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991A -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991A
KR20020020991A KR1020010046199A KR20010046199A KR20020020991A KR 20020020991 A KR20020020991 A KR 20020020991A KR 1020010046199 A KR1020010046199 A KR 1020010046199A KR 20010046199 A KR20010046199 A KR 20010046199A KR 20020020991 A KR20020020991 A KR 20020020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digital
voice
discri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바야시노부유키
후지이겐
Original Assignee
사토 히로시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히로시,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2002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6Storage of analogue signals in digital stores using an arrangement comprising analogue/digital [A/D] converters, digital memories and digital/analogue [D/A] conver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6Solid state au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데이터의 개서 유무를 확실하고 단시간에 판별한다.
외부 메모리(M)로의 기록 데이터(DS2)의 기록, 및 외부 메모리(M)에 기록된 기록 데이터(DS2)에 기초한 재생을 행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1)에 있어서, 기록 데이터(DS2)의 개서 유무 판별용의 판별용 데이터(DID)를 생성하는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4)와, 내부 메모리(11)와, 판별용 데이터(DID)를 외부 메모리(M)에 기록함과 동시에 기록 데이터(DS2)의 FAT 데이터(Df) 내에 기록하는 파일명에 대응시켜 판별용 데이터(DID)를 내부 메모리(11)에 기록하는 제어부(10)를 구비하고, 제어부(10)는 외부 메모리(M)로부터 기록 데이터(DS2)를 읽어들였을 때, 그 기록 데이터(DS2)에 대한 FAT 데이터(Df) 내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판별 데이터(DID)가 내부 메모리(11)에 존재할 때, 그 판별 데이터(DID)와 읽어들인 기록 데이터(DS2) 내의 판별용 데이터(DID)를 비교하여, 다를 때 소정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외부 메모리를 기록 매체로 하여 기록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로서, 카드형 착탈식 메모리(이하, 「메모리 카드」라 한다)를 기록 매체로서 사용하는 음성 기록 재생 장치가 존재한다. 이 음성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시킨다. 이 경우, 이러한 종류의 음성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카드로의 음성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된 시점에서 그 음성 데이터에 대한 FAT(FileAllocation Table)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의 FAT 데이터 기록 영역에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음성 재생시에는 FAT 데이터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로부터 읽어낸 후, 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변환함으로써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부터 방음(放音)한다.
그런데, 이 음성 기록 재생 장치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즉, 이 음성 신호 재생 장치에서는,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범용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메모리 카드는 음성 기록 재생 장치로부터 떼내어 다른 음성 기록 재생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 한다」)에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며, 게다가 그 음성 기록 재생 장치나 PC에 의해 음성 데이터에 기초한 음성의 재생이나 음성 데이터의 편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 음성 데이터가 부정하게 개서되어 버릴 위험이 있다. 한편, 디지털식 음성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기록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아날로그식 음성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기록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와는 달리,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의 일부가 바꿔쓰기 되었다 해도, 처음에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어 있었던 음성 데이터와, 바꿔쓰기 된 음성 데이터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종래의 음성 기록 재생 장치에는 그 음성 데이터가 바꿔쓰기 되었는지, 나아가서는 음성 데이터의 진위를 판별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 경우, 극히 보통으로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바꿔쓰기했을 때는, 그 음성데이터에 대한 FAT 데이터가 새로운 음성 데이터에 대한 FAT 데이터로 개서되므로, 날짜 정보나 기록 어드레스 정보가 처음에 음성 데이터를 기록했을 때의 FAT 데이터와는 다른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했을 때, 그 음성 데이터에 대한 FAT 데이터를 내장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음성 데이터에 기초한 음성의 재생시에 메모리 카드와 내장 메모리에 각각 기억되어 있는 양 FAT 데이터의 동일성을 판별함으로써, 음성 데이터가 개서되었는지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FAT 데이터 자체를 개서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예를 들면 부정으로 음성 데이터를 개서하여, 개서 전의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FAT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내용의 FAT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FAT 데이터가 복원된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가 개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개서의 유무를 판별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편, 제 3자에 의한 음성 데이터의 개서를 방지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에 소정의 식별 코드를 미리 기록하고, 그 메모리 카드에 대해 음성 데이터를 처음에 기록한 음성 기록 재생 장치만이 음성 데이터의 개서를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나, 음성 데이터 자체를 암호화함으로써, 다른 음성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한 음성 데이터의 개서를 불가능하게 하는 기술 등이 이미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기술에 의하면 기록 데이터의 개서를 방지할 수 있는 반면, 메모리 카드에 식별 코드를 미리 기록시켜 둬야할 필요상, 방대한 수의 메모리 카드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식별 코드를 미리 기록하지 않으면 안 되어, 그 결과 식별 코드 자체가 복잡하며 대용량의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의 귀중한 데이터 기록 가능영역이 대용량의 식별 코드에 의해 점령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 복잡하고 대용량의 식별 코드에 대한 동일성의 판별 처리는 장시간을 요하며, 또한 고도의 판별 프로그램과 고성능의 제어부를 필요로 하므로, 기록 재생 장치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음성 데이터 자체를 암호화하는 후자의 기술에는 복잡한 암호화 처리에 기인하여 음성 데이터의 기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짐과 동시에, 재생시에는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의 복호화 처리에 기인하여 음성 데이터의 재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성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행하기 위한 고도의 처리 프로그램과 고성능의 제어부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고, 기록 데이터의 개서의 유무를 확실하고 단시간에 판별 가능한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M)에서의 기록 영역의 일례를 나타낸 영역 맵,
도 3은 음성 데이터(DS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데이터 구성도,
도 4는 음성 데이터(DS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데이터 구성도,
도 5는 음성 데이터 본체(DSD)의 일부가 개서된 음성 데이터(DS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데이터 구성도,
도 6은 음성 데이터(DS3)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데이터 구성도,
도 7은 음성 데이터 본체(DSD)의 일부가 개서된 음성 데이터(DS3)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데이터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성 기록 재생 장치 2 … 음성 신호 입력부
3 … 음성 데이터 생성부 4 … ID 생성부
6 … 음성 신호 생성부 7 … 음성 신호 출력부
10 … 제어부 11 … EEPROM
21 … 마이크 22a, 22b … 앰프
24 … A/D 변환 회로 25 … 데이터 압축 회로
26 … 데이터 신장 회로 27 … D/A 변환 회로
DAD … ID 데이터 기록 어드레스 정보 Df … FAT 데이터
DID … ID 데이터 DS1 ∼ DS3 … 음성 데이터
DSA … 헤더 정보 기록부 DSB … 데이터 본체 기록부
DSD … 음성 데이터 본체 M … 메모리 카드
Ss, SSI, SSO … 아날로그 음성 신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는,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를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메모리로의 기록 데이터의 기록, 및 해당 외부 메모리에 기록된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재생을 행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데이터의 개서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내부 메모리와, 상기 기록 데이터의 일부로서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상기 외부 메모리에 기록함과 동시에 해당 기록 데이터에 대한 FAT 데이터 내에 기록해야할 파일명에 대응시켜 해당 판별용 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해당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로부터 상기 기록 데이터를 읽어들였을 때, 그 읽어들인 기록 데이터에 대한 FAT 데이터 내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상기 판별 데이터가 상기 내부 메모리에 존재할 때, 그 판별 데이터와 읽어들인 기록 데이터 내의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를 때 소정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메모리로의 상기 기록 데이터의 기록시에, 해당 기록 데이터에서의 헤더 정보 기록부에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메모리로의 상기 기록 데이터의 기록시에, 해당 기록 데이터에서의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기록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복수의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판별용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분산 기록함과 동시에 각 판별용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 정보를 해당 기록 데이터에 대한 상기 파일명에 대응시켜 상기 내부 메모리에 각각 기록하고, 또한 상기 외부 메모리로부터 상기 기록 데이터를 읽어들였을 때, 그 읽어들인 기록 데이터에 대한 상기 파일명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기록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분산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판별 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파일명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각 판별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각 판별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판별용 데이터의 기록 간격을 랜덤하게 규정하여 상기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분산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교한 양 판별용 데이터끼리가 서로 다를 때는, 상기 소정 처리로서 상기 읽어들인 기록 데이터가 개서되어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양 판별용 데이터끼리가 동일할 때는, 상기 읽어들인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재생을 그대로 허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기록 데이터의 기록일에 대응하는 날짜 정보를 상기 판별용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가 랜덤하게 발생시킨 수치 정보를 상기 판별용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록 데이터로서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신호 입력부와,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함과 동시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외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신장시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를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음성 기록 재생 장치(1)는 휴대형 보이스 레코더로서, 메모리 카드(M)를 기록 매체로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생성한 음성 데이터의 메모리 카드(M)로의 기록, 및 메모리 카드(M)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생성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재생 등을 실행한다. 이 경우, 메모리 카드(M)는 본 발명에서의 외부 메모리에 상당하고, 반도체 소자를 수지로 봉지한 범용의 카드형 착탈식 메모리가 사용되고 있다. 또, 메모리 카드(M)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록 영역이 음성 데이터(DS2, DS2‥)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Ma)과, 음성 데이터(DS2, DS2‥)의 각각에 대한 파일명, 기록일 및 기록 어드레스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는 FAT 데이터(Df)를 기록하는 FAT 데이터 기록 영역(M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DS2)는 그 파일 속성이나 타이틀명이 포함된 헤더 정보(DSH)를 기록하는 헤더 정보 기록부(DSA)와, 본 발명에서의 음성 데이터에 상당하는 음성 데이터 본체(DSD), 및 본 발명에서의 판별용 데이터에 상당하는 ID 데이터(DID, DID‥)를 기록하는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에 1파일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음성 기록 재생 장치(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신호 입력부(2), 음성 데이터 생성부(3), ID 생성부(4), 메모리 인터페이스부(5), 음성 신호생성부(6), 음성 신호 출력부(7), 조작부(8), 표시부(9), 제어부(10), EEPROM(11), RAM(12) 및 ROM(13)을 구비하고 있다.
음성 신호 입력부(2)는 음성을 집음(集音)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SSI)를 출력하는 마이크(21)와, 입력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SSI)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앰프(22a)와, 증폭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SSI)를 저역 필터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Ss)을 통과시키는 LPF(23)를 구비하고 있다. 음성 데이터 생성부(3)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 회로(24)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하여 음성 데이터 본체(DSD)를 생성하는 데이터 압축 회로(25)를 구비하고 있다. ID 생성부(4)는 본 발명에서의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에 상당하고, 음성 데이터(DS2)의 메모리 카드(M)로의 기록 일시에 대응하는 예를 들면 2바이트의 날짜 정보와, 제어부(10)의 제어하에서 랜덤하게 발생시킨 예를 들면 1바이트의 수치 정보와,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DS1)의 파일 용량을 나타낸 1바이트의 파일 용량 데이터로 전체적으로 4바이트 정도의 수치 데이터를 ID 데이터(DID)로서 생성한다. 이 경우, ID 생성부(4)는 예를 들면 1바이트의 수치 정보로서, 랜덤하게 발생시킨 1바이트의 난수나, 오퍼레이터가 미리 입력한 패스워드와 난수를 조합한 수치 정보를 생성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부(5)는 메모리 카드(M)를 장착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메모리 카드(M)에 대해 제어부(10)의 제어하에서 음성 데이터(DS1), ID 데이터(DID) 및 FAT 데이터(Df)의 기록과, 음성 데이터(DS1) 및 ID 데이터(DID)로 이루어지는 음성 데이터(DS2)나 FAT 데이터(Df)의 메모리 카드(M)로부터의 독출을 실행한다.
음성 신호 생성부(6)는 음성 데이터 본체(DSD)를 신장시켜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하는 데이터 신장 회로(26)와, 그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로 변환하는 D/A 변환 회로(27)를 구비하고 있다. 음성 신호 출력부(7)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를 소정 대역에서 필터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BPF(28)와, BPF(28)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SSO)를 출력하는 앰프(22b)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SSO)를 방음하는 스피커(29)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이어폰 잭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어폰 잭에 이어폰이 접속되었을 때는 스피커(29)를 대신하여 이어폰으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SSO)가 방음된다.
조작부(8)는 녹음 버튼, 재생 버튼, 빨리감기 버튼, 되감기 버튼, 정지 버튼, 메뉴 버튼 및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이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9)는 LCD 패널로 구성되고, 메모리 카드(M)의 기록 가능 잔용량, 녹음·재생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 및 각종 메시지의 표시, 및 도시하지 않은 밧데리의 잔용량 등을 표시한다. 제어부(10)는 예를 들면 16비트 CPU로 구성되며, 음성 신호 입력부(2), 음성 데이터 생성부(3), ID 생성부(4), 음성 신호 생성부(6) 및 음성 신호 출력부(7)에 대한 조작부(8)의 버튼 조작에 따른 제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5)를 통한 메모리 카드(M)에 대한 기록 제어, 및 메모리 카드(M)로부터의 독출 제어 등을 실행한다. EEPROM(11)은 본 발명에서의 내부 메모리에 상당하고,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의 초기 설정값 데이터(DCD), ID 생성부(4)에 의해 생성된 ID 데이터(DID), ID 데이터 기록 어드레스 정보(DAD) 및 FAT 데이터(Df) 등을 기억한다. RMA(12)은 메모리 카드(M)에 기록중인 음성 데이터(DS1), ID 데이터(DID), 음성 데이터(DS1)에 대한 FAT 데이터(Df), 및 제어부(10)의 연산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 ROM(13)은 제어부(10)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다음으로,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의 기본적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전원 스위치가 투입되면 제어부(10)가 EEPROM(11)으로부터 초기 설정값 데이터(DCD)를 독출한 후, 각 회로에 대해 초기 설정을 행함과 동시에 초기 화면(도시 생략)을 표시부(9)에 표시시킨다. 이어서, 제어부(10)는 메모리 카드(M)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5)에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별하여, 메모리 카드(M)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는,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9)에 표시시킨다. 한편, 메모리 카드(M)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별했을 때는, FAT 데이터 기록 영역(Mb)으로부터 FAT 데이터(Df)를 읽음으로써, 메모리 카드(M)의 기록 가능 용량 및 기록 가능 잔용량 등의 카드 정보를 메모리 카드(M)로부터 취득하여 RAM(12)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기록 가능 잔용량에 기초하여 산출한 기록 가능 시간 등의 메모리 정보를 연산하여 표시부(9)에 표시시킨다.
그 후, 제어부(10)는 조작부(8)에서의 버튼 조작을 감시하여, 버튼 조작을 검지했을 때는 어느 버튼이 조작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이 때, 녹음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는 후술하는 녹음 처리를 실행하고, 재생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는 후술하는 재생 처리를 실행하고, 또 메뉴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는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 화면이나 보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기능 화면을 선택하는 메뉴 화면을 표시부(9)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조작부(8)의 버튼 조작에 따라 동작 조건의 설정 등의 각종 설정 처리를 실행하고, 전원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는 표시부(9)의 표시 화면을 소거하여 전원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녹음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처리에서는 먼저 제어부(10)가, 음성 신호 입력부(2)를 통해 입력되며 음성 데이터 생성부(3)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 본체(DSD)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DS1)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앰프(22a)가 마이크(21)를 통해 입력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SSI)를 증폭하여, LPF(23)가 아날로그 음성 신호(SSI)를 필터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A/D 변환 회로(24)가 제어부(10)의 제어하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데이터 압축 회로(25)가 그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하여 음성 데이터 본체(DSD)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부(10)가 파일 속성이나 타이틀명 등의 헤더 정보(DSH)를 음성 데이터 본체(DSD)에 부가함으로써, 음성 데이터(DS1)를 생성한다. 이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DS1)는 헤더 정보(DSH)가 기록되어 구성되는 헤더 정보 기록부(DSA)와, 음성 데이터 본체(DSD)가 기록되어 구성되는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어부(10)는 그 음성 데이터(DS1)를 RAM(12)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이 경우, 기록 개시 시점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음성 데이터(DS1)로서, 예를 들면 그 음성 데이터 본체(DSD)에 대한 헤더 정보(DSH)를 선두의 1바이트부터90바이트에 부가하고, 91바이트 이후에 음성 데이터 본체(DSD)를 부가하여 RAM(12)에 기억시킨다.
그 후, 제어부(10)는 정지 버튼이 조작되기까지 음성 데이터(DS1)의 생성을 계속하여 실행한다. 그 동안 제어부(10)는 RAM(12)으로부터 음성 데이터(DS1)를 읽어내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5)를 통해 메모리 카드(M)의 데이터 기록 영역(Ma)에 차례로 기록한다. 이 때, 제어부(10)는 메모리 카드(M)에 기록한 음성 데이터(DS1)에 대한 파일명, 기록일 및 기록 어드레스 정보 등을 FAT 데이터(Df)로서 RAM(12)의 기록 영역 내에 기록하고, 새로운 음성 데이터(DS1)를 메모리 카드(M)에 기록할 때마다, 그 기록 어드레스 정보를 FAT 데이터(Df)에 추가 기록한다. 또, 제어부(10)는 음성 데이터(DS1)의 기록중에 정지 버튼의 조작에 의해 녹음이 정지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정지되어 있지 않을 때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부(5)로부터 메모리 카드(M)가 떼내어졌는지를 판별한다. 떼내어져 있지 않을 때는, 제어부(10)는 음성 데이터(DS1)의 생성과, 메모리 카드(M)로의 기록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마이크(21)로 집음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DS1)를 메모리 카드(M)의 데이터 기록 영역(Ma)에 차례로 기록한다. 한편, 녹음 처리중에 메모리 카드(M)가 떼내어졌다고 판별했을 때는, 제어부(10)는 음성 데이터(DS1)의 기록을 중단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가 떼내어졌습니다. 메모리 카드를 장착해 주세요」라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9)에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정지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는, ID 생성부(4)가 제어부(10)의 제어하에서 메모리 카드(M)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DS1)의 데이터량에 따라 복수의 ID 데이터(DID, DID‥)를 생성하고, 제어부(10)가 그 ID 데이터(DID, DID‥)를 RAM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이 때, ID 생성부(4)는 데이터량의 크기에 거의 비례하는 수의 ID 데이터(DID)를 생성한다. 즉, 큰 음성 데이터(DS1)에 대해서는 다수의 ID 데이터(DID, DID‥)를 생성하고, 데이터량이 작은 음성 데이터(DS1)에 대해서는 소수의 ID 데이터(DID, DID‥)를 생성한다. 이 경우, 비례정수는 임의로 규정할 수 있다. 한편, 그 수가 많을수록 ID 데이터(DID)의 부정한 개서를 곤란하게 할 수 있으나, 너무 많으면 ID 데이터(DID)의 데이터량이 증가하여 처리량도 증가한다. 일례로서 음성 데이터를 기록할 때, 음성 데이터(DS1)의 1초당 4바이트의 ID 데이터(DS1)를 하나 기록시킨다고 하면, ID 데이터(DID)의 데이터량은 음성 데이터(DS1)의 1분당 240바이트(4·60)가 된다. 한편, 예를 들면 이미 개발되어 있는 각종 음성 압축 기술중의 특정한 하나를 채용한 경우, 음성 데이터(DS1)의 데이터량은 1분당 약 64000바이트의 용량이 된다. 그 때문에, 이 예에서는 음성 데이터(DS1)의 데이터량(약 64000바이트)에 대해 약 0.4% 증가한다. 그러나, 이 정도의 증가라면 실용적으로 충분히 작은 데이터량이라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DS1)의 1초당 하나 또는 수 개 정도의 ID 데이터(DID)가 생성되는 비례정수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어부(10)가 RAM(12)으로부터 차례로 읽어낸 ID 데이터(DID)를 메모리 카드(M)의 음성 데이터(DS1)에서의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에 랜덤하게 정한 기록 간격으로 분산 기록시킨다. 이 경우, 기록 간격으로는 임의의 간격으로 규정할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DS1)의 1초당 하나의 ID데이터(DID)를 기록하는 경우, 예를 들면 이하의 방식으로 기록한다. 즉, 1 ∼ 256까지의 수치를 랜덤하게 발생시키는 난수 발생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많은 난수를 발생시키고, 이 때 각 난수를 수치 「128」로 각각 나눈다. 이 경우, 나눈 각 값의 평균값은 이상적으로는 값 「1」이 된다. 따라서, 난수 발생기로 발생시킨 각 난수를 수치「128」로 나눈 시간(값 05면 0.5초)에 상당하는 양의 음성 데이터(DS1)를 기록할 때마다, 소프트웨어 인터럽션이나 타이머 인터럽션 등으로 인터럽션을 발생시켜, 그 각 인터럽션마다 각 ID 데이터(DID)를 각각 기록한다. 그 결과, ID 데이터(DID)는 음성 데이터(DS1)의 1/128초 ∼ 2초중의 1/128초단위중 어느 한 시간에 상당하는 랜덤한 간격으로 기록된다. 또한, 예를 들면 20MHz 클럭으로 작동하는 16비트 CPU라면 ID 데이터(DID)용 난수의 발생 처리, 난수 ID 데이터(DID)의 RAM(12)으로의 기록 처리, 기록 간격용 난수의 발생 처리, 발생시킨 기록 간격용 난수에 기초한 상기 연산 처리, 및 ID 데이터(DID)의 RAM(12)으로부터 메모리 카드(M)로의 전송 기록 처리를 1나노초 이내에 충분히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음성 데이터(DS1)의 기록 처리중에, 난수 발생기를 사용한 기록 간격 결정용 연산 처리를 문제없이 실행할 수 있다. 또, 발생시킨 난수의 각 값에 따라서는 음성 데이터(DS1)의 데이터량과 ID 데이터(DID)의 수가 반드시 비례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비례정수에 따른 수보다도 약간 많은 ID 데이터(DID)를 미리 생성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 간격의 결정시마다 ID 데이터(DID)를 생성했다 하더라도, 음성 데이터(DS1)의 기록 처리는 시간적으로 충분히 가능하다. 그 때문에, 기록 간격을 먼저 결정하고, 그 때마다ID 데이터(DID)를 생성하여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각 ID 데이터(DID)는 4바이트 정보중의 3바이트 정보(2바이트의 날짜정보 및 1바이트의 파일 용량 데이터)가 동일 내용으로 랜덤하게 발생시킨 1바이트의 수치 정보만이 다르므로, 어느 일정한 확률(1/256)로 동일 내용이 된다. 그러나, 그 확률이 작고,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에 랜덤한 기록 간격으로 분산 기록되므로, 고도의 기술을 갖는 자에게 있어서도 모든 ID 데이터(DID)의 존재 자체를 식별하는 것이 곤란한데다, 그 존재 부분의 모두를 특정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모든 ID 데이터(DID)를 개서하지 않고 음성 데이터(DS1)만을 개서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지므로, 부정한 음성 데이터(DS1)의 개서를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그 결과, ID 데이터(DID)의 데이터량을 작은 용량으로 억제하면서, 극히 실용적인 데이터 개서 판별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는 각 ID 데이터(DID)를 기록한 데이터 기록 영역(Ma) 상의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는 ID 데이터 기록 어드레스 정보(DAD)를 그 ID 데이터(DID)에 대응시켜 ID 데이터(DID)와 함께 EEPROM(11)에 차례로 기록시킨다. 이 때, 제어부(10)는 음성 데이터(DS1)에 대해 RAM(12)에 기억되어 있는 FAT 데이터(Df)에 각 ID 데이터(DID)에 대한 기록 어드레스 정보를 차례로 추가 기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DS1)에서의 음성 데이터 본체(DSD)에 ID 데이터(DID, DID‥)를 삽입한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DS2)로 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0)는 모든 ID 데이터(DID, DID‥)의 기록을 끝내고 음성 데이터(DS2)의 메모리 카드(M)로의 기록이 완료한 후에, 음성 데이터(DS1)에 대한 FAT 데이터(Df)에 ID 데이터(DID, DID‥)의 기록 어드레스 정보를 추가한 FAT 데이터(Df)(즉, 음성 데이터)(DS2)에 대한 FAT 데이터(Df))를 RAM(12)으로부터 읽어내어, 메모리 카드(M)의 FAT 데이터 기록 영역(Mb)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그 FAT 데이터(Df)를 음성 데이터(DS2)의 파일명에 대응시켜 EEPROM(11)에 기록한다. 이에 의해, 녹음 처리가 완료된다.
이어서, 상술한 재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처리에서는 먼저 제어부(1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5)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M)의 FAT 데이터 기록 영역(Mb)으로부터 FAT 데이터(Df)를 읽어내어 RAM(12)에 기억시킨다. 이어서, 제어부(10)는 그 FAT 데이터(Df)에 기초하여 데이터 기록 영역(Ma) 내의 음성 데이터(DS2, DS2‥)에서의 각 헤더 정보(DSH, DSH‥)를 읽어, 그 타이틀명을 표시부(9)에 일람 표시시킨다. 이어서, 어느 한 타이틀명이 선택된 상태에서 조작부(8)의 재생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부(10)는 그 타이틀명이 붙여진 음성 데이터(DS2)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ID 데이터(DID, DID‥)가 EEPROM(11)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 기록되어 있지 않을 때는 제어부(10)는 그 음성 데이터(DS2)에 ID 데이터(DID)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여, 통상적으로 음성을 재생한다.
한편, 파일명에 대응한 ID 데이터(DID)가 EEPROM(11)에 기록되어 있을 때는, 제어부(10)는 그 음성 데이터(DS2)가 개서되었는지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그 음성 데이터(DS2)에 대한 FAT 데이터(Df) 내의 날짜 정보와, 그 음성 데이터(DS2)에 대응되어 EEPROM(11)에 기록한 FAT 데이터(Df) 내의 날짜 정보를 비교한다. 이 경우, 일반적인 오퍼레이터가 PC나 다른 음성 기록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메모리 카드(M) 내의 음성 데이터(DS2)를 개서한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M)에 기록되어 있는 FAT 데이터(Df) 내의 날짜 정보가 처음에 음성 데이터(DS2)를 기록했을 때의 FAT 데이터(Df) 내의 날짜 정보와는 다른 날짜로 개서된다. 그 때문에, 메모리 카드(M) 및 EEPROM(11)의 양쪽에 각각 기록된 FAT 데이터(Df, Df)의 날짜 정보가 다를 때는 제어부(10)는 음성 데이터(DS2)가 개서되었다고 판별하여,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가 개서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9)에 표시시킨다(본 발명에서의 「기록 데이터가 개서되었다는 것의 통지」에 상당한다). 이 때, 다시 재생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부(10)는 FAT 데이터(Df)의 기록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 카드(M)로부터 음성 데이터(DS2)를 읽어내어, 음성 신호 생성부(6)에 대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를 생성시킴과 동시에 음성 신호 출력부(7)에 대해 음성을 재생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가 메모리 카드(M)로부터 음성 데이터(DS2)를 읽어냄과 동시에, 그 음성 데이터(DS2)로부터 헤더 정보(DSH)를 제거한 음성 데이터 본체(DSD)를 데이터 신장 회로(26)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술한 기록 처리시에서 음성 데이터 본체(DSD)와 함께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에 기록되며, 또한 음성 데이터(DS2)의 개서시에 새로운 음성 데이터 본체(DSD)가 바꿔쓰기 되지 않고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에 남은 ID 데이터(DID, DID‥)는 음성 데이터 본체(DSD)의 일부로서 데이터 신장 회로(26)로 전송된다. 이어서, 데이터 신장 회로(26)가 음성데이터 본체(DSD)를 신장시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D/A 변환 회로(27)가 그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로 변환한다. 계속해서, BPF(28)가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를 필터하고, 앰프(22b)가 필터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를 증폭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SSO)를 생성해 스피커(29)로부터 방음시킨다. 그 결과, 음성 데이터(DS2)에 기초한 음성이 재생된다. 이 때, 음성 데이터 본체(DSD)의 일부로서 데이터 신장 회로(26)로 전송된 ID 데이터(DID)는 무음(無音)으로 재생된다.
한편, 상술한 양 FAT 데이터(Df, Df) 내의 날짜 정보의 비교시에, 양 날짜 정보가 동일하다고 판별했을 때는, 제어부(10)는 음성 데이터 본체(DSD)와 함께 데이터 기록 영역(Ma)에 기록되어 있는 ID 데이터(DID, DID‥)와, 음성 데이터(DS2)의 파일명에 대응되어 EEPROM(11)에 기록한 ID 데이터(DID, DID‥)를 차례로 비교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EEPROM(11)에 기록되어 있는 ID 데이터 기록 어드레스 정보(DAD)를 읽어내어 RAM(12)에 기억시키고, 그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 카드(M)로부터 ID 데이터(DID, DID‥)를 차례로 읽어내어 RAM(12)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RAM(12)에 기억시킨 각 ID 데이터(DID, DID‥)와, 음성 데이터(DS2)에 대응되어 EEPROM(11)에 기록된 각 ID 데이터(DID, DID‥)를 개별적으로 비교한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DS2)에서의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의 A1 - A2 사이가 개서되었을 때는, 개서 전에 A1 - A2간에 기록되어 있었던 ID 데이터(DID, DID)(파선으로 나타낸다)가 새로운 음성 데이터본체(DSD)의 바꿔쓰기에 의해 소거된다. 따라서, ID 데이터 기록 어드레스 정보(DAD)에 기초하여 읽어낸 ID 데이터(DID, DID)는 개서에 의해 바꿔쓰기된 새로운 음성 데이터 본체(DSD)가 되므로, 처음에 음성 데이터(DS2)를 기록했을 때 기입한 ID 데이터(DID, DID)와는 다른 데이터 내용이 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10)는 메모리 카드(M)로부터 읽어들여 RAM(12)에 기억시킨 ID 데이터(DID, DID‥)와, EEPROM(11)에 기록되어 있는 ID 데이터(DID, DID‥)가 다를 때는 음성 데이터(DS2)가 개서된 것으로 판별하여,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가 개서되었습니다」라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9)에 표시시킨다. 이 때, 다시 재생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부(10)는 메모리 카드(M)로부터 읽어낸 FAT 데이터(Df)에 따라 메모리 카드(M)로부터 음성 데이터(DS2)를 읽어내어, 음성 신호 생성부(6)에 대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를 생성시킴과 동시에 음성 신호 출력부(7)에 대해 음성을 재생시킨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음성 데이터(DS2)의 개서시에 새로운 음성 데이터 본체(DSD)에 의해 바꿔쓰기되지 않고 기록되어 있었던 ID 데이터(DID, DID‥)는 무음으로 재생된다.
또, 메모리 카드(M)에 기록된 ID 데이터(DID, DID‥)와 EEPROM(11)에 기록된 ID 데이터(DID, DID‥)가 동일하다고 판별했을 때는, 제어부(10)는 메모리 카드(M)로부터 읽어내어 RAM(12)에 기억시킨 FAT 데이터(Df)에 따라 메모리 카드(M)로부터 음성 데이터(DS2)를 읽어내어 아날로그 음성 신호(Ss)의 생성 및 음성의 재생을 행하게 한다. 이 때는, 제어부(10)가 메모리 카드(M)로부터 음성 데이터(DS2)를 읽어내어, 그 헤더 정보(DSH)를 제거한 후,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에 분산 기록되어 있는 ID 데이터(DID, DID‥)를 또한 제거함으로써 순수한 음성 데이터 본체(DSD)를 추출하여, 추출한 음성 데이터 본체(DSD)를 음성 신호 생성부(6)로 전송한다. 그 결과, 음성 신호 생성부(6)가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를 생성하고, 음성 신호 출력부(7)가 아날로그 음성 신호(SSO)를 생성하여 스피커(29)로부터 방음한다. 그 후, 정지 버튼이 조작되기까지 음성의 재생이 속행된다.
이렇게 이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에 의하면, 음성 데이터(DS2)에 기초한 음성의 재생시에, 메모리 카드(M) 및 EEPROM(11)의 양 쪽에 각각 기록된 양 FAT 데이터(Df, Df) 내의 날짜 정보를 판별함으로써, 통상의 기술을 갖는 일반적인 오퍼레이터에 의해 음성 데이터(DS2)가 개서되었는지를 비교적 단시간에 판별할 수 있다. 또, 이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에 의하면, 예를 들면 FAT 데이터(Df)의 복원이 가능한 고도의 기술을 갖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음성 데이터(DS2)가 개서되었다고 해도, 복수의 ID 데이터(DID, DID‥)를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 내에 랜덤하게 분산 기록함과 동시에 그 음성 데이터(DS2)의 FAT 데이터(Df) 내에 기록해야 할 파일명에 대응시켜 ID 데이터(DID, DID‥)와 ID 데이터 기록 어드레스 정보(DAD)를 EEPROM(11)에 기록하고, 또한 메모리 카드(M) 및 EEPROM(11)의 양 쪽에 각각 기억되어 있는 ID 데이터(DID, DID‥)끼리를 비교함으로써, 음성 데이터(DS2)의 개서의 유무를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ID 데이터(DID, DID‥)를 랜덤하게 분산 기록함으로써, 고도의 기술을 갖는 오퍼레이터에 있어서도 ID 데이터(DID, DID‥)의 기록 어드레스의 특정이 대단히 곤란하므로,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DS2)의 개서 후의 ID 데이터(DID, DID‥)의 복원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할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강고한 시큐러티 기능을 갖고, 증거 능력이 뛰어난 음성 데이터(DS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ID 데이터(DID, DID‥)를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에 기록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서의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영역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음성 데이터(DS3)와 같이 ID 데이터(DID)를 헤더 정보(DSH)와 함께 헤더 정보 기록부(DSA)에 기록해도 된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 본체(DSD)의 A1 - A2간이 개서되었을 때는, 헤더 정보(DSH)가 그 개서 내용에 따라 새로운 헤더 정보(DSH)로 개서되므로, 파선으로 나타낸 ID 데이터(DID)가 새로운 헤더 정보(DSH)로 개서된 결과, EEPROM(11)에 기록되어 있는 ID 데이터(DID)와는 다른 데이터가 된다. 이 ID 데이터(DID)의 기록 방법에 의하면, 음성 데이터(DS3)의 기록 용량에 관계없이, 녹음 개시시에 ID 데이터(DID)를 헤더 정보 기록부(DSA)에 기록할 수 있으므로, ID 데이터(DID)의 기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재생 처리시에는 복수의 ID 데이터(DID, DID‥)를 추출하여 비교하는 방식에 비해, 단시간에 개서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4바이트의 수치 정보를 ID 데이터(DID)로서 기록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서의 판별용 데이터의 데이터 내용 및 데이터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 기록 재생 장치(1, 1‥)마다 개별적으로 부여한 수치 정보를 ID 데이터(DID)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10)의 처리 능력에 따른 데이터량의 수치 정보를 ID 데이터(DID)로서 기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메모리 카드(M)에 복수의 음성 데이터(DS2, DS2‥)의 기록을 전제로 한 음성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그 음성 데이터(DS2, DS2‥)마다 개서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ID 데이터(DID)가 전체적으로 2바이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8바이트 이상의 ID 데이터(DID)는 그 생성이나 동일성의 판별 처리에 약간의 시간을 요함과 동시에, ID 데이터(DID)가 복잡해짐에 따라 판별 처리용 프로그램도 복잡해진다. 그 때문에, 4바이트 정도의 ID 데이터(DI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0)를 구성하는 CPU의 처리 능력에 따라 ID 데이터(DID)데이터량을 규정함으로써, 그 ID 데이터(DID)에 기초한 판별 처리를 고속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ID 데이터(DID, DID‥)를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 내에 분산시켜 기록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나의 ID 데이터(DID)(4바이트)를 1바이트마다 분할하여, 분할한 1바이트의 ID 데이터(DID)를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 내에 분산 기록해도 된다. 또, 랜덤한 기록 간격으로 ID 데이터(DID)를 기록시키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기록 간격으로 ID 데이터(DID)를 기록시킬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N(N은 자연수)개의 단어마다 또는 N개의 센텐스마다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며,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무음 데이터가 존재할 때는 그 무음 데이터 내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FAT 데이터(Df) 내에 기록해야 할파일명에 대응시켜 ID 데이터(DID)를 EEPROM(11)에 기록한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예를 들면 FAT 데이터(Df)에 기록해야 할 날짜 정보에 대응시켜 판별용 데이터를 EEPROM(11)에 기억시키고, 재생시에는 재생하는 음성 데이터(DS2)의 날짜 정보와 동일한 날짜 정보에 대응하는 ID 데이터(DID)가 EEPROM(11)에 기록되어 있을 때, 읽어낸 데이터 본체 기록부(DSB) 내의 ID 데이터(DID)와, EEPROM(11)에 기록되어 있는 ID 데이터(DID)를 비교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DS2)를 기록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서의 기록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DS2)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데이터나 수치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등의 각종 디지털 데이터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에서의 음성 데이터(DS2)에는 마이크(21)를 통해 집음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Ss)를 디지털 변환한 음성 데이터(DS2)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음성 신호 입력 단자나 광통신 및 무선통신을 통해 입력한 음성 신호에 기초한 음성 데이터나, 통신 단말을 통해 취득한 음성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외부 메모리에 대해서도, 메모리 카드(M)뿐만 아니라, 봉형상, 갈고리형상의 메모리나, 디스크형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매체 등, 각종 착탈식 메모리(착탈 가능하며 개서 가능한 각종 기억 매체)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내부 메모리에 대해서도 EEPROM(11)에 한정되지 않고, RAM 등의 기입 및 독출이 가능한 각종 메모리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EEPROM(11)에 기록한 FAT 데이터(Df), ID 데이터(DID) 및 ID 데이터 기록 어드레스 정보(DAD)를 데이터 백업용 메모리 카드(M) 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EEPROM(11)의 기록 용량을초과하는 수의 FAT 데이터(Df), ID 데이터(DID) 및 ID 데이터 기록 어드레스 정보(DAD)를 보존할 수 있으므로, EEPROM(11)이 소용량 타입이어도 보다 많은 음성 데이터(DS2, DS2‥)에 대한 개서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판별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와,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내부 메모리와, 외부 메모리에 기록한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의 파일명에 대응시켜 내부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가 기록 데이터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판별 데이터가 내부 메모리에 존재할 때, 외부 메모리 및 내부 메모리의 양 메모리에 각각 기록되어 있는 양 판별용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를 때 소정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이면서 기록 데이터의 개서의 유무를 확실하고 단시간에 판별할 수 있어, 이에 의해 판별 결과에 따라 적절한 재생 처리나, 기록 데이터가 개서되어 있다는 통지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 외부 메모리에 식별 코드를 미리 개별적으로 기억시켜 두는 방식과는 달리, 외부 메모리 자체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시장에 유통하는 값싼 외부 메모리를 기록 매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가 기록 데이터에서의 헤더 정보 기록부에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기록 데이터 자체의 데이터량이 확정되어 있지 않은 녹음 개시 직후에서도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 내에 기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재생 처리시에는 단시간에 독출 가능한 헤더 정보 기록부로부터 판별용 데이터를 읽어내어 동일성을 판별할 수 있으므로, 녹음 처리 및 재생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가 기록 데이터에서의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헤더 정보 기록부에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판별용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를 특정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기록 데이터의 개서 후에 판별용 데이터가 부정하게 복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과, 이 판별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데이터의 개서 유무를 확실히 판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가 기록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복수의 판별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어부가 그 판별용 데이터를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분산시켜 외부 메모리에 기록함과 동시에, 그 판별용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 정보를 판별용 데이터에 대응시켜 내부 메모리에 기록함으로써, 예를 들면 기록 데이터의 일부가 개서되었을 때는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분산 기록된 판별용 데이터가 바꿔쓰기 되므로, 내부 메모리에 기록한 판별용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그 개서의 유무를 확실히 판별할 수 있다. 또, 미리 규정된 수의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판별용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록 어드레스의 특정이 보다 곤란해지므로, 기록 데이터의 개서 후의 판별용 데이터의 부정한 복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별용 데이터의 수를 고정적으로 규정하는 방식에서는, 기록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작을 때는 대단히 좁은 간격으로 필요 이상으로 다수의 판별용 데이터가 기록되어 기록 데이터가 비대화하고,기록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클 때는 기록 데이터 내에 대단히 넓은 간격으로 판별용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에 기인하여, 기록 데이터의 부분적인 개서의 확실한 판별이 곤란해질 위험이 있다는 개선해야 할 점이 존재한다. 이에 대해, 기록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판별용 데이터의 기록 수를 규정함으로써, 기록 데이터의 비대화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록 데이터의 부분적인 개서의 유무를 확실히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가 복수의 판별용 데이터를 랜덤한 기록 간격으로 분산 기록함으로써, 판별용 데이터의 기록 간격을 미리 규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판별용 데이터에 대한 기록 어드레스의 특정이 더욱 곤란해지므로, 판별용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작은 용량으로 억제하면서, 기록 데이터의 개서 후의 판별용 데이터의 부정한 복원을 더욱 확실히 판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가 양 판별용 데이터끼리가 서로 다를 때는, 기록 데이터가 개서되어 있다는 것을 통지함으로써, 개서되어 있지 않은 기록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기록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그대로 속행할 수 있고, 기록 데이터가 개서되어 있을 때는 예를 들면 문자 및 기호의 표시나, 경고음에 의해 그것을 오퍼레이터에 통지함으로써, 재생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가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날짜의 날짜 정보를 포함시켜 판별용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고정적인 수치 정보 등을 판별용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방식과비교하여, 판별용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의 특정이 곤란해지므로, 간이하면서 기록 데이터의 개서의 유무를 보다 확실히 판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가 랜덤하게 발생시킨 수치 정보를 포함시켜 판별용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고정적인 수치 정보 등을 판별용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판별용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의 특정이 곤란해지므로, 기록 데이터의 개서 유무를 보다 확실히 판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같은 날짜에 기록 데이터를 기록했다 해도, 동일 내용의 판별용 데이터가 생성될 가능성이 저하하므로, 기록 데이터의 개서 유무를 더욱 확실히 판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개서가 용이한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보이스 레코더 등에 본 발명의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를 적용하여 음성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음성 데이터의 개서 유무를 확실히 판별할 수 있다.

Claims (15)

  1.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를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메모리로의 기록 데이터의 기록, 및 해당 외부 메모리에 기록된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재생을 행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데이터의 개서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내부 메모리와, 상기 기록 데이터의 일부로서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상기 외부 메모리에 기록함과 동시에 해당 기록 데이터에 대한 FAT 데이터 내에 기록해야 할 파일명에 대응시켜 해당 판별용 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해당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로부터 상기 기록 데이터를 읽어들였을 때, 그 읽어들인 기록 데이터에 대한 FAT 데이터 내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상기 판별 데이터가 상기 내부 메모리에 존재할 때, 그 판별 데이터와 읽어들인 기록 데이터 내의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를 때 소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로의 상기 기록 데이터의 기록시에, 해당 기록 데이터에서의 헤더 정보 기록부에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로의 상기 기록 데이터의 기록시에, 해당 기록 데이터에서의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복수의 상기 판별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판별용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분산 기록함과 동시에 각 판별용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 정보를 해당 기록 데이터에 대한 상기 파일명에 대응시켜 상기 내부 메모리에 각각 기록하고, 또한 상기 외부 메모리로부터 상기 기록 데이터를 읽어들였을 때, 그 읽어들인 기록 데이터에 대한 상기 파일명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기록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분산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판별 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파일명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각 판별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각 판별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판별용 데이터의 기록 간격을 랜덤하게 규정하여 상기 데이터 본체 기록부에 분산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한양 판별용 데이터끼리가 서로 다를 때는, 상기 소정 처리로서 상기 읽어들인 기록 데이터가 개서되어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기록일에 대응하는 날짜 정보를 상기 판별용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기록일에 대응하는 날짜 정보를 상기 판별용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는 랜덤하게 발생시킨 수치 정보를 상기 판별용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는 랜덤하게 발생시킨 수치 정보를 상기 판별용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용 데이터 생성부는 랜덤하게 발생시킨 수치 정보를 상기 판별용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록 데이터로서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신호 입력부와,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함과 동시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외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신장시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록 데이터로서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신호 입력부와,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함과 동시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외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신장시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록 데이터로서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신호 입력부와,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함과 동시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외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신장시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록 데이터로서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신호 입력부와,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함과 동시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외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신장시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KR1020010046199A 2000-09-13 2001-07-31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KR20020020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77535A JP2002091494A (ja) 2000-09-13 2000-09-13 ディジタル式記録再生装置
JPJP-P-2000-00277535 2000-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991A true KR20020020991A (ko) 2002-03-18

Family

ID=1876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199A KR20020020991A (ko) 2000-09-13 2001-07-31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99084B2 (ko)
EP (1) EP1189223A2 (ko)
JP (1) JP2002091494A (ko)
KR (1) KR20020020991A (ko)
CN (1) CN1343916A (ko)
TW (1) TW5148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964B1 (ko) * 2001-10-23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시아이 시스템 이중화 장치
WO2003084125A1 (fr) * 2002-03-29 2003-10-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procede et programme de traitement de contenus et support d'accumulation de contenus
US7198653B2 (en) * 2003-07-31 2007-04-03 Delavau Llc Calcium carbonate granulation
JP2005302095A (ja) * 2004-04-08 2005-10-27 Tdk Corp 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媒体評価装置
JP4655545B2 (ja) * 2004-08-23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メモリーカード及び再生装置
JP2006155269A (ja) * 2004-11-30 2006-06-15 Fuji Xerox Co Ltd 音声ガイドシステムおよびその音声ガイド方法
KR101070748B1 (ko) * 2005-05-19 201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재생장치의 파일정보 제공방법
DE102005061394A1 (de) * 2005-12-22 2007-06-28 Robert Bosch Gmbh Fehlertolerantes Prozessorsystem
US20080243516A1 (en) * 2007-03-26 2008-10-02 Majocha Jeffrey M Daily reminder key st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1520A (ja) * 1994-03-29 1995-10-20 Sanyo Electric Co Ltd 外部記憶装置を使用する情報処理装置
KR970003088A (ko) * 1995-06-28 1997-01-28 김광호 특정 기록포멧을 갖는 아이씨 카드 메모리 및 그로부터의 디지탈 음성 기록 및 재생 방법
JPH10190822A (ja) * 1996-12-27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録音再生許可機能付き電話装置
JPH11110141A (ja) * 1997-09-30 1999-04-23 Sony Corp 外部記憶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5902981A (en) * 1996-12-24 1999-05-11 Dethloff; Juerg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and restoring data of a portable chip-card if lost or stol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4264A (ja) * 1992-02-26 1993-09-10 Sony Corp 磁気記録および再生装置
US5960155A (en) * 1993-08-09 1999-09-28 Ricoh Company, Ltd. Electronic still camera
JPH07200000A (ja) 1993-12-29 1995-08-04 Olympus Optical Co Ltd ディジタル音声記録・再生装置
JPH08179986A (ja) * 1994-12-27 1996-07-12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734391B2 (ja) * 1995-01-18 1998-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メモリのファイル管理装置
CN1172245C (zh) * 1996-06-28 2004-10-20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方法及信息处理装置
JPH1040020A (ja) * 1996-07-19 1998-02-13 Canon Inc データ記録装置及びその方法
JPH11215472A (ja) * 1998-01-22 1999-08-06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3611964B2 (ja) * 1998-04-16 2005-01-19 富士通株式会社 記憶装置、記憶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1520A (ja) * 1994-03-29 1995-10-20 Sanyo Electric Co Ltd 外部記憶装置を使用する情報処理装置
KR970003088A (ko) * 1995-06-28 1997-01-28 김광호 특정 기록포멧을 갖는 아이씨 카드 메모리 및 그로부터의 디지탈 음성 기록 및 재생 방법
US5902981A (en) * 1996-12-24 1999-05-11 Dethloff; Juerg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and restoring data of a portable chip-card if lost or stolen
JPH10190822A (ja) * 1996-12-27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録音再生許可機能付き電話装置
JPH11110141A (ja) * 1997-09-30 1999-04-23 Sony Corp 外部記憶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3916A (zh) 2002-04-10
US6499084B2 (en) 2002-12-24
JP2002091494A (ja) 2002-03-27
TW514880B (en) 2002-12-21
EP1189223A2 (en) 2002-03-20
US20020032833A1 (en)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9378B2 (ja) 製造業体の特殊機能を支援する記録媒体
JP2000189667A5 (ko)
BRPI0409828A (pt) dispositivos para gravar informação sobre um portador de gravação e para ler informação de um portador de gravação para fornecer um programa de usuário melhorado, portador de gravação, método para gravar informação em um portador de gravação,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para gravar informação
KR20020020991A (ko) 디지털식 기록 재생 장치
JP3585816B2 (ja) ディジタル式記録再生装置
JP2007221574A (ja)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14684B1 (ko)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한 어학학습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40028384A1 (en)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4197083B2 (ja) ストリームデータ記録編集装置
WO2002049007A1 (fr) Appareil d'enregistrement numerique et appareil de reproduction numerique
KR20020037308A (ko) 디지털 컨텐츠 자동소실 시스템
JPH07226062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再生装置
JP3611985B2 (ja) ディジタル式音声録音再生装置
JP2001013996A (ja) ディジタル式音声録音再生装置
JP2003158709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5537216B2 (ja) コンテンツ書込機器
JPH06131894A (ja) 音声録音再生装置
JPH1049412A (ja) データ記録方法
JP2009181603A (ja) デ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3173617A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
KR20050009830A (ko) 저장매체인 유에스비 드라이버를 이용한 엠피쓰리 플레이어 장치
JP2003323349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425307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3059185A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9311700A (ja) ディジタル音声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