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124A -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124A
KR20020022124A KR1020010037569A KR20010037569A KR20020022124A KR 20020022124 A KR20020022124 A KR 20020022124A KR 1020010037569 A KR1020010037569 A KR 1020010037569A KR 20010037569 A KR20010037569 A KR 20010037569A KR 20020022124 A KR20020022124 A KR 2002002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pinning reel
slider
spool
ca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2534B1 (ko
Inventor
응켕화
Original Assignee
유게 치토시
시마노 싱가폴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게 치토시, 시마노 싱가폴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유게 치토시
Publication of KR2002002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296Cam and sl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01Cams
    • Y10T74/2107Follow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기어방식의 오실레이팅기구에 있어서, 줄감김형상의 개선을 간소한 구성으로 고전달효율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스피닝릴의 오실레이팅기구(6)는, 스풀(12)을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이동시키는 기구에 있어서, 기어부재(21)와 슬라이더(22)를 구비하고 있다. 기어부재는,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그 일측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제1 및 제2 캠부(21a, 21b)가 형성된 부재이다. 슬라이더는, 선단에 스풀을 갖는 스풀축(20)의 후단부에 스풀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풀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캠부에 결합되는 제1 캠결합부(22a)와, 제1 캠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캠부에 결합되는 제2 캠결합부(22b)를 가지며, 양 캠부를 양 캠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에 의해 스풀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Reciprocating apparatus of spinning reel}
본 발명은 왕복이동기구, 특히, 스피닝릴의 스풀을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낚시줄을 낚시대에 길이방향의 축 둘레로 감는 스피닝릴에는, 줄감기용 스풀을 전후왕복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오실레이팅기구로서, 감속기어방식의 오실레이팅기구가 종래 알려져 있다.
감속기어방식의 오실레이팅기구는, 핸들축과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하는 기어부재(회전부재의 일례)와, 기어부재의 회전에 의해 스풀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더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기어부재는, 핸들의 회전축에 마련된 구동기어에 맞물려 있다. 기어부재의 일측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결합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재의 기어부재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결합돌기부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은, 통상, 스풀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부재에 스풀이 선단에 장착된 스풀축의 후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오실레이팅기구에서는,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어부재가 회전하면, 결합돌기부가 결합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됨으로써 기어부재의 회전운동이 슬라이더부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스풀이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상기 종래의 오실레이팅기구에서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므로, 스풀의 축방향의 이동속도가 삼각함수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이동속도가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위치의 양단부 부근에서는 늦어지고, 중간부 부근에서는 빨라진다. 그 결과, 스풀의 양단부에서 중앙부보다 낚시줄이 많이 감겨 줄감김형상이무너지기 쉬워진다. 이러한 줄감김형상의 무너짐에 의해, 예컨대 낚시줄이 스풀전단으로부터 뭉쳐져 풀려 나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91650호에는, 릴 본체에 형성된 대략 타원형의 캠홈과, 기어부재와 슬라어디부재 사이에 장착되고 일면에 캠홈에 결합되는 제1 돌기부가 형성되고, 다른 면에 슬라이더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결합돌기부에 상당하는 제2 돌기부가 형성된 회전체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오실레이팅기구에서는, 핸들축이 회전하면 그에 연동하여 기어부재가 회전한다. 기어부재가 회전하면 회전체도 기어부재의 회전축 둘레로 공전(公轉)한다. 또한, 회전체의 제2 돌기부가 슬라이더부재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부재가 왕복이동한다. 이러한 슬라이더부재의 왕복이동에 의해 스풀축이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또한, 회전체는 제1 돌기부가 캠홈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체의 자전이 규제되고 슬라이더부재의 왕복이동속도가 거의 균일해져서 줄감김형상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회전체를 마련한 오실레이팅기구에서는, 기어부재와 슬라이더부재 사이에 회전체를 마련하여야 하므로, 기구부품이 증가하여 오실레이팅기구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게다가, 제1 돌기부와 캠홈의 슬라이딩 및 제2 돌기부와 결합홈의 슬라이딩의 두종류의 슬라이딩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슬라이딩부분에서 마찰에 의해 전달효율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핸들의 회전을 슬라이더부재의 왕복이동으로 변환할 때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감속기어방식의 오실레이팅기구에 있어서, 줄감김형상의 개선을 간소한 구성으로 고전달효율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스피닝릴의 측면단면도이고,
도 2는 그 Ⅱ-Ⅱ단면도이고,
도 3은 그 오실레이팅기구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및 제2 캠부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단면도이고,
도 6은 제1 및 제2 캠결합슬롯의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k는 오실레이팅기구의 이동시의 슬라이더와 기어부재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기어부재의 회전위치와 슬라이더의 이동거리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실시형태 2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형태 2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실시형태 2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실시형태 2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실시형태 2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4a 내지 도 14k는 실시형태 2의 도 7a 내지 도 7k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실시형태 2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핸들
2, 102 릴 본체
3 로터
4 스풀
6, 106 오실레이팅기구
20, 120 스풀축
21, 121 기어부재
21a, 121a 제1 캠부
21b, 121b 제2 캠부
22, 122 슬라이더
22a, 122a 제1 캠결합슬롯
22b, 122b 제2 캠결합슬롯
26a, 27a, 126a, 127a 제1 및 제2 반원부
26b, 27b, 126b, 127b 제1 및 제2 대향부
26c, 27c, 126c, 127c 제1 및 제2 경사부
발명 1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스피닝릴의 스풀을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기구에 있어서, 회전부재와, 제1 캠부와, 제2 캠부와, 슬라이더부재와, 제1 캠결합부와, 제2캠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부재는,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핸들의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하는 부재이다. 제1 캠부는 회전부재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캠부는 회전부재에 마련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캠부와 지름방향의 위치가 다른 것이다. 슬라이더부재는, 선단에 스풀을 갖는 스풀축의 후단측에 적어도 스풀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결합되며, 릴본체에 스풀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부재이다. 제1 캠결합부는 슬라이더부재에 마련되며, 스풀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캠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제2 캠결합부는, 슬라이더부재에 마련되며, 제1 캠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캠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양 캠부와 양 캠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에 의해 스풀축방향으로 슬라이더를 왕복이동시킨다.
이 왕복이동기구에서는, 핸들을 회전시키면 그에 연동하여 회전부재가 회전한다.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제1 캠부와 제1 캠결합부 및 제2 캠부와 제2 캠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에 의해 슬라이더부재가 스풀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캠부와 제1 캠결합부의 결합 및 제2 캠부와 제2 캠결합부의 결합이 선택적으로 행해지므로, 예컨대,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위치의 양단부와 중간부에서 고속의 캠과 저속의 캠을 절환함으로써, 등속직선운동에 가까운 상태를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름방향 위치가 다른 제1 및 제2 캠부와 제1 및 제2 캠결합부의 2종류의 캠을 절환하여 슬라이더부재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슬라이더부재를 등속직선운동에 가까운 상태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고, 줄감김형상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회전부재와 슬라이더부재 사이에 불필요한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슬라이딩부분도 적어지게 되어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발명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1 캠부는, 상기 제2 캠부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캠부가 제2 캠부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위치해 있으므로, 제1 캠부와 제1 캠결합부의 결합에 의한 기어부재의 회전에 대한 슬라이더부재의 이동량이 제2 캠부와 제2 캠결합부의 결합에 의한 이동량보다 커진다. 즉, 제1 캠과 제1 캠결합부에 의해서 고속의 캠이 구성되고, 제2 캠과 제2 캠결합부에 의해서 저속의 캠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저속의 캠을 마련함으로써,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하여 비교적 저속이동하는 이동위치의 양단부에서 제1 캠부와 제1 캠결합부를 고속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비교적 고속이동하는 이동위치의 중간부에서 제2 캠부와 제2 캠결합부를 저속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의 왕복이동을 간단한 구성으로 등속직선운동에 접근시킬 수 있어 줄감김형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발명 3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와 상기 제2 캠부는, 동일 둘레방향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두 개의 캠부의 둘레방향위치가 동일하므로 캠결합부의 형성이 용이하다.
발명 4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발명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양 캠부는, 지름방향의 내측과 외측에 상기 양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양 캠부 중 한쪽의 외측의 결합면과 다른쪽의 내측의 결합면을 양 캠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덜컹거림을 억제하 슬라이딩부재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5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발명 4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의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이 상기 제1 캠결합부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캠부의 지름방향 내측의 결합면이 상기 제2 캠결합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캠부의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이 상기 제2 캠결합부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캠부의 지름방향 내측의 결합면이 상기 제1 캠 결합면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양 캠부의 한쪽의 외측의 결합면과 다른쪽의 내측의 결합면이 양 캠결합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덜컹거림을 억제하여 슬라이더부재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6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발명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제1 캠부로부터 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둘레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지름방향의 위치가 다른두 개의 캠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발명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와 상기 제1 캠결합부가 주로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위치의 단부 부근에서 결합되고, 상기 제2 캠부와 상기 제2 캠결합부가 주로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위치의 중간부부근에서 결합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하여 비교적 저속이동하는 이동위치인 양단부에서 제1 캠부와 제1 캠결합부를 고속이동이 가능해지고, 비교적 고속이동하는 이동위치의 중간부에서 제2 캠부와 제2 캠결합부를 저속이동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의 왕복이동을 간단한 구성으로 등속직선운동에 접근시킬 수 있어 줄감김형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발명 8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발명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1 캠부 및 제2 캠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지름방향 위치가 다른 두 개의 캠부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발명 9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발명 8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1 캠부 및 제2 캠부의 제1 캠결합부 및 제2 캠결합부에 결합되는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은 각각 반원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두 개의 캠부의 지름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할 수 있고, 결합면을 반원형상으로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캠부와 캠결합부가 회전방향에서 점접촉하며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10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발명 8에 기재된 이동기구에 있어서, 제1 캠부의 제1 캠결합부에 결합되는 지금방향 외측의 결합면은 반원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고, 제2 캠부의 상기 제2 캠결합부에 결합되는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은 선단이 둥근 삼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두 개의 캠부의 지름방향외측의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슬라이더부재를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11에 따른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는, 발명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양 캠결합부는, 스풀축과 직교하는 제1 축과 제1 축과 직교하며 또한 회전부재의 회전축심을 지나는 제2 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제2 축상에서 제1 캠결합부의 간격이 제2 캠결합부의 간격보다 좁고, 제2 축으로부터 제1 축방향의 양측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1 캠부의 간격이 서서히 넓어지고, 도중에서 제2 캠부의 간격보다 넓어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속캠인 제1 캠부와 제1 캠결합부에 있어서, 제2 축상의 간격이 양단측으로부터 서서히 좁아지므로, 제2 축을 향해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한 슬라이더부재의 이동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부재의 직선운동을 등속직선운동으로 더 근접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
[전체구성 및 릴 본체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스피닝릴은, 핸들(1)을 갖는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로터(3)와,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되며 낚시줄을 감는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몸체(2a)를 가지고 있으며, 그 상부에는 스피닝릴을 낚시대에부착하기 위한 부착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2a)의 내부에는, 로터(3)를 이전시키기 위한 로터구동기구(5)와, 스풀(4)을 회전축심(X)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에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기구(6)가 마련되어 있다.
로터구동기구(5)는,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기어(11)와, 이 페이스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페이스기어(11)는, 단면이 사각형인 핸들축(10)이 관통하는 통형상의 축부(11a)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기어(12)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앞부분(12a)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스풀(4)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기어(12)는 그 축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미도시)을 통해 몸체(2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기구의 구성]
오실레이팅기구(6)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4)의 중심부에 고정된 스풀축(2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기구(6)는, 페이스기어(1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어부재(21)와, 기어부재(21)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더(22)를 가지고 있다.
기어부재(21)는, 핸들축(10)과 대략 평행한 축둘레로 회전 가능하도록 몸체(2a)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기어부재(21)는, 페이스기어(11)의 축부(11a)에 형성된 구동기어(11b)에 맞물려 있다. 기어부재(21)의 슬라이더(22)에 대향하는 측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슬라이더(22)측으로 돌출되는 제1 캠부(21a) 및 제2 캠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캠부(21a)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부재(21)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더(22)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캠부(21b)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되어 있다. 제2 캠부(21b)는 제1 캠부(21a)와 대략 동일한 폭이며, 지름방향을 따른 길이가 조금 짧다. 제2 캠부(21b)는, 제1 캠부(21a)로부터 슬라이더(22)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양 캠부(21a, 21b)는, 기어부재(21)의 동일한 둘레방향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양 캠부(21a, 21b)의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24a, 25a)은 반원호 형상이며, 지름방향 내측의 결합면(24b, 25b)은 양단이 약간 둥글게 형성된 직선형상이다. 양 캠부(21a, 21b)는 폭이 동일하고 길이가 다른 전기의 AND소자기호를 지름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한 것과 같은 형상이다.
슬라이더(22)는, 릴 본체(2)에 의해 스풀축(20)에 평행한 축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선단에 스풀(4)을 갖는 스풀축(20)의 후단측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이동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더(22)의 기어부재(21)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기어부재(21)의 제1 캠부(21a)에 결합되는 제1 캠결합슬롯(22a)과, 제2 캠부(21a)에 결합되는 제2 캠결합슬롯(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캠부(21a)와 제1 캠결합슬롯(22a)의 결합에 의해 고속캠이, 제2 캠부(21b)와 제2 캠결합슬롯(22b)의 결합에 의해 저속캠이 각각 실현된다.
양 슬롯(22a, 22b)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20)의 축심(X)과 직교하는 제1 축(Y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축(Y1)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의 슬롯으로서, 제1 및 제2 캠부(21a, 21b)의 돌출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슬롯(22a, 22b)은 제1 축(Y1)과 직교하고 또한 기어부재(21)의 회전축심을 지나는 제2 축(X1)에 대하여도 대칭인 형상의 슬롯이다. 제1 캠결합슬롯(22a)은, 제1 캠부(21a)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2 결합슬롯(22b)보다 스풀축(20)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길다.
제1 캠결합슬롯(22a)은, 스풀축(20)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제1 반원호부(26a)와, 제1 반원호부(26a)로부터 제2 축(X1)을 향해 평행하게 형성된 제1 대향부(26b)와, 제1 대향부(26b)로부터 슬롯(22a)의 중심을 향해 서서히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26c)를 가지고 있다.
제2 캠결합슬롯(22b)은, 스풀축(20)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단에 제1 반원호부(26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제2 반원호부(27a)와, 제2 반원호부(27a)로부터 중심(제2 축(X1))을 향해 평행하게 형성된 제2 대향부(27b)와, 제2 대향부(27b)로부터 중심을 향해 서서히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그리고 만곡되게 형성되고 도중에서 제1 경사부보다 간격이 넓어지는 제2 경사부(27c)를 가지고 있다. 제2 경사부(27c)는, 제1 캠부(21a)의 결합면(24a)이 제1 캠결합슬롯(22a)에 결합되어 있을 때, 제2 캠부(21b)의 결합면(25b)이 항상 접촉가능한 형상이다.
제2 대향부(27b)의 간격은, 제2 캠부(21b)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제1 경사부(26c)의 한쪽과 제2 경사부(27c)의 다른쪽의 중심(제2 축(X1)상)에서의 간격은, 제1 캠부(21a)의 결합면(24a)으로부터 제2 캠부(21b)의 결합면(25b)까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이러한 제1캠부(21a)와 제1 캠결합슬롯(22a)의 결합과 제2 캠부(21b)와 제2 캠결합슬롯(22b)의 결합이 도중에서 절환되어, 기어부재(21)의 회전운동이 슬라이더(22)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스풀(4)이 스풀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여기서는, 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1 캠부(21a)와 제1 캠결합슬롯(22a)의 결합에 의한 고속캠에 있어서의 회전운동의 왕복이동으로의 변환의 비율은, 제2 캠부(21b)와 제2 캠결합슬롯(22b)의 결합에 의한 저속캠에 있어서의 비율보다 크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22)의 이동속도가 늦어지는 이동위치의 양단부로부터 전후 45도의 회전위치에서 고속캠에 의한 결합이, 이동속도가 빨라지는 중간부의 전후 45도의 회전위치에서 저속캠에 의한 결합이 각각 행해지도록 2종류의 캠을 절환함으로써, 회전운동을 등속직선운동에 가까운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캠부(21a)에 의한 결합시에도, 간격이 좁아지는 제1 경사부(26c)를 마련함으로써 양단부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각도당 이동량을 많게 하여 등속직선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마련된 제1 아암부(31) 및 제2 아암부(32)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는, 앞부분에 바닥부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원통부(30)와 양 아암부(31, 32)는 일체성형되어 있다.
원통부의 바닥부의 중심부에는 보스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보스부에 피니언기어(12)의 앞부분(12a) 및 스풀축(20)이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피니언기어(12)의앞부분(12a)에서 너트(13)에 의해 로터(3)가 피니언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1 아암부(31)의 선단부 외주측에는, 제1 베일지지부재(40)가 요동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1 베일지지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시줄을 스풀(4)에 안내하기 위한 라인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아암부(32)의 선단의 내주측에는, 제2 베일지지부재(42)가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지지부재(40) 선단의 라인롤러(41)와 제2 베일지지부재(42) 사이에는 베일(43)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베일지지부재(40) 및 제2 베일지지부재(42)는, 요동축(M) 둘레로 요동한다. 이 요동축(M)은 제2 베일지지부재(42)측이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로터(3)의 제1 아암부(31)와 제2 아암부(3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20)의 선단에 드래그기구(미도시)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줄감기몸체부(4a)와, 줄감기몸체부(4a)의 뒷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b)와, 줄감기몸체부(4a)의 전단에 고정된 플랜지판(4c)을 가지고 있다. 플랜지판(4c)은, 스테인레스제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에 의해 줄감기몸체부(4a)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플랜지판(4c)은, 외주측이 선단측으로 경사져 있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시에는 베일(43)을 줄개방자세측으로 넘어뜨린다. 이에 의해 제1 및제2 베일 지지부재(40, 42)는 요동축(M)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낚시줄감기시에는, 베일(43)을 줄감기자세측으로 넘어뜨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1)을 줄감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은 핸들축(10) 및 페이스기어(11)를 통해 피니언기어(12)로 전달된다. 이 피니언기어(12)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기어(12)의 앞부분(12a)을 통해 로터(3)로 전달된다.
한편, 페이스기어(11)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11b)에 맞물리는 오실레이팅기구(6)의 기어부재(21)가 회전하고, 이 회전이 양 캠부(21a, 21b)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슬라이더(22)에 전달된다. 그 결과, 슬라이더(22)가 스풀축(20)의 축방향(X)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이 때,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2)가 전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로 되돌아왔을 때, 제1 및 제2 캠부(21a, 21b)가 상부에 배치되고 스풀(4)이 중간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1 캠부(21a)는 제1 캠결합슬롯(22a)의 제1 반원호부(26a)의 정점(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기어부재(21)의 중심으로부터 슬라이더(22)까지의 전후방향의 이동거리를 L이라 하면, 이 때의 이동거리(L)는 0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1)을 줄감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부재(21)는 화살표(Y)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한다. 이 때의 기어부재(21)가 90도 회전할 때의 9도마다의 결합상태의 변화를 도 7a 내지 도 7k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 도 7f에 나타낸 45도의 회전위치로 회전할 때까지는, 제2 캠부(21b)가 제2 캠결합슬롯(22b)과 결합되어 회전에 대한 이동속도를 늦춘다. 즉, 슬라이더(22)의 이동위치의 중간위치인 도 7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기어부재(21)가 회전하면, 제1 캠부(21a)와제1 캠결합슬롯(22a)의 결합이 서서히 풀리고, 제2 캠부(21b)와 제2 캠결합슬롯(22b)이 결합되여 저속의 캠을 사용하여 제2 캠부(21b)의 결합면(25a)이 제2 캠결합슬롯(22b)을 압압하여 슬라이더(22)를 서서히 후퇴시킨다.
그리고, 도 7f에 나타낸 45도의 회전위치까지 회전하면, 제1 캠부(21a)가 제1 캠결합슬롯(22a)의 제1 대향부(26b)에 결합되고, 제1 캠부(21a)와 제1 캠결합슬롯(22a)의 결합에 의한 고속캠을 사용하여 슬라이더(22)를 압압하여 이동시킨다. 즉, 도 7f의 45도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저속캠으로부터 고속캠으로 절환된다. 그리고, 제1 캠부(21a)의 결합면(24a)은, 제1 캠결합슬롯(22a)의 제1 경사부(26c)에 결합되면서, 슬라이더(22)를 압압한다. 이러한 제1 경사부(26c)는,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는 경사면이므로, 기어부재(21)의 회전에 대하여 이동속도를 등속으로 유지하는 작용이 있다. 이 때문에, 이동위치후단까지 등속직선운동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7k에 나타낸 후단위치에 도달하면, 제1 캠부(21a)의 결합면(24a)이 제1 캠결합슬롯(22a)에 접촉하고, 제2 캠부(21b)의 결합면(25b)이 제2 캠결합슬롯(22b)에 접촉한다. 또한, 이들의 이동시에, 제2 캠부(21b)의 결합면(25b)은 제2 캠결합슬롯(22b)에 항상 접촉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2)의 이동시의 덜컹거림이 억제된다.
도 8에 슬라이더(22)가 일회전할 때의 이동위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는 세로축에 슬라이더(22)의 중심위치로부터의 이동거리(L)를 취하고, 가로축에 기어부재(21)의 후퇴위치로부터의 회전위치를 취하고 있다. 여기서는, 스풀의 이동스트로크를, 편의를 위해 15mm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도 8의 270도부터 360도까지의 회전위치의 범위가 도 7a 내지 도 7k에 나타낸 이동시의 슬라이더(22)의 이동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결합핀에 의한 감속기어식의 오실레이팅기구에서는, 이러한 그래프가 코사인곡선이 되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차직선에 근접해 있다. 이 때문에, 줄감김형상을 평탄에 가까운 형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2)가 이동위치의 후단위치에 도달하면, 제2 캠부(21b)의 결합면(25b)이 제2 캠결합슬롯(22b)의 경사면(27c)에 접촉하여 슬라이더(22)가 전방으로 압압되어 이동한다. 이 때, 제1 캠부(21a)의 결합면(24a)은 제1 캠결합슬롯(22a)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k에서 도 7f로 되돌아올 때까지는, 제1 캠부(21a)와 제1 캠결합슬롯(22a)의 결합에 의해 회전에 대하여 고속캠을 사용하여 슬라이더(22)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7f에서 도 7a에 이르는 중간부까지 가면, 제2 캠부(21b)와 제2 캠결합슬롯(22b)에 의한 저속캠을 사용하여 슬라이더(22)를 이동시킨다.
여기서는, 중간위치로부터 전후 45도의 각도범위에서는 저속캠을 이용하고, 그로부터 양단측에서 고속캠을 이용하고, 또한 고속캠이용시에는 제1 캠결합슬롯(22a)의 제1 경사부(26c)를 이용하여 등속직선운동을 유지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전체적으로 등속직선운동에 가까운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전달손실을 억제하여 줄감김형상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프런트드래그형의 스피닝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리어드래그형의 스피닝릴이나 레버드래그형의 스피닝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리어드래그형 스피닝릴에서는, 스풀축(120)의 선단부에 스풀(미도시)이 핀(미도시)에 의해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오실레이팅기구(106)는, 페이스기어(11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어부재(121)와, 기어부재(121)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더(122)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122)는, 스풀축(12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고 축방향이동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슬라이더(122)에 있어서 스풀축(120)이 관통하는 부분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122)는, 릴몸체(102a)에 의해 스풀축(120)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어부재(121)는, 핸들축(110)과 대략 평행한 축둘레로 회전가능하도록 몸체(102a)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기어부재(121)는, 페이스기어(111)의 축부(111a)에 형성된 구동기어(111b)에 맞물려져 있다. 기어부재(121)의 슬라이더(122)에 대향하는 측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슬라이더(122)측으로 돌출된 제1 캠부(121a) 및 제2 캠부(12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캠부(121a)는,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부재(121)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더(122)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캠부(121b) 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위치해 있다. 제1 캠부(121a)의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124a)은 반원호형상이고, 내측의 결합면(124b)은 결합면(124a)보다 큰 지름의 원호면이다. 제2캠부(121b)의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125a)은, 선단이 둥근 삼각형 형상이고, 내측의 결합면(125b)은, 양단이 약간 둥글게 형성된 직선형상이다. 제2 캠부(121b)는 제1 캠부(121a)와 동일한 폭이며, 지름방향을 따른 길이가 조금 짧다. 제2 캠부(121b)는, 제1 캠부(121a)로부터 다시 슬라이더(122)측으로 계단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양 캠부(121a, 121b)는 기어부재(121)의 동일 둘레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22)는, 릴본체(102)에 의해 스풀축(120)에 평행한 축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122)는, 선단에 스풀을 갖는 스풀축(120)의 후단측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더(122)의 기어부재(121)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기어부재(121)의 제1 캠부(121a)에 결합되는 제1 캠결합슬롯(122a)과, 제2 캠부(121b)에 결합되는 제2 캠결합슬롯(1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캠부(121a)와 제1 캠결합슬롯(122a)의 결합에 의해 고속캠이, 제2 캠부(121b)와 제2 캠결합슬롯(122b)의 결합에 의해 저속캠이 각각 실현된다.
양 슬롯(122a, 122b)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20)의 축심(X)과 직교하는 제1 축(Y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축(Y1)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의 슬롯으로서, 제1 및 제2 캠부(121a, 121b)의 돌출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슬롯(122a, 122b)은, 제1 축(X1) 과 직교하고 또한 기어부재(121)의 회전축심을 지나는 제2 축(X1)에 대하여도 대칭인 형상의 슬롯이다. 제1 캠결합슬롯(122a)은, 제1 캠부(121a)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2 결합슬롯(122b)보다스풀축(120)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길다.
제1 캠결합슬롯(122a)은, 스풀축(120)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제1 반원호부(126a)와, 제1 반원호부(126a)로부터 제2 축을 향해 조금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된 제1 대향부(126b)와, 제1 대향부(126b)로부터 슬롯(122a)의 중심을 향해 서서히 간격이 좁아지도록 약간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126c)를 가지고 있다. 이 중, 제1 반원호부(126a)나 제1 대향부(126b)는, 제1 캠부(121a)가 결합되지 않는 형상이면 되며, 반원호나 약간 만곡된 형상이 아니어도 좋다. 제1 대향부(126b)의 경계부분으로부터 제1 경사부(126c)에 걸쳐서는 제1 캠부(121a)가 결합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형상은 슬라이더(122)의 이동속도에 대하여 중요한 인자가 된다.
제2 캠결합슬롯(122b)은, 스풀축(20)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단에 제1 반원호부(126a)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제2 반원호부(127a)와, 제2 반원호부(127a)로부터 제2축(X1)을 향해 평행하게 형성된 제2 대향부(127b)와, 제2 대향부(127b)로부터 제2 축(X1)을 향해 서서히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또한 제2 축(X1)의 양측에서 제2 축(X1)과 직교하여 평행하게 형성되고 도중에서 제1 경사부(126c)보다 간격이 넓어지는 제2 경사부(127c)를 가지고 있다. 제2 경사부(127c)는, 제1 캠부(121a)의 결합면(124a)이 제1 캠결합슬롯(122a)에 결합되어 있을 때, 제2 캠부(121b)의 결합면(125b)이 항상 접촉가능한 형상이다.
제2 대향부(127b)의 간격은, 제2 캠부(121b)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제1 경사부(126c)의 한쪽과 제2 경사부(127c)의 다른쪽의중심(제2축(X1)상)에서의 간격은, 제1 캠부(121a)의 결합면(124a)으로부터 제2 캠부(121b)의 결합면(125b)까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이 제1 캠부(121a)와 제1 캠결합슬롯(122a)의 결합과 제2 캠부(121b)와 제2 캠결합슬롯(122b)의 결합이 도중에서 절환되어, 기어부재(121)의 회전운동이 슬라이더(122)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스풀이 스풀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여기서는, 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1 캠부(121a)와 제1 캠결합슬롯(122a)의 결합에 의한 고속캠에 있어서의 회전운동의 왕복이동에의 변환의 비율은, 제2 캠부(121b)와 제2 캠결합슬롯(122b)의 결합에 의한 저속캠에 있어서의 비율보다 크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122)의 이동속도가 늦어지는 이동위치의 양단부로부터 전후 45도의 회전위치에서 고속캠에 의한 결합이, 이동속도가 빨라지는 중간부의 전후 45도의 회전위치에서 저속캠에 의한 결합이 각각 행해지도록 2종류의 캠을 절환함으로써, 회전운동을 등속직선운동에 가까운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캠부(121a)에 의한 결합시에도 간격이 좁아지는 제1 경사부(126c)를 마련함으로써 양단부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각도당 이동량을 많게 하여 등속직선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리어드래그기구(80)는 레버식의 것으로서, 주로, 원통형상의 부쉬(81)와, 복수의 마찰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마찰결합부(82)와, 마찰누름용 코일스프링(83)과, 지지부재(84)와, 고정캡(85)과, 드래그레버(86)로 구성되어 있다.
부쉬(81)는, 스풀축(120)의 뒷부분의 외주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끼워 넣어져 있다. 부쉬(81)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플랜지부에 마찰결합부(62)의 복수의 마찰플레이트가 압압된다. 고정 캡(85)은, 릴몸체(102a)의 후단부에 형성된 통형상돌기(102d)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에 외주로부터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지지부재(84)를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하고 있다. 이 고정캡(85)의 체결량을 조정함으로써, 마찰결합부(82)의 각 마찰플레이트의 압압력을 변경할 수 있고, 드래그력을 크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드래그레버(86)의 조작에 의해, 고정캡(85)에 의해 설정된 드래그력을 0∼500g의 범위에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형태 2에서도, 페이스기어(111)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111b)에 맞물리는 오실레이팅기구(106)의 기어부재(121)가 회전하고, 이 회전이 양 캠부(121a, 121b)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슬라이더(122)에 전달된다. 그 결과, 슬라이더(122)가 스풀축(120)의 축방향(X)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이 때,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2)가 전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로 되돌아 왔을 때, 제1 및 제2 캠부(121a, 121b)가 상부에 배치되고 스풀이 중간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1 캠부(121a)는 제1 캠결합슬롯(122a)의 제1 반원호부(126a)의 정점(중심점)에 위치해 있다. 기어부재(121)의 중심으로부터 슬라이더(122)까지의 전후방향의 이동거리를 L이라 하면, 이 때의 이동거리(L)는 0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1)을 줄감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부재(121)는 화살표(Y)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한다. 이 때의 기어부재(121)가 90도 회전할 때의 9도마다의 결합상태의 변화를 도 14a 내지 도 14k에 도시하였다. 이 때, 도 14f에나타낸 45도의 회전위치로 회전할 때까지는, 제2 캠부(121b)가 제2 캠결합슬롯(122b)과 결합되여 회전에 대한 이동속도를 늦춘다. 즉, 슬라이더(122)의 이동위치의 중간위치인 도 14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기어부재(121)가 회전하면, 제1 캠부(121a)와 제1 캠결합슬롯(122a)의 결합이 서서히 풀리고, 제2 캠부(121b)와 제2 캠결합슬롯(122b)이 결합되여 저속의 캠을 사용하여 제2 캠부(121b)의 결합면(125a)이 제2 캠결합슬롯(122b)을 압압하여 슬라이더(122)를 서서히 후퇴시킨다.
그리고, 도 14f에 나타낸 45도의 회전위치까지 회전하면, 제1 캠부(121a)가 제1 캠결합슬롯(122a)의 제1 대향부(126b)에 결합되고, 제1 캠부(121a)와 제1 캠결합슬롯(122a)의 결합에 의한 고속캠을 사용하여 슬라이더(122)를 압압하여 이동시킨다. 즉, 도 14f의 45도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저속캠으로부터 고속캠으로 절환된다. 그리고, 제1 캠부(121a)의 결합면(124a)은 제1 캠결합슬롯(122a)의 제1 경사부(126c)에 결합되면서, 슬라이더(122)를 압압한다. 이 제1 경사부(126c)는,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는 경사면이므로, 기어부재(121)의 회전에 대하여 이동속도를 등속으로 유지하는 작용이 있다. 이 때문에, 이동위치 후단까지 등속직선운동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14k에 나타낸 후단위치에 도달하면, 제1 캠부(121a)의 결합면(124a)이 제1 캠결합슬롯(122a)에 접촉하고, 제2 캠부(121b)의 결합면(125b)이 제2 캠결합슬롯(122b)에 접촉한다. 또한, 이들의 이동시에, 제2 캠부(121b)의 결합면(125b)은, 제2 캠결합슬롯(122b)에 항상 접촉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2)의 이동시의 덜컹거림을 억제하고 있다.
도 15에 슬라이더(122)가 1회전할 때의 이동위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서는 세로축에 슬라이더(122)의 중심위치로부터의 이동거리(L)를 취하고, 가로축에 기어부재(121)의 후퇴위치로부터의 회전위치를 취하고 있다. 여기서는, 스풀의 이동스트로크를, 편의를 위해 15mm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도 15의 270도에서 360도까지의 회전위치의 범위가 도 15에 나타낸 이동시의 슬라이더(122)의 이동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결합핀에 의한 감속기어식의 오실레이팅기구에서는, 이러한 그래프가 코사인곡선이 되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1차직선에 가깝다. 이 때문에, 줄감김형상을 평탄에 가까운 형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22)가 이동위치의 후단위치에 도달하면, 제2 캠부(121b)의 결합면(125b)이 제2 캠결합슬롯(122b)의 경사면(127c)에 접촉하여 슬라이더(122)가 전방으로 압압되어 이동한다. 이 때, 제1 캠부(121a)의 결합면(124a)은 제1 캠결합슬롯(122a)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4k로부터 도 14f에 되돌아올 때까지는, 제1 캠부(121a)와 제1 캠결합슬롯(122a)의 결합에 의해 회전에 대하여 고속캠을 사용하여 슬라이더(122)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14f로부터 도 14a에 이르는 중간부까지 가면, 제2 캠부(121b)와 제2 캠결합슬롯(122b)에 의한 저속캠을 사용하여 슬라이더(122)를 이동시킨다.
여기서도, 중간위치로부터 전후 45도의 각도범위에서는 저속캠을 이용하고, 그보다 양단측에서 고속캠을 이용하고, 또한 고속캠 이용시에는 제1 캠결합슬롯(122a)의 제1 경사부(126c)를 이용하여 등속직선운동을 유지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전체적으로 등속직선운동에 가까운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전달손실을 억제하여 줄감김형상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제1 캠부(21a) 및 제2 캠부(21b)를 한쪽의 결합면(24a, 25a)이 반원형이고 다른쪽의 결합면(24b, 25b)이 사각형인 형상으로 하였으나, 제1 캠부(21a) 및 제2 캠부(21b)는, 기어부재(21)의 지름방향으로 접촉위치가 엇갈려져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1 캠부(21a)를 제2 캠부(21b)의 지름방향 안쪽으로 위치시켜도 좋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두종류의 캠의 결합을 절환하고 있는데, 세종류 이상의 캠의 결합을 절환하여도 좋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회전부재에 두 개의 캠부를 형성하고 있는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회전부재를 마련하여 각각의 회전부재에 캠부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캠부 및 캠결합슬롯을 2차원곡선으로 구성하였으나, 기어부재의 축방향에 연속적으로 접촉위치가 변화하는 3차원곡선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캠부와 제1 및 제2 캠결합부의 2종류의 캠을 절환하여 슬라이더부재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슬라이더부재를 등속직선운동에 가까운 상태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어 줄감김형상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회전부재와 슬라이더부재 사이에 불필요한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소해지고 슬라이딩부분도 적어져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스피닝 릴의 스풀을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스피닝 릴의 왕복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제1 캠부와,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캠부와 지름방향의 위치가 다른 제2 캠부와,
    선단에 상기 스풀을 갖는 스풀축의 후단측에 적어도 상기 스풀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스풀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스풀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캠부에 결합되는 제1 캠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캠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캠부에 결합되는 제2캠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양 캠부와 양 캠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에 의해 상기 스풀축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왕복이동시키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제2 캠부보다 지름방향 바깥쪽으로돌출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와 상기 제2 캠부는, 동일한 둘레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캠부는, 지름방향의 내측과 외측에 상기 양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면을 가지고 있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의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이 상기 제1 캠결합부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캠부의 지름방향 내측의 결합면이 상기 제2 캠결합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캠부의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이 상기 제2 캠결합부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캠부의 지름방향 내측의 결합면이 상기 제1 캠 결합면에 결합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제1 캠부로부터 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와 상기 제1 캠결합부가 주로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위치의 양단부부근에서 결합되고, 상기 제2 캠부와 상기 제2 캠결합부가 주로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위치의 중간부부근에서 결합되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 및 제2 캠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 및 제2 캠부의 상기 제1 캠결합부 및 상기 제2 캠결합부에 결합되는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은 각각 반원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의 상기 제1 캠결합부에 결합되는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은 반원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캠부의 상기 제2 캠결합부에 결합되는 지름방향 외측의 결합면은 선단이 둥근 삼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 캠결합부는, 상기 스풀축과 직교하는 제1축 및 상기 제1축에 직교하고,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심을 취하는 제2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축상에서 상기 제1 캠결합부의 간격이 상기 제2 캠결합부의 간격보다 좁고, 상기 제2축으로부터 상기 제1 축방향의 양측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1 캠부의 간격이 차차 넓어지고, 도중에서 상기 제2 캠부의 간격보다 넓어지는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KR1020010037569A 2000-09-18 2001-06-28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KR100722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81786A JP2002101792A (ja) 2000-09-18 2000-09-18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00-281786 2000-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124A true KR20020022124A (ko) 2002-03-25
KR100722534B1 KR100722534B1 (ko) 2007-05-28

Family

ID=1876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569A KR100722534B1 (ko) 2000-09-18 2001-06-28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655620B2 (ko)
EP (1) EP1188373B1 (ko)
JP (1) JP2002101792A (ko)
KR (1) KR100722534B1 (ko)
CN (1) CN1234269C (ko)
AT (1) ATE271777T1 (ko)
AU (1) AU782987B2 (ko)
DE (1) DE60104496T2 (ko)
MY (1) MY127163A (ko)
SG (1) SG103838A1 (ko)
TW (1) TW4939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2010A1 (en) * 2001-12-31 2003-07-03 Wiest Timothy A. Uniform oscillation system
JP2004081077A (ja) * 2002-08-26 2004-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4299180B2 (ja) * 2003-08-27 2009-07-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SG112961A1 (en) * 2003-12-09 2005-07-28 Shimano Kk Spinning-reel oscillating device
US20070029425A1 (en) * 2005-07-25 2007-02-08 Young John N Fishing reel oscillation
US7300010B2 (en) * 2005-11-01 2007-11-27 Young John N Spool oscillation
US7290728B1 (en) * 2006-05-16 2007-11-06 Shakespeare Company, Llc Oscillation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CN103004714B (zh) * 2012-11-30 2015-07-08 宁波海宝渔具有限公司 一种具有往复机构的钓鱼用纺车式渔线轮
CN103875621B (zh) * 2013-10-21 2017-06-16 东莞市凯特渔具制造有限公司 纺车式渔线轮凸轮传动机构
CN108990931A (zh) * 2017-06-07 2018-12-14 纯钓日本公司 钓鱼用纺车式渔轮
US10668634B2 (en) * 2018-09-24 2020-06-02 Conair Corporation Oscillating rotary shaver
CN114192063B (zh) * 2021-11-19 2023-08-15 郑州三华科技实业有限公司 移动组件及注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8386A (en) * 1949-07-15 1950-10-31 Mannie I Napper Mechanical movement for the conversion of reciprocating and rotary motion
GB1098141A (en) 1963-11-29 1968-01-10 Morritt Ltd 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shing reels
FR2705865B1 (fr) * 1993-06-03 1995-07-21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êche à rangement compensé du fil.
US6000653A (en) * 1996-01-31 1999-12-14 Ryobi Limited Spinning reel
JP3292366B2 (ja) * 1996-09-09 2002-06-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6264125B1 (en) * 1999-12-09 2001-07-24 Brunswick Corporation Asymmetric oscillation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US6394379B1 (en) 2000-05-16 2002-05-28 Pure Fishing, Inc. Spinning reel with uniform velocity spool
JP2001321041A (ja) * 2000-05-18 2001-11-2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215301A (en) 2002-03-21
EP1188373B1 (en) 2004-07-28
DE60104496D1 (de) 2004-09-02
ATE271777T1 (de) 2004-08-15
CN1344492A (zh) 2002-04-17
TW493972B (en) 2002-07-11
US20020033427A1 (en) 2002-03-21
JP2002101792A (ja) 2002-04-09
US6655620B2 (en) 2003-12-02
EP1188373A1 (en) 2002-03-20
MY127163A (en) 2006-11-30
KR100722534B1 (ko) 2007-05-28
AU782987B2 (en) 2005-09-15
SG103838A1 (en) 2004-05-26
DE60104496T2 (de) 2005-08-04
CN1234269C (zh) 200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534B1 (ko) 스피닝릴의 왕복이동기구
JP4222634B2 (ja) 補強親ネジ
US7500631B2 (en) Gear mounting structure for fishing reel
TWI272903B (en) Reciprocating device for spinning reel
KR20010105169A (ko) 스피닝릴의 왕복이동장치
KR101058366B1 (ko)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장치
US6170773B1 (en) Spinning reel having a uniform longitudinal spool movement
JP2016220621A5 (ko)
US5513814A (en) Fishing reel with compensated line storage
TWI327894B (en) Spinning reel oscillating device
US6082650A (en) Spinning fishing reel having a uniform longitudinal spool movement
JP43141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オシレーティング機構
JPH0615928Y2 (ja) 線材巻取機のトラバース装置
JPH10191846A (ja) 魚釣り用リールの摺動機構
JP320966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211975850U (zh) 一种amt变速箱执行机构
JP200017559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0619789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16926789A (zh) 一种抬牙机构及缝纫机
KR100342364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로터 구동장치
JP339226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往復動装置
KR920008580Y1 (ko) 낚시용 스피닝릴의 스풀 왕복 이동장치
JP200405716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KR20010000595U (ko) 오실레이팅 슬라이더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