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732A - 관성 요소를 갖는 회전 장력기 - Google Patents

관성 요소를 갖는 회전 장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732A
KR20020022732A KR1020017016753A KR20017016753A KR20020022732A KR 20020022732 A KR20020022732 A KR 20020022732A KR 1020017016753 A KR1020017016753 A KR 1020017016753A KR 20017016753 A KR20017016753 A KR 20017016753A KR 20020022732 A KR20020022732 A KR 20020022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wheel
inertial
tensioner
finder
inert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131B1 (ko
Inventor
마틴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아우톨리브 디벨로프멘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톨리브 디벨로프멘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톨리브 디벨로프멘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02002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022/4642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the gas directly propelling a flexible driving means, e.g. a plurality of successive masses, in a tubular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에 대한 안전벨트의 회전 장력기에 관련된다. 상기 회전 장력기는 벨트 견인기로 구성되는데, 벨트 견인 핀은 상기 핀에 연결된 회전 장력기가 작동할 때 할당된 구동기 수단으로 벨트 견인 방향에서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는 벨트 견인 핀에 대한 외부 맞물림을 갖는 구동휠 및 구동휠 바깥둘레의 최소부분에 연장된 채널로 구성된다. 관성요소는 채널을 통과하고, 상기 채널 내에서 가속되고, 시스템이 시작할 때 구동휠의 외부 맞물림과 맞물리게 된다. 본 발명은 관성 몸체(18)로 구성되는 형상요소(16) 및 관성요소(18)를 동기적으로 형상이 들어맞게 구동휠(1)의 외부 맞물림(13)으로 들어가게 하는 유도 파인더 요소(17,28)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성 요소를 갖는 회전 장력기{ROTATION TENSIONER WITH AN INERTIA ELEMENT}
벨트 수축기 스풀(spool)은 구동기에 연결된 회전 장력기가 작동할 때 관련된 구동기로 벨트 수축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여기서 구동기는 스풀에 대한 외부 톱니를 갖는 구동 휠, 관성요소를 통해 실행하는 구동휠의 바깥둘레 중 적어도 한 영역으로 연장되는 채널로 구성되는데, 상기 관성 요소는 시스템이 작동할 때 채널 내에서 가속되며, 구동휠의 외부 톱니에 연결된다.
DE 195 12 660 A1는 상기 특징을 갖는 회전 장력기를 공지하는데 다음의 문제점을 언급한다. 첫 번째 관성 요소가 구동휠의 외부 톱니에 이르렀을 때, 다음번 관성 요소의 경로가 구동휠에 의해 차단될 수 있거나, 구동기의 적합한 작동에 작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으로 관성요소 및 구동 휠이 관성요소의 상호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마주치는 영역에서의 구성요소의 탄성력을 조절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설계된 구성요소에서 가능한 변동으로 인한 구동휠을 조절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에 있어서 벨트 수축기를 갖는 안전벨트에 대한 회전 장력기에 관련된다.
도 1은 회전 장력기의 구동기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는 클립홀더를 포함하는 형상요소의 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물체를 형상 부분과 클립부분으로 나눈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상응하는 도면에서 회전 장력기의 구동기에 대한 두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물체에서 클립홀더를 포함하는 형상요소의 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물체에서 형상 부분 및 클립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도면;
* 부호설명 *
10......구동기 11......구동휠
12......톱니 15.......관상하우징
16......형상요소 17.......첫번째 관성 구형
18......두 번째 관성 구형 20.......클립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회전 장력기에서 관성 요소가 방해없이 외부 톱니와 꼭 맞도록 연결되어 구동 휠에 대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과 실시예를 참고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관성 요소 및 유도 파인더(finder) 요소로 구성된 형상요소는 관성 요소를 구동횔의 외부 톱니에 적합한 형상으로 동기적으로 끼워넣는 것으로 구성된다. 실제로 복잡한 구조를 하지 않고 단순한 방법으로 이것은 연속되는 관성요소의 도착과 구동휠의 위 및 외부 톱니를 동기화하는데, 구동휠의 외부 톱니 위치가 첫 번째로 들어오는 구동휠과 동기되지 않을 때, 유도 파인더 요소는 구동요소의 위치와 외부 톱니의 리세스의 위치를 바로고, 다음번 각각의 관성 요소는 구동휠의 외부 톱니와 방해받지 않고 꼭 들어맞게 된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형성요소가 파인더 요소와 같이 구동휠의 외부 톱니에 적합한 완전한 관성요소의 부분 윤곽만을 갖는 첫 번째 관성 요소로 구성되며, 또한 연결 리브(rib)를 통해 통합된 완전한 두 번째 관성 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형상요소의 구조에서 첫 번째 관성 요소의 부분 윤곽으로 인해 파인도로써 첫 번째 관성요소는 구동 방향으로 부분 윤곽의 영향을 받는 리세스의 표면에 근접할 때까지 상기 리세스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데, 상기 구동 방향은 구동휠 외부 톱니의 관련된 리세스 위치에 독립적이다. 그러므로 만약 필요하다면 구동 휠의 위치를 두 번째 관성 요소가 동기식으로 리세스에 들어갈 수 있도록 수정하는데, 상기 두 번째 관성 요소는 형상요소의 구성요소처럼 첫 번째 관성요소와통합되고 첫 번째 관성요소에 관련된 곳에 고정된다. 또한 이것은 또 다른 관성요소의 경로가 두 번째 관성요소를 따르도록 한다.
DE 196 02 549 A1에 공지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관성 요소가 서로 결합된 것으로 구성되고 씰로 구성되는 배열로 씰링 효과를 이루기 위한 이중 구형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중구형은 불꽃 구동기에 배치된 단부에 위치하며 선택적으로 또 다른 단부에 위치하지만, 관성 요소의 연속성은 구동휠의 외부 톱니를 통한 관성요소의 경로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구동휠의 경로는 개성되어야 한다.
형상요소의 구조에서 첫 번째 관성요소의 부분 윤곽은 본 발명의 한가지 예를 따라 형성되는데, 첫 번째 관성요소의 부분 윤곽은 구동방향을 향하는 반구로 되며, 두 번째 관성 요소를 접하고 있는 구동방향의 최종면은 구동휠의 반지름 선에 대한 각도에 정렬된다. 이것은 첫 번째 관성요소가 구동휠의 외부 톱니의 임계톱니에 꼭 들어맞도록 한다. 이론상으로 임계위치에 있는 다음번 톱니가 서로 만났을 때, 방해가 일어나지 않는데 이러한 경우 충돌은 들어오는 관성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나의 톱니 부분에 의해 변하는 톱니반향으로 인해 구동휠의 회전을 시작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따라, 연결 리브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첫 번째 요소의 보이지 않는 윤곽을 두 번째 관성 요소에 까지 머물도록 하여 톱니에 상대적인 첫 번째 관성 요소처럼 형상요소의 방향을 개선시킨다.
구동휠을 대칭적인 두개로 이등분하는 것은 종래기술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따라 연결 리브는 구동휠의 반으로 나뉜 부분 사이에 연결되고, 형상요소는 그로인해 안내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 형상요소의 파인더 요소는 구동휠의 외부변부와 채널의 내부 벽 사이에서 안내될 수 있는 평평한 구성요소로 구체화되며, 상기 구동휠은 자체 외부 가장자리에 두 번째 일련의 톱니를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관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 톱니 및 형상요소의 파인더 구성요소와 상호작용하는 제어 톱니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서로 서로 상대적으로 정렬된다. 첫번째 관성 요소가 외부 톱니의 리세스에 꼭 들어맞을 때, 파인더 구성요소는 제어 톱니의 틈 사이에 위치한 톱니 융기부의 외부 윤곽에 만나는데, 관성요소가 외부 톱니에 대해 임계 관계에 있을 때, 상기 제어 톱니는 제어 톱니의 틈과 연결되고, 톱니 측면을 밀어 구동휠을 꼭 맞는 위치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설계는 파인더가 구동 휠 의에 형성된 두 번째 제어 톱니와 함께 상호 작용하며 만약 필요한 경우 구동 휠의 위치를 보정하도록 하는 파인더 구성요소처럼 구현되는 원리에 기초를 둔다. 만약 파인더 구성요소가 구동휠의 제어 톱니에서 하나의 톱니와 만나면, 제어톱니는 관성요소를 수용하는 구동휠의 외부 톱니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렬되며, 파인더 구성요소에 부착된 관성요소는 구동휠의 리세스에 동기적으로 들어간다. 만약 파인더 구성요소가 제어 톱니의 틈과 만난다면, 구동휠의 위치는 관성요소가 들어가는 것에 동기적이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 파인더 구성요소는 상기 틈에서 어느 정도의 활동을 할 수 있게되며, 구동휠의 구동 방향에서 틈의 단부에 대한 접합으로 인해 구동휠의 외부 톱니가 관성휠이 들어가는 것에 동기적인 것과 같은 위치를 수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예에서, 파인더 구성요소는 T 부분을 갖는 T 형상의구성요소 구형되는데, T 부분은 제어톱니와 상호작용하고 구형으로 구현되는 첫 번째 관성 요소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파인더 구성요소와 첫 번째 관성요소는 서로 통합되거나 파인더 구성요소가 T 부분에 반대 자유 단부에서 전개되어 요홈에 꼭 들어맞는 구형에 맞물리게 된다. 선호적으로 T 형상의 파인더 구성요소는 꽉찬 금속 부품이 될 수 있다.
또한 봉 발명의 양 실시예에 대해서 형상요소는 채널을 형성하는 관상의 하우징의 벽에 고정된 클립으로 시작 위치에 고정되며, 이는 관성요소가 클립에 결합된 형상요소를 통해 안정된 상태로 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동시에 클립은 형상요소를 종축 방향과 관상 하우징의 채널내의 회전 방향에 대해 정렬되도록 한다. 만약 클립이 스프링 예비 장력을 갖거나 자체 구조로 인해 소성변형을 한다면, 클립은 추가적으로 구동휠을 통해 형상요소가 채널 및 구동 휠 사이의 얼마만큼의 변형을 가능하도록 하는 범위까지 형상요소를 움직이게 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T 형상의 파인더 구성요소에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립은 전단 핀 수단으로 관상 하우징의 벽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서, 클립은 두 개의 관성 요소 사이에 맞물리고 일련의 서로 연속적인 관성 요소를 누르는 스프링 암을 갖는데, 여기서 관성 요소의 체인은 관상요소의 다른 쪽 단부에 고정된 피스톤에 대해 움직임이 없이 눌려져서 시스템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회전 장력기에 대한 구동기의 기본 설계는 DE 195 12 660 A 1에 자세히 공지되어 있으며, 관련된 부분이 인용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도면은 단지회전 장력기에 대한 구동기(10)의 추가적으로 개선된 특징만을 포함한다. 내부 톱니(12)를 갖고 두 개의 대칭적인 절반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는 구동휠(11)의 절반이 도시되었는데, 상기 외부 톱니(12)는 벨트 견인기의 스풀 혹은 벨트 견인기 샤프트(도시안됨)에 꼭 들어맞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휠(11)은 외부 원주를 따라 외부 톱니(13)를 갖으며, 여기서 상기 외부 톱니들 각각의 리세스는 구형의 덮개 혹은 세그먼트인데, 실시예에서 설명되고 인용된 종래 기술에서 관성 요소는 구형으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도시된 반쪽의 구동휠(11)은 버팀대(14)에 의해 안내되는데, 구동휠(11)을 완성시키는 나머지 절반이 이 버팀대에 놓을 수 있다.
내부 채널(24)의 곡선의 관상 하우징(15)은 구동휠(11)의 평면에 정렬하는데, 상기 내부 채널에는 구동휠을 가속시키기 위한 구형 관성 요소(자세히 도시안됨)가 저장되어 있다. 형상요소(16)가 관성요소(자세히 도시안됨) 체인의 전면단부(화살표(30)의 구동 방향)에 정렬된다. 상기 형상요소는 첫 번째 관성 구형(17)이 두 번째 내부 구형(18)에 통합결함 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첫 번째 관성 구형(17)은 파인더 요소로 형성되고, 그래서 완성된 관성 구형의 부분 윤곽만을 형성한다. 상기 부분 윤곽은 반구이며, 두 번째 관성 요소(18)와 접하는 종단 평면(23)은 구동휠(11)의 반지름 선의 각도에 대해 정렬된다. 첫 번째 관성 구형(17)은 좁은 연결 리브(19)를 통해 완성된 두 번째 관성 요소(18)에 통합되는데, 상기 연결 리브(1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휠(11)과 접하고 있는 영역까지 연속되고, 첫 번째 관성 요소(17)가 완전히 형성된 두 번째 관성 요소(18)에 들어가기 전에 첫 번째 관성요소(17)의 보이지 않는 윤곽에 연속된다.
첫 번째 관성 구형(17) 및 두 번째 관성 구형(18)으로 형성된 형상 요소(16)는 클립(20)에 의해 고정되는데, 상기 클립은 전단핀(21)을 통해 곡선 관상 하우징(15) 벽의 시작위치에 부착될 수 있으며, 관련 요홈에서 형상요소(16)와 측면으로 맞물린 암(22)에 의해 형상 요소(16)에 연결된다.
벨트 견인기가 작동하는 중에 벨트가 정상적인 벨트를 채우는 과정에서 감기고 풀릴 때, 구동횔(11)의 외부 톱니(13) 리세스 위치는 형상요소(16) 및 첫 번째 관성 구형(17)에 대해 변하며, 불꽃 구동 장치가 작동될 때, 관성 구형에 대해서 구동휠(11)의 외부 톱니(13) 위치는 형상요소(16)와 동시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전단 핀(21)이 견인기가 작동되어 분리된다면, 클립(20)은 형상 요소(16)와 함께 화살표(30) 방향으로 곡선 관상 하우징(15)의 채널(24)에서 이동하며, 형상요소(16)의 첫 번째 관성 구형(17)은 구동휠(11)의 외부 톱니 리세스로 들어간다. 이러한 첫 번째 관성 구형(17)이 구동방향으로 기울어진 곳에 위치한 반구의 형상으로 부분 윤곽만을 갖으며, 구동휠(11)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반구가 외부 톱니(13)의 리세스 중 하나에 들어갈 수 있도록 충분한 움직임을 할 수 있다. 또한 만약 필요하다면, 구동휠(11)의 위치는 외부 톱니(13) 리세스의 종단 평면에 대한 반구의 원주 표면의 방향에 의해 수정되며, 다음의 두 번째 관성 구형(18)은 형상요소(16)의 구성요소로 동시된 방법으로 톱니(13)에 들어가고, 이것은 다음번 관성 구형에 대한 외부 톱니(13)의 동기를 가능하게 한다.
도 2 및 도 3은 형상 요소(16) 및 클립(20)의 자세한 설계를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는데, 클립(20)은 스프링요소로 설계될 수 있는데, 연속적인 관성 구형의 체인은 움직이지 않아서 관성 구형 체인의 마주보는 단부에 있는 고정 피스톤에 대해 떨림이 없다.
도 4,5,6은 구동휠이 큰 직사각 톱니(27) 및 틈(26)이 차례차례로 구성된 두 번째 제어 톱니(25)를 따라 외부 원주에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형상요소(16)는 제어 톱니(25)와 상호작용하는 파인더 톱니로써 T 형상의 평평한 구성요소(28)와 결합된 첫 번째 관성 구형(18)으로 형성된다. T 형상 구성요소(28)의 자유단부는 펼쳐져있어서, 요홈(33)에 부착된 첫 번째 관성 구형(18)과 맞물린다. 선택적으로 파인더 구성요소(28) 및 첫 번째 관성 구형(18)은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형상요소(16)는 도 1,2,3에 도시된 실시예를 따르는 클립(20)을 통해 곡선 관상 하우징(15)에 다시 고정된다.
구동기가 작동할 때, 만약 파인더 톱니로써 파인더 구성요소(28)의 T 부분(32)이 톱니(27)에 이르렀으면, 관성 수형을 수용하는 외부 톱니(13)에 대한 제어 톱니(25)의 할당된 부분으로 인해, 첫 번째 관성 구형(18)의 입구부분이 다음번 관성 구형의 것처럼 동기화되도록 한다. 만약 파인더 톱니로써 파인더 구성요소의 T 부분(32)이 제어 톱니(25)의 틈(26)에 도달하면, 첫 번째 관성 구형(18)에 대한 외부 톱니(13)의 리세스가 바람직하지 않게 할당되게 한다. 그러나 파인더 구성요소(28)가 구동방향(화살표(30))으로 틈(26) 앞쪽으로 상기 틈(26)의 종단 벽에 다다를 때까지 밀어서 수정되는데, 외부 톱니(13)의 위치가 관성 구형과 동기화되도록 구동휠(11)의 위치를 수정한다.
명세서, 청구항, 요약서, 도면에 대해 설명된 특징은 각각 중요하며, 여러 가지 실시예로 조합될 수 있다.

Claims (13)

  1. 특히 차량에 있어서 벨트 견인기를 갖는 안전벨트에 대한 회전 장력기에 있어서, 벨트 견인 스풀은 구동기에 결합된 회전 장력기가 작동할 때 상기 구동기에 의해 벨트 견인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기는 채널 및 스풀에 대한 외부 톱니를 갖는 구동기로 구성되는데, 상기 채널은 시스템이 작동시작될 때 채널 내에서 가속되고 구동휠의 외부 톱니와 맞물리는 관성 요소를 통해 수행하기 위해 구동기의 바깥 둘레 중 적어도 한 부분까지 연장되며,
    구동휠(11)의 외부 톱니(13) 안으로 동기적으로 형상이 일치하여 관성 요소(18)가 유입되는데 있어서, 관성 요소(18) 및 유도 파인더 요소(17,28)로 구성된 형상요소(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형상요소(16)는 파인더 요소로써 구동휠(11)의 외부 톱니(13)에 적합한 완성된 관성 요소의 부분 윤곽만을 갖는 첫 번째 관성 요소(13)로 구성되고, 연결리브(19)를 통해 통합된 완성된 두 번째 관성요소(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관성 요소는 구형으로 되고, 첫 번째 관성 요소(7)의 부분 윤곽은 구동방향으로 된 반구로 구성되고, 두 번째 관성 요소(18)와 마주하고 있는 종단 평면(23)은 구동휠(11)의 반지름 선에 대한 각도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4. 제 2 항 혹은 제 3 항에 있어서, 연결 리브(1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두 번째 관성 요소(18)에 대한 첫 번째 관성 요소(17)의 보이지 않는 윤곽으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5. 제 2 항에서 제 4 항까지에 있어서, 구동휠은 두 개의 대칭되는 반절로 분리되는데, 연결 리브(19)는 상기 구동휠(11) 반절 사이에서 맞물리며, 형상요소(16)는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6. 제 1 항에 있어서, 형상요소(16)의 파인더 요소는 구동휠(11)의 외부 변부와 채널(24)의 내부 벽 사이에서 안내될 수 있는 평평한 구성요소(28)로 구현되며, 구동휠(11)은 외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관성요소(18)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 톱니(13)인 두 번째 일련의 톱니 및 형상요소(16)의 파인더 구성요소(28)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제어 톱니(25)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서로 정렬되는데, 외부 톱니(13)의 리세스에 부착된 첫 번째 관성 요소(18)와 들어맞는 관계에 있을 때 파인더 구성요소(28)는 제어 톱니(25)의 틈(26) 사이에 위치한 톱니 융기부(27)의 외부 윤곽과 만나며, 관성 요소(18)가 외부 톱니(13)에 대해 임계 관계에 있을 때 제어 톱니(25)의 틈(26)고 맞물리고, 구동휠(11)을 톱니 측면을 밀어서 꼭 들어맞는 위치 안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7. 제 6 항에 있어서, 파인더 구성요소는 T 부분(32)과 함께 T 형상의 구성요소(28)로 구형되는데, 상기 T 부분(32)은 제어 톱니(25)와 상호작용하고 구형인 첫 번째 관성 요소(1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8. 제 7 항에 있어서, 파인더 구성요소(18) 및 첫 번째 관성 요소(18)는 서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9. 제 7 항에 있어서, 파인더 구성요소는 T 부분(32)과 마주보는 자유단부에서 벌려져 있어서 구형(18)을 요홈(33)에 꼭 들어맞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10. 제 6,7,8,9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 형상의 파인더 구성요소(28)는 꽉찬 금속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11. 제 1 항에서 제 10 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상요소(16)는 클립(20)에 의해 시작위치에 고정되고, 클립은 채널(24)을 형성하는 관상 하우징(25)의 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20)은 전단핀(21) 수단으로 관상 하우징(15)의 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13. 제 11 항 혹은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20)은 두 개의 관성 요소 사이에 맞물리고 일련의 연속적인 관성 요소를 함께 누르는 스프링 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력기.
KR1020017016753A 1999-06-28 2000-06-27 차량용 안전벨트를 위한 회전장력기. KR100645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9387.2 1999-06-28
DE19929387 1999-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732A true KR20020022732A (ko) 2002-03-27
KR100645131B1 KR100645131B1 (ko) 2006-11-10

Family

ID=791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753A KR100645131B1 (ko) 1999-06-28 2000-06-27 차량용 안전벨트를 위한 회전장력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12514B1 (ko)
EP (1) EP1194319B1 (ko)
JP (1) JP4482850B2 (ko)
KR (1) KR100645131B1 (ko)
CN (1) CN1144708C (ko)
AU (1) AU781811B2 (ko)
BR (1) BR0012064B1 (ko)
DE (1) DE50004438D1 (ko)
WO (1) WO2001000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5583B4 (de) * 2003-06-05 2007-01-25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Vorrichtung zum Drehantrieb einer Wickelwelle eines Gurtaufrollers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DE202004009949U1 (de) * 2004-06-24 2004-10-14 Key Safety Systems, Inc., Lakeland Aufwickel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Fahrzeugs
US7401815B2 (en) * 2005-03-17 2008-07-22 Antoliv Asp, Inc. Dual spool retractor seat belt system
DE102010034622B4 (de) * 2010-08-17 2015-05-13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2217261B4 (de) * 2012-09-25 2018-10-11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für einen Gurtaufroller
DE102013222903B4 (de) * 2013-11-11 2017-03-30 Takata AG Strafferantrieb
JP6579976B2 (ja) 2016-02-17 2019-09-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6202648B4 (de) 2016-02-22 2018-08-16 Autoliv Development Ab Rotationsstraffer für einen Sicherheitsgurt
CN105835830B (zh) * 2016-03-25 2018-10-02 浙江松原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安全带旋转张紧装置的引导子弹、旋转张紧装置及安全带
DE112017001925B4 (de) * 2016-04-06 2020-12-17 Zf Automotive Germany Gmbh Stellantrieb zum Freigeben eines Kraftbegrenzers eines Gurtaufrollers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sowie Gurtaufroller mit einem solchen Stellantrieb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34258C2 (de) * 1980-09-11 1985-11-14 TRW Repa GmbH, 7071 Alfdorf Antriebsvorrichtung
US5881962A (en) * 1994-04-11 1999-03-16 Autoliv Development Ab Mass-body drive for a rotary tightening device
DE19512660C2 (de) * 1994-04-11 1999-11-18 Autoliv Dev Pyrotechnischer Rotationsstraffer mit Massekörperantrieb
DE9405834U1 (de) 1994-04-11 1994-09-08 Autoliv Dev Rotationsstraffer mit Teilkreiskolben
DE19602549B4 (de) * 1995-02-01 2005-09-29 Autoliv Development Ab Massekörperantrieb für einen Rotationsstraffer
US5839686A (en) * 1995-10-12 1998-11-24 Alliedsignal Inc. Chain driven pretensioner and retractor
WO1997013660A1 (en) * 1995-10-12 1997-04-17 Alliedsignal Inc. Spiral tube compact pretensioner and retractor
US5697571A (en) * 1996-05-17 1997-12-16 Alliedsignal Inc. Chain link rack pretensioner
GB2347124B (en) * 1999-02-26 2003-02-05 Takata Corp Pre-tensioner
US6532739B2 (en) * 1999-08-25 2003-03-18 Takata Corporation Pretens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12064B1 (pt) 2011-01-25
EP1194319B1 (de) 2003-11-12
EP1194319A1 (de) 2002-04-10
KR100645131B1 (ko) 2006-11-10
CN1371331A (zh) 2002-09-25
AU5820600A (en) 2001-01-31
CN1144708C (zh) 2004-04-07
US6612514B1 (en) 2003-09-02
JP2003503257A (ja) 2003-01-28
AU781811B2 (en) 2005-06-16
BR0012064A (pt) 2002-04-02
WO2001000460A1 (de) 2001-01-04
JP4482850B2 (ja) 2010-06-16
DE50004438D1 (de)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2732A (ko) 관성 요소를 갖는 회전 장력기
US6332649B1 (en) Locking mechanism for an automobile seat
EP0925969A3 (en) Air passage switching system for air conditioner
EP0727361A2 (en) Snap-hinged cap
US6783174B2 (en) Drive device for a vehicle component
KR880012410A (ko) 자동 되감기식 안전벨트 리트랙터
JP2002181065A (ja) 対向軌道ジョイントとしての等速固定ボールジョイント
JP4727081B2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
US5730384A (en) Coupling between the belt drum of a belt retractor and a belt pretensioner rotary drive
US6604440B2 (en) Switch for a bicycle
US20060075841A1 (en) Actuator in a motor vehicle
JPS62157847A (ja) ベルトウエビング締着装置
WO2002072388A8 (en) Hinge actuator for wing mirror of motor vehicle
US7841616B2 (en) Vehicle steering wheel
CN111173851B (zh) 连结单元、电动马达及气门正时变更装置
EP2230422B1 (en) Tension adjuster for belts
JP3698270B2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AU2003236850A1 (en) Seat belt retractor comprising a vehicle sensor that can be deactivated
JP2007504988A (ja) 質量補償装置を有する引っ張り係合機能を具備するベルト・テンショナ
RU2290343C1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мещения и фиксации крышки
KR200265084Y1 (ko) 자동차의 플로워 콘솔 부설 드링크 홀더
KR200223341Y1 (ko) 트리포드식등속죠인트
KR200150759Y1 (ko) 아웃 사이드 백미러
JPH0743469Y2 (ja) リテーナ
JP2963656B2 (ja) 止め部材の止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