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552A - 플래시 장치,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및이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장치,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및이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552A
KR20020024552A KR1020010059057A KR20010059057A KR20020024552A KR 20020024552 A KR20020024552 A KR 20020024552A KR 1020010059057 A KR1020010059057 A KR 1020010059057A KR 20010059057 A KR20010059057 A KR 20010059057A KR 20020024552 A KR20020024552 A KR 2002002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capacitor
light
circuit
dischar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무라가츠미
Original Assignee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900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990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900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99032A/ja
Application filed by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무네유키 가코우
Publication of KR2002002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5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 H05B41/3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for single flash ope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에서, 플래시 장치는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부스터 회로를 갖는데, 2차 코일은 1차 코일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고 전압을 발생시킨다. 주 커패시터는 2차 코일 내의 고 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플래시 방전관은 주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되어, 주 커패시터로부터 전기 에너지로 방전되는 경우에 플래시 광을 방출한다. 트리거 회로는 스위칭 동작시 플래시 방전관을 방전시킨다. 포토트랜지스터는 플래시 광에 의해 조명된 피사체로부터의 반사 광을 측정하여 광량 신호를 출력한다. 광량 신호의 적분값이 소정치에 도달되는 경우 광량 조절 회로는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한다. 동작 전압 발생 회로는 2차 코일과 접속되어, 트리거 회로의 동작에 응답하여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플래시 장치,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및 이들의 제조 방법{FLASH DEVICE, LENS-FITTED PHOTO FILM UNIT, CAMERA,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플래시 장치,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량 제어 회로가 단순한 구성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플래시 장치,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선행 기술에 대한 설명
간이형 카메라 중 하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으로, 이는 촬영 렌즈와 셔터 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를 가지며, 비노광 사진 필름으로 내장된다. 야간이나 실내에서 촬영하기 위해, 전자 플래시 장치가 내장된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의 한 유형이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유형의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에 사용되는 플래시 장치에서, 소정 량의 플래시 광이 피사체 거리에 관계없이 피사체에 가해진다. 피사체가 근거리에 있는 경우, 피사체는 과노출 상태로 촬영된다. 사진 인화시 너무 낮은 농도와 너무 밝은 상태로 재현되어 피사체가 현저하게 희미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피사체가 적절히 재현되는 경우에도 배경은 너무 어둡게 촬영된다.
콤팩트 카메라에서, 플래시 장치로서 자동 플래시 장치가 사용되고, 광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자동 플래시 장치에서 플래시 광을 방출하도록 플래시 방전관이 구동된다. 즉시, 포토트랜지스터와 같은 수광 소자는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플래시 광을 수광한다. 자동 플래시 장치는 플래시 광 수광시 수광 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광전 전류의 적분 계산을 이행한다. 적분량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되는 경우, 무접점 스위치로서의 사이리스터가 턴온되어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한다. 플래시 방전관의 발광이 중단된다. 따라서, 플래시 광량은 피사체의 피사체 거리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자동 플래시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특정 전원 회로가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데, 이는 수광 소자, 사이리스터 등에 전력을 공급할 목적으로 건식 배터리의 전원보다 더 높은 수 볼트의 전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광량 조절 회로와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과의 결합은 광량 조절 회로에서 1.5 볼트의 전압을 충분히 높은 전압으로 적절히 변환시킬 수 있는 공지된 구성이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카메라에 사용되는 특정 전원 회로는 상당한 크기를 갖고, 값비싸며, 단순해야 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의 특징에 모순된다.
전기한 문제점들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광량 조절 회로가 단순한 구성,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플래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이점들을 달성하기 위해, 플래시 장치는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부스터 회로를 갖는데, 2차 코일은 전원 전압이 1차 코일에 인가될 때 고 전압을 발생시킨다. 주 커패시터는 2차 코일 내의 고 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플래시 방전관은 주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되어, 방전시 주 커패시터로부터 전기 에너지와 함께 플래시 광을 방출한다. 트리거 회로는 스위칭 동작시 플래시 방전관을 방전시킨다. 수광 소자는 플래시 광에 의해 조명되는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측정하여 광량 신호를 출력한다. 광량 신호의 적분값이 소정치에 도달되는 경우 광량 조절 회로는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한다. 동작 전압 발생 회로는 2차 코일과 접속되어, 트리거 회로의 동작에 응답하여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킨다.
광량 조절 회로는 광량 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제 1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제 1 커패시터의 양단 전압이 소정치에 도달되는 경우 제 1 스위칭 소자는 도전성으로 된다. 제 2 커패시터는 동작 전압의 인가에 의해 충전되고, 제 1 스위칭 소자가 도전성으로 되는 경우에 방전된다. 제 2 스위칭 소자는 제 2 커패시터의 방전시 도전성으로 되어, 주 커패시터의 방전에 의해 주 커패시터로부터 플래시 광의 방출을 억제한다.
동작 전압 발생 회로는, 2차 코일 내의 고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트리거 회로의 동작에 응답하여 플래시 방전관을 통해 방전되는 구동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제너 다이오드는 구동 커패시터와 직렬 접속되어, 구동 커패시터의 방전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킨다.
포토트랜지스터인 수광 소자는 동작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동작 전압이 공급되는 제 1 커패시터와 직렬 접속되어, 피사체 광량에 따라 광량 신호를 구성하는 전류를 발생시킨다.
제 1 스위칭 소자는 일련의 포토트랜지스터 및 제 1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된 제 1 게이트를 갖는 제 1 사이리스터로서, 제 1 게이트는 포토트랜지스터와 제 1 커패시터 사이의 접합점과 접속된다. 제 2 스위치 소자는 주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된 제 2 게이트를 갖는 제 2 사이리스터로서, 제 2 게이트는 제 2 커패시터와 접속된다.
또한, 제 2 사이리스터의 애노드(anode)와 주 커패시터 사이에 초크 코일이 접속되어, 전류가 고주파 상태로 주 커패시터에서 제 2 사이리스터로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 2 사이리스터를 보호한다.
플래시 방전관은 초크 코일과 제 2 사이리스터의 애노드 사이에 접속된 일단을 갖는다.
또한, 시간 조절 커패시터는 제 1 사이리스터와 직렬 접속되어, 제 1 사이리스터가 도전성으로 되기 전에 시간을 증가시킨다.
또한, 전방 벽이 제공된다. 플래시 이미터는 플래시 방전관을 담는 전방 벽에 고정되어, 플래시 광을 피사체로 방출시킨다. 충전 작동부는 외부로부터 작동되는 전방 벽에 배치되어 부스터 회로를 턴온한다.
또한, 싱크로 스위치(sync switch)는 작동시 셔터 기구에 의해 접촉 상태로 시프팅되는 한 쌍의 스위치 세그먼트를 갖고 트리거 회로를 온(on)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은 사진 필름이 내장된 주 본체를 포함한다. 부스터 회로는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데, 2차 코일은 1차 코일에 전원 전압이 인가될 때 고 전압을 발생시킨다. 주 커패시터는 2차 코일 내의 고 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플래시 방전관은 주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되어, 방전시 플래시 광을 주 커패시터로부터의 전기 에너지와 함께 방출한다. 트리거 회로는 스위칭 동작시 플래시 방전관을 방전시킨다. 수광 소자는 플래시 광에 의해 조명되는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측정하여 광량 신호를 출력한다. 광량 신호의 적분값이 소정치에 도달되는 경우 광량 조절 회로는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한다. 동작 전압 발생 회로는 2차 코일과 접속되어, 트리거 회로의 동작에 응답하여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킨다.
수광 소자는 주 본체의 전방측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전방 커버는 주 본체의 전방측을 덮는다. 측광창(photometric window)은 전방 커버에 형성되어,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로 통과시킨다.
또한, 플래시 회로 보드는 부스터 회로, 주 커패시터, 플래시 방전관, 트리거 회로, 포토트랜지스터, 광량 조절 회로, 및 동작 전압 발생 회로를 갖는다. 위치 결정 기구는 주 본체와 전방 커버 사이에 플래시 회로를 위치 결정한다.
또한, 배터리는 주 본체에 담겨져 전원 전압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대신에 카메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을 제조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조 방법에서, 플래시 회로 보드는 주 본체에 고정된다. 주 본체 내의 수광 소자에서 측광창을 위치 결정하고 주 본체 내의 플래시 회로 보드에서 충전 작동부를 위치 결정하는 경우에 전방 커버는 주 본체에 고정된다.
또한, 셔터 기구는 주 본체에 고정되는데, 이 셔터 기구는 사진 필름을 노광시키는 셔터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전방 커버가 주 본체에 고정되기 전에 싱크로 스위치는 주 본체 내의 셔터 블레이드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서 주 본체에 고정되는데, 이 싱크로 스위치는 셔터 기구의 작동시 셔터 블레이드의 일부에 의해 접촉 상태로 시프팅되어, 트리거 회로를 온시킨다.
또한, 사진 필름 카세트는 주 본체 내의 카세트 장전실에 삽입된다. 사진 필름 카세트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사진 필름은 사진 필름 카세트로부터 꺼내진 후 롤(roll)로서 감긴 형태로 주 본체 내의 사진 필름실에 삽입된다. 사진 필름 카세트와 사진 필름을 삽입하는 단계 이후, 후방 커버는 전방 커버를 고정하는 단계에 앞서 주 본체에 고정되는데, 후방 커버는 카세트 장전실과 사진 필름실을 폐쇄한다.
부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래시 장치는 상호 유도적으로 서로 결합된1차 및 2차 코일로 구성된 발진 변압기를 포함하며, 1차 코일에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2차 코일에서 흐르는 유도 전류가 발생되는데, 이 유도 전류는 주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데 적합하다. 플래시 방전관은 트리거 전압의 인가에 의해 트리거되어, 충전되는 주 커패시터를 방전시켜 플래시 광을 방출한다. 광량 조절 회로는 촬영될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플래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반사 플래시 광의 양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되는 경우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한다. 구동 커패시터는 1차 코일에서 발생된 역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플래시 광의 방출시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킨다.
부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래시 장치는 상호 유도적으로 서로 결합된 1차, 2차 및 3차 코일로 구성된 발진 변압기를 포함하며, 1차 코일에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2차 코일에서 흐르는 유도 전류가 발생되는데, 이 유도 전류는 주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데 적합하다. 플래시 방전관은 트리거 전압의 인가에 의해 트리거되어, 충전되는 주 커패시터를 방전시켜 플래시 광을 방출한다. 광량 조절 회로는 촬영될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플래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반사 플래시 광의 양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되는 경우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한다. 구동 커패시터는 2차 코일에서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의해 3차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플래시 광의 방출시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광량 조절 회로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데, 플래시 조절 회로 내의 2차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고 전압이 단순한 구성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플래시 장치를 갖는 주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플래시 조절 회로 및 플래시 방전관을 포함하는 회로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a는 싱크로 스위치(sync switch)에 대한 셔터 블레이드의 폐쇄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b는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광량 조절 회로 및 동작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플래시 조절 회로 및 플래시 방전관을 포함하는 회로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광량 조절 회로 및 동작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를 갖는 도 7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카메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광량 조절용 동작 전압이 1차 코일로부터 얻어지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 및 도 13은 광량 조절용 동작 전압이 3차 코일로부터 얻어지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또 다른 바람직한 부스터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의 배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11 하우징
12 패키징 스티거 벨트 13 촬영 렌즈
14 플래시 이미터 17 측광창(photometric window)
18 대물창 20 셔터 버튼
21 프레임 카운터 22 충전 완료 표시기
23 주 본체 28 와인더 휠
31 카세트 장전실 32 사진 필름실
36 사진 필름 40 셔터 블레이드
41 코일 스프링 42 셔터 커버
45, 141 싱크로 스위치 46 충전 스위치
47 주 커패시터 50 부스터 회로
54 발진 트랜지스터 56 발진 변압기
58, 253 정류 다이오드 60 네온관
61 트리거 커패시터 62 트리거 변압기
64 신호 변환기 66 억제 회로
67, 68 사이리스터 70 동작 전압 발생 회로
126 주 커패시터 131 배터리
146 바이패스 회로 154 션트 커패시터
155 레지스터 235 래치 트랜지스터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지어 볼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도 1에서, 카메라로서의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10)은 하우징(11) 및 하우징(11)의 중앙부에 감싸진 패키징 스티커 벨트(12)로 구성된다. 셔터 장치, 셔터 사진 필름 전진 기구 등이 하우징(11)에 내장되어 있는데, 사진 필름이 인출되고, 롤 형태로 감겨지며 하우징(11)에 삽입되는 사진 필름 카세트로 미리 장전된다.
하우징(11)의 전방측은 촬영 렌즈(13)의 위치용 개구, 플래시 이미터(14) 및 충전 작동부로서의 충전 작동 버튼(16)을 포함하고, 또한 측광창(17) 및 뷰파인더 렌즈용 뷰파인더 대물창(18)을 갖는다. 하우징(11)의 상측은 셔터 버튼(20), 프레임 카운터(21) 및 충전 완료 표시기(22)를 갖는다. 하우징(11)의 후방측은 사진 필름을 일 프레임씩 전진시키는 와인더 휠(28)을 갖는다(도 2를 참조). 또한, 뷰파인더 접안창이 배치된다.
충전 작동 버튼(16)은 상하로 활주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충전 스위치(46)는 충전 작동 버튼(16)이 위로 이동할 때 턴온되어, 플래시 장치를 충전하기 시작한다. 충전 완료 후 셔터 버튼(20)이 눌려지는 경우, 1회 촬영된다. 플래시 광은 플래시 이미터(14)에 의해 피사체로 방출된다. 수광 소자로서의 포토트랜지스터(4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광창(17) 내의 위치에 배치된다. 플래시 광이 방출되는 경우, 포토트랜지스터(48)는 주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플래시 광을 수광한다.
도 2에서, 하우징(11)은 주 본체(23), 전자 플래시 장치(24), 및 전방 커버(26)와 후방 커버(27)를 포함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주 본체(23)는 셔터 기구, 션터 충전 기구 및 사진 필름 전진 기구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셔터 블레이드(40)는 셔터 기구에서 노킹되어 촬영된다. 셔터 충전 기구는 와인더 휠(28)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고, 셔터 블레이드(40)를 노킹하는 힘을 충전한다. 사진 필름 전진 기구는 와인더 휠(28)이 1회전 할 때 사진 필름을 일 프레임씩 감는다. 플래시 장치(24)는 플래시 이미터(14), 회로 보드에 장착된 포토트랜지스터(48) 등을 포함하는 통합 구조이다. 주 본체(23)의 위치 결정 기구로서의 위치 결정 후크(30)는 플래시 장치(24)를 전방 커버(26)와 주 본체(23) 사이에 위치 결정한다.
주 본체(23)는 카세트 장전실(31)과 사진 필름실(32)을 갖는 플라스틱 몰드편으로 구성된다. 사진 필름 카세트(34)는 카세트 장전실에 삽입되고, 와인더 휠(28)의 샤프트와 맞물리는 스풀(33)을 갖는다. 사진 필름(36)은 사진 필름 카세트(34)로부터 인출되고 롤 형태로 감겨지며, 사진 필름실(32)에 삽입된다. 와인더 휠(28)이 회전되는 경우, 사진 필름은 일 프레임씩 사진 필름 카세트(34)로 이송된다. 셔터 충전 기구는 촬영할 준비가 되도록 작동된다.
수지의 상단 플레이트(37)는 주 본체(23)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단 플레이트(37)는 셔터 버튼(20)이 함께 형성된 불투명 플레이트 부재, 및 프레임 카운터(21)가 함께 형성된 투명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셔터 개구(38)는 주 본체(23)의 일부로서의 차광 터널 내에 형성된다. 노광 개구는 차광 터널의 후방 개구로서 한정되어 사진 필름을 노광하는 영역을 한정한다. 셔터 블레이드(40)는 셔터 개구(38)를 개폐하는 차광 터널의 앞에 배치된다. 핀이 주 본체(23)로부터 돌출되고 셔터 블레이드(40)를 위치 결정한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셔터 블레이드(40)를 바이어스시켜 셔터 개구(38)를 폐쇄한다. 셔터 커버(42)는 촬영 렌즈(13)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로 구성된 요소이다. 셔터 커버(42)는 광이 통하지 않게 셔터 블레이드(40)를 덮는다.
플래시 장치(24)는 주 플래시 회로 보드(24a)와 보조 플래시 회로 보드(24b)를 포함한다. 주 플래시 회로 보드(24a)는 플래시 장치에 포함된 플래시 조절 회로 또는 부스터 회로 등을 갖는다. 보조 플래시 회로 보드(24b)는 주 플래시 회로 보드(24a)에 수직한 배향으로 고정된다. 위치 결정 기구로서의 위치 결정 홀(24c)은 주 플래시 회로 보드(24a)에 형성되고, 주 본체(23)의 위치 결정 후크(30)를 삽입 수용하여, 플래시 장치(24)를 주 본체(23)의 전방측 상에 위치 결정한다. 주 플래시 회로 보드(24a)는 그 위에 장착된 배터리 홀더(44), 플래시 이미터(14), 싱크로 스위치(45), 충전 스위치(46), 주 커패시터(47) 등을 갖는다. 건식 배터리(43)는 배터리 홀더(44)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포토트랜지스터(48)는 반사 플래시 광을 수광하는 보조 플래시 회로 보드(24b) 상에 장착된다. 포토트랜지스터(48)는 측광창(17) 내에 위치 결정되고, 피사체로부터 수광된 광의 세기에 따라 광전 전류를 발생시킨다.
도 4에서, 플래시 장치(24)의 회로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플래시 장치(24)는 부스터 회로(50), 트리거 회로(51), 주 커패시터(47), 플래시 방전관(52) 및 광량 조절 회로(53)를 포함한다. 건식 배터리(43)의 한 실례는 기전력이 1.5 볼트인 UM-3 타입이다. 배터리 홀더(44)는 건식 배터리(43)를 하우징(11) 내에 위치 결정한다.
부스터 회로(50)는 충전 스위치(46), 발진 트랜지스터(54), 발진 변압기(56), 래치 트랜지스터(57), 정류 다이오드(58) 등을 포함한다. 발진 트랜지스터(54) 및 발진 변압기(56)는 공지된 블로킹 발진기로 구성된다. 블로킹 발진기가 작동되는 동안 발진 변압기 내의 2차 코일에서 고 전압이 발생되어, 주 커패시터(47)가 전하를 저장하도록 한다.
발진 변압기(56)는 1차 코일(56a), 상호 유도적으로 1차 코일(56a)과 결합된 2차 코일(56b), 및 상호 유도적으로 2차 코일(56b)과 결합된 3차 코일(56c)을 포함한다. 2차 코일(56b)의 일단은 접합점으로서의 3차 코일(56c)의 일단과 접속된다. 발진 트랜지스터(54)의 컬렉터는 1차 코일(56a)의 일단과 접속된다. 발진 트랜지스터(54)의 베이스는 2차 코일(56b)과 3차 코일(56c) 사이의 접합점과 접속된다. 래치 트랜지스터(57)는 발진 트랜지스터(54)의 컬렉터와 접속된 베이스를 갖고, 3차 코일(56c)과 접속된 컬렉터를 갖는다.
충전 스위치(46)가 턴온되는 경우, 3차 코일(56c)을 통해서 발진 트랜지스터(54)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건식 배터리(43)의 전압이 인가되어 발진 트랜지스터(54)를 도전성으로 되게 한다. 발진 트랜지스터(54)의 컬렉터 전류는 베이스 전류의 양에 따라 1차 코일(56a)로 흐른다. 권선 수 간의 비율에 따라 고 전압으로서 2차 코일(56b)에서 300 볼트 가량의 기전력이 발생한다. 기전력에 따라, 2차측 전류가 정류 다이오드(58)를 통해 흐르고, 주 커패시터(47)를 충전한다.
래치 트랜지스터(57)는 발진 트랜지스터(54)가 도전성으로 되는 경우에 흐르는 컬렉터 전류에 의해 도전성으로 된다. 이에 응답하여, 건식 배터리(43)로부터의 전류가 래치 트랜지스터(57)와 3차 코일(56c)을 통해 발진 트랜지스터(54)의 베이스로 흘러, 베이스 전류가 증가한다. 이는 발진 트랜지스터(54)에서 발진을 야기하는 정궤환 루프로서, 발진 변압기(56)의 1차 및 2차측에서 전류를 증가시킨다.
주 커패시터(47)는 발진 트랜지스터(54)의 이미터와 정류 다이오드(58)의 애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부스터 회로(50)에 의해 출력된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주 커패시터(47)는 음(-)으로 충전되어 발진 트랜지스터(54) 측 상의 전위는 일정하고 또한 정류 다이오드(58)의 애노드 측 상의 전위는 낮아진다.
주 커패시터의 양단 전압이 소정의 전압 레벨에 도달될 때까지 주 커패시터(47)가 충전되는 경우에 네온관(60)이 턴온된다. 네온관(60)에 의해 방출된 광은 광 안내 부재에 의해 충전 완료 표시기(22)로 안내된다. 카메라 사용자는 충전 완료 표시기(22)에서 네온관(60)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충전 완료됨을 인지하게 된다. LED 또는 발광 소자가 네온관(60)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트리거 회로(51)는 트리거 커패시터(61) 및 싱크로 스위치(45)와 접속된 트리거 변압기(62)로 구성된다. 트리거 커패시터(61)는 부스터 회로(50)의 출력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셔터 버튼(20)이 눌려지면, 셔터 블레이드(40)는 도 5a의 폐쇄 위치로부터 회전한다. 셔터 블레이드(40)의 돌기(40a)가 눌려져 싱크로 스위치(45)를 턴온시킨다(도 5b 참조). 트리거 커패시터(61)로부터의 전류는 트리거 변압기(62)의 1차측으로 흐른다. 대략 4㎸의 트리거 전압이 트리거 변압기(62)의 2차 코일에 발생한다. 트리거 전극(63)은 플래시 방전관(52)에 트리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접속된다. 따라서, 플래시 방전관(52)의 전극들 간의 절연이 파괴되어 주 커패시터(47)를 방전시켜, 플래시 광이 플래시 이미터(14)에 의해 사진 피사체를 향하여 방출된다.
도 6에서, 광량 조절 회로(53)는 신호 변환기(64), 억제 회로(quenching circuit; 66) 또는 전압 발생 회로, 제 1 스위칭 소자로서의 억제 사이리스터(quenching thyristor; 67), 및 제2 스위칭 소자로서의 방전 사이리스터(68)를 포함한다. 사이리스터(67, 68)는 3개의 단자를 갖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이다. 동작 전압 발생 회로(70)는 광량 조절 회로(53)와 접속되고, 제너 다이오드(70a), 구동 커패시터(70b) 및 저항(70c)을 포함한다. 동작 전압 발생 회로(70)는 광량 조절 회로(53)에 동작 전압을 인가하여, 광량 조절 회로(53)를 구동시킨다.
구동 커패시터(70b)는 부스터 회로(50)에 의해 출력된 전류에 의해 주 커패시터(47)와 함께 충전된다. 구동 커패시터(70b)는 음으로 충전되어 제너다이오드(70a)의 애노드측의 전위는 낮아진다. 구동 커패시터(70b)의 양단 전압은 주 커패시터(47)의 것과 동일하다.
제너 다이오드(70a)는 제어 전압이 예를 들어 6볼트인 타입으로서, 광량 조절 회로(53)와 병렬로 접속된다. 트리거 전압이 플래시 방전관(52)에 인가되는 경우, 구동 커패시터(70b)에 저장된 전하가 플래시 방전관(52), 제너 다이오드(70a) 및 저항(70c)을 통하는 경로로 방전된다. 방전 단계에서, 구동 커패시터(70b)의 양단 전압은 반전 방향의 전압으로서 제너 다이오드(70a)에 인가된다. 따라서, 제너 전압으로서 제너 다이오드(70a)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전위차가 생긴다. 전위차가 동작 전압으로서 출력되어 광량 조절 회로(53)를 구동시킨다.
신호 변환기(64)는 포토트랜지스터(48), 신호 변환 커패시터(71) 및 저항(72-74)을 포함한다. 포토트랜지스터(48)의 콜렉터는 발진 변압기(56)를 거쳐서 제너 다이오드(70a)의 캐소드와 접속된다. 신호 변환 커패시터(71) 및 저항(72 및 73)은 포토트랜지스터(48)의 이미터와 제너 다이오드(70a)의 애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저항(74)은 제너 다이오드(70a)의 애노드와, 저항(72)과 저항(73) 간의 접합점 사이에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토트랜지스터(48)는 피사체에 의해 반사 플래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플래시 광의 세기에 따른 광전류를 발생시킨다. 신호 변환 커패시터(71)가 광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상기 커패시터(71)의 양단 전압은 수광된 광의 양에 따른다. 포토다이오드 또는 그 외의 수광 소자들이 포토트랜지스터(48)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억제 사이리스터(67)의 애노드는 저항(74)을 통해서 제너 다이오드(70a)의 캐소드와 접속된다. 억제 사이리스터(67)의 캐소드는 신호 변환 커패시터(71)의 하나의 전극과 접속된다. 억제 사이리스터(67)의 게이트는 저항(73)을 거쳐서 신호 변환 커패시터(71)의 다른 전극에 접속된다. 신호 변환 커패시터(71) 양단의 전압은 억제 사이리스터(67)의 게이트와 캐소드 사이에 인가된다. 신호 변환 커패시터(71)의 양단 전압이 임계 레벨 이상이 되면, 억제 사이리스터(67)가 도전성으로 된다.
억제 회로(66)는 직렬로 접속된 커패시터(66a)와 저항(66b)을 포함하고, 억제 사이리스터(67)와 병렬로 접속된다. 제너 다이오드(70a) 양단의 전압이 저항(66b)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커패시터(66a)를 충전한다. 억제 사이리스터(67)가 도전성으로 되면, 커패시터(66a)는 저항(66b), 저항(76)에 의한 경로, 및 억제 사이리스터(67)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경로로 방전된다.
방전 사이리스터(68)의 게이트 및 캐소드는 저항(66b)의 양단에 각각 접속된다. 초크 코일(77)은 방전 사이리스터(68)의 애노드와 주 커패시터(47) 사이에 접속된다. 커패시터(66a)가 방전되면, 저항(66b) 양단에 게이트 전압이 발생되어, 방전 사이리스터(68)의 게이트와 캐소드 사이에 인가된다. 따라서, 방전 사이리스터(68)가 도전성으로 된다. 방전 사이리스터(68)가 플래시 방전관(52)과 병렬로 접속됨에 따라, 주 커패시터(47)는 플래시 방전관(52)보다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 방전 사이리스터(68)를 통하는 경로로 방전된다. 플래시 방전관(52)에서의 광의 방출이 억제된다.
주 커패시터(47)에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방전 사이리스터(68)가 도전성으로 될 때에 방전 사이리스터(68)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전류의 순간 흐름에 의해 방전 사이리스터(68)가 파괴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는, 주 커패시터(47)와 방전 사이리스터(68) 간에 초크 코일(77)을 접속하여, 방전 사이리스터(68)로의 전류 흐름을 점진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시간 조정 커패시터(78)가 광량 조절 회로(53)에 이용되고, 신호 변환기(64)의 성능을 저하할 목적으로 신호 변환기(64)와 병렬로 접속된다. 저항(76)을 통해 시간 조정 커패시터(78)로 전류가 흘러, 그 양단의 전압 증가에 따라 시간 조정 커패시터(78)를 충전한다. 플래시 방출이 개시된 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신호 변환기(64)에 인가된 전압이 저하되어, 포토트랜지스터(48)에 흐르는 광전류를 감소시킨다. 신호 변환 커패시터(71) 양단의 전압 증가가 느려진다. 이는 억제 사이리스터(67)가 도전성으로 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연장한다. 따라서, 커패시터(66a) 양단의 전압이 임계 레벨만큼 높게 될 때까지 억제 사이리스터(67)가 도전성으로 될 우려는 없다. 방전 사이리스터(68)는 확실하게 도전성으로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야간 또는 실내에서 사진을 찌기 위해, 사용자는 충전 동작 버튼(16)을 슬라이딩한다. 충전 스위치(46)를 턴온하여, 주 커패시터(47), 트리거 커패시터(61) 및 구동 커패시터(70b)를 충전하도록 2차 코일이 고전압을 출력하는 부스터 회로(50)의 동작을 개시한다. 주 커패시터(47) 양단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 레벨까지 도달하면, 네온관(60)이 광을방출한다. 사용자는 충전 완료 표시기(22)에서 네온관(60)의 광을 체크하고, 뷰파인더를 통하여 사진 필드를 프레임하며, 셔터 버튼(20)을 눌러 노광시킨다.
셔터 버튼(20)을 누름에 따라, 셔터 블레이드(40)가 개방 및 폐쇄된다. 싱크로 스위치(45)는 턴온된다. 트리거 변압기(62)에 의해 발생된 트리거 전압이 플래시 방전관(52)에 인가되어, 주 커패시터(47)가 플래시 방전관(52)을 통해 방전된다. 플래시 광은 플래시 방전관(52)에 의해 발생되어, 플래시 이미터(14)에 의해 피사체를 향하게 된다.
주 커패시터(47)의 방전시, 구동 커패시터(70b)로부터의 전류는 제너 다이오드(70a) 및 플래시 방전관(52)으로 흐른다. 소정의 레벨의 제너 전압이 방전 전류의 수용시에 제너 다이오드(70a) 양단에 생긴다. 제너 전압은 동작 전압으로서 광량 조절 회로(53)에 인가되어, 신호 변환기(64)를 가동한다. 동시에, 전류가 억제 회로(66)로 흘러, 커패시터(66a)를 충전한다. 광량 조절 회로(53)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이 주 커패시터(47)를 충전하기 위한 2차 측의 전압에 의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광량 조절 회로(53)용 전원 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플래시 광이 피사체를 조명하면, 반사된 플래시 광의 일부가 측광창(17)을 통해 포토트랜지스터(48)로 입사된다. 포토트랜지스터(48)는 반사 플래시 광의 세기에 따른 레벨의 광전류를 출력하여, 신호 변환 커패시터(71)를 충전한다.
포토트랜지스터(48)에 의해 수광된 광의 양이 소정의 레벨까지 도달하면, 신호 변환 커패시터(71)의 양단 전압이 임계 레벨까지 도달하여, 억제 사이리스터(67)를 도전성으로 되게 한다. 억제 회로(66)의 커패시터(66a)는저항(66b)을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방전된다. 저항(66b)의 양단 전압은 방전 사이리스터(68)를 도전성으로 되게 한다. 따라서, 주 커패시터(47)로부터의 전류가 주 커패시터(47)를 방전시키도록 방전 사이리스터(68)를 통해 흘러, 플래시 방전관(52) 내의 광의 방출을 억제한다. 주 커패시터(47)의 양단 전압이 소정의 레벨 이하로 되면, 방전 사이리스터(68)는 비도전성으로 된다.
따라서, 플래시 장치는 피사체 거리가 매우 짧은 경우, 또는 피사체의 반사율이 매우 높은 경우에도 광의 완전 방출을 방지한다. 플래시 광으로 조명된 사진 피사체는 충분히 높은 밀도로 사진 인쇄시 재생될 수 있다. 장면(scene)이 플래시 광에 의해 조명되는 것이 아니라 실내 조명에 의해 조명된 배경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배경은 충분한 휘도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장치는 피사체 거리가 매우 긴 경우에도 충분한 양으로 플래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신호 변환기(64)와 병렬로 접속되는 시간 조정 커패시터(78)는 신호 변환 커패시터(71)의 양단 전압 증가를 위해 요하는 시간을 연장시켜, 억제 회로(66)의 커패시터(66a)를 충전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사진 피사체에 대한 거리가 상당히 짧거나, 또는 피사체의 반사율이 상당히 높다고 하더라도, 신호 변환 커패시터(71)가 갑자기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전 사이리스터(68)는 확실하게 도전성으로 될 수 있어, 오류 동작이 방지된다.
도 7 및 도 8에는, 주 커패시터(47)가 포지티브 방식으로 충전되는 것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소자들에는 동일한 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발진 변압기(56)의 1차 코일(56a)은 건식 배터리(43)에 대하여상기 실시예와 대향하는 방식으로 광량 조절 회로(53)와 접속된다. 주 커패시터(47)는 건식 배터리(43)의 음극 측의 전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건식 배터리(43)의 양극 측의 전위가 높게 설정되는 포지티브 방식으로 충전된다. 시간 조정 커패시터(78)는 포토트랜지스터(48)에 대하여 신호 변환 커패시터(71)와 병렬로 접속된다. 포토트랜지스터(48)에 의해 발생된 광전류의 일부가 신호 변환 커패시터(71)로 흘러, 신호 변환 커패시터(71)의 양단 전압 증가를 느리게 한다. 이는 커패시터(66a)를 충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초크 코일(77)은 주 커패시터(47)의 애노드와 플래시 방전관(52) 간에 접속되어, 주 커패시터(47)로부터 플래시 방전관(52)으로의 점진적인 전류의 흐름을 유지한다. 따라서, 싱크로 스위치(45)의 턴온시 방출되는 플래시 광의 양을 낮게 설정할 수 있어, 과다 노출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플래시 장치는 사진 필름을 장착할 수 있는 통상 알려진 타입의 카메라 또는 콤팩트 카메라에 내장될 수 있다. 도 9에서, 콤팩트 카메라(100)는 주 본체(101)와, 이 주 본체(101)의 전방 및 후방을 덮는 전방 커버(102) 및 후방 커버(103)를 포함한다. 전방 커버(102)는 렌즈 개구(105), 플래시 개구(107), 및 측광창(109)을 포함한다. 촬영 렌즈(104)는 렌즈 개구(105)에서 보인다. 플래시 이미터(106)는 플래시 개구(107)에서 보인다. 수광 소자로서 포토트랜지스터(108)는 측광창(109)에서 보이고, 광도 측정을 위해서 반사 플래시 광을 수광한다. 배터리(110)는 주 본체(101)의 측부에 형성된 배터리실에 삽입된다. 배터리실 덮개(111)는 배터리 실을 폐쇄하도록 하부측 상에 배치된다. 카세트 장전실(113)은 주 본체(101)내에 형성된다. 사진 필름 카세트(112)는 카세트 장전실(113) 내에 삽입된다. 하부 덮개(114)가 닫히고 잠겨서 사진 필름 카세트(112)가 내측에 위치된다. 사진 필름실(115)은 노광된 사진 필름을 감는다.
주 플래시 회로 보드(118)와 보조 플래시 회로 보드(119)는 주 본체(101)와 전방 커버(102) 사이에 배치된다. 주 플래시 회로 보드(118)는 주 커패시터(116)와 그 위에 장착된 충전 스위치(117)를 갖는다. 보조 플래시 회로 보드(119)는 그 위에 장착된 포토트랜지스터(108)를 포함한다. 충전 작동부로서 충전 작동 버튼(120)은 전방 커버(102)상에 배치되어 충전 스위치(117)를 턴온 및 턴오프시킨다. 충전 작동 버튼(120)을 아래로 내려서 충전 스위치(117)를 턴온시킨 경우, 부스터 회로(50)가 작동을 개시하여 주 커패시터(116)와 구동 커패시터(70b)를 충전시킨다.
카메라(100)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10)과 유사한 방식으로 노킹 타입의 셔터 기구를 수용하고 있다. 충전이 완료된 후에, 셔터 개방 버튼(121)이 눌리면 촬영 렌즈 앞의 셔터 블레이드가 회전하여 사진 필름을 노광한다. 싱크로 스위치의 한쌍의 세그먼트(도시되지 않음)가 서로 접촉되어 플래시 방전관(52)에 높은 레벨의 트리거 전압을 인가한다. 동시에 제너 다이오드(70a)에서 제어 전압이 발생하여 광량 제어 회로(53)를 동작시킨다. 포토트랜지스터(108)가 동작되어 반사된 플래시 광이 측정된다. 이 반사광의 양은 소정의 레벨 이상인 경우 플래시 광의 방출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사진은 플래시 광으로 적절한 노광에서 촬영될 수 있다.
플래시 장치에 있는 부스터 회로(50) 및 트리거 회로(51)의 상기 조합과 다른 방식으로 트리거 전압의 인가시 플래시 방전관(52)을 통해서 주 커패시터(47)를 방전하는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무접점형 스위치가 사이리스터(67) 대신에 광량 제어 회로(53)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신호 변환기(64)의 성능은 플래시 방사의 개시 후 소정의 기간 동안 낮아진다. 선택적으로, 신호 변환기(64)의 동작은 플래시 방사의 개시 후 소정의 기간 동안 억제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장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또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다른 장치에 내장될 수도 있고, 카메라 외부에 부착 가능한 분리형 플래시 장치일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플래시 장치는 충전 작동 버튼(16, 120)을 슬라이딩시킴으로서 턴온 및 턴오프된다. 또한 회전 또는 누름에 의해서 플래시 장치를 충전시키는데 회전 가능 버튼, 푸시 버튼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 10 및 11에서, 광량 조절용 동작 전압은 1차 코일로부터 얻어진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들과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된다.
발진 변압기(134)는 1차 코일(134a), 2차 코일(134b), 및 3차 코일(134c)을 포함한다. 2차 코일(134b)의 일단은 3차 코일(134c)의 일단과 접속하는 공통 단자이다. 발진 변압기(133)는 컬렉터 및 베이스를 포함하는데, 컬렉터는 1차 코일(134a)의 일단과 접속되고, 베이스는 래치 트랜지스터(135)의 컬렉터와 접속된다. 래치 트랜지스터(135)는 이미터 및 베이스를 갖는데, 이미터는 충전스위치(132)를 통해 배터리(131)의 양극과 접속되고, 베이스는 발진 변압기(134)의 공통 단자와 접속된다.
충전 스위치(132)가 턴온된 경우, 배터리(131)의 전압은 래치 트랜지스터(135)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인가된다. 배터리(131)의 양극, 충전 스위치(132), 래치 트랜지스터(131)의 이미터 및 베이스로부터 배터리(131)의 음극으로의 경로를 통해 래치 트랜지스터(135)에 대한 베이스 전류로서 전류가 흐른다. 래치 트랜지스터(135)의 컬렉터 전류는 베이스 전류에 따른 레벨로 흐르고 발진 트랜지스터(133)의 베이스로 나온다.
2차 코일(134b)에 흐르는 전류는 래치 트랜지스터(135)로 흐르는 베이스 전류이다. 그리고 베이스 전류에 따른 레벨로 래치 트랜지스터(135)에 컬렉터 전류가 발진 트랜지스터(133)의 베이스로 흐른다. 1차 및 2차측의 양 전류가 증가한다. 또한, 3차 코일(134c)과 2차 코일(134b)의 권선수 비에 따라서 3차 코일(1234c)에서 기전력이 발생한다. 피드백 다이오드(138)는 3차 코일(134c)과 래치 트랜지스터(135) 사이에 접속된다. 3차 코일(134c)에 발생하는 기전력은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여 피드백 다이오드(138)가 도전성으로 된다. 피드백 전류는 3차 코일(134c)로부터 래치 트랜지스터(135)의 이미터로 흐른다. 1차측 상의 전류가 포화되어 증가하지 않는 경우, 2차 코일(134b)과 3차 코일(134c)에 흐르는 전류의 증가는 불연속적이다. 기전력의 초기 방향과 역방향으로 모든 코일(134a~134c)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2차 코일(134b)의 역기전력으로 래치 트랜지스터(135)가 도전성으로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2차 코일(134b)이 그 베이스에 양극 전압을인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발진 트랜지스터(133)가 도전성으로 되지 않는다. 역기전력의 소멸 후에, 다시 베이스 전류가 래치 트랜지스터(135)로 흘러서 발진 트랜지스터(133)를 발진시킨다.
주 커패시터(126)는 정류 다이오드(58)를 통해 2차 코일(134b)과 접속되는 양극 단자를 갖는다. 주 커패시터(126)의 음극 단자는 배터리(131)의 음극과 접속된다. 건식 배터리의 음극측 상의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건식 배터리의 양극측 상의 전위를 높게 하는 방식으로, 주 커패시터(126)는 1차측 상의 전류가 증가하는 동안 2차측 상의 전류에 의해서 충전된다.
주 커패시터(126)와 플래시 방전관 사이에 접속된 초크 코일(144)은 방전 전류의 증가 시간을 연장시켜서, 싱크로 스위치(141)를 닫을 때 플래시 방전관(52)으로 과도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정류 다이오드(153)는 1차 코일(134a)과 구동 커패시터(152) 사이에 접속된다. 1차측 상의 전류의 증가가 불연속적인 경우 1차 코일(134a)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배터리(131)의 양극, 1차 코일(134a), 정류 다이오드(153), 구동 커패시터(152)로부터 배터리(131)의 음극으로의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구동 커패시터(152)는 역기전력에 따라 결정되는 전압으로 충전된다.
바이패스 회로(146)는 션트 커패시터(154), 레지스터(155) 및 커패시터(156)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147)는 베이스 및 이미터를 갖고, 그 사이에 션트 커패시터(154)가 접속된다. 레지스터(155)와 커패시터(154)는 션트 커패시터(154)와 싱크로 스위치(141) 사이에 접속된다. 구동 커패시터(152)의 충전으로 싱크로 스위치(141)가 닫히는 경우, 구동 커패시터(152)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46)로 전류가 흘러서 션트 커패시터(154)가 충전된다. 션트 커패시터(154)의 양단 전압은 스위칭 트랜지스터(147)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인가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션트 커패시터(154)의 양단 전압은 소정 레벨을 초과한다. 따라서 스위칭 트랜지스터(147)가 도전성으로 된다. 동작 전압이 구동 커패시터(152)의 양단 전압에 대응하여 수광 회로(145)에 인가된다. 따라서, 수광 회로(145)가 활성화되어 광을 측정한다.
상기 실시예의 동작시, 먼저 사용자는 플래시 방출용 충전 작동 버튼을 누른다. 충전 스위치(132)는 부스터 회로(124)가 작동 개시하도록 턴온된다. 부스터 회로(124)에 의해 전류가 출력되고 주 커패시터(126)와 트리거 커패시터(140)를 충전한다. 출력된 전류가 감소하는 경우, 모든 코일(134a-134c)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1차 코일(134a) 내의 역기전력으로, 충전 전류는 정류 다이오드(153)를 통해서 구동 커패시터(152)로 흘러 구동 커패시터(152)를 충전시킨다.
싱크로 스위치(141)가 셔터를 작동시켜 폐쇄되는 경우, 구동 커패시터(152)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46)를 거쳐 싱크로 스위치(141)로 전류가 흐른다. 션트 커패시터(154)의 양단 전압이 소정의 레벨을 넘어서는 경우, 스위칭 트랜지스터(147)는 도전성으로 된다. 수광 회로(145) 또는 신호 변환기에는 구동 커패시터(152)의 양단 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수광 회로(145)가 구동된다.
또한, LED(발광 다이오드)는 네온관(60)을 사용하는 대신 3차 코일(134c)과 병렬 접속될 수 있다. 3차 코일(134c)에 발생된 기전력이 충전 전류의 감소로 감소하는 경우, LED는 전력 공급되어 조명할 수 있다. 이 구조는 네온관(60)을 필요로 하지 않는 낮은 비용으로 인해 유리하다.
도 12 및 도 13에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광량 조절용 동작 전압이 부스터 내의 3차 코일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실시예들에서의 소자와 유사한 소자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된다.
3차 코일(234c)은 상호 유도적으로 2차 코일(234b)과 연결된다. 2차 코일(234b) 내의 2차측 상의 전류가 증감하는 경우, 3차와 2차 코일의 권선비에 따라 3차 코일(234c)에서 기전력이 발생한다. 피드백 다이오드(238)는 래치 트랜지스터(235)의 이미터와 3차 코일(234c) 사이에 접속된다. 3차 코일(234c) 내의 기전력이 피드백 다이오드(238) 양단의 순방향 전압보다 더 높아지는 경우, 3차 코일(234c)에서 래치 트랜지스터(235)의 이미터로 피드백 전류가 흐른다. 이 후, 역기전력 및 발진의 발생은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다.
정류 다이오드(253)는 도 12에 도시된 구동 커패시터(252)와 3차 코일(234c) 사이에 접속된다. 정류 다이오드(253)의 애노드는 3차 코일(234c)로 향해있다. 정류 다이오드(253)의 캐소드는 구동 커패시터(252)의 양극 단자로 향해있다. 2차측 상의 전류가 증가하는 동안, 수 볼트의 레벨로 순방향으로 3차 코일(234c) 양단에 전압이 발생된다. 3차 코일(234c), 정류 다이오드(253), 구동 커패시터(252)로부터 3차 코일(234c)까지의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흘러, 3차 코일(234c) 내의 기전력에 따라 결정되는 전압으로 구동 커패시터(252)를 충전한다. 그렇지만, 3차 코일(234c)에 작은 기전력이 발생하거나, 3차 코일(234c)에 역기전력이 발생하는경우, 정류 다이오드(253)는 도전성으로 되지 않는다. 충전용 구동 커패시터(252)에 흐르는 전류는 없다.
스위치 유닛(250)은 트랜지스터(250a, 250b) 및 커패시터(250c)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250a)의 베이스는 저항기(262, 264)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250b)의 컬렉터는 동일한 접속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250a)는 트랜지스터(250b)의 베이스와 접속되는 컬렉터를 갖는다. 저항기(265)는 트랜지스터(250a)의 이미터와 구동 커패시터(252)의 한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구동 커패시터(252)의 나머지 단자는 트랜지스터(250b)의 이미터와 접속된다.
스위칭 유닛(250)에서, 커패시터(260)의 양단 전압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되는 경우, 트랜지스터(250a, 250b) 모두는 도전성으로 된다. 구동 커패시터(252)로부터의 방전 전류는 저항기(265)로 흐른다. 전기 노이즈 발생시 스위칭 유닛(250)이 턴온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커패시터(250c)가 사용됨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실시예의 동작시, 먼저 사용자는 플래시 방출용 충전 작동 버튼을 누른다. 충전 스위치(232)는 부스터 회로(224)가 작동 개시하도록 턴온된다. 부스터 회로(224)에 의해 전류가 출력되고 주 커패시터(226)와 트리거 커패시터(240)를 충전한다. 2차측 상의 전류가 증가하는 경우에 수 볼트의 레벨로 3차 코일(234c)에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기전력은 충전 전류가 정류 다이오드(253)를 통해 구동 커패시터(252)로 흐르도록 하여, 구동 커패시터(252)를 충전시킨다.
커패시터(260)의 양단 전압이 반사된 플래시 광을 수광하여 소정 레벨을 넘어서는 경우, 스위칭 유닛(250)은 도전성으로 된다. 구동 커패시터(252)로부터 스위칭 유닛(250)과 저항기(265)를 통해 전류가 흘러, 구동 커패시터(252)를 방전시킨다. 저항기(265)에 발생된 전압은 방전 사이리스터(251)의 게이트와 캐소드 사이에 인가되어, 방전 사이리스터(251)를 도전성으로 한다. 주 커패시터(226)로부터 방전 사이리스터(251)를 통해 전류가 흘러, 주 커패시터(226)를 방전시킨다. 따라서, 플래시 방전관(227) 내의 플래시 광의 방출이 억제된다. 주 커패시터(226)의 양단 전압이 소정의 레벨과 같거나 이보다 더 낮아지는 경우, 방전 사이리스터(251)는 도전성으로 되지 않는다.
도 14에서, 부가적인 바람직한 부스터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n-p-n 형의 발진 트랜지스터(270)는 베이스, 컬렉터 및 이미터를 갖는데, 베이스는 저항기(272, 273)를 통해 3차 코일(234c)의 일단과 접속된다. 컬렉터는 1차 코일(234a)의 일단과 접속된다. 발진 트랜지스터(270)의 이미터는 배터리(231)의 음극과 접속된다.
충전 스위치(232)가 턴온되는 경우, 배터리(231)로부터의 전류는 3차 코일(234c)에서 발진 트랜지스터(270)의 베이스로 흘러, 발진 트랜지스터(270)를 도전성으로 한다. 발진 트랜지스터(270) 내의 컬렉터 전류는 1차 코일(234a)에 흘러, 상호 유도 작용으로 2차 코일(234b)에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2차 코일(234b)의 양단 전압은 주 커패시터(226)를 충전시킨다. 2차 코일(234b)로부터의 전류는 부분적으로 3차 코일(234c)을 통해 발진 트랜지스터(270)의 베이스로 흐른다. 이는 발진 트랜지스터(270)의 발진을 초래하는 피드백 동작으로, 1차 및 2차측 상에 전류를 증가시킨다.
2차측 상의 전류가 증가하는 동안, 수 볼트의 레벨로 3차 코일(234c)에 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는 충전 전류가 구동 커패시터(252)로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구동 커패시터(252)가 충전된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부분들은 상기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완전히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변경 및 개량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기타 다른 변경 및 개량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이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광량 조절 회로가 단순한 구성,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플래시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1)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부스터 회로로서,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1차 코일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고 전압을 발생시키는 부스터 회로와,
상기 2차 코일 내의 상기 고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주 커패시터와,
상기 주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되어, 상기 주 커패시터로부터 전기 에너지로 방전되는 경우에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방전관과,
스위칭 동작시 상기 플래시 방전관을 방전시키는 트리거 회로와,
상기 플래시 광에 의해 조명된 피사체로부터의 반사 광을 측정하여 광량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소자와,
상기 광량 신호의 적분값이 소정치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하는 광량 조절 회로와,
상기 2차 코일과 접속되어, 상기 트리거 회로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기에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키는 동작 전압 발생 회로
를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조절 회로는
상기 광량 신호를 적분하는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양단 전압이 상기 소정치에 도달되는 경우 도전성으로되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상기 동작 전압의 인가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가 도전성으로 되는 경우 방전되는 제 2 커패시터와,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방전시 도전성으로 되어, 상기 주 커패시터를 방전시켜 상기 주 커패시터로부터의 상기 플래시 광의 방출을 억제하는 제 2 스위칭 소자
를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2차 코일 내의 상기 고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트리거 회로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플래시 방전관을 통해 방전되는 구동 커패시터와,
상기 구동 커패시터와 직렬 접속되어, 상기 구동 커패시터의 방전시 상기 동작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너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직렬 접속되어, 상기 동작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상기 동작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피사체 광량에 따른 상기 광량 신호를 구성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포토트랜지스터인 플래시 장치.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일련의 상기 포토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된, 제 1 게이트를 갖는 제 1 사이리스터로서, 상기 제 1 게이트는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커패시터 사이의 접합점과 접속되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주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된, 제 2 게이트를 갖는 제 2 사이리스터로서, 상기 제 2 게이트는 상기 2 커패시터와 접속되는 플래시 장치.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이리스터의 애노드와 상기 주 커패시터 사이에 접속되어, 전류가 상기 주 커패시터에서 상기 제 2 사이리스터로 고주파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 2 사이리스터를 보호하는 초크 코일을 더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방전관은 상기 초크 코일과 상기 제 2 사이리스터의 애노드 사이에 접속된 일단을 갖는 플래시 장치.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리스터와 직렬 접속되어, 상기 제 1 사이리스터가 도전성으로 되기 전에 시간을 증가시키는 시간 조정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제 2항에 있어서,
전방 벽과,
상기 전방 벽에 고정되어, 상기 플래시 방전관을 담고, 상기 플래시 광을 상기 피사체로 방출하는 플래시 이미터와,
상기 전방 벽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작동되고, 상기 부스터 회로를 턴온하는 충전 작동부
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제 9항에 있어서,
작동시 셔터 기구에 의해 접촉 상태로 시프팅되어 상기 트리거 회로를 온(on)시키는 한쌍의 스위치 세그먼트를 갖는 싱크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사진 필름으로 미리 장전된 주 본체와,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부스터 회로로서,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1차 코일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고 전압을 발생시키는 부스터 회로와,
상기 2차 코일 내의 상기 고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주 커패시터와,
상기 주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되어, 상기 주 커패시터로부터 전기 에너지로 방전되는 경우에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방전관과,
스위칭 동작시 상기 플래시 방전관을 방전시키는 트리거 회로와,
상기 플래시 광에 의해 조명된 피사체로부터의 반사 광을 측정하여 광량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소자와,
상기 광량 신호의 적분값이 소정치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하는 광량 조절 회로와,
상기 2차 코일과 접속되어, 상기 트리거 회로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기에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키는 동작 전압 발생 회로
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조절 회로는
상기 광량 신호를 적분하는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양단 전압이 상기 소정치에 도달되는 경우 도전성으로 되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상기 동작 전압의 인가에 의해 충전되어,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가 도전성으로 되는 경우에 방전되는 제 2 커패시터와,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방전시 도전성으로 되어, 상기 주 커패시터를 방전시켜 상기 주 커패시터로부터의 상기 플래시 광의 방출을 억제하는 제 2 스위칭 소자
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2차 코일 내의 상기 고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트리거 회로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플래시 방전관을 통해 방전되는 구동 커패시터와,
상기 구동 커패시터와 직렬 접속되어, 상기 구동 커패시터의 방전시 상기 동작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너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 내에 고정되어, 상기 사진 필름을 노광시키는 셔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셔터 기구와,
상기 셔터 기구의 작동시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일부에 의해 접촉 상태로 시프팅되어, 상기 트리거 회로를 온시키는 한쌍의 스위치 세그먼트를 갖는 싱크로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이리스터의 애노드와 상기 주 커패시터 사이에 접속되어, 전류가 상기 주 커패시터에서 상기 제 2 사이리스터로 고주파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 2 사이리스터를 보호하는 초크 코일을 더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유닛.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주 본체의 전방측 상에 배치되고,
상기 주 본체의 상기 전방측을 덮는 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 광을 상기 피사체에서 상기 수광 소자로 통과시키는 측광창
을 더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직렬 접속되어, 상기 동작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상기 동작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피사체 광량에 따른 상기 광량 신호를 구성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포토트랜지스터인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일련의 상기 포토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된, 제 1 게이트를 갖는 제 1 사이리스터로서, 상기 제 1 게이트는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커패시터 사이의 접합점과 접속되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주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된, 제 2 게이트를 갖는 제 2 사이리스터로서, 상기 제 2 게이트는 상기 제 2 커패시터와 접속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작동되고, 상기 부스터 회로를 턴온하는 충전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회로, 상기 주 커패시터, 상기 플래시 방전관, 상기 트리거 회로, 상기 포토트랜지스터, 상기 광량 조절 회로, 및 상기 동작 전압 발생 회로를 갖는 플래시 회로 보드와,
상기 주 본체와 상기 전방 커버 사이에 상기 플래시 회로 보드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
를 더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에 담겨져 상기 전원 전압을 발생시키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사진 필름으로 장전되는 주 본체를 갖는 카메라에 있어서,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부스터 회로로서,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1차 코일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고 전압을 발생시키는 부스터 회로와,
상기 2차 코일 내의 상기 고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주 커패시터와,
상기 주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되어, 상기 주 커패시터로부터 전기 에너지로 방전되는 경우에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방전관과,
스위칭 동작시 상기 플래시 방전관을 방전시키는 트리거 회로와,
상기 플래시 광에 의해 조명된 피사체로부터 반사 광을 측정하여 광량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소자와,
상기 광량 신호의 적분값이 소정치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하는 광량 조절 회로와,
상기 2차 코일과 접속되어, 상기 트리거 회로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키는 동작 전압 발생 회로
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사진 필름을 노광시키는 셔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셔터 기구와,
상기 셔터 기구의 작동시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일부에 의해 접촉 상태로 시프팅되어 상기 트리거 회로를 온시키는 한쌍의 스위치 세그먼트를 갖는 싱크로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주 본체의 전방측 상에 배치되고,
상기 주 본체의 상기 전방측을 덮는 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피사체에서 상기 수광 소자로 상기 반사 광을 통과시키는 측광창
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은
사진 필름으로 미리 장전된 주 본체와,
상기 주 본체의 전방측을 덮는 전방 커버와,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부스터 회로로서,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1차 코일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고 전압을 발생시키는 부스터 회로와,
상기 2차 코일 내의 상기 고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주 커패시터와,
상기 주 커패시터와 병렬 접속되어, 상기 주 커패시터로부터 전기 에너지로 방전되는 경우에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방전관과,
스위칭 동작시 상기 플래시 방전관을 방전시키는 트리거 회로와,
상기 플래시 광에 의해 조명된 피사체로부터의 반사 광을 측정하여 광량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소자와,
상기 광량 신호의 적분값이 소정치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하는 광량 조절 회로와,
상기 2차 코일과 접속되어, 상기 트리거 회로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키는 동작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부스터 회로, 상기 주 커패시터, 상기 플래시 방전관, 상기 트리거 회로, 상기 수광 소자, 상기 광량 조절 회로, 및 상기 동작 전압 발생 회로를 갖는 플래시 회로 보드와,
상기 전방 벽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작동되고, 상기 플래시 회로 보드를 턴온하는 충전 작동부와,
상기 전방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피사체에서 상기 수광 소자로 상기 반사 광을 통과시키는 측광창
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의 제조 방법은
상기 플래시 회로 보드를 상기 주 본체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주 본체 내의 상기 수광 소자에서 상기 측광창을 위치 결정하고, 상기 주 본체 내의 상기 플래시 회로 보드에서 상기 충전 작동부를 위치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전방 커버를 상기 주 본체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의 제조 방법.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필름을 노광시키는 셔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상기 셔터 기구를 상기 주 본체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방 커버가 상기 주 본체에 고정되기 전에 상기 주 본체 내의 상기 셔터 블레이드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서 싱크로 스위치를 상기 주 본체에 고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싱크로 스위치는 상기 셔터 기구의 작동시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일부에 의해 접촉 상태로 시프팅되어 상기 트리거 회로를 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의 제조 방법.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 내의 카세트 장전실에 사진 필름 카세트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필름 카세트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진 필름 카세트로부터 인출된 후에 롤(roll)로 감긴 형태로 상기 주 본체 내의 사진 필름실에 상기 사진 필름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필름 카세트 및 상기 사진 필름을 삽입하는 단계 후, 상기 전방 커버를 고정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후방 커버를 상기 주 본체에 고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후방 커버는 상기 카세트 장전실 및 상기 사진 필름실을 폐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의 제조 방법.
상호 유도적으로 서로 결합된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2차 코일에 흐르는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유도 전류는주 커패시터를 충전하는데 적합한 발진 변압기와,
트리거 전압의 인가에 의해 트리거되어, 충전되는 상기 주 커패시터를 방전시켜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방전관과,
촬영될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플래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반사 플래시 광의 양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하는 광량 조절 회로와,
상기 1차 코일에 발생된 역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플래시 광의 방출시 상기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키는 구동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장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에 내장되고, 배터리는 상기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에 수용되어 상기 1차 코일과 접속되는 플래시 장치.
상호 유도적으로 서로 결합된 1차, 2차 및 3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2차 코일에 흐르는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유도 전류는 주 커패시터를 충전하는데 적합한 발진 변압기와,
트리거 전압의 인가에 의해 트리거되어, 충전되는 상기 주 커패시터를 방전시켜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방전관과,
촬영될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플래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반사 플래시 광의 양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을 억제하는 광량 조절 회로와,
상기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의해 상기 3차 코일에 발생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플래시 광의 방출시 상기 광량 조절 회로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동작 전압을 발생시키는 구동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장치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에 내장되고, 배터리는 상기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에 수용되어 상기 1차 코일과 접속되는 플래시 장치.
KR1020010059057A 2000-09-25 2001-09-24 플래시 장치,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및이들의 제조 방법 KR20020024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90048 2000-09-25
JPJP-P-2000-00290060 2000-09-25
JPJP-P-2000-00290059 2000-09-25
JP2000290060A JP2002099028A (ja) 2000-09-25 2000-09-25 ストロボ装置
JP2000290059A JP2002099032A (ja) 2000-09-25 2000-09-25 ストロボ装置
JP2000290048 2000-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552A true KR20020024552A (ko) 2002-03-30

Family

ID=2734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057A KR20020024552A (ko) 2000-09-25 2001-09-24 플래시 장치,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및이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191825A3 (ko)
KR (1) KR20020024552A (ko)
CN (1) CN1346070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6984A1 (de) * 1968-02-13 1976-03-25 Ponder & Best Elektronenblitzgeraet mit fremdblitzsperre
DE1928157A1 (de) * 1969-06-03 1970-12-10 Loewe Opta Gmbh Schaltungsanordnung fuer Elektronenblitzgeraete mit in Abhaengigkeit von der reflektierten Lichtmenge geregelten Nutzblitzdauer
DE2423527A1 (de) * 1974-05-15 1975-11-27 Rollei Werke Franke Heidecke Elektronenblitzgeraet mit belichtungsmess- und blitzbegrenzungseinrichtung
JPS5796319A (en) * 1980-12-05 1982-06-15 Olympus Optical Co Ltd Photometric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of automatic dimming stroboscope
JP2000147617A (ja) * 1998-09-10 2000-05-26 Konica Corp 固定焦点カメラ
US6233403B1 (en) * 1998-11-04 2001-05-15 Konica Corporation Lens-fitted film unit with a built-in electronic flash unit and image forming method based on a photographic film exposed by the lens-fitted film unit with a built-in electronic flash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91825A3 (en) 2004-12-29
CN1346070A (zh) 2002-04-24
EP1191825A2 (en)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5424B1 (en) Electronic flash device of automatic light adjusting type
US6633728B2 (en) Flash device, lens-fitted photo film unit, camera,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US6724987B2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with electronic flash device
KR20020024552A (ko) 플래시 장치,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카메라, 및이들의 제조 방법
US6443638B1 (en) Exposure control apparatus used for a camera
US5974267A (en) Timer-controlled optical data recorder device for lens-fitted photo film unit
US6363222B2 (en) Automatic exposure control device for a camera
US6317566B1 (en) Electronic flash device for photographic camera
US6636700B2 (en) Flash device, lens-fitted photo film unit, camera, light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lens-fitted photo film unit
JP4250351B2 (ja) ストロボ装置
JP2002169215A (ja) ストロ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又はカメラ並びに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6397011B1 (en) Camera with automatic stop change device
JP3947325B2 (ja) ストロボ装置
JP2003315879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2002099032A (ja) ストロボ装置
JP2002099028A (ja) ストロボ装置
JP2003131284A (ja) ストロボを備えたカメラ
JP2001228514A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2002090825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3330072A (ja) カメラ
JP2002156689A (ja) カメラの露光制御装置
JP2002122966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1222038A (ja) カメラの自動露出制御装置
JP2001083562A (ja) カメラの自動露光制御装置
JP2001215660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