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889A -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재생방법, 그리고기록/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재생방법, 그리고기록/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889A
KR20020019889A KR1020017008450A KR20017008450A KR20020019889A KR 20020019889 A KR20020019889 A KR 20020019889A KR 1020017008450 A KR1020017008450 A KR 1020017008450A KR 20017008450 A KR20017008450 A KR 20017008450A KR 20020019889 A KR20020019889 A KR 20020019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ata
case
digital
reproduc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자끼슈이찌
후지요시마사히꼬
우키타요시타카
요시이후미히꼬
오바타시니찌
치바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1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88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진 데이터에 재생처리를 실행하는 재생수단과, 기록매체상에 삽입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명령을 내리기 위한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에서의 재생명령 입력에 따라서 기록매체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읽은 후 이것을 재생수단으로 전달하고,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재생수단과 제어수단을 보유하는 원통형 케이스가 제공되며, 또한 상기의 조작수단은 원통형 케이스의 세로방향 한 쪽 단면의 끝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꺼내지 않고 조작수단을 조작하며, 때문에 휴대용 장치의 조작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재생방법, 그리고 기록/재생 방법{Portabl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최근에는, 휴대용 디지털재생장치는 꾸준히 개발되어 왔으며, 내장된 반도체 메모리에 음악데이터를 저장하고,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음악데이터를 재생한다.
보통, 휴대용 디지털재생장치는 가방 또는 웃옷의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다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디지털재생장치를 가지고 다니다 보면, 휴대용 디지털재생장치의 조작부가 가방 또는 웃옷의 주머니 속에 숨겨져 있기 때문에, 조작부를 조작하여 음악데이터를 재생할 때마다 가방 또는 주머니로부터 휴대용 디지털재생장치를 꺼내야만 한다는 것은 매우 귀찮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재생방법, 그리고 기록/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악데이터를 재생하는 휴대용 디지털재생장치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음악콘텐츠의 이용을 설명하는 블록 구조도이다.
도 2(a)는 EMD 서버로부터 컴퓨터 장치로 디지털음악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컴퓨터 장치로부터 디지털재생장치로 디지털 음악데이터의 업로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c)는 디지털음악콘텐츠의 재생제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재생장치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디지털재생장치의 좌측면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b)는 디지털재생장치의 정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c)는 디지털재생장치의 우측면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d)는 디지털재생장치의 배면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디지털재생장치에서 어디에 목걸이용줄이 붙어있는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목걸이용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에 매달린 디지털재생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헤드폰잭으로 플러그 삽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웃옷 가슴주머니에 부착된 디지털재생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디지털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건전지수납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b)는 건전지수납부의 도전판의 수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일련번호라벨의 외부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일련번호라벨의 구조를 설명하는 확장 도면이다.
도 12는 표시보호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표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부회로판의 한 쪽 면을 나타내는 상면 구조도이다.
도 14(b)는 부회로판의 다른 쪽 면을 나타내는 하면 구조도이다.
도 15(a)는 주회로판의 한 쪽 면을 나타내는 상면 구조도이다.
도 15(b)는 주회로판의 다른 쪽 면을 나타내는 하면 구조도이다.
도 16(a)는 부회로판과 주회로판 사이의 접속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6(b)는 부회로판과 주회로판 사이의 접속을 설명하는 상면 구조도이다.
도 17은 정면측 케이스 표시보호부재의 실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표시부의 실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하우징케이스에서 주회로판과 부회로판의 수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배면측 케이스를 정면측 케이스로의 고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정면측 케이스 부회로판의 수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하우징케이스에서의 주회로판의 수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주회로판으로의 정전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4는 표시보호부재와 부회로판의 조립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표시보호부재로부터 부회로판으로의 정전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디지털재생장치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조도이다.
도 27은 디지털음악콘텐츠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헤더 (1)에서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헤더 (2)에서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FAT가 제공될 때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주회로판의 넓이에 의존하여 구성된 하우징케이스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동작을 위한 건전지 외부 지름에 의존하여 구성된 하우징케이스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줄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줄에서의 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줄의 일부에 부착되는 접착 테이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줄에 제공되는 통과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용줄이 부착된 디지털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용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제 3 실시 예에서 부착된 목걸이용줄을 보유하는 전체 디지털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제 3 실시 예에서의 목걸이용줄의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다른 실시 예에서의 통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다른 실시 예에서의 통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다른 실시 예에서의 통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다른 실시 예에서의 통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다른 실시 예에서의 목걸이용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 디지털 재생장치 5, 303 헤트폰
10. 하우징 케이스 19. 재생/정지버튼
24. 헤드폰잭 27. 줄고정
28, 302. 헤드폰줄 29, 305. 플러그
31, 281, 301. 목걸이용줄 35. 정면측 케이스
35A, 35B, 36A, 36B. 리브 35AX, 35BX, 36AX, 36BX. 고정부
36. 배면측 케이스 37. 버튼유지부
43. 주회로판 77. 플래시 메모리 제어기
78. CPU 79. USB 제어기
80.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82. DSP
83. USB 커넥터 108.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260A, 282. 밴드 32A, 32B, 32C, 32D, 320 안내구
270, 271, 288, 289. 접착테이프
본 발명은 상기의 관점에서 발명이 이루어 졌으며, 조작이 크게 향상될 수있는 휴대기기를 제안하였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지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수단과,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순서를 정하는 조작수단과, 조작수단으로 입력된 재생순서에 따라서 기록매체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읽은 후 이 읽은 것을 재생수단으로 전달하고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재생수단과 제어수단을 보유하는 원통형 하우징케이스를 준비한다. 추가로, 조작수단은 원통형 하우징케이스의 세로방향을 따라서 한 쪽 끝의 표면에서 제공된다.
결과로서, 사용자는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꺼내지 않고 조작부를 조작하며, 때문에 조작을 쉽게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는 도면에 대한 참조와 함께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최근에는, 인터넷 상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지털음악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하여 EMD(Electronic Music Distribution)라 칭하는 전자음악분배서비스가 제안되었다.
도 1에서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전자음악분배서비스에 있어서,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터넷(2)을 통하여 EMD 서버(1)로부터 집에 있는 개인용 컴퓨터(이하 컴퓨터장치라 칭함)로 분배한다.
컴퓨터장치(3)에 있어서, EMD 서버(1)로부터 분배된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재생되도록 내장된 하드디스크로 다운로드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든지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전자음악분배서비스는 2종류의 구입 방법을 가지고 있다. 제 1 방법은 "구입"이라 칭하며 이 방법에서는 EMD 서버(1)로부터 컴퓨터장치(3)로 다운로드된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마치 CD(Compact Disc)처럼 언제든지 반복하여 재생될 수 있다. 제 2 방법은 새로운 방법으로서 "재생제한이용을 가지는 방법(with reproduction limitation)"이라 칭하며 이 방법에서는 재생가능기간 또는 재생가능횟수가 낮은 가격을 대신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재생제한이용을 가지는 방법"으로 EMD 서버(1)로부터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구입할 때, 사용자는 컴퓨터장치(3)에서 재생가능기간 또는 재생가능횟수 내에서 구입된 디지털음악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장치(3)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을 이용하여, 저장수단으로서 비-휘발성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를 내부적으로 보유하는 휴대용 디지털재생장치(4)에 연결된다. 때문에,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USB 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재생장치(4)의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에 디지털 데이터로서 업로드(upload)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장치(3) 뿐만 아니라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재생제한이용을 가지는 방법"인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재생가능기간과 재생가능횟수내에서 재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에서도, 사용자는 헤드폰(5)을 통하여 어느 때나 고-음질의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실제로, 도 2(a)에서와 같이, 컴퓨터장치(3)에서 EMD 서버(1)로부터 다운로드된 "재생제한이용을 가지는 방법"인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헤더(H1)와 음악데이터(D1)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H1)는 재생가능기간, 재생가능횟수, 실제로 재생된 횟수(이하 실재생횟수라 칭함)와 같은 재생제한에 관계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도 2(b)에서와 같이, 컴퓨터장치(3)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의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업로드 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재생명령에 따라서 재생처리를 실행할 때, 디지털재생장치(4)는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헤더(H1)에 있는 재생제한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간접 재생처리를 피하기 위하여 재생제한정보를 읽은 후 음악데이터(D1)를 언제나 재생산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재생장치(4)는 회로판에 RTC 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재생가능기간은 시계기능에 의해 관리될 수 없다. 때문에, 헤더(H1)의 재생제한정보가 읽혀지더라도, 그것이 재생기간의 범위 내인지를 판단할 수 없으며, 결과로서,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제한 없이 반복적으로 재생산될 수 있다.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무제한 재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록 재생가능기간 내이더라도, 디지털재생장치(4)는 사용자가 헤더(H1)에 있는 재생제한정보에 의한소정의 "재생가능횟수 (예를 들면 2회)" 내에서만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재생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매번 실제의 재생이 갱신되는 "실재생횟수"가 "재생가능횟수"에 다다를 때, 디지털재생장치(4)는 재생처리의 제한과 같은 보호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은 재생가능기간과 상관없이 2회의 재생을 허용한다. 이것은, 도 2(c)에서와 같이, 재생가능기간 내에 있을 때, 왜 디지털재생장치(4)가 컴퓨터장치(3)에 내장된 RTC 회로(3A)로부터 현재 횟수 정보(T1)를 받기 위해 컴퓨터장치(3)로 다시 액세스하고, 재생기간 내에 있는지 여부의 횟수 정보(T1)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헤더(H1)의 "실재생횟수"를 0으로 재기록하는지의 이유이다.
때문에, 재생기간 내에 있을 때, 디지털재생장치(4)는 헤더(H1)의 재생제한정보에 의한 소정의 "재생가능횟수(예를 들면 2회)"의 제한을, 상기-기술된 재생처리를 계속하여 실행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한편으로, 기간이 만료되었음이 횟수정보(T1)에 기초하여 인식될 때, 디지털재생장치(4)는 헤더(H1)의 "실재생횟수"를 "0"으로 재기록하지 않으며 또한 재생처리를 실행하지도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디지털재생장치(4)는 컴퓨터장치(3)에 액세스함으로서 재생처리를 위한 "재생가능횟수"와 개생가능기간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며, 때문에 재생처리는 재생가능기간 내에서 "재생가능횟수 (2회)"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재생가능기간이 만료될 때 재생처리는 제한된다.
반대로, 오직 재생횟수의 재생제한만이 있는 음악콘텐츠(C1)의 경우에는, 디지털재생장치(4)는 재생횟수 내에서 재생처리를 실행하고 디지털음악콘텐츠(C1)가재생횟수만큼 재생이 된 후에는 재생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도 3에서와 같이, 디지털재생장치(4)는 원통형에 가까운 모습의 하우징케이스(10)를 갖는다. 각종 조작 스위치와, 조작 버튼과, 화면을 위한 표시 윈도우가 하우징케이스(10)의 주위 면에 위치한다.
여기에, 표시 윈도우(11)가 디지털재생장치(4)에 존재하는 면이 정면이라고 가정할 때, 중심 축에서 매 45도씩 하우징케이스를 회전함으로써 얻어지는 4종류의 주위 면은 도면에 대한 참조 4(a)에서 4(d)로 표시한다.
도 4(a)에서와 같이, 하우징케이스(10)의 왼쪽 면에서는, 최고음량을 조정하는 최고음량 조정스위치가 하우징케이스(10)의 세로방향에서의 한 쪽 끝(이하 케이스 세로방향이라 칭함)에서 밀기 형식으로 제공되고, 플라스틱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 덮개(13)가 열림부(도면에는 안 나타남)를 열고 닫기 위해 제공되며 그 열림부 안에는 USB 커넥터가 내부에 있다.
실제로, USB 커넥터 덮개(13)는 열림부를 닫음으로써 USB 커넥터를 보호하며, 때문에 USB 커넥터는 USB 커넥터가 사용되지 않을 때 하우징케이스(10)와 일체가 된다. 반대로, USB 커넥터 덮개(13)는 USB 커넥터가 연결될 때 열림부를 열고, 따라서 USB커넥터는 USB 케이블(도면에는 안 나타남)로 컴퓨터장치(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하우징케이스(10)의 정면에서, 음량높임버튼(14)과, 음량낮춤버튼(15)과, 감기버튼(16)과, 되감기버튼(17)과, 표시윈도우(11)와, 시프트버튼(18)은 중앙과 하우징케이스(10)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제공된다.더구나, 하우징케이스(10)의 한 단면 위에는, 재생명령과 정지명령을 입력하는 재생/정지 버튼(19)이 제공된다.
그 다음, 하우징케이스(10)의 정면에는, 표시 윈도우(11)에서 제공되는 표시(도면에는 안 나타남)는 각종 동작에 따라서 표시되며 따라서 표시내용은 표시 윈도우(11)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서, 감기버튼(16)이 시프트버튼(18)이 눌려진 동안에 눌러진다면, 시프트버튼(18)은 조작버튼으로서 감기버튼(16)과 함께 재생 모드를 바꾸기 위하여 기능한다. 또한, 되감기버튼(17)이 시프트버튼(18)이 눌려진 동안에 눌러진다면, 시프트버튼(18)은 조작버튼으로서 되감기버튼(17)과 함께 음질모드를 바꾸기 위하여 기능한다.
또한, 도 4(c)에서와 같이, 하우징케이스 오른쪽 면 위에는, 일시정지 스위치(20)가 한 쪽 끝 면에서 밀기 형식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일시정지 스위치(20)는 각종 조작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무시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하우징케이스(10)에서 한 쪽 면으로 밀려진다.
이에 덧붙여서, 도 4(d)에서와 같이, 하우징케이스(10)의 배면에는, AA-크기의 구동용건전지(21)를 넣는 건전지수납부(22)가 다른 쪽 면에서 제공되며, 건전지수납부(22)를 덮는 덮개부(23)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건전지수납부(22)에서, 덮개부(23)가 구동용건전지(21)를 안에 넣거나 또는 구동용건전지를 밖으로 꺼내기 위하여 벗겨진다. 또한, 구동용건전지(21)가 안에 들어있는 상태로 덮개부(23)가 덮여졌을 때, 덮개부(23)는 구동용건전지(21)를 떨어뜨렸을 때로부터 보호하며 건전지를 보관한다.
하우징케이스(10)의 배면에는, 헤드폰잭(24)을 보유하는 잭유지부(25)와 하우징케이스(10)를 웃옷 가슴주머니에 고정시키는 클립부(26)가 한 쪽 끝 면에서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제공된다. 또한 잭유지부(25)와 클립부(26) 사이의 근접한 위치인, 디지털재생장치(4)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이동된 소정의 위치에서 링-모양의 줄고정(27)이 제공된다.
하우징케이스(10)의 배면 상에서, 잭유지부(25)에 연결된 위치와 클립부(26)에 연결된 위치 사이에서, 줄고정(27)은 거의 180도씩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줄고정(27)에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줄을 쉽게 매달았다 떼어냈다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디지털재생장치(4)는, 도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기계적 기록/재생 구조를 갖는 기록/재생 장치와는 구별되고,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내부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기록되고 재생되며, 따라서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음악데이터(D1)는 진동이 있는 환경 하에서도 음의 떨림 없이 재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헤드폰줄(28)에서 제공되는 플러그(29)는 헤드폰잭(24)에 접속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헤드폰(5)을 통해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음악데이터(D1)를 재생함으로써 얻어진 아날로그 음악을 통상적으로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동시에, 밴드-형식의 목걸이용줄(31)이 사용자의 목에 매달리는 디지털 재생장치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줄고정(27)에 고정되었다.
한편, 디지털재생장치(4)는 구동용건전지(21)를 제외하고, 무게가 약 25[g] 정도 나간다. 디지털재생장치(4)를 이루는 각종 구성부분의 대부분은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된다. 또한, 예를 들면, 디지털재생장치(4)가 약 23[g]정도 나가는 구동용건전지(21)를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반대쪽 끝에서 제공되는 건전지수납부(22)에 장착하기 때문에, 구동용건전지를 장착했을 때, 무게 중심은 케이스의 세로방향에서 거의 중심이 된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목걸이용줄(31)이 디지털재생장치(4)를 사용자의 목에 매달기 위해서는, 줄고정(27)의 고정 위치인, 받침점은 케이스의 세로방향에서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약간 한 쪽 끝으로 고정되며, 때문에 하우징케이스(10)의 다른 쪽 끝은 수직 아래 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4)는 하우징케이스(10)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는 재생/정지버튼(19)이 수직 위쪽 방향을 향하는 위치를 갖도록 유지된다.
때문에, 디지털재생장치(4)가 사용자의 목에서 매달릴 때, 사용자는 손으로 하우징케이스의 주위 면을 감싸쥐면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은 조작을 위한 재생/정지버튼(19)을 쉽게 만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서, 도 5에서 명확해지듯이,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헤드폰줄(28) 을 통과시켜서 고정시키는 안내구(guiding hole)(32A와 32B)가 목걸이용줄(31)에서 제공되며, 이 안내구는 디지털재생장치(4)가 사용자 목에서 매달리는 목걸이용줄로 사용될 때 헤드폰줄(28)과 함께 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잭유지부(25)는 쐐기 형태로 구성되고, 헤드폰잭(24)은 잭유지부(25)에서 보유되며 원통형 플러그 투입구의 축은 케이스의 세로방향으로 따라 향한다.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플러그(29)는 케이스의 세로방향을 따라서 기울어진 방향으로부터 헤드폰잭(24)으로 삽입될 수 있다. 때문에, 플러그(29)와 헤드폰줄(28) 사이의 연결부는 재생/정지버튼(19)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를 두며, 이렇게 거리를 둠으로써 플러그(29)와 헤드폰줄(28) 사이의 연결부가 재생/정지버튼(19)의 조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부가하여, 도 8에서와 같이,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납작한 클립부(26)의 한 쪽 끝은 잭유지부(25)로 제공되는 지지축(도면에는 안 나타남)에 의하여 지지되며, 클립(26)의 다른 쪽 끝은 하우징케이스(10)의 배면에 따라서 소정의 각도 내에서 이동된다.
때문에, 디지털재생장치(4)는 배면과 하우징케이스(10)와 클립부(26)의 다른 쪽 끝 사이에서 가슴주머니에 끼움으로써 가슴주머니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상에서 디지털재생장치(4)는 가슴주머니에 부착되며, 재생/정지 버튼(19)은 계속 가슴주머니(33) 바깥에 있다. 따라서, 이것은 재생/정지버튼(19)의 조작성을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여기에서, 하우징케이스(10)는 정면의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전부를 덮어주는 정면측 케이스(35)와, 배면의 한 쪽 끝을 덮는 배면측 케이스(36)와, 배면의 나머지 다른 쪽 끝을 덮는 덮개부(23)와, 재생/정지 버튼을유지하는 버튼유지부(37)로 구성되어 있다.
정면측 케이스(35)와, 배면측 케이스(36)와, 덮개부(23)와, 버튼유지부(37)는 PC(Polycarbonate)수지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정면측 케이스(35)는 도 4(d)에서 기술된 다른 쪽 끝에 있는 건전지수납부(22)를 단일부재로서 형성한다. 또한 정면측 케이스(35)의 한 쪽 끝과 배면측 케이스(36) 사이의 수납공간에는 표시보호부재(40)가 있고, 표시부(41)와, 부회로판(sub circuit board)(42)과, 주회로판(main circuit board)(43)과, 스위치회로판(44)이 순차적으로 놓여져 있다. 이러한 연결에서, 스위치 회로판(44)은 변형가능(flexible) 회로판으로서 그 위에는 스위치(12)를 고정하는 최고 음량과 유지 스위치(20)를 위한 스위치 회로판(44A와 44B)이 놓여져 있고, 배면측 케이스(36)에서 고정된다.
실제로, 도 10(a)와 10(b)에서와 같이, 건전지수납부(22)는 구동용건전지(21)의 외부 지름에 맞는 내부 지름을 갖는 원통형 유지 공간을 갖는다. 케이스의 세로방향 한 쪽 끝에는, 도전성 금속선에 의한 코일과 같이 형성된 음극 단자(45)가 있다. 케이스 세로방향의 다른 쪽 끝에는 도전성 금속재에 의하여 원판형(disc) 같이 형성된 양극단자(46)가 있다.
상기 경우에서, 건전지수납부(22)에서, 음극단자(45)의 한 쪽 끝에는 주회로판(43)에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양극단자(46)는 주회로판(43)에 양극단자(46)와 일체를 이루는 판-형식(disc-type)의 도전판(conducting board)(47)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건전지수납부(22)의 아래쪽에는, 그루브부(groove part)(22A)가 케이스의 수직방향에서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에 걸쳐서 구성되고, 도전판(47)은 그루브부(22A)에 고정되어 있다. 그루브부(22A)의 깊이는 도전판(47)의 두께에 따라서 약 0.2 [mm]로 선택된다. 때문에, 도전판(47)이 건전지부(22)의 내부 면에서 보유공간으로 돌출 되는 것이 예방된다.
또한, 건전지수납부(22)의 아래쪽에는, 약 0.1 [mm]의 두께를 갖는 시트(sheet)-형식의 일련번호라벨(48)이 케이스의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도전판(47) 위에 붙여져 있다.
도 11(a)와 11(b)에서와 같이, 일련번호라벨은 상대적으로 큰 접착력을 갖는 아크릴성 압력-감지 접착층(49)과 알루미늄층(50)과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만든 프린팅(51)을 위한 절연성 수지층과 투명 필름(52)을 연속해서 박층으로 포갬으로써 구성된다. 알루미늄층(50)의 두께는 적절히 선택되기 때문에, 일련번호라벨(48)은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일련번호라벨(48)은 파손과 같은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서, 일련번호라벨(48)에서, 구동용건전지(21)를 끼우는 방향을 나타내는 그림(53)과, 일련번호라벨(48)이 붙여진 각 디지털재생장치(4)의 제조자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문자열(54)과, 2-차원 바 코드가 프린팅(51)의 수지층에 프린트되어 있다. 투명필름(52)은 그림(53)과 문자열(54)을 보호하기 위하여 프린팅(51)에서 수지층 위에 덮여져 있다.
따라서, 건전지수납부(22) (도 10(a)와 10(b))에서, 일련번호라벨(48)의 강한 접착력과 강도는 그루브부(22A)로부터 구동용건전지(21)의 주위 면을 손상시키며 도전판(47)이 벗겨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동시에, 일련번호라벨(48)의 절연성은 구동용건전지(21)의 주위 면으로부터 도전판(47)을 절연시킨다.
따라서, 건전지수납부(22)에서, 도전판(47)은 그루브부(22A)에 고정되며, 약 0.1 [mm]의 두께를 갖는 일련번호라벨(48)은 도전판(47)과 구동용건전지(21)의 주위 면의 절연을 위해 사용됨으로써, 건전지수납부(22)의 내부 지름은 약 14.5 [mm]로서 구동용건전지의 외부 지름과 거의 동일하게 선택되어질 수 있다.
또한, 건전지수납부(22)에서, 두께는 손상으로부터 건전지수납부(22)를 보호하기 위하여 선택되고, 건전지수납부(22)의 외부 지름은 내부 지름과 두께에 따라서 거의 17 [mm]로 선택되며, 따라서 전체 장치는 전체적으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에, 도 12에서와 같이, 표시보호부재(40)는 도전 금속판에 의하여 구성되고 가로 방향에서의 금속판의 양쪽 끝은 구부러져 있다. 박막(diaphragm) 구조에서의 스위치 소자(57)는 시프트버튼(18)에 대응하여 평면부(40A)의 한 쪽 끝에 위치한다. 다이어프램 구조의 스위치 소자들(58에서61)은 평면부(40A)의 다른 쪽 끝에 위치하며 각각 음량높임버튼(14)과, 음량낮춤버튼(15)과, 감기버튼(16)과, 되감기버튼(17)에 일치한다
또한, 평면부(40A)의 위에서, 표시부(41)에 일치하는 개구부(40B)는 한 쪽 끝에 있는 스위치 소자(57)와 다른 쪽 끝에 있는 스위치 소자들(58에서61) 사이에서 제공된다.
도 13에서와 같이, 표시부(41)에 있어서, 한 쪽 면에 오목한 부분을 갖는 전광판(64)은 LCD(Liquid Crystal Display)(63)에 박층으로 덮인다. 가로방향에서의 전광판(64)의 끝은 전광판(64)을 통하여 LCD(63)의 배면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명하기 위하여 백업 라이트(backup light)(도면에는 안 나타남)에 의하여 조명 받는다.
또한, 표시부(41)는 이방성도전부재(anisotropic conducting member)(65)를 가지며, 이 이방성도전부재 내에서 복수개의 와이어(wire)는 각각의 소정의 간격마다 실리콘 고무와 같은 수지로 만든 절연성 시트(sheet)로 삽입된다. 이방성도전부재(65)는 전광판(64)의 암부(arm part)(64A)와 암부(64B) 사이에서 전광판(64)의 두께 방향으로 평행하게 놓여있는 각 와이어의 세로방향으로 유지되며, 따라서 각 와이어의 한 쪽 끝은 LCD(63)의 복수개 전극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4(a)에서와 같이, 부회로판(42)은 사다리꼴 형태로서, 한 쪽 끝의 넓이는 12.4 [mm]이고 다른 쪽 끝의 넓이는 13.2 [mm]이다. 재생/정지버튼(19)에 대한 스위치회로소자(67)와 같은 표면-실장전자부(surface-mounted electronic parts)와, LCD 제어기를 구성하는 IC(집적 회로) 패키지(68I)와, 디지털-아날로그(digital-to-analog) 변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69)와, 증폭기가 부회로판(42)의 한 면에 실장된다. 또한, 백업 라이트를 위한 복수개의 LEDs(Light Emitting Diode)(70A ~ 70C)가 전광판(64)에 대응하여 역시 실장된다.
또한, 부회로판(42)의 한 면에서, LCD(63)의 각 전지에 대응하며, 도체성을띠는 복수개의 LCD용 랜드(land)(71)가 형성된다. 이것이 하우징케이스(10)에 보유될 때, LCD용 랜드(71)는 각각 대응하는 LCD(63)의 전지에 이방성도전부재(65)의 각 와이어로 전기적 접속된다.
또한, 도 14(b)에서와 같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구성하는 IC패키지(72I)와 같은 표면-실장전자부는 부회로판(42)의 다른 면에 실장된다. 예를 들면, 회로판을 서로 직접 접속하는 일련의 커넥터 중에서(이하 판접속용커넥터(boards connector)라 칭함), 수-형(male-type) 판접속용커넥터(73)가 소정의 위치에 실장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부회로판(42)의 다른 면에서, 표시보호부재(40)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스위치소자(57 ~ 61)에 변형가능 판(도면에는 안 나타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74A와 74B)의 랜드들은 도체성을 띠는 형식으로 제공되고, 스위치 회로판(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판용 랜드(75)가 또한 형성된다.
도 15(a)에서와 같이, 주회로판(43)은 약 17.2 [mm]의 짧은 면(즉 넓이)과 약 62 [mm]의 긴 면을 갖는 직사각형이다. 플래시 메모리 제어기를 구성하는 IC패키지(77I)와 같은 표면-실장전자부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성하는 IC패키지(78I)와, USB 제어기를 구성하는 IC패키지(79I)가 한 면에 실장된다. 또한 판을 접속하기 위한 암-형(female-type) 판접속용커넥터(80)가 수-형 판접속용커넥터(73)(도 14(b))에 고정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 실장된다.
또한, 도 15(b)에서와 같이, 주회로판(43)의 다른 면에서,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를 구성하는 IC패키지(81I)와 같은 표면-실장전자부와, DSP(Digital SignalProcessor)를 구성하는 IC패키지(82I)와, USB 커넥터(83)와, 전원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84)들이 실장된다.
따라서, 도 16(a)와 도 16(b)에서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주회로판(43)과 부회로판(42) 상에서, 수-형 판접속용커넥터(73)는 암-형 판접속용커넥터(80)로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하기 위하여 접속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버스는 도체성 형식으로 제공되고, 버스에 연결된 디지털 표면-실장전자부는 주회로판(43)에 실장되고, 부회로판(42)에서는, 아날로그 표면-실장전자부가 실장된다. 때문에, 부회로판(42)의 표면-실장전자부는 주회로판(43)의 표면-실장전자부의 실행에 의해 발생되는 잡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주회로판(43)의 한 면 위의 표면-실장전자부는 부회로판(42)의 마주보는 다른 한 면 위의 표면-실장전자부를 서로 마주보지 않는다. 때문에, 이들이 판접속용커넥터(80과 73)에 의하여 접속될 때, 주회로판(43)과 부회로판(42) 사이의 두께는 표면-실장전자부의 두께에 가깝게 될 수 없다.
한편, 주회로판(43)(도 15(a)) 상에서, 표면-실장전자부뿐만 아니라, 암-형 판접속용커넥터(80)도 땜납에 의하여 위치하고, 그 이후, 땜납을 녹이는 리플로우 파이어홀(reflow filehole)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땜납이 녹을 때, 판접속용커넥터(80)는 한 면 위에 적용한 땜납 양의 오류 또는 판접속용커넥터(80)의 위치 오류에 따라서, 주회로판(43)의 한 면 위에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비슷하게, 부회로판(42)(도 15(b))의 다른 한 면상에서, 표면-실장전자부뿐만 아니라, 수-형 판 접속형 커넥터(73)도 땜납에 의하여 위치하고, 그 이후, 땜납을 녹이는 리플로우 파이어홀(reflow filehole)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땜납이 녹을 때, 판접속용커넥터(73)는 다른 한 면 위에 적용한 땜납 양의 오류 또는 판접속용커넥터(73)의 위치 오류에 따라서, 부회로판(42)의 한 면 위에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부회로판(42)(도 16(b))은 판접속용커넥터(73)의 실장 위치가 중앙인 채로 주회로판(43)에 평행하여 최대 5도 만큼의 부회로판(42)이 회전하는 상태로 주회로판(4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주회로판(43)의 한 면 위에서, 판접속용커넥터(80)는 다른 쪽 끝의 소정의 위치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부회로판(42)의 다른 면 위에서, 판접속용커넥터(73)는 다른 쪽 끝의 소정의 위치에 실장될 수 있다. 때문에, 부회로판(42)이 주회로판(43)의 한 쪽 면에 평행하여 회전하는 상태로 주회로판(43)에 연결될 때, 주회로판(43)의 세로방향에서 진동량은 부회로판(42)의 한 쪽 끝에서 최대가 된다.
그러나, 부회로판(42)은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되어 한 쪽 끝의 넓이는 다른 쪽 끝보다 짧으며, 부회로판(42)의 양쪽 면이 대응하는 주회로판(43)의 양쪽 측면에 평행하는 각도 내에서 주회로판(43)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부회로판(42)이 주회로판(43)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정면측 케이스(35)의 원형-모양 저장 공간에 쉽게 보유될 수 있다.
실제로, 정면측 케이스(35)(도 9)에서, 표시보호부재(40)를 고정하는 고정핀(86)이 한 쪽 끝의 하단 소정의 위치에서 제공된다.
또한, 표시부(41)의 4개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L-형태의 지주(supporting column)(87A ~ 87D)가 표시 윈도우(11)의 주위에서 제공되고, 표시부(41)의 이방성도전부재(65)에 대응하는 판부재(plate member)(88)가 제공된다.
이에 부가하여, 표시보호부재(40)(도 12)에서는, 정면측 케이스(35)의 고정핀(86)에 대응하는 구멍부(hole part)(40C)가 평면부(40A)의 거의 중앙 부근에서 관통형식으로 제공되고, 정면측 케이스(35)의 지주(87A ~ 87D)와 판부재(88)에 대응하는 구멍부(40D ~ 40H)는 개구부(40B)의 주위에서 관통형식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도 17에서와 같이, 정면측 케이스(35)에서, 지주(87A ~ 87D)와 판부재(88)는 한 쪽 끝의 표시보호부재(40)의 대응하는 구멍부(40D ~ 40H)를 관통하고 고정핀(86)은 대응하는 구멍부(40C)를 관통함으로써, 표시보호부재(40)는 케이스의 수직방향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보호부재(40)는 개구부(40B)가 표시 윈도우(11)를 마주 보는 상태로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8에서와 같이, 정면측 케이스(35)에서, 표시부(41)의 4개의 모서리는 개구부(40B)에 마주하는 LCD(63)를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지주(87A ~ 87D)에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판부재(88)는 이방성도전부재(65)에 가깝게 되며 따라서 LCD(63)는 전광판(64)의 암부(64A와 64B) 사이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된다.
따라서, 도 19에서와 같이, 정면측 케이스(35)에서, 한 쌍의판접속용커텍터(80과 73)으로 서로 연결된 주회로판(43)과 부회로판(42)은 부회로판(42)의 한 면이 표시보호부재(40)(도 18)의 평면부(40A)를 마주보는 방식으로 보유된다.
다음은, 도 20에서와 같이, 배면측 케이스(36)는 정면측 케이스(35)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회로판(43)(도 19)은 나사(89A와 89B)를 고정시킴으로써 배면측 케이스(36)에 고정된다.
한편, 판접속용커넥터(80과 73)가 주회로판(43)과 부회로판(42)에 실장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고 짧은 외형을 가진 판접속용커넥터가 선택된다.
따라서, 판접속용커넥터(80과 73)에서, 실장부위는 주회로판(43)과 부회로판(42)이 확대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하여 제한되고, 하우징케이스(10)에서 보유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주회로판(43)과 부회로판(42)은 가능한 한 서로 근접한다.
그러나, 판접속용커넥터(80과 73)의 크기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판접속용커넥터(80과 73)에서 제공되는 커넥터 핀은 작아지게 되며, 커넥터 핀의 탄력성 자체도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판접속용커넥터(80과 73)에서, 주회로판(43)과 부회로판(42)이 하우징케이스(10)에 보유되면서, 부하가 주회로판(43)의 한 면에 평행 하는 회전방향으로 부회로판(42)에 가해질 때, 접속 불량이 판접속용커넥터(80과 73)에 대응하는 커넥터 핀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1에서와 같이, 부회로판(42)이 정면측 케이스(35)에 고정된 주회로판(43)(도 19)의 한 면에 평행하여 회전하는 상태로 있게 되더라도, 부회로판(42)은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되어,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의 넓이는 정면측 케이스(35) 내부에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선택된다. 부회로판(42)은 정면측 케이스(35)에게로 특별히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주회로판(43)과 함께 보유되는 부회로판(42)은 주회로판(43)의 한 면에 평행하여 회전하는 상황에서도, 접속 불량이 판접속용커넥터(80과 73)에 대응하는 커넥터 핀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주회로판(43)의 한 쪽 면에 평행한 회전 방향으로 외부 압력이 부회로판(42)에 가해지는 상태로써 떨어뜨리는 충격이 디지털재생장치(4)에 가해진다면, 판접속용커넥터(80과 73)는 메인 주회로판(43)과 부회로판(4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부회로판(42)은 특정하게 고정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판접속용커넥터(80과 73)는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정면측 케이스(35)에서는, 이동규제용돌기부(90A ~ 90D)는 각각 내부 면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에서 제공된다. 이동규제용돌기부(90A ~ 90D)보다 넓은 노치부(notch part)(91A ~ 91D)는 부회로판(42)의 양쪽 면의 한 쪽과 다른 쪽 끝에서 제공되며, 이동규제용돌기부(90A ~ 90D)와 대응한다.
따라서, 부회로판(42)은 정면측 케이스(35)에 보유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다른 쪽 면에 있는 노치부(91A와 91D)는 대응하는 이동규제용돌기부(90A와 90D)에 주회로판(43)에 따른 회전각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부회로판(42)은 케이스의 세로방향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규제 받는다.
또한, 부회로판(42)(도 14(a))에 있어서, LCD용 랜드(71)는 부회로판(42)의 넓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때문에, 부회로판(42)이 주회로판(43)에 평행하여 회전하는 상태로 있게 되면, 이방성도전부재(65)의 와이어는 LCD용 랜드(7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케이스(10)는 약 17 [mm]의 외부 지름을 갖는 원통형 모양의 기준에 따라서 구성된다. 그러나, 플래시 메모리 제어기를 구성하는 IC패키지(77I)와 CPU를 구성하는 IC패키지(78I)는 각각 약 16 [mm]의 한 면을 갖는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주회로판(43)(도 15(a)와 도 15(b))은 약 17.2 [mm]의 넓이를 보유하는 직사각형 형태로 적절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22에서와 같이, 정면측 케이스(35)와 배면측 케이스(36) 사이의 연결부에서, L-형태의 리브(rib)(35A와, 35B와, 36A와, 36B)는 케이스의 수직 방향을 따라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정면측 케이스(35)로, 배면측 케이스(36)의 대응하는 리브(36A와 36B)에서 좌우 측면에 거의 평행하게 있는 결합부(36AX와 36BX)는 리브(35A와 35B)에서 좌우 측면에 거의 평행하게 있는 결합부(35AX와 35BX)에 고정된다.
때문에, 하우징케이스(10)에 있어서, 주회로판(43)은 결합된 리브(35A와 36A)로 구성된 볼록돌출부 내부와 나머지 리브(35B와 36B)로 구성된 볼록돌출부 내부 사이에 보유되며, 따라서 주회로판(43)은 하우징케이스(10)의 원형 형태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표시보호부재(40)와, 표시부(41)와, 부회로판(42)과, 스위치회로판(44)과 함께 용이하게 보유된다.
또한, 하우징케이스(10)에 있어서, 정면측 케이스(35)와 배면측 케이스(36)의 대응하는 리브(35A, 35B, 36A, 36B)의 결합부(35AX와, 35BX와, 36AX와, 36BX)는 결합되며, 따라서 리브(35A, 35B, 36A, 36B)는 하우징케이스(10)의 강성(rigid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로 하나가 된다.
한편, 주회로판(43)의 다른 한 면에는(도 15(b)), 접지형 도체형식(이하 접지형식(ground pattern)이라 칭함)(92)이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넓이 방향의 양쪽 끝 부분에 존재하고, 양쪽 끝 부분에서의 접지형식(92)은 대응하는 리브(35A와, 36A 그리고 35B와, 36B)의 쌍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때문에, 도 23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하우징케이스(10)가 대전된 금속부재에 가깝게 될 때, 비록 정전기가 리브(35A와, 36A와, 35B와, 36B) 사이의 간격들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내부로 흘러 들어가더라도, 정전기는 내부 표면-실장 전기부가 고-전압 정전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회로판(43)의 양쪽 끝에 있는 상대적으로 큰 접지형식(92)에 의하여 처음으로 유입 되야 한다.
또한, 표시보호부재(40)(도 12)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판으로 만들어지고, 돌출부(40K와 40L)는 양쪽 다리부(40I와 40J)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에서 제공된다.
이에 부가하여, 부회로판(42)(도 14(a))의 한 쪽 면에서, 접지형식(94)은 넓이 방향의 양쪽 끝 부분에서 표시보호부재(40)의 돌출부(40K와 40L)에 대응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24와 25에서와 같이, 표시보호부재(40)가 하우징케이스(10)에서 보유될 때, 정면측 케이스(35)의 고정핀(86)에 의하여 위치되고, 부회로판(42)은 케이스의 수직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여 보유된다. 때문에, 다리부(40I와 40J)에서 제공되는 돌출부(40K와 40L)는 부회로판(42)의 대응하는 접지형식(9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우징케이스(10)가 대전된 금속부재에 가까워질 때, 비록 정전기가 정면측 케이스(35)와 표시 윈도우(11) 사이의 간격(95A)이나 또는 음량높임버튼(14)과 음량낮춤버튼(15)과 감기버튼(16)과 되감기버튼(17)과 시프트버튼(18) 그리고 이러한 버튼을 유지하는 정면측 케이스(35)에서 제공되는 구멍부 사이의 간격(95B)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정전기는 상기의 간격들에 근접한 표시보호부재(40)로 들어오고, LCD(63)와 스위치소자(57에서 61)가 고-전압 정전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하여 부회로판(42)의 접지형식(94)에 유입된다.
이에 부가하여, 표시보호부재(40)는 부회로판(42)에 의하여 지지되고, 금속판으로 만들어지고, 따라서 평면부(40A) 위에서 제공되는 스위치소자(57에서 61)가 대응하는 시프트버튼(18)과, 음량낮춤버튼(15)과, 음량높임버튼(14)과, 되감기버튼(17)과, 감기버튼(16)을 통하여 눌러질 때, 변형 없이 압력을 지탱하도록 강성을 가지게 된다. 때문에, 정면측 케이스(35)와 평면부(40A)의 내부 측면 사이의 간격은 스위치소자(57에서 61)를 위한 보유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보호부재(40)는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만들어졌다. 때문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도록 선택되어진다면, 표시보호부재(40)는 스위치소자(57에서 61)의 압력을 지탱하기 충분한 강성을 보증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케이스(10)에서 표시보호부재(40)에 의하여 독자적으로 사용된 보유공간은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다음에는, 디지털재생장치(4)의 회로 구성이 도 26의 참조와 함께 기술된다. 디지털재생장치(4)는 전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용건전지(21)로부터 공급된 전원전압을 CPU(78)와 각각의 회로 블록에 공급하는 전원회로(102)에서 소정 전압의 내부 전력으로 변환한다.
디지털재생장치(4)가 USB 커넥터(83)를 통하여 USB 케이블로 컴퓨터장치(3)에 연결될 때, 컴퓨터장치(3)에서 대량(bulk)-전송된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내부버스(104)를 거쳐서 USB 제어기(79)에 의하여 CPU(78)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프레임 형식으로 1 팻킷당 64[바이트]이고, 컴퓨터장치(3)로부터 전송률 12 [Mbit/sec]로 전송된다.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도 27에서와 같이 헤더(H1)와 음악데이터(D1)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H1)에는 "파일 ID"와, "헤더 크기"와, "콘텐츠 키(암호화용)"와, "파일 크기"와 "코덱 ID"와, "파일명"과, "파일 정보"가 저장되고, "재생제한 데이터"와, "재생개시일"과, "재생종료일"과 "재생가능횟수"와 "실재생횟수"가 재생제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생제한정보로서 저장된다.
특히, 도 28에서와 같이 저장된 정보는 16진수로 표현되며, "헤더 크기"는헤더(H1)의 데이터 크기(이번 예에서는 33 바이트)를 나타내고 "파일 크기"는 음악데이터 D1의 파일 크기(33,636,138)를 나타낸다.
또한, "콘텐츠 키"는 음악데이터 D1(도 27)의 코드를 해독하는 암호화 데이터이다. 디지털음악콘텐츠(C1)가 실제로 컴퓨터장치(3)와 디지털재생장치(4) 사이에서 주어지고 수신될 때, 공통 세션 키에 의하여 추가로 암호화된 후 전송된다.
실제로, 컴퓨터장치(3)와 디지털재생장치(4)가 서로 접속될 때 디지털재생장치(4)는 컴퓨터장치(3)에 의하여 인증되도록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인증은 컴퓨터장치(3)와 디지털재생장치(4) 사이에서 경쟁응답방법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연결로서,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DSP(82)는 경쟁응답방법에 의한 인증에서 해독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경쟁응답방법은 디지털재생장치(4)가 컴퓨터장치(3)에 의해 생성된 값(경쟁)에 대하여, 디지털재생장치(4)와 컴퓨터장치(3) 사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비밀키를 사용함으로써 생성된 값(응답)으로 응답하는 방법이다. 경쟁은 매번 바뀌기 때문에, 응답이 도청되는 경우라도 2중-방식의 인증을 안정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응답이 재이용된다는 위험은 없게 된다.
"코텍 ID"는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음악데이터(D1)가 디지털재생장치(4)에 의하여 재생될 때 확장방법에 대응하는 ID 번호이다.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이라고 불리는 데이터 압축방법에 따른 확장방법은 ID 번호 "1"로 배정되고 MP3(MPEG Audio Layer-3)라고 불리는 데이터 압축방법에 따른 확장방법은 ID 번호 "0"으로 배정된다.
"파일명"은 파일명을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며, 예를 들면 "ABCD.AAC"를 아스키(American National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코드로 변환하는 것이다. "파일 정보"는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제목과, 아티스트명과, 작사가명과, 작곡가명과 그 밖의 정보를 아스키코드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데이터이다.
"재생제한데이터"는 재생기간 또는 재생가능횟수와 같은 재생제한이 디지털재생장치(4)에 의해 재생된 디지털음악콘텐츠(C1)에 부가되는지 안 되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재생가능횟수가 제한될 때, "1"이 "재생제한데이터"에 배정되고, 또한 재생가능기간이 제한될 때 "2"가 "재생제한데이터"에 배정된다. 재생제한이 없을 경우에, 즉 디지털음악콘텐츠(C1)가 "구입"에 의하여 구입될 때, "0"이 "구입"에 배정된다.
"재생개시일"과 "재생종료일"은 재생기간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재생제한데이터"가 "2"일 때, "00040F"와 "00070F" 데이터는 재생가능기간이 "2000년 4월 15일"과 "2000년 7월 15일" 사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비슷하게, "재생가능횟수"와 "실재생횟수"는, "재생제한데이터"가 "1"과 "2"일 때이며, 사전에 정의된 재생가능최고횟수와 재생처리가 실행될 때 CPU(78)에 의하여 갱신되는 재생의 실제 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02"와 "01"은 현재 "재생가능횟수"가 "2"번이고 "실재생횟수"는 "1"번임을 나타낸다.
때문에, 도2에서와 같이, 헤더(H1)의 재생제한정보에 있어서, 디지털재생장치(4)는 "2000년 4월 15일"과 "2000년 7월 15일" 사이에서, 각 처리를 반복해서 재생처리를 2회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로서, 도 29에서와 같이,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헤더(H1)에서 재생제한으로서 "재생제한데이터"는 "1"을 나타내고, "재생개시일"과 "재생종료일"은 "000000"과 "000000"을 나타내고, "재생가능횟수"와 "실재생횟수"는 "0a"와 "05"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이것은 "재생개시일"과 "재생종료일"에 의해 특정되는 재생기간에서의 재생제한은 없음을 나타내고, "재생가능횟수"는 "10"회이고 현재의 "실재생횟수"는 "5"회임을 나타낸다.
한편, 디지털음악콘텐츠(C1) 뿐만 아니라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기록 명령은 컴퓨터장치(3)로부터 디지털재생장치(4)로 전송된다. CPU(78)가 RAM(Random Access Memory)(105)에서 기록명령을 받았을 때,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기록하기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 제어기(77)는 ROM(Read-Only Memory)(106)에서 RAM(105)으로 읽혀진 주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된다.
이러한 연결로서,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는 약 64 [Mbytes]의 메모리 크기를 가지며, 1개의 CD(Compact Disc) 앨범 또는 그 이상의 음악 곡목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는 디지털음악콘텐츠(C1)에서 소정의 압축방법에 의하여 압축된 음악데이터(D1)에 대응하는 확장방법에 의하여 음악데이터(D1)를 재생하는 재생 코드를 사전에 저장한다.
때문에,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재생/정지버튼(19)을 누름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재생명령이 조작키 제어기(107)를 통해 CPU(78)에 주어질 때, 재생코드와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음악데이터(D1)는 CPU(78)에 의하여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로부터 읽혀지고 DSP(82)의 RAM(도면에는 안 나타남)으로 전송된다.
DSP(82)는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로부터 전송된 재생코드에 기초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음악데이터(D1)에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난 후 확장하고 재생한다. 재생된 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108)로 공급된다.
여기서, DSP(82)는 내부적으로 제공되는 발진회로(도면에는 안 나타남)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IC 팩키지(82I)(도 15(b))이다. DSP(82)는 외부에 부착되어 수정으로된 발진자(82A)로부터의 마스터 클럭(MCLK)에 기초하여 음악데이터(D1)를 재생하고, 마스터 클럭(MCLK)와 마스터 클럭(MCLK)에 기초하여 내부 발진회로에서 생성된 소정의 주파수를 보유하는 비트클럭(비트클럭)과 프레임에서의 L-채널 클럭(LCLK)과 R-채널 클럭(RCLK)로 구성되는 동작 클럭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108)로 보낸다.
이러한 경우에, DSP(82)는 음악데이터(D1)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기술된 동작 클럭을 재생코드에 따라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108)로 보낸다. 그러나, DSP(82)는 음악데이터(D1)가 재생되지 않는 동안에는 재생코드에 따라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108)를 동작하지 않기 위해서 동작 클럭의 공급을 중단한다. 때문에 전체 디지털재생장치(4)의 전력소비는 줄일 수 있게 된다.
비슷하게, CPU(78)와 USB 제어기(79)로, 수정으로 만든 발진자(78A와 79A)가 외부에 붙여진다. 발진자(78A와 79A)로부터 공급된 마스터 클럭(MCLK)는 소정의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CPU(78)와, DSP(82)와, USB제어기(79)와 같은 각각의 회로에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 생성 모듈이 필요하다. 따라서, 회로 구성은 단순화되고 소형화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108)는 재생된 음악데이터(D1)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은 증폭기(109)로 보내진다. 증폭기(109)는 음성신호를 소정의 단계까지 증폭한 후, 이것을 헤드폰잭(24)으로부터 헤드폰(5)으로 출력하며, 따라서 헤드폰(5)을 통해 재생된 음악이 사용자에게 주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지털재생장치(4)는, 재생/정지버튼(19)이 눌러질 때, CPU(78)의 제어 하에서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 저장된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음악데이터(D1)를 재생하고, 재생 중에 재생/정지버튼(19)이 눌러지면, 재생을 중단한다.
또한, 디지털재생장치(4)는, 재생이 중단된 후 재생/중단버튼(19)이 다시 눌러질 때, CPU(78)의 제어 하에 정지 위치에서 음악데이터(D1)의 재생을 다시 시작한다. 재생을 정지하기 위하여 재생/정지버튼(19)이 눌러진 후 수초 또는 그 이상의 시간 동안 다른 조작이 없게 되면, 디지털재생장치(4)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전력 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한다.
이러한 연결로서, 재생/정지버튼(19)이 전력공급이 중단된 후 눌러질 때, 디지털재생장치(4)는 마지막 정지 위치로부터 음악데이터(D1)를 재생하지 않고, 다시 처음 트랙부터 재생한다.
또한, 디지털재생장치(4)는 표시부(41)에서 재생모드 상태, 이퀄라이저 조정(음질모드), 트랙번호와, 재생시간과, 재생처리 상태와, 정지, 감기, 되감기와, 음량과, 건전지 남아있는 양과 같은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CPU(78)에 의하여 LCD 제어기(68)를 제어한다.
또한,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EEPROM(72)은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 기록된 전체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트랙 번호와 같은 소위 FAT(File Allocation Table)와,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저장하는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의 블록 위치와, 나머지 다른 메모리 축적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연결에서, 본 실시 예는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64 [Kbytes]를 1 블록으로 한다. 한 트랙의 디지털음악콘텐츠(C1)에 따른 블록 위치는 FAT에 포함된다.
한편, 도 30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FAT가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 저장되는 경우, 첫 번째 트랙의 디지털음악콘텐츠(C1)가 CPU(78)의 제어 하에서 기록될 때, 디지털음악콘텐츠(C1)에서의 첫 번째 트랙 블록 위치는 FAT로서 기록된다. 두 번째 트랙의 디지털음악콘텐츠(C1)가 기록될 때, 디지털음악콘텐츠(C1)에서의 첫 번째 트랙 블록 위치와 디지털음악콘텐츠(C1)에서의 두 번째 트랙 블록 위치는 같은 영역에서 새로운 FAT로서 다시 재기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서 기록될 때마다 재기록되기 때문에, CPU(78)는 목적되는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저장하는 장소인 블록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FAT를 읽는다.
반면에, FAT에 있어서, 같은 데이터는 예약용으로 이중적으로 기록되며, 따라서 FAT를 기록하는데 있어서 구동용건전지(21)가 제거되어도 데이터는 예약용으로 FAT에 의하여 보호된다.
그러나, 비록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에 있어서, 저장된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컴퓨터장치(3)에 의하여 자유롭게 재기록되더라도, 현 상태에서 재기록횟수는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FAT가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 저장될 경우, FAT는 디지털음악콘텐츠(C1)가 저장될 때마다 재기록되고, FAT는 이중적으로 재기록됨으로서, FAT의 재기록횟수는 과도하게 증가되고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재기록횟수는 낭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CPU(78)가 FAT를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서 저장하면, FAT의 재기록횟수는 증가하고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재기록횟수는 감소하며, 결과로서, 소정의 재기록횟수는 만족되지 않는다.
반대로, EEPROM(72)는 FAT를 저장하는데 전용으로 제공된다. CPU(78)가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 저장할 때마다, CPU(78)는 EEPROM(72)에서 저장된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FAT를 추가적으로 저장하고, 디지털음악콘텐츠(C1)가 저장될 때마다 재기록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CPU(78)는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서 여러번 재기록되는 FAT를, 디지털음악콘텐츠(C1)와 함께 저장하지 않으며, 디지털음악콘텐츠(C1)로부터 분리하여 EEPROM(72)에 FAT를 기록한다. 따라서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서의 재기록하는 소정의 횟수는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재기록하는데 전부 유효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실제로, CPU(78)는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 저장하고 여러번 재기록되는 FAT를 EEPROM(72)에 기록하며, 따라서 FAT와 디지털음악콘텐츠(C1)가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서 함께 저장되는 경우와 비교될 경우,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서 디지털음악콘텐츠(C1)의 재기록횟수는 수십배 이상 증가될 수 있다.
또한, CPU(78)는 EEPROM에서 FAT를 추가적으로 기록하며, 따라서 FAT 재기록횟수는 EEPROM을 단기간 내에 재기록 불가한 것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하여 최대한 감소된다.
한편, 디지털재생장치(4)가 컴퓨터장치(3)에 USB 케이블(103)로 접속될 때(이하, USB-접속이라 칭함), USB 제어기(79)에서 CPU(78)로 제공되는 중지(interruption) 신호에 기초하여 USB-접속된 것이라고 인식한다.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4)가 USB-접속된 것으로 인식할 때, USB 케이블(103)을 통하여 컴퓨터장치(3)로부터 소정의 전류값의 외부 전력을 공급받고, 이와 동시에, 구동용건전지(21)에 의하여 실행되는 내부 전력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하여 전원회로(102)를 제어한다.
이 시점에서, CPU(78)는 USB 케이블(103)을 통하여 컴퓨터장치(3)로부터 외부 전력을 공급받고, 동시에, DSP(82)에 의하여 실행되는 음악데이터(D1)의 재생처리를 중단한다. 때문에, CPU(78)는 컴퓨터장치(3)로부터 공급된 외부 전력이 소정의 전류값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소정 전류값의 외부 전력을 일정하게 받기위하여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CPU(78)가 USB-접속될 때, 구동용건전지(21)로부터 공급되는 내부전력을 컴퓨터장치(3)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력으로 바꾼다. 때문에 컴퓨터장치(3)로부터의 저-단가 외부전력이 고-단가 구동용건전지(21)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구동용건전지(21)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부가하여, CPU(78)가 USB 케이블(103)을 통하여 컴퓨터장치(3)로부터 외부 전력을 공급받을 때, DSP(82)의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방사(radiation)를 줄이기 위하여, DSP(82)에 의하여 음악데이터(D1)의 재생처리를 중단한다. 결과로서, 컴퓨터장치(3)를 포함하여 전체 방사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또한, CPU(78)가 구동용건전지(21)에서 공급되는 내부 전력으로부터 컴퓨터장치(3)에서 공급되는 외부전력으로 바꿀 때, DSP(82)에 의하여 실행되는 음악데이터(D1)의 재생처리를 중단하고, 각종 버튼(최고음량고정스위치(12)와, 음량높임버튼(14)과, 음량낮춤버튼(15)과, 재생/정지버튼(19)과, 감기버튼(16)과, 되감기버튼(17)등)의 조작에 따른 각종 조작을 실행함이 없이, 컴퓨터장치(3)의 제어 하에서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기록한다. 따라서, 디지털음악콘텐츠(C1)가 재기록되는 동안에 각종 조작 버튼이 눌러지더라도, 장치 자체의 동작은 불안정한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디지털음악콘텐츠(C1)는 보호될 수 있다.
동시에, 항상 컴퓨터장치(3)로부터 외부 전력의 공급을 확실히 받기 위하여, CPU(78)는 구동용건전지(21)로부터 공급되는 내부전력으로부터 컴퓨터장치(3)에서공급되는 외부전력으로 바꾼다.
때문에, 컴퓨터장치(3)의 제어 하에서 디지털음악콘텐츠(C1)가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 기록되는 동안에 구동용건전지(21)가 제거되거나 건전지가 전부 소비되더라도, 디지털재생장치(4)는 처리 중단을 면할 수 있고, 데이터 기록 처리를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CPU(78)는 표시부(41)위에 "PC"라고 표시하기 위하여 컴퓨터장치(3)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력에 기초하여 LCD제어기(68)를 제어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현재 디지털재생장치(4)가 컴퓨터장치(3)에 연결되어 있고 각종 버튼과 스위치를 조작할 수 없음을 알려준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디지털재생장치(4) 상의, 주회로판(43)과 부회로판(42)을 포함하는 각종 회로판뿐만 아니라 구동용건전지(21)가 있는 하우징케이스(10)에서, 줄고정(27)은 하우징케이스(10)의 정 중앙에 가깝게 위치한 무게 중심으로부터 약간 끝 쪽으로 된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고, 재생/정지버튼(19)은 하우징케이스(10)의 한 쪽 단면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4)는 사용자가 목걸이용줄(31)을 줄고정(27)에 부착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목에 목걸이용줄(31)이 걸린 채로 디지털재생장치(4)를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4)는 목걸이용줄(31)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에 매달린 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지지 위치로서의 줄고정(27)이 케이스 수직방향에서 무게 중심으로부터 한 쪽 끝에 가깝게 위치하고, 하우징케이스의다른 쪽 단면은 수직 아래 방향을 향하고, 하우징케이스(10) 한 쪽 단면 위의 재생/정지버튼(19)은 수직 위쪽 방향을 향하고 있기에, 디지털재생장치(4)의 위치는 사용자가 그의 자세를 바꾸더라도 계속 유지될 수 있다.
결과로서, 디지털재생장치(4)가 사용자의 목에 걸린 채 사용된다면, 사용자는 단지 하우징케이스(10)의 둘레를 한 손으로 감싸쥐고,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은 쉽게 하우징케이스(10)의 한 면 위에 위치한 재생/정지버튼(19)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헤드폰줄(28) 의 플러그(29)는 하우징케이스(10)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고 케이스의 수직방향에서 기울어진 헤드폰잭(24)으로 삽입되고, 플러그(29)와 헤드폰줄(28) 사이의 연결부는 재생/정지버튼(19)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따라서 플러그(29)와 헤드폰줄(28) 사이의 연결부는 재생/정지버튼(19)의 조작을 방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헤드폰줄(28)의 플러그(29)는 케이스 수직방향에서 한 쪽 단면에서 다른 쪽 단면 방향으로 헤드폰잭(24)에 삽입되기 때문에, 목걸이용줄(31)이 디지털재생장치(4)에 매달리도록 사용될 때, 목걸이용줄(31)과 헤드폰줄(28)은 일체감을 갖도록 같은 방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때문에, 목걸이용줄(31)과 헤드폰줄(28)의 엉킴은 사용자의 목에서 매달릴 때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서, 줄고정(27)은 각종 회로판과 구동용건전지(21)가 내부적으로 보유되는 하우징케이스(10)의 근접하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무게 중심으로부터 한 단면 방향으로 약간 근접한 소정의 위치에서 제공되고, 재생/정지버튼(19)은 하우징케이스(10)의 한 단면에서 제공된다. 때문에, 사용자가 목걸이용줄(31)을 줄고정(27)에 부착하고 목에 걸 때, 하우징케이스(10) 한 단면 위에 있는 재생/정지버튼(19)은 수직 상향의 방향을 향하여 위치하고, 사용자는 하우징케이스(10)의 둘레를 감싸쥐면서 엄지손가락으로 재생/정지버튼(19)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디지털재생장치(4)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디지털재생장치(4) 상에서, 리브(35A와, 35B와, 36A와, 36B)들은, 구동용건전지(21)의 외부 지름에 대응하여 원통형에 가까운 하우징케이스를 구성하는 정면측 케이스(35)와 배면측 케이스(36)의 결합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 제공된다.
또한,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정면측 케이스(35)는, 리브(35A와 35B, 36A와 36B)에서 결합부(35AX와, 36AX, 35BX와 36BX)를 고정시킴으로써 배면측 케이스(36)에 부착되고, 돌출부는, 원통-형태의 하우징케이스(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돌출된 주회로판(43)의 양단을 보유하기 위하여, 내부공간과 일체적으로 하우징케이스(10)의 우측면과 좌측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주회로판(43)은 원통-형태의 하우징케이스(10)의 외부 지름보다 넓지만, 주회로판(43)은 돌출부의 한 쪽 끝과 돌출부의 다른 쪽 끝 사이에서, 하우징케이스(10)의 원통 형태를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보유될 수 있다. 따라서, 주회로판(43)에 따라서 하우징케이스 본체가 대형화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리브(35A와 35B, 36A와 36B)들은 정면측 케이스(35)와 배면측 케이스(36)위에서 구성되며, 정면측 케이스(35)와 배면측 케이스(36)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부가하여,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정면측 케이스(35)와 배면측 케이스(36)는, 리브(35A와 35B, 36A와 36B)의 결합부(35AX와, 35BX, 36AX와 36BX)를 고정시킴으로써 서로 부착된다. 때문에, 리브(35A와 35B, 36A와 36B)는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결합부(35AX와, 35BX, 36AX와 36BX)는 케이스의 수직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며 2중 구조를 보유하는 돌출 리브를 구성하며, 따라서 하우징케이스(10)의 강성은 또한 증대될 수 있다.
결과로서,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하우징케이스(10)의 강성은 향상되었기 때문에, 하우징케이스(10)는 얇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케이스(10)는 보다 더 소형화된다.
한편, 도 31에서와 같이, 약 14.5 [mm]의 외부지름을 갖는 구동용건전지(21)와 약 17.2 [mm]를 갖는 주회로판(43)을 보유하는 하우징케이스(150)가 있는 케이스는, 주회로판(43)의 넓이에 의존하여 구성되고, 하우징케이스(150)의 두께가 1 [mm]라고 가정할 경우 외부 지름은 19.2 [mm]가 된다.
한편, 도 32에서 명확해 지듯이, 본 실시 예의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하우징케이스(10)는 구동용건전지(21)의 외부 지름에 의존하여 구성되며, 파손으로부터 하우징케이스(10)의 두께 보호와 구동용건전지(21)와 하우징케이스 사이의 틈새를 고려해 보더라도, 하우징케이스(10)의 외부 지름은 약 17 [mm]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약 4.5 [mm]의 넓이를 갖는 돌출부가 리브(35A와 35B, 36A와 36B)에 의하여 하우징케이스(10)에서 구성될 때, 주회로판(43)의 넓이에 의존하는 원통 형태에서 구성되는 하우징케이스(150)와 비교할 때, 주회로판(43)은 내부에 쉽게 보유될 수 있으며, 하우징케이스(10)의 크기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로서, 디지털재생장치(4)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하우징케이스(10)의 마주하는 돌출부가 파란색이고, 하우징케이스(10)의 원통 부분이 돌출부보다 밝은 금색일 때, 원통 부분은 강조되며 디바이스 본체의 소형화는 시각적으로 강조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보유 공간을 갖는 돌출부는 주회로판 넓이 방향의 양쪽 끝에 의존하여 제공되고, 원통형 하우징케이스(10)의 주위 면에서 케이스의 수직방향에 따라서 서로 마주보고, 주회로판(43)은 한 쪽 돌출부의 내부와 다른 쪽 돌출부의 내부 사이에서 보유된다. 따라서, 원통형 케이스의 외부 지름보다 넓은 주회로판(43)은 쉽게 보유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를 보다 더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 예는 줄고정(27)이, 하우징케이스(10)의 한 쪽 끝에서, 디지털재생장치 무게 중심으로부터 이동된 소정의 위치에서 잭유지부(25)와 클립부(26) 사이의 근접 부분에서 제공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줄고정이 각종 회로판과 구동용건전지(21)를 보유하는 하우징케이스(10)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한 쪽 끝 또는 다른 쪽 끝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제공될 경우,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줄고정(27)은 다른 위치에서 제공되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매달리는 하우징케이스(10)의 모습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재생/정지버튼(19)이 하우징케이스(10)의 한 단면 위에서 제공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재생/정지버튼(19)은 하우징케이스(10)의 한 쪽 끝의 주위 면 위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재생/정지버튼(19)의 조작은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도 7에서의 상기-기술된 플러그(29)가 헤드폰잭(24)으로 삽입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L-형태의 플러그가 헤드폰잭(2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를 헤드폰잭(24)에 삽입하는 것은 재생/정지버튼(19)의 조작의 저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L-형태의 플러그가 헤드폰잭으로 삽입되는 플러그라고 하면, 헤드폰잭(24)은 하우징케이스(10)에서 플러그가 삽입되는 안내구의 축이 케이스의 수직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러그는 L-형태와 같이 구성되며, 따라서 재생/정지버튼(19)의 조작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볼록 돌출부분이 하우징케이스(10)의 좌 우측면에서 리브(35A와 35B, 36A와 36B)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주회로판(43)이 보유되는 한도에서, 산-형태의 돌출부분과 하우징케이스에서 전체적으로 구성되는 물방울 모양의 돌출부분과 같이 각종 형태의 돌출부분이 제공되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돌출부분이 하우징케이스의 좌 우측면에서 제공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주회로판(43)이 보유되는 한도에서, 돌출부분이 하우징케이스(10)의 소정의 한 면에서만 제공될 수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분이 회로판의 형태와 개수에 의존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내장된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가 디지털음악콘텐츠(C1)를 기록/재생하기 위하여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제공되는 케이스를 다루었다. 좌 우측면에서 제공되는 것을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메모리 스틱(memory stick(등록상표))과, SD 메모리 카드(SD memory card(등록상표))와,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등록상표))와,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등록상표))와,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등록상표))와, 마이크로 드라이브(micro drive(등록상표))와, 썸 드라이브(thumb drive(등록상표))와 같은 탈부착용 기록매체가 디지털음악콘텐츠(C1)와 같은 소정의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재생을 위하여 디지털재생장치(4)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ATRAC3과 MP3와 같은 데이터 압축방법에 의하여 압축되는 음악데이터 D1이 디지털재생장치(4)의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에서 기록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지털재생장치(4)의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는 MPEG-2AAC(MPEG-2 Advanced Audio Coding)(등록상표)와, QDesign Music Codec(등록상표)과, TwinVQ(Transform-Domain Weighted Interleave Vector Quantization)(등록상표)와, MS Audio(Microsoft Audio(or WMA : Windows Media Audio)(등록상표)와, OggVorbis(등록상표)와 같은 다른 데이터 압축방법에 의해 압축되는 음악데이터(D1)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가 도 3에서 기술된 디지털재생장치(4)에 적용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스크 기록매체와, 테이프 기록매체를 이용한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와, 메모리 카드가 탈착가능하게 탑재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와, 휴대전화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와 같은 휴대단말과 헤드-장착 디스플레이(head-mount display)와 같은, 각종의 휴대용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DSP(82)가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진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으로서 적용된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진 디지털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는 한, 각종의 재생수단이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재생/정지버튼(19)이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하는 명령을 내리는 조작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명령이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하여 내려지는 한, 재생뿐만 아니라 정지와, 감기와, 되감기와 같은 다양한 조작명령을 지시할 수 있는 조작수단처럼, 각종의 조작수단이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조작수단에 의한 입력인 재생명령에 따라서 CPU(78)가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매체로부터 읽고 이 읽은 것을 재생수단으로 보내고,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하여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조작수단에 의한 입력인 재생명령에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지고 재생수단으로 출력할 수 있고, 재생수단이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한, 마이크로 컴퓨터와 같은 각종의 제어수단이 폭 넓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PC 수지와 ABS 수지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원통형에 가까운 하우징케이스(10)가 재생수단과 제어수단을 보유하는 원통형 하우징케이스로서 적용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케이스가 원통형이고 재생수단과 제어수단을 보유하는 한, 4각 케이스와 상자형과 같은 각종의 재질과 형태로 구성된 하우징케이스가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원형의 줄고정(27)이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소정의 줄을 부착하기 위한 줄 부착수단으로서 제공된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줄고정이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고 소정의 줄을 거기에 부착할 수 있는 한, 각종의 부착수단은 폭 넓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도 5에서 기술된 밴드-형태의 목걸이용줄(31)이 줄로서 사용된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목걸이용줄(31)보다 훨씬 짧은 줄과 금속으로 만든 체인형 줄과 같은 다양한 줄이 폭 넓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재생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매달리도록 사용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리 춤 또는 가슴주머니에도 매달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헤드폰잭(24)이 단말을 보유하는 잭으로서 적용된 경우를 다루었으며, 헤드폰잭은 외부 접속 플러그를 그 안에 넣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케이스의 수직방향에서 한 쪽 끝에서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외부 플러그를 그 안에 넣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아날로그 신호를 삽입된 접속 플러그에 출력하는 케이스의 수직방향에서 한 쪽 끝에서 제공되는 단말을 보유하는 한, 이어폰 줄에서 제공되는 플러그와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코드에서 제공되는 플러그와 같은 각종의 잭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도 15(a)와 15(b)에서 기술된 4각 주회로판(43)이 적어도 제어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집적 회로 패키지를 탑재하면서 하우징케이스에서 보유된 회로판으로 사용된 경우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갖는 회로판은, 디스크 회로판과 부회로판(42)과 같은 사다리형 회로판의 경우처럼,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서로 결합된 리브 35A, 35B, 36A, 36B로 구성된 돌출부가, 회로판의 일부를 보유하기 위하여 회로판의 형식에 따라서 하우징케이스의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로서 적용된 경우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돌출부가 회로판의 일부를 보유하기 위하여 회로판의 형식에 따라서 하우징케이스의 일부로부터 돌출되는 한, 다른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돌출부가 폭 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클립(26)이 하우징케이스를 사용자의 몸, 옷, 또는 소지품에 부착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하는 클립으로서 적용되는 경우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우징케이스를 사용자의 몸과, 옷과, 소지품에 부착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될 수 있는 한, 각종의 클립이 폭 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USB 커넥터(83)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받는 인터페이스로 적용된 경우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한, 각종의 인터페이스가 폭 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기(77)가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으로서, 기록매체로 CPU(78)의 제어 하에서 디지털 데이터(D1)를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80)상에 저장하는 경우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어기가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한, 각종의 기록수단이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서 기술된 목걸이용줄(31)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 33에서와 같이, 줄(31)은 소정의 넓이를 보유하는 옷감으로 된 밴드 260A와, 260B와 길이가 선택되고, 따라서 재생장치(4)(도면에는 안 나타남)는 사용자가 줄을 목에 걸 때 사용자의 가슴 정면에 매달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줄(31)에서, 측면 분리 구조를 보유하는 분리가능한 연결부(261)는 밴드(260A)의 한 쪽 끝에 달려 있고, 짧은 밴드(260B)는 연결부(261)에 달려있다. 따라서, 연결부(261)는 밴드(260A)와 밴드(260B)가 서로 쉽게 연결되고 분리가능하도록 허용한다.
연결부(261)는 도 34에서와 같이, 연결부(261)는 암-형부(262)와 수-형부(263)로 구성되고, 소정의 길이의 줄(264)을 갖는 홀더(265)는 수-형부(263)에 밴드(260B)로 부착되어 있다. 홀더(265)의 줄(264)은 디지털재생장치(4)의 줄고정(27)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수-형부(263)는 2개의 고정 돌출부(263A와 263B)와 중앙 돌출부(263C)를 포함한다. 2개의 고정 돌출부(263A와 263B)는 삼각형에 가까운 삼각형 팁(tip)(263A1과 263B1)을 각각 가지며 이 삼각형 팁은 유연성이 없는 지지대(263A2와 263B2)와 함께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수-형부(263)의 중앙돌출부(263C)를 안내하는 안내구(262C)와 수-형부(263)의 고정돌출부(263A와 263B)를 안내하는 안내구(262A와 262B)가 암-형부(262)에서 제공된다.
또한, 소정의 형태를 갖는 노치(notch)(262A1과 262B1)가 암-형부(262)의 양옆에서 제공되며, 때문에 팁(263A1과 263B1)은 수-형부(263)의 고정 돌출부(263A와 263B)가 안내구(262A와 262B)로 삽입될 때 대응되는 노치(262A1과 262B1)로부터 돌출 된다.
결과로서, 고정부(261)에서, 암-형부(262)와 수-형부(263)는 서로 연결되고, 고정 돌출부(263A와 263B)의 팁(263A1과 263B1)이 노치(262A1과 262B1)로부터 돌출될 때, 팁(263A1과 263B1)의 조임부(jaw part)를 노치(262A1과 262B1)의 어깨부(shoulder part)(262A2와 262B2)에 걸음(hooked)으로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노치(262A1과 262B1)로부터 돌출 되는 고정 돌출부(263A와 263B)의 팁(263A1과 263B1)이 양옆에서 압축되면, 고정 돌출부(263A와 263B)의 지지대(263A2와 263B2)는 안으로 밀려들어온 후, 수-형부(263)는 암-형부(262)로부터 쉽게 뽑혀질 수 있고, 결과로서, 연결이 풀리게 된다.
따라서, 줄(31)을 디지털재생장치(4)의 줄고정(27)에 홀더(265)의 줄(264)로 연결한 후, 디지털재생장치(4)는, 연결부(261)에서 한 번의 누름으로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줄(31)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35에서와 같이, 줄(31)에서, 나일론 접착 테이프(일종의 매직 테이프)(270)는 밴드(260A) 배면의 한 쪽 끝에 붙여지고, 접착 테이프(270)와 거의 같은 모양과 크기의 접착 테이프(271)는 밴드(260A) 정면의 다른 쪽 끝에 부착된다.
줄(31)에 있어서, 밴드(260A)의 배면 한 쪽 끝에 붙어있는 접착 테이프(270)와, 밴드(260A)의 정면 다른 쪽 끝에 붙어있는 접착 테이프(271)는 서로 부착되며, 때문에, 밴드(260A)는 사용자의 목에 걸려질 때, 가슴 앞에서 엉키지 않고, 줄(31)의 밴드(260A) 면은 항상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밴드(260A)의 표면에 쓰여진 디자인과 로고는 숨겨지지 않으며 줄(31)은 보다 근사하게 보이게 된다.
또한, 줄(31)에서, 밴드(260A)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은 접착 테이프(270과 271)로 서로 부착되고, 이들은 적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밴드(260A)가 특정 사고로 인하여 잡아 당겨지더라도, 접착 테이프(270과 271)는 서로 쉽게 분리되고, 따라서 줄(31)이 사용자의 목을 조르는 일은 없다.
또한, 줄(31)(도 33)에 있어서, 안내구(32A와 32B)는 디지털재생장치(4)에 연결된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을 통과시키고 유지하기 위하여 밴드(260A)의 배면에서 제공되고, 안내구(32A)는 연결부(261)의 근처에 위치하고, 나머지 안내구(32B)는 소정의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서 위치한다.
도 36에서와 같이, 안내구(32A와 32B)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길이 L과 밴드(260A)다 조금 짧은 넓이 W를 갖는 덮개(32AX와 32BX)가 수직 방향에서 밴드(260A)의 배면에 박음질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폰줄(28)이 밴드(260A)의 배면에 박음질된 안내구(32A와 32B)로 통과한 후, 밴드(260A) 배면의 한 쪽 끝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270)와 밴드(260A) 정면의 다른 쪽 끝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271)에 의하여, 사용자의 목에 매달리는 링이 형성되고,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은 밴드(260A)와 일체가 된다.
또한, 안내구(32B)는 줄(31)(도 33)이 사용자의 목에서 매달릴 때 헤드폰줄(28)의 분리부(28A) 근처에 있기 위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짧은 헤드폰줄(28)이 사용자의 목에서 위치하고, 이로써, 헤드폰줄(28)의 방해는 보다 더 해결되질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줄(31)에서, 안내구(32A와 32B)는 밴드(260A)의 배면에서 제공되고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은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을 밴드(260A)와 일체화하는 안내구(32A와 32B)로 통과된다.
따라서, 줄(31)이 홀더(265)의 줄(264)을 디지털재생장치(4)의 줄고정(27)에 묶음으로서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매달릴 때, 디지털재생장치(4)에 연결된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이 밴드(260A)와 엉키게 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성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줄(31)에서,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이 밴드의 배면에서 위치되기 때문에, 디자인과 로고가 그 위에 기록된 밴드(260A)의 정면만이 보여지며, 따라서 보다 패션화되고 보다 근사하게 보이게 된다.
또한, 줄(31)에 있어서, 밴드(260A) 배면의 한 쪽 끝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270)가 밴드(260A) 정면의 다른 쪽 끝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271)에 붙여지므로, 밴드(260A)는 가슴 앞에서 꼬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4)가 사용자의 목에서 매달릴 때, 밴드(260A)는 사용자가 불편하도록 하지 않는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서, 안내구(32A와 32B)는 줄(31)에서 밴드(260A)의 배면에서 제공되고,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은 안내구(32A와 32B)를 통과하고,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은 밴드(260A)와 일체화가 되고, 헤드폰줄(28)은 밴드(260A)와 엉켜지는 것으로부터 확실히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율은 매우 향상되고 사용자는 쾌적하게 안내구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제 2 실시 예에서의 목걸이용줄이 설명된다. 도 37에서는 도 5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하여 같은 도면부호가 사용되며, 도면부호 280은 전체로서제 2 실시 예에서의 디지털재생장치(4)에 목걸이용줄(281)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다. 헤드폰(5)은 디지털재생장치(4)에 헤드폰줄(28)로 연결된다.
도 33에서의 줄(31)과 비슷하게, 도 38에서의 목걸이용줄(281)은 소정의 폭을 갖는 부드러운 옷감 밴드(282)이며, 길이는 디지털재생장치(4)가 사용자의 목에 매달릴 때, 디지털재생장치가 가슴 앞에서 위치할 수 있을 정도로 선택된다.
이러한 줄(281)에, 연결부(283)가 밴드(282)의 한 쪽 팁을 디지털재생장치(4)에 연결시키게 된다. 고정부(284)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화살에 의해 나타난 방향에서 또한 회전 가능한 후크(hook)(285)는 이 연결부(283)에 부착되고, 링(286)은 후크(285)에 부착된다.
링(286)은 스프링 구성을 가지며, 서로 분리하기 위하여 외력을 가함으로써 소정의 절단부위(287)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디지털재생장치(4)의 줄고정(27)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재생장치(4)는 줄(281)의 링(286)을 이용하여 매달릴 수 있고, 연결부(283)는 디지털재생장치로부터 즉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줄(31)과 비슷하게, 접착 테이프(288)는 밴드(282) 배면의 한 쪽 끝에 붙여지고 접착 테이프(288)와 거의 같은 모양과 같은 크기의 접착 테이프(289)는 밴드(282) 정면의 다른 쪽 끝에 부착된다.
따라서, 줄(281)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288과 289)가 서로 부착될 때, 밴드(282)는 엉키지 않고, 밴드(282)의 정면은 항상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밴드(282A)의 정면에 쓰여진 디자인과 로고는 가려지지 않으며 줄(31)은 보다 근사하게 보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또한, 밴드(282)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은 접착 테이프(288과 289)로 서로 부착되고, 이들은 적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밴드(282)가 특정 사고로 인하여 잡아 당겨지더라도, 접착 테이프(288과 289)는 서로 분리되고, 따라서 줄(281)이 사용자의 목을 조르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에서의 줄(31)과 같이, 줄(281)에 있어서, 밴드(282)의 배면에서, 안내구(32A와 32B)는 디지털재생장치(4)에 연결된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이 안내구(32A와 32B)를 통과한 후, 밴드(282) 배면의 한 쪽 끝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288)는 밴드(282) 정면의 다른 쪽 끝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289)에 접착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에 매달리는 링이 형성되고,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은 밴드(282)와 일체가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줄(281)에서, 안내구(32A와 32B)는 밴드(282)의 배면에서 제공되고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은 안내구(32A와 32B)로 통과된다. 때문에,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은 밴드(282)와 일체화 될 수 있다.
또한, 줄(281)에 있어서, 힘이 링을 분리하기 위하여 가해질 때, 소정의 위치(287)에서 분리되도록 스프링 구조를 갖는 링(286)은 디지털재생장치(4)의 줄고정(27)에 연결되고, 때문에 디지털재생장치(4)는 연결부(283)로부터 즉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줄(281)에 있어서, 디지털재생장치(4)만이 줄(281) 자체로부터분리될 수 있으며, 디지털재생장치(4)가 연결부(261)의 수-형부(263)와 함께 분리되는 제 1 실시 예의 줄(31)과는 다르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줄(281)에서는, 안내구(32A와 32B)는 밴드(282)의 배면에서 제공되고, 헤드폰(5)의 헤드폰줄(28)은 안내구(32A와 32B)를 통과하고, 때문에 헤드폰줄(28)은 밴드(282)와 엉켜지는 것으로부터 확실히 방지될 수 있고, 사용율은 매우 향상될 수 있다.
도 39에서는 도 5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하여 같은 도면부호가 사용되며, 도면부호 300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용줄(301)이 디지털재생장치(4)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다. 디지털재생장치(4)로, 헤드폰(303)은 도 5에서의 헤드폰(5)의 헤드폰줄(28)과는 다른 헤드폰줄(302)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도 40에서는 도 33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하여 같은 도면부호가 사용되며, 목걸이용줄(301)은 소정의 넓이를 보유하는 옷감으로 된 밴드 260A와, 260B로 구성되며, 그 길이는 사용자의 목에 매달릴 때, 재생장치(4)가 사용자의 가슴 정면에 위치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헤드폰줄(302)의 분리부(302A)는 플러그(305) 근처에서 제공되고, 왼쪽 헤드폰줄(302)은 플러그(305) 근처에서 제공되고,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3C)은 같은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헤드폰(303)의 왼쪽 헤드폰줄(302B)을 따라서 안내구(32A와 32B)는 밴드(260A)의 배면의 소정의 위치에서 제공되고, 오른쪽 헤드폰줄(302C)을 따라서 안내구(32C와 32D)는 밴드(260A)의 배면의 소정의 위치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왼쪽 헤드폰줄(302B)은 한 쪽 안내구(32A와 32B)로 통과되고, 오른쪽 헤드폰줄(302C)은 밴드(260A)로 헤드폰(303)의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을 일체화하는 다른 쪽 안내구(32C와 32D)로 통과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에서의 줄(31)과 비슷하게, 줄(301)에서는, 밴드(260A) 배면의 한 쪽 끝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270)가 밴드(260A) 정면의 다른 쪽 끝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271)에 붙여지므로, 밴드(260A)는 가슴 앞에서 꼬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에서 매달리는 디지털재생장치(4)는 사용자가 불편하도록 하지 않는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줄(301)에서는, 안내구(32A와 32B, 32C와 32D)는 밴드(260A)의 배면에서 제공되고,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은 밴드(260A)를 헤드폰(303)의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로 일체화하는 안내구(32A와 32B, 32C와 32D)를 통과한다.
때문에, 디지털재생장치(4)를 줄(301)로 매다는 동안, 디지털재생장치(4)에 연결된 헤드폰(303)의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은 밴드(260A)와 엉키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사용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줄(301)에 있어서, 헤드폰(303)의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은 밴드(260A)의 배면에서 위치되기 때문에, 디자인과 로고가 그 위에 기록된 밴드(260A)의 정면만이 보여지며, 따라서 보다 근사해 보이고, 보다 패션화된다.
또한, 줄(301)에 있어서, 같은 길이를 갖는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을 구성하는 헤드폰(303)에 관하여,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은 밴드(260A)와 일체화가 되고, 때문에 오른쪽 헤드폰줄(302)은 사용자 목의 낮은 부분의 앞에서 통과하지 않으며, 이것은 사용자가 헤드폰줄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줄에 있어서, 전체 4개의 안내구(32A와 32B, 32C와 32D)는 밴드(260A)의 배면에서 제공되고, 헤드폰(303)의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은 각각 안내구(32와 32B, 32C와 32D)를 통과한다. 때문에,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은 밴드(206A)와 일체화되고, 밴드(260A)와 엉키는 것으로부터 방지되며, 이것은 사용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는 넓이 W를 보유하는 덮개(32AX와 32BX)가 밴드(260A)의 배면에 박음질 된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적이지 않으며 도 41에서와 같이, 안내구(320)를 형성하는 282로서, 수직 방향에서의 하나의 긴 덮개가 밴드(260A)의 배면에 박음질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줄(31과, 281과, 301)과 헤드폰(5)의 헤드폰줄(28)과, 헤드폰(303)의 오른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은 서로 보다 강하게 일체화 될 수 있다.
또한, 도 42에서와 같이, 부착 테이프(323과 324)는, 헤드폰줄(28)과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이 밴드(260A와 282)의 배면에 있는 상황하에서 밴드(260)와 일체화를 이루는 덮개(322)로 띠를 감은 후, 서로 붙여질 수있다. 또한, 도 43에서와 같이, 헤드폰줄(28)과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이 밴드(260A와 282)의 배면에 있는 상황하에서, 밴드(260A와 282)와 일체화를 이루는 덮개(325)로 띠를 감은 후, 똑딱단추의 수-형부(326)와 암-형부(327)는 줄(28)을 보유하기 위하여 붙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밴드(260A와 282)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이 접착 테이프(270과 271)에 의하여 서로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적이지 않으며 꼬이지 않도록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밴드(260A와 282)가 꼬여지지 않도록 접착 테이프(270과 271, 288과 289)로 붙여진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적이지 않으며 밴드는 꼬여진 채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44에서와 같이, 헤드폰줄(28)과,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이, 밴드(260A와 282)의 내부로 통과되도록, 밴드(260A와 282)의 배면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형식으로 된 투입구(328과 329)를 통하여 헤드폰줄(28)과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을 통과시킴으로써, 밴드(260A와 282)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밴드(260A와 282)와, 줄(31과 301)이 제공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적이지 않으며 도 45에서와 같이, 줄(330)이 줄(31과 301)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줄(330)은 줄(330) 정면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에서 제공되는 접착 테이프로 부착되고, 헤드폰(5)의 헤드폰줄(28)과 헤드폰(303)의 왼쪽 헤드폰줄(302B)과 오른쪽 헤드폰줄(302C)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줄 홀더(311)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줄(31과 301)의 밴드(260A와 282) 길이가 디지털재생장치가 사용자의 목에 매달릴 때, 가슴 앞에 위치하도록 선택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적이지 않으며 밴드(260A와 282)에 길이조정수단을 부착함으로써 자유롭게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옷감이 줄(31과 301)의 밴드(260A와 260B와 282)에 대하여 소재로서 사용된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적이지 않으며 금속 체인 또는 이와 같은 것들이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는 디지털재생장치(4)가 줄(31과 301)에 부착된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적이지 않으며 휴대용 라디오, 손 조작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헤드폰이 부착된 휴대용 전화기, 머리-장착 디스플레이와 이와 같은 것들이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내장된 기록매체 또는 탈착가능 기록매체로 또는 기록매체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휴대용 음악 재생장치와 휴대전화기와 PDA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5)

  1.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진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처리를 실행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명령을 내리는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으로 재생명령입력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읽고, 이 읽은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재생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재생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을 보유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서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한 단면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에 의하여 재생처리가 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과,
    외부 접속 플러그가 안에 삽입되도록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는 잭과,
    상기 잭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의 삽입된 접속 플러그로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보유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잭은 상기 케이스에서 제공됨으로써 상기 접속 플러그는 상기의 세로방향의 다른 쪽 끝에서 돌출 되어 한 쪽 끝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잭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접속 플러그를 삽입하는 방향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세로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줄을 줄 부착수단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는 줄 부착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줄 부착수단은 목걸이용줄이 상기 줄 부착수단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성하는 집적회로 패키지를 실장하여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회로판과,
    상기 케이스의 일부는 상기 회로판의 외형에 따라서 돌출 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로판의 일부를 보유하는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세로방향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사용자의 몸, 옷, 그 외 소지품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는 핀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받아들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국제직렬버스표준에 기초하는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조작수단에서 상기 재생명령입력에 따라서 ()MPEG 오디오 레이어-3으로 압축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조작수단에서 상기 재생명령입력에 따라서 적응성변환음향코딩-3(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3)에 의하여 압축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원통형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6.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진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처리를 실행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명령을 내리는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으로 재생명령입력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읽고, 이 읽은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재생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재생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을 보유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는 줄 부착수단과,
    상기 줄 부착수단에 부착되는 줄과,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한 쪽 단면의 끝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에 의하여 재생처리가 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과,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의 삽입된 접속 플러그로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가지는 잭으로서 외부 접속 플러그가 안에 삽입되도록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는 잭과,
    상기 줄은 상기 접속 플러그로부터 나오는 코드와 상기 환형부를 일체적으로 유지하는 환형부과 유지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밴드 부재와,
    배면의 한 쪽 끝의 밴드 부재를 정면의 다른 쪽 끝의 밴드 부재에 접착하는 접착수단으로 구성된 환형부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밴드 부재 배면의 한 쪽 끝을 상기 밴드 부재 정면의 다른 쪽 끝에 탈착가능하게 붙이는 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잭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잭이 상기 케이스에서 제공됨으로써 상기 접속 플러그는 다른 쪽 끝에서 돌출 되어 상기 케이스의 세로방향의 한 쪽 끝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잭이 상기 케이스에서 제공됨으로써 상기 접속 플러그를 삽입하는 방향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세로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성하는 집적회로 패키지를 실장하여 보유되는 회로판과,
    상기 케이스의 일부는 상기 회로판의 외형에 따라서 돌출 하는 것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로판의 일부를 보유하는 돌출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세로방향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5.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사용자의 몸, 옷, 그 외 소지품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세로방향의 한 쪽 끝에서 제공되는 핀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6. 제 16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받아들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국제직렬버스표준에 기초하는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조작수단에서 상기 재생명령입력에 따라서 ()MPEG 오디오 레이어-3으로 압축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조작수단에서 상기 재생명령입력에 따라서 적응성변환음향코딩-3에 의하여 압축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원통형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2. 기록방법으로서,
    원통형 케이스의 세로방향 한 쪽 단면의 끝에서 제공되는 조작수단이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명령을 내리기 위해 조작될 때,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재생명령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지고,
    읽혀진 디지털 데이터는 재생처리에서 처리되고,
    상기 조작수단이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재생처리를 실행하는 동안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을 중단하는 명령을 내리기 위하여 조작될 때,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은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33. 기록/재생 방법으로서,
    외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가 원통형 케이스에 제공된 인터페이스에서 받아들여지고 케이스의 내장된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세로방향 한 쪽 단면의 끝에서 제공되는 조작수단이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명령을 내리기 위해 조작될 때,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재생명령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지고,
    읽혀진 디지털 데이터는 재생처리에서 처리되고,
    상기 조작수단이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재생처리를 실행하는 동안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을 중단하는 명령을 내리기 위하여 조작될 때,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은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방법.
  34. 재생방법으로서,
    원통형 케이스의 세로방향 한 쪽 단면의 끝에서 제공되는 조작수단이 상기 케이스에 탈착가능하게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명령을 내리기 위하여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재생명령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지고 읽혀진 디지털 데이터는 재생처리에서 처리되고,
    조작수단이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재생처리를 실행하는 동안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을 중단하는 명령을 내리기 위하여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될 때,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은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35. 기록/재생 방법으로서,
    외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가 원통형 케이스에 제공된 인터페이스에서 받아들여지고 케이스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된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원통형 케이스의 세로방향 한 쪽 단면의 끝에서 제공되는 조작수단이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명령을 내리기 위하여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될 때,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재생명령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지고 읽혀진 디지털 데이터는 재생처리에서 처리되고,
    상기 조작수단이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재생처리를 실행하는 동안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을 중단하는 명령을 내리기 위하여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될 때,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은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방법.
KR1020017008450A 1999-11-14 2000-11-14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재생방법, 그리고기록/재생 방법 KR20020019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143599A JP4304558B2 (ja) 1999-11-14 1999-11-14 携帯機器
JP10-1999-361435 1999-11-14
PCT/JP2000/008019 WO2001037259A1 (fr) 1999-11-14 2000-11-14 Appareil d'enregistrement et/ou de lecture portatif, procede de lecture, et procede d'enregistrement et de lectu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737A Division KR100848946B1 (ko) 1999-11-14 2000-11-14 휴대용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889A true KR20020019889A (ko) 2002-03-13

Family

ID=184735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737A KR100848946B1 (ko) 1999-11-14 2000-11-14 휴대용 재생장치
KR1020017008450A KR20020019889A (ko) 1999-11-14 2000-11-14 휴대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재생방법, 그리고기록/재생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737A KR100848946B1 (ko) 1999-11-14 2000-11-14 휴대용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7970815B1 (ko)
JP (1) JP4304558B2 (ko)
KR (2) KR100848946B1 (ko)
CN (2) CN1286104C (ko)
WO (1) WO20010372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98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네모스 휴대형 저장장치
KR100758133B1 (ko) * 2005-10-18 2007-09-12 주식회사 레인콤 사용자 특성정보 및 위치정보를 고려한 멀티미디어 재생기 및 재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42407A (en) * 2004-08-13 2010-11-30 Sony Emcs Malaysia Sdn Bhd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60087895A (ko) * 2005-01-31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기록/재생장치 및 자동 타이틀링방법
US7515053B2 (en) * 2005-04-25 2009-04-07 Hannah Clair Klein Identification band
US7607243B2 (en) 2006-05-03 2009-10-27 Nike, Inc. Athletic or other performance sensing systems
JP4585491B2 (ja) * 2006-07-31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080118904A1 (en) * 2006-11-22 2008-05-22 Allen Frederick T Birding acoustic feedback learning aid
CN101325132B (zh) * 2007-06-13 2011-12-21 鹏智科技(深圳)有限公司 音频播放装置
EP2200722B1 (en) 2007-09-07 2019-01-23 NIKE Innovate C.V.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JP2009081966A (ja) * 2007-09-27 2009-04-16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US8517896B2 (en) 2008-04-02 2013-08-27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8849412B2 (en) 2011-01-28 2014-09-30 Micron Devices Llc Microwave field stimulator
EP3821941A1 (en) 2011-01-28 2021-05-19 Stimwave Technologies Incorporated Neural stimulator system
JP6671843B2 (ja) 2011-04-04 2020-03-25 マイクロン デヴァイシー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移植式導線
US9220897B2 (en) 2011-04-04 2015-12-29 Micron Devices Llc Implantable lead
FR2973918B1 (fr) * 2011-04-08 2013-04-26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commande a distance d'un appareil electrique et procede pour la mise en service de ce dispositif
WO2013019757A2 (en) 2011-07-29 2013-02-07 Stimwave Technologies Incorporated Remote control of power or polarity selection for a neural stimulator
US9242103B2 (en) 2011-09-15 2016-01-26 Micron Devices Llc Relay module for implant
US9756927B2 (en) * 2011-11-30 2017-09-12 Apple Inc. Mounting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3177006A2 (en) 2012-05-21 2013-11-28 Stimwave Technologies,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modulating excitable tissue of the exiting spinal nerves
US9563239B2 (en) 2012-09-10 2017-02-07 Apple Inc. Internal computer assembly features and methods
US9254393B2 (en) 2012-12-26 2016-02-09 Micron Devices Llc Wearable antenna assembly
KR101300291B1 (ko) * 2013-03-04 2013-08-28 김용섭 음성의 녹음 및 재생 기능을 갖는 실종방지장치
US20150036836A1 (en) * 2013-08-05 2015-02-05 Damon Moon Mobile Device Headset Interface Module
US9409029B2 (en) 2014-05-12 2016-08-09 Micron Devices Llc Remote RF power system with low profile transmitting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850A (en) * 1976-07-27 1978-03-28 Walden Richard D Portable tape player and tape container
US4504707A (en) 1982-03-15 1985-03-12 Kyushu Hitachi Maxell, Ltd. Push-button switch locking device for use in electric appliance
US4951691A (en) * 1982-06-01 1990-08-28 Robyn Leary Method of treating and curing smoking habits and the like in adults
JPS5978662U (ja) * 1982-11-18 1984-05-28 ロビ−・マイケル・ジヨセフ 音声信号を音声に変換する携帯用機器を保持するためのベルト
JPS59127276U (ja) * 1983-02-16 1984-08-27 キル・タイ・クウォン 音響機器用レシ−バ−コ−ドが埋設されたバンド
AT384688B (de) 1986-03-07 1987-12-28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mit einem zum aufnehmen eines aufzeichnungstraegers vorgesehenen aufnahmeraum
US4707378A (en) 1986-07-11 1987-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rganic contamination level in an electroless plating bath
JPH01206732A (ja) 1988-02-12 1989-08-18 Maspro Denkoh Corp マイクロ波受信用コンバータ
JPH0284388A (ja) 1988-09-21 1990-03-26 Hitachi Ltd 熱転写シート
JPH0310756A (ja) 1989-06-08 1991-01-18 Kiku Eng Kk 研磨方法及び研磨装置
JPH0338425A (ja) 1989-07-06 1991-02-19 Fuji Heavy Ind Ltd 自動車用強制換気装置
JPH0783289B2 (ja) 1990-06-11 1995-09-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用無線機
US5323370A (en) 1991-05-31 1994-06-21 Mattel, Inc. Children's music player with control lockout
US5230649A (en) * 1991-06-14 1993-07-27 Robertson Phil A Duck call apparatus
JP2524922B2 (ja) 1991-09-30 1996-08-14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メタリック感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DE4218112B4 (de) 1992-01-21 2012-03-01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Gerät, insbesondere Schalt- und Steuergerät für Kraftfahrzeuge
JP3244371B2 (ja) * 1993-12-22 2002-01-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オーディオ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オーディオ情報処理方法
US5491774A (en) * 1994-04-19 1996-02-13 Comp General Corporation Handheld record and playback device with flash memory
US5458277A (en) * 1994-05-24 1995-10-17 Wyzykowski; Sandra J. Personal carrier for partially consumed confections
KR0138333B1 (ko) * 1994-05-31 1998-05-15 김광호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ic 메모리 카드, ic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JPH0870366A (ja) * 1994-08-26 1996-03-12 Hitachi Ltd 音声メッセージの記録再生方法及び通信装置
JP3048035B2 (ja) 1994-11-29 2000-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針式表示装置
DE19528632A1 (de) 1995-08-04 1997-02-06 Bosch Gmbh Robert Steuergerät bestehend aus mindestens zwei Gehäuseteilen
JPH0965473A (ja) 1995-08-29 1997-03-07 Katsuhiko Ijichi ヘッドホン
JPH09127431A (ja) * 1995-10-27 1997-05-16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機器装置
JP3302871B2 (ja) * 1995-12-27 2002-07-15 株式会社東芝 録音装置
JPH09191916A (ja) 1996-01-17 1997-07-29 Shigeru Furukawa 携帯用バック及び携帯音響電子機器用保持具
JPH10283080A (ja) * 1997-04-04 1998-10-23 Sony Corp 情報再生装置、情報出力装置および情報記憶装置
GB2325547B (en) * 1997-05-23 2000-04-19 Texas Instrumen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ata communications
JPH10338425A (ja) * 1997-06-04 1998-12-22 Tsudakoma Corp 糸巻体移送方法と装置並びに糸巻体移送用介在パレット
US5915609A (en) * 1997-09-11 1999-06-29 Diakoulas; John E. Belt harness and support
JPH11146050A (ja) * 1997-11-05 1999-05-28 Sony Corp 携帯無線機
US5928347A (en) * 1997-11-18 1999-07-27 Shuttle Technology Group Ltd. Universal memory card interface apparatus
US6038199A (en) 1997-11-21 2000-03-14 Dictaphone Corporation Portable digital audio recorder with adaptive control configurations
JPH11177250A (ja) * 1997-12-08 1999-07-02 Sony Corp 電子機器
EP0957489A1 (en) * 1998-05-11 1999-11-17 Van de Pol, Teun Portable device and method to record, edit and playback digital audio
US6036068A (en) * 1998-07-17 2000-03-14 Cartmell; Steven D. Restraining and/or retain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s
US6226618B1 (en) * 1998-08-13 2001-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ontent delivery system
US6167251A (en) * 1998-10-02 2000-12-26 Telespree Communications Keyless portable cellular phone system having remote voice recognition
JP2000148190A (ja) * 1998-11-13 2000-05-26 Varo Vision Co Ltd 携帯用デジタル装置
US6353870B1 (en) * 1999-05-11 2002-03-05 Socket Communications Inc. Closed case removable expansion card having interconnect and adapter circuitry for both I/O and removable memory
US20020101816A1 (en) * 1999-05-20 2002-08-01 Michael F. Braitberg Removable optical storage device and system
JP2001048190A (ja) * 1999-07-30 2001-02-20 Toppan Forms Co Ltd 封書用シート
KR100348577B1 (ko) 1999-09-30 2002-08-13 동부전자 주식회사 강유전체 메모리
KR100601620B1 (ko) * 1999-10-01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엠.피.쓰리.(mp3) 플레이어겸용 휴대형 이동통신 무선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98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네모스 휴대형 저장장치
KR100758133B1 (ko) * 2005-10-18 2007-09-12 주식회사 레인콤 사용자 특성정보 및 위치정보를 고려한 멀티미디어 재생기 및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7259A1 (fr) 2001-05-25
CN1286104C (zh) 2006-11-22
US8341217B2 (en) 2012-12-25
KR20070046167A (ko) 2007-05-02
US8010596B2 (en) 2011-08-30
US7970815B1 (en) 2011-06-28
JP4304558B2 (ja) 2009-07-29
CN1925056A (zh) 2007-03-07
CN1925056B (zh) 2010-05-19
CN1337041A (zh) 2002-02-20
US20110235252A1 (en) 2011-09-29
JP2001144457A (ja) 2001-05-25
KR100848946B1 (ko) 2008-07-29
US20070100935A1 (en)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946B1 (ko) 휴대용 재생장치
TW455750B (en) Adapter for external conne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3605401B (zh) 高度便携式媒体设备
US7006408B2 (en) Wristwatch capable of storing and transmitting data
KR100719618B1 (ko) 데이터 재생장치
US6829365B1 (en) MP-3 player
US20210200841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tect original music from unauthorized reproduction and use
KR100788045B1 (ko)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US7043044B2 (en) Portable audio player
KR100934491B1 (ko) 음악 및 영상 재생기 겸용 화장품 케이스
TW487868B (en) Portable record and/or reproduce device, method of reproducing, and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US20070219655A1 (en) External remote with display accessory
JP4232065B2 (ja) 電子機器
JP2001142474A (ja) データ再生装置、クロック供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1143674A (ja) 電子機器及び電池収納装置
JP2001142580A (ja) データ再生装置、電力供給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H0294899A (ja) ヘッドホン再生装置
JP2001137037A (ja) ストラップ及びストラップ付き携帯機器
JP2001197681A (ja) 電源供給切換回路及びデータ再生装置
KR102363917B1 (ko) 전원스위치와 충전포트가 연장된 초소형 녹음기
JP2001144467A (ja) 電子機器
KR200428271Y1 (ko) 펜던트형 엠피쓰리플레이어 케이스
KR200259745Y1 (ko) 휴대용 이미지 저장 및 재생장치
KR200167123Y1 (ko) 휴대폰에착탈가능한엠펙1레이어3플레이어
JP2001188548A (ja) 携帯型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71004

Effective date: 200712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727

Effective date: 20080228