출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 즉
    -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내에서 좌표에 따라 알려지지 않은 일 위치로부터 가능한 시프팅 방향 및/또는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 경로를 검출하기 위해 시프팅 방향 및/또는 셀렉팅 방향으로 시프트 핑거가 이동하는 단계;
    - 상기 검출된 이동 경로를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평가하는 단계;
    - 상기 평가의 결과에 따라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 새로운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 새로 제어된 상기 위치로부터 가능한 최대 이동 경로를 검출하기 위해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 상기 시프트 핑거가 이동되는 단계;
    - 사전 설정된 추가 특성에 따라 상기 이동 경로를 평가하는 단계;
    - 상기 평가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위치가 제어되는 단계;
    - 사전 설정된 기어 구조 특성 값이 완전히 검출될 때까지, 최대 이동 경로의 검출, 상기 최대 이동 경로의 평가 및 상기 위치에서 주어진 최대 이동 경로를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위치의 제어의 단계 순서가 반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특히 자동차의 자동 변속 기어(ASG)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72.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및/또는 시프팅 장치의 사전 설정된 구조 특성 값의 자동 검출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 즉
    -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 좌표에 따라 알려지지 않은 한 위치로부터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 명확하게 정해진, 사전 설정된 위치로의 이동이 시작 및 제어되는 단계; 및
    - 이와 같이 이동 제어된 위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구조 특성 값이 검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의 제어 방법.
  73. 제 71항 및 72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특성 값이 단 정지 위치, 동기(同期) 위치, 채널 위치 및 채널 폭을 포함하는 일 그룹의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4. 제 71항 내지 7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일 채널 벽에 대한 상기 시프트 핑거의 이동 경로 및/또는 스톱 위치들 및/또는 일 스톱 위치가, 예컨대 모터 전압 및/또는 모터 각 위치 및/또는 모터 회전수 및/또는 모터 각 가속도 및/또는 모터 전압 및/또는 모터 전류 및/또는 전술한 변수들의 조합 등의 시간에 따른 변동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작동 특성 값의 시간에 따른 곡선을 근거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5.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고, 트랜스미션 장치의 중립 위치의 테스트 및/또는 미세 조정 및/또는 셀렉팅 채널의 사전 설정된 벽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 셀렉팅 채널 내에서 시프트 핑거를 사전 설정된 제 1 방향을 가진 사전 설정된 제 1 길이에 걸쳐서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시프트 핑거를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시프티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시 저항에 의해 시프팅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시프트 핑거를 시프팅 방향으로 적어도 한 증분만큼 사전 설정된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시프트 핑거를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시프트 핑거가 사전 설정된 제 3 길이에 걸쳐서 제 3 방향 설정에 의한 제 3 방향에서 셀렉팅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시프트 핑거를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시 시프팅 채널 내로 편향되지 않은 경우, 제 4 방향 설정에 의한 제 4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증분 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시프트 핑거를 제어하는 단계; 및
    - 상기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제어될 때 저항에 의해 시프팅 방향으로 편향되거나 및/또는 상기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의 사전 설정된 경로 길이에 도달되기 전에 저항에 의해 셀렉팅 방향으로의 그의 추가 운동이 방해될 때까지 전술한 단계가 반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의 제어 방법.
  76. 제 7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과 제 4 방향, 및 제 2 방향 설정과 제 4 방향 설정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7. 제 75항 및 7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제 3 방향에 상응하고, 제 1 방향 설정은 제 3 방향 설정과 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8. 제 75항 내지 7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렉팅 방향으로의 사전 설정된 길이가 늦어도 셀렉팅 방향으로 시프트 핑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제어부터 셀렉팅 채널의 길이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9. 제 75항 내지 7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제어시 저항에 의해 시프팅 방향으로 편향되거나 및/또는 상기 시프트 핑거가 셀렉팅 방향으로의 사전 설정된 이동 길이에 도달하기 전에 일 스톱 위치에 부딪히는 경우, 중립 위치의 제 1 경계에 도달한 것임이 확인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0. 제 75항 내지 7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셀렉팅 채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방향에서 중립 채널 중앙으로부터 시프팅 방향으로 배치된, 중립 위치용 제 1 경계가 검출되는 단계; 및
    - 상기 셀렉팅 채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6 방향에서 중립 채널 중앙으로부터 시프팅 방향으로 배치된, 중립 위치용 제 2 경계가 검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1.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위치의 제 1 경계가 검출된 후, 상기 중립 위치의 제 1 경계의 검출 시작시 셀렉팅 채널내 시프트 핑거의 위치가 시프팅 방향으로 이동되기 시작하는 중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2.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의 시프트 핑거의 절대 위치를 검출 및/또는 제어하기 위해 이 경우 상기 시프트 핑거의 시프팅 방향 및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은 각각 경로 센서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검출됨 사전 설정된 시점 및/또는 사전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후 및/또는 사전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 시프트 핑거의 위치를 야기하는 절대 레벨링이 실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 시프트 핑거의 위치는 미리 알려지고, 이 때
    - 시프트 샤프트에서의 절대 레벨링시 사전 설정된 전환에 따라 시프트 핑거의 운동에 따라 좌우되는 운동이 실행되고;
    - 일 디지털 센서가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상기 시프트 샤프트와 함께 움직이는,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로 변환된 필드에 상응하는 디지털 필드가 스캐닝되고;
    - 상기 디지털 센서에 의해 감지된 디지털 전환(0-1; 1-0) 및/또는 디지털 전환시 발생하는 시프트 핑거의 이동 방향의 설정을 근거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사전 설정된 지점, 특히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 사전 설정된 다수의 지점 중 일 사전 설정된 지점으로의 이동이 시작되는 방법.
  83. 제 8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경로 센서는 각각 할당 특성에 따라 상기 위치에 할당된 사전 설정된 값에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4. 제 82항 및 8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렉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지점 및 시프팅 방향으로의 절대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지점으로의 이동이 별도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5.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중립 기어 단을 놓기 위해 및/또는 측정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조건이 제공될 때 중립 기준 이동을 실시 및/또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때
    - 중립 기준 이동은 사전 설정된 중립 기준 이동-특성에 따라 미리 정해진 일련의 모터 작동 및/또는 시프트 핑거의 작동이며, 이를 통해 상기 시프트 핑거의 출력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시프트 핑거가 중립 단에 상응하는 중립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 상기 중립 기준 이동-특성은 사전 설정된 일련의 키잉 과장 및 가압 과정이며, 키잉 과정은 특히 시프트 핑거가 일 스톱 위치에 충돌하는 것이 검출되거나 및/또는 사전 설정된 구역에 도달될 때까지 실시되는 모터의 전류 흐름에 상응하고, 가압 과정은 모터에 의해 미리 정해진 이동 방향으로의 시프트 핑거의 이동이 검출될 때까지 실행되는 모터의 전류 흐름에 상응하며;
    - 상기 키잉 과정, 셀렉팅 과정 및 키잉 과정과 셀렉팅 과정의 결합은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 사전 설정된 임계 기어 단의 위치에 따르는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만 구현되는 방법.
  86. 제 85항에 있어서, 시프팅 방향으로의 키잉이 셀렉팅 방향으로의 가압과 함께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7. 제 85항 및 8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립 기준 이동의 초기화를 위한 사전 설정된 조건은
    - 주행시 클러치가 차단될 때 모터 회전수 및 자동차 속도는 넣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일 기어 단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 제어된 위치로의 이동이 올바르지 않음이 확인된 경우; 및/또는
    -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사전 설정된 위치에 할당되어 저장된 시프트 핑거의 이동 가능성이 실제 이동 가능성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 시프트 모터 및 /또는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핑거를 제어하기 위한 일 제어 장치가 스위치 오프되었거나 리세팅된 경우; 및/또는
    - 트랜스미션 장치 및/또는 시프팅 장치 및/또는 상기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성분들이 형성되거나 및/또는 교체된 경우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8. 제 85항 내지 8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립 기준 이동은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근거로, 중립 기준 이동이 트랜스미션 장치 및/또는 시프팅 장치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및/또는 자동차가 중립 기준 이동의 실행을 위해 중단되어야 하는 사전 설정된 작동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만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9. 제 85항 내지 8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 속도가 사전 설정된 자동차 속도보다 빠르거나 및/또는 킥 다운 동작이 존재하거나 및/또는 스로틀 밸브각도가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중립 기준 이동이 방해되거나 및/또는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0. 제 85항 내지 8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립 기준 이동시 0이 아닌 일 기어 단으로부터 0이 아닌 다른 기어 단으로의 시프팅이 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91. 제 85항 내지 90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가 이중 H형 배선도로서 형성되고, 상기 배선도에서는 제 1 단에 할당된 시프팅 채널이 상부 좌측에, 그리고 후진 기어 단에 할당된 시프팅 채널이 하부 우측에 배치되며, 중립 기준 이동시 좌측 방향, 우측 방향, 하부 방향과 좌측 방향의 중첩 및 상부 방향과 우측 방향의 중첩을 포함하는 일 그룹의 방향들이 포함된 방향으로의 키잉 과정 및/또는 가압 과정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2. 제 91항에 있어서,
    -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중립 기준 이동이 시작되는 단계;
    -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 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2 가지 방향 설정에서 셀렉팅 방향으로 키잉되는 단계;
    -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 가능성이 사전 설정된 값보다 더 클 때 중립 기어가 넣어지는 것이 검출되고, 시프트 핑거가 마지막으로 키잉된 셀렉팅 채널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검출되는 단계;
    - 이동 가능성이 사전 설정된 이동 가능성보다 더 작으면, 시프팅 방향으로는 앞쪽으로 키잉되고(V-키잉), 동시에 셀렉팅 방향으로는 우측으로 가압이 실시되는(R-가압) 단계;
    - 스톱 위치가 검출되지 않았거나 및/또는 우측으로의 가압이 성공적으로 실시됨으로써 우측으로의 이동이 감지되었을 때, 셀렉팅 방향으로의 제어를 위해 우측-좌측-우측-키잉(RLR-키잉)이 실시되는 단계;
    - RLR-키잉의 범주 내에서 검출된 셀렉팅 방향으로의 이동 가능성이 사전 설정된 값보다 더 클 때, 중립 기어 단의 우측 단부가 넣어진다는 것이 검출되는 단계;
    - RLR-키잉의 범주 내에서 검출된 시프팅 방향으로의 이동 가능성이 사전 설정된 값보다 더 작을 때, 또는 R-가압과 동시에 실시되는 V-키잉시 스톱 위치가 검출되었을 때, 좌측-가압(L-가압)과 동시에 후방 키잉(H-키잉)이 실시되는 단계;
    - L-가압)과 동시에 실시되는 후방 키잉(H-키잉)의 범주 내에서 스톱 위치가 검출되지 않았거나 및/또는 좌측으로의 가압이 성공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좌측으로의 이동이 감지될 수 있는 경우, LR-키잉이 실시되는 단계;
    - 상기 LR-컨트롤-키잉시 사전 설정된 이동 가능성보다 더 큰 이동 가능성이 야기된 경우 중립 기어단의 우측 단부가 넣어진다는 것이 검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 LR-키잉은 좌측 키잉과 후속하는 우측 키잉이 결합된 것이고, V-키잉은 전방으로의 키잉, H-키잉은 후방으로의 키잉, RLR-키잉인 우측 키잉과 연이은 좌측 키잉 및 이어지는 우측 키잉이 결합된 것이고, R-가압은 우측으로의 가압 및 L-가압은 좌측으로의 가압이며;
    - 좌측 및 우측 방향은 셀렉팅 방향을 나타내고;
    - 전방 및 후방 방향은 시프팅 방향을 나타내며;
    - 제 1단의 시프팅 채널 및 후진 기어 단의 시프팅 채널이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 외측에 놓이도록 좌측-전방 또는 우측-후방에 배치되는 방법.
  93. 제 85항 내지 92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준 이동의 수행시 사전 설정된 에러가 검출된 경우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기준 주행 및/또는 셧다운이 반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4. 제 85항 내지 9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셀렉팅 방향으로 최종 위치로의 이동이 시작되는 단계;
    - 셀렉팅 채널의 발견 후 셀렉팅 채널의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위치로의 이동이 시작되고, 이 때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상기 위치의 영역 내에서는 시프팅 채널이 셀렉팅 채널로 통하지 않는 것이 보증되는 단계;
    - 셀렉팅 채널에서 스톱 위치의 검출을 위해 시프팅 방향으로 이동되고, 시프팅 방향으로 중립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시프팅 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5. 제 94항에 있어서, 시프트 핑거가 슬립(slip)으로 인해 시프팅 채널 내로 이동되지 않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시프팅 방향으로 이동시 셀렉팅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6.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단 정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및/또는 시프트 모터 및/또는 셀렉팅 모터 및/또는 상기 시프트 모터 및/또는 셀렉팅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검출 장치의 기능 장애를 검출하기 위해;
    - 시프팅 핑거가 일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벽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 상기 채널 벽으로 형성된 스톱 위치를 통해 상기 시프트 핑거가 과가압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모터로부터 상기 시프트 핑거에 공급된 힘이 감소되거나 및/또는 0에 세팅됨으로써, 상기 시프트 핑거가 예컨대 시프트 핑거 및/또는 시프트 포크의 복원력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복원력으로 인해 채널 방향으로 다시 이동됨에 따라 시프트 핑거와 같이 적절한 부재가 이완되고, 상기 시프트 핑거는 스톱 위치에 대해 채널 장치 내 사전 설정된 및/또는 미리 알려진 위치를 상대적으로 취하는 단계;
    - 시프트 핑거가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특히 모터에 설치된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과가압된 위치로부터 이완된 위치로 재이동되는 것이 감지되는 단계;
    - 사전 설정된 위치가 상기 경로 검출 장치의 최종 값과 비교되는 단계; 및
    - 상기 경로 검출 장치의 최종 값이 사전 설정된 시프트 핑거의 이완된 위치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셀렉팅 모터 및/또는 시프트 모터 및/또는 이들의 경로 검출 장치가 기능 장애를 가지거나, 및/또는 상기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야기된 위치가 어댑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7. 제 9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위치가 상기 단 정지 위치를 제한하는 시프트 채널의 한 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8.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 정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 사전 설정된 이동 특성에 따라 일 시프트 채널 내 최종 스톱 위치의 방향으로 시프트 핑거가 이동되는 단계;
    - 사전 설정된 제어 특성에 따라 상기 시프트 핑거가 스톱 위치에 의해 과가압되는 단계;
    - 상기 시프트 핑거를 제어하는 힘이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감소되거나 및/또는 0에 세팅됨으로써, 상기 시프트 핑거가 시프팅 채널 내 시프트 핑거 및/또는 시프트 포크의 복원력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복원력으로 인해 시프팅 방향으로 다시 가압됨에 따라 시프트 핑거가 이완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단계; 및
    - 셀렉팅 방향 및/또는 시프팅 방향으로의 사전 설정된 할당 특성에 따라 상기 위치에 대한 상대 위치로서 넣어진 단의 단 정지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9.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사전 설정된 채널의 채널 폭을 측정하기 위해;
    - 사전 설정된 제어 특성에 따라 사전 설정된 한 채널의 종방향 벽의 방향으로 시프트 핑거를 제어하는 단계;
    -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상기 벽으로 시프팅 핑거를 과가압하는 단계;
    -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상기 시프트 핑거의 하중을 경감시킴으로써, 상기 시프트 핑거가 시프트 핑거 및/또는 시프트 포크 등의 복원력으로 인해 채널 중심 방향으로 재이동되고, 사전 설정된 제 1 위치에서 폭 방향으로 이완되어 정지 상태에 이르는 단계;
    - 채널 중심의 다른 쪽에 놓인 상기 채널의 제 2 벽과 관련하여 전술한 단계가 반복되는 단계;
    - 이완된 상기 시프트 핑거 위치들의 간격을 근거로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채널 폭이 측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0. 제 96항 내지 9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위치, 특히 채널 벽은 예컨대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또는 힘의 측정에 의해 또는 모터의 전기자 전류의 측정 등을 통해 및/또는 사전 설정된 작동 변수의 시간에 따른 변동에 의해 모터의 정지 상태가 검출되는 것처럼,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사전 설정된 평가 특성을 이용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1. 제 71항 내지 100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의 사전 설정된 저장된 위치를 청구항 제 96항 내지 100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라 제공된 이완된 시프트 핑거 위치에 따라 어댑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2.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팅 채널 내에서 셀렉팅 방향으로 유격을 갖는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 내에서 넣어진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를 측정 및/또는 제공하기 위해;
    -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특히 넣어진 기어 단의 유격 범위 내에서 사전 설정된 위치 영역으로 시프트 핑거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어 단이 넣어질 때 넣어진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를 코딩하고, 유격 내 상기 위치 영역은 넣어진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의 사전 설정된 할당 특성에 따라 할당되는 단계; 및
    - 사전 설정된 시점에 단 아이덴티티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 상기 디코딩은 기어 단이 넣어질 때 시프트 핑거의 운동과 함께 작동하는 경로 검출 장치의 최종 값과 무관하며, 상기 최종 값은 디코딩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시프트 핑거가 도달한,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 시프트 핑거의 위치에 할당되고; 및
    - 디코딩시 넣어진 기어단이 유지되는 방법.
  103. 제 102항에 있어서, 단 아이덴티티를 디코딩하기 위해 기어 최종 단계 내에서 시프팅 채널 방향 및/또는 셀렉팅 채널 방향으로 시프트 핑거가 제어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조 특성 값, 특히 기어 링크 레버의 적어도 하나의 기어 특성 값 및 기어 최종 단계 내에서의 시프팅 방향 및/또는 셀렉팅 방향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 길이를 이용하여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넣어진 기어 단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4.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팅 채널 내에서 셀렉팅 방향으로 유격을 갖는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셀렉팅 모터 및/또는 상기 셀렉팅 모터의 경로 검출 장치의 기능 장애를 검출하기 위해;
    -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시프팅 채널 내에서 셀렉팅 방향으로의 시프트 핑거의 운동을 제어하는 단계;
    - 셀렉팅 방향으로의 제어된 운동시 상기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야기된 셀렉팅 방향으로의 경로 변동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야기된 셀렉팅 방향으로의 경로 변동이 사전 설정된 특성 값에 따라 사전 설정된 셀렉팅 방향으로의 경로 변동과 비교되는 단계;및
    - 상기 비교 결과 적어도 일시적으로 사전 설정된 경로 편차보다 더 큰 경로 편차가 나타나는 경우, 상기 셀렉팅 모터의 경로 검출 장치 및/또는 상기 셀렉팅 모터가 기능 손상을 갖는다는 것이 검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5. 제 10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일 기어 단이 릴리스될 때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6.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넣어진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를 측정하기 위해 및/또는 넣어진 기어 단에 대한 정보를 검사하기 위해;
    - 자동차의 시동 클러치가, 특히 상기 시동 클러치의 의도적인 릴리스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 있는 것을 보증하는 검사 신호 및/또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 모터 회전수 및 휠 회전수를 근거로, 상기 회전수에 의해 정해진 변속비에 따라 하나의 단을 지정하는 사전 설정된 특성에 따라 넣어진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7. 제 10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사전 설정된 장애 조건, 특히 센서 문제 또는 상치되는 위치 데이터가 검출된 경우에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8. 제 106항 및 10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치 장치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유압 릴리스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클러치 장치는 상기 유압 릴리스 시스템의 사전 설정된 영역에서 사전 설정된 체적을 형성하기 위한 체적 보상 장치를 포함하며, 청구항 제 16항 및 10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체적 보상과 동시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9. 제 106항 내지 10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서 시프트 핑거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값을 발생시키는 경로 검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에 의해 기어 단 위치 특성에 따라 시프트 가능한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가 검출될 수 있으며;
    - 청구항 제 106항 내지 10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공된 단 아이덴티티가 위치-단 아이덴티티-할당 특성에 따라 제공된 단 아이덴티티와 비교되는 단계; 및
    - 상기 단 아이덴티티 정보들 사이에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 에러 정보가 야기되고, 및/또는 상기 위치-단 아이덴티티-할당 특성에 따라 검출된 단 아이덴티티 및/또는 단 위치가 청구항 제 106항 내지 10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라 야기된 단 아이덴티티 및/또는 단 위치에 어댑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0. 제 106항 내지 10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어 단이 넣어진 것을 보증하고 및/또는 경로 측정을 재초기화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조건 하에 스톱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시프팅 방향으로 시프팅 핑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1. 셀렉팅-시프팅 채널 장치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프트 핑거의 제어를 위한 셀렉팅 모터 및 시프트 모터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넣어진 기어 단의 아이덴티티를 측정하기 위해 및/또는 넣어진 기어 단에 대한 정보를 검사하기 위해;
    - 시프트 핑거의 설정 값-실제 값-편차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차는 사전 설정된 기어 단의 단-위치-할당 특성 값에 의해 지정된 규정 위치와 경로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시프트 핑거의 실제 위치간의 설정 값-실제 값-편차이며; 및
    - 셀렉팅 모터의 전류 흐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위치-할당 특성에 의해 제공된 단 아이덴티티는,
    - 설정 값-실제 값-편차가 사전 설정된 제한보다 더 작을 때; 및
    - 셀렉팅 방향으로의 규정 위치가 사전 설정된 제 1 기간 이내에 도달되고 및/또는 그 이후에 적어도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에는 셀렉팅 모터가 차단 히스테리시스 상태에 유지되는 경우에 실제 단 아이덴티티로서 선택되는 방법.
  112. 제 111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제한은 사전 설정된 단-위치-할당 특성에 따라 넣어진 기어 단에 할당되는 시프팅 채널의 채널 폭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방법.
  113. 제 1항 내지 6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114. 제 1항 내지 6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115. 제 70항에 따른 제어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116. 제 71항 내지 11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장치.
  117. 제 71항 내지 112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사기 위한,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
  118. 트랜스미션 장치의 작동을 위한 시프팅 장치 및/또는 상기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있어서, 본 출원서에 상응하는 특별한 작동 방식 및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19. 트랜스미션 장치의 작동을 위한 시프팅 장치 및/또는 상기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있어서,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징 및/또는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기인하는 적어도 2 개의 특징의 결합 및/또는 상세한 설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징 및/또는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징과 상세한 설명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의 결합 및/또는 본 출원서의 적어도 하나의 도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징 및/또는 본 출원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개별 특징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20. 트랜스미션 장치의 작동을 위한 시프팅 장치 및/또는 상기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있어서, 도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징과 상세한 설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징의 결합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121. 전술한 항들 중 적어도 2 개의 항에 따라 트랜스미션 장치의 작동을 위한 시프팅 장치 및/또는 상기 시프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
  122. 제 1항 내지 6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 및 117항에 따른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자동차에 사용되기 위한 용도.
  123. 제 70항 및 11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자동차에 사용되기 위한 용도.
  124. 제 71항 내지 11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자동차를 구동시키기 위한 용도.
KR1020017015138A 1999-05-27 2000-05-25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 KR100671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4225 1999-05-27
DE19924225.9 1999-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594A true KR20020024594A (ko) 2002-03-30
KR100671689B1 KR100671689B1 (ko) 2007-01-18

Family

ID=790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138A KR100671689B1 (ko) 1999-05-27 2000-05-25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6695747B2 (ko)
JP (1) JP2003500619A (ko)
KR (1) KR100671689B1 (ko)
AU (1) AU5672800A (ko)
BR (1) BR0010988B1 (ko)
DE (2) DE10025907B4 (ko)
FR (1) FR2797485B1 (ko)
IT (1) IT1317946B1 (ko)
WO (1) WO2000073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6654B1 (en) * 1999-03-19 2005-05-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increasing the security of a motor vehicle
DE10312401A1 (de) * 2002-03-21 2003-10-02 Luk Lamellen & Kupplungsbau Getriebeaktor und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Referenzierung der Getriebegeometrie bei einem automatisierten Getriebe
DE10391579D2 (de) * 2002-04-10 2005-05-25 Luk Lamellen & Kupplungsbau Getriebesteuer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Zielganges bei einem automatisierten Getriebe
US20050107937A1 (en) * 2002-04-10 2005-05-1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Transmis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roadway changes in a transmission control system of an automatic vehicle transmission
CN100390442C (zh) * 2002-04-10 2008-05-28 卢克摩擦片和离合器两合公司 变速器致动装置及校准变速器致动装置的方法
US7438666B2 (en) 2002-04-10 2008-10-2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Gearbox actuatio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gearbox actuation system
DE10215865A1 (de) * 2002-04-11 2003-11-0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r Ermittlung der Ausfallwahrscheinlichkeit einer Kraftfahrzeugkomponente
JP4054711B2 (ja) * 2003-04-21 2008-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変動弁式内燃機関
EP1538370A3 (en) * 2003-12-05 2011-11-30 Honda Motor Co., Ltd. Transmission control system
JP4367620B2 (ja) * 2003-12-22 2009-11-18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駆動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JP4385768B2 (ja) * 2004-01-09 2009-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
ATE511039T1 (de) * 2004-09-02 2011-06-1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fehlererkennung und zur fehlervermeidung beim schalten eines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s sowie automatisiertes schaltgetriebe
US7464621B2 (en) 2004-11-09 2008-12-16 Steeda Autosports, Inc. Longitudinally displaced shifter
DE502005010052D1 (de) * 2004-11-18 2010-09-16 Luk Lamellen & Kupplungsbau Verfahren zum feststellen einer beschädigung in der schaltaktorik eines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s
EP1729041A2 (de) * 2005-06-02 2006-12-0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Getriebeschaltmechanismus
ATE462095T1 (de) * 2005-12-14 2010-04-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alten von gängen eines automatischen schaltgetriebes
DE102006058724B3 (de) * 2006-12-13 2008-04-17 Dr.Ing.H.C. F. Porsche Ag Verfahren zum Schutz einer Kupplung in einem Triebstrang eines Kraftfahrzeugs
US7814806B2 (en) * 2007-03-14 2010-10-19 Zf Friedrichshafen Ag Apparatus and method for jogging transmission neutral switch
DE102008028899A1 (de) 2007-06-28 2009-01-0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s
US7747372B2 (en) * 2007-07-03 2010-06-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control of vehicular transmission shift points
DE102007049142A1 (de) * 2007-10-12 2009-04-16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Notsteuerung eines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s
DE502007006382D1 (de) * 2007-10-23 2011-03-10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Verfahren zum Erreichen einer Neutralstellung einer Schaltgabel in einem Schaltgetriebe
DE102008000641A1 (de) * 2008-03-13 2009-09-17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Initialisieren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einer Schalteinrichtung eines Getriebes
DE102008040690A1 (de) * 2008-07-24 2010-02-1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Erkennung von Fehlschaltungen bei einem Doppelkupplungs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US8020493B2 (en) * 2008-12-29 2011-09-20 Universal City Studios Llc Track-switching device and method
DE102009034832A1 (de) * 2009-07-27 2011-02-03 Winergy Ag Getriebe für industrielle Anwendungen oder Windkraftanlagen
DE102010047173A1 (de) 2009-10-15 2011-04-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Kupplungseinrichtung
WO2011124200A1 (de) * 2010-04-08 2011-10-1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eu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FR2958611B1 (fr) * 2010-04-12 2012-03-23 Renault Sa Procede de gestion d'un dispositif de repartition du couple moteur lors d'une defaillance de son bouton de selection.
KR101618880B1 (ko) 2010-05-07 2016-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액츄에이터 초기화 방법
US9103646B2 (en) 2010-12-21 2015-08-11 Bradford W. Bur Active fue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s with a manual transmission
DE102011006560B4 (de) * 2011-03-31 2022-07-1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Fehlererkennung beim Schalten eines automatisierten Getriebes
DE102011076388A1 (de) * 2011-05-24 2012-11-29 Zf Friedrichshafen Ag Schalteinrichtung für ein Lastschaltgetriebe
US8874337B2 (en) * 2011-09-06 2014-10-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ads on a manual transmission based on a selected gear of the manual transmission
US8798880B2 (en) 2011-09-23 2014-08-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ads on a dual mass flywheel attached to an engine based on engine speed
KR20140039812A (ko) * 2012-09-25 2014-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기 제어방법
KR101897296B1 (ko) * 2012-10-11 2018-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액츄에이터 기준위치 설정방법
KR101786126B1 (ko) * 2012-10-26 2017-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 장착 ev차량의 모터토크 제어방법
KR101500107B1 (ko) * 2013-07-23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mt의 변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492804B (zh) 2013-08-14 2018-01-05 沃尔沃卡车集团 用于对自动变速器进行自动校准的方法
US9500237B2 (en) 2013-08-23 2016-11-22 American & Axle Manufacturing, Inc. Power transmitting component with twin-fork actuator
KR20150029998A (ko) * 2013-09-11 2015-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기어액추에이터 제어장치 및 방법
DE102014209327B4 (de) * 2014-05-16 2021-01-07 Vitesco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Stellglieds für eine Nockenwelle einer Brennkraftmaschine
FR3025313B1 (fr) * 2014-09-02 2018-02-16 Safran Aircraft Engines Systeme pour la reproduction d'un couple de frottement sec
FR3029256B1 (fr) * 2014-12-02 2016-12-02 Renault Sa Procede de determination des caracteristiques geometriques d'une grille de commande d'une boite de vitesses robotisee et boite de vitesses associee
KR102189286B1 (ko) * 2014-12-24 2020-12-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트랙터용 변속 액추에이터
WO2016138065A1 (en) 2015-02-24 2016-09-01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Vehicle driveline component having an actuation system for driveline disconnect
WO2016172471A1 (en) 2015-04-23 2016-10-27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Actuation system for driveline disconnect
KR101697529B1 (ko) 2015-08-27 2017-01-18 주식회사 서진오토모티브 슬리브 및 그 슬리브 제조방법
KR101745170B1 (ko) 2015-11-05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액츄에이터 기준위치 설정방법
WO2018118128A1 (en) 2016-12-22 2018-06-28 Eaton Corporation High efficiency, high output transmission
BR112019012794A2 (pt) 2016-12-22 2020-03-10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Transmissão de alta eficiência, alta de saída
US10473542B2 (en) 2016-12-22 2019-11-12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high efficiency, high output transmission
US10647321B2 (en) 2016-12-22 2020-05-12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High efficiency, high output transmission
US11105412B2 (en) 2016-12-22 2021-08-31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nsmission shutdown operations
USD866625S1 (en) 2017-02-28 2019-11-12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housing
USD914073S1 (en) 2017-02-28 2021-03-23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rear housing
USD881248S1 (en) 2017-02-28 2020-04-14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Lube assembly housing
USD933712S1 (en) 2017-02-28 2021-10-19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Clutch housing
FR3063789B1 (fr) * 2017-03-10 2021-04-16 Renault Sas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s changements de rapports sur une transmission de vehicule hybride
DE102017217390A1 (de) * 2017-09-29 2019-04-0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Kalibrieren einer Schalt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alten von Übersetzungsstufen
DE102018109074B3 (de) * 2018-04-17 2019-08-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m Lernen von Neutral- und Gangpositionen eines Handschaltgetriebes eines Fahrzeuges
USD966371S1 (en) 2019-09-13 2022-10-11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intermediate plate
USD915485S1 (en) 2019-09-13 2021-04-06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rear housing
USD906389S1 (en) 2019-09-13 2020-12-29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housing assembly
USD930725S1 (en) 2019-09-13 2021-09-14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main housing
US11572947B2 (en) * 2021-06-07 2023-02-07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Gear shift calibration
CN115234649A (zh) * 2022-08-26 2022-10-2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摘挡控制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384531A (zh) * 2022-08-30 2022-11-25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怀挡档位识别诊断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327A (ja) * 1982-04-17 1983-10-21 Diesel Kiki Co Ltd 自動変速機用位置制御装置
JPS60206730A (ja) * 1984-03-30 1985-10-18 Jidosha Kiki Co Ltd 変速機遠隔操作装置の診断装置
JPH0668328B2 (ja) * 1984-10-25 1994-08-31 自動車機器株式会社 変速機の遠隔操作装置
GB2174780B (en) * 1985-04-11 1988-07-06 Mitsubishi Motors Corp Automatic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US4922769A (en) * 1987-07-16 1990-05-08 Automotive Products (U.S.A.) Inc. Electrical control system for control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pparatus
AU619229B2 (en) * 1988-12-16 1992-01-23 Isuzu Motors Limited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JPH0743296B2 (ja) * 1991-01-16 1995-05-15 株式会社堀場製作所 自動車自動運転ロボットの制御方法
IT1251752B (it) * 1991-10-31 1995-05-23 Fiat Auto Spa Dispositivo elettronico per la selezione delle marce in un cambio automatico per autoveicoli
US5219391A (en) * 1991-12-06 1993-06-15 Eaton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er having automatic adjustment of control parameters
US5305240A (en) * 1992-11-25 1994-04-19 Eaton Corporation Computer controlled method of calibrating an x-y shifter
FR2728646B1 (fr) * 1994-12-24 1998-05-07 Luk Getriebe Systeme Gmbh Dispositif et procede pour commander un systeme de transmission de couple, qui agit entre une unite d'entrainement et une transmission
US5867092A (en) * 1996-08-30 1999-02-02 Borg-Warner Automotive, Inc. Hall effect transfer case shift mechanism position sensor
DE19820577A1 (de) * 1997-05-28 1998-12-03 Mannesmann Sachs Ag Stelleinrichtung für automatisierte Betätigung eines Schaltgetriebes
FR2764028B1 (fr) * 1997-05-28 2001-11-09 Mannesmann Sachs Ag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AU8431798A (en) * 1997-05-30 1998-12-30 Luk Getriebe-Systeme Gmbh Method for learning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geometrical control layout of an automatic gearbox
US6125317A (en) * 1997-12-29 2000-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Encoder error detection for an automatic four-wheel-drive vehicle
US6321612B1 (en) * 1998-04-14 2001-11-27 Mannesmann Sachs Ag Actuating mechanism for the automatic operation of a gear-shift in a transmission
WO2001006151A1 (de) * 1999-07-14 2001-01-25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Getriebevorrichtung mit schalteinrichtung
US6301537B1 (en) * 2000-06-05 2001-10-09 Eaton Corporation Adaptive calibration of X-Y position sensor
US20050030009A1 (en) * 2003-06-24 2005-02-10 Moreno Daniel J. Discrete absolute sensor and c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672800A (en) 2000-12-18
US6695747B2 (en) 2004-02-24
IT1317946B1 (it) 2003-07-21
US20020125094A1 (en) 2002-09-12
KR100671689B1 (ko) 2007-01-18
FR2797485B1 (fr) 2006-06-09
US20040129100A1 (en) 2004-07-08
US7188541B2 (en) 2007-03-13
FR2797485A1 (fr) 2001-02-16
BR0010988A (pt) 2002-03-19
DE10081481D2 (de) 2002-07-11
ITMI20001179A1 (it) 2001-11-26
US7051609B2 (en) 2006-05-30
JP2003500619A (ja) 2003-01-07
DE10025907A1 (de) 2000-11-30
US20060162476A1 (en) 2006-07-27
ITMI20001179A0 (it) 2000-05-26
DE10025907B4 (de) 2021-06-24
BR0010988B1 (pt) 2009-01-13
WO2000073682A1 (de) 200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4594A (ko) 시프팅 장치를 갖춘 트랜스미션 시스템
CN107010036B (zh) 确定位置的方法、控制单元和停车闭锁设备
US4702127A (en) Method for controlling AMT system including gear neutral sensor signal fault detection and tolerance
US9180844B2 (en) Electric parking brake control device
JP2003534179A (ja) 伝動装置の作動方法
JP2010506800A5 (ko)
KR100708948B1 (ko) 차량용 토크전달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토크전달장치.
KR20010101215A (ko) 자동차
US6533092B2 (en) Method of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a friction clutch
GB2354296A (en) Open-loop control of gearbox when fault occurs with vehicle at rest
US11150163B2 (en) Accelerator play measurement device, accelerator play measurement method, program, and medium
CN110036218B (zh) 用于操纵混合动力传动系的离合器的方法以及动力传动系
JP6048981B2 (ja) パラレ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制御方法
US20070213173A1 (en) Device For Actuating A Gearshift Element
KR101526387B1 (ko) 클러치 액추에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
KR102324759B1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기어포지션 검출방법
US5119300A (en) Method for reliably operating a motor vehicle
KR102572478B1 (ko) 기어변속 액추에이터의 정단위치 학습방법
US7158872B2 (en) Method of timed shift to neutral in apparent stationary modes
KR20190043858A (ko)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의 초기 위치 검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
US2024004298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ontact position and electrically actuated motor vehicle brake
US796226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the actuation of an operator-controlled element
KR102074969B1 (ko) 무단 변속기의 풀리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0283227B1 (ko) 공압을이용한변속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WO202321338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force transmission contact point of an electric clutch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